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689A - 수면건강증진 시스템 및 수면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수면건강증진 시스템 및 수면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689A
KR20200063689A KR1020180149726A KR20180149726A KR20200063689A KR 20200063689 A KR20200063689 A KR 20200063689A KR 1020180149726 A KR1020180149726 A KR 1020180149726A KR 20180149726 A KR20180149726 A KR 20180149726A KR 20200063689 A KR20200063689 A KR 20200063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user
data
sleep health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완
김돈한
이상학
남정권
이성필
Original Assignee
한국디자인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디자인진흥원 filed Critical 한국디자인진흥원
Priority to KR1020180149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3689A/ko
Publication of KR20200063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6Detecting or evaluating apnoea ev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수면건강증진 시스템은,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되고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헤드밴드; 수면건강 설문지를 표시하고, 상기 수면건강 설문지에 대응하는 수면건강 설문결과를 수신하여 수면건강 설문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헤드 벤드로부터 상기 뇌파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뇌파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면품질(Sleep Quality; SQ) 지수를 산출하며, 상기 뇌파 데이터 및 상기 SQ 지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수면건강 설문지를 제공하고, 상기 수면건강 설문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유형을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결정된 사용자 유형에 따라 상기 헤드밴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뇌파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면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수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수면다원검사 여부를 결정하는 통합 서버 및 양압기의 처방을 받은 사용자의 보험관리, 수면데이터, 기기 청결관리 및 부가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단말, 양압기 사용 환자의 무호흡지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병원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면건강증진 시스템 및 수면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방법{SLEEP HEALTH PROMO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OF SLEEP HEALTH PROMOTION}
본 발명은 수면건강증진 시스템 및 수면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이완된 연구개(입 천정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와 구개수(목젖,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모양으로 현옹수라고도 함) 등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되는 호흡 잡음이다.
수면 무호흡은 수면 중 호흡 정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심한 코골이와 주간 졸음증 등의 수면 장애의 원인이 된다. 또한 수면 무호흡으로 인해 수면 중 유발되는 저산소증은 다양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우선 병력으로 진단하게 되는데, 본인이나 배우자, 또는 가족들을 통해 증상을 듣고 진단할 수 있다. 주간에 얼마나 졸리는지에 대한 문진을 통해서도 코골이나 무호흡의 심한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신체검진으로 체중이나 BMI 지수를 측정하거나 외양 특히 얼굴과 목의 모양을 관찰하고 비강, 구강, 인두, 후두의 검진을 병행하여 주된 유발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정확한 수면의 평가를 위해서는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병원에서 하룻밤을 자면서 수면의 전 과정을 조사한다. 자는 동안 호흡, 맥박, 움직임, 코골이, 혈중 산소 포화도, 뇌파 등을 측정하고, 그 외에 기도의 폐쇄 부위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 등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다.
수면다원검사는 하루 밤 동안 실시되며, 무호흡-저호흡이 있는 경우 다음날 밤이나 다른 날 밤, 2차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게 되고, 2차 수면다원검사에서는 지속적인 기도 양압호흡기를 착용하고 검사를 시행하는 것으로 무호흡과 저호흡 및 코골이가 없어지는 적정한 압력을 찾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7-0123728호(2017.11.09.공개) “수면무호흡 원격진료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한 진단시스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코골이와 관련된 다양한 사용자들에 부합하여 수면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면건강증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면건강증진 시스템은,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되고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헤드밴드; 수면건강 설문지를 표시하고, 상기 수면건강 설문지에 대응하는 수면건강 설문결과를 수신하여 수면건강 설문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헤드 벤드로부터 상기 뇌파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뇌파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면품질(Sleep Quality; SQ) 지수를 산출하며, 상기 뇌파 데이터 및 상기 SQ 지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수면건강 설문지를 제공하고, 상기 수면건강 설문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유형을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결정된 사용자 유형에 따라 상기 헤드밴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뇌파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면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수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수면다원검사 여부를 결정하는 통합 서버 및 양압기의 처방을 받은 사용자의 보험관리, 수면데이터, 기기 청결관리 및 부가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단말, 양압기 사용 환자의 무호흡지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병원단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뇌파 데이터 내 뇌파의 변화에 기초하여 취침시점, 기상시점, 총 수면시간 및 작동시간을 산출하여 하나의 수면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취침시간, 상기 총 수면시간 및 상기 작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SQ 지수를 산출하며, 상기 수면 그래프 및 상기 SQ 기수를 포함하는 상기 수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기 설정된 기간들 중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수면 데이터를 표시하며, 상기 수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면건강 설문결과 중 적어도 일부를 자동으로 작성하고, 상기 작동시간은 상기 헤드밴드가 턴온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취침시점까지의 시간이고, 상기 SQ 지수는 한국판 피처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K)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상기 기 설정된 기간들은 일(day), 주(week) 및 월(month)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기 설정된 기상 시점 및 취침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되, 상기 사용자의 수면의 깊이에 따라 다른 알람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면건강증진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되는 마스크를 포함하고, 마스크를 통해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고, 사용자의 호흡에 따른 마스크 내 공기의 압력 변화에 기초하여 수면 무호흡지수(apnea hypopnea index; AHI)를 산출하여 수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양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압기는 상기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 상기 마스크 및 상기 블로워를 연결하는 호스, 상기 공기의 습도를 유지하는 가습기, 및 블로워에 입력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양압기는 상기 양압기의 사용시간 및 기 설정된 권장교체기간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블로워, 상기 호스, 상기 가습기, 및 상기 필터의 교체를 요청하는 교체 요청 정보를 출력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면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면건강 설문조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수면건강 설문조사에 대응하는 수면건강 설문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뇌파를 측정하는 헤드밴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헤드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제1 수면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수면건강 상태를 인지하는 단계; 및 상기 수면건강 상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수면다원검사가 수행된 이후에, 양압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건강증진 시스템 및 방법은, 수면건강 설문지를 통해 사용자의 유형 및 사용자의 헤드밴드의 필요 여부를 결정하고, 헤드밴드를 통해 획득한 수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인지하며, 또한,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수면다원검사의 권장 및 예약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양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압기의 마스크 제작을 지원하며 청결 및 위생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들 각각에게 부합하는 수면건강증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면건강증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수면건강증진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수면건강증진 서비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수면건강증진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수면건강 설문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수면건강증진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수면건강증진 시스템을 통한 비지니스 운영 모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면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수면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참조 부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면건강증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수면건강증진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수면건강증진 서비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면건강증진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통합 서버(120), 헤드밴드(131), 양압기(132) 및 병원 단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 통합 서버(120) 및 병원 단말(14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헤드밴드(131) 및 양압기(132)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 통합 서버(120) 및 병원 단말(140) 중 하나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수면건강 설문지를 표시하고, 수면건강 설문지에 대응하는 수면건강 설문결과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여 수면건강 설문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며, 헤드밴드(131) 및/또는 양압기(132)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수면과 관련된 수면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한 사용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컴퓨팅 장치, 스마트 폰 등으로 구현되며, 수면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수면건강증진 어플리케이션은 통합 서버(120)에서 생성되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 등에 배포되며 갱신될 수 있다.
통합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에 수면건강 설문지를 제공하고, 수면건강 설문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유형을 결정하며, 사용자의 결정된 사용자 유형에 따라 헤드밴드(131)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고, 헤드밴드(131)에서 생성된 뇌파 데이터 또는 제1 수면 데이터를 저장하며, 제1 수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의 필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유형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통합 서버(120)는 양압기(132)에서 생성된 제2 수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통합 서버(120)는 헤드밴드(131)의 제1 수면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1 서버와, 양압기(132)의 제2 수면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2 서버로 구분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헤드밴드(131)는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되고,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뇌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뇌파 데이터는 일반적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체크 또는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뇌파 데이터는 헤드밴드(131), 사용자 단말(110) 및 통합 서버(1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분석될 수 있으며, 헤드밴드(131)(또는, 사용자 단말(110))은 뇌파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면건강분석 결과(예를 들어, 수면품질 지수)를 출력할 수 있다. 헤드밴드(131)는 복수의 뇌파 측정 센서들을 포함하는 휴대용 뇌파측정기로 구현될 수 있다. 헤드밴드(131)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머리 방향, 머리 움직임을 측정할 수도 있으며, 심박 센서, 호흡 센서, 온/습도 센서들을 더 포함하여, 심박수, 호흡,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헤드밴드(131)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해 뇌파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양압기(132)는 사용자에게(또는, 사용자의 기도에)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고, 사용자의 호흡에 따른 압력의 변화에 기초하여 수면 무호흡지수(apnea hypopnea index; AHI)를 산출하여 제2 수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양압기(132)는 일반적인 양압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되는 마스크, 마스크를 통해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 마스크 및 블로워를 연결하는 호스,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가습기 및 블러워에 입력되는 공기를 필터링(예를 들어, 공기 내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양압기(132)는 사용자의 사용시간(즉, 양압기(132)의 총 누적 작동시간) 및 기 설정된 권장교체기간정보들(즉, 블로워, 호스, 가습기 및 필터 각각에 설정된 교체기간정보)에 기초하여 블로워, 호스, 가습기 및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교체를 요청하는 교체 요청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유사하게, 양압기(132)는 블로워 등에 대해 기 설정된 세척 주기들에 기초하여 블러워 등의 세척을 유도하는 세척 요청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양압기(132)의 정상 상태 및 청결이 관리될 수 있다.
병원 단말(140)은 헤드밴드(131), 양압기(132), 사용자 단말(110) 및 통합 서버(1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면 데이터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병원 단말(140)은 사용자를 진료하는 의사가 사용하는 단말로, 예를 들어, 병원 단말(140)은 데스크 탑, 노트북 등과 같은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병원 단말(140)은 사용자 단말(110)과 유사하게, 수면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병원 단말(140)이 통합 서버(120) 등에 사용자의 수면 데이터의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 통합 서버(120)로부터 사용자 단말(120)에 수면 데이터의 제공에 대한 동의 또는 승인을 구하는 열람 동의가 요청되며, 이에 대응하여 통합 서버(120)가 열람 동의 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통합 서버(120)에서 병원 단말(140)에 기 저장된 수면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코골이와 관련하여,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며, 수면건강증진 시스템(100)은 사용자 유형별로 최적화된 수면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유형은 무관심형으로, 코골이 증상에 대해 크게 관심이 없는 사용자이며, 예를 들어, 코골이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평소에 경각심을 많이 심어줘야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는 사용자일 수 있다.
이 경우, 수면건강증진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수면건강 설문지를 제공하며, 수면건강 설문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면건강검진 대상 여부를 결정하며, 수면건강검진 대상자로 결정된 사용자(또는, 사용자 단말(110))에 푸쉬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수면건강증진 시스템(100)은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 질병 가능성을 알리고, 치료를 유도할 수 있다.
제2 유형은 정보부족형으로, 코골이 증상에 대해 관심은 있으나 관련 정보가 부족한 사용자이며, 예를 들어, 자신의 코골이에 대해 주변인뿐만 아니라 본인도 불편함을 느끼나, 어떤 진료과에서 치료가 이루어지는지 모르며, 양압기에 대해 관심은 있으나, 스마트폰 등의 숙련도가 떨어져 양압기에 대한 정보를 어디서 획득할 수 있는지 모르는 사용자일 수 있다. 제2 유형의 경우, 수면질병 증상 정도가 파악되지 않은 사용자일 수 있다.
이 경우, 수면건강증진 시스템(100)은 헤드밴드(131)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의 품질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수면건강 상태를 확인하며,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수면건강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여기서, 헤드밴드(131)는 수면건강 설문결과에 따라 제2 유형의 사용자에게 일정 기간동안(예를 들어, 최대 7일간 렌탈)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수면건강증진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수면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면다원검사의 필요 여부를 결정하고, 필요한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승인을 통해 병원 단말(140)에 검사 스케줄의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수면건강증진 시스템(100)은 헤드밴드(131)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수면건강 상태를 정확히 인지시키며, 수면다원검사가 필요한 사용자(예를 들어, 수면무호흡 의심환자)에 대해서는 검사 권유 및 검사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유형은 프로슈머형으로, 코골이 증상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자발적 치료를 희망하는 사용자이며, 예를 들어, 수면무호흡을 타인에게 알리고 싶어하지 않고, 평소에 자기관리가 철저한 편으로 조금이라도 몸에 문제가 생기면 바로 치료하려고 하며, 스마트폰 등의 숙련도가 높아 코골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며, 합리적인 소비(예를 들어, 해외직구 등을 통해 제품을 구매)를 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 제3 유형의 경우, 수면장애가 의심되나 수면장애로 인한 병원 진료를 꺼려하고, 검사 및 전문병원에 대한 정보 안내가 부족한 사용자일 수 있으며, 자가진단오류의 문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수면건강증진 시스템(100)은, 제2 유형에서의 대응과 유사하게, 헤드밴드(131)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수면건강 상태를 정확히 인지시키며, 수면다원검사가 필요한 사용자(예를 들어, 수면무호흡 의심환자)에 대해서는 검사 권유 및 검사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제4 유형은 배우자권유형으로, 배우자(또는, 동거인)의 적극적인 치료 권유를 받는 사용자이며, 예를 들어, 음주 후 취침시 코를 많이 골아 배우자가 치료를 권유하여 병원에 내원하고, 퇴근 시간이 정해져 있지 않아 병원에 내원할 시간이 없으며(즉, 병원 방문 일정 조정이 힘들며), 본인은 코골이로 인한 불편함을 느끼지 못해 증상에 대해 무관심하여 추후 치료의지가 부족한 사용자일 수 있다. 제4 유형의 경우, 양압기 처방을 받더라도, 양압기 전문지식(종류, 원리, 취급장소 등)이 부족한 사용자이며, 양압기 처방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면건강증진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한 수면다원검사의 예약을 제공하며, 수면다원검사의 순서(또는, 진료 순서)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수면다원검사 결과에 따라 사용자(즉, 수면 무호흡 환자)에게 양압기(132)가 처방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 등을 통해 건강보험 적용 여부에 따른 양압기(132)에 대한 임대 계약서 작성 등을 지원할 수도 있다.
제5 유형은 적극관심형으로, 본인 및 배우자 모두가 치료에 적극적인 사용자일 수 있다. 제5 유형의 경우, 양압기 부적응시(예를 들어, 마스크, 작동, 냄새 등) 양압기를 미사용하는 문제점, 양압기의 수면환경을 방해(호스, 소음, 낙하 등)하는 문제점, 양압기의 휴대 및 보관 불편(무게, 부피 등)의 문제점을 가지거나, 소모품별 세척 및 교체 관리방법을 제대로 알지 못하거나, 사용자 스스로 양압기 수면 데이터를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점 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수면건강증진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양압기(132)를 사용하는 경우, 양압기(132)로부터 획득된 수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양압기(132) 마스크의 제작을 지원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누기량, 마스크 밀착 여부에 관한 데이터의 제공), 양압기(132)의 청결 및 위생 케어 서비스(예를 들어, 교체, 세척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수면건강증진 시스템(100)은 수면건강 설문지를 통해 사용자의 유형 및 헤드밴드(131)의 필요 여부를 결정하고, 헤드밴드(131)를 통해 획득한 제1 수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며, 또한,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수면다원검사의 권장 및 예약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양압기(13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압기(132)의 마스크 제작을 지원하며 청결 및 위생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모든 유형들 각각에 부합하는 수면건강증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수면건강증진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10)은 헤드밴드(131)와 연동하여 수행되는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수면건강 설문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설문부(310), 분석부(320), 및 알람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문부(310)는 수면건강 설문지를 화면을 통해 표시하고, 수면건강 설문지에 대한 수면건강 설문결과(또는, 수면건강 설문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수면건강 설문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설문결과 데이터는 통합 서버(120)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건강 설문지는 수면건강과 관련된 설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환, 치료 등에 관한 질환 설문 항목, 식습관, 운동, 약물 사용 등에 관한 습관 설문 항목, 한국판 피처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K) 설문 항목 및 한국형 구간졸음척도(KESS) 설문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면건강 설문지를 작성하는 시점에서, 사용자가 헤드밴드(131)를 사용하는 경우, 수면건강 설문결과 중 적어도 일부는 자동으로 작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판 피치버그 수면의 질 지수 설문 항목 중 제1 내지 제4 서브 항목들(예를 들어, 취침 시점, 취침시까지의 시간 등)은 헤드밴드(131)로부터 획득한 수면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작성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한국판 피치버그 수면의 질 지수 설문 항목 중 제5 내지 제8 서브 항목들(예를 들어, 취침 중 기상 횟수, 수면의 질 등)은 분석부(320)를 통해 표시되는 수면 데이터(예를 들어, 수면 그래프)를 통해 자동으로 작성되거나, 분석부(320)를 통해 제공되는 그래프를 통해 사용자 하여금 용이하게 작성하도록 지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건강 설문지에서 한국판 피치버그 수면의 질 지수 설문 항목 중 5 내지 8 서브 항목들에 대한 점수가 13점 이상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수면에 문제가 있으며 수면 전문의와의 상담을 권하는 정보(예를 들어, 문구)가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주간 졸음척도 설문 항목의 점수가 10점 이상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수면 장애 가능성이 높아, 수면 전문의와의 상담을 권하는 정보(예를 들어, 문구)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설문부(310)는 수면건강 설문결과 데이터를 통합 서버(120)에 제공되며, 상기 권고 정보(즉, 수면 상담을 권하는 정보)에 따라 병원 단말(140)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병원 단말(140)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거나, 정보 제공이 승인된 병원 단말일 수 있다.
분석부(320)는 헤드밴드(131)를 통해 획득한 뇌파 데이터에 기초하여 취침시점, 기상시점, 총 수면시간 및 작동시간을 산출하고, 이들에 기초하여 수면 그래프를 생성하며, 취침시간, 총 수면시간 및 작동시간에 기초하여 수면품질(sleep quality; SQ) 지수를 산출하고, 수면 그래프 및 SQ 지수를 포함하는 수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수면 데이터(예를 들어, SQ 지수, 수면 그래프 등)은 화면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작동시간은 헤드밴드(131)가 턴온되거나 사용자의 헤드에 장착된 시점으로부터 취침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사용자가 수면에 빠지는데 소요된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320)는 일반적인 뇌파 분석 기술을 이용하되, 뇌파의 주파수(예를 들어, 8-12Hz의 알파파, 13-30Hz의 베타파, 4Hz 이하의 non-REM)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면, 기상, 숙면 등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분석부(320)는 뇌파 데이터에 취침 시점, 기상 시점, 총 수면시간 및 작동시간을 표시하는 형태로 수면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320)는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기상(awake), 얕은 수면(또는, 중간) 및 깊은 수면(deep)으로 구분하고, 시간에 따른 이들의 변화 및 기간을 표시하는 형태로 수면 그래프를 생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분석부(320)는 수면 그래프에 SQ 지수를 포함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SQ 지수는 좋음, 보통, 나쁨 과 같이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표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분석부(320)는 외부로부터의 수면 데이터에 대한 조회(또는,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시간에 대응하여 수면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일(day), 주(week) 및 월(month)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상 후 수면 데이터를 조회하는 경우, 분석부(320)는 일 단위, 즉, 가장 최근에 측정된 수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면 데이터에 대한 조회 기간을 주 단위로 설정한 경우, 분석부(320)는 가장 최근의 일주일 동안 생성된 수면 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평균 취침 시점, 평균 기상 시점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가 수면 데이터에 대한 조회 기간을 월 단위로 설정한 경우, 분석부(320)는 가장 최근 한달 동안 생성된 수면 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총 수면 시간의 증감 추이, 작동 시간의 증감 추이, SQ 지수의 변화 추이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석부(320)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특이사항 정보를 반영하여 수면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특이사항 정보는 사용자의 식사, 커피(또는, 카페인 음료), 졸음 여부 등에 관한 것이며, 특이사항 정보는 사용자의 SQ 지수에 반영되거나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알람부(330)는 기 설정된 기상 시점에 대응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되, 사용자의 수면의 깊이에 따라 다른 알람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알람은 소리, 진동, 화면(또는, 빛, 빛 패턴)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기상 시점 또는 취침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며, 취침시간이 설정된 경우, 수면 시점으로 기 설정된 취침시간이 경과한 시점이 해당 기상 시점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알람들 또는 알람 방식들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수면 상태는 얕은 수면 또는 깊은 수면을 구분될 수 있으며, 기상 시점(또는, 인접한 시점)에서 사용자의 수면 상태가 얕은 수면인 경우, 제1 알람 방식(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작은 볼륨의 알람)이 발생되고, 기상 시점에서 사용자의 수면 상태가 깊은 수면인 경우, 제2 알람 방식(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큰 볼륨의 알람 및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는 사용자의 회원 가입(즉, 수면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받는 회원으로서의 가입)에 대한 진행을 지원하며, 회원 가입을 통해 설정된 아이디와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별로 수면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는 사용자의 필수 개인정보(예를 들어, 프로필 사진, 이름, 성별, 나이, 몸무게, 키 등) 뿐만 아니라, 선택 개인정보(예를 들어, 학력, 직업, 동거여부, 설문 항목에 포함된 질환/치료 정보, 식습관 정보, 약물 사용 습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는 선택 개인정보의 수집시, 추후 병원 등에 제공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관리부는 ID/PW 입력, 차기, 자동 로그인 설정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수면건강 설문지를 제공하고, 수면건강 설문결과의 적어도 일부를 자동으로 작성하며, 헤드밴드(131)로부터 제공된 뇌파 데이터(또는, 수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총 수면시간, 수면 상태 등을 나타내는 수면 그래프, 수면 트렌드를 표시하고, 수면 상태별로 다른 알람을 제공하며, 수면 유도 서비스와 수면관련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사용자 단말(110)이 뇌파 데이터를 분석하고, 알람 및 수면 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서 설명한 적어도 일부의 기능들, 예를 들어, 뇌파 데이터의 분석, 알람 및 수면 유도 서비스는 헤드밴드(13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수면건강증진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10)은 양압기(132)와 연동하여 수행되는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1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사용자 단말의 기능들에 추가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할 기능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보험관리부(510), 수면데이터 관리부(520), 청결관리부(530), 부가서비스 제공부(540) 및 혜택 정보 제공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험 관리부(510)는 사용자의 보험 적용 자격요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보험 적용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정기 내원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 관리부(510)는 양압기(132)에 대한 건강 보험을 적용 받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보험 적용 정보, 보험적용 방법 정보, 상담 연락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보험 관리부(510)는 보험 적용에 필요한 양압기(132) 사용기간을 설정하며, 실제 사용기간에 따라 현재 시점에서의 보험 적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적용 가능 기준 비교 정보(예를 들어, 보험 적용에 필요한 기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보험 관리부(510)는 건강 보험 양압기 급여 대상자 등록 신청서, 건강 보험 양압기 처방전을 저장하고 외부에 업로드 할 수 있다.
수면 데이터 관리부(52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분석부(320)와 유사하게, 양압기(132)로부터 획득된 수면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래프 형태로 출력하며, 통계 분석을 통해 수면 데이터를 일별, 주별, 월별로 기록 및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데이터 관리부(520)는 양압기(132)로부터 획득한 수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면무호흡지수, 저호흡-무호흡지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지수들을 일별, 주별 및 월별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데이터 관리부(520)는 양압기(132)로부터 획득한 수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기 착용시점, 총 사용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데이터 관리부(520)는 수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양압기(132)의 마스크 밀착 여부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누기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데이터 관리부(520)는 양압기(132)의 압력 정보를, 예를 들어, 압력 도달시간, 최소-최대 압력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데이터 관리부(520)는 사용자로부터 기상 후 컨디션 상태를 기록하고 확인할 수 있다.
청결관리부(520)는 양압기(132)의 소모품에 대한 관리 주기를 안내하고, 부속품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결관리부(520)는 양압기(132)의 기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제공하고, 양압기(132)의 총 사용일 정보를 제공/출력하며, 양압기(132)에 대한 사용 설명서를 제공/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결관리부(520)는 양압기(132)의 필터, 가습기, 블로워, 호스(또는, 호흡회로), 마스크 등에 대한 권장교체기간정보들에 기초하여 이들 각각의 교체를 요청하는 교체 요청 정보를 출력하며, 또한, 이들 각각에 대한 구매를 지원하는 구매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결관리부(520)는 통합 서버(120) 또는 별도의 관리자/작업자 단말에 양압기(132)에 대한 방문 서비스(예를 들어, 교체, 세척, 기기 이상에 대한 점검)을 주기적(예를 들어, 3개월마다)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문 관리원의 방문 서비스(또는, 케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청결관리부(520)는 케어 서비스에 관한 설명, 이용가격(옵션별), 신청 방법 등을 안내할 수 있고, 케어 서비스 신청을 지원하며, 케어 서비스가 신청된 경우, 신청 서비스의 내용, 서비스 이용일, 현재까지 받은 서비스 내용 및 추후 서비스 내용(예를 들어, 다음 방문일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부속품과 유사하게, 청결관리부(520)는 소모품에 대한 구입을 지원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모품 관리 주기 안내 서비스가 제공될 수 경우, 해당 소모품에 대한 구입 요청을 통합 서버(120) 등에 전송할 수 있다.
부가서비스 제공부(540)는 수면클리닉 정보 제공 서비스, 수면 관련 커뮤니티 및 원격 모니터링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며, 일일 습관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서비스 제공부(520)는 양압기 처방과 관련된 병원의 정보를 등록/저장하고, 초기 처방전을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서비스 제공부(520)는 통합 서버(120), 병원 단말(140) 등과 연동하여, 병원의 최근 방문일 정보, 다음 방문일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해당 일정에 대응하는 알람 설정 및 알람 출력을 제공하고, 병원방문날짜 및 상담내용(또는, 처방)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서비스 제공부(520)는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에 대한 허용 인증 절차를 제공하고, 허용 인증 절차를 통해 외부 사용자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장애인, 노약자 등 특정 환자에게 병원에서 인증한 번호코드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 단말(140)로부터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 대한 수면 데이터를 확인하는 일시적 모니터링을 수행하거나, 주기적 관리가 필요한 환자에 대한 검색을 통해 상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병원 단말(140)을 통해 부가서비스 제공부(520)에 원격 모니터링에 대한 피드백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부가서비스 제공부(520)는 알람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의 수신을 알리고, 피드백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혜택 정보 제공부(550)는 수면다원검사 할인권, 운동 어플리케이션 할인 정보, 소모품/부속품 무료 제공/교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혜택 정보 제공부(550)는 사용자의 양압기(132)에 대한 사용기간을 고려하여(예를 들어, 장기렌탈 고객의 경우) 통합 서버(120) 등을 통해 제공되는 수면다원검사 할인권, 운동 어플리케이션 할인권 등을 제공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10)은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사용자 관리부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회원 가입, 회원 정보 수정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설정부는 사용자의 보호자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보호자 모니터링 기능 허용 여부와, 부속품 관리주기 알림 허용 여부와, 보험적용 기준 알림 허용 여부, 사용 알림 허용 여부(예를 들어, 7일간 미사용시 사용자의 사용을 권유하는 알림에 대한 허용 여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양압기(132)로부터 획득한 수면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양압기(132)의 소모품/부속품에 대한 교체/관리를 위한 정보 및 이에 대한 구매/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며,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압기(132)를 보다 쉽고,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며, 접근이 허용된 의사, 보호자 등의 사용자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수면건강증진 시스템을 통한 비지니스 운영 모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실선은 운영 구조를 나타내고, 점선은 수익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운영 구조(즉, ① 내지 ⑧)에 따라, 환자(또는, 사용자)는 헤드밴드(131)를 사용하고, 헤드밴드(131)를 통해 획득된 제1 수면 데이터는 클라우드(예를 들어, 통합 서버(120))에 저장되며, 저장된 제1 수면 데이터는 병원(예를 들어, 병원 단말(140))에 제공될 수 있다. 병원에서는 제1 수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유사하게, 환자(또는, 사용자)는 양압기(132)를 사용하고, 양압기(132)를 통해 획득된 제2 수면 데이터는 클라우드(예를 들어, 통합 서버(120))에 저장되며, 병원(예를 들어, 병원 단말(140))에 제공될 수 있다. 병원에서는 제2 수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수익 구조에 따라, 환자로부터 병원에 건강 검진 비용과, 검사(예를 들어, 수면다원검사) 및 진료 비용이 제공되며, 환자(또는, 사용자)가 근무하는 기업으로부터 환자에게 수면 건강검진에 대한 비용이 제공될 수 있고, 환자의 진료, 양압기 사용에 대한 보험 적용을 따라 국민 건강 보험공단으로부터 환자에게 보험 지원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병원으로부터 환자에게 헤드밴드(131)의 일시적인 사용 처방에 따라 병원으로부터 헤드밴드 개발사에 비용이 지급될 수 있으며, 양압기 렌탈에 따라 환자로부터 양압기 개발사에 렌탈 비용이 지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면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수면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방법은 도 1의 수면건강증진 시스템(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7의 방법은 수면건강 설문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S710).
예를 들어, 병원에서 사용자에게 건강검진 수면건강 항목에 대해 안내해 줄 수 있다(S711).
이후, 수면건강 설문조사에 대응하는 수면건강 설문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헤드밴드에 대한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통합 서버(12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에 수면건강 설문지가 제공되며(S712), 수면건강 설문지에 대한 수면건강 설문결과에 따라 건강검진 대상자에 대한 안내가 수행될 수 있다(S713). 예를 들어, 병원은 건강검진 대상자 명단을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110)(또는, 통합 서버(120))는 설문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헤드밴드 사용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결과를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이와 동시에 병원으로부터 사용자에게 헤드밴드를 제공(예를 들어, 사용자의 주소지에 헤드밴드를 배송)할 수 있다.
이후, 도 7의 방법은 헤드밴드(131)를 통해 사용자의 제1 수면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면건강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S720).
예를 들어, 헤드밴드(131)를 통해 사용자의 뇌파 데이터를 수집하고, 뇌파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수면 그래프, 수면 품질 지수를 생성/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S721), 수면 데이터를 통합 서버(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일정 시간(예를 들어, 7일) 경과한 시점에서 사용자가 병원을 방문한 경우, 헤드밴드(131)를 통해 생성된 수면 데이터에 대한 열람(또는, 조회)에 대한 승인을 통해, 해당 수면 데이터를 의사가 열람 및 출력할 수 있다(S722). 헤드벤드(131)는 병원에 반납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대한 수면다원검사가 수행될 수 있으며, 수면다원검사 결과에 따라 양압기(132) 처방 등이 수행될 수 있다(S730).
예를 들어, 수면다원검사가 수행되고(S731), 검사결과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이와 동시에 양압기(132)를 이용한 치료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S732). 사용자의 양압기 사용과 관련하여, 양압기 적정 압력 검사가 수행되며(S733), 이에 대한 검사 결과 및 치료법이 결정될 수 있다(S734).
이후, 도 7의 방법은 양압기(132)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양압기(132) 급여 대상자 등록을 신청하고(S741), 일정 기간동안 양압기 적응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며(S742), 병원은 해당 기간동안 사용자의 양압기에 대한 순응도를 평가하며, 양압기 급여 대상자 처방전을 발급할 수 있으며(S743), 사용자는 처방전에 따라 양압기를 사용(예를 들어, 대여 계약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S744).
사용자가 양압기(132)를 사용함에 따라, 도 7의 방법은 양압기(132)를 관리 유지할 수 있다(750).
예를 들어, 통합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양압기(132)의 사용, 관리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S751), 양압기(132)를 통해 획득한 수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며(S752), 병원은 별도의 접근 승인을 통해 수면 데이터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S753).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수면건강증진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20: 통합 서버
131: 헤드밴드
132: 양압기
140: 병원 단말

Claims (5)

  1.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되고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헤드밴드;
    수면건강 설문지를 표시하고, 상기 수면건강 설문지에 대응하는 수면건강 설문결과를 수신하여 수면건강 설문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헤드 벤드로부터 상기 뇌파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뇌파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면품질(Sleep Quality; SQ) 지수를 산출하며, 상기 뇌파 데이터 및 상기 SQ 지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수면건강 설문지를 제공하고, 상기 수면건강 설문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유형을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결정된 사용자 유형에 따라 상기 헤드밴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뇌파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면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수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수면다원검사 여부를 결정하는 통합 서버를 포함하는, 수면건강증진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뇌파 데이터 내 뇌파의 변화에 기초하여 취침시점, 기상시점, 총 수면시간 및 작동시간을 산출하여 하나의 수면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취침시간, 상기 총 수면시간 및 상기 작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SQ 지수를 산출하며, 상기 수면 그래프 및 상기 SQ 기수를 포함하는 상기 수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기 설정된 기간들 중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수면 데이터를 표시하며, 상기 수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면건강 설문결과 중 적어도 일부를 자동으로 작성하고,
    상기 작동시간은 상기 헤드밴드가 턴온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취침시점까지의 시간이고,
    상기 SQ 지수는 한국판 피처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K)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상기 기 설정된 기간들은 일(day), 주(week) 및 월(month)을 포함하는, 수면건강증진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기 설정된 기상시점 및 취침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되, 상기 사용자의 수면의 깊이에 따라 다른 알람들을 발생시키는, 수면건강증진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되는 마스크를 포함하고, 마스크를 통해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고, 사용자의 호흡에 따른 마스크 내 공기의 압력 변화에 기초하여 수면 무호흡지수(apnea hypopnea index; AHI)를 산출하여 수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양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양압기는 상기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 상기 마스크 및 상기 블로워를 연결하는 호스, 상기 공기의 습도를 유지하는 가습기, 및 블로워에 입력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양압기는 상기 양압기의 사용시간 및 기 설정된 권장교체기간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블로워, 상기 호스, 상기 가습기, 및 상기 필터의 교체를 요청하는 교체 요청 정보를 출력하는, 수면건강증진 시스템.
  5.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면건강 설문조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수면건강 설문조사에 대응하는 수면건강 설문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뇌파를 측정하는 헤드밴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헤드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제1 수면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수면건강 상태를 인지하는 단계; 및
    상기 수면건강 상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수면다원검사가 수행된 이후에, 양압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149726A 2018-11-28 2018-11-28 수면건강증진 시스템 및 수면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63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726A KR20200063689A (ko) 2018-11-28 2018-11-28 수면건강증진 시스템 및 수면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726A KR20200063689A (ko) 2018-11-28 2018-11-28 수면건강증진 시스템 및 수면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689A true KR20200063689A (ko) 2020-06-05

Family

ID=7108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726A KR20200063689A (ko) 2018-11-28 2018-11-28 수면건강증진 시스템 및 수면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36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27123A (zh) * 2023-03-13 2023-06-27 深圳市雅为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手表的睡眠监测系统及方法
KR20230107460A (ko) 2022-01-08 2023-07-1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안대형 수면측정장치를 이용한 ai 수면장애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면장애 관리방법
KR20230107459A (ko) 2022-01-08 2023-07-1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안대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이를 구비한 수면측정 시스템 및 수면측정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728A (ko) 2016-04-20 2017-11-09 박동선 수면무호흡 원격진료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한 진단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728A (ko) 2016-04-20 2017-11-09 박동선 수면무호흡 원격진료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한 진단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7460A (ko) 2022-01-08 2023-07-1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안대형 수면측정장치를 이용한 ai 수면장애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면장애 관리방법
KR20230107459A (ko) 2022-01-08 2023-07-1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안대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이를 구비한 수면측정 시스템 및 수면측정 방법
CN116327123A (zh) * 2023-03-13 2023-06-27 深圳市雅为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手表的睡眠监测系统及方法
CN116327123B (zh) * 2023-03-13 2023-08-18 深圳市雅为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手表的睡眠监测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6488B2 (ja) 疲労モニタリング及び管理システム
US11116934B2 (en) Sleep monitoring and sleep aid usage
US202301145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latform Designed for Digital Health Management and Support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US20160224750A1 (en) Monitoring system for assessing control of a disease state
Tang et al. Better quality sleep promotes daytime physical activity in patients with chronic pain?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within-person relationship
US20200253547A1 (en) Monitoring System for Assessing Control of a Disease State
AbdulGhaffar et al. Internet of things based multiple disease monitoring and health improvement system
JP6270225B2 (ja) 肺活量及び体力を測定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8171853A1 (en) A telemedicine system for remote treatment of patients
KR20200063689A (ko) 수면건강증진 시스템 및 수면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70129644A1 (en) Sleep disorder screening program
US20190350466A1 (en) System for monitoring patients suffering from respiratory disease comprising a portable medical device and method based on the use of such system
JP2008511902A (ja) 患者リマインダ生成
US20210327584A1 (en) Decision support software system for sleep disorder identification
RU2541841C2 (ru) Торговый киоск управления сном и ассоциированный способ
US11152114B2 (en) Patient state representation architectures and uses thereof
US20180301211A1 (en) Electronic community medical marijuana network
US20180096104A1 (en) Disease management system
KR102609999B1 (ko) 처방된 장치 또는 서비스의 평가방법 및 평가장치
Drouin et al. Cost-effectiveness of a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for parents in pediatric primary care
Patel et al. Refill rates of accessories for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 as a surrogate measure of long-term adherence
CN105765589A (zh) 睡眠面罩游戏化
Kuosmanen et al. Comparing consumer grade sleep trackers for research purposes: a field study
CN116018653A (zh) 用于抓挠检测和发作预测的计算机化决策支持工具和医学设备
Greenhalgh Effective prescribing at practice level should be identified and reward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