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811A -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811A
KR20200065811A KR1020180152649A KR20180152649A KR20200065811A KR 20200065811 A KR20200065811 A KR 20200065811A KR 1020180152649 A KR1020180152649 A KR 1020180152649A KR 20180152649 A KR20180152649 A KR 20180152649A KR 20200065811 A KR20200065811 A KR 20200065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ic
broadcast
video
editing
design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336B1 (ko
Inventor
전상규
Original Assignee
전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규 filed Critical 전상규
Priority to KR1020180152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3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2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characterized by learning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방송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추가하여 원본 방송영상에 대한 정보전달의 효율을 높이고자 상기 원본 방송영상을 편집하고자 할 때, 상기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과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후 편집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실질적인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클라우드 상의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편집을 위한 별도의 전문 장비가 없어도 네트워크 트래픽을 극복함과 동시에 상기 그래픽을 상기 방송영상에 간편하게 통합하여 시청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BROADCASTING SYSTEM FOR INTEGRATING GRAPHIC WITH VIDEO BASED ON CLOUD COMPUTING NETWORK}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추가하여 원본 방송영상에 대한 정보전달의 효율을 높이고자 상기 원본 방송영상을 편집하고자 할 때, 상기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과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후 편집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실질적인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클라우드 상의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편집을 위한 별도의 전문 장비가 없어도 네트워크 트래픽을 극복함과 동시에 상기 그래픽을 상기 방송영상에 간편하게 통합하여 시청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발전과 영상 및 방송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방송영상을 스트리밍하여 복수의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방송플랫폼에 대한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기업에서는 사용자(즉, 방송을 수행하는 개인이나 방송사)와 시청자 간의 간단한 인터랙션 기능(예 채팅 기능)포함한 인터넷 방송플랫폼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개인이나 방송사에게 제공함으로서, 기업의 이윤을 창출하고 있다.
이에 사용자들은 상기 인터넷 방송플랫폼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여, 자신이 제작한 다양한 방송영상을 전 세계의 시청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특히, 상기 인터넷 방송플랫폼을 통해 방송영상을 송출할 때,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자막, 텍스트, 도형,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상기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하여 제공한다면, 시청자들은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보다 유익하게 상기 방송영상을 시청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인터넷 방송플랫폼은 단순히 사용자의 방송영상을 해당 방송플랫폼에 접속한 시청자들에게 송출하는 기능만 제공하고 있을 뿐, 상기 방송영상에 특정 그래픽을 오버레이하는 것은 전적으로 사용자 영역에 맡기고 있다.
즉, 사용자는 그래픽을 위한 별도의 디자인 템플릿을 제작하고, 상기 제작한 디자인 템플릿을 통해 상기 그래픽을 자신의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하여 상기 인터넷 방송플랫폼을 통해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고해상도의 방송영상(예: UHD급 방송영상)을 직접적으로 편집해야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체적으로 고성능의 그래픽 장비를 별도로 구비해야 되며,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제작하기 위한 전문성 또한 요구되거나,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제작하기 위한 별도의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영상을 편집한 편집정보를 전달받아, 클라우드 상에서 상기 전달받은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한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포함한 고화질의 방송영상의 송수신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방송플랫폼 사이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별도의 장비나 전문 인력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시청자에게 유익한 방송영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딥러닝을 포함하는 기계학습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디자인 템플릿과 사용자의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썸네일을 편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편집한 편집정보만을 전달받아 상기 전달받은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상에서 상기 방송영상의 원본에 대한 실질적인 편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화질의 방송영상에 대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별도의 장비나 인력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상기 그래픽과 상기 방송영상을 통합한 스트리밍 방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537547호(2015.07.13.)는 오버레이 스트리밍을 이용한 온라인 생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송 스트리밍 서버와 광고 서버를 구비하고 있으면서, 상기 방송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온라인 방송 콘텐츠를 송출하고 있는 도중에, 상기 광고 서버에서 광고주로부터 실시간으로 온라인 광고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한 온라인 광고를 상기 송출하고 있는 온라인 방송 콘텐츠에 오버레이함으로서, 상기 온라인 광고를 시청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오버레이 스트리밍을 이용한 온라인 생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단순히 온라인 광고를 현재 방송되고 있는 온라인 방송 콘텐츠에 오버레이하여 제공한다는 정도만 기재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방송영상에 사용자가 원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하는 기술적 구성은 전혀 기재하고 있지 않다.
반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정 방송영상을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과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디자인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한 디자인 템플릿을 토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오버레이함으로써,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경우, 이에 대한 편집정보만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전달받은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상에서 상기 특정 방송영상을 실질적으로 자동 편집함으로서, 별도의 장비나 인력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상기 그래픽을 상기 방송영상에 간편하게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은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8-0092873호(2018.08.20.)는 라이브 스트리밍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라이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및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한 제1 스트리밍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제1 스트리밍 영상에 상기 제1 스트리밍 영상을 가리기 위한 특정 스티커(sticker) 및 이펙트(effect)를 포함시킨 제2 스트리밍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생성한 제2 스트리밍 영상을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라이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및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방송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디바이스에서 상기 스티커 및 이펙트를 포함시킨 제2 스트리밍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술적 구성을 기재하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방송영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정보만을 전송받아, 상기 전송받은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영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은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기재, 시사 혹은 암시도 없음이 분명하다.
이상에서 선행기술들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선행기술들은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는 방송영상에 광고나, 스티커 또는 이펙트를 삽입하는 기본적인 개념만 기재하고 있을 뿐, 자막, 텍스트, 이미지, 도형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을 기반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대한 편집정보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실질적인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실시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디자인 템플릿이나 편집을 위한 별도의 장비나 전문 인력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그래픽과 영상을 통합한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기재나 아무런 시사 또는 암시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과 상기 선행기술들의 기술적 차이점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특정 방송영상에 자막, 이미지, 텍스트, 도형, 그래프를 포함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과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간편하게 오버레이하여,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통합하여 복수의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가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편집에 대한 편집정보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제공받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을 실질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간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딥러닝을 포함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그래픽별 선호하는 취향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상기 사용자의 취향을 토대로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을 자동으로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은,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특정 방송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그래프를 포함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 제공하는 썸네일 영상 제공부, 상기 그래픽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편집을 수행한 편집정보를 수신하는 편집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영상을 실시간으로 편집하는 그래픽 오버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편집은, 상기 제공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이며,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부에서 수행되는 편집은,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대한 원본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상기 수신되는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함으로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집정보는,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한 그래픽, 해당 그래픽이 오버레이되는 위치, 크기, 색깔(RGB), 투명도(alpha, A), 폰트, 지속시간, 이펙트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방송영상 타입, 그래픽별 선호하는 디자인 스타일 및 이펙트 효과를 포함하는 취향정보와 상기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관계를 각각 학습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해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상기 그래픽별로 각각 생성하는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은, 상기 사용자 취향정보에 따라 가장 많은 유저가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이나, 시청수가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인 방송영상에서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하도록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은,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부를 통해 편집한 방송영상을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채널로 송출함으로서, 상기 그래픽과 상기 특정 방송영상을 통합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영상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그래픽별 취향정보를 상기 생성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각각 적용하여, 상기 각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 중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확률값을 가지는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의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통해 특정 방송영상을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수신하는 썸네일 영상 수신부, 상기 썸네일 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또는 그래프를 포함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수신하는 디자인 템플릿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썸네일 영상 편집부 및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편집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 제공함으로서, 실질적인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썸네일 영상 편집부는, 상기 수신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편집할 때, 상기 썸네일 영상에서에의 상기 그래픽에 대한 위치, 크기, 색깔, 투명도, 텍스트, 효과시간, 인아웃을 포함하는 편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통한 방송영상 편집 방법은,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특정 방송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이미지를 포함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제공하는 썸네일 영상 제공 단계,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그래픽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디자인 템플릿 제공 단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공받은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후, 해당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실시간으로 오버레이하는 그래픽 오버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집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방송영상 타입, 그래픽별 선호하는 디자인 스타일 및 이펙트 효과를 포함하는 취향정보와 상기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관계를 각각 학습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해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상기 그래픽별로 각각 생성하는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은, 상기 사용자 취향정보에 따라 가장 많은 유저가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이나, 시청수가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인 방송영상에서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하도록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송영상 편집 방법은,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 단계를 통해 편집한 방송영상을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채널로 송출함으로서, 상기 그래픽과 상기 특정 방송영상을 통합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영상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과 상기 생성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상기 사용자에 대한 취향정보를 적용하여 추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 중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확률값을 가지는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의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추천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은,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하기 위한 자막, 텍스트, 이미지, 도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 및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을 제공하여, 상기 제공한 썸네일 및 디자인 템플릿을 기반으로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그래픽을 간편하게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디자인에 대한 전문성이나, 별도의 장비 또는 인력을 갖추고 있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상기 그래픽을 상기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썸네일 및 디자인 템플릿을 기반으로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한 경우, 해당 편집에 대한 편집정보만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실질적인 오버레인 작업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자동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간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딥러닝을 포함한 기계학습 방법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함으로서, 보다 다양하고 유익한 방송영상을 제작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방송을 위한 방송영상을 편집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한 학습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으로 그래픽과 방송영상을 통합하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구비한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부터 사용자의 방송영상을 수신하여 복수의 시청자 단말로 송출함으로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즉,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영상을 스트리밍하여 복수의 시청자에게 제공함으로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축되며,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상기 방송영상을 효율적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트리밍 방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데스크톱 PC, 스마트 폰, 노트북 PC 등과 같은 사용자가 구비한 다양한 스마트 단말에 통합 방송용 응용프로그램과 같은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통합 방송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을 통해 특정 방송영상을 편집하고, 상기 편집한 특정 방송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가 된다.
사용자는 자신이 구비한 다양한 스마트 단말에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부터 제공되는 통합 방송용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함으로서, 상기 스마트 단말을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통합 방송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을 통해 특정 방송영상을 이용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방송을 수행하기 위해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통합 방송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의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에 자동으로 로그인되어 방송을 위한 준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은,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 및 방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계정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수행되는 회원가입을 통해 생성된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생성한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별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계정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방송을 위한 방송영상을 제공받아 상기 생성한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별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을 통해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고자 할 때,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스트리밍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스트리밍 방송되는 방송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부터 스트리밍되어 로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각각의 방송영상에는, HDR, HD, Full-HD 등과 같은 주요 영상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각각의 방송영상의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분석하여 상기 주요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표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정보전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자막, 이미지, 도형,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래픽을 상기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자막, 이미지, 도형,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래픽을 상기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그래픽에 대한 전문성이나, 상기 그래픽 처리를 위한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상기 방송영상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방송영상을 매우 작은 사이즈로 축소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영상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서 수행되는 편집은 상기 썸네일 영상을 토대로 수행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해당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니즈에 맞는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추천함으로써,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인 템플릿은, 디자인 템플릿을 제작하는 제작자에 의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 등록될 수 있으며, 유료 또는 무료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유료로 제공되는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디자인 템플릿에 사전에 적용된 비용을 결제함으로서, 해당 디자인 템플릿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비용을 결제한 디자인 템플릿은,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에 자동으로 복제 등록되어 관리되며, 이후 사용자가 해당 디자인 템플릿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에 대한 편집을 수행한 경우, 이에 대한 편집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한편 상기 편집정보는,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한 그래픽, 해당 그래픽이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위치, 크기, 색깔(RGB), 투명도(alpha, A), 폰트, 효과시간, 이펙트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서 메타 데이터(meta data)형식으로 변환되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 전송된다.
이후,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해당 방송영상의 원본에 상기 사용자가 편집을 수행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해당 위치에 오버레이함으로서, 상기 그래픽이 오버레이된 방송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오버레이는, 상기 편집정보에 포함되는 투명도를 통해 방송영상의 원본에 상기 그래픽을 블렌딩(blending)함으로써, 수행된다.
즉, 본 발명에서의 오버레이는, 특정 영상에 특정 그래픽을 단순히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블렌딩을 통해 상기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블렌딩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상기 방송영상 및 상기 그래픽을 배경 및 전경으로 각각 설정하고, 상기 투명도에 따라 상기 그래픽이 오버레이되는 위치의 방송영상에 대한 픽셀값과 해당 그래픽에 대한 픽셀값에 대한 비율을 조정하고, 상기 비율을 조정한 픽셀값을 상기 방송영상의 픽셀값으로 적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도가 50%인 경우,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픽셀값과 상기 그래픽에 대한 픽셀값에 대한 중간값을 각각 계산하여, 상기 계산한 결과를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픽셀값으로 적용함으로서, 상기 블렌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실질적으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자동 수행되며,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단순히 편집정보만을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그래픽 편집을 위한 별도의 그래픽 장치나 스위쳐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을 통해 미리 저장된 방송영상에 대해 상기 편집을 수행한 후, 상기 편집이 완료된 방송영상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거나, 또는 현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고 있는 도중 상기 편집을 실시간으로 수행함으로써, 보다 유익한 방송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편집을 통해 실제 방송영상과 그래픽을 통합하여 새로운 방송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방송영상을 대한 스트리밍 방송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 인터넷 방송플랫폼과 연동하여, 상기 방송영상을 상기 각 인터넷 방송플랫폼에 대한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즉, 방송채널)으로 스트리밍하여 송출함으로써, 상기 인터넷 방송플랫폼을 통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송채널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방송영상의 썸네일 영상과 해당 방송영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을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제공하여,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서 상기 썸네일을 편집한 편집정보만을 제공받아, 상기 제공받은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영상의 원본에 대한 실질적인 편집을 클라우드 상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별도의 장비나 그래픽에 대한 전문 인력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상기 편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시청자에게 더욱 유익한 방송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경우, 해당 편집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편집을 완료한 썸네일 영상을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익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제공받은 썸네일 영상으로부터 상기 편집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영상을 편집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영상을 편집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방송을 위한 방송영상을 편집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방송을 위한 방송영상을 편집하는 과정은, 우선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서 특정 방송영상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부터 방송용 응용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한다(①).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사용자가 구비한 다양한 유무선 통신단말을 의미하며, 상기 유무선 통신단말에 상기 통합 방송용 응용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함으로써, 상기 유무선 통신단말이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가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통합 방송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을 선택하거나,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 구비되는 카메라(미도시)로부터 촬영되는 방송영상을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 제공함으로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한 방송영상을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과 해당 방송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이미지 등과 같은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방송영상은 UHD 급의 고화질 영상을 의미하며, 상기 썸네일 영상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상기 UHD 급의 방송영상을 미리 설정한 크기로 리사이징되어(즉, 축소)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썸네일 영상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별로 각각 생성되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썸네일 영상과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썸네일 영상 및 디자인 템플릿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된 디자인 템플릿과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그래픽별(즉, 자막, 텍스트, 이미지, 도형, 그래프 등) 디자인 템플릿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함으로서,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송영상에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토대가 되는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해당 썸네일 영상을 편집부(편집창)로 일정 크기로 확대하여 표시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오버레이함으로서,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편집을 수행하는 경우(③),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수행한 편집에 대한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 제공한다(④).
이때, 상기 디자인 템플릿은, 그래픽별로 디자인 스타일(예: 말풍선) 및 디자인 속성(예: 3D)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다양한 그래픽을 상기 썸네일 영상에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특정 텍스트를 특정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오버레이하고자 할 때, 해당 디자인 템플릿의 디자인 스타일이 말풍선이고, 디자인 속성이 3D인 경우, 상기 말풍선에 상기 특정 텍스트를 타이핑하는 경우, 해당 텍스트는 3D 형식으로 표현된다.
한편 상기 디자인 스타일은, 상기 오버레이되는 그래픽의 형상(형태)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형, 말풍선, 입자(particle), 렌즈-플레어(lens-flare), 빛분산(god ray), 레벨 미터(level meter), 텍스트 박스(text box), 그래프(graphic)등에 대한 스타일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 속성은,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할 때 적용되는 이펙트(효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림자(shadow), 2D, 3D, 스크롤(scroll), 와이프(wipe),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자인 스타일 및 디자인 속성은,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작자나,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추가적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편집정보는,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대상 그래픽(즉, 자막, 텍스트, 이미지, 그래프, 도형 등), 해당 그래픽이 해당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위치, 크기, 색깔(RGB), 투명도(alpha, A), 폰트, 지속시간, 이펙트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원본영상을 실시간으로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⑤).
이때,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원래의 방송영상을 토대로 미리 설정한 크기로 축소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므로, 상기 축소한 비율을 토대로 해당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그래픽의 위치 및 크기를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편집정보를 반영하여 해당 편집정보에 포함된 그래픽을 실제 방송영상에 실시간으로 오버레이함으로써, 상기 그래픽을 통합한 방송영상을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⑥).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간편하게 상기 방송영상에 통합할 수 있으며, 보다 유익한 방송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을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 제공하는 방송영상 제공부(220),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부터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수신하는 썸네일 영상 수신부(230),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수신하는 디자인 템플릿 수신부(240),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썸네일 영상 편집부(250),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 제공하는 편집정보 제공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썸네일 영상의 편집, 상기 썸네일 영상의 표시, 디자인 템플릿의 표시 등과 같이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조작하여 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방송영상 제공부(220)는, 방송영상을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 제공하여, 이를 저장하거나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송영상은 미리 제작되거나, 카메라(미도시)와 같은 촬영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을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별로 저장하고 있으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사용자로부터 실시간으로 방송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썸네일 영상 수신부(23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저장된 방송영상 또는 실시간으로 방송되고 있는 방송영상 자막, 텍스트, 도형, 그래프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편집(즉, 오버레이)하고자 할 때,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부터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수신한다.
또한 썸네일 영상 수신부(230)는 상기 수신한 썸네일 영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썸네일 영상은, 상기 방송영상을 미리 설정한 크기에 따라 매우 작은 사이즈로 리사이징되어 상기 썸네일 영상 수신부(230)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썸네일 영상은, 상기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토대가 된다.
또한 디자인 템플릿 수신부(240)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부터 상기 편집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수신하여,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디자인 템플릿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그래픽별(즉, 자막, 텍스트, 도형, 그래프 등)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자인 템플릿 수신부(2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그래픽에 따른 디자인 템플릿만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막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만을 표시하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디자인 템플릿 수신부(240)는 상기 자막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자막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만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부터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막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만을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썸네일 영상 편집부(250)는, 상기 수신한 썸네일 영상을 토대로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그래픽을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기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썸네일 영상 편집부(250)는, 방송영상의 원본이 아니라 상기 썸네일 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편집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썸네일 영상 편집부(250)는,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하는 썸네일 영상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창을 생성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미리 설정한 크기로 확대하여 표시한다.
이후, 상기 편집부(25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한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여 상기 편집창으로 로드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실시간으로 디코딩된 해당 디자인 템플릿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편집창에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편집창에 표시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확대되어 표시한 썸네일 영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임의의 위치에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집정보 제공부(260)는, 사용자가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경우, 이에 대한 편집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 전송함으로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상기 편집정보를 토대로 실제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며, 실질적으로 실제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와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 간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는 별도의 편집 장비나, 디자인 템플릿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상기 편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부터 각 사용자별 방송영상을 수신하는 방송영상 수신부(110), 사용자가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을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해당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제공하는 썸네일 영상 제공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편집을 위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각 그래픽별로 생성하는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부(130), 상기 편집을 위한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하는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140),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부터 편집정보를 수신하는 편집정보 수신부(150),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실제 방송영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실시간으로 오버레이하는 그래픽 오버레이부(160), 상기 오버레이한 방송영상을 송출하는 방송영상 송출부(170) 및 사용자별 클라우드 계정을 관리하는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 관리부(180)를 포함한다.
방송영상 수신부(11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미리 제작된 방송영상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클라우드 계정별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각 사용자로부터 방송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방송영상 송출부(170)를 통해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상기 저장된 특정 방송영상 또는 현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고 있는 특정 방송영상을 선택하여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썸네일 영상 제공부(120)는 상기 선택한 특정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썸네일 영상을 상기 해당 사용자의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썸네일 영상은 상기 고화질의 방송영상을 미리 설정한 크기로 축소한 것으로,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상기 방송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기반이 된다.
또한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부(13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그래픽별 취향정보와 상기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 관계를 학습하여,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그래픽별 취향정보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것으로, 방송영상 타입, 상기 각 사용자가 선호하는 그래픽별 디자인 스타일 및 디자인 이펙트 효과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수집한 그래픽별 취향정보와 상기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을 매핑함으로서, 상기 취향정보와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매핑한 매핑테이블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그래픽별 취향정보에 상기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을 매핑하는 것은,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된 디자인 템플릿을 참조함으로써, 수행된다.
즉,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부(150)는, 상기 저장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그래픽별 취향정보와 상기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관계를 학습함으로써,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상기 각 그래픽별(즉, 자막, 텍스트, 도형, 그래프)로 생성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학습을 위해 디자인 스타일 및 이펙트 효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자인 템플릿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생성한 그래픽별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은, 상기 매핑관계를 학습하여, 상기 분류한 복수의 디자인 템플릿을 토대로 가장 많은 사용자에게 선택된 디자인 템플릿이나, 상기 시청수(즉, view 수)가 높은 방송영상에서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도록 학습된다.
또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은, 디자인 템플릿 추천 학습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디자인 템플릿을 그래픽별로 추천할 수 있도록 학습된다.
한편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 학습네트워크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140)는,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과 상기 생성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그래픽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14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특정 사용자에게 추천하고자 할 때, 상기 그래픽별로 생성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로딩하고, 특정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미리 저장된 상기 특정 사용자의 그래픽별 취향정보를 상기 로딩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각각 적용하여, 상기 각각의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한다.
이후,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140)는, 상기 출력한 디자인 템플릿 중에서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확률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추천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자막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14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방송영상 타입, 상기 자막에 대해 선호하는 디자인 스타일과 이펙트 효과를 포함하는 사용자 취향정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입력받은 취향정보를 상기 생성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즉, 자막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적용함으로서, 해당 사용자에게 자막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만을 추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가 특정 방송영상을 편집하고자 할 때 수행되는 것으로, 상기 그래픽별로 자동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140)는, 해당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만을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사용자로 하여금 별도의 그래픽을 따로 제작하거나, 생성하지 않고 상기 추천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다양한 그래픽을 상기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편집정보 수신부(15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상기 썸네일 영상과 상기 제공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한 방송영상에 특정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한 경우,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부터 해당 편집에 대한 편집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부(16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한 방송영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는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편집을 수행하게 되며, 실제 방송영상에 그래픽을 오버레이하는 실질적인 편집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고성능 그래픽 장치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상기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래픽 오버레이부(160)는,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오버레이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실제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함으로서, 상기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통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편집정보는,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대상 그래픽, 해당 그래픽이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위치, 크기, 색깔, 투명도, 폰트, 지속시간, 이펙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부(160)는 상기 편집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대상 그래픽을 실제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한다.
이때, 상기 썸네일 영상은 상기 실제 방송영상을 미리 설정한 크기로 축소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부(160)는, 상기 축소한 비율을 토대로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그래픽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상기 실제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어디에 위치시키고 어떠한 크기로 오버레이할지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방송영상 송출부(170)는,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한 방송영상을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채널로 라우팅하여 송출함으로써, 상기 그래픽과 방송영상을 통합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자체적으로 상기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방송채널은 인터넷 방송플랫폼에 대한 사용자 계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상기 방송영상을 라우팅함으로서, 해당 사용자 계정에 접속한 시청자들이 상기 방송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영상 송출부(170)는 해당 사용자의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상기 송출되는 방송영상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여 제공함으로서, 해당 방송영상을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방송채널로 송출되는 방송영상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각 방송영상에 대한 멀티뷰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송출되는 두 개 이상의 영상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클라우드 계장 관리부(180)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가입한 클라우드 계정을 사용자별로 관리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별 클라우드 계정에는, 각 사용자별 방송영상과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이 저장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한 학습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부(13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방송영상 타입, 그래픽 별로 선호하는 디자인 스타일과 이펙트 효과 및 상기 각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관계를 디자인 템플릿 추천 학습네트워크를 통해 학습하여, 자막, 텍스트, 도형, 그래프 등을 포함하는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상기 각 그래픽별로 생성한다.
한편, 상기 매핑관계를 학습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 학습네트워크는 상기 방송영상 타입, 상기 그래픽 유형별로 선호하는 디자인 스타일 및 이펙트 효과가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노드를 포함하는 입력 레이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든 노드를 포함하는 히든 레이어 및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노드를 포함하는 출력 레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 레이어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취향정보를 각각 입력 받으며, 상기 히든 레이어는 특정 가중치를 가지는 링크를 통해 상기 입력 레이어 및 출력 레이어와 각각 연결된다.
한편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 학습네트워크는, 상기 링크의 가중치를 조정해가면서, 주어진 입력에 대해 가장 많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자인 템플릿이나, 시청수가 높은 방송영상에서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학습된다.
또한 상기 수집되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취향정보는 주기적으로 수집될 수 있으며, 상기 취향정보를 누적하여 업데이트함으로서,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의 성능을 고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레이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되는 디자인 템플릿은 0 ~ 1 사이의 확률값을 가지며, 이 때, 상기 각각의 디자인 템플릿에 대한 확률값을 모두 더하면 1이 된다.
즉,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 학습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각 그래픽별로 생성되는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대한 입력은 특정 사용자에 대한 그래픽별 취향정보가 되며, 출력은 상기 확률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이 된다.
이후,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14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전에 제공된 해당 사용자의 취향정보를 상기 생성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적용하여 해당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로부터 추출되는 복수의 디자인 템플릿 중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확률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공받은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다양한 그래픽을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 학습네트워크는,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등과 같은 다양한 기계학습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해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우선적으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그래픽 취향정보와 상기 각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관계를 학습(S110)하여, 상기 학습을 통해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생성한다(S120).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은, 상기 각 그래픽별로 생성된다. 즉,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그래픽별 취향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상기 각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과 상기 수집한 그래픽별 취향정보를 각각 매핑하여 매핑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매핑테이블을 저장한다.
이후,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저장한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취향정보와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관계를 학습함으로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상기 각 그래픽별로 생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취향정보는 방송영상 타입, 그래픽별 디자인 스타일 및 이펙트 효과를 포함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특정 사용자가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특정 방송영상을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S130), 상기 생성한 그래픽별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각각 로딩한다(S140).
이후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기 저장된 특정 사용자의 그래픽별 취향정보 또는 해당 사용자로부터 그래픽별 취향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로딩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각각 적용(S150)하여, 각 그래픽별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생성한 자막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도형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그래프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텍스트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자막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등을 각각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로딩하고, 상기 사용자의 각 그래픽별 취향정보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각각 입력함으로서, 상기 각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각각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각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로부터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 중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확률값을 가지는 디자인 템플릿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선택(S160)하여,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해당 사용자의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추천한다(S170).
한편 상기 추천은, 상기 사용자가 특정 방송영상에 대해 편집을 수행하는 경우 자동으로 수행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각각 추천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특정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받고자 할 때,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상기 특정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만을 추천받을 수 있도록 설정(선택)하여, 해당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부터 추천받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추천 기능을 오프하여 자신이 과거에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만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으로 그래픽과 방송영상을 통합하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으로 그래픽과 방송영상을 통합하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는 절차는 우선, 사용자가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편집을 위한 방송영상을 선택한다(S210).
이때, 상기 선택되는 방송영상은,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 미리 저장된 방송영상이거나, 현재 방송채널로 송출되고 있는 방송영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선택한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의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제공하며(S220), 이와 동시에 상기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제공한다(S230).
상기 썸네일 영상은 해당 방송영상에 대해 미리 설정한 크기로 축소한 것이며, 상기 제공되는 디자인 템플릿은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과 디자인 추천용 학습모델을 통해 추천되는 디자인 템플릿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상기 제공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한 편집정보를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경우(S240),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실제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함으로서, 상기 방송영상을 실시간으로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250).
즉,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막강한 컴퓨팅 파워를 가지는 클라우드 상에서 실질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채널로 송출함으로서, 해당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자체적으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인터넷 방송플랫폼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S260).
또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고 있는 방송채널에 있어서, 현재 송출되고 있는 방송영상을 해당 방송영상과 관련된 방송영상 또는 새로운 방송영상을 포함하는 다른 방송영상으로 스위칭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조작하여 상기 다른 방송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다른 방송영상에 대한 스위칭 명령을 수행하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현재 스트리밍되고 있는 방송영상을 상기 다른 방송영상으로 스위칭한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스위칭될 때, 미리 설정한 전환효과(transition effect)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스위칭할 다른 방송영상을 실시간으로 텍스쳐로 변환하고 2D 또는 3D 이펙트를 적용함으로써, 현재 스트리밍되고 있는 방송영상을 상기 다른 방송영상으로 자연스럽게 스위칭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서 수행되는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절차는 우선, 사용자가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상에 있는 특정 방송영상을 편집하기 위해 선택한 경우,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부터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편집을 위해 상기 썸네일 영상을 선택(터치 혹은 클릭)하는 경우,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편집창을 생성하여 상기 생성한 편집창에 상기 선택한 썸네일 영상을 로딩한다(S310).
상기 썸네일 영상은 상기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선택한 특정 방송영상을 간략화한 것으로, 상기 특정 방송영상을 미리 설정한 사이즈로 축소한 영상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조작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할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한다(S310).
이때,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을 미리 설정한 크기로 확대하여, 사용자가 해당 디자인 템플릿을 재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음에 드는 디자인 템플릿을 최종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이 유료인 경우,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해당 디자인 템플릿에 대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해당 디자인 템플릿에 대한 비용을 곧 바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제가 완료된 경우,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해당 디자인 템플릿을 복제하여 사용자의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함으로써, 이후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최종적으로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편집창으로 로딩(S330)함으로써, 상기 썸네일 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그래프 등을 포함하는 그래픽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로딩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그래픽을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하고, 상기 오버레이한 그래픽에 대한 속성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S340).
여기서, 상기 그래픽에 대한 속성은,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상기 그래픽의 위치, 크기, 색깔, 투명도, 텍스트, 지속시간, 인아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그래픽에 대한 속성편집을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그래픽을 상기 썸네일 영상의 다양한 위치에 원하는 크기 및 색깔, 투명도 등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편집이 완료된 경우(S350), 이에 대한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 전송(S360)함으로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을 통해 실제 방송영상에 대한 그래픽 오버레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편집정보 대신에 상기 편집이 완료된 썸네일 영상을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상기 썸네일 영상으로부터 편집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은, 특정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과 자막, 이미지, 텍스트, 도형, 그래픽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하고,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편집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편집에 대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실질적인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클라우드 상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와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간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별도의 그래픽 장치나 전문 인력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상기 편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110: 방송영상 수신부 120: 썸네일 영상 제공부
130: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부 140: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
150: 편집정보 수신부 160: 그래픽 오버레이부
170: 방송영상 송출부 180: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 관리부
200: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 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20: 방송영상 제공부 230: 썸네일 영상 수신부
240: 디자인 템플릿 수신부 250: 썸네일 영상 편집부
260: 편집정보 제공부 300: 시청자 단말
400: 데이터베이스 500: 인터넷 방송플랫폼

Claims (10)

  1.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특정 방송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그래프를 포함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썸네일 영상 제공부;
    상기 그래픽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편집을 수행한 편집정보를 수신하는 편집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영상을 실시간으로 편집하는 그래픽 오버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편집은,
    상기 제공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이며,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부에서 수행되는 편집은,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대한 원본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상기 수신되는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함으로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집정보는,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한 그래픽, 해당 그래픽이 오버레이되는 위치, 크기, 색깔(RGB), 투명도(alpha, A), 폰트, 지속시간, 이펙트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방송영상 타입, 그래픽별 선호하는 디자인 스타일 및 이펙트 효과를 포함하는 취향정보와 상기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관계를 각각 학습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해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상기 그래픽별로 각각 생성하는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은, 사용자 취향정보에 따라 가장 많은 유저가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이나, 시청수가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인 방송영상에서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하도록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은,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부를 통해 편집한 방송영상을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채널로 송출함으로서,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영상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그래픽별 취향정보를 상기 생성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각각 적용하여, 상기 각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 중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확률값을 가지는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의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6.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통해 특정 방송영상을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수신하는 썸네일 영상 수신부;
    상기 썸네일 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또는 그래프를 포함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수신하는 디자인 템플릿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썸네일 영상 편집부; 및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편집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 제공함으로서, 실질적인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영상 편집부는,
    상기 수신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편집할 때, 상기 썸네일 영상에서의 상기 그래픽에 대한 위치, 크기, 색깔, 투명도, 텍스트, 효과시간, 인아웃을 포함하는 편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
  8.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특정 방송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이미지를 포함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제공하는 썸네일 영상 제공 단계;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그래픽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디자인 템플릿 제공 단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공받은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후, 해당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실시간으로 오버레이하는 그래픽 오버레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편집정보는,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한 그래픽, 해당 그래픽이 오버레이되는 위치, 크기, 색깔(RGB), 투명도(alpha, A), 폰트, 지속시간, 이펙트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통한 방송영상 편집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방송영상 편집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방송영상 타입, 그래픽별 선호하는 디자인 스타일 및 이펙트 효과를 포함하는 취향정보와 상기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관계를 각각 학습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해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상기 그래픽별로 각각 생성하는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은, 사용자 취향정보에 따라 가장 많은 유저가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이나, 시청수가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인 방송영상에서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하도록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통한 방송영상 편집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송영상 편집 방법은,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 단계를 통해 편집한 방송영상을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채널로 송출함으로서,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영상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과 상기 생성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상기 사용자에 대한 취향정보를 적용하여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 중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확률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여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추천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통한 방송영상 편집 방법.
KR1020180152649A 2018-11-30 2018-11-30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KR102144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649A KR102144336B1 (ko) 2018-11-30 2018-11-30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649A KR102144336B1 (ko) 2018-11-30 2018-11-30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811A true KR20200065811A (ko) 2020-06-09
KR102144336B1 KR102144336B1 (ko) 2020-08-13

Family

ID=7108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649A KR102144336B1 (ko) 2018-11-30 2018-11-30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3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593B1 (ko) * 2021-05-28 2022-01-24 주식회사 잘라컴퍼니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머신러닝을 통한 영상 편집 타입 구분 및 편집점 추천 알고리즘 고도화 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20095591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지로드코리아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890B1 (ko) 2021-12-02 2022-08-12 주식회사 미리디 서버상에서 렌더링된 차등적 품질의 모델링 데이터 기반의 3차원 샘플 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81710A1 (en) * 2014-03-31 2015-10-01 Gopro, Inc. Distributed video processing in a cloud environment
KR20180036153A (ko) * 2016-09-30 2018-04-09 주식회사 요쿠스 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81710A1 (en) * 2014-03-31 2015-10-01 Gopro, Inc. Distributed video processing in a cloud environment
KR20180036153A (ko) * 2016-09-30 2018-04-09 주식회사 요쿠스 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591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지로드코리아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354593B1 (ko) * 2021-05-28 2022-01-24 주식회사 잘라컴퍼니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머신러닝을 통한 영상 편집 타입 구분 및 편집점 추천 알고리즘 고도화 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336B1 (ko) 202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6074B1 (en) Creating customized programming content
US98708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multimedia content
US94432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clarity and expressiveness in network communications
CN110475150A (zh) 虚拟礼物特效的渲染方法和装置、直播系统
KR102144336B1 (ko)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RU2015132462A (ru) Система одновременно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контента и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US20100060650A1 (en) Moving image processing method, moving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moving image processing device
US20140082209A1 (en) Personalized streaming internet video
CN113660514B (zh) 用于结合视频呈现来修改用户界面颜色的方法和系统
KR101669897B1 (ko) 3d 객체 모듈을 이용한 가상 스튜디오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CN113766296A (zh) 直播画面的展示方法和装置
CN113746874A (zh) 一种语音包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9049905A (ja) ストリーム処理サーバ装置、ストリームフィルタ型グラフ設定装置、ストリームフィルタ型グラフ設定システム、ストリーム処理方法、ストリームフィルタ型グラフ設定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3742025A (zh) 页面生成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9454284B2 (en) Web server for supporting collaborative animation production service and method thereof
US10453491B2 (en) Video processing architectures which provide looping video
CN111696187B (zh) 一种基于效果图的光照设计系统
US20220308262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weather forecast video,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3301389B (zh) 一种用于生成视频的评论处理方法和装置
KR101399633B1 (ko) 영상 합성 방법 및 장치
Hayashi et al. Text Generated TV: A New Television System Delivering Visual Content Created Directly by Text
US11956515B1 (en) Creating customized programming content
KR20180114312A (ko)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606878B1 (ko)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0922438B1 (ko) 동영상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