KR20200070619A -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619A
KR20200070619A KR1020180157942A KR20180157942A KR20200070619A KR 20200070619 A KR20200070619 A KR 20200070619A KR 1020180157942 A KR1020180157942 A KR 1020180157942A KR 20180157942 A KR20180157942 A KR 20180157942A KR 20200070619 A KR20200070619 A KR 20200070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hip
data
communication equipment
ab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환
Original Assignee
(주)지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엠티 filed Critical (주)지엠티
Priority to KR102018015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0619A/ko
Publication of KR20200070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6Arrangements for avoiding or indicating fraudulent u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은, 선박의 분전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과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연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전기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 중에서 사용 전원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계측된 사용 전원의 특성을 기반으로 전원 사용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을 비교하여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SUPPLY OF SHIP TO IDENTIFY ABNORMAL AND ILLEGAL OPERATION OF SHIP POWER SUPPLY}
본 발명은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위치발신장치는 선박의 위치를 자동으로 발신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를 말한다. 선박위치발신장치에는 협약에 의한 선박자동식별장치, 연안선박용 선박자동식별장치, 초단파대 무선설비(VHF, Very high frequency), 중단파대 및 단파대 무선설비(MF/HF, Medium frequency/Intermediate frequency), 휴대전화장치, 위성통신장치, 주파수공용통신용 무선설비(TRS) 등이 있다. 브이패스(V-PASS, Vessel Pass)는 해양경찰에서 어선의 해상사고 시 신속 대응 및 어선 출/입항 신고 자동화 등을 위하여, 890~900Mhz 주파수에서 이용하여 어선을 위한 통신 및 단말장치를 무상으로 개발하여 제공한 시스템이다.
선박 운항 정보 중 선박의 위치, 속력, 침로 정보는 선박위치발신장치로부터 자동으로 발신되어야 하며, 선박 운항자가 수동으로 조작 또는 변경할 수 없어야 한다. 사고발생 시 어선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어선위치발신장치를 갖추지 않고 항해나 조업을 하면 안 된다. 또한, 선박위치발신장치가 작동하지 않거나 고장·분실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가 부과된다.
선박의 경우, 발전기 전원과 배터리 전원을 교대로 사용하거나 동시에 사용한다. 이때, 일부 통신장비 또는 법정장비를 설치해서 운영하는 선박의 경우 전원을 강제로 오프(OFF)하여, 선박이 해상에서의 불법행위를 했을 때 감시당국(기관)에서 이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일례로, 그동안 어선의 경우, 조업금지구역 위반 사실을 숨기기 위해, 낚시어선은 영업구역 위반 사실을 숨기려는 이유로 위치발신장치를 고의로 꺼두는 경우가 빈번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장, 분실 신고만 하면 과태료 대상에서 제외돼 일부 어선들이 신고만 한 채 고치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다. 수리나 재부착을 언제까지 해야 한다는 규정이 없어 방치하더라도 이를 제재할 마땅한 근거가 없다.
이에 따라, 불법 조업을 하기 위해 위치발신장치를 끄거나 조작할 경우 사고 발생 시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려워 구조가 늦어지고, 인명 피해가 더욱 커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해상에서 관리대상 선박이 위치 파악 등을 위한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의 공급 전원 또는 전원 케이블을 불법으로 강제 종료하거나 불법적인 조작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해상에서 불법행위를 하고자 하는 시도를 차단할 수 있는,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선박의 분전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과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연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전기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 중에서 사용 전원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계측된 사용 전원의 특성을 기반으로 전원 사용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을 비교하여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추출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결 이상 발생시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포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분포 모델을 기반으로 정상 전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 간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 간의 비교 결과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 오차 범위가 초과된 전원 사용 데이터를 비정상 데이터로 지정하여 기설정된 비정상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선박의 분전반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와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에 공급되는 전력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하는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에 공급되는 전력 공급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을 비교하여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에 공급되는 전력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모니터링된 전력 정보를 기반으로 연결 이상 발생시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포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분포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 간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전력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 간의 비교 결과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 오차 범위가 초과된 전력 공급 데이터를 비정상 데이터로 지정하여 기설정된 비정상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식별된 전력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에 대한 비정상 상태 정보를 선박 네트워크를 통해 육상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선박의 분전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과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 데이터를 추출하는 센싱 모듈; 상기 추출된 연결 상태 데이터 및 정상 전원 모델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센싱 모듈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연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전기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 중에서 사용 전원을 계측하고, 상기 계측된 사용 전원의 특성을 계측하여 전원 사용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을 비교하여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결 이상 발생시, 구비된 출력 모듈을 통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포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분포 모델을 기반으로 정상 전원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 간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 간의 비교 결과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 오차 범위가 초과된 전원 사용 데이터를 비정상 데이터로 지정하여 기설정된 비정상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선박의 분전반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와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에 공급되는 전력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센싱 모듈; 상기 전력 정보 및 정상 전력 모델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센싱 모듈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니터링하는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에 공급되는 전력 공급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을 비교하여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에 공급되는 전력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니터링된 전력 정보를 기반으로 연결 이상 발생시, 구비된 출력 모듈을 통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포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분포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 간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 간의 비교 결과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 오차 범위가 초과된 전력 공급 데이터를 비정상 데이터로 지정하여 기설정된 비정상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육상 기지국과 통신하는 선박 네트워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전력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에 대한 비정상 상태 정보를 상기 선박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육상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해상에서 관리대상 선박이 위치 파악 등을 위한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의 공급 전원 또는 전원 케이블을 불법으로 강제 종료하거나 불법적인 조작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해상에서 불법행위를 하고자 하는 시도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되는 선박과 육상 기지국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분전반 장치에 통합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되는 선박과 육상 기지국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은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 발전기(11), 배터리(12), 법정 통신 장비(13) 및 일반 통신 장비(14)를 포함한다. 선박은 유선 또는 무선의 선박 네트워크를 통해 육상 기지국(20)과 통신한다.
발전기(11) 및 배터리(12)는 법정 통신 장비(13) 및 일반 통신 장비(14)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기능을 수행한다. 배터리(12)는 사용하고 남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법정 통신 장비(13) 및 일반 통신 장비(14)는 선박 위치 발신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 위치 발신 장비는 선박의 위치를 자동으로 발신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를 말한다. 선박 위치 발신 장비는 선박자동식별장치, 연안선박용 선박자동식별장치, 초단파대 무선설비(VHF, Very high frequency), 중단파대 및 단파대 무선설비(MF/HF, Medium frequency/Intermediate frequency), 휴대전화장치, 위성통신장치, 주파수공용통신용 무선설비(TRS) 및 브이패스(V-PASS, Vessel Pass)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발전기(11) 및 배터리(12)와 연결되고, 법정 통신 장비(13) 및 일반 통신 장비(14)와 연결된다.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발전기 및 배터리와 연결된 발전기 전원 및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입력받고, 그 입력된 전력을 분배하여 법정 통신 장비(13) 및 일반 통신 장비(14)에 공급한다.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해상에서 선박의 감시대상인 법정 통신 장비(13) 및 일반 통신 장비(14)의 전원 강제 종료 및 불법조작 예방을 위한 전원 관리 방법을 수행한다. 이러한 해상에서의 불법행위 방지를 위하여,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력 케이블의 연결상태, 전력의 공급 상태, 전력의 제공 상태 등을 실시간을 로깅할 수 있다.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로깅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에 공급하는 전원에 불법적인 행위가 가해졌는지, 사후 또는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전원 케이블은 초기 설치 시 전원 케이블이 정상 연결되고, 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가 되었음을 보장하여야 한다.
단계 S101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발전기 및 배터리 전원 케이블을 연결한다.
단계 S102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단계 S103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에서 연결 이상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한다. 일례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어선용 선박에 구현될 수 있으며,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또는 연결이 해제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104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에서 연결 이상이 발생하면, 연결이상 발생시 알람을 발생한다. 일례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발전기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과 연결된 전원 케이블에 이상이 있으면, 연결이상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연결이상 발생시 알람을 발생한 후 단계 S102부터 수행한다.
단계 S105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에서 연결 이상이 발생하지 않으면, 전력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로깅한다.
단계 S106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발전기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 중에서 사용 전원을 계측한다. 일례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발전기 전원을 사용하고 있는지,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련 상태정보를 로깅할 수 있다.
단계 S107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사용 전원의 특성을 기반으로 전원 사용 데이터를 추출한다. 일례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실제 입력되어 사용하고 있는 전원 사용 소스를 확인하고, 전원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련 상태정보를 로깅할 수 있다. 전원 사용 소스의 전원 상태 정보에는 전압, 전류, 또는 로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108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원 사용 데이터와 정상 전원 모델을 비교하여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한다. 그리고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단계 S102부터 수행한다. 일례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원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정상 데이터와 이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상 데이터와 이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201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원 사용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단계 S202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최초 시동인지를 확인한다.
단계 S203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최초 시동이면, 정해진 시간 동안 전원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전원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포 모델(예컨대, 데이터 평균분포 모델 등)을 생성한다.
단계 S204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생성된 데이터 분포 모델(예컨대, 데이터 평균분포 모델 등)을 기반으로 최초의 정상 전원 모델을 생성한다. 그리고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생성된 정상 전원 모델을 저장한다.
한편, 단계 S205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최초 시동이 아니면, 기설정된 시간 간격(프레임)으로 전원 사용 데이터와 정상 전원 모델을 비교한다.
단계 S206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원 사용 데이터와 정상 전원 모델의 비교 결과가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207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원 사용 데이터와 정상 전원 모델의 비교 결과가 오차 범위를 초과하지 않으면,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정상 전원 모델을 보정한다.
단계 S208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원 사용 데이터와 정상 전원 모델의 비교 결과가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 그 전원 사용 데이터를 비정상 데이터로 지정하여 기설정된 비정상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법정 통신 장비(13) 및 일반 통신 장비(14)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은 초기 설치 시 전원 케이블이 정상 연결되고,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이 되었음을 보장하여야 한다.
단계 S301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로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일례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에 대한 해당 장비의 전원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302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에 공급되는 전력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일례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연결 확인시, 각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로 입력되는 전력 정보(예컨대, 전압, 또는 전류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계 S303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로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에서 연결 이상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304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로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에서 연결 이상이 발생하면, 연결이상 발생시 알람을 발생한다.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연결이상 발생시 알람을 발생한 후 단계 S302부터 수행한다.
단계 S305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로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에서 연결 이상이 발생하지 않으면,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에 공급되는 전력 공급 데이터를 추출한다. 일례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에 공급되는 모니터링 전력 정보를 로깅할 수 있다.
단계 S306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원 사용 데이터와 정상 전원 모델을 비교하여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한다.
단계 S307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식별 결과를 기반으로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한다. 일례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로깅되는 데이터를 정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08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이 발생하면, 선박 네트워크를 통해 비정상 상태 정보를 육상 기지국(20)으로 전송한다. 반면,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이 발생하지 않으면, 단계 S301부터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401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력 공급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단계 S402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최초 시동인지를 확인한다.
단계 S403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최초 시동이면, 정해진 시간 동안 전력 공급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전력 공급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포 모델(예컨대, 데이터 평균분포 모델 등)을 생성한다.
단계 S404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생성된 데이터 분포 모델(예컨대, 데이터 평균분포 모델 등)을 기반으로 최초의 정상 전력 모델을 생성한다. 그리고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생성된 정상 전력 모델을 저장한다.
한편, 단계 S405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최초 시동이 아니면, 기설정된 시간 간격(프레임)으로 전력 공급 데이터와 정상 전력 모델을 비교한다.
단계 S406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력 공급 데이터와 정상 전력 모델의 비교 결과가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407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력 공급 데이터와 정상 전력 모델의 비교 결과가 오차 범위를 초과하지 않으면,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정상 전력 모델을 보정한다.
단계 S408에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력 공급 데이터와 정상 전력 모델의 비교 결과가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 그 전력 공급 데이터를 비정상 데이터로 지정하여 기설정된 비정상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센싱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선박 네트워크 모듈(140)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6의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센싱 모듈(110)은 선박의 분전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과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 데이터를 추출한다.
메모리(120)는 센싱 모듈(110)에서 추출된 연결 상태 데이터 및 정상 전원 모델을 저장한다.
프로세서(130)는 센싱 모듈(110) 및 메모리(120) 연결되고, 센싱 모듈(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연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전기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 중에서 사용 전원을 계측하고, 계측된 사용 전원의 특성을 계측하여 전원 사용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을 비교하여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추출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결 이상 발생시, 구비된 출력 모듈을 통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포 모델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데이터 분포 모델을 기반으로 정상 전원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 간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을 보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 간의 비교 결과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 오차 범위가 초과된 전원 사용 데이터를 비정상 데이터로 지정하여 기설정된 비정상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센싱 모듈(110)은 선박의 분전반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와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에 공급되는 전력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메모리(120)는 센싱 모듈(110)에서 전력 정보 및 정상 전력 모델을 저장한다.
프로세서(130)는 센싱 모듈(110) 및 메모리(120) 연결되고, 센싱 모듈(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모니터링하는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에 공급되는 전력 공급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을 비교하여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에 공급되는 전력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모니터링된 전력 정보를 기반으로 연결 이상 발생시, 구비된 출력 모듈을 통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포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분포 모델을 기반으로 메모리(120)에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와 메모리(120)에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 간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을 보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 간의 비교 결과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 오차 범위가 초과된 전력 공급 데이터를 비정상 데이터로 지정하여 기설정된 비정상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육상 기지국(20)과 통신하는 선박 네트워크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전력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에 대한 비정상 상태 정보를 선박 네트워크 모듈(140)을 통해 육상 기지국(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분전반 장치에 통합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분전반 장치에 통합된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센싱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선박 네트워크 모듈(140), 정전압 모듈(150), 전원 연결 모듈(160), 전원 분배 모듈(170) 및 내장 배터리(18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7의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가 통합된 선박의 분전반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는 선박의 분전반 장치 자체 또는 분전반 장치 내부에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또는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가 분전반 장치 내부에 소형화하여 적용하여 특정 통신 및 법정 통신 장비(13)의 전원 케이블 분리, 파손, 절단 등의 불법 조작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전원 연결 모듈(160)은 발전기 및 배터리 전원을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와 연결한다. 그리고 전원 연결 모듈(160)은 센싱 모듈(110)을 통해 발전기 및 배터리 전원 연결을 인식하고, 연결된 전원 케이블을 통해 발전기 전원 및 배터리 전원의 전력 상태 등을 계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싱 모듈(110)을 통해 계측된 전원 사용 데이터는 프로세서(130)로 전달된다. 전원 연결 모듈(160)은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에 전력이 공급될 때, 센싱 모듈(110) 및 프로세서(130)를 통해 발전기 전원을 사용하고 있는지, 또는 선박의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전원 연결 모듈(160)은 센싱 모듈(110) 및 프로세서(130)를 통해 전원 케이블이 분리되었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전원 연결 모듈(160)이 센싱 모듈(110)을 통해 계측하는 전원 사용 데이터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전원 연결 모듈(160)에 포함된 센싱 모듈(110)은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는 부분에 설치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연결 모듈(160)은 구비된 압력 센서를 통해 전원 케이블 연결이 단락되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연결 모듈(160)은 선박의 선원이 발전기 등 입력되는 전원을 끄거나, 전원 케이블을 칼과 가위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단선시키는 불법 조작이 발생된 경우, 전원 연결 모듈(160)은 센싱 모듈(110)을 통해 전원 케이블의 저항 또는 임피던스의 값을 측정하여 불법 조작을 확인할 수 있다.
전원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전원 연결 모듈(160)은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발전기와 배터리 전원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 판단할 수 있다. 전원 연결 모듈(160)은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기저장된 전원의 전력 정보 상태정보(로그)와 실시간으로 계측한 정보(예컨대, 전류, 전압, 저항, 임피던스 등)를 확인하여 사용 전원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전원 연결 모듈(160)은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발전기 전원이 정상적이면, 배터리 전원은 차단하여 충전 모드로 전환하도록 한다.
정전압 모듈(150)은 법정 통신 장비(13) 및 일반 통신 장비(14)의 경우, 해상에서 장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전압허용범위에 맞추어 정전압을 유지한다. 예를 들면, 발전기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정전압이 유지되지 않으면,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발전기 전원의 전력의 변동이 매우 심하기 때문이다.
전원 분배 모듈(170)은 정전압 모듈(150)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각 장비들,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로 분배하고 분배된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 분배 모듈(170)은 센싱 모듈(110)을 통해 각 장비들,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와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 또는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로 공급되는 전력 사용 패턴 등을 계측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가 분전반 장치에 통합되는 경우, 분전반 제어 및 불법조작 식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원 연결 모듈(160)의 센싱 모듈(110)에서 계측하여 수신하는 입력 전원의 상태 변화와 그 변화의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전원 분배 모듈(170)의 센싱 모듈(110)에서 계측하여 수신하는 출력 전원의 상태 변화와 그 변화의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입력 전원과 출력 전원의 단락 여부도 모니터링하면서, 입력 전원과 출력 전원의 상태 변화와 그 변화의 패턴을 분석하여 각 전원의 이상 유무와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에 대한 불법적인 전원 차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와 연동하여 계측하여 수신하는 상태 전력 값을 실시간 저장 관리하여, 기저장된 정상 모델과 현재의 계측 데이터 즉, 전원 사용 데이터나 전력 공급 데이터를 비교하고, 이상 상황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선박 네트워크 모듈(140)과 연동하여 유무선 선박 네트워크를 통하여 선박의 변화하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선박이 출항 중인지 정박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센싱 모듈(110)에서 계측한 상태 정보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와 내장 배터리(180)의 전력 공급에 따라 선박의 분전반 장치에 입력되는 전원이 모두 차단되더라도, 분전반 장치의 센싱 모듈(110)이 최종적으로 선박의 전원 상태 또는 전력 상태를 확인하여 저장하고, 전원 관리 과정이 종료될 수 있도록 한다. 내장 배터리(18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에 공급되는 전원이 모두 차단되면,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여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확인하여 저장하거나, 선박 네트워크를 통해 육상 기지국(20)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입력 전원을 공급하는 선박 발전기 또는 배터리의 정상 동작범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선박 발전기 또는 배터리의 고장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 중에서 불법 조작이 식별되는 경우, 불법 조작되지 않은 다른 통신 장비(예컨대, 선원의 휴대폰, 근거리 통신 장비 등)를 통해 신호 정보를 우회시켜 선박의 위치 정보를 육상 기지국(2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전원 케이블의 전달이나 파손이 아닌,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에서 기설정된 불법조작 상태로 판단되면, 정상 조작 상태로 강제 복귀시켜 정상신호를 출력하거나 비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기설정된 불법조작 상태는 법정 통신 장비(13)의 신호 dB를 낮추어서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센싱 모듈(110)을 통해 법정 통신 장비(13) 또는 일반 통신 장비(14)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정격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선박의 분전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과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연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전기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 중에서 사용 전원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계측된 사용 전원의 특성을 기반으로 전원 사용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을 비교하여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선박의 분전반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와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에 공급되는 전력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하는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에 공급되는 전력 공급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을 비교하여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에 공급되는 전력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된 특징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특징들은 예컨대,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기계 판독 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내의 저장장치 내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특징들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설명된 실시예들의 함수들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어들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설명된 특징들은,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수신하기 위해, 및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전송하기 위해,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시스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정 결과에 대해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지시어들의 집합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해석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어느 형태로 쓰여지고, 모듈, 소자, 서브루틴(subroutine), 또는 다른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을 위해 적합한 다른 유닛으로서, 또는 독립 조작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포함하는 어느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지시어들의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적합한 프로세서들은, 예를 들어, 범용 및 특수 용도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모두, 및 단독 프로세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터의 다중 프로세서들 중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설명된 특징들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지시어들 및 데이터를 구현하기 적합한 저장 디바이스들은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 내부 하드 디스크들 및 제거 가능한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디바이스들, 광자기 디스크들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모든 형태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ASIC들(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내에서 통합되거나 또는 ASIC들에 의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일련의 기능 블록들을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 예들의 조합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구현 및/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들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서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난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 예는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10: 선박
11: 발전기
12: 배터리
13: 법정 통신 장비
14: 일반 통신 장비
100: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
20: 육상 기지국
110: 센싱 모듈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140: 선박 네트워크 모듈
150: 정전압 모듈
160: 전원 연결 모듈
170: 전원 분배 모듈
180: 내장 배터리

Claims (22)

  1.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선박의 분전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과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연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전기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 중에서 사용 전원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계측된 사용 전원의 특성을 기반으로 전원 사용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을 비교하여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결 이상 발생시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포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분포 모델을 기반으로 정상 전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 간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을 보정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 간의 비교 결과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 오차 범위가 초과된 전원 사용 데이터를 비정상 데이터로 지정하여 기설정된 비정상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6.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선박의 분전반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와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에 공급되는 전력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하는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에 공급되는 전력 공급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을 비교하여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에 공급되는 전력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된 전력 정보를 기반으로 연결 이상 발생시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포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분포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 간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을 보정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 간의 비교 결과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 오차 범위가 초과된 전력 공급 데이터를 비정상 데이터로 지정하여 기설정된 비정상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전력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에 대한 비정상 상태 정보를 선박 네트워크를 통해 육상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12. 선박의 분전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과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 데이터를 추출하는 센싱 모듈;
    상기 추출된 연결 상태 데이터 및 정상 전원 모델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센싱 모듈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연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전기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 중에서 사용 전원을 계측하고,
    상기 계측된 사용 전원의 특성을 계측하여 전원 사용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을 비교하여 선박 전원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결 이상 발생시, 구비된 출력 모듈을 통해 알람을 발생시키는,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포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분포 모델을 기반으로 정상 전원 모델을 생성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 간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을 보정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전원 사용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원 모델 간의 비교 결과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 오차 범위가 초과된 전원 사용 데이터를 비정상 데이터로 지정하여 기설정된 비정상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
  17. 선박의 분전반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와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에 공급되는 전력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센싱 모듈;
    상기 전력 정보 및 정상 전력 모델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센싱 모듈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니터링하는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에 공급되는 전력 공급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을 비교하여 법정 통신 장비 또는 일반 통신 장비에 공급되는 전력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을 식별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니터링된 전력 정보를 기반으로 연결 이상 발생시, 구비된 출력 모듈을 통해 알람을 발생시키는,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포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분포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을 생성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 간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을 보정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전력 공급 데이터와 기저장된 정상 전력 모델 간의 비교 결과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 오차 범위가 초과된 전력 공급 데이터를 비정상 데이터로 지정하여 기설정된 비정상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
  22. 제17항 있어서,
    육상 기지국과 통신하는 선박 네트워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전력의 비정상 또는 불법조작에 대한 비정상 상태 정보를 상기 선박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육상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선박의 전원 관리 장치.
KR1020180157942A 2018-12-10 2018-12-10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00070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942A KR20200070619A (ko) 2018-12-10 2018-12-10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942A KR20200070619A (ko) 2018-12-10 2018-12-10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619A true KR20200070619A (ko) 2020-06-18

Family

ID=71143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942A KR20200070619A (ko) 2018-12-10 2018-12-10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06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9624A (ko) 2022-04-20 2023-10-27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용 비상발전 전원공급 시스템, 선박용 비상발전 전원공급 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 선박용 비상발전 전원공급 방법 및 선박용 비상발전 전원공급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9624A (ko) 2022-04-20 2023-10-27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용 비상발전 전원공급 시스템, 선박용 비상발전 전원공급 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 선박용 비상발전 전원공급 방법 및 선박용 비상발전 전원공급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19995B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智能交通运维终端
US8676390B2 (en) Universal remote machinery controller and monitor
US20100070213A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Electrical Energy Quality in an Electrical Energy Supply System, Power Quality Field Device and Power Quality System
KR101794161B1 (ko) 154kv 변전소의 보호배전반
KR101794163B1 (ko) 안전기능이 강화된 154kv급 변전소 주변압기의 보호배전반
KR20180023662A (ko) 등부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400956B1 (ko) 전력 설비를 위한 양방향 제어시스템
CN115801121A (zh) 光缆设备异常检测方法及装置
KR20200070619A (ko) 선박 전원의 비정상 및 불법 조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박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296568B1 (ko) 머신러닝 기반 배전반 관제시스템
CN109490675B (zh) 预警方法、电子设备、以及测试系统
EP3309566A1 (en) Reverse power supply line detec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70138172A (ko) 학습기능을 이용한 전기 안전관리장치 및 그 방법
CN204463278U (zh) 一种点巡检终端、标识设备和点巡检系统
KR101770121B1 (ko) 반사파 측정법 기반 배선 네트워크 고장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804311A (zh) 基于物联网的交通运维智能终端、系统和方法
US20140350773A1 (en) Current measuring device and method
CN111007363A (zh) 输电线路故障监测装置、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2508539B1 (ko) 선박 전기상태 관제시스템
CN113704066A (zh) 机房设备监控管理方法、存储介质及系统
CN114665987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天线健康管理系统
US20210157303A1 (en) Smart factory control system using smart plug for plant
CN113763662A (zh) 一种电气火灾监控系统
CN113282084A (zh) 一种基于大数据的船舶安全控制系统
CN112731140A (zh) 用电设备运行状态检测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