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154A - A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comprisng soundproof function - Google Patents

A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comprisng soundproof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154A
KR20200069154A KR1020180156373A KR20180156373A KR20200069154A KR 20200069154 A KR20200069154 A KR 20200069154A KR 1020180156373 A KR1020180156373 A KR 1020180156373A KR 20180156373 A KR20180156373 A KR 20180156373A KR 20200069154 A KR20200069154 A KR 20200069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reduction
housing
sound
housing assembly
extens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3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엽
최육동
김병욱
Original Assignee
이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엽 filed Critical 이상엽
Priority to KR102018015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9154A/en
Publication of KR20200069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15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2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for conducting sound through hollow pipes, e.g. speaking tub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4Passive absor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having a soundproof function and, specifically, to a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having a soundproof function, which enables a user to listen to his/her voice or pronunciation without harming others even in a library or a quiet learning spac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having the soundproof function comprising: a housing assembly having an open side; a noise reduction unit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ssembly to cause changes i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a passage, through which sounds pass, or in a route, thereby reducing noise inside the housing assembly; and a guide tu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ssembly to guide the sounds inside the housing assembly.

Description

방음 기능을 갖는 휴대용 음성 청취 기구{ A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comprisng soundproof function } A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comprisng soundproof function}

본 발명은 방음 기능을 갖는 휴대용 음성 청취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서관 또는 조용한 학습공간에서도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음성이나 발음을 청취할 수 있는 방음 기능을 갖는 휴대용 음성 청취 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having a soundproof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having a soundproofing function capable of listening to one's own voice or pronunciation without damaging others even in a library or a quiet learning space. It is about.

어학 학습이나, 문구 암기, 노래 연습 등의 경우, 입으로 소리를 내어서 발음을 귀로 들으면서 학습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방식으로 학습하는 경우에 비해서 학습 효율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실제 그러한 실험 결과가 다수 도출된다.In the case of language learning, memorizing phrases, singing practice, etc., it is recognized that learning by listening to the pronunciation by making a sound by mout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learning by learning in a manner other than that. A number of results are drawn.

다만, 이러한 구두 발음이나 발성을 일정 소리 이상으로 해야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타인이 없는 독립된 공간이나, 방음 부스, 아니면 이러한 발성이나 발음이 허용되는 공간에서만 해야하는 제약조건이 있다However, such verbal pronunciation or vocalization should be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sound. To do this, there are constraints that must be made in an independent space without others, in a soundproof booth, or in a space where such vocalization or pronunciation is permitted.

다만, 어학 학습 등의 경우,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공동주택에서 큰 소리를 내는 경우, 주변 이웃과 분쟁이 발생하기 때문에, 마음껏 발성이나 발음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language learning, etc., it is often done in a library, and when a loud voice is made in an apartment house, there is a problem with the neighbors,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y cannot speak or pronounce as much as they lik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 특허 10-1109854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방음 부스를 활용하는 사례가 있지만, 방음 부스의 부피가 크고, 이동성도 불편하며, 가격도 높아서 활용 차원에서 문제가 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10-1109854, there is a case where a soundproof booth is used, but the volume of the soundproof booth is large, the mobility is inconvenient, and the price is high, which is a problem in terms of utilization.

한국 등록 특허 10-1109854 (2012. 2. 14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10-1109854 (announced on February 14, 2012)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으로서, 휴대 및 보관그리고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어디서나 발음이나 발성을 하면서 자신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으면서, 외부로는 그러한 발음이나 발성으로 인한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음 기능을 갖는 휴대용 음성 청취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olve these problems, and is easy to carry and store and use, while being able to hear one's voice while speaking or speaking anywhere, and can solve the noise problem caused by such pronunciation or speaking outsi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having a sound insulation func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되어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상기 하우징 조립체 내부에 마련되어 소리가 통과하는 통로의 단면적의 변화를 유발하여 하우징 조립체 내부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소음 저감부와; 상기 하우징의 조립체 타측에 연결되어 하우징 조립체 내부의 소리를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기능을 갖는 휴대용 음성 청취 기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housing assembly with one side open; A noise reduc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ssembly to cause a change in a cross-sectional area of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ound passes and reduce noise inside the housing assembly; It provides a portable sound listening device having a soundproof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tube for guiding the sound inside the housing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ssembly.

상기 하우징 조립체는 일측이 개구되어 사용자의 입 주위를 둘러싸서 밀폐할 수 있는 제1하우징과; 제1하우징에 연속되어 배치되고, 그 단부에 안내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ousing assembly has a first housing that is open on one side and can be sealed around the mouth of the user; It is arranged continuously in the first housing,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tube is inserted at its end.

상기 소음 저감부는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 내부에 걸쳐지게 되어 설치되고, 소음 저감부의 일단부에는 안내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noise reduction unit is installed so as to span the interior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d a guide pip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noise reduction unit.

상기 소음 저감부는; 복수의 소음 저감홀이 형성되며 제1하우징 내부 공간에 걸쳐지게 되는 소음 저감판과; 상기 소음 저감판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과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소음 저감홀이 형성되는 연장 파이프와;연장 파이프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안내관이 연결되어 연장 파이프의 내부 공간과 안내관을 연통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noise reduction unit; A noise reduction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noise reduction holes are formed and spann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first housing; An extension pipe communicating wit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noise reduction plate and extending downward and a plurality of noise reduction holes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guide pipe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extension pipe to connect the interior space and the guide pipe of the extension pip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to communicate.

연장 파이프의 하단 테두리에 마련되는 결합부와; 상기 제2하우징 내부 테두리에 마련되어 결합부와 체결되는 대응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upling portion provided on the lower edge of the extension pi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rim of the second housing and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상기 소음 저감판 하면과 연장 파이프 외주면을 연결하며, 제1하우징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rtition wall for conn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noise reduction plat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ipe and dividing the first housing inner space into a plurality of spaces.

상기 격벽부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에 수용되는 흡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ound absorbing member accommodated in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독립되거나 고립된 공간을 찾아서 발성연습이나 발음 연습을 하지 않아도 되며, 도서관과 같은 조용한 장소에서도 자신의 목소리의 톤, 발음, 높이를 유지하면서 이를 그대로 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oes not need to practice vocal exercises or pronunciation in search of an isolated or isolated space, and can listen to it while maintaining the tone, pronunciation, and height of his voice even in a quiet place such as a library. There is this.

특히, 하우징 조립체 내부에 소리가 통과하는 통로의 단면적을 변화시켜서 소리 에너지를 저감시키고, 더 나아가 내부에 흡입부재를 추가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더 개선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function of reducing sound energy by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sound passes through the housing assembly, and further reducing noise by adding a suction member therein.

또한,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밴드를 이용하여 입 주위에 하우징 조립체의 입구를 거치시켜서 그 사용법이 용이하고, 그 크기도 작기 때문에 휴대성도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user has the advantage that the portability of the housing assembly around the mouth by hand or by using the band is easy to use, and its size is small, so it is easy to carry.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소음 저감부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7은 흡음 부재를 추가한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도8은 밴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oise redu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 sound absorbing member is added.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band.
9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n elem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1,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음 기능을 갖는 휴대용 음성 청취 기구(이하, '청취 기구'라 한다)(1)는 하우징 조립체(100)가 그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하우징 조립체(100) 내부로 발성을 하거나 발음을 통하여 발생한 소리가 지나가는 유로의 단면적 또는 경로의 변화를 유발하여 소리를 저감시키거나 차단하는 소음 저감부(200)가 배치되고, 하우징 조립체(100) 하부에는 하우징 조립체 내부에 퍼진 소리(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유연한 재질의 안내관(310)과, 안내관(310) 끝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에 꽂을 수 있는 이어 플러그(3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having a sound insulation fun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listening device') 1 has a housing assembly 100 forming its appearance, and therein a housing assembly ( 100) A noise reduction unit 200 for reducing or blocking sound by causing a change in a cross-sectional area or a path of a passage through which sound generated through vocalization or pronunciation passes through is disposed, and a housing assembly is disposed under the housing assembly 100 It includes a guide tube 310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transmits a sound (voice signal) spread inside, and an ear plug 320 provided at the end of the guide tube 310 to be inserted into a user's ear.

하우징 조립체(100)는 상부에 위치한 제1하우징(110)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120)을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되,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호 상하로 연속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그 외관은 콘(cone) 형상을 취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housing assembly 100 includes a first housing 110 located at an upper portion and a second housing 120 positioned below it,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n an assembled state, are in a continuous state up and down with each other. . On the other hand, the appearance is shown to take a cone (con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하우징 조립체(100)는 상부측이 넓게 개구 되고, 입구 테두리는 곡선 형태로 되어 사용자가 개구된 입구(111)를 입 주위에 배치시켜서 입 주위를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다(도6참조). The housing assembly 100 has a wide opening on the upper side, and the inlet rim is curved, so that the user can place the opened inlet 111 around the mouth to block the mouth around the outside (see FIG. 6).

그 상태에서 입으로 소리를 내면 그 소리가 하우징 조립체(100) 내부에서 울리되, 소음 저감부(200)의 소음 저감 기능(머플러 기능)에 의하여 외부로 원래 소리 크기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In this state, when the sound is made by the mouth, the sound is ringed inside the housing assembly 100, and it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utside as it is by the noise reduction function (muffler function) of the noise reduction unit 200.

다만, 안내관(310)을 통해서 소리가 그대로 전달되고, 그 소리가 이어플러그(320)를 통해서 사용자의 귀에 전달되어 사용자는 자신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However, the sou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guide tube 310 as it is, and the sound is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through the ear plug 320 so that the user can hear his voice.

도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하우징(110)은 위의 입구(111)가 넓게 형성되고, 그 내경 및 외경은 아래로 갈 수록 좁게 형성되며, 꼭지점 부분의 일부가 제거된 원뿔 형태로 마련된다.The first housing 110 has an upper inlet 111 is formed wide, its inner diameter and outer diameter is formed narrower as it goes down, and is provided in a conical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vertex is removed.

제1하우징(110) 내부에 소음 저감부(200)가 삽입되어 수용된다. 소음 저감부(200)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 내부에 걸쳐지게 배치되며, 소음 저감부(200)의 하단부에 있는 연결부(223)에 안내관(310)이 연결된다.The noise reduction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110 to be accommodated. The noise reduction unit 200 is disposed over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and the guide tube 3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223 at the lower end of the noise reduction unit 200. .

소음 저감부(200)는 복수의 소음 저감홀(212)이 형성되며 제1하우징(110) 내부 공간에 걸쳐지게 되는 소음 저감판(210)을 포함하며, 소음 저감판(210)은 그 중앙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가 되고, 그 중앙부에는 연통공(211)이 형성되고, 그 주변에는 복수의 소음 저감홀(212)들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소음 저감홀(212)들을 통해서 소리가 통과하며 에너지가 저감되면서 소리가 줄어들게 된다. The noise reduction unit 200 includes a noise reduction plate 210 in which a plurality of noise reduction holes 212 are formed and spans the interior space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noise reduction plate 210 has a central portion thereof. It has a concave shape, a communication hole 211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a plurality of noise reduction holes 212 are formed in the periphery. The sound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noise reduction holes 212 and the sound is reduced as energy is reduced.

연통공(211)이 위치한 영역의 하방으로는 소음 저감판(210)의 중앙에 형성된 연통공(211)과 연통되되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소음 저감홀(221)이 형성되는 연장 파이프(220)가 위치한다.An extension pipe (communication hole 21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noise reduction plate 210 extends downward and a plurality of noise reduction holes 221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rea where the communication hole 211 is located. 220) is located.

연장 파이프(220) 내부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소음 저감홀(외주면 측면, 바닥면)(221, 224)이 형성되어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제1하우징(110) 입구 부분을 통해서 들어온 소리는 소음 저감판(210)의 복수의 소음 저감홀(212) 및 연장 파이프(220) 외주면의 소음 저감홀(221)을 통과하면서 그 에너지가 저감된다. 다만, 연통공(211) 내부의 공간을 이동하는 소리 에너지는 연장 파이프(220) 하단에 꼭지 형태로 마련되는 연결부(223)에 연결된 안내관(310) 및 이어플러그(320)를 통해서 사용자의 귀로 전달될 수 있다.A space is formed inside the extension pipe 220, and noise reduction holes (side surfaces, bottom surfaces) 221 and 224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The sound entering through the entrance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110 passes through the noise reduction holes 212 of the noise reduction plate 210 and the noise reduction holes 22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ipe 220, thereby reducing its energy. . However, the sound energy moving through the space inside the communication hole 211 is returned to the user's ears through the guide tube 310 and the ear plug 32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23 provided in the form of a tap at the bottom of the extension pipe 220. Can be delivered.

한편, 소음 저감판(210) 하면과 연장 파이프(220) 외주면을 연결하며, 제1하우징(110)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을 구획하는 리브 형태의 격벽부(230)가 마련되며, 격벽부(23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 rib-shaped partition wall portion 230 is provided to connect the lower surface of the noise reduction plate 2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ipe 220, and to partition a plurality of spaces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230 is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연장 파이프(220)의 하단부 영역 외주면에는 수나나선 형태로 마련되는 결합부(222)가 마련되고, 제2하우징(120)의 상부 영역 내주면에는 결합부(222)와 결합되는 암나나선 형태로 마련되는 대응 결합부(122)가 마련된다. A coupling portion 222 provided in the form of a male thread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region of the extension pipe 220, and a female spiral shape combined with the coupling portion 222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region of the second housing 120.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122 is provided.

다만, 결합부(222)나 대응 결합부(122)는, 위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의 결합방식(밀착 삽입 방식, 원터치 끼움 방식 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coupling portion 222 and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122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types of coupling methods (adhesive insertion method, one-touch fitting method, etc.) may be variously applied.

소음 저감판(210)의 테두리는 제1하우징(110)의 내벽면에 밀착되게 마련되고, 격벽부(230)의 외곽 테두리 또한 제1하우징(110)이 내벽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격벽부(230)의 하단부는 결합부(222)보다는 위에 마련되고, 격벽부(230)의 하단부는 제1하우징(110)의 하단부 테두리에 걸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im of the noise reduction plate 210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outer rim of the partition wall 230 can als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0, the partition wall par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230 is provided above the engaging portion 222,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230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hung on the lower edge of the first housing 110.

연결부(2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꼭지 형태로 돌출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안내관(310)이 오히려 삽입될 수 있는 홈 구조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며, 연결부(223) 내부는 중공 형태로 되어 있어서 연장 파이프(220)를 타고 안내된 소리가 안내관(31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nection portion 223 is shown to protrude in the form of a tap as described above, but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with a groove structure into which the guide tube 310 can be inserted, and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223 is hollow. In this way, the guided sound can be transmitted to the guide pipe 310 by riding the extension pipe 220.

제2하우징(120)은 좁은 원뿔 형태로 마련되며 그 상부 테두리는 제1하우징(110)이 하면 테두리에 밀착되고, 그 상부 영역 내부에는 소음 저감부(200)의 하부 영역(예, 연장 파이프(220)의 하단부에 있는 결합부(222), 연결부(223), 소음 저감홀(224))이 삽입되어 결합된다.The second housing 120 is provided in a narrow cone shape, and its upper ri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rim when the first housing 110 is provided, and the lower region of the noise reduction unit 200 (eg, an extension pipe ( The coupling portion 222, the connection portion 223, and the noise reduction hole 224 at the lower end of the 220 are inserted and coupled.

그리고, 제2하우징(120)의 하부에는 통과홈(121)이 형성되며, 이 통과홈(121)을 안내관(310)이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ssing groove 121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120, and the guide pipe 310 passes through the passing groove 121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도3은 제1하우징(110)과 소음 저감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하우징(120) 및 안내관(310)(이어플러그(320) 포함)을 분리시킨 것이다.FIG. 3 shows the second housing 120 and the guide tube 310 (including the ear plug 320) separated whe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noise reduction unit 200 are combined.

제1하우징(110) 안으로 소음 저감부(200)가 삽입되어 배치되면, 소음 저감판(210)은 입구(111)보다 안쪽으로 들어가서 배치되어 입구(111)와 소음 저감판(2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소음 저감부(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음 저감부(200)의 결합부(222) 및 연결부(223)는 제1하우징(110) 하단부 아래로 노출된다.When the noise reduction unit 200 is inserted and disposed into the first housing 110, the noise reduction plate 210 is disposed to enter the inner side of the entrance 111 and is spaced between the entrance 111 and the noise reduction plate 210. It is formed. Then, in the state in which the noise reduction unit 200 is inserted, the coupling portion 222 and the connection portion 223 of the noise reduction unit 200 are exposed below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110.

이 상태에서 제2하우징(120) 방향으로 노출된 영역(결합부(222) 및 연결부(223))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연결부(223)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관(310)이 결합됨으로서, 도1과 같은 구조 및 형상이 완성된다.In this state, the area ex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120 (the coupling portion 222 and the connection portion 223)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guide pipe 31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23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and shape shown in FIG. 1 are completed.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음 저감판(210)은 테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소음 저감판(210)에 형성된 소음 저감홀(212)은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하 관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중앙의 가장 오목한 부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공(211)이 형성된다.4, the noise reduction plate 210 is formed to be concave toward the center from the rim, and the noise reduction holes 212 formed in the noise reduction plate 2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provided in plural to penetrate vertically. It is desirable. Then, a through hole 211 is formed in the most concave portion of the center as described above.

연장 파이프(220)는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소음 저감판(210)의 중앙에 연결되고, 그 내부 공간은 관통공(211)과 연통된다. 따라서, 소음 저감판(210) 위에 있던 소리가 관통공(211)과 연장 파이프(220)를 타고 아래로 전달될 수 있다.The extension pipe 220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and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noise reduction plate 210, and its inner space communicates with the through hole 211. Therefore, the sound on the noise reduction plate 210 may be transmitted down through the through hole 211 and the extension pipe 220.

그리고, 연장 파이프(220) 외주면에도 소음 저감홀(221, 224)이 마련되어 연장 파이프(220) 내부에 있다가 소음 저감홀(221, 224 )을 통과하여 빠져나오는 소리 에너지가 저감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noise reduction holes 221 and 224 are also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ipe 220 so that sound energy coming out of the extension pipe 220 and passing through the noise reduction holes 221 and 224 can be reduced.

그리고, 격벽부(230)가 이격되게 마련되어 제1하우징(110)의 내벽과 함께 이웃한 두 개의 격벽부(230)가 상호 독립된 공간인 격실을 만들고, 이 부분으로 연장 파이프(220)의 소음 저감홀(221, 224) 및 소음 저감판(210)의 소음 저감홀(212)을 통과한 소리가 이동한다.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portion 230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and the two adjacent partition walls 230 together with the inner wall of the first housing 110 make a compartment, which is an independent space, and reduce the noise of the extension pipe 220 with this portion. The sound passing through the noise reduction hole 212 of the holes 221 and 224 and the noise reduction plate 210 moves.

소음기의 원리는 소리를 구성하는 파동이 넓은 공간과 좁은 공간, 그리고 다시 넓은 공간을 반복적으로 통과하면서 그 에너지(파동 및 진동 에너지)가 줄어드는 것인데, 본 소음 저감부(200)는 소음 저감판(210) 위의 넓은 공간과 그 아래의 공간(격실) 사이에 소음 저감홀(212)이 배치되고, 또한, 연장 파이프(220) 내부와 연장파이프(220) 외부(격실) 사이에도 소음 저감홀(221. 224)이 배치됨으로써, 그들 사이에서 소리가 이동시 그 에너지가 저감될 수 있도록 한다.The principle of the silencer is that the energy (wave and vibration energy) is reduced by repeatedly passing through a wide space and a narrow space, and again a wide space constituting the sound. The noise reduction unit 200 includes a noise reduction plate 210 ) The noise reduction hole 212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pace and the space (compartment) below, and the noise reduction hole 221 is also provided between the inside of the extension pipe 220 and the outside (compartment) of the extension pipe 220. 224), so that the energy can be reduced when the sound moves between them.

게다가, 하우징 조립체(110)가 그 내부 공간과 외부공간을 차단하고 있으므로써, 하우징 조립체(110) 내부에서 저감된 소리 에너지의 전달이 그 외부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현저하게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using assembly 110 blocks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block the transmission of reduced sound energy from inside the housing assembly 110 to the external space.

도5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음 저감판(210)의 테두리는 제1하우징(110) 내벽에 인접하거나 닿게 되고, 격벽(230)의 측면 테두리도 제1하우징(110) 내벽에 닿게 됨으로써 이들을 경계로 하여 구획된 공간이 다수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border of the noise reduction plate 210 is adjacent to or touches the inner wall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ide border of the partition wall 230 also touches the inner wall of the first housing 110 to border them. Thus, a plurality of partitioned spaces are formed.

연장 파이프(220)는 제1하우징(110)의 하단을 통과하여 제2하우징(120)의 상부 영역까지 이르고, 연장 파이프(220)의 하단부에 있는 연결부(223)에 안내관이 (310)연결되고, 안내관(310)은 제2하우징(120)을 따라서 아래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통과홈(121)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외부로 노출된 안내관(310)의 타단부에는 이어 플러그(320)가 마련된다.The extension pipe 220 passe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using 110 to reach the upper region of the second housing 120, and the guide pipe 3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23 at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ipe 220 The guide tube 310 is disposed to extend downward along the second housing 120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groove 121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 ear plug 32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tube 310 exposed to the outside.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우징 조립체(100)를 잡고 그 입구를 입 주위에 배치시켜, 입 주위를 외부와 차단한다. As shown in Fig. 6, the user holds the housing assembly 100 and places the entrance around the mouth, thereby blocking the mouth around from the outside.

이 상태에서 큰 소리를 내어도 외부에서는 작게 '웅웅'거리는 소리 정도만 들리기 때문에 외부의 타인들은 원래 내었던 소리의 크기 및 발음을 전혀 인지할 수 없다. In this state, even if a loud sound is made, only a small'humming' sound can be heard from the outside, so that outsiders cannot perceive the loudness and pronunciation of the original sound at all.

다만, 안내관(310)은 하우징 조립체(100) 내부에 있는 연장 파이프(220)와 연결되어 있어서, 연장 파이프(220)의 내부 공간과, 안내관(310)을 통해서 원래 내었던 소리와 발음이 전달되어 이어 플러그(320)를 통해서 온전하게 들을 수 있다. However, the guide pipe 310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pipe 220 inside the housing assembly 100, so that the interior space of the extension pipe 220 and the sound and pronunciation originally made through the guide pipe 310 are transmitted. The ear plug 320 can be heard intact.

도7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흡음부재(250)가 추가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흡입부재(250)는 스펀지와 같이, 다공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흡음부재(250)는 블록 형태로 마련되어 격벽(230)과 격벽(2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shows that the sound absorbing member 250 is added to the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member 250 is preferably made of a porous material, such as a sponge. Here, the sound absorbing member 250 is preferably provided in a block shape and is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230 and the partition wall 230.

그리고, 그 외관 형상은 소음 저감판(210)과, 격벽(230)과, 격벽(230) 및 제1하우징(110) 내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격실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기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 방지를 위해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ppearance shape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compartment formed by the noise reduction plate 210, the partition wall 230, the partition wall 230, and the inner wall of the first housing 110.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above descrip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prevent duplicate description.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1 내지 7에서는 하우징 조립체를 사용가 직접 잡고 입 주위에 밀착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손 사용의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도8(a)와 같이 한 쌍의 밴드(410, 420)를 제1하우징(110) 양측에 각각 부착시켜서 귀에 거는 밴드를 가진 마스크 처럼 착용하게 할 수 있거나, 아니면 도8(b)와 같이 머리에 장착하는 헤어밴드와 같이 긴 밴드(430)를 제1하우징 (110)일측 에서 타측으로 연결하고, 이를 머리 뒤까지 씌워서 마치 방독면처럼 착용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밴드(410, 420, 430)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8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S. 1 to 7, the housing assembly was used to hold the body directly and adhered to the mouth, but in this case, since there is inconvenience in using the hand, a pair of bands 410 and 420 are removed as shown in FIG. 8(a). 1 The housing 110 may be attached to both sides to be worn like a mask having a band hanging on the ear, or a long band 430 such as a hair band mounted on the head as shown in FIG. ) Connect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cover it to the back of the head so that it can be worn like a gas mask. Here, the bands 410, 420, and 430 are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도8과 같이, 귀 또는 머리에 밴드(410, 420, 430)를 걸어서 착용하면, 밴드(410, 420, 4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하우징 조립체(100)의 입구(111)가 사용자의 입 주위에 밀착되어 입구(111) 테두리와 입 주위 간의 실링이 타이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밴드(410, 420,. 430)에는 끈 길이 조절기능이 있으면 더욱더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8, when the bands 410, 420, and 430 are worn on the ears or the head, the inlet 111 of the housing assembly 100 is around the user's mouth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bands 410, 420, and 430.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between the rim of the entrance 111 and around the mouth can be made tight. On the other hand, if the band 410, 420, .430 has a string length adjustment function, it is more preferable.

도9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이다. 9 i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a)는 변형 실시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9(b)는 분해사시도이다. Fig. 9(a)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mbodiment, and Fig. 9(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음 기능을 갖는 하우징 조립체(1100)가 그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하우징 조립체(1100) 내부로 발성을 하거나 발음을 통하여 발생한 소리를 저감시키거나 차단하는 소음 저감부(1200)가 배치되고, 하우징 조립체(1100) 하부에는 하우징 조립체 내부에 퍼진 소리(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유연한 재질의 안내관(1310)과, 안내관(1310) 끝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에 꽂을 수 있는 이어 플러그(1320)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9, the housing assembly 1100 having a soundproofing function forms its appearance, and therein, noise reduction to reduce or block sounds generated through vocalization or pronunciation through the housing assembly 1100. The part 1200 is disposed, and the housing assembly 110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guide tube 1310 and a flexible material guide tube 1310 for transmitting sound (voice signal) spread inside the housing assembly,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user's ear. Includes ear plug 1320.

하우징 조립체(1100)는 상부에 위치한 제1하우징(1110)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1120)을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되,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호 상하로 연속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그 외관은 원통형 형상을 취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housing assembly 1100 includes a first housing 1110 located at an upper portion and a second housing 1120 positioned below it,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n an assembled state, are in a continuous state up and down with each other. . On the other hand, the appearance is shown to take a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o this.

하우징 조립체(1100)는 상부측이 넓게 개구 되고, 입구 테두리는 곡선 형태로 되어 사용자가 개구된 입구(1111)를 입 주위에 배치시켜서 입 주위를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다. The housing assembly 1100 has a wide opening on the upper side, and the entrance rim is curved, so that the user can place the opened entrance 1111 around the mouth to block the mouth circumference from the outside.

그리고, 하우징 조립체(1100) 입구에는 사용자의 입 주위 피부와 닿아서 실링기능을 하는 유연한 재질의 실링부재(1400)가 마련된다. And, at the entrance of the housing assembly 1100, a sealing member 1400 of a flexible material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kin around the user's mouth and functions as a sealing function is provided.

입 주위를 하우징 조립체(1110)로 덮은 상태에서 소리를 내면 그 소리가 하우징 조립체(1100) 내부에서 울리되, 소음 저감부(200)의 소음 저감 기능(머플러 기능)에 의하여 외부로 원래 소리 크기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When the sound around the mouth is covered with the housing assembly 1110, the sound is made inside the housing assembly 1100, but the sound is reduced to the outside by the noise reduction function (muffler function) of the noise reduction unit 200. Transmission is prevented.

다만, 안내관(1310)을 통해서 소리가 그대로 전달되고, 그 소리가 이어플러그(1320)를 통해서 사용자의 귀에 전달되어 사용자는 자신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However, the sou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guide tube 1310 as it is, and the sound is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through the ear plug 1320 so that the user can hear his voice.

도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10) 내부에 소음 저감부(1200)가 삽입되어 수용된다. 소음 저감부(1200)는 제1하우징(1110)과 제2하우징(1120) 내부에 걸쳐지게 배치되며, 소음 저감부(1200)의 하단부에 있는 연결부(1223)에 안내관(1310)이 연결된다.9(b), the noise reduction unit 1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1110 and accommodated. The noise reduction unit 1200 is disposed over the first housing 1110 and the second housing 1120, and the guide tube 13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1223 at the lower end of the noise reduction unit 1200. .

소음 저감부(1200)는 복수의 소음 저감홀(1212)이 형성되며 제1하우징(1110) 내부 공간에 걸쳐지게 되는 소음 저감판(1210)을 포함하며, 소음 저감판(1210)은 그 중앙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가 되고, 그 중앙부에는 연통공(1211)이 형성되고, 그 주변에는 복수의 소음 저감홀(1212)들이 형성되어 있다. The noise reduction unit 1200 includes a noise reduction plate 1210 in which a plurality of noise reduction holes 1212 are formed and spans the interior space of the first housing 1110, and the noise reduction plate 1210 has a central portion thereof. It has a concave shape, a communication hole 1211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a plurality of noise reduction holes 1212 are formed in the periphery.

복수의 소음 저감홀(1212)들을 통해서 소리가 통과하며 에너지가 저감되면서 소리가 줄어들게 된다. The sound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noise reduction holes 1212 and the sound is reduced as energy is reduced.

한편, 소음 저감 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 소음 저감판(1210) 아래 공간에 흡음부재(미도시)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maximize the noise reduction effect, a sound absorbing member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space below the noise reduction plate 1210.

연통공(1211)이 위치한 영역의 하방으로는 소음 저감판(1210)의 중앙에 형성된 연통공(1211)과 연통되되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소음 저감홀(1221)이 형성되는 연장 파이프(1220)가 위치한다.An extension pipe (1211)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hole (121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noise reduction plate (1210), extending downward, and forming a plurality of noise reduction holes (122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low the area where the communication hole (1211) is located 1220) is located.

연장 파이프(1220) 내부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소음 저감홀(외주면 측면, 바닥면)(1221, 1224)이 형성되어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제1하우징(1110) 입구 부분을 통해서 들어온 소리는 소음 저감판(1210)의 복수의 소음 저감홀(1212) 및 연장 파이프(1220) 외주면의 소음 저감홀(1221)을 통과하면서 그 에너지가 저감된다.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extension pipe 1220, and noise reduction holes (side surfaces, bottom surfaces) 1221 and 1224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The sound entering through the entrance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1110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noise reduction holes 1212 of the noise reduction plate 1210 and the noise reduction holes 122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nsion pipe 1220, thereby reducing its energy. .

다만, 연통공(1211) 내부의 공간을 이동하는 소리 에너지는 연장 파이프(1220) 하단에 꼭지 형태로 마련되는 연결부(1223)에 연결된 안내관(1310) 및 이어플러그(1320)를 통해서 사용자의 귀로 전달될 수 있다.However, the sound energy moving through the space inside the communication hole 1211 is returned to the user's ears through the guide tube 1310 and the ear plug 132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223 provided in the form of a tap at the bottom of the extension pipe 1220. Can be delivered.

연장 파이프(1220)의 하단부 영역 외주면에는 수나나선 형태로 마련되는 결합부(1222)가 마련되고, 제2하우징(1120)의 상부 영역 내주면에는 결합부(1222)와 결합되는 암나나선 형태로 마련되는 대응 결합부(1122)가 마련된다. A coupling portion 1222 provided in the form of a male spiral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region of the extension pipe 1220, and a female spiral shape coupled with the coupling portion 1222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region of the second housing 1120. A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 1122 is provided.

다만, 결합부(1222)나 대응 결합부(1122)는, 위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의 결합방식(밀착 삽입 방식, 원터치 끼움 방식 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coupling portion 1222 and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1122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types of coupling methods (adhesive insertion method, one-touch fitting method, etc.) may be variously applied.

소음 저감판(1210)의 테두리는 제1하우징(1110)의 내벽면에 밀착되게 마련된다. The edge of the noise reduction plate 1210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10.

연결부(12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꼭지 형태로 돌출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안내관(1310)이 오히려 삽입될 수 있는 홈 구조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며, 연결부(1223) 내부는 중공 형태로 되어 있어서 연장 파이프(1220)를 타고 안내된 소리가 안내관(131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nection portion 1223 is shown to protrude in the form of a tap as described above, but alternatively, the guide tube 1310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structure that can be inserted, and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1223 is hollow. Therefore, the guided sound can be transmitted to the guide tube 1310 by riding the extension pipe 1220.

제2하우징(120)은 보울(bowl) 형태로 마련되며 그 상부 테두리는 제1하우징(1110)이 하면 테두리에 밀착되고, 그 상부 영역 내부에는 소음 저감부(1200)의 하부 영역(예, 연장 파이프(1220)의 하단부에 있는 결합부(1222), 연결부(1223), 소음 저감홀(1224))이 삽입되어 결합된다.The second housing 120 is provided in a bowl shape, and its upper ri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rim when the first housing 1110 is formed, and inside the upper region, a lower region (eg, an extension) of the noise reduction unit 1200 The coupling portion 1222, the connection portion 1223, and the noise reduction hole 1224 at the lower end of the pipe 1220 are inserted and combined.

그리고, 제2하우징(1120)의 하부에는 통과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이 통과홈(미도시)을 안내관(310)이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ss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1120, and the guide tube 310 passes through the pass groove (not shown)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제2하우징(1120)의 내부에는 보관 공간부(1123)이 마련되는데, 보관 공간부(1123)는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지는 안내관(1310)을 둥글게 감아서 보관할 수 있는 공간 역할을 한다. 따라서, 대응 결합부(1122)를 중심으로 하여 보관 공간부(1123)의 내부에 안내관(1310)을 둥글게 감고, 이어플러그(1320)도 같이 보관 공간부(1123) 내부에 수용시켜서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a storage space part 1123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1120, and the storage space part 1123 serves as a space for wrapping and guiding the guide tube 1310 made of a soft material. Therefore, the guide tube 1310 is wound around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1123 around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1122, and the ear plug 1320 can also be accommodated inside the storage space 1123 and carried. There is an advantage.

도9에 따른 변형 실시예의 동작은 이미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Since the operation of the modified embodiment according to FIG. 9 is the same as that already describe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for explaining the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s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claims.

100: 하우징 조립체 110: 제1하우징
120: 제2하우징 200: 소음 저감 부재
210: 소음 저감판 211, 221, 224: 소음 저감홀
220: 연장 파이프 230: 격벽
310: 안내관 320: 이어 플러그
100: housing assembly 110: first housing
120: second housing 200: no noise reduction
210: noise reduction plate 211, 221, 224: noise reduction hall
220: extension pipe 230: bulkhead
310: guide tube 320: ear plug

Claims (7)

일측이 개구되어 있는 하우징 조립체와;
상기 하우징 조립체 내부에 마련되어 소리가 통과하는 통로의 단면적 또는 경로의 변화를 유발하여 하우징 조립체 내부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소음 저감부와;
상기 하우징의 조립체 타측에 연결되어 하우징 조립체 내부의 소리를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기능을 갖는 휴대용 음성 청취 기구.
A housing assembly having one side open;
A noise reduc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ssembly to reduce the noise inside the housing assembly by causing a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r path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sound passes;
And a guide tu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assembly of the housing to guide sound inside the housing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조립체는 일측이 개구되어 사용자의 입 주위를 둘러싸서 밀폐할 수 있는 제1하우징과;
제1하우징에 연속되어 배치되고, 그 단부에 안내관이 삽입되는 방음 기능을 갖는 휴대용 음성 청취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assembly includes a first housing that is open on one side and surrounds the user's mouth to be sealed;
A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having a sound insulation function which is continuously disposed in the first housing and the guide tube is inserted at its e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부는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 내부에 걸쳐지게 되어 설치되고, 소음 저감부의 일단부에는 안내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기능을 갖는 휴대용 음성 청취 기구.
According to claim 2,
The noise reduction unit is installed so as to span the interior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 portable voice listening apparatus having a soundproof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tub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noise reduc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부는;
복수의 소음 저감홀이 형성되며 제1하우징 내부 공간에 걸쳐지게 되는 소음 저감판과;
상기 소음 저감판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과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소음 저감홀이 형성되는 연장 파이프와;
연장 파이프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안내관이 연결되어 연장 파이프의 내부 공간과 안내관을 연통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기능을 갖는 휴대용 음성 청취 기구.
According to claim 3,
The noise reduction unit;
A noise reduction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noise reduction holes are formed and spann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first housing;
An extension pipe communicating with a through-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noise reduction plate and extending downward and a plurality of noise reduction holes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ipe is connected to the guide tube is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of the extension pipe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sound guide, a portable audio listening device having a sound insulation function.
제4항에 있어서,
연장 파이프의 하단 테두리에 마련되는 결합부와;
상기 제2하우징 내부 테두리에 마련되어 결합부와 체결되는 대응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기능을 갖는 휴대용 음성 청취 기구.
The method of claim 4,
A coupling portion provided on the lower edge of the extension pipe;
A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having a soundproof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rim of the second housing and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판 하면과 연장 파이프 외주면을 연결하며, 제1하우징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기능을 갖는 휴대용 음성 청취 기구.
According to claim 3,
A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having a soundproofing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partition wall portion conn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noise reduction plat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ipe, and partitioning the first housing interior space into a plurality of spac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판 하부 공간에 수용되는 흡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기능을 갖는 휴대용 음성 청취 기구.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ound absorbing member accommodated in the lower space of the noise reduction plate.

KR1020180156373A 2018-12-06 2018-12-06 A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comprisng soundproof function KR202000691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373A KR20200069154A (en) 2018-12-06 2018-12-06 A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comprisng soundproof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373A KR20200069154A (en) 2018-12-06 2018-12-06 A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comprisng soundproof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154A true KR20200069154A (en) 2020-06-16

Family

ID=7114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373A KR20200069154A (en) 2018-12-06 2018-12-06 A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comprisng soundproof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915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854B1 (en) 2011-03-02 2012-02-14 강태옥 The soundproofing boot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854B1 (en) 2011-03-02 2012-02-14 강태옥 The soundproofing boo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6567B2 (en) Ergonomic tubular anechoic chambers for use with a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9525765B2 (en) Ergonomic anechoic anti-noise canceling chamber for use with a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4809811A (en) Ear pad construction for earphones
US8983103B2 (en) Earpiece with hollow elongated member having a nonlinear portion
KR101726815B1 (en) Microphone device with a speaker
US5661270A (en) Sound capturing device
KR20200069154A (en) A portable voice listening device comprisng soundproof function
EP3214849A1 (en) Acoustic transducer device
JP2013106130A (en) Open guide type headphone
KR101483163B1 (en) Muting device for wind instrument
ATE393562T1 (en) VSR SURROUND TUBE HEADPHONES
KR101510692B1 (en) Non-directional speaker
US3394698A (en) Ear noise suppressor and speech clarifier
KR101831433B1 (en) Microphone device with a speaker
KR101923088B1 (en) Portable sound proof mask
JP3173269U (en) Open guide headphones
US8948411B1 (en) Ergonomic tubular anechoic chambers for use with a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1399083A (en) scher
KR101877439B1 (en) Microphone device with dual speaker
US9386135B2 (en) Ergonomic tubular anechoic chambers for use with a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9253299B2 (en) Ergonomic tubular anechoic chambers for use with a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KR101486156B1 (en) To focus the use's own voice can hear user voice sound collector
KR101566226B1 (en) Open typed earphone
KR101130999B1 (en) Appratus for language study
WO2019208838A1 (en) Self-voice liste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