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759A -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y of safe state in motor driv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y of safe state in motor driv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759A
KR20190010759A KR1020170091922A KR20170091922A KR20190010759A KR 20190010759 A KR20190010759 A KR 20190010759A KR 1020170091922 A KR1020170091922 A KR 1020170091922A KR 20170091922 A KR20170091922 A KR 20170091922A KR 20190010759 A KR20190010759 A KR 20190010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unit
motor
failure
controlling
m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2483B1 (en
Inventor
이태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1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483B1/en
Publication of KR20190010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7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4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3Avoiding failures by using redunda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ntry of a safe mode in a motor driven steer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ntry of a safe mode in a motor driven steering apparatus comprises: a first switching unit controlling a motor driven current applied to a motor; a second switching unit controlling the motor driven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and a switching control unit restricting the motor driven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b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when detecting the motor driven steering apparatus is out of order.

Description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Y OF SAFE STATE IN MOTOR DRIV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ode entry control apparatus for a ste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식 조향 장치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전동식 조향 장치로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의 패스를 제어하여 전자 컨트롤 유닛이 안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afe mode of an electric stee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afe mode of an electric steering system by controlling a path of a motor driv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mode entr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lectric steering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enter a safe mode.

전동식 조향 장치(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MDPS)는 차속 감응형 파워스티어링 장치이다. 전동식 조향 장치는 차량속도에 따라 조향각 및 모터 움직임을 제어하면서 주행속도별로 최적의 조향감을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The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MDPS) is a vehicle speed sensitive power steering device.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provides the driver with the optimum steering feeling for each driving speed while controlling the steering angle and motor movement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차량 내 부품들이 전자화됨에 따라 차량의 기능 안전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차량의 전동식 조향 장치 분야에서도 국제 표준인 ISO26262를 만족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지속되고 있다.As parts in automobiles become more electronic, interest in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is increasing,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is continuing to meet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O26262 in the field of electric steering of vehicles.

이러한 국제 표준을 만족하고 전동식 조향 장치의 기능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페일 세이프 방안이 적용되고 있다.In order to meet thes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improve the functional safety of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fail-safe measures have been applied.

기존의 전동식 조향 장치의 페일 세이프 방법은 주로 전동식 조향 장치의 위험이 예상되는 고장을 중심으로 페일 세이프(Fail-Safe) 로직이 구현되고 전동식 조향 장치의 모터 구동 전류를 차단하여 전동식 조향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Fail-safe method of existing electric steering system is mainly composed of failure-safe logic centered on faults that are expected to cause danger of electric-powered steering system, and the operation of electric steering apparatus is blocked by interrupting the motor driving current of electric- Stopping method is used.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55678호(2016.09.01)의 '자동차용 전동식 조향 장치의 기능 안전을 위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55678 (2016.09.01) entitled "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Functional Safety of Electric Motorized Steering Device for Automobile ".

종래에는 전동식 조향 장치는 고장 발생시 안전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모터 구동 전류의 패스를 컨트롤하는데, 이 경우 고장을 감지하거나 또는 모터 구동 전류 패스를 컨트롤하는 부분에서 추가적인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전동식 조향 장치가 안전모드에 진입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past,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controls the path of the motor drive current in order to enter the safe mode in the event of a failure. In this case, if an additional failure occurs in the part for detecting a failure or controlling the motor drive current path, There is a problem that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can not enter the mode occur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전동식 조향 장치의 모터로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의 패스를 이중 스위칭 구조로 차단하여 ECU가 안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모드 진입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switching structure in which a path of a motor driving current applied to a motor of an electric-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entry into the safe mode, thereby providing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 mode entry control of an electric steering syste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는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칭부; 및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afety mode entry control apparatus of an electric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witching unit for controlling a motor driving current applied to a motor; A second switching unit for controlling a motor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And a switch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to interrupt the motor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when a failur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is sensed.

본 발명의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단속하는 릴레이; 및 상기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릴레이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witch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ay for interrupting a motor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And a relay driver for driving the rela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switching control unit.

본 발명의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단속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witch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verter for driving the motor; And a gate driver controlling the inverter to intermit the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본 발명의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M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witching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MCU for detecting a failur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본 발명의 상기 MCU는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고장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CU detects the failur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controls the second switching unit when a failure is detected in the first switching unit. When the failure is detected in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controls the first switching unit.

본 발명의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MCU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페일 세이프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witching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fail safe control unit for monitor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MCU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 monitoring result.

본 발명의 상기 페일 세이프 제어부는 상기 MCU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MCU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il saf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when a failure is detected in the MCU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CU.

본 발명의 상기 페일 세이프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ail saf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second switching unit when a failure is detected in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controls the first switching unit when a failure is detected in the second switching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방법은 MCU가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MCU가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단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afety mode entry control method for an electric steering system, including: detecting a failure of an electric steering system by an MCU; And at least one of a first switching unit for controlling a motor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and a second switching unit for controlling a motor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when the failur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is detected, And interrupting the motor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본 발명의 상기 MCU는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고장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CU detects the failur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controls the second switching unit when a failure is detected in the first switching unit. When the failure is detected in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controls the first switching unit.

본 발명의 페일 세이프 제어부가 상기 MCU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il saf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monitor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in accordance with a monitoring result by monitor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MCU.

본 발명의 상기 페일 세이프 제어부는 상기 MCU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MCU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il saf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when a failure is detected in the MCU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CU.

본 발명은 상기 페일 세이프 제어부가 상기 제1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il saf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ontrolling the second switching unit when a failure is detected in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controlling the first switching unit when a failure is detected in the second switching unit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전동식 조향 장치의 모터로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의 패스를 이중 스위칭 구조로 제어하여 ECU가 안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ECU의 안전모드 진입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tering a safe mode of an electric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a path of a motor drive current applied to a motor of an electric steering system in a dual switching structure so that the ECU can enter a safe mod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ECU in entering the safe mod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afety mode entry control apparatus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entry into a safe mode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try into a safe mode of an electric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Further,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safety mode entry control apparatus of an electric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entry into a safe mode of an electric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는 제1 스위칭부(10), 제2 스위칭부(20) 및 스위칭 제어부(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afety mode entry control apparatus of an electric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witching unit 10, a second switching unit 20, and a switching control unit 30.

제1 스위칭부(10)는 배터리로부터 전동식 조향 장치(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MDPS)의 모터에 공급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한다. The first switching unit 10 controls the motor driving current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motor of the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MDPS).

제1 스위칭부(10)는 릴레이(11) 및 릴레이 드라이버(12)를 포함한다.The first switching unit 10 includes a relay 11 and a relay driver 12. [

릴레이(11)는 일측이 배터리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2 스위칭부(20)의 인버터(21)에 연결되며, 릴레이 드라이버(12)의 구동신호에 따라 모터 구동 전류를 단속한다. The other end of the relay 11 is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the other end of the relay 11 is connected to the inverter 21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and controls the motor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of the relay driver 12.

릴레이 드라이버(12)는 스위칭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11)를 구동시켜 모터 구동 전류가 전동식 조향 장치에 공급 또는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The relay driver 12 drives the relay 11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witching control unit 30 so that the motor driving current can be supplied to or cut off from the electric steering apparatus.

제2 스위칭부(20)는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한다.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controls the motor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제2 스위칭부(20)는 게이트 드라이버(22) 및 인버터(21)를 포함한다.The second switching unit 20 includes a gate driver 22 and an inverter 21.

인버터(21)는 게이트 드라이버(22)의 구동신호에 따라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모터 구동 전류를 차단하여 모터에 모터 구동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인버터(21)로는 3상 인버터(3- Phase Inverter)가 채용될 수 있다. 즉, 인버터(21)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여 모터를 구동시킬 뿐만 아니라, 스위치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The inverter 21 controls the motor driving current by controlling the motor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of the gate driver 22, or blocks the motor driving current so that the motor driving current is not applied to the motor. As the inverter 21, a three-phase inverter (3-phase inverter) may be employed. That is, the inverter 21 not only drives the motor by controlling the motor driving current, but also acts as a switch.

게이트 드라이버(22)는 인버터(21) 내부의 FET Arrays(Field Effect Transistor Arrays)를 스위칭함으로써 모터를 제어하거나, 또는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게이트 드라이버(22)는 인버터(21)를 제어하여 인버터(21)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모터 구동 전류가 모터에 인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gate driver 22 controls the motor by switching the FET Arrays (Field Effect Transistor Arrays) in the inverter 21, or blocks the motor drive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In this case, the gate driver 22 controls the inverter 21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inverter 21, thereby preventing the motor drive current from being applied to the motor.

여기서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그 결과 모터 구동 전류는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로 이루어진 이중 스위칭 구조를 통해 모터 구동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시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안전모드 진입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Here, the first switching unit 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s a result, the motor driving current is su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Lt; / RTI > Thus, by interrupting the motor driving current through the dual switching structure consisting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nic control unit from entering the safe mod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hereby ensuring reliability.

스위칭 제어부(30)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고,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이 감지되면,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차단한다. The switching control unit 30 senses the failure of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and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to detect a failure of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The driving current is cut off.

스위칭 제어부(30)는 MCU(Micro Controller Unit)(31) 및 페일 세이프 제어부(32)를 포함한다. The switching control unit 30 includes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31 and a fail safe control unit 32.

MCU(31)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며,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이 감지되면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배터리로부터 모터에 모터 구동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The MCU 31 senses a failur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nd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to detect a failure of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Is not applied.

즉, MCU(31)는 전동식 조향 장치에 고장이 감지되면 제1 스위칭부(10)의 릴레이 드라이버(12)를 제어하여 릴레이(11)를 오프시키거나 또는 제2 스위칭부(20)의 게이트 드라이버(22)를 제어하여 인버터(21)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모터 구동 전류가 모터에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That is, when a fault is detected in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the MCU 31 controls the relay driver 12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 to turn off the relay 11, or the gate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22)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inverter (21) so that the motor drive current is not applied to the motor.

이 경우, MCU(31)는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제1 스위칭부(10)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2 스위칭부(20)의 게이트 드라이버(22)를 제어하여 인버터(21)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제2 스위칭부(20)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1 스위칭부(10)의 릴레이 드라이버(12)를 제어하여 릴레이(11)를 오프시킨다. In this case, the MCU 31 monitors the operation states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and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first switching unit 10, The relay driver 12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driver 22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inverter 21 or if a failure occurs in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Is turned off.

페일 세이프 제어부(32)는 MCU(31)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The fail safe control unit 32 monitors the operation state of the MCU 31 and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according to a monitoring result.

즉, 페일 세이프 제어부(32)는 MCU(31)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MCU(31)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MCU(31)의 고장이 감지되면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가 모터에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MCU(31)의 고장은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를 정상적으로 제어하지 못하는 경우이며, 이 경우에는 모터에 모터 구동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That is, the fail-safe control unit 32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the MCU 31 to monit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MCU 31, and when a failure of the MCU 31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And at least one of the switching units 20 is controlled to prevent the motor drive current from being applied to the motor. Here, the failure of the MCU 31 is a case where the first switching unit 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can not be normally controlled. In this case, a motor driving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motor.

한편, 페일 세이프 제어부(32)는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제1 스위칭부(10)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2 스위칭부(20)의 게이트 드라이버(22)를 제어하여 인버터(21)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제2 스위칭부(20)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1 스위칭부(10)의 릴레이 드라이버(12)를 제어하여 릴레이(11)를 오프시킨다. The fail safe control unit 32 monitors the operation states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first switching unit 10, The relay driver 12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gate driver 22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inverter 21 or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11) is turned off.

따라서, MCU(31)에 고장이 발생하여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를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없게 되더라도, 페일 세이프 제어부(32)가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MCU(31) 고장시에도 ECU가 안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시 ECU의 안전모드로 진입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first switching unit 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can not be normally controlled due to a failure in the MCU 31, the fail safe control unit 32 controls the first switching unit 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2 switching unit 20 to interrupt the motor drive current so that the ECU can enter the safe mode even when the MCU 31 malfunctions. This makes it possible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entering the safety mode of the ECU in the event of failure of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여기서 페일 세이프 제어부(32)로는 Power Supply IC(Fail-Safe IC) 또는 Sub MCU 등이 채용될 수 있다. Here, the fail safe controller 32 may be a power supply IC (Fail-Safe IC) or a sub-MCU.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제어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afety mode entry control controller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 를 참조하면, 먼저 MCU(31)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한다.Referring to FIG. 2, first, the MCU 31 detects a failure of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이 감지되면 MCU(31)는 제1 스위칭부(10)의 릴레이 드라이버(12)를 제어하여 릴레이(11)를 오프시키거나 또는 제2 스위칭부(20)의 게이트 드라이버(22)를 제어하여 인버터(21)의 동작을 정지시켜 모터에 모터 구동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The MCU 31 controls the relay driver 12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 to turn off the relay 11 or to turn on the gate driver 22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inverter 21 so that the motor drive current is not applied to the motor.

이 경우, MCU(31)는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데, 예를 들어 제1 스위칭부(10)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2 스위칭부(20)의 게이트 드라이버(22)를 제어하여 인버터(21)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2 스위칭부(20)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1 스위칭부(10)의 릴레이 드라이버(12)를 제어하여 릴레이(11)를 오프시킨다. In this case, the MCU 31 monitors the operation states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and monitors the operation state of either the first switching unit 10 or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For example, if a failure occurs in the first switching unit 10, the gate driver 22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is controlle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inverter 21,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relay driver 12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 to turn off the relay 11 if a failure occurs in the relay 20.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페일 세이프 제어부(32)는 MCU(31)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MCU(31)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제1 스위칭부(10)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2 스위칭부(20)의 게이트 드라이버(22)를 제어하여 인버터(21)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반면에 제2 스위칭부(20)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1 스위칭부(10)의 릴레이 드라이버(12)를 제어하여 릴레이(11)를 오프시킴으로써, MCU(31)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모터 구동 전류가 모터에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In the above process, the fail safe control unit 32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the MCU 31 to monit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MCU 31.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first switching unit 10, the fail- The relay driver 12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gate driver 22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0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inverter 21. On the other hand,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 The relay 11 is turned off so that the motor drive current is not applied to the motor even if a failure occurs in the MCU 31. [

즉, 페일 세이프 제어부(32)는 MCU(31)에 고장이 발생하여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를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없을 경우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MCU(31) 고장시에도 ECU가 안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when failure occurs in the MCU 31 and the first switching unit 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can not be normally controlled, the fail safe control unit 32 controls the first switching unit 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The switching unit 20 is controlled to interrupt the motor driving current so that the ECU can enter the safe mode even when the MCU 31 malfunctions.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에서,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를 포함한 이중 스위치 구조를 토대로 배터리로부터 모터 구동 전류가 모터에 인가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MCU(31)의 고장시 페일 세이프 제어부(32)가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를 각기 제어하여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시 모터 구동 전류를 모터에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That is, in the safety mode entry control apparatus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drive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motor (not shown) based on the double switch structure including the first switching unit 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 The fail safe control unit 32 controls the first switching unit 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0 when the MCU 31 fails and controls the motor driving current in the event of failur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Do not apply to the moto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모터로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의 패스를 이중 스위칭 구조로 제어하여 ECU가 안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ECU의 안전모드 진입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mode entry control apparatus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path of the motor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of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in a dual switching structure so that the ECU enters the safe mod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ECU in entering the safety mod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제1 스위칭부
11: 릴레이
12: 릴레이 드라이버
20: 제2 스위칭부
21: 인버터
22: 게이트 드라이버
30: 스위칭 제어부
31: MCU
32: 페일 세이프 제어부
10:
11: Relay
12: Relay driver
20:
21: Inverter
22: gate driver
30: Switching control section
31: MCU
32: Fail-safe control unit

Claims (13)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칭부; 및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A first switching unit for controlling a motor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A second switching unit for controlling a motor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And
And a switch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to interrupt a motor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when a failure of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is sensed,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단속하는 릴레이; 및
상기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릴레이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witching unit
A relay for controlling the motor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And
And a relay driver for driving the rela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switching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단속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switching unit
An inverter for driving the motor; And
And a gate driver for controlling the inverter to intermit the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M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witching control unit
And an MCU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by detecting a failur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고장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MCU detects a failur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controls the second switching unit when a failure is detected in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controls the first switching uni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first switching unit is activat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MCU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페일 세이프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switching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fail safe control unit for monitor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MCU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 monitoring resul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일 세이프 제어부는 상기 MCU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MCU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The system of claim 6, wherein the fail safe controller monitors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when a failure is detected in the MCU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CU. Of the safety mode entry control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일 세이프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The fail-safe control unit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ail-saf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switching unit when a failure is detected in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controls the first switching unit when a failure is detected in the second switching unit Safety Mode Entry Control System for Electric Steering System.
MCU가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MCU가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단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방법.
The MCU detecting a failure of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And
Wherein the MCU controls at least one of a first switching unit for controlling a motor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and a second switching unit for controlling a motor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when the failure of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is detected, And interrupting a motor drive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고장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방법.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MCU detects a failur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to control the second switching unit when a failure is detected in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if it is detected, controls the first switching unit.
제 9 항에 있어서, 페일 세이프 제어부가 상기 MCU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onitoring a state of operation of the MCU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 monitoring result,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fe mode entry of a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일 세이프 제어부는 상기 MCU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MCU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방법.
12. The system as claimed in claim 11, wherein the fail safe controller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when a failure is detected in the MCU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CU. The safe mode entry control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일 세이프 제어부가 상기 제1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controlling the second switching unit when a failure is detected in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controlling the first switching unit when a failure is detected in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KR1020170091922A 2017-07-20 2017-07-20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y of safe state in motor driv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3224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922A KR102322483B1 (en) 2017-07-20 2017-07-20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y of safe state in motor driv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922A KR102322483B1 (en) 2017-07-20 2017-07-20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y of safe state in motor driv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759A true KR20190010759A (en) 2019-01-31
KR102322483B1 KR102322483B1 (en) 2021-11-08

Family

ID=6532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922A KR102322483B1 (en) 2017-07-20 2017-07-20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y of safe state in motor driv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48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100B1 (en) * 2022-10-13 2023-04-06 주식회사 지구사랑 Capacitor power bank system with charging function of electric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547A (en) * 2002-09-17 2004-03-24 코요 세이코 주식회사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2015039256A (en) * 2013-03-15 2015-02-26 日本精工株式会社 Motor control device,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employing the same, and vehicle
JP2016096709A (en) * 2014-11-05 2016-05-26 日本電産エレシス株式会社 Motor drive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WO2017090612A1 (en) * 2015-11-24 2017-06-01 日本精工株式会社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equipped therewit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547A (en) * 2002-09-17 2004-03-24 코요 세이코 주식회사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2015039256A (en) * 2013-03-15 2015-02-26 日本精工株式会社 Motor control device,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employing the same, and vehicle
JP2016096709A (en) * 2014-11-05 2016-05-26 日本電産エレシス株式会社 Motor drive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WO2017090612A1 (en) * 2015-11-24 2017-06-01 日本精工株式会社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equipped therewi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100B1 (en) * 2022-10-13 2023-04-06 주식회사 지구사랑 Capacitor power bank system with charging function of electri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483B1 (en)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05672A1 (en) Motor controlle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5872047B2 (en) Drive system for electrically moving moving parts of automobiles
US20080017439A1 (en) Power steering apparatus
JP2005244334A (en) Semiconductor switch
JP2583468Y2 (en) Power steering device
JP2009077542A (en) Load drive circuit
KR20130137892A (en) Method and apparauts for controlling steering force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in fail case
JP6550469B2 (en) Vehicle-mounted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JP6562871B2 (en) Motor control device
KR2019001075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y of safe state in motor driv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273862B2 (en) Steering control device
KR20160119311A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KR2022016310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dundacy motor
KR101791287B1 (en) Steer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for vehicle
KR20170005910A (en) Operation control circuit for motor of electronic power steering
JP6721214B2 (en) Motor controller
JP2021106448A (en) Circuit board
JP3572801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1025917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lay state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KR100835197B1 (en) Fail safe control method in eps system
JP2013241030A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102362949B1 (en) Power failure diagnosis apparatus of mdps sensor and method thereof
JP4036585B2 (en) Fail-safe mechanism
JP2849258B2 (en) Work vehicle abnormality inspection structure
JP3759868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