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858A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lay state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lay state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858A
KR20200059858A KR1020180145119A KR20180145119A KR20200059858A KR 20200059858 A KR20200059858 A KR 20200059858A KR 1020180145119 A KR1020180145119 A KR 1020180145119A KR 20180145119 A KR20180145119 A KR 20180145119A KR 20200059858 A KR20200059858 A KR 20200059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voltage
battery
switching stat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1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1717B1 (en
Inventor
김수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5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717B1/en
Publication of KR20200059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8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detecting motor fau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for reaction to failures, e.g. limp hom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22Current control, e.g. using a current control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 relay state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The apparatus for determining a relay state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verter for supplying a d-axis current to a motor; a driving voltag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driving voltage supplied to the inverter from a relay that interrupts power supplied from a battery to the inverter; and a control unit which applies the d-axis current to the motor through the inverter, cuts off the d-axis current, and determines a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using a battery voltage and a driving voltage of the battery.

Description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LAY STATE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 state determination of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LAY STATE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식 동력 조향장치의 모터 d축에 전류를 인가한 후 Vlink 전압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ON/OFF)를 판별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elay state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pply a current to a motor d-axis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nd monitor the Vlink voltage to monitor the relay switching state (ON / OFF). I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relay stat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for determining.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은 기존의 유압식 동력 조향장치와 대비할 때 무게가 가볍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오일교환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The 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 has the advantages of light weight, less space, and no oil change when compared to the existing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차량 조향시 운전자가 조향휠에 가해야 하는 조향 토크의 일부를 보조 동력원을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조향을 용이하게 한다. 즉, 운전자의 조향 의도를 조향휠에 직결된 토크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이 신호를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이 입력받아서 현재 자동차의 속력 등을 고려해 알맞은 힘을 제공하도록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조향력을 보조한다.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은 자동차의 주정차 때나 저속운전 때에는 큰 힘을 보조해 운전자의 힘을 덜고, 고속주행 때는 적은 힘만을 보조하도록 함으로써 차체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facilitates steering by providing a portion of the steering torque that the driver must apply to the steering wheel when steering the vehicle using an auxiliary power source. That is, the driver's steering intention is sensed through a torque sensor directly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and th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receives this signal to assist the steering force by driving the motor to provide an appropriate force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peed of the vehicle. Th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helps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body by assisting the driver in reducing the power of the driver by assisting with a large forc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or driving at a low speed, and by using only a small force when driving at a high speed.

이러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ECU는 운전자의 조향 의지를 센싱하여 액추에이터인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연산하여 어씨스트한다. ECU는 차량 배터리에서 들어오는 전압에 FET 릴레이 스위치를 모터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 받는다. 이에 따라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Fail-Safe) 동작을 위해서는 해당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The ECU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senses the driver's steering will and calculates and assists the current required to drive the motor, which is the actuator. The ECU receives the power required to drive the motor through the FET relay switch to the voltage coming from the vehicle battery. Accordingly, for fail-safe operation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it is essential to determine the switch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relay.

이에 따라, 종래에는 하드웨어상에서 MCU를 통해 제어하는 FET 릴레이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동 전압(Link 전압)을 방전시켜줌으로써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On/OFF)를 판별하였다. 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the switching state (On / OFF) of the relay was determined by discharging the driving voltage (Link voltage) using a FET relay switch controlled by the MCU on the hardware.

그러나, 종래 방식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드웨어 회로를 이용하므로 재료비와 크기 및 소자 불량율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method uses a hardware circui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terial cost, size, and element defect rate increase.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35197호(2008.05.29)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페일 세이프 제어방법'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Fail Safe Control Method i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35197 (2008.05.29).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전동식 동력 조향장치의 모터에 d축 전류를 인가한 후 모터 구동 전압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ON/OFF)를 판별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d-axis current to a motor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and monitor the motor driving voltage to monitor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ON /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elay state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for determining OFF).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는 모터에 d축 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측정하는 구동전압 측정부; 및 상기 인버터를 통해 상기 모터에 d축 전류를 인가하여 차단한 후, 상기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relay state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verter that supplies a d-axis current to a motor; A driving voltage measuring unit measuring a driving voltage supplied to the inverter from a relay that interrupts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inverter; And after applying the d-axis current to the motor through the inverter to bloc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using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of the battery.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의 차이값을 기 설정된 설정전압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with a preset voltage to determine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의 차이값이 상기 설정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오프 상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exceeds the set voltage,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is determined to be off.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의 차이값이 상기 설정전압 이하이면 상기 릴레이의 스위치 상태를 온 상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voltage, the switch state of the relay is determined to be on.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가 온 상태로 판별되면 상기 릴레이를 턴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y is turned off when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is determined to be on.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가 온 상태로 판별되어 상기 릴레이를 턴오프시킨 후에는 상기 모터에 d축 전류를 다시 인가하여 차단한 후, 상기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is on, and after turning off the relay, the d-axis current is again applied to the motor to cut off, and then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of the battery are us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determine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방법은 제어부가 인버터를 통해 모터에 d축 전류를 인가한 후 차단하는 단계; d축 전류가 차단되면 구동전압 측정부가 배터리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lay state determining method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ntrolling, after applying a d-axis current to a motor through an inverter, blocking the relay state; When the d-axis current is cut off, the driving voltage measuring unit measures a driving voltage supplied to the inverter from a relay that interrupts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inverter; And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using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of the battery.

본 발명의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의 차이값을 기 설정된 설정전압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compares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with a preset voltage to determine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do.

본 발명의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의 차이값이 상기 설정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오프 상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exceeds the set voltag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is in an off state.

본 발명의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의 차이값이 상기 설정전압 이하이면 상기 릴레이의 스위치 상태를 온 상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voltage,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is determined to be on.

본 발명은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가 온 상태로 판별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릴레이를 턴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urning off the relay by the control unit when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is determined to be on.

본 발명의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가 온 상태로 판별되어 상기 릴레이를 턴오프시킨 후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에 d축 전류를 다시 인가하여 차단한 후, 상기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fter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to be on and the relay is turned off,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d-axis current to the motor again and blocks it, and then uses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of the batter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 및 방법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 모드시 모터에 d축 전류를 인가한 후 구동 전압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ON/OFF)를 소프트웨적으로 판별할 수 있어 재료비와 크기 및 소자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elay state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lay switching state (ON / OFF) can be determined by software, reducing the material cost, size, and element defect rat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릴레이 온과 오프시 d축 전류 인가에 따른 구동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relay state determining device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driving voltag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d-axis current when the relay is on and off.
3 is a flowchart of a relay state determining method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elay state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릴레이 온과 오프시 d축 전류 인가에 따른 구동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elay state determining device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driving voltage according to application of a d-axis current when the relay is on and off.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는 인버터(30), 구동전압 측정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relay state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verter 30, a driving voltage measuring unit 50 and a control unit 60.

인버터(30)는 제어부(60)의 PWM 제어에 따라 배터리(10)로부터 릴레이(2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여 모터(40)에 구동전류를 인가한다. The inverter 30 switche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0 through the relay 20 according to the PWM control of the controller 60 to apply a driving current to the motor 40.

여기서, 모터(40)는 3상 모터(40)로서, U상, W상, V상으로 구성되며, 각 상은 각 상에 해당하는 인버터(30)의 스위칭 모듈에 연결되어 제어된다.Here, the motor 40 is a three-phase motor 40, and is composed of a U-phase, a W-phase, and a V-phase, and each phase is controlled by being connected to a switching module of the inverter 30 corresponding to each phase.

인버터(30)의 스위칭 모듈은 제어부(60)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신호에 따른 스위칭 모듈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모터(40)에 공급되는 모터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모터(40)를 제어한다. 이러한 스위칭 모듈은 FET(Field Effective Transister;FET)를 포함하며, 제어부(60)는 각 스위칭 모듈을 턴온 또는 턴오프시킴으로써 모터(40)를 구동시킨다. The switching module of the inverter 30 controls the motor 40 by adjusting the motor current supplied to the motor 40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modu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60. The switching module includes a field effective transistor (FET), and the control unit 60 drives the motor 40 by turning on or off each switching module.

릴레이(20)는 배터리(10)로부터 인버터(3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한다. 릴레이(20)는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된다. The relay 20 interrupt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0 to the inverter 30. The relay 20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60.

이러한 릴레이(20)는 배터리(10)로부터 인버터(3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한다. 이러한 릴레이(20)는 회전시 전류 소모가 많은 모터 구동을 위해 배터리(10)로부터 인버터(30)에 공급되는 대전류 패스를 형성한다. The relay 20 interrupt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0 to the inverter 30. The relay 20 forms a large current path supplied from the battery 10 to the inverter 30 for driving a motor that consumes a lot of current during rotation.

특히, 릴레이(20)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Motor Driven Power Steering)의 페일 세이프(Fail-safe) 동작을 위해 그 스위칭 상태, 즉 온 상태인지 또는 오프 상태인지가 판별되어야 한다.In particular, the relay 20 must determine whether its switching state, that is, on or off, for fail-safe operation of the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한편, 구동전압 측정부(50)는 릴레이(20)로부터 인버터(30)에 공급되는 구동전압(Vlink)을 측정한다. Meanwhile, the driving voltage measuring unit 50 measures the driving voltage Vlink supplied from the relay 20 to the inverter 30.

제어부(60)는 인버터(30)를 통해 모터(40)에 d축 전류를 인가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d축 전류를 차단하고, 이후 배터리(10)의 배터리 전압(Vbatt)과 구동전압(Vlink)을 이용하여 릴레이(20)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한다. After applying the d-axis current to the motor 40 through the inverter 30 through the inverter 30, the controller 60 cuts off the d-axis current, and thereafter, the battery voltage Vbatt and the driving voltage of the battery 10 ( Vlink) to determine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20.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60)는 인버터(30)를 제어하여 d축 전류를 모터(40)에 인가한다. In more detail, first, the controller 60 controls the inverter 30 to apply the d-axis current to the motor 40.

d축 전류는 모터(40)의 토크 방향과 수직인 전류로써, 모터(40)는 d축 전류가 인가되면 토크가 0인, 즉 회전하지 않게 되며, 이 경우 릴레이(20)가 턴온 상태에 있으면 모터(40)가 회전하지 않으면서도 구동전압(Vlink)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는 소모되게 된다.The d-axis current is a current perpendicular to the torque direction of the motor 40. When the d-axis current is applied to the motor 40, the torque is 0, that is, it does not rotate. In this case, when the relay 20 is in the turned-on state, The current supplied by the driving voltage Vlink is consumed without the motor 40 rotating.

이에, 제어부(60)는 인버터(30)를 통해 d축 전류를 모터(40)에 공급하고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인버터(30)를 제어하여 d축 전류 공급을 차단한다. Accordingly, the controller 60 supplies the d-axis current to the motor 40 through the inverter 30 and controls the inverter 30 to block the d-axis current supply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이어, 제어부(60)는 배터리(10)의 배터리 전압(Vbatt)과 구동전압 측정부(50)에 의해 측정된 구동전압(Vlink)을 이용하여 릴레이(20)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한다. 이 경우, 제어부(60)는 배터리 전압(Vbatt)과 구동전압(Vlink)의 차이값을 기 설정된 설정전압, 예를 들어 0.9V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릴레이(20)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한다.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20 using the battery voltage Vbatt of the battery 10 and the driving voltage Vlink measured by the driving voltage measurement unit 5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60 compares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Vbatt and the driving voltage Vlink with a preset voltage, for example, 0.9 V to determine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2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

이 경우, 제어부(60)는 배터리 전압(Vbatt)과 구동전압(Vlink)의 차이값이 설정전압을 초과하면 릴레이(20)의 스위칭 상태를 오프 상태로 판별하고, 배터리 전압(Vbatt)과 구동전압(Vlink)의 차이값이 설정전압 이하이면 릴레이(20)의 스위치 상태를 온 상태로 판별한다. In this case, whe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Vbatt and the driving voltage Vlink exceeds the set voltage, the controller 60 determines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20 to be off, and the battery voltage Vbatt and the driving voltage If the difference value of (Vlink)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voltage, the switch state of the relay 20 is determined to be on.

이는 릴레이(20)가 온되어 구동전압(Vlink)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배터리 전압(Vbatt)과 구동전압(Vlink)이 동일하게 유지되다가, 이후 d축 전류가 인가되면 도 2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전압(Vlink)이 감소하게 되기 때문이다. This is shown in Fig. 2 (a) when the battery voltage (Vbatt) and the driving voltage (Vlink) remain the same when the relay 20 is turned on and the driving voltage (Vlink) is applied. This is because the driving voltage Vlink is reduced as described above.

반면에, 릴레이(20)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배터리 전압(Vbatt)과 구동전압(Vlink)이 동일하게 유지되며, 이후 d축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도 2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전압(Vlink)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lay 20 is turned off, the battery voltage Vbatt and the driving voltage Vlink are kept the same, and even after the d-axis current is applied, as shown in FIG. 2 (b), the driving voltage ( Vlink) remains constant.

즉, 릴레이(20)가 온된 상태에서는, 모터(40)에 d축 전류가 인가되면 구동전압(Vlink)이 감소되어 배터리 전압(Vbatt)과 상이하게 되므로, 제어부(60)는 배터리 전압(Vbatt)과 구동전압(Vlink)의 차이값이 설정전압을 초과하는지를 토대로 릴레이(20)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relay 20 is turned on, when the d-axis current is applied to the motor 40, the driving voltage Vlink is reduced to be different from the battery voltage Vbatt, so the controller 60 controls the battery voltage Vbatt.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20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overdrive voltage Vlink exceeds the set voltage.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릴레이(20)의 스위칭 상태가 온 상태인 것으로 판별되면 제어부(60)는 릴레이(20)를 턴오프시키고, 상기한 모터(40)에 d축 전류를 다시 인가하여 차단한 후, 배터리(10)의 배터리 전압(Vbatt)과 구동전압(Vlink)을 이용하여 릴레이(20)의 스위칭 상태를 다시 판별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60)는 페일-세이프 모드시 릴레이(20)의 스위칭 상태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20 is 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60 turns off the relay 20, and applies the d-axis current to the motor 40 again to block it. Then,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20 is again determined using the battery voltage Vbatt and the driving voltage Vlink of the battery 10.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60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20 in the fail-safe mod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방법을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determining a relay state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방법의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relay state determining method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을 참조하면, 제어부(60)는 인버터(30)를 제어하여 d축 전류를 모터(40)에 인가한다(S10).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inverter 30 to apply the d-axis current to the motor 40 (S10).

인버터(30)를 통해 모터(40)에 d축 전류를 인가한 후, 제어부(60)는 기 설정된 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판단한다(S20).After applying the d-axis current to the motor 40 through the inverter 30, the controller 60 determines whether a preset time has elapsed (S20).

단계(S20)에서의 판단 결과 d축 전류를 인가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60)는 인버터(30)를 통해 d축 전류 공급을 차단한다(S3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after applying the d-axis current, the controller 60 blocks the supply of the d-axis current through the inverter 30 (S30).

이 경우, 구동전압 측정부(50)는 배터리(10)로부터 인버터(3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20)로부터 인버터(30)에 공급되는 구동전압(Vlink)을 측정한다. In this case, the driving voltage measuring unit 50 measures the driving voltage Vlink supplied from the battery 10 to the inverter 30 from the relay 20 that interrupts the power supplied to the inverter 30.

한편, d축 전류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제어부(60)는 배터리(10)의 배터리 전압(Vbatt)과 구동전압 측정부(50)에 의해 측정된 구동전압(Vlink)의 차이값을 산출한다.On the other hand, as the d-axis current supply is cut off, the control unit 60 calculate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Vbatt of the battery 10 and the driving voltage Vlink measured by the driving voltage measurement unit 50.

배터리 전압(Vbatt)과 구동전압(Vlink)의 차이값이 산출됨에 따라, 제어부(60)는 배터리 전압(Vbatt)과 구동전압(Vlink)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설정전압, 예를 들어 0.9V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40).  As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Vbatt and the driving voltage Vlink is calculated, the control unit 60 sets a preset voltage, for example, 0.9V, between the battery voltage Vbatt and the driving voltage Vlink. It is determined whether it exceeds (S40).

단계(S40)에서의 판단 결과 배터리 전압(Vbatt)과 구동전압(Vlink)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설정전압 이하이면 제어부(60)는 릴레이(20)의 스위칭 상태를 오프 상태로 판정한다(S7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 if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Vbatt and the driving voltage Vlink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voltage, the controller 60 determines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20 to be off (S70). .

반면에, 단계(S40)에서의 판단 결과 배터리 전압(Vbatt)과 구동전압(Vlink)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설정전압을 초과하면, 제어부(60)는 릴레이 상태를 온 상태로 판정하고(S50), 릴레이(20)를 오프시킨 후(S60), 단계(S10)로 리턴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Vbatt and the driving voltage Vlink exceeds the preset volta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 the controller 60 determines the relay state to be on (S50). , After turning off the relay 20 (S60), returns to step S10.

이에, 제어부(60)는 인버터(30)를 통해 d축 전류를 모터(40)에 인가하고 이후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인버터(30)를 통해 모터(40)에 공급되는 d축 전류를 차단하고(S10~S30), 배터리 전압(Vbatt)과 구동전압 측정부(50)에 의해 측정된 구동전압(Vlink)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이 차이값이 설정전압을 초과하는지를 판단(S40)한 후, 판단 결과에 따라 릴레이 상태를 오프 상태로 판정(S70)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60 applies the d-axis current to the motor 40 through the inverter 30 and then blocks the d-axis current supplied to the motor 40 through the inverter 30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 S10 ~ S30), calculate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Vbatt and the driving voltage Vlink measured by the driving voltage measuring unit 50, determines whether the difference value exceeds the set voltage (S40), and then determines The relay state is determined to be off according to the result (S7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 및 방법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 모드시 모터(40)에 d축 전류를 인가한 후 구동전압(Vlink)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릴레이(20)의 스위칭 상태(ON/OFF)를 소프트웨적으로 판별할 수 있어 재료비와 크기 및 소자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lay state determining device and method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y a d-axis current to the motor 40 in the fail-safe mod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nd then drive voltage (Vlink) By monitoring, the switching state (ON / OFF) of the relay 20 can be determined in software, thereby reducing the material cost, size, and element defect rat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technology belongs can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 배터리
20: 릴레이
30: 인버터
40: 모터
50: 구동전압 측정부
60: 제어부
10: battery
20: relay
30: inverter
40: motor
50: driving voltage measuring unit
60: control unit

Claims (12)

모터에 d축 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
배터리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측정하는 구동전압 측정부; 및
상기 인버터를 통해 상기 모터에 d축 전류를 인가하여 차단한 후, 상기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
An inverter that supplies a d-axis current to the motor;
A driving voltage measuring unit measuring a driving voltage supplied to the inverter from a relay that interrupts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inverter; And
After applying the d-axis current to the motor through the inverter to cut off, and using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e voltage of the battery to determine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Relay status determination devic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의 차이값을 기 설정된 설정전압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
The relay state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a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by comparing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with a preset voltage. Discrimination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의 차이값이 상기 설정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오프 상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
The device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to be off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exceeds the set voltage.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의 차이값이 상기 설정전압 이하이면 상기 릴레이의 스위치 상태를 온 상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
The device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switch state of the relay to be o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volt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가 온 상태로 판별되면 상기 릴레이를 턴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relay when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is determined to be 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가 온 상태로 판별되어 상기 릴레이를 턴오프시킨 후에는 상기 모터에 d축 전류를 다시 인가하여 차단한 후, 상기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of the battery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ntroller applies the d-axis current to the motor again after turning off the relay after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is determined to be on and off. Device for determining the relay stat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using a voltage.
제어부가 인버터를 통해 모터에 d축 전류를 인가한 후 차단하는 단계;
d축 전류가 차단되면 구동전압 측정부가 배터리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방법.
A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applies a d-axis current to the motor through an inverter and then blocks;
When the d-axis current is cut off, the driving voltage measuring unit measures a driving voltage supplied to the inverter from a relay that interrupts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inverter; And
And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using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of the batter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의 차이값을 기 설정된 설정전압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방법.
According to claim 7,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The controller compares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with a preset voltage, and determines a relay stat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의 차이값이 상기 설정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오프 상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방법.
According to claim 8,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elay stat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exceeds the set voltage,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is determined to be off.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의 차이값이 상기 설정전압 이하이면 상기 릴레이의 스위치 상태를 온 상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방법.
According to claim 8,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elay stat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voltag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voltage, the switch state of the relay is turned 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가 온 상태로 판별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릴레이를 턴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turning off the relay by the control unit when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is determined to be 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가 온 상태로 판별되어 상기 릴레이를 턴오프시킨 후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에 d축 전류를 다시 인가하여 차단한 후, 상기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상기 구동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방법. The battery voltage and the driving of the battery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after the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is determined to be on and the relay is turned off, the controller re-applies and cuts off the d-axis current to the motor. And determining a switching state of the relay by using a voltage.
KR1020180145119A 2018-11-22 2018-11-22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lay state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KR102591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119A KR102591717B1 (en) 2018-11-22 2018-11-22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lay state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119A KR102591717B1 (en) 2018-11-22 2018-11-22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lay state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858A true KR20200059858A (en) 2020-05-29
KR102591717B1 KR102591717B1 (en) 2023-10-20

Family

ID=7091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119A KR102591717B1 (en) 2018-11-22 2018-11-22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lay state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71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5160A (en) * 2006-11-08 2008-05-29 Toyota Motor Corp Power supply apparatus, vehicle equipped with same, and control method of same
JP2009154677A (en) * 2007-12-26 2009-07-16 Jtekt Corp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2009266494A (en) * 2008-04-23 2009-11-12 Toyota Motor Corp Driving apparatus, hybrid vehicle carry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10007766A (en) * 2009-07-17 2011-01-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tor relay in the electric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JP2014054927A (en) * 2012-09-13 2014-03-27 Hitachi Automotive Systems Steering Ltd Power steering device
KR20170005910A (en) * 2015-07-06 2017-01-17 주식회사 만도 Operation control circuit for motor of electronic power steer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5160A (en) * 2006-11-08 2008-05-29 Toyota Motor Corp Power supply apparatus, vehicle equipped with same, and control method of same
JP2009154677A (en) * 2007-12-26 2009-07-16 Jtekt Corp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2009266494A (en) * 2008-04-23 2009-11-12 Toyota Motor Corp Driving apparatus, hybrid vehicle carry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10007766A (en) * 2009-07-17 2011-01-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tor relay in the electric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JP2014054927A (en) * 2012-09-13 2014-03-27 Hitachi Automotive Systems Steering Ltd Power steering device
KR20170005910A (en) * 2015-07-06 2017-01-17 주식회사 만도 Operation control circuit for motor of electronic power ste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717B1 (en)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04773A1 (en) Control device for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4392013B2 (en) Adjustment of the motor to control error shut-off
US20080017439A1 (en) Power steering apparatus
EP1623909A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20150244302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20040028494A (en) Motor-Driven Power Steering Control Apparatus
US8160777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20090071745A1 (en) Control unit for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2000184774A (en) Motor-controller
JP6349989B2 (en) Motor control device and steering device
JPH09290762A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2020005985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lay state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US11273862B2 (en) Steering control device
KR102207568B1 (en) Method for compensating current sensor offset of mdps motor
JP6129676B2 (en) VEHICLE ELECTRIC MOTOR CONTROL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CONTROL DEVICE
JP2002053057A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2022016310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dundacy motor
JP2002362393A (en) Control device for electric power steering
JP5966605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2009046044A (en) Control device for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2019001075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y of safe state in motor driv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4076722A (en) Motor controller
JP2014117064A (en) Motor controller
KR100738468B1 (en) Motor error prevention apparatus in eps system
KR101942249B1 (en) Apparatus for driving motor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