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193A -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 Google Patents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193A
KR20200070193A KR1020200070115A KR20200070115A KR20200070193A KR 20200070193 A KR20200070193 A KR 20200070193A KR 1020200070115 A KR1020200070115 A KR 1020200070115A KR 20200070115 A KR20200070115 A KR 20200070115A KR 20200070193 A KR20200070193 A KR 20200070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user
focal length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1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0424B1 (en
Inventor
정한철
김선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0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424B1/en
Publication of KR20200070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1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4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5/2258
    • H04N5/232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a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in the terminal. The method comprises the processes of: collecting a user image photographed at a user focal length and a link image photographed at a selected focal length through a camera; and linking and storing the link image in the user image.

Description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A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in the terminal{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본 발명은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에서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in th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photographed using different focal lengths in a camera provided in the terminal and a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현대 과학 기술이 발전해감에 따라 사용자들은 다양한 단말기들을 통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렇게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해지면서, 단말기는 각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들이 하나의 단말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는 복합 단말기로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말기로는 컴퓨터, 휴대 단말기, MP3, PMP, 디지털 카메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users have been able to generate and store data through various terminals, and the stored data can be checked whenever the user needs it. In addition, as the needs of users diversify, the terminal is developing into a composite terminal in which functions performed in each terminal can be performed through a single terminal. And such a terminal may include a computer, a portable terminal, an MP3, a PMP, a digital camera, and the like.

이러한 단말기 중에서 디지털 카메라는 사용자에게 기억하고 싶은 순간이나, 특정 시간이 간직될 수 있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는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그 크기가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많은 사용자들이 디지털 카메라를 소지할 수 있게 되었으며, 휴대 단말기와 같은 소형 기기에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Among these terminals, the digital camera can capture an image that a user wants to remember or a certain time can be preserved. In addition, digital cameras are becoming smaller in size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Due to these advantages, many users can carry a digital camera, and it is possible to mount a digital camera in a small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그러나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는 뷰파인더와 같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크기로 한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순간에 대한 정보만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촬영된 이미지를 확인할 때, 그 이미지 촬영시 주변의 환경이나, 상황에 대해 알 수 없다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digital camera is limited to the siz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uch as the viewfinder, so that it can include only information about a user's desired moment. Accordingly, when the user checks the photographed image, the inconvenience of not know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the situation occurs when the image is photograph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in th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초점 거리에서 촬영되는 사용자 이미지 및 선택 초점 거리에서 촬영되는 링크 이미지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이미지에 상기 링크 이미지를 링크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llecting a user image photographed at a user focal length and a link image photographed at a selected focal length through a camera; And linking and storing the link image in the user image.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선택되는 초점 거리에 따라 사용자 이미지 및 링크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 및 링크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 또는 링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선택된 사용자 초점 거리에 따른 상기 사용자 이미지 및 상기 링크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사용자 이미지에 상기 링크 이미지를 링크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that photographs a user image and a link image according to a selected focal length;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captured user image and link image; A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the photographed user image or link image;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amera to photograph the user image and the link image according to the selected user focal length, and link the link image to the user image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 외에도 그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주변 상황이나 환경을 함께 촬영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촬영된 이미지들을 링크시켜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촬영된 이미지 확인시, 이미지에 링크된 이미지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미지 촬영했을 때, 발생되었던 상황이나 주변 환경에 대해 상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a subject to be photographed by a user in a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 surrounding situation or environment when photographing the subject is photographed together. And the terminal can link and store the captured images. Then, when the user checks the photographed image, the user can check the image linked to the image. Through this, the user can recall the situation that occurred when the image was taken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발명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발명에 따른사용자 이미지 및 링크 이미지간와의 비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발명에 따른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촬영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점 거리에 따라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screen examples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ing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screen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ratio between a user image and a link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process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hotographing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photograph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hotographing an image according to a focal l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는 각종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정보 처리 기기로 컴퓨터, 노트북, MP3, 휴대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이 카메라를 포함하며, 그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A'terminal'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various types of data, and may include a computer, a laptop, an MP3, a portable terminal, a digital camera,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In particular, the terminal is a portable terminal. It means a terminal that includes a camera, such as a digital camera, and can generate an image using the camera.

'초점 거리'는 카메라를 구성하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기준 초점 거리'는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촬영 전에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해 세팅되는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사용자 초점 거리'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세팅되는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최소 초점 거리'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 간의 거리가 최소로 세팅되는 초점 거리로 줌 아웃이 최대로 된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최대 초점 거리'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 간의 거리가 최대로 세팅되는 초점 거리로 줌 인이 최대로 된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Focal distance' refer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constituting the camera. The'reference focal length' means a focal length that is set to display a preview image on a display unit before taking an image through a camera. The'user focal length' means a focal length set by the user's selection. 'Minimum focal length' is a focal length at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is set to the minimum, and means the focal length at which zoom-out is maximized. 'Maximum focal length' is the focal length at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is set to the maximum, and means the focal length at which zoom-in is maximized.

'사용자 이미지'는 카메라가 사용자에 의해 세팅된 사용자 초점 거리에 따라 촬영한 이미지를 의미한다. 'User image' refers to an image taken by the camera according to the user focal length set by the user.

'링크 이미지'는 사용자 이미지와 링크된 이미지로, 사용자 이미지 촬영시 카메라가 사용자 초점 거리에 따라 선택되는 선택 초점 거리인 최대 또는 최소 초점 거리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여기서 링크 이미지는 사용자 이미지에 포함되는 피사체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및 상황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링크 이미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 이미지와 다른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The'link image' is an image linked with a user image, and is an image taken with a maximum or minimum focal length, which is a selected focal length selected by the camera according to a user focal length when taking a user image. Here, the link image may include not only the subject included in the user image, but als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ituation. In addition, the link image may have a different resolution from the user image by user sele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카메라(110), 표시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입력부(15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terminal includes a camera 110, a display unit 120, a control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nd an input unit 150.

카메라(11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초점 거리가 다른 이미지들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1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초점 거리에서 사용자 이미지(143)를 촬영한다. 그리고 카메라(11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사용자 초점 거리에 따라 세팅되는 선택 초점 거리로 링크 이미지(145)를 촬영한다. 카메라(110)를 구성하는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로 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구성하는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The camera 110 may capture images with different focal length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Here, the camera 110 photographs the user image 143 at a focal length selected by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In addition, the camera 110 photographs the link image 145 at a selected focal length that is set according to a user focal length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The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camera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2 is a view showi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를 참조하면, 카메라(110)는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13), 이미지 센서(115), 거리 측정 센서(117)로 구성될 수 있다. 렌즈(113)는 유리와 같은 투명한 물질의 면을 구면으로 갈아 피사체로부터 방사되는 빛의 정보인 피사체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115)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이미지 센서(115)로, 렌즈(113)를 통해 수집된 피사체 정보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측정 센서(117)는 이미지 센서(115)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를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 측정 센서(117)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amera 110 may include a lens 113, an image sensor 115, and a distance measurement sensor 117 as shown in (a). The lens 113 grinds the surfac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to a spherical surface and collects objec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object. In addition, the image sensor 115 is an image sensor 115 such as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and converts objec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lens 113 into digital image data. Then,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117 may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sensor 115 and the subject, and transmit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control unit 130. Here,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117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이미지가 촬영되기 위해서 거리 측정 센서(117)는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카메라(110)의 렌즈(113)와 이미지 센서(115)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측정된 거리에 따른 기준 초점 거리로 세팅된다. 그리고 렌즈(113)를 통해 피사체 정보가 수집되면, 이미지 센서(115)는 피사체 정보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In order to take an image,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117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subject, and transmits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control unit 130. Then, the lens 113 of the camera 110 and the image sensor 115 are set to a reference focal length according to the distance measur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Then, when the subject information is collected through the lens 113, the image sensor 115 converts the subject information into digital image data and transmits the subjec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30.

또한 카메라(110)의 렌즈(113)와 이미지 센서(115) 간의 초점 거리가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초점 거리로 세팅된다. 그리고 렌즈(113)는 세팅된 초점 거리에 따라 피사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cal length between the lens 113 of the camera 110 and the image sensor 115 is set to a focal length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Further, the lens 113 may collect obje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t focal length.

렌즈(113)를 통해 수집되는 피사체 정보는 카메라(110)에 세팅되는 초점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좀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카메라(110)의 줌인/아웃 기능을 통해 초점 거리와 피사체 정보 간의 상관 관계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줌인 기능은 피사체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기능이다. 줌인 기능이 실행되기 위해 카메라(110) 렌즈(113)의 초점 거리가 렌즈(113)와 이미지 센서(115) 간의 최대 거리인 최대 초점 거리에 근접하게 단계적으로 세팅될 수 있다. 줌아웃 기능은 피사체뿐만 아니라 피사체의 주변 환경 및 상황까지 표시하는 기능이다. 줌아웃 기능이 실행되기 위해 초점 거리가 렌즈(113)와 이미지 센서(115) 간의 최소 거리인 최소 초점 거리에 근접하게 단계적으로 세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초점 거리가 짧을수록 카메라(110)에서 수집할 수 있는 정보는 피사체 정보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또는 상황에 해당하는 정보까지 수집될 수 있다. 그리고 초점 거리가 길수록 카메라(110)는 피사체에 해당하는 정보만을 수집할 수 있다. The subjec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lens 113 depends on the focal length set in the camera 110. To more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cal length and the subject information through the zoom in/out function of the camera 110. For example, the zoom-in function is a function of enlarging and displaying a subject. In order for the zoom-in function to be executed,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113 of the camera 110 may be set in steps close to the maximum focal length, which is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the lens 113 and the image sensor 115. The zoom-out function is a function that displays not only the subject, but als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ituation of the subject. In order for the zoom-out function to be executed, the focal length may be set in steps close to the minimum focal length, which is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lens 113 and the image sensor 115. Through this, as the focal length is shorter, information that can be collected by the camera 110 may be collected as well as subject information, as well a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situation. In addition, as the focal length is longer, the camera 110 may collect onl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또한 카메라(110)는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113a) 및 제2 렌즈(113b), 각각의 렌즈와 연결된 이미지 센서(115a, b) 그리고 거리 측정 센서(117)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이미지 센서(115a, b) 및 거리 측정 센서(117)는 (a)에서 설명한 이미지 센서(115)와 거리 측정 센서(117)를 참조로 한다. 그리고 제1 렌즈(113a)와 제2 렌즈(113b)도 (a)에서 설명한 렌즈(11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mera 110 may be composed of a first lens 113a and a second lens 113b, an image sensor 115a, b connected to each lens, and a distance measurement sensor 117 as shown in (b). Can be. Each of the image sensors 115a, b and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117 refers to the image sensor 115 and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117 described in (a). In addition, the first lens 113a and the second lens 113b may als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lens 113 described in (a).

여기서 제1 렌즈(113a)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다양한 초점 거리가 세팅될 수 있으며, 제2 렌즈(113b)는 광학 렌즈로 구성되며, 초점 거리는 최소 초점 거리로 고정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lens 113a may be set to various focal length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the second lens 113b may be composed of an optical lens, and the focal length may be fixed to a minimum focal length.

이렇게 제1 렌즈(113a) 및 제2 렌즈(113b)를 구비한 카메라(110)로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거리 측정 센서(117)는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카메라(110)의 제1 렌즈(113a)와 이미지 센서(115a) 간의 초점 거리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측정된 거리에 따른 기준 초점 거리로 세팅된다. 그리고 제1 렌즈(113a)를 통해 피사체 정보가 수집되면, 제1 이미지 센서(115a)는 수집된 피사체 정보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1 이미지 센서(115a)는 변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제1 렌즈(113a)를 통해 이미지가 촬영될 때, 제2 렌즈(113b)를 통해 피사체 정보가 동시에 수집될 수 있다. 이때 제2 렌즈(113b)는 광학 렌즈이므로, 제2 렌즈(113b)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는 피사체 정보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또는 상황에 해당하는 정보까지 수집될 수 있다. The method for taking an image with the camera 110 including the first lens 113a and the second lens 113b may be as follows.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117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subject, and transmits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control unit 130. Then, the focal length between the first lens 113a of the camera 110 and the image sensor 115a is set as a reference focal length according to the distance measur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Then, when the subject information is collected through the first lens 113a, the first image sensor 115a converts the collected subject information into digital image data. In addition, the first image sensor 115a transmits the converted digital image data to the control unit 130. When an image is photographed through the first lens 113a, subject information may be simultaneously collected through the second lens 113b.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lens 113b is an optical lens,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second lens 113b may be collected as well as subject information as well a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urrounding environment or situation.

또한 카메라(110)의 렌즈(113)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최소 초점 거리로 세팅되고, 세팅된 최소 초점 거리에 따라 피사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113)를 통해 수집되는 피사체 정보는 카메라(110)에 세팅되는 초점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In addition, the lens 113 of the camera 110 is set to the minimum focal length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and may collect obje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t minimum focal length. Here, the subjec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lens 113 depends on the focal length set in the camera 110.

이상에서 카메라(110)를 구성하는 렌즈(113), 이미지 센서(115) 및 거리 센서에 대하여 설명했으며, 렌즈(113)는 하나 또는 두 개를 구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렌즈(113)를 구비한 카메라(110)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In the above, the lens 113, the image sensor 115, and the distance sensor constituting the camera 110 have been described, and the lens 113 may be provided with one or two lenses.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camera 110 having one lens 113 will be described.

표시부(12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 이미지(143)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표시 모드시, 표시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이미지(143)를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썸네일에 사용자 이미지(143)와 링크된 링크 이미지(145)가 있음을 나타내는 링크 아이콘(147)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사용자 이미지(145)를 링크 이미지(145)에 오버레이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20)에서 사용자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verall state and operation of the terminal. Here,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a user image 143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In the image display mode,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at least one user image 143 in the form of a thumbnai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a link icon 147 indicating that there is a link image 145 linked to the user image 143 in the thumbnai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Also, the display 120 may display the user image 145 as an overlay on the link image 14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Here, a method of displaying the user image on the display unit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3A and 3B are exemplary screens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ing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이미지 표시 모드시, 표시부(120)는 사용자 이미지(143)를 썸네일 형태로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이미지(143)에 링크된 링크 이미지(145)가 존재하는 경우, 표시부(120)는 사용자 이미지(143)에 해당하는 썸네일을 링크 이미지(145)에 해당하는 썸네일에 오버레이로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in the image display mode,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the user image 143 in a thumbnail form. In addition, when the link image 145 linked to the user image 143 exists,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the thumbnail corresponding to the user image 143 as an overlay on the thumbnail corresponding to the link image 145. .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 이미지(143) 촬영시 함께 촬영된 링크 이미지(145)가 존재하는 경우, 표시부(120)는 사용자 이미지(143)를 나타내는 썸네일에 링크 아이콘(147)을 함께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이미지(143)는 썸네일로 표시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목록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목록으로 사용자 이미지(143)가 표시된 경우도 표시부(120)는 링크 이미지(145)를 링크 아이콘(147)로 표시하거나, 썸네일로 사용자 이미지(143)와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B, when there is a link image 145 photographed together when the user image 143 is photographed, the display 120 displays a link icon 147 together on a thumbnail representing the user image 143. Here, although the user image 143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is described as being displayed as a thumbnail, it may be displayed as a list. In addition, even when the user image 143 is displayed in the list,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the link image 145 as a link icon 147 or overlay the user image 143 with a thumbnail.

그리고 썸네일 또는 목록으로 표시된 사용자 이미지(143)가 선택되면, 표시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선택된 사용자 이미지(143)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20)는 사용자 이미지(143)에 링크된 링크 이미지(145)를 선택하기 위한 링크 아이콘(147)을 함께 표시한다. 그리고 링크 아이콘(147)이 선택되면, 표시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링크 이미지(145)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링크 이미지(145)만을 표시하거나, 사용자 이미지(143)를 링크 이미지(145)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링크 이미지(145)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Then, when the user image 143 displayed as a thumbnail or a list is selected, the display 120 may enlarge and display the selected user image 14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Here, the display 120 displays a link icon 147 for selecting the link image 145 linked to the user image 143 together. Then, when the link icon 147 is selected,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the link image 14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only the link image 14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or overlay the user image 143 on the link image 145. Here, a method of displaying the link image 145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제어부(130)는 단말기를 구성하는 구성들의 전반적인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이미지를 촬영할 때, 제어부(130)는 카메라(110)를 통해 감지되는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기준 초점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산출된 기준 초점 거리로 카메라(110)를 세팅하고, 카메라(110)를 통해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verall state and operation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erminal. In particular, when taking an image, the controller 130 calculates a reference focal length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a subject sensed through the camera 11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sets the camera 110 to the calculated reference focal length, and displays the preview imag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110 on the display unit 120.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초점 거리로 세팅된 카메라(110)를 통해 사용자 이미지(143)를 촬영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산출된 기준 초점 거리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초점 거리보다 짧은지를 판단한다. 기준 초점 거리가 사용자 초점 거리보다 짧으면, 제어부(130)는 최소 초점 거리로 카메라(110)를 세팅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카메라(110)를 통해 최소 초점 거리에 따른 링크 이미지(145)를 촬영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사용자 이미지(143)에 링크 이미지(145)를 링크시켜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Next, the controller 130 captures the user image 143 through the camera 110 set as the user focal length.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reference focal length calculated to display the preview image is shorter than the user focal length selected by the user. If the reference focal length is shorter than the user focal length, the controller 130 sets the camera 110 to the minimum focal length.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photographs the link image 145 according to the minimum focal length through the camera 110. And the control unit 130 links the link image 145 to the user image 143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40.

이미지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표시부(120)를 제어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 이미지(143)를 썸네일 형태로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링크 이미지(145)를 포함하는 사용자 이미지(143)에 링크 아이콘(147)을 표시할 수 있다. 아니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이미지(143)를 링크 이미지(145)에 오버레이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image display mode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20 to display the user image 143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in the form of a thumbnail. Here,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the link icon 147 on the user image 143 including the link image 145. Otherwise, the control unit 130 may overlay the user image 143 on the link image 145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120.

썸네일 형태로 표시된 사용자 이미지(143)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사용자 이미지(143)를 표시부(120)에 확대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120)에 표시된 사용자 이미지(143)에 링크된 링크 이미지(145)가 있으면, 제어부(130)는 링크된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 링크 아이콘(147)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링크 아이콘(147)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이미지(143)와 링크된 링크 이미지(145)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링크 이미지(145)만을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사용자 이미지(143)를 일정 비율로 축소한 다음, 사용자 이미지(143)를 링크 이미지(145)에 오버레이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사용자 이미지(143)와 링크 이미지(145)의 중심을 일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이미지(143)와 링크 이미지(145)의 중심은 이미지 촬영시 포커스가 맞춰진 영역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자 이미지(143)와 링크 이미지(145)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발명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When the user image 143 display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enlarges and displays the selected user image 143 on the display unit 120. In addition, if there is a link image 145 linked to the user image 143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the controller 130 displays a link icon 147 for selecting the link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20. When the link icon 147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link image 145 linked to the user image 143 on the display unit 12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may display only the link image 145 on th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30 may reduce the user image 143 to a certain ratio, and then overlay the user image 143 on the link image 145 to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12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may display the user images 143 and the centers of the link images 145 in agreement. Here, the center of the user image 143 and the link image 145 may be a focused area during image capture. Hereinafter, a method of displaying the user image 143 and the link image 14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이미지(143)를 (a)와 같이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이미지(143)에 링크된 링크 이미지(145)가 있으면, 제어부(130)는 링크 아이콘(147)을 사용자 이미지(143)와 함께 표시한다. 여기서 링크 아이콘(147)은 사용자 이미지(143)의 오른쪽 상단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링크 아이콘(147)은 사용자 이미지(143) 어느 부분에나 표시 가능하며, 링크 아이콘(147)의 형태도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user image 143 selected by the user on the display 120 as shown in (a). Then, if there is a link image 145 linked to the user image 143,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link icon 147 together with the user image 143. Here, the link icon 147 is illustrated as being displayed on the upper right of the user image 143,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the link icon 147 can be displayed on any part of the user image 143, and various forms of the link icon 147 can be displayed.

링크 아이콘(147)에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이미지(143)에 링크된 링크 이미지(145)를 (b)와 같이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링크 이미지(145)가 촬영되었을 때, 사용자 초점 거리와 기준 초점 거리의 비교 결과에 따라 링크 이미지(145)를 축소하거나, 사용자 이미지(143)을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link icon 147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the link image 145 linked to the user image 143 on the display 120 as shown in (b). Here, when the link image 145 is photographed, the controller 130 may reduce the link image 145 or display the user image 143 by reducing the link image 145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of the user focus distance and the reference focus distance.

예를 들어 링크 이미지(145)가 최소 초점 거리로 촬영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되었다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이미지(143)의 크기를 일정 비율로 축소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축소된 사용자 이미지(143)를 링크 이미지(145)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링크 이미지(145)를 사용자 이미지(143)보다 반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축소된 사용자 이미지(143)와 링크 이미지(145)의 중심을 일치시켜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축소된 사용자 이미지(143)를 링크 이미지(145) 임의의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이미지(143)를 일정 비율로 축소하거나, 링크 이미지(145)를 축소하는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발명에 따른 초점 거리에 따른 사용자 이미지와 링크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For example, if the link image 145 is photographed at the minimum focal length and stored in the storage 140, the controller 130 reduces the size of the user image 143 to a certain ratio.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overlay the reduced user image 143 on the link image 145 to display it.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may display the link image 145 as translucent than the user image 143.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match the center of the reduced user image 143 and the link image 145 and display them on the display unit 120. The control unit 130 may overlay and display the reduced user image 143 at any location of the link image 145. Here, a method of reducing the user image 143 to a certain ratio or reducing the link image 14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5 is a diagram showing a user image and a link image according to a focal leng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최소 초점 거리에 따라 촬영되는 링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범위 L는 (a)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사용자 초점 거리에 따라 촬영되는 사용자 이미지 L'에서 피사체의 범위는 (b)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Referring to FIG. 5, in the link image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minimum focal length, the range L of the subject is as shown in (a). And the range of the subject in the user image L'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user focal length is as shown in (b).

(a),(b)에서 d는 이미지 센서(115)의 크기이고, X는 이미지 센서와 피사체와의 거리이며, F'는 이미지 센서(115)와 렌즈(113)간의 최소 초점 거리, F는 이미지 센서(115)와 렌즈(113)간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초점 거리이다. 이때 이미지 센서(115)의 크기인 d는 렌즈(113)가 두 개인 경우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In (a), (b), d is the size of the image sensor 115, X is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sensor and the subject, F'is the minimum focal length between the image sensor 115 and the lens 113, F is It is the user focal length selected by the user between the image sensor 115 and the lens 113. At this time, d, which is the size of the image sensor 115, may have different sizes when two lenses 113 are provided.

그리고 L은 최소 초점 거리(F')에 따라 이미지 센서(115)에서 변환되는 링크 이미지(145)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범위이며, L'는 사용자 초점 거리(F)에 따라 이미지 센서(115)에서 변환되는 사용자 이미지(143)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범위이다. 여기서 사용자 이미지(143)과 링크 이미지(145)의 해상도가 동일하고, 사용자 초점 거리(F)가 최소 초점 거리(F')보다 길은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And L is the range of the subject included in the link image 145 converted from the image sensor 115 according to the minimum focal length (F'), L'is the image sensor 115 according to the user focal length (F) The range of the subject included in the converted user image 143. Here,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resolution of the user image 143 and the link image 145 are the same, and the user focus distance F is longer than the minimum focus distance F'.

사용자 초점 거리(F)에 따라 촬영될 수 있는 피사체 범위인 L'은 최소 초점 거리(F')에 따라 촬영될 수 있는 피사체 범위인 L보다 작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사용자 이미지(143)을 축소해야만 링크 이미지(145)와 겹치는 피사체 범위를 일치시킬 수 있다. 그러기 위해 제어부(130)는 사용자 이미지(143)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범위 L'과 링크 이미지(145)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범위 L 간의 비례 값을 산출하여 사용자 이미지(143)를 축소한다. 그러기 위해 제어부(130)는 사용자 이미지(143)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범위 L'와 링크 이미지(145)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범위 L을 다음과 같은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The subject range L'that can be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user focal length F is smaller than the subject range L that can be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minimum focal length F'. Therefore, the control unit 130 may reduce the user image 143 to match the subject range overlapping with the link image 145.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30 reduces the user image 143 by calculating a proportional value between the range L'of the subject included in the user image 143 and the subject L included in the link image 145. To this end, the controller 130 calculates the range L'of the subject included in the user image 143 and the range L of the subject included in the link image 145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d는 이미지 센서(115)의 크기이고, X는 이미지 센서와 피사체와의 거리이며, F'는 이미지 센서(115)와 렌즈(113)간의 최소 초점 거리, F는 이미지 센서(115)와 렌즈(113)간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초점 거리이다. Here, d is the size of the image sensor 115, X is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sensor and the subject, F'is the minimum focal length between the image sensor 115 and the lens 113, F is the image sensor 115 and the lens (113) is the user focal length selected by the user.

제어부(130)는 수학식1 및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각 초점 거리에 따른 피사체의 범위인 L'과 L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L'를 L로 나누어서 산출된 비례 값으로 사용자 이미지(143)을 축소한다. The controller 130 calculates L'and L, which are a range of a subject according to each focal length, using Equation 1 and Equation 2.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reduces the user image 143 to a proportional value calculated by dividing L'by L.

사용자 이미지(143)과 링크 이미지(145)의 해상도가 서로 다른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이미지(143)의 해상도를 링크 이미지(145)의 해상도를 나누어 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산출된 값을 사용자 이미지(143)과 링크 이미지(145)에 포함되는 각 피사체의 범위인 L'를 L로 나눈 값과 곱하여 비례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비례값을 이용하여 제어부(130)는 사용자 이미지(143)을 축소한다. When the resolutions of the user image 143 and the link image 145 are different, the controller 130 calculates a value by dividing the resolution of the user image 143 by the resolution of the link image 145. Then, the control unit 130 calculates a proportional value by multiplying the calculated value by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L', which is the range of each subject included in the user image 143 and the link image 145, by L. Then, the control unit 130 reduces the user image 143 by using the calculated proportional value.

다음으로 사용자 초점 거리(F)가 최소 초점 거리(F')보다 짧은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때에도 제어부(130)는 제어부(130)는 수학식1 및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각 초점 거리에 따른 피사체의 범위인 L'과 L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L'를 L로 나누어서 산출된 비례 값으로 링크 이미지(145)를 축소한다. Next, it is assum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user focal length F is shorter than the minimum focal length F'.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also calculates L'and L, which are the ranges of the subject according to each focal length, using Equation 1 and Equation 2. Then, the control unit 130 reduces the link image 145 to a proportional value calculated by dividing L'by L.

저장부(140)는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에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 및 기능이 수행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이미지 촬영 기능을 통해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143)와 링크 이미지(145)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이미지 표시 모드시 사용자 이미지(143)와 링크된 링크 이미지(145)를 선택하기 위한 링크 아이콘(147)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data generated while an application program and a function related to a function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terminal are being performed. Here, the storage unit 140 stores the user image 143 and the link image 145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In addition, the storage 140 may store a link icon 147 for selecting the user image 143 and the linked image 145 in the image display mode.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여기서 입력부(150)는 카메라(110) 모드시 카메라(110)의 초점 거리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키, 이미지 촬영을 선택하는 기능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0)는 이미지 표시 모드시 사용자 이미지(143)에 표시된 링크 아이콘(147)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키를 구비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50 transmits an input signal related to setting of various functions input from a user and function control of the terminal to the control unit 130. Here, the input unit 150 may include a function key for selecting a focal length of the camera 110 in the camera 110 mode, and a function key for selecting an image. In addition, the input unit 150 may include a function key for selecting the link icon 147 displayed on the user image 143 in the image display mode.

이상에서는 단말기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다. 다음으로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발명에 따른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In the above, each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terminal has been described. Next, a method of photographing an image in a terminal and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뉴 또는 기능키를 통해 카메라(110)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61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 모드를 카메라(110)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카메라 모드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들을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모드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은 촬영 기능, 이미지 표시 기능, 이미지 편집 기능 등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when the user selects the camera 110 mode through a menu or a function key, the controller 130 switches the mobile terminal mode to a camera mode for performing a function related to the camera 110 in step 610. do. Here, the control unit 130 may display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camera mode on the display unit 120. At this time,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camera mode may be a shooting function, an image display function, an image editing function, and the like.

그리고 제어부(130)는 620단계에서 촬영 기능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촬영 기능을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630단계에서 카메라(110)를 구동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640단계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미지를 촬영한다. 여기서 640단계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Then, in step 620,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photographing function is selected. When the user selects a photographing function to photograph an image, the controller 130 drives the camera 110 in step 630. Then, in step 640, the controller 130 photographs the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Here, step 64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만약 620단계에서 촬영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650단계에서 이미지 표시 기능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를 확인하기 위해 이미지 표시 기능을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66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660단계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If the photographing function is not selected in step 620,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display function is selected in step 650. When the user selects the image display function to check the image stored in the terminal,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on the display unit 120 in step 660. Step 66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그러나 650단계에서 이미지 표시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67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기능들을 수행한다. 여기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들은 이미지 편집 기능과 같이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들이 될 수도 있고, PMP, MP3 와 같이 다른 종류의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이 될 수 있다. However, if the image display function is not selected in step 650, the controller 130 performs functions selected by the user in step 670.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here may be functions that can process images, such as image editing functions, or functions that can reproduce or generate other types of data, such as PMP and MP3.

다음으로 이미지를 촬영하는 과정인 640단계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촬영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Next, step 640 which is a process of photographing an im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hotographing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110)가 구동되면, 제어부(130)는 710단계에서 기준 초점 거리(f)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715단계에서 확인된 기준 초점 거리(f)로 카메라(110)를 세팅하고, 세팅된 기준 초점 거리(f)에 따라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여기서 기준 초점 거리(f)는 카메라(110)가 초기에 구동될 때, 자동으로 확인되는 피사체와 카메라(110) 간의 거리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기준 초점 거리(f)는 기준으로 설정되는 렌즈(113)와 이미지 센서(115) 간의 거리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camera 110 is driven, the controller 130 checks the reference focal length f in step 710. Then, the controller 130 sets the camera 110 to the reference focal length f identified in step 715, and displays the preview image obtained according to the set reference focal length f on the display unit 120. Here, the reference focal length f may be set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camera 110 that are automatically identified when the camera 110 is initially driven. Alternatively, the reference focal length f may be a distance between the lens 113 set as a reference and the image sensor 115.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720단계에서 사용자 초점 거리(F)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사용자 초점 거리(F)가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방법은 제어부(130)가 메뉴 또는 기능키 등을 통해 줌인 또는 줌 아웃 기능이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Next,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focus distance F is selected in step 720. Here,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focus distance F is selected may be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zoom-in or zoom-out function is selected by the controller 130 through a menu or a function key.

만약 사용자 초점 거리(F)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카메라(110)의 초점 거리를 선택된 사용자 초점 거리(F)로 세팅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725단계에서 촬영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기능키 또는 메뉴들을 통해 촬영을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730단계에서 선택된 사용자 초점 거리(F)가 기준 초점 거리(f)보다 긴지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 초점 거리(F)가 기준 초점 거리(f)보다 짧으면, 제어부(130)는 735단계에서 카메라(110)를 제어하여 사용자 초점 거리(F)에 따른 사용자 이미지(143)를 획득한다. If the user focal length F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sets the focal length of the camera 110 to the selected user focal length F.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photographing is selected in step 725. When the user selects shooting through the function keys or menus,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focus distance F selected in step 730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focus distance f. If the user focal length F is shorter than the reference focal length f,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camera 110 in step 735 to obtain a user image 143 according to the user focal length F.

반면에 사용자 초점 거리(F)가 기준 초점 거리(f)보다 길면, 제어부(130)는 740단계에서 카메라(110)를 통해 사용자 초점 거리(F)에 따른 사용자 이미지(143)를 획득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745단계에서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143)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750단계에서 카메라(110)의 초점 거리를 최소 초점 거리로 세팅하고, 세팅된 최소 초점 거리에 따른 링크 이미지(145)를 획득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focal length F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focal length f, the controller 130 acquires the user image 143 according to the user focal length F through the camera 110 in step 74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user image 143 photographed in operation 745 on the display unit 120. Next, in step 750, the controller 130 sets the focal length of the camera 110 to the minimum focal length, and acquires the link image 145 according to the set minimum focal length.

링크 이미지(145)가 획득되면, 제어부(130)는 760단계에서 저장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저장이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725단계부터 다시 수행하여 사용자 이미지(143) 및 링크 이미지(145)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메뉴 또는 기능키 입력을 통해 저장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765단계에서 사용자 이미지(143)에 링크 이미지(145)를 링크시켜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When the link image 145 is obtained,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storage is selected in step 760. If storage is not selected, the control unit 130 may perform the operation again from step 725 to obtain the user image 143 and the link image 145 again. However, if storage is selected through menu or function key input, the controller 130 links the user image 143 to the link image 145 in step 765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140.

720단계에서 사용자 초점 거리(F)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770단계에서 입력부(150)를 통해 촬영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촬영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775단계에서 카메라(110)를 통해 선택된 기능에 따른 이미지를 획득한다. 여기서 선택될 수 있는 기능은 자동셔터 기능, 화질 선택 기능, 화이트 밸런스 선택 기능 등과 같이 이미지 촬영시 부수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780단계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If the user focus distance F is not selected in step 720,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shooting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150 in step 770. When photographing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acquires an image according to the function selected through the camera 110 in step 775. The functions that can be selected here may include functions that may be incidentally selected when taking an image, such as an automatic shutter function, a quality selection function, and a white balance selection function. Then, the controller 130 stores the image obtained in step 780 in the storage 140.

지금까지는 하나의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이미지(143)과 링크 이미지(145)를 촬영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다. 두 개의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이미지(143)과 링크 이미지(145)를 촬영하는 방법은 링크 이미지(145)이 사용자 이미지(143)를 촬영할 때 동시에 촬영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하나의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이미지(143)와 링크 이미지(145)를 촬영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두 개의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의 경우, 제1 렌즈(113a)를 통해 사용자 초점 거리(F)에 따른 사용자 이미지(143)을 획득할 수 있으며, 제2 렌즈(113b)를 통해 최소 초점 거리(F')에 따른 링크 이미지(145)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30)은 카메라(100)에 구비된 제1 렌즈(113a)와 제2 렌즈(113b)를 통해 동시에 사용자 이미지(143) 및 링크 이미지(145)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이때에도 제어부(130)는 사용자 이미지(143)만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So far, a method of taking a user image 143 and a link image 145 through a camera equipped with one lens has been described. The method of photographing the user image 143 and the link image 145 through a camera with two lenses is one except that the link image 145 can be photographed simultaneously when photographing the user image 143 It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taking a user image 143 and a link image 145 through a camera equipped with a lens of. In more detail, in the case of a camera having two lenses, the user image 143 according to the user focal length F may be obtained through the first lens 113a, and the second lens 113b may be obtained. Through this, the link image 145 according to the minimum focal length F'may be obtained. Through this, the controller 130 may simultaneously acquire the user image 143 and the link image 145 through the first lens 113a and the second lens 113b provided in the camera 10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may display only the user image 143 on the display unit 120.

다음으로 이미지를 촬영하는 과정인 660단계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Next, a process of photographing an image, step 6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이미지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810단계에서 저장부(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이미지(143)를 썸네일 형태로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단말기 제조사에 따라 링크 이미지(145)가 링크된 사용자 이미지(143)는 다른 사용자 이미지(143)와 구분할 수 있도록 링크 아이콘(147)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링크 이미지(145)에 사용자 이미지(143)가 오버레이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이미지(143)가 썸네일로 표시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 이미지(143)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목록으로도 나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when the image display mode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displays at least one user image 143 stored in the storage 140 in the form of a thumbnail on the display 120 in operation 810. Here, the link icon 147 may be displayed together to distinguish the user image 143 from which the link image 145 is link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the terminal manufacturer. In addition, the user image 143 may be displayed on the link image 145 in an overlaid form. In addition, although the user image 143 is described as being displayed as a thumbnail, i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user image 143 may also be listed as a lis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815단계에서 썸네일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이미지(143)를 입력부(150)에 구비된 기능키를 통해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820단계에서 선택된 썸네일에 해당하는 사용자 이미지(143)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830단계에서 저장부(140)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 이미지(143)에 링크된 링크 이미지(145)가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링크된 링크 이미지(145)가 존재하면, 제어부(130)는 835단계에서 확인된 사용자 이미지(143) 및 링크 아이콘(147)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Next, in step 815,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a thumbnail is selected.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user image 143 through the function key provided in the input unit 150, the controller 130 checks the user image 143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selected in step 820. Then, in step 830,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link image 145 linked to the user image 143 identified through the storage 140. If the linked link image 145 is present,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user image 143 and the link icon 147 identified in operation 835 on the display unit 120.

그리고 제어부(130)는 840단계에서 링크 아이콘(147)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링크 아이콘(147)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845단계에서 사용자 이미지(143)에 링크된 링크 이미지(145)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여기서 링크 이미지(145)를 표시하는 방법은 링크 이미지(145)만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이미지(143) 또는 링크 이미지(145)의 크기가 축소된 다음 링크 이미지(145) 또는 사용자 이미지(143)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Then, in step 840,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link icon 147 is selected. If the link icon 147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link image 145 linked to the user image 143 on the display unit 120 in step 845. Here, the method for displaying the link image 145 may be a method in which only the link image 145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Alternatively, there may be a method in which the size of the user image 143 or the link image 145 is reduced and then overlaid on the link image 145 or the user image 143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반면에 830단계에서 사용자 이미지(143)에 링크된 링크 이미지(145)가 없으면, 제어부(130)는 850단계에서 선택된 사용자 이미지(143)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link image 145 linked to the user image 143 in step 830,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user image 143 selected in step 850 on the display unit 120.

지금까지는 초점 거리가 다른 두 개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두 개의 이미지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 초점 거리가 기준 초점 거리보다 긴 경우에 제어부(130)는 카메라(110)를 제어하여 최소 초점 거리에 따른 링크 이미지(145)를 촬영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초점 거리가 기준 초점 거리보다 짧은 경우에도 제어부(130)는 카메라(110)를 제어하여 최대 초점 거리에 따른 링크 이미지(145)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이미지 표시 모드시, 링크 이미지(145)를 축소하여 사용자 이미지(143)에 표시할 수 있다. So far, we have described how to shoot two images with different focal lengths and check the two images. Here, when the user focus distance set by the user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focal length,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camera 110 to shoot the link image 145 according to the minimum focus distance. However, even when the focal length selected by the user is shorter than the reference focal length,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camera 110 to photograph the link image 145 according to the maximum focal length. At this time, in the image display mode, the controller 130 may reduce the link image 145 and display it on the user image 143.

이상에서는 사용자 이미지(143)와 링크 이미지(145)를 촬영하고, 이미지 표시 모드에서 표시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특히 사용자 이미지(143)와 링크 이미지(145)를 촬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이미지(143)을 촬영할 때, 사용자 초점 거리가 기준 초점 거리보다 긴 경우에 최소 초점 거리에 따른 링크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다. 다음으로 도 6의 640단계에서 사용자 이미지(143)를 촬영할 때 링크 이미지(145)를 함께 촬영할 수 있는 다른 방법에 관하여 도 9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In the above, a method of photographing the user image 143 and the link image 145 and displaying them in the image display mode has been described. Particularly in the method of photographing the user image 143 and the link image 145, when the user image 143 is photographed, a method of photographing the link image according to the minimum focus distance when the user focus distance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focal length It was explained. Next, with reference to FIG. 9, another method of capturing the link image 145 together when the user image 143 is photographed in step 640 of FIG. 6 will be described.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photograph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카메라(110)가 구동되면, 제어부(130)는 910단계에서 기준 초점 거리(f)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915단계에서 확인된 기준 초점 거리(f)로 카메라(110)를 세팅한 다음, 세팅된 기준 초점 거리(f)에 따라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9, when the camera 110 is driven, the controller 130 checks the reference focal length f in step 910. Then, the controller 130 sets the camera 110 to the reference focal length f identified in step 915, and then displays the preview image obtained according to the set reference focal length f on the display 120.

그리고 제어부(130)는 920단계에서 메뉴 또는 기능키 입력을 통해 링크 이미지 촬영 기능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링크 이미지 촬영 기능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925단계에서 사용자 초점 거리(F)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사용자 초점 거리(F)는 처음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부(120)에 표시하기 위해 확인된 기준 초점 거리(f)가 유지되거나, 줌인 또는 줌아웃 기능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초점 거리(F) 선택시, 링크 이미지(145)를 촬영하기 위한 최소 초점 거리 또는 최대 초점 거리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이미지 촬영 기능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초점 거리(F) 및 최소 초점 거리 및 최대 초점 거리를 선택할 수 있는 초점 거리 선택창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초점 거리 선택창에 줌인/아웃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바를 각 초점 거리별로 표시한다. Then, in step 920,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a link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is selected through a menu or a function key input. If the link image capturing functi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focus distance F is selected in step 925. Here, the user focal length F may be maintained through the reference focal length f identified to display the first preview image on the display unit 120 or may be changed through a zoom-in or zoom-out function. In addition, although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when the user focus distance F is selected, a minimum focus distance or a maximum focus distance for photographing the link image 145 may be selected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link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displays a focus distance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a user focus distance F and a minimum focus distance and a maximum focus distance on the display unit 12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displays a selection bar for selecting zoom in/out in each focal length in the focal length selection window.

사용자 초점 거리(F)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촬영키 입력 등을 통해 촬영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촬영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940단계에서 카메라(110)를 통해 사용자 이미지 및 링크 이미지를 획득한다. 940단계는 도 10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점 거리에 따라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When the user focal length F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photographing is selected through input of a photographing key or the like. When shooting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acquires a user image and a link image through the camera 110 in step 940. Step 9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hotographing an image according to a focal l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촬영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1010단계에서 기준 초점 거리(f)와 사용자 초점 거리(F)를 비교하여 사용자 이미지(143) 및 링크 이미지(145)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링크 이미지(145)는 사용자 초점 거리와 기준 초점 거리의 비교에 따라 선택되는 선택 초점 거리로 촬영되는 이미지이다. 만약 기준 초점 거리(f)가 사용자 초점 거리(F)보다 짧으면, 제어부(130)는 1020단계에서 카메라(110)을 통해 사용자 초점 거리(F)에 따른 사용자 이미지(143)을 획득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1030단계에서 획득한 사용자 이미지(143)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1040단계에서 카메라(110)의 초점 거리를 최소 초점 거리로 세팅하고, 최소 초점 거리에 따른 링크 이미지를 촬영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도 9로 돌아간다.Referring to FIG. 10, when shooting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may obtain a user image 143 and a link image 145 by comparing the reference focal length f and the user focal length F in step 1010. have. Here, the link image 145 is an image photographed at a selected focal length selected according to a comparison of a user focal length and a reference focal length. If the reference focal length f is shorter than the user focal length F, the controller 130 acquires the user image 143 according to the user focal length F through the camera 110 in step 1020. Then,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user image 143 acquired in step 1030 on the display unit 120. Next, in step 1040, the controller 130 sets the focal length of the camera 110 to the minimum focal length, and photographs the link image according to the minimum focal length. Then, the control unit 130 returns to FIG. 9.

그러나 기준 초점 거리(f)가 사용자 초점 거리(F)와 동일하다면, 제어부(130)는 1050단계에서 카메라(110)를 통해 사용자 초점 거리에 따른 사용자 이미지(143)를 획득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획득한 사용자 이미지(143)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도 9로 돌아간다. However, if the reference focal length f is equal to the user focal length F, the controller 130 acquires the user image 143 according to the user focal length through the camera 110 in step 1050. Then,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obtained user image 143 on the display unit 120. Then, the control unit 130 returns to FIG. 9.

반면에 기준 초점 거리(f)가 사용자 초점 거리(F)보다 길다면, 제어부(130)는 1070단계에서 카메라(110)를 통해 사용자 초점 거리(F)에 따른 사용자 이미지(143)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1080단계에서 획득된 사용자 이미지(143)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1090단계에서 카메라(110)의 초점 거리를 최대 초점 거리로 세팅한 다음, 세팅된 최대 초점 거리에 따른 링크 이미지(145)를 촬영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도 9로 돌아간다. On the other hand, if the reference focal length f is longer than the user focal length F, the controller 130 acquires the user image 143 according to the user focal length F through the camera 110 in step 1070. Next,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user image 143 obtained in step 1080 on the display unit 120. Then, in step 1090, 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focal length of the camera 110 to the maximum focal length, and then photographs the link image 145 according to the set maximum focal length. Then, the control unit 130 returns to FIG. 9.

다시 도 9로 돌아와서, 사용자 이미지 및 링크 이미지를 촬영한 제어부(130)는 950단계에서 메뉴 또는 확인키 입력 등을 통해 저장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저장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960단계에서 사용자 이미지(143)에 링크 이미지(145)를 링크시켜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9, the control unit 130 photographing the user image and the link image determines in step 950 whether storage is selected through a menu or confirmation key input. When the storage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30 links the link image 145 to the user image 143 in step 960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40.

그러나 920단계에서 링크 이미지 촬영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970단계에서 메뉴 또는 기능키 입력을 통한 촬영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촬영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975단계에서 카메라(110)를 통해 선택되는 기능에 따른 이미지를 획득한다. 여기서 선택되는 기능은 카메라를 통해 부수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기능으로 자동셔터 기능, 화질 선택 기능, 화이트 밸런스 선택 기능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980단계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However, if the link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is not selected in step 920,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photographing through menu or function key input is selected in step 970. When photographing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acquires an image according to a function selected through the camera 110 in operation 975. The function selected here is a function that can be performed incidentally through the camera, such as an automatic shutter function, a picture quality selection function, and a white balance selection function. Next, the controller 130 stores the image obtained in step 980 in the storage 140.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In the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mere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e specific examples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10: 카메라 120: 표시부
130: 제어부 140: 저장부
143: 사용자 이미지 145: 링크 이미지
150: 입력부
110: camera 120: display
130: control unit 140: storage unit
143: User image 145: Link image
150: input unit

Claims (13)

휴대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카메라;
제 2 카메라;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저장 장치; 및
상기 제 1 카메라, 상기 제 2 카메라, 상기 입력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저장 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메라의 렌즈와 상기 제 2 카메라의 렌즈가 상기 휴대 장치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와 상기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함께 표시하도록 구성된 휴대 전자 장치.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first camera;
A second camera;
Input device;
display;
Storage device; And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amera, the second camera, the input device, the display and the storage device,
The lens of the first camera and the lens of the second camera ar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The processor,
Acquire an image using the first camera,
Acquire an image using the second camera,
Receiving user input from the input devic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obtained using the first camera and an image acquired using the second camera together on the display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reception of the user inp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와 상기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 중 하나를 다른 하나의 위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휴대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cess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one of the image acquired using the first camera and the image acquired using the second camera on the oth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와 상기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 중에서 위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아래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보다 작은 것인 휴대 전자 장치.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f claim 2, wherein a display size of an image displayed from the top of an image acquired using the first camera and an image acquired using the second camera is smaller than the display size of the image displayed below.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아이콘과 상기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고,
상기 아이콘의 선택이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휴대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cessor displays an image obtained using the icon and the first camera togethe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obtained using the second camera based on the selection of the icon being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는 제 1 초점 거리를 가지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제 1 초점 거리와 다른 제 2 초점 거리를 갖는 휴대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amera has a first focal length
The second camera has a second focal length different from the first focal length.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초점 거리가 상기 제 2 초점 거리보다 긴,
휴대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focal length is longer than the second focal length,
Mobile electronic devic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초점 거리는 조정 가능하고 상기 제 2 초점 거리는 고정된 것인, 휴대 전자 장치.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st focal length is adjustable and the second focal length is fixed. 제 7 항에 있어서, 거리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에서 피사체와 상기 휴대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초점 거리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휴대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distance measuring sensor, the processor,
Using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a value representing a distance between a subject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obtained from an image obtained using the first camera,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adjust the first focal length based on the obtained value.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 또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휴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안, 상기 휴대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와 상기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함께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irst camera and a second camera,
Receiving a user input from an input devi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le displaying an image obtained using the first camera or the second camera on a displa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nd displaying an image obtained using the first camera and an image acquired using the second camera together on the display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reception of the user inpu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와 상기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 중 하나를 다른 하나의 위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splaying operation is
And displaying one of the image acquired using the first camera and the image acquired using the second camera on top of the oth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와 상기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 중에서 위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아래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보다 작은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 display size of an image displayed from the top of an image acquired using the first camera and an image acquired using the second camera is smaller than the display size of the image displayed from the bottom.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아이콘과 상기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peration of receiving the user input,
Displaying an icon and an image obtained using the first camera together;
And receiving the user input for the icon.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제 1 카메라 또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휴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안, 상기 휴대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와 상기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함께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In the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The instructions are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the electronic device to cause the processor to perform at least one operation, wherein the at least one operation is:
Receiving a user input from an input devi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le displaying an image obtained using the first camera or the second camera on a displa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nd displaying an image acquired using the first camera and an image acquired using the second camera together on the display,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reception of the user input.
KR1020200070115A 2020-06-10 2020-06-10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KR1021804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115A KR102180424B1 (en) 2020-06-10 2020-06-10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115A KR102180424B1 (en) 2020-06-10 2020-06-10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858A Division KR102123433B1 (en) 2019-07-04 2019-07-04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949A Division KR102249139B1 (en) 2020-11-12 2020-11-12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193A true KR20200070193A (en) 2020-06-17
KR102180424B1 KR102180424B1 (en) 2020-11-18

Family

ID=7140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115A KR102180424B1 (en) 2020-06-10 2020-06-10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42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2557A1 (en) * 1997-08-25 2002-10-24 David Elberbaum Apparatus for identifying the scene location viewed via remotely operated television camer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2557A1 (en) * 1997-08-25 2002-10-24 David Elberbaum Apparatus for identifying the scene location viewed via remotely operated television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424B1 (en)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705B1 (en)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JP428861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US20050134719A1 (en) Display device with automatic area of importance display
JP4088944B2 (en) Electronic camera
JP2007311861A (en) Phot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US82378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haken image by using auto focusing
KR20120002834A (en) Image pickup apparatus for providing reference image and method for providing reference image thereof
US20100328494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JP4269344B2 (en) Electronic camera
KR102123433B1 (en)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KR102180424B1 (en)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KR102249139B1 (en)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KR101998846B1 (en)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KR101945028B1 (en)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KR101853054B1 (en)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KR101798019B1 (en)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KR101755520B1 (en)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JP4935559B2 (en) Imaging device
KR101644888B1 (en)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JP4897577B2 (en) Imaging device
JP2008028956A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mage signal for detecting target therein
JP4159271B2 (en) Digital camera
JP5188633B2 (en) Electronics
JP2009118515A (en) Electronic camera
JP2013008193A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of ima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