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177A - 의류, 풋웨어 또는 액세서리 제품용 라이닝 - Google Patents

의류, 풋웨어 또는 액세서리 제품용 라이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177A
KR20200063177A KR1020207011827A KR20207011827A KR20200063177A KR 20200063177 A KR20200063177 A KR 20200063177A KR 1020207011827 A KR1020207011827 A KR 1020207011827A KR 20207011827 A KR20207011827 A KR 20207011827A KR 20200063177 A KR20200063177 A KR 20200063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channels
ribs
width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레티 마리오 폴레가토
리비오 폴로니
마르코 브루노
Original Assignee
제옥스 에스. 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옥스 에스. 뻬.아. filed Critical 제옥스 에스. 뻬.아.
Publication of KR20200063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7Lin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01Flexible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A45F2003/122Back cushioning parts or details of backpacks, e.g. with ventilation
    • A45F2003/125Back cushioning parts or details of backpacks, e.g. with ventilation with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리브(24, 113)와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채널(25, 114)을 구비한 직물을 포함하는 의류, 풋웨어 및 액세서리 제품용 라이닝(10, 110)으로서, 상기 채널(25, 11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한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류, 풋웨어 또는 액세서리 제품용 라이닝
본 발명은 의류, 풋웨어(footwear) 및, 예를 들면, 장갑, 배낭 및 백과 같은 의류의 액세서리 제품을 위한 라이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라이닝을 구비한 의류 및 풋웨어 제품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착용하는 가먼트(garment)인 풋웨어 및 의류의 둘 모두는, 예를 들면, 이 가먼트가 인체와 접촉하는 지점에 접촉 압력을 가함으로써 인체와 상호작용한다. 압력은 가먼트 자체의 중량 및 통상적으로 가먼트를 구성하는 직물의 장력에 기인한다.
가먼트는 사용자의 신체와 다소 연속적으로 접촉한다: 예를 들면, 어깨 상면의 접촉은, 의류 제품 자체의 중량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영역에서 제품을 하방으로 누르므로, 실질적으로 연속적이고 일정하다.
인체의 생체구조는, 예를 들면, 어깨의 상부의 직하에서 척추의 측면에 있는 등 부위에 대해 척추를 따라 중공이 생성되는 구조이다. 이 중공은 측면으로 확장된다. 이로 인해 의류 제품은 어깨의 상면의 직하 및 척추의 측면에서 등 부위의 신체에 더 밀착하고, 척추에서는 사용자의 신체와의 접촉이 적어진다.
접촉 압력은, 예를 들면, 직물의 더 큰 중량으로 인해 또는 직물을 이루고 있는 얀(yarn)이 받는 더 큰 장력으로 인해 접촉이 더 큰 영역에서 더 높다.
예를 들면, 코트 또는 재킷을 고려하면, 어깨의 상면에서의 접촉 압력은 주로 제품 자체의 중량에 의해 결정되는 반면에 어깨의 상면의 직하 및 척추의 측면의 등 부위에서의 접촉 압력은 주로 직물의 장력에 의해 결정된다.
도 1은 움직이고 있는 사람의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의 접촉 압력의 차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문자 A로 표시된 척추의 부위에서 접촉 압력은 실질적으로 0이다.
문자 B로 표시된 어깨의 상면 아래 및 척추(A)의 측면의 부위에서 접촉 압력은 0.7 kPa의 값에 달한다.
참조 문자 C로 표시된 옆구리 부위에서 접촉 압력은 최대 1.2 kPa의 더 큰 값에 달한다.
문자 D로 표시된 요추 부위에서 압력은 다시 실질적으로 0이다.
이 천미골 관절 부위에서 압력은 실질적으로 0이다.
문자 E로 표시된 중앙 영역에서 접촉 압력은 실질적으로 0이지만 2 개의 외부 영역(F)에서 최대 0.7 kPa까지 상승한다.
인체 자체도 마찬가지로 가먼트에 압력을 가한다. 이 압력은, 예를 들면, 체중 또는 신체의 움직임에 기인된다.
따라서, 가먼트는 예를 들면, 체중에 의해 붕괴되거나, 자체 중량에 의해 처지거나, 또는 일부의 영역이 지나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인체에 효과적이고 편안하게 착용되기에 적합해야 한다.
인체에는 체온으로 인한 증발에 의해 신체를 냉각시키기에 적합한 땀을 생성하는 땀샘이 다소 풍부한 부위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2의 (a) 및 (b)는 발한 부위의 분포를 각각 인체의 정면도 및 배면도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서 발한의 값은 다음의 표에 제시되어 있다.
부위 발한 [g/(m2*h)]
G 100-200
H 200-300
I 300-400
L 400-500
M 500-600
N 600-700
O 700-800
P 800-1000
Q 1000-1250
인체의 효과적인 체온조절을 유지하기 위해, 증기상의 땀이 가먼트 내부에서 응축하여 젖음 및 불편감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신체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중요하다.
위에 기술된 요건들은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동시에 그러나 상이한 범위로 존재한다.
특히, 이들 요건은 어깨, 등 부위, 척추 부위, 옆구리, 발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인체와 접촉하는 부분, 일반적으로 아우터웨어(outerwear) 또는 풋웨어의 라이닝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들 요건을 충족시키는 가먼트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려되는 발의 부위에 따라, 풋웨어 내에서 라이닝 또는 상부의 내면과 발 사이에서 상이한 값의 접촉 압력이 또한 발생한다.
정지 상태에서 발에는 발꿈치뼈에서의 후방 레스팅(resting), 제 5 중족골의 골두(head)에서의 전외측 레스팅, 및 제 1 중족골의 골두 및 종자골에서의 전내측 레스팅의 3 개의 레스팅 부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3 개의 레스팅 부위는 3 개의 족저궁의 존재를 결정한다.
- 5 개의 중족골 골두에 의해 형성된 전궁(anterior arch);
- 발꿈치뼈와 중족골의 제 5 골의 골두 사이의 외측 종족궁(lateral longitudinal arch);
- 발뒤꿈치, 거골, 주상골, 제 1 설상골 및 제 1 중족골에 의해 형성된 내측 종족궁(medial longitudinal arch); 주상골은 족궁의 정점에 있다.
운동 중에, 발의 레스팅은 3 개의 단계로 구성된다:
- 제 1 단계: 발뒤꿈치의 후방 부위와 지면의 접촉, 탤리그레이드 타임(taligrade time);
- 제 2 단계: 발뒤꿈치 영역, 전족(forefoot), 및 외측 종족궁에서 발의 외측 가장자리를 레스팅함, 플랜티그레이드 타임(plantigrade time);
- 제 3 단계: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중족골 골두의 레스팅을 점진적으로 해제하면서 전족만을 레스팅함, 디지티그레이드 타임(digitigrade time).
이는 정지 단계 및 운동 중의 둘 모두에서 발의 레스팅이 발바닥의 외측 부분 상에서 크게 발생하고, 발의 정중 영역에서 내측 부분은 발의 레스팅에 최소한으로만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로, 지지 및 통기 요건이 다르다.
현재, 사용자의 신체에 효과적인 온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의류, 풋웨어 또는 액세서리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동일 출원인 명의의 WO2015193385A1은 통기성 신발을 제공하기 위한 교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부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요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되는 내부 라이닝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은 상기 외부 상부로부터 사용자의 발을 분리시키고, 사용자의 발로부터 신발의 상부 외연부를 향해 멀어지는 땀의 우선 통로를 갖는다. 인용된 문헌에 기술된 신발은 또한 증기 투과성 안창을 포함하며, 이것은 적어도 내부 라이닝의 주변에 접합되어, 사용자의 발을 신발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간을 형성한다. 채널부 라이닝(channeled lining)과 안창의 조합된 특성은 발 주위 전체의 통기를 촉진한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에는 몇 가지 결점이 있다.
라이닝의 모든 채널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 및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열을 가지며, 신발의 하부 부분으로부터 상부 부분을 향해 배향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에서는 땀 배출에 관하여 발의 다양한 부위의 상이한 요건이 고려되지 않는다. 실제로는 혈액 공급이 더 많은 부위에서는 열의 생성이 더 많고, 땀샘이 더 많이 존재하는 부위에서는 땀의 생성이 더 많아진다.
따라서, 이들 부위는 발을 냉각시키기 위해, 그리고 발로부터 땀을 제거하기 위해 더 많은 통기가 필요하다.
또한, 안창은 단순히 사용자의 발을 신발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공간을 가지므로,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하는 발, 예를 들면, 발뒤꿈치에 보다 안정한 레스팅을 제공하는 영역이 없다.
EP 1723863A1은 연속적인 중공 채널 및 천공된 안창, 적절히 이격된 제 1 일련의 스페이서 요소 및 하부 안창으로 구성된 라이닝을 포함하는 신발을 제공하기 위한 교시를 포함한다.
이 종래 기술에도 일부의 결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신발에서, 공기는 하나의 채널과 임의의 높이의 다른 채널 사이의 공간 내로 유입되지 않고, 발의 하부에서 시작하여 채널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이유로, 라이닝의 대부분은 습한 따뜻한 공기의 추출로부터 배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신발에 통합된 통기 시스템의 제공을 교시하는 US2016/0213090도 또한 알려져 있으며, 이 신발은 일체형으로 접합되어 신발 내에서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통기성 중창을 포함하고, 이 통기성 중창은 상부의 적어도 하나의 통기 플랩 내에 삽입된다.
이 실시형태는 전통적인 신발에 대해 추가의 구성요소, 즉 플랩의 제조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발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상이한 내하중 능력을 갖는 영역을 형성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발의 상이한 부위가 갖는 상이한 정도의 발한에 비례하는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EP1367913B1은 층의 길이 방향으로 다공성을 갖는 다공질 층을 포함하는 직물을 구현하기 위한 교시를 포함한다. 상기 직물에는 다공질 층을 통과하는 유체, 예를 들면, 공기에 대해 투과성인 표면 및 채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개선될 수 있는 몇 가지 점이 있다.
공기는 직물을 횡방향으로 통과할 수 없으므로 통기의 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채널은 제한된 영역을 제외하고 해부학적 형태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의 통기를 최적화할 수 없다.
동일 출원인 명의의 EP1266584B1은 땀을 분배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된 내층과 외층 및 응축된 땀을 제품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된 중간층을 포함하는 다층 직물을 청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 해결책에는 다음의 결점이 있다: 내층은 친수성이므로 증기의 연속적이고 선형적인 외방 배출을 허용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의류 제품 내에서 결로가 발생한다. 또한, 직물을 따라 증기를 배출할 수 있는 채널 시스템이 없고 단지 직물을 관통하는 증기의 배출만이 가능하다.
상기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 동 출원인은 다층 직물을 청구하는 007235B1을 출원하였으며, 이 다층 직물은 사용자를 향해 채널화된 형태로 배치되고 사용자로부터 액체상 및 증기상의 땀을 제거하는 제 1 소수성 및 증기 투과성 층; 내부에 있는 제 1 층으로부터 외부에 있는 3 층으로 액체상의 땀을 전달하고, 내부에 있는 제 1 층으로부터 외부로 증기상의 땀을 전달하는 제 2 소수성 중간층; 및 땀의 외측으로의 증발을 촉진하는 제 3 친수성 외층을 포함한다.
상기 직물은 횡사 및 종사 룸(loom) 상에서 처리되고, 제 2 층의 필라멘트는 제 1 층 및 제 3 층의 스트립 내부로 직조되지만, 채널은 실질적으로 상호 평행한 그리고 상이한 요건에 따라 영역에 의한 구별이 허용되지 않는 방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표는 전술한 하나 이상의 양태에서 종래 기술을 개선할 수 있는 라이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것과 관련하여 증기상 및 액체상의 둘 모두에서 땀을 확실하게 더 잘 처리할 수 있는 라이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풋웨어 또는 의류 제품의 외부 재료가 증기 투과성이 아닌 경우에도 풋웨어 또는 의류 제품 내에서 발생되는 미세기후와 외부 미세기후 사이의 열 및 수증기의 정확한 교환을 위해 풋웨어 또는 의류 제품이 사용자의 신체의 주위에서의 통기를 가능하게 하는 데 사용되는 라이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생리학적으로 보다 편안하고, 사용자의 신체의 자연적인 온도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를 더 오랫동안 건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풋웨어 또는 의류 제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라이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임의의 기존의 해결책에 대한 대안으로 배경 기술의 결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뢰성이 높고, 제조가 비교적 용이하고, 비용이 경쟁력 있는 의류, 풋웨어 및 액세서리 제품용 라이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표뿐만 아니라 이하에서 더 명백해질 이들 목적 및 기타 목적은 임의선택적으로는 종속 청구항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구비하는 청구항 1에 따른 의류, 풋웨어 또는 액세서리 제품용 라이닝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에 비제한적인 실시례로서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풋웨어 및 액세서리 제품용 라이닝의 몇 가지 바람직한 그러나 비배타적인 실시형태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움직이고 있는 사람의 등의 다양한 부위에서의 접촉 압력의 차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의 (a) 및 (b)는 발한 부위의 분포를 각각 인체의 정면도 및 배면도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을 구비한 재킷의 내부 분해도이고;
도 4의 (a), (b) 및 (c)는 도 3의 라이닝의 3 개의 특정 부위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분해도의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을 구비한 신발의 내부의 분해도이다.
위에서 인용된 도 1을 참조하면, 접촉 압력이 특히 낮은 영역은, 예를 들면, 유리하게는 리브(rib)에 의해 생성된 채널을 구비한 3 차원 직물을 사용함으로써 의류 제품 내에서 통기를 촉진하는 하는데 적합하다.
상기 채널은 제품의 내부에 수용된 증기상의 땀 및 따뜻한 공기를, 예를 들면, 제품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개구를 향해 굴뚝 효과에 의해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 안내하도록 설계된다.
반대로, 접촉 압력이 보다 큰 영역에서는 사용자의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큰 표면 상에 접촉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신체와의 더 넓은 접촉 표면이 필요하다.
접촉 압력이 보다 큰 영역에서는 보다 일관된, 즉 더 큰 밀도를 갖는 라이닝 구조를 필요로 하며, 이것은, 예를 들면, 채널을 형성하는 리브를 더 작은 상호 거리에 배치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특히, 척추의 영역은 보다 큰 상호 거리를 갖는 리브에 의해 형성된 채널을 갖는 채널부 직물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밀도가 더 낮은 직물이 생성되고, 이는 어떤 경우에도 보다 낮은 접촉 압력에 견디는데 충분하다.
상기 채널은 주로 의류 제품의 아래로부터 상방을 따라 배향되어, 따뜻한 공기 및 증기상의 땀을, 굴뚝 효과에 의해, 유리하게는 제품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출구 개구를 향해 효과적으로 안내한다.
도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콩팥의 높이의 측면의 영역에서의 접촉 압력은 0이 아니더라도 매우 낮다.
이들 영역은 척추의 부위에 존재하고 이것과 혼합될 수 있는 채널과 같은 채널을 구비한 채널부 직물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겨드랑이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땀샘에 의해 생성된 땀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배출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이 땀은 응축하고, 측면을 따라 하강하고, 이곳으로부터 체온에 의해 다시 증발할 수 있다.
위에서 인용된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척추 부위는 특히 땀 생성 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명백하므로, 이 영역에서 인체의 효과적인 체온조절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통기가 필요하다.
도 2의 (a) 및 (b)는 또한 어깨, 등 부위, 어깨의 상면의 직하, 및 척추의 측면에서의 발한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함을 분명히 보여준다. 따라서, 이들 영역에서는 지지 요건과 적절한 통기 요건이 결합된다.
전술한 것을 고려하면, 재킷에 적용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의류 제품의 내층을 나타내는 라이닝이 전체로서 참조 번호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라이닝은 리브와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며, 이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한 폭을 갖는다. 상기 채널은 비직선적으로 연장된다. 일부의 영역에서 2 개 이상의 채널이 공통의 채널로 병합될 수 있다.
라이닝(10)은 우측 전방 부분(11), 후방 부분(12), 좌측 전방 부분(13) 및 2 개의 슬리브(14)를 포함한다.
후방 부분(12)은 사용자의 등과 접촉하는 한편, 우측 전방 부분(11) 및 좌측 전방 부분(13)은 신체의 앞 부분과 접촉한다.
우측 전방 부분(11)과 좌측 전방 부분(13)은 사용자와 일체인 배향에 대해 결정된다.
3 개의 부분(11, 12, 13)의 각각의 하나는 밀도가 상이한 3 개의 직물 영역을 포함한다.
각각의 영역은 채널(25)에 의해 이격된 복수의 리브(24)를 갖는다.
특히, 저밀도 영역(15), 중밀도 영역(16) 및 고밀도 영역(17)이 존재한다.
상이한 밀도는 리브들 사이의 상호 거리, 따라서 직물의 상이한 채널링, 즉 채널의 밀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자체 공지된 방식으로 실시되는 재킷의 조립 중에, 후방 부분(12), 우측 전방 부분(11), 좌측 전방 부분(13) 및 슬리브(14)는 동일한 밀도를 갖는 영역과 결합함으로써 그리고 채널을 혼합함으로써 상호 일체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채널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열을 따른다.
저밀도 영역(15)에 존재하는 리브 및 채널은 척추(18)에 근접하여 그리고 제품의 전방 클로저(19)에 근접하여 주로 수직 배향을 따른다.
도 4의 (a), (b) 및 (c)는 각각 저밀도 영역(15), 중밀도 영역(16) 및 고밀도 영역(17)의 단면을 도시한다.
저밀도 영역(15)에서, 리브 및 채널의 방향은 제품(19)의 척추(18) 및 클로저에 대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각도를 취하며, 제품(19)의 척추(18) 및 전방 클로저에서의 0°로부터 시작하여 제품의 측면에서 90°가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습한 따뜻한 공기는 특히 통과를 지연시켜 증기상 땀의 결로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고밀도의 직물 영역의 통과가 방지되고, 장애물이 없는 경로를 따라 제품의 측면으로부터 제품의 척추(18) 및 클로저에 근접한 주로 수직 채널을 향해 이동한다.
중밀도 영역(16)에서, 적절한 통기와 라이닝에 대한 적절한 지지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리브들은 저밀도 영역에 비해 서로 더 근접하고, 채널들은 더 좁은 폭을 갖는다.
또한, 리브 및 채널은 척추(18)에 대해 3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의 각도를 형성한다.
이러한 배향은 습한 공기가 최단 경로를 따르도록 할 수 있고, 척추(18) 및 전방 클로저(19)에 근접한 채널을 차단한다.
유리하게는, 기술된 각도의 폭은 의류 제품의 수직 연장부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즉 의류 제품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품의 수직 연장부가 증가하고 기술된 채널 각도의 폭은 감소한다.
고밀도 영역(17)에서, 채널은 신체로부터 습한 따뜻한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중밀도 영역(16) 및 저밀도 영역(15)을 특징짓는 것보다 짧은 경로를 따를 수 있다.
고밀도 영역(17)은 실제로 어깨의 상면에, 즉 신체의 최고점 영역에 위치하며, 이곳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출구 개구가 있다.
고밀도 영역(17)에서, 채널은 습한 따뜻한 공기의 흐름의 차단을 감소시키기 위해 중밀도 영역(16)의 채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한다.
특히, 고밀도 영역(17)의 채널은 습한 따뜻한 공기의 흐름의 급격한 방향전환을 방지하고 증기상의 땀의 응축의 우려를 억제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균일한 경사를 유지한다.
중밀도 영역(16)에서와 같이, 고밀도 영역(17)에서도 채널은 척추(18) 및 전방 클로저(19)에 대해 3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의 각도를 취한다.
리브 및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영역(17)이 서로 더 근접한 리브를 갖도록 그리고 채널의 평균 폭이 중밀도 영역(16)보다 더 작아지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즉, 이 영역(17)에는 단위 면적당 채널의 수가 더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2 개의 영역을 연결하기 위해, 중밀도 영역(16)의 다수의 채널(20)은 고밀도 영역(17)의 동일한 채널(22) 내로 병합될 수 있고, 중밀도 영역(16)의 리브(21)는 고밀도 영역(17) 내에서 다수의 리브(23)로 분기될 수 있다.
리브는 0.5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 mm의 두께를 갖는다.
채널은 2 개의 연속 리브 사이에 1 mm 내지 20 mm의 평균 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채널은 라이닝의 붕괴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고 응축의 우려를 감소시키기 위해 증기상의 땀의 흐름이 과도하게 느려지지 않도록 15 mm² 미만의 횡단면을 갖는다.
특히, 저밀도 영역(15)에서, 리브는 1 내지 4 mm의 폭을 가지며, 채널은 6 내지 20 mm의 폭을 갖는다.
중밀도 영역(16)에서, 리브는 2 내지 5 mm의 폭을 가지며, 채널은 3 내지 6 mm의 폭을 갖는다.
고밀도 영역(17)에서, 리브는 1 내지 7 mm의 폭을 가지며, 채널은 1 내지 3 mm의 폭을 갖는다.
도 6을 참조하면, 풋웨어에 적용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이 전체로서 참조 번호 110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것은 발의 발바닥과 접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중앙 부분(111), 및 발바닥(111)의 표면을 제외한 발의 표면의 평면의 연장부에 대응하는 2 개의 외측 부분(112a, 112b)에 대응한다.
이 3 개의 부분은 다수의 부재를 접합하고 이어서 연결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라이닝(110)은, 증기상의 땀의 통과를 위해, 리브(113)에 의해 한정된 채널(114)에 의해 형성된 매우 정확한 영역에 위치하는 우선 통로를 포함한다.
특허의 환자의 문맥에서 "선호"라는 용어는 증기 상의 땀의 부분에 대한 "선호"의 의미를 가지며, 이것이 통로를 구비한 영역 및 통로를 구비하지 않은 영역을 갖는 재료와 만났을 때 통로에 의해 끌어당겨짐으로써 이것을 "선호"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통로가 없는 영역에 비해 통로를 포함하는 영역이 선호된다.
중앙 부분(111)은 라이닝의 상이한 밀도에 의해 형성된 6 개의 영역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중앙 부분(111)은 발뒤꿈치 영역(115), 외측 종족궁(120)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외부 외측 정중 영역(116), 중족골(121)의 골두의 영역, 발뒤꿈치(115)와 중족골(121)의 골두 사이에 포함된 내부 외측 정중 영역(119), 원위 표면에 대응하는 원위 전족 영역(118), 및 중족골(121)의 골두 영역과 원위 영역(118) 사이에 포함된 중간 전족 영역(117)을 포함한다.
외부 외측 정중 영역(116) 내에 배치된 리브는 외측 종족궁(120)의 돌출부에 대하는 부분에서 발의 레스팅의 거동을 따르며, 즉 발의 발바닥의 평면의 연장부 상에서 외측 종족궁의 돌출부를 따른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적의 지지가 제공된다.
내부 외측 정중 영역(119)은 더 적은 지지를 필요로 하므로, 리브는 더 큰 상호 거리에 배치되어 더 넓은 채널을 형성하고, 외측 종족궁(120)의 돌출부의 영역의 표면에 비해 더 많은 통기를 촉진하고, 발을 지지하기 위한 필요성이 통기에 대한 필요성보다 우세하다.
내부 외측 정중 영역(119) 내의 채널은 발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발의 길이 방향은 전족을 발뒤꿈치에 연결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발의 레스팅에도 관련되는 중족골(121)의 골두 영역은 외측 종족궁(120)과 유사한 지지체를 필요로 하며, 이에 의해 리브와 채널은 동일한 배열이 된다.
중간 전족 영역에서 발은 지면에 대해 대부분 상승되어 있다.
중간 전족 영역(117)에서 발은 또한 땀샘이 매우 풍부하므로, 적절한 통기의 필요성이 지지의 필요성에 비해 우세하다.
이 부분에서 리브는 외부 외측 정중 영역(116)보다 큰 상호 거리에 배치되어 더 넓은 채널을 형성하므로 효과적인 통기를 촉진한다.
유리하게는, 중간 전족 영역(117)에서, 리브 및 이에 따라 채널은 발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최단 경로를 따라 열 및 증기상 땀의 제거를 촉진한다.
유리하게는, 중간 전족 영역(117)은 원위 전족 영역(118)을 향해 돌출하는 로브(lobe) 형상의 부분(117a)을 포함한다. 특히, 이 부분(117a)은 바람직하게는 발의 제 1 발가락과 제 3 발가락 사이에 포함되는 영역에 대응한다.
정지 단계 및 운동 중의 둘 모두에서 체중은 주로 영역(115)에서 발목의 최대의 뼈인 발꿈치뼈 상에 배출된다.
발꿈치뼈에서 발의 발바닥의 표면에는 실질적으로 땀샘이 없다.
이러한 이유로, 발뒤꿈치 영역(115)에서는 발의 지지의 필요성이 적절한 통기의 필요성보다 우세하다.
발뒤꿈치 영역(115)의 라이닝에는 리브 및 채널이 없다.
전족의 원위 영역에서 발의 발바닥의 표면의 부분은 발의 추진 단계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효과적인 추진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지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원위 영역(118)에서는 발 지지의 필요성이 우세하다.
원위 영역(118)에서 리브 및 채널은 외부 외측 정중 영역(116)에 배치된 것과 유사한 밀도 및 배열을 갖는다.
특히,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향된다.
외부 외측 정중 영역(116) 및 원위 영역(118)은 고밀도 영역이다.
고밀도 영역에서, 리브는 1 내지 7 mm의 폭을 가지며, 채널은 1 내지 3 mm의 폭을 갖는다.
내부 외측 정중 영역(119)은 중밀도 영역이다.
중밀도 영역에서, 리브는 2 내지 5 mm의 폭을 가지며, 채널은 3 내지 6 mm의 폭을 갖는다.
전족의 중간 영역(117)은 저밀도 영역이다.
저밀도 영역에서, 리브는 1 mm 내지 4 mm의 폭을 가지며, 채널은 6 mm 내지 20 mm의 폭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예를 들면, 보다 집중적인 사용을 목적으로 한 풋웨어에서, 예를 들면, 외부 외측 정중 영역(116)에서 통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추가의 채널(114a)이존재하는 채널(114)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것들은 발에 대해 횡방향인 방향으로 따라 배치된다.
횡방향의 추가의 채널(114a)은 유리하게는 동일한 목적을 위해 원위 영역(118)데도 배치될 수 있다.
외측 부분(112a, 112b)의 각각은 발바닥(111)과 접하는 각각의 연부(122a, 122b)로부터 각각의 반대측 연부(123a, 123b)까지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채널(114)을 갖는다.
발의 정중 영역에 근접하여 리브는 효과적인 통기를 촉진하도록 더 큰 상호 거리에 배치되어 더 넓은 채널을 형성한다.
반대로, 마모 및 응력의 영향을 받기 쉬운 발뒤꿈치 및 발가락에 가장 가까운 영역 및 운동 중에 발의 속박의 필요성이 우세한 영역에서 리브는 더 근접하고 채널은 더 좁다.
외측 부분(112a, 112b)의 채널은 응축의 형성을 유발할 수 있는 증기상 땀의 흐름의 정체 지점 및/또는 중단 지점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능한 한 차단 및 교차를 감소시키도록 연장된다.
외측 부분(112a, 112b)에서 채널의 폭은 연부(122a, 122b)로부터 멀어져서 연부(123a, 123b)에 접근함에 따라 감소한다.
유리하게는, 채널은 연부(122a, 122b)에서 더 큰 단면을 가지며, 연부(123a, 123b)에서 더 작은 단면을 갖는다.
이 단면의 차이는 따뜻한 공기 및 증기상 땀의 가속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이것은 자연적으로 풋웨어의 상부 부분을 향해 상승하여 풋웨어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그 배출을 촉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110)은 깔창(footbed)을 사용할 필요 없이 중앙 부분이 발 레스팅 표면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풋웨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풋웨어의 비용 절감이 달성된다.
이러한 특정의 구성에서, 라이닝은 발의 생체구조 및 특히 내측 종족궁 및 외측 종족궁의 형상을 따르도록 상이한 두께의 직물을 갖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직물의 두께는, 예를 들면, 외측 종족궁에 비해 내측 종족궁에서 더 두껍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의 부분들의 각각은 유리하게는 3 차원 직물에 의해 형성된다.
"3 차원 직물"이라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구성 섬유가 상호 수직인 평면 관계로 배치되어 있는 단일 직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제조 프로세스의 관점에서, 3D 유형의 직물에서는, 섬유 X 및 섬유 Y의 세트가 축방향 섬유 Z의 행 및 열로 직조된다. "섬유 X 및 Y의 세트"라는 표현은 수평 횡사(weft) 세트 및 수직 횡사 세트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섬유 Z"라는 표현은 다층 종사(warp) 세트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2D 유형의 직조 프로세스에서도 3 차원 직물을 얻을 수 있다.
3 차원 직물은 평편기(flat knitting machine) 또는 원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 상에서의 니팅에 의해서도 얻어질 수 있다.
리브 및 채널은 직물을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 중에 직접 얻어질 수 있거나, 후속적으로, 예를 들면, 채널이 전혀 없거나 부분적으로 없는 직물로부터 출발하는 열성형 또는 고주파 히트 실링 프로세스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리브 및 채널이 직물을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 중에 직접 얻어지는 경우, 이것은 직조 프로세스에 의해 이것을 재현하기 위해 만곡된 프로파일의 필요한 분리(discretization)로 인해 톱니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3 차원 직물은 모노필라멘트 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3 차원 직물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소수성 층 및 반대측에 배치되는 친수성 층의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층의 표면에 더 부드럽고 더 쾌적한 질감을 제공하는 내핑 프로세스(napping process)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아미드와 같은 합성 얀, 또는, 예를 들면, 양모, 면, 린넨과 같은 천연 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라이닝 및/또는 안창을 구성하는 직물 상에 직접 채널을 얻을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직물에 공성형(co-molding)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또는 폴리우레탄(PU)을 포함하는 폴리머 발포체 또는 라미네이트로 제조된 채널부 삽입체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풋웨어의 복잡성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은 리브와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한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을 포함하는 의류, 풋웨어 및 액세서리 제품용 라이닝을 제공하는 의도하는 목표 및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이 구상된 본 발명은 다수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고, 이들 모두는 첨부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고, 모든 세부사항은 다른 기술적으로 등가인 요소와 치환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되는 소재는 특정의 용도, 뿐만 아니라 부수하는 형상 및 치수에 적합한 한 요건 및 최신 기술에 따라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본원이 우선권을 주장하는 이탈리아 특허출원 번호 102017000107834에 개시된 내용은 원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임의의 청구항에 언급된 기술적 특징에 참조 부호를 병기된 경우, 이 참조 부호는 오로지 청구항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위해 포함된 것이므로 이러한 참조 부호는 예시적으로 이것에 의해 특정되는 각각의 요소의 해석을 제한하는 효과를 갖지 않는다.

Claims (15)

  1. 리브(24, 113)와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채널(25, 114)을 구비한 직물을 포함하는 의류, 풋웨어(footwear) 및 액세서리 제품용 라이닝(10, 110)으로서,
    상기 채널(25, 11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한 폭을 갖는, 라이닝(10, 1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25, 11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직선적인, 라이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25, 114) 중 적어도 2 개는 공통의 채널로 그룹화된, 라이닝.
  4. 리브(24, 113)와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채널(25, 114)을 포함하는 의류, 풋웨어 및 액세서리 제품용 라이닝(10, 110)으로서,
    상기 라이닝은 고밀도의 채널(17, 116, 118)을 구비한 영역, 중밀도의 채널(16, 119)을 구비한 영역, 저밀도의 채널(15, 117)을 구비한 영역을 포함하는, 라이닝.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24)는 0.5 mm 내지 4 mm의 두께를 갖는, 라이닝.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25, 114)은 15 mm² 미만의 횡단면을 갖는, 라이닝.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영역(15, 117)에서, 상기 리브(24, 113)는 1 mm 내지 4 mm의 폭을 가지며, 상기 채널(25, 114)은 6 mm 내지 20 mm의 폭을 갖는, 라이닝.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중밀도 영역(16, 119)에서, 상기 리브(24, 113)는 2 mm 내지 5mm의 폭을 가지며, 상기 채널(25, 114)은 3 mm 내지 6 mm의 폭을 갖는, 라이닝.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영역(17, 116)에서, 상기 리브(24, 113)는 1 mm 내지 7 mm의 폭을 가지며, 상기 채널(25, 114)은 1 mm 내지 3 mm의 폭을 갖는, 라이닝.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라이닝(110)으로서,
    풋웨어의 경우, 상기 라이닝은 발의 발바닥에 대응하는 중앙 부분(111) 및 2 개의 외측 부분(112a, 112b)을 포함하는, 라이닝.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라이닝(110)으로서,
    상기 중앙 부분(111)의 두께는 외측 종족궁에 비해 내측 종족궁에서 더 큰, 라이닝.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라이닝(110)으로서,
    상기 외측 부분(112a, 112b)은, 상기 중앙 부분(111)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하나의 연부(122a, 122b)로부터 반대측 연부(123a, 123b)까지 상기 채널(114)의 연장부를 갖는, 라이닝.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라이닝(110)으로서,
    상기 연부(122a, 122b)에서 상기 외측 부분(112a, 112b)의 채널(114)의 폭은, 상기 중앙 부분(111)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반대측 연부(123a, 123b)에서의 폭보다 큰, 라이닝.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라이닝(110)으로서,
    상기 외측 부분(112a, 112b)의 상기 채널(114)의 단면은, 상기 중앙 부분(111)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반대측 연부(123a, 123b)의 단면에 비해 상기 연부(122a, 122b)에서 더 큰, 라이닝.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라이닝(110)으로서,
    상기 중앙 부분(111)은 상기 외측 종족궁(120)의 돌출 영역 및 상기 중족골(121)의 골두 영역에 대응하는 외부 외측 정중 영역(116) 및 원위 표면에 대응하는 원위 전족 영역(118)을 포함하고, 이들 3 개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채널(114)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추가의 채널(114a)을 갖는, 라이닝.
KR1020207011827A 2017-09-27 2018-09-21 의류, 풋웨어 또는 액세서리 제품용 라이닝 KR202000631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7000107834A IT201700107834A1 (it) 2017-09-27 2017-09-27 Fodera perfezionata per capi d'abbigliamento, calzature o accessori
IT102017000107834 2017-09-27
PCT/EP2018/075567 WO2019063426A1 (en) 2017-09-27 2018-09-21 LINING FOR CLOTHING PARTS, FOOTWEAR OR ACCESSOR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177A true KR20200063177A (ko) 2020-06-04

Family

ID=6100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827A KR20200063177A (ko) 2017-09-27 2018-09-21 의류, 풋웨어 또는 액세서리 제품용 라이닝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678705B2 (ko)
EP (2) EP3687331A1 (ko)
JP (1) JP2020535325A (ko)
KR (1) KR20200063177A (ko)
CN (1) CN111225578A (ko)
CA (1) CA3077222A1 (ko)
ES (1) ES2948304T3 (ko)
IT (1) IT201700107834A1 (ko)
TW (1) TWI759551B (ko)
WO (1) WO20190634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6031S1 (en) * 2020-03-06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u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2659B1 (en) * 2019-09-12 2023-12-05 Preferred Prescription, Inc. Therapeutic shirt with high compression material positioned over externally accessed pockets housing custom heat/cold packs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572A (en) * 1899-02-11 1900-01-16 Samuel Arnsfield Combined shoe ventilator and cushion.
US2451758A (en) * 1945-10-30 1948-10-19 Malm Henry Rubber glove
US2782619A (en) * 1954-10-07 1957-02-26 Daniel Bialostok Sweat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052053A (en) * 1988-12-05 1991-10-01 O'neill, Inc. Garment for aquatic activities having increased elasticit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515543A (en) * 1994-07-13 1996-05-14 Gioello; Debbie Multilayered ribbed ventilating garment
US5708985A (en) * 1996-11-12 1998-01-20 Ogden & Company, Inc. Enhanced frictional engagement sock
GB0100560D0 (en) 2001-01-09 2001-02-21 Lamination Technologies Ltd Clothing
ITPD20010144A1 (it) 2001-06-12 2002-12-12 Nottington Holding Bv Struttura di tessuto per capi di abbigliamento e calzature.
US6997888B2 (en) 2002-07-08 2006-02-14 Rehrig Glenn A Libido stimulat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DE20300973U1 (de) * 2003-01-21 2003-03-27 Brand Factory Swiss Gmbh Rotkr Socke
US7048013B2 (en) * 2003-07-07 2006-05-23 Maidenform, Inc. Elastic material having variable modulus of elasticity
US7347011B2 (en) * 2004-03-03 2008-03-2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textile upper
EP1723863A1 (en) 2005-05-20 2006-11-22 USS Safety System S.p.A. Footwear with high comfort
US7392601B2 (en) 2005-06-02 2008-07-01 The Timberland Company Chimney structures for apparel
US8359769B2 (en) * 2005-06-02 2013-01-29 The Timberland Company Chimney structures for footwear
ITPD20060098A1 (it) 2006-03-21 2007-09-22 Geox Spa Struttura perfezionata di tessuto particolarmente per capi d'abbigliamento e calzature
WO2007143980A1 (de) * 2006-06-12 2007-12-21 X-Technology Swiss Gmbh Bekleidungsstück
US7856668B2 (en) * 2006-09-29 2010-12-28 Nike, Inc. Article of apparel for resistance training
JP5086760B2 (ja) * 2007-10-10 2012-11-28 岡本株式会社 靴下
KR101109100B1 (ko) * 2009-08-20 2012-01-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복
UA108665C2 (uk) * 2010-09-03 2015-05-25 Вентиляційний елемент підошви, а також скомпонований блок підошви і водонепроникний, дихаючий предмет взуття, які містять його
US8656515B2 (en) * 2011-01-11 2014-02-25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Performance apparel with flexible portion
DE202011050261U1 (de) * 2011-05-26 2012-08-27 X-Technology Swiss Gmbh Sportbekleidungsstück
US9056662B2 (en) * 2012-02-29 2015-06-16 Nike, Inc. Wetsuits with hydrodynamic interlocking and kinesiologic features
US9539487B2 (en) * 2013-03-12 2017-01-10 Nike, Inc. Multi-material impact protection for contact sports
US9850601B2 (en) * 2013-06-17 2017-12-26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Knitted athletic performance garment
US9226527B2 (en) * 2013-08-13 2016-01-05 Peter D. Dahlgren Sock
TWI569960B (zh) * 2014-04-25 2017-02-11 福懋興業股份有限公司 溫度調節布料
RS60555B1 (sr) 2014-06-17 2020-08-31 Geox Spa Cipela sa ventilacijom
US20160213090A1 (en) 2015-01-23 2016-07-28 Wolverine World Wide, Inc. Ventilated footwear construction
CA2986586C (en) * 2015-05-22 2022-05-31 Nike Innovate C.V. Recovery tight with preconfigured compression zones and integrated structure patterns
US10201567B2 (en) * 2015-10-15 2019-02-12 Under Armour, Inc. Article of apparel for topical delivery of bioresorbable material
US10575569B2 (en) * 2016-05-27 2020-03-03 Nike, Inc. Zoned insulation garment
US11213082B1 (en) * 2017-05-18 2022-01-04 Paul Yang Seamless compression garments
US20200399801A1 (en) * 2019-06-19 2020-12-24 J Michael Ogden Socks for improved venous retur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6031S1 (en) * 2020-03-06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29523A1 (en) 2020-07-23
CA3077222A1 (en) 2019-04-04
EP3785560B1 (en) 2023-05-31
JP2020535325A (ja) 2020-12-03
US11678705B2 (en) 2023-06-20
WO2019063426A1 (en) 2019-04-04
EP3785560A1 (en) 2021-03-03
TWI759551B (zh) 2022-04-01
TW201919500A (zh) 2019-06-01
CN111225578A (zh) 2020-06-02
EP3687331A1 (en) 2020-08-05
IT201700107834A1 (it) 2019-03-27
RU2020114679A (ru) 2021-10-27
ES2948304T3 (es)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9443B2 (en) Footwear uppe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sock and tongue portions
EP3282878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knitted component having biased inter-toe member
US10111495B2 (en) Ventilated shoe
BR112015000760B1 (pt) artigos de calçado
TW201609010A (zh) 具有用於鞋面之跟部的編織組件之鞋類物件
EP3937711B1 (en) Article of hosiery
KR20200063177A (ko) 의류, 풋웨어 또는 액세서리 제품용 라이닝
US20230123301A1 (en) Shoe with foam pods and chassis
EP4277490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knitted upper and method to produce an upper
RU2786167C2 (ru) Подкладка для предметов одежды
JP7430637B2 (ja) 靴下用の動的換気システム
RU2801657C2 (ru) Чулочно-носочное изделие
WO2024110847A1 (en) Upper with engineered support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