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366A - Diaphragm valve - Google Patents

Diaphragm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366A
KR20200070366A KR1020207014727A KR20207014727A KR20200070366A KR 20200070366 A KR20200070366 A KR 20200070366A KR 1020207014727 A KR1020207014727 A KR 1020207014727A KR 20207014727 A KR20207014727 A KR 20207014727A KR 20200070366 A KR20200070366 A KR 20200070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end
diaphragm
rib
inle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리사코 츠치다
아야카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70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3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 F16K7/16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the diaphragm being mechanically actuated, e.g. by screw-spindle or c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 F16K7/17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the diaphragm being actuated by fl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다이어프램 밸브 (10) 에서는, 밸브 본체 (11) 는, 입구측 유로 (241) 와, 출구측 유로 (242) 와, 연통부 (243) 와, 제 1 면 (31) 과, 제 2 면 (32) 과, 입구측 리브 (51) 와, 출구측 리브 (52) 를 갖는다. 연통부 (243) 는, 입구측 유로 (241) 와 출구측 유로 (242) 를 연이어 통하게 한다. 제 1 면 (31) 에는, 연통부 (243) 에 대향하는 개구 (31a)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면 (32) 은, 입구측 유로 (241) 및 출구측 유로 (242) 를 사이에 두고 제 1 면 (31) 과 대향한다. 입구측 리브 (51) 는, 제 2 면 (32) 에 형성되고, 입구측 유로 (241) 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출구측 리브 (52) 는, 제 2 면 (32) 에 형성되고, 출구측 유로 (242) 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입구측 리브 (51) 에는, 오목부 (51a) 가 형성되어 있다. 출구측 리브 (52) 에는, 오목부 (52a) 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diaphragm valve 10, the valve body 11 includes an inlet-side flow passage 241, an outlet-side flow passage 242, a communication portion 243, a first surface 31, and a second surface 32 ) And an inlet-side rib 51 and an outlet-side rib 52. The communication part 243 connects the inlet-side flow path 241 and the outlet-side flow path 242 in succession. The opening 31a facing the communication portion 243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31. The second surface 32 faces the first surface 31 with the inlet-side channel 241 and the outlet-side channel 24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inlet-side rib 51 i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32 and is formed along the inlet-side flow path 241. The outlet side rib 52 i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32 and is formed along the outlet side flow path 242. A recess 51a is formed in the inlet rib 51. A recess 52a is formed in the outlet-side rib 52.

Figure P1020207014727
Figure P1020207014727

Description

다이어프램 밸브Diaphragm valve

본 발명은 다이어프램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phragm valve.

수 (水) 처리, 화학, 식품 등의 플랜트에 있어서의 배관 라인에는, 다이어프램 밸브가 형성되어 있고, 다이어프램 밸브에 의해, 배관을 흐르는 유체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A diaphragm valve is formed in a piping line in a plant such as water treatment, chemical, food, etc., and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piping is controlled by the diaphragm valv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이와 같은 다이어프램 밸브에서는, 양단에 배관이 접속되어 플랜트에 설치된다. 다이어프램 밸브는, 다이어프램이 칸막이벽에 압접 (壓接) 됨으로써 유로가 폐쇄된 상태가 되고, 다이어프램이 칸막이벽으로부터 이간됨으로써 유로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In such a diaphragm valve, piping is connected to both ends to be installed in the plant. In the diaphragm valve, the flow path is closed by the diaphragm being pressed against the partition wall, and the flow path is opened by the diaphragm being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wall.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78308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7-278308

그러나, 다이어프램 밸브의 양단에 배관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에 의한 인장력 등의 외력이 다이어프램 밸브에 가해져, 장기 내구 성능이 저감되는 경우가 있었다.However, since piping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diaphragm valve, external force, such as a tensile force by the piping, is applied to the diaphragm valve, whereby long-term durability performance may be reduced.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 내구 성능이 향상된 다이어프램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aphragm valve with improved long-term durability performa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 발명에 관련된 다이어프램 밸브는, 밸브 본체와, 다이어프램과, 보닛과,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밸브 본체는, 입구측 유로와, 출구측 유로와, 연통부와, 제 1 면과, 제 2 면과, 입구측 리브와, 출구측 리브를 갖는다. 연통부는, 입구측 유로와, 출구측 유로를 연이어 통하게 한다. 제 1 면은, 연통부에 대향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면은, 입구측 유로 및 출구측 유로를 사이에 두고 제 1 면과 대향한다. 입구측 리브는, 제 2 면에 형성되고, 입구측 유로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출구측 리브는, 제 2 면에 형성되고, 출구측 유로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다이어프램은, 개구를 막도록 제 1 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닛은, 다이어프램을 덮도록 밸브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 기구는, 연통부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다이어프램을 구동한다. 입구측 리브와 출구측 리브의 적어도 일방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aphragm valve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includes a valve body, a diaphragm, a bonnet, and a driving mechanism. The valve body has an inlet side flow passage, an outlet side flow passage, a communication portion, 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an inlet side rib, and an outlet side rib. The communicating portion allows the inlet-side flow path and the outlet-side flow path to pass through. The first surface is formed with an opening facing the communicating portion. The second surface faces the first surface with the inlet-side flow passage and the outlet-side flow passag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inlet rib i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and is formed along the inlet channel. The outlet side rib i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and is formed along the outlet side flow path. The diaphragm is arranged on the first surface to close the opening. The bonnet is fixed to the valve body to cover the diaphragm. The drive mechanism drives the diaphragm to close or open the communication portion. A recess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inlet rib and the outlet rib.

이와 같이, 유로를 따라서 형성된 리브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다이어프램 밸브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밸브 본체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Thus, by forming a recess in the rib formed along the flow path, stress generated in the valve body can be dispersed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iaphragm valve.

즉,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밸브 본체를 보강하는 효과를 발휘하지만, 리브 근방에 응력이 집중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응력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That is, although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valve body is exhibited by forming the ribs, stress may be concentrated in the vicinity of the ribs, so that the stress can be dispersed by forming the concave portion as described above.

제 2 발명에 관련된 다이어프램 밸브는, 제 1 발명에 관련된 다이어프램 밸브로서, 오목부에는, 제 1 경사 단부와 제 2 경사 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경사 단부는, 제 2 경사 단부측을 향하여 제 1 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고, 제 2 경사 단부는, 제 1 경사 단부측을 향하여 제 1 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고, 제 1 경사 단부와 제 2 경사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110 도 이상, 170 도 이하이다.The diaphragm valve 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is a diaphragm valve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in which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are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The first inclined end is inclined toward the first inclined end toward the second inclined end, and the second inclined end is inclined toward the first inclined toward the first inclined end, and the first inclined end and 2 The angle formed by the inclined ends is 110 degrees or more and 170 degrees or less.

이와 같이, 제 1 경사 단부와 제 2 경사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110 도 이상, 170 도 이하로 함으로써, 다이어프램 밸브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밸브 본체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is 110 degrees or more and 170 degrees or less, so that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iaphragm valve, stress generated in the valve body can be dispersed.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밸브 본체를 보강하는 효과를 발휘하지만, 리브 근방에 응력이 집중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제 1 경사 단부 및 제 2 경사 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응력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Although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valve body is exhibited by forming the rib, stress may be concentrated in the vicinity of the rib, so that the stress can be dispersed by forming the first inclined end and the second inclined end as described above.

그 때문에, 다이어프램 밸브의 장기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long-term durability performance of the diaphragm valve can be improved.

제 3 발명에 관련된 다이어프램 밸브는,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관련된 다이어프램 밸브로서, 오목부는, 입구측 리브 및 출구측 리브의 쌍방에 형성되어 있다.The diaphragm valve according to the third invention is a diaphragm valve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invention, and the concave portions are formed on both the inlet side rib and the outlet side rib.

이로써, 다이어프램 밸브의 밸브 본체의 유로를 따른 전체에 걸쳐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Thereby, stress can be distributed over the entire flow path of the valve body of the diaphragm valve.

제 4 발명에 관련된 다이어프램 밸브는,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관련된 다이어프램 밸브로서, 제 1 경사 단부와 제 2 경사 단부는, 만곡한 단부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diaphragm valve according to the fourth invention is a diaphragm valve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invention, wherein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are continuously connected by curved ends.

이로써, 보다 응력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reby, the effect of dispersing a stress can be exhibited more.

제 5 발명에 관련된 다이어프램 밸브는, 제 1 ∼ 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관련된 다이어프램 밸브로서, 구동 기구는, 스템과, 컴프레서와, 구동부를 갖는다. 스템은, 보닛에 지지되어 있다. 컴프레서는, 스템에 장착되고, 또한 다이어프램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부는, 스템을 구동한다. 구동부는, 수동식, 공기 구동식, 또는 전기 구동식이다.The diaphragm valve according to the fifth invention is a diaphragm valv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inventions, and the drive mechanism includes a stem, a compressor, and a drive unit. The stem is supported by the bonnet. The compressor is mounted on the stem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diaphragm. The drive unit drives the stem. The driving unit is a manual, air-driven, or electric-driven type.

이와 같이 스템을 수동, 공기 또는 전기에 의해 구동할 수 있어, 유로가 폐쇄 또는 개방된다.In this way, the stem can be driven manually, by air or electricity, so that the flow path is closed or opened.

본 발명에 의하면, 장기 내구 성능이 향상된 다이어프램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aphragm valve with improved long-term durability performance.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의 다이어프램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다이어프램 밸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밸브 본체를 상방에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밸브 본체를 하방에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밸브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밸브 본체의 저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AA′사이의 화살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은, (a) 는 도 7 의 S 부 확대도, (b) 는 도 7 의 T 부 확대도이다.
도 9 는, (a) 는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b) 는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0 은, (a) ∼ (c) 는 실시예에 있어서 발생하는 응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1 은, 실시예의 판정 결과의 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aphragm valve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aphragm valve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body of FIG. 1 as viewed from abov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body of FIG. 1 when viewed from below.
5 is a front view of the valve body of FIG. 1.
6 is a bottom view of the valve body of FIG. 1.
7 is a cross-sectional view indicated by arrows between AA′ in FIG. 6.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S part of FIG. 7 (a), and an enlarged view of the T part of FIG. 7.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w path is closed, and (b)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flow channel is opened.
10(a) to 10(c)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stresses occurring in Examples.
11 is a diagram showing a table of determination results in Examples.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이어프램 밸브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iaphragm valve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구성><1. Configuration>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의 다이어프램 밸브 (10) 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다이어프램 밸브 (10) 의 부분 단면 구성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diaphragm valve 10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iaphragm valv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형태의 다이어프램 밸브 (10)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 (11) 와, 다이어프램 (12) 과, 보닛 (13) 과, 구동 기구 (14) 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본체 (11) 의 양단에 배관이 접속되고, 밸브 본체 (11) 에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 (24) 가 형성되어 있다. 다이어프램 (12) 은, 유로 (24) 를 개방 또는 차단한다. 보닛 (13) 은, 다이어프램 (12) 을 덮도록 밸브 본체 (11) 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 기구 (14) 는, 그 일부가 보닛 (13) 내에 배치되어 있고, 다이어프램 (12) 을 구동한다.The diaphragm valve 10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valve body 11, the diaphragm 12, the bonnet 13, and the drive mechanism 14, as shown in FIGS. 1 and 2. Piping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valve body 11, and a flow path 24 through which fluid flows is formed in the valve body 11. The diaphragm 12 opens or blocks the flow path 24. The bonnet 13 is attached to the valve body 11 so as to cover the diaphragm 12. A part of the drive mechanism 14 is disposed in the bonnet 13 and drives the diaphragm 12.

(밸브 본체 (11)) (Valve body 11)

도 3 은, 밸브 본체 (11) 를 후술하는 제 1 면 (31) 측에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 는, 밸브 본체 (11) 를 후술하는 제 2 면 (32) 측에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 는, 밸브 본체 (11) 의 정면도이고, 도 6 은, 밸브 본체 (11) 의 저면도이다. 또, 도 7 은, 도 6 의 AA′사이의 화살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body 11 seen from the first surface 31 si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body 11 seen from the side of the second surface 32 to be described later. 5 is a front view of the valve body 11, and FIG. 6 is a bottom view of the valve body 11. In addi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ndicated by arrows between AA′ in FIG. 6.

밸브 본체 (11) 는, PVC (폴리염화비닐), HT (내열 염화비닐관), PP (폴리프로필렌), 또는 PVCF (폴리불화브닐리덴), 폴리스티렌, ABS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등의 수지, 또는, 철, 구리, 구리 합금, 놋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또는 자기 (磁器)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The valve body 11 is made of PVC (polyvinyl chloride), HT (heat-resistant vinyl chloride tube), PP (polypropylene), or PVCF (polyvinylidene fluoride), polystyrene, ABS resin, polytetrafluoroethylene, perfluor It can be formed by a resin such as a roalkyl vinyl ether copolymer, polychlorotrifluoroethylene, or a metal such as iron, copper, copper alloy, brass, aluminum, stainless steel, or porcelain.

밸브 본체 (11)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부 (21) 와, 제 2 단부 (22) 와, 중앙부 (23) 와, 유로 (24) 를 갖는다.As shown in FIG. 3, the valve body 11 has a first end portion 21, a second end portion 22, a central portion 23, and a flow path 24.

제 1 단부 (21) 와 제 2 단부 (22) 와 중앙부 (23) 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로 (24)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부 (21), 중앙부 (23) 및 제 2 단부 (22) 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The 1st end part 21, the 2nd end part 22, and the center part 23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flow path 24 is the 1st end part 21 and the center part 23, as shown in FIG. ) And the second end 22.

(제 1 단부 (21), 제 2 단부 (22)) (First end 21, second end 22)

제 1 단부 (21) 와 제 2 단부 (22) 는,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 (23) 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고, 중앙부 (23) 와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end portion 21 and the second end portion 22 are arranged so as to sandwich the central portion 23 and are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23.

제 1 단부 (21)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이 접속되는 제 1 플랜지부 (211) 와, 제 1 플랜지부 (211) 와 중앙부 (23) 를 연결하는 제 1 접속부 (212) 를 갖는다. 제 1 플랜지부 (211)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가 밸브 본체 (11) 에 유입되는 입구 (24a) 가 형성된 제 1 플랜지면 (213) 을 갖고, 배관이 접속 가능하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end portion 21 includes a first flange portion 211 to which piping is connected,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212 connecting the first flange portion 211 and the central portion 23. Have As shown in FIG. 4, the 1st flange part 211 has the 1st flange surface 213 in which the inlet 24a into which the fluid flows into the valve body 11 was formed, and piping is connectable.

또, 제 2 단부 (22)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이 접속되는 제 2 플랜지부 (221) 와, 제 2 플랜지부 (221) 와 중앙부 (23) 를 연결하는 제 2 접속부 (222) 를 갖는다. 제 2 플랜지부 (221)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 (11) 로부터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 (24b) 가 형성된 제 2 플랜지면 (223) 을 갖고, 배관이 접속 가능하다.Moreover, as shown in FIG. 4, the 2nd end part 22 is the 2nd flange part 221 to which piping is connected, and the 2nd connection part 222 which connects the 2nd flange part 221 and the center part 23 ). As shown in FIG. 3, the 2nd flange part 221 has the 2nd flange surface 223 in which the outlet 24b from which the fluid discharges from the valve body 11 was formed, and piping is connectable.

제 1 플랜지부 (211) 와 제 2 플랜지부 (221) 는, 도 3,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제 1 플랜지면 (213) 과 제 2 플랜지면 (223) 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입구 (24a) 의 위치와 출구 (24b) 의 위치도 대향하고 있다.The first flange portion 211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221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the first flange surface 213 and the second flange surface 223 are shown in FIG. 7. As shown in, it is formed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Further, the positions of the inlet 24a and the positions of the outlet 24b are also opposed.

(중앙부 (23), 유로 (24)) (Central part 23, Euro 24)

중앙부 (23)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부 (21) 와 제 2 단부 (22) 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 (23) 는, 제 1 면 (31) 과, 제 2 면 (32) 과, 벽부 (33) (도 7 참조) 와, 리브 (34) 를 갖는다.The central part 23 is formed between the 1st end part 21 and the 2nd end part 22, as shown in FIG. The central portion 23 has a first surface 31, a second surface 32, a wall portion 33 (see FIG. 7 ), and a rib 34.

제 1 면 (31)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평면상이고, 제 1 플랜지면 (213) 과 제 2 플랜지면 (223) 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면 (31) 의 중앙에는, 개구 (31a) 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 (31a) 는, 그 둘레 가장자리가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입구 (24a) 로부터 출구 (24b) 를 연결하는 선을 따른 방향을 제 1 방향 (X) 으로 하고, 제 1 방향 (X) 에 대해 수직이면서 또한 제 1 면 (31) 과 평행한 방향을 제 2 방향 (Y) 으로 한다. 제 1 방향 (X) 은, 제 1 플랜지면 (213) 과 제 2 플랜지면 (223) 에 대해 수직인 직선을 따른 방향이라고도 할 수 있다.The first surface 31 is substantially planar, as shown in FIG. 3, and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flange surface 213 and the second flange surface 223. An opening 31a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surface 31. The opening 31a is formed by bending its circumferential edge. Further, the direction along the line connecting the inlet 24b from the inlet 24a is set to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 and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31 is also set.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first direction X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direction along a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flange surface 213 and the second flange surface 223.

제 2 면 (32) 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로 (24) 를 사이에 두고 제 1 면 (31) 과 대향하는 면이다. 제 2 면 (32) 은, 유로 (24) 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 2 면 (32) 은, 중앙부 (23) 의 보닛 (13) 이 배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이다.5, the second surface 32 is a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31 with the flow path 24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cond surface 32 is formed along the shape of the flow path 24. The second surface 32 is a surfac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bonnet 13 of the central portion 23 is disposed.

유로 (24)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 (24a) 로부터 출구 (24b) 까지 형성되어 있다. 벽부 (33) 는, 유로 (24) 의 중앙에 제 1 면 (31) 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벽부 (33) 는, 유로 (24) 에 경사를 형성하도록, 유로 (24) 의 내면이 제 1 면 (31) 을 향해 완만하게 상승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개구 (31a) 는, 벽부 (33)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벽부 (33) 의 제 1 면 (31) 측의 선단부 (33a) 에는, 후술하는 다이어프램 (12) 이 압접한다.As shown in FIG. 7, the flow path 24 is formed from the inlet 24a to the outlet 24b. The wall portion 33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surface 31 at the center of the flow path 24. The wall portion 33 is formed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 path 24 is gently raised toward the first surface 31 so as to form an inclination in the flow path 24. The above-mentioned opening 31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ll portion 33. The diaphragm 12 to be described later is pressed against the front end portion 33a on the first surface 31 side of the wall portion 33.

유로 (24) 는, 제 1 단부 (21) 의 입구 (24a) 로부터 벽부 (33) 까지 형성되어 있는 입구측 유로 (241) 와, 제 2 단부 (22) 의 출구 (24b) 로부터 벽부 (33) 까지 형성되어 있는 출구측 유로 (242) 와, 입구측 유로 (241) 와 출구측 유로 (242) 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연통부 (243) 를 갖는다.The flow path 24 is a wall portion 33 from the inlet side flow path 241 formed from the inlet 24a of the first end 21 to the wall portion 33 and the outlet 24b of the second end 22 It has an outlet side flow path 242 formed up to, and a communication portion 243 for connecting the inlet side flow path 241 and the outlet side flow path 242 in succession.

입구측 유로 (241)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면 (31) 과 수직인 방향의 폭이 벽부 (33) 를 향함에 따라서 좁아지고 있다. 한편, 입구측 유로 (241) 는, 제 1 면 (31) 과 평행한 방향의 폭 (도 7 에 있어서의 지면 (紙面) 에 대해 수직인 방향) 은 벽부 (33) 를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고 있다.As shown in FIG. 7, the entrance-side flow passage 241 is narrowed as the widt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31 faces the wall portion 33. On the other hand, the width of the inlet side flow path 241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31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in FIG. 7) is widened as it faces the wall portion 33. .

출구측 유로 (242) 는, 제 2 플랜지부 (221) 의 출구 (24b) 로부터 벽부 (33) 까지 형성되어 있다. 출구측 유로 (242)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면 (31) 과 수직인 방향의 폭이 벽부 (33) 를 향함에 따라서 좁아지고 있다. 한편, 출구측 유로 (242) 는, 제 1 면 (31) 과 평행한 방향의 폭 (도 7 에 있어서의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 은 벽부 (33) 를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고 있다.The outlet side flow passage 242 is formed from the outlet 24b of the second flange portion 221 to the wall portion 33. As shown in FIG. 7, the exit-side flow passage 242 is narrowed as the widt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31 faces the wall portion 33. On the other hand, the width of the exit-side flow path 242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31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in FIG. 7) is widening toward the wall portion 33.

연통부 (243) 는, 유로 (24) 중 벽부 (33) 의 제 1 면 (31) 측의 부분으로, 입구측 유로 (241) 와 출구측 유로 (242) 를 연이어 통하게 한다.The communication portion 243 is a portion of the flow path 24 on the side of the first surface 31 of the wall portion 33, and allows the inlet-side flow path 241 and the outlet-side flow path 242 to pass through.

제 2 면 (32) 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측 유로 (241) 를 따른 입구측 만곡부 (321) 와, 출구측 유로 (242) 를 따른 출구측 만곡부 (322) 를 갖는다. 이 입구측 만곡부 (321) 와 출구측 만곡부 (322) 에 의해 도 7 에 나타내는 벽부 (33) 의 제 1 면 (31) 측에 대한 돌출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second surface 32 has an inlet side curved portion 321 along the inlet side flow path 241 and an outlet side curved portion 322 along the outlet side flow path 242. Protrusions to the first surface 31 side of the wall portion 33 shown in FIG. 7 are formed by the inlet-side curved portion 321 and the outlet-side curved portion 322.

(리브 (34)) (Rib (34))

리브 (34) 는, 도 4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면 (31) 에 대해 수직으로 제 2 면 (32) 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리브 (34) 는, 제 1 리브 (41) 와, 제 2 리브 (42) 를 갖는다.The ribs 34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surface 32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31 as shown in FIGS. 4 and 6. The rib 34 has a first rib 41 and a second rib 42.

제 1 리브 (41) 는, 도 4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방향 (X) 을 따라서, 제 2 면 (32) 에 있어서의 입구측 만곡부 (321) 로부터 출구측 만곡부 (322) 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리브 (41) 는, 중앙부 (23) 의 제 2 방향 (Y) 에 있어서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4 and 6, the first rib 41 is from the inlet-side curved portion 321 in the second surface 32 to the outlet-side curved portion 322 along the first direction X, as shown in FIGS. 4 and 6. Is formed. Moreover, the 1st rib 4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enter part 23 in the 2nd direction Y.

제 2 리브 (42) 는, 제 2 방향 (Y) 을 따라 형성되고, 중앙부 (23) 의 제 1 방향 (X) 에 있어서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rib 42 is form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Y and is formed at the center in the first direction X of the central portion 23.

또, 제 1 면 (31) 의 제 2 방향 (Y) 의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제 2 면 (32) 측을 향하여 외측 가장자리부 (35) 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리브 (42) 는, 일방의 외측 가장자리부 (35) 로부터 타방의 외측 가장자리부 (35) 까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outer edge part 35 is formed toward the 2nd surface 32 side from each of both ends of the 2nd direction Y of the 1st surface 31, and the 2nd rib 42 is one side It is formed from the outer edge portion 35 to the other outer edge portion 35.

제 1 리브 (41) 및 제 2 리브 (42) 는, 각각의 중앙인 중앙부 (43) 에 있어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십자형상으로 교차되어 있다. 이 중앙부 (43) 에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면 (31) 을 향해 볼트공 (孔) (43a) 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ribs 41 and the second ribs 42 cross each other in a planar shape as shown in Fig. 6 in the central portion 43, which is the center of each. 4, the bolt hole 43a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43 toward the 1st surface 31 as shown in FIG.

제 1 리브 (41) 는, 중앙부 (43) 를 기준으로 하여 입구 (24a) 측에 형성되어 있는 입구측 리브 (51) 와, 중앙부 (43) 를 기준으로 하여 출구 (24b) 측에 형성되어 있는 출구측 리브 (52) 를 갖는다.The first rib 41 is formed on the inlet side rib 51 formed on the inlet 24a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43 and on the outlet 24b side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43. It has an outlet side rib 52.

입구측 리브 (51) 는, 입구측 유로 (241) 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입구측 리브 (51) 는, 제 1 플랜지면 (213) 및 제 2 플랜지면 (223) 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The inlet-side rib 51 is formed along the inlet-side flow path 241. It can be said that the inlet rib 51 is formed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flange surface 213 and the second flange surface 223.

입구측 리브 (51) 에는, 도 4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 (51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 (51a) 에 의해서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이 완화된다. 도 8(a) 는, 도 7 의 S 부 확대도이다.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측 리브 (51) 는, 오목부 (51a) 에, 제 1 경사 단부 (511) 와, 제 2 경사 단부 (512) 와, 제 1 경사 단부 (511) 와 제 2 경사 단부 (512) 의 사이를 연결하는 만곡 단부 (513) 를 갖는다. 제 1 경사 단부 (511) 와 제 2 경사 단부 (512) 는, 제 2 방향 (Y) 을 따라서 본 경우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7, the inlet rib 51 is formed with a recess 51a. The stress generated by the external force is relieved by the concave portion 51a. Fig. 8(a) is an enlarged view of the S part in Fig. 7. As shown in FIG. 8(a), the inlet-side rib 51 has a first inclined end portion 511, a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12, and a first inclined end portion 511 in the concave portion 51a. And a curved end 513 connecting between the second inclined end 512.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11 an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12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case seen along the second direction Y.

중앙부 (43) 로부터 제 1 경사 단부 (511), 만곡 단부 (513), 및 제 2 경사 단부 (512) 의 순서로 제 1 단부 (21) 를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11, the curved end portion 513, an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12 are arranged from the central portion 43 toward the first end portion 21.

제 1 경사 단부 (511) 는, 중앙부 (43) 로부터 제 1 단부 (21) 측을 향하여 제 1 면 (31)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 2 경사 단부 (512) 는, 중앙부 (43) 측으로부터 제 1 단부 (21) 측을 향하여 제 1 면 (31) 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11 is inclined from the central portion 43 toward the first end portion 21 toward the first surface 31. The second inclined end 512 is inclined away from the first surface 31 from the central portion 43 side toward the first end 21 side.

또, 제 1 경사 단부 (511) 는, 제 2 경사 단부 (512) 측을 향하여 제 1 면 (31)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고, 제 2 경사 단부 (512) 는, 제 1 경사 단부 (511) 측을 향하여 제 1 면 (31)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고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11 is inclined towar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12 toward the first surface 31, an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12 is in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11 side It can also be said to be inclined toward the first surface 31 toward the.

만곡 단부 (513) 는, 제 1 경사 단부 (511) 와 제 2 경사 단부 (512) 를 단차없이 연속적으로 연결한다.The curved end portion 513 continuously connects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11 an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12 without a step.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에 제 1 경사 단부 (511) 를 따른 직선 (L1) 과 제 2 경사 단부 (512) 를 따른 직선 (M1) 에 의해 형성되는 각 (θ1) 은, 110 도 이상, 170 도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a), the angle θ1 formed by the straight line L1 along the first inclined end 511 and the straight line M1 along the second inclined end 512 when viewed from the front is , 110 degrees or more, and 170 degrees or less.

출구측 리브 (52) 는, 중앙부 (43) 보다도 제 2 단부 (22) 측이면서 제 2 면 (32) 상에, 출구측 유로 (242) 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출구측 리브 (52) 는, 제 1 플랜지면 (213) 및 제 2 플랜지면 (223) 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The outlet-side ribs 52 are formed along the outlet-side flow path 242 on the second surface 32 while being on the second end 22 side than the central portion 43. It can also be said that the outlet ribs 52 are formed along the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first flange surface 213 and the second flange surface 223.

출구측 리브 (52) 에는, 도 4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 (52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 (52a) 에 의해서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이 완화된다. 도 8(b) 는, 도 7 의 T 부 확대도이다. 출구측 리브 (52) 는, 오목부 (52a) 에, 제 1 경사 단부 (521) 와, 제 2 경사 단부 (522) 와, 제 1 경사 단부 (521) 와 제 2 경사 단부 (522) 의 사이를 연결하는 만곡 단부 (523) 를 갖는다. 제 1 경사 단부 (521) 와 제 2 경사 단부 (522) 는, 제 2 방향 (Y) 을 따라서 본 경우 (정면시) 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and FIG. 7, the concave portion 52a is formed in the outlet-side rib 52. The concave portion 52a relieves stress generated by an external force. Fig. 8(b) is an enlarged view of the T portion in Fig. 7. The outlet-side rib 52 is in the concave portion 52a, between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21,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22, and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21 an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22. It has a curved end 523 connecting. The 1st inclined end part 521 and the 2nd inclined end part 522 are formed linearly in the case seen along the 2nd direction Y (at the front).

중앙부 (43) 로부터 제 1 경사 단부 (521), 만곡 단부 (523), 및 제 2 경사 단부 (522) 의 순서로 제 2 단부 (22) 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From the central part 43, it is arrange|positioned toward the 2nd end part 22 in order of 1st inclined end part 521, the curved end part 523, and the 2nd inclined end part 522.

제 1 경사 단부 (521) 는, 중앙부 (43) 로부터 제 2 단부 (22) 측을 향하여 제 1 면 (31)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 2 경사 단부 (522) 는, 중앙부 (43) 측으로부터 제 2 단부 (22) 측을 향하여 제 1 면 (31) 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21 is inclined from the central portion 43 toward the second end portion 22 toward the first surface 31.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22 is inclined away from the first surface 31 from the central portion 43 side toward the second end portion 22 side.

또, 제 1 경사 단부 (521) 는, 제 2 경사 단부 (522) 측을 향하여 제 1 면 (31)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고, 제 2 경사 단부 (522) 는, 제 1 경사 단부 (521) 측을 향하여 제 1 면 (31)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고도 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21 is inclined towar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22 toward the first surface 31, an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22 is on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21 side It can also be said to be inclined toward the first surface 31 toward the.

만곡 단부 (513) 는, 제 1 경사 단부 (511) 와 제 2 경사 단부 (512) 를 단차없이 연속적으로 연결한다.The curved end portion 513 continuously connects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11 an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12 without a step.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에 제 1 경사 단부 (521) 를 따른 직선 (L2) 과 제 2 경사 단부 (522) 를 따른 직선 (M2) 에 의해 형성되는 각 (θ2) 은, 110 도 이상, 170 도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b), the angle θ2 formed by the straight line L2 along the first inclined end 521 and the straight line M2 along the second inclined end 522 when viewed from the front is , 110 degrees or more, and 170 degrees or less.

(다이어프램 (12)) (Diaphragm (12))

다이어프램 (12) 의 재질은, 고무상의 탄성체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이소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클로로술폰화 고무, 니트릴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염소화 폴리에틸렌, 불소 고무, EPD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P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을 바람직한 재료로서 들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diaphragm 12 may just be a rubber-like elastic body,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ethylene propylene rubber, isoprene rubber, chloroprene rubber, chlorosulfonated rubber, nitrile rubber, styrene-butadiene rubber, chlorinated polyethylene, fluorine rubber, EPDM (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Etc. are mentioned as a preferable material.

또, 다이어프램 (12) 에는 강도가 높은 보강포 (布) 가 인서트되어 있어도 되고, 보강포는 나일론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다이어프램 밸브를 닫았을 때에 다이어프램 (12) 에 유체압이 가해졌을 때 다이어프램 (12) 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Further, a high-strength reinforcing cloth may be inserted into the diaphragm 12, and the reinforcing cloth is preferably made of nylon. This is preferable becaus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diaphragm 12 when fluid pressure is applied to the diaphragm 12 when the diaphragm valve is closed.

다이어프램 (12)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 (31a) 를 막도록 제 1 면 (31) 에 배치되어 있다. 다이어프램 (12) 의 외주 가장자리부 (121) 는, 후술하는 보닛 (13) 과 밸브 본체 (11) 의 사이에 끼여 있다.The diaphragm 12 is arranged on the first surface 31 so as to close the opening 31a as shown in FIG. 2.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121 of the diaphragm 12 is sandwiched between the bonnet 13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valve body 11.

다이어프램 (12) 이 후술하는 구동 기구 (14) 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여, 벽부 (33) 의 선단부 (33a) 에 맞닿음으로써 연통부 (243) 를 폐쇄하여 유로 (24) 가 닫혀진다. 또, 다이어프램 (12) 이 구동 기구 (14) 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선단부 (33a) 로부터 다이어프램 (12) 이 이간됨으로써 유로 (24) 가 개방된다.The diaphragm 12 moves downward by the driving mechanism 14 to be described later, and closes the communication portion 243 by contacting the tip portion 33a of the wall portion 33, thereby closing the flow path 24. Moreover, the diaphragm 12 moves upward by the drive mechanism 14, and the flow path 24 is opened by the diaphragm 12 being separated from the front-end|tip part 33a.

(보닛 (13)) (Bonnet (13))

보닛 (13) 은, 밸브 본체 (11) 와 마찬가지로, PVC (폴리염화비닐), HT (내열 염화비닐관), PP (폴리프로필렌), 또는 PVCF (폴리불화브닐리덴), 폴리스티렌, ABS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등의 수지, 또는, 철, 구리, 구리 합금, 놋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또는 자기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The bonnet 13, like the valve body 11, is PVC (polyvinyl chloride), HT (heat-resistant vinyl chloride tube), PP (polypropylene), or PVCF (polyvinylidene fluoride), polystyrene, ABS resin, poly It can be formed of a resin such as tetrafluoroethylene, perfluoroalkyl vinyl ether copolymer, polychlorotrifluoroethylene, or a metal such as iron, copper, copper alloy, brass, aluminum, stainless steel, or porcelain. .

보닛 (13) 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 (11) 의 제 1 면 (31) 에 볼트 (100)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보닛 (13) 은, 다이어프램 (12) 을 개재하여 개구 (31a) 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bonnet 13 is fixed to the first surface 31 of the valve body 11 by a bolt 100 or the lik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onnet 13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opening 31a via the diaphragm 12.

즉, 보닛 (13) 은, 제 1 면 (31) 에 대응하는 개구 (13a) 를 가지고 있고, 개구 (13a) 에 대향하는 위치에 후술하는 슬리브 (62) 및 스템 (63) 이 배치되는 관통공 (13b) 을 가지고 있다.That is, the bonnet 13 has an opening 13a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rface 31, and a through hole in which the sleeve 62 and the stem 6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disposed at positions facing the opening 13a. (13b).

(구동 기구 (14)) (Drive mechanism 14)

구동 기구 (14) 는, 컴프레서 (61) 와, 슬리브 (62) 와, 스템 (63) 과, 핸들 (64) 을 갖는다.The drive mechanism 14 has a compressor 61, a sleeve 62, a stem 63, and a handle 64.

컴프레서 (61) 는, PVDF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다이어프램 (12) 과 연결되어 있다. 다이어프램 (12) 에는 걸어맞춤 부재 (65) 가 매립되어 있고, 걸어맞춤 부재 (65) 는, 밸브 본체 (11) 의 반대측 (비접액면측) 으로 돌출되어 있다. 걸어맞춤 부재 (65) 의 돌출된 부분이 컴프레서 (61) 에 걸어맞춰져, 컴프레서 (61) 와 다이어프램 (12) 은 연결되어 있다.The compressor 61 is formed of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or the like, and is connected to the diaphragm 12. The engagement member 65 is embedded in the diaphragm 12, and the engagement member 65 protrudes to the opposite side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valve body 11. The protruding part of the engaging member 65 is engaged with the compressor 61, so that the compressor 61 and the diaphragm 12 are connected.

슬리브 (62) 는, 보닛 (13) 의 관통공 (13b) 에 지지되어 있다. 슬리브 (62) 의 내측에는 나사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The sleeve 62 is supported by the through hole 13b of the bonnet 13. A screw shape is formed inside the sleeve 62.

스템 (63) 은, 슬리브 (62) 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슬리브 (62) 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 형상과 나사 결합하고 있다. 스템 (63) 의 보닛 (13) 의 내측에 배치되는 단에는, 컴프레서 (61) 가 고정되어 있다. 컴프레서 (61) 는, 밸브 본체 (11) 측에 있어서 다이어프램 (12) 과 걸어맞춰지고, 밸브 본체 (11) 와 반대측에 있어서 스템 (63) 과 고정되어 있다.The stem 63 is disposed inside the sleeve 62 and is screwed into a screw shape formed inside the sleeve 62. The compressor 61 is fixed to the end disposed inside the bonnet 13 of the stem 63. The compressor 61 is engaged with the diaphragm 12 on the valve body 11 side, and is fixed to the stem 63 on the opposite side to the valve body 11.

핸들 (64) 은, 스템 (63) 의 보닛 (13) 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주부에 끼워 맞춰져 있다.The handle 64 is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rtion located outside the bonnet 13 of the stem 63.

<2. 동작><2. Action>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다이어프램 밸브 (10)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 는, 다이어프램 (12) 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Next, the operation of the diaphragm valve 10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9A and 9B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iaphragm 12.

도 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유로 (24) 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유로 (24) 를 닫는 방향으로 핸들 (64) 을 회전시키면, 핸들 (64) 의 회전에 따라서, 스템 (63) 이 하강한다 (도 2 참조). 스템 (63) 의 하강과 함께, 스템 (63) 의 단에 고정된 컴프레서 (61) 도 하강한다.When the handle 64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ow path 24 is closed from the state in which the flow path 24 is open as shown in Fig. 9(a), the stem 63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64. It descends (see Fig. 2). Along with the lowering of the stem 63, the compressor 61 fixed to the end of the stem 63 is also lowered.

컴프레서 (61) 의 하강에 의해, 다이어프램 (12) 은,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면 (32) 측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벽부 (33) 의 선단부 (33a) 에 압접된다.As the compressor 61 descends, the diaphragm 12 convexly curves toward the second surface 32 as shown in Fig. 9(b), and is pressed against the tip portion 33a of the wall portion 33.

이로써, 다이어프램 밸브 (10) 의 유로 (24) 가 차단된 상태가 된다.Thereby, the flow path 24 of the diaphragm valve 10 is blocked.

한편, 핸들 (64) 을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 (64) 의 회전에 따라서 스템 (63) 이 상승한다. 스템 (63) 의 상승과 함께 컴프레서 (61) 도 상승하여, 컴프레서 (61) 와 걸어맞춰진 다이어프램 (12) 의 중앙부가 도 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64 is rotated in the opening direction, the stem 63 ris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64. As the stem 63 rises, the compressor 61 also rises,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aphragm 12 engaged with the compressor 61 rises as shown in Fig. 9(a).

이로써, 다이어프램 밸브 (10) 의 유로 (24) 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Thereby, the flow path 24 of the diaphragm valve 10 is opened.

<3. 실시예><3. Example>

상기 θ1 및 θ2 를, 100°, 110°, 140°, 170°, 180°로 변경한 경우에 밸브 본체 (11) 에 발생하는 응력을 해석하여, 3 가지 상태에 있어서 판정을 실시하였다.When the θ1 and θ2 were changed to 100°, 110°, 140°, 170°, and 180°, stress generated in the valve body 11 was analyzed to determine in three states.

제 1 상태로서, 다이어프램 (12) 을 벽부 (33) 에 대고 눌렀을 때에 밸브 본체 (11) 에 발생하는 응력에 대해 판정을 실시하였다. 제 2 상태로서, 다이어프램 밸브 (10) 의 자중 (自重) 에 의해 밸브 본체 (11) 에 발생하는 응력에 대해 판정을 실시하였다. 제 3 상태로서, 배관에 의해 제 1 플랜지부 (211) 와 제 2 플랜지부 (221) 가 잡아당겨졌을 때에 밸브 본체 (11) 에 발생하는 응력에 대해 판정을 실시하였다.As the first state, the stress generated in the valve body 11 when the diaphragm 12 was pressed against the wall portion 33 was judged. As the second state, the stress generated in the valve body 11 due to the self-weight of the diaphragm valve 10 was judged. As the third state, the stress generated in the valve body 11 when the first flange portion 211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221 were pulled by piping was judged.

도 10(a) 는, 제 1 상태에 있어서 밸브 본체 (11) 에 걸리는 응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이어프램 (12) 을 벽부 (33) 에 대고 누를 때의 힘이 F1 로 나타나 있다. F1 에 의해, 밸브 본체 (11) 의 제 1 면 (31) 측에는, 제 1 방향 (X) 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하는 응력 (F2) 이 발생하고, 입구측 리브 (51) 및 출구측 리브 (52) 에는, 외측을 향하는 응력 (F3) 이 발생한다.10(a) is a diagram showing the stress applied to the valve body 11 in the first state. The force when pressing the diaphragm 12 against the wall portion 33 is represented by F1. By F1, the stress F2 toward the inside in the first direction X is generated on the first surface 31 side of the valve body 11, and the inlet-side rib 51 and the outlet-side rib 52 ), the stress F3 toward the outside occurs.

도 10(b) 는, 제 2 상태에 있어서 밸브 본체 (11) 에 걸리는 응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중앙부 (43) 의 볼트공 (43a) 에 볼트를 삽입하여, 밸브 본체 (11) 를 소정의 장소에 고정시킬 때에 밸브 본체 (11) 에 걸리는 힘이 F1 로 나타나 있다. F1 에 의해, 밸브 본체 (11) 의 제 1 면 (31) 측에는, 제 1 방향 (X) 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하는 응력 (F2) 이 발생하고, 입구측 리브 (51) 및 출구측 리브 (52) 에는, 내측을 향하는 응력 (F3) 이 발생한다.Fig. 10(b) is a diagram showing the stress applied to the valve body 11 in the second state. When a bolt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43a of the central portion 43 to fix the valve body 11 in a predetermined place, the force applied to the valve body 11 is indicated by F1. By F1, the stress F2 toward the outside in the first direction X is generated on the first surface 31 side of the valve body 11, and the inlet-side rib 51 and the outlet-side rib 52 ), stress F3 toward the inside is generated.

도 10(c) 는, 제 3 상태에 있어서 밸브 본체 (11) 에 걸리는 응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플랜지부 (211) 및 제 2 플랜지부 (221) 가 배관에 의해 잡아당겨지는 힘이 F1 로 나타나 있다. F1 에 의해, 밸브 본체 (11) 의 제 1 면 (31) 측에는, 제 1 방향 (X) 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하는 응력 (F2) 이 발생하고, 입구측 리브 (51) 및 출구측 리브 (52) 에는, 내측을 향하는 응력 (F3) 이 발생한다.Fig. 10(c) is a diagram showing the stress applied to the valve body 11 in the third state. The force at which the first flange portion 211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221 are pulled by the pipe is indicated by F1. By F1, the stress F2 toward the outside in the first direction X is generated on the first surface 31 side of the valve body 11, and the inlet-side rib 51 and the outlet-side rib 52 ), stress F3 toward the inside is generated.

F2 와 F3 의 크기를 해석에 의해 구하여, 양호한지 아닌지의 판정을 실시하였다. F2 의 크기는 F3 의 크기와 비례 관계이기 때문에, F2 만을 판단 기준으로 한다. 도 11 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The sizes of F2 and F3 were determined by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they were good or not. Since the size of F2 i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F3, only F2 is used as a criterion. 11 is a diagram showing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above embodiment.

제 1 상태에서는, 응력이 400 ㎫ 이하인 경우를 양호로 판정하고, 제 2 상태에서는, 응력이 2 ㎫ 이하인 경우를 양호로 판정하고, 제 3 상태에서는, 응력이 50 ㎫ 이하인 경우를 양호로 판정하였다.In the first state, the case where the stress is 400 MPa or less was judged good, in the second state, the case where the stress was 2 MPa or less was judged good, and in the third state, the case where the stress was 50 MPa or less was judged as good. .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θ1 및 θ2 가, 110°이상, 170°이하에 있어서, 상기 3 가지 상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판정이 양호한 결과가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θ1 and θ2 are 110° or more and 170° or less, the judgment is a good result in any of the three states.

<4. 특징 등><4. Features, etc.>

(4-1) (4-1)

본 실시형태의 다이어프램 밸브 (10) 는, 밸브 본체 (11) 와, 다이어프램 (12) 과, 보닛 (13) 과, 구동 기구 (14) 를 구비한다. 밸브 본체 (11) 는, 입구측 유로 (241) 와, 출구측 유로 (242) 와, 연통부 (243) 와, 제 1 면 (31) 과, 제 2 면 (32) 과, 입구측 리브 (51) 와, 출구측 리브 (52) 를 갖는다. 연통부 (243) 는, 입구측 유로 (241) 와 출구측 유로 (242) 를 연이어 통하게 한다. 제 1 면 (31) 에는, 연통부 (243) 에 대향하는 개구 (31a)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면 (32) 은, 입구측 유로 (241) 및 출구측 유로 (242) 를 사이에 두고 제 1 면 (31) 과 대향한다. 입구측 리브 (51) 는, 제 2 면 (32) 에 형성되고, 입구측 유로 (241) 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출구측 리브 (52) 는, 제 2 면 (32) 에 형성되고, 출구측 유로 (242) 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다이어프램 (12) 은, 개구 (31a) 를 막도록 제 1 면 (31) 에 배치되어 있다. 보닛 (13) 은, 다이어프램 (12) 을 덮도록 밸브 본체 (11) 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 기구 (14) 는, 연통부 (243) 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다이어프램 (12) 을 구동한다. 입구측 리브 (51) 에는, 오목부 (51a) 가 형성되어 있다. 출구측 리브 (52) 에는, 오목부 (52a) 가 형성되어 있다.The diaphragm valv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valve body 11, a diaphragm 12, a bonnet 13, and a drive mechanism 14. The valve body 11 includes an inlet side flow passage 241, an outlet side flow passage 242, a communication portion 243, a first surface 31, a second surface 32, and an inlet side rib ( 51) and an outlet side rib 52. The communication part 243 connects the inlet-side flow path 241 and the outlet-side flow path 242 in succession. The opening 31a facing the communication portion 243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31. The second surface 32 faces the first surface 31 with the inlet-side channel 241 and the outlet-side channel 24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inlet-side rib 51 i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32 and is formed along the inlet-side flow path 241. The outlet-side rib 52 i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32 and is formed along the outlet-side flow path 242. The diaphragm 12 is arranged on the first surface 31 so as to close the opening 31a. The bonnet 13 is fixed to the valve body 11 so as to cover the diaphragm 12. The drive mechanism 14 drives the diaphragm 12 to close or open the communication portion 243. A recess 51a is formed in the inlet rib 51. A recess 52a is formed in the outlet-side rib 52.

이와 같이, 유로 (24) 를 따라서 형성된 제 1 리브 (41) 에 오목부 (51a, 52a) 를 형성함으로써, 다이어프램 밸브 (10) 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밸브 본체 (11) 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Thus, by forming the concave portions 51a, 52a in the first rib 41 formed along the flow path 24,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iaphragm valve 10, stress generated in the valve body 11 Can be dispersed.

즉,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밸브 본체를 보강하는 효과를 발휘하지만, 리브 근방에 응력이 집중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오목부 (51a, 52a) 를 형성함으로써, 응력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That is, although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valve body is exerted by forming the ribs, stress may be concentrated in the vicinity of the ribs, so that the stresses can be dispersed by forming the recesses 51a and 52a as described above.

그 때문에, 다이어프램 밸브 (10) 의 장기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long-term durability performance of the diaphragm valve 10 can be improved.

(4-2) (4-2)

본 실시형태의 다이어프램 밸브 (10) 에서는, 오목부 (51a) 에는, 제 1 경사 단부 (511) 와 제 2 경사 단부 (512)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경사 단부 (511) 는, 제 2 경사 단부 (512) 측을 향하여 제 1 면 (31)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고, 제 2 경사 단부 (512) 는, 제 1 경사 단부 (511) 측을 향하여 제 1 면 (31)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고, 제 1 경사 단부 (511) 와 제 2 경사 단부 (512) 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θ1) 는 110 도 이상, 170 도 이하이다. 오목부 (52a) 에는, 제 1 경사 단부 (521) 와 제 2 경사 단부 (522)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경사 단부 (521) 는, 제 2 경사 단부 (522) 측을 향하여 제 1 면 (31)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고, 제 2 경사 단부 (522) 는, 제 1 경사 단부 (521) 측을 향하여 제 1 면 (31)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고, 제 1 경사 단부 (521) 와 제 2 경사 단부 (522) 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θ2) 는 110 도 이상, 170 도 이하이다.In the diaphragm valv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11 an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12 are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51a.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11 is inclined towar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12 toward the first surface 31, an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12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11 side The angle θ1 formed by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11 an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12 is inclined so as to approach the first surface 31, and is 110 degrees or more and 170 degrees or less. A first inclined end portion 521 and a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22 are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52a.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21 is inclined towar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22 and closer to the first surface 31, an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22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21 side The angle θ2 formed by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21 an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22 is inclined to approach the first surface 31, and is 110 degrees or more and 170 degrees or less.

이와 같이, 제 1 경사 단부 (511, 521) 와 제 2 경사 단부 (512, 522) 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θ1, θ2) 를 110 도 이상, 170 도 이하로 함으로써, 다이어프램 밸브 (10) 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밸브 본체 (11) 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Thus, by setting the angles θ1 and θ2 formed by the first inclined ends 511 and 521 and the second inclined ends 512 and 522 to 110 degrees or more and 170 degrees or les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iaphragm valve 10. Even when this is applied, stress generated in the valve body 11 can be dispersed.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밸브 본체를 보강하는 효과를 발휘하지만, 리브 근방에 응력이 집중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제 1 경사 단부 (511, 521) 및 제 2 경사 단부 (512, 522) 를 형성함으로써, 응력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Although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valve body is exerted by forming the ribs, since stress may be concentrated in the vicinity of the ribs, the first inclined ends 511 and 521 and the second inclined ends 512 and 522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By doing so, it becomes possible to disperse the stress.

그 때문에, 다이어프램 밸브 (10) 의 장기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long-term durability performance of the diaphragm valve 10 can be improved.

(4-3) (4-3)

본 실시형태의 다이어프램 밸브 (10) 에서는, 입구측 리브 (51) 에 오목부 (51a) 가 형성되어 있고, 출구측 리브 (52) 에 오목부 (52a) 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diaphragm valve 10 of this embodiment, a concave portion 51a is formed on the inlet side rib 51 and a concave portion 52a is formed on the outlet side rib 52.

이로써, 다이어프램 밸브 (10) 의 밸브 본체 (11) 의 유로 (24) 를 따른 전체에 걸쳐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Thereby, the stress can be distributed over the entire flow path 24 of the valve body 11 of the diaphragm valve 10.

(4-4) (4-4)

본 실시형태의 다이어프램 밸브 (10) 에서는, 제 1 경사 단부 (511) 와 제 2 경사 단부 (512) 는, 연속적으로 만곡 단부 (513)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제 1 경사 단부 (521) 와 제 2 경사 단부 (522) 는, 만곡 단부 (523) (만곡한 단부의 일례) 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In the diaphragm valv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inclined end portion 511 and the second inclined end portion 512 are continuously connected by a curved end portion 513. Moreover, the 1st inclined end part 521 and the 2nd inclined end part 522 are continuously connected by the curved end part 523 (an example of a curved end part).

이로써, 보다 응력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reby, the effect of dispersing a stress can be exhibited more.

(4-5) (4-5)

본 실시형태의 다이어프램 밸브 (10) 에서는, 구동 기구 (14) 는, 스템 (63) 과, 컴프레서 (61) 와, 핸들 (64) (구동부의 일례) 을 갖는다. 스템 (63) 은, 보닛 (13) 에 지지되어 있다. 컴프레서 (61) 는, 스템 (63) 에 장착되고, 또한 다이어프램 (12) 에 연결되어 있다. 핸들 (64) 은, 스템 (63) 을 구동한다. 핸들 (64) 은, 수동식이다.In the diaphragm valv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e mechanism 14 has a stem 63, a compressor 61, and a handle 64 (an example of a driving portion). The stem 63 is supported by the bonnet 13. The compressor 61 is attached to the stem 63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diaphragm 12. The handle 64 drives the stem 63. The handle 64 is manual.

이와 같이 스템 (63) 을 수동에 의해 구동할 수 있고, 유로 (24) 가 차단 또는 개방된다.Thus, the stem 63 can be driven manually, and the flow path 24 is blocked or opened.

[다른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입구측 리브 (51) 와 출구측 리브 (52) 의 쌍방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일방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서도, 적어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오목부에 의해 응력이 완화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concave portions are formed on both the inlet-side rib 51 and the outlet-side rib 52, they may be formed on only one side. Eve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xert the effect that the stress is relieved by at least the recess on the side where the recess is formed.

(B) (B)

상기 실시형태의 다이어프램 밸브 (10) 에서는, 구동부의 일례로서 수동식의 핸들 (64) 이 형성되어 있지만, 공기 구동식 또는 전기 구동식의 구동부에 의해 스템 (63) 이 구동되어도 된다.In the diaphragm valve 1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manual handle 64 is formed as an example of the drive portion, but the stem 63 may be driven by an air-driven or electric-driven drive portion.

(C) (C)

상기 실시형태의 다이어프램 밸브 (10) 에서는, 벽부 (33) 가 형성되어 있지만, 벽부 (33) 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되며, 요컨대, 다이어프램 (12) 에 의해 유로 (24) 를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In the diaphragm valve 10 of the above embodiment, the wall portion 33 is formed, but the wall portion 33 does not have to be formed, i.e., only the flow path 24 can be closed or opened by the diaphragm 12. You can do it.

(D) (D)

상기 실시형태의 다이어프램 밸브 (10) 에서는, 제 1 경사 단부 (511) 와 제 2 경사 단부 (512) 의 사이에 만곡 단부 (513) 가 형성되고, 제 1 경사 단부 (521) 와 제 2 경사 단부 (522) 의 사이에 만곡 단부 (523) 가 형성되어 있지만, 만곡 단부 (513, 523) 의 쌍방 또는 일방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경사 단부끼리가 직접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diaphragm valve 10 of the above embodiment, a curved end 513 is form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end 511 and the second inclined end 512, and the first inclined end 521 and the second inclined end Although the curved ends 523 are formed between 522, both or one of the curved ends 513 and 523 are not formed, and the inclined ends may be directly connected.

또, 제 1 경사 단부 (511) 와 제 2 경사 단부 (512) 의 사이 및/또는 제 1 경사 단부 (521) 와 제 2 경사 단부 (522) 의 사이가 만곡 단부가 아니라 직선적으로 형성된 단부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inclined end 511 and the second inclined end 512 and/or between the first inclined end 521 and the second inclined end 522 is not a curved end, but a straight end. It may be.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의 다이어프램 밸브는, 장기 내구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하고, 플랜트 등에 사용될 때에 유용하다.The diaphragm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exerts an effect of improving long-term durability performance, and is useful when used in a plant or the like.

10 : 다이어프램 밸브
11 : 밸브 본체
12 : 다이어프램
13 : 보닛
14 : 구동 기구
24 : 유로
31 : 제 1 면
31a : 개구
32 : 제 2 면
51 : 입구측 리브
51a : 오목부
52 : 출구측 리브
52a : 오목부
241 : 입구측 유로
242 : 출구측 유로
243 : 연통부
511 : 제 1 경사 단부
512 : 제 2 경사 단부
521 : 제 1 경사 단부
522 : 제 2 경사 단부
10: diaphragm valve
11: valve body
12: diaphragm
13: bonnet
14: driving mechanism
24: Euro
31: first side
31a: opening
32: second side
51: entrance rib
51a: Concave
52: outlet rib
52a: recess
241: entrance channel
242: outlet side flow path
243: Ministry of Communication
511: first inclined end
512: second inclined end
521: first inclined end
522: second inclined end

Claims (5)

입구측 유로와, 출구측 유로와, 상기 입구측 유로와 상기 출구측 유로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연통부와, 상기 연통부에 대향하는 개구가 형성된 제 1 면과, 상기 입구측 유로 및 상기 출구측 유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면과 대향하는 제 2 면과, 상기 제 2 면에 형성되고, 상기 입구측 유로를 따라서 형성된 입구측 리브와, 상기 제 2 면에 형성되고, 상기 출구측 유로를 따라서 형성된 출구측 리브를 갖는 밸브 본체와,
상기 개구를 막도록 상기 제 1 면에 배치된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을 덮도록 상기 밸브 본체에 고정된 보닛과,
상기 연통부를 차폐 또는 개방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측 리브와 상기 출구측 리브의 적어도 일방의 리브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이어프램 밸브.
An inlet flow channel, an outlet flow channel, a communication portion connecting the inlet flow channel and the outlet flow channel in succession, a first surface having an opening facing the communication section, the inlet flow channel and the outlet flow channel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with an interposed therebetween, an inlet rib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formed along the inlet channel, and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along the outlet channel A valve body having an outlet rib formed therein,
A diaphragm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to close the opening,
A bonnet fixed to the valve body to cover the diaphragm,
It has a driving mechanism for driving the diaphragm to shield or open the communication portion,
A diaphragm valve, wherein a recess is formed in at least one rib of the inlet rib and the outlet ri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오목부에, 제 1 경사 단부와 제 2 경사 단부를 갖고,
상기 제 1 경사 단부는, 상기 제 2 경사 단부측을 향하여 상기 제 1 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고, 상기 제 2 경사 단부는, 상기 제 1 경사 단부측을 향하여 상기 제 1 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고, 상기 제 1 경사 단부와 상기 제 2 경사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110 도 이상, 170 도 이하인, 다이어프램 밸브.
According to claim 1,
The rib has a first inclined end and a second inclined end in the recess,
The first inclined end is inclined toward the second inclined end toward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end is inclined toward the first inclined toward the first inclined end,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inclined end and the second inclined end is 110 degrees or more and 170 degrees or less, a diaphragm valv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입구측 리브 및 상기 출구측 리브의 쌍방에 형성되어 있는, 다이어프램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both the inlet side rib and the outlet side rib, the diaphragm valv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 단부와 상기 제 2 경사 단부는, 만곡한 단부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이어프램 밸브.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inclined end and the second inclined end are continuously connected by a curved end, the diaphragm valv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보닛에 지지된 스템과,
상기 스템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에 연결된 컴프레서와,
상기 스템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고,
상기 구동부는, 수동식, 공기 구동식, 또는 전기 구동식인, 다이어프램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drive mechanism,
A stem supported by the bonnet,
A compressor mounted on the stem and connected to the diaphragm;
It has a drive for driving the stem,
The drive unit is a manual, air-driven, or electric-driven, diaphragm valve.
KR1020207014727A 2018-02-01 2019-02-01 Diaphragm valve KR2020007036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16495 2018-02-01
JPJP-P-2018-016495 2018-02-01
PCT/JP2019/003701 WO2019151499A1 (en) 2018-02-01 2019-02-01 Diaphragm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366A true KR20200070366A (en) 2020-06-17

Family

ID=6747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727A KR20200070366A (en) 2018-02-01 2019-02-01 Diaphragm valv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19151499A1 (en)
KR (1) KR20200070366A (en)
CN (1) CN111656069A (en)
TW (1) TW201934913A (en)
WO (1) WO2019151499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8308A (en) 2006-04-03 2007-10-25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Diaphragm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3342A (en) * 1960-11-17 1963-09-10 Grinnell Corp Diaphragm valve
JPS6316941Y2 (en) * 1984-09-28 1988-05-13
IL92851A (en) * 1989-12-22 1996-10-31 Evron Kibbutz Bernad Diaphragm control valve
US5632465A (en) * 1990-10-29 1997-05-27 Cordua; Paul M. Valve assembly
ITSV20020032A1 (en) * 2002-07-09 2004-01-09 Alberto Lodolo DIAPHRAGM VALVE AND SHUTTER FOR SUCH VALVE
JP4295199B2 (en) * 2004-11-12 2009-07-15 株式会社フジキン Handle with torque limiter and fluid controller including the handle
CN200999879Y (en) * 2007-01-22 2008-01-02 陈景义 Silica gel seal valve structure
JP4762222B2 (en) * 2007-11-13 2011-08-31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Diaphragm valve
WO2010130067A1 (en) * 2009-05-15 2010-11-18 协羽机材工业股份有限公司 Diaphragm valve
DE102013101497A1 (en) * 2013-02-14 2014-08-28 Bürkert Werke GmbH Diaphragm valve housing and method of making a diaphragm valve housing
JP6228439B2 (en) * 2013-11-26 2017-11-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Valv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8308A (en) 2006-04-03 2007-10-25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Diaphragm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4913A (en) 2019-09-01
CN111656069A (en) 2020-09-11
WO2019151499A1 (en) 2019-08-08
JPWO2019151499A1 (en)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2222B2 (en) Diaphragm valve
JP2019132374A (en) Valve flange and diaphragm valve
US3631882A (en) Diaphragm valve
US20150300518A1 (en) Structure of check valve
JP7377009B2 (en) pinch valve
KR20210015764A (en) Pinch valve
KR20200070366A (en) Diaphragm valve
WO2019151490A1 (en) Flow passage structure
JP4807573B2 (en) Diaphragm valve
JP2019132379A (en) Diaphragm valve
KR20200070364A (en) Diaphragm valve
JP2019132378A (en) Diaphragm valve
KR20200070365A (en) Diaphragm valve
JP2020159518A (en) Butterfly valve
JP2019143743A (en) Diaphragm valve
JP2019132375A (en) Diaphragm valve
JP2019132384A (en) Diaphragm valve
JP2019132377A (en) Diaphragm valve
JP2021113605A (en) Diaphragm valve
JP2021127821A (en) Diaphragm valve
JP2021127816A (en) Diaphragm valve
JP2019219044A (en) Diaphragm valve
JP4448366B2 (en) Ball check valve piping structure
JP2021116887A (en) Diaphragm valve
JP2022087724A (en) Diaphragm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