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784A - 벽면 녹화 장치 - Google Patents

벽면 녹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784A
KR20200064784A KR1020180151325A KR20180151325A KR20200064784A KR 20200064784 A KR20200064784 A KR 20200064784A KR 1020180151325 A KR1020180151325 A KR 1020180151325A KR 20180151325 A KR20180151325 A KR 20180151325A KR 20200064784 A KR20200064784 A KR 20200064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unit
pots
signal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374B1 (ko
Inventor
박신애
안경진
조영열
이재명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물빛조경 주식회사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물빛조경 주식회사,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51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3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1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with intermittent wa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는 벽면에 구비되고, 미리 설정된 복수의 구역별로 식물이 식재된 복수의 화분을 탑재하는 화분 장착부, 상기 구역별로 탑재된 상기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복수의 화분에 관수를 제공하는 급수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급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분의 구역내 이동 및 구역간 이동을 수행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급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화분에 관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면 녹화 장치{FACADE GREENERY DEVICE}
본원은 벽면 녹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심의 생태적 기능 유지와 심미적인 목적으로 건물 외벽, 도보, 벽 등의 벽면 녹화가 추진되고 있다. 조경 시설물의 벽면을 녹화하는 방법 중 하나는 화분을 이용한 녹화 방법 또는 덩굴식물의 생장을 유도하는 녹화 방법 등이 있으나, 녹화 범위를 정확하게 제한할 수 없으며, 식물의 생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벽면 녹화에는 주로 단일 식생이 사용되어 외관이 단순하므로, 심미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특히, 연령층이 다양한 유동인구가 존재하는 영역 또는 다양한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간에는 시간대 별로 이용하는 주된 보행자와 어울리는 분위기, 공간 사용자의 특성, 공간 사용의 목적 등에 따른 연출해야만 심미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이러한 벽면 녹화 기술과 관련하여 그 개발 수준이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7861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벽면 녹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치, 사용자 특성 및 목적 등에 따라 적합한 분위기를 연출하도록 화분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는 벽면 녹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재된 식물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자동적으로 관수 및 일조량을 제공받도록 할 수 있는 벽면 녹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면 녹화 장치에 식재된 식물을 활용하여 설치 공간의 공기 정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벽면 녹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는 벽면에 구비되고, 미리 설정된 복수의 구역별로 식물이 식재된 복수의 화분을 탑재하는 화분 장착부, 상기 구역별로 탑재된 상기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복수의 화분에 관수를 제공하는 급수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급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분의 구역내 이동 및 구역간 이동을 수행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급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화분에 관수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분 장착부는, 상기 벽면에 대향하여 이중으로 배치된 제1화분 및 제2화분을 탑재하되, 상기 제1화분은 상기 벽면과 상기 제1화분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화분보다 상기 벽면으로부터 원위에 위치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화분 및 상기 제2화분은 상기 구역별로 탑재되는 상기 복수의 화분의 탑재 위치마다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화분 및 제2화분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제1화분 및 제2화분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구역별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관수 주기에 따라 급수량이 설정된 상기 급수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식물의 관수 주기에 따른 급수량에 대응하여 급수를 제공 받도록 상기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구역별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필요 일조량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구동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벽면 녹화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따른 급수량 및 필요 일조량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벽면 녹화 장치는 상기 화분별로 상기 화분에 식재된 식물 및 토양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 상기 화분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 센서 및 상기 토양내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무게, 상기 광량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무게, 상기 광량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벽면 녹화 장치의 화분 장착부에 미리 설정된 구역별로 탑재된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화분에 관수를 제공하는 급수부를 제어하는 급수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벽면 녹화 장치로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화분의 구역내 이동 및 구역간 이동을 수행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분 장착부는, 상기 벽면에 대향하여 이중으로 배치된 제1화분 및 제2화분을 탑재하되, 상기 제1화분은 상기 벽면과 상기 제1화분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화분보다 상기 벽면으로부터 원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1화분 및 상기 제2화분은 상기 구역별로 탑재되는 상기 복수의 화분의 탑재 위치마다 구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구역별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관수 주기에 따라 급수량을 설정하여 상기 급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식물의 관수 주기에 따른 급수량에 대응하여 급수를 제공받도록 상기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구역별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필요 일조량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분의 이동을 설정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상기 벽면 녹화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따른 급수량 및 필요 일조량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벽면 녹화 장치로부터 상기 화분별로 상기 화분에 식재된 식물 및 토양의 무게, 상기 화분으로 유입되는 광량 및 상기 토양내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무게, 상기 광량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신호 및 상기 급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벽면 녹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위치 및 목적에 따라 적합한 분위기를 연출하도록 화분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는 벽면 녹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식재된 식물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자동적으로 관수 및 일조량을 제공받도록 할 수 있는 벽면 녹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화분 탑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화분이 탑재되는 구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제1화분 및 제2화분의 이동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화분의 구역내 이동 및 구역간 이동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화분 전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벽면 녹화 장치(100)는 화분 장착부(110), 구동부(120), 급수부(130), 통신부(140) 및 센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면 녹화 장치(100)는 보도, 특정 공간에 마련되는 벽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화분을 탑재함으로써, 심미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벽면 녹화 장치(100)와 연동되어 벽면 녹화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벽면 녹화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신호 생성부(210), 단말 통신부(220) 및 위치 정보 수집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TV 등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210), 단말 통신부(220) 및 위치 정보 수집부(230)에 대해서는 보다 뒤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화분 탑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분 장착부(110)는 벽면(1)에 구비되고 미리 설정된 복수의 구역별로 식물이 식재된 복수의 화분을 탑재할 수 있다. 화분 장착부(110)는 벽면(1)에 대향하여 이중으로 배치된 제1화분(10) 및 제2화분(20)을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제1화분(10)은 벽면(1)과 제1화분(10) 사이에 배치된 제2화분(20)보다 벽면(1)으로부터 원위(far-distance)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화분(10)은 제2화분(20)보다 벽면(1)으로부터 바깥쪽에 위치함으로써 보도를 걷는 보행자들 또는 공간 내의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화분(10)과 제2화분(20)은 시간 또는 연출될 분위기에 따라 그 위치가 전환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화분이 탑재되는 구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벽면 녹화 장치(100)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4는 정면 즉, 벽면(1)을 보는 방향으로 바라본 화분 장착부(110)를 도시한 도면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구역은 제1구역(111), 제2구역(112), 제3구역(113) 및 제4구역(114)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화분은 각 구역별로 탑재될 수 있으며, 구역별로 동일한 종류의 식물이 식재된 화분이 탑재될 수 있고, 구역별로 서로 상이한 종류의 식물이 식재된 화분이 탑재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역 내에서도 동일한 종류의 식물이 식재된 화분들이 탑재될 수 있고, 서로 상이한 종류의 식물이 식재된 복수의 화분이 하나의 구역에 탑재될 수도 있다. 또한, 제1화분(10) 및 제2화분(20)은 구역별로 탑재되는 복수의 화분의 탑재 위치마다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제1구역에(111) 탑재된 제1화분(10)의 내측에는(벽면(1)에 인접한 쪽) 제2화분(20)이 탑재될 수 있다.
구동부(120)는 구역별로 탑재된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동부(120)는 복수개의 모터 유닛 및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20)는 복수개의 모터 유닛을 통해 복수의 화분의 구역 내 이동 및 구역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화분 장착부(110)는 복수의 제1플레이트(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 화분은 각 제1플레이트(11)에 탑재될 수 있다. 하나의 제1플레이트(11)에 하나의 화분이 탑재되며, 구동부(120)는 제1플레이트(11)를 이동시킴으로써, 제1플레이트(11)에 탑재된 화분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화분 장착부(110)는 각 구역 내의 모든 제1플레이트(11)가 장착되는 제2플레이트(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구동부(120)의 복수의 모터유닛 중 하나는 제2플레이트(12)를 이동시킴으로써 구역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제2플레이트(12)에는 8개의 제1플레이트(11)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분의 구역내 이동 및 구역간 이동(제1플레이트(11)의 이동 및 제2플레이트(12)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부(120)의 복수의 모터유닛 중 하나(제1모터유닛)는 제1화분(10)의 제1플레이트(11) 및 제2화분(20)의 제1플레이트(11)와 연결되어 제1화분(10)의 제1플레이트(11) 및 제2화분(20)의 제1플레이트(11)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모터유닛은 도 3을 기준으로 제1플레이트(11)의 하측에서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11)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화분(10) 및 제2화분(20)의 제1플레이트(11)마다 제1모터유닛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플레이트(11)의 측면과 제2플레이트(12) 사이에는 제2모터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모터유닛은 제2화분(20)의 제1플레이트(11)의 벽면을 향한 측면(도 3기준 제2화분(20)과 화분 장착부(110)의 사이, 3시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제1화분(10) 및 제2화분(20)은 제2모터유닛에 의해 구역내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모터유닛은 제1화분(10) 및 제2화분(20)이 각각 탑재된 한 쌍의 제1플레이트(11)와 한 쌍의 제1플레이트(11)와 연결된 제1모터유닛을 함께 한 쌍의 제1플레이트(11)가 속한 구역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역내 이동 및 구역간 이동은 후술하는 도 6을 통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급수부(130)는 상기 복수의 화분에 관수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급수부(130)는 급수 신호에 기초하여 화분에 관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신호는 통신부(14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구동부(120)를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급수부(130)를 제어하는 급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신부(140)는 상기 구역별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관수 주기에 따라 급수량이 설정된 급수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의 관수 주기에 따른 급수량에 대응하여 급수를 제공 받도록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에는 벽면 녹화 장치(100)와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하, 앱 app)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앱은 각 식물별 관수 주기 및 관수 주기에 따른 급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각 식물별 필요 일조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가 관리하는 식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는 제1화분(10)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 제2화분(20)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 각 구역별 식재된 식물의 종류(구역별로 제1화분(10) 및 제2화분(20) 각각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 포함)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식물의 종류에 대응하는 급수 주기, 급수량 및 일조량을 설정하여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앱을 통해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키거나 급수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200)은 식물별 일조량, 급수량 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급수 및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화분의 이동 및 급수가 원하는 때에 이루어지도록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을 참조하면, 급수부(130)는 화분 장착부(11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모든 복수의 화분이 동일하게 급수를 제공받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상대적으로 화분 장착부(110)의 상부에 위치한 화분에 공급되는 급수량이 화분 장착부(110)의 하부에 위치한 화분에 공급되는 급수량 보다 적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단의 화분은 상단에 위치한 화분들에 의해 빛이 가려져 일조량이 부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화분에 식재된 식물 별로 충분한 급수 및 일조량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생성한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통신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벽면 녹화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GPS 모듈을 통해 벽면 녹화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는 벽면 녹화 장치(100)에 GPS 모듈이 구비되고, 이를 통해 벽면 녹화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벽면 녹화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따른 급수량 및 필요 일조량에 기초하여 급수 신호 및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 설치 지역, 국가 별로 날씨, 일조시간, 강수량 등이 상이하므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식물의 종류를 인식하고 그에 따른 필요 일조량, 급수량 및 급수 주기를 파악하더라도, 벽면 녹화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급수 신호 및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제1화분 및 제2화분의 이동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화분의 구역내 이동 및 구역간 이동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화분 및 제2화분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벽면 녹화 장치(100)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부(120)는 제1화분(10) 및 제2화분(20)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제1화분(10)의 제1플레이트(11) 및 제2화분(20)의 제1플레이트(11)와 연결된 제1모터유닛은 제1화분(10) 및 제2화분(20)을 제1레일(30)을 따라 동일한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화분 및 제2화분의 화분 장착부(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원근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부(120)는 복수의 화분의 구역내 이동 및 구역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제2모터유닛은 각 구역마다 구비된 제2레일(40)에 연결되며, 제2레일(40)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11)를 구역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모터유닛은 한 쌍의 제1플레이트(11)마다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모터유닛의 구동력의 방향과 제2모터유닛의 구동력의 방향은 직각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플레이트(12)에는 제3모터유닛이 연결되어 구비되며, 제3모터유닛은 제3레일(50)을 따라 제2플레이트(1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플레이트(12)에는 제1플레이트(11)를 통해 각 구역의 모든 화분이 탑재되므로, 제2플레이트(12)의 이동은 구역간 이동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모터유닛의 구동에 의하여 제1플레이트(11)가 구동하여 제1화분과 제2화분의 앞뒤 위치가 전환될 수 있고, 제2모터유닛의 구동에 의하여 한 쌍의 제1플레이트(11)가 함께 각 구역 내에서 이동하여 각 구역 내에서 제1화분과 제2화분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고, 제3모터유닛의 구동에 의하여 복수의 제1플레이트(11)가 연결된 제2플레이트(12)가 이동함으로써, 구역 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1모터유닛, 제2모터유닛 및 제3모터유닛은 각 플레이트마다 구비될 수도 있으나, 각 플레이트(11, 12)는 레일(30, 40, 50)에 연결되고, 제1모터유닛, 제2모터유닛 및 제3모터유닛이 레일(30, 40, 50)에 연결되어 레일이 이동함으로써 각 플레이트(11, 12)가 필요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화분 전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1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제1화분(10) 및 제2화분(20)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동부(120)는 벽면 녹화 장치(100)의 설치 목적, 설치 공간, 공간 사용자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제1화분(10) 및 제2화분(20)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연출하고자 하는 분위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제1화분(10) 및 제2화분(20)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도 7은 제1화분(10)이 벽면(1)으로부터 원위에 위치하도록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제2화분(20)이 벽면(1)으로부터 원위에 위치하도록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벽면 녹화 장치(100)가 주택가 또는 아파트 인근에 설치된 경우, 등하교 하는 학생, 학부모, 출퇴근하는 직장인이 주된 유동인구가 될 것이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가 6시간이라고 가정하면, 복수의 화분은 오전시간(6시 ~ 12시)에는 등교하는 학생 또는 출근하는 직장인들에게 보여진다고 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20)는 활기찬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제1화분(10) 또는 제2화분(20)이 벽면(1)으로부터 원위에 위치하도록 제1화분 및 제2화분(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120)는 오후시간(13시 ~ 18시)에는 학생들이 하교하거나 직장인들이 퇴근하는 시간이므로 편안한 휴식의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제1화분(10) 또는 제2화분(20)이 벽면(1)으로부터 원위에 위치하도록 제1화분 및 제2화분(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분에 식재되는 식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벽면 녹화 장치(100)가 설치되는 목적, 위치 또는 연출하고자 하는 분위기에 따라 적합한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이때, 또한, 화분 장착부(110)의 각 구역별로 서로 상이한 식물이 식재될 수 있고, 구역내에서도 동일하거나 상이한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화분(10) 및 제2화분(20)의 배치, 구역내 화분의 배치, 구역간 화분의 배치 등 다양한 조합으로 조성하고자 하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구동 신호와 관계없이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제1화분(10) 및 제2화분(20)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신부(140)로 전송하여 구동부(120)가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제1화분(10) 및 제2화분(20)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150)는 무게 센서, 광센서,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화분 장착부(110)의 각 화분별 설치 위치(각 제1플레이트(11)와 연계하여) 마다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무게 센서는 화분별로 상기 화분에 식재된 식물 및 토양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광 센서는 화분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습도 센서는 토양내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센서부(150)에서 수집된 무게, 광량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무게, 광량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화분 장착부(110)의 각 제1플레이트(11)에 위치한 화분 별로 센싱 데이터를 판별하여, 각 제1플레이트(11)의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무게, 광량 및 습도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고, 통신부(140)로부터 수신된 무게, 광량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구동부(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통해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120) 및 급수부(130)는 센서부(150)에서 수집된 무게, 광량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화분을 이동시키고, 급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제어되지 않더라도,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식물의 건강이 유지되도록 급수 및 일조량을 제공하도록 화분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는 화분 장착부(110) 및 화분 장착부(110)에 재치된 화분(10, 20)을 수용하는 수용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160)는 화분 장착부(110) 및 재치된 화분(10, 20)을 밀폐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화분 장착부(110) 또는 벽면(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에 따르면, 수용부(160)에 의해 형성된 밀폐 공간에 복수의 화분(10, 20)의 식물에 의해 생성되는 신선하고 정화된 공기가 축적되어 보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는 수용부(160)에 모여있는 정화된 공기를 수용부(160)의 외부로 공급하고 수용부(160)의 외부의 비정화된 공기를 수용부(160)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17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개폐 조작을 할 수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개폐 동작이 전자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는 벽면 녹화 장치가 설치된 공간 또는 주변 환경의 공기 품질 또는 오염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공기 품질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 품질 센서는 이산화탄소 센싱 모듈 또는 미세먼지 센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품질 센서는 벽면 녹화 장치가 설치된 공간 또는 주변 환경의 공기 품질 또는 오염도 등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공기 품질의 측정 및 측정 데이터의 전송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공기 품질 또는 오염도 등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폐부(17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면 녹화 장치가 설치된 공간 또는 주변 환경의 공기 품질 또는 오염도의 수치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개폐부(170)를 개폐하되 복수의 개폐부(170) 중 몇 개의 개폐부(170)를 개폐할지 판단하여 개폐부(17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는 수용부(160) 내부의 공기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공기 품질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품질 센서는 수용부(160)의 내부의 공기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공기 품질의 측정 및 측정 데이터의 전송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공기 품질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폐부(17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160) 내부에 누적된 정화 공기의 양 또는 수용부(160) 내부의 공기 품질의 정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정화된 공기를 수용부(160)의 외부로 공급하기 위해 개폐부(170)를 개폐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는 수용부(160)를 포함함으로써, 식물에 의해 생성되는 정화된 공기를 축적하여 보관할 수 있고, 벽면 녹화 장치의 주변의 공기 품질 또는 수용부(160) 내부의 공기 품질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축적된 정화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공기 정화 효과를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는 화분 장착부(110), 구동부(120), 급수부(130), 통신부(140), 센서부(150), 수용부(160), 개폐부(170), 공기 품질 센서(미도시) 등의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신호 생성부(210)는 벽면 녹화 장치(100)의 화분 장착부(110)에 미리 설정된 구역별로 탑재된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120)를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생성부(210)는 복수의 화분에 관수를 제공하는 급수부(130)를 제어하는 급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210)는 복수의 화분의 구역내 이동 및 구역간 이동을 수행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210)는 구역별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관수 주기에 따라 급수량을 설정하여 급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생성부(210)는 식물의 관수 주기에 따른 급수량에 대응하여 급수를 제공받도록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생성부(210)는 구역별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필요 일조량에 따라 복수의 화분의 이동을 설정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부(230)는 벽면 녹화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위치 정보 수집부(230)는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GPS 모듈을 통해 벽면 녹화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이 벽면 녹화 장치(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 수집부(230)가 수집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벽면 녹화 장치(100)의 위치 정보인 것으로 판단한다. 신호 생성부(210)는 위치 정보에 따른 급수량 및 필요 일조량에 기초하여 급수 신호 및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220)는 벽면 녹화 장치(100)로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단말 통신부(220)는 신호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벽면 녹화 장치(100)의 통신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통신부(220)는 벽면 녹화 장치(100)로부터 화분별로 화분에 식재된 식물 및 토양의 무게, 화분으로 유입되는 광량 및 토양내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단말 통신부(220)는 센서부(150)에서 수집된 무게, 광량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210)는 무게, 광량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벽면
10: 제1화분
20: 제2화분
30: 제1레일
40: 제2레일
50: 제3레일
100: 벽면 녹화 장치
110: 화분 장착부
120: 구동부
130: 급수부
140: 통신부
150: 센서부
160: 수용부
170: 개폐부
200: 사용자 단말
210: 신호 생성부
220: 단말 통신부
230: 위치 정보 수집부

Claims (14)

  1. 벽면 녹화 장치에 있어서,
    벽면에 구비되고, 미리 설정된 복수의 구역별로 식물이 식재된 복수의 화분을 탑재하는 화분 장착부;
    상기 구역별로 탑재된 상기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복수의 화분에 관수를 제공하는 급수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급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분의 구역내 이동 및 구역간 이동을 수행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급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화분에 관수를 제공하는 것인, 벽면 녹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장착부는,
    상기 벽면에 대향하여 이중으로 배치된 제1화분 및 제2화분을 탑재하되,
    상기 제1화분은 상기 벽면과 상기 제1화분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화분보다 상기 벽면으로부터 원위에 위치하는 것인, 벽면 녹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분 및 상기 제2화분은 상기 구역별로 탑재되는 상기 복수의 화분의 탑재 위치마다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화분 및 제2화분의 위치를 전환하는 것인, 벽면 녹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제1화분 및 제2화분의 위치를 전환하는 것인, 벽면 녹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구역별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관수 주기에 따라 급수량이 설정된 상기 급수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식물의 관수 주기에 따른 급수량에 대응하여 급수를 제공 받도록 상기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벽면 녹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구역별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필요 일조량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구동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벽면 녹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벽면 녹화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따른 급수량 및 필요 일조량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는 것인, 벽면 녹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별로 상기 화분에 식재된 식물 및 토양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
    상기 화분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 센서; 및
    상기 토양내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무게, 상기 광량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벽면 녹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무게, 상기 광량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는 것인, 벽면 녹화 장치.
  10. 벽면 녹화 장치의 화분 장착부에 미리 설정된 구역별로 탑재된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화분에 관수를 제공하는 급수부를 제어하는 급수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벽면 녹화 장치로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화분의 구역내 이동 및 구역간 이동을 수행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구역별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관수 주기에 따라 급수량을 설정하여 상기 급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식물의 관수 주기에 따른 급수량에 대응하여 급수를 제공받도록 상기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구역별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필요 일조량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분의 이동을 설정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녹화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따른 급수량 및 필요 일조량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벽면 녹화 장치로부터 상기 화분별로 상기 화분에 식재된 식물 및 토양의 무게, 상기 화분으로 유입되는 광량 및 상기 토양내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무게, 상기 광량 및 상기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신호 및 상기 급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KR1020180151325A 2018-11-29 2018-11-29 벽면 녹화 장치 KR102157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325A KR102157374B1 (ko) 2018-11-29 2018-11-29 벽면 녹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325A KR102157374B1 (ko) 2018-11-29 2018-11-29 벽면 녹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784A true KR20200064784A (ko) 2020-06-08
KR102157374B1 KR102157374B1 (ko) 2020-09-17

Family

ID=7108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325A KR102157374B1 (ko) 2018-11-29 2018-11-29 벽면 녹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511A (ko) * 2020-11-10 2022-05-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 및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561B1 (ko) * 2021-11-04 2024-04-09 이규상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8586A (ko) * 2010-06-21 2011-12-28 주식회사 필라이트솔루션 식물 재배 장치
KR20120015369A (ko) * 2010-07-21 2012-02-21 전제락 회전식 식물 재배 장치
JP2012120454A (ja) * 2010-12-06 2012-06-28 Tsubakimoto Chain Co 植物栽培装置
KR20120079352A (ko) * 2011-01-04 2012-07-12 (주)파크이즈건축사사무소 창문용 식물 재배유닛
KR20130136226A (ko) * 2012-06-04 2013-12-12 유원기 농작물 재배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55677A (ko) * 2012-11-01 2014-05-09 박영택 다단 적층형 입체 녹화 식생 자원 재배 용기의 틸팅 장치
KR101483391B1 (ko) * 2014-03-18 2015-01-15 신용관 회전식 재배기 및 이를 갖는 온실 시스템
KR20170047471A (ko) * 2015-10-22 2017-05-08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건물 벽면녹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781391B1 (ko) * 2015-12-17 2017-09-26 (주)이엔이티 매장 연계형 지속 가능한 도시 수직농장 시스템
KR101783024B1 (ko) * 2015-10-06 2017-09-2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KR20180035471A (ko) * 2016-09-29 2018-04-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식물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실내 녹화장치
KR101925432B1 (ko) * 2017-07-04 2018-12-06 농업회사법인 레드엠(주) 스윙 작동형 식물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8586A (ko) * 2010-06-21 2011-12-28 주식회사 필라이트솔루션 식물 재배 장치
KR20120015369A (ko) * 2010-07-21 2012-02-21 전제락 회전식 식물 재배 장치
JP2012120454A (ja) * 2010-12-06 2012-06-28 Tsubakimoto Chain Co 植物栽培装置
KR20120079352A (ko) * 2011-01-04 2012-07-12 (주)파크이즈건축사사무소 창문용 식물 재배유닛
KR20130136226A (ko) * 2012-06-04 2013-12-12 유원기 농작물 재배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55677A (ko) * 2012-11-01 2014-05-09 박영택 다단 적층형 입체 녹화 식생 자원 재배 용기의 틸팅 장치
KR101483391B1 (ko) * 2014-03-18 2015-01-15 신용관 회전식 재배기 및 이를 갖는 온실 시스템
KR101783024B1 (ko) * 2015-10-06 2017-09-2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KR20170047471A (ko) * 2015-10-22 2017-05-08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건물 벽면녹화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781391B1 (ko) * 2015-12-17 2017-09-26 (주)이엔이티 매장 연계형 지속 가능한 도시 수직농장 시스템
KR20180035471A (ko) * 2016-09-29 2018-04-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식물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실내 녹화장치
KR101925432B1 (ko) * 2017-07-04 2018-12-06 농업회사법인 레드엠(주) 스윙 작동형 식물재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511A (ko) * 2020-11-10 2022-05-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 및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374B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62951A (zh) 一种基于无线物联网的智能花盆
CN206181887U (zh) 一种基于智能家居的智能花卉栽培系统
CN103444405B (zh) 墙体垂直绿化方法及其形成的植物幕墙
CN205176701U (zh) 基于大数据的智能农业环境监控系统
CN203950191U (zh) 一种基于移动设备的植物监控装置
CN104236624B (zh) 温室环境信息智能采集系统
CN10515922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温室大棚无土栽培智能监控系统
CN104267674B (zh) 一种作物认种认养服务系统和方法
CN102063099A (zh) 一种植物智能养殖方法、系统和装置
KR102327884B1 (ko) 식물의 생육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생육환경으로 조성하는 스마트 화분
CN204833008U (zh) 一种温室大棚室内环境控制系统
CN206118511U (zh) 一种花艺架
KR102157374B1 (ko) 벽면 녹화 장치
CN10668141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植物智能管理系统
CN104920114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石斛育苗环境对比实验系统
CN113597941A (zh) 一种温室智能环境调控系统及装置
CN103960077B (zh) 立体生态种植屋
CN106234060A (zh) 组合式景观墙系统
CN106973259A (zh) 一种基于互联网+的盆栽远程监控和养护系统
CN204994345U (zh) 一种智能育苗系统
CN106358637A (zh) 一种基于网络的植物种植管理系统
CN210537782U (zh) 一种园林植物幼苗培育箱体
CN209151878U (zh) 果蔬栽培箱
CN107889651A (zh) 一种家庭花卉种植管理装置
KR20200116639A (ko) 식물생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