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825A - 세포재생과 혈류개선의 동시 작용에 의한 만성 관절 통증과 관절염 치료에 효과적인 신체 착용형 다파장 레이저 치료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저 통증 치료 시술 셋트 - Google Patents

세포재생과 혈류개선의 동시 작용에 의한 만성 관절 통증과 관절염 치료에 효과적인 신체 착용형 다파장 레이저 치료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저 통증 치료 시술 셋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825A
KR20200067825A KR1020200068533A KR20200068533A KR20200067825A KR 20200067825 A KR20200067825 A KR 20200067825A KR 1020200068533 A KR1020200068533 A KR 1020200068533A KR 20200068533 A KR20200068533 A KR 20200068533A KR 20200067825 A KR20200067825 A KR 20200067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light
low
light treatmen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680B1 (ko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이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원 filed Critical 이성원
Priority to KR1020200068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6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7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71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7

Abstract

본 발명은 광 시술 패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는 광(light)의 투과를 위한 투과홀을 갖는 판(plate) 형상의 패치 몸체, 패치 몸체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 패치 몸체 내부에 배치된 내장 배터리,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장 배터리의 자체 전력으로서 패치 몸체 외부로 100mW 이하의 상대적으로 낮은 저출력 레이저(Low Level Laser) 또는 저출력 엘이디(LED)를 조사시키는 저출력 광 소자(Low Level Light Device), 그리고 내장 배터리에 대해 외부 충전기로부터의 선택적 전기 공급을 위해 패치 몸체에 구비된 충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포재생과 혈류개선의 동시 작용에 의한 만성 관절 통증과 관절염 치료에 효과적인 신체 착용형 다파장 레이저 치료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저 통증 치료 시술 셋트{LIGHT OPERATING PATCH}
본 발명은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내장 배터리를 구비하여 충전을 통한 재사용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작고 얇은 판 형상으로서 복수의 국소 부위들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스 또는 통증 패치라 불리는 외용제는 인체에 부착되어 환부의 통증 완화 목적을 갖는 의약품이다. 파스는 접착액이 혼합된 파스액이 도포된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시 환부에 부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파스는 도포된 파스액의 성분이나 종류에 따른 온찜질용 또는 냉찜질용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보다 높은 혈류 개선 효과를 위해 자석이나 침 등을 중앙에 배치시킨 형태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스는 도포된 접착액이나 파스액, 부착시 공기 순환 미흡 등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 크고 작은 화상, 피부 발진과 짓무름 등의 부작용이 발생된다. 특히, 선천적으로 피부가 약한 사람이나 어린이와 같은 사람에게는 이러한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파스는 근본적인 치료가 아닌 제한적인 효과뿐이고, 대부분 1회용으로 쓰고 버려야 하므로 장기 사용시 비용적 부담과 함께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저출력 레이저(low level laser, LLL) 또는 엘이디(LED) 등과 같은 광은 특정 파장 범위에 따라, 통증 완화, 혈류 개선, 혈류 강화, 피부 재생, 세포 활성화, 지방 분해, 그리고 세포 자극 등의 다양한 효과들이 있는 것으로 여러 임상 자료를 통해 알려져 있다. 특히, 100mW 이하의 상대적으로 낮은 출력을 갖는 600nm 파장대 이상의 저출력 레이저 또는 엘이디는 피부 조직의 파괴, 의도적 손상 또는 괴사 목적으로 사용되는 고출력 레이저에 비해, 저출력 레이저는 상대적으로 안전하면서도 신진대사 촉진과 세포 활성화, 그리고 면역력 상승의 효과를 갖고 있어, 손상된 세포 조직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특히, 800nm 이상 파장대의 저출력 레이저 또는 엘이디를 경혈에 선택적으로 조사하면 침 또는 뜸 치료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여, 피부나 근육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환부 완치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부 발진, 알레르기 발생, 화상 등과 같은 피부 트러블 문제가 없고, 높은 시술 효과를 갖는 저출력 레이저 또는 엘이디 광원을 이용한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국소 부위에 시술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판형 패치들로서 구성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시술 종류와 원하는 국소 부위에 맞게 패치들을 선택 및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 충전을 통해 반복 사용이 가능하도록 내장 배터리가 적용된 광 시술 패치들을 구비하여, 기존의 파스나 통증 패치에 비해,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추가 비용 부담 없이 동일한 효과로서 자가 시술을 받을 수 있고, 자원 낭비를 방지하여 친환경적인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반인이 일상이나 직장생활 중에 간단히 통증 완화 시술을 광 시술 패치들 및 이들 패치들의 사용과 시술 안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앱(App)을 통해, 안전하고 쉽게 자가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된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시술 패치는 통증 완화, 혈류 개선, 세포 활성화, 세포 재생, 림프절 자극, 그리고 부종 완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 목적을 갖는 630nm 내지 680nm 또는 780nm 내지 990nm의 파장 범위를 갖는 광을 조사하되, 광(light)의 투과를 위한 투과홀을 갖는 판(plate) 형상의 패치 몸체, 상기 패치 몸체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 상기 패치 몸체 내부에 배치된 내장 배터리,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내장 배터리의 자체 전력으로서 상기 패치 몸체 외부로 100mW 이하의 상대적으로 낮은 저출력 레이저(Low Level Laser) 또는 저출력 엘이디(LED)를 조사시키는 저출력 광 소자(Low Level Light Device), 그리고 상기 내장 배터리에 대해 외부 충전기로부터의 선택적 전기 공급을 위해 상기 패치 몸체에 구비된 충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시술 패치 셋트 반복 충전이 가능한 내장 배터리를 구비하여, 상기 내장 배터리의 자체 전력으로서 100mW 이하의 저출력 광을 조사시키는 복수의 광 시술 패치들, 상기 광 시술 패치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를 피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패치 밴드, 부항기 및 점착 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그리고 상기 광 시술 패치들과 연계 사용되는 스마트폰 앱(App)을 포함하되, 상기 광 시술 패치들 각각은 광의 투과를 위한 투과홀을 갖는 판(plate) 형상의 패치 몸체, 상기 패치 몸체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 상기 패치 몸체 내부에 배치된 내장 배터리,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내장 배터리의 자체 전력으로서 상기 패치 몸체 외부로 80mW 이하의 상대적으로 낮은 저출력 레이저(Low Level Laser) 또는 저출력 엘이디(LED)를 조사시키는 저출력 광 소자(Low Level Light Device), 그리고 상기 내장 배터리에 대해 외부 충전기로부터의 선택적 전기 공급을 위해 상기 패치 몸체에 구비된 충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는 국소 부위에 시술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판형 광 시술 패치들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시술 종류와 원하는 국소 부위에 맞게 패치들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양방의 광 의료 기술을 한방의 뜸,침 치료 원리로서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는 기존 파스나 통증 패치에 비해, 피부 발진, 알레르기 발생, 화상 등과 같은 피부 트러블 등과 같은 접착제와 파스제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 없이, 통증 완화, 혈류 개선, 혈류 강화, 피부 재생, 세포 활성화, 지방 분해, 그리고 세포 자극 등의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는 기존의 파스나 통증 완화 패치에 비해,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추가 비용 부담 없이 동일한 효과로서 자가 시술을 받을 수 있고, 자원 낭비를 방지하여 친환경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는 일반인이 일상이나 직장생활 중에 간단히 통증 완화 시술을 광 시술 패치들 및 이들 패치들의 사용과 시술 안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앱(App)을 통해, 안전하고 쉽게 자가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시술 패치 셋트의 광 시술 패치 및 충전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시술 패치의 인체 부착을 위한 부재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광 시술 패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의 사용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의 적응증별 시술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 시술 패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단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각 구성들의 세부 크기, 형태, 두께, 곡률 등은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도식화된 것으로서, 허용 오차 등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시술 패치 셋트의 광 시술 패치 및 충전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시술 패치의 인체 부착을 위한 부재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 셋트(10)는 패치 밴드(20), 충전기(30), 광 시술 패치(100), 그리고 이들 구성품들을 수납 및 보관하기 위한 포장 박스(미도시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광 시술 패치 셋트(10)는 상기 광 시술 패치(100)와 연동 또는 연계되어 사용 가능한 스마트폰 앱(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앱(42)은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 및 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서 구현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앱(42)은 사용자의 회원 가입, 제품 소개, 개인 맞춤형 시술 안내, 개인 시술 이력 관리, 제품과의 연동 및 연계 시술 제어, 제품 홍보, 그리고 시술 주기와 적합 사용 안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 시술 패치(100)는 상대적으로 낮은 출력의 레이저, 즉 저출력 레이저(Low Level Laser, LLL)를 피부에 조사시키는 기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광 시술 패치(100)는 상대적으로 낮은 출력의 엘이디(LED)를 피부에 조사시키는 기기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광 시술 패치(100)는 대략 100mW 이하의 저출력 레이저 또는 엘이디를 신체에 조사시키기 위한 의료기기(medical device)일 수 있다.
상기 광 시술 패치(100)는 상대적으로 작고 얇은 판(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 시술 패치(100)는 원판형, 사각판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 시술 패치(100)는 복수개가 하나의 포장 박스(40) 내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복수의 광 시술 패치들(10)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사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치 밴드(20)는 상기 광 시술 패치(100)를 사용자가 원하는 피부 부위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밴드(20)는 하나의 광 시술 패치(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22) 및 상기 고정부(22)와 연결된 밴드부(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밴드부(24)는 광 시술 패치(100)가 원하는 부위에 정렬시키면서 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22)로는 상기 밴드부(24)에 형성된 하나의 개구 또는 홈이나, 별도의 안착을 위한 장착 부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광 시술 패치(100)를 상기 고정부(22)에 끼우거나 삽입시키거나 체결시킨 후, 상기 밴드부(24)를 인체에 감아서 상기 광 시술 패치(100)를 인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 밴드(20a)는 광 시술 패치(100)에 끼워지는 형태로서 일면에 벨크로(velcro) 처리된 고정부(22a) 및 상기 고정부(22a)의 벨크로와 탈부착 가능한 벨크로(velcro) 처리된 밴드부(24b)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22a)가 결합된 상기 광 시술 패치(100)를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대응되도록, 원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부(22a)를 상기 밴드부(24b) 상에 부착시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치 밴드(20b)는 광 시술 패치(100)에 끼워 사용하는 고정부(22b)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부(22b)의 일면에는 피부에 접착 또는 밀착하여 고정 가능한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패치 밴드(20b)에 상기 광 시술 패치(100)를 밀착시킨 후, 상기 패치 밴드(20b)를 원하는 부위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패치 밴드들(20, 20a, 20b)을 사용하여, 상기 광 시술 패치(100)를 신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 시술 패치(100)의 신체 부착을 위한 부재로는 이러한 패치 밴드들(20, 20a, 20b)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광 시술 패치(100)의 인체 부착용 부재의 다른 예로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진 부항기(20c)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부항기(20c)는 중앙 영역에 상기 광 시술 패치(100)를 삽입시키거나 체결시킬 수 있는 개구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날개 부분은 인체에 자체 탄력을 이용하여 밀착시킬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부항기(20c)는 소위 실리콘 부항기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광 시술 패치(100)의 체결을 통해 인체에 고정 사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광 시술 패치(100)와 부항기(20c)의 조합 사용은 상기 광 시술 패치(100)에 의한 광 및 물리적 치료와 함께 부항기(20c)의 부항 치료가 부가됨으로써, 보다 더 효과적인 통증 완화 및 혈류 개선 시술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시술 패치(100)의 인체 부착용 부재의 또 다른 예로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점착 테이프(20d)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 테이프(20d)는 일면이 상기 광 시술 패치(100)의 광 조사면에 부착되고, 타면이 신체에 부착되도록, 양면이 점착성을 갖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테이프(20d)는 상기 광 시술 패치(100)의 조사 광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거나 최소화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테이트(20d)는 광의 조사 경로 부분에 천공(20d')이 형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점착 테이프(20d)는 일회성이나 제한된 횟수의 반복 사용이 가능한 소모품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간단한 테이핑(taping) 부착 방식으로 인체에 광 시술 패치(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30)는 상기 광 시술 패치(100)를 충전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충전기(30)는 복수의 광 시술 패치들(10)을 동시 충전시킬 수 있도록, 별도 또는 일체의 충전 젠더(32)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술한 광 시술 패치(100)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광 시술 패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100)는 패치 몸체(110), 회로 기판(120), 내장 배터리(130), 저출력 광 소자(140), 감지기(150), 그리고 제어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치 몸체(110)는 대체로 얇은 판(plate)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부품들(120, 130, 140, 150, 160)의 보호, 배치 및 지지 등을 위한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패치 몸체(110)는 상호 조립되어 직경이 60mm 이하의 작고, 두께가 20mm 이하의 얇은 판형 몸체(112)를 완성시키는 제1 몸체(112a)와 제2 몸체(112b)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112a)는 시술시 인체에 밀착되는 일면을 가지며, 상기 제2 몸체(112b)는 시술시 노출되는 타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112a)의 일면에는 저출력 레이저 또는 엘이디(LED)와 같은 광의 투과를 위한 투과홀(112c)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112b)는 광의 조사시 또는 광 시술 패치(100)의 동작시,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등(미도시됨)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몸체(112a)의 상기 투과홀(112c)에는 조사된 광의 확산을 위한 렌즈(1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렌즈(113)는 통상 레이저가 갖는 광의 직진성을 감소시켜, 인체 내부로 보다 넓은 영역에 확산 조사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렌즈(113)로는 볼록 렌즈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투과홀(112c)을 통과하는 광은 상기 렌즈(113)를 투과한 후 확산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인체 부위 내에 침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넓은 부위에 대해 광을 분산 조사시키는 것이 유리한 사용 목적, 즉 통증 완화, 림프절 자극, 부종 완화, 피부 자극 등의 목적에 적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렌즈(113)는 광의 직진성을 유지 또는 강화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렌즈(113)로는 오목 렌즈이거나 일반 투과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투과홀(112c)을 통과하는 광은 상기 렌즈(113)를 투과한 후 집중 또는 유지되어 상대적으로 좁은 인체 부위 내에 침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좁은 부위에 대해 광을 집중 조사시키는 것이 유리한 혈류 개선, 혈류 강화, 세포 활성화 등의 목적에 적합할 수 있다.
상기 패치 몸체(110)에는 상기 내장 배터리(120)를 충전시키기 위해 상기 충전기(30)를 연결시키기 위한 충전부(11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16)는 충전 단자(116a) 및 충전 완료 여부나 배터리 잔량을 인지시키기 위한 제1 충전등(116b) 및 제2 충전등(116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충전등(116b)은 충전 완료를 표시하는 녹색 LED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충전등(116c)은 충전 중을 표시하는 적색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치 몸체(110)에는 상기 광 시술 패치(100)의 시술 조건을 셋팅시키기 위한 다양한 제어 버튼들(118)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 버튼들(118)은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의 온/오프를 위한 온/오프 버튼(118a),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의 레이저 출력세기를 조절시키기 위한 레이저 출력 조절 버튼(118b), 그리고 상기 광 시술 패치(100)의 동작 시간 설정을 위한 타이머 버튼(118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제어 버튼들(118)을 셋팅하여, 상기 광 시술 패치(100)의 시술 조건을 셋팅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제어 버튼들(118a~118c)로 이루어진 형태로 사용자가 광 시술 패치(100)를 동작시키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어 버튼들의 갯수와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과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20)은 상기 패치 몸체(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20)은 상기 내장 배터리(1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 몸체(112a)에 인접하여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20)은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장 배터리(130)는 반복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상기 내장 배터리(130)는 상기 충전기(30)에 의해 충전되며, 내부 전력으로서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의 레이저 조사를 위한 전력을 공급시킬 수 있다. 상기 내장 배터리(130)는 폭발과 발화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장 배터리(130)는 상기 광 시술 패치(100)가 별도의 외부 전력 없이, 자체 전력만으로 동작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는 상기 투과홀(112c)을 통해 외부로 저출력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회로 기판(12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저출력 레이저(Low Level Laser, LLL) 또는 엘이디(LED)는 통증 완화, 혈류 개선, 혈류 강화, 세포 활성화, 림프절 자극, 부종 완화, 그리고 피부 자극 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특정 파장대의 광에서 발휘된다. 예컨대, 특히 저출력 레이저의 경우, 대략 630nm 내지 680nm 파장대에서 30mW 이상의 출력으로서 20분 이상 인체에 조사하는 경우, 통증 완화, 림프절 자극, 부종 완화, 세포 활성화 등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대략 780nm 내지 990nm 파장대에서 30mW 이상의 출력으로서 20분 이상 인체에 조사하는 경우, 혈류 개선, 혈류 강화, 세포 활성화 등의 효과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는 상기와 같은 사용 목적별로 다양한 파장대의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저출력 광 조사(140)는 레이저 생성시 많은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게 된다.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의 발열은 소자의 수명 단축과 제품 신뢰성과 안전성을 저하시키고, 특히 시술시 환자의 화상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단으로서, 별도의 방열판(도 8의 141)을 저출력 광 소자(140) 주변에 배치시킬 수 있으나, 이 경우 적어도 회로 기판(120) 상에 돌출된 정도로 인하여, 상기 광 시술 패치(100)의 두께가 증가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광 시술 패치(100)는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최대한 얇은 두께를 갖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즉, 상기 광 시술 패치(10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피부 상에서 많이 도출되어, 피부 밀착시 이질감이나 불편감이 클 수 밖에 없고, 외관상에도 좋지 않다.
상기와 같은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 시술 패치(100)는 상기 패치 몸체(110)를 열전도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방열판 또는 시술시 인체로 열을 전달시키기 위한 열전달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패치 몸체(110)는 전체가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구리, 그 밖의 다양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피부 접촉면은 생체적합성을 만족하는 플라스틱 재질로 하되, 그 내측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이종 재질의 다층 구조의 몸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광 시술 패치(100)는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로부터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상기 패치 몸체(110)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가열되며, 상기 패치 몸체(110)의 적절한 열이 상기 인체에 전달시킴으로서, 온열 치료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광 시술 패치(100)는 기본적인 저출력 레이저 시술과 함께, 상기 패치 몸체(110)의 자체열로 인한 온열 치료를 동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기(150)는 상기 광 시술 패치(100)의 시술 안전과 적절한 시술 제어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감지기(150)는 접촉 감지 센서(152) 및 온도 감지 센서(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 감지 센서(152)는 상기 광 시술 패치(100)의 사용시 상기 광 시술 패치(100)의 일면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 접촉 감지 센서(152)로는 압력 센서, 임피던스 센서, 자기 센서, 그리고 정전 용량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촉 감지 센서(152)로는 물리적 또는 기계적인 수단을 통해 상기 피부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촉 감지 센서(152)로는 평소 돌출된 핀(pin)으로 제공되되, 피부에 밀착되면 내부로 삽입되어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물리적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촉 감지 센서(152)는 상기 패지 몸체(110)에 인쇄 삽입되는 형태로서 완전 또는 일부 매립 형태로서 사출물 내에 제공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 센서(154)는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에 의한 발열로 인하여 상기 광 시술 패치(100)가 가열되어, 시술시 사용자의 화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치 몸체(110)는 열전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의 발열을 온열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광 시술 패치(110)의 과도한 발열로 인한 화상이 발생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기술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온도 감지 센서(154)는 상기 패치 몸체(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패치 몸체(11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온도 감지 센서(154)는 패치 몸체(110)의 제1 몸체(112)에 구비되어, 시술시 인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제1 몸체(112)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감지기(150)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광 시술 패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접촉 감지 센서(152)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받아, 시술시 상기 패치 몸체(110)가 인체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를 온(on)시키고, 상기 패치 몸체(110)가 인체에 비접촉되는 경우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또한,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온도 감지 센서(154)로부터 온도 감지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패치 몸체(11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를 벗어나면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패치 몸체(11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를 만족하면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를 온(on)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온도 범위는 적절한 온열 치료를 위한 온도 범위가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설정된 온도 범위는 대략 40℃ 내지 55℃일 수 있다. 시술시 상기 패치 몸체(110)가 대략 40℃ 미만인 경우, 온열 치료 효과는 극히 미비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시술시 상기 패치 몸체(110)가 대략 55℃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이하, 앞서 살펴본 광 시술 패치 시술 셋트를 이용하는 자가 저출력 광 시술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살펴본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소화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의 사용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의 적응증별 시술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시술 조건 셋팅 및 개시할 수 있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광 시술 패치(100)의 제어 버튼들(118)을 조작하여, 상기 광 시술 패치(100)의 저출력 광의 출력 시간, 강도 조절, 그리고 온(On) 동작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시술 조건 셋팅값들은 통증 완화, 혈류 개선, 혈류 강화, 피부 재생, 세포 활성화, 지방 분해, 그리고 세포 자극 등의 사용 목적별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술 조건 셋팅값들은 상기 광 시술 패치(100)와 연계된 스마트폰 앱(도 1의 42)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응증(예컨대, 사용 목적)이 손목의 통증(또는 건치염) 및 팔꿈치 통증의 완화인 경우, 출력 조절 버튼(118b)을 조작하여 상기 저출력 광의 출력을 40mW로 셋팅하고, 타이머 버튼(118c)을 조작하여 30분으로 셋팅한 후, 온/오프 버튼(118a)을 조작하여 상기 조건으로서 온(On)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광 시술 패치들(100)을 패치 밴드(20)를 사용하면서, 스마트폰 앱(도 1의 42)을 통해 안내되는 시술 방법 및 시술 이미지를 따라 순차적으로 시술 대상 피부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6(b)에서 보여주는 적응증은 무릎 통증 및 발목의 염좌, 도 6(c)에서 보여주는 적응증은 어깨통증 및 오십견, 도 6(d)에서 보여주는 적응증은 뒷목이 뻣뻣함 또는 목부위가 땡기고 아픈 증상, 도 6(e)에서 보여주는 적응증은 좌골 신경통 및 허리 통증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앱(42)은 도 6(a) 내지 도 6(e)와 그림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게 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시술 안내를 통해 개인 맞춤형 자가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시술 방법은 저출력 광이라는 양방 기술을 한방의 뜸,침치료 원리와 접목시킨 시술로서, 상기 광 시술 패치들(100)을 스마트폰 앱(42)이 안내해주는 주요 적응즐별 혈자리 상에 위치시키면서 전문적인 시술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광 시술 패치(100)를 시술 부위에 부착시키면, 상기 광 시술 패치(100)가 인체에 정상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0).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기(160)는 감지기(150)의 접촉 감지 센서(152)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광 시술 패치(100)의 제1 몸체(112a)의 일면이 시술 부위에 정상적으로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치 몸체(110)가 시술 부위에 대해 정상 접촉된 경우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회로 기판(120)을 제어하여 상기 내장 배터리(140)의 자체 전력으로서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의 저출력 광 조사가 시작될 수 있다(S130). 이에 반해, 상기 패치 몸체(110)가 시술 부위에 대해 비접촉된 경우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의 저출력 광 조사를 대기시킬 수 있다(S140).
즉,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의 저출력 광 조사는 상기 광 시술 패치(100)가 시술 부위에 정상적으로 접촉되었을 경우에만 조사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항상 오프(Off) 상태로 대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광 시술 패치(100)는 정상적으로 시술 부위에 접촉되었을 경우에만 저출력 광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저출력 광이 눈에 조사되는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출력 광의 조사가 이루어지면, 광 시술 패치(10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기(160)는 감지기(150)의 온도 감지 센서(154)로부터 온도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광 시술 패치(100)의 패치 몸체(112)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치 몸체(110)의 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온도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의 저출력 광 조사가 계속되도록 할 수 있다(S160). 이에 반해, 상기 패치 몸체(110)의 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회로 기판(120)을 제어하여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의 레이저 조사를 중단시킬 수 있다(S170).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100)는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의 발열을 온열 치료를 위한 열로 사용하므로, 상기 패치 몸체(110)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면, 화상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광 시술 패치(100)는 정상적인 온도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만 저출력 광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시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저출력 광 시술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기설정된 시술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80). 예컨대, 상술한 단계(S110)에서 셋팅한 30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어기(160)는 다시 단계(S120) 이전으로 돌아가 상술한 단계들(S120~S170)을 반복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앞서 단계(S110)에서 설정한 30분에 도달된 경우,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를 오프(off)시킨 후,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 또는 동작등(미도시됨)의 오프(off) 등과 같은 외부 표시를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 셋트(10)는 저출력 광을 조사하는 광 시술 패치들(100) 및 이를 시술 부위에 고정시킬 수 있는 패치 밴드(20)를 구비하되, 상기 광 시술 패치들(100) 각각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얇은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광 시술 패치들(100)을 통증 부위, 혈자리(blood aperture), 림프절(lymphatic gland) 등과 같은 국소 부위들에 조합하여 선택 배치시킴으로서, 통증 완화, 혈류 개선, 혈류 강화, 림프절 자극, 부종 완화, 그리고 피부 자극 등과 같은 다양한 자가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시술 셋트는 국소 부위에 시술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판형 광 시술 패치들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시술 종류와 원하는 국소 부위에 맞게 패치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는 기존 파스나 통증 패치에 비해, 피부 발진, 알레르기 발생, 화상 등과 같은 피부 트러블 등과 같은 접착제와 파스제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 없이, 통증 완화, 혈류 개선, 혈류 강화, 피부 재생, 세포 활성화, 지방 분해, 그리고 세포 자극 등의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는 기존의 파스나 통증 패치에 비해,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추가 비용 부담 없이 동일한 효과로서 자가 시술을 받을 수 있고, 자원 낭비를 방지하여 친환경적일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광 시술 패치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에 대해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 시술 패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100a)는 패치 몸체(110), 회로 기판(120), 내장 배터리(130), 저출력 광 소자(140a), 감지기(150), 그리고 제어기(160)를 구비하되, 상기 저출력 광 소자(140a)는 서로 상이한 레이저 파장값을 갖는 제1 소자(142a) 및 제2 소자(144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1 소자(142a)는 대략 630nm 내지 680nm 파장 범위를 가지며, 대략 100mW 이하의 출력 세기를 갖는 저출력 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소자(142a)는 통증 완화, 림프절 자극, 부종 완화, 세포 활성화 등의 사용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제2 소자(144a)는 대략 780nm 내지 990nm 파장 범위를 가지며, 대략 100mW 이하의 출력 세기를 갖는 저출력 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소자(142a)는 혈류 개선, 혈류 강화, 세포 활성화 등의 사용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소자들(142a, 142b)의 출력 세기는 사용자 안전을 위해 80mW 이하로 제한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소자들(142a, 142b)의 출력 세기는 3등급 의료기기 중 class 3R 등급에서 제한되는 출력값인 5mW 이하로 조절되는 것이 개인용 의료기기 인증상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소자들(142a, 144a)의 갯수와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 버튼들(118)을 조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소자들(142a, 144a)의 선택과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통증 완화 사용 목적으로서 상기 광 시술 패치(100a)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 소자(142a)만을 온(on) 동작되도록 상기 제어 버튼들(118)을 셋팅시킨 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혈류 개선 사용 목적으로서 상기 광 시술 패치(100a)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2 소자(144a)만을 온(On) 동작되도록 상기 제어 버튼들(118)을 셋팅시킨 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통증 완화와 혈류 개선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소자들(142a, 144a)을 모두 온(on) 동작시킨 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소자들(142a, 144a)의 발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소자들(142a, 144a) 각각을 둘러싸는 링 형상의 방열판들(141)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들(141)은 상기 제1 소자(142a)에 제공되는 것과 상기 제2 소자(144a)에 제공되는 것이 서로 상이한 재질, 형상과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 소자들(142a, 144a) 중 상기 제1 소자(142a)의 발열 온도가 높거나 크기가 큰 경우, 상기 제1 소자(142a)에 제공되는 방열판(141)의 크기, 재질, 열전도도 등이 높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광 시술 패치(100a)는 하나의 광 시술 패치(100a)로서 이종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100)에 비해, 단일 광 시술 패치(100a)로서 두 가지 파장대의 레이저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시술 패치(100b)는 패치 몸체(110), 회로 기판(120), 내장 배터리(130), 저출력 광 소자(140a), 감지기(150), 제어기(160), 그리고 진동자(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자(170)는 시술시 시술 부위에 대하여, 미세 진동을 전달시킴으로써, 혈류 개선 등의 사용 목적을 보다 더 부가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진동자(170)로는 초음파 진동자, 전자석 모터 진동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제어 버튼들(118) 및 상기 스마트폰 앱(42)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자(170)의 진동 세기, 진동 주기 및 진동 파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광 시술 패치(100b)는 상기 진동자(150)의 진동 세기나 주기가 상이한 다수의 진동 모드들(mode)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원하는 통증 시술을 선택하여 상기 진동자(170)에 의한 진동 마사지나 주무름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광 시술 패치(100b)는 하나의 광 시술 패치(100b)로서 저출력 광 시술과 미세 진동에 의한 물리적 에너지 시술을 동시 또는 별도로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시술 셋트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광 시술 패치 셋트
20 : 패치 밴드
30 : 충전기
40 : 스마트폰
100 : 광 시술 패치
110 : 패치 몸체
112 : 판형 몸체
113 : 렌즈
115 : 동작등
116 : 충전부
118 : 제어 버튼들
120 : 회로 기판
130 : 내장 배터리
140 : 저출력 광 소자
150 : 감지기
152 : 접촉 감지 센서
154 : 온도 감지 센서
160 : 제어기

Claims (1)

  1. 광의 투과를 위한 투과홀을 갖는 판(plate) 형상의 패치 몸체;
    상기 패치 몸체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 및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통증 완화, 림프절 자극, 부종 완화, 혈류 개선, 혈류 강화 또는 세포 활성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 목적을 갖는 저출력 레이저(Low Level Laser)를 조사시키는 복수의 저출력 광 소자(Low Level Light Device)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저출력 광 소자는 제1 소자 및 제2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소자는 상기 패치 몸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소자는 상기 패치 몸체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소자는 상기 제1 소자 보다 높은 파장의 저출력 레이저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소자는 통증 완화, 림프절 자극 및 부종 완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위하여 630nm 내지 680nm 파장대의 파장 범위를 갖는 저출력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2 소자는 혈류 개선, 혈류 강화 및 세포 활성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위하여 780nm 내지 990nm 파장대의 파장 범위를 갖는 저출력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2 소자는 사용자의 혈관 상에 위치되어 혈관 내 혈류 흐름을 촉진 또는 개선시키고,
    상기 제1 소자의 저출력 레이저 조사 영역은 상기 제2 소자의 저출력 레이저 조사 영역에 비해 넓고,
    상기 제2 소자는 상기 제1 소자 보다 피부 표면으로부터 더 깊게 상기 저출력 레이저를 조사하고,
    상기 제1 소자는 복수로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소자는 상기 제2 소자를 중심으로 상기 패치 몸체의 주변 영역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패치 몸체는 상기 저출력 광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시술 부위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온열 시술을 제공하는, 광 시술 패치.
KR1020200068533A 2020-06-05 2020-06-05 세포 활성화와 혈류 개선 작용의 다파장 레이저 광 시술 패치 KR102225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533A KR102225680B1 (ko) 2020-06-05 2020-06-05 세포 활성화와 혈류 개선 작용의 다파장 레이저 광 시술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533A KR102225680B1 (ko) 2020-06-05 2020-06-05 세포 활성화와 혈류 개선 작용의 다파장 레이저 광 시술 패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380A Division KR102122681B1 (ko) 2019-07-19 2019-07-19 광 시술 패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825A true KR20200067825A (ko) 2020-06-12
KR102225680B1 KR102225680B1 (ko) 2021-03-25

Family

ID=7108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533A KR102225680B1 (ko) 2020-06-05 2020-06-05 세포 활성화와 혈류 개선 작용의 다파장 레이저 광 시술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773B1 (ko) * 2021-08-09 2022-01-20 (주)이지템 신체 착용식 복합자극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745A (ko) * 2005-07-20 2007-01-24 이송자 Lllt를 위한 범용 패치
US20140012353A1 (en) * 2010-04-09 2014-01-09 Marvin A. Prescott Light Therapy for Increasing CD34+ Cell Count in Peripheral Blood
KR101493803B1 (ko) * 2014-07-24 2015-02-17 이윤근 엘이디의 발열을 이용한 온열 찜질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745A (ko) * 2005-07-20 2007-01-24 이송자 Lllt를 위한 범용 패치
US20140012353A1 (en) * 2010-04-09 2014-01-09 Marvin A. Prescott Light Therapy for Increasing CD34+ Cell Count in Peripheral Blood
KR101493803B1 (ko) * 2014-07-24 2015-02-17 이윤근 엘이디의 발열을 이용한 온열 찜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773B1 (ko) * 2021-08-09 2022-01-20 (주)이지템 신체 착용식 복합자극장치
WO2023018015A1 (ko) * 2021-08-09 2023-02-16 (주)이지템 신체 착용식 복합치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680B1 (ko)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790624U (zh) 激光贴片及具有其的激光贴片治疗组
KR101846795B1 (ko)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
JP7314121B2 (ja) デュアルモダリティエネルギー送達システム
KR200450643Y1 (ko) 전립선 및 자궁치료용 저출력 레이저 저주파 온열 기능을 갖는 복합 치료기
JP2003284757A (ja) ヒーター付赤色光線治療器
KR20180125380A (ko) 광 시술 패치 셋트
KR102225680B1 (ko) 세포 활성화와 혈류 개선 작용의 다파장 레이저 광 시술 패치
CN108853748B (zh) 激光贴片及具有其的激光贴片治疗组
KR20190044480A (ko) 광 시술 패치 셋트
KR20190011113A (ko) 레이저 조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시술 장치
KR102122681B1 (ko) 광 시술 패치
KR20200020106A (ko)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헬스케어 플랫폼
KR100412569B1 (ko)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KR20120115765A (ko) 생리통 치료용 접착식패치
KR102528265B1 (ko) 저출력 레이저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저출력 레이저 시술 셋트
KR102225675B1 (ko) 레이저 치료와 온열 시술이 가능한 신체 착용형 다파장 레이저 통증 치료기기
KR20200067031A (ko) 복합 시술 패치
KR20200135253A (ko) 세포 활성화와 혈류 개선 작용에 의한 다파장 레이저 통증 치료기기
CN209770843U (zh) 一种多功能美容仪
KR20040023866A (ko) 벨트형 온열 저주파 치료기
CN207125896U (zh) 多功能理疗器
CN205268845U (zh) 穿戴式光动力装置
KR20210070093A (ko) 적외선을 이용한 휴대용 마사지기
TWM511836U (zh) 寵物用之穿戴型醫療保健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