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269A -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269A
KR20200064269A KR1020180150019A KR20180150019A KR20200064269A KR 20200064269 A KR20200064269 A KR 20200064269A KR 1020180150019 A KR1020180150019 A KR 1020180150019A KR 20180150019 A KR20180150019 A KR 20180150019A KR 20200064269 A KR20200064269 A KR 20200064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condenser
washing water
sump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399B1 (ko
Inventor
정창윤
윤상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0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399B1/ko
Priority to DE102019131960.9A priority patent/DE102019131960A1/de
Priority to US16/698,357 priority patent/US11284774B2/en
Publication of KR2020006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5Water-heat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1Water discharge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72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7Temperat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1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3Drying arrangements by using conden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4/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eat pumps
    • F24H4/02Water heaters
    • F24H4/04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9Water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2Wate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1Water supply, e.g. opening or closure of the water inlet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6Water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2Air bl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2Heat recovery pumps, i.e. heat pump based systems or units able to transfer the thermal energy from one area of the premises or part of the facilities to a different one, improving the overall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저부에 구비되고 세척수를 일시 수용하는 섬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본체; 압축기, 증발기, 팽창기 및 상기 섬프의 내부의 세척수와 열교환 가능하게 상기 터브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응축기를 구비한 히트펌프; 및 상기 섬프의 내부의 세척수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게 상기 히트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세척수의 가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DISHWASHER WITH HEAT PUMP}
본 발명은,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 및/또는 조리기구를 세척하는 기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통상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본체 및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다.
상기 식기세척기본체에는, 식기를 수납하여 지지하는 랙, 상기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 및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상기 식기세척기본체의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펌프가 구비된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예비세척, 세척, 헹굼, 가열 헹굼, 건조 과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세척코스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식기세척기본체는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열부는, 예를 들면, 전원 인가 시 발열하여 세척수를 가열하는 전기히터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는, 세척수를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가열하도록 되어 있어, 세척수의 가열 시 상대적으로 많은 전력이 소비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열되어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는 높은 온도(에너지)를 가진 상태로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그대로 배출되므로 에너지 손실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일부에는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식기세척기의 폐열을 회수하여 급수를 가열하는 폐열회수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가 고안되어 있으며, 또 다른 일부에서는 세정조의 바닥면에 히트펌프의 응축기를 배치하여 세정조의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식기세척기가 고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히트펌프를 이용한 식기세척기의 폐열회수장치에 있어서는, 식기세척기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해 식기세척기와 별개로 복수의 열교환장치 및 세척수의 이동을 위한 긴 유로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어, 세척수의 가열 및 폐열 회수를 위한 부품수 및 크키가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구성 및 제어가 복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척 행정 후 또는 헹굼 행정 후 배출되는 세척수의 열을 이용하여 급수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도록 되어 있어, 세척 행정 전에 급수될 세척수를 미리 가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기인하여 세척수의 가열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정조의 하부에 응축기를 배치하여 상기 세정조의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는, 상기 세정조가 식기세척기본체로부터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구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응축기와 세정조 사이에는 상기 세정조의 인출을 위한 틈새(clearance)가 발생되고, 이에 기인하여 상기 응축기와 상기 세정조의 세척수의 열교환이 미흡하게 되고, 상기 히트펌프의 운전효율이 저해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본체의 내부에 상기 세정조가 수납된 후, 상기 세정조의 내부에 급수한 후 상기 세정조의 내부의 세척조를 상기 응축기로 가열하도록 되어 있어, 세정조의 내부의 세척수의 가열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037921 B1 KR 10-0770071 B1
따라서, 본 발명은, 세척수의 가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수의 가열 중 열손실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수의 가열을 위한 별도의 열교환장치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공간의 냉각을 촉진시킬 수 있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저부에 구비되고 세척수를 일시 수용하는 섬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본체; 압축기, 증발기, 팽창기 및 상기 터브의 내부의 세척수와 열교환 가능하게 상기 터브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응축기를 구비한 히트펌프; 및 상기 터브의 내부의 세척수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게 상기 히트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공간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축기에 의한 세척수의 가열 시, 상기 응축기가 세척수에 잠길 수 있게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압축기가 구동되게 제어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건조행정의 진행시, 상기 응축기에 의해 상기 터브의 바닥면이 가열되게 상기 압축기가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기세척기본체는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되고 상기 터브와 열교환되게 배치되는 워터자켓을 구비하고, 상기 워터자켓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행정의 진행시 상기 워터자켓의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되게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브의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행정의 진행시 상기 순환팬이 구동되게 제어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에 구비되어 냉매의 유로를 절환하는 냉매유로절환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행정의 진행시 미리 설정된 시점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의 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이동되게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발기의 일 측에 구비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시 상기 송풍팬이 구동되게 제어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발기는 상기 식기세척기본체에 구비되는 물탱크의 내부에 상기 물탱크의 내부의 물과 열교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기는, 상기 터브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용 응축기 및 상기 섬프의 내부에 구비되는 섬프용응축기를 구비하고,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터브용 응축기의 유입측 유로를 개폐하는 터브용응축기밸브; 및 상기 섬프용응축기의 유입측 유로를 개폐하는 섬프용응축기밸브;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 및 상기 섬프용응축기밸브를 각각 제어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전모드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세척수가열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가열모드는 상기 터브용응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터브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제1가열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열모드의 선택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브용응축기로 냉매가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전모드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세척수가열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가열모드는 상기 섬프용응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제2가열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열모드의 선택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섬프용응축기로 냉매가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섬프용응축기밸브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수가열모드는 상기 터브용응축기 및 상기 섬프용응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터브의 세척수 및 섬프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제3가열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가열모드의 선택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브용응축기 및 상기 섬프용응축기로 냉매가 각각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 및 상기 섬프용응축기밸브를 각각 제어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전모드는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가열하는 건조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모드의 선택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브용응축기로 냉매가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브의 내부 바닥면에 세척수를 직접 가열할 수 있게 응축기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가열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척수의 가열에 기인하여 전체 식기세척시간이 연장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터브의 바닥면에 구비된 응축기가 세척수와 직접 접촉되어 세척수를 직접 가열함으로써, 세척수의 가열 시 에너지 손실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식기의 건조 행정 시, 터브의 바닥면이 가열되어 터브의 내부의 공기가 가열되게 함으로써, 터브의 내부의 온도가 신속하게 상승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식기의 건조가 촉진될 수 있다.
또한, 터브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터브용응축기 및 섬프의 내부에 구비되는 섬프용응축기를 마련함으로써,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용응축기 및 상기 섬프용응축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세척수가 가열되게 함으로써, 세척수의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체 식기세척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세척수와 응축기가 직접 접촉되어 세척수를 직접 가열하게 구성됨으로써, 세척수의 가열을 위한 별도의 열교환장치의 사용이 배제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의 토출측에 냉매의 유로를 절환하는 냉매유로절환밸브를 마련하고, 건조 행정 시 미리 설정된 시점에 상기 압축기의 냉매가 증발기로 이동되게함으로써, 상기 터브의 응축기의 잠열 흡수 작용에 의해 상기 터브의 내부의 냉각이 촉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
도 3은 도 1의 히트펌프의 사이클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증발기의 변형례,
도 7은 도 1의 식기세척기의 순환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1의 식기세척기의 워터자켓영역의 단면도,
도 9는 도 1의 식기세척기의 제어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확대도,
도 12는 도 10의 히트펌프의 사이클 구성도,
도 13은 도 10의 식기세척기의 제어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요부확대도,
도 16은 도 14의 히트펌프의 사이클 구성도,
도 17은 도 14의 식기세척기의 제어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요부확대도,
도 20은 도 18의 히트펌프의 사이클 구성도,
도 21은 도 18의 식기세척기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히트펌프의 사이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세척공간(142)이 형성된 식기세척기본체(100) 및 상기 세척공간(142)을 개폐하는 도어(110)를 구비한다.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20)을 구비한다. 상기 캐비닛(12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현된다. 상기 캐비닛(120)의 내부에는 터브(140)가 배치된다. 상기 터브(140)는 내부에 식기의 세척공간(142)을 형성한다. 상기 터브(140)는, 대략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00)의 전면에는 도어(11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110)는 하부에 마련된 힌지(112)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되게 구성된다. 상기 도어(110)는 상기 터브(140)의 전면 개구를 기밀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도어(110)와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00)의 사이에는 가스켓(114)이 구비된다.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는 식기를 수납하는 랙(160)이 구비된다. 상기 랙(160)은 복수 개로 구성된다. 상기 랙(160)은 통상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랙(160)은, 상기 터브(140)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상부랙(162)을 구비한다. 상기 랙(160)은 상기 터브(140)의 하부영역에 구비되는 하부랙(164)을 포함한다. 상기 랙(160)은 상기 상부랙(162)의 상측에 구비되는 탑랙(166)을 구비한다.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180)이 구비된다. 상기 분사암(180)은 상기 상부랙(162)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분사암(182)을 가진다. 상기 분사암(180)은 상기 하부랙(164)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분사암(184)을 구비한다. 상기 분사암(180)은 상기 탑랙(166)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분사암(186)을 포함한다.
상기 터브(140)의 저부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터브(140)의 저부에는 섬프(210)가 구비된다. 상기 섬프(210)는 상부 개구된 통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섬프(210)는 상기 터브(140)의 저부면 중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 상부 개구가 대응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상기 터브(140)의 세척수가 상기 섬프(210)의 상부개구를 통해 상기 섬프(2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섬프(210)에는 세척수의 이물질의 이동을 억제하는 필터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부(220)는, 예를 들면, 상기 섬프(210)의 상부개구에 구비되는 제1필터(221)를 구비한다. 상기 필터부(220)는, 상기 섬프(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필터(231)를 가진다. 상기 필터부(220)는 상기 제2필터(23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3필터(241)를 구비한다. 상기 섬프(210)에는 상기 섬프(210)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순환펌프(310)가 구비된다.
상기 순환펌프(310)는, 하우징(312) 및 상기 하우징(31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임펠러(314)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312)의 내부에는 전원 인가 시 발열하여 세척수를 가열하는 전기히터(330)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312)의 내부에는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335)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순환펌프(310)의 내부에 전기히터(330)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전기히터(330)는 상기 섬프(210)의 내부에 구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기히터(330)는 상기 순환펌프(310)에 설치되지 아니하고 상기 섬프(210)의 내부에도 설치되지 아니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순환펌프(310)의 내부에 상기 전기히터(330)가 설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312)의 일 측에는 상기 섬프(210)의 세척수가 흡입되는 흡입관(322)이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312)의 타 측에는 세척수가 토출되는 토출관(324)이 연결된다. 상기 토출관(324)에는 세척수의 유로를 절환하는 유로절환밸브(350)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절환밸브(350)에는 세척수를 안내하는 세척수가이드(360)가 연결된다. 상기 세척수가이드(360)는, 상기 상부분사암에 연결되는 상부가이드(370)를 구비한다. 상기 세척수가이드(360)는 상기 하부분사암에 연결되는 하부가이드(380)를 구비한다. 상기 세척수가이드(360)는 상기 탑랙(166)에 연결되는 탑가이드(390)를 구비한다.
상기 섬프(210)에는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게 연결되는 연결관(440)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관(440)에는 상기 연결관(440)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450)가 구비된다. 상기 섬프(210)에는 세척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부(410)가 연결된다. 상기 배수부(410)는, 세척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배수유로(415) 및 상기 배수유로(415)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펌프(420)는, 하우징(422) 및 하우징(42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임펠러(424)를 가진다.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00)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트펌프(600a)를 구비한다.
상기 히트펌프(60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610), 냉매가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620), 냉매가 감압 및 팽창되는 팽창기(630) 및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640)를 구비한다. 상기 압축기(610), 응축기(620), 팽창기(630) 및 증발기(640)는 냉매가 순환할 수 있게 냉매관에 의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압축기(610)는 상기 캐비닛(120)과 상기 터브(140) 사이에 형성되는 기계실(125)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응축기(620)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 저부면(바닥면)에 설치된다. 상기 응축기(620)는, 예를 들면, 나선형(spiral)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620)는, 상기 섬프(210)의 상부 개구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620)는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과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이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다. 상기 터브(140)에는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150)이 구비된다.
상기 증발기(640)는 상기 기계실(125)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압축기(610) 및 상기 증발기(640)는 동일한 공간(기계실(125))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증발기(640)는 상기 압축기(610)로부터 방출된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내부의 냉매의 증발이 촉진된다. 상기 압축기(610)는 상기 증발기(640)의 잠열 흡수 작용에 의해 냉각이 촉진되어 부하가 경감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증발기의 변형례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640)는 물과 열교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25)의 내부에는 물탱크(6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690)는, 예를 들면, 상기 섬프(21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690)는, 예를 들면, 상향 개구된 통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690)의 내부에는 물(692)이 구비된다. 상기 증발기(640)는 상기 물탱크(690)의 내부에 물(692)과 열교환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히트펌프(600a)의 구동시 상기 증발기(640)의 잠열 흡수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690)에는 물(692)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69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부(693)는, 예를 들면, 상기 물탱크(690)의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는 하부감지부(694a) 및 상부감지부(694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690)에는 상기 물탱크(69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69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관(695)은, 예를 들면, 상기 연결관(440)으로부터 분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관(695)에는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물공급관밸브(69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수위감지부(693)의 수위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물탱크(690)의 내부의 물 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감지부(694a)에 의해 낮은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물공급관밸브(697)가 개방되어 상기 물탱크(690)의 내부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상부감지부(694b)에 의해 높은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물공급관밸브(697)가 차단되어 상기 물탱크(690)의 물 공급이 중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690)는 상기 압축기(610)와 열교환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690)는, 예를 들면, 상기 압축기(6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압축기(610)로부터 방출된 열에너지에 의해 상기 물탱크(690)(물)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690)에는 상기 압축기(610)의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열전달부재(69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부재(698)는 일 측은 상기 압축기(610)와 열교환되고 타 측은 상기 물탱크(690)와 열교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부재(698)는, 예를 들면, 내부에 물(692)이 순환되는 열전달파이프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부재(698)는 금속부재(예를 들면,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부재(698)는, 일 단부는 상기 물탱크(690)의 일측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압축기(610)의 외면에 열교환되게 배치된 후 상기 물탱크(690)의 타 측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부재(698)는 상기 압축기(610)의 둘레면에 열교환되게 형성되는 열교환부(699)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달부재(698)의 양 단부는 상기 물탱크(690)의 상하방향을 따라 높이차를 두고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압축기(610)의 구동 시 상기 열교환부(699)의 내부의 물(692)은 상기 압축기(610)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되고 대류현상에 의해 상향 이동되어 상기 물탱크(690)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물탱크(690)의 내부의 물(692)이 순환 및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전달부재(698)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예를 들면, 금속부재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단부는 상기 압축기(610)와 열교환되게 접촉되고 타 단부는 상기 물탱크(690)(물)와 열교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압축기(610)의 구동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가지는 압축기(610)의 표면의 열에너지가 상기 열전달부재(698)를 통해 상기 물탱크(69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식기세척기의 순환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140)의 일 측에는 상기 터브(140)의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덕트(155)가 연결된다. 상기 순환덕트(155)는, 예를 들면, 일 단이 상기 터브(14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터브(140)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브(140)의 상면(천장)에는 흡입구(156)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터브(140)의 측면 하부영역에는 토출구(157)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150)은, 예를 들면, 상기 순환덕트(15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150)이 회전을 개시하면, 상기 흡입구(156)를 통해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토출구(157)를 통해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공기의 순환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150)은, 예를 들면,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한 팬(152) 및 상기 팬(152)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15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00)는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하는 워터자켓(500)을 구비한다. 상기 워터자켓(500)은, 예를 들면,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00)의 일 측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자켓(500)은, 예를 들면, 상기 캐비닛(120)의 측벽과 상기 터브(140)의 측벽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자켓(500)이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00)의 좌측벽에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우측벽 등 다른 벽면에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1의 식기세척기의 워터자켓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워터자켓(500)은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하는 세척수저장부(510)가 구비된다. 상기 워터자켓(500)의 하부 일 측에는 세척수가 급수되는 급수관(520)이 구비된다. 상기 급수관(520)에는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530)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관(520)에는 상기 세척수저장부(510)의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유로(540)가 연결된다. 상기 워터자켓(500)의 하부 상기 급수관(520)의 일 측에는 상기 세척수저장부(510)의 세척수가 상기 섬프(210)로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연결관(440)의 일 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유입유로(540)에는 세척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계(550)가 구비된다. 상기 유입유로(540)의 타측에는 응축공간(515)이 형성된다. 상기 워터자켓(500)의 하부 다른 일 측에는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유로(560)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유로(415)는 상기 배출유로(5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응축공간(515)에는 통기부(517)가 형성된다. 상기 통기부(517)는 상기 응축공간(515)의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통기부(517)의 상측에는 연통홀(519)이 구비된다. 상기 연통홀(519)은 상기 터브(140)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배출유로(560)에는 응축수배출유로(580)가 연결된다. 상기 응축수배출유로(580)에는 배수밸브(582)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밸브(582)는, 예를 들면, 유체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은 차단하고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은 허용할 수 있게 일방향 밸브(체크밸브)로 구성된다.
도 9는 도 1의 식기세척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는,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는 제어부(70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700)에는 상기 세척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온도감지부(335)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에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량이 상기 응축기(620)가 잠길 수 있는 정도로 미리 설정된 수량이 급수되게 상기 개폐밸브(450)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식기의 건조 시, 상기 워터자켓(500)의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게 상기 급수밸브(530)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700)에는 상기 응축기(620)로 냉매 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상기 압축기(610)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에는 전원 인가시 발열하여 세척수를 가열하는 전기히터(330)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에는 상기 순환팬(150)이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온도감지부(335)에 의해 감지된 세척수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6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예를 들면, 상기 히트펌프(600a)의 운전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 상기 전기히터(330)에 전원이 인가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응축기(620)에 의한 상기 세척수의 가열 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도 미리 설정된 온도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히터(33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에는 상기 세척수의 가열시간을 산출하는 타이머(715)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섬프(210)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 상기 개폐밸브(450)를 제어하여 상기 연결관(440)이 개방되게 한다. 상기 연결관(440)이 개방되면 상기 섬프(210)의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된다. 상기 섬프(210)의 내부로 급수가 계속되면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응축기(620)가 잠길 수 있게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개폐밸브(450)를 제어하여 상기 연결관(440)이 차단되게 한다.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압축기(610)가 구동되게 제어한다. 상기 압축기(610)가 구동되면 냉매는 압축되고, 압축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620)로 이동된다. 상기 응축기(620)로 이동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620)의 내부 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세척수와 열교환된다. 상기 터브(140)의 세척수와 열교환되어 방열된 냉매는 응축되고, 상기 팽창기(630)를 경유하면서 감압 및 팽창된다. 상기 팽창기(630)를 경유한 냉매는 상기 증발기(640)로 이동되고, 상기 증발기(640)의 내부에서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한편,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식기를 건조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섬프(210)의 세척수가 상기 배수부(410)를 통해 배출된 후, 상기 응축기(620)로 냉매가 이동되게 상기 압축기(610)가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워터자켓(500)의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게 상기 급수밸브(5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워터자켓(500)의 세척수저장부(510)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수량의 세척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급수밸브(530)가 유로를 차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620)로 이동되고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 및 상기 터브(140)의 내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의 응축기(6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자연대류에 의해 상기 터브(140)의 상부영역으로 이동된다. 이때, 가열된 공기는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랙(160)에 수납된 식기와 접촉되고, 이에 의해 상기 식기의 표면의 수분이 증발되며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공기는 고온 고습한 상태로 된다. 상기 워터자켓(500)과 근접한 상기 터브(140)의 내벽은 다른 벽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지고,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고온고습한 공기는 상기 워터자켓(500)과 근접한 내벽면과 접촉되어 응축된다. 상기 벽면에 응결된 응축수는 하향 이동되어 상기 섬프(210)의 내부로 수집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공기 순환이 촉진되게 상기 순환팬(150)이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순환팬(150)이 회전되면 상기 터브(140)의 공기는 흡입구(156)로 흡입되고 상기 순환덕트(155)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토출구(157)를 통해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공기의 순환이 촉진됨으로써, 가열된 공기에 의한 상기 식기의 표면의 수분의 증발이 촉진될 뿐만 아니라 수분을 함유한 다습한 공기의 상기 워터자켓(500)에 의한 응축 과정이 촉진되어 상기 식기의 건조가 촉진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히트펌프의 사이클 구성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세척공간(142)이 형성되는 터브(140) 및 상기 터브(140)의 저부에 구비되고 세척수를 일시 수용하는 섬프(210)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본체(100); 압축기(610), 증발기(640), 팽창기(630) 및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세척수와 열교환 가능하게 상기 터브(140)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응축기(620)를 구비한 히트펌프(600b); 및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세척수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게 상기 히트펌프(600b)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도 10 참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00)의 전면에는 도어(110)가 구비된다.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00)의 내부에는 세척공간(142)이 형성된다.
상기 세척공간(142)의 내부에는 식기를 수납하는 랙(160)이 구비된다. 상기 세척공간(142)의 내부에는 상기 랙(160)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180)이 구비된다.
상기 터브(140)의 저부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터브(140)의 저부면의 낮은 영역에 상기 섬프(210)가 구비된다.
상기 섬프(210)에는 세척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이동을 억제하는 필터부(220)가 배치된다. 상기 터브(140)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응축기(620)가 구비된다. 상기 섬프(210)에는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310)가 구비된다. 상기 섬프(210)에는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41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히트펌프(600b)는 냉매의 유로를 절환하는 냉매유로절환밸브(660)를 구비한다.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는 상기 압축기(610)의 토출측에 연결된다.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의 일 측에는 상기 응축기(620)가 연결된다.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의 다른 일 측에는 상기 증발기(640)가 연결된다.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의 또 다른 일 측에는 상기 압축기(610)의 흡입측이 연결된다.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는 상기 압축기(610)에서 토출된 냉매를 상기 응축기(620) 또는 상기 증발기(640)로 먼저 선택적으로 이동되게 유로를 절환한다. 상기 증발기(640)의 일 측에는 공기의 이동을 촉진하는 송풍팬(670)이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증발기(640)와 접촉되는 공기의 이동이 촉진되어 상기 증발기(640)의 열교환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670)은,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한 팬(672) 및 상기 팬(672)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673)를 구비한다.
도 13은 도 10의 식기세척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700)에는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335)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세척수의 가열시간을 산출하는 타이머(715)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700)에는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개폐밸브(450) 및 급수밸브(530)가 각각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에는 세척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상기 압축기(610)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에는 전원 인가 시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는 전기히터(330)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에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공기의 순환을 촉진할 수 있게 순환팬(150)이 제어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에는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가 상기 응축기(620) 또는 상기 증발기(640)로 이동될 수 있게 냉매의 유로를 절환하는 냉매유로절환밸브(660)가 제어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식기 건조 시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가 상기 증발기(640)로 이동되게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에 설치된 응축기(620)가 증발기(640)로 기능하여 주위의 잠열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감소됨으로써 건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개폐밸브(450)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210)에 미리 설정된 량의 세척수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응축기(620)를 이용하여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고자 할 경우 상기 압축기(610)가 구동되게 제어한다.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620)로 이동되어 상기 세척수를 직접 가열하게 된다.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식기를 건조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응축기(620)로 냉매가 이동되게 상기 압축기(610)가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620)로 이동되고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 및 상기 터브(140)의 내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식기를 건조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섬프(210)의 세척수가 상기 배수부(410)를 통해 배출된 후, 상기 응축기(620)로 냉매가 이동되게 상기 압축기(610)가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워터자켓(500)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수량의 세척수가 공급되게 상기 급수밸브(5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610)가 구동되어 압축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620)로 이동되고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 및 상기 터브(140)의 내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 및 상기 응축기(6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자연대류에 의해 상기 터브(140)의 상부영역으로 이동된다. 이때, 가열된 공기는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식기의 표면으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포함하여 고온고습한 상태로 된다.
이때,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공기는 상기 워터자켓(500)과 근접한 벽면과 접촉되면 냉각되어 수분이 응결된다. 상기 터브(140)의 벽면에 응결된 응축수는 하향 이동되어 상기 섬프(210)의 내부로 수집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공기 순환이 촉진되게 상기 순환팬(150)이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순환팬(150)이 회전되면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공기의 순환이 촉진되어 상기 식기의 표면의 수분 증발 및 상기 터브(140)의 벽면에 의한 공기의 응축 과정이 촉진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640)로 이동되게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는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를 경유하여 상기 증발기(640)로 이동되어 방열되어 응축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가 상기 증발기(640)로 이동되게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송풍팬(670)이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증발기(640)의 내부의 냉매의 방열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640)에서 방열되어 응축된 냉매는 상기 팽창기(630)를 경유하면서 감압 및 팽창될 수 있다. 상기 팽창기(630)를 경유한 냉매는 상기 응축기(620)로 이동된다. 상기 응축기(620)로 이동된 냉매는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이에 의해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은 냉각되고,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공기는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 및 응축기(620)와 접촉되고, 공기 중의 수분은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 및 상기 응축기(620)의 표면에 응축된다. 이에 의해 상기 식기의 건조과정이 촉진될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히트펌프의 사이클 구성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세척공간(142)이 형성되는 터브(140) 및 상기 터브(140)의 저부에 구비되고 세척수를 일시 수용하는 섬프(210)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본체(100); 압축기(610), 증발기(640), 팽창기(630) 및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세척수와 열교환 가능하게 상기 터브(140)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응축기(620)를 구비한 히트펌프(600c); 및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세척수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게 상기 히트펌프(600c)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도 14 참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620)는,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터브용 응축기(620a) 및 상기 섬프(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섬프용 응축기(620b)를 구비한다.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세척수를 직접 가열할 수 있게 상기 터브(140)의 세척수와 직접 접촉되게 구성된다.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는 상기 섬프(210)의 내부의 세척수를 직접 가열할 수 있게 상기 섬프(210)의 내부의 세척수와 직접 접촉되게 구성된다.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는 나선형(spiral)으로 구현된다.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는 상기 제1필터(221) 및 제2필터(231)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상기 세척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로 접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600c)는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로 유입되는 냉매 유로(622)를 개폐하는 터브용응축기밸브(624)를 구비한다. 상기 히트펌프(600c)는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로 유입되는 냉매 유로(623)를 개폐하는 섬프용응축기밸브(625)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624) 및 상기 섬프용응축기밸브(625)가 각각 분리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624) 및 섬프용응축기밸브(625)는 단일체로 된 3방밸브(3 way valve)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7은 도 14의 식기세척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700)에는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335)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시간을 산출하는 타이머(715)를 구비한다. 상기 압축기(610)에는 세척수의 급수를 제어할 수 있게 개폐밸브(450) 및 급수밸브(530)가 각각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압축기(610)에는 세척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압축기(610) 및 전기히터(330)가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복수의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압축기(610)로 부터 압축된 냉매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700)에는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모드선택부(720)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는, 예를 들면, 세척수가열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가열모드는, 예를 들면,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를 이용하여 상기 터브(140)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제1가열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모드선택부(720)에 의한 상기 제1가열모드의 선택시,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로 냉매가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624)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상기 세척수가열모드는, 예를 들면,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를 이용하여 상기 섬프(210)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제2가열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모드선택부(720)에 의한 상기 제2가열모드의 선택 시,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로 냉매가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섬프용응축기밸브(625)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2가열모드의 선택 시, 상기 섬프(210)의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게 상기 개폐밸브(450)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가열모드 시 상기 제1가열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세척수가 공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열모드는, 예를 들면, 상기 제1가열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세척될 식기의 양이 적을 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가열모드는, 예를 들면,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 및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를 이용하여 상기 터브(140)의 세척수 및 섬프(210)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제3가열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3가열모드의 선택 시,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 및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로 냉매가 각각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624) 및 상기 섬프용응축기밸브(625)를 각각 제어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3가열모드는, 예를 들면, 상기 제1가열모드 및 제2가열모드에 비해 세척될 식기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또는 식기의 오염 정도가 높은 경우, 또는 외기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3가열모드의 선택 시,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가 세척수에 의해 잠길 수 있는 정도 이상으로 미리 설정된 양의 세척수가 공급되게 상기 개폐밸브(450)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는, 예를 들면,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을 가열하는 건조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건조모드의 선택 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로 냉매가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624)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드선택부(720)는 상기 세척수가열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건조모드를 선택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모드선택부(720)에 의해 상기 제1가열모드 선택 시,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가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624)가 냉매 유로를 개방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모드선택부(720)에 의해 상기 제2가열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개폐밸브(450)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210)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양의 세척수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가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로 이동되게 상기 섬프용응축기밸브(625)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로 이동된 냉매는 상기 섬프(210)의 세척수와 열교환되어 응축되고, 상기 증발기(640)로 이동되어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모드선택부(720)에 의해 상기 제3가열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개폐밸브(450)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수량의 세척수가 공급되게 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가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 및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로 각각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624) 및 상기 섬프용응축기밸브(625)를 각각 제어한다.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 및 섬프용 응축기(620b)로 각각 이동되어 상기 터브(140)의 세척수 및 상기 섬프(210)의 세척수를 각각 직접 가열한다. 이에 의해, 세척수의 가열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식기의 건조 시,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가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로 이동되게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624)는 개방하고, 상기 섬프용응축기밸브(625)는 차단되게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식기의 건조 시 상기 워터자켓(500)의 세척수저장부(510)의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게 상기 급수밸브(5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식기의 건조 시 상기 순환팬(150)이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20은 도 18의 히트펌프의 사이클 구성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세척공간(142)이 형성되는 터브(140) 및 상기 터브(140)의 저부에 구비되고 세척수를 일시 수용하는 섬프(210)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본체(100); 압축기(610), 증발기(640), 팽창기(630) 및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세척수와 열교환 가능하게 상기 터브(140)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응축기를 구비한 히트펌프(600d); 및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세척수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게 상기 히트펌프(600d)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도 18 참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터브용 응축기(620a) 및 상기 섬프(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섬프용 응축기(620b)를 구비한다.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의 일 측에는 냉매유로를 개폐하는 터브용응축기밸브(624)가 구비된다.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의 일 측에는 냉매유로를 개폐하는 섬프용응축기밸브(62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히트펌프(600d)는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가 상기 응축기 또는 상기 증발기(640)로 먼저 선택적으로 이동되게 냉매의 유로를 절환하는 냉매유로절환밸브(66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는 압축기(610)의 토출측에 연결된다.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의 일 측에는 상기 응축기측 냉매유로가 연결된다.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의 다른 일 측에는 상기 증발기측 냉매유로가 연결된다.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의 또 다른 일 측에는 상기 압축기(610)의 흡입측이 연결된다. 상기 증발기(640)의 일 측에는 송풍팬(670)이 구비된다.
도 21은 도 18의 식기세척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700)에는,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335) 및 복수의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720)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시간을 산출하는 타이머(715)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700)에는 세척수의 급수를 제어할 수 있게 개폐밸브(450) 및 급수밸브(530)가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에는 세척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압축기(610) 및 전기히터(330)가 각각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에는 공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순환팬(150) 및 송풍팬(670)이 각각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에는 냉매의 유로를 제어할 수 있게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624), 섬프용응축기밸브(625) 및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가 각각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복수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절환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는, 세척수가열모드 및 건조모드를 구비한다.
상기 세척수가열모드는,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로 세척수를 가열하는 제1가열모드를 구비한다. 상기 세척수가열모드는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로 세척수를 가열하는 제2가열모드를 구비한다. 상기 세척수가열모드는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 및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로 세척수를 동시에 가열하는 제3가열모드를 구비한다.
상기 건조모드는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로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 및 공기를 가열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건조모드 선택 시,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가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로 이동되게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624), 상기 섬프용응축기밸브(625) 및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를 각각 제어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건조모드 선택 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가 상기 증발기(640)로 먼저 이동되게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모드선택부(720)에 의해 상기 제1가열모드 선택 시,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가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로 먼저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624)가 냉매 유로를 개방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모드선택부(720)에 의해 상기 제2가열모드 선택 시,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가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로 먼저 이동되게 상기 섬프용응축기밸브(625)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모드선택부(720)에 의해 상기 제3가열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가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 및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로 각각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624) 및 상기 섬프용응축기밸브(625)를 각각 제어한다.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 및 섬프용 응축기(620b)로 각각 이동되어 상기 터브(140)의 세척수 및 상기 섬프(210)의 세척수를 각각 직접 가열한다. 이에 의해, 세척수의 가열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압축기(610)의 구동시 상기 송풍팬(670)이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증발기(640)의 내부의 냉매의 열교환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식기의 건조 시,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가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로 먼저 이동되게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624)는 개방하고, 상기 섬프용 응축기(620b)의 냉매 이동이 중지되게 상기 섬프용응축기밸브(625)는 차단되게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식기의 건조 시 상기 워터자켓(500)의 세척수저장부(510)의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게 상기 급수밸브(5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식기의 건조 시 상기 순환팬(150)이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식기의 건조 시,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에 의한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 및 공기의 가열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가열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가 상기 증발기(640)로 먼저 이동되게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를 제어한다. 상기 압축기(610)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증발기(640)로 이동된 냉매는 방열되어 응축된다. 응축된 냉매는 상기 팽창기(630)를 경유하여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로 이동된다.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로 이동된 냉매는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이에 의해, 상기 터브(140)의 바닥면이 냉각되고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어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공기는 온도가 낮고 건조한 공기로 된다. 상기 터브용 응축기(620a)에서 증발된 냉매는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660)를 경유하여 상기 압축기(610)로 흡입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저부에 구비되고 세척수를 일시 수용하는 섬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본체;
    압축기, 증발기, 팽창기 및 상기 터브의 내부의 세척수와 열교환 가능하게 상기 터브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응축기를 구비한 히트펌프; 및
    상기 터브의 내부의 세척수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게 상기 히트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공간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축기에 의한 세척수의 가열 시, 상기 응축기가 세척수에 잠길 수 있게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압축기가 구동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조행정의 진행시, 상기 응축기에 의해 상기 터브의 바닥면이 가열되게 상기 압축기가 구동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본체는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되고 상기 터브와 열교환되게 배치되는 워터자켓을 구비하고, 상기 워터자켓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행정의 진행시 상기 워터자켓의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되게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행정의 진행시 상기 순환팬이 구동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에 구비되어 냉매의 유로를 절환하는 냉매유로절환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행정의 진행시 미리 설정된 시점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의 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이동되게 상기 냉매유로절환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일 측에 구비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시 상기 송풍팬이 구동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식기세척기본체에 구비되는 물탱크의 내부에 상기 물탱크의 내부의 물과 열교환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터브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용응축기 및 상기 섬프의 내부에 구비되는 섬프용응축기를 구비하고,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터브용응축기의 유입측 유로를 개폐하는 터브용응축기밸브; 및 상기 섬프용응축기의 유입측 유로를 개폐하는 섬프용응축기밸브;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 및 상기 섬프용응축기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드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세척수가열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가열모드는 상기 터브용응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터브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제1가열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열모드의 선택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브용응축기로 냉매가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드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세척수가열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가열모드는 상기 섬프용응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제2가열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열모드의 선택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섬프용응축기로 냉매가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섬프용응축기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가열모드는 상기 터브용응축기 및 상기 섬프용응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터브의 세척수 및 섬프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제3가열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가열모드의 선택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브용응축기 및 상기 섬프용응축기로 냉매가 각각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 및 상기 섬프용응축기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드는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가열하는 건조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모드의 선택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브용응축기로 냉매가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터브용응축기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20180150019A 2018-11-28 2018-11-28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2658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019A KR102658399B1 (ko) 2018-11-28 2018-11-28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DE102019131960.9A DE102019131960A1 (de) 2018-11-28 2019-11-26 Geschirrspülmaschine mit Wärmepumpe
US16/698,357 US11284774B2 (en) 2018-11-28 2019-11-27 Dishwasher with heat pu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019A KR102658399B1 (ko) 2018-11-28 2018-11-28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269A true KR20200064269A (ko) 2020-06-08
KR102658399B1 KR102658399B1 (ko) 2024-04-18

Family

ID=70546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019A KR102658399B1 (ko) 2018-11-28 2018-11-28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84774B2 (ko)
KR (1) KR102658399B1 (ko)
DE (1) DE10201913196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071B1 (ko) 2005-10-31 2007-10-2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KR101037921B1 (ko) 2008-11-24 2011-05-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식기세척기의 폐열회수장치 및 이에 따른 제어방법
KR20170082034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EP3082554B1 (en) * 2013-12-19 2017-10-25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Dishwasher comprising heat pump system
US20180028042A1 (en) * 2015-02-27 2018-02-01 BSH Hausgeräte GmbH Household dishwasher for washing dishes in one or more partial wash cycles, and associate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423B1 (ko) * 1995-09-19 1997-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DE10259737A1 (de) * 2002-12-19 2004-07-1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Trocknungseinrichtung zum Trocknen von Spülgut
CN101440998A (zh) * 2007-11-22 2009-05-27 海尔集团公司 一种热泵热水器
EP2465405B1 (de) * 2012-03-20 2017-06-21 V-Zug AG Geschirrspüler mit Wärmespeichertank
WO2014154278A1 (en) 2013-03-28 2014-10-02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eat pump washing apparatus
KR102025175B1 (ko) * 2013-09-12 2019-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15074834A1 (en) * 2013-11-22 2015-05-28 Arc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comprising a heat pump
CN105090127B (zh) * 2014-05-20 2019-10-11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加热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071B1 (ko) 2005-10-31 2007-10-2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KR101037921B1 (ko) 2008-11-24 2011-05-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식기세척기의 폐열회수장치 및 이에 따른 제어방법
EP3082554B1 (en) * 2013-12-19 2017-10-25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Dishwasher comprising heat pump system
US20180028042A1 (en) * 2015-02-27 2018-02-01 BSH Hausgeräte GmbH Household dishwasher for washing dishes in one or more partial wash cycles, and associated method
KR20170082034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84774B2 (en) 2022-03-29
DE102019131960A1 (de) 2020-05-28
KR102658399B1 (ko) 2024-04-18
US20200163529A1 (en)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1098B1 (en) Dihwasher having drying apparatus
EP3129541B1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1792513B1 (ko) Fan module과 PTC Heater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가열순환 건조모듈
CN106968079B (zh) 具有冷却水回路的洗涤-烘干机
EP3082555B1 (en) Dishwasher comprising heat pump system
EP3082554A1 (en) Dishwasher comprising heat pump system
US11564554B2 (en) Dishwasher with heat pump
EP2662013A1 (en) A dishwashing machine with a heat-pump dry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US11399694B2 (en) Dishwasher with heat pump
EP3524129B1 (en) Dishwasher
EP3524127B1 (en) Dishwasher
EP3226742B1 (en) A heat pump dishwasher
KR102658398B1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2658399B1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2603450B1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JP2013128556A (ja) 食器洗浄乾燥機
EP3731720B1 (en) A heat pump dishwasher
WO2020083592A1 (en) A heat pump dishwasher with improved evaporator performance
WO2019132819A2 (en) A heat pump dishwasher
CN110906476A (zh) 空调式洗涤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