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771A -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Oenanthe javanica - Google Patents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Oenanthe javanic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771A
KR20200056771A KR1020180140848A KR20180140848A KR20200056771A KR 20200056771 A KR20200056771 A KR 20200056771A KR 1020180140848 A KR1020180140848 A KR 1020180140848A KR 20180140848 A KR20180140848 A KR 20180140848A KR 20200056771 A KR20200056771 A KR 20200056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elica
extract
buttercup
weight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8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7309B1 (en
Inventor
원무호
박준하
안지현
서주원
김휘
이강헌
국민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0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309B1/en
Publication of KR20200056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7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3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Provided are uses of a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and Oenanthe javanica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treating and/or alleviating ischemic brain disease, protecting nerve cells, and/or generating nerve cell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nerve cell damage caused by cerebral ischemia and a damaged nerve cell regeneration (or production) effect, thereby providing a novel treatment method having an excellent effect on preventing and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Description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Oenanthe javanica}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Oenanthe javanica}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이 제공된다.Provided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 or treatment of ischemic brain disease, including a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buttercup, and a health functional food.

대표적인 허혈성 뇌질환 중 하나인 뇌졸중(stroke)은 혈류의 차단으로 인하여 뇌의 광범위한 부위에서 신경세포 손상을 유발하여 심각한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뇌졸중은 크게 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cerebral ischemia)과 혈관이 터져서 생기는 뇌출혈(cerebral hemorrhage)로 분류된다.Stroke, one of the typical ischemic brain diseases, is a disease that causes severe dysfunction by causing nerve cell damage in a wide area of the brain due to blockage of blood flow. Stroke is largely classified into cerebral ischemia caused by clogging of blood vessels and cerebral hemorrhage caused by blood vessel rupture.

뇌졸중은 크게 뇌혈관이 막히는 허혈성 뇌졸중(뇌경색)과 뇌혈관이 터지는 출혈성 뇌졸중(뇌출혈)으로 구분 할 수 있으며, 허혈성 뇌졸중의 경우에서는 동맥경화나 혈전 등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뇌출혈 의 경우는 고혈압에 의한 원발성 뇌출혈과 동정맥 기형이나 동맥류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이 중요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Strok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ischemic stroke (cerebral infarction), where the blood vessels are blocked, and hemorrhagic stroke (brain hemorrhage), in which cerebral vessels burst, and ischemic stroke is known to be caused by arteriosclerosis or thrombus, and in case of cerebral hemorrhage, hypertension Primary brain hemorrhage caused by and arteriovenous malformation or subarachnoid hemorrhage caused by an aneurysm can be said to be important causes.

현재, 뇌졸중 등의 허혈성 뇌질환에 치료효과를 갖는 다양한 약물이 개발되고 있으나, 많은 부작용들이 보고되고 있어서, 효과적이면서도 안전한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Currently, various drugs having a therapeutic effect on ischemic brain diseases such as stroke have been developed, but many side effects have been reported, and thus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effective and safe therapeutic agent.

등록특허 제10-0757207호(2007년 09월 04일)Registered Patent No. 10-0757207 (September 04, 2007) 공개특허 제10-2012-0053604호(2012년 05월 29일)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53604 (May 29, 2012)

일 예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신경세포 보호용 약학 조성물, 및/또는 신경세포 재생 (또는 생성)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An example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 or treatment of ischemic brain disease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buttercup as an active ingredient,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otecting neurons, and / or regeneration of neurons (or production). 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다른 예는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을 허혈성 뇌질환 예방 및/또는 치료, 신경세포 보호, 및/또는 신경세포 재생 (또는 생성)을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 신경세포 보호 방법, 및/또는 신경세포 재생 (또는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xample is ischemic brain disease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a mixed extract of Angelica keiskei and buttercup to a subject in need of prevention and / or treatment of ischemic brain disease, neuronal cell protection, and / or neuronal regeneration (or production). Provided is a method of preventing and / or treating, a method of protecting neurons, and / or a method of regulating (or generating) neurons.

상기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은 참당귀 추출물 및 미나리 추출물의 혼합물,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물의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The mixed extract of Angelica keiskei and buttercup may be a mixture of Angelica keiskei extract and buttercup extract, extract of a mixture of Angelica keiskei and buttercup,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허혈성 뇌질환은 허혈성 뇌혈관질환 및 허혈성 뇌신경질환 (퇴행성 신경질환)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예컨대, 뇌졸중 (예컨대, 뇌경색 또는 뇌출혈), 고혈압, 치매 (예컨대, 혈관성 치매 등), 파키슨병, 헌팅턴병, 루게릭병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ischemic brain disease may be selected from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and ischemic cranial nerve disease (degenerative neurological disease), for example, stroke (eg, cerebral infarction or cerebral hemorrhage), hypertension, dementia (eg, vascular dementia, etc.), Parkinson's disease, It can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untington's disease, Lou Gehrig's disease, and the like.

상기 신경 세포는 뇌 (예컨대, 해마 (e.g., CA1 영역 등))의 신경 세포일 수 있으며, 예컨대, 뉴런, 신경아교세포 (예컨대, 별아교세포(astrocyte), 미세아교세포(microglia), 희돌기아교세포 (oligodendrocyte) 등)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The neurons may be neurons of the brain (eg, hippocampus (eg, CA1 region, etc.)), such as neurons, glial cells (eg, astrocytes, microglia, oligodendrocytes) (oligodendrocyte, etc.).

다른 예는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 개선용, 신경세포 보호용, 및/또는 신경세포 재생 (또는 생성)용 건강기능성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은 참당귀 추출물 및 미나리 추출물의 혼합물,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물의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Another example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improving ischemic brain disease, protecting neurons, and / or regenerating (or generating) neurons,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Angelica Angelica and buttercup as an active ingredient. The mixed extract of Angelica keiskei and buttercup may be a mixture of Angelica keiskei extract and buttercup extract, extract of a mixture of Angelica keiskei and buttercup,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른 예는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xample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treating and / or improving ischemic brain disease, comprising the step of preparing a mixed extract of Angelica Angelica and Buttercup.

다른 예는 참당귀 추출물 및 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신경세포 보호, 및/또는 신경세포 재생 (또는 생성)을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또는 병용투여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참당귀 추출물 및 미나리 추출물을 하나의 제형 내에 포함하거나, 각각 서로 다른 제형 내에 포함하는 투여 단위(dosage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는 참당귀 추출물을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및 미나리 추출물을 상기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 신경세포 보호 방법, 및/또는 신경세포 재생 (또는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참당귀 추출물의 투여 단계와 미나리 추출물의 투여 단계는 동시 또는 순서에 무관하게 이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Another example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oncomitant administration or a kit for co-administration for the prevention and / or treatment of ischemic brain disease, neuronal cell protection, and / or neuronal cell regeneration (or production), including Angelica keiskei koidz extract and parsley extract. do.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o-administration may include a single Angelica extract and a parsley extract in one dosage form, or may include a dosage unit included in each different dosage form. Another example is a method for preventing and / or treating neurological diseases, comprising administering an Angelica keiskei koidus extract to a subject in need and preventing or / or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and administering a buttercup extract to the subject. Methods of protection and / or methods of regenerating (or generating) neurons are provided. The administration step of the Angelica keiskei kombu and the administration step of the buttercup extract may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or irrespective of the sequence.

본 명세서에서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의 허혈성 뇌질환 예방 및/또는 치료 용도, 및 신경세포 보호 및/또는 재생 용도가 제공된다.Provided herein is the use of a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buttercup to prevent and / or treat ischemic brain disease, and to protect and / or regenerate neurons.

당귀는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약용을 목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당귀는 그 산지에 따라 한국에서 생산되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일본에서 생산되는 일당귀(Angelica acutiloba Kitagawa), 그리고 중국에서 생산되는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Diels)로 구분되고, 그 성분과 약리적 효과는 상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참당귀 추출물은 참당귀의 뿌리 (예컨대, 참당귀 뿌리의 건조 및 파쇄물)를 사용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Angelica is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belonging to the mountain family, and is mainly cultivated for medicinal purposes in Korea, Japan, and China. Angelica is divided into true Angelica (Angelica gigas Nakai), ildanggwi produced in Japan (Angelica acutiloba Kitagawa), and Chinese angelica (Angelica sinensis Diels) produced in China are produced in Korea according to its origin, its composition and pharmacological effect Is known to be different. The Angelica extract used herein may be obtained using the root of Angelica (eg, dried and shredded Angelica roo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미나리는 돌미나리(Water dropwort, Oenanthe javanica)일 수 있다. 돌미나리는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쌍떡잎식물이다. 돌미나리는 습지 또는 물가에서 야생하는 것으로, 물미나리에 비하여 잎사귀가 많으며 줄기가 짧고 줄기 아래가 약간 붉은 색을 띤다. 또한, 독특한 향미가 있어서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해열, 진정, 변비예방 등의 효과가 있고, 항균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미나리 추출물은 돌미나리의 식물체 전체(전초) 또는 그 일부를 사용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돌미나리의 일부는 돌미나리의 지상부, 구체적으로 꽃, 줄기, 및 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일 수 있다.The buttercup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a water dropwort ( Oenanthe javanica ). Dolphin is a perennial herb belonging to the family Apiaceae ( Umbelliferae ) and is a dicotyledonous plant. The stone parsley is wild in wetlands or watersides, and has more leaves than the water parsley, and the stem is short and the red under the stem. In addition, it has a unique flavor and is used for food, has antipyretic, soothing, and constipation prevention effects, and is known to have antibacterial effects. The buttercup extract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obtained by using a whole plant (outpost) or a part of the stone buttercup, and a part of the stone buttercup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upper part of the stone buttercup, specifically, a flower, a stem, and a leaf. It can be a site.

본 명세서에서, '치료'는 증상의 경감 또는 개선, 질환의 범위의 감소, 질환 진행의 지연 또는 완화, 질환 상태 또는 증상의 개선, 경감 또는 안정화, 부분적 또는 완전한 회복, 생존의 연장, 기타 다른 이로운 치료 결과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방'은 특정 질병을 갖지 않는 대상에게 작용하여 상기 특정 질병이 발병하지 않도록 하거나, 그 발병 시기를 늦추는 모든 기작 및/또는 효과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As used herein, 'treatment' refers to alleviating or ameliorating symptoms, reducing the extent of a disease, delaying or alleviating disease progression, improving a condition or symptom, alleviating or stabilizing, partially or fully recovering, prolonging survival, or other beneficial benefits. It is used in a sense including all treatment results. 'Prevention' is used in a sense to include all mechanisms and / or effects that act on a subject who does not have a specific disease to prevent the specific disease from developing, or to slow the onset of the disease.

본 명세서에서,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이 뇌허혈에 의한 뇌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신경세포 재생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 및/또는 신경세포 재생 (또는 생성) 효과, 및 허혈성 뇌질환에 대한 치료 및/또는 예방 및/또는 개선 효과를 제안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mixed extract of Angelica keiskei and buttercup shows a protective / neuronal regeneration effect against brain cell damage due to cerebral ischemia, and the neuronal protective effect and / or nerve cell regeneration of the mixed extract of Angelica keiskei and the buttercup (Or produce) effect, and treatment and / or prevention and / or improvement effect on ischemic brain disease.

이에, 일 예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신경세포 보호용 약학 조성물, 및/또는 신경세포 재생 (또는 생성)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을 허혈성 뇌질환 예방 및/또는 치료, 신경세포 보호, 및/또는 신경세포 재생 (또는 생성)을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 신경세포 보호 방법, 및/또는 신경세포 재생 (또는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은 참당귀 추출물 및 미나리 추출물의 혼합물,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물의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신경 세포는 뇌 (예컨대, 해마 (e.g., CA1 영역 등))의 신경 세포일 수 있으며, 예컨대, 뉴런, 신경아교세포 (예컨대, 별아교세포(astrocyte), 미세아교세포(microglia), 희돌기아교세포 (oligodendrocyte) 등)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us, an example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 or treatment of ischemic brain disease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buttercup as an active ingredient,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otecting neurons, and / or regeneration of neurons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oduction). Another example is ischemic brain disease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a mixed extract of Angelica Angelica and buttercup to a subject in need of prevention and / or treatment of ischemic brain disease, neuronal cell protection, and / or neuronal regeneration (or production). Provided is a method of preventing and / or treating, a method of protecting neurons, and / or a method of regenerating (or generating) neurons. The mixed extract of Angelica keiskei and buttercup may be a mixture of Angelica keiskei extract and buttercup extract, an extract of a mixture of Angelica keiskei and buttercup,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neurons may be neurons of the brain (eg, hippocampus (eg, CA1 region, etc.)), such as neurons, glial cells (eg, astrocytes, microglia, oligodendrocytes) (oligodendrocyte, etc.)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예는 참당귀 추출물과 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신경세포 보호, 및/또는 신경세포 재생 (또는 생성)을 위한 병용투여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참당귀 추출물과 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신경세포 보호, 및/또는 신경세포 재생 (또는 생성)을 위한 병용투여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병용투여용 약학 조성물 또는 키트에 포함된 참당귀 추출물과 미나리 추출물은 함께 제형화된 형태(예컨대 혼합물 형태)이거나, 각각 제형화되어 하나의 투여 단위(dosage unit)에 포함된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예는 참당귀 추출물을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신경세포 보호, 및/또는 신경세포 재생 (또는 생성)을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및 미나리 추출물을 상기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 신경세포 보호 방법, 및/또는 신경세포 재생 (또는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참당귀 추출물의 투여 단계와 미나리 추출물의 투여 단계는 동시 또는 순서에 무관하게 이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Another example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o-administration for the prevention and / or treatment of ischemic brain disease, the protection of neurons, and / or the regeneration (or production) of neurons, including the Angelica keiskei kombu extract and the buttercup extract. Another example provides a kit for concomitant administration for the prevention and / or treatment of ischemic brain disease, the protection of neurons, and / or the regeneration (or generation) of neurons, including the Angelica keiskei koidus extract and the buttercup extract. The Angelica kerosene extract and the buttercup extract contain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kit for co-administration may be in the form of being formulated together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ixture), or may be respectively formulated and included in one dosage unit. Another example is the step of administering the Angelica extract to a subject in need of prevention and / or treatment of ischemic brain disease, neuronal cell protection, and / or neuronal regeneration (or production), and administering the buttercup extract to the subject. Provided is a method for preventing and / or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a method for protecting neurons, and / or a method for regenerating (or generating) neurons. The administration step of the Angelica keiskei kombu and the administration step of the buttercup extract may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or irrespective of the sequence.

상기 참당귀 추출물은 참당귀(예컨대, 뿌리)를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참당귀 추출물은 참당귀 (예컨대, 뿌리)의 40 내지 100%(v/v), 50 내지 100%(v/v), 60 내지 100%(v/v), 70 내지 100%(v/v), 80 내지 100%(v/v), 90 내지 100%(v/v), 92 내지 100%(v/v), 95 내지 100%(v/v), 96 내지 100%(v/v), 97 내지 100%(v/v), 또는 98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 (예컨대, 98%(v/v) 에탄올 수용액(주정))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참당귀 추출물은 10 내지 80℃, 10 내지 70℃, 10 내지 60℃, 10 내지 50℃, 20 내지 80℃, 20 내지 70℃, 20 내지 60℃, 20 내지 50℃, 30 내지 80℃, 30 내지 70℃, 30 내지 60℃, 30 내지 50℃, 40 내지 80℃, 40 내지 70℃, 40 내지 60℃, 또는 40 내지 50℃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The Angelica Angelica extract may be obtained by extracting Angelica Angelica (eg, root) with one or more extraction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d straight or branched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In one example, the Angelica Angelica extract is 40-100% (v / v), 50-100% (v / v), 60-100% (v / v), 70-100 of the Angelica (eg, root) % (v / v), 80-100% (v / v), 90-100% (v / v), 92-100% (v / v), 95-100% (v / v), 96-100 % (v / v), 97 to 100% (v / v), or 98 to 100% (v / v) ethanol aqueous solution (eg, 98% (v / v) ethanol aqueous solution (sold)) extract. In addition, the Angelica keiskei kombu is 10 to 80 ℃, 10 to 70 ℃, 10 to 60 ℃, 10 to 50 ℃, 20 to 80 ℃, 20 to 70 ℃, 20 to 60 ℃, 20 to 50 ℃, 30 to 80 It may be extracted at ℃, 30 to 70 ℃, 30 to 60 ℃, 30 to 50 ℃, 40 to 80 ℃, 40 to 70 ℃, 40 to 60 ℃, or 40 to 50 ℃.

상기 미나리 추출물은 미나리, 예컨대, 꽃, 줄기, 잎, 전초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를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미나리 추출물은 미나리 (예컨대, 꽃, 줄기, 잎, 및/또는 전초 등)의 10 내지 80%(v/v), 10 내지 70%(v/v), 10 내지 65%(v/v), 10 내지 60%(v/v), 10 내지 55%(v/v), 10 내지 52%(v/v), 10 내지 50%(v/v), 10 내지 49%(v/v), 10 내지 48%(v/v), 10 내지 47%(v/v), 10 내지 46%(v/v), 10 내지 45%(v/v), 20 내지 80%(v/v), 20 내지 70%(v/v), 20 내지 65%(v/v), 20 내지 60%(v/v), 20 내지 55%(v/v), 20 내지 52%(v/v), 20 내지 50%(v/v), 20 내지 49%(v/v), 20 내지 48%(v/v), 20 내지 47%(v/v), 20 내지 46%(v/v), 20 내지 45%(v/v), 30 내지 80%(v/v), 30 내지 70%(v/v), 30 내지 65%(v/v), 30 내지 60%(v/v), 30 내지 55%(v/v), 30 내지 52%(v/v), 30 내지 50%(v/v), 30 내지 49%(v/v), 30 내지 48%(v/v), 30 내지 47%(v/v), 30 내지 46%(v/v), 또는 30 내지 45%(v/v)의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나리 추출물은, 유효성분 함량추출에 유리하도록, 추출시의 pH를 예컨대, 8 내지 10, 8.5 내지 10, 8.8 내지 10, 8 내지 9.5, 8.5 내지 9.5, 8.8 내지 9.5, 8 내지 9.2, 8.5 내지 9.2, 또는 8.8 내지 9.2로 조절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미나리를 상기 pH 범위에서 추출함으로써, 추출물 내의 유효성분 함량이 높은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추출 pH는 미나리에 추출용매와 함께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pH를 상기한 범위로 조절할 수 있는 모든 물질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나리 추출물은 30 내지 100℃, 30 내지 98℃, 30 내지 95℃, 30 내지 94℃, 30 내지 93℃, 30 내지 92℃, 30 내지 91℃, 30 내지 90℃, 50 내지 100℃, 50 내지 98℃, 50 내지 95℃, 50 내지 94℃, 50 내지 93℃, 50 내지 92℃, 50 내지 91℃, 50 내지 90℃, 70 내지 100℃, 70 내지 98℃, 70 내지 95℃, 70 내지 94℃, 70 내지 93℃, 70 내지 92℃, 70 내지 91℃, 70 내지 90℃, 75 내지 100℃, 75 내지 98℃, 75 내지 95℃, 75 내지 94℃, 75 내지 93℃, 75 내지 92℃, 75 내지 91℃, 75 내지 90℃, 80 내지 100℃, 80 내지 98℃, 80 내지 95℃, 80 내지 94℃, 80 내지 93℃, 80 내지 92℃, 80 내지 91℃, 80 내지 90℃, 85 내지 100℃, 85 내지 98℃, 85 내지 95℃, 85 내지 94℃, 85 내지 93℃, 85 내지 92℃, 85 내지 91℃, 85 내지 90℃, 90 내지 100℃, 90 내지 98℃ 또는 90 내지 95℃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The buttercup extract is extracted with one or more extraction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d straight or branched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for example, one or more sit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lowers, stems, leaves, and outposts. It may be obtained. In one example, the buttercup extract is 10 to 80% (v / v), 10 to 70% (v / v), 10 to 65% (of buttercup (eg, flower, stem, leaf, and / or outpost, etc.)) v / v), 10-60% (v / v), 10-55% (v / v), 10-52% (v / v), 10-50% (v / v), 10-49% ( v / v), 10-48% (v / v), 10-47% (v / v), 10-46% (v / v), 10-45% (v / v), 20-80% ( v / v), 20-70% (v / v), 20-65% (v / v), 20-60% (v / v), 20-55% (v / v), 20-52% ( v / v), 20-50% (v / v), 20-49% (v / v), 20-48% (v / v), 20-47% (v / v), 20-46% ( v / v), 20-45% (v / v), 30-80% (v / v), 30-70% (v / v), 30-65% (v / v), 30-60% ( v / v), 30-55% (v / v), 30-52% (v / v), 30-50% (v / v), 30-49% (v / v), 30-48% ( v / v), 30-47% (v / v), 30-46% (v / v), or 30-45% (v / v) ethanol extract. In addition, the buttercup extract, the pH at the time of extraction, such as 8 to 10, 8.5 to 10, 8.8 to 10, 8 to 9.5, 8.5 to 9.5, 8.8 to 9.5, 8 to 9.2, It may be obtained by adjusting to 8.5 to 9.2, or 8.8 to 9.2. By extracting the buttercup in the above pH range, an extract having a high active ingredient content in the extract can be obtained. The extraction pH can be adjusted by adding a pH adjusting agent with an extraction solvent to the buttercup. In one example, the pH adjusting ag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hydroxide, calc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lected from all substances capable of adjusting the pH to the above range. . In addition, the buttercup extract is 30 to 100 ℃, 30 to 98 ℃, 30 to 95 ℃, 30 to 94 ℃, 30 to 93 ℃, 30 to 92 ℃, 30 to 91 ℃, 30 to 90 ℃, 50 to 100 ℃ , 50 to 98 ℃, 50 to 95 ℃, 50 to 94 ℃, 50 to 93 ℃, 50 to 92 ℃, 50 to 91 ℃, 50 to 90 ℃, 70 to 100 ℃, 70 to 98 ℃, 70 to 95 ℃ , 70 to 94 ℃, 70 to 93 ℃, 70 to 92 ℃, 70 to 91 ℃, 70 to 90 ℃, 75 to 100 ℃, 75 to 98 ℃, 75 to 95 ℃, 75 to 94 ℃, 75 to 93 ℃ , 75 to 92 ℃, 75 to 91 ℃, 75 to 90 ℃, 80 to 100 ℃, 80 to 98 ℃, 80 to 95 ℃, 80 to 94 ℃, 80 to 93 ℃, 80 to 92 ℃, 80 to 91 ℃ , 80 to 90 ℃, 85 to 100 ℃, 85 to 98 ℃, 85 to 95 ℃, 85 to 94 ℃, 85 to 93 ℃, 85 to 92 ℃, 85 to 91 ℃, 85 to 90 ℃, 90 to 100 ℃ , It may be extracted from 90 to 98 ℃ or 90 to 95 ℃.

상기 참당귀 및 미나리 혼합물의 추출물은 참당귀(뿌리)와 미나리 (꽃, 줄기, 잎, 전초 등)의 혼합물을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The extract of the mixture of Angelica Angelica and Buttercup extracts a mixture of Angelica Angelica (root) and buttercup (flower, stem, leaf, outpost, etc.) with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d straight or branched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It may be obtained by extraction with a solvent.

일 예에서, 상기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은,In one example, the mixed extract of the Angelica and buttercup,

(1) (i) 참당귀 (뿌리)의 40 내지 100%(v/v), 50 내지 100%(v/v), 60 내지 100%(v/v), 70 내지 100%(v/v), 80 내지 100%(v/v), 90 내지 100%(v/v), 92 내지 100%(v/v), 95 내지 100%(v/v), 96 내지 100%(v/v), 97 내지 100%(v/v), 또는 98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 (예컨대, 98%(v/v) 에탄올 수용액(주정)) 추출물과 (ii) 미나리 (예컨대, 꽃, 줄기, 잎, 전초 등)의 10 내지 80%(v/v), 10 내지 70%(v/v), 10 내지 65%(v/v), 10 내지 60%(v/v), 10 내지 55%(v/v), 10 내지 52%(v/v), 10 내지 50%(v/v), 10 내지 49%(v/v), 10 내지 48%(v/v), 10 내지 47%(v/v), 10 내지 46%(v/v), 10 내지 45%(v/v), 20 내지 80%(v/v), 20 내지 70%(v/v), 20 내지 65%(v/v), 20 내지 60%(v/v), 20 내지 55%(v/v), 20 내지 52%(v/v), 20 내지 50%(v/v), 20 내지 49%(v/v), 20 내지 48%(v/v), 20 내지 47%(v/v), 20 내지 46%(v/v), 20 내지 45%(v/v), 30 내지 80%(v/v), 30 내지 70%(v/v), 30 내지 65%(v/v), 30 내지 60%(v/v), 30 내지 55%(v/v), 30 내지 52%(v/v), 30 내지 50%(v/v), 30 내지 49%(v/v), 30 내지 48%(v/v), 30 내지 47%(v/v), 30 내지 46%(v/v), 또는 30 내지 45%(v/v)의 에탄올 수용액 (예컨대, 50%(v/v)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임의로, pH 8 내지 10, 8.5 내지 10, 8.8 내지 10, 8 내지 9.5, 8.5 내지 9.5, 8.8 내지 9.5, 8 내지 9.2, 8.5 내지 9.2, 또는 8.8 내지 9.2 조건에서 추출된 추출물)의 혼합물, 또는 (1) (i) 40 to 100% (v / v), 50 to 100% (v / v), 60 to 100% (v / v), 70 to 100% (v / v) of the Angelica (root) ), 80 to 100% (v / v), 90 to 100% (v / v), 92 to 100% (v / v), 95 to 100% (v / v), 96 to 100% (v / v) ), 97 to 100% (v / v), or 98 to 100% (v / v) ethanol aqueous solution (e.g. 98% (v / v) ethanol aqueous solution (drink)) extract and (ii) buttercup (e.g. flower , Stem, leaf, outpost, etc.) 10 to 80% (v / v), 10 to 70% (v / v), 10 to 65% (v / v), 10 to 60% (v / v), 10 To 55% (v / v), 10 to 52% (v / v), 10 to 50% (v / v), 10 to 49% (v / v), 10 to 48% (v / v), 10 To 47% (v / v), 10 to 46% (v / v), 10 to 45% (v / v), 20 to 80% (v / v), 20 to 70% (v / v), 20 To 65% (v / v), 20 to 60% (v / v), 20 to 55% (v / v), 20 to 52% (v / v), 20 to 50% (v / v), 20 To 49% (v / v), 20 to 48% (v / v), 20 to 47% (v / v), 20 to 46% (v / v), 20 to 45% (v / v), 30 To 80% (v / v), 30 to 70% (v / v), 30 to 65% (v / v), 30 to 60% (v / v), 30 to 55% (v / v), 30 To 52% (v / v), 30 to 50% (v / v), 30 to 49% (v / v), 30 to 48% (v / v), 30 to 47% (v / v), 30 To 46% (v / v), or 30 to 45% (v / v) aqueous ethanol solution (eg, 50% (v / v) ethanol aqueous solution) extract (optionally, pH 8 to 10, 8.5 to 10, 8.8 to 10, 8 to 9.5, 8.5 to 9.5, 8.8 to 9.5, 8 to 9.2, 8.5 to 9.2, or 8.8 to 9.2 extracts extracted under conditions), or

(2) 참당귀 (뿌리) 및 미나리 (예컨대, 종자, 새싹, 꽃, 전초 등)의 혼합물의 40 내지 100%(v/v), 45 내지 100%(v/v), 48 내지 100%(v/v), 50 내지 100%(v/v), 60 내지 100%(v/v), 70 내지 100%(v/v), 80 내지 100%(v/v), 90 내지 100%(v/v), 92 내지 100%(v/v), 96 내지 100%(v/v), 또는 98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2) 40 to 100% (v / v), 45 to 100% (v / v), 48 to 100% of the mixture of Angelica (root) and buttercup (e.g., seed, bud, flower, outpost, etc.) v / v), 50 to 100% (v / v), 60 to 100% (v / v), 70 to 100% (v / v), 80 to 100% (v / v), 90 to 100% ( v / v), 92 to 100% (v / v), 96 to 100% (v / v), or 98 to 100% (v / v) ethanol aqueous solution extract

(3) 또는 이들의 조합(3) or combinations thereof

일 수 있다.Can be

상기 참당귀 추출물과 미나리 추출물의 혼합물 중의 참당귀 추출물은 10 내지 80℃, 10 내지 70℃, 10 내지 60℃, 10 내지 50℃, 20 내지 80℃, 20 내지 70℃, 20 내지 60℃, 20 내지 50℃, 30 내지 80℃, 30 내지 70℃, 30 내지 60℃, 30 내지 50℃, 40 내지 80℃, 40 내지 70℃, 40 내지 60℃, 또는 40 내지 50℃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고; 및/또는 미나리 추출물은 30 내지 100℃, 30 내지 98℃, 30 내지 95℃, 30 내지 94℃, 30 내지 93℃, 30 내지 92℃, 30 내지 91℃, 30 내지 90℃, 50 내지 100℃, 50 내지 98℃, 50 내지 95℃, 50 내지 94℃, 50 내지 93℃, 50 내지 92℃, 50 내지 91℃, 50 내지 90℃, 70 내지 100℃, 70 내지 98℃, 70 내지 95℃, 70 내지 94℃, 70 내지 93℃, 70 내지 92℃, 70 내지 91℃, 70 내지 90℃, 75 내지 100℃, 75 내지 98℃, 75 내지 95℃, 75 내지 94℃, 75 내지 93℃, 75 내지 92℃, 75 내지 91℃, 75 내지 90℃, 80 내지 100℃, 80 내지 98℃, 80 내지 95℃, 80 내지 94℃, 80 내지 93℃, 80 내지 92℃, 80 내지 91℃, 80 내지 90℃, 85 내지 100℃, 85 내지 98℃, 85 내지 95℃, 85 내지 94℃, 85 내지 93℃, 85 내지 92℃, 85 내지 91℃, 85 내지 90℃, 90 내지 100℃, 90 내지 98℃ 또는 90 내지 95℃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물의 추출물은 10 내지 80℃, 10 내지 70℃, 10 내지 60℃, 10 내지 50℃, 20 내지 80℃, 20 내지 70℃, 20 내지 60℃, 20 내지 50℃, 30 내지 80℃, 30 내지 70℃, 30 내지 60℃, 30 내지 50℃, 40 내지 80℃, 40 내지 70℃, 40 내지 60℃, 또는 40 내지 50℃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The Angelica extract in the mixture of the Angelica keiskei koki extract and the buttercup extract is 10 to 80 ° C, 10 to 70 ° C, 10 to 60 ° C, 10 to 50 ° C, 20 to 80 ° C, 20 to 70 ° C, 20 to 60 ° C, 20 It may be extracted from 50 to 50 ° C, 30 to 80 ° C, 30 to 70 ° C, 30 to 60 ° C, 30 to 50 ° C, 40 to 80 ° C, 40 to 70 ° C, 40 to 60 ° C, or 40 to 50 ° C ; And / or the buttercup extract is 30 to 100 ° C, 30 to 98 ° C, 30 to 95 ° C, 30 to 94 ° C, 30 to 93 ° C, 30 to 92 ° C, 30 to 91 ° C, 30 to 90 ° C, 50 to 100 ° C , 50 to 98 ℃, 50 to 95 ℃, 50 to 94 ℃, 50 to 93 ℃, 50 to 92 ℃, 50 to 91 ℃, 50 to 90 ℃, 70 to 100 ℃, 70 to 98 ℃, 70 to 95 ℃ , 70 to 94 ℃, 70 to 93 ℃, 70 to 92 ℃, 70 to 91 ℃, 70 to 90 ℃, 75 to 100 ℃, 75 to 98 ℃, 75 to 95 ℃, 75 to 94 ℃, 75 to 93 ℃ , 75 to 92 ℃, 75 to 91 ℃, 75 to 90 ℃, 80 to 100 ℃, 80 to 98 ℃, 80 to 95 ℃, 80 to 94 ℃, 80 to 93 ℃, 80 to 92 ℃, 80 to 91 ℃ , 80 to 90 ℃, 85 to 100 ℃, 85 to 98 ℃, 85 to 95 ℃, 85 to 94 ℃, 85 to 93 ℃, 85 to 92 ℃, 85 to 91 ℃, 85 to 90 ℃, 90 to 100 ℃ , It may be extracted from 90 to 98 ℃ or 90 to 95 ℃. In addition, the extract of the mixture of Angelica keiskei and buttercup is 10 to 80 ° C, 10 to 70 ° C, 10 to 60 ° C, 10 to 50 ° C, 20 to 80 ° C, 20 to 70 ° C, 20 to 60 ° C, 20 to 50 It may be extracted from ℃, 30 to 80 ℃, 30 to 70 ℃, 30 to 60 ℃, 30 to 50 ℃, 40 to 80 ℃, 40 to 70 ℃, 40 to 60 ℃, or 40 to 50 ℃.

상기 참당귀 추출물과 미나리 혼합 추출물 내의 참당귀 추출물과 미나리 추출물의 혼합비 또는 참당귀와 미나리 혼합물 내의 참당귀와 미나리의 혼합비는 1:0.1 내지 10, 1:0.1 내지 5, 1:0.1 내지 4, 1:0.1 내지 3, 1:0.1 내지 2, 1:0.1 내지 1.5, 1:0.1 내지 1.2, 1:0.5 내지 10, 1:0.5 내지 5, 1:0.5 내지 4, 1:0.5 내지 3, 1:0.5 내지 2, 1:0.5 내지 1.5, 1:0.5 내지 1.2, 1:0.8 내지 10, 1:0.8 내지 5, 1:0.8 내지 4, 1:0.8 내지 3, 1:0.8 내지 2, 1:0.8 내지 1.5, 1:0.8 내지 1.2, 또는 1:0.9 내지 1.1 (이상, 참당귀 중량 또는 참당귀 추출물의 고형분 중량:미나리 중량 또는 미나리 추출물의 고형분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고형분 중량은 추출물의 용매 성분을 제거하고 남은 고형물의 중량을 의미한다. 이는 상기 혼합물이 참당귀 추출물과 미나리 추출물의 혼합물인 경우, 상기 혼합비가 추출물의 성상 및/또는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추출용매를 제거한 유효성분 중량 간 비율을 의미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 용어이다. The mixing ratio of the Angelica keiskei extract and the parsley extract in the Angelica keiskei extract and the buttercup mixture extract, or the mixing ratio of the Angelica keiskei and the buttercup in the Angelica kerosene mixture is 1: 0.1 to 10, 1: 0.1 to 5, 1: 0.1 to 4, 1 : 0.1 to 3, 1: 0.1 to 2, 1: 0.1 to 1.5, 1: 0.1 to 1.2, 1: 0.5 to 10, 1: 0.5 to 5, 1: 0.5 to 4, 1: 0.5 to 3, 1: 0.5 To 2, 1: 0.5 to 1.5, 1: 0.5 to 1.2, 1: 0.8 to 10, 1: 0.8 to 5, 1: 0.8 to 4, 1: 0.8 to 3, 1: 0.8 to 2, 1: 0.8 to 1.5 , 1: 0.8 to 1.2, or 1: 0.9 to 1.1 (above, Angelica kerosene weight or solid content weight of Angelica kerosene extract: parsley weight or parsley extract solid content weight). The solids weight means the weight of the solids remaining after removing the solvent component of the extract. This is a term used to indicate that when the mixture is a mixture of a true Angelica extract and a buttercup extract, the mixing ratio means the ratio between the weights of the active ingredients with the extraction solvent removed so as not to be affected by the properties and / or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

상기 약학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된 참당귀와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은 건조물, 농축물, 또는 농축 건조물 형태일 수 있다. The mixed extract of Angelica Angelica and Buttercup includ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a dried product, a concentrated product, or a concentrated dried product.

상기 약학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된 참당귀와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의 함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환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99.9 중량%, 0.01 내지 99.9 중량%, 0.1 내지 99.9 중량%, 1 내지 99.9 중량%, 10 내지 99.9 중량%, 30 내지 99.9 중량%, 40 내지 99.9 중량%, 50 내지 99.9 중량%, 0.001 내지 90 중량%, 0.01 내지 90 중량%, 0.1 내지 90 중량%, 1 내지 90 중량%, 10 내지 90 중량%, 30 내지 90 중량%, 40 내지 90 중량%, 50 내지 90 중량%, 0.001 내지 70 중량%, 0.01 내지 70 중량%, 0.1 내지 70 중량%, 1 내지 70 중량%, 10 내지 70 중량%, 30 내지 70 중량%, 40 내지 70 중량%, 50 내지 70 중량%, 0.001 내지 50 중량%, 0.01 내지 50 중량%, 0.1 내지 50 중량%, 1 내지 50 중량%, 10 내지 50 중량%, 30 내지 50 중량%, 또는 40 내지 50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형분 중량이라 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출물에서 용매 성분을 제거한 고형물의 중량을 의미한다.The content of the mixed extract of Angelica keiskei and buttercup contain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purpose of use, the patient's condition, the type and severity of the symptoms, and 0.001 to 99.9% by weight based on the solid content weight. 0.01 to 99.9 wt%, 0.1 to 99.9 wt%, 1 to 99.9 wt%, 10 to 99.9 wt%, 30 to 99.9 wt%, 40 to 99.9 wt%, 50 to 99.9 wt%, 0.001 to 90 wt%, 0.01 to 90 wt%, 0.1 to 90 wt%, 1 to 90 wt%, 10 to 90 wt%, 30 to 90 wt%, 40 to 90 wt%, 50 to 90 wt%, 0.001 to 70 wt%, 0.01 to 70 wt% %, 0.1 to 70% by weight, 1 to 70% by weight, 10 to 70% by weight, 30 to 70% by weight, 40 to 70% by weight, 50 to 70% by weight, 0.001 to 50% by weight, 0.01 to 50% by weight, It may be 0.1 to 50% by weight, 1 to 50% by weight, 10 to 50% by weight, 30 to 50% by weight, or 40 to 50%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olid content weight means the weight of the solid material from which the solvent component is removed from the extract as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로서, 허혈성 뇌질환은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혈류 차단, 이로 인한 뇌손상 (예컨대, 신경세포의 사멸, 감소, 기능 저하 또는 기능 소실 등에 의한 손상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병으로, 막힌 뇌혈관 위치 또는 손상된 뇌 부위에 따라서, 운동조절능력 상실 (전신 또는 국부 마비), 언어장애, 시야장애, 어지러움증, 의실 소실 등의 증상을 보이는 모든 질병들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허혈성 뇌질환은 허혈성 뇌혈관질환 및 허혈성 뇌신경질환 (퇴행성 신경질환)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예컨대, 뇌졸중 (예컨대, 뇌경색 또는 뇌출혈), 고혈압, 치매 (예컨대, 혈관성 치매 등), 파키슨병, 헌팅턴병, 루게릭병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As used herein, ischemic brain disease is caused by blockage of cerebral blood flow caused by clogging of the cerebral blood vessels, resulting in brain damage (e.g., loss of nerve cells, loss of function, or damage due to loss of function, etc.). As a diseas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a blocked cerebrovascular or damaged brain region, it may be selected from all diseases that exhibit symptoms such as loss of motor control (systemic or local paralysis), speech disorder, visual field disorder, dizziness, loss of room, and the like. The ischemic brain disease may be selected from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and ischemic cranial nerve disease (degenerative neurological disease), for example, stroke (eg, cerebral infarction or cerebral hemorrhage), hypertension, dementia (eg, vascular dementia, etc.), Parkinson's disease, It can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untington's disease, Lou Gehrig's disease, and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 사용된 바로서, 신경세포 보호, 및/또는 신경세포 재생 (또는 생성)은 뇌허혈에 의한 신경 세포 손상으로부터의 신경 세포 보호 및/또는 손상된 신경 세포의 재생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신경 세포는 뇌 (예컨대, 해마 (e.g., CA1 영역 등))의 신경 세포일 수 있으며, 예컨대, 뉴런, 신경아교세포 (예컨대, 별아교세포(astrocyte), 미세아교세포(microglia), 희돌기아교세포 (oligodendrocyte) 등)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s used herein, neuronal protection, and / or neuronal regeneration (or production) may refer to neuronal protection from neuronal damage by brain ischemia and / or regeneration of damaged neurons. The neurons may be neurons of the brain (eg, hippocampus (eg, CA1 region, etc.)), such as neurons, glial cells (eg, astrocytes, microglia, oligodendrocytes) (oligodendrocyte, etc.)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인간, 개, 고양이, 말, 소, 돼지, 염소, 토끼, 마우스, 래트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세포, 조직, 또는 이의 배양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투여, 또는 정맥 투여, 근육 투여, 피하 투여, 복막내 투여, 병변 부위 (예컨대, 뇌, 척수 등) 국소 투여와 같은 비경구 투여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경피제, 좌제,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의 비경구 제형 등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by various routes to mammals, including humans, dogs, cats, horses, cows, pigs, goats, rabbits, mice, rats, etc., or cells, tissues, or cultures isolated therefrom. . The mode of administration may be any of the commonly used modes, for example, parenteral administration, such as or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topical administration of lesion sites (eg, brain, spinal cord, etc.). Can b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formulated into oral formula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tc.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ransderm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parenteral formulations in the form of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etc. Can be used.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 등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서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시럽제, 분말제, 현탁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경피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n auxiliary agent such as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and / or diluent in addition to the extract. Examples of such carriers, excipients, or diluents ar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And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In the case of formulation, one or more diluents or excipi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ting agents, surfactants, etc., which are usually used may be used.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syrups, powders, suspensions, etc., and these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in the extract, For example, it may be prepared by mixing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In addition,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yrene talc are used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spending agents, intravenous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 In addition to water and liquid paraffin, which are commonly used,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and sweeteners ,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ragrances, preservatives,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transdermal preparations. As the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sion,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may be used.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간격,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투여 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약학 조성물의 1회 또는 1일 투여량은 유효성분 (참당귀와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의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00㎎/kg, 구체적으로, 0.001 내지 1000㎎/kg, 0.001 내지 500㎎/kg, 0.001 내지 300㎎/kg, 0.001 내지 250㎎/kg, 0.01 내지 1000㎎/kg, 0.01 내지 500㎎/kg, 0.01 내지 300㎎/kg, 0.01 내지 250㎎/kg, 0.1 내지 1000㎎/kg, 0.1 내지 500㎎/kg, 0.1 내지 300㎎/kg, 0.1 내지 250㎎/kg, 1 내지 1000㎎/kg, 1 내지 500㎎/kg, 1 내지 300㎎/kg, 1 내지 250㎎/kg, 10 내지 1000㎎/kg, 10 내지 500㎎/kg, 10 내지 300㎎/kg, 또는 10 내지 250㎎/kg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1회 또는 1일 투여량은 단위 용량 형태로 하나의 제제로 제제화되거나, 적절하게 분량하여 제제화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투여량은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높거나 낮을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variously prescribed by factors such as formulation method, administration method, patient's age, weight, sex, morbidity, food,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interval, administration route, excretion rate and response sensitivity. Can be. The dosage may vary depending on the patient's age, weight, sex, dosage form, health condition, and degree of disease, and may be dividedly administered once to several times a day at regular time intervals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a doctor or pharmacist. For example, a single or daily do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0.0001 to 10000 mg / kg, specifically, 0.001 to 1000 mg / kg, 0.001 to 500 mg, based on the solid content weight of the active ingredient (mixed extract of Angelica kelp and buttercup) / kg, 0.001 to 300mg / kg, 0.001 to 250mg / kg, 0.01 to 1000mg / kg, 0.01 to 500mg / kg, 0.01 to 300mg / kg, 0.01 to 250mg / kg, 0.1 to 1000mg / kg, 0.1 to 500 mg / kg, 0.1 to 300 mg / kg, 0.1 to 250 mg / kg, 1 to 1000 mg / kg, 1 to 500 mg / kg, 1 to 300 mg / kg, 1 to 250 mg / kg , 10 to 1000mg / kg, 10 to 500mg / kg, 10 to 300mg / kg, or 10 to 250mg / kg,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ingle or daily dosage may be formulated as a single dosage form in unit dose form, or may be prepared by appropriately dispensing, or incorporated into a multi-dose container. The above-mentioned dosage is an example of an average case, and the dosage may be high or low according to individual differences.

다른 예는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xample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treating and / or improving ischemic brain disease, comprising the step of preparing a mixed extract of Angelica Angelica and Buttercup.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1) 참당귀 추출물과 미나리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또는 2) 참당귀와 미나리를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하는 단계에 사용된 추출 용매 및 추출 온도는 앞서 참당귀 및 미나리 혼합 추출물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The step of preparing a mixed extract of Angelica keiskei and buttercup may include 1) mixing an Angelica keiskei extract and a buttercup extract, or 2) extracting a mixture of Angelica keiskei and a buttercup with an extraction solvent. The extraction solvent and extraction temperature used in the extraction step may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mixed extract of Angelica keiskei and buttercup.

예컨대, 상기 1) 참당귀 추출물과 미나리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는 For example, the step 1) mixing the Angelica keiskei kombu extract and buttercup extract

i) 참당귀 (예컨대, 뿌리)를, 10 내지 80℃, 10 내지 70℃, 10 내지 60℃, 10 내지 50℃, 20 내지 80℃, 20 내지 70℃, 20 내지 60℃, 20 내지 50℃, 30 내지 80℃, 30 내지 70℃, 30 내지 60℃, 30 내지 50℃, 40 내지 80℃, 40 내지 70℃, 40 내지 60℃, 또는 40 내지 50℃에서, 1 내지 10 부피배, 2 내지 8 부피배, 또는 4 내지 6 부피배의 물 및 탄소수 1-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예컨대,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예컨대, 40 내지 100%(v/v), 50 내지 100%(v/v), 60 내지 100%(v/v), 70 내지 100%(v/v), 80 내지 100%(v/v), 90 내지 100%(v/v), 92 내지 100%(v/v), 95 내지 100%(v/v), 96 내지 100%(v/v), 97 내지 100%(v/v), 또는 98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 (예컨대, 98%(v/v) 에탄올 수용액(주정))으로 추출하는 단계,i) Angelica (eg, root), 10 to 80 ° C, 10 to 70 ° C, 10 to 60 ° C, 10 to 50 ° C, 20 to 80 ° C, 20 to 70 ° C, 20 to 60 ° C, 20 to 50 ° C , 30 to 80 ° C, 30 to 70 ° C, 30 to 60 ° C, 30 to 50 ° C, 40 to 80 ° C, 40 to 70 ° C, 40 to 60 ° C, or 40 to 50 ° C, 1 to 10 volume times, 2 1 to 8 vol.x, or 4 to 6 vol. Of water and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raight or branched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eg, ethanol), such as 40 to 100% (v / v), 50 to 100% (v / v), 60 to 100% (v / v), 70 to 100% (v / v), 80 to 100% (v / v), 90 to 100% (v / v), 92 to 100% (v / v), 95 to 100% (v / v), 96 to 100% (v / v), 97 to 100% (v / v), or 98 to 100% (v / v) Extracting with ethanol aqueous solution (e.g., 98% (v / v) ethanol aqueous solution (drink)),

ii) 미나리 (예컨대, 꽃, 줄기, 잎, 전초 등)를, 10 내지 80℃, 10 내지 70℃, 10 내지 60℃, 10 내지 50℃, 20 내지 80℃, 20 내지 70℃, 20 내지 60℃, 20 내지 50℃, 30 내지 80℃, 30 내지 70℃, 30 내지 60℃, 30 내지 50℃, 30 내지 45℃, 35 내지 60℃, 35 내지 50℃, 35 내지 45℃, 35 내지 60℃, 35 내지 50℃, 또는 35 내지 45℃에서, 1 내지 10 부피배, 2 내지 8 부피배, 또는 4 내지 6 부피배의 물 및 탄소수 1-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예컨대,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예컨대, 10 내지 80%(v/v), 10 내지 70%(v/v), 10 내지 65%(v/v), 10 내지 60%(v/v), 10 내지 55%(v/v), 10 내지 52%(v/v), 10 내지 50%(v/v), 10 내지 49%(v/v), 10 내지 48%(v/v), 10 내지 47%(v/v), 10 내지 46%(v/v), 10 내지 45%(v/v), 20 내지 80%(v/v), 20 내지 70%(v/v), 20 내지 65%(v/v), 20 내지 60%(v/v), 20 내지 55%(v/v), 20 내지 52%(v/v), 20 내지 50%(v/v), 20 내지 49%(v/v), 20 내지 48%(v/v), 20 내지 47%(v/v), 20 내지 46%(v/v), 20 내지 45%(v/v), 30 내지 80%(v/v), 30 내지 70%(v/v), 30 내지 65%(v/v), 30 내지 60%(v/v), 30 내지 55%(v/v), 30 내지 52%(v/v), 30 내지 50%(v/v), 30 내지 49%(v/v), 30 내지 48%(v/v), 30 내지 47%(v/v), 30 내지 46%(v/v), 또는 30 내지 45%(v/v)의 에탄올 수용액 (예컨대, 5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ii) buttercups (eg, flowers, stems, leaves, outposts), 10 to 80 ° C, 10 to 70 ° C, 10 to 60 ° C, 10 to 50 ° C, 20 to 80 ° C, 20 to 70 ° C, 20 to 60 ℃, 20 to 50 ℃, 30 to 80 ℃, 30 to 70 ℃, 30 to 60 ℃, 30 to 50 ℃, 30 to 45 ℃, 35 to 60 ℃, 35 to 50 ℃, 35 to 45 ℃, 35 to 60 At ℃, 35 to 50 ° C, or 35 to 45 ° C, 1 to 10 volumes, 2 to 8 volumes, or 4 to 6 volumes of water and straight or branched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such as ethanol)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r example, 10 to 80% (v / v), 10 to 70% (v / v), 10 to 65% (v / v), 10 to 60% (v / v) , 10 to 55% (v / v), 10 to 52% (v / v), 10 to 50% (v / v), 10 to 49% (v / v), 10 to 48% (v / v) , 10-47% (v / v), 10-46% (v / v), 10-45% (v / v), 20-80% (v / v), 20-70% (v / v) , 20 to 65% (v / v), 20 to 60% (v / v), 20 to 55% (v / v), 20 to 52% (v / v), 20 to 50% (v / v) , 20 to 49% (v / v), 20 to 48% (v / v), 20 to 47% (v / v), 20 to 46% (v / v), 20 to 45% (v / v) , 30 to 80% (v / v), 30 to 70% (v / v), 30 to 65% (v / v), 30 to 60% (v / v), 30 to 55% (v / v) , 30 to 52% (v / v), 30 to 50% (v / v), 30 to 49% (v / v), 30 to 48% (v / v), 30 to 47% (v / v) , Extracting with 30 to 46% (v / v), or 30 to 45% (v / v) ethanol aqueous solution (e.g., 50% (v / v) ethanol aqueous solution), and

iii) 상기 단계 i)에서 추출된 참당귀 추출물과 단계 ii)에서 추출된 미나리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iii) mixing the Angelica kerosene extract extracted in step i) and the buttercup extract extracted in step ii)

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상기 단계 ii)의 미나리 추출물 제조 단계는, 임의로, 미나리와 추출용매의 혼합물의 pH를 8 내지 10, 8.5 내지 10, 8.8 내지 10, 8 내지 9.5, 8.5 내지 9.5, 8.8 내지 9.5, 8 내지 9.2, 8.5 내지 9.2, 또는 8.8 내지 9.2로 조절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pH는 통상의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tep of preparing the buttercup extract of step ii), optionally, the pH of the mixture of the buttercup and the extraction solvent is 8 to 10, 8.5 to 10, 8.8 to 10, 8 to 9.5, 8.5 to 9.5, 8.8 to 9.5, 8 to 9.2, It may be performed by adjusting to 8.5 to 9.2, or 8.8 to 9.2, and the pH may be adjusted by adding a conventional pH adjusting agent, and the pH adjusting agent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calcium hydroxide, and the like. This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상기 단계 i)의 참당귀 추출물 제조 단계와 단계 ii)의 미나리 추출물 제조 단계는 동시 또는 순서에 상관없이 이시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The step of preparing the Angelica keiskei koid extract in step i) and the step of preparing the buttercup extract in step ii) may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or simultaneously.

상기 2) 참당귀와 미나리를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는 i') 참당귀 (뿌리)와 미나리(예컨대, 종자, 새싹, 꽃, 전초 등)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ii') 상기 혼합물을, 10 내지 80℃, 10 내지 70℃, 10 내지 60℃, 10 내지 50℃, 20 내지 80℃, 20 내지 70℃, 20 내지 60℃, 20 내지 50℃, 30 내지 80℃, 30 내지 70℃, 30 내지 60℃, 30 내지 50℃, 40 내지 80℃, 40 내지 70℃, 40 내지 60℃, 또는 40 내지 50℃에서, 1 내지 10 부피배, 2 내지 8 부피배, 또는 4 내지 6 부피배의 물 및 탄소수 1-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예컨대,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예컨대, 40 내지 100%(v/v), 45 내지 100%(v/v), 48 내지 100%(v/v), 50 내지 100%(v/v), 60 내지 100%(v/v), 70 내지 100%(v/v), 80 내지 100%(v/v), 90 내지 100%(v/v), 92 내지 100%(v/v), 95 내지 100%(v/v), 96 내지 100%(v/v), 97 내지 100%(v/v), 또는 98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2) of extracting a mixture of Angelica keiskei and a buttercup with an extraction solvent is i ') mixing Angelica kelp (root) and a parsley (eg, seed, bud, flower, outpost, etc.) to prepare a mixture, And ii ') the mixture is 10 to 80 ° C, 10 to 70 ° C, 10 to 60 ° C, 10 to 50 ° C, 20 to 80 ° C, 20 to 70 ° C, 20 to 60 ° C, 20 to 50 ° C, 30 to At 80 ° C, 30 to 70 ° C, 30 to 60 ° C, 30 to 50 ° C, 40 to 80 ° C, 40 to 70 ° C, 40 to 60 ° C, or 40 to 50 ° C, 1 to 10 volumes, 2 to 8 volume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ars or 4 to 6 volumes of water and straight or branched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such as ethanol), such as 40 to 100% (v / v), 45 to 100 % (v / v), 48-100% (v / v), 50-100% (v / v), 60-100% (v / v), 70-100% (v / v), 80-100 % (v / v), 90-100% (v / v), 92-100% (v / v), 95-100% (v / v), 96-100% (v / v), 97-100 % (v / v), or 98 to 100% (v / v) ethanol.

상기 참당귀 추출물과 미나리 추출물의 혼합비 또는 참당귀와 미나리의 혼합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The mixing ratio between the Angelica keiskei koki extract and the buttercup extract or the mixing ratio of Angelica keiskei and the buttercup is as described above.

상기한 참당귀 및/또는 미나리의 추출 단계의 추출 시간은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시간이면 족하고, 1시간 이상, 2시간 이상, 3시간 이상, 또는 4시간 이상, 예컨대, 1 내지 24시간, 2 내지 24시간, 3 내지 24시간, 4 내지 24시간, 1 내지 12시간, 2 내지 12시간, 3 내지 12시간, 4 내지 12시간, 1 내지 6시간, 2 내지 6시간, 3 내지 6시간, 또는 4 내지 6시간 정도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extraction time of the extraction step of the Angelica kelp and / or buttercup is sufficient as long as it can be sufficiently extracted, and 1 hour or more, 2 hours or more, 3 hours or more, or 4 hours or more, such as 1 to 24 hours, 2 To 24 hours, 3 to 24 hours, 4 to 24 hours, 1 to 12 hours, 2 to 12 hours, 3 to 12 hours, 4 to 12 hours, 1 to 6 hours, 2 to 6 hours, 3 to 6 hours, or It may be set to about 4 to 6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방법에 사용된 추출 과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추출 방법에 의하여 수생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추출법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추출 과정 이후에, 임의로 추출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조 및/또는 농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extraction process used in the above method can be aquatic by all commonly used extraction methods, for example, it can be performed by one or more metho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ot water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reflux extraction, and the like. It is not limit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fter the extraction process, optionally drying and / or concentrating the extract in a conventional manner.

다른 예는 참당귀 추출물, 또는 참당귀와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허혈성 뇌질환 예방 및/또는 개선용, 신경세포 보호용, 및/또는 신경세포 재생 (또는 생성)용 건강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Another example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and / or ameliorating ischemic brain disease, protecting neurons, and / or regenerating (or producing) nerve cells containing an Angelica Angelica extract, or a mixed extract of Angelica Angelica and buttercup.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은 일상 식사에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원료나 성분(이하, '기능성 원료')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으로, 건강을 유지하거나 소정의 질병 또는 증상을 예방 및/또는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모든 식품을 의미하며, 최종 제품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컨대,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은 각종 식품, 음료 조성물, 식품 첨가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health functional food is a food prepared using nutrients or ingredients or ingredi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unctional raw materials') that are useful for the human body that are easily deficient in everyday meals, and maintains health or prevents certain diseases or symptoms, and / Or means any food that helps to improve, and there are no specific restrictions on the final product form. For example,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arious foods, beverage compositions, and food additiv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에 함유된 참당귀 추출물 또는 참당귀와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의 함량은 식품의 형태, 소망하는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전체 식품 중량의 0.001 내지 99 중량%, 0.01 내지 99 중량%, 0.01 내지 95 중량%, 0.01 내지 90 중량%, 0.01 내지 80 중량%, 0.01 내지 50 중량%, 0.1 내지 99 중량%, 0.1 내지 95 중량%, 0.1 내지 90 중량%, 0.1 내지 80 중량%, 0.1 내지 50 중량%, 0.1 내지 30 중량%, 0.1 내지 10 중량%, 1 내지 99 중량%, 1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1 내지 80 중량%, 1 내지 50 중량%, 1 내지 30 중량%, 1 내지 10 중량%, 10 내지 99 중량%, 10 내지 95 중량%, 10 내지 90 중량%, 10 내지 80 중량%, 10 내지 50 중량%, 10 내지 30 중량%, 25 내지 99 중량%, 25 내지 95 중량%, 25 내지 90 중량%, 25 내지 80 중량%, 25 내지 50 중량%, 25 내지 30 중량%, 40 내지 99 중량%, 40 내지 95 중량%, 40 내지 90 중량%, 40 내지 80 중량%, 40 내지 50 중량%, 50 내지 99 중량%, 50 내지 95 중량%, 50 내지 90 중량%, 50 내지 80 중량%, 60 내지 99 중량%, 60 내지 95 중량%, 60 내지 90 중량%, 또는 60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The content of the Angelica Angelica extract contained in the health functional food or the mixture of Angelica Angelica and butterc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desired use, etc., for example, 0.001 to 99% by weight of the total food weight, 0.01 To 99 wt%, 0.01 to 95 wt%, 0.01 to 90 wt%, 0.01 to 80 wt%, 0.01 to 50 wt%, 0.1 to 99 wt%, 0.1 to 95 wt%, 0.1 to 90 wt%, 0.1 to 80 Weight percent, 0.1 to 50 weight percent, 0.1 to 30 weight percent, 0.1 to 10 weight percent, 1 to 99 weight percent, 1 to 95 weight percent, 1 to 90 weight percent, 1 to 80 weight percent, 1 to 50 weight percent , 1 to 30 wt%, 1 to 10 wt%, 10 to 99 wt%, 10 to 95 wt%, 10 to 90 wt%, 10 to 80 wt%, 10 to 50 wt%, 10 to 30 wt%, 25 To 99 wt%, 25 to 95 wt%, 25 to 90 wt%, 25 to 80 wt%, 25 to 50 wt%, 25 to 30 wt%, 40 to 99 wt%, 40 to 95 wt%, 40 to 90 Wt%, 40-80 wt%, 40-50 wt%, 50-99 wt%, 50-95 wt%, 50-90 wt%, 50-80 wt%, 60-99 wt%, 60-95 wt% , 60 to 90% by weight, or 60 to 80% by weight.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또는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또는 그의 염, 알긴산 또는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전체 건강 기능성 식품 100 중량부 당 0.0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health functional foods include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such as synthetic or natural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neutralizing agent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or salts thereof, alginic acid or salts thereof, It may further contain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 carbonic acid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The ratio of these additives is generally selected from the range of 0.001 to about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health functional fo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의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으로부터의 보호 효과와 손상된 신경세포 재생 (또는 생성) 효과를 제안함으로써,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과 치료 모두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 새로운 치료법을 제안한다.Proposing a new treatment method with excellent effects in both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c brain disease by proposing a protective effect from brain cell ischemia caused by cerebral ischemia and a regenerated (or produced) effect of impaired nerve cells. do.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 200 mg/kg, 참당귀 추출물 200 mg/kg, 또는 혼합 추출물 200 mg/kg (참당귀 추출물 100 mg/kg + 미나리 추출물 100 mg/kg)의 허혈성 뇌질환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추출물을 투여한 후 뇌허혈을 유발하여 5일이 경과된 실험동물의 해마 조직과 해마 조직의 CA1 영역을 크레질 바이올렛(cresyl violet, CV)으로 염색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 200 mg/kg, 참당귀 추출물 200 mg/kg, 또는 혼합 추출물 200 mg/kg (참당귀 추출물 100 mg/kg + 미나리 추출물 100 mg/kg)의 허혈성 뇌질환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추출물을 투여한 후 뇌허혈을 유발하여 5일이 경과된 실험동물의 해마의 CA1 영역을 신경세포에 대한 표지자인 마우스 항-neuronal nuclei (NeuN)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immunohistochemistry)으로 염색하여 촬영한 사진이고, 2b는 NeuN 항체에 면역반응성(immunoreactivity)이 있는 신경세포를 계수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 200 mg/kg, 참당귀 추출물 200 mg/kg, 또는 혼합 추출물 200 mg/kg (참당귀 추출물 100 mg/kg + 미나리 추출물 100 mg/kg)의 허혈성 뇌질환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추출물을 투여한 후 뇌허혈을 유발하여 5일이 경과된 실험동물의 해마의 CA1 영역을 사멸 또는 사멸 과정 중에 있는 신경세포에 대한 표지자인 플루오르-제이드 B (fluoro-jade b, F-J B)로 염색하여 촬영한 사진이고, 3b는 F-J B에 양성 반응을 보이는 세포를 계수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 200 mg/kg, 참당귀 추출물 200 mg/kg, 또는 혼합 추출물 200 mg/kg (참당귀 추출물 100 mg/kg + 미나리 추출물 100 mg/kg)의 허혈성 뇌질환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추출물의 투여한 후 뇌허혈을 유발하여 5일이 경과된 실험동물의 해마의 CA1 영역을 별아교세포(astrocyte)에 대한 표지자인 마우스 항-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으로 염색하여 촬영한 사진이고, 4b는 GFAP 항체에 염색된 세포들의 면역반응성을 정상군(vehicle-sham)에 대한 상대적 수치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 200 mg/kg, 참당귀 추출물 200 mg/kg, 또는 혼합 추출물 200 mg/kg (참당귀 추출물 100 mg/kg + 미나리 추출물 100 mg/kg)의 허혈성 뇌질환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추출물을 투여한 후 뇌허혈을 유발하여 5일이 경과된 실험동물의 해마의 CA1 영역을 미세아교세포(microglia)에 대한 표지자인 래빗 항-ionized calcium-binding adapter molecule 1 (Iba-1)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으로 염색하여 촬영한 사진이고, 5b는 Iba-1 항체에 염색된 세포들의 면역반응성을 정상군에 대한 상대적 수치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chemic brain disease of 200 mg / kg of buttercup extract, 200 mg / kg of Angelica kerosene extract, or 200 mg / kg of mixed extract (100 mg / kg of Angelica kerosene + 100 mg / kg of buttercup ex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effect, it is a picture taken by staining the hippocampus tissue and the CA1 region of the hippocampus tissue with cresyl violet (CV) after 5 days of inducing brain ischemia after administration of these extracts. .
2a ischemic brain disease of 200 mg / kg buttercup extract, 200 mg / kg extract of Angelica keiskei koidz, or 200 mg / kg of mixed extract (100 mg / kg of Angelica kelp + 100 mg / kg of buttercup ex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effect, immune tissues using mouse anti-neuronal nuclei (NeuN) antibody, which is a marker for neurons, in the CA1 region of the hippocampus of 5 days after inducing brain ischemia after administration of these extracts This is a picture taken by staining with chemistry (immunohistochemistry), and 2b is a graph showing the counting of neurons having immunoreactivity to NeuN antibodies.
Figure 3a ischemic brain disease of 200 mg / kg of buttercup extract, 200 mg / kg of Angelica kerosene extract, or 200 mg / kg of mixed extract (100 mg / kg of Angelica kerosene + 100 mg / kg of buttercup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phylactic effect, fluoro-jade, a marker for neurons in the process of killing or killing the CA1 region of the hippocampus of an experimental animal 5 days after inducing brain ischemia after administration of these extracts b, FJ B) is a picture taken by staining, 3b is a graph showing the counting of cells showing a positive response to FJ B.
Figure 4a ischemic brain disease of 200 mg / kg of buttercup extract, 200 mg / kg of Angelica kerosene extract, or 200 mg / kg of mixed extract (100 mg / kg of Angelica kerosene + 100 mg / kg of buttercup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effect, the mouse anti-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antibody, which is a marker for astrocytes, in the CA1 region of the hippocampus of 5 days after the induction of cerebral ischemia after administration of these extracts Is a photograph taken by staining with immunohistochemistry using, 4b is a graph showing the immune response of cells stained with GFAP antibody as a relative value for the vehicle (sham).
5A ischemic brain disease of 200 mg / kg buttercup extract, 200 mg / kg extract of Angelica keiskei koidz, or 200 mg / kg of mixed extract (100 mg / kg of Angelica kerosene + 100 mg / kg of buttercup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phylactic effect, rabbit anti-ionized calcium-binding adapter molecule 1, a marker for microglia, in the CA1 region of the hippocampus of an experimental animal 5 days after inducing brain ischemia after administration of these extracts (Iba-1) is a picture taken by immunohistochemistry using an antibody, and 5b is a graph showing the immune response of cells stained with Iba-1 antibody as a relative value to a normal group.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 아래 기재된 실시예들은 발명의 본질적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될 수 있음은 당 업자들에게 있어 자명하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gist of the invention.

실시예Example 1: 추출물의 제조 1: Preparation of extract

1.1. 참당귀 추출물의 제조1.1. Preparation of Angelica Angelica Extract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뿌리를 깨끗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충분히 건조하였다. 건조된 참당귀 뿌리를 파쇄하고 얻은 분말 100g에 5 부피배(500ml)의 에탄올 (98%(v/v) 에탄올(주정))을 첨가하고, 40~60℃ 에서 4 시간 이상 추출한 후, 1um(micrometer) 필터로 여과한 여액을 원래 중량의 10%(w/w)가 될 때까지 가온 농축하였다. 상기 얻어진 농축물에 결정셀룰로오스를 서서히 가하면서 계속 농축하여 완전히 건조시킨 후 분말화하여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 분말을 준비하였다 (이하, AGE라고 명명함). The root of Angelica gigas Nakai was washed with clean water and dried sufficiently. After crushing the dried root of Angelica root, 5 volume fold (500 ml) of ethanol (98% (v / v) ethanol (sold)) was added to 100 g of the obtained powder, and extracted at 40-60 ° C. for 4 hours or more, followed by 1 um ( The filtrate filtered with a micrometer) filter was concentrated to warm until 10% (w / w) of the original weight. Crystalline cellulose was gradually added to the obtained concentrate while continuing to concentrate and dried completely, followed by pulverization to prepare ethanol extract of Angelica keiskei koidz (hereinafter referred to as AGE).

1.2. 미나리 추출물의 제조1.2. Preparation of buttercup extract

강원도 춘천시에서 채취한 미나리(Oenanthe javanica) 700 g을 세절한 후 50% 또는 그 이하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 3.5 L에 묽은 NaOH를 가해 PH 9로 맞춘 용매를 환류냉각기를 부착한 추출기에서 90℃로 24시간씩 3회 반복추출 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여과장치를 이용하여 Whatman No. 1(Whatman Ltd, Maidstone, Kent, UK)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였고, 여과액은 회전진공농축기 (EYELA, SN-1100, Tokyo, Japan)를 사용하여 50℃에서 감압농축 하였다. 농축된 추출물은 동결건조기(PVTFA 10AT, ILSIN, Korea)를 이용하여 -70℃에서 급속 동결 과정을 거쳐 분말 상태의 미나리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이하, OJE라고 명명함).Buttercups from Chuncheon, Gangwon-do ( Oenanthe javanica ) After crushing 700 g, dilute NaOH was added to 3.5 L of an ethanol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50% or less, and a solvent adjusted to PH 9 was repeatedly extracted three times at 90 ° C for 24 hours in an extractor with a reflux cooler. This extract was filtered using a vacuum filter for Whatman No. 1 (Whatman Ltd, Maidstone, Kent, UK) was filtered using a filter paper, and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50 ° C using a rotary vacuum concentrator (EYELA, SN-1100, Tokyo, Japan).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repared using a freeze dryer (PVTFA 10AT, ILSIN, Korea) at a rapid freezing process at -70 ° C to prepare a buttercup extract in powder form (hereinafter referred to as OJE).

실시예Example 2: 참당귀와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의  2: Mixed extract of Angelica Angelica and Buttercup 뇌허혈시Brain ischemia 신경세포 보호 효과 확인 Neuroprotective effect check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참당귀 추출물, 미나리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참당귀와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체중 65g 내지 75g인 수컷 몽골리안 저빌(Mongolian gerbil, Halan, USA)을 마취 시켜 온목동맥(common carotid artery)을 노출시킨 뒤 결찰하여, 뇌허혈을 유발시킨 몽골리안 저빌의 해마조직을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몽골리안 저빌은 신경세포사와 관련하여 주로 사용되는 동물모델로서, 몽골리안 저빌의 양측 온목 동맥을 5분간 결찰시키면, 사람에서와 유사한 뇌허혈을 일으킬 수 있다. 몽골리안 저빌에 뇌허혈을 유발시키면 4일 뒤에 특징적으로 해마 CA1 영역에서 세포사가 일어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상기 현상으로부터 지연성 신경세포사(delayed neuronal death)가 발생하였음이 확인된다.In order to confirm the neuroprotective efficacy of the Angelica keiskei koki extract, parsley extract, or a mixture thereof (mixed extract of Angelica kerosene and parsley) prepared in Example 1, male Mongolian gerbil, Halan having a weight of 65 g to 75 g , USA) to expose the common carotid artery by anesthesia, and then ligation to observe the hippocampus tissue of Mongolian gerbil, which caused cerebral ischemia. Mongolian gerbil is an animal model that is mainly used in connection with neuronal cell death. Ligation of the bilateral allograft arteries of Mongolian gerbil for 5 minutes may cause brain ischemia similar to that of humans. When the brain ischemia is induced in Mongolian gerbil, cell death occurs in the hippocampus CA1 region characteristically after 4 days, and it is confirmed that delayed neuronal death occurred from the phenomenon.

실시예Example 2-1. 실험동물의 사육 2-1. Breeding of experimental animals

체중 65g 내지 75g의 수컷 몽골리안 저빌(Mongolian gerbil, Meriones unguiculatus, Halan, USA) 56마리를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빛을 가하는 일정한 명암주기, 21℃ 내지 25℃의 온도 및 45% 내지 65%의 상대습도의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실험동물의 사료는 일반적인 펠렛건조 사료(대한실험동물, 대한민국)를 사용하였고, 사료와 물은 상시로 섭취할 수 있게 하였다.56 light-weight male and female Mongolian gerbil (Mongolian gerbil, Meriones unguiculatus, Halan, USA) weighing 65g to 75m from 7 am to 7 pm constant light and dark cycle, 21 ℃ to 25 ℃ temperature and 45% to 65% Was raised under conditions of relative humidity. As the feed for the experimental animals, a common pellet-dried feed (Korea Experiment Animal, Korea) was used, and the feed and water were always consumed.

실시예Example 2-2. 추출물 투여 후  2-2. After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 뇌혀혈Brain tongue blood 유도된 뇌조직 절편 준비 Preparation of induced brain tissue sections

상기 실시예 2-1에서 사육한 실험동물에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참당귀 추출물, 미나리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참당귀와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을 각 실험동물의 체중 1 kg당 총 200 mg의 용량이 되도록 (혼합물의 경우, 참당귀 추출물 100 mg/kg + 미나리 추출물 100 mg/kg) (1일 투여량)생리식염수에 녹여 28일동안 존데(sonde)를 이용하여 경구투여 하였다.To the experimental animals reared in Example 2-1, the Angelica kerosene extract, parsley extract, or mixtures thereof (mixed extract of Angelica kelp and parsley) prepared in Example 1 were total 200 per 1 kg of each animal weight. It was dissolved in physiological saline so as to be the dose of mg (in the case of a mixture, 100 mg / kg of Angelica kerosene extract + 100 mg / kg of buttercup extract) (daily dose), and orally administered using sonde for 28 days.

상기 28일간 추출물을 투여한 후에, 질소와 산소가 7:3의 비율로 혼합된 가스에 3%(v/v) 이소플루란(isoflurane, Baxtor, USA)을 혼합한 가스를 이용하여 실험동물을 전신마취 하였다. 상기의 질소와 산소 혼합 가스에 2.5%(v/v) 이소플루란을 혼합한 가스를 이용하여 실험동물의 마취상태를 유지하면서 실험동물에 대한 수술을 수행하였다.After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 for 28 days, experiment animals were mixed with gas mixed with 3% (v / v) isoflurane (Baxtor, USA) in a gas mixed with nitrogen and oxygen at a ratio of 7: 3. General anesthesia was performed. The gas was mixed with 2.5% (v / v) isoflurane in the mixed gas of nitrogen and oxygen to perform an operation on the experimental animal while maintaining the anesthesia state of the experimental animal.

뇌허혈을 일으키기 위하여, 실험동물의 목 부위의 털을 깎고 소독한 다음 절개를 하여 양쪽 온목동맥을 노출시키고, 동맥류 클립(aneurysm clip, Staelting, USA)을 이용하여 5분 동안 결찰한 뒤, 클립을 제거하여 재관류 시켰다. 이 때, 각 실험군은 검안경(ophthalmoscope)을 이용하여 망막 중심동맥(central artery of retina)의 혈액 순환 여부를 관찰하여 완전한 온목동맥의 폐쇄를 관찰 하였다.In order to cause cerebral ischemia, the animal's neck is shaved and disinfected, and then incised to expose both whole carotid arteries, ligated for 5 minutes using an aneurysmal clip (aneurysm clip, Staelting, USA), and then clip removed. And reperfusion. At this time, each experimental group observed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central artery of the retina using an ophthalmoscope and observed complete obstruction of the entire artery.

뇌허혈을 유발시키는 동안 직장 내 체온계를 삽입하여 체온을 측정하였으며, 실험동물의 체온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는 온열 패드를 사용하여 체온을 정상 체온인 36.8℃ 내지 37.2℃로 일정하게 유지시켰다.While inducing cerebral ischemia, body temperature was measured by inserting a thermometer in the rectum, and the body temperature was kept constant at 36.8 ° C to 37.2 ° C, which is a normal body temperature, using a heating pad that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body temperature of the experimental animal.

뇌허혈 유발 5일 후에 티오펜탈 소듐(thiopental sodium, 유한양행, 대한민국)을 체중 1 kg 당 각각 30 mg의 용량으로 시험 동물 복강 내 주사하여 마취시킨 다음, 1,000 ㎖ 당 헤파린 1,000 IU를 함유한 4℃의 생리식염수를 좌심실로 주입하여 관류세척하였다. 상기 관류세척이 완료된 상기 동물에 대해 4℃의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0.1 M 인산완충액(in 0.1 M phosphate buffer; PB), pH 7.4)를 이용하여 관류고정을 수행하였다.After 5 days of inducing cerebral ischemia, thiopental sodium (Yuhan Corporation, Korea) was anesthetiz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test animals at a dose of 30 mg per 1 kg of body weight, and then 4 ℃ containing 1,000 IU of heparin per 1,000 mL Physiological saline was injected into the left ventricle and perfused. Perfusion fix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4% paraformaldehyde (0.1 M phosphate buffer (PB), pH 7.4) at 4 ° C. for the animal, where the perfusion washing was completed.

뼈절단기를 이용하여, 관류 고정이 끝난 상기 실험동물의 머리뼈 공간을 개방하여 뇌를 적출하였다. 상기 적출된 실험동물의 뇌를 상온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4℃의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0.1 M 인산완충액(in 0.1 M phosphate buffer; PB), pH 7.4)용액에서 4시간 동안 후고정하였다. 상기 후고정이 끝난 뇌는 30%(w/v) 수크로스 용액(in 0.1 M 인산 완충액(phosphate buffer))에 넣어 바닥에 가라앉을 때까지 침강시킨 후, 슬라이드 마이크로톰(sliding microtome, Reichert-Jung, Germany)으로 상기 뇌 조직을 30 ㎛ 두께로 잘라 조직 절편을 만들어, 하기 실시예에서 시험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조직 절편을 보존액(storing solution)이 들어있는 6 well plate에 넣어 염색을 수행할 때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Using a bone cutter, the brain bone was removed by opening the head bone space of the experimental animal after the perfusion was fixed. The brain of the extracted experimental animal was post-fixed for 4 hours in a 4% paraformaldehyde (0.1 M phosphate buffer (PB), pH 7.4) solution at 4 ° C using a stirrer at room temperature. After the post-fixation, the brain was placed in a 30% (w / v) sucrose solution (in 0.1 M phosphate buffer) and allowed to settle to the bottom, and then a sliding microtome (Reichert-Jung, Germany) to cut the brain tissue to a thickness of 30 ㎛ to make a tissue section, it was used as a test group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tissue sections were placed in a 6 well plate containing a storage solution and stored at 4 ° C. until staining was performed.

대조군(vehicle)으로 상기 추출물을 녹이는데 이용된 생리식염수만을 경구투여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얻어진 조직 절편을 준비하고, 정상군(sham)으로 미나리 추출물 및/또는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한 어떠한 물질도 투여하지 않고 뇌허혈을 일으키기 위한 과정도 수행하지 않고 얻어진 조직 절편을 준비하였다.A tissue section obtained by performing the same process as above was prepared, except that only the physiological saline used to dissolve the extract as a vehicle was orally administered, and the buttercup extract and / or true Angelica extract as a normal group (sham) Tissue sections obtained without administering any substance including and without performing a process for causing cerebral ischemia were prepared.

실시예Example 2-3.  2-3. 뇌허혈시Brain ischemia 신경세포 보호 효능 측정 1 ( Neuroprotective efficacy measurement 1 ( 크레질Cresyl 바이올렛 염색) Violet dyeing)

상기 실시예 2-2에서 준비된 조직 절편 중에서 해마형성체(hippocampal formation)가 잘 나와있는 조직을 선택하고, 조직 절편에 묻어있는 보존액을 없애기 위해 0.01M PBS (pH 7.4)로 10분씩 3회 세척하였다. 상기 세척된 조직 절편을 젤라틴이 코팅된 슬라이드 글라스에 도말하여 37℃에서 충분히 건조시켰다. 상기 조직절편을 증류수에 잠시 담가 둔 후, 2%(w/v) 크레질 바이올렛 아세테이트(cresyl violet acetate, Sigma, USA) 용액에 1분간 담가 조직 절편의 염색을 수행하였다. 이어 상기 염색한 조직 절편을 흐르는 물에 충분히 세척하여 슬라이드에 묻어 있는 과량의 염료를 제거하고, 증류수에 잠시 담근 후에 50%(v/v), 70%(v/v), 80%(v/v), 90%(v/v), 95%(v/v) 및 100%(v/v) 에탄올 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탈수 및 과량의 크레질 바이올렛 세척을 수행하였다. 상기 조직 절편에서 니슬소체(Nissl body)가 보이는 것을 확인한 후, 자일렌(Junsey, 일본)에 담가 투명화한 다음 카나다 발삼(Canada balsam, Kanto, 일본)으로 봉입하였다.Among the tissue sections prepared in Example 2-2, tissues with well-produced hippocampal formation were selected, and washed three times with 10 M PBS (pH 7.4) for 10 minutes to remove the preservatives on the tissue sections. . The washed tissue sections were spread on a gelatin coated slide glass and dried sufficiently at 37 ° C. The tissue sections were immersed in distilled water for a while, followed by soaking in 2% (w / v) cresyl violet acetate (Sigma, USA) solution for 1 minute to perform staining of the tissue sections. Subsequently, the stained tissue sections are thoroughly washed with running water to remove excess dye from the slides, and after soaking in distilled water for a while, 50% (v / v), 70% (v / v), and 80% (v / v), 90% (v / v), 95% (v / v) and 100% (v / v) ethanol solutions were sequentially treated to perform dehydration and excess cresyl violet washing. After confirming that the Nissl body was visible in the tissue section, it was soaked in xylene (Junsey, Japan) and transparent, and then sealed with Canadian balsam (Kanto, Japan).

정상군, 대조군, 및 실험군의 각 조직들은 디지털 카메라(Axiocam, Cal Zeiss, Germany)가 부착되어 있는 악시오M1 현미경(AxioM1 microscope, Carl Zeiss, 독일)으로 전체 해마 영역을 40배, CA1 영역을 20배로 각각 확대하여 각 조직절편들을 사진 촬영하고, 전체 해마영역을 촬영한 사진을 도 1의 A, B, C, D, E, F, G 및 H에, 해마의 CA1 영역을 촬영한 사진을 도 1의 a, b, c, d, e, f, g 및 h에 각각 나타내었다. Each of the normal, control, and experimental tissues is an AxioM1 microscope (AxioM1 microscope, Carl Zeiss, Germany) with a digital camera (Axiocam, Cal Zeiss, Germany), 40 times the total hippocampus area, and 20 CA1 areas. Each tissue section is magnified by a double magnification, and the whole hippocampus area is photographed. A, B, C, D, E, F, G, and H of FIG. 1 are photographed, and the CA1 region of the hippocampus is photographed. 1, a, b, c, d, e, f, g and h, respectively.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정상군(sham groups)들은 해마의 영역 전체에서 신경세포가 보라색으로 진하게 염색되었고(도 1의 A, C, E 및 G), 특히 CA1 영역에서는 피라미드층(stratum pyramidale, SP)에 신경세포가 밀집하여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1의 a, c, e 및 g). 그러나, 용매만을 투여하고 뇌허혈을 유발시킨 대조군(vehicle-ischemia)의 경우 뇌허혈에 의한 지연성 신경세포사멸로 인해 해마의 영역 중 CA1 영역에서 신경세포사멸이 일어남으로써 신경세포의 염색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도 1의 B), CA1 영역 중 피라미드층에 대부분의 신경세포가 소실되었음이 확인되었다(도 1의 b). 또한 200 mg/kg의 미나리 추출물 또는 200 mg/kg의 참당귀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OJE-ischemia, AGE-ischemia)의 경우, 해마의 CA1 영역에서 대조군(vehicle-ischemia)에 비하여 크레질 바이올렛에 대한 염색성이 강하게 나타났지만, 정상군(sham) 과 비교하였을 때, 크레질 바이올렛에 대한 염색성이 다소 약하게 나타났다(도 1의 D, d, F 및 f). 반면, 100 mg/kg 의 미나리 추출물과 100 mg/kg의 참당귀 추출물을 혼합하여 투여한 실험군(OJE+AGE-ischemia)의 경우, 대조군 및 200 mg/kg의 미나리 추출물 또는 200 mg/kg의 참당귀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과 비교하였을 때 해마의 영역 전체에서 많은 수의 신경세포가 보라색으로 진하게 염색되었고(도 1의 H), CA1 영역의 피라미드층에서도 신경세포가 밀집하여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도 1의 h). 이러한 결과는 미나리 추출물과 참당귀 추출물을 함께 투여한 경우, 동량의 미나리 추출물 또는 참당귀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와 비교하여, 뇌허혈 유발에 따른 신경세포사멸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보여준다.As can be seen in FIG. 1, all normal groups (sham groups) were darkly stained with neurons purple throughout the hippocampus region (A, C, E, and G in FIG. 1), and in particular, in the CA1 region, the pyramidal layer ( stratum pyramidale, SP), it was observed that the nerve cells are dense (a, c, e and g in FIG. 1).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vehicle-ischemia) in which only the solvent was administered and induced cerebral ischemia, neuronal cell death occurred in the CA1 region of the hippocampus due to delayed neuronal apoptosis caused by cerebral ischemia, and neuronal staining was hardly observed. (B of FIG. 1),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neurons were lost in the pyramidal layer of the CA1 region (FIG. 1B). In addi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OJE-ischemia, AGE-ischemia) in which 200 mg / kg of buttercup extract or 200 mg / kg of Angelica kerosene was administered, in the CA1 region of the hippocampus, compared to the control (vehicle-ischemia), it was added to cresyl violet. The staining property was strong, but when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sham), the staining property for cresyl violet was slightly weaker (D, d, F and f in FIG. 1).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group (OJE + AGE-ischemia) administered by mixing 100 mg / kg of buttercup extract and 100 mg / kg of Angelica kerosene extract, the control group and 200 mg / kg of buttercup extract or 200 mg / kg of true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Angelica extract was administered, a large number of neurons were darkly stained in purple throughout the region of the hippocampus (H in FIG. 1), and it was observed that neurons were densely concentrated in the pyramidal layer of the CA1 region (FIG. 1 h). These results show that when the buttercup extract and the Angelica Angelica extract are administered together, compared to the case when the same amount of the Angelica Angelica extract or the Angelica Angelica extract is administered, neuronal cell death caused by cerebral ischemia is more effectively suppressed.

실시예Example 2-4.  2-4. 뇌허혈시Brain ischemia 신경세포 보호 효능 측정 2 (면역조직화학 염색) Nerve cell protection efficacy measurement 2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미나리와 참당귀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 보다 구체적으로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사멸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신경세포의 표지자인 NeuN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수행하였다.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performed using antibodies against NeuN, a marker of neurons, to confirm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buttercup and Angelica keiskei kombu extract, and more specifically, the effect of inhibiting neuronal cell death due to cerebral ischemia.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2에서 준비된 조직 절편 중 해마형성체(hippocampal formation)가 잘 나타난 조직 절편을 선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상기 선택된 조직 절편은 조직에 존재하는 보존액(storing solution)을 제거하기 위해 0.01M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10분씩 3회 세척한 후 내인성 페록시다아제(endogenous peroxidase)를 제거하기 위하여 0.3% H2O2(in 0.01M PBS)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이 끝난 조직 절편은 0.01M PBS로 10분씩 3회 세척하였다.More specifically, a tissue section in which hippocampal formation was well selected among the tissue sections prepared in Example 2-2 was selected and used in the experiment, and the selected tissue section was used to store the storage solution present in the tissue. After washing three times for 10 minutes with 0.01M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for removal, it was reacted for 30 minutes in 0.3% H 2 O 2 (in 0.01M PBS) to remove endogenous peroxidase. . After the reaction, the tissue section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0.01M PBS for 10 minutes each.

신경세포 염색을 위하여, 상기 과정을 거친 조직 절편을 5%의 정상 말 혈청(5% normal horse serum, in 0.01M PBS)으로 30분 동안 반응시킨 뒤, 1:800으로 희석한 1차 항체인 마우스 항-NeuN 항체(mouse anti-NeuN, Chemicon, USA)를 4℃에서 4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이 끝난 조직 절편은 각각 1:250으로 희석한 2차 항체인 항-마우스 IgG(anti-mouse IgG, Vector)로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1:200으로 희석한 3차 항체인 ABC용액(avidin-biotin complex, Vector)으로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으며, 3,3'-DAB(diaminobenzidine)를 기질로 발색하였다. 상기 항체와 반응시키는 과정의 각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각 단계 별로 상기 조직 절편을 0.01M PBS를 사용하여 10분씩 3회 세척하였다.For neuronal staining, the tissue sections that were subjected to the above process were reacted with 5% normal horse serum (5% normal horse serum, in 0.01M PBS) for 30 minutes, and then the primary antibody was diluted 1: 800. Anti-NeuN antibody (mouse anti-NeuN, Chemicon, USA) was reacted at 4 ° C. for 48 hours. After the reaction, the tissue sections were reacted with anti-mouse IgG (Vector), a secondary antibody diluted at 1: 250 for 2 hours at room temperature, and then ABC as a tertiary antibody diluted at 1: 200. The solution (avidin-biotin complex, Vector) was reacted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and 3,3'-DAB (diaminobenzidine) was developed as a substrate. In performing each step of the process of reacting with the antibody, the tissue sections for each step were washed three times for 10 minutes using 0.01M PBS.

상기 발색이 끝난 조직 절편을 젤라틴이 코팅된 슬라이드 글라스(gelatin coating slide glass)에 도말한 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였고, 상기 건조된 조직 절편은 통상적인 탈수투명화 과정을 거쳐 커버 글라스(cover glass)를 이용하여 봉입하였다. 상기 NeuN 항체와 반응을 수행한 후, 봉입한 조직 절편을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그 결과를 촬영된 사진을 도 2a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촬영 사진에 대하여 이미지 분석기(Optimas 6.5, USA)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면역 반응성을 나타낸 (즉, 항-NeuN 항체에 염색된) 조직 절편의 신경세포를 계수하여 얻어진 신경세포 개수를 도 2b에 나타내었으며, 각 실험군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 test)을 수행하였다.The colored tissue sections were smeared on a gelatin coated slide glass, dried for 12 hours at room temperature, and the dried tissue sections were subjected to a normal dehydration and clarification process to cover glass. ). After performing the reaction with the NeuN antibody, the encapsulated tissue section was observed using a microscope, and the photographed result is shown in FIG. 2A. In addition, the number of neurons obtained by counting neurons in tissue sections (i.e., stained with anti-NeuN antibody) showing immunoreactivity using an image analyzer (Optimas 6.5, USA) program for the photographed picture is shown in FIG. 2B. In order to verify the significance for each experimental group, a one-way ANOVA test was performed.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정상군(sham groups)에서는 해마의 CA1 영역에서 항-NeuN 항체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보이는 신경세포가 잘 관찰되고(도 2a의 A, C, E 및 G), 용매만을 투여하고 뇌허혈을 유발시킨 대조군(vehicle)의 경우, 뇌허혈에 의한 지연성 신경세포사멸로 인해 해마의 영역 중 CA1 영역에서 신경세포사멸이 일어남으로써 항-NeuN 항체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보이는 신경세포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CA1 영역 중 피라미드층에 대부분의 신경세포가 소실되었음이 확인되었다(도 2a의 B). 또한, 미나리 추출물 (200 mg/kg; OJE)과 참당귀 추출물 (200 mg/kg; AGE)을 각각 단독 투여한 뒤 뇌허혈을 유발시킨 실험군의 경우, 해마의 CA1 영역에서 항-NeuN 항체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보이는 신경세포는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2a의 D, F 및 I). 반면, 미나리 추출물 (100 mg/kg)과 참당귀 추출물 (100 mg/kg)의 혼합물 (200 mg/kg)을 투여한 후 뇌허혈을 유발시킨 실험군 (OJE+AGE)의 경우 정상군과 유사한 정도로 CA1 영역에서 항-NeuN 항체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보이는 신경세포가 밀집하여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도 2a의 H 및 I). 이러한 결과는 도 2b의 그래프를 통하여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들은 미나리 추출물과 참당귀 추출물을 함께 투여한 뒤 뇌허혈을 유발시킨 실험군에서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미투여군 및 상기 추출물의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우수함을 보여준다.As shown in Figure 2a, in all normal groups (sham groups), neurons showing immune response to anti-NeuN antibodies in the CA1 region of the hippocampus are well observed (A, C, E and G in Figure 2a), solvent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vehicle) in which only is administered and induced cerebral ischemia, neuronal cell death occurs in the CA1 region of the hippocampus due to delayed neuronal apoptosis caused by cerebral ischemia, resulting in neurons showing immunoreactivity to anti-NeuN antibodies. Little was obser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neurons were lost in the pyramidal layer of the CA1 region (FIG. 2A B).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induced cerebral ischemia after separately administering the buttercup extract (200 mg / kg; OJE) and Angelica keiskei koidz (200 mg / kg; AGE), immunity to anti-NeuN antibodies in the CA1 region of the hippocampus Reactive neuron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D, F and I in FIG. 2A). On the other h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OJE + AGE) that induced cerebral ischemia after administration of a mixture (200 mg / kg) of a buttercup extract (100 mg / kg) and a true Angelica extract (100 mg / kg), CA1 It was observed that clusters of neurons showing immunoreactivity to the anti-NeuN antibody were concentrated in the region (H and I in FIG. 2A). This result can be confirmed quantitatively through the graph of FIG. 2B.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neuroprotective eff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inducing cerebral ischemia after administration of the buttercup extract and the true Angelica extract was significantly superior to that of the non-administered group and the single administered group of the extract.

실시예Example 2-5.  2-5. 뇌허혈시Brain ischemia 신경세포 보호효능 측정 3 (조직 형광 염색) Neuronal cell protective efficacy measurement 3 (tissue fluorescence staining)

미나리 추출물, 참당귀 추출물, 또는 미나리와 참당귀의 혼합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멸된 신경세포 또는 사멸 과정 중에 있는 신경세포에 대한 표지자인 Fluoro-Jade B(F-J B)를 이용하여 조직 형광염색을 수행하였다.Fluoro-Jade B (FJ B), a marker for killed neurons or neurons in the process of death, is used to confirm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a buttercup extract, a true Angelica extract, or a mixed extract of a buttercup and a true Angelica. Tissue fluorescence staining was per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2에서 준비된 조직절편 중 해마복합체가 잘 나타난 조직절편을 선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퇴행신경세포의 표지자인 F-J B를 이용하여 조직 형광염색을 수행하였다. 상기 조직절편 0.01M PBS에 10분씩 3회 세척한 뒤, 젤라틴이 코팅된 슬라이드에 도말한 뒤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상기 조직 절편을 증류수로 5분간 3회 세척한 뒤, 0.06% 과망간산칼륨(potassium permanganate) 용액에 2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2분간 세척한 후, 0.1% 초산(acetic acid)이 포함된 0.001% F-J B(Histochem, Jefferson, AR, USA) 용액에 40분 동안 형광 염색을 수행하였다. 상기 염색된 조직은 1분씩 3회 증류수로 세척하고, 50 ℃ slide warmer에서 20분간 건조한 후, 자일렌(xylene, Junsei, Japan)에 담근 다음, DPX(Sigma, USA)로 봉입하였다. 상기 봉입된 조직을 형광현미경(Ex: 385nmm Em: 425nm)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그 결과를 촬영한 사진을 도 3a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촬영한 사진에 대해 이미지 분석기(Optimas 6.5, USA)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염색된 신경세포를 계수하고, 상기 계수한 결과를 대조군(Vehicle 투여군)에 대한 상대적인 수치로 도 3b에 나타내었다.More specifically, the tissue fragments in which the hippocampal complex was well selected from the tissue fragments prepared in Example 2-2 were selected and used in the experiment, and tissue fluorescence staining was performed using F-J B, a marker of degenerative neurons. The tissue sections were washed three times for 10 minutes in 0.01M PBS, and then spread on a gelatin coated slide and dried at room temperature for 12 hours. The tissue sections were washed three times for 5 minutes with distilled water, and then reacted with a 0.06% potassium permanganate solution for 20 minutes. After washing with distilled water for 2 minutes, fluorescence staining was performed for 40 minutes in a 0.001% F-J B (Histochem, Jefferson, AR, USA) solution containing 0.1% acetic acid. The dyed tissue wa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three times per minute, dried in a 50 ° C slide warmer for 20 minutes, and then immersed in xylene (xylene, Junsei, Japan), and then sealed with DPX (Sigma, USA). The encapsulated tissue was observed using a fluorescence microscope (Ex: 385nmm Em: 425nm), and a photograph of the result is shown in FIG. 3A. In addition, the stained neurons were counted using the image analyzer (Optimas 6.5, USA) program for the photographed picture, and the counted results are shown in FIG. 3B as relative values to the control group (Vehicle administration group).

상기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정상군(sham groups)은 해마의 CA1 영역 전체가 사멸된 신경세포 또는 사멸 과정 중에 있는 신경세포에 대한 표지자인 F-J B에 의해 염색되지 않았다(도 3a의 A, C, E 및 G). 반면에,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vehicle-ischemia)의 경우에는 해마의 CA1 영역에서 진하게 형광 염색되어, 다수의 신경세포가 사멸 또는 사멸 과정 중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a의 B). 그러나, 미나리 추출물 (200 mg/kg; OJE)과 참당귀 추출물 (200 mg/kg; AGE)을 각각 단독 투여한 실험군의 경우, 해마의 CA1 영역에서 F-J B에 의해 염색된 신경세포가 일부 관찰되었다(도 3a의 D, F 및 I). 반면, 미나리 추출물 (100 mg/kg)과 참당귀 추출물 (100 mg/kg)의 혼합물 (200 mg/kg)을 투여한 뒤 뇌허혈을 일으킨 실험군(OJE+AGE)의 경우, 사멸되었거나 사멸 과정 중에 있는 신경세포 수가, 대조군(Vehicle)뿐 아니라 미나리 추출물과 참당귀 추출물의 단독 투여군 (OJE 및 AGE)에 비교하여, 현저히 줄어든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3a의 H 및 I). 이러한 결과는 도 3b의 그래프를 통하여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A, all the normal groups (sham groups) were not stained by FJ B, which is a marker for the nerve cells in which the entire CA1 region of the hippocampus is killed or nerve cells in the process of death (A in FIG. 3A). C, E and 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vehicle-ischemia) only administered with a solvent, it was confirmed to be darkly fluorescently stained in the CA1 region of the hippocampus, and it was confirmed that a number of neurons are in the process of killing or killing (FIG. However,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which the buttercup extract (200 mg / kg; OJE) and the Angelica kerosene extract (200 mg / kg; AGE) were administered alone, some neurons stained by FJ B were observed in the CA1 region of the hippocampus. (D, F and I in Figure 3a). On the other h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OJE + AGE) that caused cerebral ischemia after administering a mixture (200 mg / kg) of a buttercup extract (100 mg / kg) and a true Angelica extract (100 mg / kg), it was either killed or in the process of being killed. It was observed that the number of nerve cells was significantly reduc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Vehicle) as well as the single administration group (OJE and AGE) of the buttercup extract and Angelica kerosene extract (H and I in FIG. 3A). These results can be quantitatively confirmed through the graph of FIG. 3B.

실시예Example 2-6.  2-6. 뇌허혈시Brain ischemia 신경아교세포 활성변화 확인 Confirmation of changes in glial cell activity

미나리 추출물, 참당귀 추출물, 또는 미나리와 참당귀 추출 혼합물의 신경세포 보호효능, 보다 구체적으로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의 사멸 방지 효과를 추가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2에서 준비된 조직 절편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별아교세포의 표지자인 GFAP(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와 미세아교세포의 표지자인 Iba-1(ionized calcium-binding adaptor molecule-1)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immunohistochemistry) 염색을 통하여 별아교세포(astrocyte)와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활성 변화를 확인하였다.To further confirm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nerve cells of the buttercup extract, the Angelica Angelica extract, or the mixture of the Angelica and Angelica Angelica, more specifically, the tissue fragment prepared in Example 2-2, in order to further confirm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eath of nerve cells by ischemia. Additionally, astrocytes through immunohistochemistry staining using antibodies to glioma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a marker of astrocytes, and ionized calcium-binding adapter molecule-1 (Iba-1), a marker of microglia (astrocyte) and microglia (microglia) activity changes were confirmed.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2에서 준비된 조직 절편 중 해마형성체(hippocampal formation)가 잘 나타난 조직 절편을 선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상기 선택된 조직 절편은 조직에 존재하는 보존액(storing solution)을 제거하기 위해 0.01M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10분씩 3회 세척한 후 내인성 페록시다아제(endogenous peroxidase)를 제거하기 위하여 0.3% H2O2(in 0.01M PBS)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이 끝난 조직 절편은 0.01M PBS로 10분씩 3회 세척하였다.More specifically, a tissue section in which hippocampal formation was well selected from the tissue sections prepared in Example 2-2 was selected and used in the experiment, and the selected tissue section removed the storage solution present in the tissue. In order to remove the endogenous peroxidase, the mixture was washed with 0.01M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three times for 10 minutes, and then reacted for 30 minutes in 0.3% H 2 O 2 (in 0.01M PBS). After the reaction, the tissue section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0.01M PBS for 10 minutes each.

별아교세포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면역조직화학 염색과 관련해서는 상기 과정을 거친 조직 절편을 5%(v/v)의 정상 말 혈청(5% normal horse serum, in 0.01M PBS)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고, 미세아교세포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면역조직화학 염색과 관련해서는 상기 과정을 거친 조직 절편을 5%(v/v)의 정상 염소 혈청(5% normal goat serum, in 0.01M PBSS)으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이 끝난 조직 절편은 각각 1:800의 비율로 희석한 1차 항체인 마우스 항-GFAP 항체(mouse anti-GFAP, Chemicon, USA)와 래빗 항-Iba-1 항체(rabbit anti-Iba-1, Wako, Japan)로 4℃에서 48시간 반응시켰다. 상기 1차 항체와 반응한 조직절편은 각각 1:250으로 희석한 2차 항체인 항-마우스 IgG(anti-mouse IgG, Vector)와 항-래빗 IgG(anti-rabbit IgG, Vector)로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1:200으로 희석한 3차 항체인 ABC 용액(avidin-biotin complex, Vector)으로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키고, 3,3'-DAB(diaminobenzidine)를 기질로 발색시켰다. 상기 항체와 반응시키는 과정의 각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각 단계 별로 상기 조직 절편을 0.01M PBS를 사용하여 10분씩 3회 세척하였다.Regard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o check for changes in astrocytes, the tissue sections subjected to the above process are reacted in 5% (v / v) of normal horse serum (in 0.01M PBS) for 30 minutes. In the case of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o confirm the change in microglia, the tissue sections that were subjected to the above process were treated with 5% (v / v) normal goat serum (5% normal goat serum, in 0.01M PBSS).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for a minute.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the tissue sections were each diluted with a 1: 800 ratio of primary antibodies, mouse anti-GFAP antibodies (mouse anti-GFAP, Chemicon, USA) and rabbit anti-Iba-1 antibodies (rabbit anti-Iba-1). , Wako, Japan) at 4 ° C for 48 hours. The tissue fragments reacted with the primary antibody were 2 at room temperature with anti-mouse IgG (Vector) and anti-rabbit IgG (Vector) and anti-mouse IgG (Vector), respectively, diluted 1: 250. After reacting for 1 hour, the reaction was performed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with ABC solution (avidin-biotin complex, Vector), a tertiary antibody diluted 1: 200, and 3,3'-DAB (diaminobenzidine) was developed as a substrate. In performing each step of the process of reacting with the antibody, the tissue sections for each step were washed three times for 10 minutes using 0.01M PBS.

상기 발색이 끝난 조직 절편을 젤라틴이 코팅된 슬라이드 글라스(gelatin coating slide glass)에 도말한 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였고, 상기 건조된 조직 절편은 통상적인 탈수투명화 과정을 거쳐 커버 글라스(cover glass)를 이용하여 봉입하였다. 상기 GFAP 또는 Iba-1 항체와 반응을 수행한 후, 봉입한 조직절편을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그 관찰결과를 촬영한 사진을 각각 도 4a (GFAP에 항체에 염색된 별아교세포) 및 도 5a (Iba-1 항체에 염색된 미세아교세포)에 나타내었다.The colored tissue sections were smeared on a gelatin coated slide glass, dried for 12 hours at room temperature, and the dried tissue sections were subjected to a normal dehydration and clarification process to cover glass. ). After performing the reaction with the GFAP or Iba-1 antibody, the encapsulated tissue fragments were observed using a microscope, and photographs of the observation results are shown in FIGS. 4A (astrocytes stained with antibodies to GFAP) and 5A, respectively. (Microglia stained with Iba-1 antibody).

또한, 상기 촬영한 사진에 대해 이미지 분석기(Optimas 6.5, USA)프로그램을 이용하여 GFAP에 항체에 염색된 별아교세포와 Iba-1 항체에 염색된 미세아교세포의 면역반응성을 측정하였으며, 상기 면역반응성의 측정 결과를 각각 도 4b (별아교세포) 및 도 5b (미세아교세포)에 각각 함께 나타내었다.In addition, using the image analyzer (Optimas 6.5, USA) program for the photographed picture, the immunoreactivity of astrocytes stained with antibodies to GFAP and microglia cells stained with Iba-1 antibody was measured.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Fig. 4b (glia cells) and 5b (glia cells), respectively.

상기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정상군(sham groups)의 경우 항-GFAP 항체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보이는 별아교세포는 휴면상태의 형태로 관찰되었다(도 4a의 A, C, E 및 G). 반면에,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vehicle-ischemia)의 경우에는 항-GFAP 항체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보이는 별아교세포는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세포질이 비대해졌다(도 4a의 B 및 I). 또한, 미나리 추출물 (200 mg/kg; OJE)과 참당귀 추출물 (200 mg/kg; AGE)을 각각 단독 투여한 뒤 뇌허혈을 일으킨 실험군에서 항-GFAP 항체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보이는 별아교세포는 대조군(vehicle-ischemia)과 비교하여 활성화 정도가 감소하였다(도 4a의 D, F 및 I). 반면에, 미나리 추출물 (100 mg/kg)과 참당귀 추출물 (100 mg/kg)의 혼합물 혼합물 (200 mg/kg)을 투여한 후 뇌허혈을 유발시킨 실험군의 경우 항-GFAP 항체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보이는 별아교세포는 정상군과 같이 휴면상태의 형태로 관찰되었다(도 4a의 H 및 I).As shown in FIG. 4A, in the case of all normal groups (sham groups), astrocytes showing immunoreactivity to anti-GFAP antibodies were observed in a dormant form (A, C, E and G in FIG. 4A).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ontrol group (vehicle-ischemia) administered only with a solvent, astrocytes showing an immune response to an anti-GFAP antibody increase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and the cytoplasm was enlarged (B and I in FIG. 4A). In addition, astrocytes showing immunoreactivity to anti-GFAP antibod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aused cerebral ischemia after administration of the buttercup extract (200 mg / kg; OJE) and the Angelica keiskei koidz extract (200 mg / kg; AGE), respectively, were the control group ( vehicle-ischemia), the degree of activation was reduced (D, F and I in FIG. 4A). On the other h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ducing cerebral ischemia after administration of a mixture mixture (200 mg / kg) of a buttercup extract (100 mg / kg) and a true Angelica extract (100 mg / kg), the immunoreactivity to anti-GFAP antibodies was observed. Visible glial cells were observed in the dormant form as in the normal group (H and I in FIG. 4A).

상기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정상군(sham groups)의 경우 항-Iba-1 항체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보이는 미세아교세포는 휴면상태의 형태로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5a의 A, C, E 및 G).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vehicle-ischemia)의 경우에는 항-Iba-1 항체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보이는 미세아교세포는 활성화되어 있는 형태로 특히, 피라미드층에 모여 있는 형태로 관찰되었다(도 5a의 B). 또한, 미나리 추출물 (200 mg/kg; OJE)과 참당귀 추출물 (200 mg/kg; AGE)을 각각 단독 투여한 뒤 뇌허혈을 일으킨 실험군에서 항-Iba-1 항체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보이는 미세아교세포는 대조군(vehicle-ischemia)과 비교하여 활성화 정도가 감소하였다 (도 5a의 D, F 및 I). 반면에, 미나리 추출물 (100 mg/kg)과 참당귀 추출물 (100 mg/kg)의 혼합물 (200 mg/kg)을 투여한 후 뇌허혈을 유발시킨 실험군의 경우, 정상군(Sham)과 유사한 휴면상태의 형태로 관찰되었다(도 5a의 H 및 I).As shown in FIG. 5A, in the case of all normal groups (sham groups), it was observed that microglial cells showing immune response to anti-Iba-1 antibody were evenly distributed in a dormant form (A in FIG. 5A). C, E and G).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vehicle-ischemia) in which only the solvent was administered, microglia showing immune response to the anti-Iba-1 antibody was observed in an activated form, particularly in a form gathered in a pyramidal layer (B in FIG. 5A). ). In addition, microglial cells showing immunoreactivity to anti-Iba-1 antibod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aused cerebral ischemia after administering each of the buttercup extract (200 mg / kg; OJE) and Angelica keiskei koidz (200 mg / kg; AGE),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vehicle-ischemia), the degree of activation decreased (D, F and I in FIG. 5A). On the other h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ducing cerebral ischemia after administration of a mixture (200 mg / kg) of a buttercup extract (100 mg / kg) and a true Angelica extract (100 mg / kg), a dormant state similar to the normal group (Sham) It was observed in the form of (H and I in Figure 5a).

상기 결과로부터, 대조군 및 미나리 추출물과 참당귀 추출물을 각각 단독 투여한 경우와 비교하여, 미나리 추출물과 참당귀 추출물을 함께 투여 후 뇌허혈을 유발시킨 시험 동물에서의 신경세포 특히, 해마 영역을 크레질 바이올렛 염색 및 신경세포의 표지자인 항-NeuN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 화학 염색을 통하여 신경 조직 절편을 관찰한 결과, 해마의 전체 영역 구체적으로, 해마의 CA1 영역에서의 신경세포사멸이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사멸된 또는, 사멸 과정 중에 있는 신경세포에 대한 표지자인 F-J B를 통해 확인한 결과, 신경세포 사멸이 현저하게 억제됨이 확인되었으며, 별아교세포와 미세아교세포의 표지자인 항-GFAP와 항-Iba-1 항체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신경아교세포의 비정상적인 활성화를 매우 탁월하게 억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나리 추출물과 참당귀 추출물이 혼합 투여되는 경우, 단독투여시와 비교하여, 신경세포보호 및 신경아교세포의 비정상인 활성화를 억제에 있어서 현저한 상승 효과를 보임을 입증한다.From the above result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trol group and the parsley extract and the Angelica keiskei koi extract were administered alone, the neurons, especially the hippocampus region, of the hippocampus violet in the test animal that caused brain ischemia after administration of the parsley extract and the Angelica keiskei koidz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nerve tissue sections through staining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the neuronal marker anti-NeuN antibody, it was confirmed that neuronal cell death in the whole region of the hippocampus, specifically, the CA1 region of the hippocampus was suppressed. , As a result of confirming through FJ B, which is a marker for the neurons that are killed or in the process of death, it was confirmed that neuronal cell death was markedly suppressed, and anti-GFAP and anti-Iba- markers of astrocytes and microglia were marke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rough 1 antibody, it was confirmed that abnormal activation of glial cells can be very excellently suppresse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when the buttercup extract and Angelica keiskei koidz are mixed, they show a significant synergistic effect in the protection of neuronal cells and the suppression of abnormal activation of glial cells, compared to administration alone.

Claims (17)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은,
참당귀를 90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40 내지 80℃에서 추출한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 및 미나리를 10 내지 8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30 내지 100℃에서 추출한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물을 40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30 내지 80℃에서 추출한 참당귀 및 미나리 혼합물의 추출물인,
허혈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ntains a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buttercup as an active ingredient,
The mixed extract of the Angelica Angelica and buttercup,
Angelica ethanol extract extracted from Angelica Angelica at 90 to 100% (v / v) ethanol solution at 40 to 80 ° C, and buttercup ethanol extract extracted from Angelica kerosene at 10 to 80% (v / v) ethanol solution at 30 to 100 ° C Or
The mixture of Angelica Angelica and buttercup, extracted from 30 to 80 ° C with 40 to 100% (v / v) ethanol aqueous solu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나리는 돌미나리(Oenanthe javanica)인, 허혈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uttercup ( Oenanthe javanica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은 pH 8 내지 10 조건에서 추출된 것인, 허혈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ttercup ethanol extract is extracted under pH 8 to 10 condi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 내의 참당귀 또는 참당귀 추출물과 미나리 또는 미나리 추출물 간 혼합비는 중량 기준으로 1:0.1 내지 10 (참당귀 또는 참당귀 추출물의 중량:미나리 또는 미나리 추출물의 중량)인, 허혈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According to claim 1, The mixture ratio between the Angelica or Angelica Angelica extract and the buttercup or buttercup extract in the mixed extract is 1: 0.1 to 10 by weight (weight of Angelica or Angelica extract: weight of Parsley or Parsley extract). , Ischemic brain disease prevention or treatm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 혼합 추출물 내의 참당귀 또는 참당귀 추출물과 미나리 또는 미나리 추출물 간 혼합비는 중량 기준으로 1:0.2 내지 5 (참당귀 또는 참당귀 추출물의 중량:미나리 또는 미나리 추출물의 중량)인, 허혈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According to claim 4, Mixing ratio between the Angelica or Angelica Angelica extract and the buttercup or buttercup extract in the horn mixed extract is 1: 0.2 to 5 by weight (weight of Angelica or Angelica keiskei extract: weight of Parsley or Parsley extract) Phosphorus, ischemic brain disease prevention or treatm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성 뇌질환은 뇌졸중, 고혈압, 치매, 파킨슨병, 헌팅턴병, 또는 루게릭병인, 허혈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ischemic brain disease is stroke, hypertension, dementia, Parkinson's disease, Huntington's disease, or Lou Gehrig's disease.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은,
참당귀를 90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40 내지 80℃에서 추출한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 및 미나리를 10 내지 8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30 내지 100℃에서 추출한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물을 40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30 내지 80℃에서 추출한 참당귀 및 미나리 혼합물의 추출물인,
신경세포 보호 또는 신경세포 재생용 약학 조성물.
Contains a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buttercup as an active ingredient,
The mixed extract of the Angelica Angelica and buttercup,
Angelica ethanol extract extracted from Angelica Angelica at 90 to 100% (v / v) ethanol solution at 40 to 80 ° C, and buttercup ethanol extract extracted from Angelica kerosene at 10 to 80% (v / v) ethanol solution at 30 to 100 ° C Or
The mixture of Angelica Angelica and buttercup, extracted from 30 to 80 ° C with 40 to 100% (v / v) ethanol aqueous solu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neuronal cell protection or neuronal cell regener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나리는 돌미나리(Oenanthe javanica)인, 신경세포 보호 또는 신경세포 재생용 약학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uttercup ( Oenanthe javanica ) phosphoru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otecting nerve cells or regenerating nerve cell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은 pH 8 내지 10 조건에서 추출된 것인, 신경세포 보호 또는 신경세포 재생용 약학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otecting neurons or regenerating neuron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buttercup ethanol extract is extracted under pH 8 to 10 conditio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 내의 참당귀 또는 참당귀 추출물과 미나리 또는 미나리 추출물 간 혼합비는 중량 기준으로 1:0.1 내지 10 (참당귀 또는 참당귀 추출물의 중량:미나리 또는 미나리 추출물의 중량)인, 신경세포 보호 또는 신경세포 재생용 약학 조성물.According to claim 7, The mixing ratio between the Angelica or Angelica Angelica extract and the buttercup or buttercup extract in the mixed extract is 1: 0.1 to 10 by weight (weight of Angelica or Angelica extract: weight of Parsley or Parsley extract). , Neuron protection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regeneration of neuron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혼 혼합 추출물 내의 참당귀 또는 참당귀 추출물과 미나리 또는 미나리 추출물 간 혼합비는 중량 기준으로 1:0.2 내지 5 (참당귀 또는 참당귀 추출물의 중량:미나리 또는 미나리 추출물의 중량)인, 신경세포 보호 또는 신경세포 재생용 약학 조성물.11. The method of claim 10, Mixing ratio between the Angelica or Angelica Angelica extract and the buttercup or buttercup extract in the horn mixed extract is 1: 0.2 to 5 by weight (weight of Angelica or Angelica kerosene extract: weight of Parsley or Parsley extract) Phosphorus, nerve cell protection or nerve cell regene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은,
참당귀를 90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40 내지 80℃에서 추출한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 및 미나리를 10 내지 8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30 내지 100℃에서 추출한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물을 40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30 내지 80℃에서 추출한 참당귀 및 미나리 혼합물의 추출물인,
허혈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 신경세포 보호, 또는 신경세포 재생을 위한 건강기능성 식품.
Contains a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buttercup as an active ingredient,
The mixed extract of the Angelica Angelica and buttercup,
Angelica ethanol extract extracted from Angelica Angelica at 90 to 100% (v / v) ethanol solution at 40 to 80 ° C, and buttercup ethanol extract extracted from Angelica kerosene at 10 to 80% (v / v) ethanol solution at 30 to 100 ° C Or
The mixture of Angelica Angelica and buttercup, extracted from 30 to 80 ° C with 40 to 100% (v / v) ethanol aqueous solution,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schemic brain disease, protecting nerve cells, or regenerating nerve cell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나리는 돌미나리(Oenanthe javanica)인, 건강기능성 식품.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buttercup ( Oenanthe javanica ), a health functional foo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은 pH 8 내지 10 조건에서 추출된 것인, 건강기능성 식품.13. The functional food of claim 12, wherein the buttercup ethanol extract is extracted under pH 8 to 10 condition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 내의 참당귀 또는 참당귀 추출물과 미나리 또는 미나리 추출물 간 혼합비는 중량 기준으로 1:0.1 내지 10 (참당귀 또는 참당귀 추출물의 중량:미나리 또는 미나리 추출물의 중량)인, 건강기능성 식품.The mixing ratio of the Angelica Angelica or Angelica Angelica extract and the buttercup or buttercup extract in the mixed extract is 1: 0.1 to 10 (weight of Angelica or Angelica kerosene extract: weight of Parsley or Parsley extract) by weight. , Health functional foo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혼 혼합 추출물 내의 참당귀 또는 참당귀 추출물과 미나리 또는 미나리 추출물 간 혼합비는 중량 기준으로 1:0.2 내지 5 (참당귀 또는 참당귀 추출물의 중량:미나리 또는 미나리 추출물의 중량)인, 건강기능성 식품.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mixture ratio between the Angelica Angelica or Angelica Angelica extract and the buttercup or buttercup extract in the horn mixed extract is 1: 0.2 to 5 by weight (weight of Angelica Angelica or Angelica Angelica extract: weight of Parsley or Angelica extract) Phosphorus, health functional food.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성 뇌질환은 뇌졸중, 고혈압, 치매, 파킨슨병, 헌팅턴병, 또는 루게릭병인, 건강기능성 식품.The health functional fo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6, wherein the ischemic brain disease is stroke, hypertension, dementia, Parkinson's disease, Huntington's disease, or Lou Gehrig's disease.
KR1020180140848A 2018-11-15 2018-11-15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Oenanthe javanica KR1021773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848A KR102177309B1 (en) 2018-11-15 2018-11-15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Oenanthe javanic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848A KR102177309B1 (en) 2018-11-15 2018-11-15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Oenanthe javanic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771A true KR20200056771A (en) 2020-05-25
KR102177309B1 KR102177309B1 (en) 2020-11-10

Family

ID=7091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848A KR102177309B1 (en) 2018-11-15 2018-11-15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Oenanthe javanic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3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671A (en) * 2019-11-27 2021-06-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preventing the ischemic stroke disease containing natural complex extrac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850A (en) * 2001-04-10 2002-10-19 김호철 Extract of Angelicae Gigantis Radix having neuroprotective effec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0757207B1 (en) 2006-09-14 2007-09-10 (주)네추럴에프앤피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ziziphus jujuba mill. var spinosu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a damage disease
KR20120053604A (en) 2010-11-18 2012-05-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e brain ischemia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codonopsis lanceolata
KR20140033905A (en) * 2012-09-11 2014-03-1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e brain ischemia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oenanthe javanic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850A (en) * 2001-04-10 2002-10-19 김호철 Extract of Angelicae Gigantis Radix having neuroprotective effec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0757207B1 (en) 2006-09-14 2007-09-10 (주)네추럴에프앤피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ziziphus jujuba mill. var spinosu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a damage disease
KR20120053604A (en) 2010-11-18 2012-05-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e brain ischemia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codonopsis lanceolata
KR20140033905A (en) * 2012-09-11 2014-03-1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e brain ischemia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oenanthe javanic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671A (en) * 2019-11-27 2021-06-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preventing the ischemic stroke disease containing natural complex extr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309B1 (en)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688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muscle atrophy comprising complex extracts
Deraniyagala et al. Antinociceptive effect and toxicological study of the aqueous bark extract of Barringtonia racemosa on rats
KR101508095B1 (en) A composition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in neural stem cell and neural precursor cell
KR101685616B1 (en) Compos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e neurodegenerative disease comprising Humulus japonicu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20200056771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Oenanthe javanica
WO2015171977A1 (en) Method for improving memory of a subject using a composition comprising cistanche and ginkgo extracts
KR101205446B1 (en) EXTRACTING MATERIAL OF Lespedeza cuneata CONTAIN OF THEREOF
KR101029699B1 (en) The composition for the improvements and prevention of the symptoms in the alzheimer's disease comprising the extracts from oriental herb medicines
EP3632454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oria cocos bark extract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KR20140033905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e brain ischemia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oenanthe javanica
KR101500485B1 (en) Compositions for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Pain Comprising Ilex paraguayensis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KR101290749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e brain ischemia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codonopsis lanceolata
JP7301983B2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egenerative neurological diseases, containing the extract of P. japonicum or the mixed extract of P. japonica and broccoli
KR101852583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the ischemic stroke disease containing populus tomentiglandulosa extract
KR102216752B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Dendropanax morbiferu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myelinating disease
KR20110004691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health-food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from rhus chinensis having improvement-effect of brain-fuction
KR102123013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or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KR102123014B1 (en) Healthy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Neuro-degenerative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or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KR102296347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the ischemic stroke disease containing natural complex extract
KR20120015874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erebrovascular disease, or for improving impairments, containing the extracts of ilex latifolia as an active ingredient
KR20120103306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e brain ischemia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terminalia chebula
KR102639090B1 (en) Composition for Protection of Brane Nerve Cell
KR102508369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ingle or mixture of extract of Rubus crataegifolius, extract of Lespedeza cuneata and extract of Crataegus pinnatifida for prevention or treatment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KR102138860B1 (en) Composition for lowering intraocular pressure regulating comprising extract of maple leaves
CN107648482A (en) A kind of Chinese medicine composition for being used to treat nerve degenerative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