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921A - 차선 규제봉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차선 규제봉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921A
KR20200053921A KR1020180137426A KR20180137426A KR20200053921A KR 20200053921 A KR20200053921 A KR 20200053921A KR 1020180137426 A KR1020180137426 A KR 1020180137426A KR 20180137426 A KR20180137426 A KR 20180137426A KR 20200053921 A KR20200053921 A KR 20200053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connecting rod
hole
worm nu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테크씨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테크씨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테크씨앤아이
Priority to KR1020180137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3921A/ko
Publication of KR20200053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시공 및 유지 보수가 보다 용이하도록, 도로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웜너트, 상기 웜너트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도로 위로 돌출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에 결합되어 도로 상에 세워져 설치되는 메인봉을 포함하는 차선 규제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선 규제봉 및 그 시공 방법{LANE REGULATION ROD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개시내용은 도로에 설치되는 차선 규제봉 및 그 시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 규제봉은 차선 등 도로 상에 설치되는 교통 안전 시설물로, 차선의 위치나 경계 등을 표시하여 차가 규정된 차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유도한다. 이에, 도로 상에 필요한 곳에는 일정 간격으로 차선 규제봉을 설치함으로써 차량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차선 규제봉은 길게 연장된 바 형태를 이루며, 하단에는 도로 상에 설치할 수 있도록 외주부를 따라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플랜지가 구비된다. 이에, 체결공을 통해 도로에 볼트를 체결하여 플랜지를 고정함으로써, 차선 규제봉이 도로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차선규제봉은 볼트를 이용하여 도로에 고정됨으로써, 도로의 아스팔트 등에 볼트가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여 설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차량의 충돌에 의해 차선규제봉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여름철의 경우 고온에 의해 아스팔트가 물러지면서, 볼트가 도로 위로 튀어나오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차선 규제봉이 제대로 고정되지 못해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며, 도로 위로 튀어나온 볼트에 의해 2차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된다. 이와 같이, 차선 규제봉이 자주 파손됨에 따라 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차선 규제봉을 교체하여 재시공하기 위해서는 도로에 볼트 구멍을 메우거나 새로 뚫는 등 볼트 체결을 위한 기반을 다시 조성해야 하고 복수개의 볼트를 다시 체결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본 과제는 도로에 보다 견고하게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차선 규제봉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시공 및 유지 보수가 보다 용이한 차선 규제봉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아스팔트 내부로 시공된 부분이 도로 위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차선 규제봉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차선 규제봉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차선 규제봉은, 도로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웜너트, 상기 웜너트 중심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도로 위로 돌출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에 결합되어 도로 상에 세워져 설치되는 메인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너트는 외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도로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웜너트는 상단에 외주방향으로 돌출되어 도로의 구멍 상단에 걸리도록 된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는 상단이 평면을 이루며, 내측에는 웜너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다각형의 렌찌부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웜너트는 중심홀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은 상기 중심홀의 암나사체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웜너트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웜너트는 중심홀이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 구조를 이루고, 상기 연결봉은 상기 웜너트 중심홀의 단면 구조와 대응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 구조를 이루어 중심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은 상기 메인봉에 끼워지는 상단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봉은 상기 메인봉에 끼워지는 상단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은 상기 웜너트 중심홀에 끼워지는 하단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은 고무를 포함한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은 하부 일측에 외주면을 따라 응력이 집중되는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구현예의 시공 방법은, 도로 상에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로에 형성된 구멍에 웜너트를 끼워 넣는 단계, 상기 웜너트에 연결봉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연결봉에 메인봉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구멍의 직경은 웜너트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멍에 웜너트를 끼워 넣는 단계에서, 상기 웜너트의 머리부 상단이 도로의 노면과 일치되도록 웜너트를 구멍에 끼워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도로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장시간 사용시에도 체결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공이 간편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로 환경 변화나 외부 충격시에도 도로 내부로 시공된 부분이 도로 상부로 돌출되지 않아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시, 자체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어 파손을 줄이고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이 도로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웜너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연결봉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은 도로에 설치된 웜너트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선 규제봉(100)은, 도로(R)에 형성된 구멍(H)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웜너트(30), 하단은 웜너트(30)에 형성된 중심홀(31)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단은 도로(R) 위로 돌출되는 연결봉(20), 연결봉(20)에 결합되어 도로(R) 상에 세워져 설치되는 메인봉(10)을 포함할 수 있다.
웜너트(30)와, 웜너트(30) 내주면에 결합되는 연결봉(20) 및 메인봉(10)은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된다. 이에, 연결봉(20)이나 메인봉(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웜너트(30)에 가해지는 회전 모멘트가 최소화되어 웜너트(30)가 도로(R)에서 위로 들어올려지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종래 구조의 경우 도로에 체결되는 볼트가 차선규제봉의 축중심에서 이격되어 있어 차선규제봉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볼트에 회전 모멘트가 걸리게 된다. 이에, 종래 구조의 경우 차선규제봉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볼트에 걸리는 하중이 커져 볼트가 도로에서 빠지거나 위로 들어 올려 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봉은 도로 상에 세워져 실질적으로 차선 규제용으로 작용하는 구성부이다. 메인봉(10)은 길게 연장되고 내부가 빈 원통형 파이프 구조물일 수 있다. 메인봉(10)은 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주는 구조일 수 있다. 메인봉(10)의 직경이나 길이는 정해진 규정, 예를 들어 도로법 등에서 정해진 규정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메인봉(10)의 하단은 개방되어 연결봉(20)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봉(20)은 길게 연장된 원통형태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봉(20)의 하단은 웜너트(30)의 중심홀(31) 내주면에 삽입되어 웜너트(30)에 고정된다. 연결봉(20)의 상단은 웜너트(30) 위쪽으로 연장되며, 메인봉(10) 하단에 끼워져 결합된다.
연결봉(20) 상단과 메인봉(10) 하단에 억지 끼움식으로 끼워져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봉(10)에 끼워지는 연결봉(20)의 상단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2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슬릿(22)은 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다. 이에, 연결봉(20) 상단이 메인봉(10) 하단에 끼워지게 되면 메인봉(10) 내면에 연결봉(20) 상단 외면이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 과정에서 연결봉 상단에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부분인 슬릿(22)이 조여지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슬릿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연결봉이 외측으로 가압되면서 메인봉 내면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된다.
상기한 구조 외에, 연결봉의 상단과 메인봉 사이에 걸리도록 된 단턱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연결봉 상단과 메인봉의 단턱이 서로 맞물리면서 연결봉에 메인봉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봉(20)은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봉(20)은 고무 재질 외에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플랙시블한 재질이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이에, 연결봉(20)은 웜너트(30)와 메인봉(10) 사이를 유연하게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메인봉(10)에 충격이나 외력 가해진 경우 연결봉(20)이 휘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꺽임 등의 변형이 발생하여도 부러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 상태로 복귀되면서 메인봉(10)은 원상태로 복귀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에의 차선 규제봉(100)은 외부 충격에 대해 연결봉(20)이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메인봉(10)이 꺽여 변형되거나 부러져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봉(20)은 하부 일측에 외주면을 따라 응력이 집중되는 노치(26)가 형성될 수 있다. 노치(26)는 연결봉(20)의 외주면을 따라 홈 형태로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연결봉(20)은 외부 힘이 가해졌을 때, 두께가 얇은 부분인 노치(26) 형성 부분에서 응력이 집중되어 연결봉(20)이 절단될 수 있다. 노치(26)는 연결봉(20)이 절단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서, 노치(26) 형성 위치는 웜너트(30)에 연결봉(20)을 완전히 체결하였을 때 웜너트(30)의 상단 이하에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노치(26) 형성 부분에서 연결봉(20)이 절단되었을 때, 노치(26) 이하의 연결봉(20) 하단 부분이 도로(R) 상면 위쪽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차선 규제봉(100)은 파손시에도 도로(R) 노면 위쪽으로 돌출되는 것이 없어 차량 주행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된다.
연결봉(20)은 웜너트(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봉(20)은 웜너트(30)와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웜너트(30)는 중심홀(31) 내주면에 암나사(32)가 형성되고, 연결봉(20)은 하부 외주면에 웜너트(30)의 암나사(32)에 체결되는 수나사(24)가 형성된다. 웜너트(30)와 연결봉(20)은 나사 체결 구조 외에 착탈가능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웜너트(30)에 연결봉(2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면 모두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차선 규제봉(100)은, 연결봉(20)을 웜너트(30)에 나사 체결하여 설치함에 따라 체결력을 높이면서 간단하게 연결봉(20)을 회전시켜 웜너트(30)에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파손 등으로 차선 규제봉(100)을 교체하고자 할때, 도로(R)에 시공된 웜너트(30)에서 연결봉(20)만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풀어줌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너트(30)는 외주면에 스크류(34)가 형성되어 도로(R)에 형성된 구멍(H)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웜너트(30) 중심에 형성된 중심홀(31)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결봉(20)과의 체결을 위한 암나사(32)가 내주면에 형성된다.
스크류(34)는 수나사와 같이 나선 형태로 돌출된 구조로 선단은 뾰족하여 도로(R)의 구멍(H) 내주면에 쉽게 파고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웜너트(30)의 크기 또는 스크류(34)의 나선 간격이나 크기 등은 도로(R)나 시공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도로(R)의 구멍(H) 내에서 웜너트(30)가 체결되면, 웜너트(30)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34)가 도로(R) 구멍(H) 내주면을 나선 형태로 파고 들어면서 웜너트(30)가 구멍(H)으로 삽입되고 구멍(H) 내면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웜너트(30)는 상단에 외주방향으로 돌출되어 도로(R)의 구멍(H) 상단에 걸리도록 된 머리부(36)가 형성된다. 머리부(36)는 상단이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에, 웜너트(30)가 도로(R)의 구멍(H) 내에 시공되었을 때, 평면의 머리부(36) 상단이 도로(R) 노면과 수평면을 이루어, 도로(R) 위쪽으로 웜너트(30)가 돌출되지 않게 된다.
머리부(36)의 내측에는 웜너트(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육각형의 렌찌부(38)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시공시 머리부(36) 내측에 육각 랜치를 끼워 웜너트(30)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도로(R) 구멍(H) 내에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선 규제봉(100)은 도로(R)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하나의 웜너트(30)를 통해 도로(R)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하나의 웜너트(30)만 도로(R)에 설치하면 되므로 시공이 보다 간편하고 수월하다.
또한, 웜너트(30)는 메인봉(10)에 맞먹는 직경으로 종래 볼트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도로(R)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온도에 따라 도로(R)의 아스팔트가 물러지거나 차선 규제봉(100)에 큰 하중이 가해졌을 때도 웜너트(30)는 도로(R)의 구멍(H)에서 쉽게 빠져나가거나 위로 튀어나오지 않게 된다. 이에, 웜너트(30) 돌출에 따른 주행 안전사고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와 도 5는 차선 규제봉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선 규제봉(100)은 웜너트(30)의 중심홀(31)에 연결봉(20)의 하단을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 결합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웜너트(30)는 중심홀(31)이 원형 단면 구조를 이루고, 연결봉(20)의 하단은 웜너트(30) 중심홀(31)의 단면 구조와 대응되는 원형 단면 구조를 이루어 웜너트(30) 중심홀(31)에 끼우져 결합될 수 있다. 웜너트(30) 중심홀(31)과 여기에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봉(20)의 하단의 단면 형태는 원형 외에 사각이나 오각 또는 육각 등 다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결봉(20)은 웜너트(30)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웜너트(30)에 결합되는 하단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28)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브(28)는 연결봉(20)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얇은 두께의 플랜지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리브(28)는 연결봉(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리브(28)는 고무 재질의 연결봉(20)과 같이 자체적으로 탄성력이 있어 웜너트(30) 중심홀(31) 내면이나 메인봉(10) 내면과 접하여 유연하게 꺽이며 조립될 수 있다. 리브(28)는 연결봉(20)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복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연결봉(20) 하단이 웜너트(30)의 중심홀(31)에 끼워지면, 리브(28)의 선단이 연결봉(20) 진입방향의 반대쪽으로 꺽이면서 조립된다. 따라서, 웜너트(30)에서 연결봉(20)을 빼내려할 때, 빼내려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눕혀져 있는 리브(28)의 반력이 작용하여 연결봉(20)이 웜너트(30) 중심홀(31)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연결봉(20)의 상단 역시 메인봉(10)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28)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연결봉(20) 상단이 메인봉(10)에 끼워지면, 리브(28)의 선단이 메인봉(10) 진입방향의 반대쪽으로 걱이면서 조립된다. 따라서, 메인봉(10)과 연결봉(20)을 분리시키고자 할 때, 분리 방향의 역방향으로 눕혀져 있는 리브(28)의 반력이 작용하여 연결봉(20)이 메인봉(10)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봉(20) 외주면에 리브(28)를 형성함으로써, 웜너트(30) 및 메인봉(10)과의 결합력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시공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연결봉이 웜너트에 나사 체결되는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
차선 규제봉 시공을 위해, 먼저 도로 상에 구멍을 형성한다. 도로에 형성되는 구멍의 직경은 웜너트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구멍 내에 웜너트를 체결 고정하는 과정에서, 웜너트에 형성된 스크류가 도로 구멍의 내주면에 나선 형태로 파고들어 암나사를 형성하면서 구멍에 체결될 수 있다.
도로에 구멍이 형성되면, 구멍에 웜너트를 끼워 고정한다. 웜너트의 머리부에 형성된 랜찌부에 랜치를 끼우고 돌려줌으로써, 웜너트가 구멍에 체결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웜너트의 스크류가 도로 내주면을 파고들어 긴밀하게 밀착됨에 다라, 보다 견고하게 도로의 구멍에 웜너트가 고정된다.
웜너트는 머리부 상단이 도로의 노면과 일치되도록 하여 구멍에 매설할 수 있다. 머리부 상단이 노면과 일치함으로써, 웜너트가 도로 위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로의 구멍에 웜너트가 매설되면, 웜너트의 내주면에 연결봉을 결합한다.
연결봉 하단을 웜너트 내주면에 삽입하여 연결봉을 돌려주게 되면 연결봉에 형성된 수나사가 웜너트 내면의 암나사에 나사체결되면서 연결봉이 웜너트에 끼워져 조립된다.
웜너트에 연결봉이 설치되면, 위로 연장된 연결봉의 상단에 메인봉을 결합함으로써, 도로에 차선 규제봉을 시공할 수 있다.
연결봉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연결봉에 메인봉 하단을 끼우게 되면 연결봉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메인봉 내부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도로 상에 하나의 구멍만을 천공하여 웜너트를 매립하고, 연결봉과 메인봉을 간단히 결합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차선 규제봉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선 규제봉의 파손 등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도로 상에 매립된 웜너트에서 연결봉만을 분리하고 새로운 연결봉을 설치하거나, 연결봉에서 새로운 메인봉만을 설치함으로써, 손쉽게 차선 규제봉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로에 하나의 웜너트를 매설하는 것으로 차선 규제봉을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은 물론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간단히 나사 체결 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하여, 비숙련공도 손쇱게 차선 규제봉을 보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차선 규제봉 10 : 메인봉
20 : 연결봉 22 : 슬릿
24 : 수나사 26 : 노치
28 : 리브 30 : 웜너트
31 : 중심홀 32 : 암나사
34 : 스크류 36 : 머리부
38 : 렌찌부

Claims (10)

  1. 도로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웜너트,
    상기 웜너트 중심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도로 위로 돌출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에 결합되어 도로 상에 세워져 설치되는 메인봉
    을 포함하는 차선 규제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웜너트는 중심홀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거나 중심홀이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 형태를 이루고, 상기 연결봉은 하부에 상기 암나사에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중심홀에 나사체결되거나, 상기 중심홀 단면 구조에 대응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 형태를 이루어 상기 중심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차선 규제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웜너트는 외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도로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는 차선 규제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웜너트는 상단에 외주방향으로 돌출되어 도로의 구멍 상단에 걸리도록 된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는 상단이 평면을 이루며, 내측에는 웜너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다각형의 렌찌부가 형성된 차선 규제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고무를 포함한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된 차선 규제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하부 일측에 외주면을 따라 응력이 집중되는 노치가 형성된 차선 규제봉.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상기 메인봉 또는 상기 웜너트 중심홀에 끼워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돌출 형성된 차선 규제봉.
  8. 도로 상에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로에 형성된 구멍에 웜너트를 끼워 넣는 단계, 상기 웜너트에 연결봉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봉에 메인봉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선 규제봉 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구멍의 직경은 웜너트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차선 규제봉 시공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에 웜너트를 끼워 넣는 단계에서, 상기 웜너트의 머리부 상단이 도로의 노면과 일치되도록 웜너트를 구멍에 끼워넣는 차선 규제봉 시공 방법.
KR1020180137426A 2018-11-09 2018-11-09 차선 규제봉 및 그 시공 방법 KR20200053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426A KR20200053921A (ko) 2018-11-09 2018-11-09 차선 규제봉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426A KR20200053921A (ko) 2018-11-09 2018-11-09 차선 규제봉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921A true KR20200053921A (ko) 2020-05-19

Family

ID=7091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426A KR20200053921A (ko) 2018-11-09 2018-11-09 차선 규제봉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39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3792B2 (en) Stress plate with depending sleeve
US9556893B2 (en) Omnidirectional breakaway support system and connector
US6595323B2 (en) Pole step and attachment mount for poles
CN103168140A (zh) 屋顶绝缘紧固系统
JP2011098675A (ja) 耐雷ファスナ、キャップ、ファスナ部材、耐雷ファスナの取り付け方法
US9273714B2 (e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and removing a temporary concrete barrier from a bridge deck
KR200462194Y1 (ko) 볼트와 너트 결합부의 보호캡
KR102020270B1 (ko) 이중나사선 볼트 및 이중결합너트
US20220145657A1 (en) Coupling assembly
KR20200053921A (ko) 차선 규제봉 및 그 시공 방법
US7334307B1 (en) Disposable set screw system
KR102011011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구조
KR102310554B1 (ko) 분리형 앵커 볼트 조립체
CN213039613U (zh) 一种运用楔形几何原理防松锁紧的紧固装置
JP5485657B2 (ja) 土木建築用ボルト
EP2949927A1 (en) Cable Bushing of wind turbine tower
KR102108429B1 (ko) 핀 고정형 풀림방지 너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58520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체
KR102060876B1 (ko) 풀림방지볼트와 풀림방지판이 결합된 볼트풀림방지구조
KR101416704B1 (ko) 볼트 풀림 방지구조
CN109958282B (zh) 混凝土框架用底托框架
JP2021099110A (ja) 螺子
CN104595315A (zh) 易拆卸膨胀螺栓
JP4705004B2 (ja) 歪調整冶具及び歪調整方法
KR102604423B1 (ko) 앵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