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910A - 차량 시트의 패드리스 쿠션프레임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의 패드리스 쿠션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910A
KR20200057910A KR1020180142204A KR20180142204A KR20200057910A KR 20200057910 A KR20200057910 A KR 20200057910A KR 1020180142204 A KR1020180142204 A KR 1020180142204A KR 20180142204 A KR20180142204 A KR 20180142204A KR 20200057910 A KR20200057910 A KR 20200057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frame
cover
cushion
wire
cov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80142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7910A/ko
Publication of KR20200057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 B60N2002/684Joining means the back rest being mounted or joined with an easy attachment system to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차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기 위한 쿠션프레임 어셈블리와, 상기 쿠션프레임 어셈블리의 뼈대를 이루는 쿠션프레임과, 쿠션프레임의 최상층에 폼패드를 대체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 쿠션커버와, 상기 쿠션커버 아래 쿠션커버의 외각 끝단부와 결합되도록 사각형 형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커버가이드와, 상기 커버가이드의 외각부 내측 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쿠션커버의 외각 끝단부가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된 클립과, 쿠션프레임의 전후방과 좌우 사이드 상부에 하방 압력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와이어와, 상기 쿠션프레임의 사이드부를 커버하기 위한 사이드 커버를 부착하여 상기 쿠션프레임 상측에 폼패드를 삭제하여 쿠션프레임의 슬림 및 경량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의 패드리스 쿠션프레임 {Padless Head Rest for Automobile Sea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경량화를 위해 쿠션프레임에 패드를를 삽입하지 않고도 그와 상응하게 탄성력과 쿠션감을 주어 운전자의 엉덩이 부분에 안락감을 주도록 발명되었다. 또한, 패드를 삭제하면서 쿠션프레임의 경량화 및 슬림화하도록 하는 패드리스 쿠션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의 탑승자세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과, 엉덩이와 허벅지 등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자동차의 시트 쿠션프레임은 시트 쿠션의 주된 뼈대로서 시트 쿠션은 탑승자의 엉덩이를 받쳐 주어 편안하고 안락한 탑승환경을 제공해 주는 수단이다.
통상의 시트 쿠션프레임에는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만드는 우레탄폼을 이용한 것으로 시트 패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유연성과 탄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최근의 자동차는 전기자동차 및 자율주행차를 위해 차량 부품의 경량화 및 차량 실내 공간의 확대를 요구하고 있어, 자동차 부품의 경량화 및 슬림화 기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종래 대한민국등록특허 10-1662717호에는 경량화를 위해서, 프론트 패널, 2개의 사이드 멤버 및 리어멤버로 분리 구성되던 시트 쿠션 프레임을 단섬유 또는 장섬유가 보강된 열가소성수지(GMT:Glass fiber Mat Thermoplastics)를 오븐에서 예열한 후 한 번에 성형하여 일체화시킨 시트 쿠션 프레임본체과, 상기 프레임본체에 국부적으로 보강되게 상기 프레임본체 성형시 함께 성형되어 일체화되는 보강대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보강 복합소재 적용 프론트 시트 쿠션 프레임으로써, 상기 보강대는 연속섬유와 폴리프로필렌수지를 45-80:20-55 중량비로 혼합 성형한 CFRTPC(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로 뽑아낸 원형 중공 또는 사각 중공 타입의 로드 형태를 갖고, 상기 로드는 상기 프레임본체의 둘레부에 일체로 성형되어 강도 보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섬유 보강 복합소재 적용한 프론트 시트 쿠션 프레임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최근의 자동차는 전기자동차 및 자율주행차를 위해 차량 부품의 경량화 및 차량 실내 공간의 확대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어 보다 혁신적인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 시트 쿠션프레임에는 쿠션프레임에 폼패드를 결합시켜 제작하도록 형성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에서는 폼패드가 차지하는 부피가 커서 슬림화 및 경량화 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627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쿠션프레임의 중량을 줄이고 슬림화하기 위해 폼패드를 삭제하면서 기존의 폼패드의 기능을 가질수 있는 패드리스 쿠션프레임를 제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차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기 위한 쿠션프레임 어셈블리와, 상기 쿠션프레임 어셈블리의 뼈대를 이루는 쿠션프레임과, 쿠션프레임의 최상층에 폼패드를 대체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 쿠션커버와, 상기 쿠션커버 아래 쿠션커버의 외각 끝단부와 결합되도록 사각형 형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커버가이드와, 상기 커버가이드의 외각부 내측 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쿠션커버의 외각 끝단부가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된 클립과, 쿠션프레임의 전후방과 좌우 사이드 상부에 하방 압력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와이어와, 상기 쿠션프레임의 사이드부를 커버하기 위한 사이드 커버를 부착하여 상기 쿠션프레임 상측에 폼패드를 삭제하여 쿠션프레임의 슬림 및 경량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가이드는 상기 탄성력을 가진 쿠션커버를 상기 쿠션프레임에 결합하기 위한 중간 매개체로써, 상기 쿠션프레임의 상단에 장착하여 측면에서 스크류 결합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커버가이드는 상기 쿠션커버의 후면 끝단부와 결합하는 클립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외각부와, 상기 커버가이드는 내측으로 일정부분 승차자의 하방 압력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커버가이의 전방에는 상기 전방 와이어에 후크 결합되도록 후크부가 설치된 전방부와, 상기 커버가이드의 후방에는 상기 후방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후방홀이 형성된 후방부와, 상기 커버가이드의 사이드에는 상기 측면 와이어가 후크 결합되도록 형성된 후크부와, 복수의 스크류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스크류 결합부가 설치된 사이드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버가이드 외각부의 후방에는 상기 클립이 삽입되도록 내측 홈부가 전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립은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써, 상기 외각부의 내측 홈부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쿠션커버가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승차자가 시트에서 자유롭게 움직일때, 전후 및 좌우 압력에 대해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트 쿠션프레임의 상단 전후 및 좌우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쿠션프레임 전방 상측에 설치된 전방 와이어와 상기 쿠션프레임 후방 상측에 설치된 후방 와이어와 상기 쿠션프레임 양측 사이드 상측에 설치된 측면 와이어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상기 패드리스 쿠션프레임는 폼패드를 삽입하지 않고 그와 상응하도록 운전자의 엉덩이 부분에 안락감을 주도록 탄성력과 쿠션감을 주도록 제작되었다. 또한, 패드를 삭제하면서 쿠션프레임의 경량화 및 슬림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경량화 쿠션프레임 결합 구조에 대해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패드리스 쿠션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커버가이드가 쿠션프레임에 장착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커버가이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커버가이드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커버가이드의 하면을 나타낸 하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클립이 커버가이드의 하면을 나타낸 하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쿠션커버가 커버가이드에 하면에서 결합된 것을 나타낸 하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커버가이드 및 와이어가 쿠션프레임에 결합된 것을 상측에서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커버가이드 및 와이어가 쿠션프레임의 측면에 장착된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클립의 구조를 측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도 11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승차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기 위한 쿠션프레임 어셈블리(100)와, 상기 쿠션프레임 어셈블리(100)의 뼈대를 이루는 쿠션프레임(50)과, 쿠션프레임(50)의 최상층에 폼패드를 대체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 쿠션커버(10)와, 상기 쿠션커버(10) 아래 쿠션커버(10)의 외각 끝단부(10-1)와 결합되도록 사각형 형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커버가이드(20)와, 상기 커버가이드의 외각부(21) 내측 홈부(29)에 삽입되고, 상기 쿠션커버(10)의 외각 끝단부(10-1)가 결합되도록 결합돌기(31)가 형성된 클립(30)과, 상기 쿠션프레임(50)의 전후방과 좌우 사이드 상부에 하방 압력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와이어(40)와, 상기 쿠션프레임(50)의 사이드부(28)를 커버하기 위한 사이드 커버(60)를 부착하여 상기 쿠션프레임 상측에 폼패드를 삭제하여 쿠션프레임의 슬림 및 경량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션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승차자에게 안정된 승차감을 줄 수 있도록 자동차의 차체 바닥위에 설치된다.
상기 쿠션프레임(50)은 쿠션프레임 어셈블리(100)에서 뼈대를 형성하는 스틸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쿠션커버(10)는 탄성력이 우수한 고탄성의 원단을 사용하여 탑승자의 엉덩이를 최대한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와이어(40)는 상기 쿠션프레임(50) 전방 상측에 설치된 전방 와이어(41)와 상기 쿠션프레임(50) 후방 상측에 설치된 후방 와이어(42)와 상기 쿠션프레임(50) 양측 사이드 상측에 설치된 측면 와이어(4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40)는 승차자의 무게를 감당하기 위한 것으로 재질은 강성이 강한 철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가이드(20)는 탄성력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써, 상기 쿠션커버(10)의 후면 끝단부(10-1)과 결합하는 클립(30)이 삽입되도록 내측 홈부(29)가 형성된 외각부(21)와, 상기 커버가이드(20)는 내측으로 일정부분 승차자의 하방 압력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22)와, 상기 커버가이드(20)의 전방에는 상기 전방 와이어(41)에 후크 결합되도록 후크부(27)가 설치된 전방부(23)와, 상기 커버가이드(20)의 후방에는 상기 후방 와이어(42)가 삽입되도록 후방홀(26)이 형성된 후방부(24)와, 상기 커버가이드(20)의 사이드에는 상기 측면 와이어(43)가 후크 결합되도록 형성된 후크부(27)와, 복수의 스크류(70)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스크류 결합부(28-1)가 설치된 사이드부(28)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외각부(21)의 후방에는 상기 클립(30)이 삽입되도록 내측 홈부(29)가 외각부(21) 전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방부(23)에는 상기 전방 와이어(41)가 삽입되도록 복수의 전방홀(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방부(24)에는 승차자의 무게를 지탱하고 전후 또는 좌우의 움직임에 대한 하방 압력을 지탱하기 위해 상기 후방 와이어(42)의 상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후방부(24)의 수평으로 일정부분 잘려진 후방홀(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크부(27)는 상기 커버가이드(20) 하측 아래로 일정부분 내려온 제1하단부(27-1)와 상기 제1하단부(27-1) 내측에는 상기 전방 또는 측면 와이어(43)를 고정하기 위한 제1후크(27-2)와 상기 제1하단부(27-1)와 세로로 평행하게 일정거리에 형성된 제2하단부(27-3)와 상기 제2하단부(27-3) 외측에는 상기 전방 또는 측면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제2후크(27-4)를 가진다.
또한, 상기 사이드부(28)에는 다수의 스크류(70)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스크류홀(28-1)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클립(30)은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써, 상기 외각부(21)의 내측 홈부(29)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쿠션커버(10)가 결합되도록 결합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커버(60)는 상기 쿠션프레임(50) 측면을 커버하기 위해 장착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11을 참조로 하면, 상기 쿠션프레임(50)의 상측에는 쿠션커버(10)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커버가이드(20)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가이드(20)가 상기 쿠션프레임(50)에 설치되기 앞서서, 상기 쿠션커버(10)의 하측 외측 둘레 끝단부(10-1)가 상기 커버가이드 외각부(21)의 내측 홈부(29)에 삽입되어 있는 클립의 결합돌기(31)에 고정되어진다.
그런 다음, 상기 커버가이드(20)의 전방 후크부(27)에는 상기 쿠션프레임(50) 상측 전방 와이어(41)가 결합되어 상기 커버가이드의 전방부(23)가 쿠션프레임(50)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가이드(20)의 후방에는 상기 후방홀(26)에 상기 쿠션프레임의 후방 와이어(42)가가 결합되어진다. 또한, 상기 커버가이드(20)의 측면에는 상기 사이드 후크부(27)에 상기 쿠션프레임(50) 측면 와이어(43)가 결합되어 장착된다.
상기 후크부(27)에는 상기 커버가이드(20) 하측 아래로 일정부분 내려온 제1하단부(27-1) 내측에는 상기 전방 또는 측면 와이어(43)를 고정하기 위한 제1후크(27-2)와 상기 제1하단부(27-1)와 평행하게 일정거리에 형성된 제2하단부(27-3)와 상기 제2하단부(27-3) 외측에는 상기 전방 또는 측면 와이어(43)를 고정하기 위한 제2후크(27-4)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방 또는 측면 와이어(43)는 상기 제 1,2 후크에 안착되어 상기 커버가이드(2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쿠션프레임(50) 측면 사이드부(28)에는 사이드 커버(60)가 결합되어 시트 쿠션프레임 어셈블리(100)가 완성된다.
상기 패드리스 쿠션프레임는 패드를 삽입하지 않고 그와 상응하도록 운전자의 엉덩이 부분에 안락감을 주도록 탄성력과 쿠션감을 주도록 제작되었다. 또한, 패드를 삭제하면서 쿠션프레임의 경량화를 실현되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 범위의 균등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이 가능하다.
10- 쿠션커버 20- 커버가이드
21- 외각부 23- 전방부
24- 후방부 25- 전방홀
26- 후방홀 27- 후크부
27-1- 제1하단부 27-2- 제1후크
27-3- 제2하단부 27-4- 제2후크 30- 클립 40- 와이어
41-전방 와이어 42- 후방 와이어
43- 측면 와이어 50- 쿠션프레임
60- 사이드 커버 70- 스크류

Claims (5)

  1. 승차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기 위한 쿠션프레임(50)와,
    상기 쿠션프레임(50)의 상측에 폼패드를 대체하도록 탄성재질로 상기 쿠션프레임(50)을 덮을수 있도록 하부 외각에 끝단부(10-1)가 형성된 쿠션커버(10)와,
    상기 쿠션커버(10)의 하부 외각 끝단부(10-1)와 결합되도록 외각부(21) 내측 홈부(29)를 형성한 커버가이드(20)와,
    상기 커버가이드(20)는 다수의 스크류(70)를 이용하여 상기 쿠션프레임(50)에 부착하고, 상기 커버가이드의 외각부(21) 내측 홈부(29)에 삽입되고, 상기 쿠션커버(10)의 외각 끝단부(10-1)가 결합되도록 결합돌기(31)가 형성된 클립(30)과,
    상기 쿠션프레임(50)의 전후방 또는 좌우 사이드 상부에 하방 압력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와이어(40)와,
    상기 쿠션프레임 상측에 폼패드를 삭제하여 쿠션프레임의 슬림 및 경량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드리스 쿠션프레임.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쿠션프레임(50) 전방 상측에 설치된 전방 와이어(41)와,
    상기 쿠션프레임(50) 후방 상측에 설치된 후방 와이어(42)와,
    상기 쿠션프레임(50) 양측 사이드 상측에 설치된 측면 와이어(43)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드리스 쿠션프레임.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이드(20)는 상기 쿠션커버(10)의 후면 끝단부과 결합하는 클립(30)이 삽입되도록 내측 홈부(29)가 형성된 외각부(21)와,
    상기 커버가이드(20)는 내측으로 일정부분 승차자의 하방 압력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22)와,
    상기 커버가이드(20)의 전방에는 상기 전방 와이어(41)에 후크 결합되도록 후크부(27)가 설치된 전방부(23)와,
    상기 커버가이드(20)의 후방에는 상기 후방 와이어(42)가 삽입되도록 후방홀(26)이 형성된 후방부(24)와,
    상기 커버가이드(20)의 사이드에는 상기 측면 와이어(43)가 후크 결합되도록 형성된 후크부(27)와 쿠션 프레임 측면에 스크류(70) 결합하도록 형성된 스크류 결합부(28-1)가 설치된 사이드부(2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드리스 쿠션프레임.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27)는 상기 커버가이드(20) 하측 아래로 일정부분 내려온 제1하단부(27-1)와
    상기 제1하단부 내측에는 상기 전방 또는 측면 와이어(43)를 고정하기 위한 제1후크(27-2)와
    상기 제1하단부(27-1)와 세로로 평행하게 일정거리에 형성된 제2하단부(27-3)와
    상기 제2하단부(27-3) 외측에는 상기 전방 또는 측면 와이어(43)를 고정하기 위한 제2후크(27-4)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드리스 쿠션프레임.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0)은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써, 상기 외각부(21)의 내측 홈부(29)에 삽입되고, 상기 쿠션커버(10)가 결합되도록 결합돌기(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드리스 쿠션프레임.

KR1020180142204A 2018-11-19 2018-11-19 차량 시트의 패드리스 쿠션프레임 KR20200057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204A KR20200057910A (ko) 2018-11-19 2018-11-19 차량 시트의 패드리스 쿠션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204A KR20200057910A (ko) 2018-11-19 2018-11-19 차량 시트의 패드리스 쿠션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910A true KR20200057910A (ko) 2020-05-27

Family

ID=7091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204A KR20200057910A (ko) 2018-11-19 2018-11-19 차량 시트의 패드리스 쿠션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79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717B1 (ko) 2014-07-23 2016-10-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계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717B1 (ko) 2014-07-23 2016-10-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계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543B1 (ko) 일체화된 등받이와 보강 복합층을 포함하는 시트 백
JP6650477B2 (ja) 乗物用シート
CN104602957A (zh) 车用座椅
US10207656B2 (en) Composite module
KR20000048877A (ko) 좌석 등받이 프레임
KR20080005361A (ko) 차량시트
EP1863672A1 (en) Automobile vehicle passenger seat and process for producing a vehicle passenger seat
JP2019098107A (ja) 乗物用シート
US20230347556A1 (en) Foam part, in particular for a vehicle seat, method for producing a foam part, and vehicle seat
US9821695B2 (en) Vehicle seat
JP2015003534A (ja) パネル形状の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US11273784B2 (en) Side support block for vehicle seat
US7032967B2 (en) Structural foam and urethane composite for use in a motorcycle se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57910A (ko) 차량 시트의 패드리스 쿠션프레임
US20220089074A1 (en) Seat assembly for a vehicle seat, method for assembling a seat assembly, and vehicle seat
JP6642276B2 (ja) 乗物用シート
CN112895997B (zh) 车用座椅
US20230166640A1 (en) Vehicle seat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20200048682A (ko) 차량 시트의 패드리스 헤드레스트
KR20170019039A (ko) 차량용 시트백 패널
KR20200054492A (ko) 차량 시트의 패드리스 백프레임
EP3992026A1 (en) Load-bearing backrest of a motor-vehicle seat
KR20160039044A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JP2009234548A (ja) 車両用シート
JP2022187383A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