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112A - Cooling structure of ice rink - Google Patents

Cooling structure of ice r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112A
KR20200068112A KR1020180154062A KR20180154062A KR20200068112A KR 20200068112 A KR20200068112 A KR 20200068112A KR 1020180154062 A KR1020180154062 A KR 1020180154062A KR 20180154062 A KR20180154062 A KR 20180154062A KR 20200068112 A KR20200068112 A KR 20200068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ce
cooling coil
cooling
ice 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0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0897B1 (en
Inventor
조남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154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897B1/en
Publication of KR20200068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1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8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3/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ice or snow for winter sports or similar recreational purposes, e.g. for sporting installations; Producing artificial snow
    • F25C3/02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ice or snow for winter sports or similar recreational purposes, e.g. for sporting installations; Producing artificial snow for ice ri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10Ice-skating or roller-skating rinks; Slopes or trails for skiing, ski-jumping or tobogganing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oling structure for an ice rink, which can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an ice rink ice plate, includes: a foundation support layer (20) disposed outside a lower portion of a dashboard (10) constituting a fence; and an ice quality maintenance structure layer (100) installed to prevent melting of the surface of an ice rink ice plate (30)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ashboard (10) inside the foundation support layer (20). The ice quality maintenance structure layer (100) includes: a cooling coil-embedded layer (110) disposed directly under the ice rink ice plate (30); a cooling coil (120) embedded in the cooling coil-embedded layer (110); a gap maintaining part (130) disposed under the dashboard (10) and disposed between the cooling coil-embedded layer (110) and the foundation support layer (20); a waterproof layer (140) constituting a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coil-embedded layer (110); a heat insulating layer (150) inserted into the waterproof layer (140); and an anti-frost layer (160) disposed under the waterproof layer (140). The gap maintaining part (130) has upper and lower ends coupled to the dashboard (10) and the foundation support layer (20), respectively.

Description

아이스링크의 냉각 구조{Cooling structure of ice rink}Cooling structure of ice rink {Cooling structure of ice rink}

본 발명은 아이스링크의 빙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이스링크 펜스의 하부 상에 냉각관을 배치함으로써 아이스링크의 펜스를 중심으로 하여 발생되는 얼음 표면의 융해를 방지하여 빙판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stably maintaining the ice quality of the ice rink, and more specifically, by disposing the cooling tube on the bottom of the ice rink fence, preventing melting of the ice surface generated around the fence of the ice rink It relates to a structure for stably maintaining the ice sheet state.

일반적으로 아이스링크는 각종 빙상경기를 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경기장으로서 대체로 아이스하키와 피겨 스케이팅 및 쇼트트랙 등의 경기가 진행되는 곳이다. 아이스링크의 바닥은 얼음판으로 구성되고, 그 테두리에는 아이스링크와 관중석을 구분하도록 펜스가 설치된다.In general, the ice rink is a stadium provided for various ice skating events, and is generally a place where ice hockey, figure skating, and short track are played. The bottom of the ice rink consists of an ice plate, and a fence is installed at the rim to distinguish the ice rink from the stands.

아이스링크의 얼음판은 실내나 실외의 바닥에 일정간격으로 배열한 냉각관을 냉동기와 연결하여 브라인이나 프레온 가스를 냉매로 냉각관의 내부에 순환시키도록 하여 냉매의 흡열작용으로 실내나 실외의 바닥에 충진된 물을 냉각시키고 있다. 한편, 펜스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에 있어서 아이스링크 등에 사용되는 펜스는 아이스링크와 관람석 및 선수의 대기실과 경계를 이루며 경기 도중에 선수의 안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ice plate of the ice rink connects the cooling pip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door or outdoor floor to the freezer to circulate the brine or freon gas into the cooling pipe inside as a refrigerant, thereby absorbing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or outdoor floor. The filled water is being cooled. Meanwhile, as a means for fixing the fence, the fence used for the ice rink forms a boundary with the ice rink, the bleachers and the waiting room of the player, and serves to protect the safety of the player during the game.

도 1은 종래의 아이스링크에 설치된 냉각관을 보인 사시도로서, 통상의 아이스링크는 트랙(1) 외부에 설치된 냉동기(미도시)로부터 냉매를 공급받는 메인 냉각관(2)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 냉각관(2)에 형성된 다수의 홀(미도시)과 연결 결합되는 냉각관 지관(3)이 트랙 모양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관 지관(3)을 트랙(1)과 연결하여 고정하는 앙카 스트립(4)이 설치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ling tub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ice rink, and a typical ice rink is provided with a main cooling tube 2 that receives refrigerant from a refrigerator (not shown) installed outside the track 1, and the main A cooling pipe branch pipe 3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oles (not shown) formed in the cooling pipe 2 is formed along a track shape, and is fixed by connecting the cooling pipe branch pipe 3 with the track 1 An anchor strip 4 is provided.

상기 트랙 내부에 설치된 각각의 냉각관 지관(3) 간에는 일정간격 유지를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유지용 스페이스(5)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A space 5 for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installed between each cooling pipe branch 3 installed in the track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상기 메인 냉각관(2)은 냉동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은 후 냉각기 지관(3)에 냉매를 공급하고, 다시 냉동기로 순환하여 물과 열교환 되어 온도가 올라간 냉매를 다시 냉각하는 순환 과정을 가진다.The main cooling pipe 2 has a circulation process of supplying refrigerant to the cooler branch pipe 3 after receiving the refrigerant from the freezer, and circulating the refrigerator again to exchange heat with water to cool the refrigerant having increased temperature again.

한편, 국내에 건설 중에 있거나 운영 중인 빙상장의 경우엔 냉각기 지관(3)과 트랙(1) 경계면 상의 펜스 영역에서 결빙된 얼음이 녹아 트랙(1) 외측의 복도 측으로 유입되거나 트랙(1) 내부로 유입되어 아이스링크 사용자에게 동상 등을 유발하거나 트랙(1)의 경계면을 중심으로 얼음 슬러지 등이 발생하는 등 빙면의 유지 관리가 어렵고 이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ice field under construction or operation in Korea, ice frozen in the fence area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cooler branch 3 and the track 1 melts and flows into the corridor outside the track 1 or flows into the track 1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ice surface, such as causing frostbite or the like to the ice rink user, or generating ice sludge around the interface of the track 1,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maintenance costs are high.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아이스링크 빙면 바닥을 조성할 경우에 아이스링크 펜스의 하부까지 냉각관을 매설하여 냉열원을 전달하게 하는 동시에 아이스링크를 구성하는 기초콘크리트 상에 펜스를 고정할 수 있는 앙카를 설치한 상태를 통해 펜스의 고정 및 아이스링크 얼음판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when forming an ice rink bottom surface, a cooling pipe is bur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rink fence to transfer a cold heat source, and at the same time, a fence is formed on the foundation concrete that constitutes the ice rink The objective is to keep the temperature of the ice plate on the ice rink and the fixing of the fence through the state of installing an anchor that can fix the.

본 발명은 아이스링크 펜스의 하부 상에 배치된 냉각관을 통해 냉열원을 직접적으로 빙판 상에 공급함으로써 아이스링크의 펜스를 중심으로 하여 발생되는 얼음 표면의 융해를 방지하여 빙판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melting of the ice surface generated around the fence of the ice rink by supplying a cold heat source directly to the ice plate through a cooling tube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rink fence,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ice plate state. .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링크 냉각 구조는, 펜스를 이루는 대쉬보드(10)의 하부 외측으로 배치되는 기초 지지층(20), 상기 기초 지지층(20)의 내측으로 상기 대쉬보드(10) 하부 측에 인접한 아이스링크 얼음판(30) 표면의 융해를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빙질 유지 구조층(100)을 포함하고,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ce rink coo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support layer 20 disposed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dashboard 10 forming a fence, and the dashboard inside the base support layer 20. 10) includes an ice holding structure layer 100 installed to prevent melting of the surface of the ice rink ice plate 30 adjacent to the lower side,

상기 빙질 유지 구조층(100)은, 상기 아이스링크 얼음판(30)의 직하부에 배치되는 냉각 코일 매립층(110); 상기 냉각 코일 매립층(110) 내에 매립 배치된 냉각 코일(120); 상기 대쉬보드(10)의 하부에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냉각 코일 매립층(110)과 기초 지지층(20)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 유지부(130); 상기 냉각 코일 매립층(110)의 하부를 구성하는 방수층(140); 상기 방수층(140) 내에 삽입 배치되는 단열층(150); 및 상기 방수층(140) 하부에 배치되는 동상 방지층(160);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 유지부(130)는 그 상하단이 각각 상기 대쉬보드(10) 및 상기 기초 지지층(20) 상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ce-retaining structure layer 100 may include a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disposed directly under the ice rink ice plate 30; A cooling coil 120 buried in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A space keeping unit 130 disposed under the dashboard 10 and disposed between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and the base support layer 20 at the same time; A waterproof layer 140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An insulating layer 150 inserted into the waterproof layer 140; And a frostbite prevention layer 160 disposed under the waterproof layer 140, wherein the gap maintaining unit 130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ashboard 10 and the base support layer 20,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간격 유지부(130)는,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세로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세로보의 상단과 하단 상에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쌍의 상하부 가로보를 갖는 H 단면의 90도 전환 형태이고, 상기 간격 유지부(130)의 내측 공간은 상기 세로보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냉각 코일 매립층(110)에 인접한 내측 간격 유지부 및 상기 기초 지지층(20)을 바라보는 외측 간격 유지부를 포함한다.The gap maintaining unit 130 is a 90-degree conversion form of an H cross section having a pair of upper and lower horizontal beams arrang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beams based on the vertical beams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he inner space of the gap maintaining portion 130 includes an inner gap maintaining portion adjacent to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and an outer gap maintaining portion facing the base support layer 20 based on the stringer.

상기 방수층(140)은 상기 단열층(150)이 각각 내장된 상태의 복수의 방수천 부재층이 적층된 상태이다.The waterproof layer 140 i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aterproof cloth member layers in which each of the heat insulating layers 150 are embedded are stacked.

상기 냉각 코일(120)은 상기 냉각 코일 매립층(110) 내부에서 코일 지지구(125)를 통해서 일정한 간격 및 높이로 설치되고, 상기 코일 지지구(125)는 상기 냉각 코일 매립층(110)의 하단을 이루는 지지플레이트에 용접되는 고정부와 상기 냉각 코일(120)을 받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지지구(125)는 'U'자 형상이 상기 고정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U'자 형상을 중심으로 하여 전체적으로는 'M'자 형상이다.The cooling coil 120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heights through the coil support 125 inside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and the coil support 125 has a lower end of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It comprises a fixing portion welded to the supporting plate and the receiv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cooling coil 120, the coil support 125 is a structure formed by continuously connecting the'U' shape through the fixing portion, the receiving The part is generally an'M' shape centered on the'U' shape.

본 발명은 아이스링크 빙면 바닥을 조성할 경우에 아이스링크 펜스의 하부까지 냉각관을 매설하여 냉열원을 전달하게 하는 동시에 아이스링크를 구성하는 기초콘크리트 상에 펜스를 고정할 수 있는 앵카를 설치한 상태를 통해서 상기 펜스의 고정 및 아이스링크 얼음판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rming the bottom of the ice rink, the cooling pipe is buried to the bottom of the ice rink fence to transfer a cold heat source and an anchor is installed on the foundation concrete constituting the ice rink. Through the fixing of the fence and to keep the temperature of the ice rink ice plate stable.

본 발명은 펜스의 하부까지 냉각관을 포설한 상태에서 펜스와 맞닿는 빙면 상에 직접적으로 냉열원을 제공하는 과정을 통해서 융해되는 빙면 상에 추가적인 방안을 통해 냉기를 공급하는 구조를 생략함으로써 빙면 유지 및 비용을 절감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ice surface by omitting the structure of supplying cold air through an additional method on the ice surface to be melted through the process of providing a cold heat source directly on the ice surface contacting the fence in a state where the cooling pipe is installed to the bottom of the fence and Save money.

도 1은 종래의 아이스링크에 설치된 냉각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링크의 냉각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아이스링크의 냉각 구조 중 간격 유지부를 중심으로 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링크 냉각 구조의 모식도이다.
아이스링크의 펜스 하부를 중심으로 하여 냉각관의 결합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냉각 코일을 지지하는 코일 지지구의 구체적인 결합 구조를 보인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ling tub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ice rink.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structure of an ice r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ice rink of FIG. 1 centering on a gap maintaining unit.
4 is a schematic view of an ice rink coo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oling tube in detail, centering on the bottom of the fence of the ice rink.
Figure 5 shows a specific coupling structure of the coil support for supporting the cooling co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completely. The same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링크 냉각 구조의 모식도로써, 펜스를 이루는 대쉬보드(10)의 하부 외측으로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초 지지층(20)이 형성된다. 아이스링크에서 기초 지지층(20)의 내부 측으로는 대쉬보드(10) 하부 측에 인접한 빙판 표면의 융해를 방지하도록 빙질 유지 구조층(100)이 구성된다.1 is a schematic view of an ice rink coo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support layer 20 made of concrete is formed on a lower outer side of a dashboard 10 forming a fence. In the ice rink, the ice holding structure layer 100 is configured to prevent melting of the surface of the ice plate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dashboard 10 to the inner side of the base support layer 20.

기초 지지층(20)과 소정의 턱을 이루어 아이스링크의 내부에 물을 수납하여 냉각관에 의해 물을 결빙시키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The base support layer 20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jaw to receive water in the interior of the ice rink to have a structure for freezing water by a cooling tube.

상기 빙질 유지 구조층(100)은 펜스를 구성하는 대쉬보드(10)의 내측에 고른 두께로 얼려진 상태를 갖는 아이스링크 얼음판(30)의 하부에 배치된다. 대쉬보드(10)의 내측과 아이스링크 얼음판(30) 사이에는 폴리에틸렌재질의 프라스틱 재질을 갖는 킥플레이트(50)가 배치된다.The ice-retaining structure layer 100 is disposed under the ice rink ice plate 30 having a frozen state with an even thickness inside the dashboard 10 constituting the f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dashboard 10 and the ice rink ice plate 30, a kick plate 50 having a plastic material made of polyethylene is disposed.

빙질 유지 구조층(100)은 아이스링크 얼음판(30)의 직하부에 배치되는 냉각 코일 매립층(110), 냉각 코일 매립층(110) 내에 매립 배치된 상태에서 냉각수와 같은 냉각 물질을 유동하게 하는 냉각 코일(120), 대쉬보드(10)의 하부에 배치하는 동시에 냉각 코일 매립층(110)과 기초 지지층(20)의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 유지부(130), 냉각 코일 매립층(110)의 하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방수층(140), 복수의 방수층(140) 내에 삽입 배치되는 단열층(150), 복수의 방수층(140) 하부에 배치되는 동상 방지층(160)을 포함한다.The ice-retaining structure layer 100 is a cooling coil embedding layer 110 disposed directly under the ice rink ice plate 30, and a cooling coil allowing cooling materials such as cooling water to flow in a state where the cooling coil is embedded in the embedding layer 110. (120), at the same time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dashboard 10,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and the base support layer 20 disposed between the gap maintaining unit 130,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constituting the lower part It includes a plurality of waterproof layer 140, a plurality of waterproof layer 140, the heat insulating layer 150 is disposed to be disposed, and a plurality of waterproof layer 140, the frost-resistant layer 160 is disposed below.

냉각 코일(120)은 냉각 코일 매립층(110) 내부에서 코일 지지구(125)를 통해서 일정한 간격 및 높이로 설치된다.The cooling coil 120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heights through the coil support 125 inside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코일 지지구(125)는 각각 냉각 코일 매립층(110)의 하단을 이루는 지지플레이트(111) 상에 설치 고정된다. 즉, 코일 지지구(125)는 지지플레이트에 용접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The coil support 125 is installed and fixed on the support plate 111 forming the bottom of each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That is, the coil support 125 is securely fixed to the support plate by welding or the like.

도 4를 참조하면, 코일 지지구(125)는 지지플레이트에 용접되는 고정부(126)와 냉각 코일(120)을 받치는 수용부(12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oil support 125 includes a fixing part 126 welded to the support plate and a receiving part 127 supporting the cooling coil 120.

코일 지지구(125)는 전체적으로는 'U'자 형상이 고정부(126)를 통해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된 구조이고, 이에 따라 수용부(127)는 상기 'U'자 형상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M'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coil support 125 has a structure in which the'U' shape is continuously connected through the fixing part 126, and accordingly, the receiving part 127 is approximately'M' with the center of the'U' shape. 'It is made in the shape of a ruler.

즉, 냉각 코일(120)는 고정부와 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는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으며, 수용부는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데, 그 형태가 대략 'M'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cooling coil 1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the fixing portion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receiving portion extends from the fixing portion, and its shape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M' shape.

수용부의 내측은 냉각 코일(120)과 동일한 곡률로 이루어져 있고, 상단부는 냉각 코일(120)의 곡률보다 큰 곡률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부는 냉각 코일(120)이 수용됨은 물론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is made of the same curvature as the cooling coil 120, and the upper end portion is formed of a greater curvature than the curvature of the cooling coil 120. The receiving portion is made of a'U' shape so that the cooling coil 120 is accommodated as well as not being displaced to the outside.

코일 지지구(125)에 냉각 코일(120)을 올려 놓게 되면, 냉각 코일(120)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 수용부의 중앙부에 안착된다. 상기 냉각 코일(120)은 냉동기와 연결 설치되며, 냉각 코일(120)은 냉동기에서 제공되는 냉매에 의해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된다.When the cooling coil 120 is placed on the coil support 125, the cooling coil 120 is seat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The cooling coil 120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a refrigerator, and the cooling coil 120 is coo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less by a refrigerant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상기 냉각 코일(120)은 코일 지지구(125)의 수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냉각되므로, 수용부의 중앙부로 열전달 됨과 함께 수용부의 상단부로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냉각 코일(120)이 냉각됨에 따라 코일 지지구(125)의 수용부 전체를 냉각시킴으로써, 냉각 코일(120) 및 코일 지지구(125)의 상단부까지 냉각되어 빙상의 결빙 상태를 보다 고르게 냉각시킨다. 이에 따라 빙상 표면의 결빙 상태는 골고루 결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ince the cooling coil 120 is cooled while se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oil support 125, heat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while being transferr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As the cooling coil 120 is cooled, the entire receiving portion of the coil support 125 is cooled, so that the cooling coils 120 and the upper ends of the coil support 125 are cooled to more evenly cool the freezing state of the ice sheet. Accordingly, the frozen state of the ice surface is maintained evenly frozen.

상기 간격 유지부(130)는 대쉬보드(10)의 하부 상에서 기초 지지층(20)과 냉각 코일 매립층(110) 간의 일정 간격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대쉬보드(10)의 직접적인 지지 기능을 한다.The gap maintaining unit 130 enables a constant gap between the base support layer 20 and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on the lower portion of the dashboard 10 and functions as a direct support of the dashboard 10.

도 2를 참조하여, 간격 유지부(130)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2, the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gap maintaining unit 130 is as follows.

간격 유지부(130)는 아이스링크의 펜스를 따라 대쉬보드(10)의 하부단에 인접되는 H 형상의 단면을 갖는 강 구조물일 수 있다. H 단면 형상의 철강 자재를 사용하며, 하부의 방수층(140) 및 단열층(150)을 관통하여 기초 지지층(20)에 앙카 볼트(40)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즉, 간격 유지부(130)는 소정의 위치로 고정용 앵커볼트를 다수개 타설하는 방식으로 기초 지지층(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The gap maintaining unit 130 may be a steel structure having an H-shaped cross section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dashboard 10 along the fence of the ice rink. Using H-shaped steel material, it penetrates the lower waterproof layer 140 and the insulating layer 150 to fix the anchor support layer 20 using an anchor bolt 40. That is, the gap maintaining unit 130 may be fixed on the base support layer 20 by placing a plurality of anchor bolts for fixing to a predetermined position.

구체적으로는, 간격 유지부(130)는 H 단면을 90도로 회전한 상태의 형상을 갖게 되는데,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세로보(131)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세로보의 상단과 하단 상에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쌍의 가로보인 상부 가로보(132)와 하부 가로보(133)를 갖는 형태이다. 즉, 상하부 가로보 사이의 공간은 세로보를 기준으로 해서 냉각 코일 매립층(110)에 인접한 내측 간격 유지부(130a) 및 기초 지지층(20)을 바라보는 외측 간격 유지부(130b)를 포함한다. 대쉬보드(10)는 그 하단이 간격 유지부(130)의 상부 가로보(132)와 앵커 볼트 결합 또는 리벳팅 등의 공정을 통해 단단히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gap maintaining unit 130 has a shape in which the H-section is rotated by 90 degrees,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vertical beam is based on the vertical beam 131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a form having a pair of crossbeams arranged along the upper crossbeam 132 and the lower crossbeam 133. That is,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beams includes an inner space maintaining part 130a adjacent to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and an outer space maintaining part 130b facing the base support layer 20 based on the vertical beam. The bottom of the dashboard 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its lower end is tightly coupled through a process such as anchor bolt coupling or riveting with the upper crossbeam 132 of the gap maintaining portion 130.

내측 간격 유지부 상에는 냉각 코일 매립층(110)의 가장자리부위가 삽입 배치되는 형태이다. 즉, 냉각 코일 매립층(110) 내에 포함된 냉각 코일이 내측 간격 유지부 내에까지 이르도록 구성함으로써 냉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냉열이 상기 대쉬보드(10)의 직하부에 용이하게 이르게 한다. 대쉬보드(10)는 간격 유지부(130) 중 내측 간격 유지부의 상부 측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 edge portion of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is inserted on the inner gap maintaining portion. That is, by configuring the cooling coil included in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to reach the inner gap maintaining portion, the cooling heat supplied from the cooling heat source easily lea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ashboard 10 directly. The dashboard 10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gap maintaining portion of the gap maintaining portion 130.

내측 간격 유지부는 그 내부면 상에 단열 성분이 내장된 방수 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코일 매립층(110)의 가장자리부위 및 내측 간격 유지부의 내면 사이에 방수 부재가 위치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gap maintain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waterproof member having a heat insulating component embedded therein. A waterproof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edge of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gap maintaining portion.

즉, 아이스링크 얼음판(30)의 융해 시에 대쉬보드(10)의 하부 및 냉각 코일 매립층(110)을 통해 대쉬보드(10)의 외부로 누설 가능성이 있는 바, 이를 사전에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That is, when the ice rink ice plate 30 is melted, there is a possibility of leakage to the outside of the dashboard 10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dashboard 10 and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which functions to block it in advance. .

복수의 방수층(140)과 단열층(150)은 간격 유지부(130)와 냉각 코일 매립층(11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를 기준으로 하여 열원의 상하 이동 및 습기의 상하 이동을 원천 봉쇄하는 기능을 한다.A plurality of waterproof layer 140 and the insulating layer 150 is a function to block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eat source an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isture source based on this in the state of being disposed under the gap maintaining unit 130 and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Do it.

복수의 방수층(140)은 단열층(150)이 각각 내장된 상태의 복수의 방수천 부재층이 적층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방수층(140)은 단열층(150)을 이루는 단열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waterproofing layers 140 may be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aterproofing cloth member layers in a state in which the insulating layers 150 are respectively embedded are stacked, and the waterproofing layer 140 may be used to protect the insulating materials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150. have.

동상 방지층(160)은 그 내부에 동상 방지 배관(165)을 내설한 상태에서 모래 입자를 통해 둘러싸여진 구성을 갖는다. 동상 방지 배관(165)은 가열 코일을 의미한다. 즉, 냉각 코일 매립층(110)에는 냉각 코일이 배치되는 반면에 동상 방지층(160)에는 가열 코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st-resistant layer 160 has a configuration surrounded by sand particles in a state where the frost-resistant pipe 165 is installed therein. The frostbite prevention pipe 165 means a heating coil. That is, while the cooling coil is disposed in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the heating coil is disposed in the frost-resistant layer 160.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냉각 코일 매립층(110)의 하부 상에 별도의 몰탈 콘크리트층(115)이 배치되어져, 단열층(150) 보호 및 냉각관(120)의 수평 유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3, a separate mortar concrete layer 115 is disposed on a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to perform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heat insulating layer 150 and horizontally maintaining the cooling tube 120.

또한, 동상 방지층(160) 하부에는 단열층(150)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 몰탈층(170) 및 보호 몰탈층(170) 하부에 배치된 지정 방수층(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tect the insulating layer 150, the frost-resistant layer 160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mortar layer 170 and a designated waterproof layer 180 disposed under the protective mortar layer 170.

대쉬보드(10)의 일측으로는 완충판이 고정되어 선수들이 부딪치는 충격을 완충하며, 상기 완충판은 킥플레이트라는 명칭의 폴리에틸렌 재질의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dashboard 10, a buffer plate is fixed to cushion the impact of the players, and the cushion plate may be made of plastic made of polyethylene, called kick plate.

상기 대쉬보드(10)의 상측부에는 관람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투시창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A viewing window for securing a viewer's view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ashboard 10.

대쉬보드(10)는 아이스링크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높이와 길이를 갖는 판재이다. 대쉬보드(10)는 사람이 부딪힐 경우에 충격이 완충되도록 완충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대쉬보드(10)는 아이스링크와 동일한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직선 또는 원호 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dashboard 10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ice rink and is a plate material having a constant height and length. The dashboard 10 is made of a cushioning material so that the shock is cushioned when a person hits it. Since the dashboard 10 is installed in the same shape as the ice rink, it is formed in a straight or arc shape.

대쉬보드(10)는 아이스링크와 관람석 사이에 설치되며, 선수의 출입 또는 휴게공간과 연결되는 구간에는 출입문 등이 설치된다. The dashboard 10 is installed between the ice rink and the bleachers, and an entrance door or the like is installed in the section connected to the player's entrance or rest area.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이스링크 빙면 바닥을 조성할 경우에 아이스링크 펜스의 하부까지 냉각관을 매설하여 냉열원을 전달하게 하는 동시에 아이스링크를 구성하는 기초콘크리트 상에 펜스를 고정할 수 있는 앵카를 설치한 상태를 통해서 상기 펜스의 고정 및 아이스링크 얼음판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ottom of the ice rink is formed, the cooling pipe is buried to the bottom of the ice rink fence to transfer a cold heat source and the fence can be fixed on the foundation concrete constituting the ice rink. Through the state in which the anchor is installed, the fence is fix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ice rink ice plate is stably maintain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at is,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a number of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Equival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펜스를 이루는 대쉬보드(10)의 하부 외측으로 배치되는 기초 지지층(20), 상기 기초 지지층(20)의 내측으로 상기 대쉬보드(10) 하부 측에 인접한 아이스링크 얼음판(30) 표면의 융해를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빙질 유지 구조층(100)을 포함한 아이스링크 냉각 구조에 있어서,
상기 빙질 유지 구조층(100)은,
상기 아이스링크 얼음판(30)의 직하부에 배치되는 냉각 코일 매립층(110);
상기 냉각 코일 매립층(110) 내에 매립 배치된 냉각 코일(120);
상기 대쉬보드(10)의 하부에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냉각 코일 매립층(110)과 기초 지지층(20)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 유지부(130);
상기 냉각 코일 매립층(110)의 하부를 구성하는 방수층(140);
상기 방수층(140) 내에 삽입 배치되는 단열층(150); 및
상기 방수층(140) 하부에 배치되는 동상 방지층(160);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 유지부(130)는 그 상하단이 각각 상기 대쉬보드(10) 및 상기 기초 지지층(20) 상에 결합하는,
아이스링크 냉각 구조.
Preventing the melting of the surface of the ice rink (30)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dashboard (10), the base support layer (20) disposed outside the bottom of the dashboard (10) constituting the fence, and the inside of the foundation support layer (20) In the ice rink cooling structure including the ice-retaining structure layer 100 installed to,
The ice-retaining structure layer 100,
A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disposed directly under the ice rink ice plate 30;
A cooling coil 120 buried in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A space maintaining unit 130 disposed under the dashboard 10 and disposed between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and the base support layer 20 at the same time;
A waterproof layer 140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An insulating layer 150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waterproof layer 140; And
Including; frost-resistant layer 160 disposed under the waterproof layer 140;
The gap maintaining unit 130,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dashboard 10 and the base support layer 20,
Ice rink cooling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130)는,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세로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세로보의 상단과 하단 상에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쌍의 상하부 가로보를 갖는 H 단면의 90도 전환 형태이고,
상기 간격 유지부(130)의 내측 공간은 상기 세로보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냉각 코일 매립층(110)에 인접한 내측 간격 유지부 및 상기 기초 지지층(20)을 바라보는 외측 간격 유지부를 포함하는,
아이스링크 냉각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gap maintaining unit 130,
It is a 90-degree conversion form of an H section having a pair of upper and lower horizontal beams arrang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vertical beams based on the vertical beams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ner space of the gap maintaining portion 130 includes an inner gap maintaining portion adjacent to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and an outer gap maintaining portion facing the base support layer 20 based on the stringer,
Ice rink cooling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140)은 상기 단열층(150)이 각각 내장된 상태의 복수의 방수천 부재층이 적층된 상태인,
아이스링크 냉각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proof layer 140 i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aterproof cloth member layers in which the heat insulating layers 150 are respectively embedded are stacked.
Ice rink cooling structur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코일(120)은 상기 냉각 코일 매립층(110) 내부에서 코일 지지구(125)를 통해서 일정한 간격 및 높이로 설치되고,
상기 코일 지지구(125)는 상기 냉각 코일 매립층(110)의 하단을 이루는 지지플레이트에 용접되는 고정부와 상기 냉각 코일(120)을 받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지지구(125)는 'U'자 형상이 상기 고정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U'자 형상을 중심으로 하여 전체적으로는 'M'자 형상인,
아이스링크 냉각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The cooling coil 120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heights through the coil support 125 inside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The coil support 125 includes a fixing part welded to a support plate forming a lower end of the cooling coil buried layer 110 and a receiving part supporting the cooling coil 120, and the coil support 125 is'U 'The shape of the ruler is a structure formed continuously connected through the fix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an overall'M' shape around the'U' shape,
Ice rink cooling structure.
KR1020180154062A 2018-12-04 2018-12-04 Cooling structure of ice rink KR1021808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062A KR102180897B1 (en) 2018-12-04 2018-12-04 Cooling structure of ice r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062A KR102180897B1 (en) 2018-12-04 2018-12-04 Cooling structure of ice ri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112A true KR20200068112A (en) 2020-06-15
KR102180897B1 KR102180897B1 (en) 2020-11-20

Family

ID=7108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062A KR102180897B1 (en) 2018-12-04 2018-12-04 Cooling structure of ice r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8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894A (en) * 2021-07-21 2023-01-31 주식회사 삼화엔지니어링 Floor Structure Of Concrete Structur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775Y1 (en) * 2010-01-12 2011-03-24 (주)에스지티엔에이 Four Season Skating Rink Panels & Skating Rink Panel Supports
JP5237457B2 (en) * 2010-04-14 2013-07-17 株式会社前川製作所 Ice rink cooling equipment
KR20140084452A (en) * 2012-12-26 2014-07-07 주식회사 삼화엔지니어링 Cooling Tube Support for Ice Rink
KR20140097706A (en) * 2013-01-29 2014-08-07 주식회사 삼화엔지니어링 Cooling Tube for Ice Lin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775Y1 (en) * 2010-01-12 2011-03-24 (주)에스지티엔에이 Four Season Skating Rink Panels & Skating Rink Panel Supports
JP5237457B2 (en) * 2010-04-14 2013-07-17 株式会社前川製作所 Ice rink cooling equipment
KR20140084452A (en) * 2012-12-26 2014-07-07 주식회사 삼화엔지니어링 Cooling Tube Support for Ice Rink
KR20140097706A (en) * 2013-01-29 2014-08-07 주식회사 삼화엔지니어링 Cooling Tube for Ice Lin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894A (en) * 2021-07-21 2023-01-31 주식회사 삼화엔지니어링 Floor Structure Of Concrete Stru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897B1 (en) 2020-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014B1 (en) Refigeration equipment building process and Refigeration equipment in ice rink
JP2008025984A (en) Facility for storing and supplying solar/geothermal heat and method for supplying the same
KR102180897B1 (en) Cooling structure of ice rink
KR101456577B1 (en) Ice rink combined multi-purpose sports facility
CN108411734B (en) Indoor skating rink
KR102171297B1 (en) Multipurpose ice field to prevent cracking of floor concrete by contraction and expansion
ES2311523T3 (en) ROTATING SKI TRACK.
JP2002235957A (en) Terrestrial heat exchange equipment in landslide dangerous area
CA1153902A (en) Air cooled ice rink construction
KR101580456B1 (en) Artificial glacier production structure and the method of thereof
KR102237972B1 (en) Multi-purpose ice arena that prevents damage from cold
KR102304020B1 (en)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for preventing icicle damage due to leakage in tunnels
KR101522567B1 (en) Blast furnace bottom structure
KR101097797B1 (en) Roof for heat storaging tank
JP2004069098A (en) Frost heaving prevention method of under floor
RU2224072C2 (en) Stadium with ice arena surrounded by grandstands and multi-channel member for stadium air channel system
JP2021101089A (en) Refrigeration warehouse
KR101344030B1 (en) Cold storage low temperature warehouse building
JPH08187315A (en) Prevention freezing in under-floor structure of slope of artificial skiing ground
JP6683496B2 (en) Air conditioning equipment in a baseball field
CA2273760C (en) Thermal storage reservoir for ice rink
JP2018166504A (en) Curing structure and curing method
JP2905971B2 (en) Water receiving device in multi-tube evaporator
JP3102525B2 (en) Heat storage device for air-conditioning equipment using steel tube column retaining wall
JP2525969B2 (en) Artificial ski fiel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