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057A -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057A
KR20200060057A KR1020180145542A KR20180145542A KR20200060057A KR 20200060057 A KR20200060057 A KR 20200060057A KR 1020180145542 A KR1020180145542 A KR 1020180145542A KR 20180145542 A KR20180145542 A KR 20180145542A KR 20200060057 A KR20200060057 A KR 20200060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video
control
control system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9682B1 (ko
Inventor
김기화
Original Assignee
미래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5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6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32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으로서, 카메라를 통해 특정 감시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로컬 영상 장치; 특정 앱을 탑재하여 실행하며, 상기 로컬 영상 장치의 구동 제어 및 영상관제 시스템의 전체적인 운영 관리를 위해 관리자가 실행되는 특정 앱을 통해 원격으로 음성 명령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폰; 상기 모바일 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명령의 음성 분석 처리를 통해 시스템 운영자 여부 및 권한 레벨을 판단한 후 상기 음성 명령에 해당하는 요청 처리 명령을 전송하는 음성 처리장치; 및 상기 음성 처리장치의 요청 처리 명령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상기 로컬 영상 장치의 구동 제어와, 영상 모니터링 감시 제어, 및 영상관제 시스템의 시스템 제어 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에 따르면, DVR, NVR, VMS 등의 영상관제 시스템을 구현하되, 영상관제의 시스템 운영과 수행 명령을 위한 입력장치로 대화형 휴먼 인터페이스 방식의 인공지능 음성 엔진과 대화 엔진을 구비하는 음성 처리장치와, 음성 처리장치와 무선으로 연동하며 앱을 통하여 관리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하여 전달할 수 있는 모바일 폰을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마우스나 키보드 조작의 수작업에 의한 영상관제의 시스템 운영과 수행 명령을 대신하는 음성 명령을 통한 대화식 운영방식으로 로컬 영상 장치의 구동 제어와, 영상 모니터링 감시 제어 및 영상관제의 시스템 제어 관리를 포함하는 모든 업무가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에 따르면, 모바일 폰의 앱을 통해 관리자의 음성 명령을 원격으로 전달받아 처리할 수 있는 대화형 휴먼 인터페이스 방식의 인공지능으로 음성 처리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작업 없이 인간들이 서로 대화하듯 원격 명령을 지시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되고, 그를 통한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빠르고 편리하게 시스템의 원격 운영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에 따르면, 모바일 폰의 앱을 통해 관리자의 음성 명령이 음성 처리장치로 전달되어 정당한 권리자로 판단된 경우, 모바일 폰의 앱을 통해 로컬 영상 장치가 설치된 원격지에서 원격지의 카메라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조작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A INTELLIGENT MULTI-PURPOSE REMOTE VIDEO MANAGEMENT CONTROL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마우스나 키보드 조작의 수작업에 의한 영상관제의 시스템 운영과 수행 명령을 모바일 폰의 앱을 통해 음성 명령을 전달하는 대화식 운영방식으로 영상관제의 모든 업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범용 비상벨의 영상 감시 장치는 우범 지역과 같이 특정 지역에 설치되어 현장에서 위험상황 발생 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특정 서버로 신호를 전송하여 관리자가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방범용 비상벨 영상 감시 장치는 특정 지역의 감시를 위해 설치되는 카메라를 통해 특정 지역의 감시를 위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전송받아 관리자가 모니터링 감시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방범용 비상벨 영상 감시 장치는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자가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여 도움을 주거나, 이후 범죄자를 색출하는데 이용되도록 범행 영상을 녹화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감시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이 사용되고 있으나, 고성능의 카메라가 사용되기도 한다. 도 1은 기존의 영상관제 시스템에서 시스템 운영 및 수행 명령을 마우스나 키보드의 입력장치로 사용하는 일례의 참고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범용 비상벨 영상 감시 장치는 영상관제 감시를 위한 DVR, NVR, VMS 등의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특정 지역의 감시 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범용 비상벨 영상 감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실에 상주하는 관리자가 마우스나 키보드 조작 등을 이용한 수작업에 의한 영상관제의 시스템 운영과 영상 모니터링 감시의 수행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범용 비상벨 영상 감시 장치는 관리자의 수작업에 의한 영상관제의 시스템 운영과 영상 모니터링 감시가 처리되는 방식으로, 시스템 운영 및 영상 모니터링 처리의 복잡한 과정과 수행 명령 처리 지연으로 발생되는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5871호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DVR, NVR, VMS 등의 영상관제 시스템을 구현하되, 영상관제의 시스템 운영과 수행 명령을 위한 입력장치로 대화형 휴먼 인터페이스 방식의 인공지능 음성 엔진과 대화 엔진을 구비하는 음성 처리장치와, 음성 처리장치와 무선으로 연동하며 앱을 통하여 관리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하여 전달할 수 있는 모바일 폰을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마우스나 키보드 조작의 수작업에 의한 영상관제의 시스템 운영과 수행 명령을 대신하는 음성 명령을 통한 대화식 운영방식으로 로컬 영상 장치의 구동 제어와, 영상 모니터링 감시 제어 및 영상관제의 시스템 제어 관리를 포함하는 모든 업무가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폰의 앱을 통해 관리자의 음성 명령을 원격으로 전달받아 처리할 수 있는 대화형 휴먼 인터페이스 방식의 인공지능으로 음성 처리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작업 없이 인간들이 서로 대화하듯 원격 명령을 지시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되고, 그를 통한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빠르고 편리하게 시스템의 원격 운영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모바일 폰의 앱을 통해 관리자의 음성 명령이 음성 처리장치로 전달되어 정당한 권리자로 판단된 경우, 모바일 폰의 앱을 통해 로컬 영상 장치가 설치된 원격지에서 원격지의 카메라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조작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은,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으로서,
카메라를 통해 특정 감시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로컬 영상 장치;
특정 앱을 탑재하여 실행하며, 상기 로컬 영상 장치의 구동 제어 및 영상관제 시스템의 전체적인 운영 관리를 위해 관리자가 실행되는 특정 앱을 통해 원격으로 음성 명령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폰;
상기 모바일 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명령의 음성 분석 처리를 통해 시스템 운영자 여부 및 권한 레벨을 판단한 후 상기 음성 명령에 해당하는 요청 처리 명령을 전송하는 음성 처리장치; 및
상기 음성 처리장치의 요청 처리 명령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상기 로컬 영상 장치의 구동 제어와, 영상 모니터링 감시 제어, 및 영상관제 시스템의 시스템 제어 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컬 영상 장치는,
특정 감시 지역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이 특정 감시 지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폰은,
상기 특정 앱을 통해 음성 명령을 상기 음성 처리장치로 전달하여 정당한 권리자로 판단 받은 후, 상기 로컬 영상 장치가 설치된 원격지에서 원격지의 카메라를 음성 명령으로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처리장치는,
상기 모바일 폰의 특정 앱과 무선으로 연동하는 대화형 휴먼 인터페이스(Human Interface)로 구현되어 대화식으로 원격 관리자의 음성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처리장치는,
상기 모바일 폰의 특정 앱을 통해 원격지에서 관리자가 입력하는 음성 명령의 음성을 분석하여 시스템 운영자 여부 및 권한 레벨을 판단 처리하는 음성 엔진; 및
상기 음성 엔진을 통해 시스템 운영자 여부 및 권한 레벨이 정당한 관리자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성 엔진을 통해 입력된 음성 명령의 음성 분석 처리를 통해 처리 가능 여부 및 권한 판단을 통해 요청 처리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대화 엔진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처리장치는,
상기 음성 엔진이 모바일 폰의 특정 앱을 통해 입력되는 사람의 음성을 판단하는 기능과, 음성으로 시스템 운영자 및 사용권한 레벨을 판단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현되고,
상기 대화 엔진이 음성 명령을 운영시스템 내 처리 명령으로 변환하는 기능과, 처리명령 가능 여부 및 권한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는,
상기 로컬 영상 장치들과 네트워크로 연결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전송부;
상기 네트워크 전송부를 통해 상기 로컬 영상 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관리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영상관제 모니터;
상기 네트워크 전송부를 통해 상기 로컬 영상 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저장부;
상기 요청 처리 명령에 대응하여 로컬 영상 장치들의 구동 제어 처리와, 영상 모니터링 감시 제어 처리, 및 영상관제 시스템 내 운영시스템의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처리부; 및
상기 네트워크 전송부와, 영상관제 모니터와, 저장부, 및 시스템 처리부의 전체적인 구동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은,
DVR(Digital Video Recorder), NVR(Network Video Recorder), VMS(Video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에 따르면, DVR, NVR, VMS 등의 영상관제 시스템을 구현하되, 영상관제의 시스템 운영과 수행 명령을 위한 입력장치로 대화형 휴먼 인터페이스 방식의 인공지능 음성 엔진과 대화 엔진을 구비하는 음성 처리장치와, 음성 처리장치와 무선으로 연동하며 앱을 통하여 관리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하여 전달할 수 있는 모바일 폰을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마우스나 키보드 조작의 수작업에 의한 영상관제의 시스템 운영과 수행 명령을 대신하는 음성 명령을 통한 대화식 운영방식으로 로컬 영상 장치의 구동 제어와, 영상 모니터링 감시 제어 및 영상관제의 시스템 제어 관리를 포함하는 모든 업무가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에 따르면, 모바일 폰의 앱을 통해 관리자의 음성 명령을 원격으로 전달받아 처리할 수 있는 대화형 휴먼 인터페이스 방식의 인공지능으로 음성 처리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작업 없이 인간들이 서로 대화하듯 원격 명령을 지시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되고, 그를 통한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빠르고 편리하게 시스템의 원격 운영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에 따르면, 모바일 폰의 앱을 통해 관리자의 음성 명령이 음성 처리장치로 전달되어 정당한 권리자로 판단된 경우, 모바일 폰의 앱을 통해 로컬 영상 장치가 설치된 원격지에서 원격지의 카메라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조작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영상관제 시스템에서 시스템 운영 및 수행 명령을 마우스나 키보드의 입력장치로 사용하는 일례의 참고사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에서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에 적용되는 음성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에 적용되는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의 음성 입력의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의 영상관제 모니터의 감시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의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명령 체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에서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에 적용되는 음성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에 적용되는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100)은, 로컬 영상 장치(110), 모바일 폰(120), 음성 처리장치(130), 및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로컬 영상 장치(110)는, 카메라를 통해 특정 감시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로컬 영상 장치(110)는 특정 감시 지역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이 특정 감시 지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후술하게 될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14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로컬 영상 장치(110)는 특정 감시 지역을 대상으로 생활 방범 감시와, 불법 주정차 감시와, 과속 차량의 번호 인식 감시와, 불법 쓰레기 투척 단속 감시를 위한 영상 장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로컬 영상 장치(110)는 특정 감시 지역의 목적에 따라 카메라 이외에도, 비상벨, 스피커, 마이크, 경광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로컬 영상 장치(110)는 영상 관제를 위한 일반적인 로컬 장비에 해당하므로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모바일 폰(120)은, 특정 앱을 탑재하여 실행하며, 로컬 영상 장치(110)의 구동 제어 및 영상관제 시스템의 전체적인 운영 관리를 위해 관리자가 실행되는 특정 앱을 통해 원격으로 음성 명령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구성이다. 이러한 모바일 폰(120)은 후술하게 될 음성 처리장치(130)와 무선으로 연동되어 음성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폰(120)은 특정 앱을 통해 음성 명령을 음성 처리장치(130)로 전달하여 정당한 권리자로 판단 받은 후, 로컬 영상 장치(110)가 설치된 원격지에서 원격지의 카메라를 음성 명령으로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바일 폰(120)은 특정 장소에 제한됨이 없이 원격지에서도 영상관제의 전체적인 운영 관리와, 로컬 영상 장치(110)의 구동 제어에 필요한 음성 명령을 원격으로 명령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음성 처리장치(130)는, 모바일 폰(12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명령의 음성 분석 처리를 통해 시스템 운영자 여부 및 권한 레벨을 판단한 후 음성 명령에 해당하는 요청 처리 명령을 전송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음성 처리장치(130)는 모바일 폰(120)의 특정 앱과 무선으로 연동하는 대화형 휴먼 인터페이스(Human Interface)로 구현되어 대화식으로 원격 관리자의 음성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처리장치(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폰(120)의 특정 앱을 통해 원격지에서 관리자가 입력하는 음성 명령의 음성을 분석하여 시스템 운영자 여부 및 권한 레벨을 판단 처리하는 음성 엔진(131)과, 음성 엔진(131)을 통해 시스템 운영자 여부 및 권한 레벨이 정당한 관리자로 판단되는 경우, 음성 엔진(131)을 통해 입력된 음성 명령의 음성 분석 처리를 통해 처리 가능 여부 및 권한 판단을 통해 요청 처리 명령을 생성하여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140)로 출력하는 대화 엔진(13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처리장치(130)는 기존의 마우스나 키보드 조작 등의 수작업에 의한 영상관제의 시스템 운영과 수행 명령을 대신하여 음성을 통한 대화식 운영방식으로 모든 시스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또한, 음성 처리장치(130)는 음성 엔진(131)이 모바일 폰(120)의 특정 앱을 통해 입력되는 사람의 음성을 판단하는 기능과, 음성으로 시스템 운영자 및 사용권한 레벨을 판단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현되고, 대화 엔진(132)이 음성 명령을 운영시스템 내 처리 명령으로 변환하는 기능과, 처리명령 가능 여부 및 권한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처리장치(130)는 음성 엔진(131)과 대화 엔진(132)으로 분리된 구성을 일례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며, 대화형 휴먼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대화식의 수행 명령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AI) 엔진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처리장치(130)의 음성 엔진(131)은 사람의 음성을 판단하는 기능과, 음성으로 시스템 운영자 및 사용권한 레벨을 판단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현하되, 사람의 음성 판단은 기계음이나 기타 조작된 음원의 유무로 판단할 수 있고, 시스템 운영자 및 사용권한 레벨 판단은 미리 설정된 시스템 운영자의 음성과 운영자에 미리 설정된 권한 등급의 비교 분석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처리장치(130)의 대화 엔진(132)은 음성 명령을 운영시스템 내 처리 명령으로 변환하는 기능과, 처리명령 가능 여부 및 권한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현하되, 처리 명령 변환은 미리 설정된 처리 명령과 음성 명령의 비교 분석으로 판단하고, 처리명령 가능 여부 및 권한 여부 판단은 미리 설정된 시스템 운영자의 권한별 처리 가능한 명령의 비교 분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140)는, 음성 처리장치(130)의 요청 처리 명령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로컬 영상 장치(110)의 구동 제어와, 영상 모니터링 감시 제어, 및 영상관제 시스템의 시스템 제어 관리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 영상 장치(110)들과 네트워크로 연결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전송부(141)와, 네트워크 전송부(141)를 통해 로컬 영상 장치(110)들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관리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영상관제 모니터(142)와, 네트워크 전송부(141)를 통해 로컬 영상 장치(110)들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저장부(143)와, 요청 처리 명령에 대응하여 로컬 영상 장치(110)들의 구동 제어 처리와, 영상 모니터링 감시 제어 처리, 및 영상관제 시스템 내 운영시스템의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처리부(144)와, 네트워크 전송부(141)와, 영상관제 모니터(142)와, 저장부(143), 및 시스템 처리부(144)의 전체적인 구동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4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140)의 영상관제 모니터(14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 영상 장치(110)들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감시 지역의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관리자가 모니터링을 통해 감시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140)의 저장부(143)는 네트워크 전송부(141)를 통해 전송받은 로컬 영상 장치(110)들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140)의 시스템 처리부(144)는 제어부(145)의 제어 하에, 로컬 영상 장치(110)의 구동 제어와, 로컬 영상 장치(110)들로부터 전송받은 영상 데이터의 모니터링 감시 제어와, 영상관제 시스템의 시스템 제어 관리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140)는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100)의 처리 명령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 분류별 구성 항목에 대한 구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서, 시스템 전원 온/오프, 시스템 리부팅, 암호, 설정화면, 각종 설정 명령, 화면 전환, 화면 확대, 채널수 변경, 재생(playback) 화면, 날짜 시간 지정 영상 재생, 각종 이벤트에 대한 영상 검색, 경고방송 송출 명령, 카메라 원격 제어 명령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화형 휴먼 인터페이스를 적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100)은 DVR(Digital Video Recorder), NVR(Network Video Recorder), VMS(Video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100)은 생활 방범 감시와, 불법 주정차 감시와, 과속 차량의 번호 인식 감시와, 불법 쓰레기 투척 단속 감시 등의 다목적용 DVR, NVR, VMS 영상 시스템으로 적용되어 구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의 음성 입력의 처리 과정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폰(120)의 앱을 통해 관리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음성 처리장치(130)의 음성 엔진(131)에서 음성 분석을 통해 사람의 음성 여부를 판단하고, 사람의 음성이 아닌 경우 음성 입력 단계로 리턴 된다. 반면에, 사람의 음성으로 판단되면, 음성 엔진(131)에서 시스템 운영자 여부 및 권한 레벨을 판단하여 시스템 운영자가 아닌 경우 또는 권한 레벨이 낮은 경우 처리 불가 사유를 통보한다. 반면에, 음성 엔진(131)에서 시스템 운영자와 권한 레벨을 정상인 경우에는 대화 엔진(132)에서 요청 처리 분석을 통해 처리 가능 여부 및 권한 판단하고, 이에 대응한 처리 불가 사유 통보 또는 요청 처리 명령을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140)로 전달하게 된다. 이어, 요청 처리 명령을 전달받은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140)는 요청 처리 명령에 대응하는 요청 명령을 수행하고, 처리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의 영상관제 모니터의 감시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6은 영상관제 모니터의 감시 화면으로서, 특정 감시 지역을 대상으로 생활 방범, 불법 주정차, 과속 차량 번호 인식, 및 불법 쓰레기 단속 등의 목적에 맞는 화면을 복수의 채널로 할당하여 표시 제공하는 화면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의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명령 체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100)에서의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명령 체계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은, DVR, NVR, VMS 등의 영상관제 시스템을 구현하되, 영상관제의 시스템 운영과 수행 명령을 위한 입력장치로 대화형 휴먼 인터페이스 방식의 인공지능 음성 엔진과 대화 엔진을 구비하는 음성 처리장치와, 음성 처리장치와 무선으로 연동하며 앱을 통하여 관리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하여 전달할 수 있는 모바일 폰을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마우스나 키보드 조작의 수작업에 의한 영상관제의 시스템 운영과 수행 명령을 대신하는 음성 명령을 통한 대화식 운영방식으로 로컬 영상 장치의 구동 제어와, 영상 모니터링 감시 제어 및 영상관제의 시스템 제어 관리를 포함하는 모든 업무가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모바일 폰의 앱을 통해 관리자의 음성 명령을 원격으로 전달받아 처리할 수 있는 대화형 휴먼 인터페이스 방식의 인공지능으로 음성 처리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작업 없이 인간들이 서로 대화하듯 원격 명령을 지시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되고, 그를 통한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빠르고 편리하게 시스템의 원격 운영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폰의 앱을 통해 관리자의 음성 명령이 음성 처리장치로 전달되어 정당한 권리자로 판단된 경우, 모바일 폰의 앱을 통해 로컬 영상 장치가 설치된 원격지에서 원격지의 카메라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조작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110: 로컬 영상 장치
120: 모바일 폰(사용자 디바이스)
130: 음성 처리장치
131: 음성 엔진
132: 대화 엔진
140: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
141: 네트워크 전송부
142: 영상관제 모니터
143: 저장부
144: 시스템 처리부
145: 제어부

Claims (8)

  1.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100)으로서,
    카메라를 통해 특정 감시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로컬 영상 장치(110);
    특정 앱을 탑재하여 실행하며, 상기 로컬 영상 장치(110)의 구동 제어 및 영상관제 시스템의 전체적인 운영 관리를 위해 관리자가 실행되는 특정 앱을 통해 원격으로 음성 명령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폰(120);
    상기 모바일 폰(12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명령의 음성 분석 처리를 통해 시스템 운영자 여부 및 권한 레벨을 판단한 후 상기 음성 명령에 해당하는 요청 처리 명령을 전송하는 음성 처리장치(130); 및
    상기 음성 처리장치(130)의 요청 처리 명령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상기 로컬 영상 장치(110)의 구동 제어와, 영상 모니터링 감시 제어, 및 영상관제 시스템의 시스템 제어 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영상 장치(110)는,
    특정 감시 지역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이 특정 감시 지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14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폰(120)은,
    상기 특정 앱을 통해 음성 명령을 상기 음성 처리장치(130)로 전달하여 정당한 권리자로 판단 받은 후, 상기 로컬 영상 장치(110)가 설치된 원격지에서 원격지의 카메라를 음성 명령으로 직접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처리장치(130)는,
    상기 모바일 폰(120)의 특정 앱과 무선으로 연동하는 대화형 휴먼 인터페이스(Human Interface)로 구현되어 대화식으로 원격 관리자의 음성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처리장치(130)는,
    상기 모바일 폰(120)의 특정 앱을 통해 원격지에서 관리자가 입력하는 음성 명령의 음성을 분석하여 시스템 운영자 여부 및 권한 레벨을 판단 처리하는 음성 엔진(131); 및
    상기 음성 엔진(131)을 통해 시스템 운영자 여부 및 권한 레벨이 정당한 관리자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성 엔진(131)을 통해 입력된 음성 명령의 음성 분석 처리를 통해 처리 가능 여부 및 권한 판단을 통해 요청 처리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140)로 출력하는 대화 엔진(132)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처리장치(130)는,
    상기 음성 엔진(131)이 모바일 폰(120)의 특정 앱을 통해 입력되는 사람의 음성을 판단하는 기능과, 음성으로 시스템 운영자 및 사용권한 레벨을 판단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현되고,
    상기 대화 엔진(132)이 음성 명령을 운영시스템 내 처리 명령으로 변환하는 기능과, 처리명령 가능 여부 및 권한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운영 제어장치(140)는,
    상기 로컬 영상 장치(110)들과 네트워크로 연결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전송부(141);
    상기 네트워크 전송부(141)를 통해 상기 로컬 영상 장치(110)들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관리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영상관제 모니터(142);
    상기 네트워크 전송부(141)를 통해 상기 로컬 영상 장치(110)들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저장부(143);
    상기 요청 처리 명령에 대응하여 로컬 영상 장치(110)들의 구동 제어 처리와, 영상 모니터링 감시 제어 처리, 및 영상관제 시스템 내 운영시스템의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처리부(144); 및
    상기 네트워크 전송부(141)와, 영상관제 모니터(142)와, 저장부(143), 및 시스템 처리부(144)의 전체적인 구동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45)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100)은,
    DVR(Digital Video Recorder), NVR(Network Video Recorder), VMS(Video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KR1020180145542A 2018-11-22 2018-11-22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KR102169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542A KR102169682B1 (ko) 2018-11-22 2018-11-22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542A KR102169682B1 (ko) 2018-11-22 2018-11-22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057A true KR20200060057A (ko) 2020-05-29
KR102169682B1 KR102169682B1 (ko) 2020-10-23

Family

ID=7091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542A KR102169682B1 (ko) 2018-11-22 2018-11-22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6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2961A (zh) * 2020-12-15 2021-07-23 北京京航计算通讯研究所 基于语音控制的视频监控设备搜索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706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이젠 이동 가능한 감시 카메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KR20220169780A (ko) 2021-06-21 2022-12-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40518A (ko) * 2011-06-21 2012-12-31 (주)유테크 스마트폰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849229B1 (ko) * 2017-08-25 2018-05-24 (주)비전정보통신 음성인식을 통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40518A (ko) * 2011-06-21 2012-12-31 (주)유테크 스마트폰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849229B1 (ko) * 2017-08-25 2018-05-24 (주)비전정보통신 음성인식을 통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2961A (zh) * 2020-12-15 2021-07-23 北京京航计算通讯研究所 基于语音控制的视频监控设备搜索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682B1 (ko)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8776B2 (en) Monitoring smart devices on a wireless mesh communication network
US84170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surveillance devices and surveillance footage
KR101445367B1 (ko) 이상 음원에 대한 인식율 향상을 통하여 긴급상황 판별 성능을 개선한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긴급상황 판별방법
KR20200060057A (ko)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다목적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US20160035195A1 (en) Wireless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with remote viewing
US7719571B2 (en) Wireless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with DVR-based querying
US7821533B2 (en) Wireless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with two-way locking of input capture devices
KR102017329B1 (ko) Ai 기반 지능형 다목적 영상관제 시스템
KR101849229B1 (ko) 음성인식을 통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CN107197320A (zh) 视频直播方法、装置和系统
KR20110026753A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US8208019B2 (en) Wireless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with external removable recording
KR20160112279A (ko) 영화 상영상태 감지시스템
JP6835205B2 (ja) 撮影収音装置、収音制御システム、撮影収音装置の制御方法、及び収音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202202639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user remote controllable safety camera
KR20160105595A (ko) 카메라를 장착한 도어락
KR20050047022A (ko) 교차로 내의 교통사고 가해자 및 피해자 선별에 관한 방법및 시스템
KR101668342B1 (ko) 금고 촬영장치 및 금고 내부 촬영 시스템
US20120120242A1 (en) Security-enhanced cctv system
CN104041015A (zh) 视频监控方法及相关系统、监控服务器和监控摄像机
CN110519562A (zh) 移动侦测方法、装置和系统
KR102163427B1 (ko) Svc 코덱 기반 네트워크 상황에 적응적인 다채널 감시 시스템
KR102126794B1 (ko) 영상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30126028A (ko) 음성인식을 통한 종합상황실 관리시스템
KR100661076B1 (ko) 비상 통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