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052A - 연마휠 및 이를 구비하는 연마기 - Google Patents

연마휠 및 이를 구비하는 연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052A
KR20200069052A KR1020180156168A KR20180156168A KR20200069052A KR 20200069052 A KR20200069052 A KR 20200069052A KR 1020180156168 A KR1020180156168 A KR 1020180156168A KR 20180156168 A KR20180156168 A KR 20180156168A KR 20200069052 A KR20200069052 A KR 20200069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polishing pad
body panel
pad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진
Original Assignee
장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진 filed Critical 장성진
Priority to KR1020180156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9052A/ko
Publication of KR20200069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hand or table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08Machines comprising two or more tools or having several working po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s; Speci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such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8/00Manufacture of grinding tools or other grinding devices, e.g.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2201/00Bushings or mountings integral with the grinding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휠 및 이를 구비하는 연마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제1 바디패널과, 상기 제1 바디패널의 전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중첩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위페이퍼를 포함하는 제1 연마패드; 상기 제1 연마패드의 전방에서 상기 제1 연마패드와 대향하도록 상기 허브에 삽입되는 제2 연마패드; 상기 제1 연마패드와 상기 제2 연마패드의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허브; 상기 허브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제2 연마패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허브의 양단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마휠 및 이를 구비하는 연마기{Polishing wheel and polis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마휠 및 이를 구비하는 연마기에 관한 것이다.
칼은 식재료를 절단하거나 다듬을 때 사용하는 도구로서,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칼은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 칼날이 마모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칼날을 연마할 필요가 있다.
현재 시중에는 칼날을 연마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칼날 연마용 연마휠이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마휠은 칼날의 끝부분인 절삭면만 연마하여 칼날을 복구하는데 최적화되어 있다. 이러한 연마휠을 이용하여 칼날을 수차례 연마하면 칼날의 두께가 점점 두꺼워져 연마휠과 칼날 사이에 물리적인 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러한 물리적인 부하는 절삭도구인 칼날을 도끼날 형상으로 변형시켜 절삭면이 깨끗하지 않게 되며, 연마휠의 마모를 가속화시켜서 연마휠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절삭작업 중 가해지는 물리적인 부하에 의해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칼날을 예리하게 연마하기 위해, 칼날의 각도를 조절하여 연마하는 옥갈기(주로 두꺼운 칼을 갈 때 쓰는 방법) 또는 벗갈기(회칼과 같은 예리한 칼날을 갈 때 쓰는 방법)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기존의 연마휠은 칼날의 끝부분을 연마하는 기능만 제공할 뿐, 옥갈기와 벗갈기같이 각도를 조절하는 정밀한 작업을 수행할 수는 없었다.
아울러, 칼날 연마시 사용자가 직접 칼날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숙련자가 아닌 경우 칼날의 각도를 균일하게 윤지하지 못하여 칼날에 의도하지 않은 굴곡이나 변형이 생기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칼날 연마시 연마휠과 칼날 사이에 물리적인 부하를 줄이며, 칼날의 연마 각도를 가이드하는 연마휠과 이를 구비하는 연마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제1 바디패널과, 상기 제1 바디패널의 전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중첩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위페이퍼를 포함하는 제1 연마패드; 상기 제1 연마패드의 전방에서 상기 제1 연마패드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연마패드; 상기 제1 연마패드와 상기 제2 연마패드의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허브; 상기 허브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제2 연마패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허브의 양단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연마휠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연마패드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제2 바디패널과, 상기 제2 바디패널의 배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마패드의 제1 단위페이퍼와 반대 방향으로 중첩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위페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제3 바디패널과, 상기 제3 바디패널의 전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마패드의 제1 단위페이퍼와 동일 방향으로 중첩되는 복수 개의 제3 단위페이퍼를 포함하는 제3 연마패드; 및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제4 바디패널과, 상기 제4 바디패널의 배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연마패드의 제3 단위페이퍼와 반대 방향으로 중첩되는 복수 개의 제4 단위페이퍼를 포함하는 제4 연마패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연마패드와 상기 제4 연마패드는 제3 단위페이퍼와 제4 단위페이퍼가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허브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제2 연마패드와 상기 제3 연마패드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연마패드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제2 바디패널과, 상기 제2 바디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1 탄성패드와, 상기 제1 탄성패드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래핑페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바디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제2 탄성패드와 상기 제2 탄성패드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 래핑페이퍼를 포함하는 제3 연마패드, 및 상기 제3 연마패드와 대향하도록 상기 허브에 삽입되는 제4 연마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4 연마패드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제3 바디패널과, 상기 제3 바디패널의 배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마패드의 제1 단위페이퍼와 동일 방향으로 중첩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위페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모터; 및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 일단에 장착되는 청구항 1 내지 6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마휠을 포함하는 연마기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모터의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관통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에 이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마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면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마벨트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휠 및 이를 구비하는 연마기에 의하면, 초보자라도 쉽게 연마 각도를 설정하여 칼날을 연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마기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마기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100)은 제1 연마패드(110)와 제2 연마패드(120)를 포함하며, 제1 연마패드(110)와 제2 연마패드(120)의 중앙을 관통하여 허브(130)가 결합된다. 또한, 허브(130)의 일측에는 탄성부재(140)가 개재되어 제1,제2 연마패드(110,120)가 상호 밀착하도록 탄성 지지하며, 허브(130)의 양단에는 각각 너트부재(150)가 나사 결합되어 제1,제2 연마패드(110,120)가 허브(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제1 연마패드(110)는 제1 바디패널(111)과, 제1 바디패널(111)의 전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위페이퍼(112)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바디패널(111)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로서, 예컨대 양면에 격자 형태의 메쉬가 형성된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제1 바디패널(111)의 재질은 금속이나 목재 또는 종이나 합성수지 재질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1 바디패널(111)의 전면에 복수 개의 제1 단위페이퍼(112)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중첩하도록 부착된다. 제1 단위페이퍼(112)는 일면에 소정 거칠기의 연마면이 형성된 부채꼴 형태의 연마부재로서, 복수 개의 제1 단위페이퍼(112)가 서로 일정 부분이 겹쳐지도록 중첩되어 원형으로 돌아가면서 제1 바디패널(111)의 전면에 부착된다.
제1 연마패드(110)의 전방에 인접하여, 제1 연마패드(110)와 대향하도록 제2 연마패드(120)가 배치된다. 제2 연마패드(120)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제2 바디패널(121)과, 제2 바디패널(121)의 배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위페이퍼(122)를 포함한다. 제2 바디패널(121)은 전술한 제1 바디패널(111)과 동일 소재 및 동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단위페이퍼(122)는 전술한 제1 단위페이퍼(112)와 동일한 표면 거칠기를 갖는 동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디패널(121)의 배면에 복수 개의 제2 단위페이퍼(122)가 원주 방향을 따라 부착되며, 이때 제2 단위페이퍼(122)는 제1 연마패드(110)의 제1 단위페이퍼(112)와 반대 방향으로 중첩된다. 예컨대, 제1 단위페이퍼(112)가 제1 연마패드(110)의 전면에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면서 중첩되도록 부착되면, 제2 단위페이퍼(122)는 제2 연마패드(120)의 배면에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면서 중첩되도록 부착되는 것이다.
이는 제1 단위페이퍼(112)와 제2 단위페이퍼(122)가 서로 대칭인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제1 단위페이퍼(112)와 제2 단위페이퍼(122) 사이로 삽입되는 칼날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한편, 연마휠(100)의 회전시 칼날의 양면이 자연스럽게 연마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연마패드(110)와 제2 연마패드(120)의 중앙을 관통하여 허브(130)가 삽입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바디패널(111)과 제2 바디패널(121)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허브(130)가 삽입된다. 허브(130)는 중공의 원통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허브(130)의 양단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바디패널(111)과 제2 바디패널(121)의 관통공에는 각각 마모 방지를 위한 링 부재(16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제2 연마패드(110,120)의 중앙을 관통하는 허브(130)의 양단에 너트부재(150)가 각각 나사 결합된다.
또한, 허브(130)의 일측에는 탄성부재(140)가 개재되어 제1,제2 연마패드(110,120)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부재(140)는 예컨대 허브(130)에 삽입되는 웨이브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탄성부재(140)는 제1 바디패널(111)의 후방에서 제1 바디패널(111)과 인접하는 너트부재(150) 사이에 개재되거나, 또는 제2 바디패널(121)의 전방에서 제2 바디패널(121)과 인접하는 너트부재(15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100)은 허브(130)가 회전모터(20, 도 9 참조)의 회전축(21, 도 9 참조)에 끼워져서 회전모터(20) 구동시 회전축(21)과 함께 일체로 회전한다. 이때, 사용자는 제1 연마패드(110)와 제2 연마패드(120) 사이에 칼날을 삽입시켜 연마하게 되는데,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제1,제2 단위페이퍼(112,122)가 칼날의 양면에 각각 밀착되며, 제1,제2 단위페이퍼(122)의 회전에 의해 칼날의 양면이 연마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제1,제2 단위페이퍼(112,122)의 길이나 두께 등의 규격, 또는 중첩되는 각도 등의 중첩형태를 달리함으로써 날 연마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연마시 외력에 의해 연마각도가 비틀리면, 탄성부재(140)가 압축되면서 제1 연마패드(110) 또는 제2 연마패드(120)가 허브(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데, 이때 제1 연마패드(110) 또는 제2 연마패드(120)가 헛돌게 됨으로써 더 이상의 부정확한 연마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임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제1 바디패널(111)의 후면 또는 제2 바디패널(121)의 전면에 연마페이퍼(17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이 연마페이퍼(170)에 칼날을 접촉시켜 날을 연마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1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연마휠(100)과 비교하여 제3 연마패드(180)와 제4 연마패드(190)를 더 포함하고, 허브(130')가 제1 연마패드(110)로부터 제4 연마패드(190)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전술한 탄성부재(140)는 제2 연마패드(120)와 제3 연마패드(180) 사이에 개재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연마패드(120)의 전방에 제3 연마패드(180)와 제4 연마패드(190)가 차례로 배치된다. 제2 연마패드(120)와 제3 연마패드(180) 사이에 탄성부재(140)가 개재되며, 사용자는 제1 연마패드(110)와 제2 연마패드(120) 사이, 또는 제3 연마패드(180)와 제4 연마패드(190) 사이에 칼날을 삽입하여 날을 연마할 수 있다. 이때, 제1,제2 단위페이퍼(112,122)의 표면 거칠기와 제3,제4 단위페이퍼(182,192)의 표면 거칠기, 또는 제1,제2 단위페이퍼(112,122)의 날 연마각도와 제3,제4 단위페이퍼(182,192)의 연마각도를 서로 달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황삭과 정삭 등 연마 정밀도 또는 날 연마각도를 선택하여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연마패드(180)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3 바디패널(181)과, 제3 바디패널(181)의 전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연마패드(110)의 제1 단위페이퍼(112)와 동일 방향으로 중첩되는 복수 개의 제3 단위페이퍼(182)를 포함한다.
제4 연마패드(190)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4 바디패널(191)과, 제4 바디패널(191)의 배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제3 연마패드(180)의 제3 단위페이퍼(182)와 반대 방향 즉, 제2 연마패드(120)의 제2 단위페이퍼(122)와 동일 방향으로 중첩되는 복수 개의 제4 단위페이퍼(192)를 포함한다.
허브(130')는 제1 연마패드(110), 제2 연마패드(120), 제3 연마패드(180) 및 제4 연마패드(190)를 관통하며, 제1 연마패드(110)의 후방으로 연장된 허브(130')의 후단과, 제4 연마패드(190)의 전방으로 연장된 허브(130')의 전단에는 각각 너트부재(150)가 결합된다. 이때, 제2 연마패드(120)의 제2 바디패널(121)과 제3 연마패드(180)의 제3 바디패널(181) 사이에 탄성부재(140)가 개재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바디패널(111)의 후면 또는 제4 바디패널(191)의 전면에 연마페이퍼(17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이 연마페이퍼(170)에 칼날을 접촉시켜 날을 연마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300)은 제1 연마패드(310)와 제2 연마패드(320)를 포함하며, 제1 연마패드(310)와 제2 연마패드(320)의 중앙을 관통하여 허브(330)가 결합된다. 또한, 허브(330)의 일측에는 탄성부재(340)가 개재되어 제1,제2 연마패드(310,320)가 상호 밀착하도록 탄성 지지하며, 허브(330)의 양단에는 각각 너트부재(350)가 나사 결합되어 제1,제2 연마패드(310,320)가 허브(3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제1 연마패드(310)는 제1 바디패널(311)과, 제1 바디패널(311)의 전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위페이퍼(312)를 포함한다.
제1 바디패널(311)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로서, 예컨대 양면에 격자 형태의 메쉬가 형성된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제1 바디패널(311)의 재질은 금속이나 목재 또는 종이나 합성수지 재질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1 바디패널(311)의 전면에 복수 개의 제1 단위페이퍼(312)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중첩하도록 부착된다. 제1 단위페이퍼(312)는 일면에 소정 거칠기의 연마면이 형성된 부채꼴 형태의 연마부재로서, 복수 개의 제1 단위페이퍼(312)가 서로 일정 부분이 겹쳐지도록 중첩되어 원형으로 돌아가면서 제1 바디패널(311)의 전면에 부착된다.
제1 연마패드(310)의 전방에 인접하여, 제1 연마패드(310)와 대향하도록 제2 연마패드(320)가 배치된다.
이때, 제2 연마패드(320)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제2 바디패널(321)과, 제2 바디패널(321)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1 탄성패드(322)와, 제1 탄성패드(322)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래핑페이퍼(323)를 포함한다.
제2 바디패널(321)은 전술한 제1 바디패널(311)과 동일 소재 및 동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패드(322)는 접착 또는 융착 등의 방법으로 제2 바디패널(321)의 배면에 부착되며, 예컨대 고무나 실리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패드(322)는 후술하는 제1 래핑페이퍼(323)를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허브(330) 삽입을 위한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다.
제1 탄성패드(322)의 후방에 제1 래핑페이퍼(323)가 배치된다. 제1 래핑페이퍼(323)는 예컨대, 일면 또는 양면에 래핑(lapping) 가공이 가능할 정도의 표면 거칠기를 갖는 연마페이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래핑페이퍼(323)는 허브(330) 상에 결합되며, 이를 위해 제1 래핑페이퍼(323)의 중앙에는 허브(330) 삽입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다.
제1 연마패드(310)와 제2 연마패드(320)의 중앙을 관통하여 허브(330)가 삽입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바디패널(311)과 제1 탄성패드(322) 및 제2 바디패널(321)의 관통공을 차례로 관통하여 허브(330)가 삽입된다. 허브(330)는 중공의 원통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허브(330)의 양단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바디패널(311)과 제2 바디패널(321)의 관통공에는 마모 방지를 위한 링 부재(36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제2 연마패드(310,320)의 중앙을 관통하는 허브(330)의 양단에 너트부재(350)가 각각 나사 결합된다.
또한, 허브(330)의 일측에는 탄성부재(340)가 개재되어 제1,제2 연마패드(310,320)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부재(340)는 예컨대 허브(330)에 삽입되는 웨이브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탄성부재(340)는 제1 바디패널(311)의 후방에서 제1 바디패널(311)과 너트부재(350) 사이에 개재되거나, 또는 제2 바디패널(321)의 전방에서 제2 바디패널(321)과 너트부재(35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300)은 허브(330)가 회전모터(20)의 회전축(21)에 끼워져서 회전모터(20) 구동시 회전축(21)과 함께 일체로 회전한다. 이때, 사용자는 제1 연마패드(310)와 제2 연마패드(320) 사이에 칼날을 삽입하는데, 탄성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단위페이퍼(312)와 제1 래핑페이퍼(323)가 칼날의 양면에 각각 밀착되며, 제1 단위페이퍼(312)의 회전에 의해 칼날의 일면이 연마된다. 한편, 칼날의 반대면은 제1 래핑페이퍼(323)에 의해 래핑 가공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후술하는 제4 실시예는, 칼날의 양면을 동시에 모두 연마하는 제1,제2 실시예와는 달리, 칼날이 일면에만 형성된 칼을 연마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단위페이퍼(312)의 길이나 두께 등 규격, 또는 중첩되는 각도 등의 중첩형태를 달리함으로써 날 연마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연마시 외력에 의해 연마각도가 비틀리면, 탄성부재(340)가 압축되면서 제1 연마패드(310) 또는 제2 연마패드(320)가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데, 이때 제1 연마패드(310) 또는 제2 연마패드(320)가 허브(330) 상에서 헛돌게 됨으로써 더 이상의 부정확한 연마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바디패널(311)의 후면 또는 제2 바디패널(321)의 전면에 연마페이퍼(37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이 연마페이퍼(370)에 칼날을 접촉시켜 날을 연마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300')은, 전술한 제3 실시예의 연마휠(300)과 비교하여, 제3 연마패드(380)와 제4 연마패드(39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3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연마패드(320)의 전방에 제3 연마패드(380)와 제4 연마패드(390)가 차례로 배치되며, 제1 연마패드(310)의 후방 또는 제4 연마패드(390)의 전방에 탄성부재(340)가 개재된다.
제3 연마패드(380)는 제2 바디패널(321)의 전면에 부착되는 제2 탄성패드(381)와, 제2 탄성패드(38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 래핑페이퍼(382)를 포함한다. 제2 래핑페이퍼(382)는 허브(33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4 연마패드(390)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제3 바디패널(391)과, 제3 바디패널(391)의 배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연마패드(310)의 제1 단위페이퍼(312)와 동일 방향으로 중첩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위페이퍼(392)를 포함한다.
허브(330')는 제1 연마패드(310), 제2 연마패드(320), 제3 연마패드(380) 및 제4 연마패드(390)를 관통하며, 제1 연마패드(310)의 후방으로 연장된 허브(330')의 후단과, 제4 연마패드(390)의 전방으로 연장된 허브(330')의 전단에는 각각 너트부재(350)가 결합된다.
탄성부재(340)는 제1 바디패널(311)의 후방에서 제1 바디패널(311)과 너트부재(350) 사이에 개재되거나, 또는 제3 바디패널(391)의 전방에서 제3 바디패널(391)과 너트부재(35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연마패드(310)와 제2 연마패드(320) 사이, 또는 제3 연마패드(380)와 제4 연마패드(390) 사이에 칼날을 삽입하여 날을 연마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위페이퍼(312)의 표면 거칠기와 제2 단위페이퍼(392)의 표면 거칠기, 또는 제1 단위페이퍼(312)의 날 연마각도와 제2 단위페이퍼(392)의 날 연마각도를 서로 달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황삭과 정삭 등의 연마 정밀도 또는 날 연마각도를 선택하여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제1 래핑페이퍼(323)와 제2 래핑페이퍼(382)의 표면 거칠기를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1 바디패널(311)의 후면 또는 제3 바디패널(391)의 전면에 연마페이퍼(37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이 연마페이퍼(370)에 칼날을 접촉시켜 날을 연마할 수도 있다.
제5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마기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모터(20)의 회전축(21) 일단에 전술한 제1~제4 실시예의 연마휠(100~300')이 장착된 연마기(10)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마기(10)는 회전모터(20)의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0)과, 회전축(21)의 타단에 결합되는 구동롤러(40)와, 구동롤러(40)의 일측에 이격하여 지지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롤러(50)와, 구동롤러(40)와 종동롤러(5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마벨트(60, 도 11 참조)를 포함한다.
회전모터(20)는 베이스플레이트(70)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모터(20)의 회전축(21)은 모터하우징(23)을 관통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회전축(21)의 일단에는 전술한 제1~제4 실시예의 연마휠(100~300')이 장착되며, 회전축(21)의 타단은 지지프레임(30)을 관통한다.
회전축(21)의 외주면 일측에는 걸림턱(22)이 돌출 형성되며, 회전축(21)에 삽입된 연마휠(100~300')은 허브(130~330')의 후단이 걸림턱(22)에 걸리고, 허브(130~330')의 전단은 회전축(21)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24)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 지지되어, 회전모터(20) 작동시 회전축(21)과 함께 일체로 연마휠(100~300')이 회전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2 실시예의 연마휠(100')과 제4 실시예의 연마휠(300')이 나란히 장착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회전축(21)의 일단에 장착되는 연마휠(100~300')의 종류와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30)을 관통한 회전축(21)의 타단에는 구동롤러(40)가 결합된다. 즉, 회전모터(20)의 구동에 의한 회전축(21) 회전시, 회전축(21)의 일단에 결합된 연마휠(100~300')과 회전축(21)의 타단에 결합된 구동롤러(4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지지프레임(3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프레임(30)의 일측에 회전축(21)의 타단이 관통하도록 관통홀(31)이 형성된다. 관통홀(31)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결합홀(32)이 서로 이격하여 원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데, 결합홀(32)을 통해 모터하우징(23)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결합함으로써 모터하우징(23)에 지지프레임(30)을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홀(32)이 원호 형태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회전모터(20)에 대한 지지프레임(3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회전모터(20)에 대하여 지지프레임(30)을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기울여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프레임(30)의 타측에는 관통홀(3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장방타원형의 장력조절홀(33)이 관통 형성되며, 종동롤러(50)의 회전축이 이 장력조절홀(33)을 관통하여 너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된다. 장력조절홀(33)은 지지프레임(30)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장력조절홀(33)을 따라 종동롤러(50)의 결합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구동롤러(40)와 종동롤러(50) 사이의 간격을 변경하여, 연마벨트(6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구동롤러(40)와 종동롤러(50)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오링홈(41,51)이 각각 형성된다. 오링홈(41,51)의 내부 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통됨으로써 연마시 연마벨트(60)의 온도가 냉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링홈(41,51)에 고무나 실리콘 등 탄성재질의 오링(O-ring)을 장착하는 경우, 연마벨트(60)와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연마벨트(60)가 자연스럽게 순환되게끔 할 수 있다.
한편, 지지프레임(30)의 일면 상측에는 지지프레임(30)에 수직하게 받침대(80)가 결합되며, 이 받침대(80)는 연마벨트(60)의 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연마벨트(60)에 칼날을 접촉시켜 연마할 때 칼날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마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터(20)의 회전축(21) 일단에 전술한 제1~제4 실시예의 연마휠(100~300')이 장착되며, 지지프레임(30)을 관통한 회전축(21) 타단에는 종동롤러(50)와 연마벨트(60)로 연결되는 구동롤러(4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연마휠(100~300') 또는 연마벨트(60)를 이용하여 칼날을 연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연마기 20 : 회전모터
30 : 지지프레임 40 : 구동롤러
50 : 종동롤러 60 : 연마벨트
70 : 베이스플레이트 80 : 받침대
100,100',300,300' : 연마휠 110,310 : 제1 연마패드
120,320 : 제2 연마패드 130,130',330,330' : 허브
140,340 : 탄성부재 150,350 : 너트부재
180,380 : 제3 연마패드 190,390 : 제4 연마패드

Claims (9)

  1.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제1 바디패널과, 상기 제1 바디패널의 전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중첩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위페이퍼를 포함하는 제1 연마패드;
    상기 제1 연마패드의 전방에서 상기 제1 연마패드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연마패드;
    상기 제1 연마패드와 상기 제2 연마패드의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허브;
    상기 허브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제2 연마패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허브의 양단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연마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마패드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제2 바디패널과, 상기 제2 바디패널의 배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마패드의 제1 단위페이퍼와 반대 방향으로 중첩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위페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제3 바디패널과, 상기 제3 바디패널의 전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마패드의 제1 단위페이퍼와 동일 방향으로 중첩되는 복수 개의 제3 단위페이퍼를 포함하는 제3 연마패드; 및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제4 바디패널과, 상기 제4 바디패널의 배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연마패드의 제3 단위페이퍼와 반대 방향으로 중첩되는 복수 개의 제4 단위페이퍼를 포함하는 제4 연마패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연마패드와 상기 제4 연마패드는 제3 단위페이퍼와 제4 단위페이퍼가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허브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제2 연마패드와 상기 제3 연마패드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마패드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제2 바디패널과, 상기 제2 바디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1 탄성패드와, 상기 제1 탄성패드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래핑페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제2 탄성패드와 상기 제2 탄성패드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 래핑페이퍼를 포함하는 제3 연마패드, 및 상기 제3 연마패드와 대향하도록 상기 허브에 삽입되는 제4 연마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휠.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4 연마패드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의 제3 바디패널과, 상기 제3 바디패널의 배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마패드의 제1 단위페이퍼와 동일 방향으로 중첩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위페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휠.
  7. 회전모터; 및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 일단에 장착되는 청구항 1 내지 6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마휠을 포함하는 연마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의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관통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에 이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마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면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마벨트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KR1020180156168A 2018-12-06 2018-12-06 연마휠 및 이를 구비하는 연마기 KR20200069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168A KR20200069052A (ko) 2018-12-06 2018-12-06 연마휠 및 이를 구비하는 연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168A KR20200069052A (ko) 2018-12-06 2018-12-06 연마휠 및 이를 구비하는 연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052A true KR20200069052A (ko) 2020-06-16

Family

ID=7114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168A KR20200069052A (ko) 2018-12-06 2018-12-06 연마휠 및 이를 구비하는 연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90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3612B2 (en) Tool sharpener with adjustable support guide
US6267652B1 (en) Versatile ultrahone sharpener
JP5036977B2 (ja) ブラシユニット
CA2860206C (en) Precision sharpener for ceramic knife blades
AU2008241607B2 (en) Grinding holder in a machining device
EP3152002B1 (en) Abrasive tool for machining surfaces
CA1256292A (en) Knife sharpener
KR101688911B1 (ko) 드레싱 기능을 포함하는 센터리스 연삭장치
US9440325B2 (en) Adaptable abrasive cutting assembly for sharpener
KR101786191B1 (ko) 날 연마각도 조절장치
KR20200069052A (ko) 연마휠 및 이를 구비하는 연마기
US4142331A (en) Blade sharpeners
CN213319177U (zh) 手持式冰刀磨刀机
KR101765181B1 (ko) 휴대용 칼갈이 장치
US5397262A (en) Knife grinder
CN104989077A (zh) 铲墙机的磨刀器
US2900768A (en) Annular knife sharpener
KR101876722B1 (ko) 날 연마각도 조절장치
KR20150091446A (ko) 칼갈이 장치
CN204826559U (zh) 铲墙机的磨刀器
US2819564A (en) Machine for sharpening rotary cutters
JP7141693B2 (ja) 曲がり歯傘歯車用研磨体、及び曲がり歯傘歯車の研磨方法
JP3222587U (ja) 刈払機用回転刃研磨装置
US1341699A (en) Grinder for rotary cloth-cutting machines
GB2420091A (en) An electrically powered grinding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