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015A - Pome에 포함된 pao를 분리 및 회수하는 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Pome에 포함된 pao를 분리 및 회수하는 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015A
KR20200061015A KR1020180146325A KR20180146325A KR20200061015A KR 20200061015 A KR20200061015 A KR 20200061015A KR 1020180146325 A KR1020180146325 A KR 1020180146325A KR 20180146325 A KR20180146325 A KR 20180146325A KR 20200061015 A KR20200061015 A KR 20200061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unit
pome
separation
heat transfer
pa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531B1 (ko
Inventor
신명철
이진기
임대원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46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531B1/ko
Priority to PCT/KR2019/015230 priority patent/WO2020105924A1/ko
Publication of KR20200061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7/00Separation of mixtures of fats or fatty oils into their constituents, e.g. saturated oils from unsaturated oils
    • C11B7/0075Separation of mixtures of fats or fatty oils into their constituents, e.g. saturated oils from unsaturated oils by differences of melting or solidifying p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7/00Separation of mixtures of fats or fatty oils into their constituents, e.g. saturated oils from unsaturated 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및 회수 장치는 수평형 다관 구조를 가진 유하 박막 증발식 장치로서, 수직형에 비해 매우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독특한 다관 구조로 인해 젖음률이 향상되어 열전달 성능이 극대화되며, 공정 온도 제어를 통해 팜 부산물 오일(PAO)과 같은 높은 유동점을 가진 오일의 분리 및 회수가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POME에 포함된 PAO를 분리 및 회수하는 장치와, 그 방법{Apparatus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PAO included in POME and,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POME에 포함된 물을 증발시켜 제거하고 PAO를 회수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평형 다관 구조를 가진 유하 박막 증발식 장치로서, 수직형에 비해 매우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독특한 다관 구조로 인해 젖음률(wettability)이 향상되어 열전달 성능이 극대화되며, 공정 온도 제어를 통해 팜 부산물 오일(PAO)과 같은 높은 유동점을 가진 오일의 분리 및 회수가 가능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장치를 이용한 PAO 회수 방법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POME(palm oil mill effluent)는 CPO(crude palm oil)의 생산과정에서 부산물로서 만들어진다. POME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WO 2010/101454 A2 등에 설명되어 있다.
POME는 95% ~ 97%의 물과, 3% ~ 5%의 오일(PAO, palm acid oil)을 포함한다. POME와 같은 고 수분 액상부산물에서 PAO와 같은 오일을 분리 및 회수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물을 증발시켜 제거하는 유하 박막 증발식 방법과, 물리적 처리방법인 원심분리 방법과, 화학적 처리 방법 등이 있다.
원심 분리 방법은 유동점이 높은 오일인 경우 상온에서 굳는 성질 때문에 불리하고 유하 박막 증발식 방법 보다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화학적 처리방법은 공정 설비가 매우 복잡하고 고가(高價)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유하 박막 증발식 방법은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폐열 등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도 1은 기존의 유하 박막 증발식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 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73540호에 개시된 것이다.
상기 장치(1)는 파이프(2)가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형 증발식 장치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스팀이 파이프(2)를 통해 위로 이동하는 동안에 POME를 가열하여 물을 증발시켜 배기구(3)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PAO는 배유구(4)를 통해 배출한다.
그러나, 상기 장치(1)는 POME를 고온으로 가열하기 위해 파이프(2)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므로 장치가 너무 커진다는 문제점과, POME를 고온으로 가열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구조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POME에 포함된 물을 증발시켜 제거하고 PAO를 회수하는, 수평형 다관 구조를 가진 유하 박막 증발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형에 비해 매우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독특한 다관 구조로 인해 젖음률(wettability, 적심성)이 향상되어 열전달 성능이 극대화되며, 공정 온도 제어를 통해 팜 부산물 오일(PAO)과 같은 높은 유동점을 가진 오일의 분리 및 회수가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장치를 이용한 PAO 회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및 회수 장치(100)(200)는, 밀폐된 내부 공간(S)을 갖는 프레임(10); 기화점이 서로 다른 두 액체(제1,2 액체)가 혼합되어 저장된 상부 저수조(30); 및, 상기 내부 공간(S)에 수평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가열 유닛(50);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가열 유닛(50)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층과 열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가열 유닛(50)의 내부에는 가열용 유체가 이동하면서 가열 유닛(50)을 가열한다.
상부 저수조(30)로부터 아래로 배출된 제1,2 액체는 가열 유닛(50)으로 떨어지되, 상기 복수 개의 층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동안에 가열되어 제1,2 액체 중 기화점이 낮은 액체는 기화되어 제거되고 기화점이 높은 액체는 액체 상태로 아래로 이동하여 회수된다.
제1,2 액체는 POME(palm oil mill effluent)에 포함된 물과 PAO(palm acid oil)일 수 있다. POME는 CPO(crude palm oil)의 생산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된 것이다. 가열 유닛(50)에 의해서 물은 기화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PAO는 아래로 이동하여 회수된다.
바람직하게, 가열 유닛(50)은 그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든다. 그리고, 제1,2 액체의 젖음률(wettability)이 향상되도록 가열유닛(50)의 표면에는 홈(5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유닛(50)은 복수 개의 전열관(52)이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전열관(52)의 내부에는 가열용 유체가 이동된다. 상기 홈(54)은 원형 단면을 갖는 전열관(52)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오목한 부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가열 유닛(50)은 3개의 전열관(52)이 역삼각형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윗층의 제1,2 액체는 아래층 가열 유닛(50)의 홈(54)에 떨어지고, 이어서 전열관(52)의 표면을 타고 측방향으로 이동한 후 아래로 이동한다.
전열관(52)은 열전달율이 높은 금속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관 또는 동관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층의 전열관(52)은 연결관(6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가열용 유체는 최상층의 전열관(52)에 유입되어 순차적으로 아래 층의 전열관(52)으로 이동된 후 최하층의 전열관(52)으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내부 공간(S)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물 증발 촉진을 위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배기구(12)에 블로우워(blower, 16)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분리 및 회수 방법은, CPO의 생산과정에서 부산물로서 발생되는 POME에 포함된 물을 제거하고 PAO를 회수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 및 회수 방법은, (a) 상부 저수조(30)에 수용된 POME를 아래로 배출하는 단계; 및, (b) 상부 저수조(30)로부터 배출된 POME가 가열 유닛(50)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가열된 후, 아래 층의 가열 유닛(50)으로 떨어지고, 이어서, 상기 아래 층의 가열 유닛(50)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가열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열 유닛(50)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가열용 유체가 이동된다. 가열 유닛(50)의 표면은 100℃ ~ 200℃로 유지될 수 있다.
POME가 상기 복수 개의 층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동안에 가열되어 POME에 포함된 물이 기화되어 제거되고 PAO는 액체 상태로 아래로 이동하여 회수된다.
본 발명은 POME에 포함된 물을 증발시켜 제거하고 PAO를 회수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수평형 다관 구조를 가진 유하 박막 증발식 장치로서, 수직형에 비해 매우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둘째, 독특한 다관 구조로 인해 젖음률이 향상되어 열전달 성능이 극대화된다.
셋째, 공정 온도 제어를 통해 팜 부산물 오일(PAO)과 같은 높은 유동점을 가진 오일의 분리 및 회수가 가능하다.
넷째, 처리해야 할 용량과 POME의 온도 등에 따라 가열유닛(50)의 층과 열을 증감하여 대응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직형 유하 박막 증발식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AO 분리 및 회수 장치와, 이 장치에 연결된 가열용 유체 공급원과 POME 공급원 및 하부 저수조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3은 PAO 분리 및 회수 장치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4는 PAO 분리 및 회수 장치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분리 및 회수 장치에 구비된 가열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상부 저수조에서 떨어진 POME(물과 PAO의 혼합물)가 가열 유닛에 의해 가열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8은 도 6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AO 분리 및 회수 장치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0은 열매체유의 입구 온도와 회수된 PAO의 함수율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POME에 포함된 물과 PAO의 기화점 차이를 이용하여 물과 PAO를 분리하는데,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물과 PAO' 뿐만 아니라 '기화점 차이가 있는 두 액체 성분이 혼합된 혼합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POME 뿐만 아니라 '기화점 차이가 있는 두 액체 성분이 혼합된 혼합물'도 그 권리범위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POME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AO 분리 및 회수 장치와, 이 장치에 연결된 가열용 유체 공급원과 POME 공급원 및 하부 저수조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3은 상기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PAO 분리 및 회수 장치(100)는 프레임(10)과, 상부 저수조(30) 및, 상부 저수조(30)의 아래에 설치된 복수 개의 가열 유닛(50)을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밀폐된 내부 공간(S)을 갖는다. 상기 내부 공간(S)에는 상부 저수조(30)와 가열 유닛(50)이 설치된다.
그리고, 프레임(10)에는 배기구(12)와 배유구(14)가 형성된다.
배기구(12)는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다. 물이 증발되어 만들어진 수증기(스팀)가 배기구(12)를 통해서 배출된다. 배기구(12)에는 블로워(blower, 1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내부공간(S)의 압력을 대기압 보다 낮게 유지하여 물의 기화를 촉진하기 위함이다.
배유구(14)는 프레임(10)의 하단에 설치된다. 액체 상태의 PAO가 배유구(14)를 통해서 하부 저수조(76)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프레임(10)의 하단은 배유구(14)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저수조(30)는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부 저수조(30)는 POME 공급원(74)으로부터 POME를 공급받아 그 내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부 저수조(30)의 아랫면에는 관통공(도 6, 8의 32)이 형성되는데, 관통공(32)을 통해 POME가 아래로 배출되어 가열 유닛(50)으로 떨어진다. 적정한 POME 수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수위 센서(도면에 미도시)가 상부 저수조(30)에 설치될 수도 있다.
가열 유닛(50)은 상부 저수조(30)의 아래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수평'은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수평 뿐만 아니라 '약간 경사지도록 설치되었지만 실질적으로 수평인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가열 유닛(50)의 내부에는 가열용 유체가 이동된다. 가열용 유체는 가열용 유체 공급원(72), 예를 들어 보일러로부터 공급된 후, 가열 유닛(50)의 내부를 따라 흐르면서 가열 유닛(50)을 가열한다. 가열용 유체에 의해서 가열 유닛(50)의 표면은 100℃ ~ 200℃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온도범위에서 대략 대기압 상태일 때 물은 증발되고 PAO는 액체 상태를 유지하므로 물과 PAO가 분리될 수 있다.
가열 유닛(50)은 복수 개의 층과 열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3 ~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열 유닛(50)은 6개 층과 2열을 이룰 수도 있고,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개 층과 8열을 이룰 수도 있다. 이러한 층과 열의 수는 처리해야 할 POME의 양과 공급되는 POME의 온도 등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해야 할 POME의 양이 많으면 열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공급되는 POME의 온도가 낮으면 층의 수를 증가시키고 공급되는 POME의 온도의 높으면 층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는 여건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고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하층을 이루는 가열 유닛(50)은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구성은 가열 유닛(50)의 단면적이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감소하는 구성과 협력하여 위쪽 가열 유닛(50)의 POME가 아래쪽 가열 유닛(50)의 중앙에 떨어지도록 한다.
가열 유닛(50)은 복수 개의 전열관(52)이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열관(52)은 그 내부를 통해 가열용 유체가 이동(통과)할 수 있는 금속관으로서, 전열관(52)으로는 스테인리스 스틸관, 동관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관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전열관(52)의 외부 직경은 10mm ~ 30mm가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가열 유닛(50)은 원형 단면을 갖는 전열관(52)이 역삼각형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개의 전열관(52)이 역삼각형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가열 유닛(50)을 이룬다.
3개의 전열관(52)이 역삼각형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가열 유닛(50)을 이루면, 도 6 ~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쪽에서 떨어진 POME가 전열관(52)의 표면을 타고 이동하는 동안에 가열된 후, 아래쪽 가열 유닛(50)의 중앙에 떨어지게 된다.
아울러, 두 개의 전열관(52)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홈(54)이 형성된다. 홈(54)은 전열관(52)의 단면이 원을 이루기 때문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홈(54)은 POME의 체류시간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열 유닛(50)이 역삼각형 단면을 가질 경우, 단일관에 비해 각 단(각 층)을 통과하는 체류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POME의 유속이 감소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역삼각형 단면을 가진 전열관의 경우 단일관 배열에 비해 compact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처럼 POME가 가열 유닛(50)의 측면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릴 때 역삼각형을 이루도록 결합된 전열관의 구조는 POME의 체류시간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른 유속의 감소는 젖음률의 향상을 가져온다. 유하 박막식 열전달의 경우 체류시간과 젖음률 향상에 따른 전열면적의 증가는 열전달 성능 향상으로 직결된다.
가열용 유체로는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 열매체유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열용 유체로서 보일러 배기 가스가 사용되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므로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점이 높은 오일의 경우에는 고온의 배기 가스 또는 열매체유를 사용하면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오일의 분리 및 회수가 가능하다.
상,하층의 가열 유닛(50)은 연결관(도 4의 6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일러(72, 가열용 유체 공급원)로부터 공급되는 배기 가스는 최상층 가열 유닛(50)에 공급된 후, 아래층의 가열 유닛(50)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다음, 최하층 가열 유닛(50)으로부터 배출된다. 참고로, 도 4에서 화살표는 가열용 유체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보일러(72)로부터 공급되는 배기 가스(가열용 유체)가 최상층 가열 유닛(50)에 공급되는 것은 배기 가스가 고온 상태일 때 저온 상태의 POME를 가열하게 되므로 유리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AO 분리 및 회수 장치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9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8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장치(200)에서 가열 유닛(50)은 10개 층과 8열로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층과 열의 개수는 처리해야 할 POME의 양과 POME의 초기 온도(상부 저수조에 수용된 POME의 온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가열용 유체로서 열매체유가 사용되고 POME의 초기 함수율(상부 저수조(30)에 수용된 POME의 함수율)이 50%일 때, 열매체유의 입구 온도(최상층 가열 유닛에 유입되는 열매체유의 온도)와 회수된 PAO의 함수율(wt%)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매체유의 입구 온도가 높을수록 회수된 PAO의 함수율(wt%)이 낮아지는데, 입구 온도가 190℃일 때 함수율이 8.7%로서 10% 미만이 되므로 발전용 액체 연료로서 적합하다.
그러면, 아래에서는 상기 장치(100)(200)를 이용하여 POME로부터 PAO를 회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POME를 POME 공급원(74)으로부터 상부 저수조(30)에 공급한다. POME 공급원(74)은 POME를 수용하고 있는 연못(또는 저수지, pond)일 수 있지만 POME를 저장하는 탱크일 수도 있다.
그리고, 가열용 유체 공급원(72)으로부터 가열용 유체를 가열 유닛(50)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보일러의 배기 가스를 가열 유닛(50)에 공급한다. 상기 가열용 유체는 최상층의 가열 유닛(50)에 공급된다.
상부 저수조(30)에 수용된 POME는, 도 6 ~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통공(32)을 통해 아래로 배출되어 최상층의 가열 유닛(50)으로 떨어지고, 최상층의 가열 유닛(50)으로 떨어진 POME는 가열 유닛(50)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동안에 가열 유닛(50)에 의해 가열된 후 아래 층의 가열 유닛(50)으로 떨어지고, 아래 층의 가열 유닛(50)으로 떨어진 POME는 가열 유닛(50)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동안에 가열 유닛(50)에 의해 가열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는 동안에 POME의 온도는 물의 기화점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물이 기화되어 증기로 된다. 상기 증기는 배기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블로우어(blower, 16)는 내부 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배기구(12)를 통해 배기함으로써 내부 공간을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 상태로 만든다.
최하층의 가열 유닛(50)으로부터 떨어진 액체는 POA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함수율이 낮아진 상태로서, 이 PAO는 배유공(14)을 통해서 하부 저수조(76)로 배출된다.
1 : 수직형 박막 유하 증발식 회수 장치 2 : 파이프
3, 12 : 배기구 4, 14 : 배유구
10 : 프레임 16 : 블로우워(blower)
30 : 상부 저수조 32 : 관통공
50 : 가열 유닛 52 : 전열관
54 : 홈 60 : 연결관
72 : 가열용 유체 공급원 74 : POME 공급원
76 : 하부 저수조 100, 200 : 분리 및 회수 장치
S : 프레임의 내부공간

Claims (12)

  1.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는 프레임;
    제1,2 액체가 혼합되어 저장된 상부 저수조;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수평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가열 유닛;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가열 유닛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층과 열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가열 유닛의 내부에는 가열용 유체가 이동하면서 가열 유닛을 가열하고,
    상부 저수조로부터 아래로 배출된 제1,2 액체는 가열 유닛으로 떨어지되, 상기 복수 개의 층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동안에 가열되어 제1,2 액체 중 기화점이 낮은 액체는 기화되어 제거되고 기화점이 높은 액체는 액체 상태로 아래로 이동하여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회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2 액체는 POME에 포함된 물과 PAO로서 POME는 CPO의 생산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된 것이며,
    가열 유닛에 의해서 물은 기화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PAO는 아래로 이동하여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회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열 유닛은 그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며, 제1,2 액체의 젖음률(wettability)이 향상될 수 있도록 가열유닛의 표면에는 홈(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회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가열 유닛은 복수 개의 전열관이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전열관의 내부에는 가열용 유체가 이동되며, 전열관이 서로 연결되는 오목한 부분이 홈(54)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회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가열 유닛은 3개의 전열관이 역삼각형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회수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윗층의 제1,2 액체는 아래층의 홈(54)에 떨어지고, 이어서 전열관의 표면을 타고 측방향으로 이동한 후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회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전열관은 스테인리스 스틸관 또는 동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회수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하층의 전열관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가열용 유체는 최상층의 전열관에 유입되어 순차적으로 아래 층의 전열관으로 이동된 후 최하층의 전열관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회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회수 장치.
  10. CPO의 생산과정에서 부산물로서 발생되는 POME에 포함된 물을 제거하고 PAO를 회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부 저수조에 수용된 POME를 아래로 배출하는 단계; 및,
    (b) 상부 저수조로부터 배출된 POME가 가열 유닛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가열된 후, 아래 층의 가열 유닛으로 떨어진 다음, 상기 아래 층의 가열 유닛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가열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가열 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가열용 유체가 이동되며, 가열 유닛의 표면은 100℃ ~ 200℃로 유지되고,
    POME가 상기 복수 개의 층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동안에 가열되어 POME에 포함된 물이 기화되어 제거되고 PAO는 액체 상태로 아래로 이동하여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회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가열 유닛은 그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며, POME의 젖음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가열 유닛의 표면에는 홈(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회수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가열 유닛은 전열관이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하 층의 전열관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가열용 유체는 최상층의 전열관에 유입되어 순차적으로 아래 층의 전열관으로 이동된 후 최하층의 전열관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회수 방법.



KR1020180146325A 2018-11-23 2018-11-23 Pome에 포함된 pao를 분리 및 회수하는 장치와, 그 방법 KR102172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325A KR102172531B1 (ko) 2018-11-23 2018-11-23 Pome에 포함된 pao를 분리 및 회수하는 장치와, 그 방법
PCT/KR2019/015230 WO2020105924A1 (ko) 2018-11-23 2019-11-11 Pome에 포함된 pao를 분리 및 회수하는 장치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325A KR102172531B1 (ko) 2018-11-23 2018-11-23 Pome에 포함된 pao를 분리 및 회수하는 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015A true KR20200061015A (ko) 2020-06-02
KR102172531B1 KR102172531B1 (ko) 2020-10-30

Family

ID=7077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325A KR102172531B1 (ko) 2018-11-23 2018-11-23 Pome에 포함된 pao를 분리 및 회수하는 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2531B1 (ko)
WO (1) WO202010592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0192A (ja) * 1994-07-22 1996-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冷凍システム、空調装置、熱交換器の製造装置及びその治具
KR20070012834A (ko) * 2004-05-21 2007-01-29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잔유를 함유한 탄화수소 공급원료를 열분해하는데 사용하기위한 증기/액체 분리 장치
KR100690101B1 (ko) * 2004-02-26 2007-03-09 벌티모어 에어코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열교환기용 코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열 교환기
KR101097483B1 (ko) * 2003-07-01 2011-12-22 바스프 에스이 기체/액체 또는 기체/액체/고체 반응용 반응기
WO2017188440A1 (ja) * 2016-04-28 2017-11-02 株式会社Ihi 分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396A1 (ko) * 2014-12-11 2016-06-16 (주)엔티스 팜유폐수에 포함된 오일회수 및 슬러지 자원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73540A (ko) * 2015-12-18 2017-06-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오일 분리 및 회수 장치, 이를 갖는 팜유래 액상부산물에서 회수된 오일 연료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0192A (ja) * 1994-07-22 1996-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冷凍システム、空調装置、熱交換器の製造装置及びその治具
KR101097483B1 (ko) * 2003-07-01 2011-12-22 바스프 에스이 기체/액체 또는 기체/액체/고체 반응용 반응기
KR100690101B1 (ko) * 2004-02-26 2007-03-09 벌티모어 에어코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열교환기용 코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열 교환기
KR20070012834A (ko) * 2004-05-21 2007-01-29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잔유를 함유한 탄화수소 공급원료를 열분해하는데 사용하기위한 증기/액체 분리 장치
WO2017188440A1 (ja) * 2016-04-28 2017-11-02 株式会社Ihi 分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531B1 (ko) 2020-10-30
WO2020105924A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159B1 (ko) 기포 컬럼 응축기와 같은 응축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EP2758142B1 (en) Bubble-column vapor mixture condenser
US8623174B1 (en) Liquid evaporation system with heated liquid
CN102557168B (zh) 热管式低温多效海水淡化系统及工艺流程
JP2010164248A (ja) 吸収ヒートポンプ
US8871062B2 (en) Falling film evaporator
KR102172531B1 (ko) Pome에 포함된 pao를 분리 및 회수하는 장치와, 그 방법
US33180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hydrating and separating liquids from gaseous fluids
CN109453611B (zh) 高温烟汽的冷凝水回收利用系统
CN102512833A (zh) 一种耦合蒸馏的水平管降膜蒸发方法及其装置
RU2661121C2 (ru) Кожухотруб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куперации тепла из горячего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потока
CN202315342U (zh) 一种水平管降膜蒸发塔
SE528996C2 (sv) Förfarande för deodorisering, en botten för pluggflöde, en kolonn, en anläggning och användning av en deodoriseringsanläggning
RU2400432C1 (ru) Деаэра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KR102122041B1 (ko) 글리세린 정제장치
JP4618432B2 (ja) 多段フラッシュ蒸発型造水装置
CN220078666U (zh) 余热回收及废水处理系统
SU1747842A1 (ru) Теплова труба
RU2381431C1 (ru) Контактн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RU2588618C1 (ru) Установка термической дистилляции
CN104208884A (zh) 一种降膜式蒸发器
RU2259514C1 (ru) Испаритель мгновенного вскипания
KR101040013B1 (ko) 열회수 방식을 이용한 고효율 순수 생성장치
US329074A (en) Liquids
JPS5837034B2 (ja) ジヨウリユウホウホウオヨビソウ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