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864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864A
KR20200062864A KR1020180148773A KR20180148773A KR20200062864A KR 20200062864 A KR20200062864 A KR 20200062864A KR 1020180148773 A KR1020180148773 A KR 1020180148773A KR 20180148773 A KR20180148773 A KR 20180148773A KR 20200062864 A KR20200062864 A KR 20200062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display device
display
inform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8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2864A/ko
Priority to PCT/KR2019/002307 priority patent/WO2020111394A1/ko
Publication of KR20200062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8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식별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부터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노멀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노멀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전 모드에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예를 들어,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욕구 등)를 반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 및/또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욕구 중 하나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어느 하나의 외부 기기(예를 들어, 냉장고, 청소기 등 외부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하고자 하는 욕구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사용자의 욕구에 부합하도록 더욱 편리하게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 및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한편, 네트워크 기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전자 기기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동작하는 IoT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는 기존의 IT (information technology)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절전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외부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식별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부터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노멀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노멀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은, 상기 제어 장치에 마련된 전원 버튼 또는 특정 목적용 버튼에 대응하는 온/오프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벽면을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배경 이미지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 및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을 위해 설정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 또는 상기 외부 기기를 마지막으로 동작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은 알림창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창은,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 종료 알림 및 상기 동작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은, 상기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상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 모드, 동작 진행 정도, 동작 종료까지 남은 시간, 사용 전력량, 및 동작 이력, 및 상기 외부 기기 주변 환경의 시간대별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터치 입력, 및 음성 명령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 이력을 기초로 기 생성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외부 기기가 감지한 상기 제1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음성 명령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부터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노멀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 상기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전 모드로부터 노멀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 동작 중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식별하고 적어도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기기 제어 화면에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표시하고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기기 제어 화면에 알림창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기기 제어 화면에 외부 기기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기 생성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기기의 동작 이력을 고려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실시예들은 사이니지(signage)나 TV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대형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 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노멀 모드(normal mode) 또는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노멀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노멀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기 저장된 컨텐츠 또는 외부 소스(예를 들어, 방송국, 서버 등)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이다.
절전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노멀모드로 동작하는 것에 비교해서 낮은 전력으로 동작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입력을 기다리는 모드이다. 절전 모드는 대기 모드로 언급될 수도 있다. 종래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 또는 대기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꺼지고,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내부 구성요소들은 대부분 최소한의 전력만을 소비하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를 의미하였다. 그러나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은 최소한의 전력을 소비하면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하여 날씨 정보나, 갤러리나, 벽면 이미지 등 다양한 컨텐츠 또는 정보를 제공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1 주파수(예를 들어, 120Hz 또는 240Hz)로 디스플레이를 구동할 수 있으며,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제2 주파수(예를 들어, 60Hz)로 디스플레이를 구동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낮은 주파수로 디스플레이를 구동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예를 들어, 리모컨)에 마련된 전원 버튼 또는 특정 목적용 버튼을 눌러서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벽면을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배경 이미지일 수 있다. 배경 이미지가 표시되는 절전 모드를 주변 모드(ambient mode)라고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실제 벽면과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 벽면의 이미지를 배경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마치 유리창이 된 것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절전 모드 또는 주변 모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여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하지 않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액자처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이미지 표시와 함께 오디오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심미적 경험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0)을 표시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배경 이미지로 표시된 벽면 이미지에 오버랩하여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0)을 표시할 수 있다.
외부 기기는 일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냉장고, 청소기, 로봇 청소기, 세탁기,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과 같은 가전기기들이 외부 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핸드폰 등 모바일 기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피커, 조명 기기 등 다양한 전자 기기가 외부 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 기기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거나 다양한 통신 방식에 의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기기이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된 통신망으로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3G, 4G, 5G, 및 wifi 등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일 수 있고,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로라(LoRa, long Range) 기술, LoRaWAN(Long Range Wide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애드혹 네트워크(Ad-hoc network),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유선 인터넷 등 다양한 통신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가 냉장고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0)을 통해 냉장고의 식별 정보(111)로 냉장고의 이미지, 냉장고의 상태 정보(111-1)로 냉장 온도 및 냉동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외부 기기가 모바일 장치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의 식별 정보(112)로 모바일 장치의 이미지, 모바일 장치의 상태 정보(112-1)로 새로운 알림이3건 있다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외부 기기가 로봇 청소기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로봇 청소기의 식별 정보(113)로 로봇 청소기의 이미지, 로봇 청소기의 상태 정보(113-1)로 로봇 청소기가 자동 모드로 청소중이라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외부 기기가 세탁기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세탁기의 식별 정보(114)로 세탁기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0)을 통해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외부 기기가 에어컨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에어컨의 식별 정보(115)로 에어컨의 이미지, 에어컨의 상태 정보(115-1)로 설정 온도 및 현재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0)은 외부 기기의 동작 종료 알림 및 동작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알림창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알림창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0)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터치 입력, 및 음성 명령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2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에서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0)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여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하지 않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0)을 통해 쉽게 외부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으로 동작하며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홈 IoT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모드에서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0)을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벽면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화면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동안 외부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환경의 심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 오프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대응하여 절전 모드에 진입하고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0)을 표시함으로써, 홈 IoT에 대한 접근을 어려워하거나 홈 IoT의 활용 방법을 잘 모르는 사용자가 쉽게 홈 IoT 에 접근하고 홈 IoT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로세서(210), 통신부(220), 메모리(230), 및 디스플레이(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부 및 유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30)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절전 모드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20)는 제어 장치(300), 보조 장치(400)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신호 입력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다양한 통신 방법에 따라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된 통신망으로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3G, 4G, 5G, 및 wifi 등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일 수 있고,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로라(LoRa, long Range) 기술, LoRaWAN(Long Range Wide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애드혹 네트워크(Ad-hoc network),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유선 인터넷 등 다양한 통신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외부 기기로부터 식별 정보 및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보조 장치(400)로부터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외부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 또는 보조 장치(400)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또한 RF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 및 IR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RF 모듈은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는 제어 신호 입력부(225)를 통해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어 신호(또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또는 입력)은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어 장치(300)에 마련된 전원 버튼 또는 특정 목적용 버튼에 대응하는 온/오프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노멀 모드를 종료하고 절전 모드에 진입하도록 하는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를 종료하고 노멀 모드에 진입하도록 하는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어 신호(또는 입력)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부(220)가 제어 신호 입력부(225)를 통해 제어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제어 신호(또는 입력)은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를 들어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는 광 수신부에 의해 제어 신호(또는 입력)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신호(또는 입력)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에 저장된 프로그램(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240)는 프로세서(21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24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4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30)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220)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식별하고,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부터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노멀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제어 장치로부터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부터 노멀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에서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0)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여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하지 않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0)을 통해 쉽게 외부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으로 동작하며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홈 IoT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마련된 전원 버튼 또는 특정 목적용 버튼에 대응하는 온/오프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 오프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대응하여 절전 모드에 진입하고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0)을 표시함으로써, 홈 IoT에 대한 접근을 어려워하거나 홈 IoT의 활용 방법을 잘 모르는 사용자가 쉽게 홈 IoT 에 접근하고 홈 IoT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벽면을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배경 이미지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모드에서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0)을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벽면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화면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동안 외부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환경의 심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는,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 및 외부 기기의 동작을 위해 설정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는,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 또는 외부 기기를 마지막으로 동작한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은 알림창을 포함하고, 알림창은, 외부 기기의 동작 종료 알림 및 동작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은,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상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세 정보는, 외부 기기의 동작 모드, 동작 진행 정도, 동작 종료까지 남은 시간, 사용 전력량, 및 동작 이력, 및 외부 기기 주변 환경의 시간대별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터치 입력, 및 음성 명령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에서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0)을 표시하고,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외부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으로 동작하며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홈 IoT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 이력을 기초로 기 생성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는, 제1 외부 기기가 감지한 제1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외부 기기의 동작에 관련된 소정의 환경 정보를 제2 외부 기기가 감지하기는 어려우나 제1 외부 기기가 감지할 수 있는 경우, 제1 외부 기기가 감지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외부 기기를 동작함으로써 홈 IoT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음성 명령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통신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고, 채널을 변경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장치(portable device)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는 리모컨(remote controller)일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300)는 프로세서(310), 통신부(320), 및 사용자 입력부(330) 를 포함한다. 통신부(320)는 RF 모듈 및 IR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3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RF 모듈은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3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330)를 조작하여 제어 장치(3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0)가 하드 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 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제어 장치(3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를 터치하여 제어 장치(3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300)는 자이로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제어 장치(300)의 움직임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이로 센서는 제어 장치(3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300)는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제어 장치(3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프로세서(310)는 자이로 센서 및 RF 모듈을 제어하여, RF 모듈이 자이로 센서에서 센싱한 제어 장치(300)의 움직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RF 모듈 또는 IR 모듈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310)는 통신부(320)를 제어하여, 통신부(320)가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게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 자체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수행하고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은 보조 장치에서 수행되며, 보조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장치는 삼성전자의 원 커넥트 제품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보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보조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보조 장치(400)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장치(400)는 외부 기기 1 내지 외부 기기 n (401-1 내지 401-n)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처리하고, 처리한 데이터를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외부 기기 1 내지 외부 기기 n (401-1 내지 401-n)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보조 장치(400)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및 외부 기기 1 내지 외부 기기 n (401-1 내지 401-n)을 제어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보조 장치(400)는 프로세서(410), 통신부(420), 및 메모리(43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메모리(430)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10)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절전 모드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4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제어 장치(300)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외부 기기로부터 식별 정보 및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신호 입력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다양한 통신 방법에 따라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20)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된 통신망으로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3G, 4G, 5G, 및 wifi 등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일 수 있고,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로라(LoRa, long Range) 기술, LoRaWAN(Long Range Wide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애드혹 네트워크(Ad-hoc network),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유선 인터넷 등 다양한 통신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통신부(420)는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외부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20)는 보조 장치(400)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20)는 제어 신호 입력부(425)를 통해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어 신호(또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또는 입력)은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어 장치(300)에 마련된 전원 버튼 또는 특정 목적용 버튼에 대응하는 온/오프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노멀 모드를 종료하고 절전 모드에 진입하도록 하는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를 종료하고 노멀 모드에 진입하도록 하는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어 신호(또는 입력)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부(420)가 제어 신호 입력부(425)를 통해 제어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제어 신호(또는 입력)은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보조 장치(400)는 예를 들어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는 광 수신부에 의해 제어 신호(또는 입력)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보조 장치(400)는 제어 신호(또는 입력)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4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3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30)에 저장된 프로그램(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4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장치(400)는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메모리(430)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해, 통신부(420)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식별하고,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부터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노멀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제어 장치로부터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부터 노멀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마련된 전원 버튼 또는 특정 목적용 버튼에 대응하는 온/오프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벽면을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배경 이미지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는,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 및 외부 기기의 동작을 위해 설정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 또는 외부 기기를 마지막으로 동작한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은 알림창을 포함하고, 알림창은, 외부 기기의 동작 종료 알림 및 동작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은,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상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세 정보는, 외부 기기의 동작 모드, 동작 진행 정도, 동작 종료까지 남은 시간, 사용 전력량, 및 동작 이력, 및 외부 기기 주변 환경의 시간대별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터치 입력, 및 음성 명령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 이력을 기초로 기 생성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제1 외부 기기가 감지한 제1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음성 명령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로부터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외부 기기의 사진, 이미지, 제품명, 또는 제품 번호일 수 있고,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통신 방식을 활용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oRA(Long Range)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보조 장치(400)로부터 보조 장치(400)가 감지한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보조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장치(400)는 카메라,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한 외부 기기의 사진을 촬영하거나 제품명을 식별하여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중 제1 외부 기기가 감지한 다른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제1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로봇 청소기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 냉장고 및 에어컨의 식별 정보를 로봇 청소기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다른 외부 기기를 감지하는 방법은 보조 장치(4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 것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감지하고 식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다른 외부 기기를 감지하는 방법은 보조 장치(4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 것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기기의 사진, 이미지, 제품명, 또는 제품 번호 등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한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 기기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기기의 정보는 외부 기기의 사양(specification) 정보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보조 장치(4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서버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정보 또는 식별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입력을 수신하기 전에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보조 장치(40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보조 장치(400)는 한 번, 또는 정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식별하고, 식별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외부 기기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입력을 수신하기 전에 외부 기기에 정보 또는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거나 보조 장치(400)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를 다시 식별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5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노멀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제1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노멀 모드를 종료하고 절전 모드에 진입하도록 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300)에 마련된 전원 버튼 또는 특정 목적용 버튼에 대응하는 온/오프 입력일 수 있다. 온/오프 입력은 절전 모드에 진입하고 노멀 모드를 종료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이 전원 버튼에 대응하는 온/오프 입력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버튼을 한 번 누르는 입력에 대응하여 절전 모드에 진입하고, 전원 버튼을 두 번 누르는 입력에 대응하여 전원을 완전히 끌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버튼을 두 번 누르는 입력에 대응하여 절전 모드에 진입하고, 전원 버튼을 한 번 누르는 입력에 대응하여 전원을 완전히 끌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마련된 특정 버튼을 롱 프레스하는 입력 또는 특정 단축키를 누르는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는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의 의미 분석(semantic analysis)을 수행할 수 있다. 의미 분석 결과 음성 신호를 변환한 텍스트에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된 경우, 수신한 음성을 제1 입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소정의 키워드는 예를 들어 "절전 모드"일 수 있고,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보조 장치(400)가 제1 입력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보조 장치(400)로부터 제1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입력을 수신하는 전술한 방법들은 예시일 뿐, 물론 제1입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입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한 후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에 진입한 후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물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는. 동작 5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기기의 사진, 이미지, 제품명, 또는 제품 번호일 수 있고,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는,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 및 외부 기기의 동작을 위해 설정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는 외부 기기의 종류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가 청소기인 경우, 청소기 주변의 환경 정보는 먼지의 양이나 이물질 유무일 수 있다. 외부 기기가 에어컨인 경우, 에어컨 주변의 환경 정보는 주변의 현재 온도일 수 있다.
외부 기기의 동작을 위해 설정된 상태 정보는 외부 기기의 종류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가 청소기인 경우, 청소기의 동작을 위해 설정된 상태 정보는 자동 청소 모드일 수 있다. 외부 기기가 에어컨인 경우, 에어컨 의 동작을 위해 설정된 상태 정보는 설정 온도일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는, 외부 기기의 상태 변화 알림 정보 또는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가 모바일 장치인 경우, 모바일 장치의 상태 정보는 모바일 장치가 인지한 알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가 청소기인 경우, 청소기의 상태 정보는 청소기가 청소 중인지 여부 또는 청소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에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 제어 화면에 표시되는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는 외부 기기의 이미지일 수 있다. 외부 기기의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보조 장치(4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서버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의 이미지는 외부 기기의 실제 사진이 아니라, 외부 기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그림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들 중 일부의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만을 외부 기기 제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일부의 외부 기기는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기 설정된 기준 또는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전술한 일부의 외부 기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들의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한 일부의 외부 기기의 목록을 저장하고 저장된 목록에 따라 정보를 표시할 일부의 외부 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노멀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에서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은 도1에서 설명한 내용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 동작 중 제3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모드로 동작하며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는 중 제3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3 입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1에서 제1입력에 대해 설명한 내용에 대응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절전 모드로부터 노멀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제2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를 종료하고 노멀 모드에 진입하도록 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원을 끄도록 하는 입력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300)에 마련된 전원 버튼 또는 특정 목적용 버튼에 대응하는 온/오프 입력일 수 있다. 온/오프 입력은 노멀 모드에 진입하고 절전 모드를 종료하는 입력 또는 전원을 끄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입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1에서 제1입력에 대해 설명한 내용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 동작 중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벽면을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배경 이미지일 수 있다. 배경 이미지가 표시되는 절전 모드를 주변 모드라고 지칭한다.
도 6의 601을 참조하면, 배경 이미지는 모바일 장치(62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벽면을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서리 4 영역에 각각 4개의 마커(610-1 내지 610-4)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장치(620)는 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마커(610-1 내지 610-4)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620)는 촬영된 영상 중 4개의 마커(610-1 내지 610-4)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곽 부분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판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이내의 영역을 배경 영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장치(620)는 4개의 마커(610-1 내지 610-4)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영역과 배경 영역에 대한 정렬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장치(620)는 획득된 영상 중 배경 영상을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표시할 벽면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620)로부터 벽면의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벽면의 이미지를 배경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배경 이미지가 생성되는 전술한 방법은 예시일 뿐,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표시하는 마커의 개수 및 위치는 도 6의 60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620)가 디스플레이 영역 배경 영역을 판단하는 데에 마커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표시할 벽면의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후방의 위치한 벽면의 이미지이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되기 전에 미리 촬영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620)는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보조 장치(400)에 송신하기만 하고, 영상 정렬 등의 보정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보조 장치(4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의 60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표시하는 배경 이미지는, 벽면 이미지와 함께 다양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 오브젝트는 그림, 사진, 시계, 또는 다양한 정보(예를 들어, 시간 정보, 날씨 정보, 뉴스,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의 실행 화면 등)를 표시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노멀 모드 동작 중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주변 모드로 진입하고 배경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710)를 식별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710)와 통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보조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710)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보조 장치(400)는 냉장고(710-1), 모바일 장치(710-2), 로봇 청소기(710-3), 세탁기(710-4), 및 에어컨(710-5) 등 다양한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7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보조 장치(400)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710)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710)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710)의 사양(specification) 정보, 식별 정보, 동작 모드, 동작 진행 정도, 동작 종료까지 남은 시간, 사용 전력량, 동작 이력,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710)가 감지한 주변 환경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보조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71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7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장치(400)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71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보조 장치(400)와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만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71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710)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 등의 동작은 보조 장치(4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기기 제어 화면(810)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5의 동작 520에 따라 절전 모드로 진입함과 함께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81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노멀 모드 동작 중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배경 이미지가 표시되는 절전 모드인 주변 모드로 동작하고, 외부 기기 제어 화면(81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표시하는 외부 기기의 일 예로 냉장고(811), 모바일 장치(812), 로봇 청소기(813), 세탁기(814), 및 에어컨(815)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일뿐 물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될 수 있는 외부 기기의 종류 및 개수는 도 8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외부 기기 제어 화면(810)에는 냉장고의 동작을 위해 설정된 상태 정보(811-1)로는 냉장 온도 및 냉동 온도, 모바일 장치의 상태 정보(812-1)로는 모바일 장치가 인지한 새로운 알림이 3건 있다는 정보, 로봇 청소기의 상태 정보(813-1)로는 로봇 청소기가 자동 모드로 청소 중이라는 정보, 에어컨의 동작을 위해 설정된 상태 정보(815-1)로는 설정 온도, 에어컨의 주변의 환경 정보(815-1)로는 현재 온도가 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 제어 화면(810)은 알림창(820)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창(820)에는 외부 기기의 동작 종료 알림 또는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창(820)에는 청소기의 청소가 완료되었다는 알림(820-1), 세탁기에 대해 마지막 세탁 시각에 기초하여 세탁을 추천하는 정보(820-2), 에어컨에 대해 실내 온도 상승을 감지하여 에어컨을 가동할 것을 추천하는 정보(820-3)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알림창(820)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외부 기기 제어 화면(810)에서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는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로 외부 기기의 이미지를 표시하였으나, 식별 정보로는 외부 기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그림일 수도 있다. 또한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810)에 일렬로 배치되지 않고 행렬 배열로 표시되거나 실제로 외부 기기가 배치된 구조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등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의 크기,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 및 알림창의 배치도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창은 새로운 알림이 표시될 때만 소정의 시간 동안 표시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설정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 제어 화면(810)에 정보가 표시되는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공하는 설정 변경 입력 유저 인터페이스상의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외부 기기 제어 화면(810)에 표시되는 정보 및 정보가 표시될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기기 제어 화면에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표시하고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동작 9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910의 자세한 내용은 도 5의 동작 510에서 설명한 내용과 대응된다.
동작 9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노멀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동작 920의 자세한 내용은 도 5의 동작 520에서 설명한 내용과 대응된다.
동작 93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 또는 외부 기기를 마지막으로 동작한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는 외부 기기의 가동을 추천하거나 가동을 종료할 것을 추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는 외부 기기의 동작 모드를 추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 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에어컨 주변의 실내 온도 상승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컨을 가동할 것을 추천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공기 청정기 주변의 미세 먼지 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 청정기를 가동할 것을 추천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를 마지막으로 동작한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세탁기를 마지막으로 동작한 시간에 기초하여 세탁기를 가동할 것을 추천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외부 기기가 감지한 제1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공기 청정기가 감지한 공기 청정기 주변의 미세 먼지 농도에 기초하여 청소기를 동작할 것을 추천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 또는 외부 기기를 마지막으로 동작한 시간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외부 기기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공기 청정기 주변의 미세 먼지 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 청정기 및 청소기를 가동할 것을 추천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습도계가 감지한 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기의 세탁 완료 후 건조기를 가동할 것을 추천하는 정보 및 에어컨을 제습 모드로 가동할 것을 추천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장치(400)가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 또는 외부 기기를 마지막으로 동작한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추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전술한 방법은 모두 보조 장치(400)에서 수행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직접 추천 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 이력을 기초로 기 생성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기 생성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3 내지 도 15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동작 94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에 포함된 알림창에, 외부 기기의 동작 종료 알림 및 동작 추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알림창에 청소기의 청소가 완료되었다는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알림창에 동작 930에서 생성한 외부 기기에 대한 동작 추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보조 장치(400)가 생성하여 송신한 외부 기기에 대한 동작 추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창은 외부 기기의 동작 종료 알림 및 동작 추천 정보를 알림 메시지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알림 메시지에는 알림 메시지의 내용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의 아이콘 또는 알림 메시지가 표시된 시각이 포함될 수 있다.
동작 95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터치 입력, 및 음성 명령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300) 또는 보조 장치(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 장치(300)를 이용하여 선택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기기 제어 화면에 표시된 알림창에 포함된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의 의미 분석(semantic analysis)을 수행할 수 있다. 의미 분석 결과 텍스트의 의미가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명령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명령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입력은 외부 기기를 가동하도록 하거나 가동을 종료하도록 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입력은 외부 기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도록 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입력을 수신한 보조 장치(400)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해, 보조 장치(400)가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부 기기 제어 화면에 표시된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외부 기기에 대해 제어 가능한 동작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동작 목록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선택함으로써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어느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표시한 것에 대응하여 전술한 외부 기기가 추천 받은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추천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외부 기기가 추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가 추천 받은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알림창에서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알림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전술한 추천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입력을 소정의 횟수만큼 입력하거나, 소정의 시간 동안 전술한 추천 정보에 대해 반응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전술한 추천 정보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전술한 추천 정보는 앞으로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에서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고,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외부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으로 동작하며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홈 IoT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96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절전 모드로부터 노멀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동작 930의 자세한 내용은 도 5의 동작 530에서 설명한 내용과 대응된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기기 제어 화면(1010)에 알림창(1020)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알림창(1020)은 외부 기기 제어 화면(1010)에서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의 좌측에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된 것은 일 예일 뿐 알림창(1020)이 표시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알림창(1020)은 새로운 알림이 표시될 때만 소정의 시간 동안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알림창(1020)은 외부 기기의 동작 종료 알림 또는 동작 추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일 뿐, 알림창(1020)에 표시되는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알림창(1020)은 정보를 알림 메시지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알림 메시지에는 알림 메시지의 내용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의 아이콘 또는 알림 메시지가 표시된 시각이 포함될 수 있다.
도10에는 알림창(1020)에 5개의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알림 메시지는 각각 i) 청소기에 대해 청소가 완료되었다는 동작 종료 알림(1020-1), ii) 세탁기에 대해 세탁한지 3일이 지났다는 정보를 기초로 세탁을 추천하는 정보(1020-2), iii) 에어컨에 대해 실내 온도가 올라가고 있다는 에어컨 주변의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컨을 가동할 것을 추천하는 정보(1020-3), iv) 공기 청정기가 감지하거나 서버를 통해 획득된 실외 미세 먼지 농도가 나쁘다는 정보에 기초하여 청소기의 자동 청소 동작 및 공기 청정기의 가동을 추천하는 정보(1020-4), 및 v) 습도계가 감지하거나 서버를 통해 획득된 습도가 높다는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기의 세탁 완료 후 건조기의 가동을 추천하는 정보 및 에어컨을 제습 모드로 동작할 것을 추천하는 정보(1020-5)이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1010)의 알림창(1020)에 외부 기기의 동작 종료 알림 또는 동작 추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 기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10)에 외부 기기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에 표시되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1010)은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상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에 대한 상세 정보는, 외부 기기의 동작 모드, 동작 진행 정도, 동작 종료까지 남은 시간, 사용 전력량, 및 동작 이력, 및 외부 기기 주변 환경의 시간대별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의 동작 이력은, 날짜 별 외부 기기의 동작 이력, 시간에 따른 외부 기기의 사용 횟수, 외부 기기의 마지막 동작 시간, 외부 기기의 동작을 위해 설정했던 상태 정보 및 동작 모드의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세탁기(1110-1), 에어컨(1110-2), 로봇 청소기(1110-3), 및 공기 청정기(1110-4)에 대한 상세 정보가 외부 기기 제어 화면(1010)에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1110-1)에 대해 동작 이력으로 마지막 세탁일 및 시간대별 사용 횟수, 세탁 진행 정도, 세탁 종료까지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에어컨(1110-2)에 대해 주변 환경 정보로 현재 온도 및 에어컨이 위치한 도시의 온도, 동작 모드로 설정 온도 및 운전 모드, 사용 전력량이 표시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110-3)에 대해 동작 이력으로 지난 청소일, 동작 진행 정도, 청소 모드, 청소 종료까지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공기 청정기(1110-4)에 대해 주변 환경의 시간대별 변화 정보로 시간대별 미세먼지 농도가 표시될 수 있고, 가스가 새지 않는지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10)에 외부 기기의 상세 정보가 표시되는 방식은 도 11에 도시된 일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되는 외부 기기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에 대한 상세 정보를 더 표시하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1110)(예를 들어, 상세 제어 화면)은, 상세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예를 들어, 간단 제어 화면)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단 제어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는 배경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표시되고, 상세 제어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고 절전 모드로만 동작하는 중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상세 제어 화면을 표시할 때 외부 기기에 대한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 상에 잘 보이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벽면을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배경 이미지를 상세 제어 화면에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세 제어 화면에서 외부 기기에 대한 상세 정보는 단색의 배경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간단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중 사용자로부터 상세 제어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세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간단 제어 화면 및 상세 제어 화면을 번갈아 표시할 수도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성 명령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외부 기기 제어 화면(1210)을 통해 외부 기기의 상태 또는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보조 장치(400)가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음성으로 명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에 대해 설정 온도를 26도로 하여 에어컨을 가동하라고 명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보조 장치(40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의 의미 분석(semantic analysis)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미 분석 결과 텍스트의 의미가 에어컨을 설정 온도를 26도로 하여 가동하라는 명령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명령에 대응하여 에어컨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에어컨을 설정 온도를 26도로 하여 가동할 수 있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기 생성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2 외부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1310)를 기초로, 학습 네트워크 모델(1320)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1330)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학습 네트워크 모델(1320)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 이력을 기초로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1330)를 출력하도록 기 학습된 뉴럴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학습 네트워크 모델(1320)을 구성하는 뉴럴 네트워크의 각 레이어의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1310)로부터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1330)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특성들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학습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1310)는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 외부 기기의 상태, 현재 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1310)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2 외부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1310)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현재 상황을 파악하여 현재 상황에 적합한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1330)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기기의 동작 이력을 고려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2 외부 장치(400)는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 생성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의 입력으로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2 외부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의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환경의 특성에 대해 학습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생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환경 또는 상황 별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외부 기기의 동작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주중에는 세탁기를 3일에 한 번 가동하는 반면, 주말에는 매일 가동할 수 있다. 즉, 환경 별로 사용자의 외부 기기 사용 패턴이 존재함에 따라, 환경에 따른 외부 기기의 동작을 인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2 외부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의 적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2 외부 장치(400)는 환경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이 정해진 학습 환경들(1410)을 학습 네트워크 모델에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학습 환경들(1410)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은 각각 동작 1(g1), 동작 2(g2), 및 동작 3(g3)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2 외부 장치(400)는 환경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이 정해진 학습 환경들(1410)을,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 이력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학습 환경들(14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2 외부 장치(4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2 외부 장치(400)는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 학습 환경들(1410)로부터 특성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특성들로 구성된 특성 공간(1420)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2 외부 장치(400)는 특성 공간(1420) 상에 분포된 특성들과 학습 환경들(1410) 간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기준을 학습(1430)할 수 있다.
전술한 학습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2 외부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환경 별 동작 이력이 고려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2 외부 장치(400)는 생성된 학습 네트워크 모델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입력 데이터로 적용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출력 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학습 네트워크 모델에 입력되는 특성이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는 데이터 학습부(1510) 및 데이터 처리부(152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510)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510)는 외부 기기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에서 어떤 정보(예를 들어, 현재 시각 정보)를 이용하는지에 관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1510)는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어떻게 외부 기기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지에 관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510)는 학습에 이용될 데이터(예를 들어, 환경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이 정해진 학습 환경들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모델(학습 네트워크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모델(학습 네트워크 모델)은, 인식 모델의 적용 분야, 학습의 목적 또는 장치의 컴퓨터 성능 등을 고려하여 구축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모델은, 예를 들어, 신경망(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일 수 있다. 예컨대,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과 같은 모델이 데이터 처리 모델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1510)는, 예를 들어, 오류 역전파법(error back-propagation) 또는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을 포함하는 학습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1510)는, 예를 들어, 학습 데이터를 입력 값으로 하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을 통하여, 데이터 처리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1510)는, 예를 들어, 별다른 지도 없이 데이터 처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종류를 스스로 학습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를 위한 기준을 발견하는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을 통하여, 데이터 처리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1510)는, 예를 들어, 학습에 따른 결과값이 올바른 지에 대한 피드백을 이용하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통하여, 데이터 처리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 모델이 학습되면, 데이터 학습부(1510)는 학습된 데이터 처리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학습부(1510)는 학습된 데이터 처리 모델들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2 외부 장치(400)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학습부(1510)는 학습된 데이터 처리 모델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2 외부 장치(4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학습된 데이터 처리 모델이 저장되는 메모리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2 외부 장치(4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커널,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520)는 학습된 네트워크 모델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모델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데이터 처리 모델은 결과값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추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결과 값은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모델을 업데이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510) 및 데이터 처리부(1520)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2 외부 장치(400)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1510) 및 데이터 처리부(1520)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전술한 각종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 학습부(1510) 및 데이터 처리부(152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하나의 제2 외부 장치(400)에 탑재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개의 장치들에 각각 탑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1510) 및 데이터 처리부(1520) 중 하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2 외부 장치(400)에 포함되고, 나머지 하나는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1510) 및 데이터 처리부(15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하여, 데이터 학습부(1510)가 구축한 모델 정보를 데이터 처리부(1520)로 제공할 수도 있고, 데이터 처리부(1520)로 입력된 데이터가 추가 학습 데이터로서 데이터 학습부(1510)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 학습부(1510) 및 데이터 처리부(1520) 중 적어도 하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510) 및 데이터 처리부(1520) 중 적어도 하나가 소프트웨어 모듈(또는, 인스터력션(instruction)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거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 중 일부는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600)는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응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6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 내지 도 15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600)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600)는 비디오 처리부(1610), 디스플레이부(1615), 오디오 처리부(1620), 오디오 출력부(1625), 전원부(1630), 튜너부(1640), 통신부(1650), 감지부(1660), 입/출력부(16160), 제어부(1680), 메모리(16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1680), 통신부(1650), 메모리(1690), 및 디스플레이부(1615)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210), 통신부(220), 메모리(230), 및 디스플레이(24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6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비디오 처리부(1610)는, 디스플레이 장치(16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161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80)는 비디오 처리부(1610)에서 처리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록 요청을 수신하고, 비디오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제어부(1680) 또는 메모리(1690)에 포함되는 메모리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RAM(미도시)에 기록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615)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6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15)는 통신부(1650) 또는 입/출력부(167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15)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6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15)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2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62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62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625)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6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625)는 통신부(1650) 또는 입/출력부(16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625)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6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625)는 스피커(1626), 헤드폰 출력 단자(1627)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16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625)는 스피커(1626), 헤드폰 출력 단자(1627) 및 S/PDIF 출력 단자(162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스피커(1626)는 음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피커(1626)는 초음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전원부(1630)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600) 내부의 구성 요소들(1610 내지 1690)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630)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6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미도시)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1610 내지 1690)에게 공급할 수 있다.
튜너부(16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6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1640)은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640)는 디스플레이 장치(16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미도시), 입/출력부(1670)에 연결되는 튜너부(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650)은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600)를 외부 기기(예를 들어, 서버, 가전 기기, 제어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16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기기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65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외부 기기(미도시)에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통신부(16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650)는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 유선 통신 모듈(미도시), 및 이동 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통신부(1650)가 무선 랜(1651), 블루투스 통신부(16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653)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통신부(1650)은 무선 랜(1651), 블루투스 통신부(16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65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듈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650)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미도시)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650)은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미도시), 별도의 BLE 모듈(bluetooth low energ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6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
마이크(166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66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68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6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661)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1661)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1661)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1661)는 디스플레이 장치(16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661)는 통신부(1650) 또는 입/출력부(16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6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1661)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166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6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부(1662)에서부터 사용자까지 0.1 ~ 5 m 이내 거리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662)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68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680)는 수신된 모션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6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조정, 볼륨 조정, 지시자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662)는 디스플레이 장치(16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166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미도시)는 통신부(1650) 또는 입/출력부(16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6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1662)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1663)는 외부의 제어 장치(미도시)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1615)의 베젤의 광창(미도시)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663)는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수신부(1663)는 제어 장치(미도시)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615)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또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었으며, 제어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가 데이터 또는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600)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광 수신부(1663)는 사용자가 제어 장치(미도시)에 마련된 터치 패드(미도시)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에서 제어 장치(미도시)를 움직이면 이 제어 장치(미도시)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광 수신부(1663)는 제어 장치(미도시)에 마련된 특정한 버튼이 눌려졌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수신부(1663)는 사용자가 제어 장치(미도시)에 버튼식으로 마련된 터치 패드(미도시)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이러한 버튼식 터치 패드(미도시)이 눌려졌다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식 터치 패드(미도시)가 눌려졌다는 신호는 아이템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
입/출력부(1670)는 제어부(16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6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6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6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672), PC 포트(PC port, 1673), 및 USB 포트(USB port, 16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670)는 HDMI 포트(1671), 컴포넌트 잭(1672), PC 포트(1673), 및 USB 포트(16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67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1680)는 디스플레이 장치(16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1600)의 내부 구성요소들(미도시)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68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680)는 메모리(16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680)는 디스플레이 장치(16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6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RAM(미도시), 디스플레이 장치(16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미도시) 및 프로세서(Processo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코어(core, 미도시)와 GPU(미도시)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미도시)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미도시)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미도시)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615)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전술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포함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식별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부터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노멀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노멀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은, 상기 제어 장치에 마련된 전원 버튼 또는 특정 목적용 버튼에 대응하는 온/오프 입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벽면을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배경 이미지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 및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을 위해 설정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 또는 상기 외부 기기를 마지막으로 동작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은 알림창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창은,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 종료 알림 및 상기 동작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은, 상기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상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 모드, 동작 진행 정도, 동작 종료까지 남은 시간, 사용 전력량, 및 동작 이력, 및 상기 외부 기기 주변 환경의 시간대별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터치 입력, 및 음성 명령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 이력을 기초로 기 생성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외부 기기가 감지한 상기 제1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음성 명령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중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부터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노멀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
    상기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전 모드로부터 노멀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은, 상기 제어 장치에 마련된 전원 버튼 또는 특정 목적용 버튼에 대응하는 온/오프 입력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벽면을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배경 이미지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 및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을 위해 설정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 또는 상기 외부 기기를 마지막으로 동작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은 알림창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창은,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 종료 알림 및 상기 동작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인, 동작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은, 상기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상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 모드, 동작 진행 정도, 동작 종료까지 남은 시간, 사용 전력량, 및 동작 이력, 및 상기 외부 기기 주변 환경의 시간대별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터치 입력, 및 음성 명령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 이력을 기초로 기 생성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제1 외부 기기가 감지한 상기 제1 외부 기기 주변의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외부 기기의 동작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20. 디스플레이 장치에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부터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노멀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외부 기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노멀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80148773A 2018-11-27 2018-11-2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62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773A KR20200062864A (ko) 2018-11-27 2018-11-2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19/002307 WO2020111394A1 (ko) 2018-11-27 2019-02-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773A KR20200062864A (ko) 2018-11-27 2018-11-2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864A true KR20200062864A (ko) 2020-06-04

Family

ID=7085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773A KR20200062864A (ko) 2018-11-27 2018-11-2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62864A (ko)
WO (1) WO202011139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000A1 (ja) * 2008-08-26 2010-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140061118A (ko) * 2012-11-13 2014-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방법
KR20170001434A (ko) * 2015-06-26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케이스
KR101847200B1 (ko) * 2015-12-23 2018-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91426A (ko) * 2016-02-01 201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394A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5752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group action
US11435974B2 (en)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screen mirro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screen mirroring method of mobile device
CN109089138B (zh) 图像显示装置及操作其的方法
US1030631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of display apparatus
CN103811007A (zh) 显示装置、语音获取装置及其语音识别方法
CN107736030B (zh) 用于显示图像的设备及其操作方法
KR2017004919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US10110843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2017019560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5763921A (zh) 图像显示设备和方法
CN111901656B (zh) 媒体数据的搜索方法、显示设备及服务器
CN112002321B (zh) 显示设备、服务器及语音交互方法
KR20200085143A (ko) 외부 장치를 등록하는 대화형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9016370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877645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7852425B (zh) 图像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KR202100748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2473121B (zh) 一种显示设备及基于肢体识别的躲避球显示方法
US10416956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89845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152205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EP3863012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00035788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KR202000628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1913593B (zh) 媒体数据的搜索方法及显示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