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434A -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434A
KR20170001434A KR1020150091418A KR20150091418A KR20170001434A KR 20170001434 A KR20170001434 A KR 20170001434A KR 1020150091418 A KR1020150091418 A KR 1020150091418A KR 20150091418 A KR20150091418 A KR 20150091418A KR 20170001434 A KR20170001434 A KR 20170001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ignal
remote control
identification signal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준석
김재영
신윤호
김윤성
허희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1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434A/ko
Publication of KR2017000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33
    • G06K9/000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식별 신호에서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의 식별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케이스{Mobile terminal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device, and case for moblie terminal}
본 발명은,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디바이스의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메시지 송수신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이동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디바이스의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식별 신호에서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의 식별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전면 케이스와, 이동 단말기의 후면과 결합하거나 부착되는 후면 케이스를 구비하며, 전면 케이스는, 이동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 주변의 일측에 배치되는 수신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입사되는 식별 신호의 경로를 상기 수신부 방향으로 가변하는 미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식별 신호에서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의 식별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 주변의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항목에 소정의 제어 명령을 설정함으로써, 간편하게,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동 단말기는, 제1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제1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제2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게 되어, 간편하게,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 케이스는, 디스플레이 주변의 일측에 배치되는 수신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입사되는 식별 신호의 경로를 수신부 방향으로 가변하는 미러부를 포함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전면 케이스가 덮혀있는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에서,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디바이스 별 이동 단말기 또는 원격제어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지향 방향에 따라 제어되는 디바이스의 종류가 가변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이동 단말기의 전면 케이스가 닫힌 경우와 열린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의 송신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도 8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h는 도 10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도 12a 내지 도 12c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b는 도 14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7a 내지 도 27e는 도 16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9a 내지 도30c는 도 28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2a 내지 도 32c는 도 31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10)은, 이동 단말기(600), 복수의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100f,100g,100h), 및 각 디바이스 내에 장착되거나, 디바이스 주변에 배치되는 송신 장치(101a,101b,101c,101d,101e,101f,101g,101h)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10)은, 게이트 웨이(400), 서버(700a,...,700n)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바이스(device)의 예로, TV와 같은 영상표시장치(100a), 셋탑 박스(100b), 에어컨(100c), 조명 장치(100d), 로봇 청소기(100e), 냉장고(100f), 공기 청정기(100g), 온도조절장치(100h) 등을 예시하나, 그 외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디바이스는, 홈 디바이스(home device)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device)로, 세탁기, 광디스크 재생장치, 게임 기기, 가스 밸브, 보안 카메라 등의 보안 장치, 전자식으로 개폐되는 도어(door), 전자식으로 개폐되는 창문, 음향출력기기, 게임 기기, 전자 액자, 에너지 저장장치(ESS), 디지털 카메라, 향기 발생 장치, 차량(vehicle), 드론(drone)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디바이스들 위주로 설명한다.
각 송신 장치(101a,101b,101c,101d,101e,101f,101g,101h)는, 다른 디바이스와의 식별을 위해, 디바이스 식별(ID)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 식별 신호는, 각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종류 정보, 제조사 정보, 디바이스 모델명 정보, 디바이스 상태 정보, 디바이스 제어 명령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 상태 정보는 디바이스의 온/오프 상태, 디바이스 동작 시의 동작 값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 식별 신호는, 각 디바이스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특정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기반의 패턴 신호, 또는 공간 기반의 패턴 신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식별 신호는, 시간 기반의 적외선 패턴 신호, 또는 공간 기반의 적외선 패턴 신호일 수 있다.
한편, 각 송신 장치(101a,101b,101c,101d,101e,101f,101g,101h)는, 지향되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반사하여, 디바이스 식별(ID) 신호를, 이동 단말기(600) 방향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디바이스 식별 신호는, 지향성이 좋은 신호로서, 적외선(Infra Red) 신호, RF(Radio Frequency) 신호, 와이파이 (Wi-Fi)신호, 지그비(ZigBee)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레이저 신호, UWB(Ultra Wideband)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각 송신 장치(101a,101b,101c,101d,101e,101f,101g,101h)로부터의, 복수의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600)가, 복수의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100f,100g,100h)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송신 장치(101a,101b,101c,101d,101e,101f,101g,101h) 중 어느 하나에 지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 중 하나의 식별 신호를, 대표 식별 신호로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검출된 식별 신호 또는 대표 식별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검출된 식별신호 내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종류 정보, 제조사 정보, 디바이스 모델명 정보, 디바이스 상태 정보, 디바이스 제어 명령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식별 신호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600)는, 검출된 식별 신호 또는 대표 식별 신호와, 이동 단말기(600)에 기 저장된 식별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디바이스를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확인된 디바이스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 표시 이후,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어느 한 항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신호, 즉 원격제어신호를 출력,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가, 에어컨(100c)을 지향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제1 항목을, 에어컨에 대한 바람 세기 조정을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1 항목의 동작시, 에어컨에 대한 바람 세기 조정과 관련된 원격제어신호를 출력, 송신할 수 있다.
결국, 이동 단말기(600)는, 제1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제1 디바이스로부터의 수신된 제1 식별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1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1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제2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수신된 제2 식별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2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2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이동 단말기(600)로,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즉, 이동 단말기(600)의 지향 방향에 따라, TV와 같은 영상표시장치(100a), 셋탑 박스(100b), 에어컨(100c), 조명 장치(100d), 로봇 청소기(100e), 냉장고(100f), 공기 청정기(100g), 온도조절장치(100h) 등이 각각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에서 출력되는 원격제어신호는, 적외선(Infra Red) 신호, RF(Radio Frequency) 신호, 와이파이 (Wi-Fi)신호, 지그비(ZigBee)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레이저 신호, UWB(Ultra Wideband)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각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해,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게이트 웨이(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600)는 각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해,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게이트 웨이(4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특히, 게이트 웨이(400)는, 네트워크(550)를 통해, 외부 서버(700a,...,700n) 등으로 부터, 각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해,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의 외부 서버(700a,...,700n)는, 각 디바이스 제조사가 운영하는 서버, 또는 각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등일 수 있다.
도 2는 디바이스 별 이동 단말기 또는 원격제어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2는, 영상표시장치용 이동 단말기(201a), 광디스크 플레이어용 이동 단말기(201b), 에어컨용 이동 단말기(201c), 로봇 청소기용 이동 단말기(201d)를 예시한다.
도 2와 같이, 각각의 전자 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해, 서로 다른 코드가 할당된, 이동 단말기 등이 사용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개수가 많아져, 사용자가 사용하기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다 간편하게, 복수의 디바이스 들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제시한다.
도 3a 내지 도 3f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지향 방향에 따라 제어되는 디바이스의 종류가 가변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집안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 중 에어컨(100c)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에어컨(100c)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로부터의 식별 신호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에서, 식별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가, 에어컨(100c)인 것을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는, 검출된 식별 신호 내에, 디바이스 종류 정보, 제조사 정보, 디바이스 모델명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경우, 식별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디바이스 종류 정보, 제조사 정보, 디바이스 모델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디바이스 종류 정보, 제조사 정보, 디바이스 모델명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식별 신호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 검출되는 식별 신호가, 각 디바이스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특정 신호인 경우, 수신, 검출되는 식별 신호와, 메모리(660)에 저장된 식별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디바이스를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 검출되는 식별 신호가, 시간 기반의 패턴 신호인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메모리(660)에 저장된 시간 기반의 패턴 신호 관련 데이터와, 수신된 패턴 신호를 비교하여, 디바이스를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수신, 검출되는 식별 신호가, 공간 기반의 패턴 신호인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메모리(660)에 저장된 공간 기반의 패턴 신호 관련 데이터와, 수신된 패턴 신호를 비교하여, 디바이스를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지향되는 디바이스가 에어컨(100c)인 것으로 식별한 이후, 에어컨(100c)에 대한 원격제어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식별 신호 검출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식별이 완료되거나, 원격제어 오브젝트 표시가 완료되는 경우, 디바이스 제어 가능 메시지(311a)를 사운드로 출력하거나, 이동 단말기(600)에 포함된 LED를 소정 시간 동안 발광하거나, 진동 출력 등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에어컨 제어가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 3a에서는 "에어컨을 제어합니다"와 같은 에어컨 제어 가능 메시지(311a)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것을 도시한다.
또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위해, 이동 단말기(600)에 의해 식별이 완료거나,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또는 송신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LED를 소정시간 동안 발광하거나, 디바이스 또는 송신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음향장치에서 특정한 소리를 내거나, 디바이스 또는 송신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에서 이동 단말기(600)의 원격 제어 가능 메세지 등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원격제어 오브젝트 표시가 완료 후,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소정 항목의 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를, 에어컨(100c)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에어컨(100c)은, 원격제어신호 수신 이후, 에어컨(100c)에 내장된 LED 를 소정 시간 동안 발광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에어컨 제어가 수행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3b는, 집안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 중 영상표시장치(100a)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로부터의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영상표시장치(100a)로부터 수신된 식별신호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에서 식별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가, 영상표시장치(100a)인 것을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a) 확인 방법은, 도 3a의 설명을 참조하여 생략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지향되는 디바이스가 영상표시장치(100a)인 것으로 확인한 이후,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한 원격제어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3c는, 집안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 중 조명 장치(100d)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조명 장치(100d)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d)로부터의 식별 신호, 예를 들어, 적외선(IR)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적외선(IR) 신호에 기초하여, 지향되는 디바이스가, 조명 장치(100d)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명 장치(100d) 확인 방법은, 도 3a의 설명을 참조하여 생략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지향되는 디바이스가 조명 장치(100d)인 것으로 확인한 이후, 조명 장치(100d)에 대한 원격제어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3d는, 집안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 중 로봇 청소기(100e)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로봇 청소기(100e)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e)로부터의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로봇 청소기(100e)로부터 수신된 식별신호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에서 식별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가, 로봇 청소기(100e)인 것을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00e) 확인 방법은, 도 3a의 설명을 참조하여 생략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지향되는 디바이스가 로봇 청소기(100e)인 것으로 확인한 이후, 로봇 청소기(100e)에 대한 원격제어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e는, 에어컨(100c)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한 설정이 완료된 경우, 이동 단말기(600)에서, 에어컨(100c)으로, 원격 제어 가능 신호(Skeystc)가, 에어컨(100c)으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에어컨(100c)은, 원격 제어 가능 신호(Skeystc)를 수신한 후, 에어컨 원격 제어 가능 메시지(311ac)를 디스플레이(180c)에 표시하거나, 에어컨 원격 제어 가능 메시지(311ab)를 사운드로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도 3a와 달리, 이동 단말기(600)에서, 에어컨을 제어합니다"와 같은 에어컨 제어 가능 메시지(311a) 출력 대신에, 에어컨(100c)으로, 원격 제어 가능 신호(Skeystc)가, 에어컨(100c)으로 전송되어, 에어컨(100c)에서, 에어컨 원격 제어 가능 메시지(311ab,311ac)가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f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한 설정이 완료된 경우, 이동 단말기(600)에서, 영상표시장치(100a)로, 원격 제어 가능 신호(Skeysta)가, 영상표시장치(100a)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a)는, 원격 제어 가능 신호(Skeysta)를 수신한 후, 영상표시장치 원격 제어 가능 메시지(311bc)를 디스플레이(180a)에 표시하거나, 영상표시장치 원격 제어 가능 메시지(311bb)를 사운드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케이스(700)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이동 단말기 케이스의 측면도이며, 도 4c는 이동 단말기의 수신부와, 이동 단말기 케이스의 미러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 케이스(700)는, 이동 단말기(600)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전면 케이스(701)와, 이동 단말기(600)의 후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되되는 후면 케이스(702)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면 케이스(701)의 상측 영역에는, 디스플레이(680)에서 표시되는 이미지 확인을 위해, 개구부(7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면 케이스(701)는, 이동 단말기(600)의 디스플레이(680) 주변의 일측에 배치되는 수신부(423)의 상측에 배치되며, 입사되는 식별신호, 예를 들어, IR(Infra Red) 신호의 경로를 수신부(423) 방향으로 가변하는 미러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미러부(710)는, 도 4c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상측 방향에서 이동 단말기로 입사되는 식별 신호를, 경로 가변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전면에 배치되는, 수신부(423) 방향으로, 경로 가변된 식별 신호가 입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동 단말기(600)의 전면 케이스(701)가 덮힌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방향에서 출력되는 식별 신호가, 수신부(423)로 안정적으로 입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600)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도, 이동 단말기 전면 케이스(701) 중 개구부(720)가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해당 디바이스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원격제어 오브젝트가 표시된 경우, 대기 모드를 일시 해제하여,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소정 항목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700)가 덮혀 있는 상태에서도, 이동 단말기(600)의 지향 방향을 변경해가면서,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b는 이동 단말기의 전면 케이스가 닫힌 경우와 열린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중 전면 케이스(701)가 닫힌 경우의 정면도이며, 도 5b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중 전면 케이스(701)가 열린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면 케이스(701) 중 일부 영역에, 주변 영역과 다른 전도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면 케이스(701)의 개구부 하부의 제1 영역(730a)과 제2 영역(730b)에, 주변 영역과 다른 전도성 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주변 영역 보다 높은 전도율의 전도성 물질이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면 케이스(701)가 덮힌 경우라도, 제1 영역(730a) 또는 제2 영역(730b)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터치 센서가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전면 케이스(701)가 덮힌 경우, 제1 영역(730a)이 터치 되는 경우, 제1 항목이 선택되는 것으로 설정하고, 제2 영역(730b)이 터치되는 경우, 제2 항목이 선택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항목은 메뉴 항목이고, 제2 항목은 멀티 디바이스 동작 항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제1 영역(730a)에 메뉴 항목을 할당하고, 제2 영역(730b)에, 멀티 디바이스 동작 항목을 할당할 수 있다.
한편, 도 5a와 같이, 전면 케이스(701)가 닫힌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가, 특정 디바이스에 대해 지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특정 디바이스 원격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제1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수신된 제1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한, 제1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제2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수신된 제2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한, 제2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5b와 같이, 전면 케이스(701)가 열린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표시되던 원격제어 오브젝트 외에, 그 주변 영역에, 다른 항목의 원격제어 항목들이 더 표시되거나, 또는, 화면 전환하여, 표시되던 원격제어 오브젝트와 다른 원격제어 화면이 표시되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더 다양한 항목을 확인 및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이동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무선 통신부(610), A/V(Audio/Video) 입력부(620), 사용자 입력부(630), 센싱부(640), 출력부(650), 메모리(660), 인터페이스부(625), 제어부(670), 및 전원 공급부(6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610)는, 방송수신 모듈(611), 이동통신 모듈(613), 무선 통신 모듈(615), 음향 통신부(617), 및 GPS 모듈(6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6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6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6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통신 모듈(615)은 이동 단말기(6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615)은, WFii 기반의 무선 통신 또는 WiFi Direct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모듈(615)은, 식별 신호 수신을 위한 수신부(423)와, 원격제어신호 송신을 위한 송신부(423)를 구비할 수 있다.
수신부(423)는, IR(Infra Red) 신호, RF(Radio Frequency) 신호, 지그비(ZigBee)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레이저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 식별 신호를, 송신 장치(1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부(423)는, IR 수신부(미도시), RF 수신부(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송신부(421)는, IR(Infra Red) 신호, RF(Radio Frequency) 신호, 지그비(ZigBee)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레이저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부(421)는, IR 송신부(미도시), RF 송신부(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송신부(421)는, 복수의 디바이스 별로, 서로 다른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R 신호로서,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서로 다른 패턴 또는 다른 주파수 대역의 IR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송신부(421)는, 도 4b의 경우에 대응하여, 출력 신호(Sout)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의 출력 신호(Sout)는, IR(Infra Red) 신호, RF(Radio Frequency) 신호, 지그비(ZigBee)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레이저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디바이스가 영상표시장치(100a)인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포인팅 정보, 예를 둘어,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송신부(421) 중 RF 송신부(미도시)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 모드에서,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에, 소정의 정보 데이터를 부가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드로부터 소정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 외,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6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6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621)와 마이크(6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6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68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640)는 이동 단말기(6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640)는, 감지센서(641), 압력센서(643), 및 모션 센서(6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6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650)는 디스플레이(680), 오디오 출력부(653), 알람부(655), 및 햅틱 모듈(6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80)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68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68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653)는 무선 통신부(6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6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6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655)는 이동 단말기(6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
햅틱 모듈(haptic module)(6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6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메모리(660)는 제어부(6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메모리(660)는,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IR 신호의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디바이스 별, 동작항목 설정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디바이스 별, 동작항목에 대한 IR 신호 패턴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625)는 이동 단말기(6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625)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7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은 제어부(67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67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67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로부터의, 디바이스 식별 신호를, 수신부(423)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원격 제어 오브젝트 중 소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신부(42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70)는, 이동 단말기가,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이동 단말기(600)가 제1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수신된 제1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한, 제1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이동 단말기(600)가 제2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수신된 제2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한, 제2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70)는, 제1 원격제어 오브젝트 또는 제2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어느 한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70)는, 이동 단말기(600)가 영상표시장치(100a)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센싱부(640)에서 센싱한 이동 단말기(6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포인팅 신호를 무선 통신모듈(615), 특히 송신부(421)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a)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a)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미도시)와, 이동 단말기(6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RF 모듈(미도시)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미도시)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600가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미도시)는 수신된 이동 단말기(6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미도시)에 표시할 포인터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a)로 입력된 이동 단말기(6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a)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이동 단말기(600)의 동작 및 항목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a)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690)는, 제어부(6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카메라(621)는,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621)가 사용자 얼굴 방향으로 향하는 경우, 사용자 얼굴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캡쳐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와 기 저장된 사용자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621)는,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캡쳐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670)는, 캡쳐된 사용자 손가락 지문 이미지와 기 저장된 사용자 손가락 지문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670)는, 카메라(621)에서 캡쳐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70)는, 사용자 정보를, 지향되는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인증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6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6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7은 도 1의 송신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송신 장치(101)는, 센서부(103), 메모리(104), 프로세서(107), 송신부(106), LED 모듈(108), 통신부(109)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103)는, 주변의 해당하는 디바이스의 전원 온/ 오프를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103)는, EMF(electromagnetic field)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107)는, 메모리(104)에 저장된 대응하는 디바이스와 관련한 정보 또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특정 패턴의 식별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디바이스의 종류 또는 디바이스 모델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07)는, 확인된 디바이스 종류 또는 디바이스 모델에 대응하는 식별 신호가 송신되도록, 송신부(106)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스(107)는, 센서부(103)에서 감지되는 디바이스의 전원 온/오프 센싱 정보에 의해, 디바이스의 전원 온/오프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스(107)는, 확인된 디바이스 전원 온/오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신호 또는 디바이스 상태 정보가 송신되도록, 송신부(106)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스(107)는, 센서부(103)에서 감지되는 디바이스의 전원 온/오프 센싱 정보에 의해, 디바이스의 전원 온/오프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스(107)는, 확인된 디바이스 전원 온/오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 또는 디바이스 모델명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스(107)는, 확인된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 또는 디바이스 모델명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신호 또는 디바이스 상태 정보가 송신되도록, 송신부(106)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대응하는 디바이스와 관련한 정보 또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특정 패턴의 식별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송신부(106)는, 식별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식별 신호에는 디바이스의 전원 온/오프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특정 패턴의 식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106)는 디바이스의 전원 온/오프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LED 모듈(108)은, 송신 장치(101)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에서, 원격제어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LED 모듈(108)이 깜박일 수 있다.
통신부(109)는,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로부터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부(109)는, 각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종류 정보, 제조사 정보, 디바이스 모델명 정보, 디바이스 상태 정보, 디바이스 제어 명령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 상태 정보는 디바이스의 온/오프 상태, 디바이스 동작 시의 동작 값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09)는, 게이트 웨이(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09)는, 각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해,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게이트 웨이(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09)는, 각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해,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게이트웨이(4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원 공급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상용 교류 전류를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유닛에 공급하거나, 별도의 배터리를 통해 직류 전원을 각 유닛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와 음향 출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단말기의 원격제어 가능 여부나, 이동 단말기와의 페어링 여부를 표시 할 수 있으며, 음향 출력부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원격제어 가능 여부나, 이동 단말기와의 페어링 여부를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9a 내지 도 9d는 도 8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가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S805), 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S810).
예를 들어, 도 3a와 같이, 에어컨(100c)에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에어컨(100c) 또는 에어컨(100c)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로부터의 에어컨에 대응하는 패턴의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에서 식별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S811).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검출된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식별한다(S813).
디바이스 식별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식별 신호로부터의 정보를 추출하여 디바이스를 식별하거나, 수신된 식별 신호와 메모리(660)에 저장된 복수의 디바이스 정보 또는 복수의 디바이스 식별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815).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제1 항목이 선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820), 해당하는 경우, 제1 항목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825). 이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를 간편하게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9a를 참조하면, 복수의 송신 장치(101a,101b,101c,101d,101e,101f,101g,101h)는, 능동형 송신 장치로서, 별도의 전원을 구비하고, 디바이스 식별 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이동 단말기(600)가, 에어컨(100c)에 지향되는 경우, 에어컨(100c)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가, 식별 신호(Sidc)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부(423)를 통해, 식별 신호(Sidc)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 신호에서 식별 신호(Sidc)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 신호(Sidc)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현재 에어컨(100c)을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에어컨 동작키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9b는, 에어컨(100c)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의 송신부(106c)가 제1 적외선 식별 신호(IRc)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9b의 (a)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적외선 카메라(423aa)는, 에어컨(100c)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를 포함하는 적외선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한편, 도 9b의 (b)는, 제1 적외선 식별 신호(IRc)가, 일정한 로우 레벨(LVL)과 하이 레벨(LVH)를 가지며, 듀티가 가변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시간 기반의 제1 패턴의 듀티를 가지는, 제1 적외선 식별 신호(IRc)를 예시한다.
제어부(670)는,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캡쳐되는 복수의 적외선 이미지를 기반으로, 도면과 같은, 제1 패턴의 듀티를 가지는, 제1 적외선 식별 신호(IRc)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메모리(660) 등에 기 저장된 패턴 데이터와, 검출된 제1 적외선 식별 신호(IRc)의 제1 패턴을 비교하여, 지향된 디바이스가, 에어컨(100c)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9c는, 이동 단말기(600)가, 영상표시장치(100a)에 지향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가, 식별 신호(Sida)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부(423)를 통해, 식별 신호(Sida)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 신호에서 식별 신호(Sida)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 신호(Sida)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현재 영상표시장치(100a)가 원격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영상표시장치 동작키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음, 도 9d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의 송신부(106a)가 제2 적외선 식별 신호(IRa)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9d의 (a)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적외선 카메라(423aa)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를 포함하는 적외선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한편, 도 9d의 (b)는, 적외선 식별 신호(IRa)가, 일정한 로우 레벨(LVL)과 하이 레벨(LVH)를 가지며, 듀티가 가변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시간 기반의 제2 패턴의 듀티를 가지는, 제2 적외선 식별 신호(IRa)를 예시한다.
제어부(670)는,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캡쳐되는 복수의 적외선 이미지를 기반으로, 도면과 같은, 제2 패턴의 듀티를 가지는, 제2 적외선 식별 신호(IRa)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70)는, 메모리(660) 등에 기 저장된 패턴 데이터와, 검출된 제2 적외선 식별 신호(IRa)의 제2 패턴을 비교하여, 지향된 디바이스가, 영상표시장치(100a)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h는 도 10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0의 동작방법은, 도 8의 동작방법과 유사하나, 출력 신호 출력 단계(S906), 및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반사된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910)가, 도 8과 차이가 있다. 그 외의, 제905 단계(S905), 제913 단계(S913) 내지 제925 단계(S925)는, 도 8의 제805 단계(S805), 제811 단계(S811), 제813 단계(S813) 내지 제825 단계(S825)에 대응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송신 장치(101aa,101bb,101cc,101dd,101ee,101ff,101gg,101hh)는, 수동형 송신 장치로서, 별도의 전원을 없이, 외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반사하는 반사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반사시, 디바이스 식별을 위해, 각 디바이스 별로, 서로 다른 반사 패턴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송신부(421)를 통해, 출력 신호(Sout)를, 지향되는 디바이스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1a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가, 에어컨(100c)에 지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Sout)는, 에어컨(100c)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c)에 입사되며, 송신 장치(101cc)는, 형성된 특정 패턴을 이용하여, 반사, 또는 전반사 등으로, 반사 신호, 즉, 식별 신호(Sidcc)를 이동 단말기(600)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부(423)를 통해, 식별 신호(Sidcc)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를 수신하고, 식별 신호(Sidcc)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현재 에어컨(100c)을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11b는, 공간적 기반의 제1 적외선 반사 패턴을 구비하는, 에어컨(100c)의 송신 장치(101cc)를 예시한다.
특히, 도 11b의 (a)는, 이동 단말기(600)의 송신부(421)가, 적외선 출력 신호(Sout)를 지향되는 에어컨(100c)의 송신 장치(101cc)로 출력하며, 에어컨(100c)의 송신 장치(101cc)에 형성된, 제1 적외선 반사 패턴에 의해, 반사 적외선 신호(Sidcc)가 적외선 카메라(423aa)로 수신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적외선 카메라(423aa)는, 도 11b의 (b)와 같은, 제1 적외선 반사 패턴(1012a)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이미지(1011a)를 캡쳐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캡쳐된 적외선 이미지(1011a) 내의, 제1 적외선 반사 패턴(1012a)을, 메모리(660) 등에 기 저장된 적외선 패턴 데이터와, 비교하여, 지향된 디바이스가, 에어컨(100c)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적외선 패턴이 3X3인 것으로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1c는, 에어컨(100c)의 전면에 형성된 로고(101lgc)에, 공간적 기반의 제1 적외선 반사 패턴을 구비하는 송신 장치(101cc)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과 같이, 에어컨(100c)의 전면에 형성된 로고(101lgc)에, 공간적 기반의 제1 적외선 반사 패턴을 구비하는 송신 장치(101cc)가 형성되는 경우, 별도의 공간에 적외선 반사 패턴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1d는, 이동 단말기(600)가, 영상표시장치(100a)에 지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Sout)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a)에 입사되며, 송신 장치(101aa)는, 형성된 특정 패턴을 이용하여, 반사, 또는 전반사 등으로, 반사 신호, 즉, 식별 신호(Sidaa)를 이동 단말기(600) 방향으로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부(423)를 통해, 식별 신호(Sidaa)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를 수신하고, 그 중 식별 신호(Sidaa)를 검출하며, 검출된 식별 신호(Sidaa)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현재 영상표시장치(100a)를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11e는, 공간적 기반의 제2 적외선 반사 패턴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100a)의 송신 장치(101aa)를 예시한다.
특히, 도 11e의 (a)는, 이동 단말기(600)의 송신부(421)가, 적외선 출력 신호(Sout)를 지향되는 영상표시장치(100a)의 송신 장치(101aa)로 출력하며, 영상표시장치(100a)의 송신 장치(101aa)에 형성된, 제2 적외선 반사 패턴에 의해, 반사 적외선 신호(Sidaa)가 적외선 카메라(423aa)로 수신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적외선 카메라(423aa)는, 도 11e의 (b)와 같은, 제2 적외선 반사 패턴(1012b)을 포함하는 적외선 이미지(1011b)를 캡쳐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캡쳐된 적외선 이미지(1011b) 내의, 제2 적외선 반사 패턴(1012b)을, 메모리(660) 등에 기 저장된 적외선 패턴 데이터와, 비교하여, 지향된 디바이스가, 영상표시장치(100a)인 것으로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도 11f는, 영상표시장치(100a)의 베젤 영역(101lgc)에, 공간적 기반의 제2 적외선 반사 패턴을 구비하는 송신 장치(101aa)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과 같이, 영상표시장치(100a)의 베젤 영역(101lgc)에, 공간적 기반의 제2 적외선 반사 패턴을 구비하는 송신 장치(101aa)가 형성되는 경우, 별도의 공간에 적외선 반사 패턴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1g는, 도 11b와 유사하나, 이동 단말기(600)의 송신부(421)에서 적외선 출력 신호(Sout)가 출력되지 않으며, 에어컨(100c)의 송신 장치(101cb)가, 9개의 적외선 발광부 중, 일부(LPc3,LPc6,LPc7,LPc9)만 발광하는 것을 예시한다.
적외선 카메라(423aa)에서 획득되는 적외선 이미지(1011a)는, 도 11b와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670)는, 메모리(660) 등에 기 저장된 적외선 패턴 데이터와, 비교하여, 지향된 디바이스가, 에어컨(100c)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11h는, 도 11e와 유사하나, 이동 단말기(600)의 송신부(421)에서 적외선 출력 신호(Sout)가 출력되지 않으며, 영상표시장치(100a)의 송신 장치(101ab)가, 9개의 적외선 발광부 중, 일부(LPa2,LPa3,LPa7)만 발광하는 것을 예시한다.
적외선 카메라(423aa)에서 획득되는 적외선 이미지(1011b)는, 도 11e와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670)는, 메모리(660) 등에 기 저장된 적외선 패턴 데이터와, 비교하여, 지향된 디바이스가, 영상표시장치(100a)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3d는 도 12a 내지 도 12c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2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가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S955), 이동 단말기(600)의 송신부(421)는, 지향되는 디바이스 방향으로 호출 신호(Scall)를 전송한다(S960).
한편, 호출 신호(Scall)는, 페어링 요청 신호(pairing request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된 디바이스(100)는, 호출 신호(Scall)를 수신하고(S961), 호출 신호(Scall)를 인식할 수 있다(S962).
디바이스(100)는, 호출 신호 인식에 따라, 페어링 요청 신호(pairing request signal)를 인식할 수 있으며, 페어링 요청 신호(pairing request signal)에 대응하는 페어링 응답 신호(pairing response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S968).
이동 단말기(600)는, 페어링 응답 신호(pairing response signal)를 수신할 수 있다(S969).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와 디바이스(100) 간에 페어링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00)는, 페어링 완료 후, 식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974).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975).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S980). 디바이스 식별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985).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제1 항목이 선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990), 해당하는 경우, 제1 항목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995). 이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를 간편하게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2b는, 도 12a와 유사하나, 호출 신호 출력 단계(S960) 내지 식별 단계(S980) 사이에서 그 차이가 있다.
도 12b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600)의 송신부(421)는, 지향되는 디바이스 방향으로 호출 신호(Scall)를 전송한다(S960).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된 디바이스(100)는, 호출 신호(Scall)를 수신하고(S961), 호출 신호(Scall)를 인식할 수 있다(S962).
디바이스(100)는, 호출 신호 인식에 따라, 페어링 요청 신호(pairing request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S963).
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페어링 요청 신호(pairing request signal)를 수신할 수 있다(S964).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송신부(421)는, 페어링 요청 신호(pairing request signal)에 대응하는 페어링 응답 신호(pairing response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S968b).
디바이스(100)는, 페어링 응답 신호(pairing response signal)를 수신할 수 있다(S969b).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와 디바이스(100) 간에 페어링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00)는, 페어링 완료 후, 식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974). 그리고,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975).
다음, 도 12c는, 도 12a와 유사하나, 호출 신호 출력 단계(S960) 내지 매칭 단계(S985) 사이에서 그 차이가 있다.
도 12c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600)의 송신부(421)는, 지향되는 디바이스 방향으로 호출 신호(Scall)를 전송한다(S960).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된 디바이스(100)는, 호출 신호(Scall)를 수신하고(S961), 호출 신호(Scall)를 인식할 수 있다(S962).
디바이스(100)는, 호출 신호 인식에 따라, 식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974). 그리고,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975).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수신된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식별한다(S980). 그리고,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985).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송신부(421)는, 페어링 요청 신호(pairing request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S986). 디바이스(100)는, 페어링 요청 신호(pairing request signal)를 수신할 수 있다(S987).
다음, 디바이스(100)는, 페어링 요청 신호(pairing request signal)에 대응하는 페어링 응답 신호(pairing response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S988).
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페어링 응답 신호(pairing response signal)를 수신할 수 있다(S989).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와 디바이스(100) 간에 페어링이 완료될 수 있다.
도 13a는, 도 12a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600)가 에어컨(101c)을 식별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600)가, 에어컨(101c)으로, 호출 신호(Scall)를 송신하면, 에어컨(101c)은 호출 신호(Scall)를 수신하고, 이를 인식한다. 그리고, 에어컨(101c)은, 호출 신호(Scall) 내의 페어링 요청 신호(Sprq)를 인식한다.
에어컨(101c)은, 페어링 요청 신호(Sprq) 인식에 따라, 페어링 응답 신호(Sprsc)를 전송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페어링 응답 신호(Sprsc)를 수신하고, 이로써 페어링이 완료된다.
한편, 에어컨(101c)은, 페어링 완료 후, 식별 신호(Sidc)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식별 신호(Sidc)를 수신하고, 식별 신호(Sidc)에 기초하여, 에어컨(101c)임을 식별한다.
도 13b는, 도 12a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600)가 영상표시장치(100a)를 식별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600)가, 영상표시장치(100a)로, 호출 신호(Scall)를 송신하면, 영상표시장치(100a)는 호출 신호(Scall)를 수신하고, 이를 인식한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a)는, 호출 신호(Scall) 내의 페어링 요청 신호(Sprq)를 인식한다.
영상표시장치(100a)는, 페어링 요청 신호(Sprq) 인식에 따라, 페어링 응답 신호(Sprsa)를 전송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페어링 응답 신호(Sprsa)를 수신하고, 이로써 페어링이 완료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a)와 이동 단말기(600) 간의 페어링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600)는, 영상표시장치(100a)로부터 RF(Radio Frequency) 신호, 와이파이 (Wi-Fi)신호, 지그비(ZigBee)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레이저 신호, UWB(Ultra Wideband)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신호로부터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a)는, 페어링 완료 후, 식별 신호(Sida)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식별 신호(Sida)를 수신하고, 식별 신호(Sida)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100a)임을 식별한다.
도 13c는, 도 12b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600)가 영상표시장치(100a)를 식별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600)가, 영상표시장치(100a)로, 호출 신호(Scall)를 송신하면, 영상표시장치(100a)는 호출 신호(Scall)를 수신하고, 이를 인식한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a)는, 호출 신호(Scall) 인식에 따라, 페어링 요청 신호(Sprq)를 전송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페어링 요청 신호(Sprq)를 수신하고, 페어링 요청 신호(Sprq)를에 대응하여, 페어링 응답 신호(Sprs)를 전송한다.
영상표시장치(100a)는, 페어링 응답 신호(Sprs)를 수신하고, 이로써 페어링이 완료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a)는, 페어링 완료 후, 식별 신호(Sida)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식별 신호(Sida)를 수신하고, 식별 신호(Sida)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100a)임을 식별한다.
도 13d는, 도 12c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600)가 영상표시장치(100a)를 식별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600)가, 영상표시장치(100a)로, 호출 신호(Scall)를 송신하면, 영상표시장치(100a)는 호출 신호(Scall)를 수신하고, 이를 인식한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a)는, 호출 신호(Scall) 인식에 따라, 식별 신호(Sida)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식별 신호(Sida)를 수신하고, 식별 신호(Sida)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100a)임을 식별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디바이스 식별 완료 후, 페어링 요청 신호(Sprq)를 전송한다. 영상표시장치(100a)는, 페어링 요청 신호(Sprq)를 수신하고, 페어링 요청 신호(Sprq)를에 대응하여, 페어링 응답 신호(Sprsa)를 전송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영상표시장치(100a)는, 페어링 응답 신호(Sprsa)를 수신하고, 이로써 페어링이 완료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5a 내지 도 15b는 도 14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적외선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S1011).
예를 들어, 송신 장치(101)가 적외선(IR) 식별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적외선 식별 신호 검출을 위해, 적외선 카메라(423aa)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적외선 카메라(423aa)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식별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식별 신호로부터 적외선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특히, 적외선 카메라(423aa)는, 이동 단말기(600)의 지향 방향에 따라, 디바이스(100) 또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를 포함하는 적외선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670)는, 캡쳐된 적외선 이미지 내의, 디바이스(100) 또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로부터의, 적외선 패턴을 검출할 수 있다(S1013).
다음, 제어부(67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장치로부터 적외선(IR) 신호가 출력되어,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신호에 기초한, 적외선 패턴이 검출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015).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670)는, 적외선 이미지 중 가장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적외선 패턴을 대표 적외선 패턴으로 검출하고(S1017), 대표 적외선 패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S1019).
한편, 제1015 단계(S1015)에서, 적외선 패턴이 하나인 경우, 제1019 단계(S1019)와 같이, 제어부(670)는, 단일의 적외선 패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b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복수의 적외선(IR) 신호 수신시의 어느 하나의 적외선(IR) 신호를 기준으로,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일단, 이동 단말기(600)는, 적외선(IR)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23)를 구비하며, 수신부(423)는, 적외선 카메라(423aa)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도 15a를 살펴보면, 도 3a와 같이,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에어컨(100c)에,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경우, 적외선 카메라(423aa)는, 도면과 같은 적외선 이미지(1010a)를 캡쳐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복수의 IR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적외선 카메라에서 캡쳐되는 적외선 이미지 내의 가장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IR 신호를 대표 IR 신호로 검출하고, 검출된 대표 IR 신호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식별하며, 식별된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670)는, 적외선 이미지 내의 가장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적외선 패턴을 대표 적외선 패턴으로 검출하고, 검출되는 적외선 패턴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확인 또는 식별하며, 확인 또는 식별된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면에서는, 에어컨(100c)과 에어컨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가 적외선 이미지(1010a) 중앙에 위치하며, 그 좌측에, 조명 장치(100d), 및 그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d), 셋탑 박스(100b) 및 그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b), 그리고 가장 좌측에, 영상표시장치(100a), 및 그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어부(670)는, 적외선 이미지(1010a) 내에서, 적외선 신호가 출력되는 적외선 패턴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70)는, 에어컨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를 포함하는 영역(Arca), 조명 장치(100d)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d)를 포함하는 영역(Arda), 셋탑 박스(100b)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b)를 포함하는 영역(Arba),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를 포함하는 영역(Araa) 중,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에어컨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를 포함하는 영역(Arca)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70)는, 복수의 영역 중,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에어컨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를 포함하는 영역(Arca)을, 추출하고, 영역(Arca) 내의 적외선 패턴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70)는, 에어컨(100c)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로부터의 적외선(IR) 신호를 대표 적외선(IR) 신호로 검출하고, 검출된 대표 적외선(IR) 신호에 대응하는 에어컨(100c)을 확인 또는 식별하고, 확인 또는 식별된 에어컨(100c)에 대응하여, 에어컨(100c)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b를 살펴보면, 도 3c와 같이,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영상표시장치(100a)에,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경우, 적외선 카메라(423aa)는, 도면과 같은 적외선 이미지(1010b)를 캡쳐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복수의 적외선(IR)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적외선 카메라에서 캡쳐되는 적외선(IR) 이미지 내의 가장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적외선(IR) 신호를 대표 적외선(IR) 신호로 검출하고, 검출된 대표 적외선(IR) 신호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확인 또는 식별하며, 확인 또는 식별된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a), 및 그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가 이미지(1010b) 중앙에 위치하며, 그 우측에, 셋탑 박스(100b) 및 그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b), 조명 장치(100d), 및 그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d)가 배치되며, 그리고 가장 우측에, 에어컨(100c), 및 그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가 배치되며, 영상표시장치(100a)의 좌측에, 로봇 청소기(100e), 및 그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e)가 배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어부(670)는, 적외선 이미지(1010b) 내에서, 적외선 신호가 출력되는 적외선(IR) 패턴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70)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를 포함하는 영역(Arab), 셋탑 박스(100b)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b)를 포함하는 영역(Arbb), 조명 장치(100d)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d)를 포함하는 영역(Ardb), 에어컨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를 포함하는 영역(Arcb), 에어컨(100c)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를 포함하는 영역(Arcb), 로봇 청소기(100e)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e) 영역(Areb) 중,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를 포함하는 영역(Arab)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70)는, 복수의 영역 중,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를 포함하는 영역(Arab)을, 추출하고, 영역(Arab) 내의 적외선(IR) 패턴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670)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로부터의 적외선(IR) 신호를 대표 적외선(IR) 신호로 검출하고, 검출된 대표 적외선(IR)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표시장치(100a)를 확인 또는 식별하고,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a)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적외선 패턴은, 시간 기반의 적외선 패턴, 또는 공간 기반의 적외선 패턴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시간 기반의 적외선 패턴은, 송신 장치(101)가, 레벨 가변 또는 듀티 가변 기반의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소정 시간 동안, 가변되는 레벨 또는 가변되는 듀티(duty)의 패턴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670)는, 송신 장치(101)가, 레벨 가변 또는 듀티 가변 기반의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캡쳐된 복수의 적외선 이미지에 기초하여, 레벨 가변 또는 듀티 가변 기반의 적외선 패턴을 검출하고, 검출된 적외선 패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공간 기반의 적외선 패턴은, 송신 장치(101)가, 적외선 신호를 자체 출력하는 것이 아닌, 적외선 반사 패턴이 형성된 경우에, 이동 단말기(600)의 송신부(421)에서, 송신 장치(101)로 적외선 출력 신호(Sout)가 출력되어, 송신 장치(101)에서 적외선 출력 신호(Sout)가, 적외선 반사 패턴에 의해, 선택적으로 반사되므로, 반사 패턴의 형상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670)는, 디바이스(100a) 또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송신장치(101a)로부터 반사된 적외선 반사 패턴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반사 패턴이 캡쳐된 적외선 이미지 내에서, 디바이스(100a) 또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에 형성된 적외선 반사 패턴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 패턴을 검출하고, 검출된 적외선 패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a)를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70)는, 송신 장치(101)에 일부 반사 패턴과 일부 흡수 패턴이 형성된 경우, 캡쳐된 적외선 이미지 내의,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에 형성된, 적외선 반사 패턴, 및 적외선 흡수 패턴에 기초하여, 적외선 패턴을 검출하고, 검출된 적외선 패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시간 기반의 적외선 패턴 검출에 대해서는, 도 9b 내지 도 9d를 참조하며, 공간 기반의 적외선 패턴 검출에 대해서는, 도 11b 내지 도 11f를 참조한다.
먼저, 도 9b는, 에어컨(100c)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의 송신부(106c)가 적외선 식별 신호(IRc)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9b의 (a)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적외선 카메라(423aa)는, 에어컨(100c)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를 포함하는 적외선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70)는, 지향되는 디바이스가 변경되는 경우, 표시되는 원격제어 오브젝트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6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7a 내지 도 27e는 도 16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가 제1 디바이스로 지향되는 경우(S1105), 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S1110).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제1 식별 신호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에서 제1 식별 신호를 검출한다(S1111). 그리고, 검출된 제1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를 식별한다(S1113).
예를 들어, 도 3a와 같이, 에어컨(100c)에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로부터, 에어컨(100c) 또는 에어컨(100c)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로부터의 에어컨에 대응하는 제1 식별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b에서 기술한 방법에 의해, 어느 하나의 식별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검출된 제1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의 식별 신호인 지를 식별 또는 확인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660)에 저장된 식별 신호 패턴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1 디바이스의 식별 신호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제1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1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1115).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제1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제1 항목이 선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120), 해당하는 경우, 제1 항목에 대응하는 제1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1125).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를 간편하게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가 제2 디바이스로 지향되는 경우(S1130), 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S1135).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제2 식별 신호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에서 제2 식별 신호를 검출한다(S1136). 그리고, 검출된 제2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를 식별한다(S1138).
예를 들어, 도 3b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a)에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로부터, 영상표시장치(100a) 또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로부터의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제2 식별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검출된 제2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의 식별 신호인 지를 확인 또는 식별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660)에 저장된 식별 신호 패턴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2 디바이스의 식별 신호인 것으로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제2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2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1140).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제2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제1 항목이 선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145), 해당하는 경우, 제1 항목에 대응하는 제2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1150). 이에 따라, 제2 디바이스를 간편하게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7a는 집안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 중 에어컨(100c)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에어컨(100c)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로부터, 식별 신호(Sidc)를 수신한다. 그리고, 식별 신호(Sidc)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에서 식별 신호(Sidc)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 신호(Sidc)에 기초하여, 지향되는 디바이스가 에어컨(100c)인 것으로 확인 또는 식별하고, 에어컨(100c)에 대한 원격제어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17b는, 이동 단말기(600)의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메뉴 항목(203)이 선택된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메뉴 항목(203)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Sremc)가, 에어컨(100c)으로 전송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는, 에어컨 제어를 위해, 메뉴 항목(203)을 바람 세기 조정 명령에 매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7c와 같이, 에어컨(100c)이, 메뉴 항목(203)의 선택에 따라 설정된 바람의 세기에 대응하여, 찬 바람(1103)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18a는 집안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 중 영상표시장치(100a)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로부터 식별 신호(Sida)를 수신한다. 그리고, 식별 신호(Sida)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에서 식별 신호(Sida)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 신호(Sida)에 기초하여, 지향되는 디바이스가 영상표시장치(100a)인 것으로 확인 또는 식별하고,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한 원격제어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18b는, 이동 단말기(600)의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메뉴 항목(203)이 선택된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메뉴 항목(203)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Srema)가, 영상표시장치(100a)로 전송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8c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a)에 소정 영상(1210)이 표시된 상태에서, 메뉴 항목(203)의 선택에 따라, 화면 하단에 메뉴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도 17a 내지 도 18c와 같이, 서로 다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해, 메뉴 항목에 서로 다른 동작을 설정함으로써, 간편하게 서로 다른 디바이스를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9a는 집안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 중 셋탑 박스(100b)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셋탑 박스(100b)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b)로부터 식별 신호(Sidb)를 수신한다. 그리고, 식별 신호(Sidb)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에서 식별 신호(Sidb)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 신호(Sidb)에 기초하여, 지향되는 디바이스가 셋탑 박스(100b)인 것으로 확인 또는 식별하고, 셋탑 박스(100b)에 대한 원격제어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19b는, 이동 단말기(600)의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메뉴 항목(203)이 선택된 경우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 제어시에, 메뉴 항목(203)에 특정 동작이 설정되지 않는 경우, 도면과 같이, 이동 단말기(600)는, 동작 불능 메시지(1311)를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메뉴 항목의 동작이 안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9c는, 이동 단말기(600)의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채널 항목(203a)이 선택된 경우를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채널 항목(203a)의 선택에 따라, 채널 변경과 관련된 원격제어신호(Sremb)를, 셋탑 박스(100b)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셋탑 박스(100b)는, 채널 변경을 수행하며, 채널 변경된 방송 영상 이미지를 영상표시장치(100a)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 19b에 표시되던 CH36-1의 방송 영상(1310)이 변경되어, CH37-1의 방송 영상(1315)이, 영상표시장치(100a)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9d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전면 케이스(701)가 열린 경우, 제어부(680)는, 디스플레이(680) 상에 형성된 전기적 전도도의 차이를 인식하고, 전면 케이스가 열린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케이스 개방에 따라, 도 19b의 원격제어 오브젝트(750c)와 다른, 원격제어 오브젝트(1301)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케이스 개방에 따라 표시되는 원격제어 오브젝트(1301)의 항목의 개수가, 도 19b와 같이, 전면 케이스가 닫힌 경우에 표시되는 원격제어 오브젝트(750c)의 개수 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원격제어 오브젝트(1301) 내에, 에어컨 상태 정보(현재 온도 정보, 목표 온도 정보), 온도 설정 항목, 바람 세기 설정 항목, 운전 시간 설정 항목 등이 구비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 중, 운전 시간 설정 항목(1302)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송신부(432b)는, 원격제어신호(Sremcc)를 에어컨(100c)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컨(100c)은, 설정된 운전 시간 동안 동작하며, 도 19e와 같이, 찬 바람(1102)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20a는 집안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 중 에어컨(100c)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에어컨(100c)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로부터 식별 신호(Sidc)를 수신한다. 그리고, 식별 신호(Sidc)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에서 식별 신호(Sidc)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 신호(Sidc)에 기초하여, 지향되는 디바이스가 에어컨(100c)인 것으로 확인 또는 식별하고, 에어컨(100c)에 대한 원격제어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에어컨(100c)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된 상태에서, 기기 확인이 완료되거나, 원격제어 오브젝트 표시가 완료되는 경우, 도면과 같이, "에어컨을 제어합니다"와 같은 에어컨 제어 가능 메시지(311a)를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에어컨 제어가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20b는, 이동 단말기(600)의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멀티 디바이스 동작 항목(204)가 선택된 경우를 예시한다.
멀티 디바이스 동작 항목(204)는, IFTTT(If This, Then That) 항목(item)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600)가 에어컨(100c)을 원격제어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멀티 디바이스 동작 항목(204)에는, 에어컨(100c) 전원 온, 및 영상표시장치(100a)의 전원 온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는, 멀티 디바이스 동작 항목(204)가 선택되는 경우, 에어컨(100c)으로 제1 원격제어신호(Sremc1)로서 전원 온 신호를 전송하며, 영상표시장치(100a)로 제2 원격제어신호(Srema1)로서 전원 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0c와 같이, 에어컨(100c)이, 전원 온 되어, 찬 바람(1103)을 출력할 수 있으며, 영상표시장치(100a)의 전원이 온 되어, 소정 영상(1315)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멀티 디바이스 동작 항목(204)에 대한 멀티 디바이스 기능 설정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는, 멀티 디바이스 동작 항목(204)가 선택되는 경우, 에어컨(100c)으로 제1 원격제어신호(Sremc1)로서 전원 온 신호와, 제2 원격제어신호(Srema11)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컨(100c)은, 도 20d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a)로 제2 원격제어신호(Srema11)인 전원 온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멀티 디바이스 동작 항목(204)의 선택에 따라, 지향되는 디바이스가, 소정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디바이스로, 멀티 디바이스 동작 항목(204)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1a는 집안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 중 영상표시장치(100a)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로부터 식별 신호(Sida)를 수신한다. 그리고, 식별 신호(Sida)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식빌 신호에서 식별 신호(Sida)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 신호(Sida)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가 영상표시장치(100a)인 것으로 확인 또는 식별하고,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한 원격제어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21b는, 이동 단말기(600)의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멀티 디바이스 동작 항목(204)가 선택된 경우를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가 영상표시장치(100a)를 원격제어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멀티 디바이스 동작 항목(204)에는, 영상표시장치(100a) 전원 온, 및 조명 장치(100d) 전원 온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즉, 멀티 디바이스 동작 항목(204)의 선택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는, 영상표시장치(100a)로 제1 원격제어신호(Srema2)로서 전원 온 신호를 전송하며, 조명 장치(100d)로 제2 원격제어신호(Sremd2)로서 전원 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1c와 같이, 멀티 디바이스 동작 항목(204)의 선택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a)의 전원이 온 되어, 소정 영상(1315)을 표시할 수 있으며, 조명 장치(100d)의 전원이 온 되어, 제1 색상의 광(1511)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22a 내지 도 22c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 음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원격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먼저, 도 22a는, 이동 단말기(600)가, 전방의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r)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도 지향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2층 방 조명"과 같은 특정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사운드(1611)가 수신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의 마이크(623)는, 소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음성을 획득하고, 제어부(670)는, 획득되는 사용자 음성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음성 내의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670)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 음성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2층 방 조명"과 같은 사운드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2층 방 조명 장치(미도시)에 대한 원격제어 오브젝트 설정을 수행하고, 원격제어 오브젝트 표시가 완료되는 경우, 도면과 같이, "2층 방 조명 제어합니다"와 같은 2층 방 조명 제어 가능 메시지(1612)를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2층 방 조명 제어가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22c는, 이동 단말기(600)의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전원 항목(202)이 선택된 경우를 예시한다.
제어부(670)는, 전원 항목(202)의 선택에 따라, 2층 방 조명 장치의 전원 온을 위한 원격제어신호(Srem2)를 AP 장치(300) 방향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AP 장치(300)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 중인, 2층 방 조명 장치(1605)로 원격제어신호(Srem2)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층 방 조명 장치(1605)는 전원이 온(on) 되어, 소정 색의 광(1606)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670)는, 적외선(IR) 신호 수신에 기반하여, 디바이스 원격 제어를 위해 설정된 항목의 선택시에 출력되는 원격제어신호와, 음성 인식에 기반하여, 디바이스 원격 제어를 위해 설정된 항목의 선택시에 출력되는 원격제어신호의 종류가 다르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670)는, 적외선(IR) 신호 수신에 기반하여, 디바이스 원격 제어를 위해 설정된 항목의 선택시에 출력되는 원격제어신호가, 적외선(IR) 신호 기반으로 출력되도록, 송신부(421)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음성 인식에 기반하여, 디바이스 원격 제어를 위해 설정된 항목의 선택시에 출력되는 원격제어신호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 기반으로 출력되도록 송신부(42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70)는, 적외선(IR) 기반의 원격제어신호 출력시, 특정 디바이스 제어를 위해, 다른 패턴의 적외선(IR) 기반의 원격제어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특정 디바이스 원격 제어를 위해, 원격제어 오브젝트 외에, 음성 인식, 제스쳐 등의 다양한 입력 방법을 더 이용하여,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는, 특정 디바이스를 지향하는 경우, 수신부(423)를 통해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해당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한 상태에서, 마이크(623)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는 경우, 사용자 음성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를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디바이스 식별이 완료된 상태 또는,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마이크(623)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는 경우, 사용자 음성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를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제1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가능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마이크(623)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는 경우, 사용자 음성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를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3a 내지 도 23c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23a는 도 20a와 같이, 집안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 중 에어컨(100c)을, 이동 단말기(600)가 원격 제어 가능한 경우를 예시한다.
다음, 도 23b는, "23℃ 운전"과 같은, 사용자 음성이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의 마이크(623)는, "23℃ 운전"과 같은, 사용자 음성(1711)를 인식하며, 제어부(670)는, 획득되는 사용자 음성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670)는, 음성 인식 신호 처리 이후, "23℃ 운전"(1711)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Sremcc)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3c와 같이, 에어컨(100c)이, 동작하며, 목표 온도가, 23℃로 설정되어 운전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운전에 의한, 찬 바람(1104)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가 특정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가능 이후에,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소정 항목 선택이 아닌, 사용자 음성을 통해, 간편하게, 디바이스를 원격제어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이동 단말기(600)가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식별 신호(Sid) 수신시, 식별 신호(Sid)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에서 식별 신호(Sid)를 검출하고, 식별 신호(Sid)의 검출이 완료되면 식별 신호 검출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4a에서는, 식별 신호 검출 완료 메시지(1701)가 사운드로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검출된 디바이스 식별 신호(Sidc)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확인 또는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 또는 식별된 디바이스의 원격제어를 위해,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제어 명령이 매칭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항목 설정 수행 중 또는 수행할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1702)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4b는, 디바이스 식별 신호(Sidc) 이후,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항목 설정 수행 중 또는 수행할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1702)가, 사운드로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하여 원격제어 오브젝트 표시완료시, 도 24c와 같이, 제어 가능 메시지(1703)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에어컨 제어 가능 메시지(1703)가 사운드로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24d에서는, 식별 신호 검출 완료 메시지(1704)가 사운드로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검출된 디바이스 식별 신호(Side)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확인 또는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 또는 식별된 디바이스의 원격제어를 위해,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제어 명령이 매칭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항목 설정 수행 중 또는 수행할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1702)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4e는, 디바이스 식별 신호(Side) 이후,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항목 설정 수행 중 또는 수행할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1705)가, 사운드로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하여 원격제어 오브젝트 표시완료시, 도 24f와 같이, 제어 가능 메시지(1706)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로봇 청소기 제어 가능 메시지(1706)가 사운드로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어부(670)는,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제1 항목에, 복수의 제어 명령이 매칭되도록 제어하고, 제1 항목의 선택 횟수, 선택 시간에 따라, 또는 제1 항목을 선택하면서 수행되는 제스쳐 동작에 따라, 또는 제1 항목을 선택하면서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에 따라, 복수의 제어 명령 중 해당하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가, 디바이스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5a 내지 도 25d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25a는, 이동 단말기(600)가 에어컨(100c)을 원격 제어 가능한 상태에서, 메뉴 항목(203)이 Tx 기간 동안 눌려진 경우, 메뉴 항목(203)이 바람 세기 설정 명령으로 매칭되며, 메뉴 항목(203)의 선택에 따라, 에어컨(100c)에, 바람 세기 설정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설정된 바람 세기에 대응하는, 찬 바람(1103)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25b는, 이동 단말기(600)가 에어컨(100c)을 원격 제어 가능한 상태에서, 메뉴 항목(203)이 Tx 기간 보다 긴 Ty 기간 동안 눌려진 경우, 메뉴 항목(203)이 운전 시간 설정 명령으로 매칭되어, 메뉴 항목(203)의 선택에 따라, 에어컨(100c)에, 운전 시간 설정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메뉴 항목(203)이, Ty 기간 동안과 같이, 길게 눌려지는 경우, 에어컨 운전 시간 설정 명령에 매칭하도록 제어하고, 운전 시간 설정 메시지(1707)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25c는, 이동 단말기(600)가 에어컨(100c)을 원격 제어 가능한 상태에서, 메뉴 항목(203)이 선택되며, 이동 단말기(6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등의 모션 센서(645)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움직임을 추출할 수 있으며,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매칭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이동 단말기(600)의 시계 방향 움직임에 따라, 목표 온도 증가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매칭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이동 단말기(600)의 시계 방향 움직임에 따라, 목표 온도 증가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매칭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목표 온도 증가 메시지(1708)가, 사운드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5d는, 도 25c와 달리, 이동 단말기(600)의 반시계 방향 움직임에 따라, 목표 온도 감소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매칭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이동 단말기(600)의 반시계 방향 움직임에 따라, 목표 온도 감소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매칭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목표 온도 감소 메시지(1709)가 사운드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이동 단말기(600)가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식별 신호(Sid) 수신시, 식별 신호(Sid)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에서 식별 신호(Sid)를 검출하고, 식별 신호(Sid)의 검출이 완료되면 식별 신호 검출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6a에서는, 식별 신호 검출 완료 메시지(1701)가 사운드로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이미지를 캡쳐하는 카메라(6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670)는, 카메라(621)에서 캡쳐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6b는, 사용자(51)의 얼굴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600)의 카메라(621)가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카메라(621)는, 사용자 얼굴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으며, 제어부(670)는, 카메라(621)에서 캡쳐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60) 내에, 사용자 얼굴 이미지가 저장된 경우, 제어부(670)는, 카메라(621)에서 캡쳐된 이미지와, 메모리(660)에 저장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6c는, 이동 단말기(600)의 지문 인식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51)가, 이동 단말기(600)의 지문 인식부(미도시)에 자신의 손가락(52)을 위치시키는 경우, 지문 인식부(미도시)는, 손가락(52)의 지문을 캡쳐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메모리(660) 내에, 저장된 지문 이미지 데이터와, 캡쳐된 지문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도 26d와 같이, 사용자 인증 성공 메시지(1711)가 사운드로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카메라(621)에서 캡쳐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 정보(Suser)를, 도 26e와 같이, 지향되는 디바이스(100c)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디바이스(100c)로부터 사용자 인증 확인 정보(Sok)를 수신하는 경우,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디바이스(100c)로부터 사용자 인증 확인 정보(Sok)를 수신하는 경우,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완료 메시지(1712)가, 사운드로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도 26f와 같이, 인증된 사용자를 위한 디바이스 제어 수행 메시지(1713)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항목 설정 안내 메시지(1714)를, 도 26g와 같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간편하게, 원하는 동작에 대한 해당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사용자 인증에 따라, 맞춤형 운전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항목 설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670)는, 소정 시간 동안, 소정 항목 선택이 없는 경우, 대기 모드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대기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직전에 지향하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위해,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7a 내지 도 27e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27a는, 이동 단말기(600)가, 에어컨(100c) 제어를 위해 동작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한편, 도 27b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가, 소정 시간 동안, 동작하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각 유닛 내의 전원을 제한하고,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640)와 무선 통신부(610)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대기 모드 진입시, 도면과 같이, 대기 모드 진입을 나타내는 메시지(1716)가 사운드로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도 27c와 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가 움직이는 경우, 대기 모드가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면과 같이, 대기 모드 종료 메시지(1717)가 사운드로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대기 모드 종료시, 직전 지향된 에어컨(100c) 제어를 위해, 이동 단말기(6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면과 같이, 에어컨 제어 가능 메시지(1717)가, 사운드로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대기 모드 종료시,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초기화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27d와 같이, 초기화 메시지(1718)가 사운드로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대기 모드 종료시, 도 27e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카메라(621)를 통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경우, 사용자 인증에 따라, 디폴트로 설정된,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27e와 같이, 사용자 인증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가능 메시지(1719)가 사운드로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29a 내지 도 30c는 도 28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2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가 제1 디바이스로 지향되는 경우(S1705), 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S1710).
예를 들어, 도 3a와 같이, 에어컨(100c)에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에어컨(100c) 또는 에어컨(100c)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로부터의 에어컨에 대응하는 패턴의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제1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의 식별 신호인 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660)에 저장된 IR 신호 패턴과 비교하여, 제1 디바이스의 식별 신호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한, 제1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1715).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표시되는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제1 항목이 선택되면서 제2 디바이스로 이동되는 지, 또는, 제1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제2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720), 해당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제2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S1735).
예를 들어, 도 3b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a)에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영상표시장치(100a) 또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로부터의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패턴의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제2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의 식별 신호인 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660)에 저장된 식별 신호 패턴과 비교하여, 제2 디바이스의 식별 신호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한, 제2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1740).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제1720 단계에서, 제2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제1 항목이 선택되면서 제2 디바이스로 이동되는 되거나, 또는, 제1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제2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제1 디바이스 정보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750). 이때의 제1 디바이스 정보는, IR 신호 또는 RF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지향된 제2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이동 단말기(600)를 이용하여, 복수의 디바이스를 원격제어하는 것은 물론, 연관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설정된 항목 중 제1 항목이 선택되면서 제2 디바이스로 이동되는 되거나, 또는, 제1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제2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포인팅 정보를 RF 신호로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디바이스 사이의 다양한 연관 동작 수행에 대해 기술한다.
도 29a는 집안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100a,100b,100c,100d,100e) 중 에어컨(100c)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에어컨(100c)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c)로부터 식별 신호(Sidec)인 IR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식별 신호(Sidec)인 IR 신호에 기초하여, 에어컨(100c)에 대한 기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컨(100c)에 대한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에어컨(100c)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된 상태에서, 기기 확인이 완료되거나, 항목 설정이 완료되는 경우, 도면과 같이, "에어컨을 제어합니다"와 같은 에어컨 제어 가능 메시지(311a)를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에어컨 제어가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29b는,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원격제어 오브젝트(750c) 내의 확인 항목(207)이 선택되면서, 이동 단말기(600)의 지향 방향이, 에어컨(100c)에서 영상표시장치(100a)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로부터의 IR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IR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한 기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한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영상표시장치(100a)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의 확인 항목(207)이 선택되면서, 이동 단말기(600)의 지향 방향이, 에어컨(100c)에서 영상표시장치(100a)로 이동하는 경우, 전원 온 신호(Spon)가, 영상표시장치(100a)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의 지향 방향이, 에어컨(100c)에서 영상표시장치(100a)로 이동하는 경우, 자동으로, 영상표시장치(100a)의 전원이 온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이동 단말기(600)의 확인 항목(207)이 선택되면서, 이동 단말기(600)의 지향 방향이, 에어컨(100c)에서 영상표시장치(100a)로 이동하는 경우, 도 29c와 같이, 에어컨(200c)에 대한 정보(Shd1)를, IR 신호 또는 RF 신호로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의 메모리(660)는, 이동 단말기(600)의 사용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29a에서 확인된 에어컨(100c)에 대한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a)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에어컨(100c)에 대한 상태 정보, 기기 정보 등을 영상표시장치(100a)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a)는, 에어컨(100c)에 대한 상태 정보, 기기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이동 단말기(600)의 확인 항목(207)이 선택되면서, 이동 단말기(600)의 지향 방향이, 에어컨(100c)에서 영상표시장치(100a)로 이동하는 경우, 도 29d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포인팅 정보(Spot)를, RF 신호로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복수의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하므로, 삼각법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이동에 따른, x,y,z 축과 같은 절대 좌표를 연산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복수의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로부터, IR 신호와, 센싱부(640) 내의 자이로 센서 정보, 가속도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이동에 따른, x,y,z 축과 같은 절대 좌표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다른 디바이스를 지향하였다가, 표시되는 원격제어 오브젝트(750c) 내의 확인 항목(207)이 선택되면서, 영상표시장치(100a)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다른 홈 디비아스를 지향하였다가, 소정 시간 내에, 영상표시장치(100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내부에서 연산되고 있던, 포인팅 정보(Spot)를, 영상표시장치(100a)로, RF 신호로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a)의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포인팅 정보(Spot)를 수신하며, 영상표시장치(100a)의 제어부(170)는, 수신되는 포인팅 정보(Spot)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을 나타내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9e는, 이동 단말기(600)의 에어컨(100c)에서 영상표시장치(100a)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화살표 형상의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에 이동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원격제어 기능이 전환되면서, 바로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포인터(205)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입력 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9f는, 이동 단말기(600)의 에어컨(100c)에서 영상표시장치(100a)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에어컨 형상의 포인터(1805)가 디스플레이(180)에 이동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29c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가 에어컨과 관련된 정보(Shd1)를 전송하며, 도 29d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가 포인팅 정보(Spot)를 전송하므로, 영상표시장치(100a)의 제어부(170)는, 포인팅 정보(Spot)와 에어컨와 관련된 정보(Shd1)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을 나타내는 에어컨 형상의 포인터(180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전에 원격제어되던 디바이스가, 에어컨임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확인 항목(207)이 동작하면서, 이동 단말기(600)의 에어컨(100c)에서 영상표시장치(100a) 방향으로의 이동하는 경우, 도 29g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a)에 에어컨 원격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1820)가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9c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가 에어컨과 관련된 정보(Shd1)를 전송하므로, 영상표시장치(100a)의 제어부(170)는, 에어컨 원격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1820)를 생성하고, 도 29g와 같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에어컨과 관련된 정보(Shd1) 내에 에어컨 동작 상태 정보(예를 들어, 현재 온도, 목표 온도 정보 등)가 포함되는 경우, 원격제어 오브젝트(1820) 내에, 상태 정보, 및 에어컨 원격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항목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원격제어 오브젝트(1820) 내에, 현재 온도, 목표 온도가 표시되며, 온도 설정 항목(+,-), 바람 세기 설정 항목(강,중,약), 운전 시간 설정 항목(30분, 1시간, 2시간) 등이 예시된다.
한편, 도 29g와 같은, 원격제어 오브젝트(1820)는,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원격제어 오브젝트(750c) 내의 확인 항목(207)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종료되는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 항목(207)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계속되면서, 이동 단말기(600)가, 에어컨(100c)에서, 영상표시장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1805) 등이 표시되며, 영상표시장치(100a)를 지향한 경우에, 확인 항목(207)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종료되는 경우, 도 29g와 같은, 원격제어 오브젝트(1820)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영상표시장치(100a)로 이동 단말기가 지향된 상태에서, 확인 항목(207)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종료되는 경우, 확인 항목 동작 종료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a)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a)의 제어부(170)는, 확인 항목 동작 종료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제어 오브젝트(1820)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29e의 포인터(205), 또는 도 29f의 포인터(1805)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29h는 원격제어 오브젝트(1820) 내의 운전 시간 설정 항목(1821)이 선택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포인터(205 또는 1805) 및 확인 항목(207) 등에 의해, 운전 시간 설정 항목(1821)이 선택될 수 있다.
도 29h에서는, 이동 단말기(600)가 영상표시장치(100a)를 지향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가 영상표시장치(100a) 제어를 위해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장고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1820) 내의 소정 항목 선택시에는, 이동 단말기(600)의 포인팅 정보, 및 확인 항목(207) 동작에 기초하여, 소정 항목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는, 사 방향항목를 구비하는 휠 항목((206)가 동작하는 경우, 관련 원격제어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a)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휠 항목(206) 중 상,하 방향항목 동작에 따라, 채널이 변경되거나, 휠 항목(206) 중 좌,우 방향항목 동작에 따라, 볼륨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29h에서, 운전 시간 설정 항목(1821)이 선택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a)는, 도 29i와 같이, 에어컨(101c) 제어를 위한 IR 신호 기반의 원격제어신호(Srema)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컨(101c)에서의 운전 시간 설정이 수행되게 된다.
또는, 도 29h에서, 운전 시간 설정 항목(1821)이 선택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a)는, 도 29j와 같이, 에어컨(101c) 제어를 위한 IR 신호 기반의 제1 원격제어신호(rem1)를 이동 단말기(6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이를 수신하여, 에어컨(101c) 제어를 위한 IR 신호 기반의 제2 원격제어신호(rem2)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컨(101c)은 제2 원격제어신호(rem2)에 기초하여, 운전 시간 설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0a 내지 도 30c는, 이동 단말기(600)가, 영상표시장치(100a)를 지향하다가, 확인 항목(207) 동작하면서, 조명장치(100d) 방향으로 지향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a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는, 영상표시장치(100a)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600)가 지향된 상태에서, 기기 확인이 완료되거나, 항목 설정이 완료되는 경우, 도면과 같이, "TV 제어합니다"와 같은 영상표시장치 제어 가능 메시지(311b)를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방송 영상(1315)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30b와 같이, 표시되는 원격제어 오브젝트(750d) 내의 확인 항목(207)이 선택되면서, 이동 단말기(600)가, 영상표시장치(100a)를 지향하다가, 조명장치(100d)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조명장치(100d)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d)로부터의 IR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IR 신호에 기초하여, 조명장치(100d)에 대한 기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장치(100d)에 대한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이동 단말기(600)의 확인 항목(207)이 선택되면서, 이동 단말기(600)의 지향 방향이, 영상표시장치(100a)에서 조명장치(100d)로 이동하는 경우, 도 30b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한 정보(Shd2)를, IR 신호 또는 RF 신호로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의 메모리(660)는, 이동 단말기(600)의 사용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30a에서 확인된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한 정보를, 조명장치(100d)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방송 영상에 대한 채널 정보, 프로그램 정보, 무드 정보 등을 조명장치(100d)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장치(100d)는, 채널 정보, 프로그램 정보, 무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0c와 같이, 조명 장치(100d)는, 수신되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한 정보(Shd2), 특히 무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색상의 광(1511)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송 영상에 적합한, 조명이 간편하게 설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정보 이동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창문에 송신 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가 창문을 지향하다가, 영상표시장치(100a)로 지향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a)에 날씨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의 날씨 정보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로서, 이동 단말기(600)가 영상표시장치(100a)로 전송하던가, 영상표시장치(100a)가, 서버에 접속하여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창문에 송신 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가 창문을 지향하다가, 에어컨(100c), 온도 조절 장치(100h), 또는 공기 청정기(101e)로 지향되는 경우, 에어컨(100c), 온도 조절 장치(100h), 또는 공기 청정기(101e)가 날씨 정보에 대응하는 운전을 자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창문에 송신 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가 창문을 지향하다가, 조명 장치(100d)로 지향되는 경우, 날씨 정보에 대응하는 색상의 광이, 조명 장치(100d)에서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가 로봇 청소기(100e)를 지향하다가, 다른 디바이스 근처로 지향하던가, 지면을 지향하는 경우, 로봇 청소기(100e)는, 다른 디바이스 근처 또는 지향된 지면 부근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가 로봇 청소기(100e)를 지향하다가, 영상표시장치(100a)를 지향하는 경우, 로봇 청소기(100e)의 청소 이력 정보, 홈 가이드 동작 중의 홈 가이드 정보 등이, 영상표시장치(100a)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가 에어컨(100c)을 지향하다가, 영상표시장치(100a)를 지향하는 경우, 상태 정보로서, 필터 교체 주기 정보, 전력 소비 정보, 전력 가격 정보 등이 영상표시장치(100a)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가 정수기(미도시)를 지향하다가, 영상표시장치(100a)를 지향하는 경우, 상태 정보로서, 필터 교체 주기 정보, 전력 소비 정보, 전력 가격 정보 등이 영상표시장치(100a)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가 냉장고(100f)를 지향하다가, 영상표시장치(100a)를 지향하는 경우, 상태 정보로서, 냉장고 내의 푸드 리스트 정보, 냉장고의 동작 상태 정보, 전력 소비 정보 등이 영상표시장치(100a)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전화기(미도시)에 송신 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가 전화기(미도시)를 지향하다가, 영상표시장치(100a)를 지향하는 경우, 최근 걸려온 전화 리스트 정보, 통화 시간 정보 등이 영상표시장치(100a)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32a 내지 도 32c는 도 31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1은 이동 단말기(600)가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 웨이크 업하여, 지향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설정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3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이동 단말기(600)가 움직이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3010).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센싱부(640) 내의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의 모션 센서(645)으로부터의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600)가 움직이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가 움직이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이동 단말기(600)의 각 유닛들이 웨이크 업(wake up)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15). 예를 들어, 각 유닛에 전원 공급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의 소정키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이동 단말기(600)의 각 유닛들이 웨이크 업(wake up)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가 특정 디바이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수신부(423)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S3020).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에서 해당 디바이스(100) 또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로부터의 식별신호를 검출한다.(S3023),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검출된 식별 신호와의 비교를 위해, 메모리(660) 내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S3025). 그리고, 수신된 식별 신호와 기 저장된 식별 신호 데이터를 비교하여, 디바이스를 식별 또는 확인할 수 있다(S3030).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확인된 디바이스가 적외선(IR) 기반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035), 해당하는 경우, 적외선(IR) 신호 기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40).
또는, 적외선(IR) 기반의 디바이스가 아닌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적외선(IR) 이 외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45).
한편, 적외선(IR) 이 외 신호는, RF(Radio Frequency) 신호, 와이파이 (Wi-Fi)신호, 지그비(ZigBee)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레이저 신호, UWB(Ultra Wideband)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2a 내지 도 32c는, 이동 단말기(600)와, 적외선(IR) 기반의 디바이스인 영상표시장치(100a)와, 적외선(IR) 이 외 신호 기반의 디바이스인, 스마트 플러그(100i), 스마트 전구(100d), 및 게이트 웨이(400)를 예시한다.
도 32a는, 이동 단말기(600)가, 영상표시장치(100a)를 지향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영상표시장치(100a)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101a)로부터의 식별 신호(Sida)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적외선(IR)신호 기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적외선(IR) 기반의 원격제어신호(Srema)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Srema)는, 영상표시장치(100a)로 직접 전송되거나, 게이트 웨이(400)를 경유하여 영상표시장치(100a)로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32b 또는 도 32c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가, 스마트 전구(100d)나, 스마트 플러그(100i)를 지향하는 경우, 수신되는 식별 신호(Sidd 또는 Sidi)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적외선(IR) 이 외 신호 기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적외선(IR) 이 외 신호 기반의 원격제어신호(Sremd 또는 Sremi)가 출력될 수 있다. 특히, 게이트 웨이(400)를 경유하여, 출력된 적외선(IR) 이 외 신호 기반의 원격제어신호(Sremd 또는 Sremi)가 스마트 플러그(100i)나, 스마트 전구(100d)로 전달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3)

  1.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또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식별 신호에서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의 식별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소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식별 신호에서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의 식별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신호는, 적외선 식별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식별 신호로부터 적외선 이미지를 캡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캡쳐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이미지를 기초로, 가장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적외선 패턴을 대표 적외선 패턴으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대표 적외선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가, 레벨 가변 또는 듀티 가변 기반의 적외선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캡쳐된 복수의 적외선 이미지에 기초하여, 레벨 가변 또는 듀티 가변 기반의 적외선 패턴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적외선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또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로, 적외선 출력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캡쳐된 적외선 이미지 내의, 상기 디바이스 또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에 형성된 적외선 반사 패턴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 패턴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적외선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된 적외선 이미지 내의, 상기 디바이스 또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에서 발광하는 적외선 패턴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적외선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 중 제1 식별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1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1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 중 제2 식별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2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2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음성을 획득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식별이 완료된 상태 또는, 상기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음성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1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원격제어 오브젝트 내의 멀티 디바이스 동작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1 원격제어신호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원격제어를 위한 제2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식별 신호 검출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나타내는 제1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식별 신호 검출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나타내는 제2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음성을 획득하는 마이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획득되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음성 내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서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식별 신호는,
    적외선(Infra Red) 신호, RF(Radio Frequency) 신호, 와이파이 (Wi-Fi)신호, 지그비(ZigBee)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레이저 신호, UWB(Ultra Wideband) 신호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는,
    적외선(Infra Red) 신호, RF(Radio Frequency) 신호, 와이파이 (Wi-Fi)신호, 지그비(ZigBee)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레이저 신호, UWB(Ultra Wideband)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식별 신호는,
    디바이스 종류 정보, 제조사 정보, 디바이스 모델명 정보, 디바이스 상태 정보, 디바이스 제어 명령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디바이스 제어 명령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디바이스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디바이스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이미지를 캡쳐하는 카메라; 또는
    지문 인식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또는 상기 지문 인식부에서 캡쳐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인증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 오브젝트 중 제1 항목에, 복수의 제어 명령이 매칭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항목의 선택 횟수, 선택 시간에 따라, 또는 상기 제1 항목을 선택하면서 수행되는 제스쳐 동작에 따라, 또는 상기 제1 항목을 선택하면서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어 명령 중 해당하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가,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동안, 소정 항목 선택이 없는 경우, 대기 모드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기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원격제어 오브젝트를 초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전면 케이스;
    상기 이동 단말기의 후면과 결합하거나 부착되는 후면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전면 케이스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 주변의 일측에 배치되는 수신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입사되는 식별 신호의 경로를 상기 수신부 방향으로 가변하는 미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케이스 중 제1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케이스 중 제2 영역에,
    주변 영역과 다른 전도성 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케이스.
KR1020150091418A 2015-06-26 2015-06-26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케이스 KR20170001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418A KR20170001434A (ko) 2015-06-26 2015-06-26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418A KR20170001434A (ko) 2015-06-26 2015-06-26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434A true KR20170001434A (ko) 2017-01-04

Family

ID=5783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418A KR20170001434A (ko) 2015-06-26 2015-06-26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43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105A (ko) * 2017-07-24 2019-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조종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WO2020111394A1 (ko) * 2018-11-27 2020-06-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116845A1 (ko) * 2018-12-06 2020-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246189B1 (ko) * 2020-11-16 2021-04-30 한국인터넷진흥원 집단 지성을 이용한 디바이스 식별 방법 및 장치
WO2022225204A1 (ko) * 2021-04-19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105A (ko) * 2017-07-24 2019-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조종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11422588B2 (en) 2017-07-24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mote control cas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WO2020111394A1 (ko) * 2018-11-27 2020-06-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116845A1 (ko) * 2018-12-06 2020-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US11537275B2 (en) 2018-12-06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mote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same
KR102246189B1 (ko) * 2020-11-16 2021-04-30 한국인터넷진흥원 집단 지성을 이용한 디바이스 식별 방법 및 장치
WO2022225204A1 (ko) * 2021-04-19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8488B1 (ko)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US116764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ppliance control via a smart device
EP3451335B1 (en) Optimum control method based on multi-mode command of operation-voice, and electronic device to which same is applied
CA2959707C (en) Home automation control using context sensitive menus
CN105204742B (zh) 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
US10796564B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multiple devices
KR20170001434A (ko)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케이스
KR102513379B1 (ko)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20180158316A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multiple devices
US201700172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lligent device
US20190306709A1 (en) Electronic device
US20190268321A1 (en) Electronic device
US20150222862A1 (en) Camera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CN106354266A (zh) 终端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09830097B (zh) 一种设备的确定方法以及智能终端
CN105549572A (zh) 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设备
KR102400388B1 (ko) 원격제어장치
KR102343261B1 (ko)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EP3151211B1 (en)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plurality of devices
RU2673464C1 (ru) Способ распознавания и управления бытовой техникой мобильным телефоном и мобильный телефон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2313299B1 (ko)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KR102313300B1 (ko)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KR102578680B1 (ko) 조명 장치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JP2021071894A (ja) 操作装置、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84779B1 (ko)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