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749A - 차량 내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내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749A
KR20200059749A KR1020180144852A KR20180144852A KR20200059749A KR 20200059749 A KR20200059749 A KR 20200059749A KR 1020180144852 A KR1020180144852 A KR 1020180144852A KR 20180144852 A KR20180144852 A KR 20180144852A KR 20200059749 A KR20200059749 A KR 20200059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module
un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1020180144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9749A/ko
Publication of KR20200059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8Vehicle exterior or in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차량 촬영부; 상기 차량 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와 상기 차량에 기설정된 설정 이미지를 서로 비교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 상기 이미지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사용 상태를 평가하는 상태 평가부; 및 상기 차량 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와 상기 상태 평가부에서 평가된 평가 결과를 관리자 서버에 전송하는 상태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내부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INSID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내부 관리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사용후 차량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와, 차량 사용전 차량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사용후 차량의 사용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차량 내부 이미지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렌터카 서비스는 렌터카 회사 또는 대여점이 이용 가능한 차량의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렌터카를 이용하려는 고객은 렌터카 회사 또는 대여점에서 직접 제공되는 차량에 대하여 대여를 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고객이 차량의 이용을 완료하여 차고지에 차량을 반납하는 경우, 차량 관리자가 사용후 차량의 내부를 직접 확인하여 차량 사용 상태를 평가함으로써 차량 사용 상태에 따라 세차 여부 및 유실물을 존재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렌터카 뿐만 아니라, 카쉐어링 사용시 모든 차고지에 담당직원이 없기때문에 차량 상태의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후 차량의 사용 상태를 이미지 인식에 의해 자동 평가하여 차량 사용 상태에 따라 고객에게 할인혜택 및 패널티를 부과하고, 차량의 세차 등급을 선정하며, 차량 내 유실물을 확인하고, 차량 내부 파손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고객과 업체의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 내부 이미지 인식 장치를 발명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5944호 (20120213)
본 발명은 차량 사용후 차량 내부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와, 차량 사용전 차량 내부를 촬영한 설정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사용후 차량의 사용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차량 내부 이미지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사용 상태에 따라 차량을 청결하게 사용한 고객에게 할인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내부 이미지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사용 상태에 따라 차량을 청결하게 사용하지 않은 고객에게 패널티를 부과하되, 청결도 등급제와 연계하여 청결 등급에 따라 패널티를 다양하게 부과할 수 있는 차량 내부 이미지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사용 상태에 따라 세차 등급을 선정하여 해당 등급에 따른 최적의 세차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세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 내부 이미지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후 차량에 유실물이 존재하는 경우 차량 관리자가 해당 유실물을 확인함으로써 고객에게 해당 유실물을 고지할 수 있는 차량 내부 이미지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사용전 설정 이미지, 차량 사용후 촬영 이미지 및 세차 및 내부 점검이 완료된 촬영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사용후의 차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차량 내부 이미지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차량 내부 파손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고객과 업체의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어 공유카 문화가 더 활성화될 경우, 차량 내부 점검을 수시로 진행하여 세차, 분실물, 파손 등에 대한 모니터링에 대한 정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차량 내부 이미지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 관리 시스템은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차량 촬영부; 상기 차량 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와 상기 차량에 기설정된 설정 이미지를 서로 비교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 상기 이미지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사용 상태를 평가하는 상태 평가부; 및 상기 차량 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와 상기 상태 평가부에서 평가된 평가 결과를 관리자 서버에 전송하는 상태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 이미지 인식 장치에 의하면, 차량 사용후 차량 내부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와, 차량 사용전 차량 내부를 촬영한 설정 이미지, 예를 들면 세차 직후인 차량이 가장 청결한 시점에 차량 내부를 촬영한 설정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사용후 차량의 사용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사용 상태에 따라 차량을 청결하게 사용한 고객에게는 할인혜택을 제공하고, 차량을 청결하게 사용하지 않은 고객에게는 패널티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청결도 등급제와 연계하여 청결도 등급에 따른 점수를 제공하여 고객에게 해당 차량의 사용 청결도를 피드백함으로써 고객의 능동적인 청소 및 청결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사용 상태에 따라 세차 등급을 선정하여 해당 등급에 따른 최적의 세차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세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무조건적인 정기 세차 업체의 세차가 아니라 필요한 순간에만 세차를 진행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또한 많이 더럽지않은 경우 전문업체가 아닌 저렴한 비용의 비전문 세차인력, 예를 들면 아르바이트 인력을 이용하여 세차를 진행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아울러, 더러운 차에 대한 상태를 다음 고객에게 인지시킨 후 스스로 청소하고 이용할 경우 할인해준다는 서비스 도입을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후 차량에 유실물이 존재하는 경우 차량 관리자가 해당 유실물을 확인함으로써 고객에게 해당 유실물을 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사용전 설정 이미지, 차량 사용후 촬영 이미지 및 세차 및 내부 점검이 완료된 촬영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사용후의 차량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차량의 처음 상태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상태의 변화를 통한 에이징 판단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차량 내부 파손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고객과 업체의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어 공유카 문화가 더 활성화될 경우, 차량 내부 점검을 수시로 진행하여 세차, 분실물, 파손 등에 대한 모니터링에 대한 정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 이미지 인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촬영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촬영부의 제 1실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촬영부의 제 2실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분석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교모듈에서 비교하는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의 제 1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교모듈에서 비교하는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의 제 2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태 평가부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 이미지 인식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 이미지 인식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촬영부(100), 이미지 분석부(200), 상태 평가부(300) 및 상태 전송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고지에 차량이 반납된 상태에서 해당 차량 내부에 고객이 없는 경우에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촬영부(100)는 고객의 차량 사용후 차량의 사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차량 내부를 촬영하여 차량 내부의 촬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촬영부의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 촬영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이드부재인 레일(110), 카메라(120), 틸트부재(130), 센싱부재(140) 및 제어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110)은 차량의 내부 천장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레일(110)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후술하는 카메라(120)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110)은 차량의 길이방향 뿐만 아니라 옆방향으로 설치되어 카메라(120)를 차량의 옆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직선 형상이 아니라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카메라(120)를 곡선 레일을 통해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촬영부의 제 1실시도이다.
상기 카메라(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0) 상에 직접 설치되어 해당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차량 내부를 촬영함으로써 상기 촬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될 수도 있고 천장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120)는 차량에 기설치된 블랙 박스를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카메라를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카메라(120)는 차량의 길이방향 및 옆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차량 1열의 운전석 및 조수석, 차량 2열의 양 좌석을 순차적으로 촬영하여 해당 열에 매칭되는 촬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20)는 해당 차량이 예를 들어 3열이 존재하거나, 탑승 공간에 트렁크가 구비되는 차량인 경우, 차량 3열의 좌석 및 트렁크를 순차적으로 촬영하여 해당 공간과 매칭되는 촬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120)는 차량 천장에 선루프가 있거나 다른 장치가 있는 경우 회피 설치된 레일(110)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촬영부의 제 2실시도이다.
상기 틸트부재(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0)과 카메라(120) 사이에 설치되되, 레일 상에 직접 설치되어 해당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카메라(120)를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레일(110)은 일직선이 아닌 썬루프 장착 차량 또는 그 차량의 특성에 맞게 변화할 수 있는데, 이러한 레일(110)은 단순한 일직선의 형태가 아닌 곡선의 형태일 수 있으며 썬루프 장착된 차량과 같이 차량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틸트부재(130)는 레일 상의 특정 지점에서 카메라를 일정 각도로 틸트시킴으로써 해당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카메라(120)가 다양한 각도에서 차량 내부를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부에 대한 다양한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재(140)는 카메라에 설치되어 차량 내부의 조도 및 명암을 포함하는 차량 내부 환경을 센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센싱부재(140)는 밝기를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재(150)에 연결되어 센싱한 결과값을 제어부재(15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재(150)는 카메라 및 틸트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해당 카메라 및 틸트부재를 각각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제어부재(150)는 센싱부재(140) 및 차량 내부에 설치된 조명(미도시)에 각각 연결되어 센싱부재에서 센싱된 결과값에 따라 해당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재(150)는 예를 들어, 차량 내부의 밝기에 대한 다양한 구간을 설정한 후, 상기 센싱부재(140)에서 센싱된 결과값이 특정 구간에 속하는 경우, 해당 구간과 매칭되는 밝기로 해당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차량 내부의 밝기가 어두운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차량 내부의 밝기를 조절하여 상기 촬영 이미지를 용이하게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재(150)는 카메라의 촬영 이미지 값 또는 카메라의 위치값을 각각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아 카메라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카메라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하여 촬영을 하기 위해서 카메라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주는 명령도 제어부재에서 하고, 또한 특정 위치를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를 기울이고 회전시켜주는 명령도 제어부재에서 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재(150)는 카메라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고, 카메라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조명을 변화시킬 수 있고, 카메라 회전을 통한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원발명에서는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모터 고정형의 경우 고정된 모터에서 끈 또는 체인과 같이 레일을 이동시키다가 카메라를 당겨서 이동시키는 방법이나, 이동형 모터의 경우 카메라와 모터가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어 직접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분석부(200)는 차량 촬영부(100)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와 차량에 기설정된 설정 이미지를 서로 비교 및 분석하여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의 불일치율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이미지는 차량 사용전 차량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로, 이러한 설정 이미지는 세차 직후 오염이 없는 상태의 차량 이미지가 설정될 수 있고, 후술바는 바와 같이, 이미지 분석부(200)에 포함된 저장모듈(250)에 기저장될 수 있다.
또한, 촬영 이미지는 카메라가 특정 위치에 정지하여 촬영한 정지사진으로 이루어지거나, 카메라가 일정속도로 이동하며 촬영한 스테레오 이미지 또는 영상 이미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분석부의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미지 분석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모듈(210), 비교모듈(220), 산출모듈(230), 출력모듈(240) 및 저장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모듈(210)은 카메라(120) 및 저장모듈(250)에 각각 연결되어 카메라에서 촬영한 촬영 이미지와 저장모듈에 기저장된 설정 이미지를 각각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비교모듈(220)은 입력모듈에 각각 입력된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를 서로 비교 및 분석하여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의 불일치 영역을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교모듈(220)은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의 색상을 서로 비교하여 촬영 이미지의 전체 영역 중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의 색상 차이가 발생된 영역을 불일치 영역으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모듈(220)은 불일치 정도, 사물 인식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감지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담배꽁초와 같이 작은 물체의 경우 불일치 정도는 적으나 사물인식을 통해 큰 패널티를 부과하거나 이물질 점수를 더 높게 하여 고객청결점수를 떨어트릴 수 있고, 나아가 라이다 센서, 적외선 센서와 같은 3d 센서(깊이 인식센서)를 활용하여 이미지 내의 변화값을 인식하여 물체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교모듈에서 비교하는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의 제 1예시도이다.
상기 비교모듈(220)은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1열의 설정 이미지(a)와 촬영 이미지(b)를 서로 비교한 결과, 차량 1열의 센터페시아 부분 및 조수석에서 각각 색상 차이가 발생된 영역이 발견되는 경우, 해당 영역을 불일치 영역으로 검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교모듈에서 비교하는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의 제 2예시도이다.
또한, 상기 비교모듈(220)은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2열의 설정 이미지(a)와 촬영 이미지(b)를 서로 비교한 결과, 차량 2열의 우측좌석 앞부분, 중앙좌석, 중앙좌석 앞부분 및 좌측좌석에서 각각 색상 차이가 발생된 영역이 발견되는 경우, 해당 영역을 불일치 영역으로 검색할 수 있다.
즉, 상기 비교모듈(22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별도의 물건이 위치하는 경우 해당 영역을 색상 또는 깊이의 차이가 발생한 영역으로 판단하여 불일치 영역으로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교모듈(220)은 촬영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별도의 물건이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해당 영역을 불일치 영역으로 검색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교모듈(220)은 도 6의 운전석 및 도 7의 우측좌석과 같이 별도의 물건이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해당 좌석 중 특정 영역이 이물질에 의한 얼룩으로 오염된 경우, 이러한 오염 영역을 색상 차이가 발생된 영역으로 판단하여 해당 영역을 불일치 영역으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산출모듈(230)은 비교모듈에서 검색된 불일치 영역에 따라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의 불일치율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출모듈(230)은 촬영 이미지의 전체 영역에서 불일치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로 불일치율을 산출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불일치율은 촬영 이미지의 전체 면적과 불일치 영역의 합계 면적 간의 상대적인 면적 비율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영 이미지의 전체 면적을 100이라 가정했을 때, 불일치 영역의 합계 면적이 10인 경우, 이들 두 면적의 상대적인 면적 비율인 10%를 불일치율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모듈(230)은 촬영 이미지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불일치 영역의 개수로 불일치율을 산출할 수 있는데, 이는 불일치 영역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불일치율이 증가한다는 가정하에 해당 불일치율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해당 원리와 다양한 변수 조건이 추가된 함수를 산출모듈에 적용함으로써 해당 불일치율을 산출할 수 있다.
즉, 불일치 영역(범위), 불일치 정도(강도), 깊이 인식의 불일치 정도, 사물 인식을 통한 불일치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복합적으로 판별하여 불일치율에 대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의자 위치 이동, 각도 변화, 안전벨트 위치 변화, 사이드 바 위치 변화 등에 대해서는 이미지 학습로직을 이용하여 변화에 따른 불일치 판단시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불일치에 대한 인식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산출모듈(230)은 촬영 이미지의 전체 영역에서 불일치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과, 상기 촬영 이미지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불일치 영역의 개수를 혼합 적용함으로써 상기 불일치율을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 출력모듈(240)은 산출모듈에서 산출된 불일치율을 출력한 후, 후술하는 상태 평가부(300)로 해당 불일치율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모듈(240)은 비교모듈에서 검색된 상기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의 불일치 영역을 출력한 후, 후술하는 상태 평가부(300)로 해당 불일치율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저장모듈(25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에 기설정된 설정 이미지를 저장하여 해당 설정 이미지를 입력모듈(21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평가부(300)는 이미지 분석부(200)의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후 차량의 사용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태 평가부의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태 평가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평가모듈(310), 세차 선정모듈(320), 유실물 확인모듈(330), 유실물 저장모듈(340) 및 파손 확인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 평가모듈(310)은 출력모듈(240)에 연결되어 해당 출력모듈에서 출력된 불일치율에 따라 차량에 대한 고객의 사용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객 평가모듈(310)은 출력모듈에서 출력된 불일치율이 기설정값 이하인 경우, 해당 고객에게 차량 사용에 대한 할인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데, 점수 제공과 같은 제도를 통해 사용의 청결도를 피드백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객의 능동적인 청소 및 청결 유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객 평가모듈(310)은 할인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기준 설정값으로 불일치율을 5%로 설정할 수 있는데, 해당 경우 출력모듈에서 출력된 불일치율이 5% 이하인 경우 고객의 사용 상태를 "좋음" 으로 평가하여 차량 사용비용을 할인할 수 있다. 이때, 고객에 대한 할인율은 불일치율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고객 평가모듈(310)은 해당 불일치율이 5% 를 초과하는 경우 고객의 사용 상태를 "나쁨" 으로 평가하여 차량 사용비용을 할인하지 않을 수 있고, 특히, 해당 불일치율이 10% 이상으로 매우 청결하지 않은 경우, 촬영 이미지인 사진을 근거로 하면서 추가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이때, 불일치율과 더불어 예를 들면, 흙먼지 -5, 음식물 -10, 담배꽁초 -20 과 같이, 사물인식을 통한 사용자의 청결도도 같이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세차 선정모듈(320)은 출력모듈(240)에 연결되어 해당 출력모듈에서 출력된 불일치율에 따라 차량에 대한 세차 등급을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차 선정모듈(320)은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불일치율 구간과, 각 구간에 매칭되는 세차 등급을 각각 선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세차 선정모듈(320)은 출력모듈에서 출력된 불일치율이 다양한 불일치율 구간 중 특정 구간에 속하는 경우, 해당 구간과 매칭되는 세차 등급을 차량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차량 관리자로 하여금 세차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해당 등급에 따른 최적의 세차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다음 사용자에게 알려 직접 치울 경우 할인을 해주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세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유실물 확인모듈(330)은 차량에서 분실된 유실물의 존재 여부를 차량 관리자에게 확인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실물 확인모듈(330)은 출력모듈(240)에서 출력된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의 불일치 영역이 유실물 저장모듈(340)에 저장된 유실물의 이미지와 매칭되는 경우, 차량 관리자에게 유실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유실물이 차량에 존재하는 경우 고객에게 해당 유실물을 고지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사물 인식, 예를 들면 딥러닝을 통한 이미지인식을 통하여 책, 반지, 휴대폰 등 쓰레기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물건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유실물로 판단하여 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실물 확인모듈(330)은 상기 불일치 영역과 상기 유실물 저장모듈(340)에 저장된 유실물의 매칭율이 기설정된 매칭율 이상인 경우, 차량에 유실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유실물의 존재 여부를 차량 관리자에게 확인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유실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시키기 위한 상기 매칭율은 차량 관리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파손 확인모듈(350)은 차량의 파손 여부를 차량 관리자에게 확인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손 확인모듈(350)은 출력모듈(240)에서 출력된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의 불일치 영역을 사물 인식을 통하여 차량이 파손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차량 관리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태 전송부(400)는 상기 차량 촬영부(100)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와 상기 상태 평가부(300)에서 평가된 평가 결과를 관리자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관리자 서버를 운영하는 차량 관리자에게 해당 촬영 이미지와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전송부(400)는 상기 상태 평가부(300) 자체적으로 평가가 어려운 경우 상기 차량 촬영부(100)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관리자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차량 관리자가 직접 평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사용후 차량 내부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와, 차량 사용전 차량 내부를 촬영한 설정 이미지 또는 세차 후 촬영한 기준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사용후 차량의 사용 상태를 평가함으로써, 차량을 청결하게 사용한 고객에게 사용 청결도 점수화와 같은 제도를 통해 사용의 청결도를 피드백하여 할인혜택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차량의 사용 상태에 따라 세차 등급을 선정하여 해당 등급에 따른 최적의 세차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세차 비용을 절감하고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사용후 차량에 유실물이 존재하는 경우 차량 관리자가 해당 유실물을 확인함으로써 고객에게 해당 유실물을 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아울러, 차량 내부 파손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고객과 업체의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어 공유카 문화가 더 활성화될 경우, 차량 내부 점검을 수시로 진행하여 세차, 분실물, 파손 등에 대한 모니터링에 대한 정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 이미지 인식 장치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차량 촬영부 110:레일
120:카메라 130:틸트부재
140:센싱부재 150:제어부재
200:이미지 분석부 210:입력모듈
220:비교모듈 230:산출모듈
240:출력모듈 250:저장모듈
300:상태 평가부 310:고객 평가모듈
320:세차 선정모듈 330:유실물 확인모듈
340:유실물 저장모듈 350:파손 확인모듈
400:상태 전송부

Claims (1)

  1.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차량 촬영부;
    상기 차량 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와 상기 차량에 기설정된 설정 이미지를 서로 비교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
    상기 이미지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사용 상태를 평가하는 상태 평가부; 및
    상기 차량 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와 상기 상태 평가부에서 평가된 평가 결과를 관리자 서버에 전송하는 상태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 관리 시스템.
KR1020180144852A 2018-11-21 2018-11-21 차량 내부 관리 시스템 KR20200059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852A KR20200059749A (ko) 2018-11-21 2018-11-21 차량 내부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852A KR20200059749A (ko) 2018-11-21 2018-11-21 차량 내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749A true KR20200059749A (ko) 2020-05-29

Family

ID=7091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852A KR20200059749A (ko) 2018-11-21 2018-11-21 차량 내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974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944B1 (ko) 2004-09-06 2012-02-13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차 시트 상의 물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944B1 (ko) 2004-09-06 2012-02-13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차 시트 상의 물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956B1 (ko) 차량 내부 이미지 인식 장치
US10007981B2 (en) Automated radial imaging and analysis system
CN107209082B (zh) 战术移动监视系统
CN103164708B (zh) 确定车辆承载检测的像素分类阈值
CN103959041B (zh) 附着物探测器和附着物检测方法
EP3109117A1 (en)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trunk of car,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CN105992999A (zh) 装配模块
CN103287339A (zh) 停车支援系统
CA2599002A1 (en) Entry control point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140118361A (ko) 종합 주차 관제 시스템
CN102985788A (zh) 距离测定装置以及距离测定方法
US202100348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sion-Based Vehicle Interior Environment Sensing Guided by Vehicle Prior Information
KR101968203B1 (ko) 주차관제시스템
US11260794B2 (en) Periphery monitoring device
CN108290548A (zh) 用于装载机动车辆的辅助设备
US20130051625A1 (en) Front seat vehicle occupancy detection via seat pattern recognition
US11820338B2 (en) Autonomous vehicle cleaning and feedback system using adjustable ground truth
CN106080399A (zh) 车辆的内后视野校核方法
WO2014061793A1 (ja) 車両窓検出システム、車両窓検出方法及び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8986249B (zh) 基于全景环视图像的车辆远程定损方法和系统
CN108394372A (zh) 用于识别座椅占用的方法
KR20200059749A (ko) 차량 내부 관리 시스템
CN110316156B (zh) 用于检测车辆内部空间的清洁必要性的方法以及处理装置
WO2015101724A1 (fr) Dispositif et procédé de rétro-vision à affichage électronique pour véhicule
FR3059137A1 (fr) Procede et systeme de detection d'un objet en relief dans un par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