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519A -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 - Google Patents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519A
KR20200068519A KR1020180155593A KR20180155593A KR20200068519A KR 20200068519 A KR20200068519 A KR 20200068519A KR 1020180155593 A KR1020180155593 A KR 1020180155593A KR 20180155593 A KR20180155593 A KR 20180155593A KR 20200068519 A KR20200068519 A KR 20200068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cylinder
fragrance
drug applicator
down driv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6618B1 (ko
Inventor
이흥수
Original Assignee
이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수 filed Critical 이흥수
Priority to KR1020180155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6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광고가 인쇄되어 있는 버티컬을 배열하고 크로스바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하여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차량을 통제하는 상부 크로스바; 상기 상부 크로스바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수직 상태를 유지하는 복수개의 버티컬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티컬 패널의 상단에는 회전축과 자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과 자전축에는 각각 베벨기어가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부 크로스바가 세워지도록 회전되면 상기 버티컬 패널이 상기 자전축을 중심으로 자전한다.

Description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 {Parking apparatus having advertisement function}
본 발명은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가 인쇄되어 있는 버티컬을 배열하고 크로스바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하여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주차 차단기는 호텔, 오피스텔, 마트, 영화관, 공항, 체육경기장, 전시장, 또는 아파트단지, 유료주차장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주차 차단기는 주차장 또는 도로 등으로 출입하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된 장치를 말한다.
통상, 주차 차단기는 차량이 출입하게 되는 출입구에 설치되고, 크로스바와 구동유닛으로 구성된다.
크로스바는 평상시에는 출입구로 차량들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일정높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유닛은 크로스바 일단에 연결 설치되어, 크로스바를 회전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이 일반적인 주차 차단기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구동유닛은 전기로 작동되는 작동 시스템을 갖추고, 크로스바의 일단쪽에 설치되어 통상 크로스바를 수평, 수직 위치로 90도 회전시킨다.
구동유닛은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주차료 징수를 위하여 반자동으로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즉 주차 관리자가 주차료를 수납하는 경우에는 주차 관리자가 출구의 크로스바의 구동을 수동으로 조정하도록 되어 있고, 입구의 크로스바는 자동으로 차량을 인식하여 주차표를 뽑거나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크로스바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자동으로 동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 크로스바는 일반적인 긴 봉 형태를 가지고, 주의를 끌기 위하여 복수의 색상을 줄무늬나 기타 모양으로 칠한 경우가 통상적이다.
이러한 크로스바는 긴 봉 형태이고 수평, 수직 위치로 회전되어야 하는 부품이기 때문에 광고 등을 인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광고 인쇄를 위하여 크로스바 형태를 넓은 판 형태로 만들 수도 있으나, 그럴 경우에는 구동이 어렵고, 디자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특2003-0047922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출입 차단 상태에서는 차량에서 전면에 광고가 노출되도록 하고 출입 통과 상태에서는 복수개의 광고패널이 회전되어 세워지도록 구성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차량을 통제하는 상부 크로스바와; 상기 상부 크로스바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수직 상태를 유지하는 복수개의 버티컬 패널과; 상기 상부 크로스바의 일단에 설치되며 차량의 입차 또는 출차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차량이나 사람이 감지되면 따라 외부로 향기를 출력하는 향기도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향기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1120)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모터(1130)와; 상기 회전모터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회전하되, 저면이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축(1131)과; 상기 회전모터의 하단에 위치되며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되는 상하구동 실린더(1140)와; 상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부에 위치하되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에 접면되면서 기계적으로 접촉되며,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과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하는 회전축(1141)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하 구동 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약물을 공급하는 향기 약물 도포기(1160)와; 일측은 향기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 및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시켜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는 향기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향기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의 결합홀 및 약물 도포기의 결합홀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향기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용 후크(1181)와; 상기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연결편(1182)과; 상기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상기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지지용 스프링(1184)과; 상기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이는 슬라이딩 유동편(1185)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푸시버튼(1186)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는 평상시에는 차량의 높이 정도의 광고가 항상 노출되도록 하여 주차 차단기의 역할 뿐만 아니라 큰 광고판 역할도 수행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2)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는 차량 높이와 면적을 갖는 광고판이 차단기가 올라간 상태에서는 옆으로 회전되어 접철됨으로써 공간을 차지 않고 접히게 됨으로써 본래의 차단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3)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는 차단기가 올라가는 동시에, 각각의 광고 패널이 회전되기 때문에 하나의 동작으로 이루어져 동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의 정면도로서, 출입통제 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의 정면도로서, 차단기가 올라가고 있는 중간 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의 정면도로서, 차단기가 완전히 올라간 출입통과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의 일부 구성요소인 광고패널과 이를 회전하기 위한 기구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의 일부 구성요소인 광고패널의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센서부 및 향기발산수단 구성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 단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요부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다른 각도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약액 통과용 홀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의 정면도로서, 출입통제 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의 정면도로서, 차단기가 올라가고 있는 중간 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의 정면도로서, 차단기가 완전히 올라간 출입통과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의 일부 구성요소인 광고패널과 이를 회전하기 위한 기구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의 일부 구성요소인 광고패널의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센서부 및 향기발산수단 구성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 단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요부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다른 각도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약액 통과용 홀 구성도로서,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1)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구동부(미도시), 상부 크로스바(20), 하부 크로스바(60), 복수개의 버티컬 패널(3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통상 모터를 사용하여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기술은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여 충분히 구현 가능하다.
여기서는 상기 구동부가 상부 크로스바(20)를 수평 위치에서 도 1과 도 2의 수평위치에서 도 4의 수직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여 준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부 크로스바(20)의 회전축(21)이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 박스(10) 내부에는 구동부와 다른 전장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크로스바(20)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차량을 통제하게 된다. 즉 수평위치에서는 차량을 통제하고, 수직위치에서는 출입구를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 크로스바(20)는 상기 버티컬 패널(30)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부분이 보호될 수 있도록 횡단면이 하부가 개방된 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상기 상부 크로스바(20)의 내측 측면에는 부싱(35a)을 갖는 조립패널(35)이 조립되고 그 양 부싱(35a)에 회전축(32)이 끼워져 상기 버티컬 패널(30)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버티컬 패널(30)은 상기 상부 크로스바(20)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는 버티컬 패널(30) 하단부가 하부 크로스바(60)에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강제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버티컬 패널(300의 상단에는 회전축(32)과 자전축(3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32)과 자전축(31)에는 각각 베벨기어(34)와 피니언기어(33)가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부 크로스바(20)가 세워지도록 회전되면 상기 버티컬 패널(30)이 상기 자전축(31)을 중심으로 자전하게 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회전축(3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설치된 두 개의 부싱(35a)에 양단 회전축(32a)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회전축(32)의 중앙에는 자전축(31)이 관통하게 되는 관통홀(32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자전축(31)은 상기 관통홀(32a)을 관통하여 관통 삽입된 다음 상부에서 피니언기어(33) 끼워진 다음 핀(36)이 핀홀(31b) 삽입되어 조립되는 구조이다.
상기 자전축(31) 하부에는 삽입조립부(31a)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조립부(31a)가 상기 버티컬 패널(30)에 형성된 홈(30a)에 삽입되어 자전축(31)이 버티컬 패널(30)에 조립된다. 따라서 자전축(31)을 중심으로 버티컬 패널(30)이 자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축(32)은 전후 방향으로 축(32a)이 연장되고, 한쪽에는 부싱(35a)에 베벨기어(34)가 고정되도록 조립되어 있다. 상기 베벨기어(34)는 상기 피니언기어(33)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통상의 베벨기어(34)와 피니언기어(33)는 전체적으로 기어들이 형성되어 직각으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구조이나, 여기서는 그 회전 각도가 약 90도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기어를 형성할 필요는 없어서 일부에만 기어를 형성한 것을 적용하였다.
상기 베벨기어(34)는 상기 부싱(35a)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상부 크로스바(20)가 회전하게 되면 부싱(35a)에 고정된 채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버티컬 패널(30)은 복수개가 연속하여 상기 상하부 크로스바(20,60)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광고 등을 각 버티컬 패널(30)에 인쇄하게 되면, 상기 상부 크로스바(20)의 수평위치에서는 그 광고가 외부로 정확하게 노출되어 광고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버티컬 패널(30) 하부에는 역시 자전축(37)이 삽입조립부(37a)에 의해 조립되고, 하부 자전축(37)은 회전블록(38)의 홀(38a)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회전블록(38)은 브래킷(39)에 회전축 볼트(41)가 홀(39a)에 조립됨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물론 상기 브래킷(39)은 하부 크로스바(60)에 조립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부 크로스바(6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티컬 패널(30)의 하부가 조립되기 때문에 버티컬 패널(30)들을 하부에서 지지하게 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상하부 크로스바(20,60) 사이에는 상하부 크로스바(20,60)를 상하로 연결하는 보조연결지지대(40,50)가 상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크로스바(20,60)를 연결 지지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상부 크로스바(20)가 차량을 통제하는 수평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여기서는 상기 버티컬 패널(30)이 전혀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버티컬 패널(30)에 인쇄되어 있는 광고가 전면에 노출되어 광고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차량의 진입 등의 이유에 의해 구동부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상부 크로스바(20)는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자유단이 상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3과 같은 상태로 된다.
이때 상기 버티컬 패널(30)은 회전축(32)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크로스바(20)의 회전각도 만큼, 약 45도 회전하게 되고, 계속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더불어 상기 버티컬 패널(30)은 상기 베벨기어(34)에 피니언기어(33)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자전축(31)을 중심으로 약 45도 회전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버티컬 패널(30)의 광고 이미지도 변화하게 된다.
상기 상부 크로스바(20)가 더 회전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버티컬 패널(30)도 90도 자전되어 그 측면만이 전면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광고 이미지는 보이지 않는다. 물론 버티컬 패널(30) 측면에 다른 이미지를 인쇄하였다면 그 이미지가 보일 것이다. 즉 수평위치와 수직위치에서 서로 다른 이미지를 광고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상부 크로스바(20)의 하단부들이 모두 하부 크로스바(6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완전히 수직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일정각도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 크로스바(20)가 완전히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출입구가 개방되어 차량통행이 자유롭다.
상기 구동부가 반대로 상기 상부 크로스바(20)를 회전시키면 차량 통제 상태인 수평위치로 돌아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버티컬 패널(30)도 원위치로 자전되어 도 2와 같은 광고가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크로스바(20)가 차량을 통제하는 수평 위치에서 자유단이 최대로 상승한 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버티컬 패널(30)이 상기 자전축(31)을 중심으로 90도 자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버티컬 패널(30)의 자전이 이루어지는 동작이 잘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a)는 수평위치이고, (b)는 도 3의 상부 크로스바(20)가 일정각도 회전된 것을 보여준다.
도 7에서 (a)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 크로스바(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버티컬 패널(30)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회전축(32)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b)에서와 같이 베벨기어(34)는 상부 크로스바(20)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함께 회전하게 되고, 회전되면서 맞물린 피니언기어(33)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피니언기어(33)가 회전되면 상기 버티컬 패널(30)이 자전축(31,37)을 중심으로 자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상부 크로스바(20)의 수평위치에서는 버티컬 패널(30)의 전면이 노출되어 광고 이미지가 노출되고 수직위치에서는 버티컬 패널(30)의 측면이 노출되어 광고 이미지가 노출되지 않는다. 물론 측면에도 인쇄가 되어 있다면 다른 이미지가 노출될 것이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통행하는 사람이나 차량 운행자의 시선을 충분히 모을 수 있게 되고,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게 된다.
상기 버티컬 패널(30)은 삽입조립부(31a,37a)에 조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손쉽게 조립과 분리가 가능하여 새로운 광고 이미지로 빠르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부 크로스바의 일단에 센서부(1000a)를 설치하여 입차 및 출차가 감지되면 향기를 발산시키도록한다.
즉, 차량이나 사람이 프레임의 근처를 지나가면 상부 크로스바 일단에 설치되는 향기 약액 도포장치를 작동시켜 향기를 발산시켜 기분좋은 상태로 광고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향기 약액 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배터리(1120)와, 회전모터(1130)와, 상하 구동 실린더(1140)와,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향기 약물 도포기(1160)와, 약액 저장수단(1170)과, 도포기 임시고정수단(11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10)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으며, 각종 장치를 내장하여 이루어진다. 즉, 하우징은 일측이 오픈된 두개의 케이스를 각각 상호 접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가 접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간부에 각종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수단들과 비슷한 구조이다.
상기 배터리(1120)는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배터리는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력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을 임시저장하여 전력이 필요로하는 각종 장치에 전기를 공급한다.
상기 회전모터(1130)는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모터축을 자유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축(1131)은 저면이 수직방향으로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형태이다. 즉, 상기 회전모터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며, 모터축의 저면이 굴곡진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하는 형태이다.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는 상기 회전모터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되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된다. 이때,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회전축(1141)은 상부면이 수직방향으로 파형형태로 이루어져 회전모터의 모터축의 파형과 상호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한다. 즉, 상하 구동 실린더는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회전모터의 모터축과 동일하게 회전축이 굴곡진 파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회전모터가 회전하면 상하 구동 실린더는 승하강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은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1110)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1140)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은 상하 구동 실린더(1140)를 상부방향으로 계속 밀어올리는 탄발작용을 하기 때문에 회전모터(130)가 회전시에 회전모터의 모터축(1131)의 파형과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회전축(1141)의 파형이 엇걸리면서 상하 구동 실린더가 하강하고, 엇걸림이 끝난후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에 의해서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상승하면서 회전축(1141)의 파형과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의 파형이 밀착된다. 따라서, 상하 구동 실린더(1140)는 회전모터(1130)에 근접하고 이격되는 것이 반복되어 회전모터(1130)를 중심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연속적으로 상하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향기 약물 도포기(1160)는 몸체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향기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향기 약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향기 약물 도포기(1160)는 내부에 저장되는 향기 약물을 향기 약물 통과용 홀(116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하며, 이때 향기 약물 도포기(1160)는 상하 구동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작동시에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타격되어 관성의 법칙에 따라 외부로 약물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향기 약액 저장수단(1170)은 내부에 향기 약물을 수납한 상태이며, 향기 약물 도포기(1160)에 삽입설치되어 향기 약물 도포기(1160)의 향기 약물 통과용 홀(1161)을 통해 출력된다. 즉, 상기 향기 약액 저장수단(1170)은 약물을 저정한 상태이며, 하부가 오픈된 형태로 향기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며,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구동시에 향기 약액 저장수단의 향기 약물이 외부로 출력되게 된다. 실제로 향기 약물 통과용 홀(1161)은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쉽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 향기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일측은 향기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1110)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1140) 및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1140) 및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승하강으로 유동하면서도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으며,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할 경우 버튼을 눌러서 하우징을 기준으로 향기 약물 도포기의 고정을 해제시켜 향기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로부터 이탈되어 하부로 탈거되도록 한다. 즉, 향기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은 상하 구동 실린더 및 향기 약물 도포기를 임시로 고정하여 동작시에 향기 약물 도포기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고, 향기 약물 도포기 내부에 존재하는 약물을 모두 사용한 다음에는 버튼을 눌러 향기 약물 도포기를 해제후 향기 약액 저장수단을 재수납시키도록 유도한다.
상기 임시고정수단(1180)은 걸림용 후크(1181)와, 연결편(1182)과,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지지용 스프링(1184)과,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푸시버튼(118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용 후크(1181)는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결합홀(1140a) 및 약물 도포기(1160)의 결합홀(1160a)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연결편(1182)은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한다.
상기 회전 지지용 힌지(1183)는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중심축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용 스프링(1184)은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향기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은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인다.
상기 푸시버튼(1186)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향기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1 : 주차 차단기
10 : 컨트롤 박스 20 : 상부 크로스바
30, 130 : 버티컬 패널 31, 37 : 자전축
32 : 회전축 33 : 피니언기어
34 : 베벨기어 35 : 부싱
36 : 핀 38 : 회전블록
39 : 브래킷 40, 50 : 보조연결지지대
100 : LED램프 110 : 제어부
120 : 스마트폰

Claims (3)

  1.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차량을 통제하는 상부 크로스바와;
    상기 상부 크로스바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수직 상태를 유지하는 복수개의 버티컬 패널과;
    상기 상부 크로스바의 일단에 설치되며 차량의 입차 또는 출차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차량이나 사람이 감지되면 따라 외부로 향기를 출력하는 향기도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1120)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모터(1130)와;
    상기 회전모터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회전하되, 저면이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축(1131)과;
    상기 회전모터의 하단에 위치되며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되는 상하구동 실린더(1140)와;
    상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부에 위치하되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에 접면되면서 기계적으로 접촉되며,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과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하는 회전축(1141)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하 구동 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약물을 공급하는 향기 약물 도포기(1160)와;
    일측은 향기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 및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시켜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는 향기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의 결합홀 및 약물 도포기의 결합홀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향기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용 후크(1181)와;
    상기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연결편(1182)과;
    상기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상기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지지용 스프링(1184)과;
    상기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이는 슬라이딩 유동편(1185)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푸시버튼(1186)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
KR1020180155593A 2018-12-05 2018-12-05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 KR102126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593A KR102126618B1 (ko) 2018-12-05 2018-12-05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593A KR102126618B1 (ko) 2018-12-05 2018-12-05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519A true KR20200068519A (ko) 2020-06-15
KR102126618B1 KR102126618B1 (ko) 2020-06-25

Family

ID=7108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593A KR102126618B1 (ko) 2018-12-05 2018-12-05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6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922A (ko) 2003-04-24 2003-06-18 김화진 광고를 겸한 주차 크로스바
KR101554660B1 (ko) * 2015-04-22 2015-09-21 주식회사 에이앤피코리아 광고판 겸용 휀스 차단기
KR20160050798A (ko) * 2014-10-31 2016-05-11 김영빈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922A (ko) 2003-04-24 2003-06-18 김화진 광고를 겸한 주차 크로스바
KR20160050798A (ko) * 2014-10-31 2016-05-11 김영빈 향기분사형 엘이디램프
KR101554660B1 (ko) * 2015-04-22 2015-09-21 주식회사 에이앤피코리아 광고판 겸용 휀스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618B1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8848B1 (ko)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
EP3543824A1 (en) Retractable display device
KR100910008B1 (ko) 수직거치식 자전거 주차장치
US10801227B2 (en) Bicycle parking device
CN207800028U (zh) 一种可旋转多面室外广告机
KR101852385B1 (ko) 전동 그늘막 시스템
KR101081265B1 (ko) 무대보드의 다단확장기능이 구비된 차량
BRPI0903924A2 (pt) distribuidor e sistema e método para revelar seletivamente informações a um observador
CN108167737B (zh) 一种用于路灯灯杆的圆柱形户外led广告屏
KR102126618B1 (ko)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
CN210223436U (zh) 一种可调式滚动广告灯箱
CN101964163A (zh) 显示屏
KR200491883Y1 (ko) 엘이디 광고 기능을 갖는 주차 차단기
CN205557381U (zh) 一种能展现多幅画面的广告道闸
KR200491884Y1 (ko) 주차 차단기에 설치되는 광고 장치
CN207068390U (zh) 一种带有灯带的双面运动立体广告灯箱
KR101664838B1 (ko) 휴대용 스마트 로드사인
CN105696487A (zh) 一种能展现多幅画面的广告道闸
KR100597161B1 (ko) 회전식 광고필름이 내장된 승강대를 갖는 현수용 광고장치
KR102350532B1 (ko) 회전식 광고장치
CN215933105U (zh) 一种多角度展示灯箱
CN213807496U (zh) 三辊闸传动机芯
CN218729753U (zh) 一种便于更换广告的广告灯箱
JPH10502185A (ja) ポスターの収納、選択および表示のための自己包含ガイドユニット
KR100556786B1 (ko) 회전 전개되는 승강대를 갖는 현수용 광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