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830A - Connecting device of sub frame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ub frame - Google Patents

Connecting device of sub frame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ub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830A
KR20200063830A KR1020180150005A KR20180150005A KR20200063830A KR 20200063830 A KR20200063830 A KR 20200063830A KR 1020180150005 A KR1020180150005 A KR 1020180150005A KR 20180150005 A KR20180150005 A KR 20180150005A KR 20200063830 A KR20200063830 A KR 20200063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frame
frame
auxiliary
coupling
energ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0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0949B1 (en
Inventor
김한정
Original Assignee
김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정 filed Critical 김한정
Priority to KR1020180150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949B1/en
Publication of KR20200063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8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9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tationary device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device of a sub-frame for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apparatus, which includes: main frames; sub-frames; and a connector provided between outer surfaces of the main frames and the sub-frames to connect the main frames and the sub-frames, wherein the connector includes a body, a close contact portion, and a coupling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frame is easily and rigidly coupled to the main frame or other sub-frames.

Description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 및 보조 프레임 제조방법{CONNECTING DEVICE OF SUB FRAME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UB FRAME}CONNECTING DEVICE OF SUB FRAME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UB FRAME}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 및 보조 프레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랙 프레임을 구성하는 보조 프레임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메인 프레임 또는 다른 보조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는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 및 보조 프레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xiliary frame and a connecting device for an auxiliary frame for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auxiliary frame constituting the rack frame of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is easily and robustly main frame or other auxiliary frame. It relates to a connecting device of the auxiliary frame for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uxiliary frame.

현재, 거치용 배터리(stationary battery)는 특히 부동(float)용, 즉 전력 부족시에 비상 전력용으로 고안되었다. 거치용 배터리는 일정하게 미리 셋팅된 전압에서 부동(floating)함으로써 보통 완전 충전 상태에서 언제든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거치용 배터리는 통신분야, 유틸리티, 상업용 건물의 비상등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를 위한 비상용 또는 작동 전원으로 사용된다.Currently, stationary batteries are specifically designed for floating, ie emergency power in the event of power shortages. The stationary battery is normally kept at full charge at any time by floating at a constant pre-set voltage. Stationary batteries are used as emergency or operating power sources for emergency lights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in telecommunications, utilities, and commercial buildings.

무정전 전원장치는, 통신, 방송, 병원, 전자 계산기, 설비 등과 같이 고도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요구하고, 단시간의 정전도 허용하지 않는 장치에 부응하는 전원으로서, 정전시에는 축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a power supply that responds to devices that require a high level of stability and reliability, such as communications, broadcasting, hospitals, electronic calculators, facilities, etc., and does not allow short-term power outages. do.

한편, 전력 요구량이 상당한 산업 설비에 사용되는 밀폐형 납-산 거치용 전지 및/또는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원하는 용량과 전력 요구량에 맞는 배터리를 만들기 위해 서로 연결된 수 개 내지 수많은 밀폐형 납-산 전지로 구성된다. 원하는 용량과 전력 요구량에 맞는 배터리를 만들기 위해, 각각의 밀폐형 납-산 전지는 직렬로, 병렬로, 또는 직렬과 병렬의 적당한 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연결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전지의 음극과 양극 간에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sealed lead-acid mounted cells and/or batteries used in industrial facilities with significant power demands generally consist of several to many sealed lead-acid cells connected to each other to create a battery that meets the desired capacity and power requirements. . To create a battery that meets the desired capacity and power requirements, each sealed lead-acid battery can be connected in series, in parallel, or in any suitable combination of series and parallel. External connections are generally made between the negative and positive electrodes of each cell.

그리고 공간적인 제약 때문에, 이들 대용량 전지들은 공간 요건을 최소화하기 위해 랙이나, 캐비넷, 또는 그와 유사한 하우징 내부에 수납된다.And because of space constraints, these large-capacity cells are housed inside racks, cabinets, or similar housings to minimize space requirements.

선행기술의 한 예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64338호(공고일 : 2013.05.14)에는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저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저장장치는, 나란히 배열된 배터리 트레이들과, 배터리 트레이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개구부들을 구비하는 제1 덕트와, 배터리 트레이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개구부들을 구비하는 제2 덕트와, 강제적으로 외기를 제1 덕트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재, 및 제2 덕트 내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64338 (announcement date: 2013.05.14) discloses a rack housing assembly and an electrical storage device having the same. The electric storage device includes: a first duct having battery trays arranged side by side, first opening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trays, and second opening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trays. It is composed of a 2 duct, an air inflow member forcibly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duct, and an air exhaust member for forcibly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second duct.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55243호(공고일 : 20130416)호에는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저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As another prior art,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55243 (announcement date: 20130416) discloses a rack housing assembly and a power storage device having the same.

그러나, 이러한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랙 하우징 조립체는 부품수가 많고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조립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rack housing assembly of such an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has a problem that assembly workability is deteriorated due to a large number of parts and structural complexity, and a product cost is increased.

한편, 전술한 선행기술에 의한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랙 하우징 조립체는, 하우징의 골격을 이루는 메인 수직 프레임에 다양한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다양한 부품들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수직 메인 프레임에 다양한 부품들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양쪽의 세로 메인 프레임을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다양한 보조 프레임이 구비되어야 했고, 각각의 보조 프레임의 양단을 세로 메인 프레임 또는 다른 보조 프레임에 "ㄱ"자형 지지구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조립성이 저하되고 미관이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보조 프레임이 장착될 부품의 형상에 적합한 형상 모양으로 형성되어야 함으로써 서로 다른 형상 모양으로 구비되어야 했고 이로 인하여 부품의 호환성이 저하되었고 조립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the rack housing assembly of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for mounting various parts of the various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s in the main vertical frame constituting the skeleton of the housing is complicated,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assembly. there was. That is, in order to mount various components on the vertical main frame, various auxiliary frames connecting both vertical main fram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had to be provided, and both ends of each auxiliary frame were connected to the vertical main frame or another auxiliary fram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assembling performance was deteriorated and the aesthetics were not beautiful by combining with the a-shaped support. In addition, each auxiliary frame had to be provided in a different shape shape by being formed in a shape shape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component to be mounted, and thu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compatibility of components was lowered and assembly was also reduced.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64338호(공고일 : 2013.05.14).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264338 (Announcement date: 2013.05.14)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55243호(공고일 : 2013.04.16).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255243 (Publication date: 2013.04.16)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랙 프레임을 구성하는 보조 프레임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메인 프레임 또는 다른 보조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ans by which an auxiliary frame constituting a rack frame of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can be easily and securely connected to a main frame or another auxiliary fr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 프레임의 형상을 동일하게 통일하여 부품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that can improve the compatibility of parts and improve assembly properties by uniformly unifying the shape of the auxiliary fram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understandabl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랙 프레임을 이루는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 면에는 체결공들이 등간격으로 천공되고, 각 코너 연결구들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상기 랙 프레임의 골격을 이루는 각각의 메인 프레임들; 일측이 개방된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 면에는 체결공들이 등간격으로 천공되는 각각의 보조 프레임들; 및 상기 메인 프레임들에 상기 보조 프레임을 연결하거나, 각각의 상기 보조 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보조 프레임의 각 단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들의 선택된 외측면 또는 다른 보조 프레임의 외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의 양쪽 단부에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양쪽 날개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양쪽 측벽과 내벽 사이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개방되는 결합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는, 일부가 상기 보조 프레임의 상기 결합공간에 삽입되도록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체결볼트가 관통하기 위한 제1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밀착부; 상기 몸체의 일부가 상기 결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보조 프레임의 양쪽 측벽이 안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표면보다 낮게 형성되고 제2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to form a rack frame for an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is formed in an open square cross section,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astening holes are drilled at equal intervals on each side, each Each main frame coupled to each other by corner connectors to form a skeleton of the rack frame; One side is formed in an open square cross-sec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side of the fastening holes are drilled at equal intervals, each of the auxiliary frames; And a connection port provided between each end of the auxiliary frame and a selected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s or an outer surface of another auxiliary frame to connect the auxiliary frames to the main frames or to connect the respective auxiliary frames to each other. Containing, at both ends of the auxiliary frame, a portion of both wings forming an opening is cut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side walls and the inner wall to form an open space, respectively, and the connector has a part A body formed in a square cross s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of the auxiliary frame; A contact portion formed on one end of the bod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and having a first coupling hole through which a fastening bolt passes; Electric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 of the body is formed lower than the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body so that both side walls of the auxiliary frame are seated when the par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and th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with the second coupling holes, respectively. This is achieved by the connection of auxiliary frames for energy storage.

상기 보조 프레임의 각 상기 측벽의 끝단 모서리에는, 상기 결합홈에 안착될 때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모따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A chamfer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hen seated in the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at an end edge of each side wall of the auxiliary frame.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연결구와 상기 보조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가 상기 결합공간으로 삽입될 때 양쪽 상기 측벽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구와 상기 보조 프레임의 가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결합공과 이웃하는 다른 체결공이 일치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각각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중심과 상기 제2 결합공의 중심 간의 거리는 상기 체결공들 간의 거리와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coupling groove, when the body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so that the connector and the auxiliary frame are engaged, they are inserted into fasteners formed on both side walls to maintain a temporary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auxiliary frame, and the agent 2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be curved so that the coupling holes and other adjacent fastening holes are coinciden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coupling hole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holes.

상기 연결구는, 상기 밀착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측면이나 상기 보조 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될 때 해당 위치의 제1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공의 양쪽에 위치하는 이웃 체결공들과 각 상기 제1 결합공이 각각 일치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구를 상기 메인 프레임 또는 상기 보조 프레임에 가 결합시키도록 양쪽의 상기 제1 결합공 사이에서 돌출 형성되는 위치결정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When the contact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a first fastening hole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adjacent fastener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astening hole. Positioning protrusions protrud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holes on both sides may be provided to make the first coupling holes coincide, and to connect the connector to the main frame or the auxiliary frame.

상기 밀착부에는, 상기 밀착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측면이나 상기 보조 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될 때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회피홈이 폐 도형 모양으로 표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ontact portion, when the contact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an avoidance groove for increasing adhesion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on the surface in a closed figure shape.

상기 밀착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측면이나 상기 보조 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될 때, 상기 메인 프레임 외측면의 코너 곡면이나 상기 보조 프레임 외측면의 코너 곡면에 위치하는 상기 밀착부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코너 곡면을 감싸면서 밀착되어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곡면 밀착부가 상기 코너 곡면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contact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at one edge of the contact portion located on the corner curved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or the corn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the corner The curved surface contact portion for increasing the bonding strength by being wrapped around the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with a curvature equal to the curvature of the corner curved surface.

상기 제2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체결볼트의 체결시 상기 체결볼트의 나사산이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돌기들이 중심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hole,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for protruding a screw thread of the fastening bolt may be protruded toward the center when fastening the fastening bolt.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 제조방법으로,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갖는 금속판에 체결공들을 등간격으로 천공하는 체결공 천공단계; 상기 체결공 천공단계에서 체결공들이 형성된 상기 금속판을 절곡하거나 롤포밍하여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보조 프레임을 성형하되, 양쪽의 날개가 간격을 유지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성형하는 보조 프레임 성형단계; 및 상기 보조 프레임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상기 보조 프레임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한 후 상기 보조 프레임의 양쪽 단부 영역의 각 상기 날개 일부분을 각각 절단하여 상기 연결구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결합공간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xiliary frame for an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a fastening hole drilling step of drilling fastening holes at equal intervals on a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length; Forming an auxiliary frame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by bending or roll forming the metal plate on which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fastening hole drilling step, but forming the openings by forming the openings by maintaining the gaps between the two wings; And after cutting the auxiliary frame formed in the auxiliary frame forming step to a required length, each of the wing portions of both end regions of the auxiliary frame are respectively cut to form a coupling space for a part of the connector to be inserted and coupled. It is achieved by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uxiliary frame for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a combined space.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랙 프레임을 구성하는 보조 프레임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메인 프레임 또는 다른 보조 프레임에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는 효과를 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frame constituting the rack frame of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can be easily and robustl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or another auxiliary frame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combined.

또한, 보조 프레임의 형상을 동일하게 통일하여 제작할 수 있음으로써 부품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auxiliary frame can be uniformly manufactur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of parts and provide an effect of improving assembly.

또한, 부품을 교체하거나 부품의 위치를 변경하는 등의 추후 정비성(AS)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보조 프레임이 동일한 구조로 통일되어 적용되고, 연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렉 프레임에 설치되는 부품을 교체하거나 부품의 위치를 변경하고 추가하는 등의 정비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easy maintenance (AS) in the future, such as replacing parts or changing the position of parts. That is, since the auxiliary frames are uniformly applied in the same structure an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or, maintenance work such as replacing parts installed in the rack frame or changing and adding parts is very quickly and easily performe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에 의해 보조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보조 프레임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순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device of an auxiliary frame for an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frame is coupled by the connecting device of the auxiliary frame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illustrated in FIG. 2.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4.
6 is a schematic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auxiliary frame shown in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comprises' and/or'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에 의해 보조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device of an auxiliary frame for an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ssisted by a connection device of an auxiliary frame for an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shown in FIG. 2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3,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이하에서는 메인 프레임(20)에 형성된 체결공은 제1 체결공(22)으로 하고, 보조 프레임(30)에 형성된 체결공은 제2 체결공(32)으로 한다. Hereinafter,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main frame 20 is referred to as a first fastening hole 22, and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auxiliary frame 30 is referred to as a second fastening hole 32.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는,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랙 프레임(10)을 이루는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 면에는 제1 체결공(22)들이 등간격으로 천공되고, 각 코너 연결구(24)들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랙 프레임(10)의 골격을 이루는 각각의 메인 프레임(20)들과, 일측이 개방된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 면에는 제2 체결공(32)들이 등간격으로 천공되는 각각의 보조 프레임(30)들과, 메인 프레임(20)들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결하거나 각각의 보조 프레임(30)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보조 프레임(30)의 각 단부와 메인 프레임(20)들의 선택된 외측면 또는 다른 보조 프레임(30B)의 외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보조 프레임(30)을 메인 프레임(20)에 연결하거나, 보조 프레임(30)을 다른 보조 프레임(30B)에 연결하도록 된 연결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connecting device of the auxiliary frame for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is to form a rack frame 10 for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one side is formed in an open square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main frame 20 is formed to be extended, and the first fastening holes 22 are perforated at equal intervals on each side, and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rner connectors 24 to form a skeleton of the rack frame 10. And, one side is formed in an open square cross-sec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side of the second fastening holes 32, each auxiliary frame 30 is drilled at equal intervals, the main frame 20 Between each end of the auxiliary frame 30 and the selected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s 2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auxiliary frames 30B, so as to connect them horizontally or vertically or to connect the respective auxiliary frames 30 to each other. Is provided in the auxiliary frame 30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20, or the auxiliary frame 30 is made to include a connector 40 to be connected to another auxiliary frame (30B).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메인 프레임(20)들은, 일측이 개방된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 면에는 제1 체결공(22)들이 등간격으로 천공되고, 각 코너 연결구(24)들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랙 프레임(10)의 골격을 이루는 각각의 수직프레임(20A)들과 수평프레임(20B)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수직 프레임(20A)과 수평 프레임(20B)이 코너 연결구(24)들에 의해 결합되어 랙 프레임(10)의 골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20)의 일면에는 강도 보강용 절곡부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The main frames 20 are formed in an open square cross section on one side, and ar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fastening holes 22 are perforated at equal intervals on each side, and by the corner connectors 24 It is composed of each of the vertical frame (20A) and the horizontal frame (20B) to form a skeleton of the rack frame 10 is coupled to each other. Each vertical frame 20A and horizontal frame 20B are joined by corner connectors 24 to form a skeleton of the rack frame 10. One surface of the main frame 20 is formed by bending a bent portion for reinforcing strength.

이러한 메인 프레임(20)은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The main frame 20 is used by cutting to a required length.

보조 프레임(30)은, 일측이 개방된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 면에는 제2 체결공(32)들이 등간격으로 천공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보조 프레임(30)은, 금속판에 제2 체결공(32)들을 등간격으로 천공한 후 프레스장치로 절곡하거나 롤포밍 방식으로 절곡하여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성형된다. 이때, 폭방향 양쪽의 날개(36)가 간격을 유지하여 개구부(36A)를 형성하도록 성형된다. The auxiliary frame 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 with one side ope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second fastening holes 32 are perforated at equal intervals on each side. The auxiliary frame 30 is mold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by punching the second fastening holes 32 at equal intervals on a metal plate or bending with a press device or bending in a roll forming method. At this time, the wings 36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re formed to maintain the gap to form the opening 36A.

그리고, 보조 프레임(30)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 영역(A)의 각 날개(36) 일부분이 각각 절단되어 전술한 연결구(4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간(B)이 형성된다. 즉, 양쪽 단부 영역(A)에 해당하는 각 날개(36)의 끝부분이 각각 절단됨으로써, 양쪽 단부 영역(A)의 양쪽 측벽(38)들 사이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개방된, 즉 양쪽 측벽(38)과 내벽(37) 사이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개방되는 결합공간(B)이 형성되는 것이다.Then, a portion of each wing 36 of both end regions 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frame 30 is cut, so that a part of the connector 40 described above is inserted to form a coupling space B for coupling. That is, each end portion of each wing 36 corresponding to both end regions A is cut, so that both side walls 38 of both end regions A are opened in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that is, both A coupling space (B) is formed whi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wall 38 and the inner wall 37 to open.

한편, 양쪽의 날개(36) 및 각 측벽(38)에는 제2 체결공(32)들이 등간격으로 천공되어 있고, 각 측벽(38)의 모서리에는 결합홈(46)에 안착될 대 간섭을 방지하여 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모따기부(38A)가 각각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astening holes 32 are drilled at equal intervals on both wings 36 and each side wall 38, and the edges of each side wall 38 prevent interference when seated in the engaging groove 46. By chamfering portion (38A) for the seating is made smoothly, respectively.

이러한 보조 프레임(30)은 메인 프레임(20)과 마찬가지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며, 절단된 영역, 즉 단부 영역(A)의 양쪽 날개(36)들 일부를 절단하여 결합공간(B)을 형성한다. The auxiliary frame 30 is used to cut to the required length as in the main frame 20, and cuts a portion of both wings 36 of the cut region, that is, the end region A, to form a coupling space B. do.

전술한 보조 프레임(30)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aforementioned auxiliary frame 30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5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랙 프레임(10)을 구성하는 보조 프레임(3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to 5 and 6,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uxiliary frame 30 constituting the rack frame 10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is as follows.

a) 체결공 천공단계(S1)a) Fastening hole drilling step (S1)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갖는 금속판에 제2 체결공(32)들을 등간격으로 천공한다. 각각의 제2 체결공(32)들은 추후 각 측벽(38)이나 각 날개(36)에 위치하게 된다. The second fastening holes 32 are drilled at equal intervals to the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length. Each of the second fastening holes 32 is later located on each side wall 38 or each wing 36.

b) 보조 프레임 성형단계(S2)b) Auxiliary frame forming step (S2)

전술한 과정으로 금속판에 제2 체결공(32)들이 형성되며, 금속판을 프레스장치로 절곡하거나 롤포밍하여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보조 프레임(30)을 성형한다, 이때, 양쪽의 날개(36)가 간격을 유지하여 개구부(36A)를 형성하도록 절곡 성형한다. 이과정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보조 프레임(30)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으로 얻어진 보조 프레임(30)은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The second fastening holes 32 are formed in the metal plate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the metal plate is bent by a press device or roll-formed to form an auxiliary frame 30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wherein both wings 36 are provided. The molding is bent so as to form an opening 36A by maintaining a gap. In this process, an auxiliary frame 30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can be obtained. And the auxiliary frame 30 obtained by the above process is used to cut to the required length.

c) 결합공간 형성단계(S3)c) Formation of combined space (S3)

전술한 보조 프레임 성형단계에서 절곡되어 성형된 보조 프레임(30)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한다.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보조 프레임(30)의 양쪽 단부 영역(A)의 각 날개(36) 일부분을 각각 절단하여 연결구(4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간(B)을 각각 형성한다. In the aforementioned auxiliary frame forming step, the auxiliary frame 30 bent and shaped is cut to a required length. A portion of each wing 36 of both end regions A of the auxiliary frame 30 cut to the required length is respectively cut to form a coupling space B for inserting and connecting a portion of the connector 40, respectively.

그리고, 결합공간 형성단계(S3)가 완료되면, 각 측벽(38)의 각 모서리를 모따기하여 모따기부(38A)를 형성한다. Then, when the bonding space forming step (S3) is completed, each edge of each side wall 38 is chamfered to form a chamfered portion 38A.

이와 같이, 절곡 성형된 보조 프레임(30)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한 후 각 단부에 결합공간(B)을 형성함으로써, 연결구(4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단부가 연결구(40)에 의해 메인 프레임(20)이나 다른 보조 프레임(30)에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cutting the bending-formed auxiliary frame 30 to a required length, and then forming a coupling space B at each end, the coupling of the connector 40 can be stably and reliably, and each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It can be coupled to the main frame 20 or another auxiliary frame 30 by (40).

연결구(40)는, 메인 프레임(20)들에 보조 프레임(30)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결하거나, 각각의 보조 프레임(30)들을 직각되도록 서로 연결하도록, 보조 프레임(30)의 각 단부와 메인 프레임(20)들의 선택된 외측면 또는 다른 보조 프레임(30B)의 외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보조 프레임(30)을 메인 프레임(20)에 연결하거나, 보조 프레임(30)을 다른 보조 프레임(30B)에 연결하도록 된 것이다. The connector 40 connects the auxiliary frames 30 to the main frames 20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r to connect each auxiliary frame 30 to each other such that they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each end of the auxiliary frame 30 And between the selected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s 20 or the outer surface of another auxiliary frame 30B to connect the auxiliary frame 30 to the main frame 20, or to connect the auxiliary frame 30 to another auxiliary frame 30B ).

이러한 연결구(40)는, 전류가 통하도록 금속재료로 압출형성된다. 즉, 보조 프레임(30)에 장착되는 각종 구성요소가 메인 프레임(20)을 통하여 접지선(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메인 프레임(20)에 보조 프레임(30)을 연결하거나, 보조 프레임(30)들을 연결하는 연결구(40)를 전도체인 금속으로 형성함으로써, 보조 프레임(30)과 메인 프레임(20)을 별도의 접지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작업이 삭제될 수 있다. The connector 40 is extruded from a metal material to allow current to pass through. That is, since various components mounted on the auxiliary frame 30 must be connected to the ground wire (not shown) through the main frame 20, the auxiliary frame 30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20, or the auxiliary frame By forming the connector 40 connecting the 30 to a conductive metal, the operation for connecting the auxiliary frame 30 and the main frame 20 with separate ground wires can be eliminated.

연결구(40)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보조 프레임(30)의 결합공간(B)에 삽입되도록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는 몸체(42)와, 메인 프레임(2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몸체(42)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체결볼트(50)가 관통하기 위한 제1 결합공(44A)이 각각 형성된 밀착부(44)와, 몸체(42)의 일부가 결합공간(B)에 삽입될 때 보조 프레임(30)의 양쪽 측벽(38)이 안착되도록 몸체(42)의 양 측면에 표면보다 낮게 형성되고 제2 결합공(46A)이 각각 형성된 결합홈(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onnector 40, as shown in Figures 1 and 3 to 5, the body 42 is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 section so that a par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B) of the auxiliary frame 30, and the main frame ( 20) is formed on one end of the body 42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bolt 50, the first coupling hole 44A for penetrating each of the formed contact 44 and the body 42 When a par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B), both side walls 38 of the auxiliary frame 30 are formed lower than the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body 42, and th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with the second coupling holes 46A, respectively. It comprises 46.

결합홈(46)에는, 연결구(40)와 보조 프레임(30)이 결합되도록 몸체(42)가 결합공간(B)으로 삽입될 때 양쪽 측벽(38)에 형성된 제2 체결공(32)에 삽입되어 연결구(40)와 보조 프레임(30)의 가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제2 결합공(46A)과 이웃하는 다른 체결공(32A)이 일치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돌기(46B)가 각각 만곡지게 돌출 형성된다. 즉, 양쪽의 각 결합돌기(46B)는 끝단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다른 체결공(32A)에 간섭없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돌기(46B)의 중심과 제2 결합공(46A)의 중심 간의 거리는 체결공(32,32A)들 간의 거리와 같도록 형성된다. 이는 결합돌기(46B)가 다른 체결공(32A)에 삽입될 때 제2 체결공(32)과 제2 결합공(46A)이 일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coupling groove 46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32 formed on both side walls 38 when the body 4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B so that the connector 40 and the auxiliary frame 30 are coupled. The coupling protrusions 40B for bending the connector 40 and the auxiliary frame 30 so as to maintain the combined stat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46A and the other coupling holes 32A adjacent to each other are projected to be curved. Is formed. That is, each of the coupling protrusions 46B has both end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other fastening hole 32A without interference. T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engaging projection 46B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engaging hole 46A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astening holes 32 and 32A. This is to make the second fastening hole 32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46A coincide when the engaging projection 46B is inserted into the other fastening hole 32A.

한편, 연결구(40)는, 밀착부(44)가 메인 프레임(20)의 외측면(21)에 밀착될 때 해당 위치의 제1 체결공(22)에 삽입되어 제1 체결공(22)의 양쪽에 위치하는 이웃 체결공(22A)들과 각 제1 결합공(44A)이 각각 일치하도록 하고, 연결구(40)를 메인 프레임(20)에 가 결합시키도록 양쪽의 제1 결합공(44A) 사이에서 돌출 형성되는 위치결정돌기(44B)를 구비한다. 이 위치결정돌기(44B)의 끝단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제1 체결공(22)에 삽입될 때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위치결정돌기(44B)는 연결구(40)의 밀착부(44)가 보조 프레임(30)의 외측면에 밀착될 때에도 동일하게 작용한다. 즉, 위치결정돌기(44B)는 해당 위치의 제2 체결공(32)에 삽입되어 제2 체결공(32)의 양쪽에 위치하는 이웃 체결공들과 각 제1 결합공(44A)이 각각 일치하도록 하며, 위치결정돌기(44B)가 양쪽의 이웃 체결공들에 삽입됨으로써, 연결구(40)가 보조 프레임(30)에 가 결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or 4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22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when the contact portion 4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21 of the main frame 20 of the first fastening hole 22 The neighboring fastening holes 22A located on both sides and the first joining holes 44A are respectively coincident, and the first joining holes 44A on both sides are connected so that the connector 40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20. It has a positioning projection (44B) is formed to protrude between. The end portion of the positioning projection 44B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can be smoothly inserted without interference when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22.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ositioning protrusion 44B acts the same when the contact portion 44 of the connector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30. That is, the positioning projections 44B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s 32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and each of the first fastening holes 44A coincides with neighboring fastening hole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fastening holes 32. By doing so, the positioning projections 44B are inserted into the neighboring fasteners on both sides, so that the connector 40 can be coupled to the auxiliary frame 30.

전술한 연결구(40)의 밀착부(44)에는, 밀착부(44)가 메인 프레임(20)의 외측면이나 보조 프레임(30)의 외측면에 밀착될 때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회피홈(44C)이 폐 도형 모양으로 표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는 평면인 밀착부(44)가 평면 메인 프레임(20)의 외측면 또는 보조 프레임(30)의 외측면에 밀착될 때 들뜸없이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o the contact portion 44 of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40, when the contact portion 4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2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30, the avoidance groove 44C for increasing the adhesion It is formed by recessing on the surface in the shape of a closed figure. This is to ensure that when the flat contact portion 4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lat main frame 2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30, without lifting.

또한, 연결구(40)의 밀착부(44) 일측 가장자리에는, 밀착부(44)가 메인 프레임(20)의 외측면이나 보조 프레임(30)의 외측면에 밀착될 때, 코너 곡면(26)의 일부를 감싸면서 밀착되어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곡면 밀착부(44D)가 코너 곡면(26)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형성된다. 이때, 곡면 밀착부(44D)는 보조 프레임(30) 외측면의 코너 곡면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one edge of the contact portion 44 of the connector 40, when the contact portion 4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2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30, the corner curved surface 26 of the The curved surface contact portion 44D is formed with a curvature equal to the curvature of the corner curved surface 26 so as to be tightly adhered while enclosing a part. At this time, the curved contact portion 44D may be formed with a curvature equal to the curvature of the corner curved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30.

한편, 연결구(40)의 제2 결합공(46A)의 내주면에는, 체결볼트(50)의 체결시 체결볼트(50)의 나사산이 파고들어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돌기(46C)들이 중심을 향하여 각 돌출 형성된다. 이는, 연결구(40)의 내부에서 체결볼트(50)와 체결되는 너트를 체결하기 곤란하므로, 체결볼트(50)를 제2 결합공(46A)에 체결하는 것만으로 체결볼트(50)의 체결력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 결합공(46A)이 너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체결돌기(46C)를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볼트(50)의 나사산이 용이하게 파고들도록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hole 46A of the connector 40,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46C for centering the threads of the fastening bolt 50 during fastening of the fastening bolt 50 are centered. Each protrusion is formed towards.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fasten the nut to be fastened with the fastening bolt 50 inside the connector 40, the fastening force of the fastening bolt 50 is only by fastening the fastening bolt 50 to the second coupling hole 46A. It is intended to be maintained. That is, the second coupling hole 46A is for allowing the nut to function. Each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46C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so that the thread of the fastening bolt 50 is easily excavated in this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보조 프레임(30)을 메인 프레임(20)에 연결하여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연결구(40)를 이용하여 보조 프레임(30)의 단부를 메인 프레임(20)의 외측면에 연결하여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auxiliary frame 30 to the main frame 20 using the connecting device of the auxiliary frame for the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a process of connecting the end of the auxiliary frame 3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20 using the connector 40 will be described.

보조 프레임(30)의 양쪽 단부에 결합공간(B)이 형성된 상태에서, 보조 프레임(30)의 단부를 메인 프레임(20)의 외측면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결구(40)의 밀착부(44)를 메인 프레임(20)의 외측면에 밀착시켜 곡면 밀착부(44D)가 코너 곡면(26)의 일부를 감싸면서 외측면에 밀착시킨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coupling spaces B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auxiliary frame 30, in order to join the ends of the auxiliary frames 3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20, first, the contact portion 44 of the connector 40 )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20 so that the curved contact portion 44D wraps a part of the corner curved surface 26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이와 같이 밀착부(44)가 메인 프레임(20)의 외측면에 밀착되면, 위치결정돌기(44B)가 해당 위치의 제1 체결공(22)에 삽입된다. 위치결정돌기(44B)가 제1 체결공(22)에 삽입되므로 제1 체결공(22)의 양쪽에 위치하는 이웃 체결공(22A)들과 각 제1 결합공(44A)들이 각각 일치하게 된다. 위치결정돌기(44B)가 제1 체결공(22)에 삽입되면 연결구(40)는 메인 프레임(20)의 외측면에 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 Thus, when the contact portion 4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20, the positioning projection 44B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22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Since the positioning protrusion 44B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22, the neighboring fastening holes 22A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astening hole 22 and the respective first joining holes 44A coincide with each other. . When the positioning projection 44B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22, the connector 40 is in a stat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20.

전술한 과정으로 이웃 체결공(22A)들과 각 제1 결합공(44A)들이 일치되면, 체결볼트(50)를 몸체(42)의 내부로 삽입하여 제1 결합공(44A)과 이웃 체결공(22A)을 관통하여 각각 체결한다. When the neighboring fastening holes 22A and the respective first joining holes 44A are matched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fastening bolt 50 is inserted into the body 42 to insert the first joining hole 44A and the neighboring fastening holes. Through (22A), tighten each.

이 과정으로 연결구(40)는 메인 프레임(20)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connector 40 is firmly coupled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20.

이어서, 연결구(40)의 일부가 결합공간(B)에 삽입되도록 보조 프레임(30)의 단부를 연결구(40)에 결합시킨다. 즉, 연결구(40)의 일부를 결합공간(B)에 삽입하여 양쪽의 결합홈(46)에 보조 프레임(30)의 양쪽 측벽(38)이 각각 삽입되도록 한다. Subsequently, the end of the auxiliary frame 3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40 so that a part of the connector 4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B. That is, a part of the connector 4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B so that both side walls 38 of the auxiliary frame 3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46 on both sides.

이 과정에서 각 결합홈(46)의 표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46B)가 다른 체결공(32A)에 삽입되므로 연결구(40)는 보조 프레임(30)의 단부, 즉 결합공간(B)에 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In this process, since the coupling protrusions 46B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each coupling groove 46 are inserted into the other fastening holes 32A, the connector 4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auxiliary frame 30, that is, the coupling space B. Becomes a combined state.

이어서, 체결볼트(50)를 제2 체결공(32)을 통하여 제2 결합공(46A)에 각각 체결한다.Subsequently, the fastening bolts 50 ar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second coupling holes 46A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s 32.

따라서, 보조 프레임(30)의 단부는 연결구(40)의 일부를 감싸면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end of the auxiliary frame 30 may be firmly coupled while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connector 40.

이상에서와 같이 보조 프레임(30)이 도체인 금속재로 이루어진 연결구(40)에 의해 메인 프레임(20)에 결합됨으로써, 보조 프레임(30)과 메인 프레임(20)을 접지선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별도로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연결구(40)의 일부가 결합공간(B)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연결구(40)와 결합된 보조 프레임(30)의 두께(또는 폭)가 메인 프레임(20)의 외측면의 폭(또는 두께)와 같게 되어 보조 프레임(30)이 메인 프레임(20)의 일 측면보다 돌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보조 프레임(30)이 동일한 구조의 연결구(40)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한가지 구조의 보조 프레임(30)으로 각 메인 프레임(20)들 사이의 골격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frame 30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20 by a connector 40 made of a metallic material that is a conductor, so that the work of connecting the auxiliary frame 30 and the main frame 20 with a ground wire is not separately performed. No need. In addition, a part of the connector 4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space B, so that the thickness (or width) of the auxiliary frame 30 combined with the connector 40 is the widt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20 ( Or thickness) so that the auxiliary frame 30 does not protrude more than one side of the main frame 20. 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frame 3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by the connector 40 having the sam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gure the skeleton between each main frame 20 with the auxiliary frame 30 having on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다른 보조 프레임(30) 및 그 연결장치는, 전력소비 시스템(PCS : Power Consumption System)이나, 직류 배전함, 전기 배전함 등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frame 30 and its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configuring a frame such as a power consumption system (PCS), a DC distribution box, or an electrical distribution box.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field of this technology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i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랙 프레임 20 : 메인 프레임
22 : 체결공 30 : 보조 프레임
32 : 제2 체결공 36 : 날개
36A : 개구부 38 : 측벽
40 : 연결구 42 : 몸체
44 : 밀착부 44A : 제1 결합공
44B : 위치결정돌기 44C : 회피홈
44D : 곡면 밀착부 46 : 결합홈
46A : 제2 결합공 50 : 체결볼트
10: rack frame 20: main frame
22: fastener 30: auxiliary frame
32: second fastener 36: wings
36A: opening 38: side wall
40: connector 42: body
44: contact portion 44A: first coupling hole
44B: Positioning projection 44C: Evasion groove
44D: curved contact part 46: engaging groove
46A: Second coupling hole 50: Fastening bolt

Claims (8)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랙 프레임을 이루는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 면에는 체결공들이 등간격으로 천공되고, 각 코너 연결구들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상기 랙 프레임의 골격을 이루는 각각의 메인 프레임들;
일측이 개방된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 면에는 체결공들이 등간격으로 천공되는 각각의 보조 프레임들; 및
상기 메인 프레임들에 상기 보조 프레임을 연결하거나, 각각의 상기 보조 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보조 프레임의 각 단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들의 선택된 외측면 또는 다른 보조 프레임의 외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의 양쪽 단부에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양쪽 날개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양쪽 측벽과 내벽 사이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개방되는 결합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는,
일부가 상기 보조 프레임의 상기 결합공간에 삽입되도록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체결볼트가 관통하기 위한 제1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밀착부;
상기 몸체의 일부가 상기 결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보조 프레임의 양쪽 측벽이 안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표면보다 낮게 형성되고 제2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
To form a rack frame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One side is formed in an open square cross-sec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astening holes are drilled at equal intervals on each side, and each main frame is joined to each other by corner connectors to form a skeleton of the rack frame. ;
One side is formed in an open square cross-sec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side of the auxiliary frame is fastened holes are drilled at equal intervals; And
Includes a connector provided between each end of the auxiliary frame and the selected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s or the outer surface of another auxiliary frame to connect the auxiliary frames to the main frames or to connect the respective auxiliary frames to each other. and,
At both ends of the auxiliary frame,
A portion of both wings forming the opening is cut to form a coupling space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pe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side walls and the inner wall, respectively.
The connector,
A body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 section so that a par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of the auxiliary frame;
A contact portion formed on one end of the bod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and having first coupling holes through which fastening bolts pass,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 of the body is formed lower than the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body so that both side walls of the auxiliary frame are seated when the par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the second coupling hole is formed, each comprising a coupling groove formed,
Connection device for auxiliary frames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의 각 상기 측벽의 끝단 모서리에는,
상기 결합홈에 안착될 때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t the end edge of each side wall of the auxiliary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mfer is formed to prevent interference when seated in the coupling groove,
Connection device for auxiliary frames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연결구와 상기 보조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가 상기 결합공간으로 삽입될 때 양쪽 상기 측벽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구와 상기 보조 프레임의 가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결합공과 이웃하는 다른 체결공이 일치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각각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중심과 상기 제2 결합공의 중심 간의 거리는 상기 체결공들 간의 거리와 같도록 형성되는 것들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upling groove,
When the body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so that the connector and the auxiliary frame are engaged, they are inserted into fasteners formed on both side walls to maintain a temporary coupling state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auxiliary frame, and are adjacent to the second coupli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s for matching different fastening holes are formed to be curv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engaging hole is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astening holes,
Connection device for auxiliary frames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밀착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측면이나 상기 보조 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될 때 해당 위치의 제1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공의 양쪽에 위치하는 이웃 체결공들과 각 상기 제1 결합공이 각각 일치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구를 상기 메인 프레임 또는 상기 보조 프레임에 가 결합시키도록 양쪽의 상기 제1 결합공 사이에서 돌출 형성되는 위치결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When the contact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the first coupling hole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astening hole, respectively, the first coupl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ositioning projection which is formed to protrude between the first coupling holes on both sides so that the balls are coincident with each other, and th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or the auxiliary frame,
Connection device for auxiliary frames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에는,
상기 밀착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측면이나 상기 보조 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될 때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회피홈이 폐 도형 모양으로 표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ntact portion,
When the contact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avoiding groove for increasing the adhesion is formed by recessing on the surface in the shape of a closed figure,
Connection device for auxiliary frames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측면이나 상기 보조 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될 때, 상기 메인 프레임 외측면의 코너 곡면이나 상기 보조 프레임 외측면의 코너 곡면에 위치하는 상기 밀착부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코너 곡면을 감싸면서 밀착되어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곡면 밀착부가 상기 코너 곡면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ntact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at one edge of the contact portion located on the corner curved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or the corn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the corn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ature of the corner surface is formed to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corner surface to close the curved surface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Connection device for auxiliary frames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체결볼트의 체결시 상기 체결볼트의 나사산이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돌기들이 중심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hole,
When fastening the fastening bol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for protruding the threads of the fastening bolt is projected toward the center,
Connection device for auxiliary frames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 제조방법으로,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갖는 금속판에 체결공들을 등간격으로 천공하는 체결공 천공단계;
상기 체결공 천공단계에서 체결공들이 형성된 상기 금속판을 절곡하거나 롤포밍하여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보조 프레임을 성형하되, 양쪽의 날개가 간격을 유지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성형하는 보조 프레임 성형단계; 및
상기 보조 프레임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상기 보조 프레임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 한 후, 양쪽 단부 영역의 각 상기 날개 일부분을 각각 절단하여 상기 연결구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결합공간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xiliary frame for an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fastening hole drilling step of drilling fastening holes at equal intervals on a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length;
Forming an auxiliary frame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by bending or roll forming the metal plate on which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fastening hole drilling step, but forming the openings by forming the openings by maintaining the gaps between both wings; And
After the auxiliary frame formed in the auxiliary frame forming step is cut to a required length, a portion of each of the wing portions of both end regions is respectively cut to form a coupling space for forming a coupling space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connector is inserted and coupl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Method for manufacturing auxiliary frame for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KR1020180150005A 2018-11-28 2018-11-28 Connecting device of sub frame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ub frame KR1021209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005A KR102120949B1 (en) 2018-11-28 2018-11-28 Connecting device of sub frame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ub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005A KR102120949B1 (en) 2018-11-28 2018-11-28 Connecting device of sub frame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ub fr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830A true KR20200063830A (en) 2020-06-05
KR102120949B1 KR102120949B1 (en) 2020-06-09

Family

ID=7108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005A KR102120949B1 (en) 2018-11-28 2018-11-28 Connecting device of sub frame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ub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9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4294A (en) * 2022-04-07 2023-10-16 엘에스일렉트릭(주) Energy Storage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6156U (en) * 1990-03-29 1991-12-19
JP2001503485A (en) * 1992-11-12 2001-03-13 ジヨンソン,デイビツド・エル Metal wall framework,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t
KR101255243B1 (en) 2011-04-15 2013-04-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ack housing assembly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264338B1 (en) 2011-07-14 2013-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ack housing assembly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3233044A (en) * 2012-04-28 2013-11-14 Ota Seisakusho:Kk Corner fitting for frame assembly, vertical bar and horizontal bar for frame assembly and frame
KR20160037336A (en) * 2014-09-26 2016-04-06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Corner member for control center cabinet fr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6156U (en) * 1990-03-29 1991-12-19
JP2001503485A (en) * 1992-11-12 2001-03-13 ジヨンソン,デイビツド・エル Metal wall framework,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t
KR101255243B1 (en) 2011-04-15 2013-04-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ack housing assembly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264338B1 (en) 2011-07-14 2013-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ack housing assembly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3233044A (en) * 2012-04-28 2013-11-14 Ota Seisakusho:Kk Corner fitting for frame assembly, vertical bar and horizontal bar for frame assembly and frame
KR20160037336A (en) * 2014-09-26 2016-04-06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Corner member for control center cabinet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949B1 (en)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0351B2 (en) Wiring module
US9300061B2 (en) Battery wiring module
US9865849B2 (en) Assembled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ssembled battery
EP1333511B1 (en) Power source apparatus
US20180287112A1 (en) Electrical energy storage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9520586B2 (en) Battery module
US9706671B2 (en) Device for supporting a power storage assembly
EP2535967B1 (en) Electric storage eleme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140363711A1 (en) Battery connector assembly
WO2014034351A1 (en) Electricity storage device
US11114718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nergy storage apparatus
WO2013011836A1 (en) Battery module
EP3457463A1 (en) Connection module
JP2014229594A (en) Bus bar module
US20190372065A1 (en) Battery pack
KR102120949B1 (en) Connecting device of sub frame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ub frame
WO2013069356A1 (en) Stationary power system
KR101666876B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odule thereof
CN218975681U (en) Mounting structure of output electrode base and end plate and battery module
JP5648609B2 (en) Battery wiring module
US11817821B2 (en) Modular solar panel design for improved durability and repairability
US11799146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CN113078398A (en) Electricity storage device
US11646469B2 (en) Battery pack case and battery pack
CN219801119U (en) Battery box and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