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517A -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및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및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517A
KR20200061517A KR1020180146907A KR20180146907A KR20200061517A KR 20200061517 A KR20200061517 A KR 20200061517A KR 1020180146907 A KR1020180146907 A KR 1020180146907A KR 20180146907 A KR20180146907 A KR 20180146907A KR 20200061517 A KR20200061517 A KR 20200061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anagement
current value
management device
distribution circu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767B1 (ko
Inventor
유경학
Original Assignee
유경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학 filed Critical 유경학
Priority to KR1020180146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76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7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giving an indication of the number of times this occurs, i.e. multi-channel analy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및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전력 관리 장치가, 분전반에서의 전류값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분전반에서의 측정 전류값과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며, 측정 전류값이 기준 전류값을 소정의 기준 시간 동안 소정의 기준 회수 이상 초과하는 경우에 아크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계측 방식을 통해 아크 전류의 발생을 감지함에 따라, 아크 전류의 발생을 높은 정밀도로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및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Method for Determining Arc Current Generation, and Media Recorded with Program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및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계측 방식을 통해 아크 전류의 발생을 감지함에 따라, 아크 전류의 발생을 높은 정밀도로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및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국가 전력 관리 정책의 일환으로 전기료 누진제가 오래전부터 실행됨에 따라 각 가정에서는 개별 가전 제품의 전력 사용량을 각각 관리할 필요가 있는 반면에, 종래의 가정별로 설치되어 있는 전력량계는 해당 전체에서의 가정의 전력 사용 정보만을 제공함에 그치고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가정내 세대별 분전반에 설치되는 누전 차단기는 기 설정된 임계값(예를 들면, 기준 전류값)을 초과하는 전력 정보가 측정되는 경우에 동작한다.
한편, 스마트 홈(HEMS) 환경에서 가정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스마트 가전 제품의 설치 개수 및 동작 환경의 변수로 인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도 누전 및 아크 발생의 위험성은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누전 차단기는 기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으며, 이미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을 현재의 가전 제품의 설치 환경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설정할 수 없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 누전 차단기는 화재 발생의 원인이 되는 아크 전류에 대함 감지가 불가능함으로 인해, 아크 전류의 발생으로 인한 전기 화재의 위험성을 예측할 수 없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아크 차단기는 아날로그 방식의 부하 측정을 통해 동작되므로, 아크 전류 감지의 정밀도가 낮고 감지 속도 또한 빠르지 못하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계측 방식을 통해 아크 전류의 발생을 감지함에 따라, 아크 전류의 발생을 높은 정밀도로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및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는, 세대별 분전반에 설치되는 전력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에서의 분전 회로별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분전 회로별 전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량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전 회로별 전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분전 회로별 아크 전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에 의해 아크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분전 회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크 전류의 발생 여부의 판단에 사용되는 임계 전류값을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관리 방법은, 세대별 분전반에 설치되는 전력 관리 장치를 이용한 전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력 관리 장치가, 상기 분전반에서의 분전 회로별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전력 관리 장치가, 상기 분전 회로별 전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량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c) 상기 전력 관리 장치가, 상기 분전 회로별 전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분전 회로별 아크 전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d) 상기 전력 관리 장치가, 아크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분전 회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전력 관리 장치가, 상기 아크 전류의 발생 여부의 판단에 사용되는 임계 전류값을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는,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은, (a) 전력 관리 장치가, 분전반에서의 전류값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전력 관리 장치가, 상기 분전반에서의 측정 전류값과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력 관리 장치가, 상기 측정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을 소정의 기준 시간 동안 소정의 기준 회수 이상 초과하는 경우에 아크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는, 상기 전력 관리 장치가, ADC를 이용하여 상기 전류값을 단위 시간당 소정의 회수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전력 관리 장치가, 분전반에서의 분전 회로별 전류값을 단위 시간당 소정의 회수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류값은 교류 전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는,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분전반에서의 분전 회로별로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개별 가전 제품별로 전력 관리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의 원인이 되는 아크 전류의 발생을 분전 회로별로 감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분전 회로별 전력 공급의 차단을 통해 아크 전류로 인한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계측 방식을 통해 아크 전류의 발생을 감지함에 따라, 아크 전류의 발생을 높은 정밀도로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분전반에서의 누전 차단 동작을 위한 임계값을 개별 가전 제품의 설치 환경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분전 회로별로 능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전력 관리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전력 관리 장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전력 관리 장치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를 이용한 전력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전력 관리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전력 관리 장치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관리 서버(200), 및 전력 관리 장치(3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전력 관리 장치(300)가 설치된 가정에서 생활하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전력 관리 장치(300)에 연결되어 있는 가전 제품의 정격 소비 전류값 또는 가전 제품의 모델명 정보를 입력한다.
관리 서버(200)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전력 관리 장치(300) 관리 서비스를 운영하는 사업자가 설치 및 운영하는 서버로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력 관리 장치(300)에 대한 관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관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관리 장치(300)의 분전 회로별 누전 차단 동작을 위한 임계 전류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임계 전류값을 전력 관리 장치(3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력 관리 장치(300)는 가정내 세대별 분전반에 설치되어 있는 누전 차단기의 상단에 설치되며, 냉장고, 세탁기, TV 등의 가전 제품들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임계 전류값을 기초로 하는 가전 제품별 누전 차단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전력 관리 장치(300)는 다양한 가전 제품들이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분전 회로별 전류를 측정하며, 분전 회로별 전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량을 연산하며, 또한 분전 회로별 전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분전 회로별 아크 전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아크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해당 분전 회로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아크 전류에 의한 화재 발생의 위험성을 각 분전 회로별로 감시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전력 관리 장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전력 관리 장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200)는 수신부(210), 저장부(230), 판단부(250), 및 송신부(270)를 포함한다.
먼저, 관리 서버(200)의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력 관리 장치(300)에 대한 관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관리 서버(200)의 저장부(230)에는 사용자 단말기(100)부터 수신된 관리 요청 메시지가 저장되며, 판단부(25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관리 정보와 전력 관리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댁내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관리 장치(300)의 누전 차단 동작을 위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을 결정한다.
한편, 관리 서버(200)의 송신부(270)는 판단부(250)에 의해 결정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정보를 전력 관리 장치(3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전력 관리 장치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전력 관리 장치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 다음, 댁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 관리 장치(300)의 관리 정보를 입력한다(S410).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4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관리 정보는 전력 관리 장치(30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개별 가전 제품들의 정격 소비 전류값 또는 가전 제품들의 모델명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등과 같은 본 발명에서의 IoT 방식의 전력 관리 장치(300)의 범용 고유 식별자 정보가 관리 정보로서 추가로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전력 관리 장치(300)의 관리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며, 이와 같이 생성된 관리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관리 서버(200)로 송신된다(S420).
이에 관리 서버(200)의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력 관리 장치(300)에 대한 관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관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전력 관리 장치(300)의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력 관리 장치(300)의 분전 회로별 누전 차단 동작에 필요한 임계 전류값을 결정한다(S430).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사용자가 관리 정보로서 입력한 분전 회로별로 전자 제품의 정격 소비 전류값에,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안전율(예를 들면, 0.9)을 곱한 값을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관리 정보로서 가전 제품들의 모델명 정보를 입력한 경우에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저장부(230)에 각 모델명 정보별로 저장되어 있는 정격 소비 전류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정격 소비 전류값에 상기 소정의 안전율을 곱한 값을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으로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1차적으로 결정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정보는 하기의 표 1에서와 같이 관리 서버(200)의 저장부(230)에 저장되며, 관리 서버(200)의 송신부(270)는 전술한 S410 단계에서의 관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전력 관리 장치(300)의 고유 식별자 정보에 기초해서 해당 전력 관리 장치(300)로 전술한 S430 단계에서 결정된 임계 전류값 정보를 송신한다(S440).
고유 식별자(UUID) 1차 임계 전류값 2차 임계 전류값
3F2504E0-4F89-11D3-9A0C-0305E82C3301 1.5A / 1.4A / 1.2A -
550e8400-e29b-41d4-a716-446655440000 2.0A / 1.8A / 2.1A -
450e3400-a57b-76v4-a314-456755240000 1.9A / 2.1A / 2.0A -
이에 따라, 관리 서버(200)로부터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정보를 수신한 전력 관리 장치(300)는 수신된 임계 전류값을 댁내 누전 차단 관리의 분전 회로별 기준 임계값으로 설정한다(S450). 구체적으로, 전력 관리 장치(300)의 제어 모듈은 전력 관리 장치(300)의 제품 출시 시점에 기 설정되어 있는 누전 차단 관리에서의 임계 전류값을 전술한 S44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으로 갱신하여 설정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44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정보와 함께 상기 표 1에서의 고유 식별자 정보를 전력 관리 장치(300)로 송신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전력 관리 장치(300)의 제어 모듈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고유 식별자 정보가 자신의 고유 식별자 정보와 일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 인증 절차를 실행하며, 양자가 일치되는 경우에만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으로의 설정을 실행함으로써, 정당한 권원이 없는 자에 의해서 전력 관리 장치(300)의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전력 관리 장치(300)의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설정 정보를 관리 서버(200)를 통해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미리 확보할 수 있도록, 전술한 S410 단계의 실행 이전에, 사용자가 NFC 모듈이 구비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전력 관리 장치(300)에 부착되어 있는 NFC 칩에 태깅함에 따라, NFC 칩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 관리 장치(300)의 고유 식별자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S44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정보와 함께 상기 관리 서버(200)의 주소 정보(URL)를 전력 관리 장치(300)로 송신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전력 관리 장치(300)는 가정내 가전 제품들의 사용에 따른 가정내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 정보를 이후 관리 서버(200)로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S460).
이에 관리 서버(200)는 전력 관리 장치(300)로부터 가정내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게 되며, 전력 관리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 정보는 전력 관리 장치(300)의 고유 식별자 정보와 함께 저장부(230)에 누적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전력 관리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 정보에 기초해서 임계 전류값을 재결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해당 전력 관리 장치(300)에 대해 누적 저장된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 정보로부터 일정 기간(예를 들어, 전일/전월/전년) 동안의 분전 회로별 평균 전류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전류값을 해당 전력 관리 장치(300)에서의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으로 재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새롭게 설정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은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2차 임계 전류값으로 저장부(230)에 누적 저장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고유 식별자(UUID) 1차 임계 전류값 2차 임계 전류값
3F2504E0-4F89-11D3-9A0C-0305E82C3301 1.5A / 1.4A / 1.2A 1.3A / 1.5A / 1.4A
550e8400-e29b-41d4-a716-446655440000 2.0A / 1.8A / 2.1A 1.9A / 2.0A / 2.2A
450e3400-a57b-76v4-a314-456755240000 1.9A / 2.1A / 2.0A 2.0A / 2.2A / 1.9A
한편, 관리 서버(200)의 송신부(270)는 해당 전력 관리 장치(300)로 전술한 S470 단계에서 재결정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정보를 송신하며(S480), 이에 따라 관리 서버(200)로부터 갱신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정보를 수신한 전력 관리 장치(300)는 수신된 임계 전류값을 누전 차단 관리의 새로운 기준 임계값으로 재설정한다(S49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전술한 S470 단계에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을 재결정함에 있어서, 1차 임계 전류값과 2차 임계 전류값 중 더 작은 값으로 임계 전류값을 결정함으로써 보다 안전도가 높은 누전 차단 관리가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300)는, 측정부(310), 연산부(330), 통신부(350), 저장부(370), 판단부(380), 및 차단부(390)를 포함한다.
먼저, 전력 관리 장치(300)의 측정부(310)는 개별 가전 제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분전 회로별 전류를 개별적으로 측정하며, 이와 같이 측정된 분전 회로별 전류값은 저장부(370)에 누적 저장된다.
한편, 전력 관리 장치(300)의 연산부(330)는 분전 회로별 전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연산하며, 실시간으로 연산된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량 정보는 저장부(370)에 저장됨과 동시에 전력 관리 장치(300)에 구비된 모니터 등의 표시 장치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각 분전 회로에 연결되어 있는 가전 제품의 사용에 따른 전력 사용량을 가전 제품 별로 구분하여 확인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전력 관리 장치(300)의 통신부(35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을 수신하며,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정보는 저장부(370)에 저장된다.
한편, 전력 관리 장치(300)의 판단부(380)는 분전 회로별 전류의 측정값과 소정의 임계 전류값(기준 전류값)을 비교함으로써 아크 전류의 발생 여부를 분전 회로별로 판단한다.
전력 관리 장치(300)의 차단부(390)는, 판단부(380)에 의해 아크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분전 회로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를 이용한 전력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를 이용한 전력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력 관리 장치(300)는 가전 제품들이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각 분전 회로에서의 전류값을 개별적으로 측정하며, 이와 같이 측정된 분전 회로별 측정 전류값은 저장부(370)에 실시간으로 저장된다(S510).
한편, 전력 관리 장치(300)의 연산부(330)는 분전 회로별 전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분전 회로별 전력 누적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연산하며, 이와 같이 연산된 분전 회로별 전력 누적 사용량은 모니터 등의 표시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출력된다(S530).
한편, 전력 관리 장치(300)의 판단부(380)는 분전 회로별 전류의 실시간 측정값과 소정의 임계 전류값(기준 전류값)을 비교함으로써 아크 전류의 발생 여부를 분전 회로별로 판단한다(S550).
그에 따라 특정 분전 회로에서 아크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전력 관리 장치(300)의 차단부(390)는 해당 분전 회로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아크 전류에 의한 화재 발생을 예방하게 된다(S57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5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방법에서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전력 관리 장치(300)의 내부 메모리에 설치한 다음,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S550 단계에서의 분전 회로별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력 관리 장치(300)의 판단부(380)는 전술한 S510 단계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한 각 분전 회로별 전류의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 전류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51).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510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300)의 측정부(310)는 고속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를 이용하여 일정 주기 동안 소정의 측정 회수(예를 들면, 1/60초 동안 200회)만큼 분전 회로별로 교류 전류값을 측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분전 회로에서의 측정 대상 전류가 교류 전류인 경우에, 전력 관리 장치(300)의 저장부(370)에는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분전 회로별 소정의 임계 전류값(기준 전류값)을 교류 전류의 실효치로 하는 분전 회로별 정상 교류 전류값 정보가 도 7에서와 같이 저장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S551 단계에서 측정 전류값이 기준 전류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측정부(310)는 아크 발생 이벤트 정보를 저장부(370)에 누적적으로 저장하게 되며, 전력 관리 장치(300)의 판단부(380)는 소정의 기준 시간(예를 들면, 1/120초) 동안의 저장부(370)에의 이벤트 정보의 저장 회수가 소정의 기준 회수(예를 들면, 100회)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53).
그 결과, 소정의 기준 시간(예를 들면, 1/120초) 동안의 이벤트 정보의 저장 회수가 소정의 기준 회수(예를 들면, 100회)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전력 관리 장치(300)의 판단부(380)는 해당 분전 회로에서의 아크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최종적으로 판단하게 된다(S555).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6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에서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전력 관리 장치(300)의 내부 메모리에 설치한 다음,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관리 서버,
300: 전력 관리 장치.

Claims (3)

  1. (a) 전력 관리 장치가, 분전반에서의 전류값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전력 관리 장치가, 상기 분전반에서의 측정 전류값과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력 관리 장치가, 상기 측정 전류값이 상기 기준 전류값을 소정의 기준 시간 동안 소정의 기준 회수 이상 초과하는 경우에 아크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전력 관리 장치가, ADC를 이용하여 상기 전류값을 단위 시간당 소정의 회수로 측정하는 것인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의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180146907A 2018-11-26 2018-11-26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및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125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907A KR102125767B1 (ko) 2018-11-26 2018-11-26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및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907A KR102125767B1 (ko) 2018-11-26 2018-11-26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및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517A true KR20200061517A (ko) 2020-06-03
KR102125767B1 KR102125767B1 (ko) 2020-06-23

Family

ID=7108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907A KR102125767B1 (ko) 2018-11-26 2018-11-26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및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7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530B1 (ko) * 2016-03-14 2017-04-17 (주)대산이엔씨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KR20170078479A (ko) * 2015-12-29 2017-07-07 한국 전기안전공사 아크 검출 장치 및 아크 검출 장치를 이용한 접지 아크 검출 방법
KR20170078994A (ko) * 2015-12-29 2017-07-10 한국 전기안전공사 아크 검출 장치 및 아크 검출 장치를 이용한 병렬 아크 검출 방법
KR20180125319A (ko) * 2017-05-15 2018-11-23 한국 전기안전공사 스마트 아웃렛을 이용한 부하 별 과부하 진단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479A (ko) * 2015-12-29 2017-07-07 한국 전기안전공사 아크 검출 장치 및 아크 검출 장치를 이용한 접지 아크 검출 방법
KR20170078994A (ko) * 2015-12-29 2017-07-10 한국 전기안전공사 아크 검출 장치 및 아크 검출 장치를 이용한 병렬 아크 검출 방법
KR101727530B1 (ko) * 2016-03-14 2017-04-17 (주)대산이엔씨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KR20180125319A (ko) * 2017-05-15 2018-11-23 한국 전기안전공사 스마트 아웃렛을 이용한 부하 별 과부하 진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767B1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74666B (zh) 電源管理方法及電源管理裝置
US20090167547A1 (en) Utility disconnect monitor node with communication interface
US20110181124A1 (en) Breaker and power monitoring system
JP2016517683A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
KR102433819B1 (ko) 전기안전 관리 서버,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2068774A (ja) 見守り支援システムおよび見守り支援方法
CN106199261B (zh) 基于互联网的电器老化度持续检测系统及检测方法
JP6580881B2 (ja) 電力計測装置および電力管理方法
US20160366162A1 (en) Methods circuits devices assemblies systems and functionally associated computer executable code for detecting a line condition
CN115085381A (zh) 用电异常监控方法、装置及系统
KR102076568B1 (ko) 실시간 통신품질 감시기능을 갖는 원격검침시스템과 원격검침시스템의 실시간 통신품질 감시 방법
KR102101735B1 (ko) 분전 회로별 전력 관리 방법 및 분전 회로별 전력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2017017777A (ja)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方法
KR20110127032A (ko)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4422323A (zh) 一种针对物联网设备的联合监控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15076648A (ja) 電力値収集システム
KR102125767B1 (ko)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및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125765B1 (ko) 분전 회로별 전력 관리 장치
US20130325199A1 (en) Satellite signal-based utility grid control
KR102057643B1 (ko) 네트워크를 통한 분전반 장비의 출장 정비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210045665A (ko) 전력선 통신 및 IoT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및 화재 감지 방법
JP2020167567A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WO2017216715A1 (en) Methods circuits devices assemblies systems and functionally associated computer executable code for detecting a line condition
JP2017017776A (ja)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937971A (zh) 一种用电插座的安全保护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