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088B1 - Portable sound proof mask - Google Patents

Portable sound proof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088B1
KR101923088B1 KR1020170078900A KR20170078900A KR101923088B1 KR 101923088 B1 KR101923088 B1 KR 101923088B1 KR 1020170078900 A KR1020170078900 A KR 1020170078900A KR 20170078900 A KR20170078900 A KR 20170078900A KR 101923088 B1 KR101923088 B1 KR 101923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earer
contact
space
sound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9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하정
Original Assignee
김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정 filed Critical 김하정
Priority to KR1020170078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0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0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14Architectures, e.g. special construction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oundproof mask, and more specifically, to a portable soundproof mask, which does not cause noise pollution and keeps a user′s privacy. The portable soundproof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ct body (10) having a nose covering part (11), a respiration hole (12), a face contact member (14), and a receiving space (15); a mounting cover part having a front cover member (21) having a first space part (22), a first contact cover member (23) having a second space part (24), and a second contact cover member (25) having a third space part (26) to wrap the user′s neck; a funnel-shaped voice collecting member (30) which covers the user′s mouth to collect sounds discharged from the user′s mouth; a soundproof tube body (40) for restraining outside discharge of sounds collected through the voice collecting member (30); an elastic compression piece (50) extending from both side ends of the contact body (10); an ear muff (60) mounted at an end portion of the elastic compression piece (50) to get in contact with the user′s ear; a cover tube body (45) mounted to surround the soundproof tube body (40); a soundproof agent (46) mounted between the cover tube body (45) and the soundproof tube body (40); and a control valve (70) for controlling an inlet opening area of a branch tube (42).

Description

휴대용 방음 마스크{PORTABLE SOUND PROOF MASK} PORTABLE SOUND PROOF MASK

본 발명은 휴대용 방음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간과 장소에 제한없이 밀착바디체를 안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노래연습을 수행하거나 소리내어 어학연습을 수행하는 경우, 입에서 나오는 소리가 보이스포집구를 통해 상기 방음관체로 흘러들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타인에게 소음 공해를 주지 않도록 함은 물론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방음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ound-proofing ma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sound-proofing mask, in which when sound practice is performed or sound practice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a clo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ound-proofing mask capable of preventing noise from being leaked to other people by preventing leakage of the sound to the sound-absorbing pipe through a collecting port, and of protecting privacy of the user.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아파트, 다세대 주택의 경우 실내에서 악기를 연주하거나 소리내어 노래연습을 하는 경우, 소리가 창문을 통해 복도나 이웃집으로 전달되어 이웃 간 불화의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집에서는 원하는 음악활동이나 노래연습을 마음 놓고 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As is known, in the case of apartments and multi-family houses, when playing musical instruments indoors or practicing singing, sound is transmitted to a hallway or a neighboring house through a window, which acts as a cause of disagreement between neighbors. There was a difficulty in not being able to relax the practice of singing.

이에 최근에 지어진 아파트, 다세대 주택의 경우, 층간 혹은 인접한 주택간 소음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흡음재 및 차음재를 이용하여 바닥 및 내벽을 방음 설계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층간 혹은 인접주택 간의 소음을 크게 개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아파트, 다세대 주택의 실내에서 음악활동이나 노래연습을 하기에는 이웃간의 소음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In recent apartment buildings and multi-family houses, floor and inner walls are designed to be soundproofed by using various sound absorbing materials and sound insulating materials to minimize the noise between the adjacent or adjacent houses. As a result, Despite this, it is still a problem that neighbors have not completely solved the noise problem in performing music activities or singing practice indoors in apartments, multi-family houses.

또한, 영어나 중국어 등의 학습은 소리 내어 공부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은 학원이나 도서관, 독서실 등에서 공부할 경우에 소리내어 공부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혼자서 입으로만 중얼중얼 식으로 공부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Also, it is well known that studying in English or Chinese is effective for learning aloud. However, many students are unable to study in academies, librarians, and reading rooms, so they can only study by themselves.

이렇게 수많은 학생, 직장인들이 영어 중국어 등 외국어 공부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면서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리내어 효과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학습공간이 마땅하게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Although a lot of students and workers are trying to spend a lot of time and money in studying foreign languages such as English and Chinese, there is a problem that a learning space where students can study effectively can not be deserved.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8662호의 헬멧형 휴대용 방음구가 개시되어 있다. A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disclosed a helmet type portable soundproofing unit of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428662 registered in the Republic of Korea.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과 장소에 제한 없이 밀착바디체를 안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노래연습을 수행하거나 소리내어 어학연습을 수행하는 경우, 입에서 나오는 소리가 보이스포집구를 통해 방음관체로 흘러들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타인에게 소음 공해를 주지 않도록 하고, 자신에 내는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여 노래연습이나 어학연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방음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erforming a singing exercise in a state in which a close body is worn on the face, The sound that flows out to the sound-absorbing pipe through the voice trap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so that it does not give a noise pollution to others, and it is possible to listen to the sound of the sound, so that the efficiency of singing practice or language practice can be improved. Providing a soundproof mask.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피와 외피가 상호 결합되어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도록 안면부에 밀착되게 착용되되 착용자의 코 부위를 가리는 코가림부(11)에는 다수개의 호흡공(12)이 형성되고,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안면밀착구(14)가 설치되며,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는 수용공간(15)가 형성된 밀착바디체(10); 상기 밀착바디체(1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15)와 연통되는 제1공간부(22)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목 앞부분을 가리는 전면커버구(21)와, 상기 전면커버구(21)의 제1공간부(22)와 연통되는 제2공간부(24)가 마련된 상태로 상기 전면커버구(21)의 일측단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밀착커버구(23)와, 상기 전면커버구(21)의 제1공간부(22)와 연통되는 제3공간부(26)가 마련된 상태로 상기 전면커버구(21)의 타측단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밀착커버구(25)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목을 감싸 상기 제1,2밀착커버구(23,25)의 양단부에 설치된 결속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장착커버부(20); 착용자의 입을 가리는 일측이 상기 밀착바디체(10)의 내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공간(15)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밀착바디체(10)의 착용시, 착용자의 입을 가려 상기 입에서 배출되는 소리를 포집하는 깔때기 형상의 보이스포집구(30); 길이방향 일측단이 상기 수용공간(15)에 위치하는 상기 보이스포집구(3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커버구(21)의 제1공간부(22)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결관(41)과, 상기 전면커버구(21)의 제1공간부(22)에서 상기 제1,2밀착커버구(23,25)의 제1,2공간부(22,24)로 분기되어 단부가 상기 제1,2밀착커버구(23,2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착용자의 양쪽 귀방향으로 연장되는 분기관(42)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이스포집구(30)를 통해 포집된 소리의 외부배출을 제한하는 방음관체(40); 상기 밀착바디체(10)의 양측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탄성가압편(50); 상기 제1,2밀착커버구(23,25)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분기관(42)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탄성가압편(50)의 단부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귀를 덮는 이어머프(60); 상기 방음관체(4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관체(45); 상기 커버관체(45)와 방음관체(40)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제(46); 상기 전면커버구(21)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관(42)의 입구 개방면적을 조절하는 조절밸브(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se covering the nose portion of a wearer, the nose covering the wearer's nose and mouth,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body 10 is provided with a face-closing member 14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and a receiving space 15 is form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covers. A front cover 21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 and formed with a first space 22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15 to cover the front of the neck of the wearer, The first cover cover 21 is provided with a first cover cover 23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front cover cover 21 with a second space 24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22 of the front cover cover 21. [ And a third space portion 26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portion 22 of the front cover opening 21 is formed in the front cover opening 21 so as to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front cover opening 21, A cover cover (20) composed of a cover opening (25) and wrapped around the wearer 's neck and joined by a binding member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cover openings (23, 25); The other side of the wearer's mouth is expos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ntact body 10 and the other side of the wearer's mouth is plac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5 to cover the wearer's mouth when the contact body 10 is worn A funnel-shaped voice collector 30 for collecting sound emitted from the mouth; (41)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voice capturing hole (30) located at the receiving space (15) and extends to the first space portion (22) of the front cover opening (21) (22, 24) of the first and second close cover openings (23, 25) in the first space portion (22) of the front cover opening (21) And a branch tube (42) protruding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cover openings (23, 25)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both ears of the wearer so as to limit the external discharge of the sound collected through the voice collector A soundproofing body (40); Elastic pressing members 50 formed to extend from both side ends of the contact body 10; The ear muff (5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elastic pressing piece (50)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ranch tube (42) projecting outwardly of the first and second close cover openings (23, 25) 60); A cover tube body 45 installed to surround the soundproof body 40; A soundproofing agent 46 installed between the cover tube 45 and the soundproof tube 40; And a control valve (70) installed on the front cover (21) to adjust an inlet opening area of the branch pipe (42).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밀착바디체를 안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노래연습을 수행하거나 소리내어 어학연습을 수행하는 경우, 입에서 나오는 소리가 밀착바디체에 설치된 보이스포집구를 통해 모아져 일정길이를 갖는 방음관체로 흘러들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게 됨에 따라 조용한 공간에서 타인에서 소음 공해를 주지 않게 되고, 자신이 내는 소리를 귀로 들을 수 있어 노래연습이나 어학연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practicing singing while performing the practice of singing while wearing the close-up body body on the face, sound coming from the mouth is gathered through a voice collecting tool installed on the close body body, As a result, it does not give a noise pollution to others in a quiet space, and it is possible to listen to the sound of oneself,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inging exercises and language exercis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마스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마스크의 배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관체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관체이외는 점선처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관체에 커버관체와 방음제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바디체에 방음관체가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portable soundproofing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ate view showing the back surface state of the portable soundproof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soundproofing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over body and a soundproofing agent are installed on a soundproof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at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ound insulation body is coupled to the body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lines and the siz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어떤 구성요소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일체화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directly connected", or "integra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 or practice of the manufacturer or manufacturer producing the article.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in this appl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마스크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Hereinafter, a portable soundproofing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마스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마스크의 배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관체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관체에 커버관체와 방음제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1 is a state view showing a state of a portable soundproofing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of the portable soundproofing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4 is a state view showing a state of a soundproof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over body and a soundproofing agent are installed on the soundproof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부에 착용되는 밀착바디체(10)와, 상기 밀착바디체(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목을 감싸는 장착커버부(20)와, 상기 밀착바디체(1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보이스포집구(30)와, 상기 보이스포집구(30)에 연결되는 소정길이의 방음관체(4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1 to 5, the portable soundproof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10 to be worn on the wearer's face, a body 10 to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 A sound collecting port 30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a sound pipe body 4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ed to the voice collecting port 30.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마스크는 상기 밀착바디체(10)를 안면의 입과 코를 가리도록 착용한 상태에서 노래연습을 수행하거나 소리 내어 어학 연습을 수행하는 경우, 입에서 나오는 소리가 상기 보이스포집구(30)를 통해 상기 방음관체(40)로 흘러들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주위에 소음으로 인한 방해나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portable soundproofing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the singing exercises or performing the language exercises in a state in which the tightening body 10 is worn so as to cover the mouth and nose of the face, So that it flows into the sound-absorbing pipe 40 through the voice collecting mouth 30 and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disturbance or inconvenience due to noise.

이때, 상기 방음관체(40)는 상기 장착커버부(20)의 내부에 감겨지거나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관의 길이가 길어지면 체적의 증가로 고유 진동수가 낮아져 낮은 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ound-absorbing body 40 is wound or zigzag in the inside of the mounting cover part 20 to have a certain length. If the length of the tube is increased, the natural frequency is lowered So that the sound can be generated.

상기 밀착바디체(10)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도록 안면부에 밀착되게 착용되는 것으로, 일정면적을 갖는 내피와 외피가 상호 결합되어 착용자의 입과 코부위를 가리면서 안면의 볼 부위를 감쌀 수 있는 면적으로 이루어진다. The contact body body 10 is wor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ortion so as to cover the nose and mouth of the wearer, and the inner skin and the outer skin having a certain area are mutually coupled to cover the mouth portion and the nose portion of the wearer, .

이때, 착용자의 코 부위를 가리는 코가림부(11)에는 다수개의 호흡공(12)이 형성되어 착용자가 호흡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밀착바디체(10)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형태유지와이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breathing holes 12 are formed in the nose rim portion 11 covering the nose portion of the wearer so that the wearer can easily breathe, and at the edge between the inner skin and the outer skin, the contact body 10 (Not shown) that can maintain the shape of the shape-retaining wire (not shown).

또한, 상기 밀착바디체(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밀착바디체(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안면밀착구(14)가 설치된다. 상기 밀착바디체(10)에 상기 안면밀착구(14)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보이스포집구(30)에서 외부로 새어나오는 소리가 상기 밀착바디체(10)의 외부로 배출되어 조용한 공간에서의 소음유발을 재차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body 10, a face-contact fitting 14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contact body 1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The sound that leaks to the outside from the voice collecting mouth 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ct body 10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facial contact fitting 14 in the contact body 10, Thereby preventing the triggering again.

상기 장착커버부(20)는 상기 밀착바디체(10)의 하측에 착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양단이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바디체(10)를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장착커버부(20)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상기 밀착바디체(10)의 착용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mounting cover part 20 is installed to cover the neck of the wearer on the lower side of the contact body 10, and both ends are bound by a binding member. The contact body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The wearing state of the wearer's body 10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wrapping the neck of the wearer with the use of the mounting cover portion 20. [

이때, 상기 장착커버부(20)는 내부에는 후술되는 상기 방음관체(4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지퍼나 밸크로, 단추부재 등과 같은 결속부재가 설치된다. At this time, the mounting cover portion 20 has a space portion for receiving the soundproof body 40 described later, and a binding member such as a zipper, a ball, or a button member is provided at both ends.

상기 장착커버부(20)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밀착바디체(1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에 제1공간부(22)가 형성된 전면커버구(21)와, 상기 전면커버구(21)의 제1공간부(22)와 연통되는 제2공간부(24)가 마련된 상태로 상기 전면커버구(21)의 일측단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밀착커버구(23)와, 상기 전면커버구(21)의 제1공간부(22)와 연통되는 제3공간부(26)가 마련된 상태로 상기 전면커버구(21)의 타측단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밀착커버구(25)로 이루어진다. A front cover 21 integrally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body 10 and having a first space 22 formed therein, A first cover cover 23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ront cover 21 in a state where a second space 24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22 of the first cover 21 is provided, And a second close cover opening 25 formed to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front cover opening 21 in a state that a third space 26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portion 22 of the front cover opening 21 is provided. ).

즉, 상기 전면커버구(21)는 상기 밀착바디체(1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목 앞부분에 가리게 되고, 상기 제1,2밀착커버구(23,25)는 착용자의 목을 감싸 양단부에 설치된 결속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That is, the front cover opening 21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 so as to be covered by the front of the wearer's neck, and the first and second close cover openings 23, And is coupled by a binding member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wrapping.

상기와 같은 장착커버부(20)가 착용자의 목부분을 감싸도록 장착됨에 따라 상기 밀착바디체(10)를 착용자의 안면에 지속적으로 밀착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As the mounting cover 20 is mounted so as to surround the neck of the wearer, the contact body 10 can be worn on the wearer's face continuously.

또한, 상기 보이스포집구(30)는 상기 밀착바디체(1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밀착바디체(10)의 착용시, 착용자의 입을 가려 입에서 배출되는 소리를 포집하는 것이다. The voice collecting mouth 3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body 10 so as to cover the mouth of the wearer when the contact body 10 is worn and collect sound emitted from the mouth.

이때, 상기 보이스포집구(30)는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보이스포집구(30)는 상기 밀착바디체(1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15)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되 착용자의 입을 가리는 일측 개구부는 상기 밀착바디체(10)의 내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착용자의 입 부분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voice collector 30 has a funnel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he voice collector 30 includes a housing space 15 formed between the inner skin and the outer skin of the contact body 10, So that the mouth of the wearer can be easily expos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to easily receive the mouth portion of the wearer.

여기서, 상기 밀착바디체(10)에 형성된 수용공간(15)은 상기 전면커버구(21)의 제1공간부(22)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되는 방음관체(40)가 상기 수용공간(15)과 제1,2,3공간부(22,24,26)를 거치면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쪽 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15 formed in the body 10 is form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pace 22 of the front cover 21 because the soundproof body 4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while passing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15)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space portions (22, 24, 26) so as to extend in both ear directions of the user.

상기 방음관체(40)는 일정길이를 갖는 상태로 상기 보이스포집구(3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보이스포집구(30)를 통해 포집된 소리가 일정길이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하여 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소리가 낮은 소리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sound absorbing body 40 is connected to the voice collecting mouth 30 in a state of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sound collected through the voice collecting mouth 3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sound can be emitted with a low sound.

즉, 상기 보이스포집구(30)에 입 부분이 수용된 상태에서 소리 내어 어학연습을 수행하거나 노래연습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보이스포집구(30)를 거치 소리가 상기 방음관체(40)로 흘러들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방음관체(40)가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져 체적이 증가됨에 따라 고유진동수가 낮아져 외부배출시 낮은 음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performing the language practice or singing practice in a state where the mouth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voice collecting mouth 30, a sound is transmitted to the sound absorbing body 40 through the voice collecting mouth 30 The sound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the sound-absorbing body 4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volume of the sound is increased, so that the natural frequency is lowered.

이때, 상기 방음관체(40)는 길이방향 일측단이 상기 보이스포집구(3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연결관(41)과, 상기 연결관(41)의 타측단에서 분기되어 착용자의 양쪽 귀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분기관(42)으로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sound-absorbing body 40 includes a connection pipe 41,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voice collecting mouth 3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41, And a pair of branch pipes (42) extending from the branch pipes (42).

즉, 상기 연결관(41)은 상기 밀착바디체(10)의 수용공간(15)에 위치하는 상기 보이스포집구(3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커버구(21)의 제1공간부(22)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분기관(42)은 상기 전면커버구(21)의 제1공간부(22)에서 상기 제1,2밀착커버구(23,25)의 제1,2공간부(22,24)로 분기되어 단부가 상기 제1,2밀착커버구(23,2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착용자의 양쪽 귀방향으로 연장된다. That is, the connection pipe 41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voice trap 30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15 of the contact body 10, 22 of the first and second close cover openings 23 and 25 in the first space portion 22 of the front cover opening 21, (22, 24) so that the end portion protrudes outward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cover openings (23, 25) and extends in both ear directions of the wearer.

한편, 상기 밀착바디체(10)의 양측단에는 착용자의 귀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탄성가압편(50)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가압편(50)의 단부에는 착용자의 귀를 덮는 이어머프(60)가 설치된다. A pair of elastic pressing parts 50 extending in the ear direction of the wearer are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contact body 10. The elastic pressing part 50 has ear muffs (60).

여기서, 상기 제1,2공간부(22,24)로 분기된 상기 방음관체(40)의 분기관(42)은 상기 밀착바디체(10)의 내부를 거쳐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어머프(60)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어머프(60)에는 상기 분기관(42)을 통해 배출되는 소리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와 같은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으로 입력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수단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수단에는 별도의 어이폰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The branch pipes 42 of the soundproofing body 40 branched to the first and second space portions 22 and 24 are protru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10 to form the ear muff 60 As shown in FIG. The ear muff 60 may be provided with an output means such as a microphone for inputting sound emitted through the branch pipe 42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 And the output means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connect a separate earphone.

상기 탄성가압편(50)는 상기 밀착바디체(10)와 이어머프(6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어머프(60)를 착용자의 귀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착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음 마스크의 착용시 상기 밀착바디체(10)가 착용자의 안면에 보다 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elastic pressing piece 50 is provided between the contact body 10 and the ear muff 60 so as to elastically press the ear muff 60 in the ear direction of the wearer. The contact body 10 can be more closely contacted to the face of the wearer.

또한, 상기 이어머프(60)는 착용자의 귀를 수용하는 이어수용홈(61)이 형성되어 상기 방음관체(40)의 분기관(42)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리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면서 자신의 소리를 귀로 용이하게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ear muff 60 is formed with an ear receiving groove 61 for receiving the ear of the wearer so that the sound emitted from the branch pipe 42 of the soundproof pipe body 40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listen to the ears.

또한, 상기 방음관체(40)의 외측에는, 그 방음관체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커버관체(45)가 상기 방음관체(40)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커버관체(45)와 방음관체(40) 사이에는 방음제(46)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A cover tube body 45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oundproof tube body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soundproof tube body 40 so as to surround the soundproof tube body 40. The cover tube body 45 and the soundproof tube body 40 may be provided with a soundproofing agent 46.

또한, 상기 전면커버구(21)에는 상기 분기관(42)의 입구 개방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밸브(70)가 설치되는데, 상기 분기관(42)의 입구 개방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양쪽귀로 들리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 control valve 70 is provided in the front cover 21 so as to adjust the inlet opening area of the branch pipe 42. The opening of the branch pipe 42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opening area of the branch pipe 42, So that the size of the sound can be adjusted.

즉, 상기 조절밸브(70)의 조작을 통해 한 쌍의 분기관(42) 중 어느 하나의 분기관 입구의 개방면적을 작게 하게 되면 그 분기관으로 유입된 소리의 고유진동수가 낮아져 낮은 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open area of one branch pipe inlet of the pair of branch pipes 42 is reduc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70,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sound introduced into the branch pipe becomes low, It will be don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마스크의 제조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이스포집구(30)에 연결되는 방음관체(40)의 연결관(41)이 착용자의 가슴부분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연결관(41)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42)이 착용자의 목둘레를 감싸도록 하여 착용자의 귀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6, the connecting pipe 41 of the sound-absorbing body 40 connected to the voice collecting mouth 30 is extended to the chest part of the wearer, A branch pipe 42 branched from the connection pipe 41 may be configured so as to extend in the ear direction of the wearer so as to surround the neckline of the wearer.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10: 밀착바디체 11: 코가림부
20: 장착커버부 21: 전면커버구
23: 제1밀착커버구 25: 제2밀착커버구
30: 보이스포집구 40: 방음관체
41: 연결관 42: 분기관
45: 커버관체 46: 방음제
50: 탄성가압체 60: 이어머프
61: 이어수용홈 70: 조절밸브
10: contact body body 11: nasal rim
20: mounting cover part 21: front cover part
23: first contact cover 25: second contact cover
30: Voice collector 40: Soundproof tube
41: connector 42: branch tube
45: Cover tube 46: Soundproofing agent
50: Elastic pressing body 60: Ear muff
61: ear receiving groove 70: regulating valve

Claims (5)

내피와 외피가 상호 결합되어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도록 안면부에 밀착되게 착용되되 착용자의 코 부위를 가리는 코가림부(11)에는 다수개의 호흡공(12)이 형성되고,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안면밀착구(14)가 설치되며,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는 수용공간(15)가 형성된 밀착바디체(10);
상기 밀착바디체(1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15)와 연통되는 제1공간부(22)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목 앞부분을 가리는 전면커버구(21)와, 상기 전면커버구(21)의 제1공간부(22)와 연통되는 제2공간부(24)가 마련된 상태로 상기 전면커버구(21)의 일측단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밀착커버구(23)와, 상기 전면커버구(21)의 제1공간부(22)와 연통되는 제3공간부(26)가 마련된 상태로 상기 전면커버구(21)의 타측단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밀착커버구(25)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목을 감싸 상기 제1,2밀착커버구(23,25)의 양단부에 설치된 결속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장착커버부(20);
착용자의 입을 가리는 일측이 상기 밀착바디체(10)의 내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공간(15)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밀착바디체(10)의 착용시, 착용자의 입을 가려 상기 입에서 배출되는 소리를 포집하는 깔때기 형상의 보이스포집구(30);
길이방향 일측단이 상기 수용공간(15)에 위치하는 상기 보이스포집구(3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커버구(21)의 제1공간부(22)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결관(41)과, 상기 전면커버구(21)의 제1공간부(22)에서 상기 제1,2밀착커버구(23,25)의 제1,2공간부(22,24)로 분기되어 단부가 상기 제1,2밀착커버구(23,2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착용자의 양쪽 귀방향으로 연장되는 분기관(42)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이스포집구(30)를 통해 포집된 소리의 외부배출을 제한하는 방음관체(40);
상기 밀착바디체(10)의 양측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탄성가압편(50);
상기 제1,2밀착커버구(23,25)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분기관(42)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탄성가압편(50)의 단부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귀를 덮는 이어머프(60);
상기 방음관체(4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관체(45);
상기 커버관체(45)와 방음관체(40)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제(46);
상기 전면커버구(21)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관(42)의 입구 개방면적을 조절하는 조절밸브(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방음 마스크.
A plurality of breathing holes (12) are formed in the nasal rim (11) covering the nose portion of the wearer while the inner skin and the nude skin are mutually coupled to cover the nose and mouth of the wearer. A face body (14)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a housing body (10) having a receiving space (15) formed between the inner skin and the outer skin;
A front cover 21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 and formed with a first space 22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15 to cover the front of the neck of the wearer, The first cover cover 21 is provided with a first cover cover 23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front cover cover 21 with a second space 24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22 of the front cover cover 21. [ And a third space portion 26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portion 22 of the front cover opening 21 is formed in the front cover opening 21 so as to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front cover opening 21, A cover cover (20) composed of a cover opening (25) and wrapped around the wearer 's neck and joined by a binding member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cover openings (23, 25);
The other side of the wearer's mouth is expos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ntact body 10 and the other side of the wearer's mouth is plac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5 to cover the wearer's mouth when the contact body 10 is worn A funnel-shaped voice collector 30 for collecting sound emitted from the mouth;
(41)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voice capturing hole (30) located at the receiving space (15) and extends to the first space portion (22) of the front cover opening (21) (22, 24) of the first and second close cover openings (23, 25) in the first space portion (22) of the front cover opening (21) And a branch tube (42) protruding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cover openings (23, 25)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both ears of the wearer so as to limit the external discharge of the sound collected through the voice collector A soundproofing body (40);
Elastic pressing members 50 formed to extend from both side ends of the contact body 10;
The ear muff (5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elastic pressing piece (50)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ranch tube (42) projecting outwardly of the first and second close cover openings (23, 25) 60);
A cover tube body 45 installed to surround the soundproof body 40;
A soundproofing agent 46 installed between the cover tube 45 and the soundproof tube 40;
And a control valve (70) installed on the front cover (21) to adjust an inlet opening area of the branch pipe (4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78900A 2017-06-22 2017-06-22 Portable sound proof mask KR1019230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900A KR101923088B1 (en) 2017-06-22 2017-06-22 Portable sound proof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900A KR101923088B1 (en) 2017-06-22 2017-06-22 Portable sound proof ma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088B1 true KR101923088B1 (en) 2018-11-28

Family

ID=6456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900A KR101923088B1 (en) 2017-06-22 2017-06-22 Portable sound proof 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08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216A (en) * 2019-03-12 2020-09-22 김재성 Mask type's sound proof band
KR20220093916A (en) 2020-12-28 2022-07-05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A volume reduction mask to improve voice tick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2740A (en) * 2007-11-01 2009-05-28 Yoshitaka Kojo Circumference voice insulation and individual concentration mask
KR101279046B1 (en) * 2012-11-28 2013-07-02 임서정 Exclusive listening and vocal learning is a possible learn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2740A (en) * 2007-11-01 2009-05-28 Yoshitaka Kojo Circumference voice insulation and individual concentration mask
KR101279046B1 (en) * 2012-11-28 2013-07-02 임서정 Exclusive listening and vocal learning is a possible learn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216A (en) * 2019-03-12 2020-09-22 김재성 Mask type's sound proof band
KR102199491B1 (en) * 2019-03-12 2021-01-06 김재성 Mask type's sound proof band
KR20220093916A (en) 2020-12-28 2022-07-05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A volume reduction mask to improve voice tic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9195B1 (en) Ear terminal
US6754359B1 (en) Ear terminal with microphone for voice pickup
ES2279829T3 (en) EAR PROTECTION WITH VERIFICATION DEVICE.
US6661901B1 (en) Ear terminal with microphone for natural voice rendition
BR112017005664B1 (en) CIRCO-AURICULAR AUDITORY EVALUATION 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CIRCO-AURICULAR DEVICE
KR101923088B1 (en) Portable sound proof mask
CN110300349A (en) A kind of In-Ear Headphones
CA2418010C (en) Ear terminal with a microphone directed towards the meatus
CN111314818A (en) Earmuff and headset
ES2319734T3 (en) AUDIO TERMINAL FOR NOISE CONTROL.
CN202551285U (en) Earplug having acoustic characteristics for earphone
CN205864672U (en) A kind of noise cancelling headphone of water proof and dust proof
CA2418026C (en) Ear terminal with microphone in meatus, with filtering giving transmitted signals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sound
CN207820172U (en) Wear-type sound field device
CN205430534U (en) Noise proof earplug microphone of preventing uttering long and high -pitched sounds
WO2019141167A1 (en) Eye mask for aiding with sleep
WO2002017835A1 (en) Ear terminal for natural own voice rendition
RU162103U1 (en) SYSTEM FOR RECEIVING / TRANSMISSION OF A SOUND WAVE WHILE CONDUCTING A LESSON TO RESTORE MISSED MENTAL FUNCTIONS UNDER NOISE INTERFERENCE
JP2009112740A (en) Circumference voice insulation and individual concentration mask
KR200210151Y1 (en) mask for use in linguistic education
CN102572634B (en) A kind of acoustic feature earphone earplug and earphone
CN208015952U (en) Electromechanical integration acoustic-electric shields earmuff
KR200203760Y1 (en) Soundproofing helmet
JPH1085202A (en) Audibility measuring device
KR101382528B1 (en) Eartip and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