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444A - 릴레이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릴레이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444A
KR20200064444A KR1020180150581A KR20180150581A KR20200064444A KR 20200064444 A KR20200064444 A KR 20200064444A KR 1020180150581 A KR1020180150581 A KR 1020180150581A KR 20180150581 A KR20180150581 A KR 20180150581A KR 20200064444 A KR20200064444 A KR 20200064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unit
value
primar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443B1 (ko
Inventor
송창익
최영성
현승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50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44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2Apparatus, systems or circuits therefor
    • G01R31/3274Details related to measuring, e.g. sensing, displaying or computing; Measuring of variables related to the contact pieces, e.g. wear, position or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2Apparatus, systems or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HVDC용 변환설비 제어소자인 릴레이의 정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장치는 시험대상인 릴레이가 접속되는 릴레이 단자부,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릴레이의 1차측 전압값을 측정하는 1차측 전압 측정부,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릴레이의 2차측 전압값을 측정하는 2차측 전압 측정부, 측정된 1차측 전압값 및 2차측 전압값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릴레이의 1차측 전압값 및 2차측 전압값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릴레이 시험 장치 및 방법{Relay test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릴레이 시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환설비 제어소자인 릴레이를 시험할 수 있는 릴레이 시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고압 직류전송(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이란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교류전력을 직류로 변환시켜서 수전점으로 송전하고 수전점에서 교류로 재변환시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송전 방식은 기존 교류 송전기술의 장점인 전압 승압을 통하여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전력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교류 송전의 여러 가지 단점을 극복한다.
제주 지역은 국제적인 관광도시이어서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반면에, 제주 지역의 전력 계통은 육지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있어서 계통 안정도 측면에서 취약하다. 그리고, 제주 지역은 관광지역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육지 대비 발전원가가 고가이므로, 계통 안정도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송전효율이 높고 장거리 대용량 송전이 가능한 초고압 직류송전 시스템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그에 따라, 제주에서는 현재 #1HVDC(DC±180kV 300MW), #2HVDC(DC±250kV 400MW)가 운영중에 있으며, #3HVDC가 건설계획중에 있다.
또한, 전력시스템의 복잡성은 신기술의 활용과 기존 시스템과의 연계가 늘어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법적규제로 하여금 안정도 한계점에서 시스템 운영에 제약을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HVDC 송전기술의 적용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변환소별로는 HVDC용 변환설비 제어소자인 릴레이(예컨대, Delcon Relay)가 적정 개소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에서 예시한 델콘 릴레이(Delcon Relay)는 변환소별 제어 큐비클(cubicle)의 전원감시, GIS(Gas Insulated Switchgear ;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 및 단로기 감시, 현장 DC DS 및 제어 설비의 트립(trip)관련 제어 등을 행한다.
델콘 릴레이(Delcon Relay)의 유형은 입력 릴레이 및 출력 릴레이가 있다. 여기서, 입력 릴레이로는 SLI24CRI, SLI125CR, SLI125CRI 등이 있고, 출력 릴레이로는 SLO24CRO, SLO125CRA, SLO125CR4 등이 있다.
이러한 델콘 릴레이는 외부 폴 블럭(External Pole Block)에 대한 제어소자로 사용될 수 있는데, 해당 델콘 릴레이의 접점이 오동작하게 되면 해당 델콘 릴레이가 설치된 변환설비에 고장이 발생한다.
한편, 델콘 릴레이는 모선 사선/활선 감시 및 필터 available 관련한 제어소자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해당 델콘 릴레이의 접점이 오동작하게 되면 해당 델콘 릴레이가 설치된 변환설비가 휴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변환설비의 고장 또는 휴전이 발생하게 되면 불량인 해당 델콘 릴레이의 고장 원인 및 정상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그래서, 변환설비의 고장 또는 휴전이 발생하게 되면 델콘 릴레이를 무작정 교체한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3129호(클리폰 릴레이 시험기)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HVDC용 변환설비 제어소자인 릴레이의 정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릴레이 시험 장치는, 시험대상인 릴레이가 접속되는 릴레이 단자부;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릴레이의 1차측 전압값을 측정하는 1차측 전압 측정부;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릴레이의 2차측 전압값을 측정하는 2차측 전압 측정부; 상기 측정된 1차측 전압값 및 2차측 전압값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릴레이의 1차측 전압값 및 2차측 전압값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릴레이 단자부는 다수개의 단자대를 포함하되, 각각의 단자대에는 해당하는 모델의 릴레이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접속된 릴레이의 1차측은 서로 다른 제 1 전원단 및 제 2 전원단 중에서 정격 전압에 맞게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상기 접속된 릴레이의 2차측은 서로 다른 제 1 전원단 및 제 2 전원단 중에서 정격 전압에 맞게 어느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단자대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각각의 단자대에 접속가능한 릴레이의 모델명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측 전압 측정부 및 상기 2차측 전압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값을 근거로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해당 릴레이의 정상 여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해당 릴레이의 정상 여부는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측 전압 측정부 및 상기 2차측 전압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값을 기세팅된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과 비교하고, 상기 측정 결과값이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을 충족하면 해당 릴레이가 정상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측 전압 측정부 및 상기 2차측 전압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값을 기세팅된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과 비교하고, 상기 측정 결과값이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을 충족하지 않으면 해당 릴레이가 비정상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릴레이의 1차측 전류값을 측정하는 1차측 전류 측정부; 및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릴레이의 2차측 전류값을 측정하는 2차측 전류 측정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1차측 전류값 및 2차측 전류값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측 전압 측정부와 상기 2차측 전압 측정부와 상기 1차측 전류 측정부 및 상기 2차측 전류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값을 근거로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해당 릴레이의 정상 여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측 전압 측정부와 상기 2차측 전압 측정부와 상기 1차측 전류 측정부 및 상기 2차측 전류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값을 기세팅된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과 비교하고, 상기 측정 결과값이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을 충족하면 해당 릴레이가 정상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측 전압 측정부와 상기 2차측 전압 측정부와 상기 1차측 전류 측정부 및 상기 2차측 전류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값을 기세팅된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과 비교하고, 상기 측정 결과값이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을 충족하지 않으면 해당 릴레이가 비정상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단자부는 다수개의 단자대를 포함하되, 각각의 단자대에는 해당하는 모델의 릴레이가 접속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자대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의 릴레이별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릴레이별 표시부는 상기 각각의 단자대와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시험대상이 되는 릴레이는 초고압 직류전송(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 변환설비 제어소자인 릴레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릴레이 시험 방법은, 릴레이 시험 장치에서의 릴레이 시험 방법으로서,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시험대상인 릴레이의 1차측 전압값 및 2차측 전압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1차측 전압값 및 2차측 전압값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변환설비 제어소자인 릴레이(예컨대, Delcon Relay)의 정상여부를 시험할 수 있고, 불량(비정상) 발생시 이를 경보해 주므로 불량개소를 신속 및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불량 조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파급고장 방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릴레이 시험장치를 건설중 또는 건설예정인 HVDC 변환설비에 적용하게 되면 보다 안정적인 설비운영 및 전력공급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험 장치에 채용되는 릴레이의 일 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험 장치에서 릴레이의 2차 전압값 측정을 위한 부하저항값 설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험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릴레이 시험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험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설명에 채용되는 시험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7의 설명에 채용되는 시험결과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험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험 장치에 채용되는 릴레이의 일 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험 장치에서 릴레이의 2차 전압값 측정을 위한 부하저항값 설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험 장치의 외관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릴레이 시험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험장치는 저장부(10), 릴레이 단자부(12), 버튼부(14), 램프부(16), 제 1 표시부(18), 제 2 표시부(20), 1차측 전압 측정부(22), 2차측 전압 측정부(24), 1차측 전류 측정부(26), 2차측 전류 측정부(28), 및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저장부(10)에는 시험대상이 되는 각종 릴레이(RL)의 셋팅값(예컨대, 1차측 전압값, 2차측 전압값, 1차측 전류값, 2차측 전류값 등)이 미리 저장된다. 여기서, 시험대상이 되는 릴레이(RL)의 일 예의 형태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시험대상이 되는 각종의 릴레이(RL)는 초고압 직류전송(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 변환설비 제어소자인 릴레이가 될 수 있다.
저장부(10)에 저장된 각종 릴레이(RL)의 셋팅값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모델명 1차측 2차측 판단기준
(초기값)
[V]
VIN
[V]
IIN
[mA]
VLOAD
[V]
ILOAD
[mA]
RLOAD
[kΩ]
VDROP(최대)
[V]
SLI24CR 24 6 24 24 1 0.2(0.4) 0.2(0.4)
SLI24CRI 24 6 24 24 1 0.3(0.5) 0.3(24)
SLO24CR 24 12 24 24 1 0.5 0.5(24)
SLI125CR 110 4 24 24 1 0.2(0.4) 0.2(24)
SLI125CRI 110 4 24 24 1 0.3(0.5) 0.3(24)
SLO24CRA 24 12 125 124 1 1 1(125)
SLO24CRA4 24 12 125 124 1 0.6 0.6(125)
상기의 표 1에 예시된 부하저항값(RLOAD)은 시험대상이 되는 릴레이(RL)의 2차 전압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SLI24CR 입력 릴레이를 예로 들어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1차측 오프(입력전압 미인가; 스위치 오프)의 경우 2차측 릴레이 접접이 개방(open) 상태이므로 접점에 걸리는 전압은 소스전압(VL)과 같다. 반대로, 1차측 온(입력전압 인가; 스위치 온)의 경우 2차측 릴레이 접점이 닫힘(closed) 상태이므로 접점에는 릴레이 사양서에 명시된 전압강하(VDROP)만큼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도 3에서 RL = (VL-VDROP)/IL = (24V-0.4V)/24mA = 1kΩ 이 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부하저항값(RLOAD)을 1kΩ 이 되도록 설계하면 시험대상이 되는 릴레이(RL)의 2차 전압값을 측정할 수 있다.
릴레이 단자부(12)는 시험대상이 되는 각종의 릴레이(RL)가 접속된다. 릴레이 단자부(12)는 도 4에 도시된 릴레이 시험 장치의 제 1 몸체부(40)에 설치될 수 있는데, 다수개의 단자대(12a, 12b, 12c, 12d, 12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자대(12a)는 SLO24CRA 릴레이가 접속(취부)가능하다. 단자대(12b)는 SLO24CRA4 릴레이가 접속(취부)가능하다. 단자대(12c)는 SLI125CR 릴레이가 접속(취부)가능하다. 단자대(12d)는 SLI125CRI 릴레이가 접속(취부)가능하다. 단자대(12e)는 SLI24CR 릴레이 또는 SLI24CRI 릴레이가 접속(취부)가능하다.
한편,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각의 단자대(12a, 12b, 12c, 12d, 12e)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각각의 단자대에 접속가능한 릴레이의 모델명이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버튼부(14)는 릴레이 시험 장치의 동작 및 시험대상인 릴레이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버튼부(14)는 도 4에 도시된 릴레이 시험 장치의 제 2 몸체부(50)에 설치될 수 있는데, 다수개의 버튼(14a, 14b, 14c, 14d, 14e, 14f)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14a)은 릴레이 시험 장치의 동작 온/오프를 선택하기 위한 메인 전원 버튼이 될 수 있다. 버튼(14b)은 단자대(12a)에 접속된 릴레이의 온/오프를 선택하기 위한 릴레이 버튼이 될 수 있다. 버튼(14c)은 단자대(12b)에 접속된 릴레이의 온/오프를 선택하기 위한 릴레이 버튼이 될 수 있다. 버튼(14d)은 단자대(12c)에 접속된 릴레이의 온/오프를 선택하기 위한 릴레이 버튼이 될 수 있다. 버튼(14e)은 단자대(12d)에 접속된 릴레이의 온/오프를 선택하기 위한 릴레이 버튼이 될 수 있다. 버튼(14f)은 단자대(12e)에 접속된 릴레이의 온/오프를 선택하기 위한 릴레이 버튼이 될 수 있다.
램프부(16)는 릴레이 단자부(12)에 접속된 릴레이(RL)의 온/오프를 표시할 수 있다.
램프부(16)는 도 4에 도시된 릴레이 시험 장치의 제 2 몸체부(50)에 설치될 수 있는데, 다수개의 램프(16a, 16b, 16c, 16d, 16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16a)는 단자대(12a)에 접속된 릴레이의 온/오프를 표시한다. 램프(16b)는 단자대(12b)에 접속된 릴레이의 온/오프를 표시한다. 램프(16c)는 단자대(12c)에 접속된 릴레이의 온/오프를 표시한다. 램프(16d)는 단자대(12d)에 접속된 릴레이의 온/오프를 표시한다. 램프(16e)는 단자대(12e)에 접속된 릴레이의 온/오프를 표시한다.
제 1 표시부(18)는 릴레이 단자부(12)에 접속된 릴레이(RL)의 1차측 전압값, 2차측 전압값, 1차측 전류값, 및 2차측 전류값을 표시(경보)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제 1 표시부(18)는 릴레이 단자부(12)에 접속된 릴레이(RL)의 정상 여부를 문자 형태의 메시지(예컨대, 정상, 비정상)로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제 1 표시부(18)는 도 4에 도시된 릴레이 시험 장치의 제 1 몸체부(40)에 설치될 수 있는데, 다수개의 릴레이별 표시부(18a, 18b, 18c, 18d, 18e, 18f, 18g, 18h, 18i, 18j)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8a)는 단자대(12a)에 접속된 릴레이(예컨대, SLO24CRA 릴레이)의 1차측 전압값 및 전류값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8b)는 단자대(12a)에 접속된 릴레이(예컨대, SLO24CRA 릴레이)의 2차측 전압값 및 전류값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단자대(12a)에 접속된 릴레이(RL)를 제 1 릴레이라고 하였을 경우 표시부(18a) 및 표시부(18b)는 제 1 릴레이의 표시부라고 할 수 있다.
표시부(18c)는 단자대(12b)에 접속된 릴레이(예컨대, SLO24CRA4 릴레이)의 1차측 전압값 및 전류값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8d)는 단자대(12b)에 접속된 릴레이(예컨대, SLO24CRA4 릴레이)의 2차측 전압값 및 전류값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단자대(12b)에 접속된 릴레이(RL)를 제 2 릴레이라고 하였을 경우 표시부(18c) 및 표시부(18d)는 제 2 릴레이의 표시부라고 할 수 있다.
표시부(18e)는 단자대(12c)에 접속된 릴레이(예컨대, SLI125CR 릴레이)의 1차측 전압값 및 전류값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8f)는 단자대(12c)에 접속된 릴레이(예컨대, SLI125CR 릴레이)의 2차측 전압값 및 전류값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단자대(12c)에 접속된 릴레이(RL)를 제 3 릴레이라고 하였을 경우 표시부(18e) 및 표시부(18f)는 제 3 릴레이의 표시부라고 할 수 있다.
표시부(18g)는 단자대(12d)에 접속된 릴레이(예컨대, SLI125CRI 릴레이)의 1차측 전압값 및 전류값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8h)는 단자대(12d)에 접속된 릴레이(예컨대, SLI125CRI 릴레이)의 2차측 전압값 및 전류값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단자대(12d)에 접속된 릴레이(RL)를 제 4 릴레이라고 하였을 경우 표시부(18g) 및 표시부(18h)는 제 4 릴레이의 표시부라고 할 수 있다.
표시부(18i)는 단자대(12e)에 접속된 릴레이(예컨대, SLI24CR 릴레이 또는 SLI24CRI 릴레이)의 1차측 전압값 및 전류값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8j)는 단자대(12e)에 접속된 릴레이(예컨대, SLI24CR 릴레이 또는 SLI24CRI 릴레이)의 2차측 전압값 및 전류값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단자대(12e)에 접속된 릴레이(RL)를 제 5 릴레이라고 하였을 경우 표시부(18i) 및 표시부(18j)는 제 5 릴레이의 표시부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제 1 표시부(18)는 릴레이 단자부(12)에 접속된 릴레이(RL)의 1차측 전압값 및 2차측 전압값만을 표시하여도 무방하지만, 1차측 전류값 및 2차측 전류값을 추가로 표시하면 1차측 전압값 및 2차측 전압값만을 표시하는 것에 비해 보다 정확하게 어떤 고장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1차측 전류 측정부(26) 및 2차측 전류 측정부(28)이 필요없을 수도 있다. 그런데, 이들이 추가구성되면 1차측 전압값 및 2차측 전압값, 1차측 전류값 및 2차측 전류값이 모두 측정되므로 1차측 전압값 및 2차측 전압값만을 표시하는 것에 비해 보다 정확하게 어떤 고장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제 2 표시부(20)는 릴레이 단자부(12)에 접속된 릴레이(RL)의 1차측 전압값, 2차측 전압값, 1차측 전류값, 및 2차측 전류값을 표시(경보)할 수 있다.
또한, 제 2 표시부(20)는 릴레이 단자부(12)에 접속된 릴레이(RL)의 정상 여부를 표시(경보)할 수 있다.
제 2 표시부(20)는 도 4에 도시된 릴레이 시험 장치의 제 2 몸체부(5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표시부(20)는 릴레이 단자부(12)에 접속된 릴레이(RL)의 정상 여부를 문자 형태의 메시지(예컨대, 정상, 비정상)로 표시할 수 있다.
제 1 표시부(18)에 표시된 릴레이(RL)의 1차측 전압값, 2차측 전압값, 1차측 전류값, 및 2차측 전류값만으로도 충분히 해당 릴레이의 정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겠으나, 제 2 표시부(20)에 문자로 표시된 릴레이의 정상 여부를 보게 되면 보다 즉각적으로 해당 릴레이의 정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 2 표시부(20)는 도 4에 도시된 릴레이 시험 장치의 제 1 몸체부(40)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1차측 전압 측정부(22)는 릴레이 단자부(12)에 접속된 릴레이(RL)의 1차측 전압값을 측정한다.
2차측 전압 측정부(24)는 릴레이 단자부(12)에 접속된 릴레이(RL)의 2차측 전압값을 측정한다.
1차측 전류 측정부(26)는 릴레이 단자부(12)에 접속된 릴레이(RL)의 1차측 전류값을 측정한다.
2차측 전류 측정부(28)는 릴레이 단자부(12)에 접속된 릴레이(RL)의 2차측 전류값을 측정한다.
제어부(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험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0)는 릴레이 단자부(12)에 접속된 릴레이(RL)에 대한 1차측 전압값, 2차측 전압값, 1차측 전류값, 및 2차측 전류값이 제 1 표시부(18) 및 제 2 표시부(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1차측 전압 측정부(22)와 2차측 전압 측정부(24)와 1차측 전류 측정부(26) 및 2차측 전류 측정부(28)로부터의 전압값 및 전류값을 근거로 릴레이 단자부(12)에 접속된 해당 릴레이(RL)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알리는 메시지(예컨대, 정상, 비정상)가 제 2 표시부(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릴레이(RL)의 정상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제어부(30)는 저장부(1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각종 릴레이(RL)의 셋팅값과 비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험 장치는 제 1 몸체부(4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손잡이(42)가 설치된다. 도 5에서는 제 1 몸체부(40)의 좌측면에 설치된 손잡이(42)를 보여주고 있으나, 제 1 몸체부(40)의 우측면에도 손잡이(42)가 설치되어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험 장치는 휴대 및 손쉽게 이동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제 1 표시부(18) 및 제 2 표시부(20)를 별개로 구성시켜서 설명하였으나, 어느 하나만으로도 릴레이 단자부(12)에 접속된 릴레이(RL)의 1차측 전압값/전류값 및 2차측 전압값/전류값의 표시, 및 해당 릴레이(RL)의 정상 여부를 표시(경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험 장치의 회로도이다.
메인 전원 버튼(14a)은 각기 다른 제 1 전원단(예컨대, 24V) 및 제 2 전원단(예컨대, 125V)에 접속된다.
메인 전원 버튼(14a)의 후단과 연결된 전원단(24V 전원단, 125V 전원단)에는 각각의 버튼(14b, 14c, 14d, 14e, 14f)을 매개로 각각의 릴레이(RL1, RL2, RL3, RL4, RL5)가 접속된다.
도 6을 보면, 릴레이 단자부(12)의 단자대(12a, 12b, 12c, 12d, 12e)에 접속되는 릴레이(RL1, RL2, RL3, RL4, RL5)의 1차측은 해당 릴레이의 정격 전압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제 1 전원단 또는 제 2 전원단에 접속되고, 릴레이 단자부(12)의 단자대(12a, 12b, 12c, 12d, 12e)에 접속되는 릴레이(RL1, RL2, RL3, RL4, RL5)의 2차측은 해당 릴레이의 정격 전압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제 1 전원단 또는 제 2 전원단에 접속된다.
여기서, 릴레이(RL1)는 SLO24CRA 릴레이가 될 수 있다. 릴레이(RL1)의 1차측은 버튼(14b)을 매개로 제 1 전원단에 접속되고, 2차측은 저항을 매개로 제 2 전원단에 접속된다. 릴레이(RL1)의 1차측에는 램프(16a) 및 1차측 전압 측정부(22)가 병렬로 접속된다. 도 6에서는 릴레이(RL1)의 1차측에 접속된 1차측 전류 측정부(26)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1차측 전류 측정부(26)가 릴레이(RL1)의 1차측에 접속되어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릴레이(RL1)의 2차측에는 2차측 전압 측정부(24)가 접속된다. 도 6에서는 릴레이(RL1)의 2차측에 접속된 2차측 전류 측정부(28)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2차측 전류 측정부(28)가 릴레이(RL1)의 2차측에 접속되어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릴레이(RL2)는 SLO24CRA4 릴레이가 될 수 있다. 릴레이(RL2)의 1차측은 버튼(14c)을 매개로 제 1 전원단에 접속되고, 2차측은 저항을 매개로 제 2 전원단에 접속된다. 릴레이(RL2)의 1차측에는 램프(16b) 및 1차측 전압 측정부(22)가 병렬로 접속된다. 도 6에서는 릴레이(RL2)의 1차측에 접속된 1차측 전류 측정부(26)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1차측 전류 측정부(26)가 릴레이(RL2)의 1차측에 접속되어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릴레이(RL2)의 2차측에는 2차측 전압 측정부(24)가 접속된다. 도 6에서는 릴레이(RL2)의 2차측에 접속된 2차측 전류 측정부(28)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2차측 전류 측정부(28)가 릴레이(RL2)의 2차측에 접속되어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릴레이(RL3)는 SLI125CR 릴레이가 될 수 있다. 릴레이(RL3)의 1차측은 버튼(14d)을 매개로 제 2 전원단에 접속되고, 2차측은 저항을 매개로 제 1 전원단에 접속된다. 릴레이(RL3)의 1차측에는 램프(16c) 및 1차측 전압 측정부(22)가 병렬로 접속된다. 도 6에서는 릴레이(RL3)의 1차측에 접속된 1차측 전류 측정부(26)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1차측 전류 측정부(26)가 릴레이(RL3)의 1차측에 접속되어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릴레이(RL3)의 2차측에는 2차측 전압 측정부(24)가 접속된다. 도 6에서는 릴레이(RL3)의 2차측에 접속된 2차측 전류 측정부(28)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2차측 전류 측정부(28)가 릴레이(RL3)의 2차측에 접속되어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릴레이(RL4)는 SLI125CRI 릴레이가 될 수 있다. 릴레이(RL4)의 1차측은 버튼(14e)을 매개로 제 2 전원단에 접속되고, 2차측은 저항을 매개로 제 1 전원단에 접속된다. 릴레이(RL4)의 1차측에는 램프(16d) 및 1차측 전압 측정부(22)가 병렬로 접속된다. 도 6에서는 릴레이(RL4)의 1차측에 접속된 1차측 전류 측정부(26)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1차측 전류 측정부(26)가 릴레이(RL4)의 1차측에 접속되어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릴레이(RL4)의 2차측에는 2차측 전압 측정부(24)가 접속된다. 도 6에서는 릴레이(RL4)의 2차측에 접속된 2차측 전류 측정부(28)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2차측 전류 측정부(28)가 릴레이(RL4)의 2차측에 접속되어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릴레이(RL5)는 SLI24CR 릴레이 또는 SLI24CRI 릴레이가 될 수 있다. 릴레이(RL5)의 1차측은 버튼(14f)을 매개로 제 2 전원단에 접속되고, 2차측은 저항을 매개로 제 2 전원단에 접속된다. 릴레이(RL5)의 1차측에는 램프(16e) 및 1차측 전압 측정부(22)가 병렬로 접속된다. 도 6에서는 릴레이(RL5)의 1차측에 접속된 1차측 전류 측정부(26)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1차측 전류 측정부(26)가 릴레이(RL5)의 1차측에 접속되어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릴레이(RL5)의 2차측에는 2차측 전압 측정부(24)가 접속된다. 도 6에서는 릴레이(RL5)의 2차측에 접속된 2차측 전류 측정부(28)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2차측 전류 측정부(28)가 릴레이(RL5)의 2차측에 접속되어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도 6에서, 1차측 전압 측정부(22)는 해당 릴레이(RL)의 1차측에 각각 접속되고, 2차측 전압 측정부(24)는 해당 릴레이(RL)의 2차측에 각각 접속된다.
한편, 1차측 전류 측정부(26)는 해당 릴레이(RL)의 1차측에 각각 접속될 것이고, 2차측 전류 측정부(28)는 해당 릴레이(RL)의 2차측에 각각 접속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험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설명에 채용되는 시험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7의 설명에 채용되는 시험결과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릴레이(예컨대, Delcon 릴레이)를 시험하고자 하는 작업자는 시험대상이 되는 릴레이를 릴레이 단자부(12)에 접속시킨다(S10). 여기서는 SLI125CR 릴레이(RL)가 시험대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즉, SLI125CR 릴레이(RL3)가 단자대(12c)에 접속된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나서, 작업자는 메인 전원 버튼(14a) 및 해당하는 릴레이 버튼(14d)를 온(ON)시킨다(S20). 그에 따라, SLI125CR 릴레이(RL3)의 1차측에 접속된 램프(16c)가 온(ON)된다.
이와 함께, SLI125CR 릴레이(RL3)의 1차측에 접속된 1차측 전압 측정부(22) 및 1차측 전류 측정부(26)는 해당 릴레이(RL)의 1차측 전압값 및 전류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SLI125CR 릴레이(RL3)의 2차측에 접속된 2차측 전압 측정부(24) 및 2차측 전류 측정부(28)는 해당 릴레이(RL)의 2차측 전압값 및 전류값을 측정한다(S30).
이와 같이, 1차측 전압 측정부(22)와 2차측 전압 측정부(24)와 1차측 전류 측정부(26) 및 2차측 전류 측정부(28)에서의 측정 결과값(즉, 1차측 전압값/전류값, 2차측 전압값/전류값)은 제어부(30)에게로 전송된다.
제어부(30)는 입력받은 1차측 전압값/전류값 및 2차측 전압값/전류값을 제 1 표시부(18)의 해당하는 릴레이별 표시부(즉, 18e 및 18f) 및 제 2 표시부(20)에 표시한다(S40).
또한, 제어부(30)는 1차측 전압 측정부(22)와 2차측 전압 측정부(24)와 1차측 전류 측정부(26) 및 2차측 전류 측정부(28)로부터의 전압값 및 전류값을 근거로 단자대(12c)에 접속되어 있는 SLI125CR 릴레이(RL3)의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S50).
그리고, 제어부(30)는 그 판단 결과를 알리는 메시지(예컨대, 정상, 비정상)를 제 2 표시부(20)에 표시한다(S60).
예를 들어, 단자대(12c)에 접속되어 있는 SLI125CR 릴레이(RL3)의 1차측 전압값이 124.1V로 측정되고 1차측 전류값이 14.4A로 측정되고, SLI125CR 릴레이(RL3)의 2차측 전압값이 0.0V로 측정되고 2차측 전류값이 23.8A로 측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30)는 해당 측정 결과값(즉, 1차측 전압값/전류값, 2차측 전압값/전류값)을 도 8에서와 같이 해당하는 릴레이별 표시부(즉, 18e 및 18f) 및 도 9에서와 같이 제 2 표시부(20)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해당 측정 결과값을 저장부(1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당 릴레이(RL)의 셋팅값과 비교하고, 셋팅값을 충족하는 측정 결과값이면 도 9에서와 같이 제 2 표시부(20)에 해당 릴레이(RL)가 정상임을 알리는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다른 예로서, 단자대(12c)에 접속되어 있는 SLI125CR 릴레이(RL3)의 1차측 전압값이 124.6V로 측정되고 1차측 전류값이 15.5A로 측정되고, SLI125CR 릴레이(RL3)의 2차측 전압값이 13.4V로 측정되고 2차측 전류값이 10.4A로 측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30)는 해당 측정 결과값(즉, 1차측 전압값/전류값, 2차측 전압값/전류값)을 도 10에서와 같이 해당하는 릴레이별 표시부(즉, 18e 및 18f) 및 도 11에서와 같이 제 2 표시부(20)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해당 측정 결과값을 저장부(1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당 릴레이(RL)의 셋팅값과 비교한다. 해당 측정 결과값이 셋팅값을 충족하지 않음으로 제어부(30)는 도 11에서와 같이 제 2 표시부(20)에 해당 릴레이(RL)가 비정상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상기에서는 단자대(12c)에 접속되는 SLI125CR 릴레이(RL)를 시험대상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단자대(12c) 이외의 다른 단자대에 접속되는 다른 릴레이를 시험대상으로 하였을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시험절차 및 그에 따른 정상/비정상 표시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 한편, 릴레이 단자부(12)에 다수개의 릴레이를 해당하는 단자대에 접속시킨 후에 순차적으로 시험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릴레이 시험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저장부 12 : 릴레이 단자부
14 : 버튼부 16 : 램프부
18 : 제 1 표시부 20 : 제 2 표시부
22 : 1차측 전압 측정부 24 : 2차측 전압 측정부
26 : 1차측 전류 측정부 28 : 2차측 전류 측정부
30 : 제어부 40 : 제 1 몸체부
42 : 손잡이 50 : 제 2 몸체부

Claims (29)

  1. 시험대상인 릴레이가 접속되는 릴레이 단자부;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릴레이의 1차측 전압값을 측정하는 1차측 전압 측정부;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릴레이의 2차측 전압값을 측정하는 2차측 전압 측정부;
    상기 측정된 1차측 전압값 및 2차측 전압값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릴레이의 1차측 전압값 및 2차측 전압값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단자부는 다수개의 단자대를 포함하되, 각각의 단자대에는 해당하는 모델의 릴레이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속된 릴레이의 1차측은 서로 다른 제 1 전원단 및 제 2 전원단 중에서 정격 전압에 맞게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상기 접속된 릴레이의 2차측은 서로 다른 제 1 전원단 및 제 2 전원단 중에서 정격 전압에 맞게 어느 하나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단자대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각각의 단자대에 접속가능한 릴레이의 모델명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측 전압 측정부 및 상기 2차측 전압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값을 근거로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해당 릴레이의 정상 여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해당 릴레이의 정상 여부는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측 전압 측정부 및 상기 2차측 전압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값을 기세팅된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과 비교하고, 상기 측정 결과값이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을 충족하면 해당 릴레이가 정상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측 전압 측정부 및 상기 2차측 전압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값을 기세팅된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과 비교하고, 상기 측정 결과값이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을 충족하지 않으면 해당 릴레이가 비정상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릴레이의 1차측 전류값을 측정하는 1차측 전류 측정부; 및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릴레이의 2차측 전류값을 측정하는 2차측 전류 측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1차측 전류값 및 2차측 전류값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측 전압 측정부와 상기 2차측 전압 측정부와 상기 1차측 전류 측정부 및 상기 2차측 전류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값을 근거로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해당 릴레이의 정상 여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해당 릴레이의 정상 여부는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측 전압 측정부와 상기 2차측 전압 측정부와 상기 1차측 전류 측정부 및 상기 2차측 전류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값을 기세팅된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과 비교하고, 상기 측정 결과값이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을 충족하면 해당 릴레이가 정상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측 전압 측정부와 상기 2차측 전압 측정부와 상기 1차측 전류 측정부 및 상기 2차측 전류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값을 기세팅된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과 비교하고, 상기 측정 결과값이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을 충족하지 않으면 해당 릴레이가 비정상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단자부는 다수개의 단자대를 포함하되, 각각의 단자대에는 해당하는 모델의 릴레이가 접속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자대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의 릴레이별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릴레이별 표시부는 상기 각각의 단자대와 일대일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험대상이 되는 릴레이는 초고압 직류전송(HVDC) 변환설비 제어소자인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장치.
  17. 릴레이 시험 장치에서의 릴레이 시험 방법으로서,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시험대상인 릴레이의 1차측 전압값 및 2차측 전압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1차측 전압값 및 2차측 전압값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접속된 릴레이의 1차측은 서로 다른 제 1 전원단 및 제 2 전원단 중에서 정격 전압에 맞게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상기 접속된 릴레이의 2차측은 서로 다른 제 1 전원단 및 제 2 전원단 중에서 정격 전압에 맞게 어느 하나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1차측 전압값 및 2차측 전압값을 근거로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해당 릴레이의 정상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해당 릴레이의 정상 여부는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방법.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해당 릴레이의 정상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1차측 전압값 및 2차측 전압값을 기세팅된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과 비교하고, 상기 측정하는 단계의 측정 결과값이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을 충족하면 해당 릴레이가 정상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방법.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해당 릴레이의 정상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1차측 전압값 및 2차측 전압값을 기세팅된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과 비교하고, 상기 측정하는 단계의 측정 결과값이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을 충족하지 않으면 해당 릴레이가 비정상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방법.
  23.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릴레이의 1차측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릴레이의 2차측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1차측 전류값 및 2차측 전류값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1차측 전압값과 2차측 전압값과 1차측 전류값 및 2차측 전류값을 근거로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해당 릴레이의 정상 여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단자부에 접속된 해당 릴레이의 정상 여부는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방법.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1차측 전압값과 2차측 전압값과 1차측 전류값 및 2차측 전류값을 기세팅된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과 비교하여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을 충족하면 해당 릴레이가 정상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방법.
  28.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1차측 전압값과 2차측 전압값과 1차측 전류값 및 2차측 전류값을 기세팅된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과 비교하여 해당 릴레이의 셋팅값을 충족하지 않으면 해당 릴레이가 비정상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방법.
  2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시험대상이 되는 릴레이는 초고압 직류전송(HVDC) 변환설비 제어소자인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시험 방법.
KR1020180150581A 2018-11-29 2018-11-29 릴레이 시험 장치 KR102128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581A KR102128443B1 (ko) 2018-11-29 2018-11-29 릴레이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581A KR102128443B1 (ko) 2018-11-29 2018-11-29 릴레이 시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444A true KR20200064444A (ko) 2020-06-08
KR102128443B1 KR102128443B1 (ko) 2020-06-30

Family

ID=7108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581A KR102128443B1 (ko) 2018-11-29 2018-11-29 릴레이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4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1076A (ja) * 1986-11-21 1988-06-03 Nec Corp 3相交流配線検査装置
KR200303129Y1 (ko) 2002-11-11 2003-02-07 한국전력공사 클리폰 릴레이 시험기
KR101507297B1 (ko) * 2014-11-04 2015-04-08 정인 릴레이 검사 장치
KR20160079507A (ko) * 2014-12-26 2016-07-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릴레이 구동 회로 상태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80095150A (ko) * 2017-02-16 2018-08-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하드웨어 테스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1076A (ja) * 1986-11-21 1988-06-03 Nec Corp 3相交流配線検査装置
KR200303129Y1 (ko) 2002-11-11 2003-02-07 한국전력공사 클리폰 릴레이 시험기
KR101507297B1 (ko) * 2014-11-04 2015-04-08 정인 릴레이 검사 장치
KR20160079507A (ko) * 2014-12-26 2016-07-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릴레이 구동 회로 상태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80095150A (ko) * 2017-02-16 2018-08-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하드웨어 테스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443B1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42881B (zh) 电力变压器电气试验智能切换线装置
CN101782638B (zh) 一次测多只电流互感器的校验装置及方法
KR102036491B1 (ko) 휴대용 전기철도 고장점 표정 시험 장치
CN111239652A (zh) 一种电流互感器极性测试装置
JP5465853B2 (ja) 保護継電器の保護協調試験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試験装置
US20150077122A1 (en) Safety device and method for an electric installation
CN110940898A (zh) 一种电连接器绝缘耐压测试装置
CN110673054B (zh) Dc/dc电源测试系统及dc/dc电源的老化测试方法
CN110031756B (zh) 一种直流接触器性能测试转换电路及寿命试验的方法
CN201364372Y (zh) 接线装置以及包括其的极性试验系统和变比试验系统
CN111157941A (zh) 电力互感器一次绕组快速切换校验装置和方法
CN203606400U (zh) 一种变压器直流电阻测量接线转换器
KR101443245B1 (ko) 저압차단기 시험장치
KR102128443B1 (ko) 릴레이 시험 장치
CN113030780A (zh) 一种变电站直流系统故障模拟装置
CN219458917U (zh) 直流电弧焊机电参数检测设备校准用电源装置
CN203966415U (zh) 中高级低压维修电工实训考核装置
CN110609184A (zh) 电力系统继电保护综合实验装置及方法
JP2020101496A (ja) 検査方法および試験装置
CN111579970B (zh) 测试电路、检测设备和检测电子开关板的方法
CN212111597U (zh) 一种直流系统馈线接地电阻校验仪的系统
CN216670198U (zh) 一种电气试验用模拟断路器
CN214669519U (zh) 一种变电站直流接地故障模拟装置
CN220551163U (zh) 一种实现现场工业设备故障快速投切和定位的系统
CN218549948U (zh) 一种针对铁路电力远动终端装置的试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