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995A - 조정가능한 구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정가능한 구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995A
KR20200066995A KR1020180153808A KR20180153808A KR20200066995A KR 20200066995 A KR20200066995 A KR 20200066995A KR 1020180153808 A KR1020180153808 A KR 1020180153808A KR 20180153808 A KR20180153808 A KR 20180153808A KR 20200066995 A KR20200066995 A KR 20200066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seat belt
strap
restraint system
kn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4612B1 (ko
Inventor
와이. 킴 훈
Original Assignee
와이. 킴 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 킴 훈 filed Critical 와이. 킴 훈
Priority to KR1020180153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612B1/ko
Publication of KR2020006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60R22/024Adaptations for use by small passengers, e.g.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5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변화하는 치수에 합치되고 다양한 착용자에게 맞도록 조정될 수 있는 복수의 스트랩을 포함하는, 시트 벨트 시스템을 갖는 차량에서 사용하기 위한 구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속 시스템은 상이한 종류의 시트 벨트를 구속 시스템에 마련된 상이한 위치에 부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의 속박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속 시스템은 그 착용자를 다양한 상이한 차량의 다양한 상이한 시트 벨트 시스템에 속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정가능한 구속 시스템{ADJUSTABLE RESTRAINT SYSTEM}
자동차 충돌은 미국에서 사망 및 부상의 주요 원인이다. 충돌 관련 사망을 방지하고 충돌 관련 부상을 완화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는 몇몇 유형의 안전 장비에도 불구하고, 2015년 미국 도로에서는 차량 충돌로 35,000 명 초과의 사람이 사망하였으며, 동일한 기간 동안 추가 2백 40만명의 사람이 교통 충돌 관련 부상을 당했다.
자동차 탑승자의 안전은 일반적으로 시트 벨트의 사용에 의존한다. 시트 벨트는 착용자가 충돌 차량의 내부에서 던져지는 것을 방지한다. 시트 벨트는 또한 시트 벨트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다르게 지향되는 힘의 일부를 흡수한다. 그러나, 시트 벨트는 차량 탑승자가 항상 사용하지는 않다. 많은 충돌 관련 사망과 부상은 특히 어린이 중에서 시트 벨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
그러나 충실하게 사용하더라도, 시트 벨트는 불완전한 보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시트 벨트는 신체의 더 넓은 영역에 걸쳐 충격의 힘을 분산시키지만, 시트 벨트가 신체와 접촉하는 위치에서는 사고 관련 부상을 일으킬 수 있다.
시트 벨트가 착용자에게 맞지 않거나 부실하게 조정되는 경우, 시트 벨트의 효과가 감소한다. 어린이는 특히 부정확하게 맞춰진 시트 벨트에 의해 가해지는 위험에 노출된다. 또한, 표준 자동차에서 발견되는 시트 벨트는 일반적으로 성인 크기의 탑승자를 위해 설계된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 시트 벨트는 작은 탑승자에게 가장 적합한 구성으로 조정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대부분의 주에서는 이제 자동차 충돌시 작은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 특정 연령 또는 크기의 어린이가 어린이 구속 시스템에 배치되는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속 시스템에 가장 효과적인 설계에 대한 이견이 있으며 설문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는 종종 어린이 구속 시스템을 적절히 사용하지 않아서 자동차 충돌로 아동에게 더 많은 부상을 입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시트 벨트 및 어린이 구속 시스템의 실패의 근저에 있는 주요 문제는 착용자에게 제대로 맞지 않는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제대로 맞지 않는 어린이 구속 시스템은 어린이를 충돌 관련 부상으로부터 보호하는데 효과가 없을 수 있다. 충돌시에 힘을 분산시키고 각 착용자에게 최대의 보호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안락함을 위해 착용자에게 상체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이동성을 허용하는 구성으로 조정될 수 있는 구속 시스템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성장, 체중 증가 또는 체중 감소로 인한 사용자의 신장 또는 허리둘레의 변화를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는 구속 시스템이 필요하다. 모든 발달 단계의 어린이를 위해 동일한 구속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또한 상이한 양이나 층의 의류를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는 구속 시스템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겨울 방학 동안 어린이를 위해 동일한 구속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겨울철에 집을 비울 때 무겁고 부피가 큰 차가운 날씨의 의복을 착용하고 있는 어린이와 따뜻한 날씨의 목적지에서 더 가벼운 의복을 착용하고 있는 동일한 어린이를 위해 동일한 구속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착용자에게 사용하기 위해 소비자가 쉽게 조정할 수 있는 구속 시스템이 특히 필요하다. 예를 들어, 작은 여행객을 안전하게 수송하기 위해, 비행기, 기차 또는 택시와 같은 상업용 차량의 운전자는 다양한 크기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는 구속 시스템이 필요할 수 있다. 상업용 차량 운전자는 거의 모든 연령 또는 크기의 어린이를 위한 차량 안전 구속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조정가능한 구속 시스템을 소유하는 것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차량의 시트에 착용자를 속박시키기 위해 조정될 수 있는 구속 시스템이 필요하다. 많은 현대의 자동차와 같은 일부 차량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무릎 시트 벨트(lap seat belt)와 어깨 시트 벨트를 사용한다. 일부 구형 자동차와 같은 일부 차량은 무릎 시트 벨트와 테더 선(tether line)을 사용하며, 테더 선은 구속 시스템의 어깨부와 자동차에 부착된다. 많은 비행기와 같은 또 다른 차량은 무릎 시트 벨트만 사용하는 시트를 갖는다. 동일한 구속 시스템이 3개의 유형의 차량 모두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또한, 구속 시스템은 구속물의 후방을 고정하기 위한 추가 구조물, 예를 들어 구속 시스템의 후방 부분에 보충 벨트 또는 스트랩을 체결하고 그 벨트를 사용하여 차량의 시트 벨트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구속 시스템의 후방 부분을 시트에 속박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러한 구조물은 구속 시스템을 안전하게 하는 추가 방법을 제공하여 구속 시스템을 더욱 안전하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보충 구조물은 다른 시트 벨트 또는 다른 구속 구조물이 갑자기 오작동하거나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스쿨 버스, 기차 및 비행기와 같은 대량 운송수단과 관련된 다른 상업용 차량의 다양한 시트 벨트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구속 시스템이 필요하다.
차량의 시트 벨트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는 구속 시스템의 경우, 하나의 크기가 모두에 맞지는 않는다. 개별 착용자의 변화하는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조정가능한 구속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개별 착용자와 다양한 시트 벨트 시스템을 가진 다양한 차량에 사용할 수 있는 조정가능한 구속 시스템에 대한 다른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에 진입하기 전에 개인이 착용하고 그 개인이 착석하는 차량 시트에 속박되는 다수의 스트랩으로 이루어진 구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인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차량 시트 벨트를 구속 시스템에 속박시킴으로써 차량 시트에 속박된다.
동일한 구속 시스템이 1명 초과의 개인에게 사용될 수 있다. 구속 시스템은 다양한 사용자를 위해 조정될 수 있고, 다른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대여, 판매 또는 물려질 수 있으므로 단일 착용자를 넘어 그 유효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속 시스템은 여러 어린이를 일상적으로 수송하고, 다양한 알려지지 않은 장래의 여행자를 수용하기 위해 이러한 구속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개인 또는 그룹, 예를 들어 택시, 버스 또는 기타 수송 시스템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일부 개인은 여행하는 동안 안전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방문자 또는 고객을 수용하기 위해 이러한 구속 하네스를 원할 수 있다.
구속 시스템의 조정가능한 특징의 추가의 이점은 미사용 구속 시스템을 저장 및 수송의 용이성을 위해 콤팩트한 구성으로 배열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벨트 시스템을 갖는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구속 시스템으로서, 차량의 시트 벨트 시스템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스트랩을 포함하며, 복수의 스트랩은, a) 구속 시스템의 후방 부분에서 서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으로서, 각각의 어깨 스트랩은 차량의 어깨 시트 벨트를 어깨 스트랩에 부착하기 위한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를 갖고, 각각의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는 어깨 스트랩을 따라 활주가능한,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 b)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에 결합되는 허리 스트랩으로서, 허리 스트랩은 서로 부착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갖고, 부착된 단부는 허리 스트랩을 개인의 몸통에 속박하는, 허리 스트랩; 및 c)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에 각각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무릎 스트랩을 포함하는 무릎 커버로서, 각각의 무릎 스트랩은 다른 무릎 스트랩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각각의 무릎 스트랩은 개구부를 갖는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는 차량의 무릎 시트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무릎 커버를 포함하며; 스트랩들은, 개인이 차량의 내부에 착석하고 구속 시스템이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시트 벨트에 결합될 수 있을 때, 개인이 차량의 시트에 속박될 수 있고 개인이 차량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시트에 대해 속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개인에 의해 착용가능한 구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는, 허리 스트랩을 개인에게 속박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구는 허리 스트랩의 제1 단부에 부착되는 암형 잠금 부분을 포함하고, 암형 잠금 부분은 제1 체결 루프, 제2 체결 루프 및 제1 체결 루프와 제2 체결 루프를 정렬시키기 위한 클립을 포함하며, 정렬된 체결 루프는 수형 잠금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후방 속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방 속박 부재는 어깨 스트랩을 결합시키고 후방 속박 부재를 시트에 속박하기 위한 밴드를 수용하기 위한 통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a) 후방 커버에 연결되는 전방 커버; b) 후방 커버의 대향 코너 사이에서 비스듬히 연장되는 위치설정 스트랩; 및 c) 개구부를 가지며 차량의 어깨 시트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로서,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는 위치설정 스트랩에 활주식으로 결합되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각각의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방 커버는 어깨 시트 벨트를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의 채널에 결합시키기 위해 개방될 수 있고, 전방 커버는 어깨 시트 벨트를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 내에 속박하기 위해 폐쇄될 수 있으며, 어깨 스트랩은 후방 커버와 위치설정 스트랩 사이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형태는 어깨 시트 벨트와 정렬되도록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를 조정하기 위해 가변 위치를 갖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테더 선을 어깨 스트랩에 부착하기 위한 테더 속박 부재를 포함하는 각각의 어깨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테더 선을 어깨 스트랩을 통해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를 포함하는 어깨 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각각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에 연결되는 허리 스트랩의 제1 및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 벨트 시스템을 갖는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구속 시스템으로서, 1)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으로서, 각각의 어깨 스트랩은 a) 전방 부분, b) 후방 부분, 및 c) 어깨 스트랩의 전방 부분을 따라 활주 이동하도록 부착된 어깨 벨트 속박 부재를 갖는,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 2) 어깨 스트랩의 후방 부분을 서로 부착시키는 후방 속박 부재; 3) 어깨 스트랩의 전방 및 후방 부분에 결합되는 허리 스트랩으로서, 허리 스트랩은 제2 전방 섹션에 부착되는 제1 전방 섹션을 포함하고, 전방 섹션들은 허리 스트랩을 개인의 몸통에 속박하는, 허리 스트랩; 및 4) 무릎 스트랩을 허리 스트랩에 결합시키는 복수의 연결 스트랩에 의해 허리 스트랩의 전방 부분에 부착되는 복수의 무릎 스트랩으로서, 각각의 무릎 스트랩은 i) 차량의 무릎 시트 벨트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 및 ii) 무릎 시트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갖는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무릎 스트랩은 서로 겹쳐서 체결되는, 복수의 무릎 스트랩을 포함하며, 스트랩들은, 개인이 차량에 착석할 때 구속 시스템이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시트 벨트를 속박할 수 있고 차량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시트에 대해 개인을 속박할 수 있도록 개인에 의해 착용가능한, 구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는, 전방 및 후방 커버; 후방 커버의 대향 코너 사이에서 비스듬히 연장되고 대향 코너에 부착되는 위치설정 스트랩으로서, 어깨 스트랩은 위치설정 스트랩과 후방 스트랩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설정 스트랩; 및 개구부를 가지며 차량의 어깨 시트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로서,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는 위치설정 스트랩에 활주식으로 결합되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각각의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방 커버는 어깨 시트 벨트를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와 결합시키기 위해 개방될 수 있고, 전방 커버는 어깨 시트 벨트를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 내에 속박하기 위해 폐쇄될 수 있으며; 구속 시스템은, 개인이 차량에 착석할 때 구속 시스템이 차량의 무릎 시트 벨트 및 어깨 시트 벨트를 속박할 수 있고 차량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시트에 대해 개인을 속박할 수 있도록 개인에 의해 착용가능하다. 일부 실시형태는 어깨 시트 벨트를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의 채널 내에 정렬시키기 위해 가변 위치를 갖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후방 속박 부재를 시트의 후방 부분에 속박하기 위한 밴드를 수용하기 위한 통로를 포함하는 후방 속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속 시스템은, 개인이 차량에 착석할 때 구속 시스템이 차량의 무릎 시트 벨트를 속박할 수 있고, 밴드를 시트에 속박할 수 있으며, 차량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시트에 대해 개인을 속박할 수 있도록 개인에 의해 착용가능하다. 일부 실시형태는 후방 속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후방 속박 부재는 어깨 스트랩의 외측 에지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라인을 따라 어깨 스트랩을 결합시키며, 후방 속박 부재는 어깨 스트랩의 내측 에지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라인을 따라 어깨 스트랩을 결합시킨다.
일부 실시형태는, 테더 선을 어깨 스트랩에 부착하기 위한 테더 속박 부재를 포함하는 각각의 어깨 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속 시스템은, 개인이 차량에 착석할 때 구속 시스템이 차량의 무릎 시트 벨트를 속박할 수 있고, 테더 선을 시트에 속박할 수 있으며, 차량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시트에 대해 개인을 속박할 수 있도록 개인에 의해 착용가능하다.
일부 실시형태는 서로 교차하는 어깨 스트랩을 결합시키는 후방 속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 벨트 시스템을 갖는 시트에서 사용하기 위한 구속 시스템으로서, a)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으로서, 각각의 어깨 스트랩은 전방 부분, 후방 부분, 및 어깨 스트랩의 전방 부분을 따라 활주 이동하도록 부착되는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를 갖고, 어깨 스트랩의 후방 부분은 서로 교차하고,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는 어깨 시트 벨트를 구속 시스템에 속박하는,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 b) 어깨 스트랩의 후방 부분을 서로 부착시키는 후방 속박 부재로서, 후방 속박 부재는 통로를 포함하고, 후방 속박 부재는 보충 벨트를 구속 시스템에 속박시키는, 후방 속박 부재; - c) 각각의 어깨 스트랩은 전방 및 후방 부분 사이에 위치되는 테더 속박 부재를 갖고, 테더 속박 부재는 테더 선을 구속 시스템에 속박함 -; d) 어깨 스트랩의 전방 및 후방 부분에 결합되는 허리 스트랩으로서, 허리 스트랩의 제1 전방 섹션은 허리 스트랩의 제2 전방 섹션에 부착되고, 허리 스트랩은 구속 시스템을 개인에게 속박시키는, 허리 스트랩; 및 e) 허리 스트랩의 제1 및 제2 전방 섹션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무릎 스트랩을 포함하는 무릎 커버로서, 각각의 무릎 스트랩은 다른 무릎 스트랩에 제거가능하게 부착가능하고 각각의 무릎 스트랩은 개구부를 갖는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는 무릎 시트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고, 무릎 커버는 무릎 시트 벨트를 구속 시스템에 속박하는, 무릎 커버를 포함하며; 스트랩들은, 개인이 시트에 착석할 때 구속 시스템이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시트 벨트를 속박할 수 있고 시트에 대해 개인을 속박할 수 있도록 개인에 의해 착용가능한, 구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는 허리 스트랩을 개인에게 속박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구는 허리 스트랩의 제1 단부에 부착되는 암형 잠금 부분을 포함하고, 암형 잠금 부분은 제1 체결 루프, 제2 체결 루프, 및 제1 체결 루프와 제2 체결 루프를 정렬시키는 클립을 포함하며, 정렬된 체결 루프들은 수형 잠금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서로 연결된 전방 커버 및 후방 커버; 후방 커버의 대향 코너 사이에서 비스듬히 연장되고 대향 코너에 부착되는 위치설정 스트랩으로서, 어깨 스트랩은 위치설정 스트랩과 후방 스트랩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설정 스트랩; 및 개구부를 가지며 차량의 어깨 시트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로서,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는 위치설정 스트랩에 활주식으로 결합되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각각의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방 커버는 위치설정 스트랩 및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노출시키도록 개방될 수 있고, 전방 커버는 위치설정 스트랩 및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은폐하도록 폐쇄될 수 있으며, 어깨 스트랩은 후방 커버와 위치설정 스트랩 사이를 통과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어깨 시트 벨트와 정렬되도록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를 조정하기 위해 가변 위치를 갖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테더 선을 어깨 스트랩을 통해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를 포함하는 각각의 어깨 스트랩의 후방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상세한 설명은 하기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제공되며 첨부 도면에 도시된다.
도 1a 내지 도 1b는 개방 형태의 제1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 및 폐쇄 형태의 제2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를 갖는 구속 시스템의 실시형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구속 시스템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개방 형태의 커버를 구비한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3b는 폐쇄 형태의 커버를 구비한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를 도시하며, 도 3c는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체결구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4b는 체결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개인을 속박하기 위해 무릎 시트 벨트, 어깨 시트 벨트 및 테더 선을 사용하는 구속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6은 개인을 속박하기 위한 무릎 시트 벨트 및 어깨 시트 벨트를 사용하는 구속 시스템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7은 개인을 속박시키기 위해 무릎 시트 벨트 및 밴드를 사용하는 구속 시스템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또는 다른 차량의 시트 벨트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차 또는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구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속 시스템은 의류 위에 착용될 수 있는 복수의 스트랩과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속 시스템 또는 하네스는, 탑승자가 구속 시스템을 착용할 때 탑승자가 차량의 시트 벨트에 속박되어 차량의 충돌 또는 다른 갑작스러운 예상치 못한 움직임의 경우에 승객이 차량의 시트에 대해 속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차량의 탑승자에 의해 착용될 수 있다. 특히, 구속 시스템 다양한 개별 착용자의 신체에 합치하도록 그리고 다양한 치수 및 다양한 시트 벨트 구성을 갖는 차량에 합치하도록 소비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구속 시스템 스트랩은 시트 벨트 스트랩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하네스가 제공하는 구속과 함께 자동차 충돌 또는 탑승자가 있는 차량의 다른 격렬한 이동시의 안전 및 에너지 흡수를 제공하는 에너지 흡수 패드 및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되는 재료는 가볍고 내구성이 있으며, 원하는 형상과 크기로 만들고 생산하기에 저렴하다.
이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속 시스템(10)의 실시형태가 도시된다. 구속 시스템(10)은 다수의 스트랩(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트랩(22)에 부착되는 버클 같은 체결구(24)를 구비할 수 있다. 구속 시스템(10)은 차량의 시트 벨트 중 하나 이상을 구속 시스템(10)에 속박함으로써 차량 시트의 시트(1003)에 부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속 시스템은 착용시 어깨 위에 배치되는 어깨 스트램(26), 착용자(1001)의 허리 또는 몸통 주위에 속박되는 허리 스트랩(56), 및 착용자의 무릎 앞에 배치되는 무릎 커버(74)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a 내지 도 1b, 도 2, 및 도 3b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어깨 스트랩(26a) 및 제2 어깨 스트랩(26b)은 구속 시스템(10)을 착용하고 있는 기립 또는 착석한 개인(1001)의 위치에 대해 수직 배향으로 배치된다. 어깨 스트랩(26a, 26b)은 한 쌍의 바지 멜빵과 유사한 방식으로 착용자의 어깨 위를 지나 착용자(1001)의 전방 허리 높이로부터 착용자(1001)의 후방 허리 높이에 도달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어깨 스트랩(26)의 길이는 상이한 신장 및/또는 허리둘레의 사용자(1001)를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착용자에게 구속 시스템을 속박하기
도 1 내지 도 2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 스트랩(56)은 착석 위치에서 착용자(1001)에 대해, 어깨 스트랩(26a, 26b)에 대해 수평 배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허리 스트랩(56)은 스티칭(stitching), 리벳, 접착제, 이들의 조합 또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른 방식 같은 종래 기술에 잘 알려진 방식으로 어깨 스트랩(26a, 26b)에 부착될 수 있다. 허리 스트랩(56)은 허리 스트랩(56)의 내부 및/또는 외부 표면(70, 68)에 결합된 패딩(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패딩(44)은 충돌 또는 다른 결렬한 이동시에 착용자의 중앙부의 일부 물리적 보호를 제공하거나 허리 스트랩(56)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일부를 분산시킴으로써 격렬한 차량 이동시에 허리 스트랩(56)에 의한 또는 허리 스트랩(56)의 체결구(24)에 의한 우발적인 부상으로부터 착용자(1001)를 보호할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스트랩(즉, 어깨 스트랩(26), 허리 스트랩(56), 무릎 스트랩(76, 78))은 유사하게 내부 및/또는 외부 표면 상에 패딩(44)을 포함할 수 있다.
허리 스트랩(56)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그 자체에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허리 스트랩(56)의 외면(68)은 허리 스트랩(56)의 내면(70)에 부착될 수 있으며, 허리 스트랩(56)의 제1 단부(92) 부근의 내면(70)은 허리 스트랩(56)의 제2 단부(94) 부근의 외면(68)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허리 스트랩 단부(92, 94)는 Velcro® 체결구와 같은 후크 및 아이 체결구(hook and eye fastener)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방식의 천 체결에 의해 서로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도 1a 내지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 스트랩(56)의 제1 전방 섹션(92)은 허리 스트랩(56)의 제2 전방 섹션(94)에 부착되어 구속 시스템(10)을 착용자(1001)의 허리 또는 몸통 주위에 속박시킬 수 있다.
착용자의 등을 거쳐서 구속 시스템에 시트 벨트 시스템을 속박하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어깨 스트랩(26a, 26b)의 전방 부분(28)은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며, 어깨 스트랩(26a, 26b)의 후방 부분(30)은 후방 부분(30)이 "X" 형상 또는 교차 부분(32)을 형성하도록 서로 교차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Y" 구성 같은 어깨 스트랩(26a, 26b)의 다른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교차 부분(32)에서, 어깨 스트랩(26)은 함께 결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어깨 스트랩(26)은 함께 접착되도록 재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어깨 스트랩은 교차 부분(32)을 포함하는 단일체로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도 1a 내지 도 1b, 도 2b 내지 도 2c, 및 도 3b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부분(32)은 후방 속박 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속박 부재(34)는 구속 시스템의 내부 또는 외부 표면 중 어느 하나에서 교차 부분(32)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특히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속박 부재(34)는 어깨 스트랩(26)이 서로 교차하는 영역에서 어깨 스트랩(26)의 부분을 덮을 수 있다. 후방 속박 부재(34)는 스트랩(22)의 일부분 또는 교차된 어깨 스트랩(26)에 부착되는 견고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속박 부재(34)의 제1 에지(21) 또는 측면은 어깨 스트랩의 외측 에지(31)가 서로 엇갈리거나 교차하는 지점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라인을 따라 어깨 스트랩(26)에 걸쳐 있을 수 있다. 후방 속박 부재(34)의 제2 에지(23) 또는 측면은 어깨 스트랩(26)의 내측 에지(33)가 서로 엇갈리는 지점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라인을 따라 어깨 스트랩(26)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에지(21)는 구속 시스템(10)이 개인(1001)에 의해 착용될 때 제2 에지(23)보다 허리 스트랩(56)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에지(21)는 제2 에지(23)보다 허리 스트랩(56)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에지(21, 23)는 어깨 스트랩(26)의 교차하는 외측 또는 내측 에지(31, 33) 사이의 최단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후방 속박 부재(34)는 구속 시스템(10)이 개인(1001)에 의해 착용될 때 허리 스트랩(56)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통로(36)를 형성할 수 있다. 통로(36)는 다른 스트랩 또는 보충 밴드(1021)가 바람직하게는 직선 경로로 통로(36)를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폭일 수 있다. 후방 속박 부재(34)의 제1 및 제2 에지(21, 23)는 통로(36)를 형성하도록 어깨 스트랩(26)에 결합될 수 있다. 통로(36)는 후방 속박 부재(34)에 의해 형성되는 일 측면과 교차하는 어깨 스트랩(26)에 의해 형성되는 다른 측면을 가질 수 있고, 대안적으로, 후방 속박 부재(34)는 어깨 스트랩(26)으로부터 분리된 통로(3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실시형태에서, 후방 속박 부재(34)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및 제2 에지가 사다리꼴의 기부를 형성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021) 또는 보충 스트랩은 구속 시스템(10)의 후방 속박 부재(34)를 차량의 시트(1003)에 속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밴드(1021)는 후방 속박 부재(34)의 통로(36)를 통과할 수 있고, 개인(1001)이 시트(1003)에 착석하고 있을 때, 밴드(1021)는 개인의 시트 뒤에(또는 그 주위 또는 시트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된 밴드(1021)는 개인(1001)을 시트(1003)에 안전하게 속박하기에 충분히 단단히 체결되어, 구속 시스템(10)을 착용자의 등 또는 그 부근의 위치에 속박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밴드(1021)는 통로(36)를 통해 활주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1001)은 약간의 이동 자유도를 제공받을 수 있다.
부착된 어깨 스트랩(26a, 26b)의 조합은 착용자의 몸통의 외부에 의해 규정되는 거리를 초과하는 충분한 길이임을 알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어깨 스트랩(26a, 26b) 각각의 길이를 확장 및 수축시키는 수단이 본 기술분야에 잘 공지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어, 복수의 스트랩(22)이 어깨 스트랩(26)의 후방 부분(30)의 교차 부분(32)에서 발견되는 "X" 또는 "Y" 또는 다른 구성을 유지하면서 상이한 착용자(1001)의 동일한 높이로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착용자의 몸통을 거쳐서 구속 시스템에 시트 벨트 시스템을 속박하기
도 3a 내지 도 3b,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어깨 스트랩(26)은, 구속 시스템(10)을 착용하고 있는 개인(1001)이 어깨 시트 벨트(1007)를 갖는 차량의 시트(1003)에 착석하고 있을 때, 어깨 스트랩(26)을 따라 정렬되도록 차량의 어깨 시트 벨트(1007)를 안내하고, 어깨 시트 벨트(1007)가 구속 시스템(10)의 어깨 스트랩(26)을 교차하는 위치에서 차량의 어깨 시트 벨트(1007)를 어깨 스트랩(26)에 속박하기 위한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38)를 포함할 수 있다.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38)는 서로 부착되는 전방 및 후방 커버(46, 4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46, 42)는 단일 피스 또는 다중 피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방 구성에서, 전방 커버(46)는 후방 커버(42)로부터 개방 또는 결합해제되어 후방 커버의 내부 표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폐쇄 구성에서, 전방 커버(46)는 후방 커버(42)에 결합되어 후방 커버(42)의 내부 표면(45)을 덮거나 은폐할 수 있다.
후방 커버는 후방 커버의 내부 표면의 대향 코너(43)에 부착되는 위치설정 스트랩(4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설정 스트랩(40)은 대향 코너 사이에서 대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방 커버(42)의 내부 표면(45)과 위치설정 스트랩(40)은 어깨 스트랩(26)이 통과할 수 있는 슬롯(41)을 형성할 수 있다. 위치설정 스트랩(40)은 직각도 직선도 아닌 각도로 어깨 스트랩(26)과 교차하는 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위치설정 스트랩(40)은 시트 벨트를 후방 커버(42)의 내부 표면(45)과 접촉시키는 상태로 유지할 만큼 충분히 꼭 맞지만 어깨 스트랩(26)이 슬롯(41)을 통해 활주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느슨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38)는 어깨 스트랩(26)의 전방 부분(28)을 따라 허리 스트랩(56)과 테더 속박 부재(86) 사이에서 활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어깨 스트랩(26)의 전방 부분(28)은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38)와 활주식으로 결합된다고 말할 수 있다.
구속 시스템을 착용하는 개인(1001)에 있어서, 이 이동은 어깨 스트랩(26)의 전방 부분(28)을 따른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38)의 수직 조정을 허용한다.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38)는 차량의 어깨 시트 벨트(1007)를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38)와 정렬시키도록 안내하기 위한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를 포함할 수 있다.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는 전방 커버(46)의 내부 표면(57)을 향하는(또는 어깨 스트랩(2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개구부(98)를 갖는 위치설정 스트랩(40)을 둘러싸는 "C"자형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설정 스트랩(40)은 "C"자형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99)을 활주식으로 통과할 수 있다.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의 길이는 위치설정 스트랩(40)의 폭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의 길이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가 위치설정 스트랩(40)을 따라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고 위치설정 스트랩(40)의 주위를 어느 정도 회전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길 수 있지만,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는 전방 커버(46)가 폐쇄 구성에 있을 때 시야로부터 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는 위치설정 스트랩(40) 상에서의 그 배향 및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가변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의 개구부(98)는 표준 차량 어깨 시트 벨트(1007)가 개구부(98)를 통과하고, 채널(99)에 대해 정렬될 수 있는 위치설정 스트랩(40)에 대해 정렬되도록 조작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긴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위치설정 스트랩(40)과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는, 어깨 벨트가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의 개구부(98)를 통과한 후에 위치설정 스트랩(40)에 대해 평탄하게 놓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넓다.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의 개구부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가 위치설정 스트랩(40) 주위에 위치설정된 상태로 유지될 만큼 충분히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속 시스템(10)은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38)의 전방 커버(46)를 개방하여 위치설정 스트랩(40)을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어깨 시트 벨트(1007)를 속박시킬 수 있는 것이 생각된다. 어깨 스트랩(26)이 구속 시스템(10)의 착석한 착용자(1001) 주위에 결합되면,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38)의 위치는 어깨 시트 벨트가 착용자(1001)의 신체를 가로지르는 곳에서 어깨 시트 벨트와 정렬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38)는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38)가 어깨 시트 벨트(1007)에 접촉하도록 (착석한 착용자(1001)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어깨 스트랩(26)의 전방 부분(28)을 따라 활주할 수 있다. 어깨 시트 벨트(1007)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의 개구부(98)를 통과하여 위치설정 스트랩(40)에 놓일 수 있다.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는 채널(99)을 따라 정렬되는 위치설정 스트랩(40)을 따라 어깨 시트 벨트(1007)를 정렬시키기 위해 어깨 시트 벨트(1007)에 완전히 결합되도록 위치설정 스트랩(40)을 따라 조작 또는 이동될 수 있다. 정지되어 있을 때, 어깨 시트 벨트(1007)는 위치설정 스트랩(40)에 대해 인접하는 형태로 평탄하게 놓이거나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깨 시트 벨트(1007)가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 내의 위치로 안내된 후에, 전방 커버는 폐쇄될 수 있고, 따라서 전방 커버(46)와 후방 커버(42) 사이에서 어깨 시트 벨트(1007)를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38) 내에 속박시킬 수 있다.
커버(42, 46)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패딩(4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전방 커버(46)는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38)를 그 자체에 제거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속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즉, 전방 커버의 제1 부분은 Velcro® 체결구 같은 후크 및 아이 체결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방식의 천 체결에 의해 전방 커버의 제2 부분에 제거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착용자의 어깨 상부를 거쳐서 구속 시스템에 시트 벨트 시스템을 속박하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 시스템(10)은 착용자(1001)를 시트(1003)에 연결하는 테더 선(1011)을 통해 차량에 착용자(1001)를 속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어깨 스트랩(26)은 테더 선(1011)을 결합시키고 테더 선(1011)을 구속 시스템(10)에 부착하기 위한 테더 속박 부재(86)를 포함할 수 있다. 테더 속박 부재(86)는 어깨 스트랩(26)의 전방 및 후방 부분(28, 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구속 시스템(10)을 착용하고 있는 착석한 개인(1001)에서, 테더 속박 부재(86)는 개인의 어깨의 상부 또는 정점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테더 속박 부재(86)는 착용자(1001)의 상부 부근의 구속 시스템(10)을 카 시트의 상부에 있는 고정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즉, 테더 앵커)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테더 속박 부재(86)는 착용자(1001)의 상부 부근의 구속 시스템(10)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의 뒤 또는 아래에 고정된 테더 선(1011)에 속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테더 속박 부재(86)는 바람직하게는 무릎 시트 벨트(1009)가 후술하는 바와 같은 무릎 스트랩(76, 78)에 의해 결합되는 동안 고정 구조물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테더 속박 부재(86)가 본 발명의 신규한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링, 카라비너(carabineer), D-링 커넥터 또는 다른 루프형 체결구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부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각각의 어깨 스트랩(26)은 어깨 스트랩(26)의 후방 부분(30)에 테더 채널(96)을 포함할 수 있다. 테더 선(1011)이 구속 시스템(10)과 결합될 때, 테더 선(1011)은 테더 채널(96)을 통과하여 어깨 스트랩(26)의 후방 부분(30)을 따라 테더 선(1011)을 정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테더 선(1011)은 테더 속박 부재(86)와 대응하는 고정 구조물(들) 사이에서 안내 또는 속박될 수 있다. 이 특징은 테더 선(1011)을 보강할 수 있고 테더 선(1011)의 구속 및 안전 특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특징은 테더 선(1011)이 다른 구조물에 걸리거나 부주의하거나 의도적으로 결합해제되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테더 채널(96)은 어깨 스트랩(26)에 슬릿을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테더 채널(96)은 어깨 스트랩(26)에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보충 스트랩의 추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테너 채널(96)이 각각의 어깨 스트랩(26)에 도입될 수 있다.
착용자의 무릎을 거쳐서 구속 시스템에 시트 벨트 시스템을 속박하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구속 시스템(10)은 구속 시스템(10)의 어깨 스트랩(26a, 26b)의 전방 부분(28)으로부터 연장되는 무릎 커버(7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무릎 커버(74)는 차량 무릎 시트 벨트(1009)를 구속 시스템(10)에 속박할 수 있다. 무릎 커버(74)는 충격 또는 격렬한 이동의 경우에 착용자(1001)의 중앙부의 허리 및 연조직이 부착된 무릎 벨트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대해 보호되도록 무릎 시트 벨트(1009)를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 커버(74)는 적어도 내측 무릎 스트랩(76) 및 외측 무릎 스트랩(78)을 포함할 수 있고, 내측 무릎 스트랩(76)은 제1 어깨 스트랩(26a)에 결합되며, 외측 무릎 스트랩(78)은 제2 어깨 스트랩(26b)에 결합된다. 무릎 스트랩(76, 78)은 무릎 시트 벨트(1009)를 탭 또는 루프 같은 무릎 스트랩(76, 78)에 안내하기 위한 수단(82)을 포함할 수 있다. 무릎 커버(74)는 추가적인 무릎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무릎 스트랩(76, 78)은 허리 스트랩(56)에 결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무릎 스트랩(76, 78)은 허리 스트랩 패딩(44)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일 무릎 스트랩이 생각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추가 무릎 스트랩이 무릎 커버(74)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접하는 무릎 스트랩은 서로 겹쳐서 서로 체결될 수 있고;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체결된 스트랩은 연속적이거나 솔드한 전방 표면을 갖는 무릎 커버(74)를 제공할 수 있다.
무릎 스트랩은 무릎 스트랩(76, 78)에 속박되는 하나 이상의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83)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83)는 차량의 무릎 시트 벨트(1009)가 삽입되거나 통과하는 개구부(85)뿐만 아니라 무릎 시트 벨트(1009)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87)을 포함할 수 있다. 구속 시스템(10)을 착용하고 있는 개인(1001)이 무릎 시트 벨트(1009)를 갖는 차량에 착석하고 있을 때, 무릎 시트 벨트(1009)는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83)의 개구부(85)를 통과하여 채널(87)을 따라 정렬되고(바람직하게는, 채널에 대해 편평하게 놓이고) 따라서 무릎 커버(74)에 대해 정렬될 수 있는 것이 생각된다.
바람직하게는,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83)는 무릎 시트 벨트(1009)가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83)와 결합된 후에 무릎 커버(74)에 대하여 편평하게 놓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넓다.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83)의 개구부는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83)가 무릎 스트랩(76, 78)에 속박된 상태로 유지될 만큼 충분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무릎 스트랩(76, 78)은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83)를 제자리에 속박하는 스티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채널(87)은,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가 무릎 스트랩(76, 78) 내에 위치될 수 있고 및/또는 무릎 스트랩(76, 78)을 따라 활주식으로 이동하여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 시트 벨트(1009)를 무릎 커버(74)와 정렬시키도록 무릎 스트랩(76, 78)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무릎 커버(74)는 무릎 스트랩(76, 78)을 어깨 스트랩(26a, 26b)에 부착 또는 결합시키고 구속 시스템(10)의 스트랩(22) 사이의 연결을 보강하기 위해 보충 연결 스트랩(8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충 연결 스트랩(84)은, 보충 연결 스트랩(84)을 다른 구속 시스템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신규한 범위 내에서 임의의 유형의 체결구, 버클, 루프, 또는 링, 카라비너, D-링 커넥터, 또는 다른 루프형 체결구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부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메커니즘
허리 스트랩(56)은 허리 스트랩(56)을 구속 시스템(10)의 착용자(1001)에게 속박하기 위한 체결구(2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체결구(24)는 착용자(1001)가 구속 시스템(10)을 제거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체결구(24)는 아이들에 의한 부당변경에 저항한다.
도 1a 및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 스트랩(56)의 체결구(24)는 허리 스트랩(56)의 제1 단부(92)에 암형 잠금 부분(410)(즉, 루프) 및 허리 스트랩(56)의 제2 단부(94)에 수형 잠금 부분(460)(즉, 후크)을 포함할 수 있으며, 허리 스트랩(56)의 단부(94, 92)에서 잠금 부분(410, 460)을 함께 서로 부착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암형 잠금 부분(410)은 제1 체결 루프(412), 제2 체결 루프(432) 및 제1 체결 루프(412)와 제2 체결 루프(432)를 함께 정렬시키는 연결 부재(4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체결 루프(412, 432)는 수형 잠금 부분(460)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426, 44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도 1a 내지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 스트랩(56)의 제1 전방 섹션(92)은 착용자(1001)의 허리 또는 몸통 주위에 구속 시스템(10)을 속박시키기 위해 허리 스트랩(56)의 제2 전방 섹션(94)에 부착될 수 있다. 허리 스트랩(56)은 허리 스트랩(56)을 구속 시스템(10)의 착용자(1001)에게 속박하기 위한 체결구(2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체결구(24)는 착용자(1001)가 구속 시스템(10)을 제거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체결구(24)는 아이들에 의한 부당변경에 저항한다.
일반적으로, 허리 스트랩(56)의 체결구(24)는 허리 스트랩(56)의 제1 단부(92)에 암형 잠금 부분(60)(즉, 루프) 및 허리 스트랩(56)의 제2 단부(94)에 수형 잠금 부분(61)(즉, 후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허리 스트랩(56)의 단부(94, 92)는 서로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암형 잠금 부분(60)은 제1 체결 루프(62), 제2 체결 루프(64), 및 제1 체결 루프(62)와 제2 체결 루프(64)를 정렬시키기 위한 클립(6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렬된 체결 루프(62, 64)는 수형 잠금 부분(61)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69)를 형성한다. 각각의 체결 루프(62, 64)는 이들을 함께 체결하는 클립(65)을 정렬시키기 위한 상부 오목부(71) 및 저부 오목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기구(24)에 대해서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 스트랩(56)의 체결구(24)는 허리 스트랩(56)의 제1 단부(92)에 암형 잠금 부분(410)(즉, 루프) 및 허리 스트랩(56)의 제2 단부(94)에 수형 잠금 부분(460)(즉, 후크)을 포함할 수 있으며, 허리 스트랩(56)의 단부(94, 92)에서 잠금 부분(410, 460)을 함께 서로 부착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암형 잠금 부분(410)은 제1 체결 루프(412), 제2 체결 루프(432) 및 제1 체결 루프(412)와 제2 체결 루프(432)를 함께 정렬시키는 연결 부재(4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체결 루프(412, 432)는 수형 잠금 부분(460)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426, 446)를 포함한다.
도 1a 내지 도 1b 및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24)는 적어도 2개의 연동 부분(410, 4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부분은 허리 스트랩(56)에 부착된다. 각각의 연동 부분은 예를 들어 허리 스트랩(56)의 단부(55, 56)에서 허리 스트랩(56)에 연결 또는 결합되는 연결 스트랩(84)에 의해 허리 스트랩(56)에 속박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24)의 연동 부분은 암형 잠금 부분(410) 및 수형 잠금 부분(460)을 포함할 수 있다.
암형 잠금 부분(410)은 연결 부재(452)와 함께 체결되는 제1 및 제2 체결 루프 (412, 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 루프는 서로 대향하는 상부 부재(414) 및 저부 부재(41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부 부재(422, 424)가 이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부 및 저부 부재(414, 418)를 서로 결합시킨다. 상부 부재(414)의 길이는 저부 부재(418)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으며, 측부 부재(422, 424)의 길이는 표준 무릎 시트 벨트 스트랩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및 저부 부재(414, 418) 사이의 거리는 무릎 시트 벨트(1009)의 폭보다 크고 허리 스트랩(56)의 폭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측부 부재(422, 424)는 정렬 측부 부재(422)와 비정렬 측부 부재(42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측부 부재(422)의 길이는 비정렬 측부 부재(424)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측부 부재(422, 424)의 길이는 상부 및 저부 부재(414, 418)의 길이와 다를 수 있다.
상부 부재(414), 저부 부재(418), 정렬 측부 부재(422) 및 비정렬 측부 부재(424)는 제1 체결 루프(412)에 개구부(426)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체결 루프(412)는 상부 부재(414)에 마련된 상부 오목 부분(415) 및 저부 부재(418)에 마련된 저부 오목 부분(419)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및 저부 오목 부분(415, 419)은 그 각각의 상부 및 저부 부재(414, 418)에서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및 저부 오목 부분(415, 419)은 정렬 측부 부재(422) 또는 비정렬 측부 부재(426) 중 하나(또는 양자 모두)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체결 루프(432)는 제1 체결 루프(412)와 유사하지만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체결 루프(432)는 서로 대향하는 상부 부재(434) 및 저부 부재(438)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부 부재(442, 444)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측부 부재(442, 444)의 제1 단부는 상부 및 저부 부재(434, 438)의 제1 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각 측부 부재(442, 444)의 제2 단부는 상부 및 저부 부재(434, 438)의 제2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부재(434)의 길이는 저부 부재(438)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고, 사이드 부재(442, 444)의 길이는 표준 무릎 시트 벨트 스트랩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및 저부 부재(434, 438) 사이의 거리는 무릎 시트 벨트(1009)의 폭보다 크고 허리 스트랩의 폭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측부 부재(442, 444)는 정렬 측부 부재(441) 및 비정렬 측부 부재(44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측부 부재의 길이는 비정렬 측부 부재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측부 부재(442, 444)의 길이는 상부 및 저부 부재(434, 438)의 길이와 상이할 수 있다.
제2 체결 루프(432)는 상부 부재(434)에 마련된 상부 오목 부분(435) 및 저부 부재(438)에 마련된 저부 오목 부분(439)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및 저부 오목 부분(435, 439)은 그 대향 측에서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및 저부 오목 부분(435, 439)은 정렬 측부 부재(442) 또는 비정렬 측부 부재(444) 중 하나(또는 양자 모두)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상부 부재(434), 저부 부재 (438), 정렬 측부 부재(442) 및 비정렬 측부 부재(444)는 제2 체결 루프(432)의 개구부(446)를 형성할 수 있다.
체결 루프(412, 432)는 상부 및 저부 부재가 측부 부재에 대해 대략 직각인 대체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각 체결 루프의 부재는 각 체결 루프에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체결 루프(412, 432)는 그들의 상부 부재(414, 434) 및 저부 부재(418, 438)의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체결 루프(414, 432)의 정렬 측부 부재(422, 442) 및 비정렬 측부 부재(424, 444)의 길이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길이이지만, 제1 체결 루프(412)의 상부 및 저부 부재(414, 418)는 제2 체결 루프(432)의 상부 및 저부 부재(434, 438)보다 긴건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체결 루프(412, 432)가 그들의 상부 오목 부분(415, 435) 및 그들의 저부 오목 부분(419, 439)이 정렬되도록 서로에 대해 위치될 때, 그들의 정렬 측부 부재(422, 442)는 그들의 길이를 따라 서로 접촉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렬 측부 부재(422, 442)는 연속적이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서로 접촉하거나 정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체결 루프(412, 432)가 그들의 상부 오목 부분(415, 435) 및 저부 오목 부분(419, 439)이 정렬되도록 서로에 대해 위치될 때, 그들의 비정렬 측부 부재(424, 444)는 그들의 길이를 따라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 루프(412, 432)의 오목 부분(415, 419, 435, 439)이 정렬될 때, 체결 루프(412, 432)의 개구부(426, 446)의 일부분 또한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제2 체결 루프(432)의 상부 및 저부 부재(434, 438)는 제1 체결 루프(412)의 상부 및 저부 부재(414, 418)의 일부분과 접촉하거나 정렬될 수 있다. 비정렬 측부 부재(424, 444)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체결 루프(412, 432)가 그들의 상부 오목 부분(415, 435) 및 저부 오목 부분(419, 439)이 정렬되도록 서로에 대해 위치될 때, 체결 루프(412, 432)는 클립 같은 연결 부재(452)에 의해 속박될 수 있다. 연결 부재(452)의 제1 단부(454)는 상부 오목 부분(415, 435)에 함께 결합되어 그 정렬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연결 부재(452)의 제2 단부(456)는 저부 오목 부분(419, 439)에 결합되어 그 정렬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연결 부재(452)의 제1 및 제2 단부(454, 456)는 섕크 부재(458)에 의해 연결(또는 결합)될 수 있으며, 섕크 부재(458)는 제1 및 제2 단부(454,456) 사이에 있다. 연결 부재(452)는 정렬된 상부 오목 부분(415, 435) 및 정렬된 저부 오목 부분(419, 439)을 감싸거나 둘러싸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452)는 체결 루프(412, 432)의 이동을 허용할 정도로 느슨하게 상부 오목 부분(415, 435) 및 저부 오목 부분(419, 439)을 속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섕크 부재(458)는 바람직하게는 체결 루프(412, 432)의 양자 모두가 아닌 하나의 개구부를 양분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섕크 부재(458)는 제2 체결 루프(432)의 개구부(446)를 양분할 수 있다.
암형 잠금 부분(410)은 연결 스트랩(84)을 제1 체결 루프(412)의 비정렬 측부 부재(422)와 연결 부재(452) 사이의 제1 체결 루프 개구부(426)를 통해 통과시키고; 그 후 제2 체결 루프(432)의 비정렬 측부 부재(444)와 연결 부재(452) 사이의 제2 체결 루프(432)의 개구부(446)를 통해 통과시키며; 그 후 비정렬 측부 부재(426)와 연결 스트랩(84) 사이의 제1 체결 루프 개구부(426)의 개구부(426)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연결 스트랩(84)에 의해 허리 스트랩(56)에 속박될 수 있다.
수형 잠금 부분(460)은 후킹 또는 만곡 부분(468)에 결합되는 세장형 부분(464)을 갖는 "J"자형 프로파일(4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만곡 부분(468)은 세장형 부분(464)에 대한 그 연결부의 반대측에 단부 부분(472)을 갖는다. 세장형 부분(464)은 허리 스트랩(56)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장형 부분(464)은 연결 스트랩(84)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46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 스트랩(84)은 수형 잠금 부분(460)을 허리 스트랩(56)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개구부(466)는 그것을 통한 연결 스트랩(84)의 통과를 수용할 만큼 충분히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세장형 부분(464)이 허리 스트랩(56)에 속박 또는 부착 또는 체결된 상태에서, 만곡 부분(468)은 암형 잠금 부분(410)에 결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만곡 부분(468)은 체결 루프(412, 432)의 개구부(426, 446)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만곡 부분(468)의 내면(474)은 체결 루프(412, 432)의 정렬 측부 부재(422, 442)에 접촉 또는 걸림으로써 암형 잠금 부분(410)에 결합되어, 수형 및 암형 잠금 부분(460, 410) 사이에 수형-암형 연결부를 제공할 수 있다. 수형 및 암형 잠금 부분(460, 410)이 결합되면, 수형 잠금 부분(460)의 만곡 부분(468)은 암형 잠금 부분(410)의 비정렬 측부 부재(424, 444)와 연결 부재(45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수형 잠금 부분(460)이 암형 잠금 부분(410)과 결합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렬된 정렬 측부 부재(422, 444)와 연결 부재(452) 사이의 거리는 수형 잠금 부분(460)의 단부 부분(472)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허리 스트랩(56)과 허리 스트랩 패딩(44)의 부착된 조합은 착용자의 허리의 둘레를 초과하기에 충분한 길이라는 것을 알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허리 스트랩(56) 및 허리 스트랩 패딩(44) 각각의 길이를 확장 및 수축시키는 수단이 본 기술분야에 잘 공지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며, 따라서 일련의 스트랩(22)은 전형적인 사용자 또는 착용자(1001)의 허리둘레에 대해 완전히 조절가능하다.
구속 시스템의 사용
모든 자동차에는 단일 표준 시트 벨트 시스템이 없다. 일부 구형 자동차의 시트 벨트 시스템은 단지 무릎 시트 벨트(1009)만으로 구성된다. 비행기 및 버스와 같은 많은 상업용 차량은 유사한 시스템을 사용한다. 일부 차량은 구속 하네스를 속박하기 위한 장치를 속박하기 위한 고정 구조물에 구속 시스템(10)을 부착시키는 테더 선(1011)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무릎 벨트에 의존한다. 많은 현대의 자동차는 무릎 시트 벨트(1009) 및 어깨 시트 벨트(1007)를 갖는 시트 벨트 시스템을 갖는다.
구속 시스템(10)은 구속 시스템을 다양한 상이한 시트 및 시트 벨트 시스템에 속박하기 위한 다수의 속박 특징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속 시스템(10)을 사용하는 3개의 바람직한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동일한 구속 시스템(10)은 설명된 3가지 방법 모두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을 사용하는 제1 실시형태에서, 구속 시스템(10)은 무릎 시트 벨트(1009) 및 어깨 시트 벨트(1007) 양자 모두를 갖는 시트 벨트 시스템에 속박될 수 있다. 개인(1001)이 구속 시스템(10)을 착용하고 차량에 착석한 후, 무릎 시트 벨트(1009)는 무릎 커버(74)에 속박될 수 있고, 어깨 시트 벨트(1007)는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38)에 속박될 수 있다.
무릎 시트 벨트(1009)를 속박하기 위해, 무릎 시트 벨트는 각 무릎 스트랩(76, 78)의 각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83)를 통해 연장되어 통과할 수 있다. 무릎 시트 벨트(1009)는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83)의 채널을 따라 정렬되도록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83)의 개구부를 통해 조작되거나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으며, 무릎 시트 벨트(1009)는 차량의 시트 벨트 시스템에서 제자리에 잠겨질 수 있다. 무릎 시트 벨트(1009)는 구속 시스템(10)의 모든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83)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깨 벨트(1007)를 속박하기 위해, 어깨 벨트는 개인(1001)의 몸통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어깨 시트 벨트(1007)가 결합되면, 어깨 스트랩(26)의 전방 부분(28)을 따라 활주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38)는 어깨 시트 벨트가 어깨 스트랩(26)의 전방 부분(28)과 교차하는 곳에서 어깨 시트 벨트(1007)에 결합되도록 위치설정될 수 있다. 전방 커버(46)는 위치설정 스트랩(40) 및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를 노출시키는 개방 구성으로 이동될 수 있다.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의 위치는 어깨 시트 벨트(1007)가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에 결합될 수 있도록 위치설정 스트랩(40)을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어깨 시트 벨트(1007)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의 채널(99)을 따라 정렬되도록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47)의 개구부를 통해 조작되거나 안내될 수 있으며, 어깨 시트 벨트(1007)는 위치설정 스트랩(40)을 따라 위치설정될 수 있다. 전방 커버는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따라서 어깨 시트 벨트(1007)를 어깨 시트 벨트 확부 부재(38) 내에 속박시킬 수 있다.
시트 벨트는 순서대로 속박되거나 동시에 속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한 제2 실시형태에서, 구속 시스템(10)은 무릎 시트 벨트(1009) 및 테더 선(1011) 양자 모두를 갖는 시트 벨트 시스템에 속박될 수 있다. 테더 선(1011)은 시트(1003) 내의 고정 구조물에 속박될 수 있거나 시트의 다리부에 매이거나 달리 속박될 수 있다.
여기서, 무릎 시트 벨트(1009)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속 시스템(10)에 속박될 수 있다.
테더 선(1011)은 테더 속박 부재(86)에 체결되고 그리고/또는 어깨 스트랩(26)의 후방 부분(30)에 마련된 테더 채널(96)을 통과함으로써 구속 시스템(10)에 부착될 수 있다. 테너 선(1011)은 본 발명의 신규한 범위 내에서 링, 카라비너, D-링 커넥터, 또는 다른 루프형 체결구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부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테더 선(1011)은 테더 채널(96)을 통과하여 시트(1003)에 속박될 수 있다.
무릎 시트 벨트(1009) 및 테더 선(1011)은 순서대로 속박될 수 있거나 동시에 속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한 제3 실시형태에서, 구속 시스템(10)은 그 자체로 또는 다른 시트 벨트와 함께 무릎 시트 벨트(1009)를 갖는 시트 벨트 시스템에 속박될 수 있다.
여기서, 무릎 벨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속 시스템(10)에 속박될 수 있다.
무릎 시트 벨트(1009)의 속박 작용은 구속 시스템(10)의 후방 속박 부재(34)를 차량의 시트(1003)에 속박시키는 후방 밴드(1021) 또는 보충 스트랩을 사용함으로써 증강될 수 있다. 밴드(1021)는 후방 속박 부재(34)의 통로(36)를 통과할 수 있고, 개인(1001)이 시트(1003)에 착석하고 있을 때, 밴드(1021)는 개인의 시트 뒤에(또는 그 주위 또는 시트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된 밴드(1021)는 개인(1001)을 시트(1003)에 안전하게 속박하기에 충분히 단단히 속박될 것으로 생각된다. 밴드(1021)는 통로(36)를 통해 활주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1001)은 약간의 이동 자유도를 제공받을 수 있다.
무릎 시트 벨트(1009) 및 밴드(1021)는 순서대로 속박되거나 동시에 속박될 수 있다.
보충 밴드(1021)는 다른 시트 벨트 또는 속박 특징부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무릎 시트 벨트(1009)를 갖는 시트 벨트 시스템을 증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방식으로 부착될 때, 구속 시스템(10)은 자동차 또는 다른 모터 차량의 안전 시스템에 결합되어, 사용자(1001)에게 안전을 제공하고, 착용자에게 이동 자유도 및 안락함을 허용하며, 나아가 이러한 구속 시스템(10)의 사용 및 조정에 있어서의 착용자 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구속 시스템(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하여 위에서 서명된 바와 같이 구속 시스템(10)을 상이한 유형의 자동차 또는 다른 차량의 시트 벨트 시스템에 연결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개인(1001)을 구속 시스템(10)을 통해 자동차, 비행기, 스쿨 버스 또는 다른 개인용 또는 상업용 차량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종류의 시트(1003)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차, 버스, 롤러 코스터, 및 비행기 및 기타 항공기 차량과 같은 자동차 이외의 상업용 차량, 특히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량 운송수단과 관련된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구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정성 특징은 상업 용도가 아닌 차량 또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도록 적응될 수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양 유형의 차량에 사용되도록 적응될 수 있는 실시형태를 지지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스트랩(22)이 본 기술분야에 잘 공지된 방식, 예를 들어 스티칭, 리벳, 접착제, 이들의 조합 또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른 방식으로 서로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스트랩(22)은 서로 직접 결합되거나 연결 스트랩(84)에 의해 간접적을 결합될 수 있다.
구속 시스템(10)의 스트랩(22)은 자동차의 시트 벨트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유형의 스트랩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스트랩(22)은 보조 안전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추가의 체결구, 버클 또는 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속 시스템(10)의 설계는 사용자(1001), 전형적으로 어린이가 구속 시스템(10)을 착용하는 것을 즐거워하도록 호감을 주는 외관이라는 것을 알 것이다. 이런 식으로 어린이는 착용자를 보호하는 구속 시스템(10)을 착용하도록 권장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형태의 착용자 또는 사용자(1001)로서 어린이들 또는 어린이를 언급하였지만, 성인 및 모든 연령의 사람을 위해 적절하게 크기설정된 실시형태의 제조 및 사용뿐만 아니라 동물에서의 본 발명의 시스템(들)의 사용도 고려되며 본 발명의 신규한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구속 시스템(10)은 구속 시스템(10)과 관련하여 착용자의 머리와 목을 보호하기 위해 목 휴식부 또는 다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속 시스템(10)은 보충 안전 시스템 또는 장치와 결합되어 착용자에게 추가적인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변형 및 대체가 본 발명의 신규한 사상 및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0)

  1. 시트 벨트 시스템을 갖는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구속 시스템이며, 구속 시스템은,
    차량의 시트 벨트 시스템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스트랩을 포함하고, 복수의 스트랩은,
    구속 시스템의 후방 부분에서 서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으로서, 각각의 어깨 스트랩은 차량의 어깨 시트 벨트를 어깨 스트랩에 부착하기 위한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를 갖고, 각각의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는 어깨 스트랩을 따라 활주가능한,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에 결합되는 허리 스트랩으로서, 허리 스트랩은 서로 부착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갖고, 부착된 단부는 허리 스트랩을 개인의 몸통에 속박하는, 허리 스트랩; 및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에 각각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무릎 스트랩을 포함하는 무릎 커버로서, 각각의 무릎 스트랩은 다른 무릎 스트랩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각각의 무릎 스트랩은 개구부를 갖는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는 차량의 무릎 시트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무릎 커버를 포함하며;
    스트랩들은, 개인이 차량의 내부에 착석하고 구속 시스템이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시트 벨트에 결합될 수 있을 때, 개인이 차량의 시트에 속박될 수 있고 개인이 차량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시트에 대해 속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개인에 의해 착용가능한 구속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허리 스트랩을 개인에게 속박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고, 체결구는 허리 스트랩의 제1 단부에 부착되는 암형 잠금 부분을 포함하고, 암형 잠금 부분은 제1 체결 루프, 제2 체결 루프 및 제1 체결 루프와 제2 체결 루프를 정렬시키기 위한 클립을 포함하며, 정렬된 체결 루프는 수형 잠금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구속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방 속박 부재를 포함하며, 후방 속박 부재는 어깨 스트랩을 결합시키고 후방 속박 부재를 시트에 속박하기 위한 밴드를 수용하기 위한 통로를 포함하는 구속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가,
    후방 커버에 연결되는 전방 커버;
    후방 커버의 대향 코너 사이에서 비스듬히 연장되는 위치설정 스트랩; 및
    개구부를 가지며 차량의 어깨 시트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로서,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는 위치설정 스트랩에 활주식으로 결합되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전방 커버는 어깨 시트 벨트를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의 채널에 결합시키기 위해 개방될 수 있고, 전방 커버는 어깨 시트 벨트를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 내에 속박하기 위해 폐쇄될 수 있으며, 어깨 스트랩은 후방 커버와 위치설정 스트랩 사이에 위치되는 구속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는 어깨 시트 벨트와 정렬되도록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를 조정하기 위해 가변 위치를 갖는 구속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어깨 스트랩은 테더 선을 어깨 스트랩에 부착하기 위한 테더 속박 부재를 포함하는 구속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어깨 스트랩은 테더 선을 어깨 스트랩을 통해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를 포함하는 구속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허리 스트랩의 제1 및 제2 단부는 각각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에 연결되는 구속 시스템.
  9. 시트 벨트 시스템을 갖는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구속 시스템이며, 구속 시스템은,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으로서, 각각의 어깨 스트랩은 a) 전방 부분, b) 후방 부분, 및 c) 어깨 스트랩의 전방 부분을 따라 활주 이동하도록 부착된 어깨 벨트 속박 부재를 갖는,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
    어깨 스트랩의 후방 부분을 서로 부착시키는 후방 속박 부재;
    어깨 스트랩의 전방 및 후방 부분에 결합되는 허리 스트랩으로서, 허리 스트랩은 제2 전방 섹션에 부착되는 제1 전방 섹션을 포함하고, 전방 섹션들은 허리 스트랩을 개인의 몸통에 속박하는, 허리 스트랩; 및
    무릎 스트랩을 허리 스트랩에 결합시키는 복수의 연결 스트랩에 의해 허리 스트랩의 전방 부분에 부착되는 복수의 무릎 스트랩으로서, 각각의 무릎 스트랩은 i) 차량의 무릎 시트 벨트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 및 ii) 무릎 시트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갖는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무릎 스트랩은 서로 겹쳐서 체결되는, 복수의 무릎 스트랩을 포함하며;
    스트랩들은, 개인이 차량에 착석할 때 구속 시스템이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시트 벨트를 속박할 수 있고 차량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시트에 대해 개인을 속박할 수 있도록 개인에 의해 착용가능한 구속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각각의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는,
    전방 및 후방 커버;
    후방 커버의 대향 코너 사이에서 비스듬히 연장되고 대향 코너에 부착되는 위치설정 스트랩으로서, 어깨 스트랩은 위치설정 스트랩과 후방 스트랩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설정 스트랩; 및
    개구부를 가지며 차량의 어깨 시트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로서,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는 위치설정 스트랩에 활주식으로 결합되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전방 커버는 어깨 시트 벨트를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와 결합시키기 위해 개방될 수 있고, 전방 커버는 어깨 시트 벨트를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 내에 속박하기 위해 폐쇄될 수 있으며;
    구속 시스템은, 개인이 차량에 착석할 때 구속 시스템이 차량의 무릎 시트 벨트 및 어깨 시트 벨트를 속박할 수 있고 차량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시트에 대해 개인을 속박할 수 있도록 개인에 의해 착용가능한 구속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는 어깨 시트 벨트를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의 채널 내에 정렬시키기 위해 가변 위치를 갖는 구속 시스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후방 속박 부재는 후방 속박 부재를 시트의 후방 부분에 속박하기 위한 밴드를 수용하기 위한 통로를 포함하며;
    구속 시스템은, 개인이 차량에 착석할 때 구속 시스템이 차량의 무릎 시트 벨트를 속박할 수 있고, 밴드를 시트에 속박할 수 있으며, 차량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시트에 대해 개인을 속박할 수 있도록 개인에 의해 착용가능한 구속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후방 속박 부재는 어깨 스트랩의 외측 에지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라인을 따라 어깨 스트랩을 결합시키며, 후방 속박 부재는 어깨 스트랩의 내측 에지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라인을 따라 어깨 스트랩을 결합시키는 구속 시스템.
  14. 청구항 9에 있어서,
    각각의 어깨 스트랩은 테더 선을 어깨 스트랩에 부착하기 위한 테더 속박 부재를 포함하며;
    구속 시스템은, 개인이 차량에 착석할 때 구속 시스템이 차량의 무릎 시트 벨트를 속박할 수 있고, 테더 선을 시트에 속박할 수 있으며, 차량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시트에 대해 개인을 속박할 수 있도록 개인에 의해 착용가능한 구속 시스템.
  15. 청구항 9에 있어서,
    후방 속박 부재는 서로 교차하는 어깨 스트랩을 결합시키는 구속 시스템.
  16. 시트 벨트 시스템을 갖는 시트에서 사용하기 위한 구속 시스템이며, 구속 시스템은,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으로서, 각각의 어깨 스트랩은 전방 부분, 후방 부분, 및 어깨 스트랩의 전방 부분을 따라 활주 이동하도록 부착되는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를 갖고, 어깨 스트랩의 후방 부분은 서로 교차하고,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는 어깨 시트 벨트를 구속 시스템에 속박하는, 제1 및 제2 어깨 스트랩;
    어깨 스트랩의 후방 부분을 서로 부착시키는 후방 속박 부재로서, 후방 속박 부재는 통로를 포함하고, 후방 속박 부재는 보충 벨트를 구속 시스템에 속박시키는, 후방 속박 부재;
    - 각각의 어깨 스트랩은 전방 및 후방 부분 사이에 위치되는 테더 속박 부재를 갖고, 테더 속박 부재는 테더 선을 구속 시스템에 속박함 -;
    어깨 스트랩의 전방 및 후방 부분에 결합되는 허리 스트랩으로서, 허리 스트랩의 제1 전방 섹션은 허리 스트랩의 제2 전방 섹션에 부착되고, 허리 스트랩은 구속 시스템을 개인에게 속박시키는, 허리 스트랩; 및
    허리 스트랩의 제1 및 제2 전방 섹션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무릎 스트랩을 포함하는 무릎 커버로서, 각각의 무릎 스트랩은 다른 무릎 스트랩에 제거가능하게 부착가능하고 각각의 무릎 스트랩은 개구부를 갖는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무릎 시트 벨트 안내 부재는 무릎 시트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고, 무릎 커버는 무릎 시트 벨트를 구속 시스템에 속박하는, 무릎 커버를 포함하며;
    스트랩들은, 개인이 시트에 착석할 때 구속 시스템이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시트 벨트를 속박할 수 있고 시트에 대해 개인을 속박할 수 있도록 개인에 의해 착용가능한 구속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허리 스트랩을 개인에게 속박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고, 체결구는 허리 스트랩의 제1 단부에 부착되는 암형 잠금 부분을 포함하고, 암형 잠금 부분은 제1 체결 루프, 제2 체결 루프, 및 제1 체결 루프와 제2 체결 루프를 정렬시키는 클립을 포함하며, 정렬된 체결 루프들은 수형 잠금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구속 시스템.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각각의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는,
    서로 연결된 전방 커버 및 후방 커버;
    방 커버의 대향 코너 사이에서 비스듬히 연장되고 대향 코너에 부착되는 위치설정 스트랩으로서, 어깨 스트랩은 위치설정 스트랩과 후방 스트랩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설정 스트랩; 및
    개구부를 가지며 차량의 어깨 시트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로서,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는 위치설정 스트랩에 활주식으로 결합되는,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전방 커버는 위치설정 스트랩 및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노출시키도록 개방될 수 있고, 전방 커버는 위치설정 스트랩 및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를 은폐하도록 폐쇄될 수 있으며, 어깨 스트랩은 후방 커버와 위치설정 스트랩 사이를 통과하는 구속 시스템.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어깨 시트 벨트 안내 부재는 어깨 시트 벨트와 정렬되도록 어깨 시트 벨트 속박 부재를 조정하기 위해 가변 위치를 갖는 구속 시스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각각의 어깨 스트랩의 후방 부분은 테더 선을 어깨 스트랩을 통해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를 포함하는 구속 시스템.
KR1020180153808A 2018-12-03 2018-12-03 조정가능한 구속 시스템 KR102154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808A KR102154612B1 (ko) 2018-12-03 2018-12-03 조정가능한 구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808A KR102154612B1 (ko) 2018-12-03 2018-12-03 조정가능한 구속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995A true KR20200066995A (ko) 2020-06-11
KR102154612B1 KR102154612B1 (ko) 2020-09-10

Family

ID=7107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808A KR102154612B1 (ko) 2018-12-03 2018-12-03 조정가능한 구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119A (ko) * 2020-11-04 2022-05-1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유아 보호장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238A (ko) * 2013-09-12 2016-05-17 김민선 6점 구속 방식의 개선된 보조 구속 시스템
WO2018104858A1 (en) * 2016-12-06 2018-06-14 Smartridr Ag Supplemental restraint harne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238A (ko) * 2013-09-12 2016-05-17 김민선 6점 구속 방식의 개선된 보조 구속 시스템
WO2018104858A1 (en) * 2016-12-06 2018-06-14 Smartridr Ag Supplemental restraint harne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119A (ko) * 2020-11-04 2022-05-1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유아 보호장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612B1 (ko)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1749B2 (en) Adjustable restraint system
EP1681961B1 (en) Vehicle safety restraint system
US8491058B2 (en) Portable restraining passenger safety vest for vehicles
US5733014A (en) Restraint harness
US7703150B2 (en) Child's vest
US5624135A (en) Portable seat belt
US20020107119A1 (en) Abdominal exercise apparatus
KR20160055238A (ko) 6점 구속 방식의 개선된 보조 구속 시스템
US7891741B2 (en) Criss-cross harness system for use with seats
JP2019507056A (ja) 携帯用の車両用シートベルトの締結装置
CN105150887A (zh) 一种用于汽车的便携式可折叠儿童安全座椅
US11198412B1 (en) Anchor assembly for safety vest in vehicles
US20170282850A1 (en) Head restraint apparatus with expandable seat securing mechanisms
KR102154612B1 (ko) 조정가능한 구속 시스템
EP1690754B1 (en) Vehicle seat belt attachment
CN204998375U (zh) 儿童安全座椅
KR20070095735A (ko) 다용도 안전조끼
US10071658B2 (en) Disengagable head restraint apparatus
KR101562801B1 (ko) 차량용 보조 안전벨트
US10640078B1 (en) Portable restraining passenger safety harness
GB2417224A (en) Coupling device for child safety harness
KR200424593Y1 (ko) 다용도 안전조끼
US11820322B1 (en) Restraint system
US9371018B1 (en) Head restraint apparatus
US20170320409A1 (en) Cushioned buckle guard for child's car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