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422A - 탄저병 및 역병 방제용 식물 방제제 - Google Patents

탄저병 및 역병 방제용 식물 방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422A
KR20200065422A KR1020180151885A KR20180151885A KR20200065422A KR 20200065422 A KR20200065422 A KR 20200065422A KR 1020180151885 A KR1020180151885 A KR 1020180151885A KR 20180151885 A KR20180151885 A KR 20180151885A KR 20200065422 A KR20200065422 A KR 20200065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nthrax
plant
late bl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바이오
Priority to KR102018015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5422A/ko
Publication of KR20200065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4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hawthorn,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저병 및 역병 방제용 식물 방제제에 관한 것으로, 매실 추출물 및 은행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탄저병 및 역병 방제제 조성물은 고추 등 식물의 탄저병과 역병에 대한 항진균 활성과 살균력이 우수하여 탄저병 및 역병의 예방 및 방제제로써 활용 가치가 높으며 천연물 농약 산업상 매우 유용한다.

Description

탄저병 및 역병 방제용 식물 방제제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thracnose and pytophthora blight of the plants}
본 발명은 탄저병 및 역병 방제용 식물 방제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매실 추출물 및 은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탄저병 및 역병 방제용 식물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현대 농업에서는 작물을 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농용 살균제 사용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러한 농용 살균제들은 인간 및 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농업생산을 위해서 계속적인 사용이 불가피하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이 새롭고 인간과 환경에 안전한 미생물 농약을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국내외적으로 식물병에 대하여 길항 효과를 갖는 미생물의 확보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실험실의 제한된 조건에서 선발된 길항 능력이 있는 미생물은 실제 포장의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생존하지 못하거나 길항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외국에서 우수한 길항 미생물이 실제로 우리나라의 환경에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고추와 같이 고부가가치를 생산하는 작물을 재배할 때 수확량 증가를 위하여 과도한 양의 비료를 사용하며 실제 농가에서는 생장 촉진제와 같은 화학약품을 사용하기도 하므로, 환경오염과 독성의 문제를 야기하여 지속적이고 안전한 고추의 생산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탄저병(炭疽病, Anthracnose)은 사과, 고추, 포도, 수박 등의 작물에 주로 나타나는 병으로써 고온다습한 기후에서 많이 발병하며, 주로 콜레토트리쿰(Collectotrichum)속, 글로이오스포리움(Gloeosporium)속 곰팡이가 원인이다. 이 병에 걸리면 식물의 잎, 줄기, 열매, 꽃에 반점들이 생겨나는데, 이 반점들은 점점 커져 조직을 위축시키고 식물을 시들어 죽게 한다. 우리나라 음식에 빼놓을 수 없는 양념 채소인 고추, 여름철 과일인 수박 등 가지과와 박과 작물에서 특히 심하다.
이러한 탄저병에 의한 피해가 큰 고추는 우리나라에서 2005년도 기준으로 전체 채소 재배 면적의 약 24%를 차지하며, 조미채소류 재배 면적에서는 약 49%를 차지하고, 농가 소득기여도가 연간 8,500억 원 이상으로 농가 경제 주요작물 중 하나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식생활의 특성으로 인하여 붉은 고추의 소비가 현저하게 높으며, 이를 이용한 가공품에 대한 시장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고추 재배에 있어서 고추탄저병, 역병, 세균성 점무늬병이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는데, 특히 고추 열매의 생산과 관련하여 고추 열매에 발생하는 고추 탄저병에 의한 피해가 심각하며, 이를 방제하기 위해 권장 사용량 이상의 과도한 유기 합성 농약 살포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유기 합성 농약의 오남용으로 인하여 저항성 균주의 출현, 오존층의 파괴, 토양과 작물내의 잔류 등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으며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길항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 등의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지만, 아직까지 공기 전염성 병으로 온난하고 비가 많을 때와 수확기에 접어들면서 많이 발생하는 고추의 병해인 고추 탄저병에 대한 효과적인 길항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가 미미하다.
한편, 역병균은 병원성이 강하고 기주 특이성이 높지만, Phytophthora nicotianaePhytophthora cinnamomi 등은 1,000 여종의 기주를 침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6년부터 5년간 수행된 국내발생 역병균의 분류 체계확립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각 도별로 발생되는 역병균의 종류는 8종에서 14종정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중 P. cactorum, P. capsici, P. drechsleri, P. infestans, P. nicitianae는 해마다 전국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며 기주별 피해정도와 경제적 피해수준 등을 감안할 때 이들은 국내발생 5대 주요 역병균이라 할 수 있다.
역병 피해가 가장 큰 작물은 가지과와 박과 채소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종 과수와 분화류에도 역병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노지재배 작물에서는 여름철인 6월과 9월 사이에 역병발생이 많지만, 하우스 작물이나 화훼류에는 연중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양액재배에서는 역병이 발생되면 거의 전 포장이 감염되어 큰 피해를 입는 경우가 종종 있다.
현재 식물 역병 방제법으로 이용하고 있는 기술은 병원균 유입차단, 돌려짓기, 토양관리, 저항성품종 재배, 접목재배, 및 화학적 방제 등이 있다. 병원균 유입차단이란 역병이 발생되지 않은 건전한 포장으로 병원균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돌려짓기란 근본적으로 고추역병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비기주식물로 3-5년간 돌려짓기를 하여 토양 중 역병균의 밀도를 낮추는 방법이다. 토양관리란 식물 수확 후 이병 잔재물 제거, 가을갈이, 지력증진, 화학비료 과용금지, 토양소독의 방법을 이용하여 토양을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지금까지 다수확을 위하여 화학비료에 의존한 농업의 연속으로 토양화학성이 악화되어 연작피해 발생이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또한 돌려짓기가 어려울 때 토양을 소독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으나 그 처리방법과 조건 및 경제적 측면에서 농가 부담이 큰 어려운 방법이다. 저항성품종 재배란 고추역병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품종을 재배하는 것을 말하고, 고추역병의 경우 저항성 품종으로는 10여종이 보급되어 재배되고 있는데 일반품종에 비해 역병방제가가 90% 정도로 높으나 고추의 맛과 품질이 다소 떨어지며 바이러스에는 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접목재배란 우수한 품종의 고추 맛을 그대로 유지하고 역병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반면에 노동력 및 생산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경제적 부담이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화학적 방제란 주로 농약에 의존하는 병 방제 수단으로서 농업에서 가장 손쉽게 사용되는 방제법에 해당하고 병원균을 직접 죽이거나 생장 및 번식을 억제시키는 방법이다. 역병방제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병이 발생되기 전에 예방적으로 살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병 발생 후 치료효과는 거의 없다.
이러한 식물 역병 방제 기술로 이용되고 있는 여러 기술 중 본 발명과 가장 유사한 것은 화학적 방제법이라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식물 역병 방제 방법으로 화학적 방제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합성 농약의 오남용은 저항성 균주의 출현, 오존층의 파괴, 토양과 작물 내의 잔류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토양 훈증제는 토양 미생물을 파괴시키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 친화적인 방제방법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역병에 사용하고 있는 화학적 방제제는 환경에 대한 부담이나 농산물에 대한 잔류성 및 토양 용탈에 따른 2차 오염 발생 때문에 연작, 돌려짓기 등이 어려워져 토양 이용률을 떨어뜨려 생산율을 감소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화학적 방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미생물기원 생리활성물질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약효의 보증기간이 짧고 그 효과가 화학적 방제제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또한 환경의 영향에 따라 방제효과가 불안정하며, 다른 생물방제제와 비교 시 화학적 방제제와 동시에 사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화학적 방제제에 비해 가격 비싸기 때문에 생산물의 가격반영이 어렵다는 단점들을 가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친환경적이면서 탄저병 및 역병 방제에 효과적인 천연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매실 추출물과 은행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이 탄저병 및 역병 원인균에 대하여 방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탄저병 및 역병 원인균에 대하여 방제 효과를 가지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방제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매실 추출물 및 은행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 탄저병 및 역병 방제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실 추출물 및 은행 추출물의 혼합물은 2:1 내지 1: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extract)"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매실 및 은행 추출물은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액은 액체 형태로 사용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 중 어느 하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방법으로는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 방법 등이 있으며, 초음파 추출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실 및 은행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에 의하여 추출하는 방법 외에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쳐서도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통하여도 붉나무 열매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매실 및 은행을 각각 음건하여 마쇄한 후 건조된 시료의 중량의 0.5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고온에서 약 20 내지 70시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시간 동안 교반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한 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건조하여 각각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물 탄저병 및 역병 방제제 조성물은 매실 추출물 및 은행 추출물의 혼합물은 2:1 내지 1:2의 중량비율,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매실 추출물 및 은행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 탄저병 및 역병 방제제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혼합물을 0.0001 내지 2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방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방제 효과의 증가량이 미미하며 제형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탄저병 대상 식물은 오이, 고추, 파프리카, 참외, 수박, 딸기, 복숭아, 사과, 포도나무 등 주요 작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식물에 발생하며 병원균의 종류에 따라 잎, 과실, 줄기 및 뿌리 등에 각각 기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역병 대상 식물은 가지과(Solanaceae) 식물, 박과(Cucurbitaceae) 식물 및 콩과(Fabaceae) 식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에 대한 역병이다. 가지과(Solanaceae) 식물은 약 75속 2000여종이 분포하며, 예를 들어 고추, 감자, 토마토 및 담배가 이에 속한다. 박과(Cucurbitaceae) 식물은 약 95속 800여종이 분포하며, 예를 들어 오이, 수박, 참외, 멜론, 호박, 수세미 및 박이 이에 속한다. 콩과(Fabaceae) 식물은 약 550속 1만 3000종이 분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탄저병 및 역병을 예방, 치료 또는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 상기 식물 탄저병 및 역병의 방제제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조성물을 식물에 접촉시키는 단계.
본 발명의 탄저병 및 역병 방제제 조성물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제제 성분들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매실 추출물 및 은행 추출물의 혼합물은 친환경적이고 안정성이 우수한 천연 추출물로서 탄저병 및 역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여 방제제 조성물 및 비료 첨가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매실 추출물 및 은행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 비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을 사용하여 탄저병 및 역병 방제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고추 등 식물의 탄저병과 역병에 대한 항진균 활성과 살균력이 우수하여 탄저병 및 역병의 예방 및 방제제로써 활용 가치가 높으며 천연물 농약 산업상 매우 유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실 추출물과 은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방제제 조성물을 이용한 탄저병 및 역병 방제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방제제 조성물 제조
(1) 매실 추출물 제조
매실 1kg을 세척 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분말 20 g에 정제수 1 L를 넣고 멸균기에서 열수추출하였다. 상층액은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뒤, 동결건조하여 파우더화하였다. 파우더화된 추출물을 100 mg/mL의 농도로 멸균된 증류수에 녹인 후 0.2 μm 공극 크기의 수용성 주사여과기를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은행 추출물 제조
은행 1kg을 세척 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분말 20 g에 정제수 1 L를 넣고 멸균기에서 열수추출하였다. 상층액은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뒤, 동결건조하여 파우더화하였다. 파우더화된 추출물을 100 mg/mL의 농도로 멸균된 증류수에 녹인 후 0.2 μm 공극 크기의 수용성 주사여과기를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3) 방제제 조성물 제조
상기 매실 추출물과 은행 추출물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방제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탄저병에 대한 방제 시험
실험에 사용된 균주는 고추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KACC 균주번호 40003)과 사과탄저병균(Glomerella cingulata, KACC 균주번호 40299)으로써 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 한국 농업미생물 자원센터(KACC)에서 분양받아 실험 병원균으로 사용하였다. 분양받은 고추탄저병균과 사과탄저병균 병원균을 피디에이(PDA, potato dextrose agar)배지에 접종하여 인큐베이터(비젼과학, VS-1203P4N)에서 26℃ 암상태로 7일 동안 배양하여 포자를 형성시켰다. 형성된 포자를 살균증류수를 첨가하여 수확하고 광학현미경 하에서 혈구계로 1X107 포자수/㎖의 포자농도로 포자현탁액으로 만들어 4℃에서 냉장보관하면서 항진균 활성검정에 사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실 추출물과 은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방제제 조성물을 이용한 탄저병 및 역병 방제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실시예 1에서 얻은 매실 추출물, 은행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제제 조성물을 각각 0.1g 정확하게 무게를 칭량한 후 메탄올용액 10㎖에 녹여 10,000ppm이 되도록 한 후 원형종이(advantec, 8mm)에 50㎕를 분주하여 흡수시킨 후 건조시겼다.
피디에이(PDA, Potato dextrose agar) 배지 조제는 PDA(Difco co.) 39g을 증류수 1ℓ에 녹여 121℃에서 15분간 멸균(autoclave)하고 50℃로 식힌 후 실시예 1에서 미리 수확한 고추탄저병균과 사과탄저병균 포자를 넣어 배지의 포자 농도를 1X104 포자수/㎖로 희석하여 맞추고 배지가 굳기 전에 일회용 페트리디쉬(녹십자, 9cm)에 10㎖씩 일정하게 분주하여 실험배지로 사용하였다. 짚신나물 뿌리 메탄올 추출물과 4종의 용매분획물을 처리한 원형종이(advantec, 8mm)를 위 실험배지위에 올려 놓고 26℃에서 3일간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균사생장억제정도를 나타내는 크리어존(clear zone)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그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항진균 활성 정도
고추탄저병균 사과탄저병균
매실 추출물 + +
은행 추출물 + +
방제용 조성물 +++ +++
상기 표 1에서 - : 활성없음, + : 활성약함(저해환크기 8 내지 10mm), ++ : 활성중(저해환크기 10 내지 12mm), +++ : 활성강함(저해환크기 12mm 이상)을 나타낸다.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탄저병에 대한 매실 추출물, 은행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제제 조성물의 항진균 활성을 검정한 결과 고추탄저병균과 사과탄저병균에 대하여 매실 추출물과 은행 추출물은 유사하게 항진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제제 조성물은 현저하게 우수한 항진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역병에 대한 실내 검정
Disk Paper Method
전배양된 P.grisea를 균주의 농도를 14 개/mL 농도로 조절하여 Spread stick 을 이용하여 PDA배지에 도말하여 준비하였고 독활 추출물 및 항균활성물질을 500, 250, 125, 62.5mgL-1로 제조한 다음에 8 disk paper에 흡수시켜 완전히 건조시킨 후에 건조된 disk를 P.grisea가 도말된 평판 배지 위에 완전히 밀착시킨 상태로 25 incubator에서 배양 후 disk 주변에 생성된 크리어존(clear zone) 크기를 측정하여 농도별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비교군으로는 트리사이클라졸(Tricyclazole) 수화제(빔, 동부한농)를 사용하였고, 각 시험은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매실 추출물, 은행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제제 조성물의 고추역병에 대한 항균 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항균 활성 정도
고추역병
매실 추출물 +
은행 추출물 +
방제용 조성물 +++
상기 표 2에서 - : 활성없음, + : 활성약함(저해환크기 8 내지 10mm), ++ : 활성중(저해환크기 10 내지 12mm), +++ : 활성강함(저해환크기 12mm 이상)을 나타낸다.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고추역병에 대한 매실 추출물, 은행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제제 조성물의 항균 활성을 검정한 결과 매실 추출물과 은행 추출물은 유사하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제제 조성물은 현저하게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고추 유묘를 이용한 탄저병 및 역병에 대한 포장실험
고추탄저병과 고추역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포장검정을 실시하였다.
먼저, 실시예 1의 방제제 조성물 1g을 물 500㎖에 용해하고 이를 트윈 20(tween 20) 용액을 250㎕을 첨가하여 최종 1,000㎖가 되게 하였다. 이를 고추 과육에 흘러내릴 정도로 충분히 스프레이한 후에 자연건조하였다. 대조구로는 트윈 20(tween 20) 250ppm만 첨가된 증류수를 스프레이 처리하였다. 고추 과육의 표면에 물기가 없음을 확인하고 여기에 고추탄저병균 및 고추역병균을 스프레이 접종처리 하였다. 이때 병원균 접종 포자 농도는 ㎖당 1.2X107개였다. 이렇게 처리한 고추는 과습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24시간 동안 비닐로 덮고 5일후에 이병과를 조사하여,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이병과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이병과율(%)
고추탄저병 고추역병
방제용 조성물 36.5 32.9
무처리 78.2 82.1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매실 추출물 및 은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방제제 조성물의 고추탄저병에 대한 포장방제효과는 무처리군이 78.2%인데 비하여 36.5%로 매우 우수하였다. 또한, 고추역병에 대한 포장방제효과 또한 무처리군이 82.1%인데 비하여 32.9%로 매우 우수하였다.

Claims (5)

  1. 매실 추출물 및 은행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 탄저병 및 역병 방제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실 추출물 및 은행 추출물의 혼합물이 2:1 내지 1: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탄저병 및 역병 방제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이 오이, 고추, 파프리카, 참외, 수박, 딸기, 복숭아, 사과, 포도나무, 감자, 토마토, 담배, 멜론, 호박, 수세미 및 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탄저병 및 역병 방제제 조성물.
  4.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탄저병 및 역병을 예방, 치료 또는 방제하는 방법:
    (a) 제 1항 내지 제 3 항 중 한 항에 따른 상기 식물 탄저병 및 역병의 방제제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조성물을 식물에 접촉시키는 단계.
  5. 매실 추출물 및 은행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 탄저병 및 역병용 비료 첨가제.
KR1020180151885A 2018-11-30 2018-11-30 탄저병 및 역병 방제용 식물 방제제 KR20200065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885A KR20200065422A (ko) 2018-11-30 2018-11-30 탄저병 및 역병 방제용 식물 방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885A KR20200065422A (ko) 2018-11-30 2018-11-30 탄저병 및 역병 방제용 식물 방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422A true KR20200065422A (ko) 2020-06-09

Family

ID=7108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885A KR20200065422A (ko) 2018-11-30 2018-11-30 탄저병 및 역병 방제용 식물 방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54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8966B (zh) 一种作物病害防治复合生物制剂及其应用
Nwachukwu et al. Evaluation of plant extracts fo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Sclerotium rolfsii causing cocoyam cormel rot in storage
Sehsah et al. Efficacy of Bacillus subtilis, Moringa oleifera seeds extract and potassium bicarbonate on Cercospora leaf spot on sugar beet
KR101837622B1 (ko) 빌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Abada et al. Management of pepper Verticillium wilt by combinations of inducer chemicals for plant resistance, bacterial bioagents and compost
KR100294023B1 (ko) 작물의병해방제용균주,이를함유하는미생물제제및그용도
KR101464335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Parwanayoni et al. Synergistic activity of leaves extracts of Mansoaalliacea L. and Allamanda cathartica L. to Inhibit Atheliarolfsii, the cause of stem rot disease in peanut Plants
KR101501033B1 (ko) 살선충 효과를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고양엔시스 big11003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245582B1 (ko) 독활 추출물을 함유하는 벼 도열병 방제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벼 도열병 방제 방법
Abada et al. Bacterial bioagents and compost as two tools for management of eggplant Fusarium wilt
MZ et al. Evaluation of some antioxidants against tomato early blight disease
KR20090037158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소나무 재선충 방제제
KR100314323B1 (ko) 작물의 병해 방제용 균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그 용도
KR102073487B1 (ko) 바실러스 발리스모티스 bs07m 균주를 접종한 가축분 입상 퇴비의 제조방법
KR20200065422A (ko) 탄저병 및 역병 방제용 식물 방제제
KR100505819B1 (ko) 식물의 흰가루병 방제제
Abada et al. Effect of combination among bioagents, compost and soil solarization on management of strawberry Fusarium wilt
Minati et al. Pathogenicity of nine Fusarium species causing head blight and crown rot in Iraqi wheat cropping system, Basra province
Reddy et al. Vermicompost as a biocontrol agent in suppression of two soil-borne plant pathogens in the field
KR101633290B1 (ko) 친환경 작물병 예방 및 방제용 제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KR101680854B1 (ko) 녹나무 및 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추역병 방제용 조성물
Osai et al. Comparative efficacy of three plant extracts for the control of leaf spot disease in fluted pumpkin (Telfairia occidentalis Hook F.)
CN115067364B (zh) 高效低毒低残留风险生物-化学协同增效杀菌组合物及应用
KR102571461B1 (ko) 생강 생육 및 품질 저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추출물 및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