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640A - 코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코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640A
KR20200069640A KR1020180156927A KR20180156927A KR20200069640A KR 20200069640 A KR20200069640 A KR 20200069640A KR 1020180156927 A KR1020180156927 A KR 1020180156927A KR 20180156927 A KR20180156927 A KR 20180156927A KR 20200069640 A KR20200069640 A KR 20200069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il
base
center hole
cor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6480B1 (ko
Inventor
박찬수
백영진
박귀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4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01F17/062Toroidal core with turns of coil around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7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of signal type inductors or transformers with electronic circuits, e.g. 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01F2017/065Core mounted around conductor to absorb noise, e.g. EMI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코어를 PCB에 세워서 장착하는 타입의 코어 어셈블리에서, 상기 코어에 별도의 외부 케이스를 추가하거나 상기 코어의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고도, 상기 코어에 권선된 복수개의 코일들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코어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어셈블리는, 중심에 센터홀이 형성된 환형의 코어와, 상기 코어의 일측에 권선된 제1 코일과, 상기 코어의 타측에 권선된 제2 코일과, 일면이 상기 코어의 외주를 지지하고 타면은 PCB에 안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의 양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 중 상기 센터홀이 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면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의 타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코일의 양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 중 상기 센터홀이 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타측면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의 타면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코어 어셈블리{CORE ASSEMBLY}
본 발명은 코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컴퓨터 및 가전기기를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에는, 두뇌에 해당하는 프로세서 내부의 핵심 연산장치인 코어가 장착된다. 상기 코어는 개수가 많아질수록 동시에 여러 작업을 빨리 처리할 수 있다.
한편,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는 전기, 전자기기로부터 직접 방사 또는 전도되는 전자파가 다른 기기의 전자기 수신 기능에 장해를 주는 것을 의미하는데, 상기 코어에는 상기 EMI의 방지를 위해 코일이 권선된다.
상기 코어는 PCB(Printed Circuit Board)에 눕혀져서 장착되는 경우, 상기 PCB의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는 상기 PCB에 세워져 장착되게 되면 상기 PCB의 면적을 적게 차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코어에 상기 코일이 복수개로 권선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코일들 사이의 절연거리가 확보되어야 한다.
상기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코어에 별도의 외부 케이스를 추가하거나, 상기 코어의 사이즈를 크게 하여야 한다.
하지만, 상기 코어에 별도의 외부 케이스를 추가하거나, 상기 코어의 사이즈를 크게 하는 경우, 상기 코어가 상기 PCB에 세워져 장착되더라도, 상기 코어는 상기 PCB의 면적을 많이 차지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코어를 PCB에 세워서 장착하는 타입의 코어 어셈블리에서, 상기 코어에 별도의 외부 케이스를 추가하거나 상기 코어의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고도, 상기 코어에 권선된 복수개의 코일들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코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어셈블리는, 중심에 센터홀이 형성된 환형의 코어의 일측에 제1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코어의 타측에 제2 코일이 권선된다. 베이스는 일면이 상기 코어의 외주를 지지하고 타면은 PCB에 안착된다. 상기 제1 코일의 양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 중 상기 센터홀이 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면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의 타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코일의 양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 중 상기 센터홀이 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타측면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의 타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센터홀이 통하는 방향의 폭보다, 상기 센터홀이 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코일의 양단부가 각각 통과하는 한 쌍의 제1 코일 패스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2 코일의 양단부가 각각 통과하는 한 쌍의 제2 코일 패스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일면은 상기 코어의 외주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에는 상기 센터홀을 가로지르도록 절연 세퍼레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 세퍼레이터는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의 양단 및 상기 제2 코일의 양단에는 각각 핀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핀은 상기 PCB에 솔더링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어셈블리는, 제1 코일의 양단부는 베이스의 측면 중 센터홀이 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면을 통과하고, 제2 코일의 양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 중 상기 센터홀이 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타측면을 통과하기 때문에,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 사이의 절연거리가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어 어셈블리가 PCB에 설치된 상태를 위에서 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어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어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코어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어 어셈블리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어 어셈블리가 PCB에 설치된 상태를 위에서 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어 어셈블리(100)는 PCB(Printed Circuit Board; 1)에 장착된다. 코어 어셈블리(100)는 코어(20)에 코일(30)이 권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코어 어셈블리(100)는 프로세서 내부의 핵심 연산장치일 수 있다. 또는, 코어 어셈블리(100)는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코어 어셈블리(100)는 전자기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코일(30)은, 코어(20)의 일측에 권선되는 제1 코일(31)과, 코어(20)의 타측에 권선되는 제2 코일(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코일(30)은, 도 1에서 코어(20)의 좌측에 권선되는 제1 코일(31)과, 도 1에서 코어(20)의 우측에 권선되는 제2 코일(32)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20)는 절연 세퍼레이터(25)에 의해 일측부와 타측부로 양등분될 수 있다. 즉, 코어(20)는 절연 세퍼레이터(25)에 의해 도 1에서 좌측부와 우측부로 양등븐될 수 있다. 제1 코일(31)은 절연 세퍼레이터(25)를 기준으로 코어(20)의 좌측부에 권선될 수 있고, 제2 코일(32)은 절연 세퍼레이터(25)를 기준으로 코어(20)의 우측부에 권선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어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어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코어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어셈블리는, 중심에 센터홀(21)이 형성된 환형의 코어(20)와, 상기 코어(20)의 일측에 권선된 제1 코일(31)과, 상기 코어(20)의 타측에 권선된 제2 코일(32)과, 일면이 상기 코어(20)의 외주를 지지하고 타면은 PCB(1)에 안착되는 베이스(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터홀(21)은 도 2에서 전후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코어(20)의 일측은 도 2에서 코어(20)의 좌측을 의미하고, 코어(20)의 타측은 도 2에서 코어(20)의 우측을 의미한다.
또한, 베이스(10)의 일면은 도 2에서 베이스(10)의 상면을 의미하고, 베이스(10)의 타면은 도 2에서 베이스(10)의 하면을 의미한다. 이하, 설명의 이해를 위해, 베이스(10)의 일면은 베이스(10)의 상면으로 설명하기로 하고, 베이스(10)의 타면은 베이스(10)의 하면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센터홀(21)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일(31) 및 제2 코일(32) 각각은, 센터홀(21)을 관통하여 코어(20)의 내주면에 배치됨과 아울러, 코어(20)의 전면 및 후면과 코어(20)의 외주면에 배치되도록, 코어(20)에 복수번 권선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PCB(1) 및 코어(20) 사이에 배치되어, 코어(20)를 지지하고, 코어(20)를 PCB(1)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 제1 코일(31)의 양단부(31A,31B)는 상기 베이스(10)의 측면 중 상기 센터홀(21)이 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면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10)의 하면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코일(32)의 양단부(32A,32B)는 상기 베이스(10)의 측면 중 상기 센터홀(21)이 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타측면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10)의 하면으로 연장된다.
즉, 제1 코일(31)의 양단부(31A,31B)는 도 2에서 베이스(10)의 좌측면을 통과하여 베이스(10) 하면으로 연장되고, 제2 코일(32)의 양단부(32A,32B)는 도 2에서 베이스(10)의 우측면을 통과하여 베이스(10)의 하면으로 연장된다. 이하, 설명의 이해를 위해, 베이스(10)의 측면 중 센터홀(21)이 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면은, 베이스(10)의 좌측면으로 설명하기로 하고, 베이스(10)의 측면 중 센터홀(21)이 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타측면은, 베이스(10)의 우측면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10)는, 센터홀(21)이 통하는 방향의 폭보다, 센터홀(21)이 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된다. 즉, 베이스(10)는 도 2에서 전후폭보다 좌우폭이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코일(31)의 양단부(31A,31B)와 제2 코일(32)의 양단부(32A,32B)가 베이스(10)의 폭이 큰 부분을 통과하게 배치됨으로써, 제1 코일(31)의 양단부(31A,31B)와 제2 코일(32)의 양단부(32A,32B)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코일(31)의 양단부(31A,31B)가 베이스(10)의 좌측면을 통과하여 베이스(10)의 하면으로 연장되고, 제2 코일(32)의 양단부(32A,32B)가 베이스(10)의 우측면을 통과하여 베이스(10)의 하면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제1 코일(31)의 일단부(31A)가 베이스(10)의 전면을 통과하여 베이스(10)의 하면으로 연장되고, 제1 코일(31)의 타단부(31B)가 베이스(10)의 후면을 통과하여 베이스(10)의 하면으로 연장되며, 제2 코일(32)의 일단부(32A)가 베이스(10)의 전면을 통과하여 베이스(10)의 하면으로 연장되고, 제2 코일(32)의 타단부(32B)가 베이스(10)의 후면을 통과하여 베이스(10)의 하면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비해, 제1 코일(31)의 양단부(31A,31B)와, 제2 코일(32)의 양단부(32A,32B)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10)의 좌측면에는 제1 코일(31)의 양단부(31A,31B))가 각각 통과하는 한 쌍의 제1 코일 패스 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일(31)의 양단부(31A,31B)가 각각 한 쌍의 제1 코일 패스 홈(11)에 삽입되기 때문에, 제1 코일(31)의 양단부(31A,31B)의 절연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베이스(10)의 우측면에는 제2 코일(32)의 양단부(32A,32B)가 각각 통과하는 한 쌍의 제2 코일 패스 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일(32)의 양단부(32A,32B)가 각각 한 쌍의 제2 코일 패스 홈(12)에 삽입되기 때문에, 제2 코일(32)의 양단부(32A,32B)의 절연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베이스(10)의 상면은 코어(20)의 외주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코어(20)의 외주가 베이스(10)의 오목한 상면에 안착되기 때문에, 코어(20)는 세워진 상태로 베이스(1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코어(20)에는 절연 세퍼레이터(25)가 설치될 수 있다. 절연 세퍼레이터(25)는 센터홀(21)을 가로지르도록 코어(20)에 설치되어, 제1 코일(31) 및 제2 코일(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 세퍼레이터(25)는 센터홀(21)의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코어(20)에 설치될 수 있다. 절연 세퍼레이터(25)는 제1 코일(31) 및 제2 코일(32) 사이를 절연할 수 있다. 절연 세퍼레이터(25)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32)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충분한 폭을 가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코일(31)의 양단 및 제2 코일(32)의 양단에는 각각 핀(41,42,43,44)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코일(31)의 양단 및 제2 코일(32)의 양단은 환형으로 벤딩되어 핀(41,42,43,44)에 결합될 수 있다. 핀(41,42,43,44)은 베이스(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핀(41,42,43,44)은 PCB(1)에 솔더링(납땜)될 수 있다. 핀(41,42,43,44)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 핀(41,42,43,44)은 4개로 구비되어, 제1 핀(41), 제2 핀(42), 제3 핀(43) 및 제4 핀(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31)의 일단에 제1 핀(41)이 결합되고, 제1 코일(31)의 타단에 제2 핀(42)이 결합되며, 제2 코일(32)의 일단에 제3 핀(43)이 결합되고, 제2 코일(32)의 타단에 제4 핀(44)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어 어셈블리는, 제1 코일(31)의 양단부는 베이스(10)의 측면 중 센터홀(21)이 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좌측면을 통과하고, 제2 코일(32)의 양단부는 베이스(10)의 측면 중 센터홀(21)이 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우측면을 통과하기 때문에, 제1 코일(31) 및 제2 코일(32) 사이의 절연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PCB 10 : 베이스
11 : 제1 코일 패스 홈 12 : 제2 코일 패스 홈
20 : 코어 21 : 센터홀
25 : 절연 세퍼레이터 31 : 제1 코일
32 : 제2 코일 41,42,43,44 : 핀

Claims (6)

  1. 중심에 센터홀이 형성된 환형의 코어;
    상기 코어의 일측에 권선된 제1 코일;
    상기 코어의 타측에 권선된 제2 코일; 및
    일면이 상기 코어의 외주를 지지하고, 타면은 PCB에 안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의 양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 중 상기 센터홀이 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면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의 타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코일의 양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 중 상기 센터홀이 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타측면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의 타면으로 연장되는 코어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센터홀이 통하는 방향의 폭보다, 상기 센터홀이 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는 코어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코일의 양단부가 각각 통과하는 한 쌍의 제1 코일 패스 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2 코일의 양단부가 각각 통과하는 한 쌍의 제2 코일 패스 홈이 형성되는 코어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면은 상기 코어의 외주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코어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터홀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코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 세퍼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코어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의 양단 및 상기 제2 코일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PCB에 솔더링되는 핀을 더 포함하는 코어 어셈블리.
KR1020180156927A 2018-12-07 2018-12-07 코어 어셈블리 KR102126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27A KR102126480B1 (ko) 2018-12-07 2018-12-07 코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27A KR102126480B1 (ko) 2018-12-07 2018-12-07 코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640A true KR20200069640A (ko) 2020-06-17
KR102126480B1 KR102126480B1 (ko) 2020-06-24

Family

ID=7140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927A KR102126480B1 (ko) 2018-12-07 2018-12-07 코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4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469B1 (ko) * 2004-03-30 2005-09-15 (주) 아모센스 금속막이 형성된 인덕터
KR100662907B1 (ko) * 2004-09-11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로이덜 라인필터 및 그 권선방법
KR101649350B1 (ko) * 2015-04-02 2016-08-19 우진공업주식회사 토로이달 코일의 결합형 베이스 및 그것을 사용한 토로이달 코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469B1 (ko) * 2004-03-30 2005-09-15 (주) 아모센스 금속막이 형성된 인덕터
KR100662907B1 (ko) * 2004-09-11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로이덜 라인필터 및 그 권선방법
KR101649350B1 (ko) * 2015-04-02 2016-08-19 우진공업주식회사 토로이달 코일의 결합형 베이스 및 그것을 사용한 토로이달 코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480B1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5312B2 (ja) 近距離無線通信(nfc)アンテナ組立体
JP6561423B2 (ja) 薄膜型磁気コネクタモジュール
US1008424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6516829A (ja) 電気変圧器
US20190089108A1 (en) Busbar assembly and motor comprising same
US20080278274A1 (en) Combined transformer
JP2012079983A (ja) 磁性素子
JP2013160638A (ja) 電流検出器
US7763999B2 (en) Sta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s
JP2014175353A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EP3038117B1 (en) Common mode choke coil
EP3026681B1 (en) Compact twin-shaft bobbin structure
WO2020162334A1 (ja) コイル部品
JP2016082178A (ja) 台座付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KR102126480B1 (ko) 코어 어셈블리
JP2013009071A (ja) アンテナコイル
US20130229255A1 (en) Network transformer module and magnetic element thereof
KR101177061B1 (ko) 어댑터용 트랜스포머
TWI575542B (zh) Detachable transformer
US9263178B2 (en) Coil structure and electric power conversion device
US11201006B1 (en) Bobbin for edge-mounted magnetic core
CN111210983A (zh) 一种线圈组件和无线充电器
US20120112867A1 (en) Choke module having improved arrangement of magnetic unit
KR200312344Y1 (ko) 초크 코일
JP5093412B2 (ja) アンテナコイル及び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