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847A - 키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키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847A
KR20200053847A KR1020180137247A KR20180137247A KR20200053847A KR 20200053847 A KR20200053847 A KR 20200053847A KR 1020180137247 A KR1020180137247 A KR 1020180137247A KR 20180137247 A KR20180137247 A KR 20180137247A KR 20200053847 A KR20200053847 A KR 20200053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reflective surface
virtual line
key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5149B1 (ko
Inventor
이승아
Original Assignee
이승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아 filed Critical 이승아
Priority to KR1020180137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1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며, 반사면이 후방으로 일정각도로 뉘어지게 설치되는 거울; 상측에 거울이 안착 지지되는 거울 지지대; 및 거울 지지대의 하측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정 거리의 바닥면에 놓여질 수 있는 인출부와, 일단이 거울 지지대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인출부에 연결되되 상면에 거울의 반사면 하단과의 이격 거리에 따라 계산된 키 환산값이 인쇄된 인쇄지를 포함하는 키 확인수단;을 포함하며, 발 끝에서 눈까지의 거리를 Tb, 눈에서 머리 끝까지의 거리를 Th라 하면, 키 환산값은 Th + Tb이고 Tb
Figure pat00039
이므로 키 환산값은
Figure pat000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기울어진 거울의 반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를 혼자서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함으로써 원리에 대해 과학적 호기심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과학적 호기심으로 바탕으로 학교 및 과학관 등에서 교육적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키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APPARATUS FOR MEASURING A HEIGHT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키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울을 이용하여 혼자서도 간편하게 키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키를 측정하기 위해서 줄자 또는 눈금이 표시된 인쇄지를 벽에 붙여서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키 측정 방식은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가능하다는 점에서 다소 불편이 따른다. 이를 감안하여 특허문헌 1에는 유리, 거울, 사물이 비치는 재질을 이용하여 자신의 신장을 혼자서도 쉽게 측정할 수 있는 키 측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을 이용한 키 측정 장치는 거울의 반사 원리를 단순하게 이용하는 것에 불과하며, 사용자에게 과학적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2245호 (공개일자: 2008년 07월 01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거울의 반사 원리를 이용해 자신의 키를 혼자서도 쉽게 측정할 수 있게 하는 키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키 측정 장치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며, 반사면이 후방으로 일정각도로 뉘어지게 설치되는 거울; 상측에 거울이 안착 지지되는 거울 지지대; 및 거울 지지대의 하측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정 거리의 바닥면에 놓여질 수 있는 인출부와, 일단이 거울 지지대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인출부에 연결되되 상면에 거울의 반사면 하단과의 이격 거리에 따라 계산된 키 환산값이 인쇄된 인쇄지를 포함하는 키 확인수단;을 포함하며, 발 끝에서 눈까지의 거리를 Tb, 눈에서 머리 끝까지의 거리를 Th라 하면, 키 환산값은 Th + Tb이고 Tb
Figure pat00001
이므로 키 환산값은
Figure pat00002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키 측정 장치에 있어 Th는, 피 측정자들의 평균 두상의 크기를 감안하여 임의의 값으로 설정하거나, 피 측정자별로 직접 측정하여 대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키 측정 장치에 있어 거울의 반사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1가상선과, 피 측정자의 시선과 거울의 반사면 하단을 잇는 제2가상선이 이루는 각을 θ1, 제1가상선과, 피 측정자의 발 끝과 거울의 반사면 하단을 잇는 제3가상선이 이루는 각을 θ2, 제2가상선과, 바닥면과 수평하게 거울의 반사면 하단을 잇는 제4가상선이 이루는 각을 θ3 , 제3가상선과 제4가상선이 이루는 각을 θ라 하면, θ1 = θ + α, θ1 = θ2 및 θ3 = θ2 +α의 관계가 성립되고,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에 의해 산출된 θ =
Figure pat00005
, θ3 =
Figure pat00006
에 의해 성립되는
Figure pat00007
로부터 Tb가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키 측정 방법은, 거울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설치하되, 반사면이 후방으로 일정각도로 뉘어지게 설치하는 단계; 발 끝에서 눈까지의 거리를 Tb, 눈에서 머리 끝까지의 거리를 Th라 하면 거울의 반사면과의 이격 거리에 따라 계산된 키 환산값(T = Th + Tb)을 계산하는 단계; 계산된 키 환산값(T = Th + Tb)을 거울의 반사면과 멀어지는 수직 방향으로 바닥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피 측정자가 거울과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면서 반사면에 보이는 발 끝이 반사면 하단과 일치되는 위치의 키 환산값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Tb
Figure pat00008
이므로 키 환산값은
Figure pat00009
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키 측정 방법에 있어 Th는, 피 측정자들의 평균 두상의 크기를 감안하여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키 측정 방법에 있어 거울의 반사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1가상선과, 피 측정자의 시선과 거울의 반사면 하단을 잇는 제2가상선이 이루는 각을 θ1, 제1가상선과, 피 측정자의 발 끝과 거울의 반사면 하단을 잇는 제3가상선이 이루는 각을 θ2, 제2가상선과, 바닥면과 수평하게 거울의 반사면 하단을 잇는 제4가상선이 이루는 각을 θ3 , 제3가상선과 제4가상선이 이루는 각을 θ라 하면, θ1 = θ + α, θ1 = θ2 및 θ3 = θ2 +α의 관계가 성립되고,
Figure pat00010
,
Figure pat00011
에 의해 산출된 θ =
Figure pat00012
, θ3 =
Figure pat00013
에 의해 성립되는
Figure pat00014
로부터 Tb가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 측정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기울어진 거울의 반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를 혼자서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함으로써 원리에 대해 과학적 호기심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과학적 호기심으로 바탕으로 학교 및 과학관 등에서 교육적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측정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키 확인수단을 완전히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키 측정 장치를 이용한 측정 방법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측정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키 확인수단을 완전히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측정 장치는, 거울(10); 거울 지지대(20); 및 키 확인수단(30);을 포함할 수 있다.
거울(10)은 바닥면(F)으로부터 일정 높이(h)에 설치되며, 전면에 마련되는 반사면(11)이 도 1의 후방으로 일정각도(α)로 뉘어지게 설치된다. 거울 지지대(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 박스 형태로서 그 상측에 거치대(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거울(10)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키 확인수단(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 지지대(20)의 내부 하측에 인출식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거울 지지대(20)의 하측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정 거리의 바닥면(F)에 놓여질 수 있는 인출부(31)와, 일단이 거울 지지대(2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고 타단이 인출부(31)에 연결되되 상면에 거울(10)의 반사면 하단과의 이격 거리(S)에 따라 계산된 키 환산값(T)이 인쇄된 인쇄지(32)를 포함한다. 인쇄지(32)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인출부(31)가 거울 지지대(20)의 하측으로부터 미 인출시에는 거울 지지대(20)의 내부공간에 감김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발 끝(FO)에서 눈(EY)까지의 거리를 Tb, 눈(EY)에서 머리 끝(HE)까지의 거리를 Th라 하면, 키 환산값(T)은 Th + Tb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Th는 피 측정자(A, 가상실선)들의 평균 두상의 크기를 감안하여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다만, 오차를 배제하기 위해서는 피 측정자(A) 별로 직접 측정하여 대입할 수 있다.
아울러, 거울(10)의 반사면(11)과 수직을 이루는 제1가상선(L1)과, 피 측정자(A)의 시선과 거울(10)의 반사면(11) 하단을 잇는 제2가상선(L2)이 이루는 각을 θ1라 가정한다. 또, 제1가상선(L1)과, 피 측정자(A)의 발 끝(FO)과 거울(10)의 반사면(11) 하단을 잇는 제3가상선(L3)이 이루는 각을 θ2라 가정한다. 또, 제2가상선(L2)과, 바닥면(F)과 수평하게 거울(10)의 반사면(11) 하단을 잇는 제4가상선(L4)이 이루는 각을 θ3라 가정한다. 그리고, 제3가상선(L3)과 제4가상선(L4)이 이루는 각을 θ라 가정하면, θ1 = θ + α, θ1 = θ2 및 θ3 = θ2 +α의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따라서,
Figure pat00015
,
Figure pat00016
에 의해 산출된 θ =
Figure pat00017
, θ3 =
Figure pat00018
에 의해 성립되는
Figure pat00019
로부터 Tb가 산출될 수 있다.
즉, Tb
Figure pat00020
이므로 키 환산값(T)은
Figure pat00021
로 정의될 수 있다.
[실험: 피 측정자의 발 측정위치에 따른 키 환산값 차이 측정]
아래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 측정 장치를 이용해 피 측정자 15명을 대상으로 위 수식에 의해 계산되어 표시된 키 환산값(T)을 측정하였으며, 각 피 측정자의 실제키와 비교하여 오차를 확인하였다. 단, 거울(10)의 반사면(11)이 뉘어진 각도(α)는 피 측정자가 거울(10)로부터 너무 멀어지지 않도록 8도, 10도, 12도로 설정하였고, 눈(EY)에서 머리 끝(HE)까지의 거리를 가르키는 Th는 직접 측정된 수치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거울(10)의 반사면(11) 하단 높이(h)는 바닥면(F)으로부터 25센치미터로 고정값을 적용하였다.
<표 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위와 같은 실험에 있어서, 발 가운데와 발 끝(FO)을 보고 확인된 키 환산값(T) 중 오차값이 큰 데이터를 정리하면 아래 표2와 같다.
<표 2>
Figure pat00024
표 2를 참조하면, 각 피 측정자의 발 가운데를 기준으로 확인되는 키 환산값(T)이 각 피 측정자의 실제키와 8센치미터 내외의 오차를 보였으며, 각 피 측정자의 발 끝(FO)을 기준으로 확인되는 키 환산값(T)이 각 피 측정자의 실제키와 4센치미터 내외의 오차를 보여 발 끝(FO)을 기준으로 키 환산값(T)을 확인하는 것이 실제키와 오차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위와 같은 실험에 있어 거울(10)의 반사면(11) 각도에 따른 키 환산값(T)의 오차값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피 측정자가 거울(10)로부터 너무 멀어지지 않도록 반사면(11)의 각도를 10도 내외로 설정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키 측정 장치를 이용한 측정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4는 도 1의 키 측정 장치를 이용한 측정 방법을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거울(10)을 바닥면(F)으로부터 일정높이(h)에 설치하되, 반사면(11)이 후방으로 일정각도(α)로 뉘어지게 설치한다.
위 거울(10)의 설치각도에 따라 발 끝(FO)에서 눈(EY)까지의 거리를 Tb, 눈(EY)에서 머리 끝(HE)까지의 거리를 Th라 하면 거울(10)의 반사면(11)과의 이격 거리(S)에 따라 키 환산값(T = Th + Tb)을 계산한다. 이때, 키 환산값(T = Th + Tb)에 대한 계산은 위 수식을 참고하기로 하며, 반복되므로 생략한다.
인출부(31)를 완전히 인출하여 인쇄지(32)를 바닥면(F)에 펼친 후, 계산된 키 환산값(T = Th + Tb)을 거울(10)의 반사면(11)과 멀어지는 수직 방향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표시되는 키 환산값(T = Th + Tb)은 거울(10)의 반사면(11) 아래에서 1센치미터부터 200센치미터까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 측정자가 인쇄지(32)의 위에 올라선 상태로 거울(10)과의 이격 거리(S)를 전후 조절하면서 반사면(11)에 보이는 발 끝(FO)이 반사면(11) 하단과 일치되는 위치의 키 환산값(T)을 확인함으로써 자신의 키를 혼자서도 쉽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키 측정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기울어진 거울의 반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를 혼자서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함으로써 원리에 대해 과학적 호기심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과학적 호기심으로 바탕으로 학교 및 과학관 등에서 교육적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거울
11: 반사면
20: 거울 지지대
30: 키 확인수단
31: 인출부
32: 인쇄지

Claims (6)

  1.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며, 반사면이 후방으로 일정각도로 뉘어지게 설치되는 거울;
    상측에 상기 거울이 안착 지지되는 거울 지지대; 및
    거울 지지대의 하측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정 거리의 바닥면에 놓여질 수 있는 인출부와, 일단이 거울 지지대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인출부에 연결되되 상면에 상기 거울의 반사면 하단과의 이격 거리에 따라 계산된 키 환산값이 인쇄된 인쇄지를 포함하는 키 확인수단;을 포함하며,
    발 끝에서 눈까지의 거리를 Tb, 눈에서 머리 끝까지의 거리를 Th라 하면, 상기 키 환산값은 Th + Tb이고 Tb
    Figure pat00025
    이므로 상기 키 환산값은
    Figure pat0002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h는,
    피 측정자들의 평균 두상의 크기를 감안하여 임의의 값으로 설정하거나, 피 측정자별로 직접 측정하여 대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의 반사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1가상선과, 피 측정자의 시선과 상기 거울의 반사면 하단을 잇는 제2가상선이 이루는 각을 θ1,
    상기 제1가상선과, 피 측정자의 발 끝과 상기 거울의 반사면 하단을 잇는 제3가상선이 이루는 각을 θ2,
    상기 제2가상선과, 상기 바닥면과 수평하게 상기 거울의 반사면 하단을 잇는 제4가상선이 이루는 각을 θ3 ,
    상기 제3가상선과 상기 제4가상선이 이루는 각을 θ라 하면,
    θ1 = θ + α, θ1 = θ2 및 θ3 = θ2 +α의 관계가 성립되고,
    Figure pat00027
    ,
    Figure pat00028
    에 의해 산출된 θ =
    Figure pat00029
    , θ3 =
    Figure pat00030
    에 의해 성립되는
    Figure pat00031
    로부터 상기 Tb가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측정 장치.
  4. 거울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설치하되, 반사면이 후방으로 일정각도로 뉘어지게 설치하는 단계;
    발 끝에서 눈까지의 거리를 Tb, 눈에서 머리 끝까지의 거리를 Th라 하면 상기 거울의 반사면과의 이격 거리에 따라 계산된 키 환산값(T = Th + Tb)을 계산하는 단계;
    계산된 상기 키 환산값(T = Th + Tb)을 상기 거울의 반사면과 멀어지는 수직 방향으로 바닥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피 측정자가 상기 거울과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반사면에 보이는 발 끝이 상기 반사면 하단과 일치되는 위치의 상기 키 환산값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Tb
    Figure pat00032
    이므로 상기 키 환산값은
    Figure pat00033
    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측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Th는,
    피 측정자들의 평균 두상의 크기를 감안하여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측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의 반사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1가상선과, 피 측정자의 시선과 상기 거울의 반사면 하단을 잇는 제2가상선이 이루는 각을 θ1,
    상기 제1가상선과, 피 측정자의 발 끝과 상기 거울의 반사면 하단을 잇는 제3가상선이 이루는 각을 θ2,
    상기 제2가상선과, 상기 바닥면과 수평하게 상기 거울의 반사면 하단을 잇는 제4가상선이 이루는 각을 θ3 ,
    상기 제3가상선과 상기 제4가상선이 이루는 각을 θ라 하면,
    θ1 = θ + α, θ1 = θ2 및 θ3 = θ2 +α의 관계가 성립되고,
    Figure pat00034
    ,
    Figure pat00035
    에 의해 산출된 θ =
    Figure pat00036
    , θ3 =
    Figure pat00037
    에 의해 성립되는
    Figure pat00038
    로부터 상기 Tb가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측정 방법.
KR1020180137247A 2018-11-09 2018-11-09 키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KR102175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247A KR102175149B1 (ko) 2018-11-09 2018-11-09 키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247A KR102175149B1 (ko) 2018-11-09 2018-11-09 키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847A true KR20200053847A (ko) 2020-05-19
KR102175149B1 KR102175149B1 (ko) 2020-11-05

Family

ID=7091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247A KR102175149B1 (ko) 2018-11-09 2018-11-09 키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733Y1 (ko) * 2022-04-26 2022-08-04 심정택 위치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뒷모습 거울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142Y1 (ko) * 2004-06-15 2004-09-22 박세진 키재는 거울
KR20080002245U (ko) 2006-12-26 2008-07-01 백문현 키재는 장치
KR101650631B1 (ko) * 2014-12-09 2016-08-23 (주)애니토이 신장 측정 거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142Y1 (ko) * 2004-06-15 2004-09-22 박세진 키재는 거울
KR20080002245U (ko) 2006-12-26 2008-07-01 백문현 키재는 장치
KR101650631B1 (ko) * 2014-12-09 2016-08-23 (주)애니토이 신장 측정 거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733Y1 (ko) * 2022-04-26 2022-08-04 심정택 위치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뒷모습 거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149B1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126B2 (en) Wall-hanging-aid device and method of use
US7690129B2 (en) Easy centering hanging level
US9603552B2 (en) Measuring method, pedestal and measuring system for determining biometric data of human feet
US20130258085A1 (en) Foot Imaging and Measurement Apparatus
CN104169735A (zh) 定位或重定位装置
US6883244B2 (en) Picture alignment and hanging device
KR20200053847A (ko) 키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WO2009149618A1 (zh) 身高计
US59339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in hanging framed pictures and achieving proper alignment
JP2009291354A (ja) 腹部周囲径測定装置
KR101671243B1 (ko) 사용여부판단이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커버
JP2016527543A (ja) スクリーンの人間工学的に正しい調整の方法およびそれを実行するための設定
KR200476311Y1 (ko) 등신비율 측정거울
KR101671240B1 (ko)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
JP6451952B2 (ja) 書見台
CN218099806U (zh) 一种夹持式桌面防近视阅读放大仪
KR101671239B1 (ko) 학습시간을 알려주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
CN210639823U (zh) 一种验证二力平衡条件的装置
US530477A (en) eppees
TW202026602A (zh) 稱重設備及具有該稱重設備之電子裝置
CN210833460U (zh) 一种大口径平面干涉仪载物台
CN216901162U (zh) 一种折叠便携式防近视阅读放大仪
TWM411558U (en) Electronic measuring tape structure
CN208270063U (zh) 一种带反射镜的投影电子秤
CN105818607A (zh) 点放射轮廓绘制镜像定位放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