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108A -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총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총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108A
KR20200056108A KR1020180140030A KR20180140030A KR20200056108A KR 20200056108 A KR20200056108 A KR 20200056108A KR 1020180140030 A KR1020180140030 A KR 1020180140030A KR 20180140030 A KR20180140030 A KR 20180140030A KR 20200056108 A KR20200056108 A KR 20200056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body
firearm
reaction force
las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804B1 (ko
Inventor
정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이에스
Priority to KR102018014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8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6Recoil sim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총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의 총기, 상기 모의 총기에 구비되고, 방아쇠와 연동하여 레이저를 발진하는 레이저 발진부, 상기 모의 총기에 구비되고, 방아쇠와 연동하여 상기 모의 총기를 반동시키는 반동력 발생부, 상기 모의 총기와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반동력 발생부에 소정의 반동력을 제공하는 반동력 공급부, 상기 레이저 발진부와 상기 반동력 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모의 총기와 별도로 마련된 제어 모듈 및 상기 모의 총기의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반동력 발생부와 상기 반동력 공급부의 반동력 공급 통로 및 상기 레이저 발진부와 상기 제어 모듈 사이의 전원 공급 및 신호 공급 통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비된 총기 커넥터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제감을 부여함은 물론, 사격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총기 커넥터{LASER LAUNCHER OF GUN AND THE GUN CONNECTOR FOR SAME IT}
본 발명은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총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 훈련자 또는 모의 전투 훈련자 별 휴대가 가능하고, 실제 총탄 사격과 동일한 격발감을 제공하는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국방과 치안을 유지하고 사격능력 향상 및 평가를 위하여 군경은 실탄을 이용한 사격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탄 사격 훈련은 막대한 예산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훈련과정에서 군부지역 민간인들에게 피해를 입히는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실탄 사격 훈련장에서는 훈련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발 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총구가 표적지 이외의 장소로 과도하게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안전 장치가 마련되어 있기는 하나, 이로 인하여 실전에서의 사격능력 향상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또한, 최근 유행하는 서바이벌 게임은, 한정된 필드 내에서 모의 총기로부터 발사되는 탄환을 참가자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는 페인트볼로 대체하여 적 참가자에게 피격되면 피격된 참가자는 더 이상 전투 활동에 참가하지 못하도록 하는 규칙으로 진행되는 취미 활동이다.
그러나, 서바이벌 게임은 사격자의 정확한 명중률이 보장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실탄 사격과 같은 격발 느낌을 제공받지 못하는 한편, 탄환이 페인트볼로 대체됨에 따라 참가자는 모두 필드 참가용 의복으로 환복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소모적이고 안전사고에 노출된 실탄 사격 또는 페인트볼 사격을 대체할 수 있는 다중 통합형 레이저 교전 시스템(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모의 사격훈련 시스템 등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실탄 사격의 격발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격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실탄 사격 훈련에 따른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의 커넥터의 일 실시예는, 모의 총기, 상기 모의 총기에 구비되고, 방아쇠와 연동하여 레이저를 발진하는 레이저 발진부, 상기 모의 총기에 구비되고, 방아쇠와 연동하여 상기 모의 총기를 반동시키는 반동력 발생부, 상기 모의 총기와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반동력 발생부에 소정의 반동력을 제공하는 반동력 공급부(90), 상기 레이저 발진부와 상기 반동력 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모의 총기와 별도로 마련된 제어 모듈 및 상기 모의 총기의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반동력 발생부와 상기 반동력 공급부(90)의 반동력 공급 통로 및 상기 레이저 발진부와 상기 제어 모듈 사이의 전원 공급 및 신호 공급 통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비된 총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반동력 발생부의 반동력은 상기 반동력 공급부(90)에서 생성된 압축 공기이고, 상기 총기 커넥터는, 상기 압축 공기가 상기 반동력 공급부(90)로부터 상기 반동력 발생부로 공급되는 유동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기 커넥터는, 상기 제어 모듈 사이의 전원 공급 및 신호 공급 통로가 무선 및 유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전송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기 커넥터는, 상기 압축 공기가 충진되는 소정 공간이 구비된 메인 커넥팅 바디 및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모의 총기의 손잡이부에 대한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결합을 매개하는 이너 커넥팅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는 상기 소정 공간이 일측으로 개구되게 구비되고,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개구된 일측에는, 상기 반동력 공급부(90)로부터 생성된 압축 공기를 상기 소정 공간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공급 호스의 연결을 매개하는 호스 결합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상부면에는, 상기 이너 커넥팅 바디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하방으로 함몰되게 메인 형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측면부에는, 상기 이너 커넥팅 바디의 일부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측면 설치홈이 측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상부면에는, 상기 소정 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연통홀에 에어핀 체결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이너 커넥팅 바디는, 상기 에어핀 체결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소정 공간에 충진된 압축 공기를 상기 모의 총기의 손잡이부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커넥팅 바디는,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상부면에 안착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핀 체결 블록을 통해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상기 소정 공간 내에 충진된 압축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 유동 블록을 포함하는 제1 이너 블록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상면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모의 총기와 상기 제어 모듈 사이의 전원 공급 또는 신호 공급 통로 역할을 수행하도록 배치된 제2 이너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커넥팅 바디의 상기 제1 이너 블록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착탈홀이 구비되고, 상기 이너 커넥팅 바디는, 상기 착탈홀에 수용되되, 상기 에어핀 체결 블록과 연결되는 에어핀부에 의하여 상기 압축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핀부는,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구비된 형합 플레이트, 상기 형합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에어핀 홀 및 상기 형합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보스는 상기 에어핀 체결 블록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핀부는, 상기 에어핀 홀이 관통되도록 상기 형합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실링 플레이트 및 상기 에어핀 홀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실링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너 블록은,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공기 유동 블록이 일체로 성형 제작되고, 상기 착탈홀은, 상기 공기 유동 블록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 형성되되, 압축 공기가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로부터 유동되어 상기 모의 총기의 손잡이부로 공급 가능하도록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너 블록은, 상기 제1 이너 블록의 일측에 접하도록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데이터 전송 블록 및 상기 모의 총기 및 상기 제어 모듈 사이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다라 상이한 신호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데이터 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데이터 핀은, 상기 데이터 전송 블록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상부면에 배치된 연결 피시비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의 총기 커넥터는, 압축 공기가 충진되는 소정 공간이 구비된 메인 커넥팅 바디 및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모의 총기의 손잡이부에 대한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결합을 매개하는 이너 커넥팅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모의 총기의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의 총기에 구비된 방아쇠와 연동하여 레이저 발진부에 의하여 레이저가 발진시킴과 아울러 상기 모의 총기를 반동력 발생부를 이용하여 반동시키도록 반동력 공급부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 통로 및 상기 레이저 발진부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 사이의 신호 공급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커넥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총기의 손잡이와 연결된 커넥터를 통하여 격발 시 압축 공기를 제공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실제 총탄 사격의 격발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및 레이저 출력의 안정화를 통해 사격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실탄 사격을 레이저 사격으로 대체함으로써 사격장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반동력 발생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제어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정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모의 총기의 손잡이부에 연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의 구성 중 총기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손잡이부와 총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총기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구성 중 메인 커넥팅 바디 및 이너 커넥팅 바디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6의 구성 중 메인 커넥팅 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의 구성 중 에어 커넥터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6의 구성 중 이너 커넥팅 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이너 커넥팅 바디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반동력 발생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는, 모의 총기(1000), 레이저 발진부(105), 반동력 발생부(200), 반동력 공급부(90), 제어 모듈(700), 및 총기 커넥터(1)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발진부(105)는 모의 총기(1000)에 배치되어 방아쇠(120)와 연동하여 레이저를 발진할 수 있다.
반동력 발생부(200)는 모의 총기(1000)에 배치되어 방아쇠(120)와 연동하여 모의 총기(1000)를 반동시킬 수 있다.
반동력 공급부(90)는 모의 총기(1000)와 별도로 구비되고, 반동력 발생부(200)에 소정의 반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모듈(700)는 레이저 발진부(105)와 반동력 발생부(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700)은 모의 총기(1000)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총기 커넥터(1)는 모의 총기(1000)의 손잡이부(10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총기 커넥터(1)는 반동력 발생부(200)와 반동력 공급부(90)의 동력 연결, 및 레이저 발진부(105)와 제어 모듈(700) 사이의 전원 공급 또는 신호 연결을 동시에 매개할 수 있다.
여기서, 반동력 공급부(90)는, 모의 총기(1000)와 별도로 구비되고, 압축 공기를 형성하도록 컴프레셔(미도시)가 구비된 압축 공기 탱크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반동력 발생부(200)는, 반동력 공급부(90)에 의하여 생성된 압축 공기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커넥터(1)를 매개로 모의 총기(1000)의 내부로 공급받아 모의 총기(1000) 자체에 반동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반동력 공급부(90)의 컴프레셔에 의해 압축된 공기는 압축 공기 탱크에 저장되었다가 공급 호스(103) 및 총기 커넥터(1)를 매개로 분기라인(420)을 거쳐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330)(SOL V/V)로 이동될 수 있다. 총기 커넥터(1) 내부의 호스와 분기라인(420)은 공기가 유동되도록 연결된다.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330)를 통과한 압축 공기는 제1 유통라인(430)을 통해 전자식 레듀싱 밸브(320) 측으로 이동된 후, 제2 유통라인(440)을 거쳐 반동력 발생부(200)에 도입되어 모의 총기(1000)의 방아쇠(120) 작동(사격) 시 반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반동력 공급부(90)에 포함된 컴프레셔(compressor)는 공기를 압축하는 에어펌프일 수 있다. 압축된 공기는 압축 공기 탱크에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공기 탱크는 일정량의 압축 공기가 충전할 수 있다. 압축 공기 탱크는 다수의 모의 총기(1000)가 동시에 사격되거나 연속 사격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양의 압축 공기가 제공됨과 함께 압축 공기가 일정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330)는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동작이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일종의 전자식 개폐밸브일 수 있다.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330)는 모의 총기(1000)의 방아쇠(120) 작동에 연동하여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유료 개방시 압축 공기가 모의 총기(1000)의 반동력 발생부(200)로 공급되어, 사격 시 이에 연동하여 반동력이 발생될 수 있다.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330)를 거쳐 유동되는 압축 공기는 제1 유통라인(430)을 통해 전자식 레듀싱 밸브(320)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조정된 후, 반동력 발생부(200)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전자식 레듀싱 밸브(320)(압력 조절기)는 유동되는 압축 공기의 설정된 압력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압력조정밸브일 수 있다. 전자식 레듀싱 밸브(320)는 반동력 발생부(200)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사격 시 균일한 반동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330) 및 전자식 레듀싱 밸브(320)가 모의 총기(1000) 내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반동력 공급부(90)의 압축 공기가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330) 및 전자식 레듀싱 밸브(320) 순서대로 유동되어 반동력 발생부(200)측으로 유동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330) 및 전자식 레듀싱 밸브(320)의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압축 공기의 유동 순서는 반동력 공급부(90),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330), 전자식 레듀싱 밸브(320) 및 반동력 발생부(200) 순서, 또는, 반동력 공급부(90), 전자식 레듀싱 밸브(320),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330) 및 반동력 발생부(200) 순서일 수 있다. 또한,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330) 및 전자식 레듀싱 밸브(3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 모의 총기(100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330)의 모의 총기(1000)와의 배치와 상관없이,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330)는 방아쇠(120)의 작동에 연동하여 유로 개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반동력 발생부(200)는, 실린더(210), 전후방 캡(220, 230), 및 피스톤(240)을 구비할 수 있다.
실린더(210)는 모의 총기(1000)의 내부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전방 캡(220) 및 후방 캡(230)은 실린더(210)의 양단을 막아 밀폐할 수 있다. 피스톤(240)은 실린더(210) 내부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피스톤(240)은 왕복 운동 과정에서 후방 캡(230)을 타격함으로써 모의 총기(1000)의 개머리판(110) 측으로 반동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240)이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후방 캡(230)을 타격하여 모의 총기(1000)의 개머리판(110) 측으로 반동력이 발생하는 구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피스톤(240)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전방 캡(220)을 타격함으로써 반동력이 총구 측으로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방 캡(220)은 실린더(210)의 일측을 밀폐하여 피스톤(240) 사이에 일측 압력실(S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전방 캡(220)에는 전자식 레듀싱 밸브(320)로부터 압축 공기가 도입되는 도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캡(220)의 반대 측으로는 실린더(210)의 타측을 밀폐하여 피스톤(240) 사이에 타측 압력실(S2)이 형성되도록 하는 후방 캡(230)이 설치될 수 있다.
피스톤(240)은 평상 시, 내부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250)에 의해 전방 캡(220) 측으로 탄력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방아쇠(120)의 격발 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압축 공기로 인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후방 캡(230)을 타격할 수 있다.
피스톤(240)이 후방 캡(230)을 타격함으로써 발생된 타격력은 실제 총기의 사격 시 개머리판(110) 측으로 총기가 밀리게 되는 반동력과 매우 유사한 효과를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모의 총기(1000)의 사격 시에도 실제 총기에서와 같은 반동력이 구현됨에 따라 실제 총기를 사격하는 것과 같은 현실감이 재현될 수 있다.
후방 캡(230)의 전방에는 압전식 충격센서(260)가 설치될 수 있다. 압전식 충격센서(260)는 충격 발생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로서, 피스톤(240)이 후방 캡(230)을 타격하면 그 충격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제어 모듈(700)로 송신하게 된다.
제어 모듈(700)은 압전식 충격센서(260)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에 따른 충격량을 연산할 수 있다.
연산된 충격량은 미리 설정된 설정 치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전자식 레듀싱 밸브(320)의 설정 압력을 보다 높게 설정하여 반동력 발생부(200)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이 증대되도록 하여 그로 인해 반동력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압전식 충격센서(260)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에 따른 충격량이 미리 설정된 설정 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 모듈(700)은 전자식 레듀싱 밸브(320)의 설정 압력을 낮게 설정함으로써 반동력 발생부(200)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도록 조정하여 반동력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피스톤(240)의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량을 연산하여 측정된 충격량이 미리 설정된 값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즉 반동력이 기준값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전자식 레듀싱 밸브(320)의 설정 압력을 높게 하여 반동력 발생부(200)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이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반동력이 증대되도록 하고, 피스톤(240)의 충격량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즉 반동력이 기준값보다 크게 발생한 경우에는 전자식 레듀싱 밸브(320)의 설정압력을 낮춰 반동력이 작아지도록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사격자는 항상 균일한 반동력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는 분사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는 사격 시 모의 총기(1000)가 후방으로 밀리는 반동력을 구현하고, 분사부(600)는 총구가 들리도록 하여 사격 시 현장감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분사부(600)는 모의 총기(1000)의 총열(100) 측 하단부에 압축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총구가 들리도록 할 수 있다.
분사부(600)는 압축 공기를 외부로 분사하는 노즐로서, 이렇게 분사된 압축 공기에 의하여 사격 시 총구가 위로 들리게 되고 그로 인해 보다 현장감이 증대될 수 있다.
분사부(600)는 압축공기 배출라인(500)을 통해 반동력 발생부(200)의 타측 압력실(S2)과 연통되고, 피스톤(240)이 후방 캡(230)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타측 압력실(S2) 내부 공기가 순간적으로 압축되면서 압축공기 배출라인(500)을 거쳐 총열(100)의 하단부로 분사되어 총구가 들리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제어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모의 총기(1000)의 손잡이부(101)에 연결되는 총기 커넥터(1)는, 반동력 공급부(90)로부터 압축 공기와 같은 반동력이 반동력 발생부(200)로 공급되도록 매개하거나, 모의 총기(1000)와 제어 모듈(700)의 전기적 신호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매개할 수 있다. 모의 총기(1000)의 전기 신호는 모의 총기(1000)에 구비된 압전식 충격센서(260)나 방아쇠(연결 피시비(70))의 격발을 감지하는 격발 스위치(130)에서 발생할 수 있다. 제어 모듈(700)의 전기 신호는 반동력 발생부(200)의 작동을 위한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330) 및 전자식 레듀싱 밸브(320)의 작동 신호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700)은 미도시의 전장 부품이 내장되고 전면부에 AC 전원 커넥터(711), 모듈 전원 스위치(713) 및 통신 커넥터(715)가 구비되고 배면부에 4개의 모의 총기(1000)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사대 커넥터(716~719)가 구비된 모듈 본체(710), 및 모듈 본체(710)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다수의 방열 슬릿(721)이 형성된 모듈 커버(7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본체(710)의 전면부(F)에 구비된 AC 전원 커넥터(711)는, 외부의 전원(220Vac)을 모듈 본체(710) 내부의 전장 부품으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일 수 있다. AC 전원 커넥터(711)는 접지가 되어 있는 3단자 전원을 사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모듈 본체(710)의 전면부(F)에 구비된 모듈 전원 스위치(713)는 상술한 AC 전원 커넥터(71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On/Off)시키기 위한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하측으로 버튼을 눌러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이 차단(Off)되고, 상측으로 버튼을 눌러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전원이 공급(On)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모듈 본체(710)의 전면부(F)에 구비된 통신 커넥터(715)는, PC와의 통신을 위한 연결 커넥터로서, 제어 모듈(700)에 의하여 연산된 각종 결과값(레이저 발진부(105)에 의한 사격 명중률 등)을 PC로 전달하여 자체 기록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모듈 본체(710)의 배면부(R)에 구비된 사대 커넥터(716~719)는, 총 4개의 모의 총기(1000)와 제어 모듈(7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대 커넥터(716~719)는 모의 총기(1000)의 손잡이부(101)에 연결된 총기 커넥터(1)로부터 유선 연결된 와이어 하네스(미도시)의 선단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되, 20핀 커넥터로 연결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총기 커넥터(1)에 무선 송수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기적 신호들을 무선 통신 가능하게 구비된 경우, 사대 커넥터(716~719)에 연결되는 것은 미도시의 데이터 송수신 모듈의 연결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4개의 모의 총기(1000)만이 연결 가능하도록 사대 커넥터(716~719)가 4개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그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1의 모의 총기의 손잡이부에 연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의 구성 중 총기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손잡이부와 총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총기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구성 중 메인 커넥팅 바디 및 이너 커넥팅 바디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6의 구성 중 메인 커넥팅 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8의 구성 중 에어 커넥터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6의 구성 중 이너 커넥팅 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이너 커넥팅 바디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한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총기 커넥터(1)는 메인 커넥팅 바디(10) 및 이너 커넥팅 바디(2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 커넥팅 바디(10), 및 메인 커넥팅 바디(10)에 연결되되, 모의 총기(1000)의 손잡이부(101) 내측으로 인입되어 결속되는 이너 커넥팅 바디(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커넥팅 바디(10)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커넥팅 바디(10)는 손잡이부(101)의 밑면에 대략 대응하는 외관을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커넥팅 바디(10)는 육면체 또는 육면체의 각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라운드 지거나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메인 커넥팅 바디(10)는 호스 커넥터(30) 및 호스 결합 바디(40)을 구비할 수 있다.
호스 커넥터(30)는 반동력 공급부(90)와 공급 호스(10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호스 결합 바디(40)는 메인 커넥팅 바디(10)의 개구된 일측에 배치되어, 반동력 공급부(90)와 메인 커넥팅 바디(10)의 개구된 일측을 결합시킬 수 있다.
공급 호스(103)는, 호스 결합 바디(40)와의 결합을 매개하는 호스 커넥터(30)를 통해 반동력 공급부(200)의 반동력 공급원인 압축 공기를 메인 커넥팅 바디(10)의 소정 공간으로 유입시키도록 연결하는 유동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급 호스(103)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비되어, 사격자의 모의 총기(1000)를 이용한 사격 시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 커넥팅 바디(20)는 메인 커넥팅 바디(10)의 상면부에 결합되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모의 총기(1000)의 손잡이부(101)의 내측 공간에 인입될 수 있다. 이너 커넥팅 바디(20)와 손잡이부(101)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볼트 결합 등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메인 커넥팅 바디(10)와 이너 커넥팅 바디(20)는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메인 커넥팅 바디(10)의 상부면에 이너 커넥팅 바디(20)가 자성 결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메인 커넥팅 바디(10)의 상부면(보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메인 형합부(11))에는 제1 자성체(18)가 다수개 구비되고, 이너 커넥팅 바디(20)의 하단면에는 제1 자성체(18)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자성체(18)와 자성 결합되는 제2 자성체(28)가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자성체(18, 19)는 서로 다른 극을 띄는 자석으로 구성되거나, 하나는 자석 다른 하나는 철과 같은 강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너 커넥팅 바디(20)는 메인 커넥팅 바디(10)를 통과하는 반동력 공급부(90)의 압축 공기를 모의 총기(1000)로 직접 전달하거나, 메인 커넥팅 바디(10)의 소정 공간(10a)(도 9 참조)에 충진된 압축 공기를 모의 총기(1000) 내부로 전달하는 유동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이너 커넥팅 바디(20)는 모의 총기(1000)와 제어모듈(700) 사이에서의 데이터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너 커넥팅 바디(20)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메인 커넥팅 바디(1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결합 플레이트(25) 및 결합 플레이트(25)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압축 공기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공기 유동 블록(21)을 포함하는 제1 이너 블록(20A)과, 제1 이너 블록(20A)의 일측에 해당하는 결합 플레이트(25)의 상부면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제2 이너 블록(20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이너 블록(20A)은 결합 플레이트(25)와 공기 유동 블록(21)이 일체로 성형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유동 블록(21)을 포함하는 결합 플레이트(25)에는,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압축 공기가 하방의 메인 커넥팅 바디(10)로부터 유동되어 공기 유동 블록(20A)을 통해 상측의 손잡이부(101)로 공급 가능하도록 홀 형태의 착탈홀(21a)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동 블록(21)의 상면부는 대략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착탈홀(21a)을 통해 유동되는 압축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21b)이 경사진 상면부로 연통되게 구비될 수 있다. 배출홀(21b)에는 토출 노즐(22)이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이너 블록(20B)은, 제1 이너 블록(20A)의 일측에 접하도록 결합 플레이트(25)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데이터 전송 블록(26)과, 모의 총기(1000) 및 제어 모듈(700) 사이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신호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데이터 핀(27)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블록(26)에는 다수의 데이터 핀(27)이 상하로 관통하도록 데이터핀 홀(29)이 다수개 형성되고, 데이터 전송 블록(26)의 다수의 데이터핀 홀(29)을 관통한 다수의 데이터 핀(27)의 하단은 후술하는 연결 피시비(70)에 각각 실장되거나 연결 피시비(70)에 형성된 핀홀(17)에 착탈 가능하게 핀 결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메인 커넥팅 바디(10)의 상면에는 상술한 이너 커넥팅 바디(20)의 하단부가 형합되어 수용 결합되는 메인 형합부(11)가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형합부(11)는, 이너 커넥팅 바디(20)의 하단부가 형합되게 수용되도록 이너 커넥팅 바디(20)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는 반동력 공급부(90)로부터 공급된 메인 커넥팅 바디(10) 내의 소정 공간(10a)에 충진된 압축 공기를 모의 총기(1000)의 이너 커넥팅 바디(20)로 공급하도록 메인 커넥팅 바디(10)의 상부에 결합된 에어 커넥터(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커넥팅 바디(10)의 상부면에 형성된 메인 형합부(11) 내측에는, 에어 커넥터(60)가 설치되기 위한 제1설치홈(15)이 하방으로 홈 가공 형성되고, 에어 커넥터(60)는 제1설치홈(15)에 매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설치홈(15)의 내부에는 미도시의 체결 나사가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홀(도면부호 미표기)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설치홈(15)의 내부에는, 에어 커넥터(60)가 설치되도록 상하로 관통되어 소정 공간(10a)과 연통되는 연통홀(14)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14)은, 이너 커넥팅 바디(20)의 내측에 공간 형태로 구비된 착탈홀(21a)과 공간적으로 연통되게 구비될 수 있고, 후술하는 에어 커넥터(60) 및 에어핀 체결 블록(19)을 통해 압축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동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통홀(14)의 내측에는 도 8 및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에어핀 체결 블록(19)이 결합될 수 있다. 에어핀 체결 블록(19)은 압축 공기가 유동되도록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단부가 후술하는 에어 커넥터(60)의 연결 보스(62) 내측으로 억지끼움 인입되게 결합된다. 에어핀 체결 블록(19)의 외주면 일부에는 미도시의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연통홀(14)의 내주면에 형성된 미도시의 암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 커넥터(60)는, 도 10 및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형합 플레이트(61)와, 에어핀부(63) 및 실링 플레이트(6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형합 플레이트(61)는,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설치홈(1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1설치홈(15)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합 플레이트(61)는, 제1설치홈(15)에 형합되어 설치되면서 연통홀(14)을 차폐함과 동시에, 에어핀부(63)를 메인 커넥팅 바디(10)의 상부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에어핀부(63)는,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형합 플레이트(61)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되, 형합 플레이트(6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에어홀 핀(67) 및 형합 플레이트(61)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 보스(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어핀부(63)는, 연통홀(14)의 내부에 결합된 에어핀 체결 블록(19)의 상단부가 연결 보스(62)의 하단 내측으로 인입 결합됨으로써, 실질적으로 메인 커넥팅 바디(10) 내부의 소정 공간(10a)에 충진되어 있는 압축 공기를 모의 총기(1000)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에어핀부(63)는 형합 플레이트(61)의 상면에 안착되는 실링 플레이트(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 플레이트(63)에는, 에어핀부(63)의 에어홀 핀(67)이 관통되는 핀 관통홀(6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링 플레이트(63)는, 핀 관통홀(63a)을 통해 에어홀 핀(67)이 관통된 상태로 형합 플레이트(61)의 상면에 적층 안착되어 메인 커넥팅 바디(10)에 형성된 연통홀(14)을 실링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링 플레이트(63)는, 그 상부면에 이너 커넥팅 바디(20)의 하면이 밀착됨으로써, 연통홀(14)을 통해 누기되는 압축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1차적인 실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에어핀부(63)의 에어홀 핀(67)의 외주면에도 실링 파이프(65)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실링 파이프(65)는, 에어홀 핀(67)의 외주면 중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부(67a)에 상단이 걸림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실링 파이프(65)는, 이너 커넥팅 바디(20)가 에어 커넥터(60)를 덮도록 결합될 때, 이너 커넥팅 바디(20)의 내측에 형성된 착탈홀(21a)의 내벽면과 밀착되어 압축 공기가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2차적인 실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커넥팅 바디(10)의 상부면에 형성된 메인 형합부(11) 내측에는, 도 10 및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 설치홈(15)의 일측에는 제2 설치홈(16)이 장방형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홈(16)에는 모의 총기(1000)와 제어모듈(700) 사이의 데이터 신호의 전송을 매개하도록 구비된 연결 피시비(70)가 장착될 수 있다. 연결 피시비(70)는, 제2 설치홈(16)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설치홈(16)에 매칭되게 형합되도록 안착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커넥팅 바디(10)의 측방에는 측면 일부가 요홈지게 내측으로 함몰된 측면 설치홈(12)이 형성되고, 측면 설치홈(12)에는 이너 커넥팅 바디(20)의 제1 이너 블록(20A) 중 결합 플레이트(25)의 테두리 부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측면 플레이트(23)가 형합 결합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23)에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된 고정나사 체결홀(24)이 형성되고, 메인 커넥팅 바디(10)의 상부면에 이너 커넥팅 바디(20)가 안착되도록 결합되면,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측면 플레이트(연결 피시비(70))의 고정나사 체결홀(24)을 통해 체결되는 메인 결합 나사(60)가 메인 커넥팅 바디(10)의 측면부에 형성된 체결홀(13)을 통해 체결되는 동작으로 이너 커넥팅 바디(20)를 메인 커넥팅 바디(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커넥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의 총기(1000)의 손잡이부(101)를 통해 사격자의 격발 시 소정의 반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반동력 공급부(90) 및 반동력 발생부(200)의 효과적인 작동을 위해 압축 공기의 유동로 및 데이터 신호의 공급 통로 역할을 담당하는 총기 커넥터를 간편한 동작으로 착탈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총기 커넥터 10: 메인 커넥팅 바디
11: 메인 형합부 12: 측면 설치홈
15: 제1설치홈 16: 제2설치홈
19: 에어핀 체결 블록 20: 이너 커넥팅 바디
20A: 제1 이너 블록 20B: 제2 이너 블록
21: 에어 유동 블록 23: 측면 플레이트
25: 결합 플레이트 26: 데이터 전송 블록
27: 데이터 핀 30: 호스 커넥터
40: 호스 결합 바디 50: 메인 결합 나사
60: 에어 커넥터 61: 형합 플레이트
62: 이너 보스 63: 실링 플레이트
65: 실링 파이프 70: 연결 피시비
100: 총열 105; 레이저 발진부
110: 개머리판 120: 방아쇠
130: 격발 스위치 200: 반동력 발생부
320: 전자식 레듀싱 밸브 330: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420: 분기 라인 430: 제1 유통라인
440: 제2 유통라인 700: 제어 모듈
710: 모듈 본체 720: 모듈 커버

Claims (13)

  1. 모의 총기;
    상기 모의 총기에 구비되고, 방아쇠와 연동하여 레이저를 발진하는 레이저 발진부;
    상기 모의 총기에 구비되고, 방아쇠와 연동하여 상기 모의 총기를 반동시키는 반동력 발생부;
    상기 모의 총기와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반동력 발생부에 소정의 반동력을 제공하는 반동력 공급부;
    상기 레이저 발진부와 상기 반동력 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모의 총기와 별도로 마련된 제어 모듈; 및
    상기 모의 총기의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반동력 발생부와 상기 반동력 공급부의 반동력 공급 통로 및 상기 레이저 발진부와 상기 제어 모듈 사이의 전원 공급 및 신호 공급 통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비된 총기 커넥터; 를 포함하는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동력 발생부의 반동력은 상기 반동력 공급부에서 생성된 압축 공기이고,
    상기 총기 커넥터는, 상기 압축 공기가 상기 반동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반동력 발생부로 공급되는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 커넥터는,
    상기 압축 공기가 충진되는 소정 공간이 구비된 메인 커넥팅 바디; 및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모의 총기의 손잡이부에 대한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결합을 매개하는 이너 커넥팅 바디;를 포함하는,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는 상기 소정 공간이 일측으로 개구되게 구비되고,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개구된 일측에는, 상기 반동력 공급부로부터 생성된 압축 공기를 상기 소정 공간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공급 호스의 연결을 매개하는 호스 결합 바디;를 더 포함하는,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상부면에는, 상기 이너 커넥팅 바디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하방으로 함몰되게 메인 형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측면부에는, 상기 이너 커넥팅 바디의 일부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측면 설치홈이 측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상부면에는, 상기 소정 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연통홀에 에어핀 체결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이너 커넥팅 바디는, 상기 에어핀 체결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소정 공간에 충진된 압축 공기를 상기 모의 총기의 손잡이부로 유동시키는,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커넥팅 바디는,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상부면에 안착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핀 체결 블록을 통해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상기 소정 공간 내에 충진된 압축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 유동 블록을 포함하는 제1 이너 블록;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상면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모의 총기와 상기 제어 모듈 사이의 전원 공급 또는 신호 공급 통로 역할을 수행하도록 배치된 제2 이너 블록;을 포함하는,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커넥팅 바디의 상기 제1 이너 블록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착탈홀이 구비되고,
    상기 이너 커넥팅 바디는, 상기 착탈홀에 수용되되, 상기 에어핀 체결 블록과 연결되는 에어핀부에 의하여 상기 압축 공기가 유동되는,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핀부는,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구비된 형합 플레이트;
    상기 형합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에어핀 홀; 및
    상기 형합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보스는 상기 에어핀 체결 블록과 연결되는,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핀부는,
    상기 에어핀 홀이 관통되도록 상기 형합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실링 플레이트; 및
    상기 에어핀 홀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실링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너 블록은,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공기 유동 블록이 일체로 성형 제작되고,
    상기 착탈홀은, 상기 공기 유동 블록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 형성되되, 압축 공기가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로부터 유동되어 상기 모의 총기의 손잡이부로 공급 가능하도록 홀 형태로 형성된,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너 블록은,
    상기 제1 이너 블록의 일측에 접하도록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데이터 전송 블록; 및
    상기 모의 총기 및 상기 제어 모듈 사이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다라 상이한 신호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데이터 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데이터 핀은, 상기 데이터 전송 블록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상부면에 배치된 연결 피시비에 각각 연결되는,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13. 압축 공기가 충진되는 소정 공간이 구비된 메인 커넥팅 바디; 및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모의 총기의 손잡이부에 대한 상기 메인 커넥팅 바디의 결합을 매개하는 이너 커넥팅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모의 총기의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의 총기에 구비된 방아쇠와 연동하여 레이저 발진부에 의하여 레이저가 발진시킴과 아울러 상기 모의 총기를 반동력 발생부를 이용하여 반동시키도록 반동력 공급부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 통로 및 상기 레이저 발진부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 사이의 신호 공급 통로 역할을 하는, 총기 커넥터.
KR1020180140030A 2018-11-14 2018-11-14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총기 커넥터 KR10216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030A KR102160804B1 (ko) 2018-11-14 2018-11-14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총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030A KR102160804B1 (ko) 2018-11-14 2018-11-14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총기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108A true KR20200056108A (ko) 2020-05-22
KR102160804B1 KR102160804B1 (ko) 2020-10-05

Family

ID=7091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030A KR102160804B1 (ko) 2018-11-14 2018-11-14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총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8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663B1 (ko) * 2020-07-20 2021-11-17 구자범 전술 훈련용 모의소총 및 이를 이용한 전술 훈련 방법
WO2022140632A1 (en) * 2020-12-22 2022-06-30 Inveris Training Solutions, Inc. Drop-in simulator for lower receive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250U (ko) * 2008-02-13 2009-08-18 이상빈 영상 사격 훈련용 총기구조
KR20100117983A (ko) * 2009-04-27 2010-11-04 (주)넥스팝 모의소총 반동력 발생장치
KR20120012352A (ko) * 2010-07-31 2012-02-09 황성섭 홀센서를 이용한 사격게임용 총 및 사격게임시스템
KR20170066812A (ko) * 2015-12-07 2017-06-15 주식회사 엔씨이에스 증강현실 사격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250U (ko) * 2008-02-13 2009-08-18 이상빈 영상 사격 훈련용 총기구조
KR20100117983A (ko) * 2009-04-27 2010-11-04 (주)넥스팝 모의소총 반동력 발생장치
KR20120012352A (ko) * 2010-07-31 2012-02-09 황성섭 홀센서를 이용한 사격게임용 총 및 사격게임시스템
KR20170066812A (ko) * 2015-12-07 2017-06-15 주식회사 엔씨이에스 증강현실 사격 시뮬레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663B1 (ko) * 2020-07-20 2021-11-17 구자범 전술 훈련용 모의소총 및 이를 이용한 전술 훈련 방법
WO2022140632A1 (en) * 2020-12-22 2022-06-30 Inveris Training Solutions, Inc. Drop-in simulator for lower receive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804B1 (ko)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3638B2 (en) Laser training device with simulated cycling of a firearm action
KR100816389B1 (ko) 모의 탄창 및 이를 이용한 총기 모사 시스템
KR102160804B1 (ko) 총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및 그 총기 커넥터
US9417035B2 (en) Blank firing laser attachment
US9500450B2 (en) Special cartridge (variants)
US8544203B2 (en) Laser aimed small arms ammunition
KR100825943B1 (ko) 반동력 발생장치를 갖는 모의소총
KR101803435B1 (ko) 증강현실 사격 시뮬레이터
EP3254051B1 (en) Noise generation device
KR20140061783A (ko) 소총의 반동 및 타격 발생장치
KR100584928B1 (ko) 총기 모사시스템
KR101343393B1 (ko) 모의사격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모의사격훈련시스템
CN110470177A (zh) 一种用于激光模拟射击实验系统的仿真手枪
KR20210144221A (ko) 레이저 전용 총기, 스크린 레이저 인식 장치, 및 모의 사격 시스템
KR101791741B1 (ko) 압축가스를 이용한 총기의 반동장치 및 격발인식장치.
CN206546123U (zh) 一种吸附式枪管内插激光发射器
CN210464196U (zh) 一种用于激光模拟射击实验系统的仿真手枪
RU2637836C2 (ru) Пистолетный комплекс нелета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навесные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комплекса
KR20060067211A (ko) 충격발생장치가 개머리판에 구비되는 총기모사장치
KR102204722B1 (ko) 모의 사격용 총기
KR101926804B1 (ko) 오락실용 페인트 건
KR200496428Y1 (ko) 가스총 탄창의 항온 장치
KR200347839Y1 (ko) 총기 모사시스템
RU94017593A (ru) Пистолет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газовый
WO2023219552A1 (en) Shooting simulator system and cart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