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556A -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 - Google Patents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556A
KR20200067556A KR1020180154540A KR20180154540A KR20200067556A KR 20200067556 A KR20200067556 A KR 20200067556A KR 1020180154540 A KR1020180154540 A KR 1020180154540A KR 20180154540 A KR20180154540 A KR 20180154540A KR 20200067556 A KR20200067556 A KR 20200067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smartphone
time
user
doorbel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3568B1 (ko
Inventor
정이준
Original Assignee
정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이준 filed Critical 정이준
Priority to KR1020180154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56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7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와 외부 출입자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스마트폰을 활용한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며,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사용자를 연결시키는 컨트롤부재, 및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컨트롤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외부 출입자로부터의 입력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외부 출입자에게 상기 스마트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폰을 재활용하여, 외부 출입자와 사용자와의 통화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 {REAL-TIME SMART DOORBELL}
본 발명은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폰을 재활용할 수 있는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인터폰은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로서, 방문자가 초인종을 눌렀을 경우, 현관 등에 설치된 도어폰의 카메라를 통해서 촬영된 방문자의 영상을 실내 인터폰의 디스플레이 등에 출력하고, 도어폰의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된 방문자의 목소리 등을 실내 인터폰의 스피커에 출력함으로써,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 기술이 나날이 발전해 감에 따라, 스마트폰의 기능은 통화 기능이나 인터넷 검색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일상생활에서의 편리함을 위하여,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전자기기 등과 접목하는 기능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가정용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와 결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어 생활의 편리함을 더하고 있다. 그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터폰을 제어하는 기술들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폰 장치에 관해서, 종래에는 방문자가 초인종을 눌렀을 경우, 방문자의 영상이나 소리 등이 실내 인터폰에 수신되고, 실내 인터폰 내에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이 방문자의 정보를 사용자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방문자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한편, 다양한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이 급속도로 개발됨에 따라, 10 여년전에는 여러 회사들의 스마트폰의 출시 주기가 1년 정도였으나, 최근에는 약 2개월을 주기로 스마트폰을 출시하고 있다. 생활에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최신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그에 반해, 교체된 기존의 스마트폰이 방치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대두된다. 2013년 조사에 따르면, 폐스마트폰 약 2000만 여대 중 불과 400만 여대 정도가 재활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400여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하면, 응답자 중 67%가 집에 방치된 스마트폰이 있다는 답을 했다. 사용되지 않는 스마트폰이라 하더라도 내구성을 가지고 있고 충분히 스마트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에 대해서는 이를 이용해 재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터폰을 제어하고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었으나, 이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사용되지 않는 스마트폰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631130-0000호(2016.06.10.등록) 2. 한국등록특허 제10-1252688-0000호(2013.04.03.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폰을 재활용하여, 외부 출입자와 사용자와의 통화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와 외부 출입자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스마트폰을 활용한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며,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사용자를 연결시키는 컨트롤부재 및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컨트롤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외부 출입자로부터의 입력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외부 출입자에게 상기 스마트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부재를 포함하는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재는, 상기 스마트폰과의 전기적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모듈, 상기 컨트롤부재에 외부의 전원을 제공하는 외부 전원 연결부재, 및 상기 외부 출입자로부터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입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재는, 상기 외부 출입자의 근접 여부를 알 수 있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는, 상기 스마트폰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에 결착될 수 있는 지그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지그부재에 의해 크기가 다른 여러 종류의 스마트폰을 상기 하우징부재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는 상기 외부 출입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입력부재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폰의 통화 기능을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 어플리케이션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재는 배터리팩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팩은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한 보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폰을 컨트롤부재 결합된 인터폰을 통해서 외부 출입자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폐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집 외부에 대해 실시간 모니터링, 24시간 녹화, 야외 연결 통화, 움직임 감지 등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기존 인터폰의 기능 외에 보안, 감시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터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치된 스마트폰이 무단 폐기되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스마트폰을 컨트롤부재에 쉽게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므로, 폐스마트폰의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제품과도 연동하여 동작가능하고,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여러 모듈을 추가 할 수 있고, 케이스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환경(예를 들어, 수중, 농업 또는 공업현장, 재난 시 재난용품 등) 등에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집 안에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할 필요 없고, 별도의 외부 전원 없이 배터리팩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설치 및 이동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1000)는 스마트폰(100), 하우징부재(200), 컨트롤부재(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모듈(301)은 스마트폰(100)의 외부 통신 단자 형태에 맞도록 USB-C, 라이트닝 케이블 등의 수단자가 돌출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100)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커넥터모듈(301)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커넥터모듈(301)이 상기 컨트롤부재(300)에 탈착이 가능하며 여러 종류의 커넥터 타입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부재(303)는 스위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입력부재(303)는 일종의 초인종과 같은 역할을 하여, 외부 출입자가 상기 입력부재(303)를 누르게 되면, 상기 신호를 컨트롤부재(300)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전기적으로 전달하고, 상기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상기 커뮤니케이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결과적으로 상기 외부 출입자와 상기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방식의 동작은 외부 출입자와 사용자를 실시간으로 커뮤니케이션하게 해줌으로써,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부재중인 경우, 택배기사가 방문한다던가 하는 경우 큰 효용성을 발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근접 센서(304)는 적외선 센서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센서 또는 라이다 센서 등 물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들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뮤니케이션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미리 입력된 사용자의 모바일 폰 넘버 등을 수신자로 하여 영상 또는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영상 통화의 경우, 외부 출입자가 범죄의 우려가 있는 상대인지를 쉽게 알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능의 경우, 빈집털이 등의 범죄에 대해서 사후적으로 범인 추적 등의 효용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해당 영상 통화에 대한 통화 내역 , 외부 방문자나 사용자의 출입정보, 외부 녹화 영상, 실시간 감지 데이터 등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서버 등에 주기적으로 저장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개인 서버(예를 들면, 개인 클라우드) 등에 별도로 저장하여 개인의 사생활 유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재(200)에는 상기 외부 출입자의 입력을 상기 컨트롤부재(300)의 입력부재(303)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기능은 하우징 부재(200)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입력이 바로 입력부재(303)로 연결되도록 하거나, 혹은 스위칭의 입력을 전달시킬 수 있는 별도의 전달부재(예를 들어 실리콘이나 고무)를 형성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부재(200)에 추가적으로 설치 가능한 지그부재(201)의 경우, 요근래 전체 화면 사이즈가 다른 스마트폰의 출시시기가 매우 짧고, 제조사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스마트폰을 제조하는 현실에 따라, 하우징부재(200)를 스마트폰의 종류마다 별도로 제작하기에는 경제적 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에 많은 효용성이 있다. 즉 하우징부재(200)를 종류별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금형을 제조하는 비용이 별도로 발생하고, 특정한 사이즈의 하우징부재(200)가 잘 팔리지 않았을 경우, 해당 하우징부재(200)의 재고처리가 힘든 문제가 발생하고, 이러한 문제들을 지그부재(201)를 통해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재(200)가 지그부재(201)를 통해 여러 가지 다른 종류의 스마트폰을 쉽게 설치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하우징부재(200)내에 거치대(예를 들면,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와 같이 스마트폰(100)을 지지할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스마트폰(100)을 컨트롤부재(3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1000)의 하우징부재(200)는 박스 형태의 외형케이스가 아닌 원형케이스(예를 들면, 원통형의 텀블러 형태) 등으로 구비될 수 있어, 배터리팩을 장착하고 외부전원을 단절시킨 후, 포터블한 보안 감시 제품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근접센서(304)의 경우, 상기 스마트 초인종 장치(1000)를 상기 사용자와 상기 외부 출입자간의 커뮤니케이션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스마트 초인종 장치(1000)를 통해 홈 시큐리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홈 시큐리티 서비스의 경우, 예를 들어, 상기 근접센서(304)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전면 카메라를 동작시켜 일정 시간동안 영상을 녹화하도록 하고, 이를 상술했던 서버 등에 일정 기간 저장하도록 하여 기본적인 보안 기능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커뮤니케이션 어플리케이션의 홈 시큐리티에 관련된 설정을 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를 통해 사용자는 근접 센서(304)로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 뿐만 아니라, 일정 기간 동안의 출입문의 외부상황을 녹화하거나, 혹은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홈 시큐리티에 관련된 기능 중에는 근접센서(304)를 통한 특정 객체의 근접 여부, 혹은 상시 녹화 기능 등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100)의 마이크 등을 활성화시켜 기준 데시벨 크기 이상의 소음 등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이벤트화하여, 스마트폰(100)의 커뮤니케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더 나아가, 기준 데이벨 크기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스마트폰(100)의 전면부 카메라를 활성화시키고 일정 시간 녹화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소음이 단순한 외부 소음인지 혹은 침임에 의한 소음인지를 구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304) 외에 적외선카메라, 듀얼카메라, 지문인식장치, 안면인식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모듈을 구비하여 단순히 외부의 방문자를 인식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 및 장소에서 적용 가능한 보안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1000)가 복수대로 사용될 경우, 복수의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1000)는 감시 카메라의 역할 등을 하여 전체적으로 보안 시스템 등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빌라의 모든 층에 설치되거나, 농가 및 공장 등의 전체 구역에 설치될 경우, 한 층이나 한 구역에서 수상한 움직임 등이 감지되면 시스템 내의 전체 제품을 이용하여 움직임의 이동경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재(300)에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배터리팩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팩이 장착될 경우, 외부전원이 단절되더라도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가 충분한 시간 동안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이나 상기 배터리팩을 추가적으로 충전시키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배터리팩은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바, 다양한 형태와 용량의 배터리팩이 장착될 수 있다.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1000)이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될 경우, 근접센서(304)를 통해서 사용자의 출입이 감지되면, 미리 입력된 설정정보에 따라 전등이 점등되거나 컴퓨터가 켜지는 등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1000)와 전자동 도어락 장치 등이 개발되는 경우, 전자동 도어락 장치 등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1000)에 근접하거나, 입력부재(303)(예를 들어, 스위치 등)에 사용자가 지문 인식을 하거나, 스마트폰(100)의 카메라에 안면인식 등을 하였을 경우, 전자동 도어락 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0 : 스마트 초인종 장치
100 : 스마트폰
200 : 하우징부재 201 : 지그부재
300 : 컨트롤부재 301 : 커넥터모듈
302 : 외부 전원 연결부재 303 : 입력부재
304 : 근접센서

Claims (7)

  1. 사용자와 외부 출입자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스마트폰을 활용한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며,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사용자를 연결시키는 컨트롤부재; 및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컨트롤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외부 출입자로부터의 입력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외부 출입자에게 상기 스마트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부재를 포함하는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재는.
    상기 스마트폰과의 전기적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모듈;
    상기 컨트롤부재에 외부의 전원을 제공하는 외부 전원 연결부재; 및
    상기 외부 출입자로부터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입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재는,
    상기 외부 출입자의 근접 여부를 알 수 있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는,
    상기 스마트폰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에 결착될 수 있는 지그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지그부재에 의해 크기가 다른 여러 종류의 스마트폰을 상기 하우징부재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는 상기 외부 출입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입력부재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폰의 통화 기능을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 어플리케이션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재는 배터리팩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팩은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한 보안 장치.
KR1020180154540A 2018-12-04 2018-12-04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 KR102193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540A KR102193568B1 (ko) 2018-12-04 2018-12-04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540A KR102193568B1 (ko) 2018-12-04 2018-12-04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556A true KR20200067556A (ko) 2020-06-12
KR102193568B1 KR102193568B1 (ko) 2020-12-21

Family

ID=7108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540A KR102193568B1 (ko) 2018-12-04 2018-12-04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5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688B1 (ko) 2011-04-08 2013-04-09 (주)서원인텍 용이하게 홈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인터폰과 이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터폰시스템.
KR101631130B1 (ko) 2014-09-22 2016-06-17 (주) 코콤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폰기능 구현시스템 및 방법
KR101923709B1 (ko) * 2017-11-30 2018-11-29 주식회사 모두앤모두 페이저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688B1 (ko) 2011-04-08 2013-04-09 (주)서원인텍 용이하게 홈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인터폰과 이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터폰시스템.
KR101631130B1 (ko) 2014-09-22 2016-06-17 (주) 코콤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폰기능 구현시스템 및 방법
KR101923709B1 (ko) * 2017-11-30 2018-11-29 주식회사 모두앤모두 페이저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568B1 (ko) 202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9063B2 (en) Wireless speaker devices for wireless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CN105701997A (zh) 报警方法和装置
CN104244528A (zh) 智能灯的控制方法及装置
CN105931428A (zh) 报警方法及装置
CN105809881A (zh) 报警方法及装置、控制设备及传感设备
US20090059001A1 (en) Remote-control door viewer surveillance system
US20130016211A1 (en) Home Surveillance Device
CN105050046A (zh) 防丢器的失联处理方法、设备和系统
US20130021473A1 (en) Home Surveillance Device
US8860568B1 (en) Home floor safe security system
KR101221437B1 (ko)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한 cctv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527963A (ja) 無線音声/ビデオ記録及び通信デバイスについての無線スピーカデバイス
CN104952228A (zh) 防盗保护开启方法、装置及系统
KR101638940B1 (ko)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KR20200067556A (ko)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
RU2748703C2 (ru) Устройство наблюдения
KR101677144B1 (ko) 기존의 인터폰을 활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1151626B1 (ko) 통합 제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합 제어 시스템
KR20160104332A (ko)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GB2445596A (en) Remote control door viewer surveillance system
CN112367489A (zh) 一种音视频物理隔离装置
CN201781579U (zh) 影音监控系统
CN105100749A (zh) 摄像方法、装置及终端
JP2009259116A (ja) 車両異常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