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737A - 화장품 냉장고 - Google Patents

화장품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737A
KR20200061737A KR1020180147376A KR20180147376A KR20200061737A KR 20200061737 A KR20200061737 A KR 20200061737A KR 1020180147376 A KR1020180147376 A KR 1020180147376A KR 20180147376 A KR20180147376 A KR 20180147376A KR 20200061737 A KR20200061737 A KR 20200061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cooling
frame portion
injection hole
air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2067B1 (ko
Inventor
강윤재
Original Assignee
강윤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재 filed Critical 강윤재
Priority to KR1020180147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06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3Air curtain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7/00Lighting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7/001Lighting arrangements on the external side of the refrigerator, freezer or cooling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1Bags
    • F25D2331/8012Bags for cosme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을 신선 보관시키고자 하는 화장품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품이 수용되는 프레임부의 내부를 냉각하는 제 1 냉각부재와, 프레임부의 개구면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 2 냉각부재로부터 공급받은 냉기를 분출하는 에어커튼공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에어커튼공에서 냉기가 분출되는 경우 프레임부의 개구면에는 일종의 에어커튼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상기 에어커튼이 프레임부의 외부와 프레임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냉기를 상호 차단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상술한 에어커튼의 냉기 유출 차폐 기능 수행을 통해, 프레임부의 내측에 수용된 화장품에 가해지는 냉기의 양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화장품의 신선 보관 효율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냉각부재는 열전소자(Peltier) 원리를 통해 구동될 수 있고, 이러한 열전소자는 프레온 가스 등과 같이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냉매를 필요치 않는 것이어서, 이를 통해 상당히 친환경적인 화장품 냉장고를 구성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열전소자는 단순히 전원을 공급받기만 하면 열전달 과정이 진행되는 소재이므로, 이에 따라 각종 열전달 구성들의 설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이를 통해 제작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화장품 냉장고{Refrigerator for cosmetics}
본 발명은 화장품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기를 효율적으로 유지함으로써 내측에 수용된 화장품의 신선도를 최대한 유지시킬 수 있는 화장품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을 상온에서 보관하게 되면 변질되기 쉬워, 저온상태에서 보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최근에는 화장품을 저온상태로 장시간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화장품 전용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냉장고는 그 내부에 냉장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열전달 부속, 냉매, 냉매 순환장치 등을 요하므로, 이로 인해 설비가 대형화되고 제작 단가 및 판매 가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러한 냉매의 경우 온실가스 생성을 유발하므로, 이로 인해 환경 오염 문제가 야기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냉장고를 자주 개폐하여야 하는 경우, 이로 인해 화장품 냉장 보관을 위한 냉기가 급속히 유출될 수 있어, 이로 인해 화장품의 신선 보관 효율이 급감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의 일환으로, 본 발명은 설비의 구성을 최소화하고 냉매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설비 및 단가가 최소화되고 친 환경적이며,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구성을 갖춘 화장품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냉장고는, 일측면의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냉기주입공과, 타측면의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냉기주입공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제 1 냉기주입공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 1 냉각부재와, 상기 제 2 냉기주입공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 2 냉각부재를 포함하는 냉각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높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내부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 1 냉기주입공과 연통되며 말단은 외부로 개구되는 내부냉각공과, 내부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 2 냉기주입공과 연통되며 말단은 외부로 개구되는 에어커튼공을 포함하는 구획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가 열린 경우, 상기 에어커튼공에서 냉기가 분출됨으로써 에어커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커튼공은, 말단 개구 구간이 상기 내부냉각공의 말단 개구 구간보다 상기 프레임부의 개구면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냉각공은, 말단이 상기 프레임부의 벽면을 향해 소정의 각도 또는 곡률을 갖고 기울어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획형성부는, 상기 에어커튼공으로부터 분사된 냉기를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제 2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걸림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벽면과 대향하는 내측면에 제 2 배출유도구간이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벽면에 대하여 소정의 곡률을 갖는 오목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는, 내측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부재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제 1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제 1 냉각부재와 상기 제 2 냉각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열전소자(Peltier) 원리를 통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 1 냉각부재와 상기 제 2 냉각부재 각각이 생성한 냉기가 상호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냉기주입공과 상기 제 2 냉기주입공이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는, 외부면에 구비되는 거울부재와, 면 발광하도록 상기 거울부재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조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냉각부재는, 상기 도어부가 열린 경우에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냉장고는, 화장품이 수용되는 프레임부의 내부를 냉각하는 제 1 냉각부재와, 프레임부의 개구면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 2 냉각부재로부터 공급받은 냉기를 분출하는 에어커튼공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에어커튼공에서 냉기가 분출되는 경우 프레임부의 개구면에는 일종의 에어커튼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상기 에어커튼이 프레임부의 외부와 프레임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냉기를 상호 차단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상술한 에어커튼의 냉기 유출 차폐 기능 수행을 통해, 프레임부의 내측에 수용된 화장품에 가해지는 냉기의 양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화장품의 신선 보관 효율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 1 냉각부재는 열전소자(Peltier) 원리를 통해 구동될 수 있고, 이러한 열전소자는 프레온 가스 등과 같이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냉매를 필요치 않는 것이어서, 이를 통해 상당히 친환경적인 화장품 냉장고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는 단순히 전원을 공급받기만 하면 열전달 과정이 진행되는 소재이므로, 이에 따라 각종 열전달 구성들의 설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이를 통해 제작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냉장고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냉장고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냉장고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1 냉기주입공과 내부냉각공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2 냉기주입공과 에어커튼공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내부냉각공과 에어커튼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각 냉기주입공과 내부냉각공 및 에어커튼공을 통한 냉기 유동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냉각부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도어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 표현들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복수형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냉장고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냉장고를 나타내는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냉장고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냉장고(1000)에 대해 전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냉장고(1000)는 프레임부(100), 도어부(200), 냉각부(300) 및 구획형성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냉장 보관을 요하는 각종 미용 제품들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일종의 캐비넷 내지 수납장과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20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개구구간을 개폐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냉각부(300)는 프레임부(100)의 내측을 냉각시켜 화장품 등이 신선 보관되도록 하는 제 1 냉각부재(310)와, 상기 도어부(200)가 열린 경우 내측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일종의 에어커튼을 형성을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제 2 냉각부재(3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냉각부재(3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도어부(200)의 내측면 일측에는 제 1 단자(B1)가 구비되고, 이와 대향하는 프레임부(100)의 일측면에는 제 2 단자(B2)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부(200)가 열려 상기 제 1 단자(B1)와 상기 제 2 단자(B2)가 상호 접촉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제 2 냉각부재(320)가 가동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단자(B1)와 상기 제 2 단자(B2)는 일종의 스위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며, 이러한 스위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각종 전기 신호 전달 수단들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스위치 구조는 제 2 냉각부재(320)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일 뿐이며, 거리 감지센서를 통해 도어부(200)의 위치를 센싱하는 것과 같이, 제 2 냉각부재(320)는 다양한 수단을 통해 그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획형성부(40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측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미용 제품들을 거치하기 위한 일종의 선반과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획형성부(400)를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구획형성부(400)를 기준으로 그 상부와 하부는 각기 제 1 보관구간(101)과 같은 구획으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구획 형성을 통해, 사용자는 각각의 제 1 보관구간(101)마다 구비시키는 화장품의 종류를 달리하여 분류성을 높이는 등 프레임부(100) 내측의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프레임부(100)는 내측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형성되는 제 2 보관구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보관구간(102)에는 별도의 수납수단인 수납부재(102-1)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102-1)가 상기 제 2 보관구간(102)에 인입되는 경우 그 내측에 수용된 제품을 밀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 2 보관구간(102)과 상기 수납부재(102-1)는 상기 도어부(200)의 개폐와 상관없이, 포장지 밖으로 인출된 마스크 팩처럼 그 수분 유지 등을 위하여 높은 밀폐 보관도를 요하는 특정 제품군들을 수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냉각부(300)가 수용되는 구간인 냉각부 수용구간(103)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의 상부와 하부에는 냉각부 수용구간(103)이 각기 하나씩 형성될 수 있고, 이에 각기 제 1 냉각부재(310)와 제 2 냉각부재(32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상기 화장품 냉장고(1000)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을 마쳤으며, 이하 다른 도면들을 더 참조하여 상기 화장품 냉장고(1000)의 각 구성들 및 이들간의 결합관계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1 냉기주입공과 내부냉각공 및 제 2 냉기주입공과 에어커튼공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내부냉각공과 에어커튼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각 냉기주입공과 내부냉각공 및 에어커튼공을 통한 냉기 유동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프레임부(100) 내측의 냉기 유동 원리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들 간의 결합관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는 전술한 바대로 구획형성부(400)에 의한 복수 개의 제 1 보관구간(101) 구획으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의 내측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는 제 2 보관구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에는 제 1 냉각부재(310)와 제 2 냉각부재(320)를 각기 수용시키기 위한 냉각부 수용구간(10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100)의 양 측 내부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제 1 냉기주입공(110)과 제 2 냉기주입공(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냉기주입공(110)의 경우 제 1 냉각부재(310)가 수용된 냉각부 수용구간(103)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냉기주입공(120)의 경우 제 2 냉각부재(320)가 수용된 냉각부 수용구간(103)과 연통된다.
이때, 도 1 및 도 3에는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제 2 냉각부재(320)가 구비되고, 하부에 제 1 냉각부재(310)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이며, 상술한 위치 구성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얼마든지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덧붙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부(300)는 팬 구조로 형성되고, 각각의 냉각부 수용구간(103)마다 구비되며, 각기 제 1 냉기주입공(110)과 제 2 냉기주입공(120)과 대향하는 제 1 내기팬(313)과 제 2 내기팬(3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내기팬(313)과 제 2 내기팬(323)의 팬 구동을 통해, 각 냉각부재(310, 320)들이 생성한 냉열은 일종의 강제 대류와 같은 방식으로 제 1 냉기주입공(110)과 제 2 냉기주입공(120)으로 주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형성부(400)의 경우, 그 내부에는 일단이 제 1 냉기주입공(110)과 연통되는 내부냉각공(410)과, 일단이 제 2 냉기주입공(120)과 연통되는 에어커튼공(420)과, 제 2 걸림부재(43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냉각공(410)의 경우,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냉각통로(411)와, 제 2 냉각통로(412) 및 제 3 냉각통로(413)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냉각통로(411)는 일단이 제 1 냉기주입공(110)과 연통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고 구획형성부(400)의 내부에 형성된다.
이때, 구획형성부(400)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획형성부(400)마다 형성된 상기 제 1 냉각통로(411)가 제 1 냉기주입공(110)에 분기됨으로써 복수 개의 내부냉각공(410) 각각에 냉기가 주입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냉각통로(412)는 상기 제 1 냉각통로(411)와 연통되며, 구획형성부(40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구획형성부(400)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냉각통로(413)는 상기 제 2 냉각통로(412)로부터 연장되며, 중력 작용방향인 구획형성부(4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되고, 그 말단 구간은 외부로 개구된다.
이때, 상기 제 2 냉각통로(412)와 상기 제 3 냉각통로(413)의 경우, 각각의 길이는 구획형성부(40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상술한 제 1 냉기주입공(110)과, 제 1 냉각통로(411) 내지 제 3 냉각통로(413)를 통한 냉기의 유동 경로가 모식화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냉기주입공(110)과, 제 1 냉각통로(411) 및 제 2 냉각통로(412)를 통해 구획형성부(40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 3 냉각통로(413)를 통해 중력 방향으로 수직 배출됨으로써, 구획형성부(400)의 하부에 존재하는 제 1 보관구간(101)을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냉각통로(413)의 경우 그 말단의 측단면 형상이 프레임부(100)의 벽면을 향해 소정의 각도 또는 곡률을 갖고 기울어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냉각통로(413)로부터 분출된 냉기는 상술한 제 3 냉각통로(413)의 말단에 대응되는 각도 또는 곡률을 갖고 이와 마주하는 특정 구획형성부(400)의 상부면 또는 프레임부(100)의 내측 하부면과 측방 충돌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측방 충돌에 의해 냉기는 프레임부(100)의 배후 벽면이 구비된 제 1 보관구간(101)의 내측을 향하게 되고, 이후 냉기는 프레임부(100)의 배후 벽면과 충돌함으로써 그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프레임부(100)의 개구구간인 제 1 보관구간(101)의 외측 방향으로 순환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술한 제 3 냉각통로(413)의 경사 구조를 통해, 각 제 1 보관구간(101)은 그 내측과 개구구간 전체가 균일하게 냉각될 수 있게 되므로, 그 냉각 균일도 및 냉각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커튼공(420)의 경우,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튼통로(421)와, 제 2 커튼통로(422)와, 제 3 커튼통로(423)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커튼통로(421)는 일단이 제 2 냉기주입공(120)과 연통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고 구획형성부(400)의 내부에 형성된다.
이때, 구획형성부(400)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획형성부(400)마다 형성된 상기 제 1 커튼통로(421)가 제 2 냉기주입공(120)에 분기됨으로써 복수 개의 에어커튼공(420) 각각에 냉기가 주입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커튼통로(422)는 상기 제 1 커튼통로(421)와 연통되며, 구획형성부(40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구획형성부(400)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커튼통로(423)는 상기 제 2 커튼통로(422)로부터 연장되며, 중력 작용방향인 구획형성부(4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되고, 그 말단 구간은 외부로 개구된다.
이때, 상기 제 2 커튼통로(422)와 상기 제 3 커튼통로(423)의 경우, 각각의 길이는 구획형성부(400)의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상술한 제 2 냉기주입공(120)과, 제 1 커튼통로(421) 내지 제 3 커튼통로(423)를 통한 냉기의 유동 경로가 모식화되어 있으며, 이는 같은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 1 냉기주입공(110)과 내부냉각공(410)에 의한 냉기 유동 원리에 대응된다.
다만, 제 2 냉기주입공(120) 및 에어커튼공(420)은 도어부(200)가 열린 경우 내부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폐하기 위한 에어커튼을 형성하기 위한 것인 바, 이러한 목적 및 기능 달성을 위해 제 1 냉기주입공(110) 및 내부냉각공(410)과 다른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커튼통로(421)는 제 1 냉각통로(411)보다 소정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제 2 커튼통로(422)와 제 2 냉각통로(412)간의 관계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즉, 제 1 커튼통로(421) 및 제 2 커튼통로(422)와 제 1 냉각통로(411) 및 제 2 냉각통로(412)는 구획형성부(4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이격 구성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구성간에는 교차점이 불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는 제 2 커튼통로(422)가 제 2 냉각통로(412)에 비해 프레임부(100)의 개구구간과 소정 더 가깝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 3 커튼통로(423)는 제 3 냉각통로(413)에 비해 프레임부(100)의 개구구간과 소정 더 가깝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냉각통로(413)에 의한 냉기 유출과정은 제 3 커튼통로(423)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커튼과 프레임부(100)의 배후 벽면 사이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위치 구조 설계를 통해, 에어커튼과 프레임부(100)의 배후 벽면이 제 3 냉각통로(413)로부터 분출되는 냉기를 간섭함으로써, 화장품 냉각을 위한 냉기의 외부 유출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3 냉각통로(413)의 기울어진 구조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냉각통로(413)로부터 분출된 냉기는 프레임부(100)의 내측 벽면과 충돌한 후 프레임부(100)의 외측 개구 구간을 향해 순환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에어커튼이 외측 개구 구간을 향해 순환되는 냉기를 차폐함으로써, 제 3 냉각통로(413)로부터 분출된 냉기의 외부 유출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걸림부재(430)의 경우, 구획형성부(400)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고, 제 3 커튼통로(423)로부터 분사된 냉기를 프레임부(100)의 내측으로 가이드하도록 프레임부(100)의 외측을 향해 제 3 커튼통로(423)와의 대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된다.
또한, 상기 제 2 걸림부재(430)에는 프레임부(100)의 내측 벽면과 대향하는 내측면에 제 2 배출유도구간(431)이 프레임부(100)의 내측 벽면에 대하여 소정의 곡률을 갖는 오목한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커튼통로(423)로부터 분사된 냉기는 상술한 오목 구조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기 오목 구조로부터 연장되는 구획형성부(400)의 상부면을 따라 프레임부(100)의 내측 벽면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하여, 에어 커튼 형성을 위해 분출된 냉기는 그 대부분의 양이 프레임부(100)의 내부로 가이드되므로, 이를 통해 에어커튼 형성을 위한 냉기까지도 내부 냉장을 위해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냉장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의 내측 하부면에도 상술한 제 2 걸림부재(430)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제 1 걸림부재(1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걸림부재(130)에는 제 1 배출유도구간(131)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앞서 설명한 제 2 배출유도구간(431)에 대응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제 2 걸림부재(430)와 마주하게되는 프레임부(100)의 하부면에도 상술한 제 2 걸림부재(430)와 같은 기능 및 효과를 구비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냉각부(300)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이를 더 참조하여 냉각부(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부(300)는 제 1 냉각부재(310)와 제 2 냉각부재(320)을 포함하며, 이때 각 냉각부재(310, 320)들은 열전소자(Peltier) 원리를 통해 작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냉각부재(310)는 제 1 열전부재(311)와, 제 1 냉열전달부재(312)와, 제 1 외기팬(31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냉각부재(320)는 제 2 열전부재(321)와, 제 2 냉열전달부재(322)와, 제 2 외기팬(324)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 1 외기팬(314)과 제 2 외기팬(324)의 경우, 방열작용을 할 수 있도록 팬 구조로 형성되며, 각 냉각부 수용구간(103)의 외측면에 노출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열전부재(311)와 제 2 열전부재(321)의 경우, 각 냉각부 수용구간(103)의 벽면에 삽입되되, 각각의 일단면은 각기 상기 제 1 외기팬(314)과 상기 제 2 외기팬(324)과 마주하고, 타단면은 각 냉각부 수용구간(103)의 내측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1 열전부재(311)와 제 2 열전부재(321)는 각 냉각부 수용구간(103)의 내측을 향하는 타단면의 열이 각 냉각부 수용구간(103)의 외측으로 전달되도록 제작된 열전소자(Peltier)이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각 열전부재(311, 321)의 타단면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다소 고온이 형성되는 상기 각 열전부재(311, 321)의 일단면의 경우, 제 1 외기팬(314)과 제 2 외기팬(324)의 방열 작용을 통해 그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1 냉열전달부재(312)와 제 2 냉열전달부재(322)의 경우, 냉각부 수용구간(103)의 벽면에 삽입되되, 일단면이 상기 각 열전부재(311, 321)와 마주하고, 타측면이 냉각부 수용구간(103)의 내측과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각 열전부재(311, 321)에 형성된 냉열은 일종의 전도 열전달 원리를 통해 각 냉열전달부재(312, 322)로 전달되고, 각 냉열전달부재(312, 322)에 전달된 냉열은 대류 등의 열전달 원리를 통해 각 냉각부 수용구간(103)의 내측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 1 냉열전달부재(312)와 제 2 냉열전달부재(322)는 알루미늄(Al) 등 냉열 전달을 위한 각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열전소자 방식 냉열원 구조를 통해, 프레온 가스 등과 같이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냉매가 필요치 않게 되어, 상당히 친환경적인 냉장고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는 단순히 전원을 공급받기만 하면 열전달 과정이 진행되는 소재이므로, 이에 따라 각종 열전달 구성들의 설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이를 통해 제작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덧붙여, 도 3에는 제 1 냉기주입공(110)과 제 2 냉기주입공(120)이 상호 연통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냉기주입공(110)의 양 단은 각각의 냉각부 수용구간(103)의 일 개구부와 연통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제 2 냉기주입공(120)의 양 단은 각각의 냉각부 수용구간(103)의 타 개구부와 연통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상술한 제 1 냉기주입공(110)과 제 2 냉기주입공(120)의 연통구조를 통해, 상기 제 1 냉각부재(310)와 상기 제 2 냉각부재(320) 각각이 생성한 냉기가 서로에게 상호 전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 1 냉각부재(310)와 제 2 냉각부재(320) 각각에 의해 형성된 냉기는 각기 상기 화장품 냉장고(1000) 내에서 격리 순환되는 것이 아닌, 그 전체가 합하여져 일체로써 상기 화장품 냉장고(1000) 내에서 순환하게 되어 그 냉기 순환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술한 냉기 순환율 증가에 따라, 그 냉장 보관 효율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보관된 화장품의 신선도 유지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부(200)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도어부(200)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도어부(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부(200)는 거울부재(210)와, 조명부재(220)를 포함한다.
상기 거울부재(210)의 경우 도어부(200)의 외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조명부재(220)는 상기 거울부재(21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부재(220)는 상기 거울부재(2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구비되는 광원부재(221)와, 상기 광원부재(221)와 연결되는 PCB부재(2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광원부재(221)는 LED와 같은 발광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PCB부재(222)는 특정 회로 구조를 통해 이와 연결되는 부품이 전기적으로 작동하도록 기능하는 기판인 PCB(Printed Circuit Board)를 의미한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면, 거울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광원을 구비함으로써, 그 거울의 측면에는 광원에 의한 면 발광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면 발광 조성 구조를 통해, 거울에 충분한 밝기가 제공되어 그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술한 면 발광을 통해, 거울의 표면에는 빛의 퍼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사용자가 이러한 빛 퍼짐 현상을 시각적으로 관찰하는 경우 일종의 무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부(200)는 상기 광원부재(221)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고, 말단부가 광원부재(221)의 전면과 마주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굴절유도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재(221)로부터 조사된 광은 상기 광원부재(221)의 말단면에 의해 굴절되어 거울부재(210)의 중심부를 향해 측면 조사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굴절유도부재(230)의 굴절 유도 작용을 통해, 광원부재(221)로부터 조사된 광이 더욱 용이하게 거울부재(210)의 표면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게됨으로써 면 발광율이 향상될 뿐만아니라, 이러한 면 발광율과 비례하는 시인성과 무드감 또한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재(220)의 경우 접근감지센서 등과 같은 물체 감지수단(미도시) 등과 연동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도어부(200)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에만 작동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화장품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00 :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냉장고
B1 : 제 1 단자
B2 : 제 2 단자
100 : 프레임부
101 : 제 1 보관구간
102 : 제 2 보관구간
102-1 : 수납부재
103 : 냉각부 수용구간
110 : 제 1 냉기주입공
120 : 제 2 냉기주입공
130 : 제 1 걸림부재
131 : 제 1 배출유도구간
200 : 도어부
210 : 거울부재
220 : 조명부재
221 : 광원부재
222 : PCB부재
230 : 굴절유도부재
300 : 냉각부
310 : 제 1 냉각부재
311 : 제 1 열전부재
312 : 제 1 냉열전달부재
313 : 제 1 내기팬
314 : 제 1 외기팬
320 : 제 2 냉각부재
321 : 제 2 열전부재
322 : 제 2 냉열전달부재
323 : 제 2 내기팬
324 : 제 2 외기팬
400 : 구획형성부
410 : 내부냉각공
411 : 제 1 냉각통로
412 : 제 2 냉각통로
413 : 제 3 냉각통로
420 : 에어커튼공
421 : 제 1 커튼통로
422 : 제 2 커튼통로
423 : 제 3 커튼통로
430 : 제 2 걸림부재
431 : 제 2 배출유도구간

Claims (10)

  1. 일측면의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냉기주입공과, 타측면의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냉기주입공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제 1 냉기주입공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 1 냉각부재와, 상기 제 2 냉기주입공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 2 냉각부재를 포함하는 냉각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높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내부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 1 냉기주입공과 연통되며 말단은 외부로 개구되는 내부냉각공과, 내부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 2 냉기주입공과 연통되며 말단은 외부로 개구되는 에어커튼공을 포함하는 구획형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가 열린 경우, 상기 에어커튼공에서 냉기가 분출됨으로써 에어커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공은,
    말단 개구 구간이 상기 내부냉각공의 말단 개구 구간보다 상기 프레임부의 개구면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냉각공은,
    말단이 상기 프레임부의 벽면을 향해 소정의 각도 또는 곡률을 갖고 기울어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형성부는,
    상기 에어커튼공으로부터 분사된 냉기를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제 2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걸림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벽면과 대향하는 내측면에 제 2 배출유도구간이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벽면에 대하여 소정의 곡률을 갖는 오목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냉장고.
  6.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내측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부재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제 1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제 1 냉각부재와 상기 제 2 냉각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열전소자(Peltier) 원리를 통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 1 냉각부재와 상기 제 2 냉각부재 각각이 생성한 냉기가 상호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냉기주입공과 상기 제 2 냉기주입공이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외부면에 구비되는 거울부재와, 면 발광하도록 상기 거울부재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조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냉각부재는,
    상기 도어부가 열린 경우에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냉장고.
KR1020180147376A 2018-11-26 2018-11-26 화장품 냉장고 KR102202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376A KR102202067B1 (ko) 2018-11-26 2018-11-26 화장품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376A KR102202067B1 (ko) 2018-11-26 2018-11-26 화장품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737A true KR20200061737A (ko) 2020-06-03
KR102202067B1 KR102202067B1 (ko) 2021-01-11

Family

ID=7108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376A KR102202067B1 (ko) 2018-11-26 2018-11-26 화장품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0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2873B1 (ko) * 1994-03-15 1998-12-15 이희종 냉동저장, 가열판매식 자동판매기의 냉기순환 및 냉기유도장치
KR0164765B1 (ko) * 1996-03-28 1999-01-15 김광호 에어커튼용 냉기전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030073960A (ko) * 2002-03-14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장품 저장고
KR200450319Y1 (ko) * 2010-01-28 2010-09-20 성진하이쿨(주) 개방형 냉장 쇼케이스
KR20160084752A (ko) * 2015-01-06 2016-07-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화장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2873B1 (ko) * 1994-03-15 1998-12-15 이희종 냉동저장, 가열판매식 자동판매기의 냉기순환 및 냉기유도장치
KR0164765B1 (ko) * 1996-03-28 1999-01-15 김광호 에어커튼용 냉기전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030073960A (ko) * 2002-03-14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장품 저장고
KR200450319Y1 (ko) * 2010-01-28 2010-09-20 성진하이쿨(주) 개방형 냉장 쇼케이스
KR20160084752A (ko) * 2015-01-06 2016-07-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화장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067B1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3375B2 (en) Refrigerator
US9410734B2 (en) Refrigerator
JP2005344975A (ja) 冷蔵庫
EP2549217A1 (en) Refrigerator
CN106895653B (zh) 发光搁板组件及具有其的冰箱
JP5856502B2 (ja) 冷蔵庫
JP5601904B2 (ja) 冷蔵庫
KR20200061737A (ko) 화장품 냉장고
JP5172634B2 (ja) 冷蔵庫
KR102624852B1 (ko) 냉장고
JP2010139079A (ja) 冷蔵庫
JP2980060B2 (ja) 冷蔵庫
US11137202B2 (en) Modular LED illumination device
WO2018100731A1 (ja) 冷蔵庫
US20240085098A1 (en) Refrigerator
KR101553947B1 (ko) 냉장고
KR20210026663A (ko) 현관용 냉장고
CN220669887U (zh) 冰箱
JP2959522B2 (ja) 冷蔵庫
RU2731722C1 (ru) Холодильный и/или морозильный аппарат
JP2011064340A (ja) 冷蔵庫
JP2019082323A (ja) 冷蔵庫
KR20210009860A (ko) 현관용 냉장고
JP2022165862A (ja) 冷蔵庫
CN118129404A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