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560A -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560A
KR20200066560A KR1020190152093A KR20190152093A KR20200066560A KR 20200066560 A KR20200066560 A KR 20200066560A KR 1020190152093 A KR1020190152093 A KR 1020190152093A KR 20190152093 A KR20190152093 A KR 20190152093A KR 20200066560 A KR20200066560 A KR 20200066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wer
beacon
section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018B1 (ko
Inventor
김용성
임용석
김영한
박용주
안현석
임승옥
윤창석
이솔비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PCT/KR2019/01631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11707A1/ko
Publication of KR20200066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25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 H04B5/0037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for power transfer
    • H04B5/79

Abstract

본 발명의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는 네트워크의 참여를 요청하는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복수의 슬레이브장치와,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참여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참여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슬레이브장치의 수에 따라 슈퍼프레임 상에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채널 자원 할당을 동적으로 스케줄링하는 마스터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Apparatus for scheduling power transmission and data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스케줄링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 주변 환경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해 다양한 분야로 보편화되고 대규모로 확장됨에 따라 수많은 센서 디바이스가 도처에 사용되고 있으며, 전력 공급 측면에서 상시 전원 및 배터리 이외의 다른 수명 연장 방법의 필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최근, 전원 및 배터리 이외의 다른 수명 연장 방법의 방법으로 무선충전기술이 접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형 디바이스 또는 원거리 IoT 디바이스 무선충전을 위하여 RF(Radio Frequency)를 이용한 충전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RF를 이용해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은 전송효율이 매우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RF 무선전력전송의 전송효율을 극복하기 위하여 특정 위치로 전력을 빔포밍(beamforming) 하는 기술이 소개 되었다.
RF 무선전력전송을 통해 특정 위치로 전력을 빔포밍(beamforming) 하는 기술의 핵심은 전력을 원하는 위치로 정확히 포밍(forming)하여 송신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신단 특정 위치로 전력을 빔포밍하기 위해서는 전력을 보내는 송신단이 수신단의 위치를 알아야 한다. 수신단은 자신의 위치를 전력 송신단에 알려주기 위하여 특정 데이터 신호를 보내어 송신단으로 하여금 위치를 인식하게 한다. 이러한 방법은 retro-reflective 방식의 전력 빔포밍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에는 빔포밍 방식은 단일 수신 디바이스에 전력을 송신하는 구조로 제안되거나, 송신단에서 스케쥴링 기법 없이 전력을 송신하고 최적의 전력이 수신되었을 시 수신단이 그 정보를 송신단에 알려주는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다수의 수신 단말기가 존재할 때 비효율적일 뿐 아니라 채널 리소스를 낭비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25755호 2011년 11월 22일 공개 (명칭: 이동체를 이용한 전력 및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전력을 수신하는 슬레이브장치가 하나의 전력을 송신하는 마스터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네트워크 통신에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인 빔포밍을 적용하여 슬레이브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고 동시에 저전력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스케줄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는 네트워크의 참여를 요청하는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복수의 슬레이브장치와,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참여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참여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슬레이브장치의 수에 따라 슈퍼프레임 상에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채널 자원 할당을 동적으로 스케줄링하는 마스터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슈퍼프레임은 마스터 비콘(MB: Master Beacon),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Carrier Sense Mutliple Access) 및 채널시간할당(CTA: Channel Time Allocation)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시간할당 구간은 길이가 가변되는 전력 전송을 위한 전력시간할당(PTA: Power Time Allocation) 구간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시간할당(DTA: Data Time Allocation)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장치 중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장치는 상기 전력시간할당 구간 상의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된 슬롯에서 전력 비콘(PB: Power Beacon)을 전송하며, 상기 마스터장치는 상기 전력 비콘을 수신하면, 수신된 전력 비콘의 위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식별된 위치로 빔포밍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장치 중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장치는 상기 데이터시간할당 구간 상의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된 슬롯에서 데이터 비콘(DB: Data Beacon)을 전송하며, 상기 마스터장치는 상기 데이터 비콘을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 비콘의 위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식별된 위치로 빔포밍하여 상기 슬레이브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슬레이브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시간할당 구간은 상기 마스터장치가 상기 슬레이브장치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전력 슬롯(P-Slot: Power Slot)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 슬롯은 전력 비콘, 전력 전송(P_Tx: Power Tx) 및 전력 수신(P_Rx: Power Rx)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시간할당 구간의 길이는 상기 슬레이브장치의 요청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전력 전송 및 전력 수신 구간의 시간과, 상기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되는 전력 슬롯의 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시간할당 구간은 상기 마스터장치와 상기 슬레이브장치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복수의 데이터 슬롯(D-Slot: Data Slot)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슬롯은 데이터 비콘, 데이터 전송(D_Tx: Data Tx) 및 데이터 수신(D_Rx: Data_Rx)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시간할당 구간의 길이는 상기 슬레이브장치의 요청에 따라 변경되는 데이터 전송 및 데이터 수신 구간의 시간과 상기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되는 데이터 슬롯의 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장치 중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와 상기 마스터장치는 상기 데이터시간할당 구간 상의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슬롯에서 상기 데이터 비콘 없이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은 마스터장치가 마스터 비콘(MB: Master Beacon) 구간,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Carrier Sense Mutliple Access) 구간 및 채널시간할당(CTA: Channel Time Allocation) 구간을 포함하는 슈퍼프레임의 마스터 비콘 구간에서 마스터 비콘을 전송하는 단계와, 복수의 슬레이브장치가 상기 마스터 비콘을 수신하면,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장치가 상기 참여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참여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슬레이브장치의 수에 따라 전력시간할당(PTA: Power Time Allocation) 구간 및 데이터시간할당(DTA: Data Time Allocation) 구간을 포함하는 상기 채널시간할당 구간 상에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채널 자원 할당을 동적으로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 자원 할당을 동적으로 스케줄링하는 단계 후,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장치 중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장치가 상기 전력시간할당 구간 상의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된 전력 슬롯(P-Slot: Power Slot)에서 전력 비콘(PB: Power Beacon)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장치가 상기 전력 비콘을 수신하면, 수신된 전력 비콘의 위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장치가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식별된 위치로 빔포밍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채널 자원 할당을 동적으로 스케줄링하는 단계 후,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장치 중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장치가 상기 데이터시간할당 구간 상의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슬롯(D-Slot: Data Slot)에서 데이터 비콘(DB: Data Beacon)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장치가 상기 데이터 비콘을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 비콘의 위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장치가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식별된 위치로 빔포밍하여 상기 슬레이브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슬레이브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채널 자원 할당을 동적으로 스케줄링하는 단계 후,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장치 중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와 상기 마스터장치는 상기 데이터시간할당 구간 상의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슬롯에서 데이터 비콘 없이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력시간할당 구간은 상기 마스터장치가 상기 슬레이브장치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전력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 슬롯은 전력 비콘, 전력 전송(P_Tx: Power Tx) 및 전력 수신(P_Rx: Power Rx)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시간할당 구간의 길이는 상기 슬레이브장치의 요청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전력 전송 및 전력 수신 구간의 시간과, 상기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되는 전력 슬롯의 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시간할당 구간은 상기 마스터장치와 상기 슬레이브장치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복수의 데이터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슬롯은 데이터 비콘, 데이터 전송(D_Tx: Data Tx) 및 데이터 수신(D_Rx: Data_Rx)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시간할당 구간의 길이는 상기 슬레이브장치의 요청에 따라 변경되는 데이터 전송 및 데이터 수신 구간의 시간과 상기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되는 데이터 슬롯의 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환경에서 단일 채널을 사용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슬레이브장치에 효율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력을 전송하는 마스터장치는 슬레이브장치로부터 수신된 비콘(beacon)을 통해 변화되는 위상을 산출하여 그 슬레이브장치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해당 슬레이브장치의 위치로 전력과 데이터를 동시에 집중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데이터와 전력을 동일 채널에서 전송하는 효율적인 스케줄링을 제시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복수의 슬레이브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스케줄링에 의해 상호 간섭 없이 전력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비콘(MB) 구간 및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구간에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시간할당(PTA) 구간에서 마스터장치와 슬레이브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에서 마스터장치와 슬레이브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장치와 복수의 슬레이브장치 간의 일대다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장치와 복수의 슬레이브장치 간의 일대다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장치의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장치의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단일 채널에서 휴대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센서 디바이스 등의로의 전력(Power)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최적 자원할당 스케쥴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일한 채널 상에서 전력을 수신하는 다수의 수신단 디바이스가 하나의 전력 송신단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스케줄링 메카니즘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수신단 디바이스의 전력을 공급하고, 다수의 수신단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하나의 전력 송신단이 동일한 채널에서 전력 수신단에 전력과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다수개의 수신단으로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저전력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는 네트워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일대다 통신 구조로 전력을 전송하는 하나의 마스터(master)장치(100)와 전력을 수신하는 복수의 슬레이브(slave)장치(200)를 포함한다. 마스터장치(100)는 빔포밍을 위한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시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슬레이브장치(200)는 휴대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센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스터장치(100)가 빔포밍을 통해 슬레이브장치(200)에 전력을 공급하고, 이와 동시에 마스터장치(100)와 슬레이브장치(200) 간에 저전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퍼프레임(SF: Superfame) 상에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퍼프레임(SF)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퍼프레임(SF: Superfame)은 마스터 비콘(MB: Master Beacon) 구간,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Carrier Sense Mutliple Access) 구간 및 채널시간할당(CTA: Channel Time Allocation) 구간을 포함한다.
마스터 비콘(MB) 구간은 마스터장치(100)가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로 마스터 비콘(MB: Master Beacon)을 브로드캐스트로 전송하는 구간이다.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구간은 마스터 비콘(MB) 구간에서 마스터 비콘(MB)을 수신한 슬레이브장치(200)가 마스터장치(100)로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간이다. 이에 따라, 마스터장치(100)는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구간에서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로부터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마스터장치(100)는 참여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슬레이브장치(200)의 수에 따라 슈퍼프레임(SF)의 채널시간할당(CTA) 구간 상에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채널 자원 할당을 동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다.
채널시간할당(CTA) 구간은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구간이다. 마스터장치(100)는 참여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슬레이브장치(200) 각각에 대해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채널 자원을 할당한다. 이러한 채널시간할당(CTA) 구간은 전력시간할당(PTA: Power Time Allocation) 구간 및 데이터시간할당(DTA: Data Time Allocation) 구간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력시간할당(PTA) 구간은 마스터장치(100)가 슬레이브장치(200)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구간이다. 이러한 전력시간할당(PTA) 구간은 전력 전송을 위한 복수의 전력 슬롯(P-Slot: Power-Slot)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은 마스터장치(100)가 슬레이브장치(200)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구간이다. 이러한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복수의 데이터 슬롯(D-Slot: Data Slot)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슈퍼프레임과 달리 전력을 전송을 위한 전력 슬롯(P-Slot)을 따로 할당하는 점에서 구조적으로 차이가 현저하다. 또한, 본 발명은 슈퍼프레임(SF) 상에서 네트워크의 동기화를 위한 비콘인 마스터 비콘(MB) 이외에 전력을 수신하는 슬레이브장치(200)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전력 비콘(PB: Power Beacon)과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요청을 위한 데이터 비콘(DB: Data Beacon)을 추가적으로 사용한다.
마스터 비콘(MB) 구간은 마스터 비콘(MB)이 전송되는 구간이다. 마스터 비콘(MB)은 마스터장치(100)가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로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는 비콘이다. 이러한 마스터 비콘(MB)은 마스터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 위치한, 즉, 마스터장치(100)의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한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의 동기를 맞추는 역할을 수행한다. 마스터 비콘(MB)은 채널시간할당(CTA) 구간의 전력시간할당(PTA) 구간 및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에 할당된 슬롯들(P-Slot, D-Slot)에 대한 정보인 슬롯 정보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슬롯 정보는 슬롯 개수, 슬롯 당 시간, SUT(Slot Unit Time), 슬롯 당 슬레이브 ID를 포함한다. 슬롯 정보에 포함된 슬롯 개수, 슬롯 당 시간은 슬레이브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시간 도메인 상 마스터 비콘(MB) 구간 이후,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Carrier Sense Mutliple Access) 구간이 존재한다.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구간은 마스터장치(100)와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 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구간이다.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구간에서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는 마스터장치(100)로 네트워크 참여 의사를 나타내는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마스터장치(100)는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 슬레이브장치(200)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마스터장치(100)는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 슬레이브장치(200)의 수에 따라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 슬레이브장치(200)가 전력시간할당(PTA) 구간과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 각각에서 전력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스케줄링을 통해 슬롯, 즉, 전력 슬롯(P-Slot: Power-Slot) 및 데이터 슬롯(D-Slot)을 할당한다. 이후, 마스터장치(100)는 할당된 슬롯 정보를 담아 참여요청(Joint Request)에 대한 응답을 슬레이브장치(200)로 전송하여 슬레이브장치(200)가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구간 내에서 전술한 과정이 반복되어 네트워크 형성이 완료된다.
시간 도메인 상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Carrier Sense Mutliple Access) 구간 이후, 채널시간할당(CTA) 구간이 존재한다. 채널시간할당(CTA) 구간은 전력 전송을 위한 전력시간할당(PTA) 구간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으로 구성된다. 목적에 따라 전력시간할당(PTA) 구간과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전력 전송이 우선시되어야 할 경우에는 채널시간할당(CTA) 구간 상에서 전력시간할당(PTA) 구간을 앞에 배치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이 우선시되어야 할 경우에는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을 먼저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전력시간할당(PTA) 구간과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의 시간은 할당된 슬레이브장치(200)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전력 및 슬레이브장치(200)와 통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매 슈퍼프레임(SF) 마다 가변될 수 있다.
전력시간할당(PTA) 구간은 마스터장치(100)가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에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전력 슬롯(P-Slo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력 슬롯(P-Slot)은 전력 비콘(PB) 구간과 전력 전송(P_Tx: Power Tx) 구간 및 전력 수신(P_Rx: Power Rx)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력 비콘(PB) 구간에서 전력 비콘(PB)이 전송되며, 슬레이브장치(200)는 마스터장치(100)로 마스터장치(100)가 전력을 포밍할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전력 비콘(PB)을 전송한다. 전력 비콘(PB)은 해당 슬레이브장치(2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위상 정보를 포함한다. 마스터장치(100)는 전력 비콘(PB)의 정보를 수신하여 각각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입사되는 신호의 위상을 추출하거나, 위치인식 알고리즘(예컨대, MUSIC 알고리즘 등)을 수행하여 전력을 빔포밍할 슬레이브장치(200)의 위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전력 전송(P_Tx: Power Tx) 구간 및 전력 수신(P_Rx: Power Rx) 구간의 시간은 슬레이브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력 슬롯(P-Slot)의 시간은 가변될 수 있다.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은 마스터장치(100)와 슬레이브장치(200) 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을 위한 다수개의 데이터 슬롯(D-Slo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 슬롯(D-Slot)은 데이터 비콘(DB) 구간, 데이터 전송(D_Tx: Data Tx) 구간 또는 데이터 수신(D_Rx: Data_Rx)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비콘(DB) 구간에서 데이터 비콘(DB)이 전송되며, 데이터 비콘(DB)은 마스터장치(100)와 슬레이브장치(200)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비콘이며, 슬레이브장치(200)에서 마스터장치(100)로 전송된다. 데이터 비콘(DB)도 전력 비콘(PB)과 마찬가지로 슬레이브장치(200)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정보, 예컨대, 위상 정보를 포함한다. 마스터장치(100)는 전력 전송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비콘(DB)에 담긴 위상 정보로 슬레이브의 위치를 계산하여 빔포밍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가 빔포밍함에 따라 신호대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가 커지고,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방법에 비해 더 작은 전력을 사용하여 슬레이브장치(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레이브장치(200)는 더 작은 전력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D_Tx: Data Tx) 구간 및 데이터 수신(D_Rx: Data_Rx) 구간의 시간은 슬레이브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데이터 슬롯(D-Slot)의 시간은 고정적이지 않다. 마스터장치(100) 또는 슬레이브장치(200)는 데이터 슬롯(D-Slot) 내에서 데이터 전송(D_Tx) 및 데이터 수신(D_Rx)을 모두 수행하거나 데이터 전송(D_Tx) 또는 데이터 수신(D_Rx)만을 수행할 수 있다. 슬레이브장치(200)가 전송해야할 데이터가 많을 경우, 필요에 따라 자신이 할당된 데이터 슬롯(D-Slot)에서 데이터 비콘(DB)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을 모두 데이터 전송(D_Tx) 구간으로만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상응하여 마스터장치(100)는 데이터 슬롯(D-Slot)에서 데이터 비콘(DB)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동안 데이터 수신(D_Rx)만을 수행할 수 있다. 슈퍼프레임(SF)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복되며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전력시간할당(PTA) 구간와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의 시간은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스터 비콘(MB) 구간 및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구간에서 마스터장치(100)와 슬레이브장치(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비콘(MB) 구간 및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구간에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마스터장치(100)는 마스터 비콘(MB) 구간에서 주변의 인접한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로 동기화를 위한 마스터 비콘(MB)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한다. 슬레이브장치(200)는 수신한 마스터 비콘(MB)을 통해 네트워크에 동기화하고,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구간에서 네트워크에 참여하고자 마스터로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마스터는 수신된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통해 네트워크에 참여된 슬레이브 수를 확인하고 스케줄링을 통해 슬레이브장치(200) 별로 슬롯(P-Slot, D-Slot)을 채널시간할당(CTA) 구간에 할당한다. 이에 따라, 채널시간할당(CTA) 구간 내에 할당된 슬롯(P-Slot, D-Slot)을 통해 전력 전송과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채널시간할당(CTA) 구간에서 마스터장치(100)와 슬레이브장치(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채널시간할당(CTA) 구간의 전력시간할당(PTA) 구간과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을 구분하여 마스터장치(100)와 슬레이브장치(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시간할당(PTA) 구간에서 마스터장치(100)와 슬레이브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에서 마스터장치(100)와 슬레이브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슈퍼프레임(SF)의 채널시간할당(CTA) 구간 내 전력시간할당(PTA) 구간과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에서의 비콘, 전력, 데이터 전송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스터비콘(MB), 전력 비콘(PB) 및 데이터 비콘(DB)의 총 3가지 비콘이 사용된다. 도 4의 전력시간할당(PTA) 구간에서 전력 비콘(PB)이 사용되며, 도 5의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에서 데이터 비콘(DB)이 사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력시간할당(PTA) 구간에서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 각각은 자신이 할당된 전력 슬롯(P-Slot) 서 전력을 요청하기 위해 전력 비콘(PB)을 마스터장치(100)로 전송한다. 마스터장치(100)는 수신된 전력 비콘(PB)에 포함된 위상 정보를 사용하여 슬레이브장치(200)의 위치를 파악하고,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통해 해당 위치로 빔포밍하여 집중적으로 전력을 전송한다. 이때, 빔포밍된 위치에서 전력을 수신하는 슬레이브장치(200)와 인접한 슬레이브장치(200)는 슬롯이 할당되지 않았기 때문에 모두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 따라서 해당 슬레이브장치(200)는 수신 모드를 통해 약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에서 슬레이브장치(200)는 마스터장치(100)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데이터 비콘(DB)을 전송한다. 마스터장치(100)는 데이터 비콘(DB)를 통해 위상을 계산하여 슬레이브장치(200)의 위치를 파악하고,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통해 파악된 위치의 슬레이브장치(200)를 향해 빔포밍한다. 그런 다음, 마스터장치(100)와 슬레이브장치(200)는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 내에 할당된 데이터 슬롯(D-Slot) 동안 데이터 전송(D_Tx) 또는 데이터 수신(D_Rx)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장치(100)와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 간의 일대다 통신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장치(100)와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 간의 일대다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네트워크에는 하나의 마스터장치(100)와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가 존재할 수 있고,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각 슬레이브장치(200)에 할당되는 슬롯(P-Slot, D-Slot)의 개수 및 슬롯(P-Slot, D-Slot) 당 시간은 가변적일 수 있다.
마스터장치(100)는 시작과 동시에 동기화를 위해 슈퍼프레임(SF)의 가장 처음에서 마스터 비콘(MB)을 전방향으로 전송한다. 마스터 비콘(MB)을 수신한 복수의 슬레이브(200)는 마스터장치(100)의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해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구간에서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마스터장치(100)로 전송한다. 마스터장치(100)는 수신되는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통해 슬레이브장치(200)의 개수를 파악한다. 이후, 마스터장치(100)는 스케줄링을 통해 네트워크에 참여된 각 슬레이브장치(200)를 전력시간할당(PTA) 구간 및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 내 어느 슬롯(P-Slot, D-Slot)에 할당할지 결정한다. 그런 다음, 마스터장치(100)는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스케줄링에 따라 할당한 슬롯 정보를 슬레이브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로써, 마스터장치(100)와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가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구간 이후, 채널시간할당(CTA) 구간이 시작되며, 채널시간할당(CTA) 구간 중 전력시간할당(PTA) 구간이 시작될 수 있다. 전력시간할당(PTA) 구간에서는 네트워크에 참여된 슬레이브장치(200)가 자신이 할당된 전력 슬롯(P-Slot)에서 마스터장치(100)로 전력 비콘(PB)을 전송함으로써 전력 전송을 요청하고, 뒤이어 전력을 수신한다. 마스터장치(100)는 전력 비콘(PB)을 통해 위상을 계산하여 전력 전송을 요청한 슬레이브장치(200)의 위치를 파악하고, 빔포밍을 통해 해당 위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각 슬레이브장치(200)에 할당되는 전력 슬롯(P-Slot)의 개수 및 시간은 슬레이브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에 대한 전력시간할당(PTA) 구간이 종료되면,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이 시작될 수 있다.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에서는 각 슬레이브장치(200)가 자신이 할당된 데이터 슬롯(D-Slot)에서 마스터장치(100)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비콘(DB)을 전송한다. 마스터장치(100)는 데이터 비콘(DB)의 위상 정보를 통해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비콘(DB)에 의해 빔포밍하여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슬레이브장치(200)의 전력 소비가 감소해 저전력으로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에서 각 슬레이브장치(200)에 할당되는 데이터 슬롯(D-Slot)의 개수 및 시간 또한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에 대한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이 종료되면, 새로운 슈퍼프레임(SF)이 시작되며, 전술한 과정이 반복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장치(100)와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 간의 일대다 통신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장치(100)와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 간의 일대다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전술한 도 6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에서 데이터 비콘(DB)이 사용된다. 도 7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에서 데이터 비콘(DB)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7의 실시예는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에서 데이터 비콘(DB)을 사용하지 않는 슈퍼프레임(SF) 구조를 사용한 마스터장치(100)와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 간의 일대다 통신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의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에서는 슬레이브장치(200)의 위상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비콘(DB)을 사용하여 빔포밍이 이루어지고, 빔포밍을 통해 전력 감소에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이 이루어졌다. 반면에, 도 7의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에서는 데이터 비콘(DB)을 사용하지 않고 마스터장치(100)와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 간에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비콘(DB) 전송 측면에서 사용되는 전력 소모의 감소와 더욱 긴 데이터 전송(D_Tx) 및 데이터 수신(D_Rx) 시간을 할당할 수 있다. 하지만 빔포밍을 통한 데이터 전송이 아니므로 SNR이 작아지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전송 가능 거리가 감소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가 하나의 마스터장치(1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스케쥴링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단일 혹은 복수의 복수의 슬레이브장치(200)와 하나의 마스터장치(100)가 단일 채널을 통하여 전력을 송신하고 데이터를 송수신 할 때 효율적인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RF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사용하여 예컨대, 휴대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센서 등의 슬레이브장치(200)는 전력 공급이 가능한 제한적인 곳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RF 도달 거리 내에 위치한다면, 하나의 동일한 채널에서 빔포밍을 통해 전력 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계속해서 변화되는 위상을 계산함으로써 위치가 고정적인 슬레이브장치(200)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위치가 변하는 유동적인 슬레이브장치(200)에도 무선 전력 전송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장치(100) 및 슬레이브장치(200) 각각의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장치(100)의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장치(100)의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마스터장치(100)는 S110 단계에서 마스터 비콘(MB)을 전송하여 동기화를 수행하고, S120 단계에서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가 수신을 대기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장치(100)는 S130 단계에서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마스터장치(100)는 S140 단계로 진행하여 전력 및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한다. 즉, 마스터장치(100)는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여 슬레이브장치(200)의 수를 확인한 후,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 슬레이브장치(200)가 전력시간할당(PTA) 구간 및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 각각에서 전력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슬롯을 할당한다.
이어서, 마스터장치(100)는 S150 단계에서 전력 비콘(PB) 수신을 대기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장치(100)는 S160 단계에서 전력 비콘(PB)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전력 비콘(PB)을 수신하면, 마스터장치(100)는 S170 단계에서 전력 비콘(PB)에 포함된 위상 정보로부터 슬레이브장치(200)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를 향하여 빔포밍하여 전력을 전송한다.
다음으로, 마스터장치(100)는 S180 단계에서 데이터 비콘(DB) 수신을 대기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장치(100)는 S190 단계에서 데이터 비콘(DB) 수신을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데이터 비콘(DB)을 수신하면, 마스터장치(100)는 S200 단계에서 데이터 비콘(DB)에 포함된 위상 정보로부터 슬레이브장치(200)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를 향하여 빔포밍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S110 단계 내지 S200 단계의 마스터장치(100)의 동작은 마스터장치(100)가 비활성화되거나, 종료될 때까지 반복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장치(200)의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장치(200)의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슬레이브장치(200)는 S210 단계에서 마스터 비콘(MB)을 수신을 위해 대기한다. 이에 따라, 슬레이브장치(200)는 S220 단계에서 마스터 비콘(MB)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마스터 비콘(MB)을 수신하면, 슬레이브장치(200)는 S230 단계에서 시간 도메인 상 전력시간할당(PTA) 구간 내에서 자신이 할당된 전력 슬롯(P-Slot)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S230 단계의 확인 결과, 자신이 할당된 전력 슬롯(P-Slot)이면, 슬레이브장치(200)는 S240 단계에서 마스터장치(100)로 전력 비콘(PB)을 전송한다. 그런 다음, 슬레이브장치(200)는 S250 단계에서 전력 수신을 위해 대기한다. 이에 따라, 슬레이브장치(200)는 S260 단계에서 전력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S260 단계의 확인 결과, 전력을 수신하면, 슬레이브장치(200)는 S270 단계에서 시간 도메인 상 데이터시간할당(DTA) 구간 내에서 자신이 할당된 데이터 슬롯(D-Slot)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S270 단계의 확인 결과, 자신이 할당된 데이터 슬롯(D-Slot)이면, 슬레이브장치(200)는 S280 단계에서 마스터장치(100)로 데이터 비콘(DB)을 전송한다. 그런 다음, 슬레이브장치(200)는 S290 단계에서 자신이 할당된 데이터 슬롯(D-Slot) 동안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와이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마스터장치
200: 슬레이브장치

Claims (14)

  1.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참여를 요청하는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복수의 슬레이브장치; 및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참여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참여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슬레이브장치의 수에 따라 슈퍼프레임 상에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채널 자원 할당을 동적으로 스케줄링하는 마스터장치;를 포함하는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퍼프레임은
    마스터 비콘(MB: Master Beacon),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Carrier Sense Mutliple Access) 및
    채널시간할당(CTA: Channel Time Allocation)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시간할당 구간은
    길이가 가변되는
    전력 전송을 위한 전력시간할당(PTA: Power Time Allocation) 구간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시간할당(DTA: Data Time Allocation)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장치 중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장치는
    상기 전력시간할당 구간 상의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된 슬롯에서 전력 비콘(PB: Power Beacon)을 전송하며,
    상기 마스터장치는
    상기 전력 비콘을 수신하면, 수신된 전력 비콘의 위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식별된 위치로 빔포밍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장치 중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장치는
    상기 데이터시간할당 구간 상의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된 슬롯에서 데이터 비콘(DB: Data Beacon)을 전송하며,
    상기 마스터장치는
    상기 데이터 비콘을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 비콘의 위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식별된 위치로 빔포밍하여 상기 슬레이브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슬레이브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시간할당 구간은
    상기 마스터장치가 상기 슬레이브장치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전력 슬롯(P-Slot: Power Slot)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 슬롯은
    전력 비콘, 전력 전송(P_Tx: Power Tx) 및 전력 수신(P_Rx: Power Rx)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시간할당 구간의 길이는
    상기 슬레이브장치의 요청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전력 전송 및 전력 수신 구간의 시간과, 상기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되는 전력 슬롯의 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시간할당 구간은
    상기 마스터장치와 상기 슬레이브장치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복수의 데이터 슬롯(D-Slot: Data Slot)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슬롯은
    데이터 비콘, 데이터 전송(D_Tx: Data Tx) 및 데이터 수신(D_Rx: Data_Rx)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시간할당 구간의 길이는
    상기 슬레이브장치의 요청에 따라 변경되는 데이터 전송 및 데이터 수신 구간의 시간과 상기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되는 데이터 슬롯의 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장치 중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와 상기 마스터장치는
    상기 데이터시간할당 구간 상의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슬롯에서 상기 데이터 비콘 없이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9.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장치가 마스터 비콘(MB: Master Beacon) 구간, 반송파감지다중접속(CSMA: Carrier Sense Mutliple Access) 구간 및 채널시간할당(CTA: Channel Time Allocation) 구간을 포함하는 슈퍼프레임의 마스터 비콘 구간에서 마스터 비콘을 전송하는 단계;
    복수의 슬레이브장치가 상기 마스터 비콘을 수신하면, 참여요청(Joi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장치가 상기 참여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참여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슬레이브장치의 수에 따라 전력시간할당(PTA: Power Time Allocation) 구간 및 데이터시간할당(DTA: Data Time Allocation) 구간을 포함하는 상기 채널시간할당 구간 상에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채널 자원 할당을 동적으로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자원 할당을 동적으로 스케줄링하는 단계 후,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장치 중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장치가 상기 전력시간할당 구간 상의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된 전력 슬롯(P-Slot: Power Slot)에서 전력 비콘(PB: Power Beacon)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장치가 상기 전력 비콘을 수신하면, 수신된 전력 비콘의 위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장치가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식별된 위치로 빔포밍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자원 할당을 동적으로 스케줄링하는 단계 후,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장치 중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장치가 상기 데이터시간할당 구간 상의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슬롯(D-Slot: Data Slot)에서 데이터 비콘(DB: Data Beacon)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장치가 상기 데이터 비콘을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 비콘의 위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장치가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식별된 위치로 빔포밍하여 상기 슬레이브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슬레이브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자원 할당을 동적으로 스케줄링하는 단계 후,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장치 중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와 상기 마스터장치는 상기 데이터시간할당 구간 상의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된 데이터 슬롯에서 데이터 비콘 없이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시간할당 구간은
    상기 마스터장치가 상기 슬레이브장치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전력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 슬롯은
    전력 비콘, 전력 전송(P_Tx: Power Tx) 및 전력 수신(P_Rx: Power Rx)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시간할당 구간의 길이는
    상기 슬레이브장치의 요청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전력 전송 및 전력 수신 구간의 시간과, 상기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되는 전력 슬롯의 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시간할당 구간은
    상기 마스터장치와 상기 슬레이브장치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복수의 데이터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슬롯은
    데이터 비콘, 데이터 전송(D_Tx: Data Tx) 및 데이터 수신(D_Rx: Data_Rx)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시간할당 구간의 길이는
    상기 슬레이브장치의 요청에 따라 변경되는 데이터 전송 및 데이터 수신 구간의 시간과 상기 슬레이브장치에 할당되는 데이터 슬롯의 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KR1020190152093A 2018-11-30 2019-11-25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388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6313 WO2020111707A1 (ko) 2018-11-30 2019-11-26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095 2018-11-30
KR20180152095 2018-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560A true KR20200066560A (ko) 2020-06-10
KR102388018B1 KR102388018B1 (ko) 2022-04-20

Family

ID=7108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093A KR102388018B1 (ko) 2018-11-30 2019-11-25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0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264A (ko) * 2020-09-01 2022-03-0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정보 및 전력 동시 전송시 채널 적응을 통한 전력 수신 효율 증가를 위한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2445A (ko) * 2020-09-07 2022-03-1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정보 및 전력 동시 전송시 전력 수신 효율 증가를 위한 무선 협업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755A (ko) 2010-05-14 2011-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체를 이용한 전력 및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40017760A (ko) * 2012-07-31 2014-02-1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무선통신 기반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무선 충전 방법
KR20140017758A (ko) * 2012-07-31 2014-02-1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다수 장치 동시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 방법
KR20170132889A (ko) * 2015-04-10 2017-12-04 오시아 인크. 다중 충전기 무선 전력 전달 환경의 충전기 접속 수립 기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755A (ko) 2010-05-14 2011-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체를 이용한 전력 및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40017760A (ko) * 2012-07-31 2014-02-1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무선통신 기반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무선 충전 방법
KR20140017758A (ko) * 2012-07-31 2014-02-1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다수 장치 동시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 방법
KR20170132889A (ko) * 2015-04-10 2017-12-04 오시아 인크. 다중 충전기 무선 전력 전달 환경의 충전기 접속 수립 기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264A (ko) * 2020-09-01 2022-03-0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정보 및 전력 동시 전송시 채널 적응을 통한 전력 수신 효율 증가를 위한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2445A (ko) * 2020-09-07 2022-03-1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정보 및 전력 동시 전송시 전력 수신 효율 증가를 위한 무선 협업 충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018B1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807B1 (ko) 단말 대 단말 통신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
US9064404B2 (en) Method and system of radio frequency (RF) power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KR100711094B1 (ko) 분산 통신 환경에서의 이동체들 간의 자원 할당 방법
JP5266413B2 (ja) 高周波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全方向性通信および指向性通信の組み合わせ
US201302103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wireless power and data communication
WO2017121109A1 (zh) 一种上行接入方法、装置及终端和基站
EP3294023B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8370566A (zh) 方法、基站、基础设施节点以及通信终端
KR101525978B1 (ko) 간섭 인지 기반의 d2d 자원 할당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87253A (ko) 무선통신시스템, 무선통신장치와 무선통신방법 및컴퓨터·프로그램
KR20130125903A (ko) 통신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40017B1 (ko) 전력 및 데이터를 무선 전송을 하기 위한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JP2012525060A (ja) ボディ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ピコネットを駆動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301249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device-to-device service system
EP2253104A2 (en) Beaconing and frame structure for directional antenna communications
JP5364785B2 (ja) チャンネル時間を割り当てし両立性あるリンクを決める方法及びデータ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
KR102388018B1 (ko)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4012408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CN113727448A (zh) 一种边链路感知资源配置方法和设备
US20150365156A1 (en) Communication control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2011526430A5 (ko)
JP2011517392A (ja) ビームトラッキングプロセス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
KR102342344B1 (ko)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CN110380782B (zh) 水下多机器人编队的无线光通信邻居发现系统及方法
US20230199819A1 (en) Communication techniques for sidelink transmission in millimeter-wave dom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