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393A - Multi-purpose child's a spoon stand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child's a spoon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393A
KR20200059393A KR1020180144053A KR20180144053A KR20200059393A KR 20200059393 A KR20200059393 A KR 20200059393A KR 1020180144053 A KR1020180144053 A KR 1020180144053A KR 20180144053 A KR20180144053 A KR 20180144053A KR 20200059393 A KR20200059393 A KR 20200059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cutlery
chopsticks
storage uni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0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6002B1 (en
Inventor
한금수
조성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한스틸
조성열
한금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한스틸, 조성열, 한금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한스틸
Priority to KR1020180144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002B1/en
Publication of KR20200059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3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0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spoon holder for children, and more specifically, to a multi-purpose spoon holder for children, wherein an additional spoon storage unit is accommodated in a spoon holder main body, and a protrusion member which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a lid of the spoon holder main body prevents a spoon and chopsticks from being moved on the inside, thereby preventing noise during carriage and travel.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poon holder main body (100) which has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is composed of a lid (110) and an accommodating unit (120); and a spoon storage unit (130) in which a spoon (210) and chopsticks (220) are accommodated on the inside of the spoon holder main body (100). Here, the chopsticks (220) ar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poon (210) on the inside of the spoon storage unit (130). Therefore, when the multi-purpose spoon holder for children is stored in a storage means to be carried, the spoon (210) and the chopsticks (220) accommodated in the spoon storage unit (130) are prevented from being moved on the inside of the spoon holder main body (100).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protrusion member (111) which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110) towards the spoon (210) in order to com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poon (210); and an elastic support unit (131)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chopsticks (220) from the lower portion by the pressurizing force of the protrusion member (111) when the lid (110) is closed.

Description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Multi-purpose child's a spoon stand}Multi-purpose child's a spoon stand

본 발명은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수저통 본체 내부에 별도의 수저 수납부가 수용되며, 수저통 본체의 뚜껑 내부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재에 의해 숟가락 및 젓가락이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아 소지 후 이동할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김밥도시락통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utlery container for infants, specifically, a separate cutlery storage unit is accommodated inside the cutlery container body, and the spoon and chopsticks do not move inside and move after being carried by a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inside the lid of the cutlery container body. It relates to a multi-purpose spoon container for infants that can be used as a gimbap lunch box without generating noise.

일반적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넣어 보관하기 위하여 수저통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저통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In general, spoons and chopsticks have been widely used for storage, and these spoon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그러나 종래의 수저통은 각 제품마다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케이스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제조되었으며, 이러한 단순형상에 디자인 변화를 주는 정도이므로, 그 변화의 폭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주방이나 식탁에 비치되는 수저통이 기능적인면만 강조될 뿐, 새로운 미감을 연출할 수 없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utlery box is somewhat different for each product, but it is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a storage space inside the case. In addition, the cutlery provided on the table was emphasized only on the functional side, and it was impossible to produce a new sense of beauty.

특히, 어린이 및 유아들로부터 친밀감을 얻기 위하여 수저통의 외면에 각종 동물을 인쇄하는 방법이 통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인쇄방법은 입체적이지 못하므로 실제감이 없어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in order to obtain intimacy from children and infants, a method of printing various animals on the outer surface of a spoon has been commonly used, but since such a printing method is not three-dimensional, there is no real sense, and thus, it is difficult to obtain a great response.

게다가 상기한 유아용 수저통의 경우 내부에 별도의 지지수단이 없기 때문에 가방이나 도시락 가방에 수용하여 이동할 경우 숟가락과 젓가락이 서로 부딪히거나 숟가락과 젓가락이 수저통에 부딪혀서 상당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소음으로 인해 주위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separate support means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baby spo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ignificant noise is generated when spoons and chopsticks collide with each other or when spoons and chopsticks collide with spoons when they are accommodated in a bag or lunch bag. In addition,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noise caused discomfort to the surrounding people.

아울러, 종래의 수저통은 단순히 수저통으로만으로 사용함으로 인하여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 of the conventional spoon is relatively low due to the use of the spoon only.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83029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8302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저통 본체 내부에 별도의 수저 수납부가 수용되며, 수저통 본체의 뚜껑 내부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재에 의해 숟가락 및 젓가락이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아 소지 후 이동할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which is a separate spoon hold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spoon body, and the spoon and chopsticks are not moved inside by a protrusion member protruding inside the lid of the spoon bod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cutlery for infants that does not generate noise when moving after carry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저통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수저 수납부를 제거하면 김밥 도시락통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cutlery container for infants that can be used as a gimbap lunch box by removing the cutlery storage provided inside the cutlery container body.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뚜껑(110)과 수용부(120)로 구성되는 수저통 본체(100); 및 상기 수저통 본체(100)의 내부에 숟가락(210)과 젓가락(220)이 수용되는 수저 수납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수저 수납부(130)의 내측에 상기 숟가락(210)의 상부에 젓가락(220)이 안착되어,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을 수납수단에 담아 이동할 시 상기 수저 수납부(130)에 수용된 숟가락(210) 및 젓가락(220)이 수저통 본체(100)의 내부에서 유동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뚜껑(110)의 내측면에 상기 숟가락(210)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숟가락(210)의 상부면과 접하는 돌출부재(111)와, 상기 뚜껑(110)을 닫았을 시 돌출부재(111)의 가압력에 의해 젓가락(220)을 하부에서 탄성으로 지지하는 탄지부(1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therein, the lid 110 and the receiving container body 120 consisting of a receiving unit 120; And a spoon storage unit 130 in which a spoon 210 and a chopstick 220 are accommodated inside the spoon container main body 100, but includes an upper portion of the spoon 210 inside the spoon storage unit 130. When the chopsticks 220 are seated on the spoon, the spoon 210 and the chopsticks 220 accommodated in the cutlery storage unit 130 flow in the inner portion of the cutlery container body 100 when the multipurpose cutlery for infants is moved in the storage means. In order to prevent the protruding member 111 protruding toward the spoon 21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110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poon 210 and the protruding member when the lid 110 is closed (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tangible portion 131 to elastically support the chopsticks 220 from the bottom by the pressing force of 111).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저통 본체(100)는, 상기 수저 수납부(130)를 제거 하였을 시 상기 수저통 본체(100)를 김밥 도시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utlery main body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use the cutlery main body 100 as a gimbap lunch box when the cutlery storage unit 130 is remov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220)에는 그 상단에 문양 인쇄부(221)가 구비되어 상기 수저통 본체(100)를 직립시켰을 시 장난감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hopstick 220 is provided with a pattern printing unit 221 on its upper e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as a toy when the upright of the spoon body 1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저통 본체(100)는 강도 보상을 위해 상기 돌출부재(111)의 상부에 보조 돌출부재(112)가 더 구비되어 상기 수저 수납부(130)와 접촉되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utlery tube main body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protruding member 112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ember 111 to compensate for strength,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utlery storage unit 130. Is done.

본 발명의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에 의하면, 수저통 본체를 구성하는 뚜껑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재에 의해 숟가락 및 젓가락이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아 소음이 발생되지 않아 이동 시 소음에 의해 불쾌감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ulti-purpose cutlery for inf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oon and chopsticks do not move inside, due to the protruding members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cutlery, so that no noise is generated, and the effect of discomfort due to noise during movement is eliminated. have.

또한, 수저통 본체의 기능 외에 수저 수납부를 제거하면 김밥 도시락통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removing the spoon storage part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the spoon container body, it can also be used as a gimbap lunch box, which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thereby increasing usability.

또한, 젓가락의 문양 인쇄부에 어린이 및 유아들이 좋아하는 캐릭터를 인쇄 또는 전사하여 수저통에 수납한 후 직립시키게 되면 장식품 및 장난감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어린이 및 유아가 유희를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f the characters that children and toddlers like are printed or transferred to the chopstick printing section and stored in the spoon, then they can be used as ornaments and toys, so children and toddlers can feel joy.

도 1은 본 발명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의 수저 수납부가 안착된 후 숟가락과 젓가락이 수용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수저 수납부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이 김밥 도시락으로 활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에 캐릭터가 인쇄된 젓가락을 수납한 후 직립시켜 완구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multi-purpose cutlery for inf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spoon and chopsticks are accommodated after the spoon storage portion of the multipurpose cutlery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poon receiving portion of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purpose cutlery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utilized as a gimbap lunch box.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aracter is printed on a multi-purpose cutlery for an inf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used as a toy by standing uprigh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indica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specific matters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selected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appeara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have.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ir mean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rrespond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not simply the name of the term.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The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just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herein exists,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cutlery for inf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의 수저 수납부가 안착된 후 숟가락과 젓가락이 수용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수저 수납부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이 김밥 도시락으로 활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에 캐릭터가 인쇄된 젓가락을 수납한 후 직립시켜 완구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multi-purpose cutlery for inf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on of FIG. ,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Fig. 1, Fig.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utlery storage part of Fig. 1,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how the multipurpose cutlery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utilized as a gimbap lunch box, and Fig. 7 is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how a character printed chopsticks are stored in a multipurpose cutlery for children and used upright as a toy.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은 숟가락과 젓가락이 수납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숟가락 자루가 위치되는 부분을 상부, 숟가락 끝부분이 위치되는 부분을 하부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multi-purpose cutlery container for inf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portion where the spoon is located at the top and the portion where the tip of the spoon is located as the lower part based on when the spoon and chopsticks are stored.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뚜껑(110)과 수용부(120)로 구성되는 수저통 본체(100)가 구비된다. 상기 수저통 본체(1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너비가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평면에서 보았을 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나타내게 된다.1 to 7, the present invention multipurpose cutlery container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is provided with a cutlery container body 100 composed of a lid 110 and a receiving part 120. The cutlery main body 100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in width as it go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exhibits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when viewed from a plane.

한편, 상기 수저통 본체(100)의 내부에 숟가락(210)과 젓가락(220)이 수용되는 수저 수납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수저 수납부(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에 숟가락(210) 및 젓가락(2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그 내측의 형상은 대략 숟가락(210)의 형상으로 함몰형성되어 그 내측부에 숟가락(210)이 안착된 후 그 상부면에 젓가락(220)이 안착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 spoon 210 and a spoon storage unit 130 in which the spoon 210 and chopsticks 220 are accommodated are provided inside the spoon body 100. The cutlery storage unit 130 is configured so that the spoon 210 and the chopsticks 220 may be sequentially stacked therein as shown in FIGS. 3 and 4. Therefore, the shape of the inner side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shape of the spoon 210, so that the spoon 210 is seated on the inner side, and then the chopstick 22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저통 본체(100)에는 가방 또는 도시락 가방에 수납되어 이동 시 수저통 본체(100)의 내측에 있는 숟가락(210)과 젓가락(220)이 내부에서 유동되어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뚜껑(110)의 내측면에 상기 숟가락(210)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숟가락(210)의 상부면과 접하는 돌출부재(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뚜껑(110)을 닫았을 시 돌출부재(111)의 가압력에 의해 젓가락(220)을 하부에서 탄성으로 지지하는 탄지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탄지부(131)는 수저 수납부(130)의 바닥면 일부가 절개되고 그 단면의 형상이 대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서 가압되는 압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poon 210 and the chopsticks 220 inside the cutlery main body 100 are stored in a bag or lunch box in the cutlery main body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o as to prevent noise from flowing inside. A protruding member 111 protruding toward the spoon 21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110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poon 210. In addition, when the lid 110 is closed, a tange portion 131 elastically supporting the chopstick 220 from the bottom is form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otruding member 111. The tandem portion 131 is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utlery storage portion 130 is cut off and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 shape to absorb the pressure pressed from the top.

한편, 상기 수저통 본체(100)는 강도 보상을 위해 상기 돌출부재(111)의 상부에 보조 돌출부재(112)가 더 구비되어 상기 수저 수납부(130)와 접촉되어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보조 돌출부재(112)는 수저통 본체(100)에 수저 수납부(130)가 안착되었을 시 수저 수납부(130)의 상부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돌출부재(112)의 재질은 하드한 재질이 아닌 연성 재질로 형성하여 신축성이 있게 제작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utlery tube body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protruding member 112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ember 111 for strength compensatio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tlery storage unit 130. That is, the auxiliary protruding member 112 can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cutlery storage unit 130 when the cutlery storage unit 130 is seated on the cutlery container body 100. Here, the material of the auxiliary protruding member 112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rather than a hard material, and may be made to be elastic.

한편, 상기한 수저통 본체(100)는 수저 수납부(130)를 제거하였을 시 상기 수저통 본체(100)를 김밥 도시락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저 수납부(130)를 제거한 뒤 김밥 등을 담을 수 있게 된다. 유아 및 어린이는 먹는 양이 그다지 많지 않기 때문에 수저통 본체(100) 정도의 양만으로도 충분한 한 끼 식사가 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시락 취식을 위해서는 김밥 등을 담은 후 사다리꼴 형상의 수저통의 상부 측면의 남는 공간에 포크 또는 젓가락 등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돌출부재(111)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식물인 김밥의 사이에 삽입되므로 가방 등에 넣어 이동할 시 내용물이 흔들리거나 흐트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돌출부재(111)를 김밥과 김밥 사이에 삽입시켜서 움직임이 많은 유아들이 김밥이 든 다용도통을 들고 이동을 하더라도 김밥의 위치가 고정이 되어서 김밥이 한쪽으로 기울어져서 찌그러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다리꼴 형상의 다용도통의 상부가 다용도통의 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을 가지고 있고 이로 인하여 단면적이 동일한 김밥을 넣었을 경우에 다용도통의 상부에 넣은 김밥이 유동을 심하게 하게 되어 김밥의 형상이 찌그러들 수 있는데, 상기 보조 돌출부재(112)는 다용도통의 상부에 위치하여 유동 가능성이 가장 높은 다용도통의 상부에 위치하는 김밥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한 돌출부재(111) 및 보조 돌출부재(112)를 통해 수납된 김밥이 외부 유동에 의해 흔들려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Meanwhile, when the spoon holder body 100 is removed, the spoon holder body 100 may be used as a gimbap lunch box. That is, after removing the cutlery storage unit 130 as shown in FIG. 6, it is possible to contain gimbap or the like. Infants and children do not have too much to eat, so it is possible to make a sufficient meal with only the amount of the spoon body 100. At this time, for eating lunch, it can be used by inserting a fork or chopsticks into the remaining space of the upper side of the trapezoid-shaped cutlery after containing gimbap. At this time, since the above-described protruding member 111 is inserted between the gimbap, which is a edible plant, as shown in FIG. 6, the contents are not shaken or disturbed when moved in a bag or the like. In other words, by inserting the protruding member 111 between gimbap and gimbap, even if infants with a lot of movement move and carry a multi-use container with gimbap, the position of gimbap is fixed so that the problem of skewing and skewing of gimbap can be prevented. have.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pezoidal multi-use container has a relatively wide cross-sectional area compared to the lower part of the multi-use container, so that when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of gimbap is added, the gimbap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multi-use container makes the flow more severe, resulting in the shape of the gimbap. It can be crushed, the auxiliary protruding member 112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multi-use container serves to fix the gimbap located on the top of the multi-use container with the highest flow potential. That is, it is to prevent the gimbap receiv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truding member 111 and the auxiliary protruding member 112 to be shaken and disturbed by external flow.

한편, 상기 젓가락(220)에는 그 상단에 문양 인쇄부(221)가 구비되어 상기 수저통 본체(100)를 직립시켰을 시 장난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문양 인쇄부(221)에는 다양한 캐릭터 등이 인쇄 또는 전사 되어 음식물 취식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숟가락 및 젓가락의 수납만으로도 유아 및 어린이의 유희를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hopstick 220 is provided with a pattern printing unit 221 on its upper end can be used as a toy when the cutlery main body 100 is upright. Various characters, etc., are printed or transferred to the pattern printing unit 221, and are not used only for food and drink, but the play of infants and children can be felt only by storing spoons and chopsticks.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multi-purpose cutlery for inf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merely exemplary,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make it 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at transformation is possibl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100 : 수저통 본체 110 : 뚜껑
111 : 돌출부재 112 : 보조 돌출부재
120 : 수용부 130 : 수저 수납부
131 : 탄지부 210 : 숟가락
220 : 젓가락 221 : 문양 인쇄부
100: cutlery body 110: lid
111: protruding member 112: auxiliary protruding member
120: receiving unit 130: cutlery storage unit
131: tanji part 210: spoon
220: Chopsticks 221: Pattern printing unit

Claims (4)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뚜껑(110)과 수용부(120)로 구성되는 수저통 본체(100); 및
상기 수저통 본체(100)의 내부에 숟가락(210)과 젓가락(220)이 수용되는 수저 수납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수저 수납부(130)의 내측에 상기 숟가락(210)의 상부에 젓가락(220)이 안착되어,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을 수납수단에 담아 이동할 시 상기 수저 수납부(130)에 수용된 숟가락(210) 및 젓가락(220)이 수저통 본체(100)의 내부에서 유동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뚜껑(110)의 내측면에 상기 숟가락(210)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숟가락(210)의 상부면과 접하는 돌출부재(111)와, 상기 뚜껑(110)을 닫았을 시 돌출부재(111)의 가압력에 의해 젓가락(220)을 하부에서 탄성으로 지지하는 탄지부(1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the lid 110 and the container body 100 consisting of a receiving portion 120; And
Including the spoon 210 and the chopsticks 220 inside the cutlery container main body 100 is accommodated 130;
Chopsticks 220 are seated on the top of the spoon 210 inside the cutlery storage unit 130, and the spoon 210 accommodated in the cutlery storage unit 130 is moved when the multipurpose cutlery box for infants is moved in the storage means. Chopsticks 220 protrude toward the spoon 21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110 to prevent the chopsticks 220 from flowing inside the spoon body 100, a protruding member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poon 210 (111), the multi-purpose cutlery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d 110 is composed of a tangible portion 131 elastically supporting the chopsticks 220 from the bottom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otruding member 111 when the lid 110 is clos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저통 본체(100)는,
상기 수저 수납부(130)를 제거하였을 시 상기 수저통 본체(100)를 김밥 도시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
According to claim 1,
The spoon container body 100,
The multi-purpose cutlery container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lery storage unit 130 is configured to be used as a gimbap lunch box when the cutlery container body 100 is removed.
상기 젓가락(220)에는
그 상단에 문양 인쇄부(221)가 구비되어 상기 수저통 본체(100)를 직립시켰을 시 장난감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
The chopsticks 220 are
A multi-purpose cutlery container for infant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with a patterned printing part 221 on its top and being used as a toy when the cutlery container body 100 is uprigh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저통 본체(100)는 강도 보상을 위해 상기 돌출부재(111)의 상부에 보조 돌출부재(112)가 더 구비되어 상기 수저 수납부(130)와 접촉되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용도 수저통.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purpose cutlery container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lery body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protruding member 112 on top of the protruding member 111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tlery storage unit 130 for strength compensation.
KR1020180144053A 2018-11-21 2018-11-21 Multi-purpose child's a spoon stand KR1021760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053A KR102176002B1 (en) 2018-11-21 2018-11-21 Multi-purpose child's a spoon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053A KR102176002B1 (en) 2018-11-21 2018-11-21 Multi-purpose child's a spoon st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393A true KR20200059393A (en) 2020-05-29
KR102176002B1 KR102176002B1 (en) 2020-11-06

Family

ID=7091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053A KR102176002B1 (en) 2018-11-21 2018-11-21 Multi-purpose child's a spoon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00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029B1 (en) 2005-06-23 2007-12-07 주식회사 에이치오엔 Safety spoon for an infant and children
KR100965231B1 (en) * 2009-08-18 2010-06-22 박태규 Sterilization spoon case including spoon
JP3180818U (en) * 2012-10-26 2013-01-10 張學周 Pop-up chopstick box
KR20140032030A (en) * 2012-09-03 2014-03-14 주식회사 아이엔피 Chopsticks for corr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818B2 (en) * 1990-07-31 2001-06-25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1-substituted ethyl methacrylat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029B1 (en) 2005-06-23 2007-12-07 주식회사 에이치오엔 Safety spoon for an infant and children
KR100965231B1 (en) * 2009-08-18 2010-06-22 박태규 Sterilization spoon case including spoon
KR20140032030A (en) * 2012-09-03 2014-03-14 주식회사 아이엔피 Chopsticks for correction
JP3180818U (en) * 2012-10-26 2013-01-10 張學周 Pop-up chopstick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002B1 (en)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9554B2 (en) Utensil configured to interact with food items
USD859936S1 (en) Combined beverage lid and food container
US20100263399A1 (en) Personalizable food storage container
US20200154918A1 (en) Multifunctional Environmentally-Friendly Straw Structure
USD793232S1 (en) Beverage lid with food container
KR20200059393A (en) Multi-purpose child's a spoon stand
US20160000247A1 (en) Utensil and chopsticks figurine
KR101449803B1 (en) Desk for kids with game
KR20170107703A (en) Infant spoon fork handle with ball
JP3186696U (en) Western dishes and spoons for eating and drinking
KR20150044658A (en) Jelly vessel including Cover with straws and goods
KR101539228B1 (en) puzzle food tray
US6283279B1 (en) Container for pencil-like items and booklet-like items and having a symbolic person-like shape
KR101434655B1 (en) A kid desk
KR20160047341A (en) Concept meal plate for child
KR200496165Y1 (en) Instant food container with lid that can be used as a spoon
JP3054903U (en) Stem glass with message plush doll
Richards I wonder: Celebrating daddies doin’work
KR101926653B1 (en) Chopsticks combined spoon
KR200317328Y1 (en) Display case for tea spoon set
KR20190017106A (en) Carrier of drink container
JP2011067568A (en) Drinking straw for couple
JP3184916U (en) Taste food tasting container
KR200258067Y1 (en) Distribution board with lid
US20180186515A1 (en) Container for card(s) booklet-like items and having a symbolic person-like sh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