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517A - 연결용 이중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연결용 이중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517A
KR20200069517A KR1020180156634A KR20180156634A KR20200069517A KR 20200069517 A KR20200069517 A KR 20200069517A KR 1020180156634 A KR1020180156634 A KR 1020180156634A KR 20180156634 A KR20180156634 A KR 20180156634A KR 20200069517 A KR20200069517 A KR 20200069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ollow
fixing
close contac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1490B1 (ko
Inventor
이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산업
장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산업, 장준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산업
Priority to KR1020180156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4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8Joints tightened by eccentrics or rotatable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20Safety or protectiv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체결 또는 분리가 용이하고 안전하게 체결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이중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잠금 장치는 일단 및 타단을 향해 개방된 제1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1 중공과 연결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판들이 형성되는 바디부, 일단 및 타단을 향해 개방된 제2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 및 일단은 상기 고정판들 사이에서 상기 바디부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단 일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1 중공으로 연장되어 돌출부를 형성하며, 타단은 상기 바디부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레버의 회동을 통한 상기 돌출부의 압박에 의해 상기 바디부와 결속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레버를 둘러싸며 상기 레버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들과 밀착되어 상기 레버를 상기 고정판들 사이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연결용 이중 잠금 장치{DUAL LOCKING DEVICE FOR CONNECTING PIPE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이중 잠금 장치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치들, 튜브들 또는 파이프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용 이중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해양플랜트 설비에서는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피팅장치에서 화재사고나 원유, 가스누출이 발생한 경우, 심각하고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어 사용되는 잠금 장치의 안전성 및 신뢰성이 중요하다.
따라서, 원유 또는 가스를 이송시키는 장치들 사이 또는 배관 사이에 배치되는 잠금 장치의 신뢰성 및 잠금 장치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안전성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잠금 장치는 결속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고 분리하는 과정에서 내부의 압력에 의해 급격하게 분리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결속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실수 또는 내부의 잔압에 의해 결속된 상태가 해제되어 유출이 발생하거나 외력에 의해 결속이 해제되어 내부의 잔압에 의해 급속하게 잠금 장치가 해제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3193은 유체이송관용 캠록커플러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2870호는 커플러 장치 및 커플러 장치로부터 유체 유출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체결 또는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복수의 단계를 통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체결 또는 분리가 용이하고 안전하게 체결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이중 잠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중 잠금 장치는 일단 및 타단을 향해 개방된 제1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1 중공과 연결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판들이 형성되는 바디부, 일단 및 타단을 향해 개방된 제2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 및 일단은 상기 고정판들 사이에서 상기 바디부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단 일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1 중공으로 연장되어 돌출부를 형성하며, 타단은 상기 바디부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레버의 회동을 통한 상기 돌출부의 압박에 의해 상기 바디부와 결속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레버를 둘러싸며 상기 레버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들과 밀착되어 상기 레버를 상기 고정판들 사이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일단은 상기 레버의 양측을 관통하는 회동축과 결합되면서 상기 회동축보다 상기 바디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들과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레버의 연장방향에 수직하게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버와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며, 타단 일부는 상기 레버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레버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일단 일측 끝단에 형성된 삽입홈 및 일단과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제1 중공을 향해 함몰되고 상기 삽입홈과 연결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의 일단은 상기 돌출부의 반대쪽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레버들의 회동으로 상기 제1 중공에 삽입되는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홈을 통해 상기 가이드를 지나 상기 제1 중공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가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가 회전되면 상기 삽입부는 상기 가이드를 통해 상기 바디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중앙에 외측을 향해 환 형태로 돌출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에서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가이드와 인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바디부의 타단에서 상기 바디부의 타단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턱 및 상기 제1 중공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오링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 및 걸림턱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부분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레버의 회동을 통한 상기 돌출부의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한 삽입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가 회전하고 상기 바디부로 이동하면 상기 돌기는 상기 걸림턱과 분리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가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바디부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중공은 상기 관통공 및 상기 삽입부의 일단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들의 일단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의 일단을 향해 서로 평행한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레버들 각각이 삽입가능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타단을 상기 레버의 타단을 향해 회동시켜 상기 고정부의 일단을 상기 고정판들과 분리시키면, 상기 레버는 회동하여 상기 홈에서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레버 외측 및 상기 고정부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레버와 플레이트 형태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탄성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탄성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잠금 장치는 레버들을 통해 삽입부를 바디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핀을 통해 레버들을 바디부에 고정시키고, 레버에 형성된 고정부를 통해 이중으로 레버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중으로 삽입부 및 바디부의 분리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중 잠금 장치는 양측에 형성된 레버를 통해 편리하게 삽입부를 바디부의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고, 레버의 회동을 통해 삽입부를 바디부에서 편리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중 잠금 장치는 삽입부 및 바디부를 서로 분리되는 과정에서 잔압이 제거될 수 있는 공간을 발생시키며 분리되는 과정이 중단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잠금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중 잠금 장치의 삽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들.
도 3은 도 1의 이중 잠금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결속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결속부를 분해하여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들.
도 6은 도 1의 결속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정면도들.
도 7은 도 1의 삽입부가 바디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들.
도 8은 도 1의 바디부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에서 삽입부가 바디부에 삽입되는 과정 중 결속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절개도들.
도 9는 도 8의 'A' 및 'B'들 각각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잠금 장치의 제1 고정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잠금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잠금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이중 잠금 장치의 삽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이중 잠금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결속부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결속부를 분해하여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잠금 장치(100)는 바디부(200), 결속부(400) 및 삽입부(600)를 포함한다.
이중 잠금 장치(100)는 유체, 가스 또는 분말을 포함하는 이송물을 이송하는 장치 또는 튜브들 사이를 연결하여 이송물이 누수 없이 장치 또는 튜브들 사이를 이송하도록 연결하는 장치이다.
이중 잠금 장치(100)는 바디부(200) 및 삽입부(600) 사이의 결합력 개선과 함께 바디부(200) 및 삽입부(600)의 분리 과정에서 상기 이송물의 압력으로 바디부(200) 및 삽입부(600)가 서로 분리되면서 급격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개선한다.
바디부(200)는 바디(210), 연결부(220), 걸림턱(230, 235)들, 힌지판(240, 250)들 및 고정판(260, 270)들을 포함한다.
바디부(200)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삽입부(600)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삽입부(600)와 결합되어 장비 또는 튜브들 사이를 연결한다.
바디(210)는 일단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타단을 향해 길게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을 관통하는 제1 중공(10)이 형성되며, 타단 양측에는 제1 중공(10)과 외부를 연결하는 직사각 형태의 관통공(15)이 각각 형성된다.
연결부(220)는 바디(210)의 일단 상부에 상대적으로 외경이 축소된 형태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바디(210)와 연결되고, 외측면을 둘러싸는 경사면들이 형성되어 연결부(220)를 둘러싸는 튜브, 파이프 또는 장치와 견고하게 결합되며, 경사면들 대신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30, 235)들 각각의 일단은 바디(210)의 타단 양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바디(210)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직육면체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힌지판(240, 250)들 각각의 일단은 바디(210)의 일측을 관통하는 관통공(15)의 양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바디(2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서로 평행하게 유지된 상태로 바디(210)와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반원의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또한, 도면에 전부 나타나지 않지만 힌지판(240, 250)들 각각의 일단은 바디(210)의 타측을 관통하는 관통공(15)의 양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바디(210)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서로 평행하게 유지된 상태로 바디(210)와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반원의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고정판(260, 270)들 각각의 일단은 바디(210)의 일측 일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바디(210)의 일측에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바디(210)의 일단을 향해 서로 평행한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제1 레버(420)가 삽입될 수 있는 홈(30)을 형성한다.
또한, 고정판(260, 270)들 각각의 일단은 바디(210)의 타측 일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바디(210)의 타측에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바디(210)의 일단을 향해 서로 평행한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제2 레버(440)가 삽입될 수 있는 홈(35)을 형성한다.
결속부(400)는 제1 레버(420), 제1 고정부(430), 제2 레버(440) 및 제2 고정부(450)를 포함한다.
결속부(400)는 일단이 바디부(200)의 양측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단 일부분은 관통공(15)들을 통해 제1 중공(10)의 내부에 삽입되며, 타단의 회동을 통해 제1 중공(10)에 삽입된 삽입부(600)를 바디부(200)에 고정시키거나 삽입부(600)가 바디부(200)와 이탈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1 레버(420)는 회전축(421), 커버부(422), 돌출부(424) 및 가이드(426)들을 포함하고, 제2 레버(440)는 회전축(441), 커버부(442), 돌출부(444) 및 가이드(446)들을 포함한다.
제1 레버(420)의 일단은 바디(210) 일측의 힌지판(240, 250)들 각각의 사이에서 힌지판(240, 250)들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바디(210)의 일단을 향해 연장된다.
제1 레버(420)의 일단 일부분은 관통공(15)을 지나 제1 중공(10)의 내부로 반원 형태로 돌출되고, 제1 레버(420)의 타단이 바디(210)와 인접한 상태에서는 제1 레버(420)의 일단 일부분이 삽입부(600)가 제1 중공(10)으로 삽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반대로, 제1 레버(420)의 타단이 일단을 축으로 회동하여 바디(210)와 이격되고 하부를 향해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중공(10)에 삽입되는 제1 레버(420)의 일단 나머지 부분이 삽입부(60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삽입홈(660)에 삽입이 가능하여 삽입부(600)를 바디부(200)에 삽입이 가능하다.
제1 레버(420)의 타단 일부분은 외측을 향해 확장되는 형태로 연장되어 제1 손잡이를 형성하고, 작업자는 한 손의 손가락으로 상기 제1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나머지 손가락으로 제1 고정부(430)를 파지하여 제1 고정부(430)를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제1 레버(420)의 타측에는 일단은 제1 레버(420)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타측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는 커버부(422)가 형성된다.
회전축(421)은 제1 레버(420)의 일단 양측을 관통하면서 양단이 바디(210)의 일측에 위치한 힌지판(240, 250)들 각각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돌출부(424)는 제1 레버(420)가 홈(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레버(420)의 일단에서 관통공(15)을 지나 제1 중공(10)을 향해 돌출되고, 돌출된 형태는 상단을 향해 상대적으로 치우친 반원형태이다.
돌출부(424)의 양측면 사이에 해당하는 두께는 후술될 삽입부(600)의 삽입홈(660, 670)들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돌출부(424)가 제1 중공(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삽입부(600)의 제1 중공(10)에 대한 삽입이 제한된다.
가이드(426)는 제1 레버(420)가 홈(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레버(420)의 일단으로부터 하부 외측을 향해 돌출부(424)의 양측 사이에 해당하는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두께를 형성하며 반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돌출된다.
가이드(426)는 돌출부(424)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거리만큼 연장되고, 가이드(426)의 양측면 사이에 해당하는 두께는 후술 될 삽입부(600)의 삽입홈(66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다.
따라서, 제1 레버(420)의 회동으로 가이드(426)가 제1 중공(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삽입부(600)는 삽입홈(660)에 가이드(426)를 삽입시키면서 상부를 향해 이동하여 제1 중공(10)의 내부로 삽입이 가능하다.
제1 고정부(430)의 일단은 제1 레버(420)의 양측면에 회동축(438)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레버(420)의 연장방향과 수직하도록 바디부(2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 레버(420)와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고정부(430)의 타단 일부분은 회동축(438)보다 상대적으로 제1 레버(420)의 일단쪽에 위치한 제1 레버(420)의 외측면을 향해 연장되어 제1 레버(420)와 밀착되며 제1 레버(420)의 타단을 향해서만 탄성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430)는 제1 회동판(432), 제2 회동판(434), 연결판(436), 스프링(437) 및 회동축(438)을 포함한다.
제1 회동판(432)의 일단은 제1 레버(420)가 홈(30)에 삽입된 경우 제1 레버(420)의 일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하단 일부분은 고정판(270)의 타단과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바디(210)의 외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2 회동판(434)의 일단은 제1 레버(420)가 홈(30)에 삽입된 경우, 제1 레버(420)의 타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하단 일부분은 고정판(260)의 타단과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바디(210)의 외측을 향해 제1 회동판(432)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및 제2 회동판(432, 434)들 각각의 일단 일부분은 각각의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고정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회동축(438)보다 상대적으로 바디(210)에 인접한 위치에서 고정판(270, 260)들 각각과 밀착된다.
제2 회동판(434)의 일측 일부분은 타측을 향해 함몰되어 제2 회동판(434) 및 제1 레버(420) 사이에는 스프링(437)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연결판(436)의 일단은 제1 회동판(432) 및 제2 회동판(434)의 타단 사이를 연결하면서 제1 레버(420)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제1 레버(420)의 타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제1 레버(420)와 이격되면서 축소 연장되어 제1 레버(420)의 외측면을 향해 경사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연결판(436) 및 제1 레버(420) 사이에는 상부를 향해 확장되는 형태의 제1 공간이 형성되고, 제1 고정부(430)는 상기 제1 공간을 통해 제1 고정부(430)의 타단을 제1 레버(420)의 상부를 향해 회전이 가능하지만, 제1 고정부(430)의 타단의 하부를 향한 회전은 제한된다.
스프링(437)은 코일 스프링 형태로 제2 회동판(434) 및 제1 레버(42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회동판(432)의 일단, 제1 레버(420) 및 제2 회동판(434)의 일단을 관통하는 회동축(438)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스프링(437)의 일단은 제1 레버(420) 및 제2 회동판(43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지나 제2 회동판(434)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축(438)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2 회동판(434)과 밀착된다.
스프링(437)의 타단은 회동축(438)을 코일 형태로 둘러싸면서 제1 레버(420)를 향해 연장되고, 회동축(438)의 상부 및 커버부(422)의 사이에 고정되어 제1 고정부(430)의 타단을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제1 고정부(430)의 타단은 스프링(437)에 의해 하부를 향해 이동하는 탄성복원력이 발생한다.
제2 레버(440)의 일단은 바디(210) 타측의 힌지판(240, 250)들 각각의 사이에서 힌지판(240, 250)들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바디(210)의 일단을 향해 연장된다.
제2 레버(440)의 일단 일부분은 관통공(15)을 지나 제1 중공(10)의 내부로 반원 형태로 돌출되고, 제2 레버(440)의 타단이 바디(210)와 인접한 상태에서는 제2 레버(440)의 일단 일부분이 삽입부(600)가 제1 중공(10)으로 삽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반대로, 제2 레버(440)의 타단이 일단을 축으로 회동하여 바디(210)와 이격되고 하부를 향해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중공(10)에 삽입되는 제2 레버(440)의 일단 나머지 부분이 삽입부(600)의 타측 상단에 형성된 삽입홈(670)에 삽입이 가능하므로 삽입부(600)를 바디부(200)의 내부에 삽입이 가능하다.
제2 레버(440)의 타단 일부분은 외측을 향해 확장되는 형태로 연장되어 제2 손잡이를 형성하고, 작업자는 한 손의 손가락으로 상기 제2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나머지 손가락으로 제2 고정부(450)를 파지하여 제2 고정부(450)를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제2 레버(440)의 타측에는 일단은 제2 레버(440)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타측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는 커버부(442)가 형성된다.
회전축(441)은 제2 레버(440)의 일단 양측을 관통하면서 양단이 바디(210)의 타측에 위치한 힌지판(240, 250)들 각각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돌출부(444)는 제2 레버(440)가 홈(35)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레버(440)의 일단에서 관통공(15)을 지나 제1 중공(10)을 향해 돌출되고, 돌출된 형태는 상단을 향해 상대적으로 치우친 반원형태이다.
돌출부(444)의 양측면 사이에 해당하는 두께는 후술될 삽입부(600)의 삽입홈(660, 670)들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돌출부(444)가 제1 중공(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삽입부(600)의 제1 중공(10)에 대한 삽입이 제한된다.
가이드(446)는 제2 레버(440)가 홈(35)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레버(44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부(444)의 양측 사이에 해당하는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두께를 형성하며 하부 외측을 향해 반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돌출된다.
가이드(446)는 돌출부(444)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거리만큼 연장되고, 가이드(446)의 양측면 사이에 해당하는 두께는 후술 될 삽입부(600)의 삽입홈(67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다.
따라서,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의 회동으로 가이드(426, 446)들이 제1 중공(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삽입부(600)는 삽입홈(660, 670)들 각각에 가이드(426, 446)들 각각을 삽입시키면서 상부를 향해 이동하여 제1 중공(10)의 내부로 삽입이 가능하다.
제2 고정부(450)의 일단은 제2 레버(440)의 양측면에 회동축(458)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레버(440)의 연장방향과 수직하도록 바디부(2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 레버(440)와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고정부(450)의 타단 일부분은 회동축(458)보다 상대적으로 제2 레버(440)의 일단쪽에 위치한 제2 레버(440)의 외측면을 향해 연장되어 제2 레버(440)와 밀착되며 제2 레버(440)의 타단을 향해서만 탄성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450)는 제1 회동판(452), 제2 회동판(454), 연결판(456), 스프링(457) 및 회동축(458)을 포함한다.
제1 회동판(452)의 일단은 제2 레버(440)가 홈(35)에 삽입된 경우 제2 레버(440)의 일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하단 일부분은 고정판(260)의 타단과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바디(210)의 외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2 회동판(454)의 일단은 제2 레버(440)가 홈(35)에 삽입된 경우, 제2 레버(440)의 타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하단 일부분은 고정판(270)의 타단과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바디(210)의 외측을 향해 제1 회동판(452)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및 제2 회동판(452, 454)들 각각의 일단 일부분은 각각의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고정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회동축(458)보다 상대적으로 바디(210)에 인접한 위치에서 고정판(260, 270)들 각각과 밀착된다.
제2 회동판(454)의 일측 일부분은 타측을 향해 함몰되어 제2 회동판(454) 및 제2 레버(440) 사이에는 스프링(457)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연결판(456)의 일단은 제1 회동판(452) 및 제2 회동판(454)의 타단 사이를 연결하면서 제2 레버(440)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제2 레버(440)의 타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제2 레버(440)와 이격되면서 축소 연장되어 제2 레버(440)의 외측면을 향해 경사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연결판(456) 및 제2 레버(440) 사이에는 상부를 향해 확장되는 형태의 제2 공간이 형성되고, 제2 고정부(450)는 상기 제2 공간을 통해 제2 고정부(450)의 타단을 제2 레버(440)의 상부를 향해 회전이 가능하지만, 제2 고정부(450)의 타단의 하부를 향한 회전은 제한된다.
스프링(457)은 코일 스프링 형태로 제2 회동판(454) 및 제2 레버(44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회동판(452)의 일단, 제2 레버(440) 및 제2 회동판(454)의 일단을 관통하는 회동축(458)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스프링(457)의 일단은 제2 레버(440) 및 제2 회동판(45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제2 회동판(454)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축(458)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2 회동판(454)과 밀착된다.
스프링(457)의 타단은 회동축(458)을 코일 형태로 둘러싸면서 제2 레버(440)를 향해 연장되고, 회동축(458)의 상부 및 커버부(442)의 사이에 고정되어 제2 고정부(450)의 타단을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제2 고정부(450)의 타단은 스프링(457)에 의해 하부를 향해 이동하는 탄성복원력이 발생한다.
한편,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 각각의 양측에는 제1 고정부(430) 및 제2 고정부(450)들 각각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 각각을 관통하는 고정홈(40, 45)들이 각각 형성된다.
고정홈(40, 45)들 각각은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 각각이 홈(30, 35)들 각각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홈(40, 45)들 각각의 양측에 배치되는 고정판(260, 270)들 각각을 관통하는 홀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 각각을 홈(30, 35)들 각각에 삽입한 후 핀(1)의 일부를 고정판(260) 또는 고정판(270)에서 고정홈(40, 45)들 각각에 삽입시켜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이 홈(30, 35)들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고정부(430)의 제1 회동판(432), 제2 회동판(434) 및 연결판(436)은 서로 연결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제2 고정부(450)의 제1 회동판(452), 제2 회동판(454) 및 연결판(456)은 서로 연결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삽입부(600)는 바디(610), 연결부(620), 스토퍼(640) 및 돌기(650, 655)들을 포함한다.
삽입부(600)는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 각각의 회동으로 돌출부(424, 444)들 각각이 바디부(200)의 외부로 이동하고, 가이드(426, 446)들이 제1 중공(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중공(10)의 내부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바디(610)는 상부에 해당하는 일단에서 하부에 해당하는 타단을 향해 내부의 제2 중공(20)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디(610)의 일단과 이격된 위치에 해당하는 바디(610)의 외측 중앙에는 슬라이딩홈(630)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홈(630)은 바디(610)의 외측면 중앙에서 제2 중공(20)을 향해 함몰되어 바디(61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구체적으로는 단면이 반원 형태인 링 형태로 형성된다.
연결부(620)는 바디(610)의 타단에 연결되고, 내부공간이 제2 통공(20)와 연결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에 복수의 걸림턱들이 형성되거나 나사산이 형성되어 튜브 또는 파이프와 연결될 수 있다.
스토퍼(640)는 바디(610)의 타단에서 외측을 향해 환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삽입부(600)의 중앙을 둘러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돌기(650, 655)들 각각은 삽입부(600)의 양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스토퍼(640)의 상부면에서 각각 상부를 향해 돌출된다.
삽입홈(660, 670)들 각각은 삽입부(600)의 양측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바디(610)의 일단 외측면에 형성되고, 바디(610)의 일단 외측면 일부분이 제2 중공(20)을 향해 함몰되어 슬라이딩홈(630)과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삽입홈(660, 670)들 각각의 하부는 직육면체 형태로 제2 중공(20)을 향해 함몰되고, 상단은 상부를 향해 확장되는 깔때기 형태로 제2 중공(20)을 향해 함몰되어, 삽입부(600)가 제1 중공(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가이드(426, 446)들 각각이 삽입홈(660, 670)들 각각으로 삽입되도록 유도한다.
도 6은 도 1의 결속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정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삽입부가 바디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1의 바디부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에서 삽입부가 바디부에 삽입되는 과정 중 결속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절개도들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A' 및 'B'들 각각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들을 도시한다.
도 5 내지 9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426, 446)들 각각의 두께는 삽입홈(660, 670)들 각각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삽입부(600)가 바디부(200)의 제1 중공(10)으로 삽입되기 전에,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 각각의 타단은 회전축(421, 441)들 각각을 축으로 하부를 향해 이동하여 가이드(426, 446)들 각각을 제1 중공(10)으로 삽입된다.
가이드(426, 446)들 각각이 제1 중공(10)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부(600)를 바디부(200)의 타단에서 제1 중공(10)으로 삽입시키면, 가이드(426, 446)들 각각은 접근하는 바디(610)의 일단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660, 670)들 각각에 삽입되고, 바디(610)의 일단은 가이드(426, 446)들을 지나 바디(210) 내부에 배치된 오링(280) 및 가이드(426, 446)들 사이에 배치된다.
도 1, 7 및 8들을 참조하면, 바디(610)의 일단은 가이드(426, 446)들을 지나 오링(280) 및 가이드(426, 446)들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돌기(650, 655)들 각각은 걸림턱(230, 235)들 각각과 접촉되고, 바디(610)의 일단은 오링(280)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돌기(650, 655)들 각각이 걸림턱(230, 235)들 각각과 접촉된 상태에서 바디(610)의 슬라이딩홈(630)은 바디(210) 양측의 관통공(15)들을 통해 일부분만이 외부로 노출되고, 바디(610)의 일단은 및 관통공(15)들 각각의 상부에 해당하는 바디(210)의 내측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돌기(650, 655)들 각각이 걸림턱(230, 235)들 각각과 접촉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 각각의 타단이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돌출부(424, 444)들 각각은 바디(610)의 일단 외측면에 의해 제1 중공(10) 및 슬라이딩홈(630)으로 삽입되는 구동이 제한된다.
또한, 돌기(650, 655)들 각각이 걸림턱(230, 235)들 각각과 접촉된 상태에서 바디(610)의 상부에 해당하는 공간인 제1 중공(10)의 일부분은 관통공(15)들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어 이중 잠금 장치(10) 내부의 이송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650, 655)들 및 걸림턱(230, 235)들을 통해 삽입홈(660, 670)들 각각이 가이드(426, 446)들 각각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여 삽입부(600)가 바디부(200)에서 분리가 용이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의 구동을 통해 삽입부(600)의 체결이 제한되므로, 돌기(650, 655)들 및 걸림턱(230, 235)들이 없는 상태에서 삽입부(600) 및 바디부(200)가 체결되고, 제1 중공(10)이 고압 상태일 경우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의 회동으로 삽입부(600)가 바디부(200)에서 급속하게 이탈하며 사고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8 및 9들을 참조하면, 삽입부(600)가 바디부(20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해당 작업자는 삽입부(600)의 하단부를 잡고 일 방향으로 삽입부(600)를 회전시켜 돌기(650, 655)들 각각과 걸림턱(230, 235)들 각각을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시킨다.
돌기(650, 655)들 각각과 걸림턱(230, 235)들 각각이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돌기(650, 655)들 각각 및 바디(210)의 타단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을 통해 바디(610)의 상승이 가능하고, 바디(610)의 상승을 통해 바디(610)의 일단은 오링(280)과 밀착된다.
바디(610)의 일단이 오링(280)과 밀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 각각의 타단을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키면, 돌출부(424, 444)들 각각이 관통공(15)들을 통해 슬라이딩홈(63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홈(630)의 상부에 위치하는 바디(610)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그리고 돌출부(424, 444)들 각각이 슬라이딩홈(630)에서 바디(610)의 양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 각각의 타단을 상부를 향해 이동시켜 홈(30, 35)들 각각에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 각각을 삽입시키면, 돌출부(424, 444)들 각각의 상단은 회전하면서 바디(610)를 상부를 향해 이동시킨다.
걸림턱(230, 235)들 각각의 저면 및 오링(280)의 저면 사이의 거리는 스토퍼(640)의 상부면 및 바디(610)의 일단 상부면 사이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돌출부(424, 444)들 각각의 회동으로 바디(610)의 일단은 오링(280)의 저면을 압박하면서 상부를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 각각이 홈(30, 35)들 각각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바디(610)의 외측면은 바디(21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바디(610)의 일단이 오링(280)을 압박하여 바디(610)의 일단 및 오링(280) 사이의 접착력이 증가하며, 제1 중공(10)의 밀폐력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6들을 참조하면, 제1 레버(420)가 홈(30)에 삽입되기 전에는, 제1 및 제2 회동판(432, 434)들 각각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들 각각은 고정판(270, 260)들 각각과 밀착된다.
그리고 제1 레버(420)가 홈(3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회동판(432, 434)들 각각의 고정돌기들 각각은 회동축(438)을 축으로 고정판(270, 260)들 각각의 외측 상단을 향해 정회전하며 이동한다.
제1 및 제2 회동판(432, 434)들 각각의 고정돌기들이 정회전하면서, 스프링(437)의 일단의 제2 회동판(434)에 대한 탄성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제1 레버(420)가 홈(30)에 삽입되면 회동축(438)이 상대적으로 상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회동판(432, 434)들 각각의 고정돌기들은 스프링(437)의 탄성으로 원위치로 이동하면서 고정판(270, 260)들 각각의 상부에 안착한다.
연결판(436)의 일단이 제1 레버(420)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고정판(270, 260)들 각각의 상부에 밀착된 제1 및 제2 회동판(432, 434)들 각각의 고정돌기들은 회동축(438)을 축으로 역회전이 불가능하므로 제1 레버(420)가 홈(30)을 이탈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작업자는 고정판(270, 260)들 각각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공들 및 제1 레버(420)에 형성된 고정홈(40)을 관통하는 핀(1)을 통해 제1 레버(420)를 이중으로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반면에, 작업자가 제1 및 제2 회동판(432, 434)들 또는 연결판(436)을 파지하고 제1 및 제2 회동판(432, 434)들 또는 연결판(436)을 회동축(438)을 축으로 상부를 향해 정회전시키면 제1 및 제2 회동판(432, 434)들 각각의 고정돌기들이 정회전을 통해 고정판(270, 260)들 각각과 분리되면서 제1 레버(420)를 홈(30)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반대로, 제2 레버(440)가 홈(35)에 삽입되기 전에는, 제1 및 제2 회동판(452, 454)들 각각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들 각각은 바디(210)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판(260, 270)들 각각과 밀착된다.
그리고 제2 레버(440)가 홈(35)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회동판(452, 454)들 각각의 고정돌기들 각각은 회동축(458)을 축으로 바디(210)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판(260, 270)들 각각의 외측 상단을 향해 정회전하며 이동한다.
제1 및 제2 회동판(452, 454)들 각각의 고정돌기들이 정회전하면서, 스프링(457)의 일단의 제2 회동판(454)에 대한 탄성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제2 레버(440)가 홈(35)에 삽입되면 회동축(458)이 상대적으로 상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회동판(452, 454)들 각각의 고정돌기들은 스프링(457)의 탄성으로 원위치로 이동하면서 바디(210)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판(260, 270)들 각각의 상부에 안착한다.
연결판(456)의 일단이 제2 레버(440)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바디(210)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판(260, 270)들 각각의 상부에 밀착된 제1 및 제2 회동판(452, 454)들 각각의 고정돌기들은 회동축(458)을 축으로 역회전이 불가능하므로 제2 레버(440)가 홈(35)을 이탈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작업자는 바디(210)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판(260, 270)들 각각의 상단을 관통하는 관통공들 및 제2 레버(440)에 형성된 고정홈(45)을 관통하는 핀(1)을 통해 제2 레버(440)를 이중으로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반면에, 작업자가 제1 및 제2 회동판(452, 454)들 또는 연결판(456)을 파지하고 제1 및 제2 회동판(452, 454)들 또는 연결판(456)을 회동축(458)을 축으로 상부를 향해 정회전시키면 제1 및 제2 회동판(452, 454)들 각각의 고정돌기들이 정회전을 통해 고정판(260, 270)들 각각과 분리되면서 제2 레버(440)를 홈(35)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중 잠금 장치(100)는 바디부(200) 및 삽입부(600)가 결속부(400)를 통해 결속된 상태에서 핀(1), 제1 및 제2 고정부(430, 450)들을 통해 이중으로 바디부(200) 및 삽입부(600)의 결합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핀(1)을 결속부(40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고정부(430, 450)들 각각이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의 홈(30, 35)에서의 급격한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개선되고, 육안으로 제1 중공(10)에서 삽입부(600) 또는 바디부(200)에 대한 압력이 작용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426, 446)들 및 돌출부(424, 444)들은, 작업자가 제1 및 제2 고정부(430, 450)의 구동으로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 각각을 홈(30, 35)들 각각에서 분리시키는 경우, 바디(610) 일단의 하강을 차단하여 제1 중공(10)에 수용된 고압의 이송물에 의해 삽입부(600)가 급속히 바디부(20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제1 및 제2 고정부(430, 450)의 구동으로 제1 및 제2 레버(420, 440)들 각각을 홈(30, 35)들 각각에서 분리시키는 경우, 바디(610)는 소정의 거리만큼 하부를 향해 이동한 후 가이드(426, 446)들 및 돌출부(424, 444)들을 통해 하강에 제한되고, 제1 중공(10) 및 관통공(15)들이 서로 연결되어 안전하게 제1 중공(10)의 고압 상태가 해제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돌기(650, 655)들 및 걸림턱(230, 235)들을 통해 바디(610)의 일단이 오링(280)과 이격된 상태에서는 관통공(15)들을 통해 제1 중공(10)으로 유입되는 이송물이 외부로 유출되므로 해당 작업자는 삽입부(600) 및 바디부(200)의 체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하므로 삽입부(600) 및 바디부(200)의 체결 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잠금 장치의 제1 고정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잠금 장치(120)는 결속부(400)의 제1 고정부(48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9들의 이중 잠금 장치(12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잠금 장치(120)는 제1 고정부(480)를 포함한다.
이중 잠금 장치(120)는 제1 고정부(480)의 연결판(436) 및 제1 레버(4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침착 또는 고정될 수 있는 이물질에 의해 제1 고정부(480)의 회동이 제한되고, 삽입부(600) 및 바디부(200)의 분리가 불가능한 상태에서 편리하고 신속하게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여 삽입부(600)의 분리가 용이하다.
제1 고정부(480)는 탄성판(482), 가이드바(484), 가이드바(486) 및 고정파(487)를 더 포함한다.
제1 고정부(480)의 일단은 제1 레버(420)의 양측면에 회동축(438)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레버(420)의 연장방향과 수직하도록 바디부(2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 레버(420)와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고정부(480)의 타단 일부분은 회동축(438)보다 상대적으로 제1 레버(420)의 일단쪽에 위치한 제1 레버(420)의 외측면을 향해 연장되어 제1 레버(420)와 밀착되며 제1 레버(420)의 타단을 향해 탄성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고정부(480)의 타단 및 제1 레버(420)의 사이에는 일단은 제1 레버(420)의 외측면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면결합되고 제1 레버(420)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은 제1 고정부(480)의 타단을 향해 절곡되어 제1 고정부(480)의 타단과 밀착되는 탄성판(482)이 형성된다.
탄성판(482)의 타단은 탄성판(482)의 일단을 향한 탄성 절곡 구동을 통해 제1 고정부(480)의 타단의 제1 레버(420)의 타단을 향한 회동 과정에서 스프링(437)과 별도로 제1 고정부(480)의 타단의 헐거운 회동을 방지한다.
또한, 탄성판(482)에 상기 이물질이 접착 또는 고정된 경우, 작업자는 탄성판(482)을 제1 레버(420)로부터 분리시켜 편리하게 상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잠금 장치(120)는 제1 고정부(480)의 타단 및 제1 레버(420) 사이의 공간에 상기 이물질이 접착된 상태에서 편리하게 탄성판(482)을 제1 레버(420)에서 분리시켜 제1 고정부(480)의 작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판(482)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레버(420) 및 연결판(436) 사이의 공간에서 제1 레버(420)와 면결합되고, 타단은 제1 레버(420)의 일단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 연결판(436)의 일단과 밀착된 상태에서 절곡되어 연결판(436)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결판(436)의 타단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탄성판(482)의 타단이 탄성판(482)의 일단과 평행을 유지하기 위해 복원하려는 탄성력을 연결판(436)에 지속적으로 가하는 상태에서, 탄성판(482)의 일단 양측에는 탄성판(482)의 일단 양측 일부분을 둘러싸며 제1 레버(420)와 결합되는 가이드바(484, 486)들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판(482)의 일단은 가이드바(484, 486)들을 통해 제1 레버(420)의 일단 또는 타단을 향해 제1 레버(420)와 밀착되며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고정바(487)는 가이드바(484, 486)들 각각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어 고정바(487) 및 가이드바(484, 486)들의 상단 일부를 관통하는 핀을 통해 가이드바(484, 486)들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고정바(487)는 가이드바(484, 486)들과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판(482)이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탄성판(482)의 타단이 절곡된 상태로 연결판(436)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제2 고정부(450)의 경우 제1 고정부(480)의 탄성판(482), 가이드바(484), 고정바(487) 및 가이드바(486)들이 부착될 수 있고, 탄성판(482)은 스프링(437)을 이중 잠금 장치(120)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스프링(437)을 대신하여 단독으로 제1 고정부(480) 또는 제2 고정부(45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이중 잠금 장치
200: 바디부 400: 결속부
600: 삽입부

Claims (9)

  1. 일단 및 타단을 향해 개방된 제1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1 중공과 연결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판들이 형성되는 바디부;
    일단 및 타단을 향해 개방된 제2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 및
    일단은 상기 고정판들 사이에서 상기 바디부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단 일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1 중공으로 연장되어 돌출부를 형성하며, 타단은 상기 바디부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레버의 회동을 통한 상기 돌출부의 압박에 의해 상기 바디부와 결속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레버를 둘러싸며 상기 레버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들과 밀착되어 상기 레버를 상기 고정판들 사이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단은 상기 레버의 양측을 관통하는 회동축과 결합되면서 상기 회동축보다 상기 바디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들과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레버의 연장방향에 수직하게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버와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며, 타단 일부는 상기 레버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레버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일단 일측 끝단에 형성된 삽입홈 및 일단과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제1 중공을 향해 함몰되고 상기 삽입홈과 연결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단은,
    상기 돌출부의 반대쪽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레버들의 회동으로 상기 제1 중공에 삽입되는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홈을 통해 상기 가이드를 지나 상기 제1 중공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가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를 회전시켜 상기 삽입부를 상기 바디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중앙에 외측을 향해 환 형태로 돌출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에서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가이드와 인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바디부의 타단에서 상기 바디부의 타단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턱 및 상기 제1 중공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오링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 및 걸림턱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부분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레버의 회동을 통한 상기 돌출부의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한 삽입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가 회전하고 상기 바디부로 이동하면 상기 돌기는 상기 걸림턱과 분리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가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바디부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중공은 상기 관통공 및 상기 삽입부의 일단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레버의 외측 및 상기 고정부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레버와 플레이트 형태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탄성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탄성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 장치.










KR1020180156634A 2018-12-07 2018-12-07 연결용 이중 잠금 장치 KR102161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634A KR102161490B1 (ko) 2018-12-07 2018-12-07 연결용 이중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634A KR102161490B1 (ko) 2018-12-07 2018-12-07 연결용 이중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517A true KR20200069517A (ko) 2020-06-17
KR102161490B1 KR102161490B1 (ko) 2020-10-08

Family

ID=7140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634A KR102161490B1 (ko) 2018-12-07 2018-12-07 연결용 이중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4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218B1 (ko) * 2008-11-12 2011-09-28 이재진 드레인 밸브를 구비하는 캠-록킹형 커플링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218B1 (ko) * 2008-11-12 2011-09-28 이재진 드레인 밸브를 구비하는 캠-록킹형 커플링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490B1 (ko)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5099B2 (en) Double cam levers and safety lock for cam lock fitting
KR101861790B1 (ko) 유체-운송 라인의 연결을 위한 커플링
US10473249B1 (en) Double cam levers and safety lock for cam lock fitting
US7216679B2 (en) Cable tie tool having modular tool head
CA1315115C (en) Bung plug locking device
US11131413B2 (en) Rotating female portion and ergonomic safety lock for cam lock fitting
US9522462B2 (en) Flange gasket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125279B1 (ko) 커플링 장치
US11187363B2 (en) Cam lock fitting with vent and safety lock
CA2722604A1 (en) Spring-loaded rod handling device
US11221095B2 (en) Ergonomic safety lock for cam lock fitting
US10557581B1 (en) Ergonomic safety lock for cam lock fitting
KR20200069517A (ko) 연결용 이중 잠금 장치
KR101821229B1 (ko) 배관 피팅용 고정 장치
US11408546B2 (en) Cam lock fitting with vent and safety lock
AU2019431464A1 (en) Ergonomic safety lock for cam lock fitting
US20030081992A1 (en) Threaded closure with chain binder
EP3875823B1 (en) Fluid conduit interlock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KR102125701B1 (ko) 풀스터드용 체결기구
EP3507533B1 (en) Safety cam lock fitting and method
JP5436157B2 (ja) 管継手
US10367303B1 (en) Zip-locker receiver apparatus
GB2524969A (en) Pipeline breakaway coupling assembly
JP5627073B2 (ja) 防錆装置
WO2015088031A1 (ja) キャップ脱着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