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256A -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 - Google Patents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256A
KR20200061256A KR1020180146808A KR20180146808A KR20200061256A KR 20200061256 A KR20200061256 A KR 20200061256A KR 1020180146808 A KR1020180146808 A KR 1020180146808A KR 20180146808 A KR20180146808 A KR 20180146808A KR 20200061256 A KR20200061256 A KR 20200061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irrigation
chain
cro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우
Original Assignee
김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우 filed Critical 김근우
Priority to KR102018014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1256A/ko
Publication of KR20200061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2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travelling on a belt or the like, or conveyed by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 Y02A40/23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은 체인과 동일하게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순환형 관수호스에 직교되게 연결되는 간선 관수호스로부터 체인과 일체로 회전하는 작물재배단의 작물배지 단위체로 물이 공급되고, 설정지점에 고정된 상태에서 순환형 관수호스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 전달호스가 감기고 풀리는 호스거치 풀리에 태엽스프링이 연결되어 관수 전달호스에 설정크기 범위의 장력이 유지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호스의 꼬임없이 원활하고 안정된 관수가 가능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Irrigation circulation system of cultivating equipment of cone type crop}
본 발명은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체인과 동일하게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순환형 관수호스에 직교되게 연결되는 간선 관수호스로부터 체인과 일체로 회전하는 작물재배단의 작물배지 단위체로 물이 공급되고, 설정지점에 고정된 상태에서 순환형 관수호스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 전달호스가 감기고 풀리는 호스거치 풀리에 태엽스프링이 연결되어 관수 전달호스에 설정크기 범위의 장력이 유지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호스의 꼬임없이 원활하고 안정된 관수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날이 갈수록 첨단시설화 되어가는 농업환경에서는 과거와 같이 노동력을 자산으로 삼아 영농을 영위하는 시대가 아닌 기술로서 인간을 풍요롭게 하는 시대이며, 이는 인간의 삶의 질과 맞물린 미래농업의 트렌드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종래의 관수 기술은 작물에 따라 일반관수와 점적 관수로 나누는데 이는 재배 작물이 어떤 작물이냐에 따라 노즐이 달라지는 관수방법이 달라질 뿐 관수기술은 동일하다. 특히 온도, 습도 등에 민감한 버섯 작물의 경우 버섯 작물에 필요한 관수를 위하여 재배실의 천장에 스프링 쿨러 또는 포그 노즐 등을 설치하거나 재배상의 상측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특허문헌 1과 같이 버섯을 재배하기 위한 장치를 발명하여 선출원하였는 바, 본 발명자에 의해 선출원된 버섯 또는 작물재배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프레임(20)을 갖고, 프레임(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부(30)를 가지며, 양끝단이 컨베이어부(30)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재배상(100a)이 안치되며, 컨베이어부(3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개의 재배부(4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특허문헌 2의 작물재배장치는 상술한 특허문헌 1의 버섯 재배장치를 개량하여 동일 면적에서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배상(100a)이 안치되는 연결수단(70)를 더 포함하여 작물재배의 생산을 늘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버섯 또는 작물 재배장치는 소규모의 농가, 가정 또는 식당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므로 버섯 또는 작물 재배실의 천정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소규모의 농가, 가정 또는 식당에 설치된 컨베이어식 버섯 또는 작물재배장치의 재배상에 물을 공급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각각의 재배상의 습도를 측정하여 작물이 생장환경을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재배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발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국내출원특허공보 제10-2017-0108819호(2017년 08월 28일 출원) 간이형 체인 컨베이어식 무인자동 버섯재배장치 국내출원특허공보 제10-2018-0094904호(2018년 08월 14일 출원) 생산량 증대를 위한 체인 컨베이어식 무인자동 작물재배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체인과 동일하게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순환형 관수호스에 직교되게 연결되는 간선 관수호스로부터 체인과 일체로 회전하는 작물재배단의 작물배지 단위체로 물이 공급되고, 설정지점에 고정된 상태에서 순환형 관수호스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 전달호스가 감기고 풀리는 호스거치 풀리에 태엽스프링이 연결되어 관수 전달호스에 설정크기 범위의 장력이 유지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호스의 꼬임없이 원활하고 안정된 관수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지대(10); 지지대(10)의 상하단에 이격배치되는 체인 스프로킷(20); 체인 스프로킷(20)에 감겨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체인(30); 체인(30)에 고정되어 체인(30)과 일체로 회전하는 복수의 작물재배단(40); 각 작물재배단(40)에 하나 이상 배치되고, 작물 개체가 생장하는 작물배지 단위체(50);를 포함하는 구성의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1)의 작물배지 단위체(50)에 물을 공급하고 배출시키는 관수 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설정 지점에 각각 배치되는 관수펌프(60a)와 배수펌프(60b); 지지대(10) 상단에 고정되고, 지지대(10)와 체인 스프로킷(20)을 관통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는 메인 연결관(70); 일단부가 관수펌프(60a)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메인 연결관(70)의 내부로 삽입되는 관수 공급호스(80a); 일단부가 배수펌프(60b)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메인 연결관(70)의 내부로 삽입되는 관수 배출호스(80b); 상단 체인 스프로킷(20)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메인 연결관(70)이 연결고정되는 호스거치 풀리(90); 체인(30) 외측에 배치되어 체인(30)과 일체로 회전하는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 메인 연결관(70)에 삽입된 관수 공급호스(80a)와 연결되어 호스거치 풀리(90) 외주면에 배치되고,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연결되어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일체로 이동하는 관수 전달호스(110a); 메인 연결관(70)에 삽입된 관수 배출호스(80b)와 연결되어 호스거치 풀리(90) 외주면에 배치되고, 순환형 배수호스(100b)와 연결되어 순환형 배수호스(100b)와 일체로 이동하는 배수 전달호스(110b); 순환형 관수호스(100a)에 설정간격으로 연결되어 물을 전달받게 되고, 작물배지 단위체(50)에 연결되어 작물배지 단위체(50)로 물을 공급하게 되는 간선 관수호스(130a); 작물배지 단위체(50)에 연결되어 작물배지 단위체(50) 하부에 집수된 배수를 전달받게 되고, 순환형 배수호스(100b)에 설정간격으로 연결되어 물을 전달하게 되는 간선 배수호스(13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은 수위측정 표본으로 선정되는 작물배지 단위체(50)에 설치되어, 해당 작물배지 단위체(50)의 현재 수위값을 측정하는 수위센서(140); 습도측정 표본으로 선정되는 작물배지 단위체(50)에 설치되어, 해당 작물배지 단위체(50)의 현재 습도값을 측정하는 습도센서(150); 상기 수위센서(140)와 습도센서(150)로부터 표본 작물배지 단위체(50)의 현재 수위값과 현재 습도값을 입력받고, 기준 최저수위값과 기준 최저습도값 및 기준 적정수위값과 기준 적정습도값이 설정되며, 표본 작물배지 단위체(50)의 현재 수위값과 현재 습도값이 기준 최저수위값과 기준 최저습도값 미만일 경우 관수펌프(60a)를 작동시키고, 표본 작물배지 단위체(50)의 현재 수위값과 현재 습도값이 기준 적정수위값과 기준 적정습도값에 도달할 경우 관수펌프(60a)를 정지시키는 컨트롤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에서 호스거치 풀리(90)는, 관통홀이 중심에 형성되어 메인 연결관(70)이 관통하게 되고, 메인 연결관(70)의 관수 공급호스(80a)와 연결되는 관수 전달호스(110a)가 배치되는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관수 전달호스(110a)가 빠져나가는 호스토출구(922)가 내부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원주면체(921)에 관통형성되며, 호스토출구(922)를 빠져나온 관수 전달호스(110a)가 원주면체(921)의 외면에 감겨지는 제1풀리유닛(91); 제1풀리유닛(91)와 일체로 결합되며, 관통홀이 중심에 형성되어 메인 연결관(70)이 관통하게 되고, 메인 연결관(70)의 관수 배출호스(80b)와 연결되는 배수 전달호스(110b)가 배치되는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배수 전달호스(110b)가 빠져나가는 호스토출구(922)가 내부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원주면체(921)에 관통형성되며, 호스토출구(922)를 빠져나온 배수 전달호스(110b)가 원주면체(921)의 외면에 감겨지는 제2풀리유닛(92); 제2풀리유닛(92)의 외측 원판체(924)에 고정되어 제2풀리유닛(92)과 일체로 회전하는 L형 고정대(931)와, L형 고정대(931)의 끝단부에 고정되며 제1풀리유닛(91)과 제2풀리유닛(92)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관수 전달호스(110a)와 배수 전달호스(110b)가 통과하게 되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안내편(932)으로 이루어지는 전달호스 안내구(93); 제1풀리유닛(91)과 일체로 결합되는 원형 플랜지(9411)를 갖는 하우징(941), 메인 연결관(7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하우징(941)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태엽 스프링(94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태엽스프링 유닛(9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의 회전에 따라 제1풀리유닛(91)과 제2풀리유닛(92)에 감겨지고 풀려지는 관수 전달호스(110a)와 배수 전달호스(110b)의 장력이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은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체인(30) 외측에 배치되는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을 감싸면서 체인(30)의 외판 링크플레이트(31)에 끼움고정되는 호스고정브래킷(120);을 포함하여, 복수의 호스고정브래킷(120)에 의해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가 체인(30) 외측에 고정되면서 체인(30)과 일체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에서 관수 전달호스(110a)와 배수 전달호스(110b)는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의 설정지점에 형성되는 전달호스 연결용 T형 니플(94)에 연결되고, 간선 관수호스(130a)와 간선 배수호스(130b)는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에 설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간선호스 연결용 T형 니플(18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에 의하면, 체인과 동일하게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순환형 관수호스에 직교되게 연결되는 간선 관수호스로부터 체인과 일체로 회전하는 작물재배단의 작물배지 단위체로 물이 공급되고, 설정지점에 고정된 상태에서 순환형 관수호스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 전달호스가 감기고 풀리는 호스거치 풀리에 태엽스프링이 연결되어 관수 전달호스에 설정크기 범위의 장력이 유지되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호스의 꼬임없이 원활하고 안정된 관수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자가 선출원한 컨베이어형 버섯 또는 작물 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을 보여주기 위한 그래픽 이미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연결관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거치 풀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거치 풀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관수펌프, 관수 순환시스템, 호스, 체인, 체인 스프로킷, 태엽스프링, 수위센서, 습도센서, 니플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은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지대(10), 지지대(10)의 상하단에 이격배치되는 체인 스프로킷(20), 체인 스프로킷(20)에 감겨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체인(30), 체인(30)에 고정되어 체인(30)과 일체로 회전하는 복수의 작물재배단(40), 각 작물재배단(40)에 하나 이상 배치되고 작물 개체가 생장하는 작물배지 단위체(50)를 포함하는 구성의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1)의 작물배지 단위체(50)에 물을 공급하는 관수 순환시스템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은 관수펌프(60a), 배수펌프(60b), 메인 연결관(70), 관수 공급호스(80a), 관수 배출호스(80b), 호스거치 풀리(90), 순환형 관수호스(100a), 순환형 배수호스(100b), 관수 전달호스(110a), 배수 전달호스(110b), 호스고정브래킷(120), 간선 관수호스(130a), 수위센서(140), 습도센서(150), 컨트롤러(1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관수펌프(60a)와 배수펌프(60b)는 설정 지점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관수펌프(60a)는 물을 펌핑하여 관수 공급호스(80a)로 전달한다. 배수펌프(60b)는 관수 배출호스(80b)의 끝단에 연결되는데, 물을 외부로 펌핑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메인 연결관(70)은 지지대(10) 상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지지대(10)와 체인 스프로킷(20)을 관통하여 수평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메인 연결관(70) 내측으로 관수 공급호스(80a)와 관수 배출호스(80b)가 삽입배치된다.
관수 공급호스(80a)는 일단부가 관수펌프(60a)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메인 연결관(7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다. 관수 배출호스(80b)는 일단부가 배수펌프(60b)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메인 연결관(7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다.
호스거치 풀리(90)는 상단 체인 스프로킷(20)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메인 연결관(70)과 관수 전달호스(110a) 및 배수 전달호스(110b)가 배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 연결관(70)이 연결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거치 풀리(90)는 제1풀리유닛(91), 제2풀리유닛(92), 전달호스 안내구(93), 태엽스프링 유닛(9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풀리유닛(91)는 관통홀이 중심에 형성되어 메인 연결관(70)이 관통하게 되는 것으로, 메인 연결관(70)의 관수 공급호스(80a)와 연결되는 관수 전달호스(110a)가 배치되는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1풀리유닛(91)은 관수 전달호스(110a)가 빠져나가는 호스토출구(922)가 내부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원주면체(921)에 관통형성되도록 하며, 호스토출구(922)를 빠져나온 관수 전달호스(110a)가 원주면체(921)의 외면에 감겨지도록 한다. 여기서 한쌍의 가이드편(913) 사이에 호스토출구(912)가 형성되도록 하는데, 가이드편(913)은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용공간 내측으로 절곡되는 형상구조임에 따라, 관수 전달호스(110a)가 감겨지고 풀리는 과정에서 관수 전달호스(110a)의 손상이 방지된다.
제2풀리유닛(92)는 제1풀리유닛(91)와 일체로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관통홀이 중심에 형성되어 메인 연결관(70)이 관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풀리유닛(92)은 메인 연결관(70)의 관수 배출호스(80b)와 연결되는 배수 전달호스(110b)가 배치되는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2풀리유닛(92)은 배수 전달호스(110b)가 빠져나가는 호스토출구(922)가 내부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원주면체(921)에 관통형성되도록 하며, 호스토출구(922)를 빠져나온 배수 전달호스(110b)가 원주면체(921)의 외면에 감겨지도록 한다. 여기서 한쌍의 가이드편(923) 사이에 호스토출구(922)가 형성되도록 하는데, 가이드편(923)은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용공간 내측으로 절곡되는 형상구조임에 따라, 배수 전달호스(110b)가 감겨지고 풀리는 과정에서 배수 전달호스(110b)의 손상이 방지된다.
전달호스 안내구(93)는 L형 고정대(931)와 안내편(932)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관수 전달호스(110a)와 배수 전달호스(110b)는 전달호스 안내구(93)를 통과하면서 원활하고 안정되게 제1풀리유닛(91)과 제2풀리유닛(92)으로부터 풀려나오거나 제1풀리유닛(91)과 제2풀리유닛(92)에 감겨지게 된다.
L형 고정대(931)는 제2풀리유닛(92)의 외측 원판체(924)에 고정되어 제2풀리유닛(92)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으로, "L"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안내편(932)은 L형 고정대(931)의 끝단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제1풀리유닛(91)과 제2풀리유닛(92)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관수 전달호스(110a)와 배수 전달호스(110b)가 통과하게 되고 "□"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안내편(932)은 L형 고정대(931)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제1풀리유닛(91)과 제2풀리유닛(92)으로부터 풀려나오거나 제1풀리유닛(91)과 제2풀리유닛(92)에 감겨지는 과정에서 관수 전달호스(110a)와 배수 전달호스(110b)의 배치방향이 수시로 변경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태엽스프링 유닛(94)은 태엽스프링 유닛(94)은 하우징(941)과 태엽 스프링(94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941)은 제1풀리유닛(91)과 일체로 결합되는 원형 플랜지(9411)를 갖는 것으로, 설정 폭의 원형 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태엽 스프링(942)은 메인 연결관(70)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한편, 하우징(941)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하우징(941)은 제1풀리유닛(91)과 일체로 결합된 것이므로, 태엽 스프링(942)은 호스거치 풀리(90)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태엽스프링 유닛(94)은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의 회전에 따라 제1풀리유닛(91)과 제2풀리유닛(92)에 감겨지고 풀려지는 관수 전달호스(110a)와 배수 전달호스(110b)의 장력이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는 체인(30) 외측에 배치되어 체인(30)과 일체로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호스이다.
관수 전달호스(110a)는 메인 연결관(70)에 삽입된 관수 공급호스(80a)와 연결되어 호스거치 풀리(90) 외주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연결되어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배수 전달호스(110b)는 메인 연결관(70)에 삽입된 관수 배출호스(80b)와 연결되어 호스거치 풀리(90) 외주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순환형 배수호스(100b)와 연결되어 순환형 배수호스(100b)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관수 전달호스(110a)와 배수 전달호스(110b)는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의 설정지점에 형성되는 전달호스 연결용 T형 니플(94)에 연결된다.
호스고정브래킷(120)은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체인(30) 외측에 배치되는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을 감싸면서 체인(30)의 외판 링크플레이트(31)에 끼움고정된다. 복수의 호스고정브래킷(120)에 의해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가 체인(30) 외측에 고정되면서 체인(30)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간선 관수호스(130a)는 순환형 관수호스(100a)에 설정간격으로 연결되어 물을 전달받게 되는 것으로, 작물배지 단위체(50)에 연결되어 작물배지 단위체(50)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간선 배수호스(130b)는 작물배지 단위체(50)에 연결되어 작물배지 단위체(50) 하부에 집수된 배수를 전달받게 되는 것으로, 순환형 배수호스(100b)에 설정간격으로 연결되어 물을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선 관수호스(130a)와 간선 배수호스(130b)는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에 설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간선호스 연결용 T형 니플(180)에 연결된다.
수위센서(140)는 수위측정 표본으로 선정되는 작물배지 단위체(5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해당 작물배지 단위체(50)의 현재 수위값을 측정하여 컨트롤러(160)로 전달한다.
습도센서(150)는 습도측정 표본으로 선정되는 작물배지 단위체(5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해당 작물배지 단위체(50)의 현재 습도값을 측정하여 컨트롤러(160)로 전달한다.
컨트롤러(160)는 수위센서(140)와 습도센서(150)로부터 표본 작물배지 단위체(50)의 현재 수위값과 현재 습도값을 입력받게 된다. 여기서 컨트롤러(160)에는 기준 최저수위값과 기준 최저습도값 및 기준 적정수위값과 기준 적정습도값이 설정된다. 이를 기반으로 컨트롤러(160)는 표본 작물배지 단위체(50)의 현재 수위값과 현재 습도값이 기준 최저수위값과 기준 최저습도값 미만일 경우 관수펌프(60a)를 작동시키고, 표본 작물배지 단위체(50)의 현재 수위값과 현재 습도값이 기준 적정수위값과 기준 적정습도값에 도달할 경우 관수펌프(60a)를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은 체인(30)과 동일하게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순환형 관수호스(100a)에 직교되게 연결되는 간선 관수호스(130a)로부터 체인(30)과 일체로 회전하는 작물재배단(40)의 작물배지 단위체(50)로 물이 공급되고, 설정지점에 고정된 상태에서 순환형 관수호스(100a)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 전달호스(110a)가 감기고 풀리는 호스거치 풀리(90)에 태엽 스프링(942)이 연결되어 관수 전달호스(110a)에 설정크기 범위의 장력이 유지되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호스의 꼬임없이 원활하고 안정된 관수가 가능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
10 : 지지대
20 : 체인 스프로킷
30 : 체인
31 : 외판 링크플레이트
40 : 작물재배단
50 : 작물배지 단위체
60a : 관수펌프
60b : 배수펌프
70 : 메인 연결관
80a : 관수 공급호스
80b : 관수 배출호스
90 : 호스거치 풀리
91 : 제1풀리유닛
911 : 원주면체
912 : 호스토출구
913 : 가이드편
92 : 제2풀리유닛
921 : 원주면체
922 : 호스토출구
923 : 가이드편
924 : 외측 원판체
93 : 전달호스 안내구
931 : L형 고정대
932 : 안내편
94 : 태엽스프링 유닛
941 : 하우징
9411 : 원형 플랜지
942 : 태엽 스프링
100a : 순환형 관수호스
100b : 순환형 배수호스
110a : 관수 전달호스
110b : 배수 전달호스
120 : 호스고정브래킷
130a : 간선 관수호스
130b : 간선 배수호스
140 : 수위센서
150 : 습도센서
160 : 컨트롤러
170 : 전달호스 연결용 T형 니플
180 : 간선호스 연결용 T형 니플

Claims (5)

  1.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지대(10); 지지대(10)의 상하단에 이격배치되는 체인 스프로킷(20); 체인 스프로킷(20)에 감겨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체인(30); 체인(30)에 고정되어 체인(30)과 일체로 회전하는 복수의 작물재배단(40); 각 작물재배단(40)에 하나 이상 배치되고, 작물 개체가 생장하는 작물배지 단위체(50);를 포함하는 구성의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1)의 작물배지 단위체(50)에 물을 공급하고 배출시키는 관수 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설정 지점에 각각 배치되는 관수펌프(60a)와 배수펌프(60b);
    지지대(10) 상단에 고정되고, 지지대(10)와 체인 스프로킷(20)을 관통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는 메인 연결관(70);
    일단부가 관수펌프(60a)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메인 연결관(70)의 내부로 삽입되는 관수 공급호스(80a);
    일단부가 배수펌프(60b)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메인 연결관(70)의 내부로 삽입되는 관수 배출호스(80b);
    상단 체인 스프로킷(20)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메인 연결관(70)이 연결고정되는 호스거치 풀리(90);
    체인(30) 외측에 배치되어 체인(30)과 일체로 회전하는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
    메인 연결관(70)에 삽입된 관수 공급호스(80a)와 연결되어 호스거치 풀리(90) 외주면에 배치되고,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연결되어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일체로 이동하는 관수 전달호스(110a);
    메인 연결관(70)에 삽입된 관수 배출호스(80b)와 연결되어 호스거치 풀리(90) 외주면에 배치되고, 순환형 배수호스(100b)와 연결되어 순환형 배수호스(100b)와 일체로 이동하는 배수 전달호스(110b);
    순환형 관수호스(100a)에 설정간격으로 연결되어 물을 전달받게 되고, 작물배지 단위체(50)에 연결되어 작물배지 단위체(50)로 물을 공급하게 되는 간선 관수호스(130a);
    작물배지 단위체(50)에 연결되어 작물배지 단위체(50) 하부에 집수된 배수를 전달받게 되고, 순환형 배수호스(100b)에 설정간격으로 연결되어 물을 전달하게 되는 간선 배수호스(13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수위측정 표본으로 선정되는 작물배지 단위체(50)에 설치되어, 해당 작물배지 단위체(50)의 현재 수위값을 측정하는 수위센서(140);
    습도측정 표본으로 선정되는 작물배지 단위체(50)에 설치되어, 해당 작물배지 단위체(50)의 현재 습도값을 측정하는 습도센서(150);
    상기 수위센서(140)와 습도센서(150)로부터 표본 작물배지 단위체(50)의 현재 수위값과 현재 습도값을 입력받고, 기준 최저수위값과 기준 최저습도값 및 기준 적정수위값과 기준 적정습도값이 설정되며, 표본 작물배지 단위체(50)의 현재 수위값과 현재 습도값이 기준 최저수위값과 기준 최저습도값 미만일 경우 관수펌프(60a)를 작동시키고, 표본 작물배지 단위체(50)의 현재 수위값과 현재 습도값이 기준 적정수위값과 기준 적정습도값에 도달할 경우 관수펌프(60a)를 정지시키는 컨트롤러(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호스거치 풀리(90)는,
    관통홀이 중심에 형성되어 메인 연결관(70)이 관통하게 되고, 메인 연결관(70)의 관수 공급호스(80a)와 연결되는 관수 전달호스(110a)가 배치되는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관수 전달호스(110a)가 빠져나가는 호스토출구(922)가 내부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원주면체(921)에 관통형성되며, 호스토출구(922)를 빠져나온 관수 전달호스(110a)가 원주면체(921)의 외면에 감겨지는 제1풀리유닛(91);
    제1풀리유닛(91)와 일체로 결합되며, 관통홀이 중심에 형성되어 메인 연결관(70)이 관통하게 되고, 메인 연결관(70)의 관수 배출호스(80b)와 연결되는 배수 전달호스(110b)가 배치되는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배수 전달호스(110b)가 빠져나가는 호스토출구(922)가 내부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원주면체(921)에 관통형성되며, 호스토출구(922)를 빠져나온 배수 전달호스(110b)가 원주면체(921)의 외면에 감겨지는 제2풀리유닛(92);
    제2풀리유닛(92)의 외측 원판체(924)에 고정되어 제2풀리유닛(92)과 일체로 회전하는 L형 고정대(931)와, L형 고정대(931)의 끝단부에 고정되며 제1풀리유닛(91)과 제2풀리유닛(92)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관수 전달호스(110a)와 배수 전달호스(110b)가 통과하게 되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안내편(932)으로 이루어지는 전달호스 안내구(93);
    제1풀리유닛(91)과 일체로 결합되는 원형 플랜지(9411)를 갖는 하우징(941), 메인 연결관(7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하우징(941)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태엽 스프링(94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태엽스프링 유닛(9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의 회전에 따라 제1풀리유닛(91)과 제2풀리유닛(92)에 감겨지고 풀려지는 관수 전달호스(110a)와 배수 전달호스(110b)의 장력이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체인(30) 외측에 배치되는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을 감싸면서 체인(30)의 외판 링크플레이트(31)에 끼움고정되는 호스고정브래킷(120);을 포함하여,
    복수의 호스고정브래킷(120)에 의해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가 체인(30) 외측에 고정되면서 체인(30)과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관수 전달호스(110a)와 배수 전달호스(110b)는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의 설정지점에 형성되는 전달호스 연결용 T형 니플(94)에 연결되고,
    간선 관수호스(130a)와 간선 배수호스(130b)는 순환형 관수호스(100a)와 순환형 배수호스(100b)에 설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간선호스 연결용 T형 니플(18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
KR1020180146808A 2018-11-23 2018-11-23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 KR20200061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808A KR20200061256A (ko) 2018-11-23 2018-11-23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808A KR20200061256A (ko) 2018-11-23 2018-11-23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256A true KR20200061256A (ko) 2020-06-02

Family

ID=71090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808A KR20200061256A (ko) 2018-11-23 2018-11-23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12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1102469U1 (de) 2021-05-06 2021-06-23 A. Schieck GmbH Vorrichtung zum Anbau von landwirtschaftlichen Erzeugnissen und Zierpflanzen
KR20220081472A (ko) 2020-12-09 2022-06-16 박경수 관수 및 난방이 가능한 작물재배용 파레트
DE102021111899A1 (de) 2021-05-06 2022-11-10 A. Schieck GmbH Vorrichtung zum Anbau von landwirtschaftlichen Erzeugnissen und Zierpflanz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819A (ko) 2016-03-17 2017-09-27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성막 장치 및 성막 방법
KR20180094904A (ko) 2015-12-18 2018-08-2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시간 오프셋 추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904A (ko) 2015-12-18 2018-08-2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시간 오프셋 추정
KR20170108819A (ko) 2016-03-17 2017-09-27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성막 장치 및 성막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472A (ko) 2020-12-09 2022-06-16 박경수 관수 및 난방이 가능한 작물재배용 파레트
DE202021102469U1 (de) 2021-05-06 2021-06-23 A. Schieck GmbH Vorrichtung zum Anbau von landwirtschaftlichen Erzeugnissen und Zierpflanzen
DE102021111899A1 (de) 2021-05-06 2022-11-10 A. Schieck GmbH Vorrichtung zum Anbau von landwirtschaftlichen Erzeugnissen und Zierpflanz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699B1 (ko)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시스템
KR20200061256A (ko) 체인 컨베이어식 작물재배장치의 관수 순환시스템
US20150000190A1 (en) Automated Plant Growing System
US10440896B2 (en) System for automated monitoring and maintenance of crops including intermediary sensing unit
US20130145690A1 (en) Horticultural apparatus and method
KR102211232B1 (ko) 직렬연결구조의 스마트팜 수경 재배 시스템
US10104844B2 (en) Indoor irrigation system
KR101481429B1 (ko) 작물재배순환장치
KR20200017376A (ko) 재배 포드에서 물 투여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90113495A1 (en)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lant Growth
US20230105146A1 (en) Technologies for aeroponics
US20150296725A1 (en) Aeroponic and Drip Gardener System
KR20200030535A (ko) 어셈블리 라인 그로우 포드 내의 연동 펌프 및 연동 펌프에 의하여 유체를 제공하는 방법
KR19990015626A (ko)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및 살수장치
Rico Automated pH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for hydroponics under greenhouse condition
US20100301137A1 (en) Conduit reel for dripper irrigation line
KR102219858B1 (ko) 컨베이어형 작물 재배장치의 자율 회전형 관수시스템
RU2666780C1 (ru) Многоуровневая система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естественного света и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света
US9066475B1 (en) Alignment apparatus for an articulating irrigation system
WO2015013670A1 (en) Automated plant growing system
KR102394039B1 (ko) 작물 재배 장치
RU2004143C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выращивани растений
US12082540B2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128430B1 (ko) 농약 살포장치
KR20240047193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정용 식물재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