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746A -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rtificial tooth - Google Patents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rtificial too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746A
KR20200063746A KR1020180149856A KR20180149856A KR20200063746A KR 20200063746 A KR20200063746 A KR 20200063746A KR 1020180149856 A KR1020180149856 A KR 1020180149856A KR 20180149856 A KR20180149856 A KR 20180149856A KR 20200063746 A KR20200063746 A KR 20200063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ure
washing
sterilizing
sterilization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3015B1 (en
Inventor
김영수
김방목
노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예
Priority to KR1020180149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015B1/en
Publication of KR20200063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7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0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36Cleaning devices for dental prostheses removed from the or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3Ozone dissolved in a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3Biocide decomposition means, e.g. catalysts, sorb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1Pharmaceuticals, e.g. medicaments, artificial body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A device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dentures comprises: a main body part; an inlet which is open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receives dentures; a cleaning and sterilization module which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part and cleans and sterilizes the denture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using sterilizing water; a sterilizing water supply part which supplies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cleaning and sterilization module; an outlet which is formed under the inlet and is open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to discharge the dentures cleaned and sterilized by the sterilization module; and a drainage part which is formed under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part and discharges the sterilizing water clean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s. Accordingly, the dentures can be cleaned and sterilized quickly and easily.

Description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RTIFICIAL TOOTH}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RTIFICIAL TOOTH}

본 발명은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요양원이나 노인 병원 등과 같이 틀니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은 시설 등에 설치되며, 사용자로부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틀니를 자동으로 세척 및 살균하여 배출구를 통해 다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and in particular, it is installed in a facility where many people use dentures, such as a nursing home or an elderly hospital, and automatically cleans and sterilizes the dentures injected through the inlet from the user through the outlet. It relates to a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gain.

의료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의료 기구가 개발되고 있으며, 치과 의료 기술 중에는 인공치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various medical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among dental medical technologies, artificial teeth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인공치아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틀니(Artificial tooth)가 있다.An artificial tooth is a typical tooth.

틀니는 자연치아가 결손되었을 경우 대체물로서 인공적으로 제조한 금속과 플라스틱 재질의 의치(義齒)이다. 이러한 틀니는 자연치아와 마찬가지로 수시로 세척하여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한다.Dentures are artificially manufactured dentures made of metal and plastic as substitutes for natural tooth defects. These dentures should be managed to maintain the cleanliness by washing them as often as natural teeth.

통상의 틀니 관리 방법은 식후 또는 취침 전에 분리하여 칫솔질하여 세정액이나 깨끗한 물에 담가 보관하는 것이다.A common denture management method is to separate and brush after eating or before bedtime, and soak it in a cleaning solution or clean water.

그러나 이러한 보관 방법은 세척된 틀니를 보관하는 보관 용기가 개방되어 있어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부주의로 세정액 또는 정수가 쏟아질 염려가 있다.However, in this storage method, since the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denture is opened, there is a concern that foreign substances may be introduced or the cleaning solution or purified water may be inadvertently poured.

또한 일반적으로 물에 소독제를 타고 거품을 내서 틀니를 일정시간 담가둬야 하므로 번거롭고 소독제를 구입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노약자의 경우 이러한 소독 방법을 실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In addition, in general, it is cumbersome and difficult to purchase a disinfectant because it is necessary to soak the dentu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foaming with a disinfectant in water, and the elderly have difficulty in implementing such a disinfection method.

특히, 요양원이나 노인 요양 병원의 노약자는 스스로 틀니를 세척 및 살균하기가 어려워 제3자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 이 경우, 요양원이나 노인 병원과 같이 틀니를 사용하는 노약자가 많은 시설에서는 많은 양의 틀니를 세척 및 살균하는데 시간 및 공간 상의 제약이 있다.In particular, the elderly in nursing homes or the elderly nursing home hospitals are difficult to clean and sterilize their own dentures, so they need help from a third party. There are time and space limitations in cleaning and sterilization.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78444호에서는, 많은 양의 틀니들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틀니들 각각을 틀니세척보관함들 각각에 수납한 후 동시에 세척 및 살균을 수행하는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78444, a large amount of dentures are collected, and each of the collected dentures is stored in each of the denture washing storage boxes, and then denture washing and sterilization simultaneously washing and sterilizing. The device is disclosed.

그러나, 요양원이나 노인병원과 같은 시설에서 이러한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직접 세척 및 살균을 위한 틀니들을 수집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가 있으며, 틀니의 세척 및 살균 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틀니를 수동으로 노약자에게 돌려주어야 함에 따라 불편한 문제가 있다. However, in order to use such a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apparatus in a facility such as a nursing home or an elderly hospital,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because dentures for direct cleaning and sterilization must be collected. There is an uncomfortable problem as it has to be returned to the elderly manually.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투입구를 통해 틀니를 투입하면, 내부에서 상기 틀니의 세척 및 살균을 자동으로 수행한 후 상기 틀니를 배출구를 통해 즉시 제공함에 따라, 틀니의 세척 및 살균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this regard,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wash and disinfect the denture from the inside when the user inputs the denture through the inlet, and then immediately dispose the denture through the outlet. A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capable of quickly and easily performing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 측에 개구되어 틀니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틀니를 살균수를 이용하여 세척 및 살균하는 세척살균모듈, 상기 세척살균모듈로 상기 살균수를 공급하는 살균수 공급부, 상기 투입구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타 측에 개구되어 상기 살균모듈에 의해 세척 및 살균된 틀니를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살균수 공급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틀니를 세척 및 살균한 살균수를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the inlet opening the denture is open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inlet A cleaning sterilization module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s introduced through sterilizing water, a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cleaning sterilizing modul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let, and is open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to sterilize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dentures cleaned and sterilized by a module and a discharging part for discharging sterilized water after wash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 may be formed under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척살균모듈은 중앙부에 상기 틀니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살균수를 이용하여 상기 틀니를 세척 및 살균하는 세척살균부, 상기 세척살균부로부터 상기 투입구를 향하여 공간을 형성하며 연장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틀니가 제1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제1 연장부, 상기 세척살균부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공간을 형성하며 연장되어, 상기 세척 및 살균된 틀니가 제2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제2 연장부, 상기 세척살균부로부터 상기 살균수 공급부를 향하여 공간을 형성하며 연장되어, 상기 살균수가 제3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제3 연장부 및 상기 세척살균부로부터 상기 배수부를 향하여 공간을 형성하며 연장되어, 상기 틀니를 세척 및 살균한 살균수가 제4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제4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forms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denture is accommodated in a central portion, and a washing sterilizing unit for wash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 using the sterilizing water, a space from the washing sterilizing unit toward the inlet Formed and extended, a first extension to allow the dentur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to move along a first movement path, forming and extending a space from the washing and sterilizing unit toward the outlet, the washed and sterilized denture A second extension for moving along the second movement path, a third extension for extending the space from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toward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so that the sterilizing water moves along the third movement path and the It may include a fourth extension that extends while forming a space from the washing sterilization portion toward the drainage portion, so that the sterilized water wash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 moves along the fourth movement path.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투입구와 인접한 부분에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투입구를 살균하는 제1 자외선 조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배출구와 인접한 부분에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배출구를 살균하는 제2 자외선 조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djacent to the inlet port is formed with a first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to sterilize the inlet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nd a portion adjacent to the outlet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to discharge the outlet. A second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that sterilizes may be form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척살균부는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틀니의 세척 및 살균이 수행되는 동안 일면 상에 상기 틀니가 위치되며, 상기 제2 연장부와 연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틀니의 상기 배출구로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살균수의 오존냄새가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제4 연장부와 연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틀니를 세척 및 살균한 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1 개폐부, 상기 제1 개폐부의 상부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틀니의 투입을 제어하고 상기 살균수의 오존냄새가 상기 투입구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개폐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의 상부에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연장부와 연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살균수의 유입을 제어하는 제3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shing and sterilizing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plate) shape, the denture is positioned on one surface while wash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Control the movement of the denture to the discharge port, block the ozone smell of the sterilized water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port, and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part connected to the fourth extension to discharge and wash the denture. A first opening/closing part to be controlled, formed in a plate shape on top of the first opening/closing part,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extension part to control the input of the denture and the ozone smell of the sterilizing water moves to the input port It is formed in a plate (plate) shap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opening and blocking, and includes a thir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third extension to control the inflow of the sterilizing water can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개폐부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연장부와 연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부재와 서로 평행하게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4 연장부와 연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parallel to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first plate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nd rotates around the rotating shaft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a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It may include a second plate member that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around the rotating shaft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fourth extens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살균수 공급부는 오존이 포함된 오존수를 공급하는 오존수 공급부 및 상기 오존수를 버블화하여 마이크로버블 함유 살균수를 생성하여 상기 마이크로버블 함유 살균수를 상기 세척살균부로 공급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is an ozone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ozone-containing ozone water and microbubbles for bubbling the ozone water to generate microbubble-containing sterilizing water and supplying the microbubble-containing sterilizing water to the washing and sterilizing unit. It may include a generato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살균수 공급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틀니의 세척 및 살균이 완료된 경우, 상기 오존수 공급부에 잔류된 오존수의 오존을 여과하여 산소로 변화시키는 활성탄 필터 및 상기 산소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t is form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and when the denture is cleaned and sterilized, the ozone of the ozone water remaining in the ozone water supply unit is filtered to change the oxygen into oxygen to inhale the activated carbon filter and the oxygen. An exhaust unit including a blower fan that exhausts air to the outside may be further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척살균모듈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마이크로버블 보다 크기가 큰 버블을 생성시켜 상기 마이크로버블을 파열하는 공기 주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r may be further included to inject air into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to generate a bubble larger in size than the microbubble and rupture the microbubb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배출구와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틀니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 상기 틀니를 향하여 열풍을 분사하여 상기 틀니의 표면에 형성된 수분을 제거하는 에어 분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outlet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when the denture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n air injection unit is formed to spray moisture into the denture to remove moistu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enture. Can b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연장부의 내부 또는 상기 세척살균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4 연장부의 반대 측에는, 상기 세척살균부를 향하여 헹굼수를 분사하는 헹굼수 분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ide of the fourth extension or the opposite side of the fourth extension relative to the washing sterilizing portion, a rinse water spraying portion for spraying rinse water toward the washing sterilizing portion may be formed.

본 발명에 의하면, 투입구를 통해 틀니를 투입하면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틀니의 살균, 세척, 드라이 등의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틀니를 세척 및 살균하기 위한 과정들을 수동으로 수행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nture is injected through the inlet, the process of sterilizing, washing and drying the denture is automatically performed inside the main body,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to manually perform the processes for wash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 have.

나아가, 본체부의 전면에 투입구 및 배출구 각각을 복수개로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틀니를 동시에 세척 및 살균할 수 있어 틀니의 세척 및 살균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more, by forming a plurality of inlets and outlet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dentures can be simultaneously cleaned and sterilize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operations.

또한, 배출구가 투입구보다 하부 방향에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틀니를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가 필요 없으며, 틀니가 세척 및 살균된 후 중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 the lower direction than the input port, there is no need for a driving device for moving a separate denture, and the denture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by moving in a downward direction by gravity after being cleaned and sterilized.

특히, 틀니가 투입구를 통해 세척살균모듈로 이동하는 과정 또는 틀니가 세척살균모듈에서 배출구를 통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연장부들 각각을 곡선 형태의 관으로 형성함으로써 틀니가 완만하게 이동될 수 있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denture through the inlet to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or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denture through the outlet in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the denture moves smoothly by form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into a curved tube. Damage can be prevented.

또한, 제1 및 제2 연장부들 각각에 제1 및 제2 자외선 조사부들을 형성함으로써, 투입구 및 투입구와 인접한 부분과, 배출구 및 배출구와 인접한 부분을 각각 살균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투입구 및 배출구를 확인하는 경우 위생 관리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ultraviolet irradiation units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a portion adjacent to the inlet and the inlet and a portion adjacent to the outlet and the outlet can be sterilized, respectively,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inlet and outlet. If you check, i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hygiene management.

또한, 마이크로버블 발생부를 통해 세척살균부에 오존수와 함께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고, 마이크로버블을 통해 틀니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틀니의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dentures by supplying microbubbles with ozone water to the washing and sterilizing portion through the microbubble generation unit and removing contaminants adsorbed on the dentures through the microbubbles.

특히, 세척살균부에 마이크로버블이 공급된 경우 공기주입부를 통해 일반 버블을 발생시키고, 일반 버블을 통해 마이크로버블을 파열시켜 더욱 작은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microbubbles are supplied to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normal bubbles are generated through the air injection unit, and microbubbles are ruptured through the normal bubbles to form a smaller size, thereby improving sterilization efficiency.

아울러, 살균수 공급부와 인접한 부분에 배기부를 형성하여, 틀니의 세척 및 살균 작업이 완료된 경우, 배기부를 통해 살균수 공급부에 잔류된 오존을 제거함으로써 배오존을 통해 친환경을 배출을 달성함과 함께 오존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n exhaust portion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portion, when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work is completed, the ozone remaining in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portion is removed through the exhaust portion to achieve eco-friendly discharge through the ozone, and ozone. Odor can be removed.

나아가, 세척살균부에 제1 내제 제3 개폐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 내지 제4 연장부들 각각과 연결된 부분들 각각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틀니의 투입 및 살균수의 유입을 제어하고, 살균수의 오존냄새가 투입구 및 배출구 각각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Furthermore, by forming the first internal thir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 the washing sterilizing portion,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each of the parts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to fourth extension portions, thereby controlling the introduction of denture and the introduction of sterilizing water, Ozone odo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hrough each of the inlet and outlet.

더 나아가, 제2 연장부의 배출구와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며 틀니를 향하여 열풍을 분사하는 에어 분사부를 형성함으로써, 틀니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기 이전에 살균수에 의해 틀니의 표면에 형성된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Furthermore, by forming an air injection unit that is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outlet of the second extension and blows hot air toward the denture, wat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enture by sterilizing water before the denture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can be removed.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의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를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의 세척살균모듈에 자외선 조사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의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의 살균수 공급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살균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마이크로버블과 일반 버블이 혼합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2의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의 살균수 공급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기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2의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의 세척살균모듈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세척살균모듈의 세척살균부의 제1 개폐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2의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의 세척살균모듈에 헹굼수 분사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세척살균모듈의 제2 연장부에 에어 분사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의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chematic appearance of a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of FIG. 1.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is formed on a cleaning and sterilizing module of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of FIG. 2.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of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of Figure 2;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icrobubbles and general bubbles supplied from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of FIG. 4 are mixed.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haust unit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a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of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apparatus of FIG. 2.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leaning and sterilizing module of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of FIG.
8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washing sterilizing portion of the washing sterilizing module of FIG. 7.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inse water spray is formed on the cleaning and sterilizing module of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of FIG. 2.
FIG.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injection unit is formed in a second extension portion of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of FIG. 6.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chematic appearance of a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ake the pub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at's it.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some cases,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may be omitted, or block diagrams centered on the core functions of each structure and device may be illustrated. In addition,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comprising or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stead of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do.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 "?"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Furthermore, "a (an or an)", "one (one)", and similar terms in the context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or clearly contradicted by the context, both singular and plural. It can be used in a sense that includes.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spec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y belong. The use of these specific terms may be changed in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의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를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chematic appearance of a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10)는, 본체부(100), 투입구(200), 세척살균모듈(300), 살균수 공급부(400), 배출구(500) 및 배수부(6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100, the inlet 200,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300,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400, the outlet 500 and a drain 600.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10)의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블록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내부는 상기 세척살균모듈(300), 상기 살균수 공급부(400) 및 상기 배수부(600)가 위치되도록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10,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block body shape as shown in FIG. 1, and the interior thereof is the cleaning and sterilization module 300, the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400 and the drainage unit 600 are positioned.

한편,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前面)의 일 측에는, 사용자로부터 세척 및 살균이 필요한 틀니가 투입되는 상기 투입구(200)와, 상기 투입구(200)로 투입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세척 및 살균된 상기 틀니가 배출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배출구(500)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on one side of the front (front)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the inlet 200 for the denture that needs to be washed and sterilized by the user, and the inlet 200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0 of the The outlet 500 is formed so that the denture washed and sterilized from the inside is discharged and provided to the user again.

이 경우, 상기 투입구(200)로 투입된 틀니가 별도의 이동 구동 장치가 필요 없이 중력에 의해 하부로 자연스레 이동하여 상기 배출구(5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500)는 상기 투입구(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outlet 500 is the inlet (500) so that the denture introduced into the inlet 200 can be naturally discharged downward by gravity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500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movement driving device. It is preferably formed at the bottom of 200).

한편, 상기 본체부(100)의 상기 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투명창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투입구(200)를 통해 투입된 틀니가 후술하는 상기 세척살균모듈(300)에서 세척 및 살균되는 과정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투명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 transparent window may be formed. Thus, a process in which the dentur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00 is cleaned and sterilized in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300 described later can be visually checked by the user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상기 살균수 공급부(400)는 상기 세척살균모듈(300)에 살균수를 공급하고, 상기 세척살균모듈(300)은 상기 살균수를 이용하여 상기 투입구(200)를 통해 투입된 틀니의 세척 및 살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세척살균모듈(300)은 상기 살균수를 이용하여 상기 틀니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세균을 살균한다.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400 supplies sterilizing water to the cleaning sterilizing module 300, and the cleaning sterilizing module 300 uses the sterilizing water to wash and sterilize dentures injected through the inlet 200. Perform. That is,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300 removes contaminants adsorbed on the denture using the sterilizing water and sterilizes the bacteria.

이와 같이, 상기 틀니의 세척 및 살균 작업이 수행되면, 상기 틀니를 세척 및 살균한 살균수는 상기 틀니로부터 제거한 오염물질 슬러리를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배수부(600)를 통해 배수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nture is cleaned and sterilized, the sterilized water after wash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 is drained through the drainage part 600 in a state including the pollutant slurry removed from the denture.

이 경우, 상기 살균수가 상기 살균수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틀니의 세척 및 살균을 수행한 후 중력에 의해 별도의 이동 구동 장치 없이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부(600)는 상기 살균수 공급부(40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drainage part 600 is sterilized so that the steriliz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part 400 and then washed and sterilized the denture so that it can be moved to the bottom without a separate moving driving device by gravity. It is preferab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400.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살균모듈(300)은 세척살균부(301), 제1 연장부(310), 제2 연장부(320), 제3 연장부(330) 및 제4 연장부(34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2, the cleaning sterilization module 300 is a cleaning sterilization unit 301, a first extension 310, a second extension 320, a third extension 330 and It includes a fourth extension (340).

상기 세척살균부(301)는 상기 세척살균모듈(3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투입구(200)를 통해 투입된 틀니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틀니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투입구(200)를 통해 투입되는 경우, 상기 틀니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세척살균모듈(300)에 의해 세척 및 살균될 수 있다.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301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300, and forms a receiving space in which denture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00 are accommodated. Accordingly, when the denture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let 200, the denture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an be washed and sterilized by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300.

상기 제1 연장부(310)는 상기 세척살균부(301)로부터 상기 투입구(200)를 향하여 공간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것으로, 공간을 형성하며 연장됨으로써 상기 투입구(200)를 통해 투입된 틀니가 제1 이동경로(1)를 따라 상기 세척살균부(301)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연장부(310)는 상기 틀니의 용이한 이동을 위해, 상기 투입구(200)와 상기 세척살균부(301)를 연결하는 곡선 형태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part 310 extends by forming a space from the washing and sterilizing part 301 toward the inlet 200, thereby extending and forming a space, so that denture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00 are first It can be moved to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301 along the movement path (1). In this case,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may be formed of a curved tube connecting the inlet 200 and the washing and sterilizing part 301 for easy movement of the dentur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살균부(301)에서 세척 및 살균된 틀니는 상기 배출구(500)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2 연장부(320)가 상기 세척살균부(301)로부터 상기 배출구(500)를 향하여 공간을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연장부(320)는 상기 세척살균부(301) 및 상기 배출구(50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세척 및 살균된 틀니가 상기 제2 연장부(320)를 통해 제2 이동경로(2)를 따라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연장부(320)는 상기 틀니의 용이한 이동을 위해 곡선 형태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nture washed and sterilized in the washing and sterilizing unit 301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500. To this end, the second extension 320 is discharged from the washing and sterilizing unit 301. It may extend and form a space toward 500. That is,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is connected to the washing sterilization part 301 and the outlet 500 so that the washed and sterilized dentures move through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through the second movement path 2. ). In this case, likewise,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may be formed as a curved tube for easy movement of the denture.

상기 제3 연장부(330)는 상기 세척살균부(301)로부터 상기 살균수 공급부(400)를 향하여 공간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것으로, 공간을 형성하며 연장됨으로써 상기 살균수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되는 살균수가 제3 이동경로(3)를 따라 상기 세척살균부(301)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third extension part 330 extends while forming a space from the washing sterilization part 301 toward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part 400, and is formed and extended to form a space to be supplied from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part 400. The sterilizing water may be moved to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301 along the third movement path 3.

이 후, 상기 살균수는 상기 세척살균부(301)에서 상기 틀니의 세척 및 살균 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제4 연장부(34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배수부(600)를 통해 배수된다.Thereafter, the sterilizing water is washed and sterilized by the washing and sterilizing unit 301, and then moved along the fourth extension 340 to be drained through the drain 600.

여기서, 상기 제4 연장부(340)는 상기 세척살균부(301)로부터 상기 배수부(600)를 향하여 공간을 형성하며 연장되며, 이에 따라 상기 틀니를 세척 및 살균한 살균수가 제4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Here, the fourth extension part 340 extends to form a space from the washing sterilization part 301 toward the drainage part 600, and accordingly, sterilizing water wash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 moves the fourth movement path. To move along.

도 3은 도 2의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의 상기 세척살균모듈에 자외선 조사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is formed on the cleaning and sterilizing module of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연장부(310)의 상기 투입구(200)와 인접한 부분에는 제1 자외선 조사부(7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320)의 상기 배출구(500)와 인접한 부분에는 제2 자외선 조사부(712)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3, a first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711 is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inlet 200 of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and with the outlet 500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A second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712 is formed in an adjacent portion.

이 경우, 상기 제1 자외선 조사부(711)는 상기 투입구(200)를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투입구(200)가 형성된 부분을 살균하며, 상기 제2 자외선 조사부(712)는 상기 배출구(500)를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배출구(500)가 형성된 부분을 살균한다.In this case, the first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711 irradiates ultraviolet light toward the input port 200 to sterilize the portion where the input port 200 is formed, and the second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712 supplies the discharge port 500. Sterilize the portion where the outlet 500 is form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toward the device.

그리하여 사용자가 틀니를 상기 투입구(200)로 투입하려는 경우 및 상기 사용자가 세척 및 살균된 틀니를 상기 배출구(500)를 통해 제공받으려는 경우, 상기 투입구(200) 및 상기 배출구(500)의 깨끗한 외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10)의 위생 관리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us, when the user wants to inject the denture into the inlet 200 and the user wants to receive the cleaned and sterilized denture through the outlet 500, the clean appearance of the inlet 200 and the outlet 500 By making it possible to check,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hygiene management of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10.

나아가, 상기 제1 자외선 조사부(711)를 통해 상기 틀니가 상기 투입구(200)를 통해 투입되어 상기 세척살균부(301)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틀니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1차적으로 상기 틀니를 살균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외선 조사부(712)를 통해 상기 틀니가 상기 배출구(5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상기 틀니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세척 및 살균된 틀니를 추가적인 살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denture is firstly steriliz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denture before the denture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00 and reaches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301 through the first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711. It is possible to perform additional sterilization of the washed and sterilized denture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denture before the dent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500 through the second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712.

도 4는 도 2의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의 살균수 공급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of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of Figure 2;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살균수 공급부(400)는 오존수 공급부(410) 및 마이크로버블 발생부(42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오존수 공급부(410) 및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420)가 상기 오존수 공급부(410) 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3 연장부(330)의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terilization water supply unit 400 includes an ozone water supply unit 410 and a microbubble generation unit 420. In this case, the ozone water supply unit 410 and the microbubble generation unit 420 may be positioned side by side as shown, otherwise, the microbubble generation unit 420 is predetermined with the ozone water supply unit 410 It may be located inside the third extension 330 in a state spaced apart.

상기 오존수 공급부(410)는 인체에 무해하고 가장 효과적으로 정화, 세척 및 살균을 수행할 수 있는 오존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공기 또는 물로부터 산소를 분리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존수 공급부(410)는 오존수가 저장된 저장탱크(미도시) 및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된 공급펌프(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The ozone water supply unit 410 supplies ozone water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can perform purification, washing, and sterilization most effectively, and may be configured as a device that generates ozone by separating oxygen from air or water. For example, the ozone water supply unit 410 may include a storage tank (not shown) in which ozone water is stored, and a supply pump (not shown)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이 때,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420)는 상기 오존수 공급부(410) 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오존수에 마이크로버블(20), 즉 미세한 공기방울을 발생시켜 상기 마이크로버블(20)이 상기 오존수에 분산되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로버블(20)은 오랜 시간 동안 수중에 존재할 수 있으며 전하를 띔으로써 틀니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흡착 제거할 수 있어 상기 오존수와 함께 공급되는 경우 상기 틀니의 세척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icrobubble generation unit 420 generates microbubbles 20, that is, minute air bubbles in the ozone water supplied from the ozone water supply unit 410 so that the microbubbles 20 are dispersed in the ozone water. . The microbubble 20 may exist in water for a long time and adsorb and remove contaminants adsorbed on the denture by removing charge, thereby increasing the cleaning effect of the denture when supplied with the ozone water.

도 5는 도 4의 살균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마이크로버블과 일반 버블이 혼합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icrobubbles and general bubbles supplied from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of FIG. 4 are mixed.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로버블(20)이 상기 오존수와 함께 상기 세척살균부(301)로 공급되는 경우, 즉 마이크로버블 함유 살균수가 상기 세척살균부(301)에 공급된 경우, 공기 주입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세척살균부(301)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세척살균부(301)에 상기 마이크로버블 보다 크기가 큰 버블(22)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버블(22)이 상기 마이크로버블(20)과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microbubble 20 generated by the microbubble generation unit is supplied to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301 together with the ozone water, that is, the microbubble-containing sterilizing water is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301 If supplied to, by injecting air into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301 through an air injection unit (not show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bubble 22 larger than the microbubble in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301, , The bubble 22 may be mixed with the microbubble 20.

상기 공기 주입부에 의해 생성된 버블(22)은 상기 마이크로버블(20)과 혼합되면서 상기 마이크로버블(20)과 충돌하여 상기 마이크로버블(20)을 파열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버블(20)이 더욱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틀니의 세척 및 살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bubble 22 generated by the air injection unit may mix with the microbubble 20 and collide with the microbubble 20 to rupture the microbubble 20, and accordingly, the microbubble 20 ) May be formed in a smaller size to smoothly clean and sterilize the denture.

이 경우, 상기 공기 주입부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세척살균모듈(3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세척살균모듈(300)의 외부에 형성되어 주입 관(미도시)을 통해 상기 세척살균부(301)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although the air injection unit is not illustrated, it may be formed inside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300. Alternatively, the air injection unit is formed outside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300, and the washing sterilization is performed through an injection tube (not shown). Air may be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portion 301.

도 6은 도 2의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의 살균수 공급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기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haust unit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a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of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apparatus of FIG. 2.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살균수 공급부(400)와 인접한 위치에는 배기부(720)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배기부(720)는 상기 살균수 공급부(400)를 기준으로 상기 제3 연장부(330)의 반대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배기부(720)는 상기 살균수에 포함된 오존을 정화시켜 상기 제3 이동경로(3)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오존을 배출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n exhaust unit 720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400. In this case, the exhaust part 720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extension part 330 based on the sterilized water supply part 400, and accordingly, the exhaust part 720 is applied to the sterilized water. The ozone included may be purified to discharge the ozon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movement path 3.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기부(720)는 활성탄 필터(721) 및 송풍팬(722)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활성탄 필터(721)는 상기 살균수 공급부(400)와 마주보며, 상기 송풍팬(722)은 상기 활성탄 필터(721)와 마주보도록 위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exhaust unit 720 includes an activated carbon filter 721 and a blowing fan 722. At this time, the activated carbon filter 721 faces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400, and the blowing fan 722 is positioned to face the activated carbon filter 721.

상기 활성탄 필터는 상기 세척살균부(301)에서 상기 틀니의 세척 및 살균 작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오존수 공급부(410)에 잔류된 오존수의 오존을 여과하여 산소로 변화시키며, 상기 송풍팬(722)은 회전을 통해 상기 산소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When the cleaning and sterilization of the denture is completed in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301, the activated carbon filter filters ozone of the ozone water remaining in the ozone water supply unit 410 to change to oxygen, and the blowing fan 722 The oxygen can be discharged through rotation.

즉, 상기 오존수 공급부(410)에 잔류된 오존은 상기 제3 연장부(3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 상기 제3 연장부(330)의 반대측을 향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ozone remaining in the ozone water supply unit 410 may not be mov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hird extension unit 330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extension unit 330.

이와 같이, 상기 오존수의 오존을 제거함(배오존)으로써 상기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10)에서 상기 틀니의 세척 및 살균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상기 투입구(200) 또는 상기 배출구(500)를 통해 오존 냄새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leaning and sterilization of the denture is not performed by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10 by removing ozone from the ozone water (waste zone), through the inlet 200 or the outlet 5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zone smell from leaking.

도 7은 도 2의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의 세척살균모듈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세척살균모듈의 세척살균부의 제1 개폐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leaning and sterilizing module of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of FIG. 8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washing sterilizing portion of the washing sterilizing module of FIG. 7.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세척살균부(301)는 제1 개폐부(810), 제2 개폐부(820) 및 제3 개폐부(830)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 7, the washing and sterilizing portion 301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810,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820 and a thir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830.

상기 제1 개폐부(810)는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척살균부(301)에서 틀니의 세척 및 살균이 수행되는 동안 일면 상에 상기 틀니가 위치된다. The first opening/closing portion 8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denture is positioned on one surface while wash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 in the washing and sterilizing portion 301.

다만, 제1 개폐부(810)가 플레이트(plate) 형상인 것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심미적 효과 등이 고려되어 원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However,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810 is a plate (plate) shape is only an example, and aesthetic effects or the like may be considered and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including a circle.

상기 제1 개폐부(8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장부(320)와 연결된 부분 및 상기 제4 연장부(340)와 연결된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연장부(320)와 연결된 부분 및 상기 제4 연장부(340)와 연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810 is connected to a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and a part connected to the fourth extension part 340 as shown, and a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An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fourth extension (340).

우선, 상기 제1 개페부는 상기 제2 연장부(320)와 연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상기 틀니의 상기 배출구(500)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First,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can selective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denture to the outlet 500 by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20.

즉, 상기 제1 개폐부(810)는 상기 세척살균부(301)에서 상기 틀니의 세척 및 살균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2 연장부(320)와 연결된 부분을 폐쇄시키고, 상기 틀니의 세척 및 살균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연장부(320)와 연결된 부분을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틀니를 상기 배출구(500)로 이동시킬 수 있다.That i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810 closes the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while wash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 in the washing and sterilizing part 301, and wash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 When this is completed, the denture may be moved to the outlet 500 by opening a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나아가, 상기 제1 개폐부(810)는 틀니의 배출이 이루어진 이후에도 평상 시에 상기 제2 연장부(320)와 연결된 부분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배출구(500)를 통해 상기 살균수의 오존냄새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first opening/closing part 810 prevents ozone smell of the sterilized water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outlet 500 by closing a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at normal times even after denture discharge is performed. Can be blocked.

또한, 상기 제1 개폐부(810)는 상기 세척살균부(301)에서 상기 틀니의 세척 및 살균 작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4 연장부(340)와 연결된 부분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틀니를 세척 및 살균한 살균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leaning and sterilization of the denture is completed in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301,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810 cleans and sterilizes the denture by opening a portion connected to the fourth extension 340. Sterilized water can be discharged.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개폐부(810)는 회전축(813)과 제1 및 제2 플레이트 부재들(811, 81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first opening/closing part 810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813 and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811 and 812.

상기 회전축(813)은 일 방향으로 연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부재들(811, 812)은 상기 회전축(813)에 서로 대칭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부재들(811, 812) 각각은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각각 상기 제2 연장부(320)와 연결된 부분 및 상기 제4 연장부(340)와 연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813 is formed to open in one dir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811 and 81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813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That i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811 and 812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to selectively select a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20 and a portion connected to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340, respectively. Can be opened and closed.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개폐부(820)는 상기 제1 개폐부(810)의 상부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개페부는 상기 제1 연장부(310)와 연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틀니가 상기 세척살균부(301)의 상기 수용공간으로 투입되는 것을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7 again, the second opening/closing portion 8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on the first opening/closing portion 810.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a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10 to control the denture to be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washing and sterilizing portion 301.

즉, 상기 제2 개폐부(820)는 상기 틀니가 상기 투입구(200)를 통해 투입되어 상기 세척살균부(301)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연장부(310)와 연결된 부분을 개방하며, 상기 세척살균부(301)에서 상기 틀니의 세척 및 살균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1 연장부(310)와 연결된 부분을 폐쇄시킴으로써 다른 틀니가 상기 세척살균부(301)로 투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opening/closing part 820 opens the part connected to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when the denture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00 and moved to the washing sterilizing part 301, and the cleaning is performed. During the cleaning and sterilization of the denture in the sterilization unit 301, other denture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washing and sterilization unit 301 by closing a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extension 310.

나아가, 상기 제2 개폐부(820)는 틀니가 상기 투입구(200)를 통해 투입되기 전에, 평상 시 상기 제1 연장부(310)와 연결된 부분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살균수의 오존냄새가 상기 투입구(200)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820, before the denture is injected through the inlet 200, by closing the part connected to the first extension 310 in the normal, the ozone smell of the sterilized water is the inlet 200 ) To prevent spills.

상기 제3 개폐부(830)는 상기 제1 개폐부(810)의 상부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개폐부(830)는 상기 제2 개폐부(820)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opening and closing part 8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o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810. In this case, the third opening and closing part 830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820.

상기 제3 개폐부(830)는 상기 제3 연장부(330)와 연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살균수가 상기 세척살균부(301)의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한다.The thir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830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a portion connected to the third extension portion 330 to control the sterilizing water to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washing and sterilizing portion 301.

즉, 상기 제3 개폐부(830)는 상기 세척살균부(301)에서 상기 틀니의 세척 및 살균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3 연장부(330)와 연결된 부분을 개방하여, 상기 살균수가 상기 제3 연장부(330)를 통해 상기 세척살균부(301)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세척살균부(301)로 더 이상 살균수의 유입이 필요 없을 경우에는 상기 제3 연장부(330)와 연결된 부분을 폐쇄시킬 수 있다.That is, the third opening/closing part 830 opens the part connected to the third extension part 330 while the denture is cleaned and sterilized in the cleaning sterilization part 301, so that the sterilizing water is extended to the third part. Through the unit 330 to b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301, and when no further inflow of sterilizing water is required to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301,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third extension 330 is closed. I can do it.

도 9는 도 2의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의 세척살균모듈에 헹굼수 분사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inse water spray is formed on the cleaning and sterilizing module of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of FIG. 2.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4 연장부(340)의 내부에는 상기 제4 연장부(34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세척살균부(301)를 향하여 헹굼수를 분사하는 헹굼수 분사부(730)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9, inside the fourth extension part 340, a rinse water spray part 730 for spraying rinse water toward the washing sterilization part 301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ourth extension part 340 ) Is formed.

즉, 상기 헹굼수 분사부(730)는 상기 세척살균부(301)에서 살균수를 이용하여 틀니를 세척 및 살균한 후, 상기 제4 연장부(340)를 통해 상기 틀니를 향하여 헹굼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틀니가 상기 헹굼수에 의해 헹궈지도록 한다.That is, the rinsing water spraying unit 730 washes and sterilizes the denture using sterilizing water in the washing sterilizing unit 301, and then sprays the rinsing water toward the denture through the fourth extension 340. By doing so, the denture is rinsed with the rinse water.

이 경우, 상기 헹궁수 분사부(730)는 상기 제4 이동경로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헹궁수를 제공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731)을 필요로 하며, 상기 분사노즐(731)을 이용하여 상기 헹굼수를 상기 틀니를 향하여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rinsing water jetting unit 730 provides the rinsing water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ourth movement path, the jet nozzle 731 is required as shown, and the jet nozzle 731 is used. Thus, the rinse water may be provided toward the denture.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헹굼수 분사부(730)가 상기 제4 연장부(34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헹굼수 분사부(730)는 상기 배수부(600)를 기준으로 상기 제4 연장부(340)의 반대 측에 형성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rinse water injection unit 73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side the fourth extension 340, the rinse water injection unit 730 is based on the drain 600. It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ourth extension (340).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함에 따라 헹굼수 분사부(730)는 상부측면에서 틀니를 향하여 분사되거나 공급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se water injection unit 730 may be sprayed or supplied toward the denture from the upper side.

도 10은 도 6의 세척살균모듈의 제2 연장부에 에어 분사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FIG.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injection unit is formed in a second extension portion of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of FIG. 6.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연장부(320)의 상기 배출구(500)와 인접한 부분에는 열풍을 분사하는 에어 분사부(740)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0, an air injection part 740 for spraying hot air is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outlet 500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상기 에어 분사부(740)는 상기 세척살균모듈(300)을 통해 세척 및 살균된 틀니가 상기 제2 연장부(32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배출구(500)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된 경우, 상기 틀니를 향하여 열풍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틀니가 세척 및 살균되는 동안 살균수에 접촉됨에 따라 표면에 형성된 물기(수분)를 제거한다.The air injection unit 740, when the denture washed and sterilized through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300 is moved along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20 is located i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outlet 500, the denture By providing hot air toward the water (moisture) formed on the surface as the denture is contacted with sterile water during cleaning and steriliza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의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chematic appearance of a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틀니 및 살균 장치(11)는 상기 투입구(200) 및 상기 배출구(500)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1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The denture and sterilization device 1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except that the inlet 200 and the outlet 500 are formed in plural. As it is the same as 10), the same reference number is used and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前面)에는 상기 투입구(200) 및 상기 배출구(500)가 각각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투입구들(200) 각각과 상기 배출구들(500) 각각은 서로 동일 선상에서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 plurality of the inlet 200 and the outlet 500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n this case, each of the inlets 200 and the outlets 500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on the same line.

그리하여, 상기 투입구들(200) 각각에 틀니가 투입되는 경우, 상기 투입구들(200) 각각에 투입된 틀니는 상기 투입구들(200) 각각에 마주보도록 형성된 상기 배출구들 각각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us, when dentures are introduced into each of the inlets 200, dentures introduced into each of the inlets 200 may be discharged through each of the outlets formed to face each of the inlets 200.

본 실시예에서는 이상과 같이 상기 투입구(200) 및 상기 배출구(500)가 복수개로 형성됨에 따라, 각각의 투입구(200)를 통해 투입된 틀니들을 동시에 세척 및 살균할 수 있게 되어, 세척 및 살균 시간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세척 및 살균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the input port 200 and the outlet port 500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wash and sterilize dentures injected through each input port 200, so that the cleaning and sterilization time is It is reduced and thus the efficiency of the cleaning and sterilization operation can be improved.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투입구를 통해 틀니를 투입하면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틀니의 살균, 세척, 드라이 등의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틀니를 세척 및 살균하기 위한 과정들을 수동으로 수행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when the denture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here is no need to manually perform the processes for wash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 by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processes of sterilization, washing, and drying of the denture in the body part. It works.

나아가, 본체부의 전면에 투입구 및 배출구 각각을 복수개로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틀니를 동시에 세척 및 살균할 수 있어 틀니의 세척 및 살균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more, by forming a plurality of inlets and outlet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dentures can be simultaneously cleaned and sterilize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operations.

또한, 배출구가 투입구보다 하부 방향에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틀니를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가 필요 없으며, 틀니가 세척 및 살균된 후 중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 the lower direction than the input port, there is no need for a driving device for moving a separate denture, and the denture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by moving in a downward direction by gravity after being cleaned and sterilized.

특히, 틀니가 투입구를 통해 세척살균모듈로 이동하는 과정 또는 틀니가 세척살균모듈에서 배출구를 통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연장부들 각각을 곡선 형태의 관으로 형성함으로써 틀니가 완만하게 이동될 수 있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denture through the inlet to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or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denture through the outlet in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the denture moves smoothly by form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into a curved tube. Damage can be prevented.

또한, 제1 및 제2 연장부들 각각에 제1 및 제2 자외선 조사부들을 형성함으로써, 투입구 및 투입구와 인접한 부분과, 배출구 및 배출구와 인접한 부분을 각각 살균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투입구 및 배출구를 확인하는 경우 위생 관리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ultraviolet irradiation units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a portion adjacent to the inlet and the inlet and a portion adjacent to the outlet and the outlet can be sterilized, respectively,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inlet and outlet. If you check, i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hygiene management.

또한, 마이크로버블 발생부를 통해 세척살균부에 오존수와 함께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고, 마이크로버블을 통해 틀니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틀니의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dentures by supplying microbubbles with ozone water to the washing and sterilizing portion through the microbubble generation unit and removing contaminants adsorbed on the dentures through the microbubbles.

특히, 세척살균부에 마이크로버블이 공급된 경우 공기주입부를 통해 일반 버블을 발생시키고, 일반 버블을 통해 마이크로버블을 파열시켜 더욱 작은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microbubbles are supplied to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normal bubbles are generated through the air injection unit, and microbubbles are ruptured through the normal bubbles to form a smaller size, thereby improving sterilization efficiency.

아울러, 살균수 공급부와 인접한 부분에 배기부를 형성하여, 틀니의 세척 및 살균 작업이 완료된 경우, 배기부를 통해 살균수 공급부에 잔류된 오존을 제거함으로써 살균수의 오존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n exhaust portion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when the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operation is completed, the ozone smell of the sterilizing water can be removed by removing the ozone remaining in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through the exhaust unit.

나아가, 세척살균부에 제1 내제 제3 개폐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 내지 제4 연장부들 각각과 연결된 부분들 각각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틀니의 투입 및 살균수의 유입을 제어하고, 살균수의 오존냄새가 투입구 및 배출구 각각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Furthermore, by forming the first internal thir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 the washing sterilizing portion,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each of the parts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to fourth extension portions, thereby controlling the introduction of denture and the introduction of sterilizing water, Ozone odo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hrough each of the inlet and outlet.

더 나아가, 제2 연장부의 배출구와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며 틀니를 향하여 열풍을 분사하는 에어 분사부를 형성함으로써, 틀니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기 이전에 살균수에 의해 틀니의 표면에 형성된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Furthermore, by forming an air injection unit that is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outlet of the second extension and blows hot air toward the denture, wat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enture by sterilizing water before the denture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can be removed. have.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that it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explanatory point of view rather than a restrictive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ppears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 20: 마이크로버블
22: 버블
100: 본체부 200: 투입구
300: 세척살균모듈 301: 세척살균부
310: 제1 연장부 320: 제2 연장부
330: 제3 연장부 340: 제4 연장부
400: 살균수 공급부 410: 오존수 공급부
420: 마이크로버블 발생부 500: 배출구
600: 배수구 711: 제1 자외선 조사부
712: 제2 자외선 조사부 720: 배기부
721: 활성탄 필터 722: 송풍팬
10: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20: Microbubble
22: Bubble
100: main body 200: inlet
300: cleaning sterilization module 301: cleaning sterilization unit
310: first extension 320: second extension
330: third extension 340: fourth extension
400: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410: ozone water supply unit
420: microbubble generator 500: outlet
600: drain 711: first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712: second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720: exhaust unit
721: activated carbon filter 722: blowing fan

Claims (10)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 측에 개구되어 틀니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틀니를 살균수를 이용하여 세척 및 살균하는 세척살균모듈;
상기 세척살균모듈로 상기 살균수를 공급하는 살균수 공급부;
상기 투입구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타 측에 개구되어 상기 살균모듈에 의해 세척 및 살균된 틀니를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살균수 공급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틀니를 세척 및 살균한 살균수를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
Body part;
An opening that is open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denture is introduced;
A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and wash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using sterilizing water;
A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supplying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An outlet which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let and is open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o discharge dentures cleaned and sterilized by the sterilization module; And
Denture washing and sterilization devic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and includes a drain for discharging the sterilized water after wash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살균모듈은,
중앙부에 상기 틀니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살균수를 이용하여 상기 틀니를 세척 및 살균하는 세척살균부;
상기 세척살균부로부터 상기 투입구를 향하여 공간을 형성하며 연장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틀니가 제1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제1 연장부;
상기 세척살균부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공간을 형성하며 연장되어, 상기 세척 및 살균된 틀니가 제2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제2 연장부;
상기 세척살균부로부터 상기 살균수 공급부를 향하여 공간을 형성하며 연장되어, 상기 살균수가 제3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제3 연장부; 및
상기 세척살균부로부터 상기 배수부를 향하여 공간을 형성하며 연장되어, 상기 틀니를 세척 및 살균한 살균수가 제4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제4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A washing sterilizing unit form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denture in a central portion, and wash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 using the sterilizing water;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washing and sterilizing portion toward the inlet and forming a space so that the dentur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moves along a first movement path;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washing sterilizing portion toward the outlet to form a space and allowing the washed and sterilized denture to move along a second movement path;
A thi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washing sterilizing portion toward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portion to form a space and allowing the sterilizing water to move along a third movement path; And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th extension to extend and form a space from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toward the drainage portion, the sterilized water wash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 moves along a fourth movement pat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투입구와 인접한 부분에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투입구를 살균하는 제1 자외선 조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배출구와 인접한 부분에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배출구를 살균하는 제2 자외선 조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djacent to the inlet is formed with a first ultraviolet ray irradiating portion that sterilizes the inlet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ultraviolet irradiation portion is formed to sterilize the outlet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outlet of the second exten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살균부는,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틀니의 세척 및 살균이 수행되는 동안 일면 상에 상기 틀니가 위치되며, 상기 제2 연장부와 연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틀니의 상기 배출구로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살균수의 오존냄새가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제4 연장부와 연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틀니를 세척 및 살균한 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1 개폐부;
상기 제1 개폐부의 상부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틀니의 투입을 제어하고 상기 살균수의 오존냄새가 상기 투입구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개폐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의 상부에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연장부와 연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살균수의 유입을 제어하는 제3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denture is positioned on one surface while washing and sterilizing the denture,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extension to control movement of the denture to the outlet. And a first opening/closing unit for blocking ozone smell of the sterilized water from moving to the discharge port, and selectively opening/closing a portion connected to the fourth extension unit to control the denture and to discharge the sterilized washing water;
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on the top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nd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a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to control the introduction of the denture and block the ozone smell of the sterilized water from being moved to the input port. draw; And
Denture washing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plate (plate) shap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nd a thir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controlling the inflow of the sterilizing water by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part connected to the third extension and Steriliza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연장부와 연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부재와 서로 평행하게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4 연장부와 연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xis of rotation;
A first plate member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around the rotating shaft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a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extension; And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comprising a second plate member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first plate member and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a portion connected to the fourth extension.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공급부는,
오존이 포함된 오존수를 공급하는 오존수 공급부; 및
상기 오존수를 버블화하여 마이크로버블 함유 살균수를 생성하여 상기 마이크로버블 함유 살균수를 상기 세척살균부로 공급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An ozone water supply unit that supplies ozone-containing ozone water; And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apparatus comprising a microbubble generating unit for bubbling the ozone water to generate microbubble-containing sterilized water and supplying the microbubble-containing sterilized water to the washing and sterilizing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공급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틀니의 세척 및 살균이 완료된 경우, 상기 오존수 공급부에 잔류된 오존수의 오존을 여과하여 산소로 변화시키는 활성탄 필터 및 상기 산소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It is form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When the cleaning and sterilization of the denture is completed, further comprising an exhaust portion including an activated carbon filter that filters ozone of the ozone water remaining in the ozone water supply unit into oxygen, and a blower fan that sucks the oxygen and exhausts it to the outside. Denture washing and sterilizat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살균모듈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마이크로버블 보다 크기가 큰 버블을 생성시켜 상기 마이크로버블을 파열하는 공기 주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
According to claim 2,
Denture cleaning and steriliz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n air injection unit that ruptures the microbubble by injecting air into the washing sterilization module to generate a bubble larger in size than the microbub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배출구와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틀니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 상기 틀니를 향하여 열풍을 분사하여 상기 틀니의 표면에 형성된 수분을 제거하는 에어 분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
According to claim 2,
I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outlet of the second extension, when the denture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 denture washing and forming an air injection unit for removing moistu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enture by spraying hot air toward the denture Sterilizat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연장부의 내부 또는 상기 세척살균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4 연장부의 반대 측에는, 상기 세척살균부를 향하여 헹굼수를 분사하는 헹굼수 분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세척 및 살균 장치.
According to claim 2,
Denture washing and steriliz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se water injection unit for spraying the rinse water toward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on the inner side of the fourth extension or the opposite side of the fourth extension relative to the washing sterilization unit.
KR1020180149856A 2018-11-28 2018-11-28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rtificial tooth KR1023430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856A KR102343015B1 (en) 2018-11-28 2018-11-28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rtificial too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856A KR102343015B1 (en) 2018-11-28 2018-11-28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rtificial too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746A true KR20200063746A (en) 2020-06-05
KR102343015B1 KR102343015B1 (en) 2021-12-24

Family

ID=7108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856A KR102343015B1 (en) 2018-11-28 2018-11-28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rtificial too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015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933A (en) * 2007-07-13 2009-01-16 핫크린주식회사 Cup washer
KR20110064331A (en) * 2009-12-08 2011-06-15 한국기계연구원 Apparatus for cleaning steriliz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194464B1 (en) * 2011-06-30 2012-10-24 박경준 Spoon washer
KR101436491B1 (en) * 2013-05-13 2014-09-01 김응진 Cup automatic washing apparatus
KR20160068273A (en) * 2014-12-05 2016-06-15 대풍년영농조합법인 Dishwasher crops
KR101652474B1 (en) * 2015-10-01 2016-08-31 김영수 sterilizing and cleaning device for artificial tooth
KR101821280B1 (en) * 2017-08-18 2018-01-25 주식회사 와이제이테크 Washing Apparatus Using Ozonic Water
KR101987950B1 (en) * 2018-03-15 2019-06-11 안규리 Automatic cup wash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933A (en) * 2007-07-13 2009-01-16 핫크린주식회사 Cup washer
KR20110064331A (en) * 2009-12-08 2011-06-15 한국기계연구원 Apparatus for cleaning steriliz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194464B1 (en) * 2011-06-30 2012-10-24 박경준 Spoon washer
KR101436491B1 (en) * 2013-05-13 2014-09-01 김응진 Cup automatic washing apparatus
KR20160068273A (en) * 2014-12-05 2016-06-15 대풍년영농조합법인 Dishwasher crops
KR101652474B1 (en) * 2015-10-01 2016-08-31 김영수 sterilizing and cleaning device for artificial tooth
KR101821280B1 (en) * 2017-08-18 2018-01-25 주식회사 와이제이테크 Washing Apparatus Using Ozonic Water
KR101987950B1 (en) * 2018-03-15 2019-06-11 안규리 Automatic cup 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015B1 (en)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474B1 (en) sterilizing and cleaning device for artificial tooth
JP5475804B2 (en) Cleaning sterilizer
JPH0751226A (en) Endoscope washing device
KR101907353B1 (en) Muitil cleaner for medical tube
KR20100041572A (en) Sterilization apparatus and sterilization bidet system
KR20020013351A (en) Apparatus for Sterilization and Cleaning of Medical Instruments
JP6788242B2 (en) Handpiece cleaning and disinfecting device
KR101419537B1 (en) The machine that washes dries deodorizes and sanitizes shoes and/or gloves by using all natural source
KR101112037B1 (en) Machinery washer and disinfec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150144633A (en) Spittoon with sterillization and cleaning function and dental unit chair using the same
KR102343015B1 (en)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rtificial tooth
CN211688417U (en) Harmless treatment device for waste liquid in disease control laboratory
JP2005192995A (en) Toilet seat device
ES2753233A1 (en) Shoe-washing means
CN213157414U (en) Dental chair for oral cavity comprehensive treatment
JP4010534B2 (en) Endoscope cleaning / disinfecting method, endoscope cleaning / disinfecting apparatus, and disinfecting liquid used for endoscope cleaning / disinfecting
JPH02252461A (en) Apparatus for disinfecting hand and arm by utilizing ozone water
KR102294999B1 (en) Toilet sanitary apparatus with cleaning,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s
KR200216082Y1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Cleaning Of Medical Instruments
KR102057152B1 (en) Oral cleaner
KR100624700B1 (en) An ozone sterilizer for an endoscope
KR102047780B1 (en)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CN214969463U (en) Disinfection belt cleaning device of hemodialysis ware
ES2278497B1 (en) MIXED WASHING SYSTEM AND ELIMINATION OF PARTICLES.
KR101671729B1 (en) An 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sanitizing watercircuits of dental unit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