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517A -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surgery - Google Patents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surg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517A
KR20200067517A KR1020180154466A KR20180154466A KR20200067517A KR 20200067517 A KR20200067517 A KR 20200067517A KR 1020180154466 A KR1020180154466 A KR 1020180154466A KR 20180154466 A KR20180154466 A KR 20180154466A KR 20200067517 A KR20200067517 A KR 20200067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pinal fusion
elastic body
connection housing
flexib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4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석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원
Priority to KR1020180154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7517A/en
Publication of KR20200067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5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02Longitudinal elements, e.g. rods
    • A61B17/7019Longitudinal elements having flexible parts, or parts connected together, such that after implantation the elements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02Longitudinal elements, e.g. rods
    • A61B17/7019Longitudinal elements having flexible parts, or parts connected together, such that after implantation the elements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 A61B17/7026Longitudinal elements having flexible parts, or parts connected together, such that after implantation the elements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with a part that is flexible due to its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02Longitudinal elements, e.g. rods
    • A61B17/7019Longitudinal elements having flexible parts, or parts connected together, such that after implantation the elements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 A61B17/7031Longitudinal elements having flexible parts, or parts connected together, such that after implantation the elements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made wholly or partly of flexi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6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L27/165Rub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surgery which comprises: a basic rod totally formed in a bar shape, including a post part, and having a reception part disposed on at least one of both end parts of the post part; a moving rod totally formed in the bar shape, including a post part, and having a locking step disposed on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post part; a connection housing fixed to the basic rod with a structure connecting an edge to the reception part and including a through-hole type locking hole and internal space having a size which can receive receiving the locking step of the moving rod therein and expose the major part of the post part, except the locking step, to the outside to allow relative movement of the moving rod and prevent separation of the same; and a first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reception part of the basic rod and the locking step in the connection housing when the basic rod and the moving rod ar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housing and including elastic recovery force. Accordingly, the flexible rod secures motility of a joint applying spinal fusion surgery thereto, thereby allowing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join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largely reducing risk that stress is concentrated on a joint adjacent to a surgery portion and thus spinal damage is extended the adjacent portion after a long period.

Description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SURGERY}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surgery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SURGERY}

본 발명은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체간 관절이 손상되었을 경우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척추체를 상호 적정 간격을 유지한 채 고정하는 척추 유합술에 사용되는 척추 지지 로드로서, 특히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PLIF,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rod for vertebral fusion, and more particularly, is used in vertebral fusion to fix two or more vertebral bodies with appropriately spaced intervals to secure structural stability when the intervertebral joint is damaged. As a spinal support rod, it relates to a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particularly suitable for application to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사람의 척추는 다수의 척추뼈가 일명 척추 디스크라고도 불리는 허리 척추 원반(추간판, 또는 추간 원판이라고도 함)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구성된 것으로서, 그 위치에 따라 목 부분의 척추를 경추, 경추 이하 가슴 부분에 해당하는 척추를 흉추, 허리 부분의 척추를 요추 등으로 구분한다.The human spine is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vertebra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lumbar vertebral disc (also called an intervertebral disc, or intervertebral disc), also called a vertebral disc. The vertebrae corresponding to the thoracic vertebrae, and the lumbar vertebrae of the lower back are divided.

척추 디스크는 척추뼈, 보다 구체적으로는 척추뼈의 원기둥형 부분인 척추체 사이에 있는 원반모양의 물렁뼈로, 겉은 비교적 단단한 섬유륜으로 되어 있고, 속은 젤리와 같은 수핵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척추뼈 사이에서 쿠션과 같은 역할을 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척추뼈 사이 관절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척추는 척추뼈들의 사이에 이러한 척추 디스크를 개재한 구조적 특성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유연한 휘어짐 동작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 vertebral disc is a discoidal scapula between the vertebrae, more specifically, the vertebral body, which is the cylindrical part of the vertebrae, the outer surface of which is composed of relatively hard fibrous rings, and the inside is composed of jelly-like nuclei. That is, it acts as a cushion between the vertebrae, absorbs shock, and functions to facilitate joint movement between the vertebrae, and the vertebrae have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se vertebral discs between the vertebrae. It is possible to secure a flexible bending motion in various directions.

한편, 척추뼈는, 인접한 척추뼈와 척추 디스크를 사이에 두고 직접 연결되는 부분인 원기둥 형태의 척추체와, 상기 척추체로부터 등 방향으로 연장된 각종 돌기들을 구비한 형태를 띄는데, 통상 척추체로부터 등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돌기를 극돌기라 하며, 상기 극돌기를 중심으로 좌, 우에 대칭적인 형태로 위치하며 등쪽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된 두 개의 돌기를 횡돌기라고 한다.On the other hand, the vertebrae have a cylindrical vertebral body, which is a part directly connected with an adjacent vertebra and a vertebral disc, and various protrusions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from the vertebral body. The projections protruding vertically are called spinous processes, and the two projections located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inous processes are called transverse processes.

그 호칭이 구분되어 불려지는 것에서처럼, 척추를 이루는 경추, 흉추, 요추 등은 전술한 돌기들의 형태, 수 등에서 다소 다른 모습을 가지기도 하나, 척추체의 외측면과, 상기 척추체로부터 등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기들로 둘러싸인 부분에는, 뇌로부터 연장되어 신체 각 부분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중요 기관인 척수가 지나가며 이를 보호하기 위한 공간인 추공이 공통적으로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As the name is called separately, the cervical vertebrae, thoracic vertebrae, and lumbar spine that form the spine may have somewhat different appearances in the shape, number, etc. of the above-mentioned protrusions, but extend from the vertebral body to the dorsal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ebral body. In the part surrounded by the formed protrusions, the spinal cord, which is an important organ for transmitting signals to each part of the body extending from the brain, passes through and has a form in which a hole, a space for protecting it, is commonly formed.

따라서, 사람의 척추는 신체를 지탱하기 위한 중심 기둥으로서 역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과 동시에 중요 기관인 척수를 보호하고 있는 기관으로서, 척추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몸 전체의 지탱과 관련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각종 신경학적 증상 역시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Therefore, the human spine is an organ that protects the spinal cord, which is an important organ at the same time as it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central pillar for supporting the body, and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spine, problems related to the support of the entire body occur. Of course, various neurological symptoms are also very likely to occur.

이러한 척추 관련 질병들 중 많은 부분이 외과적인 수술에 의해 다루어지거나 치료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인접한 척추체들의 간격이 좁아지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 척추 디스크 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수핵의 일부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륜이 파열되어 척추관 안으로 돌출하거나 탈출하여 척추신경을 압박하게 되는 질병인 추간판 탈출증의 경우, 증세가 경미한 경우에는 운동 요법이나, 레이저에 의한 돌출 부분의 제거와 같은 간단한 수술에 의해 치료되기도 하나, 심한 불안정성을 동반한 경우에는, 좁아진 척추체 간의 간격을 원위치로 회복시킨 후 이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보형물을 설치하는 수술이 행해지기도 한다.Many of these spine-related diseases are treated or treated by surgical procedures. For example, the fibrous ring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hydronucleus due to increased pressure in the spinal disc due to narrowing of adjacent vertebral bodies. In the case of intervertebral disc prolapse, which is a disease that ruptures or protrudes into the spinal canal and compresses the vertebral nerve, it can be treated by exercise therapy when the symptoms are mild, or by simple surgery such as removal of the protrusion by laser, but severe instability When accompanied, surgery may be performed to restore the gap between the narrowed vertebral bodies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n install an implant to support this condition.

또한, 척추체에 골절이 발생하였거나, 사고 기타 원인으로 인해 척추뼈의 일부가 탈골된 경우, 척추가 원래의 형태에서 심하게 휜 심각한 척추측만증 등의 경우에도, 잘못된 척추뼈를 교정하거나, 손상된 척추뼈를 보호, 지지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보형물을 설치하는 수술이 행해지기도 한다.In addition, if a fracture occurs in the vertebral body, or some part of the vertebrae dislocated due to an accident or other cause, even in the case of severe scoliosis, the spine is severely deformed from its original form, correct the wrong vertebrae or repair the damaged vertebrae.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supporting, etc., surgery is performed to install the implant as described above.

즉, 관절로서의 운동 기능을 포기하는 대신, 구조적 안정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인접한 척추뼈의 간격을 원래의 간격으로 복원시킨 후, 이들을 고정하는 수술이 일반적으로 많이 행해지고 있는데, 이와 같이 척추체간 상호 위치를 고정시키는 수술을 척추 유합술(Spinal fusion Surgery)이라고 한다.That is, instead of giving up exercise function as a joint, in order to maximize structural stability, after restoring the intervals of adjacent vertebrae to the original intervals, surgery to fix them is generally performed, and thus the mutual positions between the vertebral bodies are fixed. This is called spinal fusion surgery.

척추 유합술은 통상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루어지는데, 먼저 손상된 척추 디스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한 후, 뼈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버팀목 기능의 보형물인 케이지를 문제가 된 척추체 사이에 개재시킨다.Vertebral fusion usually involves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removing some or all of the damaged vertebral discs, and then interposing the cage, the prosthesis of the brace function to maintain bone gap, between the affected vertebral bodies.

이후, 인접한 상, 하의 척추뼈에 각각 페디클 스크류를 고정하는데, 전술한 페디클 스크류의 헤드부에는 막대형의 로드를 파지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척추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종방향으로 둘 이상의 척추뼈에 걸쳐 로드가 단단하게 고정된다.Thereafter, the pedicle screws are fixed to the adjacent upper and lower vertebrae, respectively, and a structure capable of gripping the rod of the rod is formed in the head portion of the pedicle screw described above, thereby vertic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ine. The rod is securely fixed across two or more vertebrae in the direction.

특히, 후방 요추간 유합술(PLIF)의 경우 상기 페디클 스크류는 척추체로부터 등쪽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두 개의 횡돌기 부근에서 척추체 방향을 향하도록 극돌기를 중앙에 두고 대칭적인 형태로 두 개가 고정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osterior lumbar intervertebral fusion (PLIF), the pedicle screw is radially protruding from the vertebral body to the vertebral body in the center of the spine so as to face the vertebral body in the vicinity of two transverse protrusions, and the two are fixed symmetrically.

이러한 수술 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도 7이나 도 9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Such a surgical form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FIGS. 7 and 9, which are drawing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스크류 및 지지 로드를 적용하여 두 개 이상의 척추뼈를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잘못된 척추뼈의 위치를 교정하거나 척추뼈 사이의 간격을 회복시키고, 골절된 척추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킨 상태로 지지해 주는 등의 기능을 부여하여 척추 이상에서 오는 각종 질병이나 신경학적 증상 등을 완화, 치료할 수 있게 되기는 하나, 통상 티타늄과 같은 단단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로드가 설치된 해당 부분의 척추 관절은 굽혀질 수 없도록 단단하게 고정되므로, 본래의 척추 관절이 가지고 있는 운동성을 잃게 되어 수술받은 환자의 자유도가 크게 제한될 뿐만 아니라, 관절 운동에서 발생하는 응력이 다수의 관절에 분산되지 못하고 고정된 인접 관절 부위에 집중적으로 가해짐으로써, 수술 후 장기간 경과시 오히려 주변 관절의 손상을 가져오는 문제점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That is, by fixing the two or more vertebrae firmly by applying a screw and a support rod in a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correct the position of the incorrect vertebrae or restore the gap between the vertebrae, and apply the force applied to the fractured vertebrae. By providing functions such as supporting in a dispersed state, it is possible to alleviate and treat various diseases or neurological symptoms from spinal abnormalities, but the spine of the part where the rod is usually made of a hard metal material such as titanium is installed. Since the joint is fixed so that it cannot bend, the mobility of the original vertebral joint is lost, so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patient undergoing surgery is greatly limited, and the stress generated in the joint movement is not distributed to many joints and is fixed. By intensively applying to the adjacent joint site, a problem that often causes damage to the surrounding joints often occurs over a long period of time after surgery.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미세한 운동성이라도 부여하고, 주변 관절에 걸리는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막대 형태의 로드 대신 중앙 부분에 나선 슬롯 형태의 가요부가 구비된 제품이 제공되고 있기는 하나, 이 역시 일체화된 형태로 제공될 뿐이고 가요성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충분한 응력 분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운동성 확보에는 거의 기여되는 바가 없다.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 to impart even finer mobility and reduce stress on the surrounding joints, as shown in FIG. 10, a product is provided with a flexible slot-shaped flexible portion in the center portion instead of a simple rod-shaped rod. Although there is, this is only provided in an integrated form, and flexibility is very limited, so it is difficult to expect a sufficient stress distribution effect, and it hardly contributes to securing mobility.

이러한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제품으로서, 본 발명의 발명자(또는 출원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자)가 보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96780을 통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 조인트 연결부를 가짐으로써 가요성을 가지는 척추 지지로드를 개시한 바 있다.As a product for resolving these problems, by having a ball joint connection as shown in FIG. 11 through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96780 possessed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person having the right to apply) A flexible spinal support rod has been disclosed.

즉, 상기 등록특허는 각각 기둥부를 구비한 제1본체(201)와 제2본체(202)가 구형 돌설부(16)와 구형 오목 수용부(17)를 개재하여 볼 조인트 연결 구조로 연결됨으로써, 연결부에서의 꺾임 동작을 수용하는 한편, 척추의 움직임에 따른 신축 동작을 수용하기 위한 판 스프링 등 각종 탄성체가 함께 결합된 구조를 개시한다.That is, in the registered patent, the first body 201 and the second body 202 each having a pillar portion are connected by a ball joint connection structure via a spherical protruding portion 16 and a spherical concave receiving portion 17, Disclosed is a structure in which various elastic bodies, such as a leaf spring, for accommodating a bending motion in the connection part and a stretching spring in response to the motion of the spine are coupled together.

이러한 구조를 통해, 척추체 사이의 바람직한 간격은 유지하면서도 고정된 척추체간 운동을 일정 범위 내에서 허용함으로써 운동성 확보와 함께 수술 부위에 인접한 정상 관절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킬 수 있는 이론적 해법을 제시하고는 있으나, 도 1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부품의 수가 지나치게 많아서 조립성이 현격히 떨어지는 것은 물론, 완제품 상태에서 많은 조립 결합 부위 중 어느 한 부분에서 결합이 해제되거나 할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Through this structure, while maintaining a desirable distance between the vertebral bodies while allowing a fixed intervertebral body movement within a certain range, a theoretical solution is proposed to disperse the concentration of stress in normal joints adjacent to the surgical site while securing mobility. However, as shown in FIG. 11, the number of parts is too large, and as a result, assembleability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disengagement at any one of many assembly and joining parts in the finished product.

특히 많은 부품이 경질 부품 위주로 제안되고 있고, 이러한 부품들이 인체 내 이식된 상태에서 파손되거나 하여 인체 내 조직으로 분산되는 경우에는 심각한 상황을 일으킬 수 있다.In particular, many parts have been proposed mainly for hard parts, and when these parts are broken in an implanted state in the human body and are dispersed into tissues in the human body, a serious situation may occur.

결국, 상기 등록특허로 개시된 제품은 이론적으로 좋은 해법을 제공하나, 실제 제품 제조에 있어 지나치게 많은 부품 및 조립 공수로 인해 제품화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인체 내 적용을 위한 안전성의 측면에서 우려가 있는 점 등으로 인해 상업화를 위한 인허가 절차의 통과 역시 거의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In the end, the product disclosed as the registered patent provides a theoretically good solution, but it is not easy to commercialize due to too many parts and assembly labor in actual product manufacture, and there is a concern in terms of safety for application in the human body. The disadvantage is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pass the licensing process for commercializ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6780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196780

"Posterior dynamic stabilization of the lumbar spine: pediclebased stabilization with the AccuFlex rod system" Neurosurg. Focus / Volume 22 / January, 2007"Posterior dynamic stabilization of the lumbar spine: pediclebased stabilization with the AccuFlex rod system" Neurosurg. Focus / Volume 22 / January, 200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척추 유합술에 의해 상호 고정된 척추뼈들 사이의 운동성을 일정 범위 내에서 확보하면서, 이로 인해 수술 부위 주변 척추 관절에 걸리는 응력도 분산시켜 장기간 경과 후에도 주변 관절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mobility between the vertebrae fixed to each other by spinal fusion within a certain range, thereby dispersing the stress applied to the vertebral joints around the surgical site, even after prolonged elaps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which may not cause damage to the surrounding joints.

또한, 종래 본 발명의 발명자가 보유한 등록특허 제10-1196780호에서 제시한 구조에 비해서도 보다 자연스럽고 원활한 동작이 가능해지며, 장기간 사용해도 운동 기능의 저하가 현격히 감소된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more natural and smooth motion compared to the structure proposed in the registered patent No. 10-1196780 possessed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es a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surgery in which the deterioration of motor func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It aims to do.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고, 제품화된 상태에서 구조적 견고성이 확보된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and has secured structural rigidity in a commercialized state.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품 안정성이 뛰어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which has excellent product stability and can be used for a long tim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t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는, 척추 유합술에 사용되는 지지 로드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바 형태로 형성되어 기둥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둥부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안착부를 구비한 기본 로드, 전체적으로 바 형태로 형성되어 기둥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둥부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걸림턱을 구비한 유동 로드, 상기 안착부에 가장자리가 연결되는 구조로 상기 기본 로드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유동 로드의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며 상기 걸림턱 외의 상기 기둥부의 대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기본 로드에 대한 상기 유동 로드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허용하는 한편 이탈은 방지할 수 있는 크기의 관통공 형태 걸림공과 내부 공간이 형성된 연결 하우징 및, 상기 기본 로드와 상기 유동 로드가 상기 연결 하우징을 경유하여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 하우징 내에서 상기 기본 로드의 안착부와 상기 걸림턱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 복원력을 구비한 제1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support rod used for spinal fusion, is formed in a bar shape as a whole, and has a pillar portion, and is seated at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pillar portion A basic rod having a portion, which is formed in a bar shape as a whole, having a pillar portion, a flow rod having a locking jaw at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pillar portion, and fixed to the basic rod with a structure in which an edge is connected to the seat The inside of the flow rod accommodates the locking jaw, and most of the pillar portions other than the locking jaw are exposed to the outside to allow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low rod relative to the basic rod while preventing departure. A connection housing having a through-hole type locking hole and an inner spac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basic rod and the flow rod are connected via the connection housing, between the seating portion of the basic rod and the locking jaw in the connection housing It is interposed and comprises a first elastic body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이때, 상기 기본 로드와 상기 유동 로드가 상기 연결 하우징을 경유하여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걸림턱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 복원력을 구비한 제2 탄성체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basic rod and the flow rod are connected via the connection housing, a second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the locking jaw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

이때, 상기 안착부는 동일하거나 미분 연속성을 유지한 채 변화하는 반경 값의 곡률 구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안착부와 상기 유동 로드의 상기 걸림턱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안착부와 맞닿는 면의 형상이 상기 안착부의 구면 형상과 동일하거나 10% 이내 차이의 반경 값을 가지는 형합적인 곡률을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ating portion has the same or a spherical shape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that varies while maintaining differential continuity, and the first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locking jaw of the flow rod is in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The shape of the surface may be the same as the spherical shape of the seating portion, or may have a suitable curvature having a radius value of a difference within 10%.

더욱이, 상기 안착부와 상기 걸림턱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걸림턱과 맞닿는 면이 상기 걸림턱의 접촉면과 형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first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locking jaw, a surface contacting the locking jaw may be formed in conformity with a contact surface of the locking jaw.

한편, 상기 제1 탄성체는, 천연 또는 합성 엘라스토머 단일 소재로 이루어진 패드 형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elastic body may have a pad shape made of a single material of natural or synthetic elastomer.

더욱이, 상기 제1 탄성체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소재일 수 있다.Moreover, the first elastic body may be a silicone elastomer material.

한편, 상기 제2 탄성체는, 천연 또는 합성 엘라스토머 단일 소재로 이루지며, 상기 유동 로드의 상기 걸림턱은 통과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기둥부를 수용하기 위해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elastic body is made of a single material of natural or synthetic elastomer, and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o accommodate the pilla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locking jaw of the flow rod.

이때, 상기 제2 탄성체는,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측 및 상기 걸림턱과 각각 맞닿는 면의 형상이 이들의 접촉면과 형합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동 로드의 원활한 움직임을 허용하기 위하여, 맞닿는 두 면 중 적어도 1면은 외측 가장자리가 면취된 형상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elastic body, the shap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the contact surfaces of the locking jaws, respectively, are formed in conformity with their contact surfaces, in order to allow smooth movement of the flow rod, at least one of the two contact surfaces. One side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outer edge is chamfered.

또한, 상기 제2 탄성체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소재일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elastic body may be a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material.

한편, 상기 유동 로드의 상기 기둥부에는 상기 유동 로드의 신축 유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마커가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marker capable of confirming the elastic flow state of the flow rod may be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of the flow ro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의 또 다른 형태는, 전체적으로 바 형태로 형성된 기둥부의 양 단부 모두에 상기 안착부 또는 상기 걸림턱을 구비한 멀티 로드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연결 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적어도 두 위치 이상에서 절곡/신축을 허용하며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척추체를 동시에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other form of the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t least two multi rods having the seating portion or the locking jaw at both ends of a pillar portion formed as a whole. By providing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housing, it can be configured to allow bending/extension in at least two positions and to simultaneously fix at least three or more vertebral bodies.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는 다음의 효과를 가진다.The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척추 유합술이 적용된 관절의 운동성을 확보하여, 관절의 자유도를 일정 범위에서 허용함과 동시에 수술 부위 인접 관절에 응력이 집중되어 장기간 경과 후 척추 손상이 인접 부위로 확대되는 위험을 크게 감소시킨다.First, by securing the mobility of the joint to which the vertebral union is applied, the degree of freedom of joints is allowed within a certain range, and the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joints adjacent to the surgical site, greatly reducing the risk of vertebral damage spreading to the adjacent areas after a long period of time.

둘째, 척추 유합술이 적용된 관절의 운동성을 확보하면서도, 장기간 사용에도 제품 파손의 우려가 극히 낮은 견고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Second, while securing the mobility of the joint to which the spinal fusion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turdy structure with a very low risk of product damage even during long-term use.

셋째, 척추 유합술이 적용된 관절의 운동성을 확보하면서도, 장기간 사용에도 원래의 기능이 지속될 수 있는 반 영구적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ir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mi-permanent product that ensures the mobility of the joint to which the spinal fusion is applied, while maintaining its original function even for long-term use.

넷째, 부품 및 조립 공수가 최소화되어 제조 용이성이 높다.Fourth, the ease of manufacturing is high because the number of parts and assembly is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의 전체적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요성 로드의 단면도,
도 3 (a) 및 (b)는 도 1의 가요성 로드의 연결 하우징의 형상을 각각 위쪽 및 아래쪽에서 바라본 관점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 (a) 및 (b)는 각각 도 1의 가요성 로드의 제1 탄성체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5 (a) 및 (b)는 각각 도 1의 가요성 로드의 제2 탄성체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도 1의 가요성 로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1의 가요성 로드가 척추 유합술에 따라 척추뼈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의 전체적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가요성 로드가 척추 유합술에 따라 척추뼈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a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exible rod of FIG. 1,
3 (a) and (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hapes of the connection housings of the flexible rod of FIG. 1, as viewed from above and below, respectively.
4 (a) and (b) are perspective and side views, respectively, of the first elastic body of the flexible rod of FIG. 1,
5 (a) and (b)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of the second elastic body of the flexible rod of FIG. 1,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lexible rod of Figure 1,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rod of FIG. 1 is applied to the vertebrae according to spinal fus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a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rod of FIG. 8 is applied to the vertebrae according to spinal fusion.

이하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의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addition,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And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의 전체적 형상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바 형태의 기둥부(100) 및 안착부(11)를 구비한 기본 로드(10), 기둥부(100)를 구비한 유동 로드(20), 상기 기본 로드(10)와 유동 로드(20)를 상대적으로 움직임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 하우징(30)이 도시된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a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rod 10 having a bar-shaped pillar portion 100 and a seating portion 11, A flow rod 20 having a pillar portion 100 and a connecting housing 30 for connecting the basic rod 10 and the flow rod 20 in a relatively movable state are shown.

유동 로드(20)는 일 단부에 걸림턱(21)을 구비하나, 이는 연결 하우징(30)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 요소로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으며, 유동 로드(20)가 기본 로드(10) 및 연결 하우징(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신축됨에 따라 그 신축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마커(22)가 표면에 결합된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마커(22)는 레이저 식각 등의 방식으로 유동 로드(20) 기둥부(100)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flow rod 20 has a locking jaw 21 at one end, which is a component accommodated inside the connection housing 30 and is not shown in FIG. 1, and the flow rod 20 is a basic rod 10 And a marker 22 capable of confirming the degre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as it is relatively stretched relative to the connection housing 30, and confirms the structure coupled to the surface. The marker 22 may be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pillar portion 100 of the flow rod 20 by a method such as laser etching.

도 2는 도 1의 가요성 로드의 단면도로서, 특히 연결 하우징(30) 내부의 구조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exible rod of FIG. 1, in particular, the structure inside the connection housing 30 can be clearly see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로드(20)는 연결 하우징(30) 내측에 위치하는 기둥부(100)의 일단부에 원반 형태의 걸림턱(2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단독으로 또는 후술할 제2 탄성체(50)와의 조합에 의해 연결 하우징(30)의 도면상 상부에 형성된 걸림공(35)에 걸림으로써, 유동 로드(20)가 연결 하우징(3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ure 2, the flow rod 20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jaw 21 in the form of a disc at one end of the pillar portion 100 located inside the connection housing 30, which may be used alone or later. By engaging with the engaging hole 35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of the connecting housing 30 by the combination with the second elastic body 50 to be played, it serves to prevent the flow rod 20 from separating from the connecting housing 30 do.

즉, 연결 하우징(30)은, 연결 하우징(30)만의 형상을 각각 위쪽 및 아래쪽에서 바라본 도 3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상부에는 상기 유동 로드(20)의 기둥부(100)가 연결 하우징(30)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일정 범위의 움직은 허용할 수 있되, 상기 걸림턱(21)이 이탈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는 걸림공(35)을 구비한다.That is, the connection housing 30, as shown in Fig. 3 (a) and (b) as viewed from above and below, respectively, only the shape of the connection housing 30, the upper portion of the drawing column of the flow rod 20 While the part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housing 30, it is possible to allow a certain range of movement, and the locking jaw 21 is provided with a locking hole 35 to prevent it from coming off.

한편, 도 3 (b)에 보다 명확히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면상 하부의 가장자리는 기본 로드(10)의 안착부(11)와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more clearly shown in Figure 3 (b), the lower edge in the drawing is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seating portion 11 of the basic rod 10.

이러한 연결 하우징(30)과 안착부(11)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견고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위하여, 연결 하우징(30) 내 모든 부품이 조립되고 연결 하우징(30)이 안착부(11)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연결부 전체에 걸쳐 레이저 용접 등 분리 불가능한 영구적 결합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mbination of the connection housing 30 and the seating portion 11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ut for a robust and stable structure, all parts in the connection housing 30 are assembled and the connection housing 30 is seated ( It is preferable to apply a non-separable permanent bonding method, such as laser welding, across the connection in the state of being combined with 11).

이하, 연결 하우징(30) 내의 각 부품 간의 조립 단계 및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ssembly steps and structures between the parts in the connection housing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로드(10)의 안착부(11)와 위쪽 걸림턱(21)과의 사이에는 제1 탄성체가 면 접촉하는 패드와 같은 형태로 배치된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first elastic body is disposed in the form of a pa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between the seat 11 of the basic rod 10 and the upper locking jaw 21.

상기 제1 탄성체는, 천연 또는 합성 엘라스토머 단일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elastic body is preferably made of a natural or synthetic elastomeric single material, and more preferably a silicone elastomer material.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일반 유기고무보다도 월등한 인장강도, 신축율 및 내마모성을 가지고, 다른 유기고무와는 달리 분자구조 내 대기중의 산소, 오존, 자외선등과 반응하여 균을 방생하게 하는 이중결합이 없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해도 물성 변화가 거의 없는 내후성이 강한 소재이다.Silicone elastomers have superior tensile strength, elasticity and abrasion resistance than general organic rubbers, and unlike other organic rubbers, they do not have double bonds that react with oxygen, ozone, and ultraviolet rays in the atmosphere in the molecular structure to release bacteria. It is a weather-resistant material with little change in properties even after long-term use.

더욱이, 일반 유기계 고무의 압축 영구 줄음율은 온도변화에 따라 현저하게 증대되는데 반해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100℃ ∼ 250℃까지의 넓은 온도범위에서 탄성 및 복원력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극심한 조건하에서 압축변형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Moreover, while the compression permanent shrinkage of general organic rubbers increases significantly with temperature changes, silicone elastomers have almost constant elasticity and resilience in a wide temperature range from -100℃ to 250℃, so compression deformation under extreme conditions Excellent performance even when required.

또한, 내약품성이 뛰어난 산, 알칼리 등의 극성 유기화합물에 의해서도 거의 침해를 받지 않고, 또한 장시간 수분 환경에 있어도 물성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In addition, it is hardly affected by polar organic compounds such as acids and alkalis, which are excellent in chemical resistance, and physical properties do not change even in a long-term moisture environment.

후술할 제2 탄성체(50)가 없는 상태에서 제1 탄성체(40)만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1 탄성체(40)의 두께는 걸림턱(21)의 두께를 제외하고 연결 하우징(30)의 내부 공간을 가득 채울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가요성 로드의 전체적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바람직하다.When only the first elastic body 40 is used alone without the second elastic body 50 to be described later,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astic body 40 is the connecting housing 30 except for the thickness of the locking jaw 21 It is desirable to have a thickness sufficient to fill the interior space of the to maintain the overall shape of the flexible rod.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1)의 제1 탄성체(40)와 접촉하는 면은 오목한 구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탄성체(40)의 해당 맞닿는 면 역시 이에 형합적인 볼록한 구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2 and 4, the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1 in contact with the first elastic body 40 may have a concave spherical shape, the corresponding abutting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body 40 Again, it can have a convex spherical shape that is suitable for this.

이는, 유동 로드(20)의 걸림턱(21)이 제1 탄성체를 압박하는 상태에서도 곡률 접촉면에서의 슬라이딩이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동 로드(20)와 기본 로드(20)의 상대적 절곡 움직임이 보다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is makes it easier to slide on the curvature contact surface even when the locking jaw 21 of the flow rod 20 presses the first elastic body, thereby making the relative bending movement of the flow rod 20 and the base rod 20 more visible. This i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performed smoothly.

이러한 구면은 동일 반경 곡률의 진구 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불연속단락이 발생하지 않는, 즉, 반경 값의 변화가 미분 연속성을 가지는 곡률의 오목 또는 볼록 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안착부(11)가 가지는 곡면의 형상과 제1 탄성체(40)의 맞닿는 면이 가지는 곡면의 형상이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안착부(11)가 오목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여기에 맞닿는 제1 탄성체(40)의 볼록 곡면의 곡률 반경은 안착부(11)의 오목 곡면보다 적게 됨으로써, 접촉면 전 영역에 걸쳐 일정 정도 이격 구간을 구비하는 것이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이때에도, 면 접촉 지지력의 유지를 위해서, 대응되는 위치의 곡률 반경의 차이가 10%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herical surface may be formed of a spherical spherical surface having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but discontinuous short circuit does not occur, that is, a change in the radius value may be formed in a concave or convex surface shape of curvature having differential continuity, wherein the seating portion ( 11) the shape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body 40 and the shape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body 40 do not have to completely coincide, for example, when the seating portion 11 is formed in a concave curved shape, the agent contacting here 1 Since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nvex curved surface of the elastic body 40 is less than that of the concave curved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1,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provide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entire contact surface for a smooth sliding. However, even at this time, in order to maintain the surface contact supporting forc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erence i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does not exceed 10%.

한편, 안착부(11)와 제1 탄성체(40)의 접촉면이 원활한 절곡 동작의 허용을 위해 슬라이딩 가능한 구면 접촉을 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제1 탄성체(40)와 걸림턱(21)의 접촉면은 상호 형합적이 되어 걸림턱(21)에 압력이 가해져 동작이 이루어져야 할 경우 걸림턱(21)과 제1 탄성체(40)는 밀착하여 일체화된 형태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1 and the first elastic body 40 is configured to make a slidable spherical contact for allowing a smooth bending operati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body 40 and the locking jaw 21 is mutually It is preferable for the stable operation that the locking jaw 21 and the first elastic body 40 are in close contact and move in an integrated form when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locking jaw 21 and the operation is to be performed.

즉,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21)의 접촉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에 대응되는 제1 탄성체(40)의 맞닿는 면도 평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shown in FIGS. 2 and 4, when the contact surface of the locking jaw 21 is made of a flat surfac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having plane area of the first elastic body 40 corresponding thereto.

한편, 도 2 및 제2 탄성체의 사시도, 단면도인 도 5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로드(20)의 걸림턱(21)과 연결 하우징(30)의 내측면 사이에는 링 형상의 제2 탄성체(50)가 개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2 and 2 is a perspective view,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5 (a), (b), between the locking rod 21 of the flow rod 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housing 30 A ring-shaped second elastic body 50 may be interposed.

제2 탄성체(50)는 유동 로드(20) 기둥부(100)의 연결 하우징(30) 외부로의 노출을 허용하기 위해 가운데에 구멍이 뚫린 링 형상을 가지며, 걸림턱(21)과 연결 하우징(30)의 내측면이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한다. 즉, 걸림턱(21)과 연결 하우징(30)의 내측면 사이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한다.The second elastic body 50 has a ring shape with a hole punched in the middle to allow exposure of the flow rod 20 columnar part 100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housing 30, and the locking jaw 21 and the connection housing ( 30) prevents the inner surface from directly contacting. That i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locking jaw 2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housing 30.

이 경우, 제1 탄성체(40), 걸림턱(21) 및 제2 탄성체(50)가 이루는 전체 두께가 연결 하우징(30)의 내부 길이 방향을 가득 채울 수 있도록 각각의 두께가 설정되며, 제1 탄성체(40)와 제2 탄성체(50)의 탄성 복원력이 유동 로드(20)의 걸림턱(21) 및 이로부터 연장된 기둥부(100)의 도면상 하단부를 경유하여 유동 로드(20) 전체에 작용한다.In this case, each thickness is set so that the entire thickness formed by the first elastic body 40, the locking jaw 21, and the second elastic body 50 fills the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housing 30,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4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50 is applied to the entire flow rod 20 via the lower end in the drawing of the locking jaw 21 of the flow rod 20 and the pillar portion 100 extending therefrom. Works.

이를 위해 제2 탄성체(50)는 천연 또는 합성 엘라스토머 단일 소재로 이루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소재일 수 있다.To this end, the second elastic body 50 is made of a single material of natural or synthetic elastomer, and more preferably, may be a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material.

제2 탄성체(50)는 유동 로드(20)의 기둥부(100)와 직접 접촉이 발생하는 부분으로서, 제1 탄성체(40)에 비해 보다 복잡한 구조에서 다방향에서 면 접촉이 발생하고, 매트 형상에 비해 손상 위험성이 높은 링 형상이기 때문에 더 높은 내마모성 및 강도가 요구된다.The second elastic body 50 is a portion in which direct contact with the columnar portion 100 of the flow rod 20 occurs, and in a more complicated structure than the first elastic body 40, surface contact occurs in multiple directions, and the mat shape Compared to the ring shape, which has a higher risk of damage, higher wear resistance and strength are required.

즉,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스틸에 비해 최고 10배, 고무에 비해 최대 5배에 이를 정도로 높은 마찰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고, 인장강도(300~600 kg/cm2) 및 인열강도가 우수하다.That is, the polyurethane elastomer has a high friction abrasion resistance such as up to 10 times higher than steel and up to 5 times higher than rubber, and has excellent tensile strength (300-600 kg/cm2) and tear strength.

또한, 고무상 탄성 고분자로서, 탁월한 탄성(650%)을 가지고 있으며 내약품성, 내오존성, 내화학성, 내유성이 좋다.In addition, as a rubber-like elastic polymer, it has excellent elasticity (650%) and has good chemical resistance, ozone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oil resistance.

더욱이, 금속과 접착력 우수하여, 통상 티타늄 등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타 부품과 잘 어울리며, 무독성 친환경 소재로서 인체에 해가 없는 소재이다.Moreover, it has excellent adhesion to metals, and goes well with other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ually made of titanium, etc., and is a non-toxic eco-friendly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더욱이, 폴리카보네이트 기반 폴레우레탄(PCU)의 경우, 인체 내에서 조직 부작용이 없는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소재로 입증된 바 있으므로, 폴리카보네이트 폴레우레탄을 본 발명에 따른 제2 탄성체(50)의 소재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e case of polycarbonate-based polyurethane (PCU), since it has been proven as a material having excellent biocompatibility without tissue side effects in the human body, polycarbonate polyurethane is applied as the material of the second elastic body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able to do.

구조적인 측면에서, 상기 제2 탄성체는 도 5 (b)의 단면도를 통해 명확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촉면의 상호 형상 불일치로 인해 움직임에 대해 불균일한 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호 맞닿는 면이 형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ructural aspect, the second elastic body, as clearly shown through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5 (b), in order to prevent the non-uniform motion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due to the mutual shape mismatch of the contact surface, the mutual contact surface It is preferable to make it conformally.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하우징(30) 내측면의 접촉 부위와 걸림턱(21)의 접촉 부위가 평면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2 탄성체(50)의 맞닿는 면도 평면 영역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shown, when the contact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using 30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locking jaw 21 are made of a flat surfac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having plane area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astic body 50.

이때에도, 상기 유동 로드의 원활한 움직임을 일정 정도 허용하기 위하여, 맞닿는 두 면 중 적어도 1면, 즉, 예시된 도면에서는 걸림턱(21)의 접촉면과 맞닿는 면의 외측 가장자리가 면취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allow a smooth movement of the flow rod to a certain degree, at least one of two abutting surfaces, that is, in the illustrated drawing, the outer edge of the abutting surface of the engaging jaw 21 has a chamfered shape. Can be configured.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로드(10)와 유동 로드(20)의 상대적인 절곡 동작이나,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로드(10)와 유동 로드(20)의 상대적인 신축 동작이 가능해지며, 도 7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인접한 두 척추뼈를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페티클 스크류(20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로드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척추 관절의 회전이나 굽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움직임을 안전한 범위 내에서 일정 정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6 (a), the relative bending operation of the basic rod 10 and the flow rod 20, or as shown in Figure 6 (b), the basic rod 10 and the flow Relative stretching motion of the rod 20 becomes possible, and the spine even when the flexibl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hrough the ticicle screw 200 to mutually fix two adjacent vertebrae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7 It is possible to allow a certain amount of movement within a safe range, which may occur due to rotation or bending of the joint.

즉,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로드 가요성에 의해 척추 유합술 이후에도 환자의 허리 움직임을 일정 정도 허용함으로써 활동 자유도 확보와 인접 척추 관절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분산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by allowing the patient's back movement to a certain degree even after spinal fusion due to the flexible rod flex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have an effect of dispersing the concentration of stress in the adjacent vertebral joint and securing freedom of moveme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의 구성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로드는, 기둥부(100)의 양 단부 모두에 걸림턱(21)이 형성된 멀티 로드(6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flexible r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ulti-rod 60 having locking jaws 21 formed at both ends of the pillar portion 100. Can be.

양 단부에 걸림턱(21)이 형성된 멀티 로드(60)를 구성요소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멀티로드의 양 단부가 일 단부에 안착부(11)가 형성된 두 개의 기본 로드(10)와 두 개의 연결 하우징(30)을 경유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두 위치 이상에서 절곡/신축을 허용하며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척추체를 동시에 상호 고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By including a multi-rod 60 having a locking jaw 21 formed at both ends as a component, two ends of the multi-rod are connected to two basic rods 10 formed with seating portions 11 at one end and two. It can be connected via the housing 30, which means that it allows bending/extension in at least two positions and can provide a function to simultaneously fix at least three or more vertebral bodies.

실시예에서는 양 단부 모두에 동일하게 걸림턱(21)이 형성된 멀티 로드(60)를 예시하였으나, 양 단부에 걸림턱(21)이나 안착부(11)를 형성시키는 것은 단순한 선택적 문제일 뿐으로, '걸림턱-걸림턱', '걸림턱-안착부', '안착부-안착부'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된 다중 절곡/신축부 가요성 로드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In the embodiment, the multi-rod 60 having the same locking jaws 21 formed at both ends is illustrated, but forming the locking jaws 21 or the seating portions 11 at both ends is only a simple selective problem, ' Needless to say, a multi-folding/extension flexible rod designed in various ways, such as a locking jaw-hanging jaw, a “hanging jaw-seating part”, and a “seating part-seating part” can be provided.

이러한 다중 절곡/신축부 가요성 로드의 경우 최소 세 개 이상의 척추뼈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게 제공되는데, 도 8의 가요성 로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 9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듯이, 도면상 하부의 기본 로드(10)의 기둥부(100)를 길게 형성하는 경우, 본 실시예의 가요성 로드를 이용하여 위 세 개의 척추뼈는 상호 관절 운동이 허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고, 아래쪽 두 척추뼈는 상호 움직임이 허용되지 않는 방식으로 총 네 개의 척추뼈가 고정된 형태로 척추 유합술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case of such a flexible bending/stretching rod, at least three or more vertebrae are provided to be fixed at the same time. As can be seen through FIG. 9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rod of FIG. 8 is mounted, the lower portion of the drawing is shown. When forming the pillar portion 100 of the basic rod 10 of the long, the upper three vertebrae are fixed in such a way that mutual joint motion is allowed using the flexible rod of this embodiment, and the lower two vertebrae are mutually A total of four vertebrae are fixed in a manner in which movement is not permitted, and vertebra fusion may be performed.

실제로, 척추 관절의 경우, 흉추 쪽에 가까워지거나 꼬리뼈라고도 하는 미저골에 가까워질수록 요추 중앙 관절(대체로 3~6번 요추와 연관된 관절)에 비해 관절 운동의 범위가 적기 때문에, 이들에 가까운 일부 관절은 통상적인 완전 고정 유합술이 적용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로드를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fact, in the case of the vertebral joint, the closer to the thoracic vertebrae or the coccyx, also called the tailbone, the less the range of joint movement is compared to the central lumbar joint (typically the joints associated with lumbar 3-6), so some joints close to them are comm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flexible r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so that phosphorus full fixation fusion can be appli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y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range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기본 로드
11: 안착부
20: 유동 로드
21: 걸림턱
22: 마커
30: 연결 하우징
35: 걸림공
40: 제1 탄성체
50: 제2 탄성체
60: 멀티 로드
100: 기둥부
200: 페디클 스크류
10: default load
11: Seating
20: floating rod
21: Hanging jaw
22: marker
30: connection housing
35: Hang hole
40: first elastic body
50: second elastic body
60: multi load
100: pillar
200: pedicle screw

Claims (11)

척추 유합술에 사용되는 지지 로드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바 형태로 형성되어 기둥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둥부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안착부를 구비한 기본 로드;
전체적으로 바 형태로 형성되어 기둥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둥부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걸림턱을 구비한 유동 로드;
상기 안착부에 가장자리가 연결되는 구조로 상기 기본 로드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유동 로드의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며 상기 걸림턱 외의 상기 기둥부의 대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기본 로드에 대한 상기 유동 로드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허용하는 한편 이탈은 방지할 수 있는 크기의 관통공 형태 걸림공과 내부 공간이 형성된 연결 하우징; 및
상기 기본 로드와 상기 유동 로드가 상기 연결 하우징을 경유하여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 하우징 내에서 상기 기본 로드의 안착부와 상기 걸림턱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 복원력을 구비한 제1 탄성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
In the support rod used in spinal fusion,
It is formed in a bar shape as a whole having a pillar portion, a basic rod having a seating portion on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pillar portion;
A flow rod formed in a bar shape as a whole, having a pillar portion, and having a locking jaw at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pillar portion;
It is fixed to the basic rod in a structure in which an edge is connected to the seating portion, accommodates the locking jaw of the flow rod therein, and most of the pillar portions other than the locking jaw are exposed to the outside to move the flow rod to the basic rod. A connection housing formed with a through hole in the form of a size to prevent relative movement while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and an inner space; And
A first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a seating portion of the basic rod and the locking jaw in the connection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basic rod and the flow rod are connected via the connection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로드와 상기 유동 로드가 상기 연결 하우징을 경유하여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걸림턱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 복원력을 구비한 제2 탄성체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ate in which the basic rod and the flow rod are connected via the connection housing,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the locking jaw and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동일하거나 미분 연속성을 유지한 채 변화하는 반경 값의 곡률 구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안착부와 상기 유동 로드의 상기 걸림턱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안착부와 맞닿는 면의 형상이 상기 안착부의 구면 형상과 동일하거나 10% 이내 차이의 반경 값을 가지는 형합적인 곡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ating portion has a spherical shape having a curvature of a radius value varying while maintaining the same or differential continuity, and the first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locking jaw of the flow rod has a surface contacting the seating portion. A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is the same as the spherical shape of the seating portion or has a suitable curvature having a radius value of a difference within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걸림턱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걸림턱과 맞닿는 면이 상기 걸림턱의 접촉면과 형합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engaging jaw,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surface of the engaging jaw is formed in conformity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engaging jaw,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체는, 천연 또는 합성 엘라스토머 단일 소재로 이루어진 패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astic body, a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ad shape made of a single material of natural or synthetic elastom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체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elastic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silicone elastomer material,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는, 천연 또는 합성 엘라스토머 단일 소재로 이루지며, 상기 유동 로드의 상기 걸림턱은 통과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기둥부를 수용하기 위해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elastic body is made of a single material of natural or synthetic elastom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ring shape to accommodate the pillar portion without passing through the locking jaw of the flow r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는,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측 및 상기 걸림턱과 각각 맞닿는 면의 형상이 이들의 접촉면과 형합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동 로드의 원활한 움직임을 허용하기 위하여, 맞닿는 두 면 중 적어도 1면은 외측 가장자리가 면취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elastic body, the shap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the contact surface of each of the engaging jaws are formed in conformity with their contact surfaces, to allow smooth movement of the flow ro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wo contact surfaces A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edge has a chamfered shape.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
The method of claim 7 or 8,
The second elastic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material,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로드의 상기 기둥부에는 상기 유동 로드의 신축 유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마커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5 to 8,
A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illar portion of the flow rod is coupled with a marker capable of confirming the elastic flow state of the flow ro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바 형태로 형성된 기둥부의 양 단부 모두에 상기 안착부 또는 상기 걸림턱을 구비한 멀티 로드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연결 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적어도 두 위치 이상에서 절곡/신축을 허용하며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척추체를 동시에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multi rod having the seating portion or the locking jaw at both ends of the pillar portion formed as a whole, thereby allowing bending/extension in at least two positions or more. And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fixed to at least three or more vertebral bodies at the same time.
KR1020180154466A 2018-12-04 2018-12-04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surgery KR202000675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466A KR20200067517A (en) 2018-12-04 2018-12-04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surg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466A KR20200067517A (en) 2018-12-04 2018-12-04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surg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517A true KR20200067517A (en) 2020-06-12

Family

ID=7108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466A KR20200067517A (en) 2018-12-04 2018-12-04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surg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751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780B1 (en) 2009-04-22 2012-11-05 유은희 Rod for supporting spine including ball joint par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780B1 (en) 2009-04-22 2012-11-05 유은희 Rod for supporting spine including ball joint par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osterior dynamic stabilization of the lumbar spine: pediclebased stabilization with the AccuFlex rod system" Neurosurg. Focus / Volume 22 / January, 2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1664B2 (en) Spine rod system and method of use
US7985244B2 (en) Posterior dynamic stabilizer devices
US8114132B2 (en) Dynamic interspinous process device
US7927356B2 (en) Dynamic constructs for spinal stabilization
US7144426B2 (en) Intervertebral spacer device having a slotted domed arch strip spring
US20060212033A1 (en) Vertebral stabilization using flexible rods
EP1933773B1 (en) Apparatus for the neurosurgical-orthopedic treatment of human spinal column pathologies
US201001609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dicle screw-based spine stabilization using flexible bands
US20100114165A1 (en) Posterior dynamic stabilization system with pivoting collars
US20080154312A1 (en) Active settling plate with elastomeric members and method of use
JP20075136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function of a facet joint
US20070233255A1 (en) Intervertebral disc replacement prosthesis
WO2006135511A1 (en) Posterior stabilization devices
WO2010053785A1 (en) Inter spinous process spacer with compressible core providing dynamic stabilization
JP2012519031A (en) Spine rod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130097206A (en) Compliant implant
US20110040331A1 (en) Posterior stabilizer
US20070162004A1 (en) Device for the lateral stabilization of the spine
KR20200067517A (en) Flexible rod for spinal fusion surgery
WO2009060426A1 (en) Posterior-medial facet support assembly
CN211156493U (en) Spinal fusion prosthesis
KR101397441B1 (en) Implant for stabilizing spinous process
KR101078666B1 (en) Artificial structure for supporting spine
KR101196780B1 (en) Rod for supporting spine including ball joint part
KR101003166B1 (en) Inter laminal spa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