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020A -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020A
KR20200066020A KR1020180153047A KR20180153047A KR20200066020A KR 20200066020 A KR20200066020 A KR 20200066020A KR 1020180153047 A KR1020180153047 A KR 1020180153047A KR 20180153047 A KR20180153047 A KR 20180153047A KR 20200066020 A KR20200066020 A KR 20200066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privacy
equipment
candidate object
privacy infri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3862B1 (ko
Inventor
정연수
Original Assignee
(주)지혜와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혜와비전 filed Critical (주)지혜와비전
Priority to KR1020180153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862B1/ko
Priority to PCT/KR2018/015153 priority patent/WO2020111353A1/ko
Publication of KR20200066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a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은,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탐지대상 영역 내에서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의 후보객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후보객체에 대한 전파 탐지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전파 탐지의 수행 결과, 측정된 전파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후보객체를 사생활 침해장비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PRIVACY INVASION DEVICE}
본 발명은 사생활 침해 장비 탐지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는 의심 장비를 탐지하여 특정 영역 내의 다양한 객체로부터 추출해내는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청, 감청 장비 및 몰래 카메라와 같이 불법적인 사생활 침해 장비들이 사적 공간에 설치되어, 동의없이 사생활이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사생활 침해는, 유명인에서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그 대상이 확대되고 있으며,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대중 일반에 무차별적으로 유포됨으로써, 사생활 피침해자에게 회복 불가능 수준의 피해를 발생시킨다.
사생활 침해를 예방하고, 이로 인한 피해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생활 침해 목적의 장비에 대한 탐지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사생활 침해 목적의 장비는 전파를 발생시키므로, 사생활 침해 목적의 장비에 대한 탐지장치는 전파 탐지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전파 탐지 기능의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생활 침해 목적의 장비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서 전파 탐지가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생활 침해 목적의 장비의 특정 공간 내 설치여부를 탐지하려면 사용자가 탐지장치를 파지하고, 특정 공간의 모든 면적을 소정의 거리 간격으로 필터링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사생활 침해 목적의 장비 외에 전파를 발생시키는 일반 전자 제품에 대한 불필요한 전파탐지가 수행되게 된다.
그럼에도, 전파 탐지의 대상 영역과 장비 범위를 한정하여 신속한 탐지를 가능케하는 장치 및 전파 탐지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0840337 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생활 침해 용도의 장비에 대한 탐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여, 사생활 침해 장비에 대한 후보객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객체를 대상으로 전파탐지를 수행함으로써, 전파탐지 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미지 상의 객체에 대한 학습을 바탕으로 획득된 이미지 상에서 식별된 객체를 사생활 침해 후보객체에서 제외함으로써, 탐지 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진입하는 공간의 사생활 침해 목적의 장비에 대한 탐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중복 탐지를 수행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은,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탐지대상 영역 내에서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의 후보객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후보객체에 대한 전파 탐지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전파 탐지의 수행 결과, 측정된 전파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후보객체를 사생활 침해장비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탐지대상 영역 내에서 상기 후보객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열화상 이미지 상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 형성하는 영역을 상기 후보객체로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열화상 이미지 상에서, 상기 후보객체를 식별시키는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 형성하는 영역을 상기 후보객체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 중 연속된 제1 그룹의 픽셀로 구성된 제1 영역을 제1 후보객체로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이격되고, 연속된 제2 그룹의 픽셀로 구성된 제2 영역을 제2 후보객체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후보객체를 제1 지시자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후보객체를 제2 지시자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은,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일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일반 이미지의 깊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장치로부터 상기 제1 후보객체 및 상기 제2 후보객체의 거리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거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후보객체 및 상기 제2 후보객체 중 전파 탐지 수행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지시자 및 상기 제2 지시자를 상기 우선순위를 기초로 식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은,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일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미리 학습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일반 이미지 내의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의 후보객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객체 중, 상기 식별된 객체를 제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은, 상기 탐지대상 영역을 사생활 침해 의심영역 및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 중 어느 하나로 등록하기 위하여, 상기 전파 탐지의 수행 결과 및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은, 상기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미리 수행된 전파 탐지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탐지대상 영역이 사생활 침해 의심영역 또는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은,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일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미리 학습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일반 이미지 내의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와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탐지대상 영역 내에서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의 후보객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후보객체 중, 상기 식별된 객체 이외의 최종 후보객체를 사생활 침해장비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은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으로서, 탐지대상 영역에 제1 사용자 단말의 진입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탐지대상 영역이 미리 등록된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인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에 대한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의 수행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에 제2 사용자 단말의 진입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진입한 상기 탐지대상 영역이 미리 등록된 사생활 침해 의심영역인 경우, 상기 탐지대상 영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사생활 침해 안심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사생활 침해 안심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장치는, 탐지대상 영역의 열화상 이미지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부와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탐지대상 영역 내에서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의 후보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후보객체에 대한 전파 탐지를 수행하는 전파 탐지부와 상기 전파 탐지의 수행 결과, 측정된 전파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후보객체를 사생활 침해장비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생활 침해장비를 탐지함으로써, 탐지거리에 한계가 있는 전파 탐지 방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소정의 거리에서 탐지대상 영역의 전면에 대한 탐지를 수행하지 않고, 열화상 이미지에서 의심객체에 대한 탐지만을 수행하므로, 탐지대상 영역이 줄어들고, 탐지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반 이미지 상에서 사생활 침해장비가 아닌 장비를 식별함으로써, 탐지대상 장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3자의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을 탐지결과에 접근하여, 재차 탐지 없더라도 공간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장치의 블록(Block)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사생활 침해장비의 후보객체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의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 데이터를 이용한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일반 이미지 상에서 식별된 정상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서버의 안심영역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생활 침해장비는 도청기, 감청기, 몰래카메라와 같이 사생활 침해의 용도로 제작된 물건 또는 사생활 침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물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시스템은 탐지시스템으로,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장치는 탐지장치로,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은 탐지방법으로 약칭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탐지시스템은, 탐지장치(100), 탐지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탐지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탐지장치(1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랩톱 PC, PDA와 같은 이동식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고, 스마트 시계 등의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 VR(Virtual Reality) 영상 장치, AR(Augmented Reality) 영상 장치 등과 같은 컴퓨팅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탐지서버(200)는 데스크톱 PC, 서버 장치 등과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탐지장치(100)는 영역(10)에 진입하는 경우, 이에 대한 영역(10)에 대한 위치 정보 등을 탐지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탐지장치(100)가 사생활 침해장비(300)를 탐지하는 경우, 탐지 정보를 탐지서버(2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탐지장치(100)가 사생활 침해장비(300) 대한 정보를 탐지서버(200)로 송신하면, 탐지서버(200)는, 사생활 침해장비에 대한 탐지가 수행되었으나, 사생활 침해장비가 발견되지 않은 다른 영역(11), 영역(12)에 대한 정보를 탐지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영역(11), 영역(12)에 대한 정보는 다른 사용자의 탐지장치에 의해 미리 탐지되어,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으로 등록된 영역일 수 있다.
탐지서버(200)는 탐지장치(100)에 탐지장치(100)의 위치정보 기초로 영역(10)과 인근한 영역(11), 영역(12)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탐지서버(200)는 영역(10)과 동종의 장소, 예를 들어, 영역(10)이 숙박업소인 경우, 탐지장치(100)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동종의 공간인 숙박업소(11, 12) 중,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으로 등록된 영역(12)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탐지장치(100)의 사용자는, 인근의 동종 공간을 검색할 필요없이 탐지서버(20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영역(12)이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이므로, 탐지장치(100)의 사용자는, 영역(12)에 진입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영역(12)에 대한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를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탐지장치(100)가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에 진입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는 도 7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탐지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탐지장치(100)의 블록(Block)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탐지장치(100)는 통신부(110), 이미지 획득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전파탐지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획득부(120)는, 카메라부(121) 및 열화상 카메라부(123)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탐지장치(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공중 통신망인 인터넷 외에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 및 접속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120)는 가시광선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21)를 포함하며,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부(121)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일반 이미지로 칭한다. 이미지 획득부(120)는 열화상 카메라부(123)를 포함하며, 열화상 카메라부(123)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열화상 이미지라 칭한다. 열화상 카메라부(123)는 예를 들어, 적외선 카메라(Infrared Camera) 모듈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열화상 이미지와 일반 이미지를 출력하며, 사생활 침해장비 후보객체에 대한 지시자(indicator)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입력부로 기능할 수도 있다.
전파탐지부(140)는 사생활 침해장비가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탐지부(140)는 1.2㎓ 또는 2.4㎓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탐지할 수 있다. 전파탐지부(140)는 소정의 거리 범위 내의 사생활 침해장비를 탐지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50)는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 사생활 침해 의심영역 등 공간에 대한 정보, 이미지 상의 객체에 대한 학습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및 스토리지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로드(load)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탐지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탐지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상의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60)는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기계 학습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기계 학습 모델이 구동됨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 자세 이미지 프레임을 분석하여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계 학습 모델은, 인공 신경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컨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오토 인코더(auto encoder), 피드포워드 신경망(feedforward neural network), 방사 신경망(radial basis function network), 코헨 자기조직 신경망(kohonen self-organizing network), 순환 신경망(RNN:recurrent neural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 학습 모델이 컨볼루션 신경망에 의한 것일 경우, 제어부(160)에 의해 기계 학습 모델이 구동됨에 따라, 일반 이미지의 특징 값이 필터링되고, 컨볼루션 계산을 통해 여러 이미지 픽셀 중 특정한 값만 새롭게 취해진다. 이를 반복 학습함으로써, 이미지 상에서 반복적으로 얻어지는 특정한 픽셀 사이의 관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탐지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사생활 침해장비의 후보객체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의 예시이다.
이하의 각 단계는 탐지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며, 특히, 이하의 각 단계는 제어부(160)가 탐지장치(100)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도 4에서, 탐지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 열화상 이미지(400)가 예로써 도시되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탐지장치(100)는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10). 열화상 이미지(400)는 탐지장치(100)의 이미지 획득부(120) 중, 열화상 카메라부(123)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이다.
탐지장치(100)는 열화상 이미지(400) 상에서, 사생활 침해장비의 후보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S20). 후보객체는 사생활 침해장비로 의심되는 장비일 수 있다. 탐지장치(100)는 열화상 이미지(400) 상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 형성하는 영역을 후보객체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탐지장치(100)는, 열화상 이미지(400) 상에서, 상기 후보객체를 식별시키는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하나의 픽셀 또는 복수개의 연속된 픽셀이 형성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지시자의 예시로, 지시자(410), 지시자(420), 지시자(430)가 도시되었다. 지시자는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의 연속된 픽셀이 형성하는 영역의 크기, 모양, 픽셀 값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 색상,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서 지시자의 예시로 박스형의 지시자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지 않는다.
탐지장치(100)는, 탐지장치(100)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지시자의 색상 또는 모양을 달리 표현할 수도 있다. 탐지장치(100)는, 지시자에 대하여, 블링크 효과 등의 시각적인 식별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탐지장치(100)는 제1 그룹의 픽셀이 형성하는 영역의 후보객체를 추출하고, 제2 그룹의 픽셀이 형성하는 영역의 후보객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제1 그룹의 픽셀 및 제2 그룹의 픽셀은 동일한 기준 값 이상의 픽셀 값을 갖는 연속된 픽셀군일 수 있다.
탐지장치(100)는 제1 그룹의 픽셀로 구성된 제1 영역을 제1 후보객체로, 제2 그룹의 픽셀로 구성된 제2 영역을 제2 후보객체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하나의 영역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나뉘어 잘못 식별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탐지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영역에 한하여, 서로 다른 영역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탐지장치(100)는 제1 후보객체를 제1 지시자(410)로 디스플레이하고, 제2 후보객체를 제2 지시자(420)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탐지장치(100)는 서로 다른 기준 값을 갖는 픽셀 군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각각 제1 후보객체 및 제2 후보객체로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생활 침해장비의 종류에 따라 열화상 이미지의 픽셀 값이 다른 경우라도, 탐지장치(100)는 복수개의 픽셀값 범위 기준을 저장하고, 이를 기초로 후보객체를 추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탐지장치(100)는 후보객체에 대한 전파 탐지를 수행할 수 있다(S30). 탐지장치(100)는 지시자(410), 지시자(420), 지시자(430)에 대한 전파 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탐지장치(100)는 지시자의 연속된 픽셀군이 형성하는 영역의 크기 또는 픽셀값의 크기 등에 따라 전파탐지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우선순위에 따른 전파탐지 수행을 가이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지시자를 우선순위 별로 시각적인 식별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탐지장치(100)는 전파 탐지의 수행 결과, 측정된 전파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S40), 후보객체를 사생활 침해장비로 결정할 수도 있다(S50). 예를 들어,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지시자(410)에 해당하는 객체의 전파 측정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탐지장치(100)가 후보객체를 사생활 침해장비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다른 영역에 대한 전파탐지를 하지 않더라도, 탐지대상 영역이 사생활 침해장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 데이터를 이용한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일반 이미지 상에서 식별된 정상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여기에서 정상객체는, 사생활 침해장비가 아님에도, 열화상 이미지 상에서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픽셀 값을 나타내는 객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TV,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은, 열을 방출하지만, 사생활 침해장비는 아닌 정상객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탐지장치(100)는, 카메라부(121)를 통해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일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501), 또한, 탐지장치(100)는 도 3의 단계(S10)과 같이,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 획득할 수도 있다(S502). 도 6에서 일반 이미지(600)가 예로써 도시되었다.
탐지장치(100)는 일반 이미지(600) 상에서 학습데이터 기반의 정상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S503). 즉, 탐지장치(100)는 이미지에 대한 기계 학습을 통해, 일반 이미지(600) 상에서 TV(610), 전등(620), 홈 오토 시스템(630)과 같은 정상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탐지장치(100)는 열화상 이미지를 기초로 후보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S504). 또한, 탐지장치(100)는, 후보객체 중, 정상객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505). 예를 들어, 정상객체인, TV(610), 전등(620), 홈 오토 시스템(630)이 후보객체로도 추출된 경우, 탐지장치(100)는 전체 후보객체 중, 정상객체를 제외시키고 최종 후보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S506). 탐지장치(100)는 최종후보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507).
일 실시예에서, 탐지장치(100)는 최종후보객체를 사생활 침해장비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탐지장치(100)는 최종후보객체에 대하여, 도 3의 단계(S30)과 같은, 전파 탐지를 수행하고, 이를 기초로, 최종후보객체를 사생활 침해장비로 판단하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탐지장치(100)는 일반 이미지(600)로부터 객체에 대한 깊이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열화상 이미지 상의 후보객체에 대한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즉, 탐지장치(100)는 제1 후보객체 및 제2 후보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탐지장치(100)로부터 제1 후보객체 및 제2 후보객체 각각에 대한 거리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탐지장치(100)는 식별된 거리 정보를 기초로, 제1 후보객체 및 제2 후보객체 중 전파 탐지 수행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탐지장치(100)는, 각 후보객체에 대응되는 제1 지시자 및 제2 지시자를 결정된 우선순위를 기초로 식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후보객체가 사생활 침해장비로 결정된 경우, 탐지장치(100)는 탐지서버(200)에 탐지대상 영역을 사생활 침해 의심영역으로 등록할 수 있다. 반대로, 후보객체가 사생활 침해장비가 아닌 것으로 결정된 경우, 탐지장치(100)는 탐지서버(200)에 탐지대상 영역을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으로 등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탐지장치(100)는 전파 탐지의 수행 결과 및 사생활 침해장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서버로 송신할 수도 있다. 사생활 침해장비에 대한 정보는, 픽셀 값, 전파 값, 크기 등에 대한 정보, 학습된 데이터 기반으로 식별되는 사생활 침해장비의 종류 등에 대한 정보, 탐지대상 영역의 위치, 주소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탐지서버(200)는 이 같은 탐지장치(100)에 의해 탐지대상 영역에 대하여 미리 수행된 전파 탐지의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탐지서버(200)는 전파 탐지 결과를 탐지대상 영역에 진입하는 다른 사용자의 탐지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의 탐지장치는 탐지대상 영역이 사생활 침해 의심영역 또는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의 탐지장치는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판단 결과를 기초로,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탐지장치는 하나의 탐지시스템에서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복수개의 탐지장치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 칭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탐지서버의 안심영역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탐지서버(200)는 탐지대상 영역에 제1 사용자 단말의 진입을 식별할 수 있다(S701). 이를 위해 탐지서버(200)는 사생활 침해 탐지시스템에 속한 사용자 단말에 사생활 침해방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탐지시스템에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속한 것으로 가정한다.
탐지서버(200)는 사생활 침해방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과 위치 정보 및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사생활 침해방지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부와 열화상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탐지서버(200)는 탐지대상 영역이 미리 등록된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에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S702). 이때,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그냥 탐지대상 영역을 안심영역으로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으나,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추가로 탐지를 수행할 수도 있다. 추가 탐지를 수행한 경우(S703), 탐지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에 대한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의 수행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탐지서버(200)는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의 수행 결과를 기초로, 기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704). 또한, 탐지서버(200)는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에 제2 사용자 단말의 진입이 감지됨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에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탐지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이 진입한 탐지대상 영역이 미리 등록된 사생활 침해 의심영역인 경우, 탐지대상 영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사생활 침해 안심 영역을 검색할 수 있다. 탐지서버(200)는 검색된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탐지서버(200)는 탐지대상 영역의 업종 정보 등을 미리 저장하고 동종의 서비스 제공 장소 중,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을 검색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송신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데스크탑 PC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와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으로서,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탐지대상 영역 내에서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의 후보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후보객체에 대한 전파 탐지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파 탐지의 수행 결과, 측정된 전파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후보객체를 사생활 침해장비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대상 영역 내에서 상기 후보객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열화상 이미지 상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 형성하는 영역을 상기 후보객체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열화상 이미지 상에서, 상기 후보객체를 식별시키는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 형성하는 영역을 상기 후보객체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 중 연속된 제1 그룹의 픽셀로 구성된 제1 영역을 제1 후보객체로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이격되고, 연속된 제2 그룹의 픽셀로 구성된 제2 영역을 제2 후보객체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후보객체를 제1 지시자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후보객체를 제2 지시자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은,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일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일반 이미지의 깊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장치로부터 상기 제1 후보객체 및 상기 제2 후보객체의 거리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거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후보객체 및 상기 제2 후보객체 중 전파 탐지 수행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지시자 및 상기 제2 지시자를 상기 우선순위를 기초로 식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은,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일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미리 학습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일반 이미지 내의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의 후보객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객체 중, 상기 식별된 객체를 제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은,
    상기 탐지대상 영역을 사생활 침해 의심영역 및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 중 어느 하나로 등록하기 위하여, 상기 전파 탐지의 수행 결과 및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은,
    상기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미리 수행된 전파 탐지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탐지대상 영역이 사생활 침해 의심영역 또는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8.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으로서,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일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미리 학습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일반 이미지 내의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
    탐지대상 영역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탐지대상 영역 내에서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의 후보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후보객체 중, 상기 식별된 객체 이외의 최종 후보객체를 사생활 침해장비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9.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으로서,
    탐지대상 영역에 제1 사용자 단말의 진입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탐지대상 영역이 미리 등록된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인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에 대한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의 수행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에 제2 사용자 단말의 진입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진입한 상기 탐지대상 영역이 미리 등록된 사생활 침해 의심영역인 경우, 상기 탐지대상 영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사생활 침해 안심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사생활 침해 안심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11. 탐지대상 영역의 열화상 이미지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부;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탐지대상 영역 내에서 상기 사생활 침해장비의 후보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후보객체에 대한 전파 탐지를 수행하는 전파 탐지부; 및
    상기 전파 탐지의 수행 결과, 측정된 전파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후보객체를 사생활 침해장비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장치.
KR1020180153047A 2018-11-30 2018-11-30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2123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047A KR102123862B1 (ko) 2018-11-30 2018-11-30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PCT/KR2018/015153 WO2020111353A1 (ko) 2018-11-30 2018-11-30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047A KR102123862B1 (ko) 2018-11-30 2018-11-30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020A true KR20200066020A (ko) 2020-06-09
KR102123862B1 KR102123862B1 (ko) 2020-06-18

Family

ID=7085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047A KR102123862B1 (ko) 2018-11-30 2018-11-30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3862B1 (ko)
WO (1) WO20201113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5502A (zh) * 2020-11-13 2021-03-26 苏州熙烁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信号识别的智能隐私保护方法及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337B1 (ko) 2006-11-28 2008-06-20 손호원 불법무선장치에 대한 전파탐지방법과 전파탐지모듈 및,그를 사용한 전파탐지기능을 갖는 모바일기기
KR20100138202A (ko) * 2009-06-24 2010-12-31 전자부품연구원 이종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4560A (ko) * 2011-01-20 2012-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재난 정보 제공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918855B1 (ko) * 2017-06-30 2018-11-1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몰래 카메라 감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373B1 (ko) * 2004-11-05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몰래 카메라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726420B1 (ko) * 2006-12-09 2007-06-11 주식회사 휴민트 몰래카메라 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337B1 (ko) 2006-11-28 2008-06-20 손호원 불법무선장치에 대한 전파탐지방법과 전파탐지모듈 및,그를 사용한 전파탐지기능을 갖는 모바일기기
KR20100138202A (ko) * 2009-06-24 2010-12-31 전자부품연구원 이종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4560A (ko) * 2011-01-20 2012-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재난 정보 제공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918855B1 (ko) * 2017-06-30 2018-11-1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몰래 카메라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353A9 (ko) 2020-09-03
WO2020111353A1 (ko) 2020-06-04
KR102123862B1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045B1 (ko) 경보 방법 및 장치
AU2021201574A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9451062B2 (en) Mobile device edge view display insert
CN108140297B (zh) 可疑人员检测系统和可疑人员检测方法
US1084653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etermination device, notification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KR101858396B1 (ko) 지능형 침입 탐지 시스템
KR20130085315A (ko) 사람 식별을 기반으로 한 위험 인지 방법
US20150010213A1 (en) Image surveillance system and image surveillance method
CN111083435A (zh) 一种安全监控方法及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60148066A1 (en) Detection of spoofing attacks for video-based authentication
CN108335454B (zh) 一种火情检测方法及装置
US10341616B2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659680B2 (en) Method of processing object in image and apparatus for same
KR101521236B1 (ko) 열영상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JP201500247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626580B2 (en) Defining region for motion detection
KR20160091709A (ko) 시공간 블록 특징을 이용한 화재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2123862B1 (ko)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KR20200139987A (ko) Ess 침입자 및 화재 감지 장치 및 방법
US201401602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ating images for videotelephony
CN111294552A (zh) 图像采集设备确定方法及装置
KR102056831B1 (ko) 이동형 영상 감시 장치 및 방법
JP5586736B2 (ja) 類似画像検索の結果表示装置及び類似画像検索の結果表示方法
CN113108919B (zh) 人体温度检测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20180125278A (ko) 보행자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