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523A -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523A
KR20200064523A KR1020180150723A KR20180150723A KR20200064523A KR 20200064523 A KR20200064523 A KR 20200064523A KR 1020180150723 A KR1020180150723 A KR 1020180150723A KR 20180150723 A KR20180150723 A KR 20180150723A KR 20200064523 A KR20200064523 A KR 20200064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blockchain
sub
nod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718B1 (ko
Inventor
양상근
오은아
Original Assignee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0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7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은, 가맹점과 금융사 간의 결제관련절차를 중개하는 결제중개 서버; 및 상기 결제중개 서버에 연결되고, 상기 가맹점에 연결된 제1 서브 노드 및 상기 금융사에 연결된 제2 서브 노드 중 적어도 하나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메인 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메인 노드는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서브 노드 및 제2 서브 노드 각각은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PAYMENT MEDIATING SYSTEM BASED ON BLOCKCAHIN AND MEDIATING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결제중개 플랫폼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보안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결제중개 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핀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모바일 QR 결제, 음파 결제, 핸드 Pay, 가상화폐 결제 등 다양한 지불결제 수단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맹점, 금융사, VAN(Value Added Network) 사, PG사 등에서는 새로운 결제를 적용하기 위한 신규시스템 구축을 위한 투자비 및 유지보수 비용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핀테크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신규 지불결제 절차를 처리하기 위하여, 가맹점이나 결제중개 사업자 및 금융회사 등은 각각 신규 결제수단으로 결제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시스템은 중앙집중형 시스템으로서, 한곳만 해킹당하면 고객정보 등의 개인정보, 금융거래 데이터가 탈취당하는 보안 취약성이 존재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각 시스템은 보안장비나 전용회선 등의 보안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시스템은 최근 내부 및 외부 환경에 의한 위험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하며, 여전히 그러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기존의 지불결제 중개시스템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앙집중형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별적 중앙집중형으로 구축된 지불결제 중개시스템들은 각각의 금융회사들과 연계되어 거래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경우 생성되는 거래데이터들은 시스템 오류나 네트워크 오류 등의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하여, 정산을 위해 이중 삼중으로 검증을 진행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보안에 대한 낮은 신뢰성은 지불결제에 대한 처리비용을 더욱 증가시키며, 실제로 이는 매입 비용의 증가로 이어져 원가경쟁력을 더욱 낮아지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낮아진 원가경쟁력은 결국 가맹점 운영을 힘들게 하고, 이는 소비자의 혜택과 편의성이 저하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된다.
최근 블록체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블록체인 시스템이 구현되고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범용화를 이끌고 있으며,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아무나 참여할 수 없도록 참여자에 제약을 통하여 보안성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합의한 참여자들이 공동으로 시스템을 운영하며 보안성, 신뢰성,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시너지를 만들어 내고 있다.
본 발명은 결제시장에서 경제성과 보안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결제중개 플랫폼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핀테크 결제 기술의 보급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가맹점 수수료 절감 등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에 의해 제안되는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은, 가맹점과 금융사 간의 결제관련절차를 중개하는 결제중개 서버; 및 상기 결제중개 서버에 연결되고, 상기 가맹점에 연결된 제1 서브 노드 및 상기 금융사에 연결된 제2 서브 노드 중 적어도 하나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메인 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메인 노드는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서브 노드 및 제2 서브 노드 각각은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방법은, 복수개의 메인 노드가 결제중개 서버에 연결되는 단계; 와 상기 복수개의 메인 노드가 가맹점에 연결된 제1 서브 노드 및 금융사에 연결된 제2 서브 노드 중 적어도 하나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와 상기 복수개의 메인 노드가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서브 노드 및 상기 제2 서브 노드 각각은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맹점과 상기 금융사 간의 결제관련절차를 중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에 의하면, 결제시장에서 경제성과 보안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결제중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에 의하면, 가맹점 수수료 절감 등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주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방법에 의해 카드결제 승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방법에 의해 카드결제 매입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방법에 의해 간편결제 승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방법에 의해 간편결제 매입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방법에 의해 가상화폐결제 승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방법에 의해 가상화폐결제 매입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해당 기술과 관련하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별한 경우에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상세히 기재하였다. 그러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에서 기술하는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주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1)(이하, 블록체인 네트워크 라고도 함)는, 결제처리 절차에 관여하는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는 사적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이에 의해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중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는 사용자 단말(10), 가맹점 시스템(20), 결제중개 시스템(30) 및 금융사 시스템(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금융사 시스템(40)은 카드사의 승인 시스템(42), 은행의 계좌이체 시스템(44), 간편결제사의 간편결제 시스템(4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가맹점 시스템(20)에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와 가맹점 간에 거래계약이 체결되면, 금융사가 사용자를 대신하여 가맹점에게 결제대금을 지급하게 하기 위하여, 결제절차의 진행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결제대금을 지급하는 지불인(payor)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사용자 측에 구비된 이동 단말이나 PC 등일 수 있다.
가맹점 시스템(20)은 결제중개 시스템(30)에 결제절차의 처리 대행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결제를 요청받는 경우, 가맹점 시스템(20)은 결제중개 시스템(30)에게 가맹점을 대신하여 결제절차의 진행을 대행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가맹점은 결제대금을 수취하는 피지급인(payee)이되, 결제중개 사업자로부터 결제중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자격을 가진 자일 수 있다.
가맹점 시스템(20)은 가맹점이 소지하거나 가맹점 측에 구비된 POS(Point Of Sale) 단말이나 PC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가맹점은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는 최소 1개 이상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로 구성된 사적 블록체인일 수 있다. 이 경우, 가맹점 시스템(20)은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 승인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맹점이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할 지 여부는 선택사항이다. 특히, 중소형 가맹점의 경우, 시스템 운영 환경은 금융사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열악하므로,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운영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금융사에 준하는 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가맹점에 한하여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선택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한다.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결제중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가맹점이 요청하는 경우,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가맹점을 대신하여 결제절차의 진행을 대행할 수 있다.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결제중개 사업자 측에 구비된 서버나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결제중개 사업자는 결제를 중개하는 결제중개 플랫폼을 보유하고 운영하는 사업자로서, 가맹점인 판매자를 대신하여 결제승인처리 및 매입절차 등을 대행할 수 있다.
결제중개 사업자는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는 최소 3개 이상의 블록체인 메인 노드로 구성된 사적 블록체인일 수 있다.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는 거래내역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결제중개 시스템(30)은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거래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결제중개 시스템(30)은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결제중개 서버와 복수개의 메인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중개 서버는 가맹점과 금융사 간의 결제관련절차를 중개할 수 있다.
복수개의 메인 노드는 결제중개 서버에 연결되고, 가맹점에 연결된 제1 서브 노드 및 상기 금융사에 연결된 제2 서브 노드 중 적어도 하나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메인 노드는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제1 서브 노드 및 제2 서브 노드 각각은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메인 노드는, 소정 기준 이상의 금융보안 수준을 충족하는 제1 서브 노드 및 제2 서브 노드 중 적어도 하나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메인 노드는, 결제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결제관련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1 서브 노드 및 제2 서브 노드에 복제하여 동기화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관련 정보는, 고객 데이터, 가맹점 데이터, 금융사 데이터, 결제 데이터 및 거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 데이터, 가맹점 데이터 및 금융사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메인 노드는, 가맹점 데이터 및 금융사 데이터의 경우, 제1 서브 노드는 가맹점과 관련된 데이터만 조회하고 제2 서브 노드는 금융사와 관련된 데이터만 조회할 수 있도록, 제1 서브 노드와 제2 서브 노드에 복호화 키를 할당할 수 있다.
금융사 시스템(40)은 결제 및 승인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금융사는 카드사, 은행, 간편결제사, 가상화폐 거래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융사는 각각이 제공하는 금융결제수단에 의한 결제 및 승인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카드사는 승인 시스템(42)을, 은행은 계좌이체 시스템(44)을, 간편결제사는 간편결제 시스템(46)을, 가상화폐 거래소는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금융사는 각각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는 최소 1개 이상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로 구성된 사적 블록체인일 수 있다. 이 경우, 금융사 시스템(42, 44, 46)는 각각이 구성하는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에 각각 연결되어,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 승인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2)는, 분산형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중개 플랫폼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2)는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210)와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220a, 22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를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들은 결제중개 시스템(30)과 각각의 금융사와 보안 기준이 충족된 가맹점에 분산하여 배치될 수 있다.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210)는 최소 3개 이상의 블록체인 메인 노드로 구성된 사적 블록체인일 수 있다.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210)는 거래내역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210)는 결제중개 사업자 측에 구비되는 결제중개 시스템(30)에 의해 구성되어, 결제중개 사업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220a, 220b)는 최소 1개 이상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로 구성된 사적 블록체인일 수 있다.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220a, 220b)는 결제 승인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220a, 220b)는 가맹점 시스템(20) 및/또는 금융사 시스템(40)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220a)는 가맹점 측에 구비되는 가맹점시스템(20)에 의해 구성되어, 가맹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제2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220b)는 금융사 측에 구비되는 금융사 시스템(40)에 의해 구성되어, 금융사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가맹점은 제1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220a)의 구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가맹점이 제1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220a)를 구성할 지 여부는 선택 사항이며, 금융사의 보안 규정 수준을 충족하는 가맹점의 경우 제1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220a)를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다.
금융사의 경우, 카드사나 은행, 간편결제사 및 가상화폐 거래소 등은 각각 제2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220b)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각의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220a, 220b)는 결제중개 사업자의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210)와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동기화될 수 있도록 물리적으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2)는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210)와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220a, 220b)로 구성된다. 이 경우,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210)는 3개의 블록체인 메인 노드(Node A, Node B, Node C)로 구성된다. 가맹점 시스템(20)에 구성된 제1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220a)는 1개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Node D)로 구성된다. 또한, 금융사 시스템(40)에 구성된 제2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220b)는 1개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Node E)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블록체인 네트워크(2)를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Node A, Node B, Node C, Node D, Node E)는 결제중개 사업자와 금융사 및 가맹점에 분산 배치된다.
기존의 중앙집중형 결제중개 시스템은, 결제중개 사업자가 모든 결제관련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관리한다. 따라서, 결제중개 사업자의 시스템이 해킹을 당할 경우, 데이터 탈취에 대한 위협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중앙집중형 대신, 분산형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중개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 경우, 분산형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는 결제중개 사업자의 결제중개 시스템(30)과 각각의 금융사 및 보안 기준이 충족된 가맹점에 분산하여 구성된다. 분산 구성된 시스템을 최소 51% 이상 해킹하는 경우에만 데이터에 대한 위 변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분산형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은 기존의 중앙집중형 시스템에서 취약했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산 구성된 노드들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상 위 변조가 불가능한 거래 데이터들이 각각의 노드에 분산 저장된다.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거래 데이터들이 중앙집중형 서버에 의해 저장 및 관리되었으므로, 서버의 데이터를 위 변조하여 데이터 조작과 시스템 오작동이 가능한 구조였다. 따라서, 금융사에서는 사용자 본인의 결제데이터와 매입데이터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매입정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분산형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에서는, 데이터의 위 변조가 원칙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모든 데이터는 블록체인 노드들에 동일하게 저장되어, 금융사에서는 이러한 거래 데이터를 신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매입 대행 등의 프로세스를 간소화하여 거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방법에 의해 카드결제 승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구성한 사적 컨소시엄 블록체인 결제중개 플랫폼에서 수행되는 카드결제 승인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 단말(10)은 가맹점 시스템(20)에 결제 요청을 한다(S301).
사용자와 가맹점 간에 거래 계약이 체결되면, 사용자 단말(10)은 가맹점 시스템(20)에 대금에 대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결제수단에 의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 결제수단은 신용 카드이다.
가맹점 시스템(20)은 결제중개 시스템(30)에 승인 요청을 한다(S302).
구체적으로, 가맹점 시스템(20)은 결제중개 시스템(30)에, 가맹점을 대신하여 결제절차의 진행 및 승인처리를 대행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결제중개 시스템(30)은 승인 시스템에 승인 요청을 전달한다(S303).
결제중개 사업자는 결제절차를 중개하는 자로서, 가맹점과 카드사 간의 결제절차 처리를 중간에서 대행한다. 따라서,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가맹점 시스템(20)으로부터 승인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승인 요청을 카드사의 승인 시스템(결제/승인 시스템)에 전달할 수 있다.
승인 시스템은 결제중개 시스템(30)에 승인 결과를 전송한다(S304).
카드사의 승인 시스템은 승인 요청 내역을 확인하여 승인 여부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승인 시스템은 승인 요청과 함께 수신한 결제정보에 기초하여 카드의 사용 가능 여부 및 한도 여부 등을 조회하고, 결제의 승인 여부를 처리할 수 있다. 이후, 승인 시스템은 승인 결과를 결제중개 시스템(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정보는 결제카드에 대한 데이터, 결제금액, 결제일시, 할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중개 시스템(30)은 승인 결과를 가맹점 시스템(20)에 전달한다(S305).
결제중개 시스템(30)은 승인 시스템으로부터 승인 결과를 수신하면, 해당 승인 결과를 결제 승인을 요청한 가맹점 시스템(20)에 전달할 수 있다.
가맹점 시스템(20)은 사용자 단말(10)에게 결제 결과를 통지한다(S306).
가맹점 시스템(20)은 승인 결과에 기초하여 결제 결과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0)에게 결제 결과를 통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가맹점 시스템(20)은 직접 사용자에게 결제 결과를 통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 시스템(20)은 결제 결과를 영수증 등의 형태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결제중개 시스템(30)은 카드사의 승인 결과에 기초하여, 승인데이터를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에 저장한다(S307). 구체적으로, 결제중개 시스템(30)은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메인 노드에 승인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체인 메인 노드는 저장된 데이터를 가맹점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복제한다(S308). 또한, 블록체인 메인 노드는 저장된 데이터를 카드사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복제한다(S309). 이에 의해, 결제중개 사업자의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승인데이터는, 가맹점과 카드사 각각의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에 각각 동기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제중개 시스템(30)은 블록체인 메인 노드에 승인데이터에 대한 내역을 기록하여 저장하고, 블록체인 메인 노드는 카드사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와 가맹점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해당 내역들을 복제하여 동기화한다. 이 경우, 블록체인 메인 노드는 저장되는 데이터 중에서, 가맹점과 카드사 및 고객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암호화된 데이터의 복호화 키는 각각의 가맹점과 카드사가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가맹점과 카드사는 본인들에게 해당하는 트랜잭션 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암호화 및 복호화 키는 주기적으로 변경 및 관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방법에 의해 카드결제 매입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구성한 사적 컨소시엄 블록체인 결제중개 플랫폼에서 수행되는 카드결제 매입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가맹점 시스템(20)은 결제중개 시스템(30)에 매입 요청을 한다(S401).
가맹점은 고객이 서명한 전표를 매입사에 제출하고, 매입사에 수수료를 제한 금액을 입금할 수 있다. 여기서, 매입사는 카드사일 수 있다. 결제에 대한 승인이 즉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일반적으로 매입까지는 몇일의 시간이 걸린다.
이를 위해, 가맹점은 가맹점 시스템(20)을 통하여 매입 요청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맹점 시스템(20)은 결제중개 시스템(30)에, 가맹점을 대신하여 매입절차의 진행 및 매입처리를 대행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결제중개 시스템(30)은 승인 시스템에 매입 요청을 전달한다(S402).
결재중개 사업자는 가맹점과 카드사 간의 매입 절차를 중간에서 대행한다. 따라서, 결제중개 사업자의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가맹점 시스템(20)으로부터 매입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매입 요청을 카드사의 승인 시스템(결제/승인 시스템)에 전달할 수 있다.
승인 시스템은 매입 데이터를 확인한다(S403).
구체적으로, 카드사의 승인 시스템은 해당 카드사의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매입데이터의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승인 시스템은 매입데이터와,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저장된 승인데이터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매입데이터가 정당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앞서, 도 3의 S309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 메인 노드에 저장된 승인데이터는 카드사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복제되어 저장되어 있다.
승인 시스템은 매입결과를 저장한다(S404).
이 경우, 카드사의 승인 시스템은 매입 결과를 카드사의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저장할 수 있다.
블록체인 서브 노드의 데이터를 복제한다(S405).
카드사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는 해당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제하고, 복제된 데이터를 결제중개 사업자의 블록체인 메인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는 매입데이터 및 매입결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메인 노드는 블록체인 서브 노드의 데이터를 복제한다(S406).
구체적으로, 결제중개 사업자의 블록체인 메인 노드는 카드사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로부터 복제된 데이터를 전달받는 경우, 이를 복제하여 가맹점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승인 시스템은 매입 결과를 전송한다(S407).
카드사의 승인 시스템은 매입 결과를 결재중개 시스템(30)에 전송함으로써, 결제중개 사업자에게 매입 결과를 알려준다.
결제중개 시스템(30)은 매입 결과를 전달한다(S408).
결제중개 시스템(30)은 승인 시스템으로부터 매입 결과를 수신하면, 해당 매입 결과를 가맹점 시스템(20)에 전달할 수 있다.
가맹점 시스템(20)과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각각 매입 결과를 확인한다(S409).
이 경우, 가맹점 시스템(20)은 해당 가맹점 시스템(20)에 연결된 블록체인 서브 노드를 통해 매입 결과를 확인하고, 결제중개 시스템(30)은 해당 결제중개 시스템(30)에 연결된 블록체인 메인 노드를 통해 매입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404 내지 S406에 의하면, 카드사는 매입결과에 대한 내역을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에 기록하여 저장하고, 결제중개 사업자의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와 가맹점의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에 해당 내역들을 복제하여 동기화한다. 이 경우, 저장되는 데이터 중에서 가맹점과 카드사 및 고객정보는 암호화하여 저장될 수 있다. 암호화된 데이터의 복호화 키는 각각의 가맹점과 카드사가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가맹점과 카드사는 본인들에게 해당하는 트랜잭션 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 및 복호화 키는 주기적으로 변경 및 관리되어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방법에 의해 간편결제 승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구성한 사적 컨소시엄 블록체인 결제중개 플랫폼에서 수행되는 간편결제 승인은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결제중개 사업자가 구현한 간편결제를 이용하는 경우로서, 이에 대해서는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두 번째는 간편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휴사와의 결제 방법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은 QR 스캔을 한다(S501).
결제중개 사업자가 구현한 간편결제는 QR 코드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여기서, QR 코드는 가맹점 시스템(20)에서 결제될 결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가맹점 시스템(20)에 결제 요청을 한다(S502).
QR 코드를 스캔한 사용자 단말(10)은 가맹점 시스템(20)에 대금에 대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QR 코드에 의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가맹점 시스템(20)은 결제중개 시스템(30)에 승인 요청을 한다(S503).
구체적으로, 가맹점 시스템(20)은 결제중개 사업자의 결제중개 시스템(30)에, 가맹점을 대신하여 결제절차의 진행 및 승인처리를 대행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계좌이체 시스템에 계좌이체를 요청한다(S504).
이 경우, 결제중개 시스템(30)은 제휴된 은행의 계좌이체 시스템에 계좌이체를 요청할 수 있다.
계좌이체 시스템은 결제중개 시스템(30)에 계좌 이체 결과를 전송한다(S505).
제휴된 은행의 계좌이체 시스템은 계좌 이체 요청의 내역을 확인하여 계좌 이체 여부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승인 요청과 함께 수신한 계좌이체 정보를 인증하고, 계좌이체 여부를 처리한다. 이후, 계좌이체 시스템은 계좌이체 결과를 결제중개 시스템(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계좌이체 정보는 QR 코드에 대한 데이터, 결제금액, 결제일시, 계좌이체 은행, 계좌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중개 시스템(30)은 승인 결과를 가맹점 시스템(20)에 전달한다(S506).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계좌이체 시스템으로부터 계좌이체 결과를 수신하면, 이에 기초하여 승인 결과를 생성하고 이를 해당 결제 승인을 요청한 가맹점 시스템(20)에 전달할 수 있다.
가맹점 시스템(20)은 사용자 단말(10)에게 결제 결과를 통지한다(S507).
가맹점 시스템(20)은 승인 결과에 기초하여 결제 결과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0)에게 결제 결과를 통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가맹점 시스템(20)은 직접 사용자에게 결제 결과를 통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 시스템(20)은 결제 결과를 영수증 등의 형태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결제중개 시스템(30)은 은행의 계좌이체 결과에 기초하여, 승인데이터를 블록체인 메인 노드에 저장한다(S508).
이 경우, 블록체인 메인 노드는 저장된 데이터를 가맹점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복제한다(S509). 또한, 블록체인 메인 노드는 저장된 데이터를 은행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복제한다(S510).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은 간편결제 제휴사 결제를 수행한다(S511).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간편결제 제휴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간편결제 제휴사 결제는 결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가맹점 시스템(20)에 결제 요청을 한다(S512).
간편결제 제휴사 결제를 수행한 사용자 단말(10)은 가맹점 시스템(20)에 대금에 대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가맹점 시스템(20)은 결제중개 시스템(30)에 승인 요청을 한다(S513).
구체적으로, 가맹점 시스템(20)은 결제중개 사업자의 결제중개 시스템(30)에, 가맹점을 대신하여 결제절차의 진행 및 승인처리를 대행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간편결제 시스템에 승인 요청을 전달한다(S514).
이 경우, 결제중개 시스템(30)은 제휴된 간편 결제사의 간편결제 시스템에 승인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간편결제 시스템은 결제중개 시스템(30)에 승인 결과를 전송한다(S515).
제휴된 간편 결제사의 간편결제 시스템은 승인 요청 내역을 확인하여 승인 여부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승인 요청과 함께 수신한 결제정보를 인증하고, 결제의 승인 여부를 처리한다. 이후, 간편결제 시스템은 승인 결과를 결제중개 시스템(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정보는 간편결제 수단에 대한 데이터, 결제금액, 결제일시, 할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중개 시스템(30)은 승인 결과를 가맹점 시스템(20)에 전달한다(S516).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간편결제 시스템으로부터 승인 결과를 수신하면, 이를 해당 결제 승인을 요청한 가맹점 시스템(20)에 전달할 수 있다.
가맹점 시스템(20)은 사용자 단말(10)에게 결제 결과를 통지한다(S517).
가맹점 시스템(20)은 승인 결과에 기초하여 결제 결과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0)에게 결제 결과를 통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가맹점 시스템(20)은 직접 사용자에게 결제 결과를 통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 시스템(20)은 결제 결과를 영수증 등의 형태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간편 결제사의 승인 결과에 기초하여, 승인데이터를 블록체인 메인 노드에 저장한다(S518). 구체적으로,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결제중개 사업자가 운영하는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메인 노드에 승인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체인 메인 노드는 저장된 데이터를 가맹점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복제한다(S519). 또한, 블록체인 메인 노드는 저장된 데이터를 간편 결제사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복제한다(S520).
이에 의하면, 간편 결제에 의해 발생한 승인 내역과 거래데이터는 결제중개 사업자의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에 기록되고, 가맹점과 간편 결제사의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 각각에 복제된다. 이 경우, 저장 및 복제되는 데이터는 암호화 및 복호화 되어 관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방법에 의해 간편결제 매입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구성한 사적 컨소시엄 블록체인 결제중개 플랫폼에서 수행되는 간편결제 매입 프로세스는 도 4에서 설명한 카드결제 매입 프로세스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카드사의 역할을 은행 및 간편 결제사 등의 금융사가 대신하게 된다는 점만 다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가맹점에서 가맹점 시스템(20)을 통해 결제중개 시스템(30)에 매입 요청을 한다(S601).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금융사의 금융사 시스템에 매입 요청을 전달한다(S602). 구체적으로, 결제중개 사업자는 은행 또는 간편 결제사로 매입을 요청할 수 있다.
금융사 시스템은 매입데이터를 확인한다(S603).
구체적으로, 은행 또는 간편 결제사 등의 금융사 시스템은 자신의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매입데이터의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융사 시스템은 매입데이터와,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저장된 승인데이터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매입데이터가 정당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금융사 시스템은 매입결과를 저장한다(S604).
금융사 시스템은 매입결과를 해당 금융사 시스템에 연결된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융사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저장된 데이터는, 결제중개 사업자의 블록체인 메인 노드에 복제되고(S605) 이와 동시에 가맹점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복제된다(S606).
금융사 시스템은 매입결과를 결제중개 시스템(30)에 전송하고(S607), 결제중개 시스템(30)은 매입결과를 가맹점 시스템(20)에 전달한다(S608).
이 경우, 가맹점 시스템(20)은 연결된 블록체인 서브 노드를 통해 매입 결과를 확인한다. 또한, 결제중개 시스템(30)은 연결된 블록체인 메인 노드를 통해 매입 결과를 확인한다(S609).
이와 같이, 금융사 시스템은 매입결과에 대한 내역을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에 기록하여 저장하고, 결제중개 사업자의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와 가맹점의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에 해당 내역들을 복제하여 동기화한다. 이 경우, 저장되는 데이터는 암호화 및 복호화 되어 관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방법에 의해 가상화폐결제 승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구성한 사적 컨소시엄 블록체인 결제중개 플랫폼에서 수행되는 가상화폐결제 승인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 단말(10)은 가맹점 시스템(20)에 결제 요청을 하고(S701), 이에 대응하여 가맹점 시스템(20)은 결제중개 시스템(30)에 결제에 대한 승인 요청을 한다(S702).
결제중개 시스템(30)은 승인 요청을 전달한다(S703).
구체적으로,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가상화폐 거래소의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에 승인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은 계좌 잔고를 확인한다(S704).
가상화폐 거래소의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은 결제 요청을 한 사용자의 계좌 잔고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은 계좌 잔고가 결제 대금을 지급할 수 있는 정도로 충분한지 확인할 수 있다.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에 환전 승인을 요청한다(S705).
여기서, 환전 승인 요청은 계좌에 입금된 가상화폐의 통용화폐로의 환전을 사용자가 승인해줄 것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환전을 승인한다(S706).
사용자가 승인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은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에 환전 승인을 통지한다(S707).
환전 승인을 통지받으면,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은 환전 처리를 한다(S708).
구체적으로,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은 환전 승인 당시의 환율시세로 가상화폐를 통용화폐로 환전할 수 있다.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은 승인 결과를 결제중개 시스템(30)에 전송한다(S709).
이 경우, 결제중개 사업자의 결제중개 시스템(30)은 수신한 승인 결과를 가맹점 시스템(20)에 전달한다(S710). 가맹점 시스템(20)은 승인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에게 결제 결과를 통지한다(S711).
한편,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가상화폐 거래소의 승인 결과에 기초하여, 승인데이터를 블록체인 메인 노드에 저장한다(S712). 이 경우, 블록체인 메인 노드는 저장된 데이터를 가맹점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복제한다(S713). 또한, 블록체인 메인 노드는 저장된 데이터를 가상화폐 거래소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복제한다(S714).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방법에 의해 가상화폐결제 매입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구성한 사적 컨소시엄 블록체인 결제중개 플랫폼에서 수행되는 가상화폐결제 매입 프로세스는 도 4에서 설명한 카드결제 매입 프로세스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카드사의 역할을 가상화폐 거래소가 대신하게 된다는 점만 다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가맹점에서 가맹점 시스템(20)을 통해 결제중개 시스템(30)에 매입 요청을 한다(S801).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가상화폐 거래소의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에 매입 요청을 전달한다(S802).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은 매입데이터를 확인한다(S803).
구체적으로, 가상화폐 거래소의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은 해당 시스템에 연결된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매입데이터의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은 매입데이터와,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저장된 승인데이터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매입데이터가 정당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은 매입결과를 저장한다(S804).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은 매입결과를 해당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에 연결된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화폐 거래소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저장된 데이터는, 결제중개 사업자의 블록체인 메인 노드에 복제되고(S805) 이와 동시에 가맹점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복제된다(S806).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은 매입 결과를 결제중개 시스템(30)에 전송하고(S807), 결제중개 시스템(30)은 매입 결과를 가맹점 시스템(20)에 전달한다(S808). 이 경우, 가맹점 시스템(20)과 결제중개 시스템(30)은 각각에 연결된 블록체인 서브 노드를 통해 매입 결과를 확인한다(S809).
도 8에 의하면, 가상화폐 거래소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에 저장된 매입결과에 대한 데이터는 결제중개 사업자의 블록체인 메인 노드 및 가맹점의 블록체인 서브 노드로 복제되어 동기화된다. 이 경우, 저장되는 데이터는 암호화 및 복호화 되어 관리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 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2: 블록체인 네트워크 10: 사용자 단말
20: 가맹점 시스템 30: 결제중개 시스템
40: 금융사 시스템 42: 승인 시스템
44: 계좌이체 시스템 46: 간편결제 시스템
210: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 220a, 220b: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

Claims (15)

  1.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가맹점과 금융사 간의 결제관련절차를 중개하는 결제중개 서버; 및
    상기 결제중개 서버에 연결되고, 상기 가맹점에 연결된 제1 서브 노드 및 상기 금융사에 연결된 제2 서브 노드 중 적어도 하나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메인 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메인 노드는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서브 노드 및 제2 서브 노드 각각은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메인 노드는,
    소정 기준 이상의 금융보안 수준을 충족하는 상기 제1 서브 노드 및 제2 서브 노드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메인 노드는,
    결제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서브 노드 및 상기 제2 서브 노드에 복제하여 동기화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관련 정보는,
    고객 데이터, 가맹점 데이터, 금융사 데이터, 결제 데이터 및 거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데이터, 상기 가맹점 데이터 및 상기 금융사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메인 노드는,
    상기 가맹점 데이터 및 상기 금융사 데이터의 경우, 상기 제1 서브 노드는 상기 가맹점과 관련된 데이터만 조회하고 상기 제2 서브 노드는 상기 금융사와 관련된 데이터만 조회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서브 노드와 상기 제2 서브 노드에 복호화 키를 할당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사는,
    카드사, 은행, 간편 결제사 및 가상화폐 거래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8.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메인 노드가 결제중개 서버에 연결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메인 노드가 가맹점에 연결된 제1 서브 노드 및 금융사에 연결된 제2 서브 노드 중 적어도 하나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메인 노드가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서브 노드 및 상기 제2 서브 노드 각각은 블록체인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맹점과 상기 금융사 간의 결제관련절차를 중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메인 노드는,
    소정 기준 이상의 금융보안 수준을 충족하는 상기 제1 서브 노드 및 제2 서브 노드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메인 노드는,
    결제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결제관련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서브 노드 및 상기 제2 서브 노드에 복제하여 동기화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관련 정보는,
    고객 데이터, 가맹점 데이터, 금융사 데이터, 결제 데이터 및 거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데이터, 상기 가맹점 데이터 및 상기 금융사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메인 노드는,
    상기 가맹점 데이터 및 상기 금융사 데이터의 경우, 상기 제1 서브 노드는 상기 가맹점과 관련된 데이터만 조회하고 상기 제2 서브 노드는 상기 금융사와 관련된 데이터만 조회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서브 노드와 상기 제2 서브 노드에 복호화 키를 할당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사는,
    카드사, 은행, 간편 결제사 및 가상화폐 거래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방법.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80150723A 2018-11-29 2018-11-29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2188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23A KR102188718B1 (ko) 2018-11-29 2018-11-29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23A KR102188718B1 (ko) 2018-11-29 2018-11-29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523A true KR20200064523A (ko) 2020-06-08
KR102188718B1 KR102188718B1 (ko) 2020-12-08

Family

ID=7109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723A KR102188718B1 (ko) 2018-11-29 2018-11-29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589B1 (ko) * 2022-02-16 2024-03-18 한국조폐공사 분산원장 기반의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 노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345B1 (ko) * 2017-04-18 2018-07-12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및 이와 연동되는 머클 트리 구조 기반의 토큰 아이디를 이용하여 카드 사용을 승인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180113145A (ko) * 2017-04-05 2018-10-1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실시간 거래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8181309A (ja) * 2017-04-20 2018-11-15 株式会社岩手銀行 取引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ノード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20180124541A (ko) * 2017-05-12 2018-11-21 주식회사 엑스블록시스템즈 블록체인 시스템 및 블록체인을 이용한 데이터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145A (ko) * 2017-04-05 2018-10-1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실시간 거래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77345B1 (ko) * 2017-04-18 2018-07-12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및 이와 연동되는 머클 트리 구조 기반의 토큰 아이디를 이용하여 카드 사용을 승인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JP2018181309A (ja) * 2017-04-20 2018-11-15 株式会社岩手銀行 取引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ノード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20180124541A (ko) * 2017-05-12 2018-11-21 주식회사 엑스블록시스템즈 블록체인 시스템 및 블록체인을 이용한 데이터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718B1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6062B2 (ja) 取引方法、プログラム、検証装置及び生成方法
US20200302410A1 (en) Virtual currency system
KR102180991B1 (ko) 블록 체인 기밀 거래의 규제
US9830580B2 (en) Virtual currency system
CA3004263C (en) Virtual currency system
CN109345194A (zh) 一种电子票据流转系统
US20150271183A1 (en) Virtual currency system
CN110009337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和装置
WO2020125234A1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和装置
KR102110605B1 (ko) 암호화폐 거래소내 실거래 전자지갑 기반의 블록체인 거래 처리 방법
US11488156B2 (en) Confidential asset transaction system
CN109784886A (zh) 可监管的限制流通的双账户模型
KR20200134622A (ko) 블록체인 기반의 가치 보유 유무형 자산의 직접 거래 및 경매, 역경매, 공동 경매를 이용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46274A (ko)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085997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거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14324A (ko)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이용한 송금 처리 시스템
KR102188718B1 (ko) 블록체인 기반 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
JP2023500260A (ja) 代理相互台帳認証
WO2021117515A1 (ja) 電子資産管理方法、及び電子資産管理装置
TWM565363U (zh) 基於區塊鏈的虛擬貨幣整合系統
JP6853422B1 (ja) オンライン取引情報保護システムおよびオンライン取引情報保護方法
Senthilkumar Data confidentiality, integrity, and authentication
TWM606177U (zh) 區塊鏈金融系統
KR102645868B1 (ko) 온라인 거래정보 보안 시스템 및 온라인 거래정보 보안방법
AU2020102852A4 (en) Online transaction information security system and online transaction information securit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