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844A - Method for providing Pediatric safety management services using route pattern analysis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Pediatric safety management services using route pattern analysis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844A
KR20200062844A KR1020180148744A KR20180148744A KR20200062844A KR 20200062844 A KR20200062844 A KR 20200062844A KR 1020180148744 A KR1020180148744 A KR 1020180148744A KR 20180148744 A KR20180148744 A KR 20180148744A KR 20200062844 A KR20200062844 A KR 20200062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ds
location
pattern
module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7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3266B1 (en
Inventor
이민철
박진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8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266B1/en
Publication of KR20200062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8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2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children safety management service using behavior pattern analysis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which can efficiently provide a children safety management service. The method for providing a children safety management service comprises: a step in which a pattern deriving module derives a behavior pattern including a moving model representing a position moving pattern for each time slot of a kid device and a place model representing a visit frequency for a place of the kid device; a step in which an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compares the behavior pattern and the position of the kid device to verify whether the position of the kid device is abnormal; a step in which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checks whether the kid device and a protector device mapped to the kid device are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kid device if the position of the kid device is verified to be abnormal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and a step in which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transmits a warning message notifying an abnormal situation to the protector device if the kid device and the protector device are not within the preset range as a result of the checking.

Description

행동 패턴 분석을 이용한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providing Pediatric safety management services using route pattern analysis and apparatus thereof}Method for providing Pediatric safety management services using route pattern analysis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녀가 휴대하는 키즈장치의 시간 별 위치 이동을 나타내는 행동 패턴을 기초로 현재 위치의 이상 여부를 검증하여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child's safety management service, and more specifically, a child's safety management service by verifying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s abnormal based on an action pattern indicating a movement of a child's mobile device by time. It relates to a method that can provide and a device therefor.

자녀 등 사회 약자 안전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되면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한 각종 특수 단말, 예컨대, 키즈폰, 워치, 위치추적기 등을 활용한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다. 현시점에서의 위치 정보를 통한 안전 관리는 위에 언급한 키즈폰 등에 구현되어 있다. As the importance of safety management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children, increases, services utilizing various special terminals using location data, such as kids phones, watches, and location trackers, are increasing. Safety management through location information at the present time is implemented in the kids phone mentioned above.

위치 정보를 활용한 주요 서비스로 첫째 현재 위치 조회 기능이다. 본 기능을 통해 키즈 단말의 현재 위치 상세 측위 결과를 보호자가 확인 할 수 있다. 위치 조회 기능이 동작되는 시점은 1) 보호자가 자녀의 위치를 요청하는 경우, 2) 자녀가 현재 위치를 전송하는 경우, 3) 특정 기간에 주기적으로 위치 전송을 설정할 경우 등 총 세가지가 있다. 이 세가지 모두 보호자가 자녀의 위치를 매번 확인해야 하는 점, 정상 위치에 있는지 보호자가 매번 자의적으로 판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The main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is the first location search function. Through this function, the guardian can check the result of detailed positioning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kids terminal. There are three times when the location inquiry function is activated: 1) when the guardian requests the location of the child, 2) when the child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and 3) when the location transmission is set periodically at a specific period. All three have the inconvenience that the guardian must check the position of the child every time, and that the guardian must decide arbitrarily whether the child is in the normal position.

두번째는 안심 존(safety zone) 기능이다. 보호자 또는 자녀가 특정 장소와 시간을 미리 등록해 두면 현재 위치와 비교해 안심 존에 진입 혹은 이탈 정보를 제공한다. 현재 위치 조회 기능과 달리 매번 위치를 확인하고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수고는 줄어들지만 안심 존을 사전에 등록하지 않으면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The second is the safety zone function. When a guardian or child registers a specific place and time in advance, it provides information on entering or leaving the safe zone compared to the current location. Unlike the current location inquiry function, the effort of checking the location every time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s reduced, but you cannot receive the service without registering the safe zone in advance.

세번째는 SOS 구조 요청 기능이다. 자녀가 단말에 구비된 특정 버튼을 통해 구조요청을 할 때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전송된다. 하지만 구조요청을 하지 않으면 서비스가 불가한 단점이 있다. The third is the SOS structure request function. When a child makes a rescue request through a specific button provided in the terminal, it is transmitted along with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ervice is not possible without a rescue request.

한국등록특허 제10-1234269호, 2013년 02월 12일 등록 (명칭: 어린이 위치정보 제공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34269, Registered on February 12, 2013 (Nam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for children)

기존의 자녀의 위치 관련 서비스들의 경우엔 보호자가 직접 설정하는 수동적인 서비스의 형태였다. 이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현재 위치는 보호자에게 스팸(Spam)과 같이 인식되어 매번 확인하지 않아, 동선 이상 시에 실시간 대응이 어려웠다. 또한 안심 존의 경우에는 매번 설정을 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사용 빈도가 높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녀의 키즈장치의 행동 패턴을 기초로 실제 문제가 발생할 개연성이 높은 경우에만 보호자장치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며, 자동으로 설정되는 안심 존과 같은 장소 설정을 통해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n the case of existing children's location-related services, it was a passive service set by the guardian. Accordingly, the current location periodically transmitted is recognized as spam to the guardian and is not checked every time, so real-time response is difficult in the event of a traffic abnormality. Also, in the case of the security zone, the frequency of use is not high due to the inconvenience of setting every tim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nd a warning message to the guardian device only when the probability of a real problem is high based on the behavior pattern of the child's kids device, and the child's safety management service through a place setting such as a security zone that is automatically set. It is to provide a method that can provide and an apparatus therefor.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패턴도출모듈이 키즈장치의 시간대별 위치 이동 패턴을 나타내는 이동 모델 및 상기 키즈장치의 장소에 대한 방문 빈도를 나타내는 장소 모델을 포함하는 행동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와, 이상진단모듈이 상기 행동 패턴과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의 이상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와, 상기 이상진단모듈이 상기 검증 결과,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가 이상한 것으로 검증되면, 상기 키즈장치에 매핑된 보호자장치가 상기 키즈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상진단모듈이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상기 보호자장치로 이상 상황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providing a child's safety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oving model and a place of the kids device pattern pattern module shows the position movement pattern of each time zone of the kids device Deriving an action pattern including a place model indicating the frequency of visits to, and verify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is abnormal by comparing the action pattern and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by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and If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i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is abnormal, checking whether a guardian device mapped to the kids device is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kids device, and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is As a result of the check, if it is not within the preset range, the method includes transmitting a warning message notifying the abnormality to the guardian device.

상기 행동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도출모듈이 상기 키즈장치의 단위 시간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이동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턴도출모듈이 상기 키즈장치의 방문 빈도가 소정 기준치 이상인 주요 장소를 도출하는 장소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step of deriving the behavior pattern is a step of generating a movement model indicating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unit time of the kids device in the pattern drawing module, and the pattern drawing module is a main place where the frequency of visits of the kids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generating a place model for deriving.

상기 이동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도출모듈이 소정의 단위 기간 별 그리고 단위 시간 별로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패턴도출모듈이 서로 다른 단위 기간의 동일한 단위 시간의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 단위 시간에 중복되는 위치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키즈장치의 단위 시간에 대응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generating of the moving model, the pattern drawing module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for each predetermined unit period and for each unit time, and the pattern drawing module includes the kids having the same unit time in different unit periods. And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to determine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unit time of the kids device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duplicate location in each unit time.

상기 장소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도출모듈이 소정의 단위 기간 동안 수집된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 정보로부터 복수의 위치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그룹에 대한 방문 빈도가 소정 수치 이상인 위치를 주요 장소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generating of the place model, the pattern deriving module generates a plurality of location groups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collected during a predetermined unit period, and the location where the frequency of visits to the generated location grou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s mai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selected as a place.

상기 행동 패턴과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를 비교하여 이상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진단모듈이 상기 이동 모델과 상기 키즈장치의 현재 시간의 위치가 상기 이동 모델의 단위 시간에 대응하는 위치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상진단모듈이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시간에 따른 이동 경로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가 상기 장소 모델에 따른 주요 장소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이상진단모듈이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가 주요 장소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가 이상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omparing the behavior pattern and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to verify whether the abnormality is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the location of the current time of the mobile model and the kids device is outside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unit time of the mobile model Determining whether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is out of the movement pa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belongs to a main place according to the location model; And, if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determines that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does not belong to a main plac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determining that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is abnormal.

상기 행동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도출모듈이 서비스 개시 후, 소정의 초기 기간 동안 상기 키즈장치에 대한 통신망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행동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패턴도출모듈이 상기 초기 기간 후, 상기 키즈장치가 측위한 단말측정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행동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step of deriving the behavior pattern includes the step of deriving the behavior pattern based on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kids device for a predetermined initial period after the pattern introduction module starts service, and the pattern introduction module in the initial period Then, the step of deriving the behavior pattern based on the terminal measurement position information for the kids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키즈장치의 시간대별 위치 이동 패턴을 나타내는 이동 모델 및 상기 키즈장치의 장소에 대한 방문 빈도를 나타내는 장소 모델을 포함하는 행동 패턴을 도출하는 패턴도출모듈과, 상기 행동 패턴과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의 이상 여부를 검증하고, 상기 검증 결과,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가 이상한 것으로 검증되면, 상기 키즈장치에 매핑된 보호자장치가 상기 키즈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상기 보호자장치로 이상 상황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상진단모듈을 포함한다. A device for providing a child's safety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oving model showing a location movement pattern for each time zone of the kids device and a frequency of visits to places of the kids device A pattern drawing module for deriving an action pattern including a place model indicating a, and comparing the action pattern with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to verify whether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is abnormal, and the verification result,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If it is verified as abnormal,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guardian device mapped to the kids device is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kids device, and if the verification result does not fall within the preset range, a warning alerting the abnormality to the guardian device It includes an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that transmits a message.

상기 패턴도출모듈은 상기 키즈장치의 단위 시간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이동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키즈장치의 방문 빈도가 소정 기준치 이상인 주요 장소를 도출하는 장소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attern deriving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movement model indicating a location corresponding to a unit time of the kids device, and generates a place model that derives a main place where the frequency of visits of the kids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상기 패턴도출모듈은 소정의 단위 기간 별 그리고 단위 시간 별로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서로 다른 단위 기간의 동일한 단위 시간의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 단위 시간에 중복되는 위치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키즈장치의 단위 시간에 대응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attern deriving module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for each unit period and for each unit time, compa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s of the same unit time in different unit periods, and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unit time of the kids device according to the existence.

상기 패턴도출모듈은 소정의 단위 기간 동안 수집된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 정보로부터 복수의 위치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그룹에 대한 방문 빈도가 소정 수치 이상인 위치를 주요 장소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attern deriving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plurality of location groups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collected during a predetermined unit period, and selects a location where a frequency of visits to the generated location grou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s a main place. .

상기 이상진단모듈은 상기 이동 모델과 상기 키즈장치의 현재 시간의 위치가 상기 이동 모델의 단위 시간에 대응하는 위치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시간에 따른 이동 경로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가 상기 장소 모델에 따른 주요 장소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가 주요 장소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가 이상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current time of the moving model and the kids device is outside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unit time of the moving model,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t is determined to deviate from the moving path according to the time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belongs to a main place according to the place model,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does not belong to a main place, determining that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is abnormal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패턴도출모듈은 서비스 개시 후, 소정의 초기 기간 동안 상기 키즈장치에 대한 통신망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행동 패턴을 도출하고, 상기 패턴도출모듈이 상기 초기 기간 후, 상기 키즈장치가 측위한 단말측정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행동 패턴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attern deriving module derives the behavior pattern based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kids device for a predetermined initial period after starting the service, and the pattern deriving module measures the terminal measured by the kids device after the initial perio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havior pattern is deriv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행동 패턴을 기초로 실제 문제가 발생할 개연성이 높은 경우에만 보호자장치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며, 안심 존과 같은 장소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arning message is transmitted to a guardian device only when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an actual problem will occur based on an action pattern, and a place such as a security zone can be automatically set, thereby effectively providing a child's safety management service. Can be.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의 초기 또는 배터리 문제로 인해 측위를 자주하지 않는 소정의 초기 기간 동안 통신망위치정보를 기초로 행동 패턴을 도출함으로써 위치 데이터 부족으로 인한 위치 정보의 부정확성을 보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ensate for inaccuracy of location information due to lack of location data by deriving an action pattern based on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during a predetermined initial period in which positioning is not frequently due to an initial service or a battery probl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패턴 분석을 이용한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동 패턴을 도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즈장치 위치의 이상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 child's safety management service using behavior pattern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kid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guardia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child's safety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 child's safety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riving a thawing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verifying whether or not the position of a kids device is abnor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appropriate as a concept of terms for explaining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o limit the components It is not used. For example,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referring to a component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be connected or connected logically or physically. In other words, although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and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indirectly.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one or more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mputer-readable media having or having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or data structures stored on computer-readable media. Such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 system. By way of example, such computer readable media may be in the form of RAM, ROM, EPROM, CD-ROM or other optical disk storage, magnetic disk storage or other magnetic storage, or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or data structures. Physical storage media, such as any other media that may be used to store or transfer certain program code means in, and can be accessed by,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 systems. .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패턴 분석을 이용한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패턴 분석을 이용한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서비스제공시스템은 서비스서버(100), 키즈장치(200) 및 보호자장치(200)를 포함한다. First, a system for providing a child's safety management service using behavioral pattern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 child's safety management service using behavior pattern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safe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ice server 100, a kids device 200 and a guardian device 200.

서비스서버(100), 키즈장치(200) 및 보호자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상호간에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10)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네트워크라면,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통신망(10)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service server 100, the kids device 200, and the guardian device 20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Here,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s a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e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wireless LAN (WLAN), Wi-Fi, Wibro, Wimax, and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implement a system. Depending on the method, it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Ethernet, xDSL (ADSL, VDSL), HFC (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 (Fiber to The Curb), and FTTH (Fiber To The Home).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통신망(10)은 예컨대,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이들을 연결하는 코어망(미도시)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은 단말과 직접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망으로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과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으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를 집중화된 DU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과 같은 다른 통신망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Preferably,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ccess networks (not shown) and a core network (not shown) connecting them. Here, the access network is a network that directly connects to a terminal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such as a base station (BS),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a NodeB, an eNodeB,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can be implemented as a base station controller.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unit which are integrally implemented in the base station are divided into digital uni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U and radio uni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U)), respectively. A plurality of RUs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reas, and a plurality of RUs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to a centralized DU, and the core network (not shown) constituting the mobile network together with the access network is connected to the access network. It serves to connect other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an external network, for example, an Internet network.

이러한 코어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 및 코어망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re network is a network system that performs a main func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mobility control and switching between access networks, performs circuit switching or packet switching, and performs a mobile network. Manage and control packet flow within. In addition, the core network may manage mobility between frequencies, and may play a role for interworking with access networks and traffic in the core network and other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network. The core network may further include SGW (Serving GateWay), PGW (PDN GateWay), MSC (Mobile Switching Center), HLR (Home Location Register), MME (Mobile Mobility Entity) and HSS (Home Subscriber Server). It might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10)은 인터넷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망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ternet network. The Internet network means a common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information is exchanged according to the TCP/IP protocol, that is, a public network.

이러한 통신망(10)을 통해서 서비스서버(100), 키즈장치(200) 및 보호자장치(200)가 상호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서비스제공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Through this communication network 10, the service server 100, the kids device 200, and the guardian device 200 may interwork to construct a safe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서비스서버(100)는 웹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로서, 특정 도메인 네임을 가지며, 접속된 키즈장치(200) 및 보호자장치(30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100 is a server device that provides a web-based service, has a specific domain name, and can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connected kids device 200 and guardian device 300.

키즈장치(200) 및 보호자장치(300)는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kids device 200 and the guardian device 300 may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programs and protocol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and controlling various programs.

키즈장치(200)는 보호자의 자녀가 휴대하는 단말이며, 보호자장치(300)는 그 보호자가 휴대하는 단말이다. 키즈장치(200)및 보호자장치(300)는 대표적으로, 스마트 폰(smart phone)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키즈장치(200) 및 보호자장치(300)는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The kids device 200 is a terminal carried by the child of the guardian, and the guardian device 300 is a terminal carried by the guardian. The kids device 200 and the guardian device 300 may representatively exemplify a smart phone. The kids device 200 and the guardian device 300 may be replaced with terms such as User Equipment (UE), Mobile Station (MS), Mobile Subscriber Station (MSS), and Subscriber Station (SS).

서비스서버(100)는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개시 후, 서비스서버(100)는 키즈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100 provides a child safety management service. After starting the service, the service server 100 may continuously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200.

여기서, 위치 정보는 통신망위치정보 및 단말측정위치정보를 포함한다. 통신망위치정보는 통신망(10)을 통해 수집된 기지국 셀(Cell) 사용 정보이다. 이러한 통신망위치정보는 키즈장치(200)가 접속한 기지국 셀 정보, 이용 시간 등을 포함한다. 기지국 셀 사용 정보는 기지국 기반 이므로 키즈장치(200)의 전원이 켜져 있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수집된다. 다만, 그 측위 오차는 150~2,000m로 단말측정위치정보에 비해 정확도는 떨어진다. 단말측정위치정보는 키즈장치(200)가 측정한 위치 정보다. 이는 기본적으로 키즈장치(200)가 수신되는 GPS를 기초로 생성하고, Cell/WiFi 측위를 통해 보정되어 그 측위 오차가 10~100m 이내로, 통신망위치정보에 비해 정확도가 높다. 반면, 단말측정위치정보는 키즈장치(200)가 설정하는 경우에만 동작하기 때문에 모수가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신망위치정보 및 단말측정위치정보 양자 모두를 이용한다. 즉, 패턴도출모듈(131)은 서비스 개시 후, 소정의 초기 기간 동안 통신망위치정보를 이용하며, 소정의 초기 기간 이후에는 단말측정위치정보 및 통신망위치정보 양자 모두를 이용한다. 이때, 통신망위치정보의 위치 정보 형식은 단말측정위치정보의 위치 정보의 형식과 동일하게 기지국 셀 사용 정보와 셀의 위치 정보를 조합하여 위도 및 경도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and terminal measurement location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is base station cell usag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Th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base station cell information accessed by the kids device 200 and usage time. Since the base station cell usage information is based on the base station, it is continuously collected while the kids device 200 is powered on. However, the positioning error is 150~2,000m, which is inferior to the terminal measurement location information. The terminal measurement location information is loc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kids device 200. This is basically generated based on the GPS received by the kids device 200, and corrected through cell/wifi positioning, and its positioning error is within 10 to 100m, which is more accurate than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terminal measurement location information operates only when the kids device 200 sets, the parameter may be insufficien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uses both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and terminal measurement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the pattern deriving module 131 uses th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initial period after the service is started, and uses both the terminal measurem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after the predetermined initial period. 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format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format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easurem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cell usag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ell are combined and converted into latitude and longitude.

또한, 서비스서버(100)는 키즈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키즈장치(200)의 행동 패턴을 도출한다. 이러한 행동 패턴은 시간대별 위치 이동 패턴을 나타내는 이동 모델 및 키즈장치(200)의 장소에 대한 방문 빈도를 나타내는 장소 모델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이동 모델은 키즈장치(200)의 단위 시간에 따른 위치 이동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장소 모델은 방문 빈도를 통해 안전한 장소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서비스서버(100)는 행동 패턴과 키즈장치(200)의 위치를 비교하여 키즈장치(200)의 위치의 이상 여부를 검증한다. 이때, 서비스서버(100)는 키즈장치(200)의 위치가 이상한 것으로 검증되면, 키즈장치(200)와 키즈장치(200)에 매핑된 보호자장치(300)가 동일한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서비스서버(100)는 키즈장치(200)와 보호자장치(300)가 동일한 위치에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보호자장치(300)로 이상 상황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100 derives an action pattern of the kids device 2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200. The behavior pattern includes a movement model representing a location movement pattern for each time zone and a location model representing a frequency of visits to places of the kids device 200. Specifically, the movement model may indicate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unit time of the kids device 200. In addition, the place model can represent a safe place through the frequency of visits.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100 compares the behavior pattern and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200 to verify whether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200 is abnormal. At this time, if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200 is verified to be abnormal, the service server 100 checks whether the kids device 200 and the guardian device 300 mapped to the kids device 200 are in the same position. At this time, if the service server 100 is confirmed that the kids device 200 and the guardian device 300 are not in the same location, it sends a warning message informing the guardian device 300 of the abnormal situation.

한편, 서비스서버(100)는 서비스 개시 후, 초기 기간 동안, 위치 정보는 키즈장치(200)가 접속한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되는 기지국 기반 셀 정보인 통신망위치정보를 이용한다. 이러한 통신망위치정보는 셀의 위치 및 구축 특성에 따라 그 측위 정확도가 최소 150m~2,000m까지 다양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각 셀 별 주위 기지국 간의 거리를 계산해 셀 별 서비스 반경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가장 가까운 3개의 셀을 선정하고, 3개의 셀과의 간격을 산출한 후, 그 간격의 평균값을 셀의 서비스 반경으로 결정한다. 이러한 서비스 반경은 측위 정확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서비스 반경에 따라 셀의 중심 좌표로부터 반경을 생성한다. 이러한 반경에 따라 동일 위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A의 주변 기지국과의 거리가 200m일 경우, 이상 여부를 판별할 위치 정보와 셀 A와의 거리가 200m 이내일 경우엔 동일 위치로 판단하고, 200m 이상인 경우에 동일 위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초기 기간 후, 위치 정보는 단말측정위치정보를 이용하며, 단말측정위치정보에 따른 위치 정보는 서비스 반경, 즉, 측위 정확도를 50m 이내로 반영한다. 따라서 이상 여부를 판별할 위치 정보와 비교 대상 위치 정보의 차이가 50m 이내인 경우, 동일 위치로 판단하고, 50m 이상인 경우에 동일 위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rvice server 100 uses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base station-based cell information obtained from a base station accessed by the kids device 200 during the initial period after the service is started. Positioning accuracy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varies from a minimum of 150m to 2,000m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the cell. To improve thi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service radius for each cell by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base stations for each cell. At this time, the three closest cells are selected, the distance between the three cells is calculated,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intervals is determined as the service radius of the cell. This radius of service means positioning accuracy. According to this service radius, a radius is generated from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cel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osition is the same according to the radius. For example, if the distance from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of the cell A is 200m, the lo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and the distance from the cell A are determined to be the same location when the distance is within 200m, and if it is more than 200m,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is not the same. can do. After the initial period, the location information uses terminal measurem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erminal measurement location information reflects a service radius, that is, positioning accuracy within 50 m. Therefor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be compared is within 50 m,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is the same, and when it is 50 m or m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is not the sam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0)는 통신모듈(110), 저장모듈(120) 및 제어모듈(130)을 포함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service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10, a storage module 120 and a control module 130.

통신모듈(110)은 통신망(10)을 통해 키즈장치(200) 및 보호자장치(300)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모듈(110)은 송신되는 신호를 변조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모뎀(Modem)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10)은 통신망(10)을 통해 키즈장치(200) 및 보호자장치(3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is for communicating with the kids device 200 and the guardian device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include a modem for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kids device 200 and the guardian device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저장모듈(120)은 서비스서버(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저장모듈(120)은 서비스서버(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모듈(120)은 키즈장치(200)와 키즈장치(200)에 매핑되는 보호자장치(3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키즈장치(200)의 행동 패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모듈(12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The storage module 120 serves to store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ervice server 100. In particular, the storage module 120 stores various types of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ervice server 100. The storage module 120 may stor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kids device 200 and the guardian device 300 mapped to the kids device 200, behavior patterns of the kids device 200, and the like. Various types of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20 may be deleted, changed, or added according to user manipulation.

제어모듈(130)은 서비스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서비스서버(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130)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디지털신호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3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rvice server 100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ternal blocks of the service server 100, and may perform a data processing function for processing data. The control module 13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or the like.

제어모듈(130)은 패턴도출모듈(131) 및 이상진단모듈(133)을 포함한다. 패턴도출모듈(131)은 키즈장치(200)의 행동 패턴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상진단모듈(133)은 키즈장치(200)의 행동 패턴과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패턴도출모듈(131) 및 이상진단모듈(133)을 포함하는 제어모듈(130)의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The control module 130 includes a pattern drawing module 131 and an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The pattern deriving module 131 is for deriving an action pattern of the kids device 200. In addition,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by comparing an action pattern of the kids device 200 with the current location.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module 130 including the pattern drawing module 131 and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패턴도출모듈(131) 및 이상진단모듈(133)의 기능이 하나의 서비스이 하나의 서비스서버(100)의 기능으로 설명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비스서버(100)는 패턴도출모듈(131) 및 이상진단모듈(133) 각각의 기능이 별도의 장치로 분할되어 구현될 수 있다. 즉, 서비스서버(100)는 패턴도출모듈(131)의 기능을 수행하는 패턴도출서버(미도시)와 이상진단모듈(133)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상진단서버(미도시)로 분할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s of the pattern drawing module 131 and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will be described as a function of one service server 1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rvice server 100 may be implemented by dividing each function of the pattern drawing module 131 and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into separate devices. That is, the service server 100 is divided into a pattern elicitation server (not shown)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pattern elicitation module 131 and an abnormality diagnosis server (not shown)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to be implemented. It might b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즈장치(20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키즈장치(200)는 키즈통신부(210), 키즈위치정보부(220), 키즈입력부(230), 키즈표시부(240), 키즈저장부(250) 및 키즈제어부(260)를 포함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kids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kid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kids device 200 includes a kids communication unit 210, a kids location information unit 220, a kids input unit 230, a kids display unit 240, a kids storage unit 250, and a kids control unit 260. Includes.

키즈통신부(21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서버(100) 및 보호자장치(300)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키즈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기(Tx) 및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Rx)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키즈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를 변조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모뎀(Modem)을 포함할 수 있다. The kids communication unit 210 is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rvice server 100 and the guardian device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The kid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n RF (Radio Frequency) transmitter (Tx)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the frequency of the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Rx) for amplifying the received signal with low noise and down-converting the frequency. . In addition, the kid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modem that modulates the transmitted signal and demodulates the received signal.

키즈위치정보부(220)는 키즈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키즈위치정보부(2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이용하여 키즈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키즈위치정보부(220)는 위성으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여 키즈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키즈위치정보부(220)는 전술한 방법에 따라 지속적으로 키즈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그런 다음, 키즈위치정보부(220)는 산출된 위치 정보를 키즈제어부(260)로 전달한다. The kids location information unit 220 is for der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200. To this end, the kids location information unit 220 may calculat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200 us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ignal. In more detail, the kids location information unit 220 can der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200 by receiv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ignal from the satellite. The kids location information unit 220 continuously calcul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200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method. Then, the kids location information unit 220 transmits the calcul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kids control unit 260.

키즈입력부(230)는 키즈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 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키즈제어부(260)에 전달한다. 키즈입력부(230)는 키즈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각 종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키즈입력부(230)는 키즈표시부(24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각 종 키들의 기능이 키즈표시부(24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키즈입력부(2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The kids input unit 230 receives a user's key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kids device 200, generates an input signal, and transmits the input signal to the kids control unit 260. The kids input unit 23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keys for controlling the kids device 200. Kids input unit 230, if the kids display unit 240 is made of a touch screen, the functions of the various keys can be made in the kids display unit 240, if all functions can be performed only by the touch screen, the kids input unit 230 ) May be omitted.

키즈표시부(240)는 키즈장치(2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키즈표시부(240)는 키즈장치(2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키즈표시부(24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키즈표시부(24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키즈표시부(240)는 터치센서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로 이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키즈제어부(260)로 전송한다. 특히, 키즈표시부(24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키즈입력부(230)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키즈표시부(24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kids display unit 240 visually provides a menu of the kids device 200, input data,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and various other information to the user. The kids display unit 240 functions to output a boot screen, a standby screen, a menu screen, and the like of the kids device 200. The kids display unit 240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 or the like. . Meanwhile, the kids display unit 24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In this case, the kids display unit 240 includes a touch sensor. The touch sensor detects the user's touch input. The touch sensor may include a touch sensing sensor such as a capacitive overlay, a pressure type, a resistive overlay, an infrared beam, or a pressure sensor. . In addition to the sensors, all kinds of sensor devices capable of sensing contact or pressure of an object can be used as the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or detects the user's touch input,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kids control unit 260. In particular, when the kids display unit 240 is made of a touch screen,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kids input unit 230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kids display unit 240.

키즈저장부(250)는 키즈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키즈저장부(250)는 키즈장치(2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키즈저장부(25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The kids storage unit 250 serves to store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kids device 200. In particular, the kids storage unit 250 is an area in which user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kids device 200 is stored. The data stored in the kids storage unit 250 may be deleted, changed, or added according to user manipulation.

키즈제어부(260)는 키즈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키즈장치(200)의 내부 블록(110 내지 180)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키즈제어부(26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디지털신호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The kids control unit 26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kids device 200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ternal blocks 110 to 180 of the kids device 200, and perform a data processing function to process data. The kids control unit 26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or the lik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장치(30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호자장치(300)는 보호자통신부(310), 보호자위치정보부(320), 보호자입력부(330), 보호자표시부(340), 보호자저장부(350) 및 보호자제어부(360)를 포함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guardian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guardia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guardian device 300 includes a guardian communication unit 310, a guardian location information unit 320, a guardian input unit 330, a guardian display unit 340, a guardian storage unit 350 and a guardian control unit 360 Includes.

보호자통신부(31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서버(100) 및 키즈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보호자통신부(3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기(Tx) 및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Rx)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자통신부(310)는 송신되는 신호를 변조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모뎀(Modem)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uardian communication unit 310 is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rvice server 100 and the kids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The guardian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RF) transmitter (Tx)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the frequency of the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Rx) for amplifying the received signal with low noise and down-converting the frequency. . In addition, the guardian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 modem that modulates the transmitted signal and demodulates the received signal.

보호자위치정보부(320)는 보호자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보호자위치정보부(3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이용하여 보호자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보호자위치정보부(320)는 위성으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여 보호자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보호자위치정보부(320)는 전술한 방법에 따라 지속적으로 보호자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그런 다음, 보호자위치정보부(320)는 산출된 위치 정보를 보호자제어부(360)로 전달한다. The guardian location information unit 320 is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ardian device 300. To this end, the guardian location information unit 320 may calculat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ardian device 300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ignal. In more detail, the guardian location information unit 320 may der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ardian device 300 by receiv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ignal from a satellite. The guardian location information unit 320 continuously calcul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ardian device 300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method. Then, the guardian location information unit 320 transmits the calcul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guardian control unit 360.

보호자입력부(330)는 보호자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 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보호자제어부(360)에 전달한다. 보호자입력부(330)는 보호자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각 종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자입력부(330)는 보호자표시부(34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각 종 키들의 기능이 보호자표시부(34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보호자입력부(3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The guardian input unit 330 receives a key operation of a user for controlling the guardian device 300, generates an input signal, and transmits the input signal to the guardian control unit 360. The guardian input unit 33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keys for controlling the guardian device 300. The guardian input unit 330, when the guardian display unit 340 is made of a touch screen, functions of various types of keys may be performed in the guardian display unit 340, and when the touch screen can perform all functions, the guardian input unit 330 ) May be omitted.

보호자표시부(340)는 보호자장치(3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보호자표시부(340)는 보호자장치(3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호자표시부(34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호자표시부(34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호자표시부(340)는 터치센서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로 이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보호자제어부(360)로 전송한다. 특히, 보호자표시부(34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보호자입력부(330)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보호자표시부(34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guardian display unit 340 visually provides the user with the menu of the guardian apparatus 300, input data,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and various other information. The guardian display unit 340 outputs a screen such as a boot screen, a standby screen, a menu screen, and the like of the guardian device 300. The guardian display unit 340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 or the like. . Meanwhile, the guardian display unit 34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In this case, the guardian display unit 340 includes a touch sensor. The touch sensor detects the user's touch input. The touch sensor may include a touch sensing sensor such as a capacitive overlay, a pressure type, a resistive overlay, an infrared beam, or a pressure sensor. . In addition to the sensors, all kinds of sensor devices capable of sensing contact or pressure of an object can be used as the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or detects a user's touch input,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parental control unit 360. In particular, when the guardian display unit 340 is made of a touch screen,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guardian input unit 330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guardian display unit 340.

보호자저장부(350)는 보호자장치(3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보호자저장부(350)는 보호자장치(3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보호자저장부(35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The guardian storage unit 350 serves to store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guardian device 300. In particular, the guardian storage unit 350 is an area in which user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guardian device 300 is stored. Each type of data stored in the guardian storage unit 350 may be deleted, changed, or added according to user manipulation.

보호자제어부(360)는 보호자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보호자장치(300)의 내부 블록(110 내지 180)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자제어부(36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디지털신호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The guardian control unit 36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guardian device 300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ternal blocks 110 to 180 of the guardian device 300 and perform a data processing function to process data. The guardian control unit 36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or the lik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ext, a method for providing a child's safety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child's safety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 child's safety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서버(300)의 패턴도출모듈(131)은 S110 단계에서 단위 기간(UD)의 단위 시간(UT)에 따른 키즈장치(2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행동 패턴을 도출한다. 이러한 단위 기간(UD)은 행동 패턴을 도출하는 현재 시점(PT)을 기준으로 소정 기간 이전부터 현재 시점(PT)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또한, 단위 시간(UT)은 단위 기간(UD)을 소정 시간 기준으로 구분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때, 패턴도출모듈(131)은 키즈장치(200)의 단위 시간에 따른 위치 이동을 나타내는 이동 모델 및 키즈장치(300)의 장소에 대한 방문 빈도를 나타내는 장소 모델을 포함하는 행동 패턴을 도출한다. 이러한 행동 패턴의 도출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pattern deriving module 131 of the service server 300 sets an action patter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200 according to the unit time UT of the unit period UD in step S110. To derive. The unit period UD refers to a period from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o a current time point PT based on a current time point PT from which a behavior pattern is derived. In addition, the unit time UT refers to a unit that divides the unit period UD based on a predetermined time. At this time, the pattern deriving module 131 derives an action pattern including a movement model indicating a location movement according to a unit time of the kids device 200 and a place model indicating a frequency of visits to the places of the kids device 300. Derivation of this behavior patter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다음으로, 이상진단모듈(133)은 S120 단계에서 앞서 도출된 행동 패턴과 키즈장치(200)의 위치를 비교하여 키즈장치(200) 위치의 이상 여부를 검증한다. Next,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compares the behavior pattern previously derived in step S120 with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200 to verify whether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200 is abnormal.

S120 단계의 검증 결과, 키즈장치(200)의 위치가 이상이 없는 것으로 검증되면, S110 단계로 진행하여 패턴도출모듈(131)이 행동 패턴을 갱신한다. 행동 패턴을 갱신하는 것은 행동 패턴을 도출하는 현재 시점(PT)이 변할 뿐이며, 행동 패턴을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n step S120, if it is verified that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200 is not abnormal,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0 and the pattern deriving module 131 updates the behavior pattern. Updating the behavior pattern only changes the current time point (PT) from which the behavior pattern is derived, and is the same as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behavior pattern.

S120 단계의 검증 결과, 키즈장치(200)의 위치가 이상한 것으로 검증되면, S130 단계로 진행하여 이상진단모듈(133)은 키즈장치(200)에 매핑된 보호자장치(300)가 키즈장치(200)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S130 단계에서 이상진단모듈(133)은 보호자장치(300)로부터 보호자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보호자장치(300)의 위치 정보와 키즈장치(200)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보호자장치(300)가 키즈장치(200)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As a result of verification in step S120, if it is verified that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200 is abnormal,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0 where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is the guardian device 300 mapped to the kids device 200, the kids device 200 Check whether it is within a preset range from. In step S130,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ardian apparatus 300 from the guardian apparatus 300, and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ardian apparatus 300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apparatus 200 It is checked whether the guardian device 300 is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kids device 200.

S130 단계의 확인 결과, 보호자장치(300)가 키즈장치(200)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이상진단모듈(133)은 S140 단계에서 통신모듈(110)을 통해 보호자장치(300)로 이상 상황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보호자장치(300)를 통해 보호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그러면, 보호자는 보호자장치(300)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는 이동 모델 및 장소 모델에 따른 행동 패턴 및 보호자와의 같은 장소에 있는지 여부와 같은 여러 단계의 검증과정을 거친 비 규칙적 위치 이동에 대해서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실제 문제가 발생할 개연성이 높은 경우에만 보호자장치(300)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며, 불필요한 경고 메시지 전송 횟수를 줄일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130, if the guardian device 300 is not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kids device 200,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is sent to the guardian device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in step S140. Sends a warning message informing them. Accordingly, the guardian can be alerted through the guardian device 300. Then, the guardian can check the warning message through the guardian device 300 and take necessary ac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ian transmits a warning message only for irregular location movements that have undergone various stages of verification, such as behavior pattern according to the movement model and location model, and whether the guardian is in the same location. That is, the warning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guardian device 300 only when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an actual problem will occur, and the number of unnecessary warning message transmissions can be reduced.

한편, 보호자는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실제 자녀의 위치를 확인하고,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정상인지 여부가 확인되면, 보호자는 보호자장치(300)를 통해 정상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상진단모듈(133)은 S150 단계에서 정상 응답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정상 응답이 수신된 경우, S16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위치가 안전한 장소임을 행동 패턴에 반영한다. 반면, 정상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이상진단모듈(133)은 S170 단계에서 지속적으로, 키즈장치(200)의 위치를 추적하고, 통신모듈(110)을 통해 보호자장치(300)로 추적된 키즈장치(200)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guardian receives the warning message, the actual child's location can be checked and whether it is normal. When it is confirmed whether it is normal, the guardian may transmit a message indicating that it is normal through the guardian device 300. Accordingly,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checks whether a normal response is received in step S150, and if a normal response is receiv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60 to reflect th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is a safe place in the behavior pattern. On the other hand, if a normal response is not received,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continuously tracks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200 in step S170, and the kids tracked to the guardian device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The location of the device 200 is continuously provid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패턴 도출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전술한 S110 단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동 패턴을 도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Next, a method of deriving a behavior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at is, the above-described step S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riving a thawing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도출모듈(131)은 S210 단계에서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패턴도출모듈(131)은 소정의 단위 기간(UD) 별 그리고 소정의 단위 시간(UT) 별로 키즈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예컨대, 단위 기간(UD)이 일주일이며, 단위 시간(UT)이 1시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패턴도출모듈(131)은 주 단위, 요일 단위 및 1시간 단위로 위치 정보를 구분하여 수집한다. 또한, 단위 시간(UT)의 위치 정보는 해당 위치에 머무르는 시간, 데이터 트래픽 발생량, 데이터 수집 횟수 등을 고려하여 단위 시간의 위치 정보(위도 및 경도)를 소정 수 이내로 추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pattern deriving module 131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in step S210. At this time, the pattern deriving module 131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200 for each predetermined unit period UD and for each predetermined unit time UT. For example, the unit period UD may be one week, and the unit time UT may be 1 hour. In this case, the pattern deriving module 131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by dividing it into weeks, days, and 1 hour.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it time UT may be extracted within a predetermined number of location information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unit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of staying at the location, the amount of data traffic, and the number of data collection.

다음으로, 패턴도출모듈(131)은 S220 단계에서 키즈장치(200)의 단위 시간(UT)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이동 모델을 생성한다. 이때, 패턴도출모듈(131)은 서로 다른 단위 기간(UD)의 동일한 단위 시간(UT)의 키즈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 단위 시간(UT)에 중복되는 위치의 존재 여부에 따라 키즈장치(200)의 단위 시간(UT)에 대응하는 위치를 결정한다. Next, the pattern deriving module 131 generates a movement model indicating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unit time (UT) of the kids device 200 in step S220. At this time, the pattern deriving module 131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200 of the same unit time (UT) of different unit periods (UD)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location overlapping with each unit time (UT).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unit time (UT) of the kids device 200 is determined.

예컨대, 단위 기간(UD)이 일주일이며, 단위 시간(UT)이 1시간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이, 패턴도출모듈(131)은 주 단위, 요일 단위 및 1시간 단위로 위치 정보를 구분하여 수집한 상태이다. 그러면, 패턴도출모듈(131)은 서로 다른 주의 동일한 시간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unit period UD is a week and the unit time UT is 1 hour. Then, as described above, the pattern deriving module 131 is a state in which location information is classified and collected in units of week, day, and hour. Then, the pattern deriving module 131 compa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ame time of different weeks.

예컨대, 첫번째 주의 수요일 14시의 위치 정보와, 두번째 주의 수요일 14시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위치 정보가 동일하면, 해당 위치 정보에 대한 스코어를 +1한다. 만약, 비교 결과, 위치 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해당 위치 정보에 대한 스코어를 -1로 한다. 이에 따라, 패턴을 도출하는 현재 시점(PT)의 스코어가 0 이하이면, 해당 위치 정보를 삭제하고, 패턴을 도출하는 현재 시점(PT)의 스코어가 1 이상인 위치 정보를 해당 단위 시간의 위치로 저장한다. For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at 14:00 on the first Wednesday of the week is compar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at 14:00 on the second Wednesday. As a result of comparison,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he same, the score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is +1. If,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not the same, the score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et to -1. Accordingly, if the score of the current time point PT for deriving the pattern is 0 or less,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formation is deleted,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time point PT for deriving the pattern of 1 or more is stored as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unit time do.

예컨대, 생성된 이동 모델은 다음의 표 1과 같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generated movement model may be as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다음으로, 패턴도출모듈(131)은 S230 단계에서 키즈장치(200)의 방문 빈도가 소정 기준치 이상인 주요 장소를 나타내는 장소 모델을 생성한다. 이때, 패턴도출모듈(131)은 소정의 단위 시간 단위로 수집된 키즈장치(200)의 위치 정보에 따라 도출되는 위치를 복수의 위치 그룹으로 생성한 후, 생성된 위치 그룹의 원소의 수를 방문 빈도로 설정하고, 방문 빈도가 소정 수치 이상인 위치를 주요 장소로 선정한다. 이러한 위치 그룹의 생성은 머신러닝(기계학습) 기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Next, the pattern deriving module 131 generates a place model indicating a main place where the frequency of visits of the kids device 2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n step S230. At this time, the pattern deriving module 131 generates a location deriv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200 collected in a predetermined unit time unit as a plurality of location groups, and then visits the number of elements of the generated location group The frequency is set, and a location where the frequency of visit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s selected as the main place. Generation of such a location group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패턴도출모듈(131)은 전술한 S210 단계 내지 S230 단계를 소정의 단위 기간마다 반복하여, 이동 모델과 장소 모델을 갱신한다. 따라서 데이터가 쌓일수록 다양한 장소에 대한 정보가 축적될 수 있다. 더욱이, 이사 등의 이유로 최근에 가지 않는 장소의 경우는 안전한 장소에서 제외된다. The pattern deriving module 131 repeats steps S210 to S230 described above every predetermined unit period to update the mobile model and the location model. Therefore, as data is accumulated, information on various places may be accumulated. Moreover, places that have not recently been moved for reasons such as moving are excluded from safe locations.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즈장치(200) 위치의 이상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전술한 S120 단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즈장치 위치의 이상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Next, a method of verify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200 is abnor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at is, the above-described step S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verifying whether or not the position of a kids device is abnor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이상진단모듈(133)은 S310 단계에서 키즈장치(200)에 대한 위치 정보로부터 키즈장치(200)의 현재 시간의 위치를 획득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acquires the location of the current time of the kids device 200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kids device 200 in step S310.

그런 다음, 이상진단모듈(133)은 S320 단계에서 키즈장치(200)의 현재 시간의 위치가 이동 모델의 해당 단위 시간에 대응하는 위치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n,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determines whether the position of the current time of the kids device 200 is outside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unit time of the moving model in step S320.

S320 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단위 시간의 대응하는 위치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진단모듈(133)은 S350 단계로 진행하여 키즈장치(200)의 위치가 정상인 것으로 결정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2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unit time does not deviate,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proceeds to step S350 and determines that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200 is normal.

반면, S320 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단위 시간의 대응하는 위치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진단모듈(133)은 S330 단계로 진행하여 키즈장치(200)의 현재 시간의 위치가 장소 모델에 따른 주요 장소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of the unit time is out of range,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proceeds to step S330, where the location of the current time of the kids device 200 is the main place according to the location model It is determined whether it belongs to.

S330 단계의 상기 판별 결과, 키즈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주요 장소에 속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이상진단모듈(133)은 S350 단계로 진행하여 키즈장치(200)의 위치가 정상인 것으로 결정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3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kids device 200 belongs to the main place,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proceeds to step S350 and determines that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200 is normal.

S330 단계의 상기 판별 결과, 키즈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주요 장소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이상진단모듈(133)은 S340 단계로 진행하여 키즈장치(200)의 위치가 이상인 것으로 결정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3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kids device 200 does not belong to the main place,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133 proceeds to step S340 and determines that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200 is abnormal.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This specification includes details of many specific implementations, but these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ing on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 but rather as a description of features that may be specific to a particular embodiment of the particular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Certain features that ar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that are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can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 although features may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be initially depicted as so claimed, one or more features from the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and the claimed combination subcombined. Or sub-combinations.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Likewise, although the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particular ord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should be performed in the particular order shown or in sequential order, or that all shown actions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obtain desirable results.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In addition, the separation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will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 multiple software products. You should understand that you can.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Specific embodiment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have been described. Other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For example, the operations recited in the claims may be performed in different orders while still achieving desirable results. As an example, the process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that particular illustrated order or sequential order to obtain desirable results. In certain implementation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can be advantageous.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The described description presents the best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es example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use the present invention. This written specifica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s presented. Therefor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alter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s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본 발명은 키즈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행동 패턴을 도출한 후, 행동 패턴에 따라 키즈장치의 위치의 이상 여부를 검증하고,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보호자장치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자녀의 안전을 관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derives an action pattern, verifies whether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is abnormal according to the action patter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sends a warning message to the guardian device. Accordingly, the child's safety is manag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sufficient for commercial or commercial possibilities, but also practically and clearly, so it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10: 통신망 100: 서비스서버
110: 통신모듈 120: 저장모듈
130: 제어모듈 131: 패턴도출모듈
133: 이상진단모듈 200: 키즈장치
210: 키즈통신부 220: 키즈위치정보부
230: 키즈입력부 240: 키즈표시부
250: 키즈저장부 260: 키즈제어부
300: 보호자장치 310: 보호자통신부
320: 보호자위치정보부 330: 보호자입력부
340: 보호자표시부 350: 보호자저장부
360: 보호자제어부
10: communication network 100: service server
110: communication module 120: storage module
130: control module 131: pattern extraction module
133: abnormal diagnosis module 200: kids device
210: Kids Communication Department 220: Kids Location Information Department
230: Kids input unit 240: Kids display unit
250: Kids storage unit 260: Kids control unit
300: guardian device 310: guardian communication unit
320: guardian location information unit 330: guardian input unit
340: guardian display unit 350: guardian storage unit
360: Parental control unit

Claims (12)

패턴도출모듈이 키즈장치의 시간대별 위치 이동 패턴을 나타내는 이동 모델 및 상기 키즈장치의 장소에 대한 방문 빈도를 나타내는 장소 모델을 포함하는 행동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
이상진단모듈이 상기 행동 패턴과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의 이상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
상기 이상진단모듈이 상기 검증 결과,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가 이상한 것으로 검증되면, 상기 키즈장치에 매핑된 보호자장치가 상기 키즈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진단모듈이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상기 보호자장치로 이상 상황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Deriving an action pattern including a movement model representing a location movement pattern for each time zone of the kids device and a location model indicating a frequency of visits to the places of the kids device by the pattern deriving module;
An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comparing the behavior pattern with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to verify whether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is abnormal;
If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i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is abnormal, checking whether a guardian device mapped to the kids device is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kids device; And
And if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does not fall within the preset range as a result of the check, transmitting a warning message informing the guardian device of the abnormality condition.
How to provide child safety management ser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도출모듈이 상기 키즈장치의 단위 시간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이동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도출모듈이 상기 키즈장치의 방문 빈도가 소정 기준치 이상인 주요 장소를 도출하는 장소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riving the behavior pattern is
Generating, by the pattern deriving module, a movement model indicating a location corresponding to a unit time of the kids device; And
And generating, by the pattern deriving module, a place model for deriving a main place in which the frequency of visits of the kids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How to provide child safety management servic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도출모듈이 소정의 단위 기간 별 그리고 단위 시간 별로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패턴도출모듈이 서로 다른 단위 기간의 동일한 단위 시간의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 단위 시간에 중복되는 위치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키즈장치의 단위 시간에 대응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step of generating the movement model
Collecting, by the pattern deriving modul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for each unit period and for each unit time;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of the same unit time in different unit periods by the pattern deriving module to determin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nit time of the kids device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duplicate position in each unit tim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How to provide child safety management servic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도출모듈이 소정의 단위 기간 동안 수집된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 정보로부터 복수의 위치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그룹에 대한 방문 빈도가 소정 수치 이상인 위치를 주요 장소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step of generating the place model is
The pattern drawing module generates a plurality of location groups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collected during a predetermined unit period, and selects a location where a frequency of visits to the generated location grou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s a main place.
How to provide child safety management servic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 패턴과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를 비교하여 이상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진단모듈이 상기 이동 모델과 상기 키즈장치의 현재 시간의 위치가 상기 이동 모델의 단위 시간에 대응하는 위치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상진단모듈이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시간에 따른 이동 경로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가 상기 장소 모델에 따른 주요 장소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진단모듈이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가 주요 장소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가 이상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According to claim 2,
Comparing the behavior pattern and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to verify whether the abnormality
Determining, by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whether the position of the current time of the mobile model and the kids device is outsid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unit time of the mobile model;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belongs to a main place according to the place model when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determines that it is out of the movement path according to the tim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And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determining that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is abnormal when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does not belong to a main plac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How to provide child safety management ser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도출모듈이 서비스 개시 후, 소정의 초기 기간 동안 상기 키즈장치에 대한 통신망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행동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도출모듈이 상기 초기 기간 후, 상기 키즈장치가 측위한 단말측정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행동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riving the behavior pattern is
Deriving the behavior pattern based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kids device during a predetermined initial period after the pattern introduction module starts service; And
And after the initial period of time, the pattern deriving module derives the behavior pattern based on terminal measurement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kids device.
How to provide child safety management services.
키즈장치의 시간대별 위치 이동 패턴을 나타내는 이동 모델 및 상기 키즈장치의 장소에 대한 방문 빈도를 나타내는 장소 모델을 포함하는 행동 패턴을 도출하는 패턴도출모듈; 및
상기 행동 패턴과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의 이상 여부를 검증하고,
상기 검증 결과,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가 이상한 것으로 검증되면, 상기 키즈장치에 매핑된 보호자장치가 상기 키즈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상기 보호자장치로 이상 상황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상진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A pattern deriving module for deriving an action pattern including a movement model representing a location movement pattern for each time zone of a kids device and a location model representing a frequency of visits to places of the kids device; And
The behavior pattern is compared with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to verify whether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is abnormal,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when it is verified that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is abnormal, it is checked whether the guardian device mapped to the kids device is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kids device,
The result of the check, if not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for transmitting a warning message informing the abnormality to the guardia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vice for providing child safety management servic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도출모듈은
상기 키즈장치의 단위 시간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이동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키즈장치의 방문 빈도가 소정 기준치 이상인 주요 장소를 도출하는 장소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pattern introduction module
Create a movement model indicating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unit time of the kid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place model for deriving a main place where the frequency of visits of the kids devic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Device for providing child safety management servic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도출모듈은
소정의 단위 기간 별 그리고 단위 시간 별로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서로 다른 단위 기간의 동일한 단위 시간의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 단위 시간에 중복되는 위치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키즈장치의 단위 시간에 대응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pattern introduction modul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is collected for each predetermined unit period and for each unit time.
And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s of the same unit time of different unit periods to determine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unit time of the kids device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duplicate position in each unit time.
Device for providing child safety management servic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도출모듈은
소정의 단위 기간 동안 수집된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 정보로부터 복수의 위치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그룹에 대한 방문 빈도가 소정 수치 이상인 위치를 주요 장소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pattern introduc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location groups are generat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ds device collected during a predetermined unit period, and a location where a frequency of visits to the generated location grou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s selected as a main place.
Device for providing child safety management servic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진단모듈은
상기 이동 모델과 상기 키즈장치의 현재 시간의 위치가 상기 이동 모델의 단위 시간에 대응하는 위치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시간에 따른 이동 경로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가 상기 장소 모델에 따른 주요 장소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가 주요 장소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키즈장치의 위치가 이상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abnormality diagnosis modu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cation of the current time of the moving model and the kids device is outside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unit time of the moving mode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o deviate from the movement path according to the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cation of the kids device belongs to a main place according to the loc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discrimination, if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does not belong to a main place,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kids device is abnormal.
Device for providing child safety management servic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도출모듈은
서비스 개시 후, 소정의 초기 기간 동안 상기 키즈장치에 대한 통신망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행동 패턴을 도출하고,
상기 패턴도출모듈이 상기 초기 기간 후, 상기 키즈장치가 측위한 단말측정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행동 패턴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pattern introduction module
After starting the service, the behavior pattern is deriv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kids device during a predetermined initial peri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tern deriving module, after the initial period, derives the behavior pattern based on terminal measurement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kids device to measure.
Device for providing child safety management services.
KR1020180148744A 2018-11-27 2018-11-27 Method for providing Pediatric safety management services using route pattern analysis and apparatus thereof KR1024732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744A KR102473266B1 (en) 2018-11-27 2018-11-27 Method for providing Pediatric safety management services using route pattern analysis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744A KR102473266B1 (en) 2018-11-27 2018-11-27 Method for providing Pediatric safety management services using route pattern analysis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844A true KR20200062844A (en) 2020-06-04
KR102473266B1 KR102473266B1 (en) 2022-12-01

Family

ID=71081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744A KR102473266B1 (en) 2018-11-27 2018-11-27 Method for providing Pediatric safety management services using route pattern analysis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26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269B1 (en) 2012-07-25 2013-02-18 주식회사 와이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children location information
KR20140125261A (en) * 2013-04-18 2014-10-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afety management service based on context aware
KR20180003027A (en) * 2016-06-30 2018-01-09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danger notification ser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269B1 (en) 2012-07-25 2013-02-18 주식회사 와이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children location information
KR20140125261A (en) * 2013-04-18 2014-10-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afety management service based on context aware
KR20180003027A (en) * 2016-06-30 2018-01-09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danger notification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266B1 (en)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6319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t tracking in an enterprise environment
US90587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indoor position location with assisted user profiles
US8013746B2 (en) Method of providing alarm service upon movement out of safety zone
US20140197990A1 (en) Method for enhancing location identity through incorporation of shorter range communication and sensing (nearlocate)
EP3279843A1 (en) Automatic registration of asset tags based on crowd sourcing asset context
RU2658808C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detection of consumer venue
US9749805B2 (en) Methods, wireless device and network node for managing positioning method based on prediction
JP2010145115A (en) Destination prediction system, destination prediction method, and program
US20230280477A1 (en) System for Calculating Highly Accurate GPS Location for Mobile Devices
KR101644936B1 (en) Location discrepancy corrections based on community corrections and trajectory detection
US9799189B2 (en) Tracking device and tracking system and tracking device control method
KR101472502B1 (en) A lost child finding system and lost child find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10035890A (en) Location measurement method
KR102473266B1 (en) Method for providing Pediatric safety management services using route pattern analysis and apparatus thereof
JP2015197739A (en) Server having a movement history management function, and terminal
US20230125123A1 (en) Assistance in controlling the spread of a disease, using networked devices
JP2016181248A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system
US11386777B2 (en) Obstacle localization based on probabilistic consensus
US10292129B2 (en) Automatic location-based notifications for a group of users
KR101831250B1 (en) System for operat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fixed terminal-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JP6568774B2 (en) Position estimation device
JP5239608B2 (en) MOBILE BODY MONITORING DEVICE, MOBILE BODY MONITORING METHOD, MOBILE BODY MONITOR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KR20240026949A (en) Increased reliability of the terminal's geolocation based on one or more identifiers of neighboring transmitting devices
KR20160114959A (en) Intelligent safty system based on lbs and method thereof
KR101725525B1 (en) Society safety network system us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