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380A -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380A
KR20200057380A KR1020180141687A KR20180141687A KR20200057380A KR 20200057380 A KR20200057380 A KR 20200057380A KR 1020180141687 A KR1020180141687 A KR 1020180141687A KR 20180141687 A KR20180141687 A KR 20180141687A KR 20200057380 A KR20200057380 A KR 20200057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emotion
book
emotion tag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3685B1 (ko
Inventor
서영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밀리의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밀리의서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밀리의서재
Priority to KR1020180141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6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8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emi-structured data, e.g. markup language structured data such as SGML, XML or HTML
    • G06F16/81Indexing, e.g. XML tags;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3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Internet or website 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서에 관해 감성 태그 제공자의 내적인 감성 태그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감성 태그 처리부,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도서에 외적인 감성 태그를 등록하여 감성 태그 이용자에게 랜덤 노출을 허용하는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 상기 도서가 선택될 때마다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를 상기 감성 태그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내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 및 상기 도서에 관해 가장 많이 등록된 베스트 감성 태그를 상기 감성 태그 제공자 및 상기 감성 태그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서에 관한 평가를 간결하게 표현함으로써 다양한 감상을 공유하고 관련 도서를 추천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BOOK-RATING BASED ON EMOTION TAG}
본 발명은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서에 관한 평가를 간결하게 표현함으로써 다양한 감상을 공유하고 관련 도서를 추천할 수 있는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시태그(hashtag)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에서 사용되는 기호로, 해시기호(#) 뒤에 특정 단어를 쓰면 그 단어에 대한 글을 모아 분류해서 볼 수 있다. 해시태그는 메타데이터로서 SNS에서 관련 내용물을 묶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사용자들이 관심 있는 주제의 내용물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새로 발간되는 수많은 도서들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내용의 도서를 찾는 것을 매우 어려운 일이며, 독서를 통해 얻은 감정을 서로 공유할 수 있다면 자신에게 필요한 도서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4296(2012.06.19)호는 감상평 검색을 통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감상자들이 입력한 감상평을 컨텐츠 정보에 매칭하여 누적 저장하여 컨텐츠 D/B를 구축하고, 컨텐츠를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자가 컨텐츠에 대한 느낌인 감성적인 표현을 검색어로 하여 검색을 실시하면, 가장 많은 사람들이 느낀 바를 토대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할 수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47782(2006.11.13)호는 도서를 주인공으로 하는 북피시스템 및 실행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인공이 도서인 미니홈피(북피)을 통하여 학습적인 부분과 오락적 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실행되므로 자연스럽게 독서에 습관을 길러질 수 있고, 도서 이해도 평가와 리딩 서바이벌 등 구체적이고 과학적인 학습도구에 의하여 도서별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온라인에 의하여 자연스럽고 자율적인 토론과 장르별 글쓰기를 통해 다양한 지식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4296(2012.06.1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47782(2006.11.13)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서에 관한 평가를 간결하게 표현함으로써 다양한 감상을 공유하고 관련 도서를 추천할 수 있는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서별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감성 태그를 공유하여 도서 검색 및 추천에 활용할 수 있는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서별로 등록된 감성 태그 중 인기순에 따라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고 선택 횟수를 기초로 감성 태그의 색상을 가변하여 제공할 수 있는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는 도서에 관해 감성 태그 제공자의 내적인 감성 태그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감성 태그 처리부,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도서에 외적인 감성 태그를 등록하여 감성 태그 이용자에게 랜덤 노출을 허용하는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 상기 도서가 선택될 때마다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를 상기 감성 태그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내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 및 상기 도서에 관해 가장 많이 등록된 베스트 감성 태그를 상기 감성 태그 제공자 및 상기 감성 태그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는 상기 베스트 감성 태그보다 더 낮고 상기 외적인 감성 태그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는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가 등록 금지 태그 리스트에 포함되는지를 검출하는 등록 금지 태그 검출 모듈, 미리 정해진 감성 태그 형식에 따라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를 가공하는 감성 태그 가공 모듈 및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의 수신 시점 이후 삭제 요청 없이 상기 특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도서에 상기 외적인 감성 태그를 등록하는 외적인 감성 태그 등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는 상기 베스트 감성 태그보다 더 낮고 상기 외적인 감성 태그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는 상기 도서에 관해 등록된 외적인 감성 태그 중 가장 많이 선택된 순서대로 정렬함으로써 상기 베스트 감성 태그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는 상기 선택 횟수를 기초로 상기 베스트 감성 태그의 색상을 가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는 상기 도서에 관해 랜덤 노출되는 복수의 외적인 감성 태그들에 대한 상기 감성 태그 제공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외적인 감성 태그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적인 감성 태그 선택부는 상기 감성 태그 제공자의 선택을 반영하여 상기 도서에 관해 등록된 상기 외적인 감성 태그의 우선 순위를 갱신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는 도서별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감성 태그를 공유하여 도서 검색 및 추천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는 도서별로 등록된 감성 태그 중 인기순에 따라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고 선택 횟수를 기초로 감성 태그의 색상을 가변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도서평 제공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도서평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도서평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에서 수행되는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도서평 제공 장치에서 감성 태그를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시스템(100)은 감성 태그 제공 단말(110), 도서평 제공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50) 및 감성 태그 이용 단말(170)을 포함할 수 있다.
감성 태그 제공 단말(110)은 감성 태그 제공자에 의해 사용되고 특정 도서에 관한 감성 태그를 입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감성 태그(tag)는 특정 기호(예를 들어, '#') 뒤에 특정 단어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기호로서 특정 도서를 읽은 후 느낄 수 있는 감정을 표현할 수 있고 일정한 관련성을 가진 도서들을 묶어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메타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감성 태그 제공 단말(110)은 도서평 제공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감성 태그 제공 단말(110)들은 도서평 제공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도서별 감성 태그를 수신, 등록 및 관리하고 감성 태그를 기초로 관련 도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감성 태그 제공 단말(110) 및 감성 태그 이용 단말(17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감성 태그 제공 단말(110) 및 감성 태그 이용 단말(17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도서 및 감성 태그 정보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도서별로 연관되어 저장된 감성 태그 정보를 기초로 도서 검색 결과를 제공하거나 추천 도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도서별 감성 태그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특정 감성 태그를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함으로써 해당 감성 태그와 연관된 도서 목록을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감성 태그를 기초로 자신이 원하는 감성을 제공할 수 있는 도서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도서평 제공 장치(130)가 사용자로부터 감성 태그를 수신하고 도서별 감성 태그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0)는 감성 태그 제공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감성 태그를 저장할 수 있고, 도서별 외적인 감성 태그 및 내적인 감성 태그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성 태그의 수신과 등록 그리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감성 태그 이용 단말(170)은 감성 태그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특정 도서에 관한 감성 태그를 확인하고 감성 태그와 관련된 도서를 이용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감성 태그 이용 단말(170)은 도서평 제공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감성 태그 이용 단말(170)들은 도서평 제공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성 태그 제공 단말(110) 및 감성 태그 이용 단말(170)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도서평 제공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감성 태그 처리부(210),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 내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30),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240), 외적인 감성 태그 선택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성 태그 처리부(210)는 도서에 관해 감성 태그 제공자의 내적인 감성 태그를 수신하여 등록할 수 있다. 내적인 감성 태그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작성된 감성 태그에 해당할 수 있다. 감성 태그 제공자는 감성 태그 제공 단말(110)을 통해 특정 도서에 대한 감성 태그를 직접 작성할 수 있고, 감성 태그 처리부(210)는 감성 태그 제공 단말(110)로부터 감성 태그를 수신하여 해당 도서와 연관지어 등록할 수 있다.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도서, 감성 태그 제공자 및 감성 태그 간의 연결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성 태그 처리부(210)는 내적인 감성 태그에 대한 삭제 요청을 수신한 경우 감성 태그 제공자와 연관된 감성 태그를 삭제하고 도서에 관해 등록된 감성 태그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내적인 감성 태그는 사용자별로 독립적으로 관리될 수 있고, 감성 태그 처리부(210)는 내적인 감성 태그를 직접 작성한 감성 태그 제공자로부터 삭제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감성 태그 제공자와 연관되어 등록된 내적인 감성 태그를 삭제할 수 있다. 감성 태그 처리부(210)는 감성 태그 제공자와 내적인 감성 태그 간의 연결만을 제거할 수 있고, 해당 내적인 감성 태그가 도서와 연관되어 외적인 감성 태그로 등록된 이후에는 도서와 외적인 감성 태그 간의 연결은 제거할 수 없다.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는 내적인 감성 태그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이 경과되면 도서에 외적인 감성 태그를 등록하여 감성 태그 이용자에게 랜덤 노출을 허용할 수 있다. 외적인 감성 태그는 특정 도서와 연관되어 등록된 감성 태그로서 다양한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되거나 선택된 감성 태그를 해당 도서와 연결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는 감성 태그 제공 단말(110)로부터 내적인 감성 태그를 수신하더라도 즉시 해당 도서에 등록하지 않고 24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만 등록할 수 있다.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는 특정 도서의 외적인 감성 태그로 등록된 경우에만 해당 도서를 선택한 감성 태그 이용자에게 외적인 감성 태그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는 내적인 감성 태그가 등록 금지 태그 리스트에 포함되는지를 검출하는 등록 금지 태그 검출 모듈, 미리 정해진 감성 태그 형식에 따라 내적인 감성 태그를 가공하는 감성 태그 가공 모듈 및 내적인 감성 태그의 수신 시점 이후 삭제 요청 없이 특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도서에 외적인 감성 태그를 등록하는 외적인 감성 태그 등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는 특정 도서에 등록된 외적인 감성 태그들 중에서 랜덤으로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외적인 감성 태그를 감성 태그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는 특정 도서에 등록된 외적인 감성 태그가 10개를 초과하는 경우 베스트 감성 태그,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또는 작성한 감성 태그를 제외하고 인기 순서에 따라 정렬된 30개의 외적인 감성 태그들 중에서 랜덤으로 선별하여 감성 태그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에 의해 랜덤으로 선별될 감성 태그 개수를 사전에 설정하거나 자동으로 산출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는 특정 도서에 등록된 외적인 감성 태그가 없거나 특정 개수 미만인 경우 도서 카테고리 별로 독립적으로 정의된 디폴트 감성 태그 리스트를 감성 태그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폴트 감성 태그 리스트는 도서 카테고리 별로 예상되는 감성 태그를 미리 정의하여 생성한 감성 태그 집합에 해당할 수 있다.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새로운 도서가 데이터베이스(150)에 등록되어 해당 도서에 등록된 외적인 감성 태그가 없는 경우,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를 통해 해당 도서가 선택된 경우 해당 도서의 카테고리를 기초로 디폴드 감성 태그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는 특정 도서에 대해 감성 태그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외적인 감성 태그의 개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는 1차적으로 10개의 감성 태그들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추가적인 제공 요청을 수신한 경우 10개의 감성 태그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에게 감성 태그를 추가 요청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보기' 메뉴가 포함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어 사용자에 의해 '더 보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를 통해 추가적으로 감성 태그를 선별하여 결과적으로 하나의 도서에 대해 총 20개의 감성 태그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는 특정 도서에 대해 감성 태그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외적인 감성 태그의 개수를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되는 등급에 따라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수학식]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G는 등급을, k는 비례 상수를, Sbest1 ~ Sbest3은 베스트 감성 태그 1 내지 3위에 대한 선택 횟수를, Tout는 도서에 등록된 외적인 감성 태그의 수를 의미한다. 등급 G는 1부터 10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고, 특정 도서에 등록된 외적인 감성 태그의 수가 작을수록, 베스트 감성 태그 1 내지 3위에 대한 선택 횟수의 총 합이 클수록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는 등급 G가 높을수록 더 많은 개수의 외적인 감성 태그를 감성 태그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내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30)는 도서가 선택될 때마다 내적인 감성 태그를 감성 태그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내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30)는 감성 태그 제공자가 직접 입력하여 생성된 내적인 감성 태그를 사용자별로 관리할 수 있고, 특정 도서를 선택한 경우 해당 도서와 연관되어 등록된 내적인 감성 태그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내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내적인 감성 태그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감성 태그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30)는 감성 태그 리스트 형태로 내적인 감성 태그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감성 태그 리스트 내에서 특정 감성 태그를 선택하여 해당 감성 태그와 연관되어 등록된 도서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30)는 베스트 감성 태그보다 더 낮고 외적인 감성 태그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내적인 감성 태그에 부여할 수 있다. 감성 태그에 부여되는 우선 순위는 다양한 기준을 통해 산출될 수 있고, 도서평 제공 장치(130)가 사용자에게 감성 태그를 제공하는 순서를 결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베스트 감성 태그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고, 외적인 감성 태그에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특정 도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해당 도서에 대한 베스트 감성 태그를 가장 먼저 표시하고, 그 다음 순서로 해당 사용자의 내적인 감성 태그를 표시할 수 있으며, 가장 마지막 순서로 해당 도서에 등록된 외적인 감성 태그들 중에서 랜덤으로 추출된 감성 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특정 도서가 선택된 경우 베스트 감성 태그, 내적인 감성 태그, 외적인 감성 태그 중 사용자가 선택한 감성 태그, 나머지 외적인 감성 태그 중 랜덤으로 추출한 감성 태그 순서로 정렬된 감성 태그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240)는 도서에 관해 가장 많이 등록된 베스트 감성 태그를 감성 태그 제공자 및 감성 태그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240)는 특정 도서에 대하여 사용자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감성 태그를 우선적으로 제공하여 해당 도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감성에 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240)는 도서에 관해 등록된 외적인 감성 태그 중 가장 많이 선택된 순서대로 정렬함으로써 베스트 감성 태그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240)는 순서대로 정렬된 베스트 감성 태그 중에서 특정 순위 이내의 베스트 감성 태그만을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240)는 베스트 1, 2, 3위에 해당하는 감성 태그만을 베스트 감성 태그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베스트 감성 태그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그래픽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240)는 선택 횟수를 기초로 베스트 감성 태그의 색상을 가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240)는 감성 태그의 기본 색상을 하얀색으로 설정할 수 있고 선택 횟수가 많아질수록 베스트 감성 태그의 색상이 빨간색으로 변경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240)는 선택 횟수를 기초로 베스트 감성 태그의 크기를 가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240)는 감성 태그의 기본 크기를 설정할 수 있고, 선택 횟수가 일정 단위만큼 증가할수록 베스트 감성 태그의 크기를 일정 비율만큼 증가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외적인 감성 태그 선택부(250)는 도서에 관해 랜덤 노출되는 복수의 외적인 감성 태그들에 대한 감성 태그 제공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감성 태그 제공자는 특정 도서에 대한 감성 태그를 직접 작성하여 생성할 수도 있지만, 도서평 제공 장치(130)에 의해 제공되는 외적인 감성 태그들 중에서 선택함으로써 해당 도서에 대한 감성 태그를 결정할 수도 있다. 외적인 감성 태그 선택부(250)는 감성 태그 제공자에 의해 선택된 외적인 감성 태그를 식별하여 도서와 감성 태그 제공자와 외적인 감성 태그를 서로 연결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적인 감성 태그 선택부(250)는 감성 태그 제공자의 선택을 반영하여 도서에 관해 등록된 외적인 감성 태그의 우선 순위를 갱신할 수 있다. 외적인 감성 태그 선택부(250)는 감성 태그 제공자에 의해 특정 외적인 감성 태그가 선택된 경우 해당 외적인 감성 태그에 대한 선택 횟수를 1 증가시킬 수 있고, 해당 선택 횟수를 반영하여 해당 도서에 대한 베스트 감성 태그를 갱신할 수 있다. 만약 베스트 감성 태그의 변화가 있는 경우 외적인 감성 태그 선택부(250)는 해당 변화를 반영하여 외적인 감성 태그의 우선 순위를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도서평 제공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감성 태그 처리부(210),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 내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30),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240) 및 외적인 감성 태그 선택부(2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는 등록 금지 태그 검출 모듈(310), 감성 태그 가공 모듈(330), 외적인 감성 태그 등록 모듈(350) 및 제어 모듈(370)을 포함할 수 있다.
등록 금지 태그 검출 모듈(310)은 내적인 감성 태그가 등록 금지 태그 리스트에 포함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등록 금지 태그 리스트는 도서에 등록될 수 없는 감성 태그들의 집합에 해당할 수 있다. 등록 금지 태그 검출 모듈(310)은 등록 금지 태그 리스트에 포함된 감성 태그가 도서에 등록될 수 없도록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감성 태그 가공 모듈(330)은 미리 정해진 감성 태그 형식에 따라 내적인 감성 태그를 가공할 수 있다.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감성 태그의 형식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고, 감성 태그 가공 모듈(330)은 감성 태그 형식에 해당하지 않는 감성 태그가 감성 태그 제공자에 의해 입력된 경우 해당 감성 태그를 감성 태그 형식에 따라 가공할 수 있다.
외적인 감성 태그 등록 모듈(350)은 내적인 감성 태그의 수신 시점 이후 삭제 요청 없이 특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도서에 외적인 감성 태그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적인 감성 태그 등록 모듈(350)은 내적인 감성 태그 수신 시점 이후 24시간이 경과된 경우 해당 도서에 외적인 감성 태그로 등록할 수 있다. 만약 24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감성 태그 제공자로부터 삭제 요청을 수신한 경우 외적인 감성 태그 등록 모듈(350)은 시간 카운트를 초기화할 수 있다.
제어 모듈(370)은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등록 금지 태그 검출 모듈(310), 감성 태그 가공 모듈(330) 및 외적인 감성 태그 등록 모듈(3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도서평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도서평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감성 태그 처리부(210)를 통해 도서에 관해 감성 태그 제공자의 내적인 감성 태그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10).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를 통해 내적인 감성 태그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이 경과되면 도서에 외적인 감성 태그를 등록하여 감성 태그 이용자에게 랜덤 노출을 허용할 수 있다(단계 S430).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외적인 감성 태그 선택부(250)를 통해 도서에 관해 랜덤 노출되는 복수의 외적인 감성 태그들에 대한 감성 태그 제공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50).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내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30)를 통해 도서가 선택될 때마다 내적인 감성 태그를 감성 태그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70).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240)를 통해 도서에 관해 가장 많이 등록된 베스트 감성 태그를 상기 감성 태그 제공자 및 상기 감성 태그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90).
도 5는 도 2에 있는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에서 수행되는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는 등록 금지 태그 검출 모듈(310)를 통해 내적인 감성 태그가 등록 금지 태그 리스트에 포함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단계 S510).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는 감성 태그 가공 모듈(330)를 통해 미리 정해진 감성 태그 형식에 따라 내적인 감성 태그를 가공할 수 있다(단계 S530).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는 외적인 감성 태그 등록 모듈(350)를 통해 내적인 감성 태그의 수신 시점 이후 삭제 요청 없이 특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도서에 외적인 감성 태그를 등록할 수 있다(단계 S550).
도 6은 도 1에 있는 도서평 제공 장치에서 감성 태그를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특정 도서가 선택되면 해당 도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태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특정 도서에 대한 감성 태그와 함께 '좋아요'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좋아요' 버튼을 선택한 경우 +1 카운트되고 활성화되고 재 선택한 경우 -1 카운트되고 비활성화될 수 있다(①).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특정 도서에 대한 감성 태그를 제공할 수 있다(②). 감성 태그는 사용자가 디폴트 상태에서 선택한 경우 선택처리되고 재선택한 경우 디폴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에 의해 최대 3개까지 감성 태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고, 3개 초과 선택된 경우 알럿을 노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감성 태그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최대 3개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가장 많이 선택된 베스트 감성 태그를 3개 상단에 노출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거나 선택한 감성 태그는 무조건 상단에 노출시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선택한 감성 태그가 베스트 감성 태그인 경우 베스트 감성 태그로써 노출될 수 있다.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감성 태그를 베스트 감성 태그 바로 아래에 노출시킬 수 있다.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특정 도서에 등록된 감성 태그가 10개를 초과하는 경우 베스트 감성 태그 및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작성한 감성 태그를 제외하고 인기순으로 30개의 감성 태그들 중에서 랜덤으로 선별하오 노출시킬 수 있다.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감성 태그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③). 만약 감성 태그가 3개 이상 선택된 상태에서 감성 태그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알럿을 노출할 수 있다.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감성 태그에 대해 삭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③-1). 사용자가 삭제 메뉴를 선택한 경우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컨펌 창을 노출할 수 있고, 해당 컨펌 창에서 확인 버튼이 선택된 경우 해당 감성 태그를 삭제할 수 있다.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감성 태그와 함께 더보기 메뉴를 제공할 수 있고, 특정 도서에 등록된 감성 태그가 11개 이상인 경우 노출될 수 있으며, 더보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최대 10개의 감성 태그를 추가로 노출시킬 수 있다(④).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220)를 통해 감성 태그를 디폴트 감성 태그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⑤). 디폴트 감성 태그 리스트는 도서평 제공 장치(130)에 의해 도서 카테고리별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접어보기 메뉴를 제공하여 더보기 메뉴를 통해 추가로 표신된 감성 태그를 이전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⑥). 도서평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가 감성 태그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등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⑦). 사용자가 감성 태그를 입력하고 등록 메뉴를 선택한 경우 컨펌 창이 노출될 수 있고, 해당 컨펌 창에서 확인 버튼을 선택한 경우 해당 감성 태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시스템
110: 감성 태그 제공 단말 130: 도서평 제공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170: 감성 태그 이용 단말
210: 감성 태그 처리부 220: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
230: 내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 240: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
250: 외적인 감성 태그 선택부 260: 제어부
310: 등록 금지 태그 검출 모듈 330: 감성 태그 가공 모듈
350: 외적인 감성 태그 등록 모듈
370: 제어 모듈

Claims (8)

  1. 도서에 관해 감성 태그 제공자의 내적인 감성 태그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감성 태그 처리부;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도서에 외적인 감성 태그를 등록하여 감성 태그 이용자에게 랜덤 노출을 허용하는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
    상기 도서가 선택될 때마다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를 상기 감성 태그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내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 및
    상기 도서에 관해 가장 많이 등록된 베스트 감성 태그를 상기 감성 태그 제공자 및 상기 감성 태그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를 포함하는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태그 처리부는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에 대한 삭제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감성 태그 제공자와 연관된 감성 태그를 삭제하고 상기 도서에 관해 등록된 감성 태그는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는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가 등록 금지 태그 리스트에 포함되는지를 검출하는 등록 금지 태그 검출 모듈;
    미리 정해진 감성 태그 형식에 따라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를 가공하는 감성 태그 가공 모듈; 및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의 수신 시점 이후 삭제 요청 없이 상기 특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도서에 상기 외적인 감성 태그를 등록하는 외적인 감성 태그 등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 제공부는
    상기 베스트 감성 태그보다 더 낮고 상기 외적인 감성 태그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상기 내적인 감성 태그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는
    상기 도서에 관해 등록된 외적인 감성 태그 중 가장 많이 선택된 순서대로 정렬함으로써 상기 베스트 감성 태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빈발 감성 태그 제공부는
    상기 선택 횟수를 기초로 상기 베스트 감성 태그의 색상을 가변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에 관해 랜덤 노출되는 복수의 외적인 감성 태그들에 대한 상기 감성 태그 제공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외적인 감성 태그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적인 감성 태그 선택부는
    상기 감성 태그 제공자의 선택을 반영하여 상기 도서에 관해 등록된 상기 외적인 감성 태그의 우선 순위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

KR1020180141687A 2018-11-16 2018-11-16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 KR102173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687A KR102173685B1 (ko) 2018-11-16 2018-11-16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687A KR102173685B1 (ko) 2018-11-16 2018-11-16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380A true KR20200057380A (ko) 2020-05-26
KR102173685B1 KR102173685B1 (ko) 2020-11-04

Family

ID=7091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687A KR102173685B1 (ko) 2018-11-16 2018-11-16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6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782B1 (ko) 2005-08-18 2006-11-23 주식회사 더존이엔에이치 도서를 주인공으로 하는 북피시스템 및 실행방법.
KR20120064296A (ko) 2010-12-09 2012-06-1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상평 검색을 통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01462A (ko) * 2013-02-08 2014-08-20 이서민 도서 리뷰 기반의 검색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782B1 (ko) 2005-08-18 2006-11-23 주식회사 더존이엔에이치 도서를 주인공으로 하는 북피시스템 및 실행방법.
KR20120064296A (ko) 2010-12-09 2012-06-1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상평 검색을 통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01462A (ko) * 2013-02-08 2014-08-20 이서민 도서 리뷰 기반의 검색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685B1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8081B2 (ja) オンライン・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上の検索結果をブレンドすること
US92356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search engine for user generated content (UGC)
KR102067278B1 (ko) 친구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및 단말
US8903910B2 (en) Creating a customized news collection based on social networking information
WO2018072071A1 (zh) 知识图谱构建系统及方法
US9542473B2 (en) Tagged search result maintainance
US96609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undesirable content based on anti-tags
US20190028362A1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cessing highlighted comment in content
US20140324827A1 (en) Search result organizing based upon tagging
US11106700B1 (en) Unit group generation and relationship establishment
KR20150086441A (ko) 콘텐츠 및 상관 거리에 기반하는 사람 연결
US9542495B2 (en) Targeted content provisioning based upon tagged search results
US114119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swer message to query message
WO2023226760A1 (zh) 一种话题推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8536786A (zh) 一种信息推荐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11294969B2 (en) Advanced keyword search
US9547713B2 (en) Search result tagging
Arnaboldi et al. Urbanscope: A lens to observe language mix in cities
KR20150019668A (ko) 검색 연관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173685B1 (ko) 감성 태그 기반의 도서평 제공 장치
KR102387578B1 (ko)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4135529B (zh) 基于全时空标签网的信息发现、分享系统
US9223881B1 (en) Quotation management platform
KR101862178B1 (ko) 맞춤형 포스팅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KR20150029830A (ko) 소셜 채용 서비스 구축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장치 및 개인 프로필 정보와 게시물의 연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