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684A - 버스용 램프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용 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684A
KR20200064684A KR1020180151081A KR20180151081A KR20200064684A KR 20200064684 A KR20200064684 A KR 20200064684A KR 1020180151081 A KR1020180151081 A KR 1020180151081A KR 20180151081 A KR20180151081 A KR 20180151081A KR 20200064684 A KR20200064684 A KR 20200064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airbag
top plate
air
lamp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356B1 (ko
Inventor
김정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1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3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9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fluid flow contro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램프장치는 버스의 바닥에 장착된 카트리지모듈; 및 상기 카트리지모듈로부터 정거장의 바닥을 향해 이동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스텝은 상판과, 상기 상판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판과,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스용 램프장치{RAMP APPARATUS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용 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가 정차하는 도로의 조건, 승객의 승하차 조건에 따라 장애인, 노약자 등을 포함한 승객들의 승하차를 보다 능동적으로 보조할 있는 버스용 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노약자 및 장애인의 승, 하차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버스의 최저 지상고를 400mm 이하로 설계하는 초저상 버스가 출시되어 있다.
초저상 버스는 노약자, 장애인의 휠체어 등이 출입할 수 있도록 버스의 바닥에서 정거장의 바닥까지 인출되는 램프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시내버스용 램프장치에 대한 국내 법규기준은 램프경사각이 1/12(4.76deg)이하이고, 정거장의 연석이 250mm 기준 경사도 1/12이하이며, 스텝의 전개길이는 800mm 이상이다.
램프장치는 버스의 후문 바닥면에 장착되는 카트리지모듈와, 카트리지모듈에 대해 폴딩 내지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된 스텝을 포함한다.
미사용 시에는 스텝은 카트리지모듈 내에 수용되고, 사용 시에 스텝이 카트리지모듈로부터 정거장을 향해 폴딩되거나 슬라이드되며, 이에 스텝이 버스의 바닥면과 정거장의 바닥을 경사지게 연결함으로써 승객의 탑승에 도움을 주는 경사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램프장치는 스텝이 버스의 바닥면과 정거장의 연석 사이에 단순히 경사로를 제공하는 발판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힘이 부족한 노인이나 여성 장애인, 수동휠체어에 착석한 장애인의 경우 혼자 힘으로는 여전히 경사진 스텝을 타고 탑승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정거장이 오르막길, 내리막길 등과 같은 경사진 도로 상에서 위치하는 경우에는 스텝이 버스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경사질 수 있고, 이로 인해 휠체어가 경사진 스텝을 타고 오르거나 내릴 때 버스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넘어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버스의 바닥면과 정거장의 바닥 사이에서 단순 경사로의 구현 뿐만 아니라 버스가 정차하는 정거장의 경사도, 승객들의 승하차 조건 등에 따라 스텝의 경사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장애인, 노약자 등을 포함한 승객들의 승하차를 보다 능동적으로 보조할 있는 버스용 램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램프장치는,
버스의 바닥에 장착된 카트리지모듈; 및
상기 카트리지모듈로부터 정거장의 바닥을 향해 이동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스텝은 상판과, 상기 상판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판과,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제1각도센서 및 제2각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각도센서는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며, 상기 제2각도센서는 상기 상판의 폭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판의 저면에는 면압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각 에어백은 적어도 한 단부의 단면적이 다른 단부의 단면적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텝은 정거장의 바닥과 접촉하는 외측단과, 상기 외측단의 맞은편에 위치한 내측단과, 상기 버스의 전방을 향해 위치한 전방단과, 상기 버스의 후방을 향해 위치한 후방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에어백은 상기 상판의 저면에 접착된 제1에어백과, 상기 제1에어백의 저면에 접착된 제2에어백과, 상기 제2에어백의 저면에 접착된 제3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백은 상기 외측단에 해당하는 부분의 면적이 상기 제1에어백의 나머지 부분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백은 상기 후방단에 해당하는 부분의 면적이 상기 제2에어백의 나머지 부분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에어백은 상기 전방단에 해당하는 부분의 면적이 상기 제3에어백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분기 에어라인이 상기 복수의 에어백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분기 에어라인에는 복수의 에어밸브가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 에어밸브는 각 분기 에어라인의 개방을 통한 각 에어백에 대한 공기 주입 및 각 에어백에 대한 공기 빼기, 각 분기 에어라인의 폐쇄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의 바닥면과 정거장의 바닥 사이에서 단순 경사로의 구현 뿐만 아니라 버스가 정차하는 도로의 조건, 승객의 승하차 조건 등에 따라 스텝의 경사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장애인, 노약자 등을 포함한 승객들의 승하차를 보다 능동적으로 보조할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휠체어를 탄 장애인의 승차를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보호자의 탑승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동휠체어를 착석한 장애인이 최소한의 힘으로도 간편하게 탑승할 수 있다. 또한, 정거장의 도로가 오르막길, 내리막길인 경우에도 휠체어가 버스의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램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램프장치의 스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램프장치의 스텝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램프장치의 스텝의 제1에어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램프장치의 스텝의 제2에어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램프장치의 스텝의 제3에어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램프장치의 스텝의 제1에어백이 팽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램프장치의 스텝의 제2에어백이 팽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램프장치의 스텝의 제3에어백이 팽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램프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램프장치(10)는 버스(1)의 바닥에 장착된 카트리지모듈(11)과, 카트리지모듈(11)로부터 정거장의 바닥을 향해 이동하는 스텝(12)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모듈(11)은 미사용시에는 스텝(12)을 수용하고, 사용시에는 스텝(12)을 정거장의 바닥을 향해 피벗시키거나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모듈(11)의 구체적인 구성은 기존의 램프장치와 유사 내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12)은 정거장의 바닥과 접촉하는 외측단(21)과, 외측단(21)의 맞은편에 위치한 내측단(22)과, 버스의 전방을 향해 위치한 전방단(23)과, 버스의 후방을 향해 위치한 후방단(24)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단(21) 및 내측단(22)은 스텝(12)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전방단(23) 및 후방단(24)은 스텝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스텝(12)은 승객을 지지하는 상판(25)과, 상판(25) 아래에 위치한 하판(26)과, 상판(25) 및 하판(26)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25)은 승객, 장애인의 휠체어 등을 지지하도록 적정 강도를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25)의 가장자리에는 제1각도센서(27) 및 제2각도센서(28)가 장착될 수 있다. 제1각도센서(27)는 상판(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고, 이에 제1각도센서(27)는 상판(25)의 길이방향에 따른 경사각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각도센서(28)는 상판(25)의 폭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고, 이에 제2각도센서(28)는 상판(25)의 폭방향에 따른 경사각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컨트롤러(40)는 제2각도센서(28)에 의해 측정된 경사각을 이용하여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상판(25)의 저면에는 면압센서(29)가 부착될 수 있고, 면압센서(29)는 상판(25) 위의 승객, 휠체어 등의 무게 등을 측정함으로써 승객, 장애인의 휠체어 유무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면압센서에 의해 측정된 무게가 제1설정값 이상이면 승객이 승하차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고, 면압센서에 의해 측정된 무게가 제1설정값 보다 높은 제2설정값 이상이면 장애인의 휠체어를 검출할 수 있다.
하판(26)은 정거장의 바닥과 인접한 부분으로, 상판(25), 승객, 장애인의 휠체어, 에어백(31, 32, 33)들을 지지하도록 적정강도를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에어백(31, 32, 33)은 정거장의 도로조건, 승객의 승하차 조건 등에 따라 상판(25)의 경사각을 다양하게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에어백(31, 32, 33)은 승객, 장애인의 휠체어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고인성(high toughness)을 가진 재질(예컨대, 차량 안전장치의 에어백과 동일한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에어백(31, 32, 33)은 공기주입에 의해 상판(25)의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적어도 한 단부의 단면적이 나머지 단부들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에어백(31, 32, 33)은 면압센서(29)의 저면에 접착된 제1에어백(31)과, 제1에어백(31)의 저면에 접착된 제2에어백(32)과, 제2에어백(32)의 저면에 접착된 제3에어백(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에어백(31)은 외측단(21)에 해당하는 부분의 면적이 제1에어백(31)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제1에어백(31)의 외측단(21)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 공급에 의해 제1에어백(31)이 팽창할 때, 제1에어백(31)의 외측단(21)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에어백(31)은 그 내부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격벽(31a)에 의해 복수의 챔버로 구획될 수 있고, 격벽(31a)은 하나의 소통공을 가질 수 있으며, 외측단(21)에 인접한 챔버가 내측단(22)에 인접한 챔버 보다 큰 체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에어백(31)이 팽창함에 따라 제1에어백(31)의 외측단(21)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도 7과 같이 상판(25)의 외측단(21)이 리프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판(25)의 길이방향을 따른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판(25)의 길이방향을 따른 경사각이 조절됨으로써 힘이 부족한 노인이나 여성 장애인, 수동휠체어에 착석한 장애인의 승하차를 능동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제2에어백(32)은 후방단(24)에 해당하는 부분의 면적이 제2에어백(32)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제2에어백(32)의 후방단(24)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 공급에 의해 제2에어백(32)이 팽창할 때, 제2에어백(32)의 후방단(24)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에어백(32)은 그 내부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격벽(32a)에 의해 복수의 챔버로 구획될 수 있고, 격벽(32a)은 하나의 소통공을 가질 수 있으며, 후방단(24)에 인접한 챔버가 전방단(23)에 인접한 챔버 보다 큰 체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에어백(32)이 팽창함에 따라 제2에어백(32)의 후방단(24)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도 8과 같이 상판(25)의 후방단(24)이 리프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판(25)의 폭방향을 따른 경사각이 조절되므로 상판(25)은 버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오르막길인 경우에 상판(25)의 후방단(24)이 리프팅됨에 따라 상판(25)은 버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승객이 승하차할 때 후방으로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에어백(33)은 전방단(23)에 해당하는 부분의 면적이 제3에어백(33)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제3에어백(33)의 전방단(23)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 공급에 의해 제3에어백(33)이 팽창할 때, 제3에어백(33)의 전방단(23)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3에어백(33)은 그 내부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격벽(33a)에 의해 복수의 챔버로 구획될 수 있고, 격벽(33a)은 하나의 소통공을 가질 수 있으며, 전방단(23)에 인접한 챔버가 후방단(24)에 인접한 챔버 보다 큰 체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에어백(33)이 팽창함에 따라 제3에어백(33)의 전방단(23)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도 9와 같이 상판(25)의 전방단(23)이 리프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판(25)의 폭방향을 따른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판(25)은 버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특히, 내리막길인 경우에 상판(25)의 전방단(23)의 높이가 리프팅됨에 따라 상판(25)은 버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승객이 승하차할 때 전방으로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판(25), 면압센서(29), 제1에어백(31), 제2에어백(32), 제3에어백(33), 하판(26)들은 서로 간에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버스는 에어브레이크시스템을 탑재하고 있으며, 에어브레이크시스템은 에어탱크(50) 및 브레이크 드럼(51) 사이에는 에어튜브(52)가 연결될 수 있다. 에어튜브(52)의 일측지점에서 에어라인(55)이 분기될 수 있고, 에어라인(55)은 복수의 에어백(31, 32, 33)에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 에어라인(61, 62, 63)으로 분기될 수 있다. 복수의 분기 에어라인(61)은 제1에어백(31)에 연결된 제1분기 에어라인(61)과, 제2에어백(32)에 연결된 제2분기 에어라인(62)과, 제3에어백(33)에 연결된 제3분기 에어라인(63)일 수 있다. 각 분기 에어라인(61, 62, 63)에는 복수의 에어밸브(41, 42, 43)가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에어밸브(41, 42, 43)는 제1에어백(31)에 대응하는 제1에어밸브(41)와, 제2에어백(32)에 대응하는 제2에어밸브(42)와, 제3에어밸브(33)에 대응하는 제3에어밸브(43)일 수 있다. 각 에어밸브(41, 42, 43)는 각 분기 에어라인(61, 62, 63)의 개방을 통한 공기 주입(air in) 및 공기 빼기(air bent), 각 분기 에어라인(61, 62, 63)의 폐쇄 등을 컨트롤러(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40)는 제1 및 제2 각도센서(27, 28)로부터 스텝(12)의 길이방향에 따른 경사각 및 스텝(12)의 폭방향에 따른 경사각을 수신하고, 면압센서(29)로부터 상판(25) 위의 승객, 휠체어 등의 무게 등과 같은 정보를 수신하며,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에어밸브(41, 42, 43)을 제어함으로써 각 에어밸브(41, 42, 43)에 의한 각 분기 에어라인(61, 62, 63)의 개방 및 폐쇄, 각 에어백(31, 32, 33)으로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실시간으로 피드백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램프장치(10)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버스가 정거장에 도착하면 버스의 도어가 개방되고, 도어 개방에 따라 컨트롤러(40)는 카트리지모듈(11)을 제어함으로써 카트리지모듈(11)로부터 스텝(12)을 정거장의 바닥까지 이동함으로써 스텝(12)은 버스(1)의 바다과 정거장의 바닥 사이에 경사로를 형성한다. 스텝(12)을 따라 장애인의 휠체어, 노약자, 일반 승객 등이 승하차하면 컨트롤러(40)는 면압센서(29)에 작동신호를 전송함으로써(S1) 면압센서(29)는 승객, 휠체어 등의 무게 등을 측정한다.
컨트롤러(40)는 면압센서(29)에 의해 측정된 무게가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장애인의 휠체어가 스텝(12)을 따라 승차 또는 하차하는 지를 판단한다. 즉, 컨트롤러(40)는 면압센서(29)에 의해 장애인의 휠체어를 검출하는 지를 판단한다(S2).
면압센서(29)에 의해 장애인의 휠체어가 검출되면 컨트롤러(40)는 제1각도센서(27) 및 제2각도센서(28) 측에 각도 측정 신호를 전송하며, 컨트롤러(40)는 제1각도센서(27)에 의해 측정된 스텝(12)의 길이방향에 따른 경사각 및 제2각도센서(28)에 의해 측정된 스텝(12)의 폭방향에 따른 경사각을 실시간으로 수신한다(S3).
컨트롤러(40)는 제1각도센서(27) 및 제2각도센서(28)에 의해 측정된 경사각 정보를 이용하여 각 에어밸브(41, 42, 43)의 공기 주입작동을 제어한다(S4).
예컨대, 컨트롤러(40)는 제1에어밸브(41)의 개도율을 조절함으로써 제1에어백(31) 측으로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고, 이에 제1에어백(31)이 팽창함에 따라 제1에어백(31)의 외측단(21)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도 7과 같이 상판(25)의 외측단(21)이 리프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판(25)의 길이방향을 따른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판(25)의 길이방향을 따른 경사각이 조절됨으로써 힘이 부족한 노인이나 여성 장애인, 수동휠체어에 착석한 장애인의 승차를 능동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40)는 제2각도센서(28)에 의해 측정된 경사각이 오르막길의 경사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2에어밸브(42)의 개도율을 조절함으로써 제2에어백(32) 측으로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이에 제2에어백(32)이 팽창함에 따라 제2에어백(32)의 후방단(24)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도 8과 같이 상판(25)의 후방단(24)이 리프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판(25)의 폭방향을 따른 경사각이 조절되므로 상판(25)은 버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르막길인 경우에 상판(25)의 후방단(24)이 리프팅됨에 따라 상판(25)은 버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휠체어에 착석한 장애인이 승하차할 때 후방으로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40)는 제2각도센서(28)에 의해 측정된 경사각이 내리막길의 경사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3에어밸브(43)의 개도율을 조절함으로써 제2에어백(32) 측으로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이에 제3에어백(33)이 팽창함에 따라 제3에어백(33)의 전방단(23)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도 9와 같이 상판(25)의 전방단(23)이 리프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판(25)의 폭방향을 따른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판(25)은 버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특히, 내리막길인 경우에 상판(25)의 전방단(23)의 높이가 리프팅됨에 따라 상판(25)은 버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휠체어에 착석한 장애인이 승하차할 때 전방으로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이후에, 컨트롤러(40)는 면압센서(29)에 의해 휠체어의 승차가 완료됨을 판단하고, 컨트롤러(40)는 제2에어밸브(42) 및 제3에어밸브(43)에 대한 공기빼기 작동을 제어하고(S5), 이를 통해 제2에어백(32) 및 제3에어백(33)을 수축시킨다.
제2에어백(32) 및 제3에어백(33)의 수축 이후에 컨트롤러(40)는 제2각도센서(28)에 의해 측정된 상판(25)의 폭방향을 따른 경사각(즉, 도로 및 버스의 경사각)을 초기값으로 세팅한다(S6).
승객들의 승하차가 완료되면, 컨트롤러(40)는 제1에어밸브(41)의 공기빼기 작동을 제어하고(S7), 이를 통해 제1에어백(31)을 수축시킨다.
제1에어백(31)의 수축 이후에 컨트롤러(40)는 카트리지모듈(11)을 제어함으로써 스텝(12)을 카트리지모듈(11) 측으로 수용하고, 그 이후에 버스는 출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의 바닥면과 정거장의 바닥 사이에서 단순 경사로의 구현 뿐만 아니라 버스가 정차하는 도로의 조건, 승객의 승하차 조건 등에 따라 스텝의 경사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장애인, 노약자 등을 포함한 승객들의 승하차를 보다 능동적으로 보조할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휠체어를 탄 장애인의 승차를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보호자의 탑승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동휠체어를 착석한 장애인이 최소한의 힘으로도 간편하게 탑승할 수 있다. 또한, 정거장의 도로가 오르막길, 내리막길인 경우에도 휠체어가 버스의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버스 10: 버스용 램프장치
11: 카트리지 모듈 12: 스텝
21: 외측단 22: 내측단
23: 전방단 24: 후방단
25: 상판 26: 하판
27: 제1각도센서 28: 제2각도센서
29: 면압센서 31: 제1에어백
32: 제2에어백 33: 제3에어백
40: 컨트롤러 41: 제1에어밸브
42: 제2에어밸브 43: 제3에어밸브
50: 에어탱크 51: 브레이크 드럼
52: 에어튜브 55: 에어라인
61: 제1분기 에어라인 62: 제2분기 에어라인
63: 제3분기 에어라인

Claims (11)

  1. 버스의 바닥에 장착된 카트리지모듈; 및
    상기 카트리지모듈로부터 정거장의 바닥을 향해 이동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스텝은 상판과, 상기 상판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판과,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에어백을 포함하는 버스용 램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제1각도센서 및 제2각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각도센서는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며, 상기 제2각도센서는 상기 상판의 폭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버스용 램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저면에는 면압센서가 부착되는 버스용 램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에어백은 적어도 한 단부의 단면적이 다른 단부의 단면적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버스용 램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텝은 정거장의 바닥과 접촉하는 외측단과, 상기 외측단의 맞은편에 위치한 내측단과, 상기 버스의 전방을 향해 위치한 전방단과, 상기 버스의 후방을 향해 위치한 후방단을 포함하는 버스용 램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어백은 상기 상판의 저면에 접착된 제1에어백과, 상기 제1에어백의 저면에 접착된 제2에어백과, 상기 제2에어백의 저면에 접착된 제3에어백을 포함하는 버스용 램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백은 상기 외측단에 해당하는 부분의 면적이 상기 제1에어백의 나머지 부분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버스용 램프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에어백은 상기 후방단에 해당하는 부분의 면적이 상기 제2에어백의 나머지 부분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버스용 램프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에어백은 상기 전방단에 해당하는 부분의 면적이 상기 제3에어백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버스용 램프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분기 에어라인이 상기 복수의 에어백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분기 에어라인에는 복수의 에어밸브가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버스용 램프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 에어밸브는 각 분기 에어라인의 개방을 통한 각 에어백에 대한 공기 주입 및 각 에어백에 대한 공기 빼기, 각 분기 에어라인의 폐쇄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버스용 램프장치.
KR1020180151081A 2018-11-29 2018-11-29 버스용 램프장치 KR102634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081A KR102634356B1 (ko) 2018-11-29 2018-11-29 버스용 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081A KR102634356B1 (ko) 2018-11-29 2018-11-29 버스용 램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84A true KR20200064684A (ko) 2020-06-08
KR102634356B1 KR102634356B1 (ko) 2024-02-07

Family

ID=7108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081A KR102634356B1 (ko) 2018-11-29 2018-11-29 버스용 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3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6853A (en) * 1997-11-13 2000-06-20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Altitude/temperature compensation for a gas-filled weight sensor
EP1810883B1 (fr) * 2006-01-19 2009-08-19 Siemens Transportation Systems S.A.S. Dispositif de réduction de lacune entre un quai et un véhicule
JP2011200333A (ja) * 2010-03-24 2011-10-13 Saitou Kobo:Kk 立ち上がり補助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6853A (en) * 1997-11-13 2000-06-20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Altitude/temperature compensation for a gas-filled weight sensor
EP1810883B1 (fr) * 2006-01-19 2009-08-19 Siemens Transportation Systems S.A.S. Dispositif de réduction de lacune entre un quai et un véhicule
JP2011200333A (ja) * 2010-03-24 2011-10-13 Saitou Kobo:Kk 立ち上がり補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356B1 (ko)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0115A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weight and position of a vehicle seat occupant
JP4539694B2 (ja) 車高調整装置
US8413997B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fluid suspension
JP3040379B2 (ja) 車両の乗員の重量推定装置
US20160095767A1 (en) Leveling ramp for a wheelchair
EP1462318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child seat anchor tension
EP0839694A1 (en) Safety air curtain for vehicles
EP1038823A3 (en) Safety system for boom-equipped vehicle
JP2000062559A (ja) 車輛の転覆状態中に車輛乗員を保護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7424355B2 (en) Method for operating and electrically adjustable vehicle seat
EP1850821B1 (en) Lift system
EP1787613B1 (en) Vehicle, device and process for accessing said vehicle by persons with reduced mobility
GB2448364A (en) Inflatable speed bump or sleeping policeman with detector such that the speed bump inflates if an approaching vehicle is travelling too fast
US72613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rollover
KR20200064684A (ko) 버스용 램프장치
JP2009067246A (ja) 車高調整装置
US200902248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rusion detection
KR100534307B1 (ko) 승객의 탑승 상태에 따른 에어백 작동 방법
JP2004299507A (ja) 車高調整装置
KR20230103533A (ko) 버스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US20080103666A1 (en) Algorithm reliability to improve judgment for roll over of a vehicle
KR20190060313A (ko) 차량 전복상황시 커튼 에어백의 점화 제어 시스템
KR100219200B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KR20140048769A (ko) 차량용 에어서스펜션의 기계식 3단 차고 조절 장치
KR100792928B1 (ko) 어드밴스드 에어백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