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439A - 직물 - Google Patents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439A
KR20200061439A KR1020180146189A KR20180146189A KR20200061439A KR 20200061439 A KR20200061439 A KR 20200061439A KR 1020180146189 A KR1020180146189 A KR 1020180146189A KR 20180146189 A KR20180146189 A KR 20180146189A KR 20200061439 A KR20200061439 A KR 20200061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abric
cover layer
region
w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주엽
박성민
권일준
김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델타폴
다이텍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델타폴, 다이텍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델타폴
Priority to KR1020180146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1439A/ko
Publication of KR20200061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 B32B2307/7145Rot proof, resistant to bacteria, mildew, mould, fung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성능 섬유 소재로 구성되고 경사와 위사를 직조하여 형성된 원단층, 상기 원단층에 적층되는 커버층 및 상기 커버층에 적층되는 라미네이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층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물 {Fabric}
아래의 실시예들은 슈퍼 섬유 소재를 이용한 직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슈퍼 섬유 소재에 후속 가공 처리를 하여 기능이 향상된 직물에 관한 것이다.
슈퍼 섬유는 종래의 섬유보다 강도와 탄성률이 아주 높거나 내열성과 난연성이 매우 우수한 섬유이다. 또한 슈퍼 섬유는 가볍고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슈퍼 섬유로는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탄소 섬유 등이 있다.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는 고강도 및 고탄성률, 내열성 등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는 고강도 및 고탄성률은 물론 가볍고 충격흡수성이 우수하다. 또한 마모성이 강하고, 내후성 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슈퍼 섬유는 고강도 및 고탄성률 등의 우수한 특성들을 가지나, 기술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파라계 아라미드 소재는 내광성에 취약하고,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소재는 염색 및 화학적 가공이 어렵고, 탄소섬유는 성형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들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슈퍼섬유 소재의 기술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후속 가공 기술 개발 및 연구가 계속 되고 있다.
일 과제는, 슈퍼 섬유 소재를 후속 가공 하여 구조 강화 및 UV 차단력을 보강 시킨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 과제는, 슈퍼 섬유 소재를 후속 가공 하여 방염 및 항곰팡이 처리 기능을 향상 시킨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 과제는, 슈퍼 섬유 소재를 후속 가공 하여 일광견뢰도 증진 시킨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성능 섬유 소재로 구성되고 경사와 위사를 직조하여 형성된 원단층; 상기 원단층에 적층되는 커버층; 및 상기 커버층에 적층되는 라미네이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층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직물 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슈퍼 섬유 소재는 후속 가공을 통해 직물의 구조 강화 및 UV 차단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슈퍼 섬유 소재를 후속 가공을 통해 직물의 방염 및 항곰팡이 처리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슈퍼 섬유 소재를 후속 가공을 통해 일광견뢰도를 증진 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직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성능 섬유 소재로 구성되고 경사와 위사를 직조하여 형성된 원단층; 상기 원단층에 적층되는 커버층; 및 상기 커버층에 적층되는 라미네이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층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직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층은 제1 커버층 및 제2 커버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커버층은 상기 원단층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제2 커버층은 상기 원단층의 타면에 적층되는 직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미네이트층은 제1 라미네이트층 및 제2 라미네이트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라미네이트층은 상기 제1 커버층에 적층되고, 상기 제2 라미네이트층은 상기 제2 커버층에 적층되는 직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단층은 제1 영역 및 상기 돌출부가 존재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커버층 사이의 접촉 면적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커버층 사이의 접촉 면적 보다 큰 직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단층과 상기 커버층 간의 결합력은 상기 제1 영역에서 보다 상기 제2 영역에서 더 큰 직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와 이격된 제2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라미네이트층과 이격되는 직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원단층 상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원단층 상면과 상기 원단층과 이격된 상기 라미네이트층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직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제1 단부와 접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영역의 방향은 상기 경사 또는 상기 위사의 진행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인 직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경사가 연결되는 제1 연결 영역은 상기 경사의 진행 방향과 대응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위사가 연결되는 제2 연결 영역은 상기 위사의 진행 방향과 대응되는 직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층이 둘러싸고 있는 복합 영역을 포함하는 직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영역의 두께는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가 배치된 영역에서보다 상기 경사 또는 상기 위사만 배치되는 영역에서 더 큰 직물 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단층은 파라계 아라미드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직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단층이 상기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로 구성된 경우, TiO2의 가공 처리를 하는 직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층은 PU, TPU 또는 Epoxy로 구성되는 직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미네이트층은 PE 또는 EVA로 구성되는 직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성능 섬유 소재로 구성되고 경사와 위사를 직조하여 형성된 원단을 배열하는 단계; 상기 원단에 커버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층에 라미네이트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층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직물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단이 파라계 아라미드 방적사 구조인 경우, 상기 원단에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직물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단면도이다.
직물(1)은 원단층(10), 커버층(20), 라미네이트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원단층(10)은 커버층(20)과 접할 수 있다. 원단층(10)의 일면은 제1 커버층(21)과 접하고, 원단층(10)의 타면은 제2 커버층(22)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원단층(10)은 상기 직물(1)의 외형을 정의하기 위한 베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원단층(10)은 직물의 구조 강화 및 UV 차단력을 향상 시키기 위한 기초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원단층(10)은 고성능 섬유일 수 있다. 고성능 섬유는 슈퍼섬유일 수 있다. 슈퍼섬유는 파라계 아라미드(P-Aramid),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탄소섬유(Carbon Fiber) 일 수 있다.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의 경우, 필라멘트 구조와 방적사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방적사 구조는 60수 2합을 적용하는 평직물일 수 있다.
원단층(10)이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로 구성된 경우, 원단층(10)은 TiO2의 가공 처리를 추가적으로 할 수 있다. TiO2처리된 원단층(10)은 내광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커버층(20)은 원단층(10)에 적층될 수 있다. 커버층(20)은 원단층(10)과 라미네이트층(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층(20)의 일면은 원단층(10)과 접할 수 있고, 커버층(20)의 타면은 라미네이트층(30)과 접할 수 있다.
커버층(20)은 원단층(10)을 보호할 수 있고, 원단층(10)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커버층(20)은 발수 기능을 증가 시킬 수 있고, 자외선을 차단시킬 수 있다.
커버층(20)은 원단층(10)을 덮음으로써, 구조가 강화된 직물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층(20)은 원단층(10)을 덮음으로써, 직물의 일광견뢰도를 증진시키고, UV를 차단할 수 있고, 방염 및 항곰팡이 처리를 할 수 있다.
커버층(20)은 PU, TPU, Epoxy Fil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층(20)은 원단층(10)을 PU(polyurethane),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Epoxy로 덮을 수 있다.
커버층(20)이 PU일 경우, 원단층(10)은 PU로 코팅이 될 수 있다. 원단층(10)이 PU코팅 된 경우, UV 차단, 방염 및 항곰팡이 처리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커버층(20)이 발수 물질일 경우, 원단층(10)은 발수 코팅이 될 수 있다. 원단층(10)이 발수 코팅이 된 경우, 일광견뢰도 증진, UV 차단, 방염 및 항곰팡이 처리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커버층(20)은 제1 커버층(21) 및 제2 커버층(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층(21)은 원단층(10)에 적층될 수 있다. 제2 커버층(22)은 원단층(10)에 적층될 수 있다. 제1 커버층(21)은 원단층(10)의 일면에 적층되고, 제2 커버층(22)은 원단층(10)의 타면에 적층될 수 있다.
제1 커버층(21)은 원단층(10)의 일면과 접하고, 제1 라미네이트층(31)의 일면과 접할 수 있다. 제2 커버층(22)은 원단층(10)의 타면과 접하고, 제2 라미네이트층(32)의 일면과 접할 수 있다.
제1 커버층(21)의 일면은 원단층(10)과 접하고, 제1 커버층(21)의 타면은 제1 라미네이트층(31)과 접할 수 있다. 제2 커버층(22)의 일면은 원단층(10)과 접하고, 제2 커버층(22)의 타면은 제2 라미네이트층(32)과 접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층(30)은 커버층(20)에 적층될 수 있다.
라미네이트층(30)은 제1 커버층(21)의 일면에 접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층(30)은 제2 커버층(22)의 일면에 접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층(30)은 직물(1)의 외형을 정의하기 위한 외관을 구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층(30)은 원단층(10)의 내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라미네이트층(30)은 원단층(10)의 방염기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라미네이트층(30)은 PE수지 및 EVA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PE수지 및 EVA수지는 점착력 및 성형성이 우수하여 커버층(20)과의 결합력이 우수하다.
라미네이트층(30)은 제1 라미네이트층(31) 및 제2 라미네이트층(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라미네이트층(31)은 제1 커버층(21)에 적층될 수 있다. 제2 라미네이트층(32)은 제2 커버층(22)에 적층될 수 있다. 제1 라미네이트층(31)은 제1 커버층(21)에 적층되고, 제2 라미네이트층(32)은 제2 커버층(22)에 적층될 수 있다.
제1 라미네이트층(31)의 일면은 제1 커버층(21)과 접하고, 제2 라미네이트층(32)은 제2 커버층(22)과 접할 수 있다.
원단층(10)에 대하여 커버층(20) 및 라미네이트층(30)으로 이중구조 설계를 통해 원단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원단층(10)이 파라아라미드 소재인 경우, 라미네이트층(30)을 적층함으로써 내광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원단층(10)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소재인 경우, 방염기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단면도이다.
원단층(10)은 경사군(110) 및 위사군(120)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군(110)과 위사군(12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경사군(110)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고, 위사군(120)은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x축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y축 방향일 수 있다. 평면은 x축과 y축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 방향으로 배열된 경사군(110)과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위사군(120)에 의해 원단층(10)의 평면이 정의될 수 있다.
경사군(110)과 위사군(120)은 서로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경사군(110)과 위사군(120)은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경사군(110)과 위사군(120)은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경사군(110)과 위사군(120)은 서로 꼬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경사군(110)과 위사군(120)은 직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원단층(10)은 제1 군 영역(1100), 제2 군 영역(1200) 및 경계 영역(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과 제2 군 영역(1200)은 서로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과 제2 군 영역(1200)은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과 경계 영역(1300)은 서로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경계 영역(1300)과 제2 군 영역(1200)은 서로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 경계 영역(1300) 및 제2 군 영역(1200)은 서로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은 다수의 제2 군 영역(1200)으로 둘러싸인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군 영역(1100)의 사면에는 다수의 제2 군 영역(12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군 영역(1200)은 다수의 제1 군 영역(1100)으로 둘러싸인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군 영역(1200)의 사면에는 다수의 제1 군 영역(11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은 경사군(110)이 원단층(10)의 상면으로 노출된 영역일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은 경사군(110)이 위사군(120)보다 제1 커버층(21)에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은 경사군(110)이 제1 커버층에 노출된 영역일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은 위사군(120)이 경사군(110)보다 제2 커버층(22)에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은 위사군(120)이 제2 커버층에 노출된 영역일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은 경사군(110)이 제1 커버층(21)에 노출되고, 위사군(120)이 제2 커버층(22)에 노출된 영역일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은 제2커버층(22) 상에 위사군(120)이 적층되고, 상기 위사군(120) 상에 경사군(110)이 적층되고, 상기 경사군(110) 상에 제1 커버층(21)이 적층된 영역일 수 있다.
제2 군 영역(1200)은 위사군(120)이 원단층(10)의 상면으로 노출된 영역일 수 있다. 제2 군 영역(1200)은 위사군(120)이 경사군(110)보다 제1 커버층(21)에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제2 군 영역(1200)은 위사군(120)이 제1 커버층에 노출된 영역일 수 있다. 제2 군 영역(1200)은 경사군(110)이 위사군(120)보다 제2 커버층(22)에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제2 군 영역(1200)은 경사군(110)이 제2 커버층에 노출된 영역일 수 있다. 제2 군 영역(1100)은 위사군(120)이 제1 커버층(21)에 노출되고, 경사군(110)이 제2 커버층(22)에 노출된 영역일 수 있다. 제2 군 영역(1200)은 제2커버층(22) 상에 경사군(110)이 적층되고, 상기 경사군(110) 상에 위사군(120)이 적층되고, 상기 위사군(120) 상에 제1 커버층(21)이 적층된 영역일 수 있다.
경계 영역(1300)은 제1 군 영역(1100)과 제2 군 영역(1200)의 사이 영역일 수 있다. 경계 영역(1300)은 제1 군 영역(1100)을 둘러싸는 영역일 수 있다. 경계 영역(1300)은 제1 군 영역(1100)의 외곽영역과 접할 수 있다. 경계 영역(1300)은 홈이 패인 영역일 수 있다. 경계 영역(1300)은 제1 군 영역(1100)에 비해 함몰되는 영역일 수 있다. 경계 영역(1300)은 제1 군 영역(1100)과 높낮이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경계 영역(1300)보다 제1 군 영역(1100)이 제1 커버층(21)에 더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경계 영역(1300)은 제2 군 영역(1200)을 둘러싸는 영역일 수 있다. 경계 영역(1300)은 제2 군 영역(1200)의 외곽영역과 접할 수 있다. 경계 영역(1300)은 홈이 패인 영역일 수 있다. 경계 영역(1300)은 제2 군 영역(1200)에 비해 함몰되는 영역일 수 있다. 경계 영역(1300)은 제2 군 영역(1200)과 높낮이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경계 영역(1300) 보다 제2 군 영역(1200)이 제1 커버층(21)에 더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의 방향과 제2 군 영역(1200)의 방향은 경계 영역(1300)에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군 영역(1100)과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군 영역(1200)은 경계 영역(1300)을 기준으로 방향이 바뀔 수 있다.
경사군(110)은 다수의 경사(11)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군(110)은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경사(11)를 포함할 수 있다. 위사군(120)은 다수의 위사(1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사군(120)은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위사(12)를 포함할 수 있다.
원단층(10)은 경사(11) 및 위사(12)를 포함할 수 있다. 원단층(10)은 경사(11) 및 위사(12)를 직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원단층(10)은 복수의 경사(11) 및 복수의 위사(12)로 구성될 수 있다.
경사(11)는 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위사(12)는 경사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경사(11)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위사(12)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경사(11)는 제1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고, 위사(12)는 제2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는 방향일 수 있다. 경사(11)는 직물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고, 위사(12)는 경사(11)를 가로질러 경사(11)와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경사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위사는 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커버층(20)은 경사군(110) 및 위사군(120)과 접할 수 있다. 커버층(20)은 제1 군 영역(1100), 제2 군 영역(1200) 및 경계 영역(1300)과 접할 수 있다. 커버층(20)은 경사(11)와 접할 수 있고, 위사(12)와 접할 수 있으며, 경사(11) 및 위사(12)와 접할 수 있다.
경계 영역은(1300)은 제1 군 영역(1100)과 제2 군 영역(1200)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커버층(20)이 제1 군 영역(1100)과 제2 군 영역(1200)을 모두 접할 수 있는 영역을 경계 영역(1300)으로 정의할 수 있다. 커버층(20)은 경계 영역(1300)에서 제1 군 영역(1100)과 제2 군 영역(1200)을 모두 접할 수 있다.
제1 커버층(21)은 경사군(110) 및 위사군(120)과 접할 수 있다. 제1 커버층(21)은 제1 군 영역(1100), 제2 군 영역(1200) 및 경계 영역(1300)과 접할 수 있다. 제1 커버층(21)은 경사(11)와 접할 수 있고, 위사(12)와 접할 수 있으며, 경사(11) 및 위사(12)와 접할 수 있다.
제1 커버층(21)은 제1 군 영역(1100)에서 위사군(120)보다 경사군(110)과 더 인접할 수 있다. 제1 커버층(21)은 경계 영역(1300)보다 제1 군 영역(1100)과 더 인접할 수 있다.
제2 커버층(22)은 경사군(110) 및 위사군(120)과 접할 수 있다. 제2 커버층(22)은 제1 군 영역(1100), 제2 군 영역(1200) 및 경계 영역(1300)과 접할 수 있다. 제2 커버층(22)은 경사(11)와 접할 수 있고, 위사(12)와 접할 수 있으며, 경사(11) 및 위사(12)와 접할 수 있다.
제2 커버층(22)은 제1 군 영역(1100)에서 경사군(110)보다 위사군(120)과 더 인접할 수 있다. 제2 커버층(22)은 경계 영역(1300)보다 제1 군 영역(1100)과 더 인접할 수 있다.
커버층(20)은 원단층(10)의 평면을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원단층(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층(20)은 z축 방향으로 x,y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층(21)은 z축 방향으로 x,y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커버층(22)은 제1 커버층(21)과 반대 방향인 -z축 방향으로 x,y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단면도이다.
원단층(10)은 돌출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원단층(10)은 다수의 돌출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원단층(10)은 돌출부(100)가 존재하는 영역 및 돌출부(100)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원단층(10)은 돌출부(100)가 존재하는 영역 및 원단층(10)의 표면 영역만 존재하는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가 존재하는 영역은 제1 영역(1000),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은 제2 영역(2000)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영역(1000)은 경사(11) 및 위사(12)만 존재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1000)은 경사(11) 및 위사(12)만 커버층(20)에 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000)은 경사(11), 위사(12) 및 돌출부(100)가 존재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000)은 경사(11), 위사(12) 및 돌출부(100)가 커버층(20)에 접하는 영역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영역(1000) 및 제2 영역(2000)은 위사(1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원단층(10)은 제1 영역(1000) 및 돌출부(100)가 존재하는 제2 영역(20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000)은 제2 영역(2000)과 연결될 수 있다. 원단층(10)은 제1 영역(1000)과 제2 영역(2000)을 교번하여 포함할 수 있다. 원단층(10)은 제1 영역(1000)과 제2 영역(2000)을 불규칙적으로 교번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2000)과 커버층(20) 사이의 접촉 면적은 제1 영역(1000)과 커버층(20) 사이의 접촉 면적보다 크다. 제2 영역(2000)은 돌출부(100)가 존재하는 영역이므로, 제2 영역(2000)과 커버층(20) 사이의 접촉되는 면적이 제1 영역(1000)과 커버층(20) 사이의 접촉되는 면적보다 크다.
제2 영역(2000)은 돌출부(100)에 의해 커버층(20)에 노출되는 표면적이 제1 영역에 비해 더 커지므로, 제2 영역(2000)은 제1 영역(1000)에 비해 커버층(20)과의 관계에서 접촉면적이 커질 수 있다. 제2 영역(2000)은 제1 영역(1000)에 비해 돌출부(100)의 표면적만큼 더 넓은 노출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원단층(10)과 커버층(20) 사이에는 결합력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력은 물리적인 결합에 의해 작용하는 힘일 수 있다.
원단층(10)과 커버층(20) 사이의 접촉 면적이 클수록 원단층(10)과 커버층(20) 사이의 결합력은 증가될 수 있다. 제2 영역(2000)과 커버층(20) 사이의 결합력은 제1 영역(1000)과 커버층(20) 사이의 결합력보다 크다. 제1 영역(1000)에서도 커버층(20)과 약한 결합력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2000)이 많을수록 원단층(10)과 커버층(20)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원단층(10)의 돌출부(100)의 개수가 많을수록 원단층(10)과 커버층(20)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원단층(10)과 커버층(20)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할수록, 외력에 의해 커버층(20)이 원단층(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군(110), 위사군(120), 경사(11) 또는 위사(12)는 돌출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원단층(10)이 돌출부(100)를 포함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돌출부(100)는 제3 방향 및 제4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방향은 x,y 평면을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방향일 수 있다. 제4 방향은 x,y 평면을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 및 제4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과 제4 방향은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과 제4 방항은 x,y 평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방향일 수 있다.
돌출부(100)가 제1 커버층(21)을 향해 돌출될 경우, 돌출부(100)는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00)가 제2 커버층(22)을 향해 돌출될 경우, 제1 커버층(21)에서의 돌출부(100)와 반대 방향인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에는 경사군(110)과 접한 돌출부(100)와 위사군(120)과 접한 돌출부(100)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에는 제1 커버층(21)에 인접한 돌출부(100)와 제2 커버층(22)에 인접한 돌출부(100)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에서 경사군(110)과 접한 돌출부(100)는 제3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에서 위사군(120)과 접한 돌출부(100)는 제4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에서, 경사군(110)과 접한 돌출부(100)는 위사군(120)을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1 군 영역(1100)에서, 위사군(120)과 접한 돌출부(100)는 경사군(110)을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2 군 영역(1200) 및 경계 영역(1300)에는 경사군(110)과 접한 돌출부(100)와 위사군(120)과 접한 돌출부(100)가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제1 군 영역(1100)에서 경사군(110)과 접한 돌출부(100)와 위사군(120)과 접한 돌출부(10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단면도이다.
돌출부(100)는 제1 단부(101) 및 제2 단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00)는 경사(11) 및 위사(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하는 제1 단부(101) 및 경사(11) 및 위사(12)와 이격된 제2 단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00)는 경사(11)와 접하는 제1 단부(101) 및 경사(11)와 이격된 제2 단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00)는 위사(12)와 접하는 제1 단부(101) 및 위사(12)와 이격된 제2 단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101)는 경사(11) 및 제1 커버층(21)과 접할 수 있다. 제1 단부(101)는 위사(12) 및 제1 커버층(21)과 접할 수 있다. 제1 단부(101)는 경사(11) 및 제2 커버층(22)과 접할 수 있다. 제1 단부(101)는 위사(12) 및 제2 커버층(22)과 접할 수 있다.
제2 단부(102)는 라미네이트층(30)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단부(102)는 제1 라미네이트층(31)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단부(102)는 제2 라미네이트층(32)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단부(102)는 제1 커버층(2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단부(102)는 제2 커버층(22)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단부(101)는 제1 연결부(101a) 및 제2 연결부(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01a)와 제2 연결부(101b)는 경사(11)와 연결되는 영역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연결부(101a)와 제2 연결부(101b)가 경사(11)와 연결되는 영역으로 도시하였으나, 돌출부(100)가 위사(12)의 돌출부인 경우 제1 연결부(101a)와 제2 연결부(101b)는 위사(12)와 연결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연결부(101a)는 경사(11)에서 x축의 일방향을 따라 진행하는 과정에서 돌출부(101)와 만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연결부(101b)는 경사(11)에서 x축의 반대방향을 따라 진행하는 과정에서 돌출부(101)와 만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5와 같은 단면도에서는 제1 연결부(101a)와 제2 연결부(102b)는 점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연결부(101a)와 제2 연결부(102b)는 선일 수 있다.
제1 연결부(101a)와 제2 단부(102)와의 거리는 제2 연결부(101b)와 제2 단부(102)와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101a)와 제2 단부(102)와의 거리는 제2 연결부(101b)와 제2 단부(102)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단부(101)와 라미네이트층(30)과의 거리는 제2 단부(102)와 라미네이트층(30)과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제2 단부(102)는 말단 부분이 둥근 원형 구조 일 수 있다. 제2 단부(102)는 말단 부분이 각진 구조일 수 있다. 제2 단부(102)는 말단 부분이 뾰족한 구조일 수 있다. 제2 단부(102)는 말단 부분이 다각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제2 단부(102)는 형태가 다양할 수 있다.
돌출부(100)는 제1 단부(101)와 접하는 연결 영역(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영역(300)은 상기 경사(11)와 상기 돌출부(100)가 연결되는 영역일 수도 있고, 상기 연결 영역(300)은 상기 위사(12)와 상기 돌출부(100)가 연결되는 영역일 수도 있다.
연결 영역(300)의 방향을 경사(11) 또는 위사(12)의 진행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일 수 있다. 돌출부(100)와 경사(11)가 연결되는 연결 영역(300)은 경사(11)의 진행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일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돌출부(100)와 위사(12)가 연결되는 연결 영역(300)은 위사(12)의 진행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일 수 있다.
경사(11)의 진행 방향은 x축 방향일 수 있다. 돌출부(100)의 연장 방향은 z축 방향일 수 있으나, 돌출부(100)와 경사(11)가 연결되는 연결 영역(300)의 진행 방향은 경사(11)의 진행 방향과 대응되는 x축 방향일 수 있다.
연결 영역(300)의 진행 방향에 따라 돌출부(100)의 제1 단부(101)의 진행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영역(300)의 진행 방향이 x축 방향이면, 돌출부(100)의 제1 단부(101)의 진행 방향도 x축 방향일 수 있다.
돌출부(100)의 진행 방향은 불규칙할 수 있으나, 돌출부(100)와 경사(11)가 연결되는 연결 영역(300)의 진행 방향은 경사(11)의 진행 방향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규칙적일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돌출부(100)와 위사(12)가 연결되는 연결 영역(300)은 위사(12)의 진행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일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00)와 경사(11)가 연결되는 연결 영역(300)은 제1 연결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100)와 위사(12)가 연결되는 연결 영역(300)은 제2 연결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경사(11)의 진행 방향과 연결 영역(300)의 진행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경사(11)와 돌출부(100)는 서로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는 경사(11)의 진행 방향과 연결 영역(300)의 진행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경사(11)로부터 돌출부(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경사(11)와 상기 돌출부(100)가 서로 결합력이 향상됨으로 인해, 원단층(10)은 커버층(20)과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원단층(10)과 상기 커버층(20)의 접촉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상기 원단층(10)과 상기 커버층(2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100)는 경사(11)와 접한 것을 예로드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100)는 위사(12)와 접할 수 있다. 돌출부(100)가 위사(12)와 접한 경우의 특징은 돌출부(100)가 경사(11)와 접한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단부(102)와 원단층(10) 상면 사이의 거리는 제1 높이(h1)로 정의될 수 있다. 원단층(10) 상면과 원단층(10)과 이격된 라미네이트층(30) 사이의 거리는 제2 높이(h2)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높이(h1)는 제2 높이(h2)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높이(h1)은 돌출부(100)의 높이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높이(h2)는 원단층(10)과 이격된 제1 라미네이트층(31) 사이의 거리를 나타낼 수 있고, 제1 커버층(21)의 두께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높이(h1)는 제2 높이(h2)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높이(h1)가 클수록 원단층(10)과 커버층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제1 높이(h1)가 클수록 원단층(10)과 커버층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제1 단부(101)와 제2 단부(102와의 거리는 돌출부(100)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돌출부(100)의 길이에 따라 원단층(10)과 커버층(20) 사이의 접촉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돌출부(100)의 길이가 길수록 원단층(10)과 커버층(20)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는 돌출부(100)의 길이가 길수록 돌출부(100)가 커버층(20)에 노출 표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원단층(10)과 커버층(20)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돌출부(100)의 길이가 길수록 원단층(10)과 커버층(20)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단면도이다.
직물(1)은 복합 영역(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영역(400)은 원단층(10)과 커버층(20)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복합영역(400)은 경사 및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커버층(20)에 둘러싸여 있는 영역일 수 있다.
복합 영역(400)은 커버층(20)이 경사(11)를 둘러싸고 있는 영역 일 수 있다. 복합 영역(400)은 커버층(20)이 위사(12)를 둘러싸고 있는 영역 일 수 있다. 복합 영역(400)은 커버층(20)이 경사(11) 및 위사(12)를 둘러싸고 있는 영역 일 수 있다.
복합 영역(400)은 중첩 영역(410)과 단일 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첩 영역(410)은 경사 및 위사가 배치된 영역(410)일 수 있고, 단일 영역(420)은 경사 또는 위사만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중첩 영역(410)은 도 3에서 설명된 제1 군 영역(1100) 또는 제2 군 영역(1200)과 대응될 수 있다. 단일 영역(420)은 도 3에서 설명된 경계 영역(1300)과 대응될 수 있다.
중첩 영역(410)은 경사군(110) 또는 위사군(120)이 원단층(10)의 상면으로 노출된 영역일 수 있다. 중첩 영역(410)은 경사군(110) 또는 위사군(120)이 제1 커버층(21)과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단일 영역(420)보다 중첩 영역(410)이 제1 커버층(21)과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중첩 영역(410)에서의 복합 영역의 두께는 제1 두께(d1)이고, 단일 영역(420)에서의 복합 영역의 두께는 제2 두께(d2)이다.
복합 영역(400)의 두께는 중첩 영역(410)에서보다 단일 영역(420)에서 더 클 수 있다. 제1 두께(d1)는 제2 두께(d2)보다 작을 수 있다.
커버층(20)은 원단층(10)을 중첩 영역(410)에서보다 단일 영역(420)에서 더 넒은 면적으로 덮을 수 있다. 복합 영역의 단일 영역(420)에서 원단층(10)과 커버층(20) 사이의 접촉 면적이 중첩 영역(410)에서 원단층(10)과 커버층(20) 사이의 접촉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중첩 영역(410)에서는 원단층(10)의 비율이 커버층(20)의 비율보다 크고, 단일 영역(420)에서는 커버층(20)의 비율이 원단층(10)의 비율보다 크다.
복합 영역의 단일 영역(420)에서 원단층(10)과 커버층(20) 사이의 결합력은 중첩 영역(410)에서 원단층(10)과 커버층(20) 사이의 결합력보다 클 수 있다.
복합 영역의 두께가 중첩 영역(410)과 단일 영역(420)에서 달라짐으로써, 원단층(10)과 커버층(20)간의 결합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원단층(10)은 중첩 영역(410)에서보다 단일 영역(420)에서 커버층과 더 강한 결합을 할 수 있다. 복합 영역의 중첩 영역(410) 및 단일 영역(420)에서 원단층(10)과 커버층(20) 간의 다른 결합력의 세기가 반복됨으로써, 원단층(10)과 커버층(20)간의 결합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직물 제조 방법은 고성능 섬유 소재로 구성되고 경사와 위사를 직조하여 형성된 원단을 배열하는 단계(S100); 상기 원단에 커버층(20)을 적층하는 단계(S200); 및 상기 커버층(20)에 라미네이트층(30)을 적층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직물 제조 방법은 고성능 섬유 소재로 구성되고 경사와 위사를 직조하여 형성된 원단을 배열할 수 있다(S100). 고성능 섬유 소재는 슈퍼 섬유 소재일 수 있다. 슈퍼 섬유 소재는 파라계 아라미드(P-Aramid),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탄소섬유(Carbon Fiber) 일 수 있다.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0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100)는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직물 제조 방법은 상기 원단에 커버층(20)을 적층할 수 있다(S200). 직물 제조 방법은 원단의 일면에 제1 커버층(21)을 적층한 후, 원단의 타면에 제2 커버층(22)을 적층할 수 있다. 직물 제조 방법은 원단의 일면에 제2 커버층(22)을 적층한 후, 원단의 타면에 제1 커버층(21)을 적층할 수 있다.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100)는 상기 커버층(20)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커버층(20)은 상기 돌출부(100)를 덮을 수 있다.
직물 제조 방법은 상기 커버층(20)에 라미네이트층(30)을 적층할 수 있다(S300). 직물 제조 방법은 제1 커버층(21)의 일면에 제1 라미네이트층(31)을 적층한 후, 제2 커버층(22)의 일면에 제2 라미네이트층(32)을 적층할 수 있다. 직물 제조 방법은 제2 커버층(22)의 일면에 제2 라미네이트층(32)을 적층한 후, 제1 커버층(21)의 일면에 제1 라미네이트층(31)을 적층할 수 있다.
도 9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직물 제조 장치는 상기 원단이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 중 방적사 구조인 경우, 상기 원단에 돌출부(100)를 형성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단에 돌출부(100)를 형성하는 단계(S110)는 경사와 위사를 직조하여 형성된 원단을 배열하는 단계(S100)와 상기 원단에 커버층을 적층하는 단계(S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직물 제조 방법은 상기 원단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S110)에서 원단을 두드리거나 거친 표면을 가진 기계로 긁을 수 있다. 상기 직물 제조 방법은 상기 원단에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직물 제조 방법은 상기 원단에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단과 상기 커버층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직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원단과 상기 커버층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원단과 상기 커버층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직물 제조 방법은 상기 원단과 상기 커버층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외력에 의한 상기 커버층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원단층
20: 커버층
30: 라미네이트층
100: 돌출부

Claims (17)

  1. 고성능 섬유 소재로 구성되고 경사와 위사를 직조하여 형성된 원단층;
    상기 원단층에 적층되는 커버층; 및
    상기 커버층에 적층되는 라미네이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층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직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제1 커버층 및 제2 커버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커버층은 상기 원단층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제2 커버층은 상기 원단층의 타면에 적층되는 직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층은 제1 라미네이트층 및 제2 라미네이트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라미네이트층은 상기 제1 커버층에 적층되고, 상기 제2 라미네이트층은 상기 제2 커버층에 적층되는 직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층은 제1 영역 및 상기 돌출부가 존재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커버층 사이의 접촉 면적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커버층 사이의 접촉 면적 보다 큰 직물.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층과 상기 커버층 간의 결합력은 상기 제1 영역에서 보다 상기 제2 영역에서 더 큰 직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와 이격된 제2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라미네이트층과 이격되는 직물.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원단층 상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원단층 상면과 상기 원단층과 이격된 상기 라미네이트층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직물.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단부와 접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영역의 방향은 상기 경사 또는 상기 위사의 진행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인 직물.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경사가 연결되는 제1 연결 영역은 상기 경사의 진행 방향과 대응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위사가 연결되는 제2 연결 영역은 상기 위사의 진행 방향과 대응되는 직물.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층이 둘러싸고 있는 복합 영역을 포함하는 직물.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영역의 두께는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가 배치된 영역에서보다 상기 경사 또는 상기 위사만 배치되는 영역에서 더 큰 직물.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층은 파라계 아라미드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직물.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층이 상기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로 구성된 경우, TiO2의 가공 처리를 하는 직물.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PU, TPU 또는 Epoxy로 구성되는 직물.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층은 PE 또는 EVA로 구성되는 직물.
  16. 고성능 섬유 소재로 구성되고 경사와 위사를 직조하여 형성된 원단을 배열하는 단계;
    상기 원단에 커버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층에 라미네이트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층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경사 및 상기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직물 제조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이 파라계 아라미드 방적사 구조인 경우, 상기 원단에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직물 제조 방법.
KR1020180146189A 2018-11-23 2018-11-23 직물 KR20200061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189A KR20200061439A (ko) 2018-11-23 2018-11-23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189A KR20200061439A (ko) 2018-11-23 2018-11-23 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439A true KR20200061439A (ko) 2020-06-03

Family

ID=71087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189A KR20200061439A (ko) 2018-11-23 2018-11-23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14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470B1 (ko) * 2021-02-23 2021-08-11 고연옥 Tpu 필름 내장형 친환경 기능성 섬유 원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470B1 (ko) * 2021-02-23 2021-08-11 고연옥 Tpu 필름 내장형 친환경 기능성 섬유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7532B2 (en) Quasi-unidirectional fabrics for structural applications, and structural members having same
RU2401891C1 (ru) Трехмерная композитная ткань
US8796163B2 (en) Multi layer fabrics for structural applications having woven and unidirectional portion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UA54624C2 (uk) Стійкий до проникнення матеріал, який містить тканину з високим відношенням лінійних щільностей двох систем ниток
RU2447217C2 (ru) Тканая лента для циркуляции в машине
US5668344A (en) Ballistic panel
ES2356805T3 (es) Material textil de refuerzo infundible libre de rizado y método para su fabricación.
KR102142486B1 (ko) 채널들을 갖는 3d 제직 예비성형체
JP2022182789A (ja) 繊維構造体、及び繊維強化複合材
EP2086753A1 (en) Process for producing fabrics comprising unidirectionally arranged polymeric tapes
KR20200061439A (ko) 직물
US20170282824A1 (en) Energy-absorbing member
CN105992791B (zh) 纤维强化复合材料
US2948950A (en) Reinforced translucent panel
CA2994654C (en) Fiber structure and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KR900000523A (ko) 다수의 날실층과 씨실층을 갖는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6091B1 (ko) 라미네이팅된 파라-아라미드 직물을 포함하는 방탄 및 방검용 소재
JP5644755B2 (ja) 織物基材及び繊維強化複合材料
KR20160122499A (ko) 복합재료 성형용 적층재
RU2019139875A (ru) Армированное волокном 3D ткацкое переплетение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WO2013035518A1 (ja) 織物基材及び繊維強化複合材料
US10239282B1 (en) Vibration-damping laminate stack
KR102362201B1 (ko) 표면이 균일한 섬유보강 복합재료
JPH05178434A (ja) 縦裂き防止用コンベヤベルト
JP2013100619A (ja) 多層中空繊維材料、多層中空繊維複合材料、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