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501A -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501A
KR20200069501A KR1020180156610A KR20180156610A KR20200069501A KR 20200069501 A KR20200069501 A KR 20200069501A KR 1020180156610 A KR1020180156610 A KR 1020180156610A KR 20180156610 A KR20180156610 A KR 20180156610A KR 20200069501 A KR20200069501 A KR 20200069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connector
housing
electron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4281B1 (ko
Inventor
석만호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6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2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 개방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안테나가 형성된 안테나 패널을 구비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ELECTRONIC CONTROL DEVICE HAVING 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안테나를 하우징에 결합하는 커넥터부에 일체화시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에 대한 것이다.
제어를 위한 전자 소자와 상기 전자 소자가 장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제어 장치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장치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의 전자 제어 장치가 탑재된다. 이러한 전자 제어 장치는 차량의 각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 또는 스위치 등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이렇게 제공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차량의 승차감 및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거나,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각종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전자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통상적으로 전자 제어 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 PCB)과, 외부의 소켓 연결을 위해 상기 회로 기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넥터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자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외부와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이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9068호(2010.04.15. 공개)는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과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에 있어서, 안테나를 내장하는 제어 유닛을 개시한다.
그런데, 종래 안테나를 내장하는 전자 제어 장치의 경우, 안테나를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하고 하우징 내에 장착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을 구비하여야 하고 이를 하우징에 내장하여야 하므로 장치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테나를 커넥터부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하고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하는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측에 개방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안테나가 형성된 안테나 패널을 구비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에 결합하는 장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널은 상기 장착 커버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테나 패널은 상기 하우징의 벽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내외부가 관통된 통공과 상기 통공을 덮는 통기성 필름이 구비되어 압력 보정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안테나 패널은 상기 압력 보정장치의 외측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커넥터부에 구비된 커넥터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커넥터 핀을 통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안테나 패널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제 1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제 1 인쇄 회로 기판의 일측과 기판 연결부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인쇄 회로 기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 1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핀과 상기 제 2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제 2 커넥터 핀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의 커넥터 외측 커버는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제 2 인쇄 회로 기판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상기 제 2 커넥터 핀의 제 2 커넥터 내측핀의 길이는 상기 제 1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상기 제 1 커넥터 핀의 제 1 커넥터 내측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부에 안테나를 일체화시키고, 커넥터부의 커넥터 핀을 통해 하우징에 내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과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안테나를 위한 별도의 기판을 하우징 내에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자 제어 장치의 구조와 조립 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원가 절감을 도모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커넥터부와 인쇄 회로 기판이 결합된 조립체의 단면도(도 2의 C-C'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커넥터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개방부에 커넥터를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커넥터부와 인쇄 회로 기판이 결합된 조립체의 단면도(도 2의 C-C' 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부(11)를 통해 삽입되는 인쇄 회로 기판(20)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결합하는 커넥터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30)에는 안테나 패널(34)이 구비된다.
하우징(10)은 일측에 개방부(11)가 형성된 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개방부(11)의 테두리는 커넥터 결합부(12)를 형성한다. 커넥터 결합부(12)는 제 1 내지 제 4 커넥터 결합부(12a, 12b, 12c, 12d)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의 개방부(11) 외측의 커넥터 결합부(12)는 상부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 1 커넥터 결합부(12a)와 하부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 2 커넥터 결합부(12b) 및 양 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 3, 제 4 커넥터 결합부(12c, 12d)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양 측면에는 하우징(10)에 삽입되는 인쇄 회로 기판(20)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14, 16)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20)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14, 16)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의 갯수에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20)이 상부의 제 1 인쇄 회로 기판(22)과 하부의 제 2 인쇄 회로 기판(24)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경우, 하우징(10)의 측면에는 위쪽의 제 1 가이드부(14)와 아래쪽의 제 2 가이드부(16)를 포함한다.
하우징(10)에는 내외부가 관통된 통공(13a)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3a)을 덮도록 통기성 필름(13b)이 부착될 수 있다. 통기성 필름(13b)은 기체의 투과를 허용하는 필름일 수 있다. 통공(13a)과 통기성 필름(13b)은 하우징(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보정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커넥터부(30)가 하우징(10)에 결합하는 경우, 안테나 패널(34)은 통공(13a)과 통기성 필름(13b)을 덮어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패널(34)과 하우징(10)의 벽면 사이는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어 상기 통공(13a)으로의 공기 흐름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20)은 상부의 제 1 인쇄 회로 기판(22)과 하부의 제 2 인쇄 회로 기판(24)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쇄 회로 기판(22)과 제 2 인쇄 회로 기판(24)의 일측에는 커넥터부(30)가 결합된다. 또한, 커넥터부(30)가 결합된 부분의 반대편에서, 제 1 인쇄 회로 기판(22)과 제 2 인쇄 회로 기판(24)을 연결하는 기판 연결부(26)가 구비된다. 기판 연결부(26)는 플렉서블 또는 벤더블(flexible or bendable)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부(30)는 하우징(10)의 개방부(11)를 폐쇄하며 커넥터 결합부(12)에 결합하는 장착 커버(32)와, 상기 장착 커버(32)에 결합되고 내부에 커넥터 핀(42, 44)을 구비하는 커넥터 외측 커버(4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외측 커버(40)는 두 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커넥터 외측 커버(40)는 하나만 구비되거나 3개 이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에 있어서, 커넥터부(30)에 구비되는 커넥터 외측 커버(40)는 위쪽을 향하도록(즉, 인쇄 회로 기판(22, 24)의 삽입 방향과 대략 직각 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된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외측 커버(40)는 도 1에서 우측 방향을 향하도록(즉, 인쇄 회로 기판(22, 24)의 삽입 방향과 대략 180도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커넥터부(30)에는 외부 장치와 인쇄 회로 기판(22, 2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핀(42, 44)이 구비되는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커넥터 핀(42)은 제 1 인쇄 회로 기판(22)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제 2 커넥터 핀(44)은 제 2 인쇄 회로 기판(24)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인쇄 회로 기판(22)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피홀(2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 2 인쇄 회로 기판(24)에 실장되는 전자 소자의 높이가 제 1 인쇄 회로 기판(22)과 제 2 인쇄 회로 기판(24)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경우, 높이가 큰 전자 소자를 제 2 인쇄 회로 기판(24)에 실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 2 인쇄 회로 기판(24)에 실장된 전자 소자는 상기 회피홀(28)을 통해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커넥터부(30)에는 안테나 패널(34)이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패널(34)은 커넥터부(30)의 장착 커버(32)로부터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커넥터부(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패널(34)은 하우징(10)의 일측 벽체의 외측을 덮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20)은, 제 1 인쇄 회로 기판(22)과 제 2 인쇄 회로 기판(24) 및 이들을 연결하는 기판 연결부(26)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인쇄 회로 기판(22)은 제 2 인쇄 회로 기판(24)의 길이(도 3에서 좌측에서 우측까지의 길이)가 더 짧다.
한편, 커넥터부(30)는 제 1 인쇄 회로 기판(22)과 제 2 인쇄 회로 기판(24)에 대략 수직한 방향에서 상기 제 1 인쇄 회로 기판(22)과 제 2 인쇄 회로 기판24)에 결합한다. 커넥터부(30)에 구비된 커넥터 외측 커버(40)는 대략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커넥터 외측 커버(40)의 내부에 구비된 제 1 커넥터 핀(42)은 제 1 인쇄 회로 기판(22)에 연결되고, 제 2 커넥터 핀(44)은 제 2 인쇄 회로 기판(24)에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커넥터 핀(42)은 제 1 인쇄 회로 기판(22)에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내측핀(42b)과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커넥터 외측핀(42a)을 구비하고, 제 2 커넥터 핀(44)은 제 2 인쇄 회로 기판(24)에 연결되는 제 2 커넥터 내측핀(44b)과 외부로 노출되는 제 2 커넥터 외측핀(44a)을 포함한다.
제 1 인쇄 회로 기판(22)이 제 2 인쇄 회로 기판(24)보다 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 1 커넥터 내측핀(42b)의 길이는 제 2 커넥터 내측핀(44b)의 길이보다 짧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 내측핀(42b)과 상기 제 2 커넥터 내측핀(44b)은 각각 제 1 인쇄 회로 기판(22)과 제 2 인쇄 회로 기판(24)에 프레스핏(press-fit)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커넥터부의 사시도이다.
도 4에서의 커넥터부(30)는 도 1과 비교할 때, 커넥터부(30)의 저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하여 나타낸 것이다. 커넥터부(30)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안테나 패널(34)에는 안테나 패턴(36)이 구비된다. 안테나 패턴(36)은 필름 형태로 제작된 후 안테나 패널(34)의 저면에 부착되거나, 전도성 도료를 이용하여 형성되거나, 증착 등의 방법으로 안테나 패널(34)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36)의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내측핀(42b, 44b)과 연결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22, 24)에 실장되는 전자 소자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 패턴(36)의 제 1 단부(36a)와 제 2 단부(36b)를 연결 도선(38a, 38b)을 통해 특정 커넥터 내측핀(42b, 44b)과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연결 도선(38a, 38b)을 별도로 구비하는 외에, 상기 연결 도선(38a, 38b)은 커넥터 내측핀(42b, 44b)의 일측 단부를 안테나 패턴(36)의 단부(36a, 36b) 측으로 노출시킴으로써 대체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커넥터부(30)를 하우징(10)에 결합시키면 안테나 패널(34)은 하우징(10)의 일측 벽면을 덮는 형태로 구비된다. 안테나 패널(34)의 저면에 안테나 패턴(36)이 형성되는 경우, 안테나 패널(34)은 전자기파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10) 전체 또는 안테나 패널(34)이 위치하는 측의 하우징(10)의 벽면은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전자기파 차폐를 위한 구성(전자기파 차폐 필름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하우징(10)에 내장되는 전자 부품을 전자기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부(14, 16)는 단차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10)의 개방부(11)에서 먼 쪽에서부터 가까운 쪽으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부(14, 16)의 폭은 넓어질 수 있다. 즉,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부(14, 16)는 가장 폭이 넓은 제 1 가이드단(14a, 16a), 제 1 가이드단(14a, 14b)에서 단차를 이루며 폭이 작아진 제 2 가이드단(14b, 16b) 및 제 2 가이드단(14b, 16b)에서 단차를 이루며 폭이 더 작아진 제 3 가이드단(14c, 16c)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4, 16)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 1 및 제 2 인쇄 회로 기판(22, 24)은 가장 폭이 넓은 제 1 부분(22a, 24a), 제 1 부분(22a, 24a)보다 폭이 작은 제 2 부분(22b, 22c), 및 제 2 부분(22b, 22c)보다 폭이 작은 제 3 부분(22c, 24c)으로 단차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20)이 하우징(10)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서의 A-A' 방향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양측면에는 제 1 가이드부(14)와 제 2 가이드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14)와 상기 제 2 가이드부(16)의 사이에는 오목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18)에 의해 제 1 가이드부(14)와 제 2 가이드부(16)가 상하로 분리되며, 제 1 가이드부(14)에는 제 1 인쇄 회로 기판(22)이 삽입되고 제 2 가이드부(16)에는 제 2 인쇄 회로 기판(24)이 삽입된다.
한편, 제 1 가이드부(14)와 제 2 가이드부(16)에는 제 1 인쇄 회로 기판(22)과 제 2 인쇄 회로 기판(24)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 돌기(19)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돌기(19)는 제 1 또는 제 2 인쇄 회로 기판(22, 24)을 가압하여 하우징(10) 내부에서 흔들림없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압 돌기(19)는 가이드부(14, 16) 내부에 별도의 구조물을 삽입하여 형성하거나, 상기 가이드부(14, 16)의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형성하거나, 상기 인쇄 회로 기판(22, 24)에 부착하여 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가이드부(14, 16)가 제 1 가이드단(14a, 16a), 제 2 가이드단(14b, 16b) 및 제 3 가이드단(14c, 16c)으로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인쇄 회로 기판(22, 24)이 제 1 부분(22a, 24a), 제 2 부분(22b, 22c) 및 제 3 부분(22c, 24c)으로 형성됨에 따라 단차진 부분에서 대응되게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이러한 단차진 결합 구성에 의하여 인쇄 회로 기판(20)의 하우징(10)으로의 삽입 정도가 제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개방부에 커넥터를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커넥터부(30)를 하우징(10)에 결합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하우징(10)의 개방부(11) 외측의 커넥터 결합부(12) 중 양 측에 형성되는 제 3, 제 4 커넥터 결합부(12c, 12d)는 대략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커넥터부(30)의 장착 커버(32)의 양 측도 상기 제 3, 4 커넥터 결합부(12c, 12d)의 형상에 따라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커넥터부(30)의 커넥터 외측 커버(40)가 종전과 달리 인쇄 회로 기판의 삽입방향과 180도보다 작은 각도(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90도)를 이루며 형성되므로, 커넥터부(30)와 하우징(10) 간의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 3 커넥터 결합부(12c)를 예로 들면(제 4 커넥터 결합부(12d)도 제 3 커넥터 결합부(12c)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음), 제 3 커넥터 결합부(12c)는 대략 수직으로 수하하는 제 1 결합부분(12c1)과, 상기 제 1 결합부분(12c1)에서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결합부분(12c2)과, 상기 제 2 결합부분(12c2)에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수하하는 제 3 결합부분(12c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 커버(32)의 측면부는 제 1 수직부(32a), 사선부(32b) 및 제 2 수직부(32c)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전자 제어 장치
10 : 하우징
12 : 커넥터 결합부
14 : 제 1 가이드부
16 : 제 2 가이드부
18 : 오목부
20 : 인쇄 회로 기판
22 : 제 1 인쇄 회로 기판
24 : 제 2 인쇄 회로 기판
26 : 기판 연결부
28 : 회피홀
30 : 커넥터부
32 : 장착 커버
34 : 안테나 패널
40 : 커넥터 외측 커버
42 : 제 1 커넥터 핀
44 : 제 2 커넥터 핀

Claims (8)

  1. 일측에 개방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안테나가 형성된 안테나 패널을 구비하는 커넥터부;
    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에 결합하는 장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널은 상기 장착 커버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널은 상기 하우징의 벽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내외부가 관통된 통공과 상기 통공을 덮는 통기성 필름이 구비되어 압력 보정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안테나 패널은 상기 압력 보정장치의 외측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커넥터부에 구비된 커넥터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커넥터 핀을 통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안테나 패널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제 1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제 1 인쇄 회로 기판의 일측과 기판 연결부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인쇄 회로 기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 1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핀과 상기 제 2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제 2 커넥터 핀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의 커넥터 외측 커버는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제 2 인쇄 회로 기판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상기 제 2 커넥터 핀의 제 2 커넥터 내측핀의 길이는 상기 제 1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상기 제 1 커넥터 핀의 제 1 커넥터 내측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KR1020180156610A 2018-12-07 2018-12-07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KR102154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610A KR102154281B1 (ko) 2018-12-07 2018-12-07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610A KR102154281B1 (ko) 2018-12-07 2018-12-07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501A true KR20200069501A (ko) 2020-06-17
KR102154281B1 KR102154281B1 (ko) 2020-09-09

Family

ID=7140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610A KR102154281B1 (ko) 2018-12-07 2018-12-07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2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6034A1 (de) * 2021-05-25 2022-11-30 Robert Bosch GmbH Steckverbinder für ein elektronisches steuergerät und steuergerä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7622A (ja) * 2004-05-14 2005-11-24 Denso Corp 電子装置
KR20120069002A (ko) * 2010-11-01 2012-06-2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장치
KR20170002206A (ko) * 2015-06-29 2017-01-06 주식회사 에스알비 안테나 기능을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1836970B1 (ko) * 2016-12-05 2018-03-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자 제어 장치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7622A (ja) * 2004-05-14 2005-11-24 Denso Corp 電子装置
KR20120069002A (ko) * 2010-11-01 2012-06-2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장치
KR20170002206A (ko) * 2015-06-29 2017-01-06 주식회사 에스알비 안테나 기능을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1836970B1 (ko) * 2016-12-05 2018-03-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자 제어 장치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6034A1 (de) * 2021-05-25 2022-11-30 Robert Bosch GmbH Steckverbinder für ein elektronisches steuergerät und steuer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281B1 (ko)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6251B1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waterproof case
JP4483960B2 (ja) 電子装置
US9736953B2 (en) Pressure compensation device and ECU module including the same
US8773867B2 (en) Camera module for shielding EMI
US8134840B2 (en) Circuit board and mobile electronic apparatus
US9723734B1 (en) Waterproof type control apparatus
US7510407B1 (en) Top mount filtered header assembly
KR101988562B1 (ko) 전자 제어 장치
US6781847B2 (en) Housing for an electric device
JP6733522B2 (ja) 撮像装置
US20080008468A1 (en) Camera module
KR102154281B1 (ko)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US20130070430A1 (en) Display device
KR102030824B1 (ko) 전자 제어 장치
JP5690510B2 (ja) 電子部品
US7897913B2 (en) Image sensing device having a shielding layer
US20060292931A1 (en) Electronic device
KR101956750B1 (ko) 전자 제어 장치
KR20190071299A (ko)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JP2014225515A (ja) シールドケースおよび電子機器
KR20180051943A (ko) 전자 제어 장치
KR102019379B1 (ko) 일체형 전자 제어 장치
KR101977751B1 (ko) 제어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제어 장치
KR101846199B1 (ko) 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KR102213199B1 (ko) 전자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