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215A - A theater structure for providing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 Google Patents

A theater structure for providing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215A
KR20200060215A KR1020190079521A KR20190079521A KR20200060215A KR 20200060215 A KR20200060215 A KR 20200060215A KR 1020190079521 A KR1020190079521 A KR 1020190079521A KR 20190079521 A KR20190079521 A KR 20190079521A KR 20200060215 A KR20200060215 A KR 20200060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ater
region
slope
plant
audi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5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소라
정성희
김대일
김영미
백현종
성인제
Original Assignee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0807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05830A1/en
Publication of KR2020006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2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auditoriu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25/00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cinema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6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theatres, stages or film stud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theater, which is configured to provide a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to audience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theat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structure of a theater, which implements the inside of the theater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an outdoor picnic place, thereby enabling audiences to feel like watching a movie while relaxing in the nature.

Description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제공하는 상영관 구조 {A THEATER STRUCTURE FOR PROVIDING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A theater structure that provides a green screening environment {A THEATER STRUCTURE FOR PROVIDING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본 발명은 관객들에게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구현된 상영관의 구조, 그리고 이러한 상영관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영관 내부를 야외 피크닉 장소와 유사한 환경으로 구현함으로써 관객들이 마치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영화 감상을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상영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theater implemented to provide a greening environment for the audienc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theater, specifically, by implementing the interior of the theater into an environment similar to an outdoor picnic place, allowing the audience to feel as if they were in nature. It's about the structure of a theater that allows you to feel like watching a movie while relaxing in the studio.

영화 콘텐츠 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최근에는 영화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관객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상영관 관련 기술 역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블록버스터 영화 콘텐츠는 많은 수의 관객들을 동원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각 상영관 운영주체들은 영화 콘텐츠 내의 특수효과들을 관객들에게 실감나게 전달하기 위하여 각종 장치들의 개발에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In addition to the growth of the movie content industry, theater-related technologies for effectively delivering movie contents to audiences are also rapidly growing. In particular, blockbuster movie content contributes greatly to mobilizing a large number of audiences, and the operating actors of each theater are concentrating their efforts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devices to realistically deliver special effects within the movie contents to the audience.

그러나 이렇게 최첨단의 기술력이 상영관 내에 집약되고 있는 상황은 아이러니하게도 적지 않은 관객들에게 피로감을 느끼게 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위와 같은 상영관들은 오히려 영화 감상을 하면서 편안한 휴식을 취하고자 하였던 관객들의 외면을 받으면서 관객이 줄어드는 역효과도 발생하고 있다. However, this state-of-the-art technology is concentrated in the auditorium, and ironically, it has the side effect of causing fatigue to a small number of audiences. There is also an adverse effect that the audience decreases as they are received.

또한, 종래의 상영관들은 천편일률적으로 동일한 상영관 의자들을 한 공간 안에 나란히 배열하고 각각의 상영관 의자들에 좌석번호들을 부여하여 관객들이 정해진 좌석에서만 영화를 상영할 수 있게 하여 왔으며, 이에 관객들은 상영관 의자라는 제한된 공간에서만 움직일 수 있어 영화를 관람하는 데에 편안한 자세를 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도 종래의 상영관을 외면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어 왔다. 나아가 종래의 상영관들은 영화 관람이라는 목적에만 충실하도록 설계되어 공간 자체가 어둡고 또한 천장, 벽면 등에 구비된 패널들 역시 어두운 색 계열로만 구성되어 있어 관객들은 상영관 방문시 항상 답답함, 폐쇄감을 느낄 수 밖에 없는 문제점도 있어 왔다.In addition, conventional theaters have uniformly arranged the same theater chairs side by side in a space and assigned seat numbers to each theater chair so that the audience can screen the movie only in the designated seats. The difficulty in taking a comfortable posture to watch a movie because it can only move in a limited space has been a cause of turn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theater. Furthermore, conventional theaters are designed to be faithful only to the purpose of watching movies, so the space itself is dark and the panels provided on the ceiling, walls, etc. are also composed of only dark colors, so the audience is always frustrated and closed when visiting the theater. There has also been.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의 상영관이 가지고 있던 공간적 문제점, 그리고 상영관을 보다 열린 휴식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관객들이 마치 피크닉을 즐기면서 영화 관람을 할 수 있는 듯한 환경을 제공하는 새로운 형태의 상영관 구조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spatial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heaters as described above,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theaters as a more open space for relax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udience to watch a movie while enjoying a picnic. We propose a new type of theater structure that provides a seemingly capable environment.

등록실용신안 20-0486684호 (2018.06.14. 등록)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6684 (Registration on June 14, 2018)

본 발명은 종래 상영관용 의자들의 설치를 배제시킨 채 바닥면 상에서 관객들이 편히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보다 개방된 공간에서의 영화 관람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enable the audience to watch a movie in a more open space by allowing the audience to comfortably sit on the floor surface without excluding the installation of conventional theater chairs.

또한 본 발명은 상영관의 바닥면이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앞 사람에 의한 시야 방해가 최소화 되도록 하며, 또한 이를 통해 관객들이 경사가 있는 야외 잔디밭에 앉아 영화를 관람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상영관과는 전혀 다른 환경의 상영관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loor surface of the theater to have a certain angle of inclination, thereby minimizing the visual interference by the front person, and through this, the audience can experience the feeling of watching a movie sitting on a sloped outdoor law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heater environment having a completely different environment from a conventional theater.

또한 본 발명은 상영관의 내부 벽면에 식물, 더 구체적으로는 이끼식물을 구비시킴으로써 공기정화 및 자연감성의 효과를 제공하며, 나아가 이끼식물의 방음 또는 흡음효과를 활용하여 흡음부재의 기능까지도 대신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air purification and natural sensibility by providing plants, more specifically moss plants,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heater, and further utilizes the soundproofing or sound absorption effects of moss plants to replace the function of the sound absorbing member. It is aimed at.

또한 본 발명은 상영관의 천장에 조명장치들, 특히 광섬유 조명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야외에서 영화를 보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aims to configure the environment so that the audience can indirectly experience the feeling of watching a movie outdoors by providing lighting devices, especially optical fiber lighting devices, on the ceiling of the theater.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앞서 언급한 것에 그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후술하게 될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은 내부에 상영공간을 형성하는 천장, 바닥면 및 복수의 벽면; 상기 상영공간의 전면에 구비되는 메인 투사면; 상기 메인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메인 프로젝터; 상기 바닥면 상에 형성되는 쿠션부재; 및 상기 복수의 벽면 상에 구비되는 흡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은 기울기를 가지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iling, a floor surface and a plurality of wall surfaces forming a screening space therein; A main projection surfac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creening space; A main projector projecting an image on the main projection surface; A cushion memb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sound absorbing member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wall surfaces,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is a surface having a slope.

또한,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상에 형성되는 쿠션부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인조잔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바닥면은 평평한 기준면 상에 설치된 구조물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상기 구조물은 임의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높이가 상이한 적어도 2개의 버팀 부재; 및 상기 2개의 버팀부재 상에 얹혀 바닥면을 형성하는 판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구조물은 상기 판형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격자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ushion memb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in the scree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tificial turf made of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nylon.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by a structure installed on a flat reference surface, and the structures are spaced apart at random intervals and have at least two strut members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a plate-shaped member placed on the two support members to form a bottom surface. Furthermore, th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lattice member formed under the plate-shaped member.

한편,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기울기를 가지지 않는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기울기를 가지지 않는 평면의 영역 상에는 막(幕)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a part of the are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cree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lane that does not have a slope, and a membrane structure may be installed on the area of the plane that does not have a slope.

또한,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은 단차(段差)에 의해 영역이 나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creening hall, the bottom surface may include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d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may be divided into regions by a step.

또한,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은 각각 상이한 값의 기울기를 가지는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in the theater, the bottom surface may include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nd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plane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s.

한편,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벽면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는 식물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식물이 형성되는 영역과 상기 흡음부재가 구비되는 영역은 상호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은 임의 형상의 프레임 내에 충진된 것이고, 상기 식물이 충진된 프레임이 상기 복수의 벽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벽면의 일부 영역에 식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복수의 벽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식물이 충진된 복수 개의 프레임들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는 다른 프레임들과 상이한 색깔의 식물이 충진되거나 또는 상이한 배치형태로 식물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벽면에 구비되는 프레임들은 복수 개가 조합되어 상기 벽면 상에 하나의 디자인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Meanwhile, a plant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wall surfaces in the theater. At this time, the region where the plant is formed and the region where the sound absorbing member is provided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addition, the plant is filled in a frame of any shape, and the frame in which the plant is filled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lant is formed in a part of the wall surface by being provided in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wall surfaces. Furthermore, a plurality of frames filled with plants are provided in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wall surfaces, and plants of different colors from other frames are filled in at least one frame of the plurality of frames, or plants are arranged in different arrangements. It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fill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frames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may be combined to form a single design on the wall surface.

한편, 상기 상영관은 상기 복수의 벽면 중 적어도 하나의 벽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제1 서브 프로젝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heat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b-projector projecting an image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all surfaces.

또한, 상기 상영관은 상기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서브 프로젝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at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b-projector projecting an image on at least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상영관은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는 광섬유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ater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the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may include optical fiber lighting devices.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고정형 좌석들이 상영관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관객들에게 보다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객들 영화 관람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영관 내 제한적인 공간을 더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ixed seats installed in the thea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der space for the audience, thereby improving the audience's movie viewing environment, and also making the limited space in the theater wider.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util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연물을 활용한 인테리어를 구비시킴으로써 종래 폐쇄적인 공간으로만 여겨졌던 상영관 내 공간을 쾌적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interior utilizing natural objects, there is an effect of comfortably realizing a space in a theater that was previously considered only a closed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격적인 영화 콘텐츠를 재생하기 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자연 환경이 담긴 영상을 상영관 내 재생함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상영관 입장 후 쾌적한 환경에서 휴식을 취한 이후에 영화 관람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allowing the audience to watch a movie after resting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after entering the theater by playing the image containing the natural environm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efore playing the full-scale movie content have.

도 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상영관의 실제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상영관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상영관 내 바닥면의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바닥면 상의 기울기가 없는 영역과 기울기가 있는 영역을 구분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바닥면 상에서 상이한 기울기를 가지는 두 개의 영역이 단차(段差)에 의해 구분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바닥면 상에 구비된 테이블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테이블의 사시도, 저면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상영관 내 메인 투사면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영관 내 바닥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객석단 위로 바닥면이 설치된 상영공간 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15 및 도 16은 상영관 내 벽면 상에 식물을 포함한 부재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 및 도 18은 서브 프로젝터에 의해 상영관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서브 영상들이 투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상영관 내 구비된 발향장치 및 산소발생장치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상영관의 천장에 설치된 조명장치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상영관 건물 내에 형성되는 입장 통로 및 라운지의 실제 구현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theat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heater.
3 to 5 show the structure forming the structure of the bottom surface in the theater.
6 and 7 are diagrams showing the inclined area and the inclined area on the bottom surface.
8 shows a state in which two region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s on the bottom surface are divided by a step.
9 is a view showing a tabl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a bottom view, and a side view of the table.
11 shows the installation of the main projection surface in the theater.
12 and 13 show the bottom surface structure in the t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rom the front of the inside of the screening space with a floor installed over the audience seat.
15 and 16 show a state in which a member including a plant is formed on a wall surface in the theater.
17 and 18 show a state in which sub-images are projected on the bottom surface or wall surface of the theater by the sub-projector.
19 shows the scent diffusing device and the oxygen generating devices provided in the theater.
20 shows the lighting device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theater.
Figure 21 shows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entrance passage and lounge formed in the theater building.
22 shows a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form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details of the object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al effects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should not be interpreted or us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includ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various applications. Accordingly, any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to better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mbodiments.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elow are only examples of possible implementations. Other functional blocks may be used in other implemen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Further, although one or mor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resented as individual blocks, one or more of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bination of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execute the same func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including certain components is an expression of “open type” and simply refers to the existence of the components,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may exist in the middle. do.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theat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컨셉을 쉽게 이해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은 종래의 상영관과 달리 바닥면의 계단층 및 각 계단층에 고정 내지 설치되어 있던 의자들을 없애고 평평한 바닥면 상에 비고정형 좌석들을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은 그 목적이 관객들로 하여금 영화를 감상하게 하는 것뿐 아니라 마치 야외 피크닉 장소에 앉아 휴식을 취하는 듯한 감성을 느낄 수 있게 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상영관 내에 고정형 좌석들을 배제시킨 채 기울기를 가지는 바닥면만을 형성시킨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상영관을 보다 개방적으로 변형시킨 것이다.First, FIG. 1 is a drawing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a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the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steps of the floors and the chairs fixed or installed on each step floor, unlike the conventional theaters. It is characterized by arranging non-stationary seats on the floor surface. The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purpose of not only allowing the audience to watch a movie, but also making it possible to feel the sensibility as if sitting in an outdoor picnic area, and the present invention excludes fixed seats in the theater for this purpose.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only the bottom surface having a slope while making it, and through this, the theater is more openly deformed.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은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인테리어 및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상영관이란, 지반 위에 축조된 건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상기 상영관에는 메인 프로젝터, 메인 투사면 등을 포함하여 관람객들이 직접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상영공간, 관람객이 입장을 위하여 통과하는 입장 통로, 그 외에 관람객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라운지 공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teriors and structures to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For reference, the theater referred to in this detailed description is understood to mean a building built on the ground, and the theater includes a main projector, a main projection surface, etc.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n entrance passage to pass for entrance, and a lounge space where visitors can relax.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을 사시도로 표현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영관은 천장(10), 바닥면(20), 및 벽면(30)을 갖추어 내부 상영공간을 형성하고, 상영공간 내에는 영상이 투사되는 메인 투사면(100), 영상을 투사하는 메인 프로젝터(110), 바닥면(20) 상에 형성되는 쿠션부재(250), 벽면(30)에 형성되는 흡음부재(350) 등이 기본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고, 관객들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the theater is equipped with a ceiling 10, a floor surface 20, and a wall surface 30 to form an internal screening space, and in the screening space, a main projection surface 100 through which an image is projected, and a main projecting an image The projector 110, the cushion member 250 formed on the floor surface 20, the sound absorbing member 350 formed on the wall surface 30,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as a basic configuration, and an entrance door for entrance of the audience may be provided. Can be.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천장(10), 바닥면(20), 및 벽면(30)은 상영관이라는 건물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구조물들이며, 이들 구조물들에는 상영에 필요한 장치들, 그리고 쾌적한 상영환경 구현을 위해 필요한 인테리어 또는 부재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장(10)에는 관객들이 휴식을 취할 때에 내부 공간을 밝히기 위한 조명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바닥면(20)에는 쿠션감을 내는 쿠션부재(250), 바람직하게는 인조잔디가 구비될 수 있으며, 벽면(30)에는 식물 자체, 또는 식물이 충진되거나 부착된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First, the ceiling 10, the floor surface 20, and the wall surface 30 are the most basic structures constituting the building called a theater, and these structures include devices necessary for screening and interiors necessary for realizing a comfortable screening environment. Or members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ceiling 10 may be provided with a lighting device to illuminate the interior space when the audience takes a break, and the cushioning member 250 that creates a cushion feeling, preferably artificial turf, is provided on the floor surface 20. It may be, the wall surface 30 may be provided with a plant itself, or a panel filled or attached to the plant.

본 발명은 특히 기존의 상영관들과 달리 상영관 내 바닥면(20) 상에 고정형 상영관 의자를 배치하지 않은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하며, 나아가 바닥면(20)이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가지는데,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바닥면(20) 상에 형성되는 쿠션부재(250), 그리고 기울기를 가지는 바닥면(20)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xed type theater chair is not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20 in the theater, unlike the existing theaters, and furthermore, the bottom surface 20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of a certain angle. 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ushion member 2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20, and the bottom surface 20 structure having a slope.

먼저 바닥면(20) 상에 형성되는 쿠션부재(250)와 관련하여, 상기 쿠션부재(250)는 바닥면(20)의 면적 전체 또는 바닥면(20)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관객들이 직접 앉을 수 있거나 또는 비고정형 좌석들이 배치되는 부재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부재(250)는 다양한 재질을 사용한 것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 또는 이들 중 어느 두 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도 1에서와 같은 인조잔디일 수 있다. First, in relation to the cushion member 2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20, the cushion member 250 is formed on an area smaller than the entire area of the bottom surface 20 or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20 , The audience can sit directly or can be understood as the absence of non-stationary seats. The cushion member 250 may be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but is preferably made of at least one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nylon, or a combination of any two of them, more preferably in FIG. 1. It may be artificial turf.

한편, 위 쿠션부재(250)는 복수 장의 타일형태 부재를 바닥면(20) 상에 배열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필요한 만큼의 면적을 가지는 하나의 부재가 직접 바닥면(20) 상에 배열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때 쿠션부재(250) 또는 복수의 쿠션부재(250)들은 바닥면(20) 상에 도포된 접착물질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바닥면(20)에 홈을 형성시켜 해당 홈 내에 쿠션부재(250)들을 배열시키는 방식으로도 고정될 수 있다. 실제 상영관 구현에 있어서는 복수 장의 타일형태 쿠션부재(250)들을 바닥면(20)에 형성된 홈 내에 나란히 배열시키는 것이 향후 유지보수를 쉽게 하는 데에 있어 유리함이 있으며, 예를 들어 어느 일부의 쿠션부재(250)에 하자가 발생한 경우 해당 쿠션부재(250)만 교체함으로써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cushion member 250 may b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tile-shaped members on the floor surface 20, or by directly arranging one member having an area as much as necessary on the floor surface 20 It may be formed. Also, at this time, the cushion member 250 or the plurality of cushion members 250 may be fixed by an adhesive material applied on the bottom surface 20, or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20 to cushion the corresponding groove. It can also be fixed in a manner that arranges the members 250. In the actual screening, it is advantageous to arrange a plurality of tile-shaped cushion members 250 side by side in a groov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20 to facilitate future maintenance, for example, some cushion members ( If there is a defect in 250), there is an advantage that maintenance is possible by replacing only the corresponding cushion member 250.

다른 한편, 위 쿠션부재(250)는 적어도 20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관객들이 쿠션감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mm ~ 40mm의 두께를 가지는 쿠션부재(250)를 활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cushion member 250 has a thickness of at least 20 mm or more, so that the audience can sufficiently feel the cushion, and preferably, the cushion member 250 having a thickness of 20 mm to 40 mm can be utilized.

다음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바닥면(20)과 관련하여, 상기 바닥면(20)은 관객 또는 장치가 지지될 수 있는 면을 가지는 이상 이의 구조, 시공방법 등에 있어서는 제한이 없다 할 것이지만,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몇 가지 바람직한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Next,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20 having a slope, the bottom surface 20 will have no limitation in its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etc., as long as it has a surface to which an audience or device can be supported, but this detailed description We will look at some desirable structures in.

먼저 바닥면(20)을 형성하는 구조와 관련하여, 제1 시공방법 및 제1 구조로는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도 2에서와 같은 형상의 바닥면(20)을 형성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상영관을 건설할 때에 다져진 지반 위에 다수의 철근 및 거푸집을 설치할 때에 거푸집의 모양을 도 2의 바닥면(20)과 같게 구성하고, 이러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바닥면(20)을 형성하는 경우 구조가 견고하고 안정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First,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for forming the bottom surface 20, the first construction method and the first structure include forming a bottom surface 20 having the shape shown in FIG. 2 by pouring concrete. This can be obtained by constructing the shape of the formwork as shown in the bottom surface 20 of FIG. 2 when installing a number of reinforcing bars and formwork on the compacted ground when constructing the screen, and pour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When forming the furnace bottom surface 2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ructure is solid and the stability is high.

한편, 바닥면(20)을 형성하는 또 다른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3과 도 4는 모두 평평한 기준면에 상영공간의 내곽을 따라 복수의 부재들을 배열하고, 그 부재들 위에 판형부재를 덮음으로써 바닥면(20)을 형성한 구조이다.On the other hand, another structure for forming the bottom surface 20 is shown in FIGS. 3 and 4, both of which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members along the inside of the screening space on a flat reference surface, the members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20 is formed by covering the plate-shaped member on the top.

먼저 도 3은 제2 시공방법 및 제2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영공간 내 기준면의 각 코너 지점에 4개의 버팀용 부재(25,26)를 두고 그 위에 판형 부재(24)를 덮되, 이 때 버팀용 부재의 높낮이를 달리 함으로써 기울기를 형성한 것이다. 참고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기준면은 기울기가 없는 평평한 면을 일컫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일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할 때, 상영공간의 후면 코너들에 두 개의 버팀용 부재(25)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전면(메인 스크린이 형성된 면) 코너들에도 역시 두 개의 버팀용 부재(26)가 배치되되, 후면 코너들의 버팀용 부재의 높이가 전면 코너들의 버팀용 부재에 비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버팀용 부재들 위로는 판형 부재(24)가 덮임으로써 기울기를 가진 바닥면(2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버팀용 부재들이 판형 부재의 아랫면과 닿는 부분은 상기 판형 부재가 기울어져 덮이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사지게 깎일 수 있다. First, FIG. 3 shows a second construction method and a second structure, in which four support members 25 and 26 are placed at each corner point of the reference surface in the screening space, and the plate-like member 24 is covered thereon. The slope was formed by vary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member. For reference, the reference surface referred to in the detailed description refers to a flat surface having no inclination, and may preferably be a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 Referring back to FIG. 3, two brace members 25 may be disposed at rear corners of the screening space, and two brace members 26 are also provided at front (main screen formed surface) corners. It is arrang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support member of the rear corners is higher than that of the support member of the front corners. In addition, a bottom surface 20 having a slope may be formed by covering the plate-shaped member 24 on the upper support members.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ortion where each support member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like member may be inclined to be inclined to facilitate the plate-like member being inclined and covered.

다음으로 도 4는 제3 시공방법 및 제3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영공간의 내곽을 둘러싸도록 부재들(21, 22, 23)이 배열되고 그 위에 판형 부재(24)가 덮이는 구조의 바닥면(20)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영공간의 후면에는 내곽을 따라 배열되는 버팀용 부재(21)가 배치되며, 전면에도 내곽을 따라 배열되는 버팀용 부재(22)가 배치된다. 또한, 상영공간의 측면 내곽을 따라서는 상기 버팀용 부재들을 연결하는 경사 부재(23)가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된 버팀용 부재들 및 경사 부재(23)들 위로 판형 부재(24)가 덮일 수 있다. 한편, 도 3과 도 4에서 언급된 부재들은 목재 또는 금속성 부재들일 수 있다. Next, FIG. 4 shows a third construction method and a third structure, in which the members 21, 22, and 23 are arranged to surround the inside of the screening space, and the plate-shaped member 24 is covered thereon. The bottom surface 20 is shown. Referring to FIG. 4, a brace member 21 arranged along the inner edge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creening space, and a brace member 22 arranged along the inner edge is also disposed on the front side. Further, along the inner side of the side of the screening space, an inclined member 23 for connecting the supporting members is disposed, and the plate-like member 24 may be covered over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inclined members 23 arranged in this way. . Meanwhile, the members mentioned in FIGS. 3 and 4 may be wood or metallic members.

다음으로 도 5는 상기 도 4의 시공방법 및 구조에 격자 부재(27)가 더 포설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앞서 설명한 내곽의 부재들(21, 22, 23) 위에 복수의 격자들이 형성되어 있는 격자 부재(27)를 얹고, 그 위에 다시 판형 부재(24)가 덮음으로써 바닥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격자 부재(27) 역시 목재 또는 금속성 부재들일 수 있으며, 이렇게 격자 부재(27)를 포설한 후 판형 부재(24)를 덮는 경우 바닥면의 견고성을 더할 수 있다. Next, FIG. 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lattice member 27 is further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of FIG. 4, in which a plurality of lattices are formed on the inner members 21, 22, and 23 described above. The bottom surface can also be formed by placing the lattice member 27 and covering the plate-shaped member 24 thereon again. The lattice member 27 may also be a wooden or metallic member, and when the lattice member 27 is laid, the rigidity of the bottom surface may be added when the plate-shaped member 24 is covered.

이상 바닥면(20)을 형성하는 여러 실시예들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도 3과 도 5의 구조로 바닥면(20)을 형성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바닥면(20)을 형성한 것에 비해 시공이 쉽다는 점, 또한 향후 상영공간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구조를 쉽게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5의 구조는 기 건축이 이루어진 건물을 대상으로 쉽게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향후 상영공간을 다른 형태의 상영공간으로 바꾸고자 하는 경우 또는 상영공간을 전혀 다른 용도의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 철거가 용이하다. 나아가 도 3 내지 도 5에서는 판형 부재를 분리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외부 작업장에서 판형 부재 상에 쿠션부재(250)를 부착 또는 형성시키는 작업을 먼저 진행한 후 완성된 판형 부재를 옮겨와 위 버팀용 부재들 또는 경사 부재(23) 상에 덮는 작업만 추가로 수행하면 되므로, 시공의 효율성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embodiments of forming the bottom surface 20 have been describ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bottom surface 20 is formed by pouring concrete when the bottom surface 20 is formed in the structures of FIGS. 3 and 5.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construct and that the structure can be easily changed if the screening space needs to be changed in the future. For example, the structures of FIGS. 3 to 5 can be easily constructed for buildings with pre-architecture, and in the future, if the screening space is to be replaced with a different type of screening space, or the screening space is a space for a completely different purpose. It is easy to dismantle when you want to use it as a. Furthermore, in FIGS. 3 to 5, since the plate-shaped member can be manufactured separately, the operation of attaching or forming the cushion member 250 on the plate-shaped member in an external workshop is first performed, and then the completed plate-shaped member is moved to the upper support members. Alternatively, only the operation of covering on the inclined member 23 needs to be additionally performed,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nstruction efficiency.

한편, 상기 바닥면(20)은 지면 대비 일정한 값의 기울기를 가지게 되는데, 이 때 기울기는 상영관 내 뒤쪽에 자리를 잡은 관객들이 앞쪽 관객들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가져오며, 이를 고려할 때 바닥면(20)의 기울기는 지면을 기준으로 4도 내지 5도로 함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4.2도로 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20 has a slope of a certain value compared to the ground, where the slope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obscuration of the view by the front audiences who are seated at the back of the theater. When considering, the slope of the floor surface 20 is preferably 4 to 5 degrees relative to the ground, and more preferably 4.2 degrees.

도 6은 상영공간 내 바닥면(20)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앞선 설명에서의 바닥면(20)이 모든 면적에 걸쳐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된 반면, 도 6의 바닥면(20)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기울기가 없는 평평한 영역(A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6 shows another form of the bottom surface 20 in the screening space, while the bottom surface 20 in the previous description is formed to have a slope over all areas, while the bottom surface 20 of FIG. 6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region (A region) having no inclination is included in at least some regions.

바닥면(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평평하게 형성한 것은 그 위에 또 다른 구조물, 장치 등을 배치하기 위함인데,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에서는 막(幕)형 구조물, 예를 들어 카바나(cabana)를 배치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 영역을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앞서도 언급하였듯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상영관 내에는 '비고정형 좌석들'이 바닥면(20) 상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비고정형 좌석들의 종류에는 도면 6에서도 볼 수 있듯 매트형 좌석(320), 소파형 좌석(310), 그리고 막(幕)형 좌석(300)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매트형 좌석이나 소파형 좌석의 경우 경사진 바닥면(20)에 배치하더라도 기울기에 따른 배치의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그대로 배치가 가능하다 할 것이나, 막형 좌석과 같이 다수의 부재가 구성믈로 포함된 구조물이 경사면에 배치되면 구조물이 붕괴될 위험 등의 안정성, 안전성 문제가 있으므로 바닥면(20) 상에 일부 평평한 영역을 둠으로써 막형 좌석(300)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에는 평평한 A영역 상에는 막형 좌석이, 그리고 기울기를 가지는 B영역 상에는 소파형 좌석(310) 및 매트형 좌석(320)이 배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The flat forma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20 is to place another structure, device, or the like thereon. In the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mbrane-like structure, for example, a cabana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may be flat for placement. As mentioned above, in the theat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non-stationary seats' may be disposed on the floor surface 20, and these types of non-stationary seats can be seen in FIG. 6 as mat seats 320 , Sofa-type seat 310, and membrane-type seat 300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in the case of a mat-type seat or a sofa-type seat, even if it is arranged on the inclined floor surface 20, there is no difficulty in arranging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but it can be arranged as it is. When the included structure is disposed on the inclined surface, there is stability and safety problems such as the risk of the structure collapsing, so that the membrane-like seat 300 can be arranged by placing some flat area on the floor surface 20. FIG. 6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membrane-type seat is disposed on a flat area A, and a sofa-type seat 310 and a mat-type seat 320 are disposed on a B area having a slope.

도 7은 상영공간 내 바닥면(20)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7에 따를 때, 바닥면(20)은 총 두 개의 평평한 영역(A영역 및 P영역)이 각각 상영관의 후면 및 전면에 포함될 수 있으며, A영역 및 P영역 사이에는 기울기를 가지는 B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상영관의 전면에 가까운 바닥면인 P영역은 비고정형 좌석들 중 특히 매트형 좌석(320)을 배치하기 위한 영역으로, 관객들이 매트형 좌석(320)에 앉거나 누워서 영화를 관람할 때에 경사진 바닥면에서 겪게 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영공간 내 바닥면(20)은 복수의 평평한 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FIG. 7 shows another form of the bottom surface 20 in the screening space. According to FIG. 7, the bottom surface 20 has a total of two flat areas (A and P areas), respectively. It may be included on the front surface, and a B region having a slope may be included between the A region and the P region. The P area, which is a floor surface close to the front of the theater, is an area for arranging the mat-shaped seat 320 among the non-fixed seats, and the inclined floor when the audience sits or lies on the mat-shaped seat 320 to watch a movie. It was formed to relieve the discomfort experienced in. As such, the floor surface 20 in the screening spa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flat surfaces.

도 8은 상영공간 내 바닥면(20)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바닥면(20) 상에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두 개의 영역을 형성하되, 각 영역이 단차(段差; step)에 의해 구분되도록 한 것이다. 도 8에 따르면 바닥면(20) 상에는 상영공간의 뒷면에 배치되는 C영역, 그리고 상영공간의 전면에 배치되는 D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C영역 상에는 소파형 좌석(310)이, D영역 상에는 매트형 좌석(320)이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영공간 내 바닥면(20) 상에 서로 다른 종류의 좌석들이 배열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바닥면(20)의 공간을 나눌 필요성도 발생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매트형 좌석에 관객이 앉는 자세와 소파형 좌석에 관객이 앉는 자세는 좌석의 형태상 다를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바닥면(20)의 기울기에 의해 관객이 편안함을 느끼는 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상영공간 내에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영역을 두 개 이상 형성할 필요성이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매트형 좌석(320)에 앉아 영화를 보는 관객의 경우 상대적으로 바닥에 기대는 몸의 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실질적으로 몸을 눕힌 상태에서 영화 관람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바닥면(20)의 경사가 가파르게 형성되어 있다면 매트형 좌석의 관객으로서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반해 소파형 좌석(310)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관객의 경우에는 바닥면(20) 기울기가 충분히 가파르지 않은 경우 앞 쪽의 다른 소파형 좌석에 앉은 관객에 의해 시야가 가릴 수 있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바, 소파형 좌석들이 배치되는 영역은 바닥면(20)을 보다 가파르게 형성할 필요성도 있다. 도 8의 바닥면(20)은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기울기의 바닥면(20) 영역들을 형성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위한 것으로, 도면에서도 볼 수 있듯 C영역의 바닥면(20) 기울기(θ2)와 D영역의 바닥면(20) 기울기(θ1)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한편, 바닥면(20)을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형성하고자 할 때에는 이를 구분할 수 있는 구조물도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는데, 도 8에서는 단차(step)를 둠으로써 이를 구분하고 있다. 단, 도면에 도시된 단차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일 뿐, C영역과 D영역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단차(step) 대신 난간, 즉 영역의 가장자리를 일정한 높이로 막아 세우는 구조물을 둘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분 구조물이 활용될 수 있다.FIG. 8 shows another form of the bottom surface 20 in the screening space, and forms two area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s on the bottom surface 20, but each area is formed by a step. It is to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FIG. 8, on the bottom surface 20, a C area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screening space and a D area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screening space may be formed. Mat-shaped seats 320 may be arranged.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at different types of seats can be arranged on the floor surface 20 in the screening space, there is also a need to divide the space of the floor surface 20, for example, an audience in a mat-type seat. The sitting position and the sitting position of the audience on the sofa-type seat must be different in the shape of the seat, and accordingly, the degree to which the audience feels comfortable by the inclination of the floor surface 20 may be different. The need to form more than one may occur.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n audience sitting on the mat-type seat 320 and watching a movie, the area of the body leaning on the floor is relatively wide and the movie is actually viewed while lying on the floor, in which case the floor surface 20 If the slope is steep, it can be uncomfortable for the audience of the mat-type sea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audience watching a movie on the sofa-type seat 310, if the slope of the floor surface 20 is not steep enough, the view may be obscured by the audience sitting on the other sofa-type seat in the front, and feel uncomfortabl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area in which the sofa-type seats are disposed may need to form the floor surface 20 more steeply. The bottom surface 20 of FIG. 8 is for a case in which it is necessary to form areas of the bottom surface 20 having different slopes, and as can be seen in the drawing, the bottom surface 20 of the area C can be inclined (θ 2). ) And the slope (θ 1 ) of the bottom surface 20 of the D regio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sired to form the bottom surface 20 into two or more regions, a structure capable of distinguishing it may be additionally required. However, the step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example, and in order to distinguish C and D areas, various steps, such as a railing instead of steps, that is, a structure that blocks the edges of the area to a certain height, can be placed. Classification structures can be used.

이상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영공간 내 바닥면(20)이 형성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았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bottom surface 20 in the screening space is form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have been described.

한편, 앞선 설명에서는 바닥면 상에 비고정형 좌석들만 배치된 예시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상영관 내에는 비고정형 좌석들 외에 관객 편의를 위한 테이블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vious description, an example in which only non-fixed seats are disposed on the floor surface has been described. In the theater, tables for audience convenience may be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o the non-fixed seats.

도 9는 상영관 내에 막형 좌석(300), 소파형 좌석(310), 매트형 좌석(320) 등과 같은 비고정형 좌석들 외에 테이블(330)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바닥면 상에 구비되는 테이블(330)의 각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9 shows a state in which a table 330 is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o non-fixed seats such as a membrane-type seat 300, a sofa-type seat 310, and a mat-type seat 320 in the theater, and FIG. 10 is a bottom surface. It shows each configuration of the table 330 provided on the top.

도 9를 참조할 때, 테이블(330)은 일반적으로 저면이 평평하게 제작되는데,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상영관은 바닥면(20)이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저면이 평평한 테이블(330)을 바닥면(20) 상에 두는 경우 테이블(330)이 기울어질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테이블(330) 상에는 물건이나 음식물을 놓기가 어렵기 때문에 상기 테이블(330)의 수평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에서는 도 9와 같이 저면에 높이조절수단(332)이 구비된 테이블(330)을 배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9, the table 330 is generally made of a flat bottom, the screen to b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20 is inclined, the flat bottom table 330 When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20, the table 330 is forced to tilt. In this case, since it is difficult to place an object or food on the table 330,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evel of the table 330. For this, in the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ing means 332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 The provided table 330 can be arranged.

도 10의 (a)는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영관 내에는 관객들이 영화 관람시 소지품이나 음식물 등을 둘 수 있도록 테이블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테이블은 막형 좌석의 경우에는 당해 막형 좌석 내에, 그리고 소파형 좌석(310) 또는 매트형 좌석(320)의 경우에는 각 좌석들 주변, 바람직하게는 좌석 앞에 구비될 수 있으며, 언급된 테이블들은 바닥면에 설치되거나 고정되지 않은 채 자유롭게 이동 구비될 수 있는 형태의 것이다. 한편, 상기 테이블(330)은 기울기를 가지는 바닥면 상에 놓이거나 또는 기울기가 없는 평평한 바닥면 상에 놓일 수 있는데, 바닥면의 기울기에 따라 테이블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각각의 테이블(330)에는 높이조절수단(332)이 구비될 수 있다. 높이조절수단(332)은 테이블(330)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테이블 저면의 각 코너 별로 구비되어 관객이 상황에 맞게 테이블의 수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10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ble. As mentioned above, the theater may further include a table to allow the audience to place belongings or food when watching a movie, such a table in the case of a membrane-type seat, and a sofa-type seat 310 or In the case of the mat-type seat 320, it may be provided around each seat, preferably in front of the seat, and the tables mentioned may be provided freely without being installed or fixed on the floor surface. Meanwhile, the table 330 may be placed on a floor surface having a slope or on a flat floor surface without a slope, and each table 330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level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floor surface. Height adjustment means 332 may be provided. At least one height adjustment means 332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330, and preferably provided for each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to allow the audience to adjust the level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situation.

도 10의 (b)와 (c)는 각각 테이블(330)의 저면과 측면을 도시한 것으로, 높이조절수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b)와 (c)를 참조할 때, 본 실시예에서의 테이블(330)은 스크류 부재(332)를 높이조절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으로, 이 때 테이블(330)의 저면에는 상기 스크류 부재(332)가 회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홈(334)이 형성될 수 있다. 10 (b) and 10 (c) show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table 330, respectively,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Referring to (b) and (c), the table 330 in this embodiment shows that the screw member 332 can be used as a height adjustment means,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330 is the above A groove 334 may be formed so that the length of the screw member 332 can be adjusted by rotation.

도 11은 상영관 내 메인 투사면(100)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는 메인 투사면(100)이 설치되는 높이, 그리고 메인 투사면(100)이 상영관 전면으로부터 기울어지는 각도 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메인 투사면(100)은 흰색의 불투명 천,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매트 스크린(matte screen), 곡면을 가지는 렌티큘러 스크린(lenticular screen), 표면의 작은 구슬이 형성되어 있는 글라스 비드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외에 실버 스크린, 하이 게인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main projection surface 100 is installed in the theater, and here, the height at which the main projection surface 100 is installed, and the angle at which the main projection surface 100 is inclined from the front of the theater are described. do. For reference, the main projection surfa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matte screen made of a white opaque cloth, plastic, etc., a lenticular screen having a curved surface, a glass bead screen formed with small beads on the surface, etc. In addition, it may be implemented with a silver screen, a high gain screen, or the like.

본 발명은 관객들이 기존의 고정형 의자가 아닌 비고정형 좌석에서 영화를 관람할 수 있게 한 것이며, 이 때 비고정형 좌석들은 통상 고정형 의자에 비해 낮은 높이의 것인 바, 메인 투사면(100)의 설치 역시 상영관의 좌석 특성에 맞추어 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은 기존의 상영관들과 달리 기울어진 바닥면(20) 상에 좌석을 곧바로 배치하므로 관객들로서는 종래에 비해 더 눕혀진 자세로 영화를 관람할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관객들의 자세를 고려할 때에도 메인 투사면(100)의 설치 높이, 기울기 등을 기존의 상영관과 달리 할 필요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udience to watch a movie in a non-fixed seat rather than a conventional fixed chair, wherein the non-fixed seats are usually of a lower height than the fixed chair, and the installation of the main projection surface 100 is also It is necessary to match the seat characteristics of the theater. Furthermore, since the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arranges seats on the inclined floor 20 unlike the existing theaters, viewers have no choice but to watch the movie in a more laid-down position than the conventional ones. Even when considering, it is necessary to make the installation height and the slope of the main projection surface 100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heaters.

도 11에 의할 때, 메인 투사면(100)은 상영관의 기준면으로부터 h만큼, 즉 도면상 h1에서 h2를 뺀 만큼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m 내지 1.8m 만큼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벽면(30)으로부터 틸팅각도 θ3만큼 기울어져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θ3 는 4도 내지 10도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θ3은 영사기의 위치 및 영사각, 스크린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와 바닥면의 기울기, 최후열 좌석의 위치 등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바닥면(20)의 기울기가 3도 내지 5도 사이라 가정하고, 바닥면(20) 상에 배치된 비고정형 좌석들, 특히 가장 많은 수가 배치되는 소파형 좌석(310)들 상에 앉는 관객들의 앉은 자세, 그리고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영사실의 위치, 즉 메인 프로젝터(110)의 설치 위치를 고려할 때에 상기 메인 투사면(100)의 틸팅각도는 4도 내지 10도 사이로 함이 바람직하다. 11, the main projection surface 100 may be installed at a height of h from the reference surface of the screen, that is, h1 minus h2 in the drawing, preferably at a position as high as 1.5m to 1.8m Can be installed. In addition, the tilting angle from the wall surface 30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by θ 3 . At this time, θ 3 Is preferably between 4 and 10 degrees, and θ 3 may have different values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projection angle of the projector,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creen, the slop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position of the last row seat. Assuming that the inclination of the floor surface 20 is between 3 and 5 degrees, the audience sitting on the non-fixed seats arranged on the floor surface 20, especially the sofa seats 310 with the largest number When considering the sitting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projection room shown in FIG. 2, that i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ain projector 110, the tilting angle of the main projection surface 100 is preferably between 4 and 10 degrees.

도 12는 상영공간 내 바닥면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2 는 종래의 상영공간 내에 계단형의 객석단이 존재할 때에 이를 철거하지 않고 객석단 위로 경사진 바닥면(20)을 형성시킴으로써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구현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 12 shows another form of the bottom surface in the screening space, and FIG. 12 does not demolish it when a stepped seat is present in the conventional screening space, but forms the inclined bottom surface 20 over the seat. It shows the implementation of the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앞서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하였던 실시예는 상영공간 내 바닥이 평면인 것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면, 도 12에서의 실시예는 바닥면 상에 계단형의 객석단이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과거 고정형의 좌석들이 설치되어 있었던 상영공간들은 일반적으로 단차를 두기 위해 계단형의 객석단을 두었고, 객석단의 각 층에 고정형 좌석들을 설치하여 왔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미 기 건축되어 있는 상영공간들을 활용하게 될 필요도 있는데, 도 12는 이와 같이 기 건축되어 있는 상영공간, 즉 상영관을 개조하여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구현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If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S. 3 to 5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loor in the screening space is flat, the embodiment in FIG. 12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stepped seating table exists on the floor surface. . In the past, screening spaces in which fixed seats were installed generally have stepped seats for stepping, and fixed seats have been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seats. In order to realize the greening screen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screening spaces already built, and FIG. 12 shows an example of realizing the greening screening environment by remodeling the screening space, that is, the screening hall. It is shown.

도 12를 참조할 때,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는 바닥면(20)이 상기 객석단 상부 면적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바닥면(20) 상에는 비고정형 좌석들(300, 310)이 배치될 수 있다. 객석단의 상부 면적을 덮도록 바닥면을 설치하는 것과 관련하여서는 다양한 방식의 시공법이 활용될 수 있겠으나, 예시적으로는 도 3 내지 도 5의 부재들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차를 가지는 객석단에는 판형 부재(24)를 복수개의 층에 걸쳐 놓음으로써 하나의 바닥면(20)을 형성(방식1)하도록 할 수 있거나, 또는 객석단의 각 층마다 버팀용 부재(21, 22, 25, 26) 내지 경사 부재(23)를 설치함으로써(방식2)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방식1과 관련하여, 도 3 또는 도 4에서 언급되었던 하나의 판형 부재(24)는 별도의 버팀용 부재들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차를 가지는 복수개의 층에 걸치도록 놓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객석단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판형 부재(24)도 기울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바닥면(20)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방식2와 관련하여, 객석단의 각 층에는 도 3 또는 도 4에서 언급되었던 버팀용 부재들(21, 22, 25, 26) 또는 경사 부재(23)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고, 그 위에 판형 부재(24)를 덮음으로써 바닥면(20)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방식2에서처럼 객석단의 각 층에 버팀용 부재들 또는 경사 부재들을 설치한 뒤 판형 부재(24)를 덮는 경우, 설계자로서는 바닥면(20) 중 일부 영역을 평평한 영역으로, 일부 영역을 기울기를 가지는 영역으로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도 12에는 바닥면의 기울기에 따라 A영역, B영역이 나뉘어 도시되어 있는데, A영역은 바닥면의 기울기가 수평면 대비 α의 각도를 가지며 B영역은 수평면 대비 β의 각도를 가지는 영역이고, 이 때 α는 β에 비해 더 작은 값이다.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 A영역은 객석단의 기울기와 무관한 기울기를 가지는 반면, B영역은 객석단의 기울기(객석단 각 step의 모서리를 연결한 직선으로 정의됨)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설치되었다는 점이다. 이처럼, 객석단 상부에는 바닥면(20)이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어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영역들은 수평면 대비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 상에는 관객들의 안전을 위한, 또는 A영역 및 B영역 사이를 나누기 위한 펜스(3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a floor surface 20 having an inclination of a certain angle may be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area of the audience seat, and non-fixed seats 300 and 310 are disposed on the floor surface 20. Can be. Various methods of construction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bottom surface to cover the upper area of the audience seat, but the members of FIGS. 3 to 5 may be used as example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form a single floor surface 20 (method 1) by placing the plate-like member 24 over a plurality of layers in the audience seat having a step difference, or for supporting each floor of the audience seat By providing the members 21, 22, 25, 26 to the inclined member 23 (method 2), the bottom surface can be formed. In relation to the method 1, one plate-shaped member 24 mentioned in FIG. 3 or 4 may be placed so as to span a plurality of layers having a step in a state in which separate support members are not installed. The plate-like member 24 may be formed to have a slope in the same way as the slope of to form the bottom surface 20. Regarding the method 2,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rut members 21, 22, 25, 26 or the inclined members 23 mentioned in FIGS. 3 or 4 is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auditorium, and the plate-like member is disposed thereon. By covering (24), the bottom surface 20 can be formed. In the case of covering the plate-like member 24 after installing the support members or the inclined members on each floor of the audience seat as in the method 2, as a designer, some areas of the floor surface 20 are flat areas and some areas have a slo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formed as a region. For reference, in FIG. 12, areas A and B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surface. In area A,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surface has an angle of α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area B has an angle of β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t this time, α is a smaller value than β. As a remarkable matter, the area A has a slope independent of the slope of the audience, while the area B has the same slope as the slope of the audience (defined as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edges of each step of the audience). It is done. As described above, the floor surface 2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installed at the top of the audience seat, and each region may be installed to have different inclinations compared to the horizontal plane. In addition, a fence 340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for the safety of the audience or for dividing between areas A and B.

한편, 언급한 방식1 또는 방식2는 계단식의 객석단 상에 비고정형 좌석들을 배치하기 위한 바닥면(20)을 형성시키는 방식의 일 예시들에 불과한 것이며, 이 외에도 바닥면을 형성시키기 위한 방식에는 다양한 방식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aforementioned method 1 or method 2 is only an example of a method of forming a floor surface 20 for arranging non-fixed seats on a stepped seat, and in addition to the method for forming a floor surfac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ways may exist.

도 13은 앞선 도 12의 실시예와는 또 다른 형태의 바닥면 형성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서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미 상영공간 내에 계단형의 객석단이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한 실시예이며, 다만 도 12와 달리 수평면 대비 작은 기울기를 가지는 바닥면들, 예를 들어 수평면 대비 3도 내지 6도, 더 바람직하게는 4도의 기울기를 가지는 영역들이 복수 개 존재하고, 이 영역들을 연결하는 단차(390; 스텝)들로 구비되며, 각 영역들마다 비고정형 좌석들이 배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참고로 도 13에서 펜스(340)에 의해 구별되어 있는 A영역과 B영역은, 바닥면 중 비고정형 좌석들이 배치된 영역이 모두 4도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현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1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forming another type of bottom surface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of FIG. 12. 13 is an embodiment on the premise that there is already a stepped audience seat in the screening space as in the embodiment in FIG. 12, but unlike FIG. 12, floors having a small slope compared to the horizontal surface, for example There are a plurality of areas having a slope of 3 to 6 degrees, more preferably 4 degrees, compared to a horizontal plane, provided with steps 390 (steps) connecting the regions, and non-fixed seats are arranged in each reg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For reference, areas A and B, which are distinguished by the fence 340 in FIG. 13, show a state in which all areas of non-fixed seats on the bottom surface are implemented to have a slope of 4 degrees.

앞서 도 8 또는 도 12에 대한 설명에서는 바닥면 상에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두 개의 영역들이 형성되되, 각 영역들이 단차(step) - 이 때 단차의 기울기는 상기 바닥면과 상이한 기울기를 가지며, 각 단차 상이에는 서로 상이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음 - 에 의해 구분되는 실시예를 설명한 바 있는데, 도 13에서의 바닥면 역시 도 8 또는 도 12와 유사하게 복수 개의 영역들이 단차(step)에 의해 구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객석단 상부에 형성된 바닥면들은 수평면과의 기울기가 동일할 수 있으며, 또는 각 영역들의 수평면과의 기울기는 영역 별로 서로 상이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In the previous description of FIG. 8 or 12, two region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each region is a step (step)-in this case, the inclination of the step has a different inclination from the bottom surfa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eps may have different inclinations from each other. An embodiment divided by-has been described. The bottom surface in FIG. 13 is also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regions are divided by steps, similarly to FIGS. 8 or 12. Can be. For reference, it is understood that the bottom surfaces formed on the top of the audience seat may have the same slope with the horizontal surface, or the slopes with the horizontal surface of each area may be different for each area.

한편, 도 12와 도 13을 참고할 때, 각 바닥면 영역들을 나누는 단차(step) 부분에는 펜스(340)들이 설치되어 단차 사이를 이동하는 관객들이 잡고 이동이 가능하게 하거나 어린이 관객들의 넘어짐을 예방하는 등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2와 도 13에 대한 설명에서는 자세하게 언급하지 않았으나 일응 객석단을 기초로 형성된 바닥면 위로는 쿠션감을 내는 쿠션부재(바람직하게는 잔디가 깔려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쿠션감 및 색깔로 이루어진 인조잔디)가 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상영공간의 측벽면에는 식물 자체, 또는 식물이 충진되거나 부착된 패널이 구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12 and 13, fences 340 are installed in a step portion dividing each floor surface area so that the audience moving between the steps can hold and move or prevent children from falling. The safety of the back can be improved. In addition, although not mention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FIGS. 12 and 13, a cushion member (preferably, a cushion feeling and color that can produce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grass) is provided on a floor surface formed on the basis of a single audience sea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rtificial turf) may be constructed, and the side wall of the screening space may be provided with a plant itself or a panel filled with or attached to the plant.

도 14는 앞서 도 13에서와 같은 바닥면이 형성된 상영공간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닥면에는 계단식 통로(도면에서는 “계단”으로 표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계단식 통로는 설치된 바닥면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이르기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바닥면 상의 계단식 통로는, 바닥면 상의 일부 영역, 다시 말해 기울어진 바닥면 (B영역)들과 단차 (step)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일부 영역들이 계단식 통로로 기능하도록 정의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바닥면 상에 별도의 계단식 구조물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계단식 통로는 여타의 바닥면과 마찬가지로 쿠션부재가 시공될 수 있으며, 그 색깔 역시 잔디와 유사한 녹색으로 구현할 수 있다. FIG. 14 is a view showing a screening space having a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 13 viewed from the front. As a remarkable matter, a stepped passage (indicated as “stair” in the figure) may be provided on the floor surface shown in FIG. 14, and the stepped passage may exten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installed floor surface. On the other hand, the stepped passage on the floor surface may be defined to function as a stepped passage in which some areas on the bottom surface, that is, some areas formed by inclined bottom surfaces (B areas) and steps, or A separate stepped structure may be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On the other hand, the stepped passage, like any other floor surface, can be constructed with a cushion member, and its color can also be implemented in green, similar to grass.

도 15 및 도 16은 상영관 내 벽면(30)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15 and 16 show the appearance of the wall surface 30 in the theater.

구체적으로, 도 15는 상영관 내 실제 구현된 벽면(30)의 모습을 도시한 것인데,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내 벽면(30)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식물이 형성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위 식물은 바람직하게는 이끼를 비롯한 선태식물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수분을 공급해 주지 않아도 공간 내의 습도만으로 자생할 수 있는 순록이끼를 활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FIG. 15 shows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wall surface 30 in the theater, and accordingly, a plant may be formed on at least some areas of the wall surface 30 in the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bove plant is preferably a moss and other selected plants, and more preferably, reindeer moss that can grow spontaneously with only humidity in the space can be used without supplying additional moisture.

벽면(30)에 식물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벽면(30)에 이미 구비된 흡음부재(350)의 표면에 접착물질을 사용하여 식물을 고정시키는 방법, 홈이 있는 프레임에 식물을 충진한 후 해당 프레임을 흡음부재(350)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 또는 식물이 충진된 프레임을 흡음부재(350)들과 나란히 상영관 벽면(30)에 배열하는 방법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5는 이 중에서 벽면(30)에 이미 구비된 흡음부재(350)의 표면에 접착물질을 사용하여 식물을 고정시킨 예를 도시한 것이다. The method of forming a plant on the wall surface 30 may be various, for example, a method of fixing the plant using an adhesive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sound absorbing member 350 already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30, a grooved frame There may be a method of attaching the corresponding frame to the surface of the sound absorbing member 350 after filling the plant, or a method of arranging the frame filled with the plant on the wall surface 30 of the auditorium alongside the sound absorbing members 350. 15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ant is fixed by using an adhesive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sound absorbing member 350 already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30.

한편, 도 16은 식물이 충진된 복수의 프레임들(400)을 흡음부재(350)와 나란히 배열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식물이 충진된 프레임들은 상영공간 내 심미감을 제공하거나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 외에도 그 자체적으로 방음 내지 흡음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데, 도 16에서는 식물이 충진된 프레임의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기 위하여 흡음부재(350)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렇게 식물이 충진된 프레임과 흡음부재(350)가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열하는 경우, 벽면(30)에 부착시키는 흡음부재(350)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또한 프레임이 흡음부재(350)의 표면에 덧대어 부착된 것에 비해 상영관 벽면(30)의 굴곡을 줄일 수 있어 상영관 벽면(30)을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또 다른 투사면으로 활용하는 데에도 이점이 있다. Meanwhile, FIG. 16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400 filled with plant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ound absorbing member 350. In addition to the role of providing aesthetic sense in the screening space or controlling the humidity, the frames filled with plants may serve as soundproofing or sound absorption by themselves, and in FIG. 16, sound absorbing members (in order to utilize these functions of the frame filled with plants) 350). When the frame filled with the plant and the sound absorbing member 350 ar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the sound absorbing member 350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30 can be minimized, and the frame is also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ound absorbing member 350. Since the curvature of the theater wall 30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padding, it is also advantageous to utilize the theater wall 30 as another projection surface for projecting an image.

또한, 본 발명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각 프레임(400)마다 식물의 색상 및 형태를 달리하고, 이렇게 색상 및 형태를 달리한 복수의 프레임(400)들을 조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하나의 디자인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먼저 도 16을 살펴볼 때, 식물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프레임들(400)은 상영관의 벽면에 배열되어 + 모양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 외에도 프레임(400) 각각에 식물의 색상, 형태를 달리 형성시킴으로써 복수의 프레임(400)들을 조합하였을 때 상영관 벽면에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하나의 큰 디자인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5 and 16, the color and shape of plants are different for each frame 400, and a plurality of frames 400 having different colors and shapes are combined to form a single overall design. You can make it visible. Referring first to FIG. 16, a plurality of frames 400 in which plants are formed are arranged on a wall surface of a theater, forming a + shape. In addition, by forming different colors and shapes of plants in each of the frames 400 When a plurality of frames 400 are combined, it can be implemented to be one large design when viewed as a whole on the wall surface of the theater.

한편, 다시 도 15를 참조할 때,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상영관 벽면은 복수의 흡음부재(350) 상에 접착물질을 이용해 식물을 부착한 실시예라고 설명하였으나, 도 16과 같은 벽면 디자인은 복수의 프레임(400)들을 조합시킴으로써 구현할 수도 있다. 즉, 각 프레임(400) 내에 식물의 색깔을 상기 벽면 디자인에 맞추어 충진 또는 부착시키고, 복수의 프레임(400)들을 조합하여 벽면에 배열시킴으로써 도 15와 같은 벽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5 again, the wall surface of the theater shown in FIG. 15 is described as an embodiment in which plants are attached using adhesive materials on a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members 350. It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the frame 400 of the. That is, by filling or attaching the color of the plant in accordance with the wall design in each frame 400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frames 400 on the wall surface, a wall design as shown in FIG. 15 can be implemented.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물 패널들이 이격 없이 설치되어 전체적인 인테리어 효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식물 패널들을 이격 설치하여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real panels are installed without spaces to show the overall interior effect, the plant panels can be spaced apart to produce various atmospheres.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내 메인 프로젝터(110) 외에 서브 프로젝터(210, 220)가 더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7은 상영관의 벽면(30) 및 바닥면(20)에 영상이 투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18은 서브 프로젝터들의 설치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17 and 18 show a state in which sub projectors 210 and 220 are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o the main projector 110 in the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17 shows an image projected on the wall surface 30 and the floor surface 20 of the theater, and FIG. 18 exemplarily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ub projectors.

도 18을 참조할 때, 두 개의 서브 투사면들(201, 202)이 각각 좌측 벽면(30) 및 바닥면(20)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위 서브 투사면들은 반드시 메인 투사면(100)과 동일한 재질의 투사면일 필요는 없으며 메인 투사면(100)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투사면들은 반드시 메인 투사면(100)과 같이 스크린의 형태를 갖춘 것이 아닌 상영관 내부의 벽면(30) 또는 바닥면(20), 또는 쿠션부재(250)가 형성된 바닥면(20) 그 자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투사면(100)이 흰색의 불투명한 천으로 이루어진 매트 스크린일 경우, 서브 투사면은 콘크리트로 형성된 좌측 벽면(30) 자체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서브 투사면은 콘크리트 벽면(30) 상에 형성된 인테리어 패널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천장(10) 또는 바닥면(20)에 형성되는 서브 투사면들 역시 해당 구조물 자체가 투사면으로 기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it can be seen that the two sub projection surfaces 201 and 202 are formed on the left wall surface 30 and the bottom surface 20,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above sub-projection surfaces are not necessarily the same as the main projection surface 100, and may b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main projection surface 100. In addition, the sub-projection surfaces are not necessarily in the form of a screen like the main projection surface 100, but the wall surface 30 or the bottom surface 20 inside the theater, or the bottom surface 20 on which the cushion member 250 is formed. It could be itself. For example, when the main projection surface 100 is a matte screen made of a white opaque cloth, the sub projection surface may be the left wall surface 30 itself formed of concrete, or the sub projection surface may be a concrete wall surface 30 ) It may be an interior panel formed on. Similarly, the sub-projection surfaces formed on the ceiling 10 or the floor surface 20 may also function as a projection surface.

한편, 상영관 내에는 상기 서브 투사면들에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서브 프로젝터들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서브 프로젝터가 구비되는 위치는 각 서브 투사면 상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한 그 위치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8에는 좌측 벽면(30)에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서브 프로젝터(210)가 상영관의 우측 벽면(30)에, 그리고 바닥면(20)에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서브 프로젝터(220)가 천장(10)에 설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sub-projectors for projecting images on the sub-projection surfaces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theater, and the position where the sub-projector is provided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image can be projected on each sub-projection surface. Does not. In FIG. 18, a sub-projector 210 for projecting an image on the left wall surface 30 has a sub-projector 220 for projecting an image on the right wall surface 30 of the theater and a floor surface 20, and the ceiling 1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은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장치들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9는 발향장치 및 산소발생장치들이 상영관 내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dditional devices to provide a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Figure 19 shows a state in which the scent diffusing device and oxygen generating devices are provided in the theater.

발향장치(600)는 상영관 내부 공간에 향기를 분사 및 확산시키는 구성으로, 위 발향장치(600)가 설치되는 위치는 제한이 없다 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분사구가 상영관 출입문(500)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향장치(600)는 상영관 출입문(500)을 향해 향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영관을 입장하는 관객이 감지될 때마다, 또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향기를 분사함으로써 입장 관객들이 상영관 초입에서부터 자연감성을 체감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향장치(600)는 출입문(500)을 들어오는 입장객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센서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향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내부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cent diffusing device 600 is configured to spray and diffuse scent into the space inside the theater, and the position in which the scent diffusing device 600 is installed is not limited, but preferably, the spray hole is installed to face the screening door 500 Can be. In particular, the scent diffusing device 600 is installed to spray fragrance toward the entrance door 500 of the theater, whenever the audience entering the theater is sensed, or by spraying fragrance every predetermined cycle, the audience enters from the entrance of the theater. It can make you feel natural sensibility. On the other hand, the scent diffusing device 600 may further include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an incoming visitor entering the entrance door 500, or may further include an internal timer to spray the fragrance every predetermined period.

또한, 상영관 내부에는 복수의 산소발생장치(700)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산소발생장치(700)는 상영관 내부의 산소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용도의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소발생장치(700)가 자체적으로 산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모니터링 수단을 갖추어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산소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현할 수 있으며, 또는 후술하게 될 상영관 제어장치의 구동 제어에 따라 산소발생량을 조절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oxygen generators 700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theater. The oxygen generator 700 is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the oxygen concentration inside the theater, preferably, the oxygen generator 700 is equipped with a monitoring means capable of measuring the oxygen concentration itself, the amount of oxygen generated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It can be implemented to be able to adjust, or it can be implemented to adjust the amount of oxygen gener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of the theater control apparatu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0은 상영관의 천장(10)에 설치된 조명장치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을 참조할 때, 상영관의 천장(10)에는 적어도 두 가지 종류의 조명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는데, 하나는 상영공간 내부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용도의 제1조명장치(801), 그리고 천장(10)에 특정 패턴의 무늬를 연출하기 위한 제2조명장치(80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조명장치(801)는 일반적으로 실내 조도를 높이기 위한 용도의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본 설명에서는 제2조명장치(802)에 대해 더 설명하기로 한다.20 shows lighting devices installed on the ceiling 10 of the theater. Referring to FIG. 20, at least two types of lighting devices may be provided on the ceiling 10 of the theater, one of which is a first lighting device 801 for controlling brightness inside the screening space, and a ceiling A second lighting device 802 for directing a pattern of a specific pattern may be provided at (10). Since the first lighting device 801 is generally used to increase indoor illuminanc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802 will be further described in this description.

제2조명장치는 복수의 발광체 또는 발광면 집단으로도 정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조명장치는 광섬유 조명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조명장치는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빛이 전달되는 복수 가닥의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광섬유들의 말단이 천장(10)면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천장(10)면 상에 다양한 패턴의 무늬가 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천장(10)면으로 노출되는 광섬유들의 말단은 그 단면이 각기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객들로 하여금 밤하늘에 서로 다른 크기의 별빛이 빛나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The second lighting device may also be defined a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bodies or groups of light emitting surfaces, and preferably, the second lighting device may be an optical fiber lighting device. For example, the second lighting device may include a single light sourc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rands of optical fibers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transmitted. 10) Patterns of various patterns can be produced on the surface. On the other hand, the ends of the optical fibers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ceiling 10 may have different cross-sections, so that the audience can have a feeling like starlight of different sizes shining in the night sky.

한편, 도 1 내지 도 20은 영화를 관람하는 공간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은 상영공간 외에 상영공간에 입장하기 전 그리너리 무드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입장 통로 및 라운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1의 (a) 및 (b)는 각각 상영관 건물 내에 구비되는 입장 통로 및 라운지의 실제 구현예이다. 도 21에서도 볼 수 있듯 입장 통로 및 라운지의 벽면에는 식물이 충진된 패널들이 부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입장 통로 및 라운지 공간 곳곳에 식물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입장 통로에는 앞서 설명한 산소발생장치 및 발향장치가 더 구비되어 전술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스피커와 같은 출력장치가 더 구비되어 다양한 자연 음향, 예를 들어 물소리, 새소리, 바람소리 등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입장객이 입장통로에 들어서는 순간 자연감성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FIGS. 1 to 20 have been described only for a space for viewing a movie, but the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entrance passage and lounge to double the greenery mood before entering the screening space in addition to the screening space. Can be. 21 (a) and (b) are actual implementations of an entrance passage and a lounge provided in an auditorium building, respectively. As can be seen in FIG. 21, panels filled with plants may be attached to the walls of the entrance passage and the lounge, and furthermore, plants may be arranged in the entrance passage and the lounge space. In addition, the entrance passage is further equipped with the above-described oxygen generating device and scenting device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and further, an output device such as a speaker is further provided to provide various natural sounds, such as water, bird, and wind.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back, which allows the visitor to experience the natural sensation as soon as they enter the entrance passage.

마지막으로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영관 내부 공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앞서 살펴 본 실시예들과 달리 기울기가 0도 내지 5도 미만의 바닥면으로 구성되고, 벽면은 목재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inally, FIG. 22 shows the interior space of a t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inclination is composed of a floor surface of 0 to less than 5 degrees, and the wall surface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constructed of wood.

바닥면의 기울기가 최소화 되는 경우, 비고정형 좌석에 앉는 관객들은 기울기가 더 가파른 바닥면에 비하여 더 안정성을 느낄 수 있으며, 이러한 바닥면의 경우 시공을 하는 데에도 큰 어려움이 없어 어느 공간에서나 쉽게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구현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When the slope of the floor is minimized, the audience sitting in the non-stationary seat can feel more stability compared to the steeper floor, and in the case of such a floor, there is no great difficulty in construction, so it is easy to draw in any spa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implement a screening environment.

또한, 도 22에서와 같이 벽면에는 가늘고 긴 형상의 목재편(片)을 여러 조각 배열하여 자연친화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목재편의 뒷편에는 초록색의 식물, 또는 식물이 식재된 패널들을 배치함으로써 목재와 식물의 조화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분위기를 더욱 풍부하게 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 several pieces of thin and long wooden pieces can be arranged on the wall surface to create a natural friendly atmosphere, and furthermore, green plants or panels on which plants are planted are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wooden pieces.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create a more natural-friendly atmosphere in accordance with the harmony of wood and plants.

한편, 도 22에서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듯 평면에 가까운 바닥면 상에도 복수개의 비고정형 좌석들이 배열될 수 있으며, 이 때 스크린에 가까운 전방에는 빈백 타입의 비고정형 좌석이, 그리고 스크린과 먼 쪽 후방에는 막형 좌석이 배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again in FIG. 22, a plurality of non-stationary seats may be arranged on a floor surface close to a plane, in which case an empty bag-type non-stationary seat is located in front of the screen, and a membrane type is located at the rear side away from the screen. Seats can be arranged.

이상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상영관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So far, we have examined the structure of a theater that can provide a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Needless to say, thes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distinguishe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천장 20 바닥면 30 벽면
21, 22, 25, 26 버팀 부재
23 경사 부재 24 판형 부재 27 격자 부재
100 메인 투사면 201, 202 서브 투사면
110 메인 프로젝터 210, 220 서브 프로젝터
250 쿠션부재
300, 310, 320 비고정형 좌석
330 테이블 332 높이조절수단 334 홈
350 흡음부재 400 식물이 충진된 프레임
500 출입구
600 발향장치 700 산소발생장치 801, 802 조명장치
10 Ceiling 20 Floor 30 Wall
21, 22, 25, 26 No support
23 Inclined member 24 Plate-shaped member 27 Lattice member
100 Main projection surface 201, 202 Sub projection surface
110 Main projector 210, 220 sub projector
250 cushion member
300, 310, 320 non-stationary seat
330 Table 332 Height adjustment means 334 Home
350 Sound absorbing member 400 Plant filled frame
500 entrance
600 diffusing device 700 oxygen generating device 801, 802 lighting device

Claims (16)

상영관에 있어서,
내부에 상영공간을 형성하는 천장, 바닥면 및 복수의 벽면;
상기 상영공간의 전면에 구비되는 메인 투사면;
상기 메인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메인 프로젝터;
상기 바닥면 상에 형성되는 쿠션부재; 및
상기 복수의 벽면 상에 구비되는 흡음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은 기울기를 가지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In the theater,
A ceiling, a floor surface and a plurality of wall surfaces forming a screening space therein;
A main projection surfac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creening space;
A main projector projecting an image on the main projection surface;
A cushion memb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sound absorbing member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wall surfaces;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having a slope,
T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상에 형성되는 쿠션부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인조잔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According to claim 1,
The cushion memb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is characterized by being artificial turf made of at least one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nylon, or a combination thereof,
Thea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평평한 기준면 상에 설치된 구조물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상기 구조물은,
임의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높이가 상이한 적어도 2개의 버팀 부재; 및
상기 2개의 버팀부재 상에 얹혀 바닥면을 형성하는 판형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According to claim 2,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by a structure installed on a flat reference surface,
The structure,
At least two brace members spaced apart at random intervals and different in height; And
A plate-shaped member placed on the two support members to form a bottom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a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판형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격자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According to claim 3,
Th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rid member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shaped member,
T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기울기를 가지지 않는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some areas on the bottom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e does not have a slope,
Theat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를 가지지 않는 평면의 영역 상에는 막(幕) 구조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brane structure is installed on an area of a plane that does not have the slope,
T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은 단차(段差)에 의해 영역이 나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surface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gion is divided by a step (段 差),
T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은 동일한 값의 기울기를 가지는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surface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e having the same value of the slope,
T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벽면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식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According to claim 1,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t i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wall surfaces,
Theat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이 형성되는 영역과 상기 흡음부재가 구비되는 영역은 상호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9,
The region in which the plant is formed and the region in which the sound absorbing member is provided do not overlap each other.
Theat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임의 형상의 프레임 내에 충진된 것이고,
상기 식물이 충진된 프레임이 상기 복수의 벽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벽면의 일부 영역에 식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9,
The plant is filled in a frame of any shape,
The plant-filled frame is provided in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wall surfaces, whereby a plant is formed in a part of the wall surface.
Theat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벽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식물이 충진된 복수 개의 프레임들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는 다른 프레임들과 상이한 색깔의 식물이 충진되거나 또는 상이한 배치형태로 식물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11,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wall surface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rames filled with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rames is filled with plants of different colors from other frames or the plants are filled in different arrangements.
Theat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구비되는 프레임들은 복수 개가 조합되어 상기 벽면 상에 하나의 디자인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12,
The plurality of frames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is combined to form a single design on the wall surface.
T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벽면 중 적어도 하나의 벽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제1 서브 프로젝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ub-projector projecting an image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all surfac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서브 프로젝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sub-projector projecting an image on at least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는 광섬유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installed on the ceiling,
The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ber optic lighting device,
Theater.
KR1020190079521A 2018-11-21 2019-07-02 A theater structure for providing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KR202000602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8079 WO2020105830A1 (en) 2018-11-21 2019-07-02 Theater for providing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772 2018-11-21
KR20180144772 2018-1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215A true KR20200060215A (en) 2020-05-29

Family

ID=7091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521A KR20200060215A (en) 2018-11-21 2019-07-02 A theater structure for providing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021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84Y1 (en) 2017-11-03 2018-06-20 (주)카스피 Boothless projection system of multiplex thea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84Y1 (en) 2017-11-03 2018-06-20 (주)카스피 Boothless projection system of multiplex thea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314A (en) Sensory interactive multi media entertainment theater
JPH0868220A (en) Dome theater
KR20110139613A (en) Motion chair assembly for facility of showing pictures and the method of showing pictures using the same
KR20110139614A (en) Facility for showing pictures comprising special effect equipments
US11859378B2 (en) Portable motion picture theater
JP2015504495A (en) Cinema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inema structure
CN109937442A (en) Cinema's luminescent screen and audio system
CN201187161Y (en) Upward movie hall
KR20110045844A (en) Motion simulation chair system
KR20200060215A (en) A theater structure for providing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JP2015031033A (en) Residential structure
KR20180070313A (en) Stadium chair
KR20210032362A (en) A theater and a system therein for providing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CN201292678Y (en) Movie theater and seat thereof
WO2020105830A1 (en) Theater for providing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JP2577513Y2 (en) System floor
RU70283U1 (en) THEATER ROOM
JP7149979B2 (en) The structure of the common area adjacent to the garden and the production system for the common area
KR101422108B1 (en) System for landscape architecture
RU65078U1 (en) ONLINE SHOWER
Weinstein Stage and Audience: Constructing relations and opportunities
KR200491164Y1 (en) Interior wall decorated with window-shaped pots
Patterson Shakespearean theater for Oklahoma
JP7228452B2 (en) sky perception device
JP7403981B2 (en) Lighting effect experie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23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827

Effective date: 20220809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