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350A -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350A
KR20200065350A KR1020180151728A KR20180151728A KR20200065350A KR 20200065350 A KR20200065350 A KR 20200065350A KR 1020180151728 A KR1020180151728 A KR 1020180151728A KR 20180151728 A KR20180151728 A KR 20180151728A KR 20200065350 A KR20200065350 A KR 20200065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hat
server
health
health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영
Original Assignee
아프릴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릴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프릴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1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5350A/ko
Publication of KR20200065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생체 정보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요청신호를 상기 생체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건강관리서버; 및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보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챗봇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 관한 채팅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챗봇서버는 상기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채팅 요청메시지에 대응하는 채팅 응답메시지를 추출하고, 검출된 채팅 응답메시지를 상기 건강관리정보로서 상기 건강관리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상기 채팅 응답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healt care service using chatting robot}
온라인 상에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에 따른 활동량 부족과 영양 과잉으로 대사증후군 등 만성질환이 급증하고 있다. 즉, 급격한 인구 고령화로 인해 심각한 만성질환 합병증이 증가하고 있어, 삶의 질이 떨어지고 의료비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체계적인 건강관리가 요구되고 있으며, 개인이 자신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자신의 건강 상태(예를 들어, 혈당, 혈압, 체중, 체성분, 콜레스테롤, 신장, 체온 등)를 자가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장비들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개인은 해당 생체정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장비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대응시기를 놓쳐 질병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실시간 자가관리를 도와줄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건강관리 서비스는 대부분 서비스 사업자가 사용자에게 한 두가지 생체정보에 대한 관리를 제공하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흥미를 잃으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측정된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통계나 등수, 점수 등으로 다양한 시각화를 시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오픈 API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헬스 케어 코칭 인공지능 시스템은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건강관리 서비스는 개발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의학적 판단을 의료인이 아닌 기계가 담당하게 되어 의료법 위반에 해당하기 때문에 서비스 보급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웹 또는 모바일을 이용한 건강관리서버가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채팅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채팅 로봇을 포함하는 서버에서 사용자에 대한 건강관리정보로서 채팅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생체 정보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요청신호를 상기 생체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건강관리서버; 및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보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챗봇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 관한 채팅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챗봇서버는 상기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채팅 요청메시지에 대응하는 채팅 응답메시지를 추출하고, 검출된 채팅 응답메시지를 상기 건강관리정보로서 상기 건강관리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상기 채팅 응답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 신호는, 혈당, 혈압, 체성분, 콜레스테롤, 현재 질병상태, 및 과거 질병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챗봇서버는, 상기 채팅 응답 메시지를 텍스트, 이모티콘, 이미지, 외부 디바이스 접속 링크, 사용자 선택형 버튼,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전송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챗봇서버는, 상기 건강관리서버와 상기 생체정보, 상기 채팅 요청메시지 및 상기 채팅 응답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오픈 API 모듈; 상기 챗봇서버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 상기 오픈 API 모듈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상기 생체정보, 상기 건강관리서버에 제공하는 상기 채팅 응답메시지의 생성을 위한 건강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의 발화시에 상기 생체정보와 미리 구성해 놓은 룰에 따라 상기 채팅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구성해 놓은 룰에 따라 상기 채팅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채팅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은,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생체 정보를 건강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요청신호를 상기 생체정보와 함께 챗봇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챗봇서버가 상기 건강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보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상기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관리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건강에 관한 채팅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챗봇 서버는 상기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채팅 요청메시지에 대응하는 채팅 응답메시지를 추출하고, 검출된 채팅 응답메시지를 상기 건강관리정보로서 상기 건강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 신호는, 혈당, 혈압, 체성분, 콜레스테롤, 현재 질병상태, 및 과거 질병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강 관리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챗봇 서버가 상기 채팅 응답 메시지를 텍스트, 이모티콘, 이미지, 외부 디바이스 접속 링크, 사용자 선택형 버튼,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전송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강 관리정보를 상기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관리서버와 상기 생체정보, 상기 채팅 요청메시지 및 상기 채팅 응답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챗봇 서버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 상기 오픈 API 모듈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상기 생체정보, 상기 건강관리서버에 제공하는 상기 채팅 응답메시지의 생성을 위한 건강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화시에 상기 생체정보와 미리 구성해 놓은 룰에 따라 상기 채팅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구성해 놓은 룰에 따라 상기 채팅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웹 또는 모바일을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에 관한 혈당, 혈압, 체중, 콜레스테롤 수치 등 생체정보를 제공받아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채팅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건강 관리를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챗봇 서버에서 적절한 건강상식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정기 또는 비정기적으로 전송하고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건강관리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챗봇 서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따라 제공되는 채팅 메시지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블록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클라이언트(10), 통신망(20), 건강관리서버(30) 및 챗봇서버(4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10)는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생체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건강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 클라이언트(10)는 건강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즉, 사용자)가 사용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센싱 디바이스(미도시)로부터 주기적으로 생체 정보를 전달 받아 사용자 특징 정보, 사용자 상황 정보와 함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건강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10)는 일반 테스크탑 PC, 워크스테이션 등일 수도 있고, 노트북, 테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10)는 챗봇 서버(40)와 통신하는 매개체인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챗봇 서버(40)로 건강관리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챗봇 서버(40)로부터 전송된 건강 관리문의사항을 표시하고, 표시된 사항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입력 내용에 대해 챗봇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혈당정보, 혈압정보, 맥박정보, 체중정보, 체성분정보, 콜레스테롤 정보, 신장정보, 체온정보, 뇌파정보, 나이 정보, 성별 정보, 현재 질병상태정보, 또는 과거 질병상태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정보는 의사의 소견이 반영된 진료 기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생체 정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센싱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전송될 수 있는 생체정보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질병 유무 또는 유전적인 영향 등에 대한 정보들이 여기에 추가적으로 반영될 수도 있다.
센싱 디바이스는 생체 신호를 센서로 인식하여 측정하는 기기로서, 측정되는 생체 신호에는 심장의 박동과 관련되어 전압의 형태로 측정되는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대뇌의 활동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신호로 인지기능, 감각기능, 운동기능, 감정상태 및 수면상태 등 뇌의 다양한 활동 상태를 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나타내는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m) 및 근육 수축의 여부 및 수축 강도를 나타내는 근전도(EMG,Electromyogra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센싱 디바이스는 사람이 착용 가능한 기기로서 스마트워치, 밴드, 안경 및 목걸이 등을 포함하는 액세서리형, 셔츠, 양말 및 신발 등을 포함하는 직물/의류일체형, 패치, 헤드셋, 모자 및 헤어밴드 등을 포함하는 신체부착형, 알약 및 신체 부위에 칩 이식 등을 포함하는 생체 이식형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센싱 디바이스는 생체 신호를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등을 통해 클라이언트(10)에게 전달할 수 있고, 센싱 디바이스는 저전력, 저잡음, 소형화를 위한 소형/저전력 센서 네트워크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클라이언트(10)에게 생체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통신망(20)은 클라이언트(10) 및 건강관리서버(30)와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클라이언트(10)와 건강관리서버(3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센싱 디바이스가 통신망(20)과 직접 연결된 경우에, 통신망(20)은 센싱 디바이스에서 감지된 생체 신호를 건강관리서버(30)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망(20)은 클라이언트(10)와 건강관리서버(3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망으로서 유선 인터넷, LAN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망로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 WiFi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 또는 WiMax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 또는 CDMA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 또는 HSUPA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30)는 클라이언트(10)로부터 제공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요청신호를 생체정보와 함께 챗봇 서버(40)로 전송한다. 이때, 정보요청신호는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한 채팅 요청메시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건강관리서버(30)는 클라이언트(10)로부터 생체 정보, 사용자 특징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전달받고 저장한다. 또한, 건강관리서버(30)는 사용자 정보 중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생체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생체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생체 감정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건강관리서버(30)는 생체 정보를 그대로 저장할 수 있고, 생체 정보에서 추출한 생체 특징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장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별로 정보를 구분하여 업데이트될 수도 있고, 사용자별로 사용자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건강관리서버(30)는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감정을 표현하는 생체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생체 정보 별로 감정추론규칙을 도출하여 생체감정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건강관리서버(30)는 사용자별 생체정보와 함께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요청신호를 챗봇 서버(40)로 전달한다. 또한, 건강관리서버(30)는 챗봇 서버(40)로부터 제공된 건강관리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건강관리정보를 통신망(200)을 통해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한다.
여기서, 건강관리 질의문(예를 들어, 채팅 요청메시지 또는 채팅 응답 메시지)은 건강 관리를 위한 필수 질문과 대화를 위한 부가 질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건강관리 질의문의 리스트는 업데이트 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소싱 기반으로도 질의문 리스트가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여기서, 건강관리정보는 건강 위험도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 위험도는 등급에 따른 벡터 값을 기준으로 등급이 산출될 수 있으며, 각 등급 내에서도 구체적으로 나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 위험도는 상, 중 및 하 등급으로 구분되고, 상은 상상 상중 상하로 도 나눠 구분될 수도 있다. 또한, 건강관리 위험도를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상, 중 및 하 등급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건강관리서버(30)는 건강관리 위험도에 대응되는 콘텐츠 정보들을 구비하고 있어, 산출된 건강관리 위험도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결정하여 추천할 수 있고, 콘텐츠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은 콘텐츠 정보를 직접적으로 볼 수 있는 콘텐츠 주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콘텐츠 정보의 카테고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공하는 콘텐츠 정보의 카테고리는 사용자별 개인 정보를 기준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챗봇 서버(40)는 건강 관리서버(30)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보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 챗봇 서버(40)는 사용자의 건강에 관한 채팅 요청메시지를 건강관리서버(30)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채팅 요청메시지에 대응하는 채팅 응답메시지를 추출하고, 검출된 채팅 응답메시지를 건강관리정보로서 상기 건강관리서버(30)로 제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챗봇 서버(40)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챗봇 서버(40)는, 오픈 API모듈(41), 데이터베이스(42), 챗팅 로봇(43)를 포함한다.
오픈 API모듈(41)은 건강 관리서버(30)와 상기 생체정보, 상기 채팅 요청메시지 및 상기 채팅 응답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오픈 API모듈(41)은 건강 관리서버(30)와 챗봇 서버(40) 사이의 채팅 채널을 네트워크 상에서 형성함으로써, 건강관리서버(30)의 채팅 요청 신호를 챗봇 서버(40)에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며, 챗봇 서버(40)에서 추출된 채팅 응답 신호를 건강관리서버(3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오픈 API모듈(41)은 JSON Array 형태로 구성된 채팅 메시지를 인터페이스하며, 이러한 채팅 메시지는 하나의 응답 단위에는 건강관리서버(30)에서 출력해야할 UI 정보가 payload에 JSON Object 형태로 전달이 된다. payload의 내용에 따라서 건강관리서버(30)는 응답 메시지와 적절한 사용자 입력 UI 를 출력한다.
데이터베이스(42)는 챗봇 서버(42)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 오픈 API 모듈(41)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생체정보, 건강 관리서버(30)에 제공하는 상기 채팅 응답메시지의 생성을 위한 건강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데이터베이스(42)는 채팅 요청 메시지에 대한 채팅 응답메시지의 생성을 위한 정보로서, 사람의 감정을 표현하는 감정 단어 및 각 감정 단어의 감정 벡터 값을 포함하는 감정사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감정사전정보는 수집된 학습 단락에 대한 감정분류 점수를 부여하고, 학습 단락에 등장한 모든 단어에 대한 감정벡터 값일 수 있다. 수집한 학습 단락은 사전에 기계 학습을 위한 초기 단계에 사용되는 텍스트 문서일수도 있으며, 클라이언트기(10)로부터 전달 받은 답문일수도 있다. 또한 감정 사전에 없는 감정 단어가 답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감정 사전에 없는 감정 단어를 감정 사전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챗팅 로봇(43)은 상기 사용자의 발화시에 상기 생체정보와 미리 구성해 놓은 룰에 따라 상기 채팅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구성해 놓은 룰에 따라 상기 채팅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챗팅 로봇(43)은 건강관리서버(30)로부터 건강관리 질의문(예를 들어, 채팅 요청메시지)를 오픈 API모듈(41)를 통해 전달받아서 채팅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클라이언트(10)와 채팅을 위한 건강관리 질의문(예를 들어, 채팅 응답 메시지)을 생성하고, 생성된 건강관리 질의문을 건강관리서버(3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챗팅 로봇(43)은 데이터베이스(42)로부터 건강관리 질의문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도 있고, 인공 신경망 알고리즘(AI)을 통한 머신런닝 기술을 이용해 건강관리 질의문을 생성할 수도 있다.
채팅 로봇(43)은 채팅 응답 메시지를 텍스트, 이모티콘, 이미지, 외부 디바이스 접속 링크, 사용자 선택형 버튼,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채팅 로봇(43)은 채팅 요청메시지에 대응하는 채팅 응답메시지를 추출하여 검출된 채팅 응답메시지를 오픈 API모듈(41)을 통해 건강관리서버(3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건강 관리서버(30)는 채팅 응답메시지를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따라 제공되는 채팅 메시지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오픈 API 규격에 맞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현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도 4b를 참조하면, 3개의 채팅 화면 타입을 예시하고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웹 또는 모바일 서비스 사업자가 채팅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해당 채팅 인터페이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전송한 혈당, 혈압, 체중, 콜레스테롤 수치 등 생체정보를 입력 받아 건강관리 채팅 로봇 회사의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고, 채팅 로봇이 생체정보를 전달한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한 후 상태 판단 및 대응법이 저장된 룰(Rule) 엔진 서버에서 적절한 피드백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발화 채팅을 수행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채팅 로봇이 건강상식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건강상식 중 적절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웹 또는 모바일 서비스 사업자의 채팅 인터페이스 사용자에게 건강관리 상식을 정기 또는 비정기적으로 전송하고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챗봇 발화 채팅을 수행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따라 제공되는 채팅 메시지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오픈 API 규격에 맞춰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현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도 5b를 참조하면, 3개의 채팅 화면 타입을 예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생체 정보를 건강 관리서버로 전송한다(S100 단계). 상기 생체 신호는, 혈당, 혈압, 체성분, 콜레스테롤, 현재 질병상태, 및 과거 질병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S100 단계 후에,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요청신호를 상기 생체정보와 함께 챗봇 서버로 전송한다(S102 단계). 건강관리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생체 정보, 사용자 특징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전달받고 저장한다. 또한, 건강관리서버는 사용자 정보 중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생체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생체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생체 감정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건강관리서버는 생체 정보를 그대로 저장할 수 있고, 생체 정보에서 추출한 생체 특징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장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별로 정보를 구분하여 업데이트될 수도 있고, 사용자별로 사용자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건강관리서버는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감정을 표현하는 생체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생체 정보 별로 감정추론규칙을 도출하여 생체감정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S102 단계 후에, 상기 챗봇서버가 상기 건강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보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상기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한다(S104 단계).
챗봇 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건강에 관한 채팅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챗봇 서버는 상기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채팅 요청메시지에 대응하는 채팅 응답메시지를 추출하고, 검출된 채팅 응답메시지를 상기 건강관리정보로서 상기 건강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챗봇 서버는 상기 건강 관리서버와 상기 생체정보, 상기 채팅 요청메시지 및 상기 채팅 응답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챗봇 서버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 상기 오픈 API 모듈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상기 생체정보, 상기 건강 관리서버에 제공하는 상기 채팅 응답메시지의 생성을 위한 건강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화시에 상기 생체정보와 미리 구성해 놓은 룰에 따라 상기 채팅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구성해 놓은 룰에 따라 상기 채팅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여 전송한다.
S104 단계 후에,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S106 단계).
S106 단계 후에,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출력한다(S108 단계). 출력은 화면 또는 음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 기록매체에 기록해 둘 수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각 재생장치의 내장형으로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클라이언트
20: 통신망
30: 건강관리서버
40: 챗봇서버
41: 오픈 API모듈
42: 데이터베이스
43:채팅 로봇

Claims (8)

  1.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생체 정보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요청신호를 상기 생체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건강관리서버; 및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보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챗봇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 관한 채팅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챗봇서버는 상기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채팅 요청메시지에 대응하는 채팅 응답메시지를 추출하고, 검출된 채팅 응답메시지를 상기 건강관리정보로서 상기 건강관리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상기 채팅 응답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는,
    혈당, 혈압, 체성분, 콜레스테롤, 현재 질병상태, 및 과거 질병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챗봇서버는,
    상기 채팅 응답 메시지를 텍스트, 이모티콘, 이미지, 외부 디바이스 접속 링크, 사용자 선택형 버튼,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전송하는 특징으로 하는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챗봇서버는,
    상기 건강관리서버와 상기 생체정보, 상기 채팅 요청메시지 및 상기 채팅 응답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오픈 API 모듈;
    상기 챗봇서버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 상기 오픈 API 모듈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상기 생체정보, 상기 건강관리서버에 제공하는 상기 채팅 응답메시지의 생성을 위한 건강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의 발화시에 상기 생체정보와 미리 구성해 놓은 룰에 따라 상기 채팅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구성해 놓은 룰에 따라 상기 채팅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채팅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5.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생체 정보를 건강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요청신호를 상기 생체정보와 함께 챗봇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챗봇서버가 상기 건강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보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상기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버가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관리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건강에 관한 채팅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챗봇 서버는 상기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채팅 요청메시지에 대응하는 채팅 응답메시지를 추출하고, 검출된 채팅 응답메시지를 상기 건강관리정보로서 상기 건강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는,
    혈당, 혈압, 체성분, 콜레스테롤, 현재 질병상태, 및 과거 질병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챗봇 서버가 상기 채팅 응답 메시지를 텍스트, 이모티콘, 이미지, 외부 디바이스 접속 링크, 사용자 선택형 버튼,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전송하는 특징으로 하는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정보를 상기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관리서버와 상기 생체정보, 상기 채팅 요청메시지 및 상기 채팅 응답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챗봇 서버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 상기 오픈 API 모듈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상기 생체정보, 상기 건강관리서버에 제공하는 상기 채팅 응답메시지의 생성을 위한 건강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화시에 상기 생체정보와 미리 구성해 놓은 룰에 따라 상기 채팅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구성해 놓은 룰에 따라 상기 채팅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KR1020180151728A 2018-11-30 2018-11-30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5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728A KR20200065350A (ko) 2018-11-30 2018-11-30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728A KR20200065350A (ko) 2018-11-30 2018-11-30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350A true KR20200065350A (ko) 2020-06-09

Family

ID=7108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728A KR20200065350A (ko) 2018-11-30 2018-11-30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53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7901A (zh) * 2020-06-14 2020-12-04 深圳市前海澳威智控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疼痛管理系统及管理方法
KR20220018221A (ko) 2020-08-06 2022-02-15 최재영 챗봇 방식의 비대면 의료 진단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7901A (zh) * 2020-06-14 2020-12-04 深圳市前海澳威智控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疼痛管理系统及管理方法
KR20220018221A (ko) 2020-08-06 2022-02-15 최재영 챗봇 방식의 비대면 의료 진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589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aggregating biosignals and action data
US202102675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emotional compatibility in online dating
US202302218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alyzing, and sharing bio-signal and non-bio-signal data
US96226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ollaborative analysis of a biosignal
US105798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user engagement during wellness program interaction
Campos et al. What is shared, what is different? Core relational themes and expressive displays of eight positive emotions
Oberman et al. Face to face: Blocking facial mimicry can selectively impair recognition of emotional expressions
Li et al. A P300-based brain–computer interface: Effects of interface type and screen size
US20120124122A1 (en) Sharing affect across a social network
US201401429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user engagement during wellness program interaction
DE102016101650A1 (de) Korrektur von bias in messwerten der affektiven reaktion
Li et al. Effects of luminosity contrast and stimulus duration on user performance and preference in a P300-based brain–computer interface
US20140278455A1 (en) Providing Feedback Pertaining to Communication Style
KR20180098840A (ko) 실시간 심리 치료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1183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monitoring of emotion during teletherapy
US10108784B2 (en) System and method of objectively determining a user's personal food preferences for an individualized diet plan
KR20200065350A (ko) 채팅 로봇을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Rojas et al. Towards enhancing empathy through emotion augmented remote communication
Girardi et al. The way it makes you feel predicting users’ engagement during interviews with biofeedback and supervised learning
CN115136248A (zh) 提案系统、提案方法及程序
Bačić Biometrics and business information visualization: research review, agenda and opportunities
Ferrari et al. Using Voice and Biofeedback to Predict User Engagement during Product Feedback Interviews
Reibenspiess et al. UNMASKING EMOTIONS VIA FACIAL EXPRESSIONS–FIRST INSIGHTS ON THE ROLE OF EMOTIONAL VALENCE FOR IS DISCONTINUANCE
WO2023145350A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Seixas-Lopes et al. Bio-data collection for a community adaptative work-life bal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