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421A - 배기가스 저감방법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저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421A
KR20200063421A KR1020180148966A KR20180148966A KR20200063421A KR 20200063421 A KR20200063421 A KR 20200063421A KR 1020180148966 A KR1020180148966 A KR 1020180148966A KR 20180148966 A KR20180148966 A KR 20180148966A KR 20200063421 A KR20200063421 A KR 20200063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temperature
reducing
diesel engin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철
정길성
공임모
김수형
신달호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48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3421A/ko
Publication of KR20200063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9/002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of filter regeneration, e.g. detection of clog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05General auxiliary catalysts, e.g. upstream or downstream of the main catalyst
    • F01N3/106Auxiliary oxidation cataly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3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2D41/02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o increas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2D41/025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o increas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o accelerate the warming-up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at engine st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14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xhaust gas
    • F01N2900/1404Exhaust gas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1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xhaust apparatus, e.g. particulate filter or catalyst
    • F01N2900/1626Catalyst activation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가스 저감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와, 상기 배기가스 저감장치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배압조절 밸브와,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서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배기가스를 저감하는 배기가스 저감방법에 있어서, 디젤 엔진에 시동이 걸리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패스트 웜업 모드(fast warm-up mode)를 시작하는 패스트 웜업 모드 시작 단계와, 패스트 웜업 모드에서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입구측 온도와 기준 온도를 비교하는 온도 비교 단계와, 온도 비교 단계에서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입구측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 배압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낮추어 배기가스 저감장치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제1 목표 온도로 높이는 제1 승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기가스 저감방법{METHOD FOR REDUCING EXHAUST GAS}
본 발명은 배기가스 저감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압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촉매 활성화 온도 도달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배기가스 저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강화되고 있는 환경규제에 따라 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 저감은 세계 각국의 자동차 업계의 최대의 주요 연구개발 목표이다.
가솔린 엔진의 배기가스에는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이 주로 포함된다.
반면, 디젤 엔진의 경우, 가솔린 엔진에 비하여 저부하 운전 시 효율이 높아 연료경제성이 높고 희박연소가 가능하여 HC(Hydro Carbon), CO 배출이 낮은 장점이 있으나, 확산연소 과정에서 국부적으로 연료가 농후하고 연소온도가 높은 영역에서 입자상 물질(PM, Particulate Matter)과 질소산화물(NOx)의 배출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에 대한 산화 반응을 촉진시키는 산화 촉매부와,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PM)을 포집하는 입자상 물질 필터부와,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의 저감을 위한 선택적 촉매 환원부(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가 포함된 배기가스 저감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배기가스 저감장치가 촉매 활성화 온도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배기가스의 정화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0542호(2010년 1월 6일 공개, 발명의 명칭 : 합성가스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저감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압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촉매 활성화 온도 도달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배기가스 저감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방법은: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와, 상기 배기가스 저감장치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배압조절 밸브와,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서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배기가스를 저감하는 배기가스 저감방법에 있어서, 디젤 엔진에 시동이 걸리는 것을 제어장치가 감지하는 경우, 패스트 웜업 모드(fast warm-up mode)를 시작하는 패스트 웜업 모드 시작 단계와, 패스트 웜업 모드에서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입구측 온도와 기준 온도를 비교하는 온도 비교 단계와, 온도 비교 단계에서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입구측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 배압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낮추어 배기가스 저감장치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제1 목표 온도로 높이는 제1 승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온도 비교 단계에서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입구측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패스트 웜업 모드를 종료하는 패스트 웜업 모드 종료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기가스 저감장치는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에 대한 산화 반응을 촉진시키는 산화 촉매부와,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PM)을 포집하는 입자상 물질 필터부와,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의 저감을 위한 선택적 촉매 환원부(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가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 유동 방향으로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젤 엔진이 시동된 상태인 것을 제어장치가 감지하는 경우, 디피에프 재생 모드(DPF regeneration mode)를 시작하는 디피에프 재생 모드 시작 단계와, 디피에프 재생 모드에서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입구측 압력과 선택적 촉매 환원부의 입구측 압력의 압력차가 제1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 배압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낮추어 배기가스 저감장치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제2 목표 온도로 높이는 제2 승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피에프 재생 모드에서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입구측 압력과 선택적 촉매 환원부의 입구측 압력의 압력차가 제2 기준 압력 이하인 경우, 배압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높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방법은, 배압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촉매 활성화 온도 도달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방법이 적용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주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방법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방법이 적용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주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방법은 디젤 엔진(10)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100)와, 배기가스 저감장치(10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배압조절 밸브(200)와, 제어장치(900)를 구비하는 차량에서 제어장치(900)를 통해 배기가스를 저감하는 배기가스 저감방법이다. 제어장치(900)는 디젤 엔진(1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차량의 다른 제어기(미도시)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디젤 엔진(10)에는 공기를 디젤 엔진(10)으로 안내하는 흡기 장치(20)가 연결 설치되고, 흡기 장치(20)와 디젤 엔진(10)의 연결 구간에는 흡기 유량센서(700)가 설치된다.
디젤 엔진(10)에는 연료를 디젤 엔진(10)으로 분사하는 연료분사장치(30)가 설치되고, 연료분사장치(30)의 내부에는 연료 압력센서(800)가 설치된다.
디젤 엔진(10)에는 디젤 엔진(10)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40)이 연결 설치되고, 배기관(40)에는 배기가스 저감장치(100)가 설치된다.
배기가스 저감장치(100)는 디젤 엔진(10)의 배기가스에 대한 산화 반응을 촉진시키는 산화 촉매부(110)와, 디젤 엔진(10)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PM)을 포집하는 입자상 물질 필터부(120)와, 디젤 엔진(10)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의 저감을 위한 선택적 촉매 환원부(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130)가 디젤 엔진(10)의 배기가스 유동 방향으로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배기관(40)에는 배기가스 저감장치(10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배압조절 밸브(200)가 설치된다. 배압조절 밸브(200)는 디젤 엔진(10)과 배기가스 저감장치(100) 사이에 배치된다.
배기가스 저감장치(100)의 입구측에는 온도센서(300)와 제1 압력센서(400)가 설치되고, 배기가스 저감장치(100)의 내부에는 제2 압력센서(500)가 설치된다.
제2 압력센서(500)는 입자상 물질 필터부(120)와 선택적 촉매 환원부(130) 사이에 배치된다.
배기관(40)에는 배기가스 중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람다 센서(600)가 더 설치된다. 람다 센서(600)는 배압조절 밸브(200)의 입구측에 설치된다.
제어장치(900)는 흡기 유량센서(700)와, 연료 압력센서(800)와, 배압조절 밸브(200)와, 온도센서(300)와, 제1 압력센서(400)와, 제2 압력센서(500)와, 람다 센서(600)에 연결되어 감지된 각종 센싱 정보를 토대로 배압조절 밸브(200)의 개도량을 제어한다.
제어장치(900)를 통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방법은 디젤 엔진(10)에 시동이 걸리는 것을 제어장치(900)가 감지하는 경우(S10), 패스트 웜업 모드(fast warm-up mode)를 시작하는 패스트 웜업 모드 시작 단계(S11)와, 패스트 웜업 모드에서 배기가스 저감장치(100)의 입구측 온도와 기준 온도를 비교하는 온도 비교 단계(S12)와, 온도 비교 단계(S12)에서 배기가스 저감장치(100)의 입구측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S13), 배압조절 밸브(200)의 개도량을 낮추어 배기가스 저감장치(10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제1 목표 온도로 높이는 제1 승온 단계(S1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방법은 온도 비교 단계(S12)에서 배기가스 저감장치(100)의 입구측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패스트 웜업 모드를 종료하는 패스트 웜업 모드 종료 단계(S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방법은 디젤 엔진(10)이 시동된 상태인 것을 제어장치(900)가 감지하는 경우(S20), 디피에프 재생 모드(DPF regeneration mode)를 시작하는 디피에프 재생 모드 시작 단계(S21)와, 디피에프 재생 모드에서 배기가스 저감장치(100)의 입구측 압력과 선택적 촉매 환원부(130)의 입구측 압력의 압력차가 제1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S22), 배압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낮추어 배기가스 저감장치(10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제2 목표 온도로 높이는 제2 승온 단계(S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방법은 디피에프 재생 모드에서 배기가스 저감장치(100)의 입구측 압력과 선택적 촉매 환원부(130)의 입구측 압력의 압력차가 제2 기준 압력 이하인 경우(S24), 배압조절 밸브(200)의 개도량을 높이는 단계(S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준 압력은 제2 기준 압력보다 더 크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기준 압력과 제2 기준 압력은 람다 센서(600)에 의해 측정되는 배기가스 중의 산소 농도를 모니터링한 데이터를 통해 최적으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배압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높이는 단계(S25)와 동시에 디피에프 재생 모드를 종료할 수도 있고, 배압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높이는 단계(S25)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디피에프 재생 모드를 종료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방법 중 패스트 웜업 모드에서 배기가스 저감장치(100)의 입구측 온도와 비교되는 기준 온도는 연료 소모량과 흡기 유량과 배기가스 저감효율 등을 모니터링한 데이터를 통해 최적으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아래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을 통해 연료 소모량과 흡기 유량과 배기가스 저감효율에 따른 기준 온도를 도출해 낼 수 있다.
제어장치(600)에는 이러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룩업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으며, 차량의 배기량과 운행 조건 등에 따라 매칭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기가스가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연료 소모량(kh/h) 흡기 유량(kg/h) 기준 온도(℃) 저감 효율(%)
7.63 423.1 190.15 50.13654
7.41 423.4 190.51 50.3012
7.26 418.6 190.74 50.45267
7.62 423.7 191.17 50.67289
7.37 424.7 191.41 50.866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압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촉매 활성화 온도 도달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디젤 엔진 20: 흡기 장치
30: 연료분사장치 40: 배기관
100: 배기가스 저감장치 110: 산화 촉매부
120: 입자상 물질 필터부 130: 선택적 촉매 환원부
200: 배압조절 밸브 300: 온도센서
400: 제1 압력센서 500: 제2 압력센서
600: 람다 센서 700: 흡기 유량센서
800: 연료 압력센서 900: 제어장치

Claims (5)

  1.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와, 상기 배기가스 저감장치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배압조절 밸브와,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서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배기가스를 저감하는 배기가스 저감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젤 엔진에 시동이 걸리는 것을 상기 제어장치가 감지하는 경우, 패스트 웜업 모드(fast warm-up mode)를 시작하는 패스트 웜업 모드 시작 단계;
    상기 패스트 웜업 모드에서 상기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입구측 온도와 기준 온도를 비교하는 온도 비교 단계; 및
    상기 온도 비교 단계에서 상기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입구측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배압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낮추어 상기 배기가스 저감장치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제1 목표 온도로 높이는 제1 승온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비교 단계에서 상기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입구측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패스트 웜업 모드를 종료하는 패스트 웜업 모드 종료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저감장치는 상기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에 대한 산화 반응을 촉진시키는 산화 촉매부와, 상기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PM)을 포집하는 입자상 물질 필터부와, 상기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의 저감을 위한 선택적 촉매 환원부(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가 상기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 유동 방향으로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젤 엔진이 시동된 상태인 것을 상기 제어장치가 감지하는 경우, 디피에프 재생 모드(DPF regeneration mode)를 시작하는 디피에프 재생 모드 시작 단계; 및
    상기 디피에프 재생 모드에서 상기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입구측 압력과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부의 입구측 압력의 압력차가 제1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배압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낮추어 상기 배기가스 저감장치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제2 목표 온도로 높이는 제2 승온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피에프 재생 모드에서 상기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입구측 압력과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부의 입구측 압력의 압력차가 제2 기준 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배압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높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방법.
KR1020180148966A 2018-11-27 2018-11-27 배기가스 저감방법 KR20200063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966A KR20200063421A (ko) 2018-11-27 2018-11-27 배기가스 저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966A KR20200063421A (ko) 2018-11-27 2018-11-27 배기가스 저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421A true KR20200063421A (ko) 2020-06-05

Family

ID=7108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966A KR20200063421A (ko) 2018-11-27 2018-11-27 배기가스 저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34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633A1 (ko) * 2020-06-26 2021-12-30 한국자동차연구원 배기가스 저감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633A1 (ko) * 2020-06-26 2021-12-30 한국자동차연구원 배기가스 저감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84274B2 (ja) ディーゼル車両用窒素酸化物の浄化制御方法
EP1965048B1 (en) Method of controlling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and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US6293096B1 (en) Multiple stage aftertreatment system
KR101234637B1 (ko) 질소산화물의 양을 예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기 장치
US2019020362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exhaust gas aftertreatmen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867854B1 (en) Exhaust purifi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50121852A1 (en) Techniques for raising exhaust temperatures
EP1802856B1 (en) Engine-driven vehicle with exhaust emission control
US87765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generating gasoline particulate filter
US20110265457A1 (en) Exhaust purify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07060785A1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KR20110023597A (ko) 배기 시스템
US8555619B2 (en) Exhaust system
JP5155718B2 (ja) 排気浄化装置
US20130067890A1 (en) Method of optimizing operating cost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90235648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683267B1 (ko) 내연기관의 배기정화장치 및 배기정화방법
JP2008138619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US88571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unloading hydrocarbon emissions from an exhaust after-treatment device
JP2004204699A (ja) 排気浄化装置
KR20200063421A (ko) 배기가스 저감방법
KR102518593B1 (ko) SDPF의 NOx 정화 효율 보정 방법
KR102072193B1 (ko) 촉매 미립자 필터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배기 가스 처리 방법
KR20130035077A (ko) 가솔린 엔진의 수트 재생 시스템 및 방법
WO2021261633A1 (ko) 배기가스 저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